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7944B1 -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 Google Patents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17944B1 KR102517944B1 KR1020220043120A KR20220043120A KR102517944B1 KR 102517944 B1 KR102517944 B1 KR 102517944B1 KR 1020220043120 A KR1020220043120 A KR 1020220043120A KR 20220043120 A KR20220043120 A KR 20220043120A KR 102517944 B1 KR102517944 B1 KR 1025179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root
- cancer
- fruit
- pharmaceutical composition
- Prior art date
Links
- 206010028980 Neoplasm Diseas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9000008194 pharmaceutical composition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5000013376 functional food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5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41000411851 herbal medicine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41000675108 Citrus tangerin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44000025254 Cannabis sativ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44000223760 Cinnamomum zeylanicu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5000017803 cinnamon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29940107666 astragalus root Drug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5000012766 Cannabis sativa ssp. sativa var. sativ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5000012765 Cannabis sativa ssp. sativa var. spontane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5000009120 camo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5000005607 chanvre indien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11487 hemp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41000332371 Abutilon x hybridu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5000002732 Allium cepa var. cep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5000003261 Artemisia vulgari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41000512259 Ascophyllum nodosu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5000000604 Chrysanthemum parthenium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41000212948 Cnidiu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5000009917 Crataegus X brevipe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5000013204 Crataegus X haemacarp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5000009685 Crataegus X malign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5000009444 Crataegus X rubrocarne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5000009486 Crataegus bullatu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5000017181 Crataegus chrysocarp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5000009682 Crataegus limnophil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40000000171 Crataegus monogyn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5000004423 Crataegus monogyn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5000002313 Crataegus paludos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5000009840 Crataegus x incaedu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40000004670 Glycyrrhiza echinat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5000001453 Glycyrrhiza echinat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5000006200 Glycyrrhiza glabr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5000017382 Glycyrrhiza lepidot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5000000802 Leonurus cardiaca ssp. villosu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44000241838 Lycium barbaru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5000015459 Lycium barbarum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GXCLVBGFBYZDAG-UHFFFAOYSA-N N-[2-(1H-indol-3-yl)ethyl]-N-methylprop-2-en-1-amine Chemical compound CN(CCC1=CNC2=C1C=CC=C2)CC=C GXCLVBGFBYZDAG-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5000006140 Raphanu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40000008042 Zea may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5000003373 curcuma long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29940010454 licorice Drug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44000291564 Allium cep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2
- 240000007890 Leonurus cardiac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2
- 244000088415 Raphanus sativu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2
- 206010009944 Colon cancer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5000009051 Ambrosia paniculata var. peruvian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5000003097 Artemisia absinthi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40000001851 Artemisia dracuncul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5000017731 Artemisia dracunculus ssp. dracunculu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5000003392 Curcuma domestic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40000004371 Panax ginseng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5000005035 Panax pseudoginseng ssp. pseudoginseng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5000003140 Panax quinquefoliu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5000005824 Zea mays ssp. parviglum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5000002017 Zea mays subsp may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1138 artemisia absinthiu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5000005822 corn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5000008434 ginseng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29940107131 ginseng root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KDYFGRWQOYBRFD-UHFFFAOYSA-N succin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O)=O KDYFGRWQOYBRF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5000013976 turmeric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08000001333 Colorectal Neoplasm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41000207923 Lamiacea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44000061520 Angelica archangelic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01287 Guettarda specios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44000201986 Cassia tor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14552 Cassia tor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41000218645 Cedr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4000163122 Curcuma domestic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4000197975 Solidago virgaure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00914 Solidago virgaure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1000195955 Equisetum hyemale Species 0.000 claims 1
- 244000126002 Ziziphus vulgaris Species 0.000 claims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41000208688 Eucommia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41000282414 Homo sapiens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44000037364 Cinnamomum aromaticum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5000014489 Cinnamomum aromaticum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30833 cell death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5000008216 herbs Nutrition 0.000 abstract 3
- 240000000031 Achyranthes bidentata Species 0.000 abstract 1
- 240000001810 Angelica gigas Species 0.000 abstract 1
- 235000018865 Angelica gigas Nutrition 0.000 abstract 1
- 235000003826 Artemisia Nutrition 0.000 abstract 1
- 240000006891 Artemisia vulgaris Species 0.000 abstract 1
- 206010063659 Aversion Diseases 0.000 abstract 1
- 244000183685 Citrus aurantium Species 0.000 abstract 1
- 235000007716 Citrus aurantium Nutrition 0.000 abstract 1
- 241000756943 Codonopsis Species 0.000 abstract 1
- 240000009138 Curcuma zedoaria Species 0.000 abstract 1
- 235000003405 Curcuma zedoaria Nutrition 0.000 abstract 1
- 241000110637 Cuscuta chinensis Species 0.000 abstract 1
- 244000116484 Inula helenium Species 0.000 abstract 1
- 235000002598 Inula helenium Nutrition 0.000 abstract 1
- 241000729196 Lycopus lucidus Species 0.000 abstract 1
- 240000001341 Reynoutria japonica Species 0.000 abstract 1
- 235000018167 Reynoutria japonica Nutrition 0.000 abstract 1
- 235000017276 Salvia Nutrition 0.000 abstract 1
- 240000007164 Salvia officinalis Species 0.000 abstract 1
- 241000207929 Scutellaria Species 0.000 abstract 1
- 235000007244 Zea mays Nutrition 0.000 abstract 1
- 240000008866 Ziziphus nummularia Species 0.000 abstract 1
- 235000009052 artemisia Nutrition 0.000 abstract 1
- 229940089639 cornsilk Drugs 0.000 abstract 1
- 239000001215 curcuma longa l. root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9000001812 curcuma zedoaria berg. rosc.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9000002075 main ingredient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5000008113 selfheal Nutrition 0.000 abstract 1
- 235000019509 white turmeric Nutrition 0.000 abstract 1
- 239000001231 zea mays silk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5
- 239000012676 herbal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0
- 241001247821 Ziziphus Species 0.000 description 15
- 241000234282 All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0
- 241000207925 Leonu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0
- 241000220259 Raphanus Specie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29940124595 oriental medicine Drugs 0.000 description 10
- 235000008504 concent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7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7
- 244000008991 Curcuma longa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0000010261 cell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9 ethanolic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523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953 sens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5000013355 food flavor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1 for ex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546 pharmaceutical excip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1353 Dext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375 Dextr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41000283074 Equus asinus Species 0.000 description 4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41000122501 Hypericum x moserianum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08000005718 Stomach Neoplasms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20057 cognac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08000029742 colonic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425 dextr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06010017758 gastric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HQKMJHAJHXVSDF-UHFFFAOYSA-L magnesium stearate Chemical compound [Mg+2].CCCCCCCCCCCCCCCCCC([O-])=O.CCCCCCCCCCCCCCCCCC([O-])=O HQKMJHAJHXVSDF-UHFFFAOYSA-L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824 polypheno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755 preserva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01000011549 stomach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29940124597 therapeutic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4
- 206010003210 Arterioscle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6010058467 Lung neoplasm malignant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DNIAPMSPPWPWGF-UHFFFAOYSA-N Prop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CC(O)CO DNIAPMSPPWPWG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HEMHJVSKTPXQMS-UHFFFAOYSA-M Sod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Na+] HEMHJVSKTPXQMS-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CZMRCDWAGMRECN-UGDNZRGBSA-N Sucr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H]1[C@H](O)[C@@H](O)[C@H](O)[C@@H](CO)O1 CZMRCDWAGMRECN-UGDNZRGBSA-N 0.000 description 3
- 229930006000 Sucr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835 absorb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093 anti-cancer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8000011775 arteriosclerosi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4633 carbohyd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34994 death Effects 0.000 description 3
- MTHSVFCYNBDYFN-UHFFFAOYSA-N di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CCO MTHSVFCYNBDYF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39 emul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30003935 flavono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2215 flavono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7173 flavono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01000007270 liver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14018 liver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1000005202 lung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20816 lung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8442 polyphenol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5720 suc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826 tab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GUBGYTABKSRVRQ-XLOQQCSPSA-N Alpha-Lact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H]1[C@@H](CO)O[C@H](O)[C@H](O)[C@H]1O GUBGYTABKSRVRQ-XLOQQCSPSA-N 0.000 description 2
- 241001061264 Astragal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06187 Breast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6310 Breast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VTYYLEPIZMXCLO-UHFFFAOYSA-L Calc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a+2].[O-]C([O-])=O VTYYLEPIZMXCL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FBPFZTCFMRRESA-FSIIMWSLSA-N D-Glucitol Natural products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FSIIMWSLSA-N 0.000 description 2
- FBPFZTCFMRRESA-JGWLITMVSA-N D-gluc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JGWLITMV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144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86 Erythr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UNXHWFMMPAWVPI-UHFFFAOYSA-N Erythritol Natural products OCC(O)C(O)CO UNXHWFMMPAWVP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8000000461 Esophageal Neoplasm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RFSUNEUAIZKAJO-ARQDHWQXSA-N Fructose Chemical class OC[C@H]1O[C@](O)(CO)[C@@H](O)[C@@H]1O RFSUNEUAIZKAJO-ARQDHWQXSA-N 0.000 description 2
- 208000022072 Gallbladder Neoplasm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10803 Gelatin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2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6010019133 Hangove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GUBGYTABKSRVRQ-QKKXKWKRSA-N Lactose Natural products OC[C@H]1O[C@@H](O[C@H]2[C@H](O)[C@@H](O)C(O)O[C@@H]2CO)[C@H](O)[C@@H](O)[C@H]1O GUBGYTABKSRVRQ-QKKXKWKRSA-N 0.000 description 2
- 244000286695 Melinis minutiflora var. inerm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3445 Mouth Neoplasm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30155 Oesophageal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33128 Ovarian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61535 Ovarian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61902 Pancreatic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60862 Prostate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0236 Prostatic Neoplasm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5634 Rectal Neoplasm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0453 Skin Neoplasm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TVXBFESIOXBWNM-UHFFFAOYSA-N Xylitol Natural products OCCC(O)C(O)C(O)CCO TVXBFESIOXBWN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443 algi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615 algin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6 antineoplast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41181 antineoplastic drug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6533 astragal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WQZGKKKJIJFFOK-VFUOTHLCSA-N beta-D-gluc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O)[C@@H](O)[C@@H]1O WQZGKKKJIJFFOK-VFUOTHLCSA-N 0.000 description 2
- 201000006491 bone marrow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980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153 chemical reaction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85 dilu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4879 dioscor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95 emulsify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414 erythr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UNXHWFMMPAWVPI-ZXZARUISSA-N erythr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O UNXHWFMMPAWVPI-ZXZARUISSA-N 0.000 description 2
- 229940009714 erythritol Drugs 0.000 description 2
- 201000004101 esophageal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481 ethanol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091 fetal bovine ser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FTSSQIKWUOOEGC-RULYVFMPSA-N fructooligosaccharide Chemical compound OC[C@H]1O[C@@](CO)(OC[C@@]2(OC[C@@]3(OC[C@@]4(OC[C@@]5(OC[C@@]6(OC[C@@]7(OC[C@@]8(OC[C@@]9(OC[C@@]%10(OC[C@@]%11(O[C@H]%12O[C@H](CO)[C@@H](O)[C@H](O)[C@H]%12O)O[C@H](CO)[C@@H](O)[C@@H]%11O)O[C@H](CO)[C@@H](O)[C@@H]%10O)O[C@H](CO)[C@@H](O)[C@@H]9O)O[C@H](CO)[C@@H](O)[C@@H]8O)O[C@H](CO)[C@@H](O)[C@@H]7O)O[C@H](CO)[C@@H](O)[C@@H]6O)O[C@H](CO)[C@@H](O)[C@@H]5O)O[C@H](CO)[C@@H](O)[C@@H]4O)O[C@H](CO)[C@@H](O)[C@@H]3O)O[C@H](CO)[C@@H](O)[C@@H]2O)[C@@H](O)[C@@H]1O FTSSQIKWUOOEGC-RULYVFMPSA-N 0.000 description 2
- 229940107187 fructooligosaccharid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203 fruit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175 gallbladder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59 gela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73 gela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322 gelat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852 gelatine desser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12010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1000005787 hematologic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4200 hematopoietic and lymphoid system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737 immune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990 intravenous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01 la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2987 lip and oral cavity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359 magnesium stea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08000015486 malignant pancreatic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HEBKCHPVOIAQTA-UHFFFAOYSA-N meso ribitol Natural products OCC(O)C(O)C(O)CO HEBKCHPVOIAQT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755 miner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29 palatabili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01000002528 pancreatic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8443 pancreatic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766 physi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HELXLJCILKEWJH-NCGAPWICSA-N rebaudioside A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H]([C@@H]1O[C@H]1[C@@H]([C@@H](O)[C@H](O)[C@@H](CO)O1)O)O[C@]12C(=C)C[C@@]3(C1)CC[C@@H]1[C@@](C)(CCC[C@]1([C@@H]3CC2)C)C(=O)O[C@H]1[C@@H]([C@@H](O)[C@H](O)[C@@H](CO)O1)O)[C@@H]1O[C@H](CO)[C@@H](O)[C@H](O)[C@H]1O HELXLJCILKEWJH-NCGAPWICSA-N 0.000 description 2
- 206010038038 rectal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1000001275 rectum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488 sampl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1000000849 skin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00 sorb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356 sorb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920 subcutaneous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188 syru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357 syrup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54 tal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623 tal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222 talc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233 talus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description 2
- 229930003231 vitam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80 wet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447 xyl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11 xyl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HEBKCHPVOIAQTA-SCDXWVJYSA-N xyl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O HEBKCHPVOIAQTA-SCDXWVJYSA-N 0.000 description 2
- 229960002675 xylitol Drugs 0.000 description 2
- TUSDEZXZIZRFGC-UHFFFAOYSA-N 1-O-galloyl-3,6-(R)-HHDP-beta-D-glucose Natural products OC1C(O2)COC(=O)C3=CC(O)=C(O)C(O)=C3C3=C(O)C(O)=C(O)C=C3C(=O)OC1C(O)C2OC(=O)C1=CC(O)=C(O)C(O)=C1 TUSDEZXZIZRFG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WEGMIWEEQEYGQ-UHFFFAOYSA-N 100676-05-9 Natural products OC1C(O)C(O)C(CO)OC1OCC1C(O)C(O)C(O)C(OC2C(OC(O)C(O)C2O)CO)O1 OWEGMIWEEQEYG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215068 Acacia senegal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491 Acacia seneg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901 Anxiet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11485 Aspartam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3645 Atop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724 Berberis vulg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068 Berberis vulga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JMGZEFIQIZZSBH-UHFFFAOYSA-N Bioquercetin Natural products CC1OC(OCC(O)C2OC(OC3=C(Oc4cc(O)cc(O)c4C3=O)c5ccc(O)c(O)c5)C(O)C2O)C(O)C(O)C1O JMGZEFIQIZZSB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83690 Bos tau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8091003079 Bovine Serum Album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44 Brain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00199 Cavia porcel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693 Cercopithec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289527 Cordyline terminal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091 Cordyline terminal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858 Cyclodext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KVTDHHQDSA-N D-Mann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KVTDHHQD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289 Dement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0401 Depressiv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438 Dermatitis atopic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LVGKNOAMLMIIKO-UHFFFAOYSA-N Elaidinsaeure-aethylester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CC LVGKNOAMLMIIK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83073 Equus cabal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63 FEMA 3042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12 FEMA 4601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326 Felis ca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91371 Fruct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15 Fru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7828 Gallus gal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78 Glycyrrhiz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84 Gum arab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1226 Hyperlipida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0772 Hyper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19 MTS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070 MTS assay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PICCSMPSSA-N Maltose Natural products O[C@@H]1[C@@H](O)[C@H](O)[C@@H](CO)O[C@@H]1O[C@@H]1[C@@H](CO)OC(O)[C@H](O)[C@H]1O GUBGYTABKSRVRQ-PICCSMPS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124008 Mammal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25 Mannito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699666 Mus <mouse, gen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589 Obes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3973 Oryctolagus cunicu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94479 Peco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30 Pect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LRBQNJMCXXYXIU-PPKXGCFTSA-N Penta-digallate-beta-D-glucose Natural products OC1=C(O)C(O)=CC(C(=O)OC=2C(=C(O)C=C(C=2)C(=O)OC[C@@H]2[C@H]([C@H](OC(=O)C=3C=C(OC(=O)C=4C=C(O)C(O)=C(O)C=4)C(O)=C(O)C=3)[C@@H](OC(=O)C=3C=C(OC(=O)C=4C=C(O)C(O)=C(O)C=4)C(O)=C(O)C=3)[C@H](OC(=O)C=3C=C(OC(=O)C=4C=C(O)C(O)=C(O)C=4)C(O)=C(O)C=3)O2)OC(=O)C=2C=C(OC(=O)C=3C=C(O)C(O)=C(O)C=3)C(O)=C(O)C=2)O)=C1 LRBQNJMCXXYXIU-PPKXGCFT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009328 Perr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6209 Phasian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02 Polyethylene glyc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00159 Rat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HELXLJCILKEWJH-SEAGSNCFSA-N Rebaudioside A Natural products O=C(O[C@H]1[C@@H](O)[C@@H](O)[C@H](O)[C@@H](CO)O1)[C@@]1(C)[C@@H]2[C@](C)([C@H]3[C@@]4(CC(=C)[C@@](O[C@H]5[C@H](O[C@H]6[C@H](O)[C@@H](O)[C@H](O)[C@@H](CO)O6)[C@@H](O[C@H]6[C@H](O)[C@@H](O)[C@H](O)[C@@H](CO)O6)[C@H](O)[C@@H](CO)O5)(C4)CC3)CC2)CCC1 HELXLJCILKEWJH-SEAGSNCF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228451 Stevia rebaudia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898 Sus scrof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770 Thyroid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89 acacia g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215 acute (single dose) toxicity testing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47 acute toxicity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3 aeros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83 algi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126 algi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81 algi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6935 allerg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78 anti-diab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06 anxie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907 apopto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25 aqueous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00 aqueous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05 asparta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57 aspartam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IAOZJIPTCAWIRG-QWRGUYRKSA-N aspartame Chemical compound OC(=O)C[C@H](N)C(=O)N[C@H](C(=O)OC)CC1=CC=CC=C1 IAOZJIPTCAWIRG-QWRGUYRK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438 aspartame Drug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8937 atopic derma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QUYVBRFLSA-N beta-mal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2[C@H](O)[C@@H](O)[C@H](O)O[C@@H]2CO)[C@H](O)[C@@H](O)[C@@H]1O GUBGYTABKSRVRQ-QUYVBRFL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96 body we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19 calc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06 calcium phos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389 calc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010 calcium phosph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8 calcium silic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918 calcium silic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241 calcium silic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OYACROKNLOSFPA-UHFFFAOYSA-N calcium;dioxido(oxo)silane Chemical compound [Ca+2].[O-][Si]([O-])=O OYACROKNLOSFP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611 cancer cell dea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71 carbonated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15100 cartilag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848 cartilage re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13 cell 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37 cell proliferation ki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833 cell vi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570 cell viability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84 colloidal syste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12 degene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21 dext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601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45 dietary chan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78 dieta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872 dietary supplem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016 di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00 effect on ski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23 enhanc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HELXLJCILKEWJH-UHFFFAOYSA-N entered according to Sigma 01432 Natural products C1CC2C3(C)CCCC(C)(C(=O)OC4C(C(O)C(O)C(CO)O4)O)C3CCC2(C2)CC(=C)C21OC(C1OC2C(C(O)C(O)C(CO)O2)O)OC(CO)C(O)C1OC1OC(CO)C(O)C(O)C1O HELXLJCILKEWJ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VTMALDHFAHOGL-UHFFFAOYSA-N eriodictyol 7-O-rutinoside Natural products OC1C(O)C(O)C(C)OC1OCC1C(O)C(O)C(O)C(OC=2C=C3C(C(C(O)=C(O3)C=3C=C(O)C(O)=CC=3)=O)=C(O)C=2)O1 IVTMALDHFAHOG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148 est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LVGKNOAMLMIIKO-QXMHVHEDSA-N ethyl oleat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CC LVGKNOAMLMIIKO-QXMHVHED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93471 ethyl ole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142 ex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3 food additiv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78 food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599 food sweeten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87 glyc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LPLVUJXQOOQHMX-UHFFFAOYSA-N glycyrrhetinic acid glycoside Natural products C1CC(C2C(C3(CCC4(C)CCC(C)(CC4C3=CC2=O)C(O)=O)C)(C)CC2)(C)C2C(C)(C)C1OC1OC(C(O)=O)C(O)C(O)C1OC1OC(C(O)=O)C(O)C(O)C1O LPLVUJXQOOQHM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949 glycyrrhiz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UYRUBYNTXSDKQT-UHFFFAOYSA-N glycyrrhizic acid Natural products CC1(C)C(CCC2(C)C1CCC3(C)C2C(=O)C=C4C5CC(C)(CCC5(C)CCC34C)C(=O)O)OC6OC(C(O)C(O)C6OC7OC(O)C(O)C(O)C7C(=O)O)C(=O)O UYRUBYNTXSDKQ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10 glycyrrhiz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LPLVUJXQOOQHMX-QWBHMCJMSA-N glycyrrhizinic acid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O[C@@H]1O[C@@H]1C([C@H]2[C@]([C@@H]3[C@@]([C@@]4(CC[C@@]5(C)CC[C@@](C)(C[C@H]5C4=CC3=O)C(O)=O)C)(C)CC2)(C)CC1)(C)C)C(O)=O)[C@@H]1O[C@H](C(O)=O)[C@@H](O)[C@H](O)[C@H]1O LPLVUJXQOOQHMX-QWBHMCJM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039 immun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866 inflammator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57 inflamm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85 intracerebroventricular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18 intramuscular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12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5135 lupus erythematos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5 malt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9 malt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VQHSOMBJVWLPSR-WUJBLJFYSA-N malt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C@H](O)CO)O[C@H]1O[C@H](CO)[C@@H](O)[C@H](O)[C@H]1O VQHSOMBJVWLPSR-WUJBLJF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35436 malt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94 mann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55 mann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45 menopau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09 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81 methyl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23 methyl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LXCFILQKKLGQFO-UHFFFAOYSA-N methylparaben Chemical compound COC(=O)C1=CC=C(O)C=C1 LXCFILQKKLGQF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80 mineral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6 mineral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72 mono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57 nonaqueous medi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824 obesi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390 olive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06 oliv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24 orga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85 organic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11 parenteral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LCLHHZYHLXDRQG-ZNKJPWOQSA-N pectic acid Chemical compound O[C@@H]1[C@@H](O)[C@@H](O)O[C@H](C(O)=O)[C@@H]1OC1[C@H](O)[C@@H](O)[C@@H](OC2[C@@H]([C@@H](O)[C@@H](O)[C@H](O2)C(O)=O)O)[C@@H](C(O)=O)O1 LCLHHZYHLXDRQG-ZNKJPWOQSA-N 0.000 description 1
- OQUKIQWCVTZJAF-UHFFFAOYSA-N phenol;sulfuric acid Chemical compound OS(O)(=O)=O.OC1=CC=CC=C1 OQUKIQWCVTZJA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90 physiological processes and function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7 pil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23 polyethylene glyc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318 polygalacturo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82 poly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17 polysaccha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804 poly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67 polyvinylpyrrolid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855 polyvinylpyrrolido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36 polyvinylpyrrolid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58 preventing hair lo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55 prolif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QELSKZZBTMNZEB-UHFFFAOYSA-N propylparaben Chemical compound CCCOC(=O)C1=CC=C(O)C=C1 QELSKZZBTMNZE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415 propylparabe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FDRQPMVGJOQVTL-UHFFFAOYSA-N quercetin rutinoside Natural products OC1C(O)C(O)C(CO)OC1OCC1C(O)C(O)C(O)C(OC=2C(C3=C(O)C=C(O)C=C3OC=2C=2C=C(O)C(O)=CC=2)=O)O1 FDRQPMVGJOQVT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03 rebaudioside 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IKGXIBQEEMLURG-BKUODXTLSA-N rutin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C@@H]1OC[C@H]1[C@H](O)[C@@H](O)[C@H](O)[C@@H](OC=2C(C3=C(O)C=C(O)C=C3OC=2C=2C=C(O)C(O)=CC=2)=O)O1 IKGXIBQEEMLURG-BKUODXTLSA-N 0.000 description 1
- ALABRVAAKCSLSC-UHFFFAOYSA-N rutin Natural products CC1OC(OCC2OC(O)C(O)C(O)C2O)C(O)C(O)C1OC3=C(Oc4cc(O)cc(O)c4C3=O)c5ccc(O)c(O)c5 ALABRVAAKCSLS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493 rut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555 rutos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04 sacchar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CVHZOJJKTDOEJC-UHFFFAOYSA-N saccharin Chemical compound C1=CC=C2C(=O)NS(=O)(=O)C2=C1 CVHZOJJKTDOEJ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81974 sacchar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01 saccharin and its Na,K and Ca s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95 saturated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HFHDHCJBZVLPGP-UHFFFAOYSA-N schardinger α-dextrin Chemical compound O1C(C(C2O)O)C(CO)OC2OC(C(C2O)O)C(CO)OC2OC(C(C2O)O)C(CO)OC2OC(C(O)C2O)C(CO)OC2OC(C(C2O)O)C(CO)OC2OC2C(O)C(O)C1OC2CO HFHDHCJBZVLPG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920 sorb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322 streptomyc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861 stroke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5846 sugar alcoh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29 supposito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5 suspe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65 sweet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523 tan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58 tann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LRBQNJMCXXYXIU-NRMVVENXSA-N tannic acid Chemical compound OC1=C(O)C(O)=CC(C(=O)OC=2C(=C(O)C=C(C=2)C(=O)OC[C@@H]2[C@H]([C@H](OC(=O)C=3C=C(OC(=O)C=4C=C(O)C(O)=C(O)C=4)C(O)=C(O)C=3)[C@@H](OC(=O)C=3C=C(OC(=O)C=4C=C(O)C(O)=C(O)C=4)C(O)=C(O)C=3)[C@@H](OC(=O)C=3C=C(OC(=O)C=4C=C(O)C(O)=C(O)C=4)C(O)=C(O)C=3)O2)OC(=O)C=2C=C(OC(=O)C=3C=C(O)C(O)=C(O)C=3)C(O)=C(O)C=2)O)=C1 LRBQNJMCXXYXIU-NRMVVENX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33123 tan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92 thauma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36 thaumat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62 thick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2510 thyroid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200 topical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QORWJWZARLRLPR-UHFFFAOYSA-H tricalcium bis(phosphate) Chemical compound [Ca+2].[Ca+2].[Ca+2].[O-]P([O-])([O-])=O.[O-]P([O-])([O-])=O QORWJWZARLRLPR-UHFFFAOYSA-H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12 vegetable and seed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58 vegetabl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722 vitamin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09 water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87 whit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6—Curcuma, e.g. common turmeric, East Indian arrowroot or mango ging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1—Amaranthaceae (Amaranth family), e.g. pigweed, rockwort or globe amarant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4—Campanulaceae (Bellflower family)
- A61K36/346—Platycod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6—Eucommiaceae (Eucommia family), e.g. hardy rubber tre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1—Astragalus (milkvetc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3—Leonurus (motherwor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7—Salvia (sag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4—Crataegus (hawthor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cancer)의 예방 또는 치료/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봉출뿌리줄기, 단삼뿌리, 쇠무릅뿌리, 익모초지상부, 다시마, 두충, 삼씨앗, 쉽싸리지상부, 황기뿌리, 도라지, 귤나무열매껍질, 산사나무열매, 울금덩이뿌리, 광귤나무열매, 사인씨앗, 천궁뿌리줄기, 갯실새삼씨앗, 황금, 사삼뿌리, 옥수수수염, 사철쑥, 참당귀뿌리, 하수오덩이뿌리, 구기자나무열매, 계피, 감초, 금불초꽃, 결명자열매, 무씨앗, 대추, 맥아, 꿀풀 및 양파껍질로 이루어지는 33종의 한약재를 원료 성분으로 하는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33종의 한약재를 원료 성분으로 하는 복방 한방 추출물은 인체 암세포주의 세포 사멸을 효과적으로 유도한다. 본 발명의 33종의 한약재를 원료 성분으로 하는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은 한약에 거부감이 있는 청소년 및 젊은 여성에게도 높은 기호성을 나타내어, 이를 주성분으로 하는 암의 예방, 치료 및 개선을 위한 의약품 및 건강 기능 식품의 소재로서 개발 가능할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cancer)의 예방 또는 치료/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봉출뿌리줄기, 단삼뿌리, 쇠무릅뿌리, 익모초지상부, 다시마, 두충, 삼씨앗, 쉽싸리지상부, 황기뿌리, 도라지, 귤나무열매껍질, 산사나무열매, 울금덩이뿌리, 광귤나무열매, 사인씨앗, 천궁뿌리줄기, 갯실새삼씨앗, 황금, 사삼뿌리, 옥수수수염, 사철쑥, 참당귀뿌리, 하수오덩이뿌리, 구기자나무열매, 계피, 감초, 금불초꽃, 결명자열매, 무씨앗, 대추, 맥아, 꿀풀 및 양파껍질로 이루어지는 33종의 한약재를 원료 성분으로 하는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에 관한 것이다.
암은 비정상적인 세포가 통제되지 못하고 증식을 통해 과다하게 확산되는 질병이다. 국내의 경우, 보건복지부 중앙등록본부의 암 등록 통계에 의하면 2011년도 기준 암 발생 현황이 갑상선암(17.8%), 위암(14.9%) 대장암(12.8%)이며, 암으로 인한 사망율은 위암(19.6%), 대장암(15.2%), 폐암(14.2%), 간암(11.5%) 순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치료제로 사용되는 대부분의 항암제는 암세포의 세포사멸(apoptosis)은 물론, 정상 세포의 사멸도 함께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최근에는 천연 약용식물로부터 추출한 천연 재료를 활용한 면역 향상과 암세포의 사멸을 유도하는 항암제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며, 이와 더불어 가족력이 있는 환자에게는 암 조기 발견을 위한 검사를 권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현대사회는 산업화로 인한 생활수준의 향상과,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로 전통적인 식생활이 위협받고 있으며, 이러한 식생활 변화에 따라, 비만, 고혈압, 고지혈증 등의 다양한 성인병이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다양한 건강지향성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한방재료를 이용한 약선식품에 대한 수요가 매우 높으며, 특히 간편하게 언제 어디서라도 쉽게 드실 수 있는 약선 한방 추출물 제품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한약은 한의학의 기본 이론을 바탕으로 질병의 예방이나, 치료를 위해 천연물 또는 가공된 약제를 혼합 조제한 약물을 의미하며, 다양한 동물, 식물, 광물의 추출물을 추출하여 사용하나 대부분은 약용 식물을 사용하고 있다. 각각의 한약재 추출물은 각각 특유한 고도의 생리활성을 나타내는데, 그 예로서 특정 조성의 한약 조성물이 항암 활성, 항당뇨 활성, 동맥경화 예방활성, 면역기능 증강활성, 숙취 해소 활성, 뇌졸중 예방 및 아토피 치료 활성 등을 나타냄이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 건강기능성 한방 조성물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에는 암치료와 암예방을 위한 한약 조성물(제 10-0671762호, 2007년 1월 15일), 당뇨병 및 이로 인한 합병증 치료 및 예방용 한약 조성물(제 10-0712659호, 2007년 4월 23일), 반하, 백출, 천마, 진피, 복령, 산사, 희렴 및 황련을 포함하는 한약 제제 혼합물의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추출물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제 10-0787174호, 2007년 12월 12일), 루푸스 치료용 한약 추출물(제 10-0682046호, 2007년 2월 6일), 숙취 해소용 한약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제 10-1176590호, 2012년 8월 17일), 뇌졸중과 치매를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과 치료용 건강 기능성 식품 및 약제학적 조성물(제 10-0950164호, 2010년 3월 23일), 아토피 피부염 개선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사용방법(제 10-1183893호, 2012년 9월 12일), 연골 재생 또는 연골 질환 치료용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및 제조방법(제 10-1793429호, 2017-10-30),내복자, 나한과 및 등심초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및 알러지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제 10-1835397호, 2018-02-28), 청호, 구절초, 애엽, 인진호, 괴각, 대계, 및 목향을 포함하는 한약 추출물이 함유된 탈모개선 및 탈모방지용 복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제 10-1851972호, 2018-04-19), 데커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제 10-1902837호, 2018-09-20), 면역 기능을 조절하는 한약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제 10-1908381호, 2018-10-10) 및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제 10-1968626호, 2019-04-08) 등의 한방 제제를 이용한 기능성 제품 개발로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관능성이 우수하면서 소량 섭취시에도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33종의 한약재를 원료 성분으로 하는 복방 한방 추출물을 기본으로 한 암세포 생육억제 한방 조성물은 알려진 바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존 한방 조성물의 낮은 관능성과 휴대 및 복용의 어려움과 낮은 선호도를 해결하고, 갱년기의 불편함을 극복하고 또한 현대사회에서 급속히 증가되고 있는 암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한방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33종의 한약재를 원료 성분으로 하는 복방 한방 추출물의 유용 생리기능을 최대화하면서도,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마실 수 있는 관능성, 기호성이 높은 암의 예방 또는 치료/개선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봉출뿌리줄기, 단삼뿌리, 쇠무릅뿌리, 익모초지상부, 다시마, 두충, 삼씨앗, 쉽싸리지상부, 황기뿌리, 도라지, 귤나무열매껍질, 산사나무열매, 울금덩이뿌리, 광귤나무열매, 사인씨앗, 천궁뿌리줄기, 갯실새삼씨앗, 황금, 사삼뿌리, 옥수수수염, 사철쑥, 참당귀뿌리, 하수오덩이뿌리, 구기자나무열매, 계피, 감초, 금불초꽃, 결명자열매, 무씨앗, 대추, 맥아, 꿀풀 및 양파껍질로 이루어지는 33종의 한약재를 원료 성분으로 하는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33종의 한약재는 봉출뿌리줄기 9.0 중량%, 단삼뿌리 9.0 중량%, 쇠무릅뿌리 5.5 중량%, 익모초지상부 4.5 중량%, 다시마 4.5 중량%, 두충 4.5 중량%, 삼씨앗 3.6 중량%, 쉽싸리지상부 3.6 중량%, 황기뿌리 3.6 중량%, 도라지 3.6 중량%, 귤나무열매껍질 3.6 중량%, 산사나무열매 3.6 중량%, 울금덩이뿌리 2.7 중량%, 광귤나무열매 2.7 중량%, 사인씨앗 2.7 중량%, 천궁뿌리줄기 2.7 중량%, 갯실새삼씨앗 2.7 중량%, 황금 1.8 중량%, 사삼뿌리 1.8 중량%, 옥수수수염 1.8 중량%, 사철쑥 1.8 중량%, 참당귀뿌리 1.8 중량%, 하수오덩이뿌리 1.8 중량%, 구기자나무열매 1.8 중량%, 계피 1.8 중량%, 감초 1.8 중량%, 금불초꽃 1.8 중량%, 결명자열매 1.8 중량%, 무씨앗 1.8 중량%, 대추 1.8 중량%, 맥아 1.8 중량%, 꿀풀 1.8 중량% 및 양파껍질 0.9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암은 대장암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봉출뿌리줄기, 단삼뿌리, 쇠무릅뿌리, 익모초지상부, 다시마, 두충, 삼씨앗, 쉽싸리지상부, 황기뿌리, 도라지, 귤나무열매껍질, 산사나무열매, 울금덩이뿌리, 광귤나무열매, 사인씨앗, 천궁뿌리줄기, 갯실새삼씨앗, 황금, 사삼뿌리, 옥수수수염, 사철쑥, 참당귀뿌리, 하수오덩이뿌리, 구기자나무열매, 계피, 감초, 금불초꽃, 결명자열매, 무씨앗, 대추, 맥아, 꿀풀 및 양파껍질로 이루어지는 33종의 한약재를 원료 성분으로 하는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33종의 한약재는 봉출뿌리줄기 9.0 중량%, 단삼뿌리 9.0 중량%, 쇠무릅뿌리 5.5 중량%, 익모초지상부 4.5 중량%, 다시마 4.5 중량%, 두충 4.5 중량%, 삼씨앗 3.6 중량%, 쉽싸리지상부 3.6 중량%, 황기뿌리 3.6 중량%, 도라지 3.6 중량%, 귤나무열매껍질 3.6 중량%, 산사나무열매 3.6 중량%, 울금덩이뿌리 2.7 중량%, 광귤나무열매 2.7 중량%, 사인씨앗 2.7 중량%, 천궁뿌리줄기 2.7 중량%, 갯실새삼씨앗 2.7 중량%, 황금 1.8 중량%, 사삼뿌리 1.8 중량%, 옥수수수염 1.8 중량%, 사철쑥 1.8 중량%, 참당귀뿌리 1.8 중량%, 하수오덩이뿌리 1.8 중량%, 구기자나무열매 1.8 중량%, 계피 1.8 중량%, 감초 1.8 중량%, 금불초꽃 1.8 중량%, 결명자열매 1.8 중량%, 무씨앗 1.8 중량%, 대추 1.8 중량%, 맥아 1.8 중량%, 꿀풀 1.8 중량% 및 양파껍질 0.9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암은 대장암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33종의 한약재를 원료 성분으로 하는 복방 한방 추출물은 인체 암세포주의 세포 사멸을 효과적으로 유도한다. 본 발명의 33종의 한약재를 원료 성분으로 하는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은 한약에 거부감이 있는 청소년 및 젊은 여성에게도 높은 기호성을 나타내어, 이를 주성분으로 하는 암의 예방, 치료 및 개선을 위한 의약품 및 건강 기능 식품의 소재로서 개발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33종의 한약재를 원료 성분으로 하는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농도별로 인체 대장암 세포주 HCT116에 처리한 후 암세포 생육도를 MTS assay로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오랫동안 비방으로 전해내려온 한방 추출물의 관능성과 유용 활성을 증대시키고자 지속적으로 개량한 결과물인 33종의 한약재를 원료 성분으로 하는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우수한 관능성과 우수한 항암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봉출뿌리줄기, 단삼뿌리, 쇠무릅뿌리, 익모초지상부, 다시마, 두충, 삼씨앗, 쉽싸리지상부, 황기뿌리, 도라지, 귤나무열매껍질, 산사나무열매, 울금덩이뿌리, 광귤나무열매, 사인씨앗, 천궁뿌리줄기, 갯실새삼씨앗, 황금, 사삼뿌리, 옥수수수염, 사철쑥, 참당귀뿌리, 하수오덩이뿌리, 구기자나무열매, 계피, 감초, 금불초꽃, 결명자열매, 무씨앗, 대추, 맥아, 꿀풀 및 양파껍질로 이루어지는 33종의 한약재를 원료 성분으로 하는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33종의 한약재는 봉출뿌리줄기 9.0 중량%, 단삼뿌리 9.0 중량%, 쇠무릅뿌리 5.5 중량%, 익모초지상부 4.5 중량%, 다시마 4.5 중량%, 두충 4.5 중량%, 삼씨앗 3.6 중량%, 쉽싸리지상부 3.6 중량%, 황기뿌리 3.6 중량%, 도라지 3.6 중량%, 귤나무열매껍질 3.6 중량%, 산사나무열매 3.6 중량%, 울금덩이뿌리 2.7 중량%, 광귤나무열매 2.7 중량%, 사인씨앗 2.7 중량%, 천궁뿌리줄기 2.7 중량%, 갯실새삼씨앗 2.7 중량%, 황금 1.8 중량%, 사삼뿌리 1.8 중량%, 옥수수수염 1.8 중량%, 사철쑥 1.8 중량%, 참당귀뿌리 1.8 중량%, 하수오덩이뿌리 1.8 중량%, 구기자나무열매 1.8 중량%, 계피 1.8 중량%, 감초 1.8 중량%, 금불초꽃 1.8 중량%, 결명자열매 1.8 중량%, 무씨앗 1.8 중량%, 대추 1.8 중량%, 맥아 1.8 중량%, 꿀풀 1.8 중량% 및 양파껍질 0.9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암은 위암, 간암, 대장암, 골수암, 혈액암, 피부암, 직장암, 유방암, 난소암, 췌장암, 담낭암, 식도암, 폐암, 구강암 또는 전립선암을 예로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대장암이다.
또한, 본 발명은 봉출뿌리줄기, 단삼뿌리, 쇠무릅뿌리, 익모초지상부, 다시마, 두충, 삼씨앗, 쉽싸리지상부, 황기뿌리, 도라지, 귤나무열매껍질, 산사나무열매, 울금덩이뿌리, 광귤나무열매, 사인씨앗, 천궁뿌리줄기, 갯실새삼씨앗, 황금, 사삼뿌리, 옥수수수염, 사철쑥, 참당귀뿌리, 하수오덩이뿌리, 구기자나무열매, 계피, 감초, 금불초꽃, 결명자열매, 무씨앗, 대추, 맥아, 꿀풀 및 양파껍질로 이루어지는 33종의 한약재를 원료 성분으로 하는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33종의 한약재는 봉출뿌리줄기 9.0 중량%, 단삼뿌리 9.0 중량%, 쇠무릅뿌리 5.5 중량%, 익모초지상부 4.5 중량%, 다시마 4.5 중량%, 두충 4.5 중량%, 삼씨앗 3.6 중량%, 쉽싸리지상부 3.6 중량%, 황기뿌리 3.6 중량%, 도라지 3.6 중량%, 귤나무열매껍질 3.6 중량%, 산사나무열매 3.6 중량%, 울금덩이뿌리 2.7 중량%, 광귤나무열매 2.7 중량%, 사인씨앗 2.7 중량%, 천궁뿌리줄기 2.7 중량%, 갯실새삼씨앗 2.7 중량%, 황금 1.8 중량%, 사삼뿌리 1.8 중량%, 옥수수수염 1.8 중량%, 사철쑥 1.8 중량%, 참당귀뿌리 1.8 중량%, 하수오덩이뿌리 1.8 중량%, 구기자나무열매 1.8 중량%, 계피 1.8 중량%, 감초 1.8 중량%, 금불초꽃 1.8 중량%, 결명자열매 1.8 중량%, 무씨앗 1.8 중량%, 대추 1.8 중량%, 맥아 1.8 중량%, 꿀풀 1.8 중량% 및 양파껍질 0.9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암은 위암, 간암, 대장암, 골수암, 혈액암, 피부암, 직장암, 유방암, 난소암, 췌장암, 담낭암, 식도암, 폐암, 구강암 또는 전립선암을 예로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대장암이다.
본 발명의 33종의 한약재를 원료 성분으로 하는 복방 한방 추출물에 포함되는 한약재 정보는 표 1과 같으며, 현재까지 암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복방 한방 추출물은 개발된 바 없다.
[표 1] 33종 한약재의 알려진 효능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은 33종의 한약재(봉출뿌리줄기, 단삼뿌리, 쇠무릅뿌리, 익모초지상부, 다시마, 두충, 삼씨앗, 쉽싸리지상부, 황기뿌리, 도라지, 귤나무열매껍질, 산사나무열매, 울금덩이뿌리, 광귤나무열매, 사인씨앗, 천궁뿌리줄기, 갯실새삼씨앗, 황금, 사삼뿌리, 옥수수수염, 사철쑥, 참당귀뿌리, 하수오덩이뿌리, 구기자나무열매, 계피, 감초, 금불초꽃, 결명자열매, 무씨앗, 대추, 맥아, 꿀풀 및 양파껍질)를 고온에서 열수 추출하여 복방 한방 추출물을 얻은 후 이를 농축액의 형태로 조제하고, 여기에 프락토올리고당, 덱스트린, 대추 추출 농축액 및 정제수를 일정량 첨가하여 관능성과 포장성을 증대시킨 암(cancer)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33종의 한약재를 80℃에서 30분 열수 추출하고, 추출액을 여과 및 농축하여 복방 한방 추출물의 농축액(고형분 40% 이상)을 조제하는 단계; 수세한 대추를 80℃에서 30분 열수 추출하고, 추출액을 여과 및 농축하여 대추 추출 농축액(고형분 60% 이상)을 조제하는 단계; 상기 복방 한방 추출물의 농축액에 프락토올리고당, 덱스트린, 상기 대추 추출 농축액 및 정제수를 각각 60 : 9 : 8 : 8 : 15 중량%로 혼합하는 단계; 및 이의 유용성분 분석, 암세포 생육억제활성 평가 및 급성 독성검사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은 pH 4.2~4.6, 산도 0.75~1.0, 브릭스가 46~47이며, 명도 8.9, 적색도 1.6, 황색도 2.65의 진한 갈색 액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은 상술한 바와 같이 농축액을 기반으로 한 진한 갈색의 액상으로 조제될 수 있고, 별도로 아래와 같은 조제 방법 및 투여 방법을 택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본 발명의 유효 성분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의 사용 목적에 맞게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제,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 제형, 멸균 주사용액의 주사제 등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경구 투여하거나 정맥 내, 복강 내, 피하, 직장, 국소 투여 등을 포함한 다양한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약학적 조성물에는 추가적으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등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포함될 수 있는 적합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쓰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스, 메틸 셀룰로스, 비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충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혼합하여 제형화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경구용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예시될 수 있으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액체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제,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 좌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제에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주사제에는 용해제, 등장화제, 현탁화제, 유화제, 안정화제, 방부제 등과 같은 종래의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 성분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서,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의 유효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체중 ㎏ 당 1 내지 5,000mg,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0mg을 매일 또는 격일 투여하거나 1일 1 내지 3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투여 경로, 질병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대상에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소정의 물질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일반적인 모든 경로를 통하여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표적 세포로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를 이용해 투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대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인간, 원숭이, 소, 말, 양, 돼지, 닭, 칠면조, 메추라기, 고양이, 개, 마우스, 쥐, 토끼 또는 기니아 피그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포유류, 보다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은 암의 예방 또는 개선에 효과적인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은 일반적으로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음료 조성물은 100ml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것 외에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 예컨대, 천연 탄수화물 및 다양한 향미제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로는 포도당, 과당 등의 단당류,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등의 이당류 및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의 다당류와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의 당알코올이 있다.
상기 향미제로는 타우마틴, 레바우디오시드 A 또는 글리시르히진과 같은 스테비아 등의 천연 향미제 및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의 합성 향미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 100ml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을 사용한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은 천연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 등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 100중량부 당 0.01 내지 약 20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기재한 것이며, 하기 실시예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조제 및 이화학적 특성
본 발명자들은 오랫동안 한방산업에서의 경험과 비방을 토대로 다양한 조합의 한방 복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조제하여 효능을 평가하여 오면서 항암 효과가 가장 우수한 조합의 조성물을 개발하게 되었으며, 최종적으로 33종의 한약재를 원료 성분으로 하는 복방 한방 추출물의 농축액, 프락토올리고당, 덱스트린, 대추 추출 농축액 및 정제수를 각각 60:9:8:8:15 중량비로 혼합하여 진한 갈색 액상의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조제된 조성물은, pH 4.6, brix 48, 산도 0.7로 나타났으며, 색차의 경우 진한 흑갈색을 나타내었으며, 10 % 수용액의 경우 은은한 향미와 옅은 황색을 나타내었다(표 2 및 표 3). 이때, 색도는 Hunter Color Difference meter (Super color SP-80 Colormeter, Tokyo Denshoku Co.,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명도(lightness, L), 적색도(redness, a), 황색도(yellowness, b)를 측정하였다. 표준백판의 색도는 L값이 92.44, a값이 -0.06, b값이 1.35로 기준을 정하였으며, 시료당 3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여 나타내었고 색차(△E)는 다음의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표 2] 본 발명의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이화학적 특성
[표 3] 본 발명의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색차 분석
실시예 2: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에탄올 추출물 조제 및 성분 분석
제조된 복방 한방 추출물의 조성물로부터 에탄올 추출물을 조제하였다. 에탄올 추출의 경우, 시료 무게에 대해 10배의 에탄올(덕산, 한국, 95%)을 가한 후 30 ℃에서 8시간 추출하였으며, 상기 과정을 2회 반복 한 후 추출액을 모아 필터링한 후, 감압 농축하여 분말로 제조하여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에탄올 추출효율은 5.8±0.1 %를 나타내었다.
이후,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total flavonoid), 총 폴리페놀(total polyphenol), 총당 및 환원당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이때,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은 각각의 시료를 18 시간 메탄올 교반 추출하고, 여과한 추출 검액 400 μl에 90 % diethylene glycol 4 ml를 첨가하고 다시 1 N NaOH 40 μl를 넣고 37 ℃에서 1 시간 반응 후 4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시약으로는 rutin을 사용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추출 검액 400 μl에 50 μl의 Folin-ciocalteau, 100 μl의 Na2CO3 포화용액을 넣고 실온에서 1 시간 방치한 후 7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시약으로는 tannic acid를 사용하였다. 환원당은 DNS법으로, 총당은 phenol-sulfuric acid법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표 4] 본 발명의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에탄올 추출물의 성분 분석
그 결과, 조제된 에탄올 추출물은 34.0 mg/g의 높은 폴리페놀 함량과 8.9 mg/g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373.3 mg/g의 높은 총당 함량과 326.3 mg/g의 낮은 환원당 함량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에탄올 추출물은 상당량의 당을 함유한 폴리페놀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인체 대장암 세포주 HCT116에서의 생육 억제 활성 평가
제조된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암세포 성장 억제 활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사용 암세포는 인간 대장암 세포주 HCT116이며, 이는 Korean Type Culture Collection (KTCC, Korea)에서 구입하였다. 암세포의 배양은 10 % fetal bovine serum (FBS, Gibco, Grand Island, NY, USA), 1 % penicillin-streptomycin (Welgene, Korea)이 첨가된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DMEM, Gibco, USA)을 사용하였다. 제조된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시료가 암세포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각 농도별로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시료를 대장암 세포주 HCT116에 처리한 후 cell viability assay를 수행하였다. 96 well plate에 1 X 105 cells/well의 세포를 접종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시료를 1, 2.5, 5 μl/well의 양으로 24시간 동안 처리하고 CellTiter 96® AQueous One Solution Cell Proliferation Assay kit (Promega, Madison, WI, USA) 용액을 각 well 당 20 μl씩 첨가한 후 incubator에서 4시간 반응시켰다. NanoQuant PlateTM (Tecan Trading AG, Switzerland)를 사용하여 48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는 다섯 개의 well을 독립적으로 수행한 값의 평균을 Sigma plot program 10.0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우, 5 μl/well 농도 첨가시 60%의 암세포 생육도를 나타내었으며, 10 μl/well 농도 첨가시에는 40%의 생육을 보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매우 강력한 암세포 생육억제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관능성 평가
통상의 한방 조성물들은 낮은 관능성과 이취로 거부감이 높으나, 본 발명의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높은 관능성을 나타내었다. 최종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관능성 평가는 표 5에 나타내었으며, 대조구로는 시판 쌍화탕 제품을 사용하였다. 관능평가는 식품 전공자 5명으로 진행하였으며, 각각의 항목에 대해 5점 척도법으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시판 쌍화탕보다 맛, 향, 목넘김 및 전체적 선호도에서 우수한 관능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표 5] 본 발명의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과 시판 쌍화탕과의 관능성 비교
[연구개발과제]
[연구과제명] 당 31 제품의 유용 생리활성 평가 연구용역
[기여율] 100%
[연구기간] 2020. 08. 01. - 2021. 09. 30.
[주관기관]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수행기관] 안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Claims (4)
- 봉출뿌리줄기 9.0 중량%, 단삼뿌리 9.0 중량%, 쇠무릅뿌리 5.5 중량%, 익모초지상부 4.5 중량%, 다시마 4.5 중량%, 두충 4.5 중량%, 삼씨앗 3.6 중량%, 쉽싸리지상부 3.6 중량%, 황기뿌리 3.6 중량%, 도라지 3.6 중량%, 귤나무열매껍질 3.6 중량%, 산사나무열매 3.6 중량%, 울금덩이뿌리 2.7 중량%, 광귤나무열매 2.7 중량%, 사인씨앗 2.7 중량%, 천궁뿌리줄기 2.7 중량%, 갯실새삼씨앗 2.7 중량%, 황금 1.8 중량%, 사삼뿌리 1.8 중량%, 옥수수수염 1.8 중량%, 사철쑥 1.8 중량%, 참당귀뿌리 1.8 중량%, 하수오덩이뿌리 1.8 중량%, 구기자나무열매 1.8 중량%, 계피 1.8 중량%, 감초 1.8 중량%, 금불초꽃 1.8 중량%, 결명자열매 1.8 중량%, 무씨앗 1.8 중량%, 대추 1.8 중량%, 맥아 1.8 중량%, 꿀풀 1.8 중량% 및 양파껍질 0.9 중량%로 이루어지는 33종의 한약재를 원료 성분으로 하는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대장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 제 1항 또는 제 3항에 기재된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43120A KR102517944B1 (ko) | 2022-04-06 | 2022-04-06 |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43120A KR102517944B1 (ko) | 2022-04-06 | 2022-04-06 |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17944B1 true KR102517944B1 (ko) | 2023-04-06 |
Family
ID=85918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43120A KR102517944B1 (ko) | 2022-04-06 | 2022-04-06 |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17944B1 (ko)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27436A (ko) * | 1999-09-14 | 2001-04-06 | 이용규 |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봉출 중 항암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
KR100671762B1 (ko) | 2005-08-23 | 2007-01-19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암치료와 암예방을 위한 한약조성물 |
KR20090034241A (ko) * | 2007-10-02 | 2009-04-07 |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천연 식물소재 및 한약재의 발효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서제조된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화장품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
KR20120124608A (ko) * | 2011-05-04 | 2012-11-14 | 이현기 | 인삼씨오일을 주로 하는 건강보조식품 |
KR20160084175A (ko) * | 2015-01-05 | 2016-07-13 | 권영아 | 식물유래 루테리온의 암 줄기세포의 성장 및/또는 분화 억제 용도 |
WO2019009437A1 (ja) * | 2018-09-19 | 2019-01-10 | 株式会社日本自然発酵 | 自然発がん予防剤 |
KR20190136786A (ko) * | 2018-05-31 | 2019-12-10 | 이대연 | 대장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
2022
- 2022-04-06 KR KR1020220043120A patent/KR10251794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27436A (ko) * | 1999-09-14 | 2001-04-06 | 이용규 |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봉출 중 항암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
KR100671762B1 (ko) | 2005-08-23 | 2007-01-19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암치료와 암예방을 위한 한약조성물 |
KR20090034241A (ko) * | 2007-10-02 | 2009-04-07 |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천연 식물소재 및 한약재의 발효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서제조된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화장품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
KR20120124608A (ko) * | 2011-05-04 | 2012-11-14 | 이현기 | 인삼씨오일을 주로 하는 건강보조식품 |
KR20160084175A (ko) * | 2015-01-05 | 2016-07-13 | 권영아 | 식물유래 루테리온의 암 줄기세포의 성장 및/또는 분화 억제 용도 |
KR20190136786A (ko) * | 2018-05-31 | 2019-12-10 | 이대연 | 대장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WO2019009437A1 (ja) * | 2018-09-19 | 2019-01-10 | 株式会社日本自然発酵 | 自然発がん予防剤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3702675A (zh) | 具有增加含量的活性类黄酮化合物的漆树提取物及其制备方法 | |
KR100777189B1 (ko) | 진세노시드 Rg5의 함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가공인삼 제조방법 | |
KR102119178B1 (ko) | 참당귀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 |
KR101228920B1 (ko) | 황칠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장질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 |
KR102517944B1 (ko) |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 |
KR100874778B1 (ko) | 발효청국장 추출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 |
KR20160100279A (ko) | 얼레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 |
KR102517948B1 (ko) |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 |
KR20200053016A (ko) | 붓기 제거에 효과가 있는 식물성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 |
KR100703180B1 (ko) |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질환의 예방 및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 | |
KR20140041187A (ko) | 얼레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 |
KR20190030853A (ko) | 감초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100089910A (ko) |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및 당뇨성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
KR102045847B1 (ko) | 관능성 및 항당뇨 활성이 증대된 옥미수·호박 가미 경옥고 | |
KR101018405B1 (ko) | 정금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 |
KR20190107597A (ko) |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2275824B1 (ko) | 당뇨 예방 및 개선용 복합 천연물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20190014886A (ko) | 자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신경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2230537B1 (ko) | 가시연꽃 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2104772B1 (ko) | 생약재를 포함하는 건강 기능 식품용 조성물 | |
CN101505777B (zh) | 含有来自金合欢属树皮的物质的肿瘤的预防和/或治疗用组合物 | |
KR20230150439A (ko) |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건강 기능 식품 및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 |
KR100840546B1 (ko) | 백개자를 함유하는 항암활성을 갖는 조성물 | |
KR20230161339A (ko) | 까마귀밥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1839908B1 (ko) |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과 당뇨병 개선용 식품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