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8058A - 숙취해소용 식품조성물 - Google Patents

숙취해소용 식품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8058A
KR20130118058A KR1020120040947A KR20120040947A KR20130118058A KR 20130118058 A KR20130118058 A KR 20130118058A KR 1020120040947 A KR1020120040947 A KR 1020120040947A KR 20120040947 A KR20120040947 A KR 20120040947A KR 20130118058 A KR20130118058 A KR 20130118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hangover
composition
weight
comparative ex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0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1165B1 (ko
Inventor
권재윤
Original Assignee
권재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재윤 filed Critical 권재윤
Priority to KR1020120040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1165B1/ko
Publication of KR20130118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8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1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7Vitaceae or Ampelidaceae (Vine or Grape family), e.g. wine grapes, muscadine or pepperv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23G4/06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4/068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9Fagaceae (Beech family), e.g. oak or chestn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2Rhamnaceae (Buckthorn family), e.g. buckthorn, chewstick or umbrella-tre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도씨 추출물, 차가버섯 추출물, 엉겅퀴 추출물, 율피 분말 및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포도씨 추출물 42~48중량%, 차가버섯 추출물 23~27중량%, 엉겅퀴 추출물 12~17중량%, 율피 분말 3~8중량% 및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2~6중량%로 조성되어 숙취해소에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숙취해소용 조성물{Hangover curing agent}
본 발명은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포도씨 추출물, 차가버섯 추출물, 엉겅퀴 추출물, 율피 분말 및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여 숙취해소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회식과 접대가 잦고,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한 스트레스가 많은 현대인들에게 음주는 필수적인 것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그로 인하여 음주기회가 상당히 증가하고 있다.
한국 보건 사회 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20세 이상 성인의 경우 음주 빈도가 한 달에 약 8일이며, 남성의 경우 11일, 여성의 경우 약 4일 정도로 나타났고, 이때 만취 횟수는 주 1회 이상이 4.7% 정도, 1개월에 1 내지 3회가 약 13.2%로 나타났는데, 국민 건강의 측면에서 상당히 우려할 만한 수준이다.
이와 같이 현대인들은 소화할 수 없을 정도의 알코올을 과량 섭취하는데, 이로 인한 부작용인 갈증, 전신권태, 피로감, 기억상실, 복부팽만감, 구토, 설사 등의 숙취 현상으로 고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알코올 중독에 걸릴 위험성도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숙취는 술을 많이 마신 후 나타나는 두통이나 속쓰림 등의 현상을 말하며, 이는, 알코올의 체내 대사과정 중 분해되는 아세트알데하이드가 인체에 유해하게 작용함으로써 나타난다. 알코올은 간에서 알코올 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에 의해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산화되고, 다시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aldehyde dehydrogenase; ALDH)에 의해 아세트산과 수소로 분해된 뒤 소변을 통해 배설된다.
한편, 포도씨는 포도 중량의 약 3~5%를 차지하며 지방 9~12%, 단백질 8~12% 및 헤미셀룰로스(hemicellulose)와 같은 식이성섬유소 약 45%를 다량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칼슘(Ca), 마그네슘(Mg) 및 인(P)과 같은 무기질의 함량이 높다. 또한, 포도씨는 식물성스테롤, 토코페놀 뿐만 아니라 항암, 항고혈압, 및 항산화성 카테킨화합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현재 포도씨유 및 추출물은 여러 나라에서 기능성식품, 화장품 및 의약품의 소재로써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차가버섯(Inonotus obliquus)은 자작나무 수액을 영양공급원으로 성장하는 버섯의 일종으로, 인체 내에 활성산소를 제거시키는 효소(Superoxide Dismutase)의 역할을 수행하는 베타글루칸(β glucan)이 일반 버섯의 수 백배 포함되어 인체에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효소를 공급시키고, 면역력 강화성분을 포함하며, 혈액 속의 지방 수치와 당 수치 콜레스테롤 수치를 감소시키고, 면역력을 강화시켜 성인병을 예방하고, 발생 된 성인병으로 인해 형성되는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체내 산도 저하와 혈류청결작용으로 알칼리화하여 연약한 세포를 강화시켜 인체의 치유력을 증대한다.
한편, 엉겅퀴(Cirsium japonicum)는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로써 경혈, 지혈, 소종의 효능이 알려져 있으며, 간장보호작용과 알코올 유도지질 산화의 예방 및 알코올성 간경화 등에 대한 보호효과가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한편, 율피는 밤(Castanea crenata)의 열매의 속껍질로서,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뛰어나고, 위를 보호하며, 인삼의 부작용에 대해 해독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헛개나무(Hovenia dulcis Thunb)는 갈매나무과의 낙엽활엽교목으로 경기, 강원 이남의 표고 50~800 m에 분포하고 있으며 호깨나무, 허리깨나무, 지구(枳俱), 백석목(白石木), 목밀(木蜜), 현포리(玄圃梨) 등으로도 불린다. 호베니아(Hovenia)속 나무 열매는 본초학이나 식물도설에서 주독해독, 정혈, 이뇨, 갈증해소, 해독작용을 한다는 보고가 있다. 그리고 헛개나무의 잎, 줄기 및 열매로 만든 차가 주독(酒毒) 제거 및 간 기능 보호에 효능이 뛰어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한편, 예전부터 음주로 인한 숙취 또는 알코올의 독성을 제거하기 위한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천연원료, 한약재료 또는 인공제제를 함유하는 다양한 숙취해소용 조성물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에 개발된 숙취 해소용 조성물들은 아직까지 만족할 만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73889호(액상본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는 상황버섯 추출물 12 내지 28.5중량%, 차가버섯 추출물 18.5 내지 22중량%, 자초 추출물 19 내지 21중량%, 지구자 추출물 9 내지 11중량%, 단삼 추출물 9 내지 11중량%, 용안육 추출물 9 내지 11중량%, 구연산 0.5 내지 1.5중량%, 흑설탕 4 내지 6중량%, 죽염 0.5 내지 1.5중량%, 액상감로차 2 내지 3중량%로 이루어진 액상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대해 개시되었다. 그러나 이에는 포도씨 추출물, 차가버섯 추출물, 엉겅퀴 추출물, 율피 분말 및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대해서는 기재된 바 없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56014호(헛개나무 어린가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 조성물)에는 헛개나무 어린가지를 1 내지 2 cm 크기로 잘게 파쇄하고 10배 용량의 물을 첨가하여 90℃ 내지 110℃에서 3시간 동안 열수추출한 후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필터로 여과 과정을 거쳐 18~22Brix 농도로 농축하여 추출된 헛개나무 어린가지 추출액 59.9중량%, 헛개열매 농축액 5.0중량%, 벌꿀 3.0중량%, 액상과당 3.0중량%, 구연산나트륨 0.07중량%, 자몽종자추출물 0.05중량%, 갈근엑기스 1.0중량%, 액상올리고당 3.0중량%, 솔잎엑기스 1.5 중량%, 계피엑기스 1.0중량%, 글리신 0.2중량%, 영지엑기스 0.065중량% 및 정제수 25.215중량%이 혼합하여 구성된 숙취해소 조성물에 대해 개시되었다. 그러나 이에는 포도씨 추출물, 차가버섯 추출물, 엉겅퀴 추출물, 율피 분말 및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대해서는 기재된 바 없다.
본 발명은 천연재료로 이루어져 인체 안정성이 확보된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신체의 저항력을 증진시키고, 음주 후의 부작용을 매우 효과적으로 억제시키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손상된 간기능을 회복시키고 알코올 중독 및 알코올 의존성을 개선 또는 치료하는데 효과적인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포도씨 추출물, 차가버섯 추출물, 엉겅퀴 추출물, 율피 분말 및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포도씨 추출물, 차가버섯 추출물, 엉겅퀴 추출물, 율피 분말,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포도씨 추출물, 차가버섯 추출물, 엉겅퀴 추출물 또는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수득하는 방법으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추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등의 용매를 각각 단독으로 또는 이들을 2종 이상 혼합한 용매를 추출 용매로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40~80% 에탄올 수용액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에는 천연물로부터 유용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방법으로 널리 이용되어 지고 있는 아임계 및 초임계 추출방법을 통하여 얻어진 추출물도 포함된다. 이들 추출법은 일반적인 추출방법보다 추출 속도가 빠르고, 추출 용매로 환경에 무해한 물질(일 예로서, 초임계 이산화탄소)을 사용하기 때문에 환경에 무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의 재료가 되는 포도씨, 차가버섯, 엉겅퀴 또는 헛개나무 열매는 이를 건조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건조법으로는 자연 건조 또는 열풍 건조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도씨, 차가버섯, 엉겅퀴 또는 헛개나무 열매는 이를 분쇄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데, 상기 재료들을 분쇄하여 사용하면 추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포도씨 추출물, 차가버섯 추출물, 엉겅퀴 추출물 또는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은 액체 상태로 사용할 수 있지만, 감압 증류,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율피 분말은 율피를 자연 건조 또는 열풍 건조법 등을 이용하여 건조한 후, 분쇄하여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조된 포도씨 추출물, 차가버섯 추출물, 엉겅퀴 추출물, 율피 분말 및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이용하여 숙취해소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포도씨 추출물 42~48중량%, 차가버섯 추출물 23~27중량%, 엉겅퀴 추출물 12~17중량%, 율피 분말 3~8중량% 및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2~6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알코올 분해능이 매우 탁월하며 숙취해소에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사탕, 껌 또는 음료 형태의 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숙취해소용 식품의 제조를 위해 기타의 천연 또는 합성 물질 및 첨가물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천연재료로 이루어져 인체 안정성이 확보된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체의 저항력을 증진시키고, 음주 후의 부작용을 매우 효과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손상된 간기능을 효과적으로 회복시키고, 알코올 중독 및 알코올 의존성을 개선 또는 치료하는데 효과적인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제조예 1: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제조
포도씨, 차가버섯, 엉겅퀴 또는 헛개나무 열매를 건조한 후 소정의 크기로 잘게 분쇄하였다. 상기 각각 분쇄된 원료에 70% 에탄올 수용액을 첨가하여 100~150℃에서 3~6시간 교반하며 가열함으로써 추출하였다. 그 다음 여과포를 이용하여 상기 추출물들을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원료들의 추출분말을 제조하였다. 또한, 율피는 건조시켜 미세하게 분쇄하여 율피 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득된 포도씨 추출분말 42~48중량%, 차가버섯 추출분말 23~27중량%, 엉겅퀴 추출분말 12~17중량%, 율피 분말 3~8중량% 및 헛개나무 열매 추출분말 2~6중량%를 혼합하여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 5: 숙취해소용 조성물 제조
본 비교예에서는 상기 제조예 1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조성성분 중 성분을 하나씩 제외하여 비교예 1 내지 5를 제조하였다(표 1 참조).
제조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포도씨 추출물 -
차가버섯 추출물 -
엉겅퀴 추출물 -
율피 분말 -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
비교예 6 내지 10: 숙취해소용 조성물 제조
본 비교예에서는 제조예 1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조성성분비를 달리하여 비교예 6 내지 10을 제조하였다(표 2 참조).
제조예 1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비교예 9 비교예 10
포도씨 추출물 42~48중량% 23~27중량% 12~17중량% 3~8중량% 2~6중량% 42~48중량%
차가버섯 추출물 23~27중량% 42~48중량% 3~8중량% 2~6중량% 12~17중량% 2~6중량%
엉겅퀴 추출물 12~17중량% 3~8중량% 42~48중량% 23~27중량% 3~8중량% 23~27중량%
율피
분말
3~8중량% 2~6중량% 23~27중량% 42~48중량% 23~27중량% 12~17중량%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2~6중량% 12~17중량% 2~6중량% 12~17중량% 42~48중량% 3~8중량%
실험예 1: ADH ALDH 의 활성 측정( in vitro )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제조예 1 및 비교예 1 내지 10에서 제조한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대한 ADH와 ALDH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알코올은 간에서 알코올 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에 의해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산화되고, 다시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aldehyde dehydrogenase; ALDH)에 의해 아세트산과 수소로 분해된 뒤 소변을 통해 배설된다. 숙취 현상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아세트알데하이드의 분해가 빨리 이루어져야 한다.
ADH와 ALDH의 활성 측정은 'Blandino의 방법(Bostian. et. al., 1978)'을 변형하여 측정하였으며, 흡광도는 340 nm에서 NADH의 생성속도를 지표로 사용하였다.
ADH 활성 촉진 효과 ALDH 활성 촉진 효과
제조예 1 11.3% 42.5%
비교예 1 5.2% 15.3%
비교예 2 5.1% 14.8%
비교예 3 5.4% 15.0%
비교예 4 4.8% 15.1%
비교예 5 5.0% 14.5%
비교예 6 5.2% 14.7%
비교예 7 4.6% 14.2%
비교예 8 4.7% 15.0%
비교예 9 4.5% 14.9%
비교예 10 5.3% 15.6%
측정 결과(표 3참조), 제조예 1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이 비교예 1 내지 10에 비해 ADH 및 ALDH의 활성 촉진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로부터 본 발명 조성물의 우수한 숙취해소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숙취해소용 조성물 투여 후 시간 경과에 따른 혈중 알코올 농도
본 실험예에서는 생쥐 60마리에 상기 제조예 1 및 비교예 1 내지 10에서 제조된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투여한 후, 시간 경과에 따른 혈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생쥐 60마리 중 5마리는 대조군으로 0.6 ㎖의 증류수를 투여하고, 증류수 투여 30분 후에 알코올(알코올 도수, 40%v/v)를 0.3 ㎖ 투여하였다.
한편, 60마리 중 나머지 5마리는 제조예 1를 나머지 50마리는 5마리씩 나누어 비교예 1 내지 10을 각각 0.6 ㎖씩 투여하고 30분 후에 알코올(알코올 도수, 40%v/v)를 0.3 ㎖ 투여하였다. 그 후, 0, 0.5, 1.0, 2.0, 3.0 시간 경과 후에 각 처리군에서 심장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여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였다.

경과시간(시간)
0 0.5 1.0 2.0 3.0
대조군 0.0325±0.0030 0.0351±0.0040 0.0301±0.0030 0.0297±0.0032 0.0252±0.0025
제조예 1 0.0249±0.0019 0.0221±0.0014 0.0185±0.0010 0.0156±0.0004 0.0137±0.0003
비교예 1 0.0285±0.0028 0.0274±0.0025 0.0260±0.0022 0.0245±0.0018 0.0205±0.0016
비교예 2 0.0285±0.0030 0.0276±0.0025 0.0263±0.0022 0.0242±0.0018 0.0198±0.0015
비교예 3 0.0280±0.0028 0.0269±0.0023 0.0254±0.0020 0.0236±0.0017 0.0196±0.0015
비교예 4 0.0277±0.0029 0.0265±0.0022 0.0250±0.0020 0.0230±0.0017 0.0187±0.0014
비교예 5 0.0278±0.0028 0.0266±0.0022 0.0252±0.0021 0.0233±0.0017 0.0201±0.0016
비교예 6 0.0269±0.0025 0.0257±0.0019 0.0247±0.0019 0.0227±0.0016 0.0195±0.0013
비교예 7 0.0274±0.0027 0.0267±0.0025 0.0254±0.0020 0.0230±0.0016 0.0201±0.0013
비교예 8 0.0280±0.0028 0.0270±0.0028 0.0258±0.0022 0.0233±0.0017 0.0199±0.0014
비교예 9 0.0291±0.0030 0.0273±0.0028 0.0260±0.0024 0.0235±0.0018 0.0201±0.0013
비교예 10 0.0268±0.0023 0.0255±0.0021 0.0247±0.0019 0.0228±0.0016 0.0193±0.0012
측정 결과(표 4 참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숙취해소용 조성물 투여시 혈중 알코올이 많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부터 본 발명 조성물의 우수한 숙취해소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 제조예 1의 숙취 해소능 조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조예 1 및 비교예 1 내지 10에서 제조된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숙취해소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건강한 성인남자 60명(25~50세, 음주경력 5~25년)을 피험자로 선정하여 임상실험을 하였다.
실험 전ㆍ후에는 24시간 동안 음주를 금지하고, 실험 당일은 공복으로 실험에 참여하게 하였다.
상기 60명 중 5명은 대조군으로 각각 75 ㎖의 증류수를 투여하고, 증류수 투여 30분 후에 '0.5 g/체중 1 kg'의 알코올(알코올 도수, 40%v/v)이 되도록 조제하여 10분 이내에 전량을 마시도록 하였다.
한편, 60명 중 5명은 제조예 1을 나머지 50명은 5명씩 나누어 비교예 1 내지 10을 각각 75 ㎖씩 마시게 한 후, 30분 동안 가만히 있게 하였다. 이 후, '0.5 g/체중 1 kg'의 알코올(알코올 도수, 40%v/v)이 되도록 조제하여 10분 이내에 전량을 마시도록 하였다.
이 후, 숙취의 대표증상으로 나타나는 두통, 구토 및 구갈 정도와 안색 여부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이때, 두통, 구토 및 구갈 정도와 안색 여부는 모두 '5: 전혀 없음, 4: 없음, 3: 보통, 2: 약간 있음, 1: 매우 심함'으로 하여 수행하였으며, 결과는 그 평균값으로 기재하였다.
두통 구토 구갈 안색
대조군 2.1 2.5 2.6 2.2
제조예 1 4.3 4.6 4.2 4.6
비교예 1 3.3 3.5 3.6 3.4
비교예 2 3.0 3.5 3.4 3.3
비교예 3 3.4 3.6 3.8 3.4
비교예 4 3.5 3.3 3.7 3.7
비교예 5 3.2 3.2 3.5 3.3
비교예 6 3.1 3.4 3.3 3.6
비교예 7 3.3 3.1 3.4 3.0
비교예 8 3.4 3.0 3.2 3.6
비교예 9 3.3 3.6 3.4 3.6
비교예 10 3.8 3.7 3.7 3.8
실시 결과(표 5 참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숙취해소용 조성물이 평가항목인 두통, 구토, 구갈 및 안색 항목에서 매우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반면,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 중 어느 하나라도 제외되거나, 조성성분비가 달라질 경우 숙취해소 효과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조예 2: 숙취해소용 식품의 제조
본 제조예에서는 하기와 같이 숙취해소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1) 음료 제조
구연산 0.25 g, 과당 35 g, 레몬주스 60 g, 제조예 1의 숙취해소용 조성물 20mg을 혼합한 후, 통상의 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숙취해소용 음료를 제조하였다.
(2) 츄임껌 제조
껌 베이스 26.1중량%, 설탕 70.9중량%, 향료 1중량% 및 물 2중량%를 배합한 후, 제조예 1의 숙취해소용 조성물 20mg을 첨가하여 통상의 츄잉껌 제조방법에 따라 숙취해소용 츄잉껌을 제조하였다.
(3)캔디 제조
설탕 63중량%, 물엿 36.9중량%, 및 향료 0.1중량%를 배합한 후, 제조예 1의 숙취해소용 조성물 20mg을 첨가하여 통상의 캔디 제조방법에 따라 숙취해소용 캔디를 제조하였다.

Claims (4)

  1. 포도씨 추출물, 차가버섯 추출물, 엉겅퀴 추출물, 율피 분말 및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포도씨 추출물 42~48중량%, 차가버섯 추출물 23~27중량%, 엉겅퀴 추출물 12~17중량%, 율피 분말 3~8중량% 및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2~6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음료.
  4. 제1항 또는 제2항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껌.
KR1020120040947A 2012-04-19 2012-04-19 숙취해소용 식품조성물 KR101461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947A KR101461165B1 (ko) 2012-04-19 2012-04-19 숙취해소용 식품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947A KR101461165B1 (ko) 2012-04-19 2012-04-19 숙취해소용 식품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8058A true KR20130118058A (ko) 2013-10-29
KR101461165B1 KR101461165B1 (ko) 2014-11-13

Family

ID=49636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0947A KR101461165B1 (ko) 2012-04-19 2012-04-19 숙취해소용 식품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116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0783A (ko) * 2016-11-07 2018-05-16 김대호 한약재 기반 숙취해소제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환약 숙취해소제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환약 숙취해소제
WO2019059549A3 (ko) * 2017-09-19 2019-05-09 주식회사 큐젠바이오텍 베타글루칸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또는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11673B1 (ko) * 2019-05-10 2019-08-19 박은화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US11154568B2 (en) 2017-09-19 2021-10-26 Quegen Biotech Co., Ltd. Composition for relieving hangover or composition for preventing, alleviating or treating alcoholic liver disease, comprising b-glucan as active ingredient
KR20220072520A (ko) * 2020-11-25 2022-06-02 주식회사 네이처센스 엉겅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이너뷰티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525B1 (ko) * 2006-04-10 2007-10-30 주식회사 당바이오텍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조성물
KR101206543B1 (ko) * 2009-01-29 2012-11-30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율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00119150A (ko) * 2009-04-30 2010-11-09 주식회사 진로 율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110033644A (ko) * 2009-09-25 2011-03-31 황대규 혈중 알코올 분해 속도를 촉진시키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0783A (ko) * 2016-11-07 2018-05-16 김대호 한약재 기반 숙취해소제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환약 숙취해소제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환약 숙취해소제
WO2019059549A3 (ko) * 2017-09-19 2019-05-09 주식회사 큐젠바이오텍 베타글루칸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또는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1154568B2 (en) 2017-09-19 2021-10-26 Quegen Biotech Co., Ltd. Composition for relieving hangover or composition for preventing, alleviating or treating alcoholic liver disease, comprising b-glucan as active ingredient
KR102011673B1 (ko) * 2019-05-10 2019-08-19 박은화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KR20220072520A (ko) * 2020-11-25 2022-06-02 주식회사 네이처센스 엉겅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이너뷰티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1165B1 (ko) 2014-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6052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EP2003988B1 (en) Natural plant extract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recovery of hyperlipidemia and stroke, natural tea containing the same as active ingredient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natural tea
KR102020586B1 (ko) 동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령친화 식품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615199B1 (ko) 숙취해소 및 간 보호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성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식품 및 식품첨가제
KR101461165B1 (ko) 숙취해소용 식품조성물
KR20110033644A (ko) 혈중 알코올 분해 속도를 촉진시키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51211B1 (ko) 남성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 성기능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24431B1 (ko)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588378B1 (ko) 숙취해소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숙취해소제
KR20130092652A (ko) 숙취해소용 자연차
KR20170085451A (ko) 숙취해소용 약재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추출된 숙취해소용 약재 추출물
KR101813815B1 (ko) 엄나무와 헛개나무를 이용한 건강 증진용 환 및 농축액 제조방법
KR101394358B1 (ko)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20170052868A (ko)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27411B1 (ko) 복합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보호 및 숙취해소용 조성물
CN114631632B (zh) 一种护肝解酒的刺梨组合物及其制剂与应用
KR102197395B1 (ko) 황칠나무 발효 추출물과 매생이 발효 추출물이 혼합 조성된 숙취 해소 복합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897005B1 (ko)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를 이용한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0608456B1 (ko) 손바닥 선인장, 오리나무, 갈근 및 헛개나무의 복합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173237B1 (ko) 숙취해소용 복합식물추출물 (nfp-adh003)
KR102136053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20050100890A (ko) 오가피 및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269936B1 (ko)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65805A (ko)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200142768A (ko)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