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0546B1 - 백개자를 함유하는 항암활성을 갖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백개자를 함유하는 항암활성을 갖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0546B1
KR100840546B1 KR1020030056653A KR20030056653A KR100840546B1 KR 100840546 B1 KR100840546 B1 KR 100840546B1 KR 1020030056653 A KR1020030056653 A KR 1020030056653A KR 20030056653 A KR20030056653 A KR 20030056653A KR 100840546 B1 KR100840546 B1 KR 100840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composition
white
present
antican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6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5920A (ko
Inventor
한영미
최병호
Original Assignee
한영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영미 filed Critical 한영미
Priority to KR1020030056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0546B1/ko
Publication of KR20050015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5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0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0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1Brassicaceae or Cruciferae (Mustard family), e.g. broccoli, cabbage or kohlrabi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암 효능을 갖는 백개자 또는 개자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생약 조성물은 위암, 대장암, 직장암, 유방암, 자궁암, 난소암, 폐암, 방광암 등의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해 항암 효능을 나타냄으로서, 암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건강기능식품 및 의약품을 제공한다.
백개자, 개자, 암, 건강기능식품, 의약품.

Description

백개자를 함유하는 항암활성을 갖는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Sinapsis Alba Semen having anti-cancer activity}
도 1은 위암환자 1에게서 적출된 위암조직을 가지고 HDRA을 응용한 항암제 감수성 시험 결과이고,
도 2는 위암환자 2에게서 적출된 결장암조직에 대한 항암제 감수성 시험 결과이다.
본 발명은 백개자를 함유하는 항암활성을 갖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암이란 일반적으로 인체조직을 이루고 있는 세포의 세포주기에 이상이 생겨 정상적으로 분화하지 않고, 성장을 조절할 수 없이 커진 것 중 악성종양인 것을 말한다. 암은 개시(initiation), 촉진(promotion)및 진행 (progression)의 세 단계를 거쳐 발생하며, 충분한 양의 발암물질만으로 발생될 수 있으나 실제적으로는 환경이나 음식물 속에 포함된 소량의 발암개시물질(initiator)에 의해 세포 돌연변이( 개시세포)가 일어나고 이렇게 세포들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면서 발암촉진물질(tumor promotor)의 자극에 의해 비정상적인 세포분열이 일어났을 때 비로소 암 조직이 형성되기 시작한다고 알려져 있다.
환경의 악화와 노년인구의 증가로 세계 암 발생률이 매년 5%이상 증가하고 있으며, 1997년 암을 원인으로 한 사망자가 600만 명으로 질병 사망률의 12%에 달했다. 국내에서도 매년 10만 명의 암환자가 새롭게 발생하고 5만 여명이 매년 사망하고 있으며, 암환자 증가율도 10%에 이르고 있다. 1999년 국립암센터의 통계에 따르면 환자는 12만 명으로서 남자는 위암(24%), 간암(16%), 폐암(16%), 대장암(10%)의 순서이며, 여자는 위암(16%), 자궁경부암(12%), 유방암(15%), 대장암(10%)의 순서로 암 환자가 발생했다.
이러한 암의 치료를 위해서는 외과적 치료, 화학요법, 생물요법, 방사선요법 등이 이용되고 있다. 화학요법은 흔히 말하는 약물요법으로서 핵산 알킬화제, 대사 길항제, 천연물, 호르몬제 등의 합성된 화학물질을 이용한 것이며, 생물요법은 우리 몸은 원래 가지고 있는 면역 기능을 회복시키거나 증진시켜 암세포의 활동력을 약화시킴으로써 암의 진행을 막는 것으로서, 사이토카인, 면역요법제, 유전자 치료제, 암백신, 신생혈관형성 억제제 등이 있다. 현재까지 이러한 방법들을 단독 혹은 병용하여 치료에 응용하고 있으나 부작용, 약제내성, 재발 등으로 완벽한 치료법이 없는 상태이다.
지금까지 항암제 연구는 암세포처럼 세포분열이 왕성한 조직에 대한 세포증식 억제를 근거로 하여 행하여지기 때문에 세포분열이 빠른 피부, 점막, 골수 같은 정상조직 세포에도 독성을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효과적인 항암제 개발을 위해서는 암세포에만 특이적으로 작용하고 정상세포에 대해 세포 독성이 적은 항암 활성물질의 탐색이 이루어져야 한다.
항암제의 치료 요법은 외과적 수술요법, 화학요법, 생물요법, 방사선요법 등이 그 예이다. 화학요법은 흔히 말하는 약물요법으로서 핵산 알킬화제, 대사 길항제, 천연물, 호르몬제 등의 합성된 화학물질을 이용한 것이며, 생물요법은 우리 몸이 원래 가지고 있는 면역 기능을 회복시키거나 증진시켜 암세포의 활동력을 약화시킴으로써 암의 진행을 막는 것으로서, 사이토카인, 면역요법제, 유전자 치료제, 암백신, 신생혈관형성 억제제 등이 있다. 현재까지는 이러한 방법들을 단독 혹은 병용하여 치료에 응용하고 있으나 부작용, 약제내성, 재발 등으로 인한 한계점을 가지고 있어, 치료보다 더 중요한 것은 암을 예방하는 것이다. 암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금연 및 금주, 올바른 식생활 습관을 갖는 것 등의 소극적인 방법과, 좀 더 적극적인 방법으로 암화학 예방(chemoprevention)이란 것이 있으며, 이의 목적은 체내에서 발생하고 있는 발암과정을 중지시키거나, 이미 암세포로 돌연변이 되고 있는 세포를 다시 정상화시키거나, 조기암 상태에서 진행되고 있는 암이 침윤성 암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어떤 음식 또는 약제 (비타민류, 섬유질류, 미세 영양소 등)를 장기간 복용시켜 방지하는 데 있다.
항암제를 개발하기 위한 검색방법(screening method)으로서, 손쉽고 신속하게 암을 조기에 발견하고 탐색하기 위한 다양한 시험관내 방법(in vitro predictive assay)이 개발되어 왔는데, 이러한 방법은 항암제 감수성을 검사할 수 있을 만큼 성공적으로 시험관 내에서 배양되지 않으며, 검사결과의 재현성면에서 문제가 있으며, 항암제에 대한 암의 반응을 생체 내에서와 유사하게 이루어 질 수 있게 하는 모델의 설정이 어렵다는 문제들로 인하여 보편화되지 않았었는데, 최근 들어, 3차원 조직배양 항암제 감수성검사법(HDRA: Histoculture Drug Response Assay)이 실제 임상과의 일치율이 논문상으로는 90% 정도, 실제 현장상으로 70% 정도를 나타내는 우수한 탐색방법의 하나로서 한국에서는 보건복지부, 서울중앙병원, 원자력병원 등 15개 병원이 임상시험에 사용하고 있으며, 대한외과학회, 골관절종양학회, 부인종양학회, 임상병리학회 등의 공인기관으로부터 인증을 받고 있는 검사법이며, 미국, 일본 및 유럽 등의 선진국에서도 그 검색의 정확성을 인정하고 있는 검사법 의 일종으로서 공인되고 있는 검사법으로 알려져 있다(Kang H. J et al: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33(5), p392-397, 2001; Bhuvanesh S. et al; HEAD& NECK, May p437, 2002; Tetsuro Kubota et al, Clinical Cancer Research Dec. 1, pp1537-1543, 1995)
상기와 같은 검사법 등을 통하여, 지금까지 항암활성을 가지는 물질에 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많은 항암활성물질들이 알려지게 되었으나, 아직까지 암에 특효약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없는 실정이라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현재 식물과 미생물 등에서 추출한 항암물질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으나, 이들 대부분이 미생물의 2차 대사산물이거나 생약재에서 추출된 물질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백개자(Sinapsis Alba Semen)는 겨자(Brassica juncea Cosson)의 익은 종자 로서, 황갈색 내지 엷은 황색 가루로서 현미경상으로 살펴보면, 기름방울을 갖는 유세포 및 3면이 뚜렷하게 비후된 세포가 있으며, 주요성분은 시날빈(sinalbin), 시나핀(sinapine), 시니그린(sinigrin), 및 지방산 오일이며, 거담작용 및 피부자극작용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한약전외 한약규격집 주해서, 지형준, 이상인저, 한국메디칼인덱스사 p453-454, 1988; 정보섭, 신민교 저, 도해향약대사전 영림사 p572-573, 1998).
따라서 본 발명자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여러 종의 생약의 항암활성을 최신 항암제 검사법을 이용하여 항암성분을 연구한 결과, 백개자를 함유한 조성물이 뛰어난 항암 효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여, 항암활성을 갖는 새로운 항암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항암활성을 갖는 생약을 함유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백개자 또는 개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활성을 갖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백개자는 통상적으로 원료 그대로를 섭취하게 되면 다소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고, 극소량만을 섭취할 수 있으므로 적정한 가공과정을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백개자는 원재료에 하기의 가공 또는 특수처리과정을 거쳐 수득된 것을 사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백개자는, 시중에서 구입가능한 백개자를 물에 침지시키고, 1일 1회 내지 2회 물을 교환해 주면서 3일 내지 7일 동안 침지시킨 후 이를 건조시키는 공정을 통해 수득할 수 있다.
상기 공정 중 물은 증류수 또는 정제수를 사용하며, 침지기간은 기후 또는 외부 환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침지과정 중에 약성이 냉(冷)하지 않은 추가적인 생약재를 약 1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중량% 정도의 혼합비로 가할 수 있다.
추가 생약재로는 예를 들어, 계지, 강활, 백지, 생강 등의 신온해표약, 독활, 위령선등의 거풍습약, 부자, 건강, 정향 등의 온리거한약 등이 사용가능하다.
그러나 백개자의 성질이 강하여 의약품이나 식품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독성과 부작용을 다스릴 수 있는 다른 약재와 함께 사용하여야 하는데, 이때 다른 약재의 비중은 약 10% 정도로 한다면 약 10일간의 과정을 거쳐 본 발명의 가공처리된 백개자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을 통해 수득된 백개자는 암 조직배양세포에 투여하였을 때 암세포의 증식을 현저히 억제하며, 기존의 항암제와 비교시 탁월한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보인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백개자를 그 의약품 또는 건강식품에 통상적인 다양한 형태의 부형제나 첨가를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법을 통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 을 얻을 수 있다.
상기의 항암활성을 갖는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백개자를 0.01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 중량비를 갖는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항암활성을 갖는 조성물은 위암, 대장암, 직장암 등의 소화기계통의 암, 유방암, 자궁암, 난소암, 식도암, 폐암, 방광암, 비소세포성폐암, 결장암, 골암, 췌장암, 피부암, 두부 또는 경부 암, 피부 또는 안구내 흑색종, 항문부근암, 나팔관암종, 자궁내막암종, 자궁경부암종, 질암종, 음문암종, 호지킨병(Hodgkin's disease), 소장암, 내분비선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부신암, 연조직 육종, 요도암, 음경암, 전립선암, 만성 또는 급성 백혈병, 림프구 림프종, 신장 또는 수뇨관 암, 신장세포 암종, 신장골반 암종, 중추신경계(CNS; central nervous system) 종양, 1차 CNS 림프종, 척수 종양, 뇌간 신경교종, 뇌하수체 선종 등의 암질환의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백개자 또는 개자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백개자 또는 개자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 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암활성을 갖는 조성물의 제제는 경고제, 과립제, 로션제, 리니멘트제(liniments), 리모나데제(limonades), 방향수제, 산제, 시럽제, 안연고제, 액제, 엑스제, 엘릭시르제(elixier), 연고제, 유당제, 유동엑스제, 에멀션제, 현탁제, 점안제, 정제, 좌제, 주사제, 주정제, 침제, 전제, 파스타제(pasta), 카타플라스마제(cataplasma), 캡슐제, 트로키제(troches), 팅크제(tincture) 또는 환제(丸劑)가 바람직하나, 상기 제제에 한정되지 않으며,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비경구투여하거나 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하루에 유효성분으로서 체중 1kg당 0.001 내지 10g,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g의 양을 1 내지 수회에 나누어 음용할 수 있다. 특정인에 대한 음용용량 수준은 그 사람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음용방법, 배설율, 증상의 중증도에 따라 변화 될 수 있으며, 상기 음용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항암활성을 나타내는 백개자 또는 개자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첨가제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백개자 또는 개자는 암 예방을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백개자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 조성물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백개자를 함유하는 외에는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백개자의 제조예 1
건조된 백개자(경동시장) 5 kg을 증류수 10리터에 침지시키고, 1일 1회 물을 교환해 주면서 7일 동안 실온에서 침지시켜 독성을 제거하였다. 7일 후 이를 건조시켜 분말화 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2. 백개자의 제조예 2
건조된 백개자(경동시장) 5 kg을 정제수 10리터에 침지시키고, 1일 2회 물을 교환해 주면서 5일 동안 실온에서 침지시켜 독성을 제거하였다. 7일 후 이를 건조시켜 분말화 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침지과정 중에 건강 및 강활을 각각 250g 씩 백개자와 혼합하여 침지시켰다.
실험예 1. 항암제 감수성 실험
실시예 1 및 2에서 얻은 백개자의 항암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문헌에 기재된 HRDA(Histoculture Drug-Response Assay)법을 이용한 항암실험 방법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Tetsuro Kubota et al.; Clinical Cancer Research, p1537-1543, 1995).
1-1. 시료의 준비
먼저 실시예 1 및 2의 시료분말 500mg을 10ml의 PBS에 녹여 여과지(0.22μm)로 여과를 2회 수행하여 최종 약제 농도가 5mg/ml(100X)가 되도록 준비하였다.
1-2. 항암제 감수성(chemosensitivity) 시험
암환자에게서 적출된 암조직을 배양하여 이에 기존 항암제 및 본 발명의 항암 조성물의 항암제 감수성 시험을 HRDA법을 응용하여 수행하였다.
1-2-1. 암세포의 배양 및 시료처리
먼저, 150mg이상의 각종 암조직을 환자로부터 적출하여 트랜스포트 배지(transport media)에 넣어 4℃를 유지하여 운반하였다. 워싱용 배지(washing media)를 100mm 디쉬에 적정량 넣은 후, 조직을 50㎖ 튜브에서 워싱용 배지가 담긴 디쉬로 옮겼다. 그 다음 멸균된 핀셋과 매스를 이용하여 암조직을 제외한 모든 부위를 제거하고 남은 암조직을 약 1mm 크기로 잘게 잘랐다. 워싱용 배지로 3회 세척한 후 60mm 디쉬의 콜라겐 스폰지 위에 암조직만 옮기고, 파이펫으로 여분의 배지를 모두 제거한 다음 37℃로 미리 데운 RPMI1640 배양배지를 4.5ml 넣고 MTS를 500㎕ 첨가하였다.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2시간 배양한 후, 짙은 적색으로 염색된 살아있는 조직만 골라 100mm 디쉬에 배양배지와 함께 넣고 다시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하룻밤 배양하였다. 6 웰의 각 웰에 100X 로 만들어진 약물을 100㎕ 처리하여 최종처리농도 50㎍/ml이 되게 하였고, 대조군에는 PBS, 1% DMSO 및 1% EtOH를 처리하여 37℃, 5% CO2 인큐베이터 상에서 3일간 배양하였다. 대조약물로서 현재 암 치료용으로 사용 중인 항암제를 처리하였고(표 1 참조), 일부 조직은 고정염색(H/E 염색)하여 현미경상에서 관찰하였다.
약물 처리농도 노출시간(시)
아드리아마이신 (Adriamycin) X=29ng/ml 24 시간
시스플라틴(CDDP, Cisplatin) X=1.5㎍/ml(.75mg/ml max.) 24 시간

1-2-2. 배지 내의 글루코스 소비량(Glucose consumption) 측정
배양이 끝난 후, 인피니티 글루코스 시약(INFINITYTM Glucose Reagent, Sigma Co., Ltd.)을 이용하여 조직 배양액에 남아있는 글루코스의 농도를 측정하여 배양 중 살아있는 조직의 성장률(growth rate)을 측정하였다. 배양액 5㎕에 상기 시약 500㎕를 넣어 반응시킨 후 3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배양이 끝난 조직의 일부는 세포단위로 나눈 후 FACS를 이용하여 세포자사멸(apoptosis)로 죽은 세포들을 분별해 내었다.
1-2-3. MTT 시험법을 이용한 세포생존억제율 측정
다음 약물이 포함된 배양배지를 모두 제거하고 PBS로 1회 세척한 다음, 각 웰에 900㎕ 배지와 MTT(5mg/ml) 100㎕을 넣고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2시간동안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하고 0.5ml의 DMSO(Sigma Co., Ltd.)를 넣고 교반기(shaker) 위에 올려놓고 1시간 이상 방치하여 포마잔 결정(formazan crystal)을 추출하였다. 각 웰의 추출액을 100㎕씩 취하여 96-웰 플레이트에 옮긴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Bio-Rad 500)를 이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흡광도를 이용하여 하기의 수학식 1로 그 억제율을 계산하였다. 억제율(IR)이 30% 이상이면 각 약물의 컷오프 농도에 대한 암의 감수성이 양성인 것으로 판정하였다.
억제율(IR, %) = (1-T/C) X 100
T : 약물을 처리군 웰의 조직 g 당 흡광도
C : 대조군 웰의 조직 g 당 흡광도
조직 일부는 파라핀 임베딩 후 5㎛로 절편을 만든 다음 아넥신 V(Alexa Fluor 488 annexin V, Molecular Probes사) 와 프로피디움 요오드(Propidium Iodide)로 염색하고 488nm의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약물에 의한 세포자사멸을 확인하고 MTT 엔드 포인트 시험법(MTT end point assay)을 보정하였다.
암조직 배양 세포 생존율을 MTT 시험을 통해 수행하였으며, 흡광도를 측정하여 하기와 같은 항암제 감수성 결과를 얻었다.
[사례 1] 위암 조직 실험 1
ADR(Adriamycin), CDDP(Cisplatin) 및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위암조직 배양세포에 각각의 농도로 처리하여 상기에 따라 종양억제율(tumor inhibition rate)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으며, 본 발명의 항암 조성물의 종양억제율은 84%로 기존의 아드리아마이신, 시스플라틴보다 월등한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시약 종양억제율(%)
ADR 39
CDDP 40
실시예 1 조성물 84

[사례 2] 위암 조직 실험 2
ADR(Adriamycin), CDDP(Cisplatin) 및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위암조직 배양세포에 각각의 농도로 처리하여 상기에 따라 종양억제율(tumor inhibition rate)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으며, 본 발명의 항암 조성물의 종양억제율은 78%로 기존의 아드리아마이신, 시스플라틴보다 월등한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시약 종양억제율(%)
ADR 22
CDDP 44
실시예 1 조성물 78

실험예 2. 독성 실험
본 발명의 특수가공처리된 백개자의 독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동물실험을 수행하였다.
25±5g의 ICR계 마우스(중앙실험동물)와 235±10g의 특정병원부재(SPF) 스프라그-도올리(Sprague Dawley, Biogenomics사) 래트를 각각 3마리씩 3군으로 나누어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백개자를 각각 20mg/㎏, 10mg/㎏, 1mg/㎏의 용량으로 복강투여한 후 24시간 동안 독성여부를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3군 모두에서 사망한 예를 전혀 관찰할 수 없었고, 체중 증가, 사료 섭취량 등에서 외견상 대조군과 별다른 증상을 찾아볼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수가공처리된 백개자가 안전한 약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아래와 같은 제형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아래의 제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의 상기 약학적 제제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주사제제의 제조
실시예 1의 백개자 ...........................1.0㎎
소디움 메타비설파이트........................3.0㎎
메틸파라벤...................................0.8㎎
프로필파라벤.................................0.1㎎
주사용 멸균증류수...........................적량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2㎖로 한 후, 2㎖ 용량의 앰플에 충전하고 멸균하여 주사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의 백개자 ..........................20㎎
유당........................................100㎎
전분........................................100㎎
스테아린산 마그네슘.........................적량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캡슐제의 제조
실시예 1의 백개자 .........................10㎎
유당........................................50㎎
전분........................................50㎎
탈크........................................2㎎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적량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액제의 제조
실시예 1의 백개자 ..........................100㎎
설탕........................................20g
이성화당....................................20g
레몬향......................................적량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100㎖
상기의 성분을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혼합하고 100㎖의 갈색병에 충전하고 멸균시켜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5. 건강 식품의 제조
실시예 1의 백개자 .........................1000 ㎎
비타민 혼합물..............................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70 ㎍
비타민 E..........................1.0 ㎎
비타민 B1.........................0.13 ㎎
비타민 B2.........................0.15 ㎎
비타민 B6.........................0.5 ㎎
비타민 B12........................0.2 ㎍
비타민 C..........................10 ㎎
비오틴............................10 ㎍
니코틴산아미드....................1.7 ㎎
엽산..............................50 ㎍
판토텐산 칼슘.....................0.5 ㎎
무기질 혼합물...............................적량
황산제1철.........................1.75 ㎎
산화아연..........................0.82 ㎎
탄산마그네슘......................25.3 ㎎
제1인산칼륨.......................15 ㎎
제2인산칼슘.......................55 ㎎
구연산칼륨........................90 ㎎
탄산칼슘..........................100 ㎎
염화마그네슘......................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6. 건강 음료의 제조
실시예 1의 백개자 ............................1000 ㎎
구연산........................................1000 ㎎
올리고당......................................100 g
매실농축액.....................................2 g
타우린.........................................1 g
정제수를 가하여..............................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백개자 또는 개자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암세포를 억제하는 효과가 뛰어나므로 항암활성을 갖는 조성물로서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에 사용할 수 있다.

Claims (5)

  1. 침지처리하여 독성을 제거하는 가공방법으로 처리한 백개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암에 항암 활성을 갖는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백개자를 0.01 내지 80 중량% 포함하는 조성물.
  5. 침지처리하여 독성을 제거하는 가공방법으로 처리한 백개자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위암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KR1020030056653A 2003-08-14 2003-08-14 백개자를 함유하는 항암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0840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6653A KR100840546B1 (ko) 2003-08-14 2003-08-14 백개자를 함유하는 항암활성을 갖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6653A KR100840546B1 (ko) 2003-08-14 2003-08-14 백개자를 함유하는 항암활성을 갖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5920A KR20050015920A (ko) 2005-02-21
KR100840546B1 true KR100840546B1 (ko) 2008-06-23

Family

ID=37226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6653A KR100840546B1 (ko) 2003-08-14 2003-08-14 백개자를 함유하는 항암활성을 갖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05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635B1 (ko) * 2010-12-10 2013-04-2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H1N1 억제 활성을 갖는 Brassica juncea 종자의 아임계수 추출물을 함유한 무지방 우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1181A (ko) * 2002-04-12 2003-10-17 주식회사 팬제노믹스 생약 복합물을 포함하는 위장관 운동장애 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JP2008013949A (ja) * 2006-07-03 2008-01-24 Takigen Mfg Co Ltd 平面ハンドル装置のオートロック転換用組立部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1181A (ko) * 2002-04-12 2003-10-17 주식회사 팬제노믹스 생약 복합물을 포함하는 위장관 운동장애 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JP2008013949A (ja) * 2006-07-03 2008-01-24 Takigen Mfg Co Ltd 平面ハンドル装置のオートロック転換用組立部品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고려대의대잡지, 20(1), 39-49, 198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5920A (ko) 2005-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083151A (ja) 骨粗鬆症予防、改善用組成物
KR20140123444A (ko) 천연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RU2473353C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и лечения рака, содержащая яичный белок с халькантитом
KR100840546B1 (ko) 백개자를 함유하는 항암활성을 갖는 조성물
CN113573725A (zh) 含有if1作为活性成分的抗癌药物组合物
KR100889994B1 (ko) 녹반을 함유하는 항암활성을 갖는 조성물
KR20050018250A (ko) 복합생약 조성물을 함유하는 항암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1941368B1 (ko) 단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TW202126318A (zh) 一種副乾酪乳桿菌gmnl-346用於抗口腔癌之用途
KR20050018251A (ko) 백반을 함유하는 항암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2284907B1 (ko) 아스타잔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17944B1 (ko)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230537B1 (ko) 가시연꽃 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90110602A (ko) 일본 후박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암 치료 및 암전이 억제용 조성물
KR20130094553A (ko) 진저레논 에이를 포함하는 암 예방용 식품 조성물, 암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암 치료용 동물용 의약품
KR102070305B1 (ko) 아출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410703B1 (ko) 석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220323526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comprising angelica gigas, aconitum carmichaeli debeaux, and zingiber officinale roscoe mixed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KR102144264B1 (ko) 익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90054B1 (ko) 로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KR20060040848A (ko)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갑상선 기능 항진증의 예방 및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090021561A (ko) 호노키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20230112903A (ko) 패장초, 의이인 및 상백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KR102349724B1 (ko) Kahweol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20150083604A (ko) 모루신을 포함하는 전립선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