KR20140010831A - 숙취해소 및 간 보호기능 개선 조성물 - Google Patents

숙취해소 및 간 보호기능 개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0831A
KR20140010831A KR1020120077942A KR20120077942A KR20140010831A KR 20140010831 A KR20140010831 A KR 20140010831A KR 1020120077942 A KR1020120077942 A KR 1020120077942A KR 20120077942 A KR20120077942 A KR 20120077942A KR 20140010831 A KR20140010831 A KR 20140010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weight
extract
parts
malt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7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5794B1 (ko
Inventor
임경아
박형환
여명재
Original Assignee
롯데제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제과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제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7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5794B1/ko
Publication of KR20140010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0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5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57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2Alpinia, e.g. red ginger or galanga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4Atractyl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56Mouth soluble or dispersible forms; Suckable, eatable, chewable coherent forms; Forms rapidly disintegrating in the mouth; Lozenges; Lollipops; Bite capsules; Baked products; Baits or other oral forms for animals
    • A61K9/0058Chewing gu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Zoology (AREA)
  • Phys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성성분으로 양강, 진피, 갈근, 창출, 감초의 추출물과 말톨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 및 간 보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며 액제, 정제, 과립제, 환제, 캡슐제, 껌의 제형으로 쉽게 음주 전 후에 섭취할 수 있다.

Description

숙취해소 및 간 보호기능 개선 조성물 {The improved composition for relieving hangovers and protecting a liver}
본 발명은 생약추출물과 말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 및 간 보호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알코올을 적당량 내지 소량을 섭취하면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등의 양성적인 효과가 있으나, 과잉 섭취 또는 만성적으로 섭취할 경우 두통, 졸음, 갈증, 설사, 속쓰림, 오심, 구토, 오한, 식은땀, 구취, 기억 단절, 운동 능력 저하의 숙취 증상을 유발하거나 혈액학적 변화, 지방간 생성 등의 생리학적 증상을 유발한다.
숙취의 원인은 알코올 자체의 중추신경 억제 작용, 탈수, 알코올 및 알코올 대사산물인 아세트알데히드의 독성, 영양흡수 장애에 의한 영양소 결핍(혈당, 비타민, 무기질 결핍), 다량의 알코올을 대사시킬 때 생성되는 활성산소의 자유분자단으로 인한 지방 및 생체성분의 과산화, 또는 과산화 된 지방간을 환원시키기 위한 생체의 동원 능력 부하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알코올(에탄올)에 소량 들어있는 메탄올의 대사 및 포름알데히드가 숙취의 원인으로 지적된 바 있으며, 실제 알코올에 의한 숙취는 알코올대사체인 아세트알데히드, 아세톤 등에 의한다는 것이 다수 보고되면서 새로운 연구 단계로 접어들고 있다(Moser J, Bagchi D, Akubue PI, Stohs SJ.. Alcohol Alcohol. 28:287-295, 1993). 일본에서는 미강 추출물의 대사 산물이 혈중 알코올 농도보다는 아세트알데히드 농도 저하에 더 크게 기여한다는 특허 내용이 있었으며 숙취 증상이 심한 사람이 숙취 증상이 적은 사람에 비해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는 높았으나 혈중 에탄올의 농도 차이는 거의 없었다는 보고(Wall TL, Horn SM, Johnson ML, Smith TL, Carr LG., JStud. Alcohol. 61:13-17, 2000)가 있어 알코올로 인한 숙취의 원인 물질이 아세트알데히드라는 데에 초점이 모이고 있다.
간은 인간의 신체 장기 중 생체 내 대사가 가장 활발하게 일어나는 장기로서, 지방 성분이 포함된 음식 또는 알코올의 과다 섭취, 바이러스의 감염, 각종 약품과 같은 유해물질, 영양부족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급성 또는 만성의 장애가 일어나며, 이로 인해 지방간, 간염, 황달, 간경화, 간암 등이 야기될 수 있다. 특히 음식을 통한 과다한 지방 섭취 또는 과도한 알코올 섭취는 간 조직에 지질이 쌓이는 지방간을 유발하며, 이때 혈청 속의 GOT(glutamate-oxaloacetate transaminase), GPT (glutamate-pyruvate transaminase), γ-GTP(γ-glutamyltransferase) 등이 증가하게 된다. 간은 완충 능력이 큰 기관이므로 상기 질환의 초기단계에서는 잘 나타나지 않다가 병증이 상당히 악화된 후에야 상기 질환의 증상을 보이게 된다.
또한, 간은 인체에서 혈액의 저장 및 순환, 혈류량 조절과 방어 해독작용을 하며 정신적 활동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인체는 산업화에 따른 공해 물질, 유독 물질에 항상 노출되어 있어, 간은 끊임없는 해독작용에 시달리고 있다. 더욱이, 심각한 것은 정신적인 스트레스로 인한 간 손상이다. 정신적 휴식을 가질 경우 손상된 간 세포는 복구되지만 급박한 현대사회에서는 정신적 휴식의 여유를 찾을 수 없기 때문에 정신적 스트레스, 과음, 흡연으로 간 손상을 가중시켜 인체가 방어 또는 해독작용을 하지 못하게 된다. 이는 면역체계에 이상을 가져와 다른 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지속적인 알코올 섭취로 인한 알코올성 간 질환은 알코올성 지방간, 알코올성 간염 및 간경변증으로 나뉜다. 이중 지방간이 가장 흔한 편이나 때때로 이들 세 가지 질환은 서로 동시에 유발될 수 있다.
알코올성 지방간은 간 조직에 지방세포들이 빽빽하게 들어 차있는 것을 말하며, 이러한 지방 축적은 주로 간에서 중성지방의 합성 증가, 지단백 합성 후의 혈중 분비 장애와 더불어 말초 지방 조직으로부터 유리된 지방이 간으로 유입되는 양에 비하여 지방산 산화 과정은 오히려 저하되기 때문에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알코올성 간염은 흔히 지방 세포의 침윤과 더불어 간 조직의 염증 반응과 섬유화가 일어나는 것을 말한다. 여기에 간세포가 죽어가는 괴사가 일어나고 딱딱한 결절이 형성된 상태를 알코올성 간경변증이라고 부른다. 알코올에 의한 지방간을 거쳐 간염이 진행되어 간경변으로 갈수록 교원질의 침착 정도가 많아져 섬유화의 정도도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술에 의한 간질환은 음주량이 많을수록, 그리고 그 기간이 길수록 발생 위험률이 높아진다는 것은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실제 여러 조사 결과들이 이를 뒷받침해주고 있다.
실제로 알코올 중독자 3 천명의 간 조직을 검사한 결과, 약 40%가 지방간을 보였으며, 5천4백80명을 검사한 경우 약 30%가 알코올성 지방간을 보였다. 이러한 알코올 섭취에 따른 질환의 심한 정도는 주로 음주 섭취량과 관련이 있다. 게다가 알코올을 지속적으로 섭취하는 경우, 에탄올의 체내 대사 결과 생성된 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tetrahydroisoquinoline)이나 테트라하이드로-베타-카볼린(tetrahydro-β-carboline)의 구조가 모르핀(morphine)과 유사하여 금단증상을 유발시키는 결과 에탄올 의존증을 유도한다. 이는 에탄올 대사효소의 감소와 부분적으로 뇌 신경세포의 반응 저하에 의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알코올 의존증은 인체의 알코올 섭취량 및 빈도를 극적으로 증가시켜 상기 설시한 간질환 및 신경, 면역계질환을 단기간에 유발시키는 문제가 있다.
섭취한 알코올은 식도 및 구강점막에서도 흡수되며 약 10%는 위장에서 약 90%는 소장에서 흡수된다. 알코올은 3가지 경로를 통해 대사되는 데, 에탄올의 농도가 낮을 때는 위장관 또는 간에 존재하는 알코올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와 아세트알데히드탈수소효소(Acetaldehyde dehydrogenase)의 작용에 의해, 에탄올의 농도가 높을 때는 소포체에 존재하는 마이크로좀 에탄올 산화체계(MEOS: Microsomal ethanol oxidizing system)에 의해 아세트알데히드와 초산으로 대사되며, 이후 퍼옥시좀(peroxisome)에 존재하는 카탈라제(catalase)의 작용 등을 거쳐 이산화탄소와 물로 최종 분해된다. 이러한 작용기작을 근거해 종래에는 알코올 흡수 억제, 알코올 대사 촉진, 또는 아세트알데히드 농도 저하의 목적으로 숙취해소용 제품을 개발해왔다.
숙취 해소에 관한 종래의 특허는 실크피브로인(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528740호), 오가피, 노근, 모과, 앵두, 저두강(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528388호), 약쑥, 구기자, 건강, 진피, 연근, 지구자, 상심자, 오미자(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512912호), 아스타잔틴, 아스파라긴산(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520985호), 감잎, 감(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504351호), 진피, 백복령, 인진, 갈화, 갈근(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500373호), 아스파라거스, 녹차, 양파, 매실(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496524호), 두릅(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462329호), 콩, 콩나물, 포도씨(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455075호), 지구자 열매의 활성 성분 호베노둘리놀(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452128호), 무, 사철쑥, 칡, 감잎, 삼백초(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451013호), 지구자, 지구목, 헛개나무 혼합물, 갈근, 백하수오, 산약, 작약(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446061호), 백모근, 오디, 토사자, 갈화, 창출, 복분자, 뱀딸기, 방가지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442771호), 헛개나무 목질부 등(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403720-22호), 갈화, 밀크티슬, 타우린, 울금(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392876호), 나린진, 나린게닌(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375047호), 오리나무, 마가목(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181168호), 헛개나무 열매, 인진호, 갈근, 진피, 창출, 감초(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7-0101443호) 등이 있다. 그러나 특히 알코올의 흡수 억제를 목적으로 하는 발명의 경우 체내 분해되지 않은 잔류 알코올의 지속적인 독성 방출과 체내 pH 변화유발 및 이로 인한 면역학적, 생리학적 또는 신경학적 질환 유발이 문제가 되었다. 또한 알코올의 대사 산물의 신속한 분해를 목적으로 하는 발명의 경우, 알코올이 대사하는 동안 유발되는 두통, 구토, 오한, 설사 등의 숙취 증상 또는 위장관 내 장시간 체류하는 알코올의 독성으로 인해 유발되는 위장관 질환이 발생할 가능성이 증가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생약 성분으로서 양강, 갈근, 진피, 창출, 및 감초의 추출물과 말톨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숙취를 해소하고 나아가 알코올의 섭취로 인한 간질환을 예방, 치료 또는 완화한다. 상세하게는 알코올 흡수를 억제하기보다 대사를 촉진함과 동시에 생성되는 활성산소, 자유분자단과 이들로 인한 산화물인 과산화 지질 생성을 원천적으로 억제하여 알코올 섭취로 인한 제증상을 예방, 치료 내지 완화하는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양강, 진피, 갈근, 창출, 감초의 혼합 생약 추출물 및 말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로서, 혼합 생약추출물은 양강 2 내지 8 중량부, 진피 3 내지 24 중량부, 갈근 2 내지 16 중량부, 창출 2 내지 6 중량부 및 감초 2 내지 6 중량부를 함유하며, 말톨은 0.04 내지 1 중량부로 함유되는 것인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양강, 진피, 갈근, 창출, 감초의 혼합 생약 추출물 및 말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 섭취에 대한 간 보호용 조성물로서, 혼합 생약추출물은 양강 2 내지 8 중량부, 진피 3 내지 24 중량부, 갈근 2 내지 16 중량부, 창출 2 내지 6 중량부 및 감초 2 내지 6 중량부를 함유하며, 말톨은 0.04 내지 1 중량부로 함유되는 것인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생약 성분으로서 양강, 갈근 ,진피, 창출, 감초 추출물 및 말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알코올 섭취 시 혈액 내 알코올 농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각종 숙취 증상의 발생을 억제시키며, 알코올 섭취에 의한 간에서의 과산화 지질 생성을 현저히 억제한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은 숙취 해소제 및 간 보호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액제, 정제, 캡슐제, 과립제, 환제, 껌의 제형으로 제조 가능하여 음주 전후에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표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표 1은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의 함량을 나타낸다.
표 2는 에탄올을 투여한 마우스의 간에 생성된 과산화 지질을 측정한 것을 나타낸다.
표 3은 알코올을 섭취한 사람의 혈액 중의 알코올 함량을 측정한 것을 나타낸다.
표 4는 숙취 증상을 설문으로 분석한 것이다.
양강은 위를 따뜻하게 하여 위의 소화 기능을 증가하며 위액분비를 촉진하므로 만성 위염, 식욕부진, 구토, 복통, 식체, 속쓰임, 또는 구역 등에 효과가 있다. 특히 신체가 허약하거나 장이 냉하여 발생하는 설사에 좋은 효과가 있어, 찬 음식이나 음료, 과일을 먹고 일어난 복통, 설사에도 치료 효과가 높다. 이외에도 양강은 술독을 풀어 음주 후 대변이 시원치 않을 때, 속이 좋지 않을 때, 또는 아랫배가 당기면서 통증이 있을 때 이를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신장 기능 허약과 냉증으로 인한 정력 감퇴, 또는 이질에도 효력이 있다. 본 발명의 양강(Alpinia officinarum)은 생강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늦여름부터 초가을에 4-6년 생을 캐어 줄기, 잎, 수염뿌리, 인편을 제거하고 근경을 세절하여 햇볕에 말린 것으로 한방에서는 약재로 사용하고 있다. 성분으로는 근경에 0.5~1.5%의 정유가 함유되어 있고 그 주요성분으로는 1,8-시네올, 신나민산(cinnamic acid)의 메틸 에스테르, 피넨(pinene), 카디넨(cadinene) 등이 있다. 이외에 가란골(galangol) 등의 신미성분, 가란진(galangin), 켐페리드(kaempferid), 알피닌(alpinin) 등의 후라보노이드가 분리 및 동정된 것이 보고되어 있다(정보섭 및 신민교, 향약대사전, 영림사, p251, 1998; Hoikusa, The encyclopedia of Wakan-Yaku(Traditional Sino-Japanese Medicine), 1, pp136-137, 1993).
갈근(Pueraria lobata Ohwi)은 콩과(Leguminosae)로 주피를 제거한 뿌리이다. 갈근에는 이소플라보노이드(isoflavonoids)로 다이자인(daidzein), 다이진(daidzin), 포모네팀 제니스틴(formonetinm geniste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트리테르펜(triterpenoids)인 소야사포제놀(soyasapogenol) A와 쿠주사포제놀(Kuzusapogenol) B 등이 함유되어 있어 진정 작용, 하열 작용 및 혈관의 이완 작용을 하며 알코올로 인한 지방간의 생성을 억제하는 약제 중의 하나이다(Kwon HJ et al., World J. Gastroenterol. 11(35):5512-5516, 2005). 갈근에 함유된 다이드진(daidzin)은 알코올의 투여 후 혈중 알코올의 농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으며(Xie CI et al., Alcohol Clin. Exp. Res. 18(6):1443-1447, 1994) 또한 갈근은 인산과 함께 알코올 섭취를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다(Carai MA et al., Fitoterapia Aug;71 Suppl 1:S38-42, 2000). 또한 갈근 뿌리의 물 추출물은 알코올 투여로 인한 지방 대사와 항산화 효소의 장애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Lee JS. et al., Clin. Chim. Acta. 347(1-2):121-128, 2004).
진피는 항알러지 효과, 진정 효과, 항바이러스 효과와 세로토닌의 작용도 향상 시키며 갈근과 진피가 함유된 한약처방이 알코올의 흡수를 저하시켜 음주 후 혈청 알코올의 농도를 저하시킨다는 보고가 있다(Shin BS et al., J. Toxicol. Environ. Health A. 68(23-24):2219-2226, 2005). 진피는 귤(Citrus unshiu Markovich) 또는 그의 근연식물(산초나무과 Rutaceae)의 성숙한 과피이다. 진피에는 정유성분인 d-리모넨(d-limonene), 리나롤(linalool), 및 리날리아세테이트(linalylacetate)와 플라보노이드(flavonoids)인 헤스피리딘(hesperidin), 나린긴(naringin), 포시린(porcirin), 및 노비레틴(nobiletin)와 알카로이드(alkaloid)로서 시네프린(synephrine)이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진피는 항알레르기 활성(antiallergic activity)이 있고 진정 효과, 항바이러스 효과와 세로토닌(serotonine)의 작용도 향상시킨다는 보고도 있다. 한편 갈근과 진피가 함유된 한약처방이 알코올의 흡수를 저하시켜 음주 후 혈청 알코올의 농도를 저하시켰다고 보고가 있으며(Shin BS et al., J. Toxicol. Environ. Health A. 68(23-24):2219-2226, 2005), 진피가 C형 감염(hepatitis C)에서 간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는 보고도 있다(Cyong JC etal., Am. J. Chin. Med. 28(3-4):351-360, 2000).
창출은 수분대사를 촉진시켜 이뇨 및 발한을 촉진시키고 정장에도 효과적이다. 창출은 삽주(Atractylodes japonica Koidzumi)의 뿌리 줄기로 국화과(Compositae)에 속한다. 창출은 아트라세티론(atractylone), 아트라세티레노이드(atractylenolide) I, II, III, 테트라하이드로알란톨시톤(tetrahydroalantolcton), 아부테노리드(abutenolide) B, b-에데스몰(b-eudesmol), 히네솔(hinesol) 등이 함유되어 있다.
감초는 항염 및 항궤양 효과가 있고, 소염 효과, 해열 작용, 진통효과가 있다.
말톨은 혈당 강하 작용, 노화방지, 또는 항 피로 등의 효과가 있는 강력한 항산화제로, 가향 또는 감미의 목적으로 식품에 첨가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양강, 진피, 갈근, 창출, 감초의 혼합 생약 추출물 및 말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로서, 혼합 생약추출물은 양강 2 내지 8 중량부, 진피 3 내지 24 중량부, 갈근 2 내지 16 중량부, 창출 2 내지 6 중량부 및 감초 2 내지 6 중량부를 함유하는 추출물에 단순히 가향, 감미의 목적으로 사용되던 말톨에 의해 숙취 해소 및 간 보호에 탁월한 상승적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고,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강, 진피, 갈근, 창출 및 감초를 물, 주정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한 것에 말톨을 첨가하여 숙취 해소 및 간 보호 효과를 가지는 혼합 생약추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혼합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혼합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보호제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양강, 진피, 갈근, 창출 및 감초 추출물에 말톨을 첨가한 조성물이 숙취 해소 및 간 보호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건조된 양강, 진피, 갈근, 창출 및 감초를 하기와 같은 중량부로 평량하여 추출하였다.
추출 방법은
1) 물, 주정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양강, 진피, 갈근, 창출 및 감초에서 추출물을 획득하는 단계;
2) 단계 1)을 반복하여 2차 추출물을 획득하는 단계;
3) 단계 1)의 1차 추출물과 단계 2)의 2차 추출물을 혼합하여 여과하는 단계;
4) 여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고 말톨을 첨가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단계 1)과 2)에서 사용하는 추출 용매는 사용되는 생약들의 무게의 5 내지 10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 온도는 80 내지 100℃, 추출 시간은 4 내지 12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생약들의 혼합 비율은 양강 2 내지 8 중량부, 진피 3 내지 24 중량부, 갈근 2 내지 16 중량부, 창출 2 내지 6 중량부 및 감초 2 내지 6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말톨은 0.04 내지 1 중량부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숙취 해소 및 간 보호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마우스에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 8, 말톨을 섭취시키고 절식시킨 후, 급성 중독이 가능한 용량의 에탄올을 투여하여 12시간 후에 간에 생성된 과산화지질의 량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생약만으로 구성된 비교예 1, 비교예 2, 말톨은 과산화 지질 생성을 각각 36.6%, 34.8%, 58.2% 억제한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8은 각각 92.8%, 95.4%, 93.8%, 89.2%, 86.6%, 88.7%, 91.3%. 89.7% 억제하였다. 종합하면 비교예 1, 비교예 2에서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비교하여 생약 혼합추출물과 말톨을 같이 처방한 본 발명의 혼합 생약추출물이 에탄올에 의한 간 손상을 억제하여 현저한 간 보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숙취해소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건강한 남성들에게 본 발명의 종래 기술에 해당하는 비교예 2, 본 발명의 실시예 1, 실시예 5를 대표적으로 선택하여 섭취시킨 후, 소주를 음용하게 하여 일정 시간마다 혈액 중의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고 숙취 증상을 설문지를 활용하여 조사하였다.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해당하는 비교예 2가 약간의 혈중 알콜 농도 감소효과를 보이는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 실시예 5을 섭취한 그룹은 대조군과 비교예 2에 비하여 혈중 알코올 농도가 현저하게 낮아졌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음주 5시간 후와 14시간 후 대표적인 숙취 증상인 졸음, 두통, 어지러움, 무력감, 속쓰림, 집중곤란, 평소보다 자극에 민감함이 대조군은 심한 정도의 점수를 보이며 종래 기술에 해당하는 비교예 2섭취군은 미약한 해소 효과를 나타내는 데 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 실시예 5를 섭취한 그룹은 보통이거나 증상이 없는 수준의 점수를 보여주어 현저한 숙취증상 해소 효과를 보여 주었다. 종합하면 종래 기술에 해당하는 생약 혼합추출물에 비교하여 생약 혼합추출물과 말톨을 같이 처방한 본 발명의 혼합 생약추출물이 음주 후의 숙취증상 해소 효과에 매우 탁월함을 알 수 있다.
성인의 섭취량은 혼합 생약추출물 200 내지 3,500mg을 1회, 하루 2-3회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원재료는 식품 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허가된 안전한 것이며 이들의 추출물도 허용 가능한 범위 내에서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혼합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경구적으로 섭취하며, 섭취하기 용이하도록 혼합 생약추출물의 유효량에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통상적인 희석제, 활탁제, 결합제, 붕해제, 감미제, 안정제,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의 첨가제 중 1 이상을 선택하여, 통상적인 약제학적 제형 즉 액제, 현탁제, 캡슐제, 정제, 껌, 환제, 과립제의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하기의 실시예가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표 1은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의 함량을 표로 도시한 것이다.
건재료 (g)
첨가시료 (g)
양강 진피 갈근 창출 감초 말톨
비교예1 - 600 400 150 150 -
비교예2 200 600 400 150 150 -
실시예1 400 1200 800 300 300 40
실시예2 40 280 120 40 120 12
실시예3 160 120 40 40 240 10
실시예4 60 300 80 12 40 8
실시예5 120 200 100 60 120 2
실시예6 100 140 200 80 80 4
실시예7 80 240 160 60 60 10
실시예8 80 140 160 60 160 6
비교예 1
한약건재상에서 구입한 진피 600g, 갈근 400g, 창출 150g, 감초 150g를 한약추출기에 넣고 정제수 10L를 가하여 95℃에서 4시간 가열 추출(1차 추출액), 잔사에 정제수 10L를 가하여 95℃에서 4시간 가열 추출(2차 추출액) 한 후 1차, 2차 추출액을 합하여 실온으로 냉각한 후 여과하였다. 여액을 65℃에서 감압 농축하여 농축분말 220g을 얻었다.
비교예 2
한약건재상에서 구입한 양강 200g, 진피 600g, 갈근 400g, 창출 150g, 감초 150g를 한약추출기에 넣고 정제수 10L를 가하여 95℃에서 4시간 가열 추출(1차 추출액), 잔사에 정제수 10L를 가하여 95℃에서 4시간 가열 추출(2차 추출액) 한 후 1차, 2차 추출액을 합하여 실온으로 냉각한 후 여과하였다. 여액을 65℃에서 감압 농축하여 농축분말 255g을 얻었다.
실시예 1
한약건재상에서 구입한 양강 400g, 진피 1,200g, 갈근 800g, 창출 300g, 감초 300g를 한약추출기에 넣고 정제수 20L를 가하여 95℃에서 4시간 가열 추출(1차 추출액), 잔사에 정제수 20L를 가하여 95℃에서 4시간 가열 추출(2차 추출액)항 후 1차, 2차 추출액을 합하여 실온으로 냉각한 후 여과하였다. 여액을 65℃에서 감압 농축하여 40% 용액이 되었을 때 말톨 40g을 넣고 계속 농축하여 농축분말 530g을 얻었다.
실시예 2
양강 40g, 진피 280g, 갈근 120g, 창출 40g, 감초 120g를 한약추출기에 넣고 정제수 3L를 가하여 80℃에서 12시간 가열 추출(1차 추출액), 잔사에 정제수 3L를 가하여 80℃에서 12시간 가열 추출(2차 추출액)한 후 1차, 2차 추출액을 합하여 실온으로 냉각한 후 여과하였다. 여액을 65℃에서 감압 농축하여 40% 용액이 되었을 때 말톨 12g을 넣고 계속 농축하여 농축분말 115g을 얻었다.
실시예 3
양강 160g, 진피 120g, 갈근 40g, 창출 40g, 감초 240g를 한약추출기에 넣고 정제수 6L를 가하여 100℃에서 15시간 가열 추출(1차 추출액), 잔사에 정제수 6L를 가하고 100℃에서 12시간 가열 추출(2차 추출액) 1차, 2차 추출액을 합하여 실온으로 냉각한 후 여과하였다. 여액을 65℃에서 감압 농축하여 40% 용액이 되었을 때 말톨 10g을 넣고 계속 농축하여 농축분말 125g을 얻었다.
실시예 4
양강 60g, 진피 300g, 갈근 80g, 창출 120g, 감초 40g를 한약추출기에 넣고 정제수 4L를 가하여 90℃에서 12시간 가열 추출(1차 추출액), 잔사에 정제수 4L를 가하여 90℃에서 12시간 가열 추출(2차 추출액)한 후 1차, 2차 추출액을 합하여 실온으로 냉각한 후 여과하였다. 여액을 65℃에서 감압 농축하여 40% 용액이 되었을 때 말톨 8g을 넣고 계속 농축하여 60브릭스 농축액 260g을 얻었다.
실시예 5
양강 120g, 진피 200g, 갈근 100g, 창출 60g, 감초 120g를 한약추출기에 넣고 정제수 5L를 가하고 90℃에서 8시간 가열 추출하고(1차 추출액), 잔사에 정제수 4L를 가하고 90℃에서 7시간 가열 추출하고 (2차 추출액) 1차, 2차 추출액을 합하여 실온으로 냉각한 후 여과하였다. 여액을 65℃에서 감압 농축하여 15% 용액이 되었을 때 말톨 2g을 넣고 감압열풍건조 (스프레이 드라이)하여 분말 100g을 얻었다.
실시예 6
양강 100g, 진피 140g, 갈근 200g, 창출 80g, 감초 80g를 한약추출기에 넣고 정제수 5L를 가하여 95℃에서 6시간 가열 추출(1차 추출액), 잔사에 정제수 5L를 가하여 95℃에서 시간 가열 추출(2차 추출액)한 후 1차, 2차 추출액을 합하여 실온으로 냉각한 후 여과하였다. 여액을 65℃에서 감압 농축하여 40% 용액이 되었을 때 말톨 4g을 넣고 계속 농축하여 농축분말 105g을 얻었다.
실시예 7
양강 80g, 진피 240g, 갈근 160g, 창출 60g, 감초 60g을 추출기에 넣고 70% 주정 5L를 가하고 95℃에서 5시간 가열 추출(1차 추출액), 잔사에 70%주정 5L를 가하고 95℃에서 시간 가열 추출(2차 추출액)한 후 1차, 2차 추출액을 합하여 실온으로 냉각한 후 여과하였다. 여액을 65℃에서 감압 농축하여 40% 용액이 되었을 때 말톨 10g을 넣고 계속 농축하여 농축분말 101g을 얻었다.
실시예 8
양강 80g, 진피 140g, 갈근 160g, 창출 60g, 감초 60g을 추출기에 넣고 70% 주정 4L를 가하고 95℃에서 5시간 가열 추출(1차 추출액), 잔사에 95%주정 4L를 가하고 95℃에서 시간 가열 추출(2차 추출액)한 후 1차, 2차 추출액을 합하여 실온으로 냉각한 후 여과하였다. 여액을 65℃에서 감압 농축하여 40% 용액이 되었을 때 말톨 6g을 넣고 계속 농축하여 농축분말 92g을 얻었다.
실시예 9
액제
실시예 1의 혼합 생약추출물 50g, 비타민 B1염산염 0.25g, 리보플라빈 0.25g, 니코틴산아드 0.5g, 벌꿀 50g에 정제수를 가하여 2,500mL 부피로 제조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병에 10mL씩 충진하여 액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연질캡슐제
실시예 1의 혼합 생약추출물 50g, 소맥배아유 20g, 대두유 40g, 및 백납 5g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1연질캡슐당 500mg 씩 충전하여 연질캡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과립제
실시예 1의 혼합 생약추출물 50g, 비타민 B1염산염 0.25g, 리보플라빈 0.25g, 니코틴산아드 0.5g, 비타민 C 1g,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칼슘 2g, 결정셀룰로오스 150g, 및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 5g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과립제를 제조하여 알루미눔 포치에 3g씩 충진하였다.
실시예 12
환제
실시예 1의 혼합 생약추출물 50g, 비타민 B1염산염 0.25g, 리보플라빈 0.25g, 니코틴산아드 0.5g, 비타민 C 1g,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칼슘 2g, 결정셀룰로오스 100g,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 2g, 및 벌꿀 90g을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에 따라 1환당 1g씩의 환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정제
실시예 1의 혼합 생약추출물 50g, 비타민 B1염산염 0.25g, 리보플라빈 0.25g, 니코틴산아드 0.5g, 비타민 C 5g, 옥수수전분 100g,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 2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5g을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에 따라 1정 당 500mg의 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4
츄잉껌
실시예 1의 혼합생약추출물 50g, 젤라틴 200g, 설탕 300g, 물엿 200g, 껌 베이스 200g(껌 베이스는 초산비닐수지 300부, 에스테르껌 250부, 폴리이소부티렌 100부,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300부,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100부, 탈크 150부의 비율로 제조한 것)을 통상의 껌 졔조공정에 따라 츄잉껌을 제조하고, 한 알당 6g 되게 성형하였다.
실험예 1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알코올 급성투여로 유도되는 간 독성에 대하여 간 보호 효과를 발휘하는 지 여부를 알기 위하여, 체중 20 내지 24g의 ICR계 수컷 마우스 8마리에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8에서 제조한 혼합 생약추출물 500mg을 10mL 식염수에 분산시킨 것(단, 실시예 4는 1,000mg을 10mL식염수에 분산한 것)을 0.2mL/20g체중 및 말톨 60mg/Kg체중으로 1일 1회 3일간 경구 투여하였다. 이어서 8시간 절식시킨 후 혼합 생약추출물 0.2mL/20g체중을 경구 투여하고 30분 후 45% 에탄올 0.3mL/20g체중을 경구 투여한 뒤, 12시간 후 간 조직 내의 과산화 지질을 TBA법으로 정량하여(Anal. Biochem. 95, 351, 1978)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적출한 간은 그룹별로 합하여 파쇄하여 사용하였다.
억제율은 다음 식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억제율 = 〔1-(에탄올 투여대조 흡광도-시료 투여군 흡광도)/(에탄올 투여대조 흡광도-정상 동물군 흡광도)〕 x 100 %
투여군 과산화지질량(532nm에서
흡광도/g 습윤 간 중량)
억제율
(%)
정상 동물군 10.4 -
에탄올 투여 대조군 29.8 -
말톨 60mg/Kg 체중 투여군 18.5 58.2
비교예 1 22.7 36.6
비교예 2 21.1 34.8
실시예 1 11.8 92.8
실시예 2 11.3 95.4
실시예 3 11.6 93.8
실시예 4 12.5 89.2
실시예 5 13.0 86.6
실시예 6 12.6 88.7
실시예 7 12.1 91.3
실시예 8 12.4 89.7
실험예 2
본 발명의 비교예 2, 실시예 1과 실시예 5의 조성물을 대표 시료로 선택하여 섭취시키고, 음주 후 혈액 중에 알코올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혈중 알코올 농도로, 숙취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설문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나이 30 내지 40세, 체중 65 내지 75Kg의 남성 24명을 선발하여 무작위로 6명씩 세 그룹으로 나누고, 점심식사를 하지 않고 오후 5시 30분에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5에서 제조한 혼합 생약추출물 50mg/mL 생리식염수/Kg체중을 각자의 체중에 적합하도록 계산하여 한번에 섭취시킨다. 대조군은 동량의 생리식염수를 섭취시킨다.
알코올 섭취량은 알코올 1.5g/Kg 체중으로 정하고(20% 소주 450mL/60Kg 체중), 투여군 및 대조군 모두 6시부터 1.5시간 동안 10분 간격으로 정해진 알코올을 섭취시킨다. 안주는 투여군, 대조군 모두에게 새우깡 30g 씩을 섭취시켰다. 음주 완료 후 각자에게 배정된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5의 혼합 생약추출물을 음주 전에 섭취한 것과 동량을 섭취시킨다. 음주 후 30분부터 5시간 동안 일정 간격으로 팔 정맥에서 채혈하여 성분 분석을 위한 전처리를 한 후 알코올 정량키트를 사용하여 혈중 알코올을 측정한 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숙취증상 해소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가장 일반적인 숙취 증상을 적시하고 음주자의 반응이 아주 심한 경우 5점, 심한 경우 4점, 약간 심한 경우 3점, 보통인 경우 2점, 없는 경우 1점으로 한 설문서를 음주 후 5시간, 14시간 후 2회에 걸쳐 작성토록 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알코올 혈중 농도 단위 : mg/100mL
시 료 음주 시작
30분 후
음주 시작
1시간 후
음주 시작
2시간 후
음주 시작
3시간 후
음주 시작
5시간 후
대조군 95±12 122±18 112±14 85±10 63±11
비교예 2 94±10 115±16 104±12 76±8 55±6
실시예 1 91±10 102±13 82±9 43±8 21±7
실시예 5 92±8 103±12 82±10 45±9 23±8
증상
음주 5시간 후
음주 14시간 후
대조군 비교예 2 실시예1 실시예 5 대조군 비교예 2 실시예1 실시예 5
졸음 4.2±0.8 4.1±0.8 2.7±0.8 2.8±0.6 4.0±0.5 3.9±0.6 2.0±0.3 2.2±0.4
두통 4.0±0.5 3.8±0.7 2.1±0.9 2.3±0.6 3.8±0.9 3.0±1.0 1.8±0.6 2.0±0.5
어지러움 4.5±0.3 3.9±0.5 2.8±0.7 2.9±0.7 4.2±0.6 3.3±0.5 1.7±0.5 2.0±0.5
속쓰림 3.7±0.4 3.2±0.5 2.5±0.8 2.5±1.0 3.8±0.8 3.0±0.6 1.5±0.5 1.8±0.6
집중곤란 4.2±0.5 3.9±0.5 3.0±0.4 3.1±0.4 4.0±0.7 3.6±0.7 2.0±0.6 2.1±0.7
무력감 3.8±0.6 3.2±0.6 2.6±0.5 2.6±0.7 4.0±0.7 3.0±0.6 1.5±0.4 1.5±0.6
평소보다 자극에 민감 3.7±0.8 3.6±0.7 3.0±0.6 3.0±0.8 3.1±0.8 2.8±0.7 1.5±0.5 1.6±0.8

Claims (13)

  1. 양강, 진피, 갈근, 창출, 감초의 혼합 생약 추출물 및 말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로서, 혼합 생약추출물은 양강 2 내지 8 중량부, 진피 3 내지 24 중량부, 갈근 2 내지 16 중량부, 창출 2 내지 6 중량부 및 감초 2 내지 6 중량부를 함유하며, 말톨은 0.04 내지 1 중량부로 함유되는 것인 조성물.
  2. 양강, 진피, 갈근, 창출, 감초의 혼합 생약 추출물 및 말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 섭취에 대한 간 보호용 조성물로서, 혼합 생약추출물은 양강 2 내지 8 중량부, 진피 3 내지 24 중량부, 갈근 2 내지 16 중량부, 창출 2 내지 6 중량부 및 감초 2 내지 6 중량부를 함유하며, 말톨은 0.04 내지 1 중량부로 함유되는 것인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의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1) 물, 주정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양강, 진피, 갈근, 창출 및 감초에서 추출물을 획득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을 반복하여 2차 추출물을 획득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1)의 1차 추출물과 상기 단계 2)의 2차 추출물을 혼합하여 여과하는 단계; 및
    4) 여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고 말톨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 및 2)에서 사용하는 추출 용매는 사용되는 생약들의 무게의 5 내지 10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 및 2)에서 추출 온도는 80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 및 2)에서 추출 시간은 4 내지 12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통상적인 희석제, 활탁제, 결합제, 붕해제, 감미제, 안정제,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및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중에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액제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정제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과립제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환제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캡슐제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껌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20077942A 2012-07-17 2012-07-17 숙취해소 및 간 보호기능 개선 조성물 KR101365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942A KR101365794B1 (ko) 2012-07-17 2012-07-17 숙취해소 및 간 보호기능 개선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942A KR101365794B1 (ko) 2012-07-17 2012-07-17 숙취해소 및 간 보호기능 개선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0831A true KR20140010831A (ko) 2014-01-27
KR101365794B1 KR101365794B1 (ko) 2014-02-20

Family

ID=50143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7942A KR101365794B1 (ko) 2012-07-17 2012-07-17 숙취해소 및 간 보호기능 개선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57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58908A (zh) * 2018-10-31 2019-01-25 方林 一种玫瑰花口香糖的制备方法
KR102043813B1 (ko) * 2018-12-26 2019-11-12 이창원 알코올성 간 손상에 대한 간 보호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894B1 (ko) 2016-07-29 2018-08-09 천지인초 주식회사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 피로회복 및 면역력 증강용 식품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6440A (ko) * 1999-09-06 2001-04-06 박명환 숙취 제거 및 간장 보호를 위한 조성물
KR100379973B1 (ko) * 2000-11-28 2003-04-16 김현영 숙취해소용 한약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53078B1 (ko) 2007-03-26 2008-08-19 김혁 숙취 해소용 생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58908A (zh) * 2018-10-31 2019-01-25 方林 一种玫瑰花口香糖的制备方法
KR102043813B1 (ko) * 2018-12-26 2019-11-12 이창원 알코올성 간 손상에 대한 간 보호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5794B1 (ko) 2014-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4097B1 (ko)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0404979B1 (ko) 숙취해소용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CN103203008A (zh) 用于解酒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3610803B (zh) 一种护肝解酒中药组合物
KR101930277B1 (ko) 숙취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CN113456725A (zh) 一种解酒产品及其制备方法
CN103933509B (zh) 用于治疗淡水鱼水霉病的药物及其制备方法
KR101826737B1 (ko)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근육틱 및 우울증 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1745087A (zh) 一种具有解酒防醉作用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365794B1 (ko) 숙취해소 및 간 보호기능 개선 조성물
KR101771090B1 (ko)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38491B1 (ko)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숙취해소제
CN105796753A (zh) 护肝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1135235A (zh) 一种预防和缓解急性酒精中毒或醉酒的组合物
KR20020078467A (ko) 간기능 회복을 위한 음료 및 그 제조방법
CN101745042B (zh) 一种具有解酒保肝作用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8419869A (zh) 一种清热排毒下火的组合物、饮料及其制备方法
CN111905087A (zh) 一种解酒保肝养生保健品组方
CN100475065C (zh) 快速解除酒精中毒及预防酒精肝的饮料及制备方法
KR101375686B1 (ko) 식욕억제용 한방 구강붕해정제 및 그 제조방법
CN113181205B (zh) 包括nmn的药物组合物及其应用
KR102217732B1 (ko) 조기성숙 가성 유방 발달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CN109106842B (zh) 一种用于戒烟的药物及其制备方法
KR102001026B1 (ko) 복합 생약 추출물 및 l-아스파르트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CN113546135A (zh) 一种提神醒脑组合物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