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2548B1 -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 200793 균주를 포함하는 우울증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 200793 균주를 포함하는 우울증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2548B1
KR102612548B1 KR1020230098426A KR20230098426A KR102612548B1 KR 102612548 B1 KR102612548 B1 KR 102612548B1 KR 1020230098426 A KR1020230098426 A KR 1020230098426A KR 20230098426 A KR20230098426 A KR 20230098426A KR 102612548 B1 KR102612548 B1 KR 102612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depression
composition
lactobacillus buchneri
cul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8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현동
이나경
장혜지
김기태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위드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위드바이오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30098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25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2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25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23K10/18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of live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4Antidepress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sychiatry (AREA)
  • Physi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 200793 균주를 포함하는 우울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구체적으로는 상기 균주 또는 상기 균주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우울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긴장 완화용 식품 조성물 및 우울증 예방 또는 개선용 동물 사료 첨가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개체에 투여되는 경우 자당 선호도가 높아지고, 소장 및 대장 조직에서 TPH-1 또는 SERT의 발현량을 높여 우울증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탁월하여 다양한 우울증의 증상 완화 및 개선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 200793 균주를 포함하는 우울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depression comprising Lactobacillus buchneri 200793 strain}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 200793 균주(KCCM 12593P) 또는 상기 균주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프로바이오틱스는 적절한 양을 섭취하는 경우 숙주 건강에 도움을 주며, 프로바이오틱스의 효능으로는 항산화, 항염증, 콜레스테롤 저하 및 항당뇨 등이 알려져 있고, 상기 효능은 균주마다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락토바실러스란 락토바킬루스속(Lactobacillus)에 속하는 그람 양성 세균으로, 산소내성 혐기성 세균으로 이루어진 유산균과의 하위 분류군이다. 락토바실러스는 식품 및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소화 건강 개선, 면역 시스템 강화 등의 효과를 통해 소화기관에 유익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Lactobacillus buchneri)는 락토바실러스 과 박테리아 중 하나로, 그람 양성, 비포자성, 혐기성 그리고 막대모양의 원핵생물이며, 발효 과정에서 젖산과 아세트산을 생성하는 이종 발효성 박테리아이다.
장 내 환경은 뇌에 영향을 끼치며, 양방향 시그널을 나타낸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한, 신경, 호르몬, 면역 조절 등에 의해 초조함, 우울증, 치매와 같은 뇌 건강 등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특허문헌 1 및 비특허문헌 2에 따르면, 프로바이오틱스가 정신건강이나 스트레스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보고가 있으나, 이는 기초적 가설 단계로서, 우울증 개선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특허문헌 1에 따르면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 200793의 신경 세포 사멸에 대한 보호 효과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으나, 우울증과 관련된 연구는 아직까지 진행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 200793 균주를 마우스에 주입하여 우울증과 관련된 실험을 통해, 상기 균주가 우울증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 10-2221579호(2021.02.23)
Ma L et al, Stress/strain characterization in electronic packaging by micro-Raman spectroscopy: A review. Microelectronics Reliability. 118: 114045 (2021) Takada M et al, Probiotic Lactobacillus casei strain Shirota relieves stress-associated symptoms by modulating the gut-brain interaction in human and animal models. Neurogastroenterol Motil. 28: 1027-1036 (2016)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 200793 균주(KCCM 12593P)의 신규한 용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 200793 균주(KCCM 12593P) 또는 상기 균주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 200793 균주(KCCM 12593P) 또는 상기 균주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 200793 균주(KCCM 12593P) 또는 상기 균주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긴장 완화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 200793 균주(KCCM 12593P) 또는 상기 균주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예방 또는 개선용 동물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 200793 균주(KCCM 12593P)는 개체에 투여되는 경우 자당 선호도를 증가시키고, 소장 및 대장조직에서 TPH-1 또는 SERT의 mRNA 발현을 향상시키는바, 우울증과 관련된 다양한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구속 스트레스를 통한 우울증 유도 실험 디자인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구속 스트레스 우울증 모델에서 선발균주 섭취에 따른 체중 변화 측정에 대한 결과를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구속 스트레스 우울증 모델에서 선발균주 섭취에 따른 자당 선호도 검사 결과를 막대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구속 스트레스 우울증 모델에서 선발균주 섭취에 따른 꼬리현수 시험 결과를 막대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구속 스트레스 우울증 모델에서 선발균주 섭취에 따른 개방장 검사 결과를 막대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구속 스트레스 우울증 모델에서 선발균주 섭취에 따른 십자형 높은 미로 시험 결과를 막대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구속 스트레스 우울증 모델에서 선발균주 섭취에 따른 혈청 코르티코스테론 함량 결과를 막대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구속 스트레스 우울증 모델에서 선발균주 섭취에 따른 소장 및 대장 조직의 SERT mRNA 발현량 결과를 막대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구속 스트레스 우울증 모델에서 선발균주 섭취에 따른 소장 및 대장 조직의 TPH-1 mRNA 발현량 결과를 막대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구속 스트레스 우울증 모델에서 선발균주 섭취에 따른 전액골 피질 조직에서 SERT 및 HTR2A mRNA 발현량 결과를 막대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 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 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우울증"은 의욕 저하와 우울감을 주 증상으로 하여 다양한 인지 및 정신 신체적 증상을 일으켜 일상 기능의 저하를 가져오는 질환을 의미한다. 원인은 화학적, 생물학적, 심리학적, 사회학적, 약리학적 또는 병리학적으로 매우 다양한데, 그 중 하나는 세로토닌, 멜라토닌, 도파민 또는 노르에피네프린 등 신경전달물질의 화학적 불균형이며, 지속적인 스트레스, 고혈압제, 항불안제, 마약, 중추신경흥분제 등과 같은 약물 복용 또는 당뇨병, 췌장암, 내분비질환 등의 질병이 우울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은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패혈증에 의해 기인된 증상을 차단하거나, 그 증상을 억제 또는 지연시킬 수 있는 모든 행위라면 제한없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치료"는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패혈증에 의해 기인된 증상이 호전될 수 있도록 하거나, 이롭게 될 수 있도록 하는 모든 행위라면 제한없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개선"은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패혈증에 의해 기인된 증상이 호전 또는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라면 제한없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배양"은 균주를 배양하여 수득된 배양액 자체, 이로부터 균주를 제거하여 수득된 배양상층액의 농축물 또는 동결건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양액은 본 발명의 균주를 배양하여 얻어진 결과물을 의미한다. 넓은 의미로 상기 배양물은 상기 균주의 전체 배양물, 배양상등액, 파쇄물, 건조물 또는 이들의 분획물 등이 될 수 있다. 이 때, 배양상등액은 상기 균주의 배양물을 원심분리하여 수득할 수 있고, 상기 파쇄물은 상기 균주를 물리적으로 또는 초음파 처리하여 수득할 수 있으며, 상기 분획물은 상기 배양물, 배양상등액, 파쇄물 등을 원심분리,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방법으로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 200793 균주(KCCM 12593P)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균주(KCCM 12593P)는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의 아종으로, 2019년 9월 30일자로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 기탁하여 수탁번호 KCCM 12593를 부여받았다.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는 유산균의 일종으로 소화 과정에 도움을 주며, 장 내 유익균의 성장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 200793 균주는 공지의 액체 배지 또는 고체 배지에서 배양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MRS, GAM, TSB 또는 NB 배지에서 배양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 200793 균주의 생균체 또는 사균체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생균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생균체는 독립적으로 생존하고 번식할 수 있는 균을 의미한다.
상기 사균체는 일정한 조건에서 배양한 생균을 집균, 열 건조, 가압, 약물 처리 등의 방법으로 균의 성장이 더 이상 일어나지 못한 형태를 의미한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균주의 단백체 및 대사체, 상기 배양물의 농축액, 건조물, 파쇄물 및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 200793 균주를 108 내지 1011 CFU/ml의 농도로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1010 CFU/ml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조성물은 개체에 투여되는 경우 자당 선호도를 증가시키며, 소장 및 대장 조직에서 TPH-1 또는 SERT의 mRNA 발현량을 높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개체란 우울증이 발병되었거나 발병될 수 있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자당 선호도는 자당 선호도 검사(Sucrose Preference Test)를 통해 측정될 수 있다. 자당 선호도 검사는 우울증 동물 모델에서 우울증과 관련된 특징을 연구하고 평가하는 데 사용되며, 우울증 동물 모델에서 자당 선호도가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상기 TPH-1(tryptophan hydroxylase-1)은 주로 장관이나 감각신경세포에서 발현되며, 트립토판을 세로토닌이라는 신경전달물질로 합성하는 효소로써 뇌의 세로토닌 발현 정도의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
세로토닌(serotonin)은 5-히드록시트립타민(5-HT; 5-Hydroxytryptamine)이라고도 불리는 모노아민 신경전달 물질 중 하나로, 트립토판에서 유도되는 신경전달물질이다. 세로토닌이 결핍되는 경우 우울증이 유발될 수 있다.
상기 SERT(serotonin transporter)는 세로토닌 수송체로, 세로토닌의 신호 전달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이다. 세로토닌은 중추 신경계에서 다양한 신경 전달 작용을 담당하는데, 그 중 일부는 수용체에 결합하여 신호를 전달하는 것이다. 세로토닌 수송체는 세포막에 존재하며 세로토닌의 수준 및 신호 전달을 조절한다.
크로모그라닌 A(ChgA; chromogranin A)는 주로 신경과 내분비 시스템에서 발현되는 단백질로,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 분비되는 호르몬 중 하나이다.
5-HT 수용체(5HTRs; 5-HT receptors)는 세로토닌이 결합하여 신호 전달을 수행하는 단백질로, 5-HT1부터 5-HT7까지의 서브 유형으로 분류된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환자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제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되어 사용할 수 있고, 제형화를 위 하여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또는,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게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포함한 다양한 화합물 혹은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중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 제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는 상기 균주(KCCM 12593P)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보 네이트,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 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액,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용성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 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젤라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 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 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서 투여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투여량에 의해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 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 200793 균주(KCCM 12593P)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 200793 균주의 생균체 또는 사균체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생균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 200793 균주를 108 내지 1011 CFU/ml의 농도로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1010 CFU/ml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 200793 균주(KCCM 12593P)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긴장 완화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긴장 완화"란 특정 상황이나 조건에서 개인의 신체적, 정신적 또는 정서적 긴장을 완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긴장은 일생 생활에서의 스트레스, 불안, 불편, 우울증 또는 압박감과 관련될 수 있다. 또한, 긴장 완화는 우울감을 줄이고 정신적인 안정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 200793 균주의 생균체 또는 사균체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생균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 200793 균주를 108 내지 1011 CFU/ml의 농도로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1010 CFU/ml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통상적인 의미의 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기능성 식품 등 당업계에 알려진 용어와 혼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사용될 수 있는 식품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아울러,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당업자의 선택에 따라 식품에 포함될 수 있는 적절한 기타 보조 성분과 공지의 첨가제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 크림 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식품에는 예컨대, 특수영양식품(예: 조제유류, 영, 유아식 등),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 묵류, 면류(예: 라면류, 국수류 등),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예: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 소스류, 과자류(예: 스낵류), 유가공품(예: 발효유, 치즈 등), 기타 가공식품, 김치, 절임식품(각종 김치류, 장아찌 등), 음료(예: 과실, 채소류 음료, 두유류, 발효음료류 등), 천연조미료(예, 라면스프 등) 등 모든 식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담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어 냄새, 맛, 시각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들 들어, 비타민 A, C, D, E, B1, B2, B6, B12, 니아신 (niacin), 비오틴(biotin), 폴레이트(folate), 판토텐산(panthotenic ac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연 (Zn), 철(Fe), 칼슘(Ca), 크롬(Cr), 마그네슘(Mg), 망간(Mn), 구리(Cu), 크륨(Cr) 등의 미네랄; 및 라이신, 트립토판, 시스테인, 발린 등의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방부제(소르빈산 칼륨, 벤조산나트륨, 살리실산, 데히드로초산나트륨 등), 살균제(표백분과 고도 표백분, 차아염소산나트륨 등), 산화방 지제(부틸히드록시아니졸(BHA), 부틸히드록시톨류엔(BHT) 등), 착색제(타르색소 등), 발색제(아질산 나트륨, 아초산 나트륨 등), 표백제(아황산나트륨), 조미료(MSG 글루타민산나트륨 등), 감미료(둘신, 사이클레메이트, 사카린, 나트륨 등), 향료(바닐린, 락톤류 등), 팽창제(명반, D-주석산수소칼륨 등), 강화제, 유화제, 증점제(호료), 피막제, 검기초제, 거품억제제, 용제, 개량제 등의 식품 첨가물(food additive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물은 식품의 종류에 따라 선별하고 적절한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이 음료의 형태로 사용될 경우에는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감미제,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 200793 균주(KCCM 12593P)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예방 또는 개선용 동물 사료 첨가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 200793 균주의 생균체 또는 사균체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생균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 200793 균주를 108 내지 1011 CFU/ml의 농도로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1010 CFU/ml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사료첨가제 조성물은 사료에 첨가될 수 있으며, "사료"는 동물이 먹고, 섭취하며, 소화시키기 위한 또는 이에 적당한 임의의 천연 또는 인공 규정식, 한끼식 등 또는 상기 한끼식의 성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곡물류, 근과류, 식품 가공 부산물류, 조류, 섬유질류, 제약 부산물류, 유지류, 전분류, 박류 또는 곡물 부산물류 등과 같은 식물성 사료; 단백질류, 무기물류, 유지류, 광물성류, 유지류, 단 세포 단백질류, 동물성 플랑크톤류 또는 음식물 등과 같은 동물성 사료를 들 수 있다.
상기 사료 첨가제 조성물은 건조 또는 액체 상태의 제제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균주 이외에 비병원성의 다른 미생물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사료 첨가제 조성물이 동물 사료용 첨가제로 사용되는 경우, 사료용 원료로는 각종 곡물 및 대두 단백을 비롯한 땅콩, 완두콩, 사탕무우, 펄프, 곡물 부산물, 동물 내장 가루 및 어분 가루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은 가공되지 않거나 또는 가공된 것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에 사용된 균주 및 동물
1-1. 사용된 균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Lactobacillus buchneri) 균주(KU200793)를 MRS 배지에 30℃내지 40℃에서 10시간 내지 50시간 동안 배양하여 109 CFU 생균체로 활용하였다.
1-2. 실험 동물
신규 프로바이오틱스 선발을 위한 구속 스트레스 우울증 유도 동물모델의 수립을 위하여 C57BL/6 마우스를 이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WIKIM IACU 202140). 실험동물은 4주령의 체중 14-17 g 마우스를 ㈜지바이오(Gwangju, Korea)에서 구입하여 이용하였고, 1주일간의 순화기간 후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양성대조군인 플루옥세틴(fluoxetine, Sigma, MO, USA)은 PBS에 현탁하여 20 mg/kg으로 투여하였다.
실험동물은 대조군(PBS 투여, n=10), restraint군(구속+PBS투여, n=8), 플루옥세틴 군(구속+fluoxetine, n=8),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 KU200793군(109 CFU/200 μL, n=8)로 나누어 경구 투여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양성대조군인 플루옥세틴(Sigma, MO, USA)은 PBS에 현탁하여 20 mg/kg의 농도로 설정하였다.
7주간 유산균 및 PBS를 투여하고, 구속 스트레스와 플루옥세틴의 투여는 4-7주간 희생 전까지 주 5일간 진행하였다(도 1). 구속 스트레스는 50 mL 코니칼 튜브 (conical tube)를 이용하여 제작하였고, 1일 4시간씩 구속하여 우울증을 유도하였다(도 1).
1-3. 체중 변화 확인
구속 스트레스로 유도한 우울증 마우스는 입고 후, 매주 체중을 측정하였다. 유산균과 PBS는 4주간 매일 경구 투여하였고, 4주차부터 매일 구속하여 스트레스로 우울증을 유도하였다. 체중은 구속 1주일 후인 5주차부터 변화가 확인되었다.
1-4. 자당 선호도 검사(Sucrose Preference Test, SPT)
SPT는 72시간 동안 똑같은 튜브에 각각 1%(w/v)의 자당(sucrose)과 물을 제공하면서 불규칙한 시간으로 위치를 교체해주는 것으로 자당과 물의 위치에 대한 학습을 배제 시켰다. 72시간 후, LPS(lipopolysaccharide)와 PBS를 체중에 비례하여 복강투여하고, 24시간 동안 절식시킨 마우스를 케이지 당 1마리로 분리하였다. 4시간 동안 1%(w/v)의 자당과 물을 제공하면서 2시간마다 튜브의 위치를 교체하였다. 튜브는 제공 전과 후에 무게를 측정하여 아래의 식 1에 대입하여 자당 선호도를 측정하였다.
[식 1]
자당 선호도(%) = 자당 섭취량/(물 섭취량 + 자당 섭취량)
1-5. 꼬리현수 시험(Tail Suspension Test, TST)
마우스의 케이지는 행동분석 시험 1시간 전에 미리 실험실의 조명과 환경에 익숙해지도록 옮겨두었다. 마우스의 꼬리에 클라스토퍼(climbstopper)를 끼우고, 마우스 코에서 바닥까지 20-25 cm에 꼬리를 테이프로 부착하였다. 6분간 촬영하여 360초 동안 부동시간을 합산하여 측정하였다.
1-6. 개방장 검사(Open Field Test, OFT)
사용된 개방장은 45 cm (l) Х 45 cm (w) Х 40 cm (h)의 크기를 갖는 개폐형 박스를 이용하였고(TSE Systems LTD, Germany), 개방장 내의 실험 전 소음 수준은 10 db로 유지하였다. 마우스를 개방장에 넣고, 10분간 촬영하여 중심부(time in center), 주변부에 머무른 시간(time in periphery)과 두 발을 든 채 주변을 살피는 시간(rearing time)을 측정하였다.
1-7. 십자형 높은 미로 시험(Elevated plus maze, EPM)
EPM 시험은 불안 및 우울증상의 행동분석법으로서 오픈 암(open arm)과 클로즈 암(close arm)에 머무르는 시간과 거리를 측정하여, 우울증 유도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
분석에 사용된 EPM은 검정색의 아크릴로 제작되었고, 바닥에서 50 cm 높이에 설치된 십자형(+) 미로로서, 4개의 통로 가운데 마주보는 2개(길이 25 cm, 폭 5 cm)는 개방되어 있고, 크기가 동일한 다른 2개의 통로는 높이 16 cm의 벽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심 플랫폼은 가로 5 cm 및 세로 5 cm로 하였고, 미로 중앙부 천장에서 6분간 촬영을 진행하여 분석하였다.
1-8. 혈청 코르티코스테론 함량 분석
혈청 내의 코르티코스테론 분석을 위하여 마우스를 희생시켜 혈액을 채혈한 후, 원심분리를 통하여 혈청을 분리하였다. 혈청에 포함된 코르티코스테론의 양을 ELISA assay (MyBioSource, Inc. CA, USA)로 측정하였다.
1-9. 장 조직 내 우울증 관련 유전자의 mRNA 발현량 확인
마우스를 희생시킨 뒤, 소장과 대장을 분리하여 트립토판 하이드록시라제-1(TPH-1; tryptophan hydroxylase-1), 세로토닌 수송체(SERT; serotonin transporter), 크로모그라닌 A(ChgA; chromogranin A), 5-HT 수용체(5HTRs; 5-HT receptors)의 mRNA 발현량을 조사하였다.
조직은 미리 채워진 비즈 튜브(pre-filled beads tube, Lysing Matrix E, MP Biomedicals, CA, USA)에 옮기고 조직 50-100 mg당 트리졸 시약(TRIzol reagent, Invitrogen, MA, USA) 1 mL을 첨가하여 비즈 비터(beads beater, BEADBLASTER 24, Benchmark Scientific, NJ, USA)를 이용하여 40초간 2번 진행하였다. 실온에서 5분 간 정치하고, TRIzol 1 mL당 클로로포름 0.2 mL을 첨가하여 4℃, 12,000 rpm, 1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등액에 이소프로판올 0.5 mL를 첨가하여 4℃, 12,000 rpm,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제거하고 75%(v/v) 에탄올 1 mL 첨가 후 원심분리 5분간 진행하였다. 상등액을 제거하고 30분-1시간 동안 건조한 후, 뉴클레아제 무함유 물(nuclease-free water, Noble Bio, Gyeonggi, Korea) 0.2-0.3 mL에 RNA를 용해하여 사용하였다.
RNA의 농도는 Nanodrop 2000(Thermo Fisher Scientific, USA)으로 측정하였고, cDNA의 합성은 1 ng에 해당하는 RNA를 사용하여 cDNA 합성 kit(TOPscriptTM, Daejeon, Korea)로 cDNA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cDNA는 TOPreal qPCR 2Х premix(Enzynomics, Korea)를 이용하여, 실시간 정량 PCR(Bio-Rad CFX-96, CA, USA) 분석을 진행하였다. 프라이머 염기서열은 [표 1]과 같다.
1-10. 뇌 조직 내 우울증 관련 유전자의 mRNA 발현량 확인
BDNF(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는 신경성장촉진인자 중 하나로서 신경 발달 시 성장과 분화를 유도하는 등 신경계통의 유지와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BDNF가 우울증의 병태생리적 기전과 관련이 있다. 뇌 조직을 얻고, mRNA 발현을 위해 BDNF 프라이머의 서열은 F-CAC TTT TGA GCA CGT CAT CGA A, R-CAC CCG GGA AGT GTA CAA GTC(서열번호 15)를 이용하여 발현량을 분석하였다.
구속 스트레스로 유도한 우울증 모델의 체중 변화
구속 스트레스로 유도한 우울증 마우스는 입고 후, 매주 체중을 측정하였다. 유산균과 PBS는 4주간 매일 경구투여하였고, 4주차부터 매일 구속하여 스트레스로 우울증을 유도하였다.
체중은 구속 1주일 후인 5주차부터 변화가 확인되었다(도 2). 대조군 그룹이 가장 높은 체중 변화가 확인되었고, 양성 대조군인 플루옥세틴이 다음으로 높았다. 5주차에 대조군 그룹과 비교해서 플루옥세틴 섭취 그룹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속 스트레스 그룹과 선발 유산균 투여 그룹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자당 선호도 검사(Sucrose Preference Test, SPT)
자당 선호도 검사를 통하여 구속 스트레스로 인하여 자당의 선호도 감소로 우울증 유도를 확인하였고, 선발 유산균의 자당 선호도를 확인하여 우울증 완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속 스트레스와 PBS를 섭취한 그룹(Restraint)은 대조군 그룹과 플루옥세틴 그룹에 비해 자당의 선호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측정되었고(p<0.05),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Lactobacillus buchneri) 균주(KU200793)를 경구투여한 그룹에서 자당의 선호도가 유의적으로 높은 것이 확인되었다(p<0.01)(도 3).
본 결과를 통하여 자당 선호도 검사에서 구속 스트레스로 인하여 우울증이 유도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선발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Lactobacillus buchneri) 균주(KU200793)를 투여한 그룹에서 우울증 완화효과가 확인되었다.
꼬리현수 시험(Tail Suspension Test, TST)
TST 시험에서 동물의 부동시간을 측정하여 구속 스트레스로 인한 우울증의 유도와 선발 유산균의 우울증 완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TST 시험에서 구속 스트레스와 PBS를 섭취한 그룹(Restraint)이 대조군 그룹과 플루옥세틴 그룹에 비해 부동시간이 유의적으로 높게 측정되었고(p<0.05), 대조군 그룹과 선발 유산균주 투여 그룹간의 부동시간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도 4).
TST 결과를 통하여 구속 스트레스로 인한 우울증이 유도되었고, 선발 유산균 투여그룹은 대조군 그룹과 양성대조군인 플루옥세틴 투여 그룹간 부동시간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어 선발 유산균이 우울증 완화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개방장 검사(Open Field Test, OFT)
OFT에서 중심부에 머무르는 시간과 주변부에 머무름 시간을 측정하여 구속 스트레스로 우울증이 유도되었는지 확인하였고, 선발 유산균의 우울증 완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중심부에 머무르는 시간은 대조군 그룹이 가장 높았고, 구속 스트레스를 준 나머지 그룹들은 대조군에 비해 중심부에 머무르는 시간이 낮았다. 대조군 그룹과 비교하였을 때,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Lactobacillus buchneri) 균주(KU200793)를 투여한 그룹이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주변부에 머무르는 시간은 그룹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볼 수 없었다(도 5).
중심부에 머무르는 시간이 많은 대조군 그룹은 구속 스트레스를 받은 그룹과 달리 활발한 행동을 보였고, 구속 스트레스를 준 그룹 중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를 투여하였을 때, 중심부에 머무르는 시간이 많은 것으로 보아 선발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가 우울증 완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십자형 높은 미로 시험(Elevated plus maze, EPM)
EPM 시험을 통하여 open arm에 머무르는 시간과 close arm에 머무르는 시간을 측정하여 구속 스트레스로 우울증이 유도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고, 머무름 시간을 통하여 선발 유산균의 우울증 완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Open arm에 머무르는 시간은 대조군 그룹에 비해 구속 스트레스로 우울증을 유도한 그룹에서 유의적으로 적게 머무르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선발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를 투여한 그룹은 open arm에 머무르는 시간이 대조군 그룹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Close arm에 머무르는 시간은 대조군 그룹에 비해 restraint 그룹의 머무름 시간이 유의적으로 높게 측정되었다(도 6).
본 결과를 통하여 EPM 시험에서 구속 스트레스로 인하여 우울증이 유도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선발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를 투여한 그룹에서 open arm과 close arm에 머무르는 시간이 유의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우울증 완화 효과가 있음이 사료되었다.
구속 스트레스를 통한 우울증 동물모델의 생화학적 분석
구속 스트레스를 통한 우울증 유도 모델의 행동분석이 종료된 후, 혈청 내의 코르티코스테론 함량, 소장과 대장에서 TPH-1, SERT의 mRNA 발현량을 조사하였고, 뇌 조직 중 전액골 피질(prefrontal cortex)에서 BDNF, 5-HT 수송체 2A, SERT의 mRNA 발현량을 조사하였다.
혈청 코르티코스테론 함량 분석
구속 스트레스로 인한 스트레스 반응 및 우울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혈청 내의 코르티코스테론 함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분노와 같은 신체적 스트레스가 혈중의 코르티코스테론의 함량을 증가시키고, 증가된 혈청 코르티코스테론 수치는 반복되는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이 HPA 축(Hypothalamus-Pituitary-Adrenal axis)의 활성화와 연관되어 있다.
구속 스트레스로 우울증을 유도한 마우스의 혈청 내 코르티코스테론의 함량은 도 7에 나타내었고, 대조군 그룹 및 플루옥세틴그룹에서 코르티코스테론의 함량이 낮게 측정되었으며, 이는 restraint 그룹과 달리 스트레스를 적게 받은 것으로 판단됨. 대조군 그룹과 비교하였을 때, restraint 그룹은 혈청 코르티코스테론이 유의적으로 높게 측정되었다. 그러나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를 투여한 그룹은 대조군 그룹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많은 연구에서 보고된 바 있고, 구속 스트레스에 노출되는 시간이 많을수록 코르티코스테론의 함량이 증가하고, 구속 스트레스로 인하여 사료 섭취 감소와 함께 증가된 코르티코스테론 함량이 보고되어 있다.
상기 결과를 통하여 구속 스트레스로 인하여 우울증 유도가 되었음을 확인하였고,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를 투여한 그룹에서 혈청 코르티코스테론의 함량이 대조군 및 플루옥세틴그룹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어 우울증 및 스트레스 완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장 조직 내 우울증 관련 유전자의 mRNA 발현량 확인
구속 스트레스로 유도한 우울증 모델의 소장과 대장 조직에서 mRNA를 분리하여 세로토닌을 소장세포(enterocyte)로 운반하는 SERT 유전자와 세로토닌 생성지표인 TPH-1 유전자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소장 조직에서 SERT mRNA의 발현량 비교 결과,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 그룹의 경우 발현량이 가장 낮은 restraint 그룹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대장 조직에서 SERT의 발현량은 모든 그룹에서 유사하게 나타나 유의미한 결과는 확인되지 않았다(도 8).
소장 조직에서 TPH-1 mRNA 발현량은 SERT 발현량의 결과와 유사하게 restraint 그룹과 비교하였을 때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 그룹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발현량을 보였다(도 9). 대장 조직에서 TPH-1의 발현량은 대조군 그룹에서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대조군 그룹과 비교하였을 때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 그룹의 발현량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restraint 그룹과 비교하였을 때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 그룹의 발현량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선발 균주인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는 우울증 유도 마우스의 장 조직에서 SERT 및 TPH-1의 mRNA 발현량이 높게 확인되었다. 이 결과는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가 세로토닌 합성 및 흡수 기작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우울증 완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뇌 조직 내 우울증 관련 유전자의 mRNA 발현량 확인
뇌유래신경영양인자(BDNF;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는 신경성장촉진인자 중 하나로서 신경 발달 시 성장과 분화를 유도하는 등 신경계통의 유지와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BDNF가 우울증의 병태생리적 기전과 관련이 있다. 그 중 뇌에서 사고와 행동 조절의 중요한 부분인 전액골 피질(prefrontal cortex)은 우울증 관련 연구에서 많이 분석되는 뇌 조직 부위다.
전액골 피질 조직에서 BDNF의 mRNA 발현량은 대조군 그룹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구속 스트레스를 준 그룹들은 BDNF의 발현량이 감소한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대조군 그룹 대비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액골 피질 조직에서 SERT와 HTR2A의 mRNA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도 10), SERT의 발현량은 플루옥세틴그룹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장 조직에서의 SERT mRNA 발현량 결과와 유사하였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세로토닌 수용체 중 하나인 HTR2A는 뇌 조직의 세로토닌 수용체로서 우울증 연구에서 많이 분석되는 수용체다. HTR2A의 mRNA 발현량은 SERT의 발현 패턴과 유사하여 대조군 그룹, 플루옥세틴 그룹의 발현량이 다른 그룹 대비 높았으나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Claims (14)

  1.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 200793 균주(KCCM 12593P)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자당 선호도를 증가시키고, 소장 및 대장 조직에서 TPH 1 또는 SERT의 mRNA 발현량을 높이는,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 200793 균주의 생균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 200793 균주를 108 내지 1011 CFU/ml의 농도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 200793 균주(KCCM 12593P)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자당 선호도를 증가시키고, 소장 및 대장 조직에서 TPH 1 또는 SERT의 mRNA 발현량을 높이는, 우울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 200793 균주의 생균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 200793 균주를 108 내지 1011 CFU/ml의 농도로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9.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 200793 균주(KCCM 12593P)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자당 선호도를 증가시키고, 소장 및 대장 조직에서 TPH 1 또는 SERT의 mRNA 발현량을 높이는, 긴장 완화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 200793 균주의 생균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 200793 균주를 108 내지 1011 CFU/ml의 농도로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2.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 200793 균주(KCCM 12593P)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자당 선호도를 증가시키고, 소장 및 대장 조직에서 TPH 1 또는 SERT의 mRNA 발현량을 높이는, 우울증 예방 또는 개선용 동물 사료 첨가제 조성물.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균주의 생균체를 포함하는, 동물 사료 첨가제 조성물.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 200793 균주를 108 내지 1011 CFU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동물 사료 첨가제 조성물.
KR1020230098426A 2023-07-27 2023-07-27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 200793 균주를 포함하는 우울증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12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8426A KR102612548B1 (ko) 2023-07-27 2023-07-27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 200793 균주를 포함하는 우울증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8426A KR102612548B1 (ko) 2023-07-27 2023-07-27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 200793 균주를 포함하는 우울증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2548B1 true KR102612548B1 (ko) 2023-12-11

Family

ID=89162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8426A KR102612548B1 (ko) 2023-07-27 2023-07-27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 200793 균주를 포함하는 우울증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254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1579B1 (ko) 2019-11-18 2021-03-0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220163845A (ko) * 2021-06-03 2022-12-12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락토바실러스 세균 유래 세포외소포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1579B1 (ko) 2019-11-18 2021-03-0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220163845A (ko) * 2021-06-03 2022-12-12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락토바실러스 세균 유래 세포외소포 및 이의 용도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a L et al, Stress/strain characterization in electronic packaging by micro-Raman spectroscopy: A review. Microelectronics Reliability. 118: 114045 (2021)
Takada M et al, Probiotic Lactobacillus casei strain Shirota relieves stress-associated symptoms by modulating the gut-brain interaction in human and animal models. Neurogastroenterol Motil. 28: 1027-1036 (2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57196B2 (ja) 脳機能改善剤
JP7280069B2 (ja) 機能性消化管障害予防又は改善用組成物、並びに、該機能性消化管障害予防又は改善用組成物を用いた医薬品組成物及び飲食品組成物
WO2017130859A1 (ja) 神経細胞死抑制剤
JP6573639B2 (ja) 腸内細菌数抑制剤、食品、及び医薬品
US20060189566A1 (en) Muscle building agent and preventive or remedy for muscle weakening
JPWO2002102396A1 (ja) 関節炎の予防剤または治療剤
JP2016199491A (ja) 気分状態改善剤
JP2016008180A (ja) 筋肉持久力向上剤
JP2009249320A (ja) 肥満・糖尿病改善剤
KR102612548B1 (ko) 락토바실러스 부크너리 200793 균주를 포함하는 우울증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186015A1 (ja) 神経心理学的機能改善剤
WO2021145113A1 (ja) 抗老化用組成物
WO2020218148A1 (ja) 過酸化脂質生成抑制剤
JP6131275B2 (ja) Igf−1産生促進剤
US20200069748A1 (en) Human-derived lactobacillus frementum mg4231 or lactobacillus frementum mg4244 strain having anti-obesity activity and composition comprising same
JP6981641B2 (ja) Pde5活性阻害剤
JP7431964B2 (ja) ミトコンドリア機能改善用組成物
KR20190129244A (ko) 넓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우울증 또는 스트레스 개선용 조성물 및 넓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
JP7206623B2 (ja) 糖代謝異常の予防および改善用組成物
JP2021169430A (ja) 筋繊維維持用組成物
KR20170072686A (ko) 트리테르펜 화합물을 포함하는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2021155375A (ja) 腸内細菌叢の改善剤
WO2020149393A1 (ja) 便臭を改善する物質を選択する方法、便臭を改善する組成物の製造方法、腎機能改善剤、および腎機能改善のための飲食品
KR20150125636A (ko) 쥐티푸스균으로 유발되는 식중독 또는 급성위장염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JP2023103165A (ja) Atp産生促進剤、抗炎症剤及び飲食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