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7189B1 - 진세노시드 Rg5의 함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가공인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진세노시드 Rg5의 함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가공인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7189B1
KR100777189B1 KR1020060032584A KR20060032584A KR100777189B1 KR 100777189 B1 KR100777189 B1 KR 100777189B1 KR 1020060032584 A KR1020060032584 A KR 1020060032584A KR 20060032584 A KR20060032584 A KR 20060032584A KR 100777189 B1 KR100777189 B1 KR 100777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cancer
ginsenoside
extrac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2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8225A (ko
Inventor
정유섭
최진화
Original Assignee
정유섭
바이오메드지노믹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유섭, 바이오메드지노믹스(주) filed Critical 정유섭
Priority to GB0719741A priority Critical patent/GB2441902B/en
Priority to DE112006000924T priority patent/DE112006000924T5/de
Priority to CA2604064A priority patent/CA2604064C/en
Priority to RU2007140693/15A priority patent/RU2358749C1/ru
Priority to CN2006800117682A priority patent/CN101155521B/zh
Priority to PCT/KR2006/001324 priority patent/WO2006109979A1/en
Priority to JP2008506371A priority patent/JP5185106B2/ja
Publication of KR20060108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8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7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7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Abstract

본 발명은 인삼을 일정한 압력 및 일정 온도 하에서 처리함으로써 약효가 증강된 가공인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인삼을 사용하여 기존 제법보다 진세노사이드 Rg5의 함량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특정한 내부압력 하에서 처리함으로써 기존 제조방법보다 진세노사이드 Rg5 함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가공인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로부터 제조된 가공인삼 추출물은 뛰어난 항암 효과를 나타내어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암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인삼, 가공인삼, 진세노사이드 Rg5, 내부압력, 항암

Description

진세노시드 Rg5의 함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가공인삼 제조방법{A process for preparing novel processed ginseng to obtain increased amount of ginsenoside Rg5}
도 1은 G1-1의 인삼추출물의 LC 실험결과 및 Rg5의 mass 스펙트럼 데이터이고,
도 2는 G1-2의 인삼추출물의 LC 실험결과 및 Rg5의 mass 스펙트럼 데이터이며,
도 3은 G1-3의 인삼추출물의 LC 실험결과 및 Rg5의 mass 스펙트럼 데이터이고,
도 4는 G1-4의 인삼추출물의 LC 실험결과 및 Rg5의 mass 스펙트럼 데이터이며,
도 5는 G1-5의 인삼추출물의 LC 실험결과 및 Rg5의 mass 스펙트럼 데이터이고,
도 6은 G1-6의 인삼추출물의 LC 실험결과 및 Rg5의 mass 스펙트럼 데이터이며,
도 7은 G1-7의 인삼추출물의 LC 실험결과 및 Rg5의 mass 스펙트럼 데이터이 고,
도 8은 G2-1의 인삼추출물의 LC 실험결과 및 Rg5의 mass 스펙트럼 데이터이며,
도 9는 G2-2의 인삼추출물의 LC 실험결과 및 Rg5의 mass 스펙트럼 데이터이고,
도 10은 G2-3의 인삼추출물의 LC 실험결과 및 Rg5의 mass 스펙트럼 데이터이며,
도 11은 G3의 인삼추출물의 LC 실험결과 및 Rg5의 mass 스펙트럼 데이터이고,
도 12는 G4의 인삼추출물의 LC 실험결과 및 Rg5의 mass 스펙트럼 데이터이며,
도 13은 STD의 인삼추출물의 LC 실험결과 및 Rg5의 mass 스펙트럼 데이터이고,
도 14는 가공인삼 추출물의 종양 발생율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미 품질이 규격화된 인삼을 사용하여 진세노사이드 Rg5의 함량을 증가시키며, 항암 효과가 뛰어난 가공인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6년근 인삼을 선택된 일정한 압력과 일정한 온도에서 처리함으로써, 진세노사이드 Rg5의 함량을 높인 가공인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항암 조성물을 제공한다.
지금까지 많은 약리실험을 통해 인삼은 스트레스에 대한 생체의 비특이적 저항성을 강화시키고 우리 몸의 항상성유지 작용을 갖고 있음이 밝혀졌다. 그 외에 고혈압의 개선, 인슐린 작용증강, 당뇨마우스에서의 혈당강하효과, 흰쥐의 간 RNA 합성, 단백질 합성, 당 및 지질대사 촉진효과, 항암효과 등이 있음이 밝혀졌다. 실제 인삼은 강장, 강정, 진정, 조혈 및 항고혈압 등에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려삼의 이해, 고려인삼학회, 1995년). 한편, 미국삼 (또는 화기삼)은 고려인삼의 대체품으로 비교적 근래에 들어 고려인삼과 비슷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인삼은 생육년수에 따라 4년근, 5년근, 6년근이 있고, 인삼의 약효가 최고조인 년수는 6년근으로 가을에 재배한 것이 가장 좋다고 한다.
또한, 피부직삼은 백삼과는 달리 표피 인삼의 껍질을 벗기지 않고 그대로 건조시켜 만들어진 인삼으로 표피에서도 많은 사포닌을 함유하고 있어 성분이 우수한 인삼으로 알려져 있다.
인삼에서 가장 중요한 성분은 사포닌이다. 인삼에 들어 있는 사포닌 성분은 다른 식물의 사포닌과는 다른 담마란 (Dammarane) 골격에 1-4개의 당이 결합되어 있다. 특히 고려인삼에는 30여종의 사포닌 성분이 알려져 있는데 이 중 함량이 높은 것은 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Rd, Rg1, Re 등이다. 이러한 사포닌 성분들은 다양한 약효를 나타내는데 그 구조에 따라 약효의 종류와 강도가 매우 다르다. 이중에서도 특히 Rg5 등에 의한 면역증강효과는 매우 우수하다. Rg5는 억제혈관 확장 효과, 항암효과, 뇌신경 세포 보호의 효과가 알려져 있는 등 약리활성이 뛰어나 의약품으로 각광받고 있다.
최근 들어 인삼을 가공하여 인삼의 약효나 유용성을 변화시키려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가공공정에서 사포닌의 구조가 변하여 그 약효가 변화될 수 있다.
기존의 Rg5를 얻는 방법에는 인삼 또는 인삼추출물을 가압 멸균기에서 고온으로 처리하여 얻었으며, 이러한 방법은 현재 특허로 출원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고 10-0192678호). 그러나 상기 방법은 온도와 내부압력과의 상관관계에 의한 Rg5의 함량변화를 알 수 없고 추출용매로 유기용매, 특히 부탄올을 사용함으로써 제품에 남아있는 용매 등에 의한 유해성이 우려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6년근 인삼을 사용하여 안전하고 항상 균일하게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제품을 제조하고자 온도와 압력에 의해 생성되는 Rg5 함량차이를 규명하였고, LC Mass 분석상의 면적비율을 비교하여 상기 특허방법보다 Rg5를 백삼인 경우 3.3배, 피부직삼인 경우 4.4배로 그 함량이 증가된 우수한 제조방법을 발명하고 이의 뛰어난 항암효과를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이미 품질이 규격화된 인삼을 사용하여 일정범위의 선택된 압력과 일정한 온도에서 처리함으로써 유효성분인 진세노사이드 Rg5를 다량으로 함유하며, 항암 효과가 뛰어난 가공인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미 품질이 규격화된 인삼을 사용하여 일정범위의 선택된 압력과 일정한 온도에서 처리함으로써 최대의 Rg5 유효성분 함량을 갖는 가공인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가공인삼은 하기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5 내지 7년근, 바람직하게는 6년근 인삼의 약 1 내지 3배 무게의 물을 넣고, 약 70 내지 150℃ 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30℃의 반응 온도에서, 압력밸브를 이용하여 내부압력 1.10 내지 4.00 kgf/㎠, 바람직하게는 피부직삼인 경우는 1.20 내지 1.50 kgf/㎠, 백삼인 경우는 2.30 내지 3.00 kgf/㎠의 내부 압력하에서, 약 1 내지 5시간, 바람직하게는 약 2시간 동안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성분인 진세노사이드 Rg5함량이 증대된 가공인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가공인삼으로부터 진세노시드 Rg5의 함량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메탄올 : 메틸렌클로라이드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약 1 : 1 의 부피비를 갖는 혼합용매 (V/V)를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으로부터 진세노시드 Rg5를 대량으로 함유하는 추출방법을 제공한 다.
상기 가공인삼 제조방법은 종래 가공인삼 제조방법으로 알려진 대한민국 특허공고 제10-0192678호에 기재된 제조 방법보다 유효성분인 진세노사이드 Rg5 함량이 약 2 내지 5배 증가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가공인삼 또는 그 추출물은 음건, 냉동건조 등의 당업계에 통상적인 건조방법을 통하여 건조한 후, 미세입자,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200㎛의 입자크기로 분쇄, 분말화하는 공정을 통하여 당업계에 잘 알려진 부형제 또는 담체를 이용하여 환제, 캅셀제, 정제 등의 조성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가공인삼은 70℃ 이하 온도에서 송풍으로 약 48시간 내지 60시간 건조하고, 생약 분쇄기를 이용하여 미세분말, 바람직하게는 약 50~200㎛ 크기의 분말로 분쇄하여 각종제제의 원료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가공인삼의 추출물을 수득하는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면, 메탄올 : 메틸렌클로라이드 = 1 : 1(V/V) 혼합용액 20배를 사용하여 약 1시간 내지 약 2일간, 바람직하게는 1시간 이상 환류 시킨 후, 냉각 여과 후 증류하여 농축시키거나 동결건조하고 용매를 제거하여 건조된 분말상태의 가공인삼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인삼 자체뿐만 아니라 인삼잎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인삼잎은 지금까지 약용으로 사용하지는 않고 그냥 버리거나 사료용으로 사용되었으며 일부가 향장품 또는 식품의 원료로 사용되어 왔을 뿐이나, 인삼잎 추출물을 본 발명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가열, 가압처리 할 경우 약효가 훨씬 강화되므로 이제까 지의 인삼잎의 용도에는 물론이고 약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가공인삼은 기존의 수삼이나 백삼, 또는 홍삼에는 없거나, 극미량으로 존재하던 진세노시드 Rg5 함량을 증강시키며, 이 진세노시드 Rg5는 억제혈관 확장 효과, 면역증강 효과, 항암 효과, 뇌신경 세포 보호의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밝혀져 유용한 생리학적 작용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 및 추출방법으로부터 제조되는 가공인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암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을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한다.
상기 암 질환은 일반적인 암 질환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위암, 결장암, 유방암, 폐암, 비소세포성폐암, 골암, 췌장암, 피부암, 두부 또는 경부암, 피부 또는 안구 내 흑색종, 자궁암, 난소암, 대장암, 소장암, 직장암, 항문부근암, 나팔관암종, 자궁내막암종, 자궁경부암종, 질암종, 음문암종, 호지킨병(Hodgkin's disease), 식도암, 소장암, 임파선암, 방광암, 담낭암, 내분비선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부신암, 연조직 육종, 요도암, 음경암, 전립선암, 만성 또는 급성 백혈병, 림프구 림프종, 방광암, 신장 또는 수뇨관 암, 신장세포 암종, 신장골반 암종, 중추신경계(CNS; central nervous system) 종양, 1차 CNS 림프종, 척수 종양, 뇌간 신경교종 및 뇌하수체 선종으로부터 선택된 암질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 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1일 0.2 내지 200㎎/kg으로,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0㎎/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가공인삼 및 가공인삼 추출물은 기존의 인삼이 사용되어오던 용도, 즉 각종 의약품 제제, 한약, 건강식품, 식품, 차, 향장품 등에 원래 인삼보다 더 효능이 강화된 원료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공인삼 및 가공인삼 추출물은 독성 및 부작용은 거의 없으므로 예방 또는 치료의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암질환의 예방 효과를 나타내는 상기 제조방법으로부터 얻어진 가공인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 등이 있다.
또한, 암질환의 예방 효과를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5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추출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추출물들은 천연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추출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 1. 한국특허공고 10-0192678
수삼(주근) 1kg을 취해 가압 한약추출기(20L/국제기공)에 넣고 잠금장치를 이용하여 밀폐하고 130℃에서 2시간동안 수증기를 이용하여 가열하였다. 가열처리한 수삼을 꺼내어 50℃~60℃에서 건조한 후 한약분말제조 분쇄기(한영기계)로 2회 분쇄하여 50㎛-200㎛ 크기의 매우 고운 분말 195g(수율 65.0 %)을 얻었다(이하 STD이라 명명함).
실시예 1. 피부직삼의 가공
1-1. G1 -1의 제조
6년근 인삼(피부직삼) 300g를 가압 한약추출기(20L/국제기공)에 넣고 생수 600㎖ 을 넣은 다음 잠금장치를 이용하여 밀폐, 가온하여 내부온도를 126℃~130℃를 유지하면서 에어밸브를 이용하여 내부압력을 1.4~1.5kgf/㎠ 으로 하여 2시간 동안 가압시켰다. 가공된 인삼을 수층과 분리시켜 이를 송풍건조기(J-300M)에 넣고 60℃~70℃에서 60시간~72시간 건조한 후 한약분말제조 분쇄기(한영기계)로 2회 분쇄하여 50㎛-200㎛ 크기의 매우 고운 분말 255g(수율 85.0%)를 얻었다(이하 G1-1이라 명명함).
1-2. G1 -2의 제조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면서 내부온도를 103℃~107℃로, 내부압력을 1.4~1.5kgf/㎠ 으로 유지하여 제조하여 280g(수율 93.3%)를 얻었다(이하 G1-2라 명명함).
1-3. G1 -3의 제조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면서 내부온도를 110℃~114℃로, 내부압력을 1.4~1.5kgf/㎠ 으로 유지하면서 제조하여 260g(수율 86.7%)를 얻었다(이하 G1-3이라 명명함).
1-4. G1 -4의 제조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면서 내부온도를 126℃~130℃로, 압력을 1.85~2.0kgf/㎠으로 유지하면서 제조하여 245g(수율 81.7%)를 얻었다(이하 G1-4라 명명함).
1-5. G1 -5의 제조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면서 내부온도를 126℃~130℃로, 압력을 2.30~2.50kgf/㎠으로 제조하여 240g(수율 80.0%)를 얻었다(이하 G1-5이라 명명함).
1-6. G1 -6의 제조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면서 내부온도를 126℃~130℃로, 압력을 2.80~3.00kgf/㎠ 으로 제조하여 235g (수율 78.3%)를 얻었다(이하 G1-6라 명명함).
1-7. G1 -7의 제조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면서 내부온도를 133℃~137℃로, 압력을 3.3~3.5kgf/㎠으로 유지하면서 제조하여 162g(수율 54.0%)를 얻었다(이하 G1-7이라 명명함).
실시예 2. 백삼의 가공
2-1. G2 -1의 제조
6년근 인삼 (백삼) 300g을 가압 한약추출기에 넣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면서 내부온도를 126℃~130℃로, 압력을 2.80~3.00kgf/㎠으로 유지하여 제조하여 249g(수율 83.0%)를 얻었다 (이하 G2-1라 명명함).
2-2. G2 -2의 제조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면서 내부온도를 126℃~130℃로, 내부압력 을 1.4~1.5kgf/㎠ 으로 유지하여 제조하여 260g(수율 86.7%)를 얻었다(이하 G2-2라 명명함).
2-3. G2 -3의 제조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면서 내부온도를 133℃~137℃로, 압력을 3.3~3.5kgf/㎠으로 제조하여 220g(수율 73.3%)를 얻었다(이하 G2-3이라 명명함).
실시예 3. 4년근 피부곡삼의 가공
4년근 인삼 (피부곡삼) 300g을 가압 한약추출기에 넣고, 실시예 1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면서, 내부온도를 126℃~130℃로, 내부압력을 1.4~1.5kgf/㎠ 으로 유지하여 236g (수율 78.7%)를 얻었다 (이하 G3이라 명명함).
실시예 4. 6년근 피부직삼 2등품의 가공
6년근 인삼(피부직삼 2등품) 300g를 가압 한약추출기에 넣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면서, 내부온도를 126℃~130℃로, 내부압력을 1.4~1.5kgf/㎠ 으로 유지하여 250g(수율 83.3%)를 얻었다(이하 G4라 명명함).
참고예 1. 구성 성분 및 함량 연구
1-1. 시료 준비
본 실험에서는 용매별 전매질 항수 즉, 메탄올 ; 32.6, 메틸렌클로라이드 ; 8.9를 활용하여, n-부탄올과 유사한 전매질 항수(17.1)로 단회에 유효성분을 효과 적으로 추출하기 위하여 부피 혼합범위를 메탄올 : 메틸렌 클로라이드의 0.60 : 1.40 내지 1.20 : 0.80로 조절하고 이용하였으며, 그중에서 제일 우수한 혼합비율인 메탄올 : 메틸렌클로라이드 = 1 : 1 (전매질 항수 평균 ; 20.75 ) 이용하였다.
상기 실시예로부터 제조된 시료와 기존의 특허 방법 (한국 특허 공고번호 제 10-0192678호)에 의하여 제조된 시료 (STD)를 2g씩을 정확하게 취한다음 준비한 상기 용매 메탄올 20㎖과 메틸렌클로라이드 20㎖를 가한 후 60분간 환류하고 냉각 후 여과하여 난용성물질을 제거하고 여액을 농축하여 잔사를 얻었다. 수득률은 각각 G1-1: 0.183g, G1-2: 0.110g, G1-3: 0.160g, G1-4: 0.154g, G1-5: 0.131g, G1-6: 0.192g, G1-7: 0.079g, G2-1: 0.148g, G2-2: 0.070g, G2-3: 0.061g, G3: 0.079g, G4: 0.083g, STD: 0.124g 얻었다.
1-2. LC Mass 분석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1에서 얻은 잔사들에 각각 메탄올 : 메틸렌클로라이드 = 1 : 1(Volume) 혼합용액을 G1-1에 18.3mL, G1-2에 11.0mL, G1-3에 16.0mL, G1-4에 15.4mL, G1-5에 13.1mL, G1-6에 19.2mL, G1-7에 7.9mL, G2-2에 7.0mL, G2-3에 6.1mL, G3에 7.9mL, G4에 8.3mL, STD에 12.4mL씩 가하여 농도를 10mg/mL로 모두 동일하게 조정하였다. 각각 3mL씩 취하여 마이크로 원심분리기(한일기계)에 넣고 1300rpm으로 15분간 원심분리한 후 각각을 5㎕씩 LC Mass에 표 1에 기재된 특정 조건하에서 주입하여 도 1 내지 13의 결과를 얻었다.
LC Mass 분석
모델 / AGILENT: 1100 시리즈 LC / MSD 컬럼: Microbonda Pak-NH2 ; 3.0×390㎜(Waters) 이동상 : CH₃CN/H₂O/i-PrOH=80/5/15 유속 : 1.5㎖/min) LC 검출파장 : 280㎚
각각에서 5분대에 나타나는 물질에 대한 비교는 표 2와 같이 나타내었으며, 종래 제법으로부터 얻은 시료(STD)의 진세노시드 Rg5의 함량에 비하여 본원 실시예 1-1 및 실시예 2-1 제법에서 얻은 시료의 진세노시드 Rg5 함량이 약 4.4배 및 3.3배로 각각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제법이 종래 제조방법보다 탁월하게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료 Rg5(AREA) 잔사무게 (g) 환산AREA/g Rg5 (AREA배수)
G1-1 462.17697 0.183 84.6 4.4
G1-2 77.64743 0.110 8.5 0.4
G1-3 241.69051 0.160 38.7 2.0
G1-4 265.28598 0.154 40.9 2.1
G1-5 250.03737 0.131 32.8 1.7
G1-6 280.65826 0.192 53.9 2.8
G1-7 276.19083 0.079 21.8 1.1
G2-1 431.97482 0.148 63.9 3.3
G2-2 194.58148 0.070 13.6 0.7
G2-3 108.80907 0.061 6.6 0.3
G3 222.55847 0.079 17.6 0.9
G4 225.62961 0.083 18.7 1.0
STD 156.84944 0.124 19.4 1.0
또한 이 물질이 Rg5임을 확인하기 위해 mass 스펙트럼을 한 결과 각각의 분자량은 G1-1: 766.1, G1-2: 766.5, G1-3: 766.6, G1-4: 766.0, G1-5: 766.1, G1-6: 766.0, G1-7: 766.7, G2-1: 766.2, G2-2: 766.6, G2-3: 766.8, G3: 766.3, G4: 766.8, STD: 765.9로 거의 동일하게 분석되어 각각의 물질이 Rg5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1. 가공인삼의 항암효과 측정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로 제조된 가공인삼의 뛰어난 항암효과를 가짐을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1-1. 실험동물의 준비
실험동물은 동일한 조건에서 사육한 생후 4주(체중 10~15gm)된 C57BL/6 마우스(중앙실험동물)100마리를 암수 구별 없이 사용하였으며, 실험군 80마리, 대조군 20마리로 분리하였다. 실험군의 마우스가 생후 10주째가 되어, B16 흑색종 세포주를 실험동물의 배부에 피하 주입하였다. B16 흑색종 세포주는 CO2 배양기(incubator)에서 일주일간 계대 배양 후 10% FCS(fetal calf serum)을 포함한 RMPI 1640으로 희석한 세포 부유액을 1×106 세포/㎖ 로 조절하여 0.1㎖씩 주입하여 종양을 유발시켰고, 대조군에는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았다.
1-2. 혼합용매 추출물(A) 제조
본 발명에서 단회에 유효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기 위하여 부피 혼합범위를 메탄올 : 메틸렌 클로라이드의 0.60 : 1.40 내지 1.20 : 0.80로 조절하고 이용하였으며, 그중에서 제일 우수한 혼합비율인 메탄올 : 메틸렌클로라이드 = 1 : 1 (전매질 항수 평균 ; 20.75 )을 상기 실시예에서 확인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혼합용매 가공인삼 추출물(실시예 2-1)을 하기 실험의 시료로 사용하였다(이하 GMM이라 명명함).
1-3. 가공인삼 추출물( 실시예 2-1) 투여
실험군은 생후 5주째부터 물만을 투여한 실험1군과 본 발명의 가공인삼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 2군으로, 대조군 역시 생후 5주째부터 물만을 투여한 대조 1군과 가공인삼 추출물을 투여한 대조 2군으로 각각 세분하였다. 본 발명의 가공인삼 추출물 용액(CMM)을 5㎎/㎖의 수용액으로 만들어 대조 2군 및 실험 2군의 실험동물에 계속적으로 제한 없이 마시게 하였다.
1-3. 종괴의 성장도와 생존기간의 측정
종괴의 성장도와 생존기간의 측정은 실험 1군과 실험 2군 모두 B16 흑색종 세포주를 주입한 후 일주일째부터 5일 간격으로 종양의 크기를 계측하고, 종양으로 인한 각 군의 생존기간을 측정하였다. 종양의 성장도는 종양의 무게로 비교하였는데 하기 수학식 1로 계산하였다.
종양의 무게(mg) = 장축의 길이(mm) × 단축의 길이(mm)/2
1-4. 실험결과
실험결과, 실시예 2-1의 가공인삼 추출물(CMM)을 투여하지 않은 실험 1군 40마리와 가공인삼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 2군에 속하는 마우스 40마리에 대한 B16 흑색종 세포주 주입 1주일째에 실험 1군에서는 55%의 실험동물에서, 실험 2군에서는 25%의 실험동물에서 종양이 발생하여 두 군 사이에 종양발생률의 차이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12일째와 17일째에는 실험 1군에서 80%와 95%, 실험 2군에서는 35%와 42.5%의 발생율을 보였고, 24일째에는 실험 1군에서는 100%, 실험 2군에서는 52.5%의 발생률을 보였다(표 3 및 도 14 참조).
그룹/일(day)/항목 종양의 중량(g) 생존율(%)
7 12 17 22 57 12 17 42 60
실험 1군 0.1 0.4 1.8±0.3 5.1±1.2 22.4±5.3 100 97.5 50 0
실험 2군 0.1 0.3 1.5±0.2 3.3±1.0 9.8±2.1 100 100 85 60
표 3에서 보여지는바와 같이 실험 1군과 2군에서 암세포 주입 일주 째에 발생한 종양 중량이 평균 0.1g로 종양의 중량차가 없었으며, 12일째는 실험 1군이 0.4g, 실험 2군이 0.3g 이었고, 17일째는 실험 1군이 1.8±0.3g, 실험 2군이 1.5±0.2g 이었으며, 22일째는 실험 1군이 5,1±1.2g, 실험 2군이 3.3±1.0g이었다. 57일째는 실험 1군이 22.4±5.3g, 실험 2군이 9.8±2.1g 로 추출물 용액(A)를 투여한 실험군과 투여하지 않은 실험군 사이에 현격한 차이가 있었다. 암세포가 발생한 상태의 실험동물은 암세포 주입 12일째까지는 실험 1, 2군에서 한 마리도 사망하지 않았고, 17일째에 실험 1군에서 한 마리가 사망하였다. 실험 2군 85%는 암세포 주입 후 42일 이상 생존하였으며, 실험 1군은 50%가 생존하였다. 그 이후 실험 1군의 실험동물은 사망이 급격히 증가하여 60일째 모두 사망하였으나, 실험 2군의 실험동물은 60%가 생존하였다.
이로써 추출물 용액(A)이 매우 우수한 항암효과가 있음이 명백하게 확인되었다.
실험예 2. 급성독성실험
6 주령의 특정병원체부재(specific pathogen-free, SPF) SD계 랫트를 사용하여 급성독성실험을 실시하였다. 각 그룹 당 2마리씩의 동물에 본 발명의 추출물 용액(A)을 1g/㎏의 용량으로 1회 경구투여 하였다. 실험 물질 투여 후 동물의 폐사여부, 임상증상 및 체중변화를 관찰하고 혈액학적 검사와 혈액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부검하여 육안으로 강장기와 흉강 장기의 이상여부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실험 물질을 투여한 모든 동물에서 특이할 만한 임상증상이나 폐사된 동물은 없었으며, 체중변화, 혈액검사, 혈액생화학 검사 및 부검 소견 등에서도 독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본 발명의 추출물은 랫트에서 각각 1g/㎏까지도 독성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경구투여 최소치사량(LD50)은 1g/㎏이상인 안전한 물질로 판단되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실시예 1의 G1-1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의 G1-1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실시예 1의 G1-1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실시예 2의 G2-1 1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실시예 2의 G2-1 2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 식품의 제조
실시예 2의 G2-1 10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실시예 2의 G2-1 100 ㎎
비타민 C 15 g
비타민 E(분말) 100 g
젖산철 19.75 g
산화아연 3.5 g
니코틴산아미드 3.5 g
비타민 A 0.2 g
비타민 B1 0.25 g
비타민 B2 0.3g
물 정량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이미 품질이 규격화된 인삼을 사용하여 일정범위의 선택된 압력과 일정한 온도에서 처리함으로써 유효성분인 진세노사이드 Rg5를 다량으로 함유하며, 항암 효과가 뛰어난 가공인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Claims (12)

  1. 6년근 피부직삼 또는 6년근 백삼 중량의 1 내지 3배 중량의 물을 넣고, 피부직삼의 경우 126℃ 내지 130℃의 온도 및 내부압력 1.40 내지 1.50 kgf/cm2에서 처리하고, 백삼의 경우 126℃ 내지 130℃의 온도 및 내부압력 2.80 내지 3.00 kgf/cm2에서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증가된 Rg5 유효성분 함량을 갖는 가공인삼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가공인삼으로부터 진세노시드 Rg5를 대량생산하기 위하여 0.60 : 1.40 내지 1.20 : 0.80 부피비인 메탄올 : 메틸렌클로라이드 혼합용매를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하는 추출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60032584A 2005-04-12 2006-04-11 진세노시드 Rg5의 함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가공인삼 제조방법 KR100777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719741A GB2441902B (en) 2005-04-12 2006-04-11 Novel method for preparing ginseng to obtain increased amount of ginsenoside RG5
DE112006000924T DE112006000924T5 (de) 2005-04-12 2006-04-11 Neuartiges Verfahren zum Zubereiten von verarbeitetem Ginseng, um eine erhöhte Menge an Ginsenosid RG5 zu erhalten
CA2604064A CA2604064C (en) 2005-04-12 2006-04-11 Novel method for preparing processed ginseng to obtain increased amount of ginsenoside rg5
RU2007140693/15A RU2358749C1 (ru) 2005-04-12 2006-04-11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обработанного женьшеня с повышенным количеством гинзенозида rg5
CN2006800117682A CN101155521B (zh) 2005-04-12 2006-04-11 用于制备加工人参以获得增加的人参皂甙rg5含量的方法
PCT/KR2006/001324 WO2006109979A1 (en) 2005-04-12 2006-04-11 Novel method for preparing processed ginseng to obtain increased amount of ginsenoside rg5
JP2008506371A JP5185106B2 (ja) 2005-04-12 2006-04-11 ジンセノサイドRg5量を増加させるべく処理された朝鮮人参の新規調製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30519 2005-04-12
KR1020050030519 2005-04-12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8937A Division KR100754767B1 (ko) 2006-12-15 2006-12-15 진세노시드 Rg5의 함량이 증대된 가공인삼 또는 이의추출물을 함유하는 암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0060128922A Division KR100769936B1 (ko) 2006-12-15 2006-12-15 진세노시드 Rg5의 함량이 증대된 가공인삼 또는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암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약학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8225A KR20060108225A (ko) 2006-10-17
KR100777189B1 true KR100777189B1 (ko) 2007-11-28

Family

ID=37083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2584A KR100777189B1 (ko) 2005-04-12 2006-04-11 진세노시드 Rg5의 함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가공인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371416B2 (ko)
JP (1) JP5185106B2 (ko)
KR (1) KR100777189B1 (ko)
CN (1) CN101155521B (ko)
RU (1) RU2358749C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4274B1 (ko) 2017-03-20 2018-08-01 주식회사 비엔지삶 수삼과 끄라차이담을 이용한 정과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7361992B2 (en) * 2007-11-30 2013-07-18 Chi, Yu-F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with a mechanism of multi-target receptor retroaction for treating depression
KR101052574B1 (ko) 2008-11-04 2011-07-29 씨제이제일제당 (주) 인삼으로부터 진세노사이드 Rg1 또는 Rb1이 강화된 추출물 분획을 제조하는 방법
KR101608505B1 (ko) * 2009-04-21 2016-04-04 (주)아모레퍼시픽 백삼 파우더를 함유한 화장품 조성물
KR101191367B1 (ko) * 2012-09-12 2012-10-15 김수겸 구운 홍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구운 홍삼
KR101987453B1 (ko) * 2017-06-02 2019-06-1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생활습관병 개선을 위한 맞춤형 인삼 제품의 제조방법
CN109387581B (zh) * 2017-09-06 2020-01-24 申联生物医药(上海)股份有限公司 一种口蹄疫抗原的定量方法
CN111700270A (zh) * 2020-06-18 2020-09-25 吉林北方参茸食品检验中心 一种富含稀有人参皂苷Rg3、Rh2、Rg5保健饮品的制备工艺
CN114564692B (zh) * 2022-03-04 2024-02-09 西安惠普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获取海参多肽制备工艺的数据处理方法、设备及介质
CN115738371A (zh) * 2022-12-05 2023-03-07 山东柳新堂健康产业有限公司 一种亚临界双溶剂萃取方法及其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2678B1 (ko) 1995-06-07 1999-06-15 손경식 약효가 증강된 가공인삼 제품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5663B1 (ko) * 1994-11-23 1998-04-22 배순훈 카세트 하우징 댐핑장치
KR20020052639A (ko) * 2000-12-26 2002-07-04 이상준 인삼 엑기스의 제조방법
US20030185910A1 (en) * 2002-02-08 2003-10-02 Taik Koo Yun Cancer preventive composition comprising ginsenoside glycosides of red ginseng
KR20040020693A (ko) * 2002-08-31 2004-03-09 박명환 효능이 증강된 인삼추출물의 제조 방법
JP2005304369A (ja) * 2004-04-21 2005-11-04 Rasheru Seiyaku Kk 高麗人参及び霊芝又はこれらの抽出物を含有する健康補助食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2678B1 (ko) 1995-06-07 1999-06-15 손경식 약효가 증강된 가공인삼 제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4274B1 (ko) 2017-03-20 2018-08-01 주식회사 비엔지삶 수삼과 끄라차이담을 이용한 정과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8225A (ko) 2006-10-17
US20060228430A1 (en) 2006-10-12
JP5185106B2 (ja) 2013-04-17
JP2008535910A (ja) 2008-09-04
RU2358749C1 (ru) 2009-06-20
CN101155521A (zh) 2008-04-02
CN101155521B (zh) 2013-02-13
US7371416B2 (en) 2008-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7189B1 (ko) 진세노시드 Rg5의 함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가공인삼 제조방법
KR100754253B1 (ko) 신규한 흑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102410619B1 (ko) 오리나무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1을 함유하는 골격근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465113B1 (ko) 대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트리신을 포함하는조성물
KR101675930B1 (ko) 겨우살이, 갈근, 및 산수유 혼합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KR101866478B1 (ko) 유기용매를 이용한 꽃송이버섯(Sparassis crispa)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0921909B1 (ko) 조혈모세포 증식을 갖는 더덕의 부탄올 분획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KR100769936B1 (ko) 진세노시드 Rg5의 함량이 증대된 가공인삼 또는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암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약학조성물
KR100754767B1 (ko) 진세노시드 Rg5의 함량이 증대된 가공인삼 또는 이의추출물을 함유하는 암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0826311B1 (ko) 항암제에 의해 유발되는 간 독성 및 신장 독성에 대한 억제활성을 갖는 복숭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KR102339923B1 (ko) 혈행 개선용 식치제호탕 조성물
KR100781571B1 (ko) 신규한 흑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KR100490799B1 (ko) 대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트리신을 포함하는 식품
KR102085582B1 (ko) 쑥부지깽이 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종양 또는 항종양 면역작용 유도용 조성물
KR100895500B1 (ko) 호노키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0844991B1 (ko) 흑인삼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암용 조성물
CA2604064C (en) Novel method for preparing processed ginseng to obtain increased amount of ginsenoside rg5
KR101803046B1 (ko) 부처손 알코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학요법제와의 병용투여를 위한 항암 조성물
KR20060028076A (ko) 항암 활성을 갖는 유안후아신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2441302B1 (ko) 디아세틸 토릴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KR102517944B1 (ko)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20180136592A (ko) 동백나무 유래 겨우살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KR20090054228A (ko) 대추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세포 생성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KR20110057012A (ko) 종양세포 이동억제용 조성물
KR101771111B1 (ko) 남풍찰수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