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4327A - 봉출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봉출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4327A
KR20110054327A KR1020090110934A KR20090110934A KR20110054327A KR 20110054327 A KR20110054327 A KR 20110054327A KR 1020090110934 A KR1020090110934 A KR 1020090110934A KR 20090110934 A KR20090110934 A KR 20090110934A KR 20110054327 A KR20110054327 A KR 20110054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food composition
preventing
obesity
ice c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0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홍
유병혁
최지영
박영희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대구테크노파크
주식회사 선한이웃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대구테크노파크, 주식회사 선한이웃 filed Critical 재단법인 대구테크노파크
Priority to KR1020090110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4327A/ko
Publication of KR20110054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43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32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9/42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30Dietetic or nutritional methods, e.g. for losing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Confectione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췌장 지방분해효소 저해 활성을 갖는 봉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봉출 추출물은 지방을 분해하는 효소 중 하나인 췌장 지방분해효소에 대한 저해 활성이 우수하여, 이를 함유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봉출 추출물이 췌장 지방분해효소의 활성을 억제하여 식품 중의 지방이 장에서 흡수되지 않고 그대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지방의 축적을 저해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봉출, 췌장 지방분해효소, 비만, 아이스크림

Description

봉출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migrating obesity containing Curcuma zedoaria extracts}
본 발명은 봉출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췌장 지방분해효소 저해 활성을 갖는 봉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비만관련인구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2003년 세계보건기구(WHO) 보고 자료에 의하면 세계 비만관련 질환인구가 17억명으로, 미국의 경우 성인 인구의 약 65%가 과체중에 해당된다고 발표하였다. 우리나라 역시 같은 상황이며, 특히 소아비만의 경우 10년을 주기로 3배씩 급증하고 있다.
최근 들어 이러한 비만의 치료를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 되고 있는데, 그 중 췌장 지방분해효소 저해제(Pancreatic Lipase inhibitor)를 이용한 비만치료 소재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췌장 지방분해효소 저해제의 원리는 지방을 분해하는 효소인 췌장 지방분해효소를 억제하여 지방이 장에서 흡수되지 않고 그대로 배출시킴으로 지방의 축적을 저해할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2-0026032호 “가지 추출물을 이용한 췌장 리파아제의 저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지방의 체내 흡수 억제용 조성물”에는 가지로부터 열수 또는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유효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물을 사용하여 지방 분해효소인 췌장 리파아제에 대한 저해 단계; 추출물 중 리파아제에 대한 저해효과가 높은 유효성분을 분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지 추출물을 이용한 췌장 리파아제 저해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획득된 추출물 유효성분을 이용하여 생체 내 지방 분해효소인 리파아제의 활성을 저해하는 지방의 체내 흡수 억제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3-0026864호 “호박 추출물을 이용한 췌장 리파아제의 저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지방의 체내 흡수 억제용 조성물”에는 호박으로부터 열수를 이용하여 유효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물을 사용하여 지방 분해효소인 췌장 리파아제에 대한 저해 단계; 추출물 중 리파아제에 대한 저해효과가 높은 유효성분을 분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호박 추출물을 이용한 췌장 리파아제 저해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획득된 추출물 유효성분을 이용하여 생체 내 지방 분해효소인 리파아제의 활성을 저해하는 지방의 체내 흡수 억제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6-7026819호 “리파아제 저해 활성 및/또는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에피갈로카테킨 이량체 및 삼량체”에는 췌장 리파아제에 대한 높은 저해 활성을 보이고, 음식으로부터의 지방 흡수를 조절하고/하거나 비만 을 조절 또는 예방에 기여하는 리파아제 활성 저해제, 이를 함유하는 식품 및 음료, 및 매우 바람직하고, 맛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 차-유래의 리파아제 저해제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아이스크림은 우유 또는 유지방 ·무지유고형분(無脂乳固形分)에 설탕 ·달걀 ·안정제(젤라틴 등) ·향료 ·색소 등을 넣고 휘저어서 얼린 빙과로서, 기본적으로 우유 ·유제품에 당류 ·향료 및 그 밖의 부재료를 혼합하여 균질화 ·살균 ·냉각 ·숙성하고 휘저어서 공기를 함유시키고, 동결시키는 순서로 만든다. 크게 나누어서 자가제조적인 유럽식과 미국의 공업적 제조법이 있는데, 전자는 달걀 노른자 ·생크림 등을 사용하여 동결시킬 때까지 충분히 이겨 만들어서 호화로운 맛이 특징이고, 후자는 유제품적 ·영양적인 면을 중시하여 깨끗하며, 양적으로 쉽게 먹을 수 있는 품질로 만드는 것이 특징이다.
종류를 크게 나누면 하드 아이스크림과 소프트크림이 있다. 충분히 동결시킨 것을 하드 아이스크림이라 하며, 제품의 모양과 포장용기 ·가공원료 ·가공법에 따라 상품의 종류가 다양하다. 기본적으로 바닐라 등의 향료를 사용한 단순한 것은 플레인 아이스크림이라 하고, 달걀 노른자의 함유량이 많은 것은 프렌치(French) 아이스크림 또는 커스터드(custard) 아이스크림이라 한다. 이 밖에도 과일 ·초콜릿 ·커피 ·양주 등을 첨가한 것을 풍미 아이스크림이라고 한다.
이러한 아이스크림은 칼로리가 높고 유지의 섭취가 보다 직접적이며 그 정도가 많아 비만을 유발시키는 식품 중 하나이다. 따라서 아이스크림의 비만유발 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해 저지방 또는 무지방 아이스크림이 개발되어 있고, 비만억제 활성을 갖는 기능성 성분을 첨가하는 등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1988-0001526호에 저지방, 무자당, 저칼로리 아이스크림형 제품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13175호 “지방분해 촉진제 및 이를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식품”에 스컹크 캐비지(Symplocarpus foetidus)의 물 추출물 또는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분해 촉진제와 이를 함유한 아이스크림 등 식품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아이스크림에 비만억재소재를 첨가하여 지방의 흡수를 억제하고 최근의 트랜드인 WELL-BEING에 어울리는 제품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국내에서 활용되는 여러 가지 생약제 및 일반 소재들의 췌방 지방분해효소 활성 및 저해능을 측정하여 그 중 가장 우수한 소재를 결정하고, 그 결정된 소재를 직접 아이스크림에 적용하여 관능평가를 거쳐 최종의 제품을 개발하고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췌장 지방분해효소 저해 활성을 갖는 봉출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췌장 지방분해효소 저해 활성을 갖는 봉출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아이스크림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26종의 약재에 대한 췌장 지방분해효소 저해 활성을 조사하여, 봉출이 가장 활성이 우수한 췌장 지방분해효소 저해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고, 상기 봉출의 추출액을 함유한 아이스크림을 제조함으로써 달성되었다.
본 발명은 췌장 지방분해효소 저해 활성을 갖는 봉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효성분”이라 함은 내재된 약리작용에 의해 그 의약품의 효능·효과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발현한다고 기대되는 물질 또는 물질군(약리학적 활성성분 등이 밝혀지지 않은 생약 등을 포함한다)으로서 주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건강기능식품"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봉출(Curcuma zedoaria)은 아출 또는 보라색 울금이라고도 하며, 종래 유기용매 분획이 위암 세포 및 간암 세포 증식 억제 작용을 나타내며(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1999-0039175호), 고추 탄저병 방제에 효과적이고(대한민 국 특허출원 제10-2006-0057793호), 대식세포 활성화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1999-0013398호). 하지만 현재까지 봉출의 췌장 지방분해효소 저해 활성에 대하여는 보고된 바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 봉출 추출물이라 함은 봉출의 열수 또는 유기용매 추출물, 이들의 분획물 또는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농축액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봉출 추출물로서 Brix 13의 봉출 농축액을 0.1 내지 0.3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아이스크림인 것을 특징으로 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다른 식품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크림은 생크림 26.30중량%, 탈지분유 9.70중량%, 정백당 10.90중량%, 물엿 8.70중량%, 안정제 0.2중량%, 유화제 0.2중량% 봉출 농축액(Brix 13) 0.3중량% 및 정제수 43.9중량%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이스크림의 성분 중 안정제 및 유화제는 식품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안정제 및 유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봉출 추출물은 지방을 분해하는 효소 중 하나인 췌장 지방분해효소에 대한 저해 활성이 우수하여, 이를 함유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봉출 추출물이 췌장 지방분해효소의 활성을 억제하여 식품 중의 지방이 장에서 흡수되지 않고 그대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지방의 축적을 저해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실시예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췌장 지방분해효소 저해 소재의 선별
본 실시예에서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26 종의 약재를 사용하여 이들의 췌장 지방분해효소에 대한 활성 및 저해능을 측정하여 가장 우수한 췌장 지방분해효소 저해능을 갖는 소재를 선별하고자 하였다.
우선, 하기 표 1의 26종의 약재에 각각 대한 생약 추출물을 종래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이어서, 췌장 지방분해효소의 활성 및 저해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0.1M NaCl이 표함된 0.1M N-트리스-(하이독시메틸)-메틸-2-아미노에탄술폰산(N-tris-(hydroxymethyl)-methyl-2-aminoethanesulfonic acid)(pH 7.0) 9mL에 트리올레인(triolein) 90μM, 아라빅검(gum arabic) 45mg, 타우로콜산(taurocholic acid) 9.45μM을 첨가하고, 소니케이터로 5분간 처리하여 반응 기질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기질 용액에 대해 췌장 지방분해효소 용액(Pancreatic Lipase, 1,500U/mL) 15μL, 26종의 각 생약추출물 5μL, 기질용액 180μL을 혼합하여 최종 부피가 200μL가 되도록 반응용액을 제조한 뒤(pH 7.0), 37℃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용액 0.2mL에 2% (v/v) 메탄올이 포함된 클로로포름/헵탄(1:1) 용액 3mL을 첨가하여 10분동안 혼합한 후, 10분동안 원심분리(2,000 × g)하여 물 층을 제거하였으며, 여기에 구리 반응액 1mL을 첨가하여 10분동안 혼합한 후, 다시 10분 동안 원심분리(2,000 × g)하여 추출된 올레산과 구리염이 포함된 유기용매 층 1mL을 취하여 0.05% (w/v) 3-tert-부틸-4-하이드록시아니솔(3-tert-butyl-4-hydroxyanisole)이 포함된 0.1% (w/v) 바쏘쿠프리온(bathocuprione) 용액 1mL을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그런 다음, 최종 반응액에 대해 48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효소반응 후 생성된 올레산의 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26종의 약재 중 봉출(Curcuma zedoaria)이 가장 억제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하 실험에서는 봉출을 소재로 활용하여 제품에 적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표 1>
약재 시료 저해율(%)2
H2O
Amsonia elliptica +
Areca catechu -
Arecae pericarpium -
Artemisia capillaries +
Biota orientalis +
Caesalpinia sappan -
Cinnamomi ramulus -
Cinnamomum cassia -
Coptis japonica -
Curcuma aromatia +
Curcuma zedoaria +++
Eucommia ulmoides -
Glycyrrhiza uralensis -
Magnolia liliflora ++
Mucunae Caulis -
Nelumbo nucifera -
Paeonica Moutan -
Phellodendron amurense -
Pueraria thunbergiana -
Pueraria thynbergiana -
Rhus javanica +
Rubus coreanus -
Schisandra chinensis -
Siegesbeckia orientalis +
Torilis japonica -
Zizyphus jujube -
※ 최종 농도; 400μg/mL
저해 효과: 매우강함,+++ ; 강함,++ ; 약함,+ ; 없음, -
실시예 2 : 봉출 첨가 아이스크림의 제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선별한 봉출의 농축액(Brix13)을 0.1중량% 내지 0.7중량%의 양으로 첨가하여 표 2의 배합비로 아이스크림을 제조하고(도 1 참조), 관능평가를 실시하여, 최적의 배합비를 찾아내고 최적 공정도를 확립하였다. 봉출농축액(Brix13)은 맵고, 쓰며, 시원한 청량감을 주는 그 특유의 고유한 맛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과량으로 사용하였을 경우는 맛이 기존의 아이스크림과 는 너무 이질적인 맛을 가지게 되므로 봉출농축액(Brix13)의 함량을 1중량% 이내로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표 2>
아이스크림 배합비(중량%)
pd83 2153e 30n 4dsw
생크림 26.30 26.30 26.30 26.30
탈지분유 9.70 9.70 9.70 9.70
정백당 10.90 10.90 10.90 10.90
물엿 8.70 8.70 8.70 8.70
안정제 0.2 0.2 0.2 0.2
유화제 0.2 0.2 0.2 0.2
봉출농축액(Brix13) 0.1 0.3 0.5 0.7
정제수 Add to 100 Add to 100 Add to 100 Add to 100
관능평가는 (주)선한이웃의 전담연구원 3명과 (재)대구테크노파크 바이오산업지원센터의 숙련된 관능평가요원 12명, 총 15명에게 실시하였다. 관능평가의 항목은 풍미, 질감, 색감, 종합적 기호도 등의 4가지 항목으로 실시하였으며, 관능평가는 총점10점으로 하였다. 2점이 가장 좋지 않음이고, 10점이 가장 좋음으로 실시하였다. 각 샘플은 -2℃에서 보관하며 관능평가 직전에 시료를 상온으로 옮겨와 시료의 내부온도가 -1℃ ± 0.5℃ 이내가 되도록 하였다. 또한 동일하게 좌측샘플부터 먼저 평가를 진행하였고, 각 샘플의 관능평가 후 입안을 씻을 수 있도록 음용수를 준비하여 입안을 충분히 씻은 후 관능평가를 진행하도록 하였다.
각 샘플의 번호는 연관성이 전혀 없는 난수표를 사용하여, 혹시나 관능평가 요원이 느낄지 모르는 연관성을 사전에 차단하였다. 또한 봉출고유의 맛을 먼저 평가하기 위하여 인공의 향은 전혀 사용하지를 않았다. 관능평가의 결과는 표 3과 도 2에 나타내었다.
<표 3>
봉출농축액(Brix13)의 함량에 따른 관능평가 결과
pd82 2153e 30n 4dsw
단맛 8.1 8.4 8.2 8.6
쓴맛 7.8 7.5 7.2 6.4
식감 8.1 8.2 8.0 8.1
풍미 8.3 8.1 7.6 7.2
종합적 기호도 8.5 8.7 8.2 7.5
샘플명 pd82(0.1중량% 함량)와 2153e(0.3중량%)은 관능평가 결과가 크게 차이가 나지는 않았으나, 샘플명 pd83(0.1 중량%함량)는 기존의 아이스크림 맛과 너무 대동소이하여 특색이 없으므로, 샘플명 2153e(0.3중량%)으로 최종 결정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스크림의 제조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아이스크림의 관능평가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Claims (4)

  1. 췌장 지방분해효소 저해 활성을 갖는 봉출(Curcuma zedoari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출 추출물로서 Brix 13의 봉출 농축액을 0.1 내지 0.3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이 아이스크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크림이 생크림 26.30중량%, 탈지분유 9.70중량%, 정백당 10.90중량%, 물엿 8.70중량%, 안정제 0.2중량%, 유화제 0.2중량% 봉출 농축액(Brix 13) 0.3중량% 및 정제수 43.9중량%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090110934A 2009-11-17 2009-11-17 봉출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201100543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934A KR20110054327A (ko) 2009-11-17 2009-11-17 봉출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934A KR20110054327A (ko) 2009-11-17 2009-11-17 봉출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327A true KR20110054327A (ko) 2011-05-25

Family

ID=44363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0934A KR20110054327A (ko) 2009-11-17 2009-11-17 봉출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5432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5201A1 (en) * 2011-08-16 2013-02-21 Abbott Laboratories Method of transforming a meal
JP2014529596A (ja) * 2011-08-16 2014-11-13 アボット・ラボラトリーズAbbott Laboratories 食事を変換する方法
KR101496834B1 (ko) * 2013-03-08 2015-03-04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울금 유래 생리활성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517948B1 (ko) 2022-04-06 2023-04-06 한경수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5201A1 (en) * 2011-08-16 2013-02-21 Abbott Laboratories Method of transforming a meal
JP2014529596A (ja) * 2011-08-16 2014-11-13 アボット・ラボラトリーズAbbott Laboratories 食事を変換する方法
KR101496834B1 (ko) * 2013-03-08 2015-03-04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울금 유래 생리활성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517948B1 (ko) 2022-04-06 2023-04-06 한경수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05663A (ko) 천연 재료를 이용한 매운 아이스크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54327A (ko) 봉출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RU2335132C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функционального молочного продукта и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функционального молочного продукта
JPWO2002102396A1 (ja) 関節炎の予防剤または治療剤
KR101923153B1 (ko) 갈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 분화 촉진용 조성물
US20060189566A1 (en) Muscle building agent and preventive or remedy for muscle weakening
EP1629723A1 (en) A functional food and use thereof
KR100681532B1 (ko) 리조푸스속 거미줄 곰팡이를 이용한 대두발효식품의제조방법
KR20060106943A (ko) 비파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관련 질환의 치료 및예방을 위한 조성물
US4859468A (en) Compositions and method for decomposing adipose tissue
JP4486447B2 (ja) 大豆胚芽入りおからの骨成分増加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含む機能性食品
US20190231740A1 (en) Blood flow-improving agent, royal jelly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royal jelly composition
AU2013367872B2 (en) Igf-1 production-promoting agent
US20100040713A1 (en) Fat absorption inhibitor and food and drink using the same
KR100769699B1 (ko) 초콜릿 한약 및 가나슈 초콜릿 한약
JP2007070265A (ja) 脂質代謝改善用組成物
KR20160056426A (ko) 명월초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운동능력 증강 및 피로 회복용 조성물
KR102002963B1 (ko) 커피라테 잼의 제조방법
KR102612548B1 (ko)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 200793 균주를 포함하는 우울증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071193A1 (en) BACILLUS COAGULANS INACTIVATED AND USES FOR STRESS REDUCTION
US20100129495A1 (en) Serum cholestrol-lowering material, process for producing same
RU2202217C2 (ru) Состав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драже
KR100528662B1 (ko) 고지혈증 또는 동맥경화증의 예방용 기능성 식품
WO2021039385A1 (ja) 経口用記憶学習能力改善用組成物
KR100803385B1 (ko) 고추냉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경질환 예방용 조성물과 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