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1667A -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 Google Patents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1667A
KR20030021667A KR1020010055035A KR20010055035A KR20030021667A KR 20030021667 A KR20030021667 A KR 20030021667A KR 1020010055035 A KR1020010055035 A KR 1020010055035A KR 20010055035 A KR20010055035 A KR 20010055035A KR 20030021667 A KR20030021667 A KR 20030021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hangover
present
semen
beverag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5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6925B1 (ko
Inventor
황무연
Original Assignee
황무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무연 filed Critical 황무연
Priority to KR10-2001-0055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6925B1/ko
Publication of KR20030021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1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6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69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노근, 상심, 금은화, 상엽, 구기자, 천문동, 용안육, 치자, 토사자의 열수추출 생약조성물은 음주후 복용시 빠르게 알콜취를 해소하고, 갈증, 두통제거 및 구토해소에 뛰어난 효과가 있으며 알콜성 간염 및 지방간을 예방한다.

Description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Beverage composition for treating hangover}
본 발명은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근, 상심, 금은화, 상엽, 구기자, 천문동, 용안육, 치자, 토사자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우리 나라의 알코올 소비는 세계 최고의 수준이며, 간암이나 간경변으로 인한 사망이 한국인의 주요 사망원인이 되는 등 음주로 인한 사회경제적 및 보건학적 폐해는 엄청나며 이는 증가 추세에 있다. 과다한 알코올 섭취는 신체의 거의 모든 부분에 영향을 미쳐서 간질환, 위염, 췌장염, 고혈압, 중풍, 식도염, 당뇨병 그리고 심장병 등 많은 질환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한국보건사회연구원). 알코올의 섭취는 음주후 인체내에서 탈수 및 전해질부족현상과 더불어 숙취, 구토, 두통 등과 같은 증상을 가져오는데, 일반적으로 이러한 숙취현상은 알콜 그자체의 독성보다는 하기 화학반응으로 표현되는 알코올의 1차 분해산물인 아세트알데하이드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알콜이 알콜분해효소에 의해 분해되면서 먼저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전환되고 그 다음 중간대사산물인 아세트산으로 된다. 이 과정에서 아세트산으로 분해되지 못한 아세트알데하이드는 간세포와 뇌세포의 손상을 가져오며 구토, 두통이 일어나고 심하면 오한이나 복통 등의 숙취현상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숙취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알콜의 1차 분해산물인 아세트알데하이드의 축적을 해결하거나, 아세트알데하이드의 분해를 담당하는 효소인 아세트알데하이드 디하이드로지네이즈를 활성화시켜 분해를 촉진함으로써 가능하다.
본 발명자는 숙취해소용 건강음료를 연구·개발하던 중 노근, 상심, 금은화, 상엽, 구기자, 천문동, 용안육, 치자, 토사자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음료조성물을 음주 전이나 음주 후에 복용할 경우 구토, 두통 등과 같은 숙취현상의 유발을 억제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결과는 갈대 뿌리의 유효성분 중 Asparagin과 Arginin 등의 아미노산 성분과 전화당이 체내에서 먼저 분해될 때 수분이 급격히 유리되어 세포나 혈류로 환류되면서 생성되는 발생기 산소[O]에 의하여 숙취현상을 유발하는 아세트알데하이드의 생합성 경로를 차단하도록 알콜 탈수소효소의 활성을 억제하기 때문이며, 상심과 상엽도 상기 효소을 억제활성을 갖고 있어,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본 발명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은 지방간을 예방하는 등 간을 보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관능품질이 우수하면서도, 단시간에 숙취를 해소하는 음료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노근, 상심, 금은화, 상엽, 구기자, 천문동, 용안육, 치자, 토사자를 열수추출한 다음 여과하고, 상기 여과액에 꿀, 액상과당, 박하뇌를 첨가하여 숙취해소용 음료를 제조하고, 상기 음료의 관능품질, 갈증해소, 두통제거효과, 알코취 및 기타 숙취해소효과를 비교조사함으로써 본 발명을 달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숙취해소용 음료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제조공정도이다.
본 발명은 노근, 상심, 금은화, 상엽, 구기자, 천문동, 용안육, 치자, 토사자에 정제수를 총중량의 7 내지 9배(v/w)가 되게 첨가하고 100∼120℃에서 8∼10시간 추출하여 열수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추출물을 여과한 다음 관능미를 향상시기키 위해 꿀, 액상과당, 박하뇌를 일정한 배합비로 혼합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생약재 중 노근은 갈대(Phragmites communisTrin)의 뿌리로서, 종래 한방에서는 해독제, 이뇨제로 사용하여 왔다(중약대사전, 고금중약집성).
상심과 상엽은 뽕나무(Morus albaL.)의 열매와 잎을 말린 것으로, 열매는 비타민 B1, B2 및 유기산을 함유하고 있으며, 잎은 혈당량을 낮춘다고 보고되어 있다(약초의 성분과 이용, 일월서각).
금은화(Lonicera japonicaThunb)는 인동과의 식물로써 항균활성을 가지고 있고, 콜레스테롤의 수치를 낮추고 위궤양 예방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갈증을 해소하는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중국의학대사전).
구기자는 간기능보호작용을 하며, 콜레스테린 양을 줄여 동맥경화의 예방과 치료에 쓰인다(약초의 성분과 이용, 일월서각).
천문동(Asparagus lucidus Lindley)은 아스파라긴을 주성분으로 함유하고 있으며, 동의치료에서 자양강장제로 쓰인다(신농본초경).
용안육(龍眼肉)은 무환자나무과 식물 용안의 가종피로써 원기를 북돋우며, 땀을 수렴하며, 기혈을 보양한다(개보본초).
치자(Gardenia jasminoidesEllis)는 진정, 혈압을 낮추는 작용과 항균작용이 보고되어 있다(신농본초경).
토사자는 새삼(Cuscuta japonicaChoisy)의 씨를 말린 것으로, 프로비타민 A를 약 40㎎%로 함유하고 있고, 빈뇨와 당뇨를 치료한다고 보고되어 있다(신농본초경).
본 발명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노근 60∼70중량%, 상심 5∼15중량%, 금은화 1∼10중량%, 상엽 1∼10중량%, 구기자 5∼15중량%, 천문동 1∼5중량%, 용안육 1∼5중량%, 치자 1∼5중량%, 토사자 1∼5중량%를 정제수로 열수추출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노근 67.26중량%, 상심 8중량%, 금은화 4중량5, 상엽 4중량% 구기자 8중량%, 천문동 2중량%, 용안육 3중량% 치자 2.24중량% 토사자 1.50중량% 첨가한 후 열수추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박하뇌, 꿀, 액상과당 이외에 생약제의 쓴맛을 더욱 감소시키고 기호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음료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감미료 또는 산미료를 더 첨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방법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숙취해소용 음료의 제조
숙취해소음료의 최적의 조성비를 결정하기 위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료의 배합비율을 달리하여 숙취해소용 음료를 제조하였다. 제조과정은 노근, 상심, 금은화, 상엽, 구기자, 천문동, 용안육, 치자, 토사자를 주원료로하여 정제수를 총중량의 8배(v/w)가 되게 첨가하여 115℃에서 8∼10시간 추출한 다음 여과하고 꿀 액상과당, 박하뇌를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한 예로써, 노근 1680g, 상심 200g, 금은화 100g, 상엽 100g, 구기자 200g, 천문동 50g, 용안육 75g, 치자 56g,토사자 37.5g을 추출탱크에 넣고 정제수 20L를 첨가한 다음 115℃에서 10시간 동안 열수추출하였다. 상기 얻어진 열수추출물을 여과한 다음 꿀 200g, 액상과당 200g, 박화뇌 0.5g를 첨가하여 본 발명 숙취해소용 음료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 숙취해소음료 조성물의 함량비율
제조예1 제조예2 제조예3 제조예4
노근 67.26중량% 60중량% 60중량% 73.26중량%
상심 8중량% 15.26중량% 8중량% 4중량%
금은화 4중량% 4중량% 4중량% 4중량%
상엽 4중량% 4중량% 11.26중량% 2중량%
구기자 8중량% 8중량% 8중량% 8중량%
천문동 2중량% 2중량% 2중량% 2중량%
용안육 3중량% 3중량% 3중량% 3중량%
치자 2.24중량% 2.24중량% 2.24중량% 2.24중량%
토사자 1.50중량% 1.50중량% 1.50중량% 1.50중량%
실험예 1 : 본 발명 음료가 알콜대사에 미치는 영향조사
본 발명 상기 제조예 1∼4 제품을 동물에 투여하여 본 발명 음료가 실험동물의 알콜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동물은 3주형 스프라그-돌리 랫(rat)을 사용하였고, 각 처리구당 5마리씩 음용수만 제공하고 24시간 절식시킨 후 25% 에탄올을 마우스당 2mL씩 스테인레스스틸 존데(길이=10cm)를 사용하여 강제 경구 투여하였다. 1시간 경과후 각 실험구에는 상기 제조예 1∼4 제품을 2mL을, 대조구에는 생리식염수 2mL을 투여하였고 30분 경과후에 상기 랫(rat)을 경추탈골하여 치사시킨 다음 뇌와 간을 적출하여 무게를 측정하였고 인산으로 완충된 생리식염수를 0.5mL/g tissue 단위량으로 처리하여 4℃에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뇌와 간을 조직균질기(Tissue Homogenizer)로 균질화시켜 180㎕ 에펜도르프 튜브에 옮기고 0.5㎕의 Methylene Chroride를 가한 후 교반기(Vortex mixer)로 격렬하게 교반하여 탈수시키고 다시 교반한 다음 얼음에 보관하여 분석하였다. 조직 중 에탄올의 정량은 에틸에세테이트와 에탄올 사이의 표준곡선에서 얻은 회귀직선식과 내부표준으로 사용한 에틸아세테이트를 기준으로 하여 계산하였다.
실험결과는 표 2과 같이, 본 발명 제품이 에탄올 제거 효과가 탁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 음료의 숙취해소효과를 무처리 대조군과 비교한 실험결과
구분 제품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제조예 4 대조군
에탄올 농도 42.5±5.0 52.3±7.2 53.1±6.4 42.5±6.0 100.0±1.9
주 : 에탄올 농도는 상대적 알콜농도로서 100=0.92㎎ 에탄올/mL Blood임.
실험예 2: 숙취해소용 음료의 관능검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음료의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관능검사는 성인남녀 10명을 패널로 선정한 후 본 발명 음료를 4℃에서 30분간 두었다가 제공하여 맛, 향을 조사하였으며, 실험설계는 완전임의 배치법으로 4회 반복 실시하였다.
본 발명 음료의 관능검사
항목방법 맛기호도(5점 척도법) 향기호도(5점 척도법)
제조예 1 4.5 4.3
제조예 2 3.8 3.8
제조예 3 4.0 3.7
제조예 4 4.1 4.2
[주] 5점 척도법5점: 대단히 좋다, 4점: 약간 좋다, 3점: 보통이다,2점: 약간 나쁘다, 1점: 대단히 나쁘다.
관능검사결과, 상기 표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음료간에 현저한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제조예 1의 조성비율로 제조된 숙취해소용 음료가 맛과 향에 있어서 가장 좋은 성적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3: 본 발명 숙취해소용 음료의 숙취, 두통 제거효과조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숙취해소용 음료의 숙취해소효과를 측정하였다. 우선 25∼50세의 남녀 각 10명을 선정하고 소주 150cc와 맥주 200cc를 마시게 한 다음 30분 후에 상기 음료(제조예1∼4)를 100cc 시음시킨 후 갈증해소와, 두통제거효과를 조사하였다.
본 발명 음료의 갈증해소와 두통제거효과
갈증해소 두통제거효과
제조예1 9.3 9.1
제조예2 8.7 9.0
제조예3 8.2 8.8
제조예4 9.5 8.9
[주]양호 10점, 보통 10점, 별다른 효과없음 0점
실험예 3: 본 발명 숙취해소용 음료의 숙취, 두통 제거효과조사
제조예1의 음료를 알콜대사에 이상이 없는 건강한 20∼40대 남자 5명을 피검사로 선정하여 각각 30분간 소주 150cc와 맥주 200cc를 마시게 한 다음 매 10분간격으로 알콜취, 맥박수 및 안색의 경시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알콜취는 음주측정용 알코올 탐지기로 측정하고 맥박은 1분 동안의 박동수를 측정하였으며, 안색변화는 5명의 관찰자를 별도 선정하여 피검자의 안색상태를 육안관찰하여 평균점수를 도출하였다(안색상태 - 5점 : 매우 빨갛다. 4점 : 약간 빨갛다. 3점 : 정상. 2점 : 약간 창백하다. 1점 : 매우 창백하다).
상기 실험결과는 다음 표 5와 같다.
본 발명 음료 조성물(제조예 1 제품) 음용결과
음주후 경과시간(분) 10 20 30 40 50 60
알콜취(농도:%) 0.033 0.015 0.009 0.002 0.0003 0.0002
맥박수(박동수/시간) 118 112 110 107 103 103
안색 3.7 3.3 3.1 3.09 3.02 3.03
상기 실험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 음료를 음용시 30분내 혈중알콜농도 0.009%로 떨어뜨리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맥박수와 안색도 빠르게 정상수치로 돌아와 본 발명 음료의 알콜대사능이 탁월하게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 상기 실시예와 실험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은 생약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숙취로 나타나는 두통, 구토 소갈증을 완화해 줄 뿐만 아니라 간세포의 손상을 억제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의약산업상 및 건강식품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생약제를 주재로한 숙취해소용 음료를 제조함에 있어서, 노근 60∼70중량%, 상심 5∼15중량%, 금은화 1∼10중량%, 상엽 1∼10중량%, 구기자 5∼15중량%, 천문동 1∼5중량%, 용안육 1∼5중량%, 치자 1∼5중량%, 토사자 1∼5중량%의 비율로 배합된 조성물의 열수추출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2. 제1항의 음료조성물에 꿀, 액상과당, 박하뇌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첨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KR10-2001-0055035A 2001-09-07 2001-09-07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KR100426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5035A KR100426925B1 (ko) 2001-09-07 2001-09-07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5035A KR100426925B1 (ko) 2001-09-07 2001-09-07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1667A true KR20030021667A (ko) 2003-03-15
KR100426925B1 KR100426925B1 (ko) 2004-04-13

Family

ID=27722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5035A KR100426925B1 (ko) 2001-09-07 2001-09-07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692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047B1 (ko) * 2006-09-18 2007-08-22 이승도 숙취예방 및 해소를 위한 식품조성물
KR101009217B1 (ko) * 2010-02-23 2011-01-19 양병남 플로어용 지지장치
KR101133985B1 (ko) * 2009-12-15 2012-04-05 이정호 뽕나무의 잎, 줄기, 뿌리 껍질 및 열매를 이용한 음료
WO2018124708A1 (ko) * 2016-12-30 2018-07-0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용안육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KR102011673B1 (ko) * 2019-05-10 2019-08-19 박은화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8593B1 (ko) 2014-12-22 2017-04-19 공유빈 간 숙취해소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173683B1 (ko) * 2018-06-05 2020-11-0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목본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961788B1 (ko) 2018-06-15 2019-03-25 농업회사법인정담아(주) 천문동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음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5206B1 (ko) * 1998-01-06 2001-03-15 황무연 노근추출물과 그 제조방법
KR100512912B1 (ko) * 1998-10-19 2005-10-26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알코올대사 생약 촉진제
KR20010036048A (ko) * 1999-10-05 2001-05-07 천경호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KR100351185B1 (ko) * 1999-12-15 2002-09-11 차영주 차의 제조방법
KR20010076695A (ko) * 2000-01-27 2001-08-16 황무연 숙취 및 갈증해소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91310A (ko) * 2000-03-14 2001-10-23 황무연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442771B1 (ko) * 2000-11-17 2004-08-04 주식회사 바이오썸 숙취해소 효과를 갖는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047B1 (ko) * 2006-09-18 2007-08-22 이승도 숙취예방 및 해소를 위한 식품조성물
KR101133985B1 (ko) * 2009-12-15 2012-04-05 이정호 뽕나무의 잎, 줄기, 뿌리 껍질 및 열매를 이용한 음료
KR101009217B1 (ko) * 2010-02-23 2011-01-19 양병남 플로어용 지지장치
WO2018124708A1 (ko) * 2016-12-30 2018-07-0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용안육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CN110381972A (zh) * 2016-12-30 2019-10-25 韩国科学技术研究院 含有龙眼肉提取物的用于预防或缓解宿醉的组合物
US11207367B2 (en) 2016-12-30 2021-12-28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lleviating hangover, containing Longan arillus extract
CN110381972B (zh) * 2016-12-30 2022-05-27 韩国科学技术研究院 含有龙眼肉提取物的用于预防或缓解宿醉的组合物
KR102011673B1 (ko) * 2019-05-10 2019-08-19 박은화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6925B1 (ko) 2004-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48224B (zh) 一种祛黄褐斑美容养颜红枣保健饮料及其生产工艺
KR101789424B1 (ko) 구기자를 포함하는 수면장애 개선용 한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33644A (ko) 혈중 알코올 분해 속도를 촉진시키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13768004A (zh) 一种含陈皮的白茶调味茶及其制备方法
CN113841892A (zh) 具有助眠功能的食品配方及制备方法和应用
CN101745087A (zh) 一种具有解酒防醉作用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0426925B1 (ko)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CN108813501B (zh) 具有清热润肺止咳化痰平喘和调节人体机能的养生蜂蜜膏
KR101890796B1 (ko) 인삼열매 추출물, 헛개과병 추출물 및 미네랄 농축액을 함유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KR102127411B1 (ko) 복합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보호 및 숙취해소용 조성물
CN107384680B (zh) 一种百香果龙眼果酒及其酿造方法
CN110810693A (zh) 一种含有显齿蛇葡萄的饮料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30029284A (ko) 치매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KR20110054323A (ko) 장미추출물을 함유하는 기억력 증진용 건강기능식품
KR20040052930A (ko)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숙취해소제
KR20140010831A (ko) 숙취해소 및 간 보호기능 개선 조성물
KR101041044B1 (ko) 불면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KR100642801B1 (ko) 한약재와 배 추출물을 배합한 항당뇨 식품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KR20200061285A (ko) 가랑갈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액순환 및 혈관질환 예방용 식품 조성물
CN104419577A (zh) 五味子葡萄酒
CN109662317A (zh) 一种用于肠胃调理养生的组合物及其使用方法
KR20200004941A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102517948B1 (ko)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20190116003A (ko)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4005224A1 (ko) 솔잎을 포함한 식물 잎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1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