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1673B1 -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 Google Patents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1673B1
KR102011673B1 KR1020190054744A KR20190054744A KR102011673B1 KR 102011673 B1 KR102011673 B1 KR 102011673B1 KR 1020190054744 A KR1020190054744 A KR 1020190054744A KR 20190054744 A KR20190054744 A KR 20190054744A KR 102011673 B1 KR102011673 B1 KR 102011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hangover
extract
hot water
water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4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은화
Original Assignee
박은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은화 filed Critical 박은화
Priority to KR1020190054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6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6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42Preservation of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46Preservation of non-alcoholic beverages by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0Sweete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70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 A23L2/72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by fil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에 있어서, 차전초 50~60중량%, 구기자 5~10중량%, 지구자 5~10중량%, 당귀 1~5중량%, 대회향 1~5중량%, 천문동 1~5중량%, 오디 1~5중량%, 뽕잎 1~5중량%, 계피 1~5중량%, 엉겅퀴잎 1~5중량%를 선별, 계량하여 깨끗이 세척한 약제혼합물을 추출탱크에 투입하고, 정제수를 총 중량의 7~9배(v/w)가 되게 첨가하여 100~120℃에서 8~10시간 추출하여 열수추출물을 추출한 후 여과하여 제조하여 숙취로 나타나는 두통, 구토, 소갈증을 완화해주면서 간세포의 손상을 억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HANGOVER BEVERAGE COMPOSITION}
본 발명은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숙취로 나타나는 두통, 구토, 소갈증을 완화해주면서 간세포의 손상을 억제시킬 수 있는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알코올 소비는 세계 최고의 수준이며, 간암이나 간경변으로 인한 사망이 한국인의 주요 사망원인이 되는 등 음주로 인한 사회경제적 및 보건학적 폐해는 엄청나며 이는 증가 추세에 있다 과다한 알코올 섭취는 신체의 거의 모든 부분에 영향을 미쳐서 간질환, 위염, 췌장염, 고혈압, 중풍, 식도염, 당뇨병 그리고 심장병 등 많은 질환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한국보건사회연구원) 알코올의 섭취는 음주후 인체내에서 탈수 및 전해질부족현상과 더불어 숙취, 구토, 두통 등과 같은 증상을 가져오는데, 일반적으로 이러한 숙취현상은 알콜 그 자체의 독성보다는 하기 화학반응으로 표현되는 알코올의 1차 분해산물인 아세트알데하이드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Figure 112019047753864-pat00001
즉, 알콜이 알콜분해효소에 의해 분해되면서 먼저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전환되고 그 다음 중간대사산물인 아세트산으로 된다. 이 과정에서 아세트산으로 분해되지 못한 아세트알데하이드는 간세포와 뇌세포의 손상을 가져오며 구토, 두통이 일어나고 심하면 오한이나 복통 등의 숙취현상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숙취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알콜의 1차 분해산물인 아세트알데하이드의 축적을 해결하거나, 아세트알데하이드의 분해를 담당하는 효소인 아세트알데하이드 디하이드로지네이즈를 활성화시켜 분해를 촉진함으로써 가능하다.
본 발명자는 숙취해소용 건강음료를 연구·개발하던 중 차전초, 상심, 금은화, 상엽, 구기자, 천문동, 대회향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음료조성물을 음주 전이나 음주 후에 복용할 경우 구토, 두통 등과 같은 숙취현상의 유발을 억제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결과는 갈대 뿌리의 유효성분 중 Asparagin과 Arginin 등의 아미노산 성분과 전화당이 체내에서 먼저 분해될 때 수분이 급격히 유리되어 세포나 혈류로 환류되면서 생성되는 발생기 산소 [O]에 의하여 숙취현상을 유발하는 아세트알데하이드의 생합성 경로를 차단하도록 알콜 탈수소효소의 활성을 억제하기 때문이며, 상심과 상엽도 상기 효소을 억제활성을 갖고 있어,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본 발명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은 지방간을 예방하는 등 간을 보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래에도 숙취해소를 위한 기능성 음료가 제안된바 있으나, 음용 후 머리와 몸이 무겁거나 숙취해소시간이 길어져서 단시간내에 숙취해소가 어렵거나 또는 숙취는 해소되어도 갈증이 여전히 존재하는 것들이 대부분이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14225호, '숙취해소용 음료'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숙취로 나타나는 두통, 구토, 소갈증을 완화해주면서 간세포의 손상을 억제시킬 수 있는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은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에 있어서, 차전초 50~60중량%, 구기자 5~10중량%, 지구자 5~10중량%, 당귀 1~5중량%, 대회향 1~5중량%, 천문동 1~5중량%, 오디 1~5중량%, 뽕잎 1~5중량%, 계피 1~5중량%, 엉겅퀴잎 1~5중량%를 선별, 계량하여 깨끗이 세척한 약제혼합물을 추출탱크에 투입하고, 정제수를 총 중량의 7~9배(v/w)가 되게 첨가하여 100~120℃에서 8~10시간 추출하여 열수추출물을 추출한 후 여과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또한, 상기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은 섭취가 용이하도록 벌꿀, 액상과당 등의 부원료를 소정의 배합비율로 첨가하여 배합탱크에서 60℃기준으로 배합하고, 배합된 추출물은 85℃의 온도에서 살균처리하며, 살균 후 50마이크로미터 크기의 필터로 거른 후 제품용기에 충진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본 발명은 숙취로 나타나는 두통, 구토, 소갈증을 완화해주면서 간세포의 손상을 억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차전초, 구기자, 지구자, 당귀, 대회향, 천문동, 오디, 뽕잎, 계피, 엉겅퀴잎을 선별, 계량하여 깨끗이 세척한 약제혼합물을 추출탱크에 투입하고, 정제수를 총 중량의 7~9배(v/w)가 되게 첨가하여 100~120℃에서 8~10시간 추출하여 열수추출물을 추출한 후 여과하게 제조하게 된다.
상기 추출물에는 섭취가 용이하도록 벌꿀, 액상과당 등의 부원료를 소정의 배합비율로 첨가하여 배합탱크에서 60℃기준으로 배합하게 되고, 배합된 추출물은 85℃의 온도에서 살균처리하며, 살균 후 50마이크로미터 크기의 필터로 거른 후 제품용기에 충진하는 단계로 제조된다.
상기 추출물과 부원료는 9:1의 중량비로 배합하는 것이 좋다.
부원료의 배합비율이 낮게 되면 추출물의 한약제 특유의 쓴맛이 강해 섭취시 거부감이 들 수 있으며, 너무 많은 양이 배합되면 단맛이 너무 강해져 오히려 거부감이 들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추출물의 양이 적어 숙취해소의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은 차전초 50~60중량%, 구기자 5~10중량%, 지구자 5~10중량%, 당귀 1~5중량%, 대회향 1~5중량%, 천문동 1~5중량%, 오디 1~5중량%, 뽕잎 1~5중량%, 계피 1~5중량%, 엉겅퀴잎 1~5중량%를 정제수로 열수추출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노근을 함께 혼합하여 제조할 수도 있으며, 노근을 1~5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꿀, 액상과당 이외에 생약제의 쓴맛을 더욱 감소시키고 기호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음료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감미료 또는 산미료를 더 첨가할 수 있다.
차전초는 질경이라고도 하며 소변이 잘 나오게 하고 열을 제거하며 시력을 아주 좋게 하고 담(痰)을 없애는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또한, 주요성분인 아우쿠빈, 배당체나 비타민 A,C,K 유기산,슬포라펜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푸라레타긴의 배당체는 위의 소화액의 분비를 좋게하고 기침을 그치게하는 유효성분이 있으며, 필로카르핀 및 아드레날린을 써서 일으킨 위액 분비과다 및 과소에 대해서도 조절작용을 한다. (중약대사전)
구기자는 간기능보호작용을 하며, 콜레스테린 양을 줄여 동맥경화의 예방과 치료에 쓰인다.
지구자는 헛개나무의 과병을 가진 열매나 씨를 말하는 것으로 번열, 구갈, 딸꾹질, 구토 등에 쓰며 이뇨를 돕고, 알코올중독으로 상한 간장을 치료하는데 쓰인다.
당귀는 피가 부족할 때 피를 생성해 주는 보혈 작용이 주를 이루며, 피를 원활히 순환가게 하는 활혈작용과 항암효과, 혈압강하 작용이 우수하다.
대회향은 소화를 도우며 기의 순환을 촉진하고 한사(寒邪)를 없애며 아픔을 완화시키며, 그 열매는 위, 창자, 기관지의 선분비를 항진시키고 유선(乳腺)의 분비도 세게 한다. 그 밖에 진경(鎭驚) 작용, 지토(止吐) 작용을 나타낸다.
천문동은 아스파라긴을 주성분으로 함유하고 있으며, 동의치료에서 자양강장제로 쓰인다.
천문동(天門冬)의 스테로이드, 클루코시드, 아스파라긴 성분은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암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기침, 천식, 가래 등을 완화하는데 큰 도움을 주고 감기를 예방해주며 스테로이드, 클루코시드는 폐를 건강하게 해주어 폐질환 예방 및 개선 효과가 뛰어나다고 할 수 있으며, 자양강장제의 역할을 해 간 기능에도 도움을 주고 해독작용이 뛰어나다.
또한, 간 노폐물 배출, 독성물질 해독 및 분해하고 체내 신진대사 및 에너지대사를 활발하게 하며 체내의 각종 노폐물과 독소를 체외로 배출시키며 피로회복에도 효과가 나타난다. (익생양술대전),
오디는 간장과 신장의 기능을 좋게 한다. 갈증을 해소하고 관절을 부드럽게 하며 알코올을 분해하고 마음을 편안하게 하여 불면증과 건망증에도 효과가 있다.
뽕잎은 혈관 건강, 항산화 효과, 피를 맑고 원활하게 만들어주는 데 도움이 되며, 혈관 질환과 성인병 예방에도 도움이 되며 혈전이 쌓이는 것을 방지해준다.
계피는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위장의 경련성 통증을 억제하고 위장관의 운동을 촉진해 가스를 배출하고 흡수를 좋게한다.
엉겅퀴잎은 정력보강에 효과가 있고, 이뇨작용을 하여 다이어트시 효과적이며, 간 기능을 살리는 치료제로 사용된다.
또한 엉컹퀴의 실리마린(Silymarin)성분인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다량으로 들어 있어서 인체내에 흡수된 알코올을 분해하는 능력이 뛰어날뿐만 아니라 노폐물 역시 몸밖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며, 과도한 음주로 인한 지방간을 개선하고 간을 해독하는 효과도 있으며, 산화방지제로서의 역할을 하는 글루타타이언(glutathione)을 올려 줌으로서 간에 대한 해독작용과 간기능의 중요한 지표인 ALT, AST수치 또한 개선된다. (중약대사전,고금중약집성)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약제혼합물의 열수추출물에 산겨릅나무의 열수추출물을 혼합하여 음료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산겨릅나무는 벌나무라고도 하며 풍부한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여 간조직의 손상을 재생시키고 알코올 분해능력이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본 발명에서는 산겨릅나무의 잎, 꽃, 가지, 줄기 뿌리 열매, 씨앗을 사용하게 되며, 주로 가지를 사용하게 된다.
채취한 산겨릅나무는 100중량%에 대하여 정제수를 5~7배(v/w)가 되게 첨가하여 100~120℃의 온도에서 6~8시간 추출하여 열수추출물을 제조한다.
제조된 산겨릅나무의 열수추출물은 약제혼합물의 열수추출물과 혼합하여 제조하며, 산겨릅나무의 열수추출물과 약제혼합물의 열수추출물은 30~40중량% : 60~70중량%로 혼합하여 음료조성물을 제조한다.
이때, 혼합된 음료조성물에도 섭취가 용이하도록 벌꿀, 액상과당 등의 부원료를 소정의 배합비율로 첨가하여 배합탱크에서 60℃기준으로 배합하게 되고, 배합된 추출물은 85℃의 온도에서 살균처리하며, 살균 후 50마이크로미터 크기의 필터로 거른 후 제품용기에 충진하는 단계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의 최적의 조성비를 연구하기 위해 원료의 배합비율을 달리하여 음료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제조시 차전초, 구기자, 지구자, 당귀, 대회향, 천문동, 오디, 뽕잎, 계피, 엉겅퀴잎, 노근을 주원료로하는 약제혼합물을 정제수 8배(v/w)로 첨가하여 110℃의 온도에서 10시간동안 추출하여 열수추출물을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열수추출물과, 벌꿀과 액상과다오가 같은 부원료를 9:1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아래의 설문조사는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나이대별로 각 소주 1병을 마신 후 숙취해소용 음료 150ml를 마시게 하여 조사하였다.
제조예1 제조예2 제조예3
차전초 54중량% 57중량% 60중량%
구기자 8중량% 6중량% 5중량%
지구자 8중량% 6중량% 5중량%
당귀 5중량% 5중량% 3중량%
대회향 5중량% 5중량% 5중량%
천문동 3중량% 3중량% 5중량%
오디 4중량% 4중량% 4중량%
뽕잎 3중량% 4중량% 2중량%
계피 4중량% 4중량% 3중량%
엉겅퀴잎 3중량% 3중량% 5중량%
노근 3중량% 3중량% 3중량%
상기의 제조예1,2,3에 의해 제조된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을 20~60대의 남성들에게 음주 후 섭취하도록 하고 섭취시 기호도와 섭취 후 숙취해소가 되는 정도를 설문조사하였다.
기호도는 음주 후 숙취해소용 음료를 마실 때의 거부감을 1~3단계(양호, 보통, 매스꺼움)를 기준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숙취해소정도는 숙취해소용 음료를 마신 후 다음날 깨어났을 때의 숙취해소상태를 1~5단계(아주좋음, 좋음, 보통, 나쁨, 아주나쁨)를 기준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제조예 1>
실험 연령대 기호도 숙취해소정도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을 마신 경우
20~24세 보통 좋음
25~29세 양호 보통
30~34세 양호 좋음
35~39세 보통 좋음
40~44세 양호 보통
45~49세 양호 좋음
50~60세 양호 보통
<제조예 2>
실험 연령대 기호도 숙취해소정도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을 마신 경우
20~24세 보통 좋음
25~29세 양호 좋음
30~34세 양호 좋음
35~39세 보통 좋음
40~44세 양호 아주좋음
45~49세 양호 좋음
50~60세 양호 보통
<제조예 3>
실험 연령대 기호도 숙취해소정도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을 마신 경우
20~24세 보통 좋음
25~29세 양호 좋음
30~34세 양호 아주좋음
35~39세 보통 아주좋음
40~44세 양호 아주좋음
45~49세 양호 좋음
50~60세 양호 좋음
상기 제조예1,2,3에 따른 숙취해소 음료의 숙취해소정도를 보면 차전초, 천문동, 엉겅퀴잎이 다량 함유된 숙취해소용 음료의 경우 숙취해소에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음료의 제조예3에 의해 제조된 약제혼합물의 열수추출물에 산겨릅나무의 열수추출물을 혼합하여 제조하였으며, 산겨릅나무의 열수출물이 혼합되지 않은 숙취해소용 음료와 혼합된 음료를 마신 후 다음날 깨어났을 때의 숙취해소상태를 1~5단계(아주좋음, 좋음, 보통, 나쁨, 아주나쁨)를 기준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아래의 설문조사는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연령대별로 각 소주 1병을 마신 후 숙취해소용 음료 150ml를 마시게 하여 조사하였다.
연령대 숙취해소정도

산겨릅나무의 열수추출물이 혼합되지 않은 숙취해소용 음료를 마신 경우
20대 양호
30대 양호
40대 보통
50대 보통

산겨릅나무의 열수추출물이 혼합된 숙취해소용 음료를 마신 경우
20대 아주좋음
30대 아주좋음
40대 좋음
50대 좋음
위 설문조사에서와 같이 산겨릅나무의 열수추출물이 혼합된 숙취해소용 음료를 마신경우 다음날 숙취해소 효과가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Claims (2)

  1.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에 있어서,
    차전초 50~60중량%, 구기자 5~10중량%, 지구자 5~10중량%, 당귀 1~5중량%, 대회향 1~5중량%, 천문동 1~5중량%, 오디 1~5중량%, 뽕잎 1~5중량%, 계피 1~5중량%, 엉겅퀴잎 1~5중량%, 노근 1~5중량%를 포함하는 약제혼합물을 선별, 계량하여 깨끗이 세척하여 추출탱크에 투입하고, 정제수를 총 중량의 7~9배(v/w)가 되게 첨가하여 100~120℃에서 8~10시간 추출하여 여과한 약제혼합물 열수추출물을 제조하고,
    산겨릅나무 100중량%에 대하여 정제수를 5~7배(v/w)가 되게 첨가하여 100~120℃의 온도에서 6~8시간 추출한 산겨릅나무 열수추출물을 제조하며,
    상기 산겨릅나무 열수추출물과 약제혼합물 열수추출물을 30~40중량% : 60~70중량%로 혼합하여 여과한 열수추출물은 섭취가 용이하도록 벌꿀, 액상과당을 포함하는 부원료를 추출물과 1:9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배합탱크에서 60℃기준으로 배합하고, 배합된 추출물은 85℃의 온도에서 살균처리하며, 살균 후 50마이크로미터 크기의 필터로 거른 후 제품용기에 충진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2. 삭제
KR1020190054744A 2019-05-10 2019-05-10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KR102011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744A KR102011673B1 (ko) 2019-05-10 2019-05-10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744A KR102011673B1 (ko) 2019-05-10 2019-05-10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1673B1 true KR102011673B1 (ko) 2019-08-19

Family

ID=67807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744A KR102011673B1 (ko) 2019-05-10 2019-05-10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16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287B1 (ko) 2020-05-21 2021-02-24 김일 숙취처방용 발효환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15220A (ko) 2021-02-10 2022-08-17 주식회사 우진생활건강 깔라만시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6695A (ko) * 2000-01-27 2001-08-16 황무연 숙취 및 갈증해소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21667A (ko) * 2001-09-07 2003-03-15 황무연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KR20060117550A (ko) * 2005-05-11 2006-11-1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90114225A (ko) 2008-04-29 2009-11-03 (주) 오엔씨 숙취해소용 음료
KR20130118058A (ko) * 2012-04-19 2013-10-29 권재윤 숙취해소용 식품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6695A (ko) * 2000-01-27 2001-08-16 황무연 숙취 및 갈증해소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21667A (ko) * 2001-09-07 2003-03-15 황무연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KR20060117550A (ko) * 2005-05-11 2006-11-1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90114225A (ko) 2008-04-29 2009-11-03 (주) 오엔씨 숙취해소용 음료
KR20130118058A (ko) * 2012-04-19 2013-10-29 권재윤 숙취해소용 식품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287B1 (ko) 2020-05-21 2021-02-24 김일 숙취처방용 발효환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15220A (ko) 2021-02-10 2022-08-17 주식회사 우진생활건강 깔라만시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0894B1 (ko)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 피로회복 및 면역력 증강용 식품 조성물
KR101738594B1 (ko) 흑도라지청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038260B (zh) 中药解酒保健饮料及其制备方法
CN101632760A (zh) 一种安神茶的制作方法
CN104351610B (zh) 一种抑制酒精吸收、促进酒精代谢的保健口服液及制备方法
KR102011673B1 (ko)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CN103734392A (zh) 火麻黑苦荞茶保健饮品及其制备方法
CN103251698B (zh) 一种具有解酒保肝护胃功效的葛根饮液及其制法
KR101195109B1 (ko) 당뇨병 예방에 효과적인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623091A (zh) 一种灵芝虫草养身酒
KR100869207B1 (ko) 쑥을 주재료로 하는 술의 제조방법
CN108523121A (zh) 一种抗霾清肺的功能性食品及其制备方法
CN105994840A (zh) 一种铁皮石斛降压保健茶及其制作方法
CN102335251A (zh) 一种具有解酒功能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020078467A (ko) 간기능 회복을 위한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850955B1 (ko) 당뇨 예방 및 개선용 식품의 제조방법
KR101687558B1 (ko) 천연재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변비 및 숙변 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3704409B (zh) 一种凉茶及其制备方法
CN107712890A (zh) 一种宁心安神膏滋及其制备方法
CN107158299A (zh) 一种具有增强学习记忆力功能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6937718A (zh) 一种双海藻花粉植物复合饮料及其制备方法
CN111296710A (zh) 一种松花粉酸枣仁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CN109717437A (zh) 一种解酒复合蜂蜜膏及其制备方法
CN105192821A (zh) 一种桑叶食品及其制作方法
KR20040081933A (ko) 바이오 수삼(인삼) 침출차(당뇨 환자용)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