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7944B1 -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 Google Patents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7944B1
KR102517944B1 KR1020220043120A KR20220043120A KR102517944B1 KR 102517944 B1 KR102517944 B1 KR 102517944B1 KR 1020220043120 A KR1020220043120 A KR 1020220043120A KR 20220043120 A KR20220043120 A KR 20220043120A KR 102517944 B1 KR102517944 B1 KR 102517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oot
cancer
fruit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3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호용
김종식
한경수
Original Assignee
한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경수 filed Critical 한경수
Priority to KR1020220043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79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6Curcuma, e.g. common turmeric, East Indian arrowroot or mango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1Amaranthaceae (Amaranth family), e.g. pigweed, rockwort or globe amaran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4Campanulaceae (Bellflower family)
    • A61K36/346Platycod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6Eucommiaceae (Eucommia family), e.g. hardy rubber 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1Astragalus (milkvet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3Leonurus (motherw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7Salvia (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4Crataegus (haw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cancer)의 예방 또는 치료/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봉출뿌리줄기, 단삼뿌리, 쇠무릅뿌리, 익모초지상부, 다시마, 두충, 삼씨앗, 쉽싸리지상부, 황기뿌리, 도라지, 귤나무열매껍질, 산사나무열매, 울금덩이뿌리, 광귤나무열매, 사인씨앗, 천궁뿌리줄기, 갯실새삼씨앗, 황금, 사삼뿌리, 옥수수수염, 사철쑥, 참당귀뿌리, 하수오덩이뿌리, 구기자나무열매, 계피, 감초, 금불초꽃, 결명자열매, 무씨앗, 대추, 맥아, 꿀풀 및 양파껍질로 이루어지는 33종의 한약재를 원료 성분으로 하는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33종의 한약재를 원료 성분으로 하는 복방 한방 추출물은 인체 암세포주의 세포 사멸을 효과적으로 유도한다. 본 발명의 33종의 한약재를 원료 성분으로 하는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은 한약에 거부감이 있는 청소년 및 젊은 여성에게도 높은 기호성을 나타내어, 이를 주성분으로 하는 암의 예방, 치료 및 개선을 위한 의약품 및 건강 기능 식품의 소재로서 개발 가능할 것이다.

Description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HEALTH FUNCTIONAL FOOD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CANCER CONTAINING COMPLEX MEDICINAL HERB EXTRACTS}
본 발명은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cancer)의 예방 또는 치료/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봉출뿌리줄기, 단삼뿌리, 쇠무릅뿌리, 익모초지상부, 다시마, 두충, 삼씨앗, 쉽싸리지상부, 황기뿌리, 도라지, 귤나무열매껍질, 산사나무열매, 울금덩이뿌리, 광귤나무열매, 사인씨앗, 천궁뿌리줄기, 갯실새삼씨앗, 황금, 사삼뿌리, 옥수수수염, 사철쑥, 참당귀뿌리, 하수오덩이뿌리, 구기자나무열매, 계피, 감초, 금불초꽃, 결명자열매, 무씨앗, 대추, 맥아, 꿀풀 및 양파껍질로 이루어지는 33종의 한약재를 원료 성분으로 하는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에 관한 것이다.
암은 비정상적인 세포가 통제되지 못하고 증식을 통해 과다하게 확산되는 질병이다. 국내의 경우, 보건복지부 중앙등록본부의 암 등록 통계에 의하면 2011년도 기준 암 발생 현황이 갑상선암(17.8%), 위암(14.9%) 대장암(12.8%)이며, 암으로 인한 사망율은 위암(19.6%), 대장암(15.2%), 폐암(14.2%), 간암(11.5%) 순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치료제로 사용되는 대부분의 항암제는 암세포의 세포사멸(apoptosis)은 물론, 정상 세포의 사멸도 함께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최근에는 천연 약용식물로부터 추출한 천연 재료를 활용한 면역 향상과 암세포의 사멸을 유도하는 항암제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며, 이와 더불어 가족력이 있는 환자에게는 암 조기 발견을 위한 검사를 권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현대사회는 산업화로 인한 생활수준의 향상과,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로 전통적인 식생활이 위협받고 있으며, 이러한 식생활 변화에 따라, 비만, 고혈압, 고지혈증 등의 다양한 성인병이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다양한 건강지향성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한방재료를 이용한 약선식품에 대한 수요가 매우 높으며, 특히 간편하게 언제 어디서라도 쉽게 드실 수 있는 약선 한방 추출물 제품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한약은 한의학의 기본 이론을 바탕으로 질병의 예방이나, 치료를 위해 천연물 또는 가공된 약제를 혼합 조제한 약물을 의미하며, 다양한 동물, 식물, 광물의 추출물을 추출하여 사용하나 대부분은 약용 식물을 사용하고 있다. 각각의 한약재 추출물은 각각 특유한 고도의 생리활성을 나타내는데, 그 예로서 특정 조성의 한약 조성물이 항암 활성, 항당뇨 활성, 동맥경화 예방활성, 면역기능 증강활성, 숙취 해소 활성, 뇌졸중 예방 및 아토피 치료 활성 등을 나타냄이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 건강기능성 한방 조성물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에는 암치료와 암예방을 위한 한약 조성물(제 10-0671762호, 2007년 1월 15일), 당뇨병 및 이로 인한 합병증 치료 및 예방용 한약 조성물(제 10-0712659호, 2007년 4월 23일), 반하, 백출, 천마, 진피, 복령, 산사, 희렴 및 황련을 포함하는 한약 제제 혼합물의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추출물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제 10-0787174호, 2007년 12월 12일), 루푸스 치료용 한약 추출물(제 10-0682046호, 2007년 2월 6일), 숙취 해소용 한약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제 10-1176590호, 2012년 8월 17일), 뇌졸중과 치매를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과 치료용 건강 기능성 식품 및 약제학적 조성물(제 10-0950164호, 2010년 3월 23일), 아토피 피부염 개선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사용방법(제 10-1183893호, 2012년 9월 12일), 연골 재생 또는 연골 질환 치료용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및 제조방법(제 10-1793429호, 2017-10-30),내복자, 나한과 및 등심초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및 알러지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제 10-1835397호, 2018-02-28), 청호, 구절초, 애엽, 인진호, 괴각, 대계, 및 목향을 포함하는 한약 추출물이 함유된 탈모개선 및 탈모방지용 복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제 10-1851972호, 2018-04-19), 데커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및 불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제 10-1902837호, 2018-09-20), 면역 기능을 조절하는 한약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제 10-1908381호, 2018-10-10) 및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제 10-1968626호, 2019-04-08) 등의 한방 제제를 이용한 기능성 제품 개발로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관능성이 우수하면서 소량 섭취시에도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33종의 한약재를 원료 성분으로 하는 복방 한방 추출물을 기본으로 한 암세포 생육억제 한방 조성물은 알려진 바 없다.
KR 10-0671762 B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존 한방 조성물의 낮은 관능성과 휴대 및 복용의 어려움과 낮은 선호도를 해결하고, 갱년기의 불편함을 극복하고 또한 현대사회에서 급속히 증가되고 있는 암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한방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33종의 한약재를 원료 성분으로 하는 복방 한방 추출물의 유용 생리기능을 최대화하면서도,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마실 수 있는 관능성, 기호성이 높은 암의 예방 또는 치료/개선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봉출뿌리줄기, 단삼뿌리, 쇠무릅뿌리, 익모초지상부, 다시마, 두충, 삼씨앗, 쉽싸리지상부, 황기뿌리, 도라지, 귤나무열매껍질, 산사나무열매, 울금덩이뿌리, 광귤나무열매, 사인씨앗, 천궁뿌리줄기, 갯실새삼씨앗, 황금, 사삼뿌리, 옥수수수염, 사철쑥, 참당귀뿌리, 하수오덩이뿌리, 구기자나무열매, 계피, 감초, 금불초꽃, 결명자열매, 무씨앗, 대추, 맥아, 꿀풀 및 양파껍질로 이루어지는 33종의 한약재를 원료 성분으로 하는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33종의 한약재는 봉출뿌리줄기 9.0 중량%, 단삼뿌리 9.0 중량%, 쇠무릅뿌리 5.5 중량%, 익모초지상부 4.5 중량%, 다시마 4.5 중량%, 두충 4.5 중량%, 삼씨앗 3.6 중량%, 쉽싸리지상부 3.6 중량%, 황기뿌리 3.6 중량%, 도라지 3.6 중량%, 귤나무열매껍질 3.6 중량%, 산사나무열매 3.6 중량%, 울금덩이뿌리 2.7 중량%, 광귤나무열매 2.7 중량%, 사인씨앗 2.7 중량%, 천궁뿌리줄기 2.7 중량%, 갯실새삼씨앗 2.7 중량%, 황금 1.8 중량%, 사삼뿌리 1.8 중량%, 옥수수수염 1.8 중량%, 사철쑥 1.8 중량%, 참당귀뿌리 1.8 중량%, 하수오덩이뿌리 1.8 중량%, 구기자나무열매 1.8 중량%, 계피 1.8 중량%, 감초 1.8 중량%, 금불초꽃 1.8 중량%, 결명자열매 1.8 중량%, 무씨앗 1.8 중량%, 대추 1.8 중량%, 맥아 1.8 중량%, 꿀풀 1.8 중량% 및 양파껍질 0.9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암은 대장암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봉출뿌리줄기, 단삼뿌리, 쇠무릅뿌리, 익모초지상부, 다시마, 두충, 삼씨앗, 쉽싸리지상부, 황기뿌리, 도라지, 귤나무열매껍질, 산사나무열매, 울금덩이뿌리, 광귤나무열매, 사인씨앗, 천궁뿌리줄기, 갯실새삼씨앗, 황금, 사삼뿌리, 옥수수수염, 사철쑥, 참당귀뿌리, 하수오덩이뿌리, 구기자나무열매, 계피, 감초, 금불초꽃, 결명자열매, 무씨앗, 대추, 맥아, 꿀풀 및 양파껍질로 이루어지는 33종의 한약재를 원료 성분으로 하는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33종의 한약재는 봉출뿌리줄기 9.0 중량%, 단삼뿌리 9.0 중량%, 쇠무릅뿌리 5.5 중량%, 익모초지상부 4.5 중량%, 다시마 4.5 중량%, 두충 4.5 중량%, 삼씨앗 3.6 중량%, 쉽싸리지상부 3.6 중량%, 황기뿌리 3.6 중량%, 도라지 3.6 중량%, 귤나무열매껍질 3.6 중량%, 산사나무열매 3.6 중량%, 울금덩이뿌리 2.7 중량%, 광귤나무열매 2.7 중량%, 사인씨앗 2.7 중량%, 천궁뿌리줄기 2.7 중량%, 갯실새삼씨앗 2.7 중량%, 황금 1.8 중량%, 사삼뿌리 1.8 중량%, 옥수수수염 1.8 중량%, 사철쑥 1.8 중량%, 참당귀뿌리 1.8 중량%, 하수오덩이뿌리 1.8 중량%, 구기자나무열매 1.8 중량%, 계피 1.8 중량%, 감초 1.8 중량%, 금불초꽃 1.8 중량%, 결명자열매 1.8 중량%, 무씨앗 1.8 중량%, 대추 1.8 중량%, 맥아 1.8 중량%, 꿀풀 1.8 중량% 및 양파껍질 0.9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암은 대장암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33종의 한약재를 원료 성분으로 하는 복방 한방 추출물은 인체 암세포주의 세포 사멸을 효과적으로 유도한다. 본 발명의 33종의 한약재를 원료 성분으로 하는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은 한약에 거부감이 있는 청소년 및 젊은 여성에게도 높은 기호성을 나타내어, 이를 주성분으로 하는 암의 예방, 치료 및 개선을 위한 의약품 및 건강 기능 식품의 소재로서 개발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33종의 한약재를 원료 성분으로 하는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농도별로 인체 대장암 세포주 HCT116에 처리한 후 암세포 생육도를 MTS assay로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오랫동안 비방으로 전해내려온 한방 추출물의 관능성과 유용 활성을 증대시키고자 지속적으로 개량한 결과물인 33종의 한약재를 원료 성분으로 하는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우수한 관능성과 우수한 항암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봉출뿌리줄기, 단삼뿌리, 쇠무릅뿌리, 익모초지상부, 다시마, 두충, 삼씨앗, 쉽싸리지상부, 황기뿌리, 도라지, 귤나무열매껍질, 산사나무열매, 울금덩이뿌리, 광귤나무열매, 사인씨앗, 천궁뿌리줄기, 갯실새삼씨앗, 황금, 사삼뿌리, 옥수수수염, 사철쑥, 참당귀뿌리, 하수오덩이뿌리, 구기자나무열매, 계피, 감초, 금불초꽃, 결명자열매, 무씨앗, 대추, 맥아, 꿀풀 및 양파껍질로 이루어지는 33종의 한약재를 원료 성분으로 하는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33종의 한약재는 봉출뿌리줄기 9.0 중량%, 단삼뿌리 9.0 중량%, 쇠무릅뿌리 5.5 중량%, 익모초지상부 4.5 중량%, 다시마 4.5 중량%, 두충 4.5 중량%, 삼씨앗 3.6 중량%, 쉽싸리지상부 3.6 중량%, 황기뿌리 3.6 중량%, 도라지 3.6 중량%, 귤나무열매껍질 3.6 중량%, 산사나무열매 3.6 중량%, 울금덩이뿌리 2.7 중량%, 광귤나무열매 2.7 중량%, 사인씨앗 2.7 중량%, 천궁뿌리줄기 2.7 중량%, 갯실새삼씨앗 2.7 중량%, 황금 1.8 중량%, 사삼뿌리 1.8 중량%, 옥수수수염 1.8 중량%, 사철쑥 1.8 중량%, 참당귀뿌리 1.8 중량%, 하수오덩이뿌리 1.8 중량%, 구기자나무열매 1.8 중량%, 계피 1.8 중량%, 감초 1.8 중량%, 금불초꽃 1.8 중량%, 결명자열매 1.8 중량%, 무씨앗 1.8 중량%, 대추 1.8 중량%, 맥아 1.8 중량%, 꿀풀 1.8 중량% 및 양파껍질 0.9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암은 위암, 간암, 대장암, 골수암, 혈액암, 피부암, 직장암, 유방암, 난소암, 췌장암, 담낭암, 식도암, 폐암, 구강암 또는 전립선암을 예로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대장암이다.
또한, 본 발명은 봉출뿌리줄기, 단삼뿌리, 쇠무릅뿌리, 익모초지상부, 다시마, 두충, 삼씨앗, 쉽싸리지상부, 황기뿌리, 도라지, 귤나무열매껍질, 산사나무열매, 울금덩이뿌리, 광귤나무열매, 사인씨앗, 천궁뿌리줄기, 갯실새삼씨앗, 황금, 사삼뿌리, 옥수수수염, 사철쑥, 참당귀뿌리, 하수오덩이뿌리, 구기자나무열매, 계피, 감초, 금불초꽃, 결명자열매, 무씨앗, 대추, 맥아, 꿀풀 및 양파껍질로 이루어지는 33종의 한약재를 원료 성분으로 하는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33종의 한약재는 봉출뿌리줄기 9.0 중량%, 단삼뿌리 9.0 중량%, 쇠무릅뿌리 5.5 중량%, 익모초지상부 4.5 중량%, 다시마 4.5 중량%, 두충 4.5 중량%, 삼씨앗 3.6 중량%, 쉽싸리지상부 3.6 중량%, 황기뿌리 3.6 중량%, 도라지 3.6 중량%, 귤나무열매껍질 3.6 중량%, 산사나무열매 3.6 중량%, 울금덩이뿌리 2.7 중량%, 광귤나무열매 2.7 중량%, 사인씨앗 2.7 중량%, 천궁뿌리줄기 2.7 중량%, 갯실새삼씨앗 2.7 중량%, 황금 1.8 중량%, 사삼뿌리 1.8 중량%, 옥수수수염 1.8 중량%, 사철쑥 1.8 중량%, 참당귀뿌리 1.8 중량%, 하수오덩이뿌리 1.8 중량%, 구기자나무열매 1.8 중량%, 계피 1.8 중량%, 감초 1.8 중량%, 금불초꽃 1.8 중량%, 결명자열매 1.8 중량%, 무씨앗 1.8 중량%, 대추 1.8 중량%, 맥아 1.8 중량%, 꿀풀 1.8 중량% 및 양파껍질 0.9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암은 위암, 간암, 대장암, 골수암, 혈액암, 피부암, 직장암, 유방암, 난소암, 췌장암, 담낭암, 식도암, 폐암, 구강암 또는 전립선암을 예로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대장암이다.
본 발명의 33종의 한약재를 원료 성분으로 하는 복방 한방 추출물에 포함되는 한약재 정보는 표 1과 같으며, 현재까지 암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복방 한방 추출물은 개발된 바 없다.
[표 1] 33종 한약재의 알려진 효능
Figure 112022037049360-pat00001
Figure 112022037049360-pat00002
Figure 112022037049360-pat00003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은 33종의 한약재(봉출뿌리줄기, 단삼뿌리, 쇠무릅뿌리, 익모초지상부, 다시마, 두충, 삼씨앗, 쉽싸리지상부, 황기뿌리, 도라지, 귤나무열매껍질, 산사나무열매, 울금덩이뿌리, 광귤나무열매, 사인씨앗, 천궁뿌리줄기, 갯실새삼씨앗, 황금, 사삼뿌리, 옥수수수염, 사철쑥, 참당귀뿌리, 하수오덩이뿌리, 구기자나무열매, 계피, 감초, 금불초꽃, 결명자열매, 무씨앗, 대추, 맥아, 꿀풀 및 양파껍질)를 고온에서 열수 추출하여 복방 한방 추출물을 얻은 후 이를 농축액의 형태로 조제하고, 여기에 프락토올리고당, 덱스트린, 대추 추출 농축액 및 정제수를 일정량 첨가하여 관능성과 포장성을 증대시킨 암(cancer)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33종의 한약재를 80℃에서 30분 열수 추출하고, 추출액을 여과 및 농축하여 복방 한방 추출물의 농축액(고형분 40% 이상)을 조제하는 단계; 수세한 대추를 80℃에서 30분 열수 추출하고, 추출액을 여과 및 농축하여 대추 추출 농축액(고형분 60% 이상)을 조제하는 단계; 상기 복방 한방 추출물의 농축액에 프락토올리고당, 덱스트린, 상기 대추 추출 농축액 및 정제수를 각각 60 : 9 : 8 : 8 : 15 중량%로 혼합하는 단계; 및 이의 유용성분 분석, 암세포 생육억제활성 평가 및 급성 독성검사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은 pH 4.2~4.6, 산도 0.75~1.0, 브릭스가 46~47이며, 명도 8.9, 적색도 1.6, 황색도 2.65의 진한 갈색 액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은 상술한 바와 같이 농축액을 기반으로 한 진한 갈색의 액상으로 조제될 수 있고, 별도로 아래와 같은 조제 방법 및 투여 방법을 택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본 발명의 유효 성분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의 사용 목적에 맞게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제,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 제형, 멸균 주사용액의 주사제 등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경구 투여하거나 정맥 내, 복강 내, 피하, 직장, 국소 투여 등을 포함한 다양한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약학적 조성물에는 추가적으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등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포함될 수 있는 적합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쓰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스, 메틸 셀룰로스, 비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충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혼합하여 제형화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경구용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예시될 수 있으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액체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제,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 좌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제에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주사제에는 용해제, 등장화제, 현탁화제, 유화제, 안정화제, 방부제 등과 같은 종래의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 성분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서,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의 유효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체중 ㎏ 당 1 내지 5,000mg,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0mg을 매일 또는 격일 투여하거나 1일 1 내지 3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투여 경로, 질병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대상에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소정의 물질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일반적인 모든 경로를 통하여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표적 세포로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를 이용해 투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대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인간, 원숭이, 소, 말, 양, 돼지, 닭, 칠면조, 메추라기, 고양이, 개, 마우스, 쥐, 토끼 또는 기니아 피그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포유류, 보다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은 암의 예방 또는 개선에 효과적인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은 일반적으로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음료 조성물은 100ml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것 외에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 예컨대, 천연 탄수화물 및 다양한 향미제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로는 포도당, 과당 등의 단당류,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등의 이당류 및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의 다당류와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의 당알코올이 있다.
상기 향미제로는 타우마틴, 레바우디오시드 A 또는 글리시르히진과 같은 스테비아 등의 천연 향미제 및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의 합성 향미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 100ml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을 사용한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은 천연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 등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 100중량부 당 0.01 내지 약 20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기재한 것이며, 하기 실시예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조제 및 이화학적 특성
본 발명자들은 오랫동안 한방산업에서의 경험과 비방을 토대로 다양한 조합의 한방 복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조제하여 효능을 평가하여 오면서 항암 효과가 가장 우수한 조합의 조성물을 개발하게 되었으며, 최종적으로 33종의 한약재를 원료 성분으로 하는 복방 한방 추출물의 농축액, 프락토올리고당, 덱스트린, 대추 추출 농축액 및 정제수를 각각 60:9:8:8:15 중량비로 혼합하여 진한 갈색 액상의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조제된 조성물은, pH 4.6, brix 48, 산도 0.7로 나타났으며, 색차의 경우 진한 흑갈색을 나타내었으며, 10 % 수용액의 경우 은은한 향미와 옅은 황색을 나타내었다(표 2 및 표 3). 이때, 색도는 Hunter Color Difference meter (Super color SP-80 Colormeter, Tokyo Denshoku Co.,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명도(lightness, L), 적색도(redness, a), 황색도(yellowness, b)를 측정하였다. 표준백판의 색도는 L값이 92.44, a값이 -0.06, b값이 1.35로 기준을 정하였으며, 시료당 3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여 나타내었고 색차(△E)는 다음의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Figure 112022037049360-pat00004
[표 2] 본 발명의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이화학적 특성
Figure 112022037049360-pat00005
[표 3] 본 발명의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색차 분석
Figure 112022037049360-pat00006
실시예 2: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에탄올 추출물 조제 및 성분 분석
제조된 복방 한방 추출물의 조성물로부터 에탄올 추출물을 조제하였다. 에탄올 추출의 경우, 시료 무게에 대해 10배의 에탄올(덕산, 한국, 95%)을 가한 후 30 ℃에서 8시간 추출하였으며, 상기 과정을 2회 반복 한 후 추출액을 모아 필터링한 후, 감압 농축하여 분말로 제조하여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에탄올 추출효율은 5.8±0.1 %를 나타내었다.
이후,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total flavonoid), 총 폴리페놀(total polyphenol), 총당 및 환원당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이때,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은 각각의 시료를 18 시간 메탄올 교반 추출하고, 여과한 추출 검액 400 μl에 90 % diethylene glycol 4 ml를 첨가하고 다시 1 N NaOH 40 μl를 넣고 37 ℃에서 1 시간 반응 후 4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시약으로는 rutin을 사용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추출 검액 400 μl에 50 μl의 Folin-ciocalteau, 100 μl의 Na2CO3 포화용액을 넣고 실온에서 1 시간 방치한 후 7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시약으로는 tannic acid를 사용하였다. 환원당은 DNS법으로, 총당은 phenol-sulfuric acid법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표 4] 본 발명의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에탄올 추출물의 성분 분석
Figure 112022037049360-pat00007
그 결과, 조제된 에탄올 추출물은 34.0 mg/g의 높은 폴리페놀 함량과 8.9 mg/g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373.3 mg/g의 높은 총당 함량과 326.3 mg/g의 낮은 환원당 함량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에탄올 추출물은 상당량의 당을 함유한 폴리페놀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인체 대장암 세포주 HCT116에서의 생육 억제 활성 평가
제조된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암세포 성장 억제 활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사용 암세포는 인간 대장암 세포주 HCT116이며, 이는 Korean Type Culture Collection (KTCC, Korea)에서 구입하였다. 암세포의 배양은 10 % fetal bovine serum (FBS, Gibco, Grand Island, NY, USA), 1 % penicillin-streptomycin (Welgene, Korea)이 첨가된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DMEM, Gibco, USA)을 사용하였다. 제조된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시료가 암세포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각 농도별로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시료를 대장암 세포주 HCT116에 처리한 후 cell viability assay를 수행하였다. 96 well plate에 1 X 105 cells/well의 세포를 접종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시료를 1, 2.5, 5 μl/well의 양으로 24시간 동안 처리하고 CellTiter 96® AQueous One Solution Cell Proliferation Assay kit (Promega, Madison, WI, USA) 용액을 각 well 당 20 μl씩 첨가한 후 incubator에서 4시간 반응시켰다. NanoQuant PlateTM (Tecan Trading AG, Switzerland)를 사용하여 48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는 다섯 개의 well을 독립적으로 수행한 값의 평균을 Sigma plot program 10.0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우, 5 μl/well 농도 첨가시 60%의 암세포 생육도를 나타내었으며, 10 μl/well 농도 첨가시에는 40%의 생육을 보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매우 강력한 암세포 생육억제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관능성 평가
통상의 한방 조성물들은 낮은 관능성과 이취로 거부감이 높으나, 본 발명의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높은 관능성을 나타내었다. 최종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관능성 평가는 표 5에 나타내었으며, 대조구로는 시판 쌍화탕 제품을 사용하였다. 관능평가는 식품 전공자 5명으로 진행하였으며, 각각의 항목에 대해 5점 척도법으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시판 쌍화탕보다 맛, 향, 목넘김 및 전체적 선호도에서 우수한 관능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표 5] 본 발명의 복방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과 시판 쌍화탕과의 관능성 비교
Figure 112022037049360-pat00008
[연구개발과제]
[연구과제명] 당 31 제품의 유용 생리활성 평가 연구용역
[기여율] 100%
[연구기간] 2020. 08. 01. - 2021. 09. 30.
[주관기관]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수행기관] 안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Claims (4)

  1. 봉출뿌리줄기 9.0 중량%, 단삼뿌리 9.0 중량%, 쇠무릅뿌리 5.5 중량%, 익모초지상부 4.5 중량%, 다시마 4.5 중량%, 두충 4.5 중량%, 삼씨앗 3.6 중량%, 쉽싸리지상부 3.6 중량%, 황기뿌리 3.6 중량%, 도라지 3.6 중량%, 귤나무열매껍질 3.6 중량%, 산사나무열매 3.6 중량%, 울금덩이뿌리 2.7 중량%, 광귤나무열매 2.7 중량%, 사인씨앗 2.7 중량%, 천궁뿌리줄기 2.7 중량%, 갯실새삼씨앗 2.7 중량%, 황금 1.8 중량%, 사삼뿌리 1.8 중량%, 옥수수수염 1.8 중량%, 사철쑥 1.8 중량%, 참당귀뿌리 1.8 중량%, 하수오덩이뿌리 1.8 중량%, 구기자나무열매 1.8 중량%, 계피 1.8 중량%, 감초 1.8 중량%, 금불초꽃 1.8 중량%, 결명자열매 1.8 중량%, 무씨앗 1.8 중량%, 대추 1.8 중량%, 맥아 1.8 중량%, 꿀풀 1.8 중량% 및 양파껍질 0.9 중량%로 이루어지는 33종의 한약재를 원료 성분으로 하는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대장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기재된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
KR1020220043120A 2022-04-06 2022-04-06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517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120A KR102517944B1 (ko) 2022-04-06 2022-04-06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120A KR102517944B1 (ko) 2022-04-06 2022-04-06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7944B1 true KR102517944B1 (ko) 2023-04-06

Family

ID=85918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3120A KR102517944B1 (ko) 2022-04-06 2022-04-06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794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7436A (ko) * 1999-09-14 2001-04-06 이용규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봉출 중 항암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KR100671762B1 (ko) 2005-08-23 2007-01-1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암치료와 암예방을 위한 한약조성물
KR20090034241A (ko) * 2007-10-02 2009-04-07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 식물소재 및 한약재의 발효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서제조된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화장품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20120124608A (ko) * 2011-05-04 2012-11-14 이현기 인삼씨오일을 주로 하는 건강보조식품
KR20160084175A (ko) * 2015-01-05 2016-07-13 권영아 식물유래 루테리온의 암 줄기세포의 성장 및/또는 분화 억제 용도
WO2019009437A1 (ja) * 2018-09-19 2019-01-10 株式会社日本自然発酵 自然発がん予防剤
KR20190136786A (ko) * 2018-05-31 2019-12-10 이대연 대장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7436A (ko) * 1999-09-14 2001-04-06 이용규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봉출 중 항암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KR100671762B1 (ko) 2005-08-23 2007-01-1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암치료와 암예방을 위한 한약조성물
KR20090034241A (ko) * 2007-10-02 2009-04-07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 식물소재 및 한약재의 발효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서제조된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화장품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20120124608A (ko) * 2011-05-04 2012-11-14 이현기 인삼씨오일을 주로 하는 건강보조식품
KR20160084175A (ko) * 2015-01-05 2016-07-13 권영아 식물유래 루테리온의 암 줄기세포의 성장 및/또는 분화 억제 용도
KR20190136786A (ko) * 2018-05-31 2019-12-10 이대연 대장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19009437A1 (ja) * 2018-09-19 2019-01-10 株式会社日本自然発酵 自然発がん予防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02675A (zh) 具有增加含量的活性类黄酮化合物的漆树提取物及其制备方法
KR100777189B1 (ko) 진세노시드 Rg5의 함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가공인삼 제조방법
KR102119178B1 (ko) 참당귀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KR100703180B1 (ko)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질환의 예방 및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
KR101228920B1 (ko) 황칠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장질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KR102517944B1 (ko)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20160100279A (ko) 얼레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KR100874778B1 (ko) 발효청국장 추출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20200053016A (ko) 붓기 제거에 효과가 있는 식물성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517948B1 (ko)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20140041187A (ko) 얼레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KR20100089910A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및 당뇨성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45847B1 (ko) 관능성 및 항당뇨 활성이 증대된 옥미수·호박 가미 경옥고
KR101018405B1 (ko) 정금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20190014886A (ko) 자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신경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75824B1 (ko) 당뇨 예방 및 개선용 복합 천연물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30537B1 (ko) 가시연꽃 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04772B1 (ko) 생약재를 포함하는 건강 기능 식품용 조성물
KR101307726B1 (ko) 백지추출물을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약물 중독 및 금단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01505777B (zh) 含有来自金合欢属树皮的物质的肿瘤的预防和/或治疗用组合物
KR101839908B1 (ko)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과 당뇨병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0840546B1 (ko) 백개자를 함유하는 항암활성을 갖는 조성물
KR20230161339A (ko) 까마귀밥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50439A (ko)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건강 기능 식품 및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220162233A (ko) 고들빼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