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5686B1 - 식욕억제용 한방 구강붕해정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식욕억제용 한방 구강붕해정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5686B1
KR101375686B1 KR1020120034883A KR20120034883A KR101375686B1 KR 101375686 B1 KR101375686 B1 KR 101375686B1 KR 1020120034883 A KR1020120034883 A KR 1020120034883A KR 20120034883 A KR20120034883 A KR 20120034883A KR 101375686 B1 KR101375686 B1 KR 101375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raw material
licorice
refined r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4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2480A (ko
Inventor
이상헌
Original Assignee
이상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헌 filed Critical 이상헌
Priority to KR1020120034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5686B1/ko
Publication of KR20130112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2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5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56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56Mouth soluble or dispersible forms; Suckable, eatable, chewable coherent forms; Forms rapidly disintegrating in the mouth; Lozenges; Lollipops; Bite capsules; Baked products; Baits or other oral form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47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having two or more hydroxy groups, e.g. sorbit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7Gnetophyta, e.g. Ephedraceae (Mormon-te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61K36/804Rehman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or deco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 내에서 붕해되면서 식욕억제를 위한 약리성분이 혀의 미뢰를 통해 1차적으로 흡수된 후 미각세포와 미주신경을 거쳐 대뇌 시상하부로 약효의 저감없이 즉각적으로 전달되어 식욕억제중추를 자극함에 따라, 단시간 내에 식욕억제효과를 발휘함과 동시에 구강 및 혀에 남아있는 동안 식욕억제효과가 지속적으로 발휘될 수 있도록 한 식욕억제용 한방 구강붕해정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욕억제용 한방 구강붕해정제는 자일리톨, 말티톨, 마황, 숙지황, 의이인, 형개, 박하, 감초, 독활, 주증대황, 창출, 메이플시럽 및 칸데릴라잎추추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욕억제용 한방 구강붕해정제의 제조방법은 자일리톨과 말티톨을 가열하여 1차 정제원료를 만드는 제 1 단계와, 마황, 숙지황, 의이인, 형개, 박하, 감초, 독활, 주증대황, 창출을 상기 1차 정제원료에 미세분말 상태로 첨가한 후 가열하여 2차 정제원료를 만드는 제 2 단계와, 상기 2차 정제원료에 메이플시럽 및 칸데릴라잎추추물을 첨가한 후 혼합하여 최종 정제원료를 만드는 제 3 단계와, 상기 최종 정제원료를 성형틀을 이용하여 정제형상으로 만드는 제 4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마황, 숙지황, 의이인, 형개, 박하, 감초, 독활, 주증대황, 창출을 탕전한 후 저온감압농축시켜 1차 정제원료를 만드는 제 1 단계와, 자일리톨과 말티톨을 가열한 후 상기 1차 정제원료에 첨가하여 2차 정제원료를 만든 다음 가열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2차 정제원료에 메이플시럽 및 칸데릴라잎추추물을 첨가한 후 혼합하여 최종 정제원료를 만드는 제 3 단계와, 상기 최종 정제원료를 성형틀을 이용하여 정제형상으로 만드는 제 4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식욕억제용 한방 구강붕해정제 및 그 제조방법{ORAL DISINTEGRATING TABLET FOR SUPPRESSING APPETITE AND ME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식욕억제용 한방 구강붕해정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강 내에서 붕해되면서 식욕억제를 위한 약리성분이 혀의 미뢰를 통해 1차적으로 흡수된 후 미각세포와 미주신경을 거쳐 대뇌 시상하부로 약효의 저감없이 즉각적으로 전달되어 식욕억제중추를 자극함에 따라 단시간 내에 식욕억제효과를 발휘함과 동시에 구강 및 혀에 남아있는 동안 식욕억제효과가 지속적으로 발휘될 수 있도록 한 식욕억제용 한방 구강붕해정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비만은 BMI(body mass index) 30 이상인 경우를 기준으로 하는데, 미국의 경우 전 인구의 32%가 비만에 해당하고, 멕시코의 경우 전 인구의 30%가 비만에 해당하며, 영국의 경우 전 인구의 23%가 비만에 해당하고, 그리스, 호주, 뉴질랜드의 경우 전 인구의 21%가 비만에 해당할 정도로 전 세계적으로 비만인구는 매우 많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전인구의 3.5%인 150 내지 200만명이 비만 인구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고, 식생활의 서구화, 다원화 등의 이유로 날이 갈수록 비만 인구가 매우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소아, 청소년의 비만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비만은 당뇨, 고혈압, 심혈관이상, 암, 정신적 고통 등 성인병을 유발하는 원인이기도 하고 사망의 직,간접적 원인이기도 하며, 국가의 생산성 및 경쟁력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비만억제를 위한 다양한 치료수단이 강구되어야만 한다.
비만억제를 위한 치료수단으로 약물투여, 운동, 식이요법, 정신치료, 수술요법 등 다양한 시도가 행해져 왔다. 약물투여의 경우 지방분해나 소화효소저해에 의한 방법을 원리로 약제가 개발되었으나 부작용을 동반하고 있다. 비만의 해결방법으로 생성 및 축적된 비만세포를 분해하거나 소화효소를 저해하는 방법이 보편적으로 시도되었으나, 섭취하는 식품의 소화저해나 생성된 지방을 분해한다고 하더라도 비만환자의 폭식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다량의 식품이 체내에 공급된다면 소화저해나 지방분해는 섭취하는 속도와 양에 비하여 역할이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근래에는 식품의 섭취를 근원적으로 조절하는 식욕조절(appetite control)이 비만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방법으로 각광을 받고 있으며, 그 결과 식욕조절약제로서 리덕틸(Reductil)을 비롯하여 각종 한방약제들이 개발되기는 하였으나, 종래의 식욕조절용 약제들은 정제, 캡술 또는 탕약의 형태로 구강을 통해 체내로 섭취된 후 장 내에서 식욕억제를 위한 약리성분이 흡수됨에 따른 효과에만 의존한다.
식욕억제를 위한 약제의 경우 혀의 미뢰조직에서 흡수되어야만 그 약효가 저감됨없이 대뇌까지 가장 빨리 전달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혀의 미뢰조직에서 흡수될 수 있도록 구강붕해정제 형태로 개발된 식욕억제용 약제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강 내에서 붕해되면서 식욕억제를 위한 약리성분이 혀의 미뢰를 통해 1차적으로 흡수된 후 미각세포와 미주신경을 거쳐 대뇌 시상하부로 약효의 저감없이 즉각적으로 전달되어 식욕억제중추를 자극함에 따라, 단시간 내에 식욕억제효과를 발휘함과 동시에 구강 및 혀에 남아있는 동안 식욕억제효과가 지속적으로 발휘될 수 있도록 한 식욕억제용 한방 구강붕해정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일리톨, 말티톨, 50 내지 150 메시의 분말 또는 열수추출농축액 상태의 마황, 50 내지 150 메시의 분말 또는 열수추출농축액 상태의 숙지황, 50 내지 150 메시의 분말 또는 열수추출농축액 상태의 의이인, 50 내지 150 메시의 분말 또는 열수추출농축액 상태의 형개, 50 내지 150 메시의 분말 또는 열수추출농축액 상태의 박하, 50 내지 150 메시의 분말 또는 열수추출농축액 상태의 감초, 50 내지 150 메시의 분말 또는 열수추출농축액 상태의 독활, 50 내지 150 메시의 분말 또는 열수추출농축액 상태의 주증대황, 50 내지 150 메시의 분말 또는 열수추출농축액 상태의 창출, 메이플시럽 및 칸데릴라잎추추물을 포함하는 식욕억제용 한방 구강붕해정제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자일리톨 35 내지 40 중량부, 상기 말티톨 35 내지 40 중량부, 상기 마황 3 내지 5 중량부, 상기 숙지황 1.3 내지 2 중량부, 상기 의이인 2 내지 3 중량부, 상기 형개 0.5 내지 1.2 중량부, 상기 박하 1.3 내지 2 중량부, 상기 감초 0.5 내지 1.2 중량부, 상기 독활 0.5 내지 1.2 중량부, 상기 주증대황 0.5 내지 1.2 중량부, 상기 창출 0.5 내지 1.2 중량부, 상기 메이플시럽 4 내지 8 중량부 및 상기 칸데릴라잎추추물 3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자일리톨 38 중량부, 상기 말티톨 37 중량부, 상기 마황 4.05 중량부, 상기 숙지황 1.65 중량부, 상기 의이인 2.55 중량부, 상기 형개 0.85 중량부, 상기 박하 1.65 중량부, 상기 감초 0.85 중량부, 상기 독활 0.85 중량부, 상기 주증대황 0.85 중량부, 상기 창출 0.85 중량부, 상기 메이플시럽 6 중량부 및 상기 칸데릴라잎추추물 4 중량부를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일리톨과 말티톨을 가열하여 1차 정제원료를 만드는 제 1 단계와, 마황, 숙지황, 의이인, 형개, 박하, 감초, 독활, 주증대황, 창출을 상기 1차 정제원료에 미세분말 상태로 첨가한 후 가열하여 2차 정제원료를 만드는 제 2 단계와, 상기 2차 정제원료에 메이플시럽 및 칸데릴라잎추추물을 첨가한 후 혼합하여 최종 정제원료를 만드는 제 3 단계와, 상기 최종 정제원료를 성형틀을 이용하여 정제형상으로 만드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식욕억제용 한방 구강붕해정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1 단계에서는 상기 자일리톨 35 내지 40 중량부와 상기 말티톨 35 내지 40 중량부를 50 내지 70℃까지 가열하고, 상기 제 2 단계에서는 상기 마황 3 내지 5 중량부, 상기 숙지황 1.3 내지 2 중량부, 상기 의이인 2 내지 3 중량부, 상기 형개 0.5 내지 1.2 중량부, 상기 박하 1.3 내지 2 중량부, 상기 감초 0.5 내지 1.2 중량부, 상기 독활 0.5 내지 1.2 중량부, 상기 주증대황 0.5 내지 1.2 중량부, 상기 창출 0.5 내지 1.2 중량부를 50 내지 150 메시의 미분말 상태로 첨가한 후 150 내지 180℃ 온도에 이르기까지 40 내지 80분간 가열하며, 상기 제 3 단계에서는 70 내지 90℃의 온도에서 상기 메이플시럽 4 내지 8 중량부 및 상기 칸데릴라잎추추물 3 내지 5 중량부를 첨가한 후 55 내지 65℃의 온도로 식힌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1 단계에서는 상기 자일리톨 38 중량부와 상기 말티톨 37 중량부를 60℃까지 가열하고, 상기 제 2 단계에서는 상기 마황 4.05 중량부, 상기 숙지황 1.65 중량부, 상기 의이인 2.55 중량부, 상기 형개 0.85 중량부, 상기 박하 1.65 중량부, 상기 감초 0.85 중량부, 상기 독활 0.85 중량부, 상기 주증대황 0.85 중량부, 상기 창출 0.85 중량부를 100 메시의 미분말 상태로 첨가한 후 162℃ 온도에 이르기까지 60분간 가열하며, 상기 제 3 단계에서는 80℃의 온도에서 상기 메이플시럽 6 중량부 및 상기 칸데릴라잎추추물 4 중량부를 첨가한 후 60℃의 온도로 식힌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마황, 숙지황, 의이인, 형개, 박하, 감초, 독활, 주증대황, 창출을 탕전(열수추출)한 후 저온감압농축시켜 1차 정제원료를 만드는 제 1 단계와, 자일리톨과 말티톨을 가열한 후 상기 1차 정제원료에 첨가하여 2차 정제원료를 만든 다음 가열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2차 정제원료에 메이플시럽 및 칸데릴라잎추추물을 첨가한 후 혼합하여 최종 정제원료를 만드는 제 3 단계와, 상기 최종 정제원료를 성형틀을 이용하여 정제형상으로 만드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한방 구강붕해정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1 단계에서는 상기 마황 3 내지 5 중량부, 상기 숙지황 1.3 내지 2 중량부, 상기 의이인 2 내지 3 중량부, 상기 형개 0.5 내지 1.2 중량부, 상기 박하 1.3 내지 2 중량부, 상기 감초 0.5 내지 1.2 중량부, 상기 독활 0.5 내지 1.2 중량부, 상기 주증대황 0.5 내지 1.2 중량부, 상기 창출 0.5 내지 1.2 중량부에 전체 중량부와 동일한 양의 물을 첨가하여 1 내지 3시간 동안 탕전(열수추출)한 후 70 내지 90℃ 온도로 저온감압농축시키고, 상기 제 2 단계에서는 상기 자일리톨 35 내지 40 중량부와 상기 말티톨 35 내지 40 중량부를 50 내지 70℃까지 가열하여 상기 1차 정제원료에 첨가한 후 150 내지 180℃ 온도에 이르기까지 40 내지 80분간 가열하며, 상기 제 3 단계에서는 70 내지 90℃의 온도에서 상기 메이플시럽 4 내지 8 중량부 및 상기 칸데릴라잎추추물 3 내지 5 중량부를 첨가한 후 55 내지 65℃의 온도로 식힌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1 단계에서는 상기 마황 4.05 중량부, 상기 숙지황 1.65 중량부, 상기 의이인 2.55 중량부, 상기 형개 0.85 중량부, 상기 박하 1.65 중량부, 상기 감초 0.85 중량부, 상기 독활 0.85 중량부, 상기 주증대황 0.85 중량부, 상기 창출 0.85 중량부에 전체 중량부와 동일한 양의 물을 첨가하여 2시간 동안 탕전(열수추출)한 후 80℃ 온도로 저온감압농축시키고, 상기 제 2 단계에서는 상기 자일리톨 38 중량부와 상기 말티톨 37 중량부를 60℃까지 가열하여 상기 1차 정제원료에 첨가한 후 162℃ 온도에 이르기까지 60분간 가열하며, 상기 제 3 단계에서는 80℃의 온도에서 상기 메이플시럽 6 중량부 및 상기 칸데릴라잎추추물 4 중량부를 첨가한 후 60℃의 온도로 식힌다.
본 발명에 따른 식욕억제용 한방 구강붕해정제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마치 캔디와 유사하게 제조되어 구강 내에서 붕해되면서 마황, 숙지황, 의이인, 형개, 박하, 감초, 독활, 주증대황, 창출에 함유된 식욕억제를 위한 약리성분이 혀의 미뢰를 통해 1차적으로 흡수된 후 미각세포와 미주신경을 거쳐 대뇌 시상하부로 약효의 저감없이 즉각적으로 전달되어 식욕억제중추를 자극함에 따라, 단시간 내에 식욕억제효과를 발휘함과 동시에 구강 및 혀에 남아있는 동안 식욕억제효과가 지속적으로 발휘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식욕억제용 한방 구강붕해정제는 구강 내에서 붕해되면서 식욕억제를 위한 약리성분이 혀의 미뢰를 통해 1차적으로 흡수된 후 미각세포와 미주신경을 거쳐 대뇌 시상하부로 약효의 저감없이 즉각적으로 전달되어 식욕억제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자일리톨, 말티톨, 50 내지 150 메시의 분말 또는 열수추출농축액 상태의 마황, 50 내지 150 메시의 분말 또는 열수추출농축액 상태의 숙지황, 50 내지 150 메시의 분말 또는 열수추출농축액 상태의 의이인, 50 내지 150 메시의 분말 또는 열수추출농축액 상태의 형개, 50 내지 150 메시의 분말 또는 열수추출농축액 상태의 박하, 50 내지 150 메시의 분말 또는 열수추출농축액 상태의 감초, 50 내지 150 메시의 분말 또는 열수추출농축액 상태의 독활, 50 내지 150 메시의 분말 또는 열수추출농축액 상태의 주증대황, 50 내지 150 메시의 분말 또는 열수추출농축액 상태의 창출, 메이플시럽 및 칸데릴라잎추추물을 포함한다.
여기서 자일리톨은 자작나무나 떡갈나무 등의 수목에서 채취되는 성분을 원료로 하는 분자식 C5H12O5, 분자량 152.15의 천연감미료로서, 본 발명에 따른 식욕억제용 한방 구강붕해정제가 구강 내에서 붕해되더라도 에나멜질을 녹여 충치를 일으키는 산을 형성하지 않아 충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는데 인슐린작용을 개재하지 않고 세포에 들어가 혈당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당뇨병 환자에게 에너지를 공급하는 포도당 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자일리톨은 35 내지 40 중량부, 특히 38 중량부의 양으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말티톨은 글루코스와 소르비톨로 구성되는 이당류 당알콜 감미료로 설탕의 60~70% 정도의 당도를 나타냄에 따라 설탕 없이도 본 발명에 따른 식욕억제용 한방 구강붕해정제에 온화한 단맛을 제공함과 동시에 칼로리가 낮아 비만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말티톨은 35 내지 40 중량부, 특히 37 중량부의 양으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황은 마황과의 상록관목의 원줄기를 말하는 것으로, 발한, 해열, 진해, 이뇨 작용이 우수한 한약재로 알려져 있으며 알칼로이드의 에페드린과 메틸에페드린이 함유되어, 부신수질호르몬의 아드레날린 작용과 유사하게 교감신경의 말단부를 자극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마황은 식욕부진을 유발하여 비만치료에 사용되기도 한다. 마황은 부교감신경의 과다흥분으로 불면증을 초래하거나 혀의 마비와 같은 부작용도 초래하므로, 식욕부진을 유발할 정도의 양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3 내지 5 중량부, 특히 4.05 중량부의 양으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숙지황은 현삼과에 딸린 여러해살이 약용식물의 뿌리를 말하는 지황을 쪄서 말린 한약재로, 예로부터 보혈 강장, 보신의 용도로 사용되어 왔으며 맛은 달면서 쓰고 성질은 따뜻해 우리 몸의 대사 기능을 유지시키는 작용을 함과 동시에 식욕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숙지황은 과량 섭취시 위장에 장애를 줄 수도 있으므로, 식욕부진을 유발할 정도의 양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1.3 내지 2 중량부, 특히 1.65 중량부의 양으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의이인은 벼과의 율무의 종피를 제거한 씨를 말하는 것으로, 항암, 진정, 진통, 해열 작용을 하며, 특히 쌀에 비해 칼로리가 낮으며 공복시에 허기를 감소시켜 식욕을 줄이는 효과가 있고 불필요한 수분을 배출시켜 다이어트 효과를 가져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의이인은 2 내지 3 중량부, 특히 2.55 중량부의 양으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형개는 꿀풀과의 1년초 식물의 전초를 말린 한약재로, 감기로 열이 나고 두통이 생기거나 목이 아프거나, 종처(腫處)에서 피가 날 때 사용하며, 비만치료처방에 해당하는 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의 주요 약재 중 하나이다. 형개는 0.5 내지 1.2 중량부, 특히 0.85 중량부의 양으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하는 꿀풀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색물로, 외감성 감기로 인한 발열, 두통, 땀이 안 나는 증상에 효과가 있고 눈의 충혈, 인후염, 편도선염, 홍역초기 피부가려움증, 간장질환, 복통, 설사, 구토 등에 효과가 있으며, 약리작용으로 해열, 소염, 건위, 담즙분비 촉진 및 위장 평활근 억제, 호흡기도의 점액분비 증가, 중추신경 흥분, 자궁수축 등이 보고된 바 있으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식욕억제용 한방 구강붕해정제의 구강 내 붕해시에 목을 시원하게 하는 작용을 하며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스트레스성 비만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박하가 다량 첨가될 경우 향미가 너무 강할 수 있으므로, 1.3 내지 2 중량부, 특히 1.65 중량부의 양으로 참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초는 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의 뿌리를 건조시킨 한약재로, 감미가 있는 글리시리진과 글라브릭산, 슈크로즈, 글루코즈, 리퀴리틴, 리코리시딘 등이 함유되어 있다. 글리시리진은 디프테리아 독소, 파상풍 독소, 염산 코데인, 초산 스트리키닌, 뱀독·복어독 등을 해독하는 작용이 있으며 항염증 작용이 있어 부종을 억제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글리시리진은 혈액 중의 콜레스테롤치를 내려주어 혈압강하의 효과가 있으며, 담즙의 분비를 촉진시키고 진해작용, 진통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감초는 궤양억제작용, 항암작용도 있는 것을 알려져 있으며 다른 약재들의 기능이 조화되도록 하며 특히 입맛을 떨어뜨리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감초는 0.5 내지 1.2 중량부, 특히 0.85 중량부의 양으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독활은 독활(Aralia continentalis Kitagawa)의 뿌리를 사용하여 만든 한약재로, 풍한습(風寒濕)으로 인한 근육통, 관절염, 요통, 무릎과 하지 동통에 효과가 있고, 조습작용이 있어 피부가려움증, 외감성 발열, 두통 등에 효과가 있으며, 약리작용으로서 진정, 최면, 진통, 항염증, 혈압강하, 항경련, 항궤양, 햇빛알러지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독활은 중성지방의 생합성을 저해시켜 내장지방을 감소시키고 하체비만이나 산후비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독활은 0.5 내지 1.2 중량부, 특히 0.85 중량부의 양으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증대황은 대황의 부작용과 사하작용(瀉下作用)을 줄이기 위하여 대황을 막걸리 등의 술에 담근 후 쪄서 말린 것으로, 대사를 촉진하며 열성변비와 복부창만을 치료하고, 화를 내려 두통, 충혈, 인후통, 변비, 이질 설사와 코피, 토혈, 종기, 허열에 효과가 있고 이뇨, 부종에도 효과가 있으며, 약리작용으로 대장운동촉진, 해열, 체온강하, 담즙분비 촉진, 혈액응고 시간 단축, 항균, 이뇨, 간기능 보호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증대황은 0.5 내지 1.2 중량부, 특히 0.85 중량부의 양으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창출은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에 해당하는 삽주의 뿌리줄기를 말하는 것으로, 발한, 이뇨, 진통, 건위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창출은 0.5 내지 1.2 중량부, 특히 0.85 중량부의 양으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이플시럽(maple syrup)은 캐나다, 미국 등지의 사탕단풍의 수액을 끓여서 수분을 없애고 당도를 높인 감미용 시럽으로, 단풍나무시럽으로도 불린다. 메이플시럽은 칼륨, 칼슘, 마그네슘이 풍부한 저칼로리 식품으로 암세포의 성장을 더디게 하고 아시브산이라는 식물호르몬이 함유되어 인슐린 분비를 촉진시켜 당뇨병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메이플시럽은 4 내지 8 중량부, 특히 6 중량부의 양으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칸데릴라잎추추물은 칸데릴라왁스로도 불려지는 것으로, 북부멕시코 및 아메리카 등지에서 자생하는 작은 양초라는 뜻을 가진 칸데릴라라는 식물에서 채취되는 왁스를 말한다. 칸데릴라잎추추물은 액상의 오일을 젤리나 정제 형태로 경화시키는 경화제로 사용되는 것으로, 3 내지 5 중량부, 특히 4 중량부의 양으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식욕억제용 한방 구강붕해정제를 구성하는 각각의 성분들의 중량부 범위는 각 성분들의 효과와 부작용 가능성을 기준으로 한정된 것으로, 중량비 범위의 상한값은 부작용 및 다른 구성성분의 함량을 전체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되었고 중량비 범위의 하한값은 그 이하에서는 해당 구성성분의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어, 상술한 바와 같은 수치범위로 한정됨을 밝혀 둔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식욕억제용 한방 구강붕해정제는, 자일리톨과 말티톨을 가열하여 1차 정제원료를 만드는 제 1 단계와, 마황, 숙지황, 의이인, 형개, 박하, 감초, 독활, 주증대황, 창출을 상기 1차 정제원료에 미세분말 상태로 첨가한 후 가열하여 2차 정제원료를 만드는 제 2 단계와, 상기 2차 정제원료에 메이플시럽 및 칸데릴라잎추추물을 첨가한 후 혼합하여 최종 정제원료를 만드는 제 3 단계와, 상기 최종 정제원료를 성형틀을 이용하여 정제형상으로 만드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단계는 자일리톨과 말티톨을 가열하여 마황, 숙지황, 의이인, 형개, 박하, 감초, 독활, 주증대황, 창출의 유효성분을 추출해 내기 위한 일종의 용매, 즉 1차 정제원료를 만들기 위한 단계로, 이 제 1 단계에서는 자일리톨 35 내지 40 중량부와 말티톨 35 내지 40 중량부를 50 내지 70℃까지 가열하게 되며, 특히 자일리톨 38 중량부와 말티톨 37 중량부를 60℃까지 천천히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단계는 제 1 단계에 의해 만들어진 1차 정제원료에 마황, 숙지황, 의이인, 형개, 박하, 감초, 독활, 주증대황, 창출을 미분말 상태로 첨가하여 그 유효성분이 녹아 추출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로, 제 2 단계에서는 마황 3 내지 5 중량부, 숙지황 1.3 내지 2 중량부, 의이인 2 내지 3 중량부, 형개 0.5 내지 1.2 중량부, 박하 1.3 내지 2 중량부, 감초 0.5 내지 1.2 중량부, 독활 0.5 내지 1.2 중량부, 주증대황 0.5 내지 1.2 중량부, 창출 0.5 내지 1.2 중량부를 50 내지 150 메시의 미분말 상태로 1차 정제원료에 첨가한 후 150 내지 180℃ 온도에 이르기까지 40 내지 80분간 가열하게 되며, 특히 마황 4.05 중량부, 숙지황 1.65 중량부, 의이인 2.55 중량부, 형개 0.85 중량부, 박하 1.65 중량부, 감초 0.85 중량부, 독활 0.85 중량부, 주증대황 0.85 중량부, 창출 0.85 중량부를 100 메시의 미분말 상태로 첨가한 후 162℃ 온도에 이르기까지 60분간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 단계는 제 2 단계에 의해 만들어진 2차 정제원료에 메이플시럽과 칸데릴라잎추추물을 첨가하여 정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도록 하는 단계로, 이 제 3 단계에서는 70 내지 90℃의 온도에서 메이플시럽 4 내지 8 중량부 및 칸데릴라잎추추물 3 내지 5 중량부를 첨가한 후 55 내지 65℃의 온도로 식하게 되며, 특히 80℃의 온도에서 메이플시럽 6 중량부 및 칸데릴라잎추추물 4 중량부를 첨가한 후 60℃의 온도로 식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4 단계는 제 3 단계에 의해 만들어진 최종 정제원료를 특정한 정제형성으로 성형하는 단계로, 이 제 4 단계에서는 최종 정제원료를 성형틀을 이용하여 정제형상으로 만들게 되고, 성형틀로부터 분리된 정제의 외부면에는 미량의 슈거파우더가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욕억제용 한방 구강붕해정제는, 마황, 숙지황, 의이인, 형개, 박하, 감초, 독활, 주증대황, 창출을 탕전(열수추출)한 후 저온감압농축시켜 1차 정제원료를 만드는 제 1 단계와, 자일리톨과 말티톨을 가열한 후 1차 정제원료에 첨가하여 2차 정제원료를 만든 다음 가열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제 2 단계와, 2차 정제원료에 메이플시럽 및 칸데릴라잎추추물을 첨가한 후 혼합하여 최종 정제원료를 만드는 제 3 단계와, 최종 정제원료를 성형틀을 이용하여 정제형상으로 만드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다.
제 1 단계는 마황, 숙지황, 의이인, 형개, 박하, 감초, 독활, 주증대황, 창출을 탕전 및 저온감압농축시켜 유효성분을 추출시키는 단계로, 이 제 1 단계에서는 마황 3 내지 5 중량부, 숙지황 1.3 내지 2 중량부, 의이인 2 내지 3 중량부, 형개 0.5 내지 1.2 중량부, 박하 1.3 내지 2 중량부, 감초 0.5 내지 1.2 중량부, 독활 0.5 내지 1.2 중량부, 주증대황 0.5 내지 1.2 중량부, 창출 0.5 내지 1.2 중량부에 전체 중량부와 동일한 양의 물을 첨가하여 1 내지 3시간 동안 탕전(열수추출)한 후 통상의 저온감압농축장치를 이용하여 70 내지 90℃ 온도로 저온감압농축시키게 되며, 특히 마황 4.05 중량부, 숙지황 1.65 중량부, 의이인 2.55 중량부, 형개 0.85 중량부, 박하 1.65 중량부, 감초 0.85 중량부, 독활 0.85 중량부, 주증대황 0.85 중량부, 창출 0.85 중량부에 전체 중량부와 동일한 양의 물을 첨가하여 2시간 동안 탕전(열수추출)한 후 80℃ 온도로 저온감압농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단계는 제 1 단계에서 만들어진 1차 정제원료에 자일리톨과 말티톨을 가열하여 첨가하는 단계로, 이 제 2 단계에서는 자일리톨 35 내지 40 중량부와 말티톨 35 내지 40 중량부를 50 내지 70℃까지 가열하여 1차 정제원료에 첨가한 후 150 내지 180℃ 온도에 이르기까지 40 내지 80분간 가열하게 되며, 특히 자일리톨 38 중량부와 말티톨 37 중량부를 60℃까지 가열하여 1차 정제원료에 첨가한 후 162℃ 온도에 이르기까지 60분간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단계에 의해 만들어진 2차 정제원료에 메이플시럽과 칸데릴라잎추추물을 첨가하여 정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도록 하는 단계로, 이 제 3 단계에서는 70 내지 90℃의 온도에서 메이플시럽 4 내지 8 중량부 및 칸데릴라잎추추물 3 내지 5 중량부를 첨가한 후 55 내지 65℃의 온도로 식하게 되며, 특히 80℃의 온도에서 메이플시럽 6 중량부 및 칸데릴라잎추추물 4 중량부를 첨가한 후 60℃의 온도로 식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4 단계는 제 3 단계에 의해 만들어진 최종 정제원료를 특정한 정제형성으로 성형하는 단계로, 이 제 4 단계에서는 최종 정제원료를 성형틀을 이용하여 정제형상으로 만들게 되고, 성형틀로부터 분리된 정제의 외부면에는 미량의 슈거파우더가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조방법에 따라 아래의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욕억제용 한방 구강붕해정제를 제조하였다.
자일리톨 35g과 말티톨 35g을 50℃까지 가열하여 만들어진 1차 정제원료에, 마황 3g, 숙지황 1.3g, 의이인 2g, 형개 0.5g, 박하 1.3g, 감초 0.5g, 독활 0.5g, 주증대황 0.5g, 창출 0.5g을 각각 50 메시의 미분말 상태로 첨가한 후 150℃ 온도에 이르기까지 40분간 가열한 다음, 70℃의 온도에서 메이플시럽 4g과 칸데릴라잎추추물 3g을 첨가한 후 55 내지 65℃의 온도로 식힌 다음 성형틀에 넣어 가로, 세로 및 높이가 1cm인 정육면체의 정제형상으로 성형하였다.
자일리톨 38g과 말티톨 37g을 60℃까지 가열하여 만들어진 1차 정제원료에, 마황 4.05g, 숙지황 1.65g, 의이인 2.55g, 형개 0.85g, 박하 1.65g, 감초 0.85g, 독활 0.85g, 주증대황 0.85g, 창출 0.85g을 각각 100 메시의 미분말 상태로 첨가한 후 162℃ 온도에 이르기까지 60분간 가열한 다음, 80℃의 온도에서 메이플시럽 6g과 칸데릴라잎추추물 4g을 첨가한 후 60℃의 온도로 식힌 다음 성형틀에 넣어 가로, 세로 및 높이가 1cm인 정육면체의 정제형상으로 성형하였다.
자일리톨 40g과 말티톨 40g을 70℃까지 가열하여 만들어진 1차 정제원료에, 마황 5g, 숙지황 3g, 의이인 3g, 형개 1.2g, 박하 2g, 감초 1.2g, 독활 1.2g, 주증대황 1.2g, 창출 1.2g을 각각 150 메시의 미분말 상태로 첨가한 후 180℃ 온도에 이르기까지 80분간 가열한 다음, 90℃의 온도에서 메이플시럽 8g과 칸데릴라잎추추물 6g을 첨가한 후 65℃의 온도로 식힌 다음 성형틀에 넣어 가로, 세로 및 높이가 1cm인 정육면체의 정제형상으로 성형하였다.
마황 3g, 숙지황 1.3g, 의이인 2g, 형개 0.5g, 박하 1.3g, 감초 0.5g, 독활 0.5g, 주증대황 0.5g, 창출 0.5g에 물을 첨가하여 1시간 동안 탕전(열수추출)한 후 저온감압농축장치를 이용하여 70℃ 온도로 저온감압농축시켜 제조된 제 1 정제원료에, 자일리톨 35g과 말티톨 35g을 50℃까지 가열하여 첨가한 다음, 70℃의 온도에서 메이플시럽 4g과 칸데릴라잎추추물 3g을 첨가한 후 55 내지 65℃의 온도로 식힌 다음 성형틀에 넣어 가로, 세로 및 높이가 1cm인 정육면체의 정제형상으로 성형하였다.
마황 4.05g, 숙지황 1.65g, 의이인 2.55g, 형개 0.85g, 박하 1.65g, 감초 0.85g, 독활 0.85g, 주증대황 0.85g, 창출 0.85g에 물을 첨가하여 2시간 동안 탕전(열수추출)한 후 저온감압농축장치를 이용하여 80℃ 온도로 저온감압농축시켜 제조된 제 1 정제원료에, 자일리톨 38g과 말티톨 37g을 60℃까지 가열하여 첨가한 다음, 80℃의 온도에서 메이플시럽 6g과 칸데릴라잎추추물 4g을 첨가한 후 60℃의 온도로 식힌 다음 성형틀에 넣어 가로, 세로 및 높이가 1cm인 정육면체의 정제형상으로 성형하였다.
마황 5g, 숙지황 3g, 의이인 3g, 형개 1.2g, 박하 2g, 감초 1.2g, 독활 1.2g, 주증대황 1.2g, 창출 1.2g에 물을 첨가하여 3시간 동안 탕전(열수추출)한 후 저온감압농축장치를 이용하여 90℃ 온도로 저온감압농축시켜 제조된 제 1 정제원료에, 자일리톨 40g과 말티톨 40g을 70℃까지 가열하여 첨가한 다음, 90℃의 온도에서 메이플시럽 6g과 칸데릴라잎추추물 4g을 첨가한 후 60℃의 온도로 식힌 다음 성형틀에 넣어 가로, 세로 및 높이가 1cm인 정육면체의 정제형상으로 성형하였다.
잔술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식욕억제용 한방 구강붕해정제를 성인남녀 각각 30명에게 석식 10분 전에 2정씩 복용시켜 식욕억제효과를 관능검사(매우우수: 자신의 평상시 저녁식사량의 30% 이상 감소된 경우로 5점, 우수: 자신의 평상시 저녁식사량의 20% 이상 감소된 경우로 4점, 보통: 자신의 평상시 저녁식사량의 10% 이상 감소된 경우로 3점, 효과미미: 자신의 평상시 저녁식사량의 5% 이내 감소된 경우로 2점, 효과없음: 자신의 평상시 저녁식사량이 거의 감소되지 않거나 더 늘어난 경우로 1점)한 결과는 아래의 표 1과 같다:

매우우수(5점)

우수(4점)

보통(3점)

효과미미(2점)

효과없음(1점)

실시예 1

18명

8명

2명

2명

0명

실시예 2

23명

6명

1명

0명

0명

실시예 3

24명

6명

0명

0명

0명

실시예 4

19명

8명

2명

1명

0명

실시예 5

24명

6명

0명

0명

0명

실시예 6

25명

5명

0명

0명

0명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욕억제용 한방 구강붕해정제는, 마치 캔디와 유사하게 제조되어 구강 내에서 붕해되면서 마황, 숙지황, 의이인, 형개, 박하, 감초, 독활, 주증대황, 창출에 함유된 식욕억제를 위한 약리성분이 혀의 미뢰를 통해 1차적으로 흡수된 후 미각세포와 미주신경을 거쳐 대뇌 시상하부로 약효의 저감없이 즉각적으로 전달되어 식욕억제중추를 자극함에 따라, 단시간 내에 식욕억제효과를 발휘함을 알 수 있으며, 특히 구강 및 혀에 남아있는 동안 식욕억제효과가 지속적으로 발휘될 수 있다.
아울러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 중에서 실시예 3이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고, 실시예 4, 실시예 5 및 실시예 6 중에서 실시예 6이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 된 바 있으나, 실시예 3 및 실시예 6의 경우 제조원가가 과도히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실시예 있어서는 실시예 2 및 실시예 5가 더 바람직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Claims (9)

  1. 자일리톨, 말티톨, 50 내지 150 메시의 분말 또는 열수추출농축액 상태의 마황, 50 내지 150 메시의 분말 또는 열수추출농축액 상태의 숙지황, 50 내지 150 메시의 분말 또는 열수추출농축액 상태의 의이인, 50 내지 150 메시의 분말 또는 열수추출농축액 상태의 형개, 50 내지 150 메시의 분말 또는 열수추출농축액 상태의 박하, 50 내지 150 메시의 분말 또는 열수추출농축액 상태의 감초, 50 내지 150 메시의 분말 또는 열수추출농축액 상태의 독활, 50 내지 150 메시의 분말 또는 열수추출농축액 상태의 주증대황, 50 내지 150 메시의 분말 또는 열수추출농축액 상태의 창출, 메이플시럽 및 칸데릴라잎추추물을 포함하는 식욕억제용 한방 구강붕해정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일리톨 35 내지 40 중량부, 상기 말티톨 35 내지 40 중량부, 상기 마황 3 내지 5 중량부, 상기 숙지황 1.3 내지 2 중량부, 상기 의이인 2 내지 3 중량부, 상기 형개 0.5 내지 1.2 중량부, 상기 박하 1.3 내지 2 중량부, 상기 감초 0.5 내지 1.2 중량부, 상기 독활 0.5 내지 1.2 중량부, 상기 주증대황 0.5 내지 1.2 중량부, 상기 창출 0.5 내지 1.2 중량부, 상기 메이플시럽 4 내지 8 중량부 및 상기 칸데릴라잎추추물 3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욕억제용 한방 구강붕해정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자일리톨 38 중량부, 상기 말티톨 37 중량부, 상기 마황 4.05 중량부, 상기 숙지황 1.65 중량부, 상기 의이인 2.55 중량부, 상기 형개 0.85 중량부, 상기 박하 1.65 중량부, 상기 감초 0.85 중량부, 상기 독활 0.85 중량부, 상기 주증대황 0.85 중량부, 상기 창출 0.85 중량부, 상기 메이플시럽 6 중량부 및 상기 칸데릴라잎추추물 4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욕억제용 한방 구강붕해정제.
  4. 자일리톨과 말티톨을 가열하여 1차 정제원료를 만드는 제 1 단계;
    마황, 숙지황, 의이인, 형개, 박하, 감초, 독활, 주증대황, 창출을 상기 1차 정제원료에 미세분말 상태로 첨가한 후 가열하여 2차 정제원료를 만드는 제 2 단계;
    상기 2차 정제원료에 메이플시럽 및 칸데릴라잎추추물을 첨가한 후 혼합하여 최종 정제원료를 만드는 제 3 단계; 및
    상기 최종 정제원료를 성형틀을 이용하여 정제형상으로 만드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식욕억제용 한방 구강붕해정제의 제조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에서는 상기 자일리톨 35 내지 40 중량부와 상기 말티톨 35 내지 40 중량부를 50 내지 70℃까지 가열하고, 상기 제 2 단계에서는 상기 마황 3 내지 5 중량부, 상기 숙지황 1.3 내지 2 중량부, 상기 의이인 2 내지 3 중량부, 상기 형개 0.5 내지 1.2 중량부, 상기 박하 1.3 내지 2 중량부, 상기 감초 0.5 내지 1.2 중량부, 상기 독활 0.5 내지 1.2 중량부, 상기 주증대황 0.5 내지 1.2 중량부, 상기 창출 0.5 내지 1.2 중량부를 50 내지 150 메시의 미분말 상태로 첨가한 후 150 내지 180℃ 온도에 이르기까지 40 내지 80분간 가열하며, 상기 제 3 단계에서는 70 내지 90℃의 온도에서 상기 메이플시럽 4 내지 8 중량부 및 상기 칸데릴라잎추추물 3 내지 5 중량부를 첨가한 후 55 내지 65℃의 온도로 식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욕억제용 한방 구강붕해정제의 제조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에서는 상기 자일리톨 38 중량부와 상기 말티톨 37 중량부를 60℃까지 가열하고, 상기 제 2 단계에서는 상기 마황 4.05 중량부, 상기 숙지황 1.65 중량부, 상기 의이인 2.55 중량부, 상기 형개 0.85 중량부, 상기 박하 1.65 중량부, 상기 감초 0.85 중량부, 상기 독활 0.85 중량부, 상기 주증대황 0.85 중량부, 상기 창출 0.85 중량부를 100 메시의 미분말 상태로 첨가한 후 162℃ 온도에 이르기까지 60분간 가열하며, 상기 제 3 단계에서는 80℃의 온도에서 상기 메이플시럽 6 중량부 및 상기 칸데릴라잎추추물 4 중량부를 첨가한 후 60℃의 온도로 식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욕억제용 한방 구강붕해정제의 제조방법.
  7. 마황, 숙지황, 의이인, 형개, 박하, 감초, 독활, 주증대황, 창출을 탕전한 후 저온감압농축시켜 1차 정제원료를 만드는 제 1 단계;
    자일리톨과 말티톨을 가열한 후 상기 1차 정제원료에 첨가하여 2차 정제원료를 만든 다음 가열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제 2 단계;
    상기 2차 정제원료에 메이플시럽 및 칸데릴라잎추추물을 첨가한 후 혼합하여 최종 정제원료를 만드는 제 3 단계; 및
    상기 최종 정제원료를 성형틀을 이용하여 정제형상으로 만드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한방 구강붕해정제의 제조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에서는 상기 마황 3 내지 5 중량부, 상기 숙지황 1.3 내지 2 중량부, 상기 의이인 2 내지 3 중량부, 상기 형개 0.5 내지 1.2 중량부, 상기 박하 1.3 내지 2 중량부, 상기 감초 0.5 내지 1.2 중량부, 상기 독활 0.5 내지 1.2 중량부, 상기 주증대황 0.5 내지 1.2 중량부, 상기 창출 0.5 내지 1.2 중량부에 전체 중량부와 동일한 양의 물을 첨가하여 1 내지 3시간 동안 탕전한 후 70 내지 90℃ 온도로 저온감압농축시키고, 상기 제 2 단계에서는 상기 자일리톨 35 내지 40 중량부와 상기 말티톨 35 내지 40 중량부를 50 내지 70℃까지 가열하여 상기 1차 정제원료에 첨가한 후 150 내지 180℃ 온도에 이르기까지 40 내지 80분간 가열하며, 상기 제 3 단계에서는 70 내지 90℃의 온도에서 상기 메이플시럽 4 내지 8 중량부 및 상기 칸데릴라잎추추물 3 내지 5 중량부를 첨가한 후 55 내지 65℃의 온도로 식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욕억제용 한방 구강붕해정제의 제조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에서는 상기 마황 4.05 중량부, 상기 숙지황 1.65 중량부, 상기 의이인 2.55 중량부, 상기 형개 0.85 중량부, 상기 박하 1.65 중량부, 상기 감초 0.85 중량부, 상기 독활 0.85 중량부, 상기 주증대황 0.85 중량부, 상기 창출 0.85 중량부에 전체 중량부와 동일한 양의 물을 첨가하여 2시간 동안 탕전한 후 80℃ 온도로 저온감압농축시키고, 상기 제 2 단계에서는 상기 자일리톨 38 중량부와 상기 말티톨 37 중량부를 60℃까지 가열하여 상기 1차 정제원료에 첨가한 후 162℃ 온도에 이르기까지 60분간 가열하며, 상기 제 3 단계에서는 80℃의 온도에서 상기 메이플시럽 6 중량부 및 상기 칸데릴라잎추추물 4 중량부를 첨가한 후 60℃의 온도로 식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욕억제용 한방 구강붕해정제의 제조방법.
KR1020120034883A 2012-04-04 2012-04-04 식욕억제용 한방 구강붕해정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375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883A KR101375686B1 (ko) 2012-04-04 2012-04-04 식욕억제용 한방 구강붕해정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883A KR101375686B1 (ko) 2012-04-04 2012-04-04 식욕억제용 한방 구강붕해정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480A KR20130112480A (ko) 2013-10-14
KR101375686B1 true KR101375686B1 (ko) 2014-03-19

Family

ID=49633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4883A KR101375686B1 (ko) 2012-04-04 2012-04-04 식욕억제용 한방 구강붕해정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56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4608B1 (ko) * 2021-03-08 2021-06-11 이홍안 마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욕 억제용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16840A1 (en) 2005-11-23 2007-05-24 The Coca-Cola Company High-Potency Sweetener for Weight Management and Compositions Sweetened Therewith
KR101071294B1 (ko) 2008-12-11 2011-10-0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마황, 석고 및 창출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다엽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16840A1 (en) 2005-11-23 2007-05-24 The Coca-Cola Company High-Potency Sweetener for Weight Management and Compositions Sweetened Therewith
KR101071294B1 (ko) 2008-12-11 2011-10-0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마황, 석고 및 창출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다엽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 J. CLIN. BIOCHEM. NUTR. *
논문2: 대한한방비만학회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480A (ko) 2013-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41118B (zh) 一种具有降血糖降血脂作用的组合物
CN104906347B (zh) 一种金梅果含片及其制作方法和应用
CN101708229A (zh) 一种含片及其制备方法
CN101085079B (zh) 一种用于治疗糖尿病的中药复方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771090B1 (ko)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1011562B (zh) 参芪温胆汤新剂型及其生产方法
CN104474472B (zh) 具有降三高作用的苦丁茶含片及其生产方法
KR20160131130A (ko) 혼합 생약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위장장애 및 소화불량 개선용 치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3735843A (zh) 一种治疗糖尿病的药物组合物
CN103705860B (zh) 一种治疗婴幼儿黄疸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375686B1 (ko) 식욕억제용 한방 구강붕해정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365794B1 (ko) 숙취해소 및 간 보호기능 개선 조성물
CN111135235A (zh) 一种预防和缓解急性酒精中毒或醉酒的组合物
CN104383232B (zh) 清热解毒苦丁茶含片及其生产方法
CN108813500B (zh) 具有补中益气、养血安神和调节人体机能的养生蜂蜜膏
CN101439150B (zh) 一种治疗肠炎的中药组合物
JP6063499B2 (ja) 生地黄、枸杞子、沈香、茯苓、高麗人蔘と蜂蜜の混合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男性不妊予防および治療用薬学的組成物
CN104147229B (zh) 一种治疗女性更年期综合征肾阴阳两虚型的中药复方制剂
KR102217732B1 (ko) 조기성숙 가성 유방 발달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WO2015050283A1 (ko) 식욕억제용 한방 구강붕해정제 및 그 제조방법
CN105687779A (zh) 一种止咳喘颗粒及其制备方法
CN106109895A (zh) 一种治疗肝郁痰火型慢性咽炎的中药组合物及方法
CN106474421B (zh) 一种治疗结直肠癌的中药组合物及其应用
CN104815061A (zh) 一种治疗高血压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4383488A (zh) 治疗慢性胃炎的中药制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