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9910A -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및 당뇨성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및 당뇨성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9910A
KR20100089910A KR1020090009082A KR20090009082A KR20100089910A KR 20100089910 A KR20100089910 A KR 20100089910A KR 1020090009082 A KR1020090009082 A KR 1020090009082A KR 20090009082 A KR20090009082 A KR 20090009082A KR 20100089910 A KR20100089910 A KR 20100089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perlipidemia
extract
mixed herbal
cholesterol
phalan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9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창주
구교철
오수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파마펙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파마펙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파마펙스
Priority to KR1020090009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9910A/ko
Priority to PCT/KR2010/000613 priority patent/WO2010090423A2/en
Publication of KR20100089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99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61K36/605Morus (mul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 A61K36/815Lycium (desert-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4Dioscoreaceae (Yam family)
    • A61K36/8945Dioscorea, e.g. yam, Chinese yam or water y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Abstract

본 발명은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및 당뇨성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상백피, 지골피, 산약 및 금은화의 혼합 생약 추출물은 스트렙토조토신(streptozotocin) 유발 당뇨성 고지혈증 동물모델 및 제 2형 당뇨 동물모델(KK/Ay)에서 혈중 글루코오스,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리드 수치를 감소시키는 바, 고지혈증 및 당뇨성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이용될 수 있다.
상백피, 지골피, 산약, 금은화, 고지혈증, 당뇨성 고지혈증, 글루코오스,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리드

Description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및 당뇨성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mposition comprising the mixed herbal extract for preventing and treating hyperlipidemia and diabetic hyperlipidemia}
본 발명은 상백피, 지골피, 산약 및 금은화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및 당뇨성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당뇨병 치료제 기술”, 한국기술은행, pp.1-10, 2005
[문헌 2] 한국기술거래소, 당뇨병 치료제, pp.1-32, 2004
[문헌 3] 대한 당뇨병학회, pp.443-452, 2003
[문헌 4] Malmberg K. et al., Circulation, 102, pp.1014-1019, 2000
[문헌 5] “고지혈증 치료제의 개발동향”,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05
[문헌 6] “Statin-Related Muscle Toxicity", Clinical Pharmacology, 3(10), pp.554-560, 2003
[문헌 7] European Heart Journal, 28, pp.88-136, 2007
[문헌 8] 식품 database, 식약청, http://herbmed.kfda.go.kr/
[문헌 9] Kor. J. Pharmacogn., 29(1), pp.1-7, 1998
[문헌 10] J. Kor. Oriental pediatrics, 19(2), pp.175-195, 2005
[문헌 11] Kor. J. Oriental P&P., 21(4), pp.934-939, 2007
[문헌 12] 중약대사전, pp.3929-3933, 1997
[문헌 13] J. Kor. Soc. Appl. Biol. Chem, 45(4), pp.218-222
[문헌 14] 중약대사전, pp.2067-2071, 1997
[문헌 15] 신동의보감, pp.212-213, 2003
[문헌 16] J. Ori. O&G, 20(2), pp.137-146, 2007
[문헌 17] Kor. J. oriental preventive medical society, 7(1), pp.55-66, 2003
[문헌 18] Kor. J. Ori. Preventive Medical Prescription, 14(1), pp.168-175
[문헌 19] Kor. J. Ori. P&P., 19(2), pp.481-489, 2005
[문헌 20] Kor. J. Ori. Med., 24(3), pp.145-154, 2003
[문헌 21] Kor. J. Pharmacogn., 30(3), pp.261-268
[문헌 22] Kor. J. Pharmacogn., 29(1), pp.22-27, 1998
[문헌 23] J. Applied Pharmacology, 10, pp.32-36, 2002
당뇨병은 심각한 만성대사 질환으로서 인슐린 분비와 작용 여부에 따라 크게 제 I형 당뇨와 제 II형 당뇨로 나뉜다. 제 I형 당뇨는 인슐린 의존형으로서 췌장 베타 세포가 파괴되어 인슐린 분비가 불가능하여 고혈당을 초래하며, 제 II형 당뇨는 인슐린 비의존형으로서 인슐린 저항성과 인슐린 분비 장애에 의해 발병된다. 그 중 제 II형 당뇨가 현재 당뇨 환자의 85%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당뇨병 치료제 기술”, 한국기술은행, pp.1-10, 2005).
최근 급성장한 산업경제와 고령화 인구 증가 및 서구화된 식생활, 생활 습관의 변화로 인하여 당뇨병 환자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2000년을 기준으로 전 세계적으로 1억 7천 백 만 명의 당뇨 환자가 존재하며 앞으로 2030년까지 매년 20~30만 명씩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또한, 국내의 경우도 2004년을 기준으로 당뇨병 환자수가 400만 명을 넘었으며, 앞으로 2025년에는 약 680만 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추정된다(한국기술거래소, 당뇨병 치료제, pp.1-32, 2004).
당뇨병 환자의 증가는 의학적, 사회경제적으로 우리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 실제로 2003년 한 해 동안 20~79세 전 국민 건강보험 총 진료비 중에서 당뇨병 환자 치료에 소요되는 비용이 3조 2천 억 원으로 19.25%를 차지해 국가적, 사회적으로 막대한 손실을 나타내고 있어 당뇨병의 치료제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대한 당뇨병학회, pp.443-452, 2003).
당뇨병은 고혈당이 만성으로 지속되면서 당 대사 이상 뿐 아니라 망막증이나 신장질환, 고혈압을 비롯하여 동맥경화 또는 고지혈증과 같은 심혈관 질환을 합병증으로 수반되기 때문에 심각성이 크다. 특히, 여러 합병증 중에서도 고지혈증에 의한 심혈관 질환은 사망률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원인이 된다. 실제로, 고지혈증은 다른 합병증에 비하여 사망률을 2~3배가량 증가시키며, 당뇨 환자의 사망 원인 중 75%를 차지한다. 또한,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NECP)의 Adult Treatment Panel(ATP) III에서는 당뇨병 환자의 지질 위험도를 관동맥질환자와 대등하게 평가하여 지질대사 개선을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있다(Malmberg K. et al., Circulation, 102, pp.1014-1019, 2000). 따라서 당뇨병의 치료는 혈당강하 뿐 아니라 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가 동시에 이루어져야 하며, 그 중에서도 사망원인으로 우위를 차지하는 심혈관계 질환인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가 필수적이다.
심혈관계 질환이란 심장 및 혈관계에 이상이 온 것으로서 심장질환, 대동맥과 같은 중심혈관 및 말초혈관의 질환을 포함한다. 심혈관계의 여러 원인 중 고지혈증은 크게 일차성 고지혈증과 이차성 고지혈증으로 나뉘며, 그 중 일차성 고지혈증은 유전성 질환으로 가족성 복합형 고지혈증, 다유전자성 고지혈증 등이 이에 속한다. 한편 이차성 고지혈증은 생활양식이나 복용중인 약제, 기타 질병에 의해 나타나고 당뇨병성 고지혈증은 이차성 고지혈증에 포함된다. 혈중 콜레스테롤 200㎎/㎗ 초과하며, LDL콜레스테롤이 100㎎/㎗ 이상이고, 중성지방 수치가 200㎎/㎗ 이상일 때를 말한다(“고지혈증 치료제의 개발동향”,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05).
고지혈증의 현행약물로는 크게 콜레스테롤의 생합성 저해제와 콜레스테롤의 흡수억제제로 나눌 수 있으며, 그 종류로는 스타틴계, 피브레이트계, ACAT저해제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스타틴계 약물은 간세포의 콜레스테롤 생합성 효소를 저해하는 기전으로 가장 많은 종류의 약물이 있고, 고지혈증 치료제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 중, 화이자의 ‘Lipitor®' 는 2005년을 기준으로 국내 고지혈증 치료제 시장에서 38.26%의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스타틴 계 약물을 비롯한 고지혈증의 현행 약물은 안전성 문제로 끊임없이 문제가 제기 되고 있으며, 특히, 스타틴 계에 의한 근육장애는 근통, 근력의 저하, 보행 장애, 저림 등 근육이 굳어지는 증상을 초래한다(“고지혈증 치료제의 개발동향”,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05; “Statin-Related Muscle Toxicity", Clinical Pharmacology, 3(10), pp.554-560, 2003).
LDL 콜레스테롤 수치가 1mmol/ℓ(38.7㎎/㎗) 증가할 시에 고지혈증을 비롯한 심혈관 질환의 발병율이 57% 증가하며, HDL 콜레스테롤의 수치가 0.1mmol/ℓ(4㎎/㎗) 감소할 시에 심혈관 질환율이 15% 증가하게 된다. 또한 중성지방의 1mmol/ℓ(89㎎/㎗) 증가는 여성의 경우 76%, 남성의 경우 32%의 심혈관 질환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높은 중성지방의 수치와 낮은 HDL 콜레스테롤의 수치 및 LDL 콜레스테롤의 증가는 고지혈증을 비롯한 심혈관 질환 발병률과 비례하며 2형 당뇨 환자의 경우 더 높은 발병률을 초래한다. 이는 2형 당뇨병을 비롯한 당뇨환자의 고혈당의 산화 스트레스가 증가하게 되면, 중성지방의 점진적인 증가와 지단백의 산화 및 당화가 증가되고, 지단백 표면의 유리 콜레스테롤이 증가하며, 인지질은 이상지질혈 증이나 동맥경화증을 유발하는 인자로 작용하게 되기 때문이다(European Heart Journal, 28, pp.88-136, 2007).
상백피(桑白皮: Mori Cortex Radicis)는 뽕나무 뿌리 껍질로서 두께는 1-4mm이며 외표면은 백색 또는 담황백색으로 비교적 평탄하고 황색 또는 황갈색의 비늘무늬가 있다. 성(性)은 한(寒)하고 미(味)는 감(甘)하다. 주요 성분으로는 아데닌(adenine), 베타인(betaine), 펙틴(pectin)이다. 주치병증으로는 소담(消痰), 해갈(解渴), 혈압강하(血壓降下)에 사용되며 이뇨작용이 있어서 소변이 잘 나오지 않을 때 쓰이며 부기를 가라앉히고, 천식을 연발하는 증상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식품 database, 식약청, http://herbmed.kfda.go.kr/). 상백피에 대한 연구는 항균, 항알러지, 항산화 및 발모 등에 다양한 효능연구가 보고된 바 있으며, 그 중 항알러지 효능 연구에 대한 보고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Kor. J. Pharmacogn., 29(1), pp.1-7, 1998; J. Kor. Oriental pediatrics, 19(2), pp.175-195, 2005; Kor. J. Oriental P&P., 21(4), pp.934-939, 2007).
지골피(地骨皮: Licii Radicis Cortex)는 구기자 나무의 뿌리껍질로서 우리나라 각처의 인가부근이나 길가에 심는 낙엽관목이다. 키는 1-4cm정도 이며 가지 끝은 늘어지고 짧은 가지는 흔히 가시로 변형된다. 성(性)은 한(寒)하고 미(味)는 감(甘)하다. 주요 성분으로는 베타인(betaine), 리놀레산(linoleic acid)이다. 효능으로는 면역증강작용과 강장제로 사용되며, 소갈(消渴), 요혈(尿血), 신풍(腎風)에 유효하다. 또한 혈당을 저하시키고 심혈관계통에 작용을 하여 혈압강하 효능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중약대사전, pp.3929-3933, 1997). 지골피에 대한 효과 연구에는 항산화 및 항우울증에 대한 보고가 이루어지고 있다. 자외선 B조사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시킨 쥐에 지골피 물 추출물을 도포하였을 때 이에 따른 지질과산화 억제 정도를 평가한 결과 용량 의존적으로 지질과산화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입증한 바 있다(J. Kor. Soc. Appl. Biol. Chem, 45(4), pp.218-222).
산약(山藥: Dioscoreae Rhisoma)은 마 또는 참마의 주피를 제거한 뿌리줄기로서 길이는 5-10cm, 폭은 2-5cm이며 녹색 털이 없고, 잎 겨드랑이에 육아가 생긴다. 성(性)은 온(溫)하고 미(味)는 감(甘)하다. 주요 성분으로는 사포닌(saponin), 뮤신(mucin), 아르기닌(arginine), 알란토인(allantoin), 아밀라아제(amylase), 콜린(choline)이다. 주치병증으로는 청열(淸熱), 보허(補虛), 익신(益腎), 소갈(消渴), 이명(耳鳴), 소변빈삭(小便頻數)에 사용하였다(중약대사전, pp.2067-2071, 1997; 신동의보감, pp.212-213, 2003). 또한, 자양강장으로 전신쇠약, 병후 쇠약에 쓰이며, 비위가 약하고 입맛이 없으며 설사 할 때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식약청, http://herbmed.kfda.go.kr/). 산약에 대한 효능 연구는 항산화, 골다공증 치료 및 정자운동성 촉진 등에 대한 보고가 이루어지고 있다. HeLa cell에 산약 물 추출물을 처리한 후 항산화 효과와 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J. Ori. O&G, 20(2), pp.137-146, 2007), 에스트로겐을 결핍 시킨 동물 모델에서 산약 추출물이 골다공증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등 다양한 효능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Kor. J. oriental preventive medical society, 7(1), pp.55-66, 2003; Kor. J. Ori. Preventive Medical Prescription, 14(1), pp.168-175).
금은화(金銀化: Lonicerae Flos)는 인동덩굴에서 기원하였으며, 이명으로는 인동화로 불리운다. 작은 막대 또는 깔대기 모양을 한 꽃봉오리와 흔히 입술모양의 꽃이 섞여 있고 길이는 15-35mm이다. 주요 성분으로는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베타-카로틴(β-carotene), 알파-테르피네올(alpha-terpineol), 아피제닌(apigenin) 등이 포함된다. 효능에는 혈청 콜레스테롤을 일정하게 내리고, 실험성 궤양에 가벼운 예방효과를 보이며, 항균작용과 항염증 작용이 있어서 염증의 증식을 억제시키면서 해열작용과 백혈구의 탐식 작용을 촉진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청열, 해독, 청서, 양혈, 소풍에 사용되어져왔다(식약청, http://herbmed.kfda.go.kr/). 금은화에 대한 효과 연구에는 인간 기관지 상피세포 또는 Raw 264.7 cell을 이용한 항염증(Kor. J. Ori. P&P., 19(2), pp.481-489, 2005; Kor. J. Ori. Med., 24(3), pp.145-154, 2003), 항알러지, 항균작용, 항암 및 간독성에 대한 연구가 보고 된 바 있다(Kor. J. Pharmacogn., 30(3), pp.261-268; Kor. J. Pharmacogn., 29(1), pp.22-27, 1998; J. Applied Pharmacology, 10, pp.32-36, 2002).
상기와 같이, 오랜 옛날부터 한방과 민간에서 특별한 독성이나 부작용 없이 사용되어온 상백피, 지골피, 산약 및 금은화 등에 대해서는 그 동안 과학적으로도 각각의 효능 및 독성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상기 생약으로 구성된 혼합 추출물의 고지혈증 및 당뇨성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대해서는 어떠한 연구 문헌이나 기타 자료가 없을 뿐만 아니라 연구 자체도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 유래의 고지혈증 및 당뇨성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효과를 갖는 조성물 연구에 주력한 결과, 상백피, 지골피, 산약 및 금은화의 혼합 생약 추출물이 스트렙토조토신(streptozotocin) 유발 당뇨성 고지혈증 동물모델 및 제 2형 당뇨 동물모델(KK/Ay)에서 혈중 글루코오스,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리드 수치를 감소시킴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상기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백피, 지골피 및 산약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및 당뇨성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혼합 생약에 금은화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및 당뇨성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상기 혼합 생약의 바람직한 배합 중량비는 상백피 : 지골피 : 산약 = 1 : 0.1~10 : 0.1~10, 바람직하게는 상백피 : 지골피 : 산약 = 1 : 0.1~5 : 0.1~5,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백피 : 지골피 : 산약 = 1 : 1~2 : 1~2 이고, 금은화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혼합 생약의 바람직한 배합 중량비는 상백피 : 지골피 : 산약 : 금은화 = 1 : 0.1~10 : 0.1~10 : 0.1~10, 바람직하게는 상백피 : 지골피 : 산약 : 금은화 = 1 : 0.1~5 : 0.1~5 : 0.1~5,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백피 : 지골피 : 산약 : 금은화 = 1 : 1~2 : 1~2 : 1~2로 배합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상기 추출물은 정제수를 포함한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수득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지골피 추출물은 건조된 지골피에 추출용매로서 정제수를 포함한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0% 에탄올을 시료 중량의 약 1 내지 20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4배를 넣어, 5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95℃에서 약 1시간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게는 2시간 내지 5시간 동안 냉침추출,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냉각 추출, 가열추출 등, 바람직하게는 환류냉각 추출법으로 1차 추출하고, 여액을 모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2차 추출한 후, 다시 여액을 모아 90 내지 110℃에서 농축하고, 건조 및 분쇄하여 지골피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상백피 추출물은 건조된 상백피를 상기 지골피 추출물과 동일한 방법으로 2회 추출한 후, 여액을 모아 90 내지 110℃에서 농축하고, 농축액에 80 내지 100% 에탄올을 4L 내지 10L 가하여 75% 에탄올액으로 만들고 12시간 이상 방치한 후, 상등액만 분리하고 농축, 건조 및 분쇄하여 상백피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산약 추출물은 건조된 산약에 추출용매로서 정제수를 포함한 물, C1 내지 C4 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물을 시료 중량의 약 1 내지 20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4배를 넣어, 80 내지 130℃,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10℃에서 1시간 내지 5시간, 바람직하게는 2시간 동안 냉침추출,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냉각 추출, 가열추출 등, 바람직하게는 환류냉각 추출법으로 1차 추출하고, 여액을 모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2차 추출한 후, 추출액을 90 내지 110℃에서 농축하고, 건조 및 분쇄하여 산약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금은화 추출물은 건조된 금은화를 상기 산약 추출물과 동일한 방법으로 1차 추출한 후, 추출액을 여과하여 여액을 모아 90 내지 110℃에서 농축하고, 농축액에 80 내지 100% 에탄올을 4L 내지 10L 가하여 75% 에탄올액으로 만들어 12시간 이상 침출시킨 후, 상등액만 분리하고 농축, 건조 및 분쇄하여 금은화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상백피, 지골피 및 산약의 혼합 생약 추출물은 상기에서 얻은 상백피 추출물, 지골피 추출물 및 산약 추출물을 상기 정의된 중량 배합비로 혼합하여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혼합 생약에 금은화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혼합 생약 추출물은 상기에서 얻은 상백피 추출물, 지골피 추출물, 산약 추출물 및 금은화 추출물을 상기 정의된 중량 배합비로 혼합하여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및 당뇨성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을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환자의 상태 및 질환의 종류 및 진행 정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 자체는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 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1일 0.01 g/kg 내지 5 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5 g/kg 내지 3 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백피, 지골피 및 산약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및 당뇨성 고지혈증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혼합 생약에 금은화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및 당뇨성 고지혈증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고지혈증 및 당뇨성 고지혈증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약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조물 또는 그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고지혈증 및 당뇨성 고지혈증의 예방 및 개선을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식품 조성물은 전체 식품 중량의 1 내지 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은 스트렙토조토신(streptozotocin) 유발 당뇨성 고지혈증 동물모델 및 제 2형 당뇨 동물모델(KK/Ay)에서 혈중 글루코오스,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리드 수치를 감소시키는 바, 고지혈증 및 당뇨 성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비교예, 참고예,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비교예, 참고예,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비교예, 참고예,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1. 비교 생약 추출물의 제조
1-1. 상백피 추출물의 제조
경동시장에서 구입한 상백피(Mori Cortex Radicis) 500g에 70% 에탄올 7L를 가하여 95℃에서 1차 추출 후 여과한 여액에 80% 에탄올 7L로 2차 추출한 후, 추출액을 105℃에서 농축하여 최종 농축액량이 1L가 되게 제조한다. 농축액에 95% 에탄올 4.5L을 가하여 75% 에탄올액으로 만들고 12시간 이상 방치한 후 상등액만 분리하여 농축한 뒤 60℃에서 서서히 건조한 후, 분쇄하여 건조분말 59.10g(수율 11.82%)을 수득하여 하기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1-2. 지골피 추출물의 제조
경동시장에서 구입한 지골피(Licii Radicis Cortex) 1000g에 70% 에탄올 10L를 넣고 95℃에서 2시간 동안 1차 추출하고, 여액을 모아 80% 에탄올 7L로 95℃에서 2 시간 동안 2차 추출한 후, 여액을 모아 105℃에서 농축하여 최종 농축액량이 1L가 되게 제조한다. 60℃에서 서서히 건조한 후, 분쇄하여 건조분말 71.1g(수율 15.25%)을 수득하여 하기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1-3. 산약 추출물의 제조
경동시장에서 구입한 산약(Dioscoreae Rhisoma) 500g에 물 7L를 가하여 105℃에서 2시간 2회 추출한 후, 추출액을 105℃에서 농축하여 최종 농축액량이 1L가 되게 제조한다. 농축액을 60℃에서 서서히 건조한 후, 분쇄하여 건조분말 10.2g(수율 20.40%)을 수득하여 하기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1-4. 금은화 추출물의 제조
경동시장에서 구입한 금은화(Lonicerae Flos ) 1000g에 물 10L를 가하여 105℃에서 2시간동안 1차 추출 후 추출액을 여과한 뒤 여액을 105℃에서 농축하여 1L의 농축액으로 제조한다. 농축액에 95% 에탄올 4.5L을 가하여 75% 에탄올액으로 만들고 12시간 이상 침출시킨 후 상등액만 분리하여 농축한 뒤 60℃에서 서서히 건조한 후, 분쇄하여 건조분말 170.72g(수율 18.26%)을 수득하여 하기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1. 혼합 생약 추출물의 제조
1-1. 혼합 생약 추출물 PAI-N1의 제조
상기 비교예 1에서 수득한 시료 중 상백피 추출물, 지골피 추출물 및 산약 추출물을 각각 중량대비 1:1:1의 비율로 혼합하여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수득하여 하기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이하, ‘PAI-N1’이라 명명함).
1-2. 혼합 생약 추출물 PAI-N2의 제조
상기 비교예 1에서 수득한 시료 중 상백피 추출물, 지골피 추출물, 산약 추출물 및 금은화 추출물을 각각 중량대비 1:1:1:1의 비율로 혼합하여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수득하여 하기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이하, ‘PAI-N2’이라 명명함).
참고예 1. 시약 및 실험동물의 준비
1-1. 시약 준비
시약은 스트렙토조토신(streptozotocin; SIGMA aldrich, USA), 글루코오스(Glucose; Glu; Stanbio Co.), 콜레스테롤(Cholesterol; CHO; Stanbio Co.), LDL-콜레스테롤(LDL-cholesterol; LDLc; Stanbio Co.), 트리글리세리드(Triglyceride; TG; Stanbio Co.) 및 아토르바스타틴(Atorvastatin; Pfizer, Gorecke AG Freiburg, Germany)을 각각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1-2. 실험동물 준비
스트렙토조토신 유발 당뇨성 고지혈증 모델을 위한 실험동물은 대한바이오링크㈜(충북 음성)에서 구입한 체중 200g 내외의 SD(Sparague-Dawley)계 수컷 랫트를 사용하였으며, 제 2형 당뇨 동물모델 실험동물은 Clea Japan, INC.에서 구입한 체중 30±10g 내외의 KK-Ay/TaJcl계 수컷을 사용하였고, 일반 고형사료(Harlan, Teklan. USA)와 고지방사료(AIN-76A, 피드랩), 음수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으며, 사육장의 온도는 21~24℃, 상대습도는 60% 내외로 유지하였다. 또한 12시간마다 낮과 밤이 반복되도록 사육장내 빛을 조절하여 1주일간 사육한 후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하기 표 1에 고지방사료(AIN-76A) 함유 조성을 나타내었다.
품명 수량
Casein 20㎏
DL-Methionine 0.3㎏
Corn Starch 15㎏
Sucrose 50㎏
Cellulose 5.0㎏
Corn oil 5.0㎏
Mineral Mix 3.5㎏
Vitamin Mix 1.0㎏
Choline bitrate 0.2㎏
Cholesterol 1.0㎏
Cholic acid 0.5㎏
합 계 101.5㎏
실험예 1. 스트렙토조토신 유발 당뇨성 고지혈증 동물모델에서 혼합 생약 추출물에 의한 당대사 및 지질대사 개선 효과
상기 비교예 및 실시예에서 수득한 추출물의 생체 내 즉, 스트렙토조토신 유발 당뇨성 고지혈증 동물모델에서 혈중 글루코오스,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리드의 농도 저하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혈액생화학적 검사를 하기와 같이 실시하였다.
상기 참고예 1-2에서 준비한 SD계 랫트를 각 군 당 10마리로 하여 정상군, 대조군, 실험군 및 아토르바스타틴(Atorvastatin)섭취군으로 군을 구성하였다.
정상군을 제외한 대조군과 실험군 및 아토르바스타틴섭취군에 대하여 고지방사료를 3주간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한 후, 3주 후에 스트렙토조토신을 각각 20mg/kg 용량으로 1일 1회, 3일간 복강투여하였다. 질환 유발을 혈청 내의 글루코오스 수치(350mg/dL ± 10 이상)와 콜레스테롤 수치(550mg/dL ± 10 이상)로 판단하였으며, 콜레스테롤 수치(750mg/dL ± 10)를 기준으로 군을 재분리하였다.
1-1. 비교 생약 추출물의 당대사 개선 효과
상기 비교예 1-1 내지 1-4에서 수득한 상백피, 지골피, 산약 및 금은화 추출물 각각 50㎎/㎏ 용량으로 설정하고 식염수 2㎖/마리의 투여량을 결정하여 현탁시켜 상기에서 준비한 실험군 및 아토르바스타틴섭취군에 4주간 0.3㎎/kg/day용량으로 각각 경구투여하였고, 동시에 대조군과 정상군은 식염수만 2㎖/마리/day용량으로 투여하였다. 약물투여 4주 후에 복대정맥을 통하여 채혈하여 3000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한 후, BT2000+(SEAC Co.)을 이용하여 혈중 글루코오스,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리드 농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표 2 및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상군의 경우 134±10.0 mg/㎗의 콜레스테롤 수치를 보인 반면, 스트렙토조토신 투여에 의해 대조군은 1222.2±59.4 mg/㎗로 증가하였다. 증가된 글루코오스 수치는 4주간의 상백피, 지골피, 산약 및 금은화 추출물의 투여에 의해 각각 930±61.5 mg/㎗, 620±56.4 mg/㎗, 605±72.0 mg/㎗ 및 861±31.5 mg/㎗수준으로 감소하였고, 아토르바스타틴섭취군은 517.6±65.4 mg/㎗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산약, 지골피, 금은화, 상백피 순으로 콜레스테롤 농도 저하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표 2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상군의 경우 88±4.0 mg/㎗의 글루코오스 수치를 보인 반면, 스트렙토조토신 투여에 의해 대조군은 639.6±59.4 mg/㎗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스트렙토조토신 투여로 증가된 글루코오스 수치는 4주간의 상백피, 지골피, 산약 및 금은화 추출물의 투여에 의해 각각 430±63.8 mg/㎗, 465±51.2 mg/㎗, 487±45.9 mg/㎗ 및 501±58.6 mg/㎗수준으로 감소하였다.
㎎/㎗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리드 글루코오스
정상군 134±10.0 51.3±1.4 60.3±2.1 88±4.0
대조군 1222.2±59.4 347.5±18.5 241±17.6 639.6±59.4
상백피 930±61.5 322±20.6 210±12.6 430±63.8
지골피 620±56.4 253±32.4 195±24.7 465±51.2
산약 605±72.0 301±28.6 188±11.3 487±45.9
금은화 861±31.5 264±38.4 170±17.4 501±58.6
아토르바스타틴 섭취군 517.6±65.4 220.6±42.7 163.6±22.9 613.6±62.4
1-2. 혼합 생약 추출물의 당대사 개선 효과(PAI-N1)
상기 실시예 1-1에서 수득한 상백피, 지골피 및 산약의 혼합 생약 추출물(PAI-N1) 50㎎/㎏ 용량으로 설정하고 식염수 2㎖/마리의 투여량을 결정하여 현탁시켜 상기에서 준비한 실험군 및 아토르바스타틴섭취군에 4주간 0.3㎎/kg/day용량으로 각각 경구투여하였고, 동시에 대조군과 정상군은 식염수만 2㎖/마리/day용량으로 투여하였다. 약물투여 4주 후에 복대정맥을 통하여 채혈하여 3000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한 후, BT2000+(SEAC Co.)을 이용하여 혈중 글루코오스,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리드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표 3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상군의 경우 134±10.0 mg/㎗의 콜레스테롤 수치를 보인 반면, 스트렙토조토신 투여에 의해 대조군은 1222.2±59.4 mg/㎗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스트렙토조토신 투여로 증가된 콜레스테롤 수치는 4주간의 상백피, 지골피 및 산약의 혼합 생약 추출물(PAI-N1)의 투여에 의해 463.5±29.5 mg/㎗수준으로, 대조군과 비교하여 콜레스테롤 농도 저하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대표적 고지혈증 치료약물로 널리 알려진 아토르바스타틴섭취군(517.6±65.4 mg/㎗) 보다도 우수한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 저하 활성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표 3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상군의 경우 88±4.0 mg/㎗의 글루코오스 수치를 보인 반면, 스트렙토조토신 투여에 의해 대조군은 639.6±59.4 mg/㎗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스트렙토조토신 투여로 증가된 글루코오스 수치는 4주간의 상백피, 지골피 및 산약의 혼합 생약 추출물(PAI-N1)의 투여에 의해 423.8±58.2 mg/㎗수준으로 감소하였다.
1-3. 혼합 생약 추출물의 당대사 개선 효과(PAI-N2)
상기 실시예 1-2에서 수득한 상백피, 지골피, 산약 및 금은화의 혼합 생약 추출물(PAI-N2) 50㎎/㎏ 용량으로 설정하고 식염수 2㎖/마리의 투여량을 결정하여 현탁시켜 상기에서 준비한 실험군 및 아토르바스타틴섭취군에 4주간 0.3㎎/kg/day용량으로 각각 경구투여하였고, 동시에 대조군과 정상군은 식염수만 2㎖/마리/day용량으로 투여하였다. 약물투여 4주 후에 복대정맥을 통하여 채혈하여 3000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한 후, BT2000+(SEAC Co.)을 이용하여 혈중 글루코오스,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리드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표 3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상군의 경우 134±10.0 mg/㎗의 콜레스테롤 수치를 보인 반면, 스트렙토조토신 투여에 의해 대조군은 1222.2±59.4 mg/㎗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스트렙토조토신 투여로 증가된 콜레스테롤 수치는 4주간의 상백피, 지골피, 산약 및 금은화의 혼합 생약 추출물(PAI-N2) 투여에 의해 439.5±63.8 mg/㎗수준으로, 상기 비교예에서 수득한 상백피, 지골피, 산약 또는 금은화 추출물을 각각 투여한 군 및 실시예 1-1에서 수득한 상백피, 지골피 및 산약의 혼합 생약 추출물(PAI-N1)을 투여한 군보다도 우수한 콜레스테롤 농도 저하 활성을 나타내었고, 이는 대표적 고지혈증 치료약물로 널리 알려진 아토르바스타틴섭취군(517.6±65.4 mg/㎗)과 비교하여 우수한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 저하 활성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트리글리세리드 농도 역시 4주간의 상백피, 지골피, 산약 및 금은화의 혼합 생약 추출물(PAI-N2) 투여에 의해 현저하게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표 3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상군의 경우 88±4.0 mg/㎗의 글루코오스 수치를 보인 반면, 스트렙토조토신 투여에 의해 대조군은 639.6±59.4 mg/㎗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스트렙토조토신 투여로 증가된 글루코오스 수치는 4주간의 상백피, 지골피, 산약 및 금은화의 혼합 생약 추출물(PAI-N2)의 투여에 의해 310.5±60.4 mg/㎗수준으로 감소하였다.
㎎/㎗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리드 글루코오스
정상군 134±10.0 51.3±1.4 60.3±2.1 88±4.0
대조군 1222.2±59.4 347.5±18.5 241±17.6 639.6±59.4
PAI-N1 463.5±29.5 225±29.7 163.5±13.6 423.8±58.2
PAI-N2 439.5±63.8 205.8±43.9 94.3±14.5 310.5±60.4
아토르바스타틴 섭취군 517.6±65.4 220.6±42.7 163.6±22.9 613.6±62.4
실험예 2. 제 2형 당뇨 동물모델에서 혼합 생약 추출물에 의한 당대사 및 지질대사 개선 효과
상기 비교예 및 실시예에서 수득한 추출물의 생체 내 즉, 제 2형 당뇨 동물모델(KK/Ay)에서 혈중 글루코오스,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리드의 농도 저하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혈액생화학적 검사를 하기와 같이 실시하였다.
상기 참고예 1-2에서 준비한 KK/Ay 실험동물을 각 군 당 6마리로 하여 정상군, 대조군, 실험군 및 아토르바스타틴섭취군으로 군을 구성하였다.
정상군을 제외한 대조군과 실험군 및 아토르바스타틴섭취군에 대하여 고지방사료를 3주간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3주 후에 혈당측정기(Accu-chek Go, Roche)를 이용하여 혈당을 측정하였으며, 글루코오스 수치 381.2±5.7mg/dL를 기준으로 군을 재분리하였다.
상기 실시예 1-1 및 1-2에서 수득한 혼합 생약 추출물 PAI-N1 및 PAI-N2 각각 50㎎/㎏ 용량으로 설정하고 식염수 2㎖/마리의 투여량을 결정하여 현탁시켜 상기에서 준비한 실험군 및 아토르바스타틴섭취군에 4주간 0.3㎎/kg/day용량으로 각각 경구투여하였고, 동시에 대조군과 정상군은 식염수만 2㎖/마리/day용량으로 투여하였다. 약물투여 4주 후에 부검을 통하여 복대정맥에서 채혈하여 3000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한 후, BT2000+(SEAC Co.)을 이용하여 혈중 글루코오스,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리드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상군의 경우 98±3.9 mg/㎗의 콜레스테롤 수치를 보인 반면, 대조군은 250±12.5 mg/㎗로 증가하였다. 증가된 콜레스테롤 수치는 4주간의 PAI-N1 및 PAI-N2를 각각 투여함에 따라 200±23.1 mg/㎗ 및 157±16.3 mg/㎗의 수준으로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PAI-N2의 경우, 아토르바스타틴섭취군(148±15.4 mg/㎗)과 비슷한 수준의 콜레스테롤 농도 저하 활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리드 글루코오스
정상군 98±3.9 50.15±3.1 66±1.2 88.4±4.0
대조군 250±12.5 230.2±17.6 98.5±18.5 650.3±15.1
PAI-N1 200±23.1 163.5±13.6 75±9.7 419.5±26.3
PAI-N2 157±16.3 94.3±14.5 60.8±13.9 483.0±17.6
아토르바스타틴 섭취군 148±15.4 98.5±22.9 63.0±22.7 621.0±10.5
하기에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PAI-N1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PAI-N2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PAI-N1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PAI-N2 1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PAI-N1 2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 식품의 제조
PAI-N2 10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PAI-N1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도 1은 스트렙토조토신 유발 당뇨성 고지혈증 동물모델에서 비교예 1-1 내지 1-4의 상백피, 지골피, 산약 및 금은화 추출물 각각에 대한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 변화를 나타낸 도이고,
도 2는 스트렙토조토신 유발 당뇨성 고지혈증 동물모델에서 비교예 1-1 내지 1-4의 상백피, 지골피, 산약 및 금은화 추출물 각각에 대한 혈중 글루코오스 수치 변화를 나타낸 도이며,
도 3은 스트렙토조토신 유발 당뇨성 고지혈증 동물모델에서 실시예 1-1 및 1-2의 상백피, 지골피, 및 산약의 혼합 생약 추출물 PAI-N1 및 PAI-N2에 대한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 변화를 나타낸 도이고,
도 4는 스트렙토조토신 유발 당뇨성 고지혈증 동물모델에서 실시예 1-1 및 1-2의 상백피, 지골피, 및 산약의 혼합 생약 추출물 PAI-N1 및 PAI-N2에 대한 혈중 글루코오스 수치 변화를 나타낸 도이며,
도 5는 스트렙토조토신 유발 당뇨성 고지혈증 동물모델에서 실시예 1-1 및 1-2의 상백피, 지골피, 및 산약의 혼합 생약 추출물 PAI-N1 및 PAI-N2에 대한 혈중 트리글리세리드 수치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Claims (10)

  1. 상백피, 지골피 및 산약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및 당뇨성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생약의 배합 중량비는 상백피 : 지골피 : 산약 = 1 : 0.1~10 : 0.1~10 인 약학조성물.
  3. 제 1항의 혼합 생약에 금은화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및 당뇨성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금은화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혼합 생약의 배합 중량비는 상백피 : 지골피 : 산약 : 금은화 = 1 : 0.1~10 : 0.1~10 : 0.1~10 인 약학조성물.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정제수를 포함한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인 약학조성물.
  6. 상백피, 지골피 및 산약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및 당뇨성 고지혈증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생약의 배합 중량비는 상백피 : 지골피 : 산약 = 1 : 0.1~10 : 0.1~10인 건강기능식품.
  8. 제 6항의 혼합 생약에 금은화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및 당뇨성 고지혈증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금은화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혼합 생약의 배합 중량비는 상백피 : 지골피 : 산약 : 금은화 = 1 : 0.1~10 : 0.1~10 : 0.1~10인 건강 기능식품.
  10. 제 6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건강기능식품.
KR1020090009082A 2009-02-05 2009-02-05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및 당뇨성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0008991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082A KR20100089910A (ko) 2009-02-05 2009-02-05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및 당뇨성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CT/KR2010/000613 WO2010090423A2 (en) 2009-02-05 2010-02-02 Composition comprising combined crude drug extract for preventing and treating hyperlipidemia and diabetic hyperlipidemi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082A KR20100089910A (ko) 2009-02-05 2009-02-05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및 당뇨성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9910A true KR20100089910A (ko) 2010-08-13

Family

ID=42542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9082A KR20100089910A (ko) 2009-02-05 2009-02-05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및 당뇨성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00089910A (ko)
WO (1) WO2010090423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7375A (ko) 2014-08-29 2016-03-10 주식회사 하원제약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27374A (ko) 2014-08-29 2016-03-10 주식회사 하원제약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298743A (en) * 2020-06-02 2023-02-01 Univ Florida Formula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diarrhea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6180B1 (ko) * 2001-12-24 2005-10-20 주식회사 닥터즈메디코아 항고지혈증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7375A (ko) 2014-08-29 2016-03-10 주식회사 하원제약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27374A (ko) 2014-08-29 2016-03-10 주식회사 하원제약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0493120B2 (en) 2014-08-29 2019-12-03 Hawon Pharm. Corporatio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hyperlipidemi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90423A2 (en) 2010-08-12
WO2010090423A3 (en) 201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57368A (ko) 간경변, 세포 독성 개선 및 간손상 억제 활성을 갖는 혼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829057B1 (ko) 프로폴리스와 한약재를 배합한 혈당저하 식품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Jalili et al. An overview of therapeutic potentials of Taraxacum officinale (dandelion): A traditionally valuable herb with a reach historical background
CN108813501A (zh) 具有清热润肺止咳化痰平喘和调节人体机能的养生蜂蜜膏
KR20100089910A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및 당뇨성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522579B1 (ko) 항스트레스 효과를 갖는 황금 및 오미자 혼합 추출물을함유하는 약학조성물
WO2016117705A1 (ja) 肝細胞増殖因子産出誘導剤
KR101910013B1 (ko) 한약재 추출물(socg)을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14431B1 (ko) 엉겅퀴, 민들레, 여주, 돼지감자, 양파, 꾸지뽕, 아로니아 및 생강을 포함하는 당뇨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016837B1 (ko) 금은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0685472B1 (ko) 식초 가공 인삼제제를 이용한 제2형 당뇨병과대사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569089B1 (ko) 뇌기능 및 인지 기능 개선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20140032961A (ko) 새콩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및 당뇨 합병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0760386B1 (ko) Acp 혼합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60059152A (ko) 엉겅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EP2155220B1 (en) Compositions comprising Herba Ephedrae and Thallus Laminariae seu Eckloniae for use in supressing obesity
KR100642801B1 (ko) 한약재와 배 추출물을 배합한 항당뇨 식품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KR101724587B1 (ko) 간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31373A (ko)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102517948B1 (ko)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496864B1 (ko) 갯대추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2493496B1 (ko) 천연물 유래의 간 손상 완화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039623B1 (ko) 간세포 보호용 엉겅퀴 과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77058B1 (ko) 황촉규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CN104799391A (zh) 一种乌龙茶茶多糖复合型减肥固体饮料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