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7948B1 -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 Google Patents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7948B1
KR102517948B1 KR1020220043121A KR20220043121A KR102517948B1 KR 102517948 B1 KR102517948 B1 KR 102517948B1 KR 1020220043121 A KR1020220043121 A KR 1020220043121A KR 20220043121 A KR20220043121 A KR 20220043121A KR 102517948 B1 KR102517948 B1 KR 102517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oot
fruit
seed
obe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3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호용
김종식
한경수
Original Assignee
한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경수 filed Critical 한경수
Priority to KR1020220043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79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6Curcuma, e.g. common turmeric, East Indian arrowroot or mango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1Amaranthaceae (Amaranth family), e.g. pigweed, rockwort or globe amaran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4Campanulaceae (Bellflower family)
    • A61K36/346Platycod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6Eucommiaceae (Eucommia family), e.g. hardy rubber 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1Astragalus (milkvet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3Leonurus (motherw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7Salvia (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4Crataegus (haw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obesity)의 예방 또는 치료/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봉출뿌리줄기, 단삼뿌리, 쇠무릅뿌리, 익모초지상부, 다시마, 두충, 삼씨앗, 쉽싸리지상부, 황기뿌리, 도라지, 귤나무열매껍질, 산사나무열매, 울금덩이뿌리, 광귤나무열매, 사인씨앗, 천궁뿌리줄기, 갯실새삼씨앗, 황금, 사삼뿌리, 옥수수수염, 사철쑥, 참당귀뿌리, 하수오덩이뿌리, 구기자나무열매, 계피, 감초, 금불초꽃, 결명자열매, 무씨앗, 대추, 맥아, 꿀풀 및 양파껍질로 이루어지는 33종의 한약재를 원료 성분으로 하는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33종의 한약재를 원료 성분으로 하는 복방 한방 추출물은 지방세포의 분화억제 및 지방축적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33종의 한약재를 원료 성분으로 하는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은 한약에 거부감이 있는 청소년 및 젊은 여성에게도 높은 기호성을 나타내어, 이를 주성분으로 하는 비만의 예방, 치료 및 개선을 위한 의약품 및 건강 기능 식품의 소재로서 개발 가능할 것이다.

Description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HEALTH FUNCTIONAL FOOD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OBESITY CONTAINING COMPLEX MEDICINAL HERB EXTRACTS}
본 발명은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obesity)의 예방 또는 치료/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봉출뿌리줄기, 단삼뿌리, 쇠무릅뿌리, 익모초지상부, 다시마, 두충, 삼씨앗, 쉽싸리지상부, 황기뿌리, 도라지, 귤나무열매껍질, 산사나무열매, 울금덩이뿌리, 광귤나무열매, 사인씨앗, 천궁뿌리줄기, 갯실새삼씨앗, 황금, 사삼뿌리, 옥수수수염, 사철쑥, 참당귀뿌리, 하수오덩이뿌리, 구기자나무열매, 계피, 감초, 금불초꽃, 결명자열매, 무씨앗, 대추, 맥아, 꿀풀 및 양파껍질로 이루어지는 33종의 한약재를 원료 성분으로 하는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경제수준 및 삶의 질 향상과 의료의 최첨단화 과정을 지나고 있는 시점에도 불구하고 21세기 들어 건강에 대한 개념이 바뀌고 있다. 과거에는 단순질병이 없는 건강한 상태를 건강하다고 생각했으나 최근에는 신체적, 정신적, 영감적, 사회적 질서의 최적상태를 의미한다. 미국 암학회의 전문지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최신호에 유지니아 칼레박사는 1982년부터 암환자가 아닌 사람 90만명을 대상으로 16년 간 추적 조사한 결과 과체중이나 비만인 사람이 암으로 사망할 가능성은 정상인에 비해 남녀 모두 20% 이상 심각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일반적으로 비만이란 일반적으로 과다한 체지방을 가진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체지방이 전체 체중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남자의 경우 25%, 여자의 경우 30% 이상일 때를 비만으로 보고 있으며, 아울러 체중(kg)을 신장의 제곱(m2)으로 나눈 값으로 산출되는 체질량 지수(BMI: body mass index)가 30 이상인 경우 역시 이를 비만으로 간주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아시아인의 인종적 특성과 비만 관련 건강 위험성을 감안해 체질량지수 23 이상이면 과체중, 25 이상이면 비만으로 분류하고 있다.
비만의 원인으로는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에너지 대사 이상 등이 있으며, 비만의 종류에는 제공되는 원인에 따라서 단순성(1차성) 비만과 증후성(2차성) 비만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단순성(1차성) 비만은 칼로리의 과다 섭취와 이의 체내 소비 부족으로 잉여 에너지가 몸 안의 지방으로 축적돼 나타나는 경우이며, 비만 환자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아울러 이는 과식이나 폭식, 불규칙한 식습관, 운동부족, 우울증이나 불안, 스트레스 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증후성(2차성) 비만의 경우는 갑상선 기능 저하증, 부신 피질 호르몬 과다분비, 다낭성 난소 증후군 등과 같은 질병이나 경구용 피임약, 신경안정제, 스테로이드 호르몬제, 항히스타민 성분이 포함된 약물 등으로 인해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외에도 유아기에서부터 무절제한 고칼로리 식품의 섭취로 인한 소아비만도 이제는 비만의 한 종류로 자리잡고 있으며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과거에는 비만을 단순히 과식으로 인한 외적이며 사치스러운 문제라고 치부해 왔으나, 최근에는 고칼로리성 식습관과 교통수단의 발전에 따른 운동부족으로 인해 비만 환자가 급증하게 되었다. 이는 개인적인 문제일 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문제로까지 확산되고 있으며, 이를 반영하듯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1997년 비만을 만성 질환 중에 하나로 규정하였다.
비만은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담석증 등 많은 성인병을 유발하는 직접 또는 간접적인 원인이며, 최근 들어 비만으로 인한 강박관념으로 인해 폭식증이나 거식증 등의 식이 장애 환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또한 여성의 경우는 보다 더 심각하여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체중 감량을 시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이들에게 정서적, 직업적, 사회적, 경제적, 신체적 영역에서 심각한 문제를 불러오며, 심지어는 죽음까지도 초래하게 된다. 결국 비만은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인간에게 치명적인 상처를 줄 수 있는 질환이며, 사회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엄청난 손실을 안겨줄 수 있다는 점에서 그 문제의 심각성은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비만을 치료하기 위해 수행되는 치료법은 크게 식이요법, 운동요법과 약물요법으로 분류되어진다. 식이요법 및 운동요법은 의지력과 시간을 많이 할애해야 한다는 측면과 더불어 여가시간을 많이 가질 수 없는 현대인에게는 이들 요법만으로는 효과적인 성과를 달성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 가장 큰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임상시험 결과에 따르면 식이요법과 운동요법만으로 체중 감량을 시도한 경우에 비해 약물 요법을 더불어시행한 경우가 2년 후의 결과에 있어 체중 감량이 약 2배 정도 많아 졌을 뿐 아니라, 비만과 관련된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 등과 같은 수치가 현저히 개선된 것으로 보고되었다. 따라서 비만치료에 있어 약물요법에 대한 비중 및 치료제 개발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어질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1990년대 중반 비만 유전자의 발견과 더불어 지방세포에서 생성되는 렙틴(leptin)이라는 호르몬이 식욕억제를 담당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짐으로써 비만치료제 개발의 기폭제 역할을 하였다. 아울러 렙틴(leptin)과 상호작용을 하면서 식욕촉진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뉴로펩타이트 Y(neuropeptide Y), 멜라민 농축 호르몬(melanin-concentrating hormone; MCH), 갈아닌(galanin) 및 오렉신(orexins) 등과 같은 오레시제닉 펩타이드(orexigenic peptides)와 더불어 식욕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멜라노코틴(melanocortins), 밤베신(bombesin) 등과 같은 아노렉틱 펩타이드(anorectic peptides)들의 구조와 기능이 밝혀짐으로써 비만 치료제 개발의 중대한 전환기를 맞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편승하여 비만을 치료하기 위해 많은 노력들을 시도하였고, 실제로 여러 약물들의 개발을 이루었거나 임상시험 중이며, 특히 국내의 경우 새로운 약물이 소개될 때마다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전에 비만 치료제로 흔히 사용되던 저칼로리, 고식이섬유 제제의 식사 대용제나 위장 팽창제 등은 비만을 치유하기 위한 주요 치료제 보다는 보조 요법제로 많이 사용되었으나, 그 효과에 대해 많은 의문점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비만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는 식욕억제제의 경우, 뇌의 시상하부에 작용하여 식욕억제로 인한 체중 감량 효과를 나타내는 작용기전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 대부분은 중추 신경 흥분을 유발시켜 이의 작용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 다. 국내에서 대표적인 식욕억제제로 사용중인 시부트라민(sibutramine, 상품명: 리덕틸)은 식욕 조절에 작용하는 신경호르몬인 세로토닌(serotonin)과 노르아드레날린(noradrenaline)의 재흡수를 동시에 억제시켜 식욕을 떨어뜨리는 약물이다. 그러나 이들 대부분의 식욕억제제의 경우, 교감 신경을 흥분시켜 혈압이나 심박출량이 증가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심혈관계 환자에게 이들 약물 복용은 금기시되고 있다. 또한 일부 약물에서는 정신적, 신체적 의존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들어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는 식욕억제제와는 달리 말초적인 지방흡수 억제를 통해 비만을 치료하는 제니칼(Xenical, 성분명: orlistat)의 개발로 비만치료에 있어 획기적인 전환점을 마련하게 되었다. 제니칼은 지방 흡수에 필요한 소화효소인 리파아제(lipase)의 활성을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가역적 활성 억제제로 음식물로부터 섭취되는 지방의 흡수를 약 30% 정도 줄여 체중 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제니칼의 경우 투여 초기에 지방 변이나 절박성 대변, 복부 팽만 등의 부작용과 함께 지용성 비타민의 흡수를 저해하여 따로 비타민을 복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갑상선 기능 저하증 환자나 담즙 분비 정지 환자의 경우 이 약의 복용이 금기시 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음식 중 지방이 차지하는 비율이 총 칼로리의 20%를 넘지 않는 한국인의 경우 지방 흡수 억제에 한계가 있을 수 있어 체중 감량 효과에 의문시되고 있는 점도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또한, 기존의 서양 의약품제재나 치료제들은 인체 생리학적인 분석을 해보면 외부의 강제적 요인이 많이 치우친 현상으로 선택적인 생약제재에 비해 안정적이고 자연생리학적인 기전에 그 기대가 미흡한 실정이다.
한편, 현대사회는 산업화로 인한 생활수준의 향상과,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로 전통적인 식생활이 위협받고 있으며, 이러한 식생활 변화에 따라, 비만, 고혈압, 고지혈증 등의 다양한 성인병이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다양한 건강지향성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한방재료를 이용한 약선식품에 대한 수요가 매우 높으며, 특히 간편하게 언제 어디서라도 쉽게 드실 수 있는 약선 한방 추출물 제품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한약은 한의학의 기본 이론을 바탕으로 질병의 예방이나, 치료를 위해 천연물 또는 가공된 약제를 혼합 조제한 약물을 의미하며, 다양한 동물, 식물, 광물의 추출물을 추출하여 사용하나 대부분은 약용 식물을 사용하고 있다. 각각의 한약재 추출물은 각각 특유한 고도의 생리활성을 나타내는데, 그 예로서 특정 조성의 한약 조성물이 항암 활성, 항당뇨 활성, 동맥경화 예방활성, 면역기능 증강활성, 숙취 해소 활성, 뇌졸중 예방 및 아토피 치료 활성 등을 나타냄이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 건강기능성 한방 조성물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에는 암치료와 암예방을 위한 한약 조성물(제 10-0671762호, 2007년 1월 15일), 당뇨병 및 이로 인한 합병증 치료 및 예방용 한약 조성물(제 10-0712659호, 2007년 4월 23일), 반하, 백출, 천마, 진피, 복령, 산사, 희렴 및 황련을 포함하는 한약 제제 혼합물의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추출물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제 10-0787174호, 2007년 12월 12일), 루푸스 치료용 한약 추출물(제 10-0682046호, 2007년 2월 6일), 숙취 해소용 한약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제 10-1176590호, 2012년 8월 17일), 뇌졸중과 치매를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과 치료용 건강 기능성 식품 및 약제학적 조성물(제 10-0950164호, 2010년 3월 23일), 아토피 피부염 개선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사용방법(제 10-1183893호, 2012년 9월 12일), 연골 재생 또는 연골 질환 치료용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및 제조방법(제 10-1793429호, 2017-10-30),내복자, 나한과 및 등심초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및 알러지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제 10-1835397호, 2018-02-28), 청호, 구절초, 애엽, 인진호, 괴각, 대계, 및 목향을 포함하는 한약 추출물이 함유된 탈모개선 및 탈모방지용 복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제 10-1851972호, 2018-04-19), 데커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제 10-1902837호, 2018-09-20), 면역 기능을 조절하는 한약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제 10-1908381호, 2018-10-10) 및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제 10-1968626호, 2019-04-08) 등의 한방 제제를 이용한 기능성 제품 개발로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관능성이 우수하면서 소량 섭취시에도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33종의 한약재를 원료 성분으로 하는 복방 한방 추출물을 기본으로 한 항비만의 한방 조성물은 알려진 바 없다.
KR 10-2011-0054327 A KR 10-2005423 B KR 10-1910317 B KR 10-1732146 B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존 한방 조성물의 낮은 관능성과 휴대 및 복용의 어려움과 낮은 선호도를 해결하고, 갱년기의 불편함을 극복하고 또한 현대사회에서 급속히 증가되고 있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한방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33종의 한약재를 원료 성분으로 하는 복방 한방 추출물의 유용 생리기능을 최대화하면서도,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마실 수 있는 관능성, 기호성이 높은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개선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봉출뿌리줄기, 단삼뿌리, 쇠무릅뿌리, 익모초지상부, 다시마, 두충, 삼씨앗, 쉽싸리지상부, 황기뿌리, 도라지, 귤나무열매껍질, 산사나무열매, 울금덩이뿌리, 광귤나무열매, 사인씨앗, 천궁뿌리줄기, 갯실새삼씨앗, 황금, 사삼뿌리, 옥수수수염, 사철쑥, 참당귀뿌리, 하수오덩이뿌리, 구기자나무열매, 계피, 감초, 금불초꽃, 결명자열매, 무씨앗, 대추, 맥아, 꿀풀 및 양파껍질로 이루어지는 33종의 한약재를 원료 성분으로 하는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33종의 한약재는 봉출뿌리줄기 9.0 중량%, 단삼뿌리 9.0 중량%, 쇠무릅뿌리 5.5 중량%, 익모초지상부 4.5 중량%, 다시마 4.5 중량%, 두충 4.5 중량%, 삼씨앗 3.6 중량%, 쉽싸리지상부 3.6 중량%, 황기뿌리 3.6 중량%, 도라지 3.6 중량%, 귤나무열매껍질 3.6 중량%, 산사나무열매 3.6 중량%, 울금덩이뿌리 2.7 중량%, 광귤나무열매 2.7 중량%, 사인씨앗 2.7 중량%, 천궁뿌리줄기 2.7 중량%, 갯실새삼씨앗 2.7 중량%, 황금 1.8 중량%, 사삼뿌리 1.8 중량%, 옥수수수염 1.8 중량%, 사철쑥 1.8 중량%, 참당귀뿌리 1.8 중량%, 하수오덩이뿌리 1.8 중량%, 구기자나무열매 1.8 중량%, 계피 1.8 중량%, 감초 1.8 중량%, 금불초꽃 1.8 중량%, 결명자열매 1.8 중량%, 무씨앗 1.8 중량%, 대추 1.8 중량%, 맥아 1.8 중량%, 꿀풀 1.8 중량% 및 양파껍질 0.9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봉출뿌리줄기, 단삼뿌리, 쇠무릅뿌리, 익모초지상부, 다시마, 두충, 삼씨앗, 쉽싸리지상부, 황기뿌리, 도라지, 귤나무열매껍질, 산사나무열매, 울금덩이뿌리, 광귤나무열매, 사인씨앗, 천궁뿌리줄기, 갯실새삼씨앗, 황금, 사삼뿌리, 옥수수수염, 사철쑥, 참당귀뿌리, 하수오덩이뿌리, 구기자나무열매, 계피, 감초, 금불초꽃, 결명자열매, 무씨앗, 대추, 맥아, 꿀풀 및 양파껍질로 이루어지는 33종의 한약재를 원료 성분으로 하는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33종의 한약재는 봉출뿌리줄기 9.0 중량%, 단삼뿌리 9.0 중량%, 쇠무릅뿌리 5.5 중량%, 익모초지상부 4.5 중량%, 다시마 4.5 중량%, 두충 4.5 중량%, 삼씨앗 3.6 중량%, 쉽싸리지상부 3.6 중량%, 황기뿌리 3.6 중량%, 도라지 3.6 중량%, 귤나무열매껍질 3.6 중량%, 산사나무열매 3.6 중량%, 울금덩이뿌리 2.7 중량%, 광귤나무열매 2.7 중량%, 사인씨앗 2.7 중량%, 천궁뿌리줄기 2.7 중량%, 갯실새삼씨앗 2.7 중량%, 황금 1.8 중량%, 사삼뿌리 1.8 중량%, 옥수수수염 1.8 중량%, 사철쑥 1.8 중량%, 참당귀뿌리 1.8 중량%, 하수오덩이뿌리 1.8 중량%, 구기자나무열매 1.8 중량%, 계피 1.8 중량%, 감초 1.8 중량%, 금불초꽃 1.8 중량%, 결명자열매 1.8 중량%, 무씨앗 1.8 중량%, 대추 1.8 중량%, 맥아 1.8 중량%, 꿀풀 1.8 중량% 및 양파껍질 0.9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33종의 한약재를 원료 성분으로 하는 복방 한방 추출물은 지방세포의 분화억제 및 지방축적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33종의 한약재를 원료 성분으로 하는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은 한약에 거부감이 있는 청소년 및 젊은 여성에게도 높은 기호성을 나타내어, 이를 주성분으로 하는 비만의 예방, 치료 및 개선을 위한 의약품 및 건강 기능 식품의 소재로서 개발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마우스 전지방 세포주인 3T3-L1 세포에 다양한 농도로 처리시 세포사멸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마우스 전지방 세포주인 3T3-L1 세포에 다양한 농도로 처리시 지방세포 형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마우스 전지방 세포주인 3T3-L1 세포에 다양한 농도로 처리시 지방축적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오랫동안 비방으로 전해내려온 한방 추출물의 관능성과 유용 활성을 증대시키고자 지속적으로 개량한 결과물인 33종의 한약재를 원료 성분으로 하는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우수한 관능성과 우수한 항비만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봉출뿌리줄기, 단삼뿌리, 쇠무릅뿌리, 익모초지상부, 다시마, 두충, 삼씨앗, 쉽싸리지상부, 황기뿌리, 도라지, 귤나무열매껍질, 산사나무열매, 울금덩이뿌리, 광귤나무열매, 사인씨앗, 천궁뿌리줄기, 갯실새삼씨앗, 황금, 사삼뿌리, 옥수수수염, 사철쑥, 참당귀뿌리, 하수오덩이뿌리, 구기자나무열매, 계피, 감초, 금불초꽃, 결명자열매, 무씨앗, 대추, 맥아, 꿀풀 및 양파껍질로 이루어지는 33종의 한약재를 원료 성분으로 하는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33종의 한약재는 봉출뿌리줄기 9.0 중량%, 단삼뿌리 9.0 중량%, 쇠무릅뿌리 5.5 중량%, 익모초지상부 4.5 중량%, 다시마 4.5 중량%, 두충 4.5 중량%, 삼씨앗 3.6 중량%, 쉽싸리지상부 3.6 중량%, 황기뿌리 3.6 중량%, 도라지 3.6 중량%, 귤나무열매껍질 3.6 중량%, 산사나무열매 3.6 중량%, 울금덩이뿌리 2.7 중량%, 광귤나무열매 2.7 중량%, 사인씨앗 2.7 중량%, 천궁뿌리줄기 2.7 중량%, 갯실새삼씨앗 2.7 중량%, 황금 1.8 중량%, 사삼뿌리 1.8 중량%, 옥수수수염 1.8 중량%, 사철쑥 1.8 중량%, 참당귀뿌리 1.8 중량%, 하수오덩이뿌리 1.8 중량%, 구기자나무열매 1.8 중량%, 계피 1.8 중량%, 감초 1.8 중량%, 금불초꽃 1.8 중량%, 결명자열매 1.8 중량%, 무씨앗 1.8 중량%, 대추 1.8 중량%, 맥아 1.8 중량%, 꿀풀 1.8 중량% 및 양파껍질 0.9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봉출뿌리줄기, 단삼뿌리, 쇠무릅뿌리, 익모초지상부, 다시마, 두충, 삼씨앗, 쉽싸리지상부, 황기뿌리, 도라지, 귤나무열매껍질, 산사나무열매, 울금덩이뿌리, 광귤나무열매, 사인씨앗, 천궁뿌리줄기, 갯실새삼씨앗, 황금, 사삼뿌리, 옥수수수염, 사철쑥, 참당귀뿌리, 하수오덩이뿌리, 구기자나무열매, 계피, 감초, 금불초꽃, 결명자열매, 무씨앗, 대추, 맥아, 꿀풀 및 양파껍질로 이루어지는 33종의 한약재를 원료 성분으로 하는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33종의 한약재는 봉출뿌리줄기 9.0 중량%, 단삼뿌리 9.0 중량%, 쇠무릅뿌리 5.5 중량%, 익모초지상부 4.5 중량%, 다시마 4.5 중량%, 두충 4.5 중량%, 삼씨앗 3.6 중량%, 쉽싸리지상부 3.6 중량%, 황기뿌리 3.6 중량%, 도라지 3.6 중량%, 귤나무열매껍질 3.6 중량%, 산사나무열매 3.6 중량%, 울금덩이뿌리 2.7 중량%, 광귤나무열매 2.7 중량%, 사인씨앗 2.7 중량%, 천궁뿌리줄기 2.7 중량%, 갯실새삼씨앗 2.7 중량%, 황금 1.8 중량%, 사삼뿌리 1.8 중량%, 옥수수수염 1.8 중량%, 사철쑥 1.8 중량%, 참당귀뿌리 1.8 중량%, 하수오덩이뿌리 1.8 중량%, 구기자나무열매 1.8 중량%, 계피 1.8 중량%, 감초 1.8 중량%, 금불초꽃 1.8 중량%, 결명자열매 1.8 중량%, 무씨앗 1.8 중량%, 대추 1.8 중량%, 맥아 1.8 중량%, 꿀풀 1.8 중량% 및 양파껍질 0.9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33종의 한약재를 원료 성분으로 하는 복방 한방 추출물에 포함되는 한약재 정보는 표 1과 같다.
[표 1] 33종 한약재의 알려진 효능
Figure 112022037049742-pat00001
Figure 112022037049742-pat00002
Figure 112022037049742-pat00003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은 33종의 한약재(봉출뿌리줄기, 단삼뿌리, 쇠무릅뿌리, 익모초지상부, 다시마, 두충, 삼씨앗, 쉽싸리지상부, 황기뿌리, 도라지, 귤나무열매껍질, 산사나무열매, 울금덩이뿌리, 광귤나무열매, 사인씨앗, 천궁뿌리줄기, 갯실새삼씨앗, 황금, 사삼뿌리, 옥수수수염, 사철쑥, 참당귀뿌리, 하수오덩이뿌리, 구기자나무열매, 계피, 감초, 금불초꽃, 결명자열매, 무씨앗, 대추, 맥아, 꿀풀 및 양파껍질)를 고온에서 열수 추출하여 복방 한방 추출물을 얻은 후 이를 농축액의 형태로 조제하고, 여기에 프락토올리고당, 덱스트린, 대추 추출 농축액 및 정제수를 일정량 첨가하여 관능성과 포장성을 증대시킨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33종의 한약재를 80℃에서 30분 열수 추출하고, 추출액을 여과 및 농축하여 복방 한방 추출물의 농축액(고형분 40% 이상)을 조제하는 단계; 수세한 대추를 80℃에서 30분 열수 추출하고, 추출액을 여과 및 농축하여 대추 추출 농축액(고형분 60% 이상)을 조제하는 단계; 상기 복방 한방 추출물의 농축액에 프락토올리고당, 덱스트린, 상기 대추 추출 농축액 및 정제수를 각각 60 : 9 : 8 : 8 : 15 중량%로 혼합하는 단계; 및 이의 유용성분 분석, 항비만 활성 평가 및 급성 독성검사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은 pH 4.2~4.6, 산도 0.75~1.0, 브릭스가 46~47이며, 명도 8.9, 적색도 1.6, 황색도 2.65의 진한 갈색 액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은 상술한 바와 같이 농축액을 기반으로 한 진한 갈색의 액상으로 조제될 수 있고, 별도로 아래와 같은 조제 방법 및 투여 방법을 택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본 발명의 유효 성분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의 사용 목적에 맞게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제,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 제형, 멸균 주사용액의 주사제 등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경구 투여하거나 정맥 내, 복강 내, 피하, 직장, 국소 투여 등을 포함한 다양한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약학적 조성물에는 추가적으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등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포함될 수 있는 적합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쓰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스, 메틸 셀룰로스, 비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충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혼합하여 제형화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경구용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예시될 수 있으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액체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제,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 좌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제에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주사제에는 용해제, 등장화제, 현탁화제, 유화제, 안정화제, 방부제 등과 같은 종래의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 성분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서,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의 유효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체중 ㎏ 당 1 내지 5,000mg,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0mg을 매일 또는 격일 투여하거나 1일 1 내지 3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투여 경로, 질병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대상에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소정의 물질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일반적인 모든 경로를 통하여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표적 세포로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를 이용해 투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대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인간, 원숭이, 소, 말, 양, 돼지, 닭, 칠면조, 메추라기, 고양이, 개, 마우스, 쥐, 토끼 또는 기니아 피그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포유류, 보다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은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에 효과적인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은 일반적으로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음료 조성물은 100ml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것 외에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 예컨대, 천연 탄수화물 및 다양한 향미제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로는 포도당, 과당 등의 단당류,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등의 이당류 및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의 다당류와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의 당알코올이 있다.
상기 향미제로는 타우마틴, 레바우디오시드 A 또는 글리시르히진과 같은 스테비아 등의 천연 향미제 및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의 합성 향미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 100ml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을 사용한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은 천연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 등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 100중량부 당 0.01 내지 약 20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기재한 것이며, 하기 실시예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조제 및 이화학적 특성
본 발명자들은 오랫동안 한방산업에서의 경험과 비방을 토대로 다양한 조합의 한방 복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조제하여 효능을 평가하여 오면서 항비만 효과가 가장 우수한 조합의 조성물을 개발하게 되었으며, 최종적으로 33종의 한약재를 원료 성분으로 하는 복방 한방 추출물의 농축액, 프락토올리고당, 덱스트린, 대추 추출 농축액 및 정제수를 각각 60:9:8:8:15 중량비로 혼합하여 진한 갈색 액상의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조제된 조성물은, pH 4.6, brix 48, 산도 0.7로 나타났으며, 색차의 경우 진한 흑갈색을 나타내었으며, 10 % 수용액의 경우 은은한 향미와 옅은 황색을 나타내었다(표 2 및 표 3). 이때, 색도는 Hunter Color Difference meter (Super color SP-80 Colormeter, Tokyo Denshoku Co.,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명도(lightness, L), 적색도(redness, a), 황색도(yellowness, b)를 측정하였다. 표준백판의 색도는 L값이 92.44, a값이 -0.06, b값이 1.35로 기준을 정하였으며, 시료당 3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여 나타내었고 색차(△E)는 다음의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Figure 112022037049742-pat00004
[표 2] 본 발명의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이화학적 특성
Figure 112022037049742-pat00005
[표 3] 본 발명의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색차 분석
Figure 112022037049742-pat00006
실시예 2: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에탄올 추출물 조제 및 성분 분석
제조된 복방 한방 추출물의 조성물로부터 에탄올 추출물을 조제하였다. 에탄올 추출의 경우, 시료 무게에 대해 10배의 에탄올(덕산, 한국, 95%)을 가한 후 30 ℃에서 8시간 추출하였으며, 상기 과정을 2회 반복 한 후 추출액을 모아 필터링한 후, 감압 농축하여 분말로 제조하여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에탄올 추출효율은 5.8±0.1 %를 나타내었다.
이후,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total flavonoid), 총 폴리페놀(total polyphenol), 총당 및 환원당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이때,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은 각각의 시료를 18 시간 메탄올 교반 추출하고, 여과한 추출 검액 400 μl에 90 % diethylene glycol 4 ml를 첨가하고 다시 1 N NaOH 40 μl를 넣고 37 ℃에서 1 시간 반응 후 4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시약으로는 rutin을 사용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추출 검액 400 μl에 50 μl의 Folin-ciocalteau, 100 μl의 Na2CO3 포화용액을 넣고 실온에서 1 시간 방치한 후 7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시약으로는 tannic acid를 사용하였다. 환원당은 DNS법으로, 총당은 phenol-sulfuric acid법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표 4] 본 발명의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에탄올 추출물의 성분 분석
Figure 112022037049742-pat00007
그 결과, 조제된 에탄올 추출물은 34.0 mg/g의 높은 폴리페놀 함량과 8.9 mg/g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373.3 mg/g의 높은 총당 함량과 326.3 mg/g의 낮은 환원당 함량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에탄올 추출물은 상당량의 당을 함유한 폴리페놀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세포독성 평가
마우스 전지방세포 3T3-L1에서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세포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3T3-L1 세포를 96-well plate에 5x10⁴ cells/well로 seeding 한 후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농도별 (1, 5, 12.5, 25, 50 ㎕/well)로 처리한 후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CellTiter 96® AQueous One Solution Cell Proliferation Assay kit (Promega, Madison, WI, USA) 용액을 각 well 당 20 ㎕씩 첨가한 후 incubator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그 후, NanoQuant PlateTM를 사용하여 48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는 다섯 개의 well을 독립적으로 수행한 값의 평균을 Sigma plot program 10.0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50㎕/well 농도까지 처리시, 3T3-L1 세포의 사멸 및 성장억제는 나타나지 않았다(도 1). 오히려 25 ㎕/well 이상의 고농도 처리시에는 세포 성장 촉진이 나타났으나, 이는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색차를 고려할 때 세포사멸과는 무관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시예 4: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지방세포 형성억제 효능 평가
제조된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항비만 활성평가를 위해 지방세포 형성 억제 활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사용 세포는 마우스 전지방세포 3T3-L1을 사용하였으며 Korean Type Culture Collection (KTCC, Korea)에서 구입하였다. 세포 배양은 10% newborn calf serum (NBCS, Gibco, Grand Island, NY, USA), 1% penicillin-streptomycin (Welgene, Korea)이 첨가된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DMEM, Gibco, USA)을 사용하였다. 37℃, 5% CO2 incubator에 배양하였다. 3T3-L1 전지방세포의 분화를 위해 6-well plate(5x105 cells/well)로 seeding을 한 후 100% confluence 상태에서 72시간 동안 더 배양하였다. 이후, 분화유도물질(MDI)인 3-butyl-1-methylxanthine (IBMX, Sigma, USA) 0.5 mM, Dexamethasone (Dex, Sigma, USA) 1 μM, Insulin (Sigma, US) 10 ㎍/㎖, 10%의 fetal bovine serum (FBS, Gibco, Grand Island, NY, USA)가 첨가된 DMEM으로 교체하였으며, 72시간 후 기존 배지를 제거하여 10 ㎍/㎖의 Insulin과 10%의 FBS가 첨가된 DMEM으로 교환하여 3일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72시간마다 9일 동안 10%의 FBS가 첨가된 DMEM으로 교체하였다. 분화 유도는 15일 동안 실시하였으며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농도별로 분화유도물질과 함께 처리하였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첨가농도 의존적으로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50㎕/well 농도 처리시에는 무처리구와 거의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5: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지질축적 억제 활성 평가
제조된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항비만 활성평가를 위해 지방세포 내 지질 축적 억제 활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마우스 전지방세포 3T3-L1 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를 유도한 후 지질의 축적된 정도를 Oil Red O staining으로 관찰하여 세포의 지질 축적도를 분석하였다. 분화된 3T3-L1 세포를 10% formalin으로 5분 고정한 후 10% formalin을 제거하고, 다시 10% formalin을 처리하여 30분간 4℃에서 고정시켰다. 그 후, 70% isopropyl alcohol로 한 번 건조 시킨 후 isopropyl alcohol에 녹인 Oil Red O으로 5분 동안 염색시키고, 증류수로 4회 세척하였다. 4번째의 세척에서 현미경으로 세포의 사진을 촬영하였다. 증류수를 완전히 건조시킨 후 isopropyl alcohol에 녹여 NanoQuant PlateTM을 사용하여 5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첨가농도 의존적으로 지방세포의 지질 축적이 감소됨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50㎕/well 농도 처리시에는 무처리구와 거의 동일한 지방 축적도를 나타내었다. 지질 축적의 정량분석 결과, 25㎕/well 처리농도에서 MDI 처리구에 비해 21%의 지질 축적이 확인되었으며, 50㎕/well 처리농도에서는 MDI 처리구에 비해 5~7%의 지질 축적이 확인되어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매우 강력한 지방축적 억제 효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관능성 평가
통상의 한방 조성물들은 낮은 관능성과 이취로 거부감이 높으나, 본 발명의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높은 관능성을 나타내었다. 최종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관능성 평가는 표 5에 나타내었으며, 대조구로는 시판 쌍화탕 제품을 사용하였다. 관능평가는 식품 전공자 5명으로 진행하였으며, 각각의 항목에 대해 5점 척도법으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시판 쌍화탕보다 맛, 향, 목넘김 및 전체적 선호도에서 우수한 관능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표 5] 본 발명의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과 시판 쌍화탕과의 관능성 비교
Figure 112022037049742-pat00008
[연구개발과제]
[연구과제명] 당 31 제품의 유용 생리활성 평가 연구용역
[기여율] 100%
[연구기간] 2020. 08. 01. - 2021. 09. 30.
[주관기관]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수행기관] 안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Claims (4)

  1. 봉출뿌리줄기 9.0 중량%, 단삼뿌리 9.0 중량%, 쇠무릅뿌리 5.5 중량%, 익모초지상부 4.5 중량%, 다시마 4.5 중량%, 두충 4.5 중량%, 삼씨앗 3.6 중량%, 쉽싸리지상부 3.6 중량%, 황기뿌리 3.6 중량%, 도라지 3.6 중량%, 귤나무열매껍질 3.6 중량%, 산사나무열매 3.6 중량%, 울금덩이뿌리 2.7 중량%, 광귤나무열매 2.7 중량%, 사인씨앗 2.7 중량%, 천궁뿌리줄기 2.7 중량%, 갯실새삼씨앗 2.7 중량%, 황금 1.8 중량%, 사삼뿌리 1.8 중량%, 옥수수수염 1.8 중량%, 사철쑥 1.8 중량%, 참당귀뿌리 1.8 중량%, 하수오덩이뿌리 1.8 중량%, 구기자나무열매 1.8 중량%, 계피 1.8 중량%, 감초 1.8 중량%, 금불초꽃 1.8 중량%, 결명자열매 1.8 중량%, 무씨앗 1.8 중량%, 대추 1.8 중량%, 맥아 1.8 중량%, 꿀풀 1.8 중량% 및 양파껍질 0.9 중량%로 이루어지는 33종의 한약재를 원료 성분으로 하는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삭제
  3. 봉출뿌리줄기 9.0 중량%, 단삼뿌리 9.0 중량%, 쇠무릅뿌리 5.5 중량%, 익모초지상부 4.5 중량%, 다시마 4.5 중량%, 두충 4.5 중량%, 삼씨앗 3.6 중량%, 쉽싸리지상부 3.6 중량%, 황기뿌리 3.6 중량%, 도라지 3.6 중량%, 귤나무열매껍질 3.6 중량%, 산사나무열매 3.6 중량%, 울금덩이뿌리 2.7 중량%, 광귤나무열매 2.7 중량%, 사인씨앗 2.7 중량%, 천궁뿌리줄기 2.7 중량%, 갯실새삼씨앗 2.7 중량%, 황금 1.8 중량%, 사삼뿌리 1.8 중량%, 옥수수수염 1.8 중량%, 사철쑥 1.8 중량%, 참당귀뿌리 1.8 중량%, 하수오덩이뿌리 1.8 중량%, 구기자나무열매 1.8 중량%, 계피 1.8 중량%, 감초 1.8 중량%, 금불초꽃 1.8 중량%, 결명자열매 1.8 중량%, 무씨앗 1.8 중량%, 대추 1.8 중량%, 맥아 1.8 중량%, 꿀풀 1.8 중량% 및 양파껍질 0.9 중량%로 이루어지는 33종의 한약재를 원료 성분으로 하는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
  4. 삭제
KR1020220043121A 2022-04-06 2022-04-06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517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121A KR102517948B1 (ko) 2022-04-06 2022-04-06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121A KR102517948B1 (ko) 2022-04-06 2022-04-06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7948B1 true KR102517948B1 (ko) 2023-04-06

Family

ID=85918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3121A KR102517948B1 (ko) 2022-04-06 2022-04-06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7948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4020A (ko) * 2002-01-08 2002-03-29 추영진 홍화씨를 주성분으로 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및 건강식품
KR20050013370A (ko) * 2003-07-28 2005-02-04 김영찬 한약재를 이용한 비만 치료 조성물
KR20090042531A (ko) * 2007-10-26 2009-04-30 주식회사 휴온스 양파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방축적억제 또는 비만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과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제제 및 식품
KR20110054327A (ko) 2009-11-17 2011-05-25 재단법인 대구테크노파크 봉출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20110087808A (ko) * 2010-01-27 2011-08-03 이경준 복합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과 치료용 조성 물질의 개발 및 체질별 간 기능 개선, 중성지방 저하를 동시에 치료하는 조성물 개발
KR20150144739A (ko) * 2015-12-16 2015-12-28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메이신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32146B1 (ko) 2016-01-19 2017-05-04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옥수수수염 및 탱자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170100189A (ko) * 2016-02-25 2017-09-04 주식회사 웰파이토 더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암, 항비만 또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KR101839435B1 (ko) * 2017-08-07 2018-04-27 나도현 항비만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10317B1 (ko) 2018-01-31 2018-10-1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택란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005423B1 (ko) 2017-10-31 2019-07-30 주식회사 휴엔 단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내장지방형 비만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조성물
KR20200098041A (ko) * 2019-02-11 2020-08-20 코스맥스바이오 주식회사 금불초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4020A (ko) * 2002-01-08 2002-03-29 추영진 홍화씨를 주성분으로 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및 건강식품
KR20050013370A (ko) * 2003-07-28 2005-02-04 김영찬 한약재를 이용한 비만 치료 조성물
KR20090042531A (ko) * 2007-10-26 2009-04-30 주식회사 휴온스 양파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방축적억제 또는 비만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과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제제 및 식품
KR20110054327A (ko) 2009-11-17 2011-05-25 재단법인 대구테크노파크 봉출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20110087808A (ko) * 2010-01-27 2011-08-03 이경준 복합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과 치료용 조성 물질의 개발 및 체질별 간 기능 개선, 중성지방 저하를 동시에 치료하는 조성물 개발
KR20150144739A (ko) * 2015-12-16 2015-12-28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메이신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32146B1 (ko) 2016-01-19 2017-05-04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옥수수수염 및 탱자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170100189A (ko) * 2016-02-25 2017-09-04 주식회사 웰파이토 더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암, 항비만 또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KR101839435B1 (ko) * 2017-08-07 2018-04-27 나도현 항비만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05423B1 (ko) 2017-10-31 2019-07-30 주식회사 휴엔 단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내장지방형 비만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조성물
KR101910317B1 (ko) 2018-01-31 2018-10-1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택란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00098041A (ko) * 2019-02-11 2020-08-20 코스맥스바이오 주식회사 금불초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4455B1 (ko) 간경변, 세포 독성 개선 및 간손상 억제 활성을 갖는 혼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328668B1 (ko) 비만억제 활성과 혈당강하 효능이 있는 꾸지뽕 및 의이인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N101243882B (zh) 具有降血脂功能的保健食品及其制备方法
KR100815200B1 (ko) 항비만 효과를 갖는 홍삼 혼합 조성물
KR100703180B1 (ko)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질환의 예방 및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
KR20150015305A (ko) 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099147B1 (ko) 어수리 지하부 및 사상자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17948B1 (ko)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534142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이용한 대사성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303306B1 (ko) 으름덩굴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증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2517944B1 (ko)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0569089B1 (ko) 뇌기능 및 인지 기능 개선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20030021667A (ko)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KR100677949B1 (ko) 당뇨 기능성 음료
KR101293835B1 (ko) 황기 및 차전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00089910A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및 당뇨성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685472B1 (ko) 식초 가공 인삼제제를 이용한 제2형 당뇨병과대사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9990073386A (ko) 사상체질음료의개발
KR100642801B1 (ko) 한약재와 배 추출물을 배합한 항당뇨 식품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KR102217732B1 (ko) 조기성숙 가성 유방 발달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060030575A (ko)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갑상선기능 항진증의 예방 및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561751B1 (ko) Blb301(블랙라즈베리 및 속단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WO2024005224A1 (ko) 솔잎을 포함한 식물 잎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0551564B1 (ko) 인삼으로부터 분리된 사포닌 유도체를 함유하는 알레르기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2007276B1 (ko) 감초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