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4051A - 포커스 에러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조정하고 증폭하는 방법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포커스 에러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조정하고 증폭하는 방법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4051A
KR20060014051A KR1020057021805A KR20057021805A KR20060014051A KR 20060014051 A KR20060014051 A KR 20060014051A KR 1020057021805 A KR1020057021805 A KR 1020057021805A KR 20057021805 A KR20057021805 A KR 20057021805A KR 20060014051 A KR20060014051 A KR 20060014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fe
evaluation
track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1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티안 뷔흘러
홀거 호프만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ublication of KR20060014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40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 G11B7/08505Methods for track change, selection or preliminary positioning by moving the head
    • G11B7/08511Methods for track change, selection or preliminary positioning by moving the head with focus pull-in onl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18Groove and land recording, i.e. user data recorded both in the grooves and on the lan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4Methods and circuits for servo offset compens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41Methods and circuits for servo gain or phase compensation during ope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45Methods for initialising servos, start-up sequenc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01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track following only
    • G11B7/0903Multi-beam tracking systems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Moving Of The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광 저장 매체용 드라이브에서, 메인 빔 및 2차 빔의 포커스 에러 신호를 가중해서 더함으로써 생성된 포커스 에러 신호는, 가중치 인자가 실제 존재하는 상기 드라이브 및 상기 저장 매체의 광학적 및 기계적 속성에 정확하게 튜닝되지 않을 때마다, 항상 트랙 에러 신호의 원치 않는 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가중 인자를 이들 속성에 자동으로 튜닝하기 위한 방법을 기술한다. 이러한 방법은 상기 저장 매체를 삽입한 이후 바로 사용하는데 적절한 반면, 이러한 방법 중 일부 방법은 기록 또는 판독 동작 동안에 일시중단없이도 또한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포커스 에러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조정하고 증폭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AN AMPLIFICATION FOR PRODUCING A FOCUS ERROR SIGNAL}
본 발명은 광 저장 매체로부터 판독하고 광 저장 매체에 기록하기 위한 디바이스에서, 특히 제어 도중에 이득이나 가중 인자(weighting factors)를 설정하기 위해 포커스 에러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트랙 에러 신호를 형성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로 차동 푸시-풀 방법(DPP)이 있다. DPP 방법은 세 개의 빔을 사용하여 광 저장 매체를 스캐닝하는 방법이다. DPP 방법의 목적은, 예컨대 도 1a에 도시된 수단을 사용하여 스캐너의 광축에 대한 대물렌즈의 위치에 따라 어떠한 오프셋도 갖지 않는 트랙 에러 신호(DPP)를 형성하는 것이다. 만약 사용된 광검출기가 각 경우에 메인 빔 및 2차 빔 모두에 대한 1/4검출기로서 추가적으로 설계된다면, 포커스 에러 신호는 2차 빔 및 메인 빔 모두에 대해 형성될 수 있다. 개선된 포커스 에러 신호를 형성하기 위한 이미 알려진 방법은 메인 빔 및 2차 빔의 포커스 에러 신호 성분을 더하며, 이때 2차 빔의 성분은 그 세기에 따라 메인 빔에 대해 가중된다. 이 방법은 흔히 차동 포커스 방법 또는 차동 비점수차 방법이라 부른다. 도 2a는 이러한 차동 포커스 방법 을 사용하여 차동 포커스 에러 신호(DFE)를 결정하기 위한 배열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메인 빔 및/또는 2차 빔의 트랙 에러 성분 및 포커스 에러 성분 모두가 이들 성분의 합에 대해 각각 정규화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점은 정규화된 차동 푸시-풀 신호(DPPN)의 경우에는 도 1b에 도시되어 있고, 정규화된 차동 포커스 에러 신호(DFEN)의 경우에는 도 2b에 도시되어 있다. 정규화에 상관없이, 메인 빔 및 2차 빔 에러 신호 사이의 가중은 도 1a 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경우 각각 가중 인자(T 또는 F)를 사용하여 단지 하나의 신호 분기에서만 실행될 수 있거나; 각각 도 1b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중 인자(1+T, 1-T 및 1+F, 1-F)를 사용하여 두 신호 분기 모두에서 실행될 수 있다.
단지 DFE 방법만이 이후에 고려될 것이다: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광 스캐너의 스캐닝 빔은 차동 포커스 방법을 적용한 경우에 세 개의 빔으로 구성된다. 이 빔을 세 개의 빔으로 분리하기 위해, 광 격자(3)가 광원(1)의 빔 경로 내에 삽입된다. 메인 빔, 소위 0차 빔은 광 저장 매체의 트랙 내의 스캐닝될 정보를 판독하며, 광 정보의 가장 많은 부분, 예컨대 80% 내지 90%를 포함한다. 2차 빔 또는 +/-빔 1차 빔은 각각 총 광 세기의 나머지 부분, 대략 5 내지 10%를 포함한다. 이 경우, 단순화하여, 격자의 더 높은 회절 차수의 광 에너지는 0이라고 가정한다.
광 격자는, 그루브(groove) 및 랜드(land)에 기록이 이루어지는 매체의 경우, 두 2차 빔의 영상은 유형(L)의 2차 트랙의 중간부분과 정확하게 충돌하고, 그 루브에만 기록이 이루어지는 매체의 경우, 메인 빔에 의해 판독되는 유형(G)의 트랙 다음의 두 트랙 사이의 영역과 정확하게 충돌하도록, 설치된다. 2차 빔과 메인 빔은 서로 광학적으로 분리될 수 있으므로, 저장 매체와 검출기 상의 영상의 위치가 서로 분리된다. 매체가 회전한다면, 2차 빔 중 하나는 판독 방향에서 메인 스캐닝 빔 앞에 위치하고, 다른 2차 빔은 메인 스캐닝 빔 뒤에 위치한다.
광검출기로의 반환 경로 상에서, 반사된 빔은 예컨대 원통형 렌즈와 같은 비점수차 방식으로 작동하는 광학 성분을 횡단한다. x- 및 y-방향에서 볼 때 서로 다른 두 초점이 원통형 렌즈의 하류에서 발생한다. 포커스 에러 신호는 스캐닝 빔 각각으로부터 생성될 수 있고, 빔에 의해 스캐닝된 트랙에 대한 빔의 위치에 의존한다. 이 경우, 각 스캐닝 빔의 포커스 에러 신호는 광 저장 매체 상의 정보 층에서부터 대물렌즈의 수직 거리에 관한 정보를 반환하는 성분을 주로 포함한다. 수직 거리와 독립적이지만, 각각 스캐닝된 트랙 유형과 트랙으로부터 스캐닝 빔의 수평 위치의 함수인 포커스 오프셋 성분이 추가로 포함된다. 그에 따라, 이 오프셋 성분의 진폭은 예컨대 G 및 L의 트랙 폭, 트랙 간격, 또는 트랙 깊이에 의해 기술되는 트랙의 기하학적 모형의 함수이며, 그에 따라 이들 변수와 관련하여 설명된다.
이미 전술되었고, 도 4a에 예시된 바와 같이, 광 격자는, 2차 스캐닝 빔이 메인 스캐닝 빔이 한 트랙(G)의 중간부분을 검출할 때, 2차 트랙(L)의 중간부분을 정확하게 스캐닝하도록 전형적으로 조정된다. 만약 광 저장 매체의 트랙에 대해 대물 렌즈가 이동한다면, 메인 스캐닝 빔이 2차 트랙(L)의 중간부분을 정확하게 스캐닝하도록 이동한다. 이 경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스캐닝빔은 각각 트 랙(G)의 중간부분 상에 정확하게 놓인다. 그에 따라, 2차 스캐닝 빔은 항상 메인 스캐닝 빔의 트랙 위치에 대해 상보적인(complementary) 트랙 위치를 갖는다. 메인 스캐닝 빔과 2차 스캐닝 빔의 전술한 포커스 오프셋 성분은 트랙 유형에 따라 서로 다른 부호를 가지므로, 메인 빔 에러 신호에 대한 2차 빔 에러 신호의 정확한 가중치가 주어진다면, 이들 포커스 오프셋 성분은 더해질 때 서로 정확하게 상쇄되는 반면, 이들 포커스 에러 성분은 서로 더해진다.
이것은, 예컨대 G 및 L 모두에 사전-레코딩된 매체를 스캐닝할 때, 이러한 각각의 트랙 유형으로부터 판독하고, 이러한 트랙 유형에 기록하기 위해 서로 다른 임의의 포커스 오프셋 값을 설정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추가적인 장점은, 트랙 점프 경우에, 횡단되는 트랙의 포커스 오프셋이 다르지 않고, 그리하여 트랙을 횡단할 때 포커스 제어기가 트랙 횡단 빈도수에 따라 변하는 포커스 오프셋을 조정할 필요가 없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트랙 점프 동안에 포커스 제어의 안정도는 더 높게 된다.
포커스 오프셋 성분이 서로를 상쇄하기 위한 전제조건은, 2차 빔 신호의 가중치에 대한 메인 빔 신호의 가중치를 결정하는 이득 조정이 정확한 값으로 조정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메인 빔 신호와 2차 빔 신호를 가중하여 더하는 동안에, 이들 빔 신호에 포함되고 트랙에 대한 수평 위치에 의존하는 포커스 오프셋 성분이 서로 상쇄되도록, 가중치를 조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기술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2차 빔 성분에 대해 메인 빔 성분을 과도하게 가중(overweighting)하거나 불충분하게 가중(underweighting)하는 경우에, 결과적인 차동 포커스 에러 신호(DFE)는 포커스 오프셋의 함수이고 차동 포커스 오프셋 신호(DFO)와 동위상이거나 반대위상인 성분을 포함한다는 점을 이용한다. 다시 말해, 트랙 횡단 동작이 있는 경우에, 가중치가 DFE 신호에서 DFO 신호에 대한 포커스 오프셋의 함수로서 발생하는 성분의 위상각에 비해 너무 큰지 또는 너무 작은지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하여, 차동 포커스 에러 방법에 따라 포커스 에러 신호(DFE)를 생성하는 광 레코딩 매체로부터 판독하고 및/또는 광 레코딩 매체에 기록하기 위한 디바이스에서 가중 인자를 조정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서, 포커스 제어 루프를 스위칭 온시키고, 차동 포커스 에러 신호를 생성하고, 트랙 횡단 동작을 개시하고, 차동 포커스 에러 신호와 측정 신호를 서로 관련되게 설정하고, 가중 인자를 관련되게 설정된 차동 포커스 에러 신호의 함수로서 변경시키는 방법이 제안된다. 이러한 방법은 유리하게는 디지털 신호 처리에 의해 또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심지어 동작하는 동안에도 가열이나 다른 영향의 결과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 특히 광 스캐너 및 포커스 제어 루프의 속성의 임의의 가능한 변화를 간단히 구현하고 보상한다는 장점이 있다. 차동 포커스 에러 신호(DFE) 성분을 포함하지 않고, 가중 인자가 정확하게 설정되는 이상적인 경우에 차동 포커스 에러 신호(DFE)와 상관되지 않는 신호가 여기서 측정 신호로서 사용될 것이다. 측정 신호는 이들 속성을 기초로 해서 제로 신호로 또한 명명된다. 상관관계가 존재한다면, 이것은 원치 않는 신호 성분, 즉 가중의 오조정에 대한 지시이며; 이러한 지시는 차동 에러 신호를 제로 신호에 관련하여 설정함으로써 수립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정 방법은 또한 트랙 횡단 동작을 개시하고, 제 1 측정 신호로서 신호(DFE)와, 이와 다르게 형성된 제 2 측정 신호를 곱함으로써 연합하여 평가하는 것이며, 여기서 제 2 측정 신호는 그루브(G)와 랜드(L)의 중간부분에서 극한 값을 갖도록 구성된다. 레코딩 매체로부터 대물렌즈의 거리에 관련되고, 트랙에 대한 빔의 방사상 위치에 관련된 정보는 두 측정 신호, 즉 서로 다른 성분에 포함된다. 평가의 결과로 곱셈기 출력에 생성되는 것은, 진동하는 DC 전압이며, 이 전압의 부호는 포커스 오프셋의 함수인 DFE 신호 성분의 위상을 나타내고, 이 전압의 크기는 DFE 신호 성분의 절대값을 나타낸다. 가중치는 이러한 결과의 제어 하에서 본 발명에 따라 조정되며; 이때 이것은 가중치의 정확한 값으로 단계적이고 반복적으로 근사되어 실행되거나, 대안적으로는, 그 다음 가중치 조정이 그레디언트 계산을 기초로 해서 실행된다.
본 발명에 따라 필요한 트랙 횡단 동작은 제어 펄스에 의해 트랙 점프를 개시함으로써 실행되고, 이때 트랙 제어 루프는 스위칭 온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트랙 횡단 동작은 광 저장 매체의 편심률(eccentricity)로 인해 또한 트랙 제어 루프가 스위치 오프된 때에도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 2 측정 신호가 트랙 횡단 동작을 개시하는 제어 펄스(ATON, GATE)로부터, 또는 차동 포커스 옵셋 신호(DFO)로부터 형성된다. 측정 신호의 연합 평가는 평가 신호를 형성하기 위해 두 측정 신호의 곱을 적분하는 단계와, 그 이후 평가 신호를 비교 간격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평가 신호가 비교 간격에 있지 않을 때, 분기 가중치(T, F)는, 평가 신호가 이 비교 간격쪽으로 변화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조정 단계에서 변경된다.
다시 말해: 광 저장 매체용 드라이브에서, 메인 빔과 2차 빔의 포커스 에러 신호로부터 가중되어 더해져 생성된 포커스 에러 신호는, 가중 인자가 실제 존재하는 상기 드라이브 및 저장매체의 광학적 및 기계적 속성에 정확히 튜닝되지 않을 때마다, 항상 트랙 에러 신호의 원치 않는 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가중 인자를 이들 속성에 자동으로 튜닝하기 위한 방법을 기술한다. 이러한 방법은 저장 매체를 삽입한 이후 바로 사용하는데 적절할 수 있는 반면, 이러한 방법 중 일부 방법은 기록 또는 판독 동작 동안에 일시정지 없이 또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통해서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이후에 설명될 것이다.
도 1a는 차동 푸시-풀 방법을 사용하여 트랙 에러 신호(DPP)를 얻기 위한 종래기술의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1b는 두 부분 신호(CPPN, OPPN)를 정상화하고 가중함으로써 정상화된 트랙 에러 신호(DPPN)를 얻기 위한 배열을 도시한 도면.
도 2a는 차동 포커스 에러 신호(DFE)를 얻기 위한 종래기술의 배열을 도시한 도면.
도 2b는 두 부분 신호(CFEN, OFEN)를 정상화하고 가중함으로써 정상화된 차 동 포커스 에러 신호(DFEN)를 얻기 위한 배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광 스캐너의 설계도를 도시한 도면.
도 4a는 메인 스캐닝 빔이 트랙(G)의 중간부분 상에 강하하는 경우에 트랙 및 스캐닝 빔의 개략적인 배열을 도시한 도면.
도 4b는 메인 스캐닝 빔이 2차 트랙(L)의 중간부분 상에 강하하는 경우에 트랙 및 스캐닝 빔의 개략적인 배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포커스 에러에 의존하고 방사상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성분의 특징과 함께 도 4a의 배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DFE를 결정하는데 사용된 신호의 특징과 함께 도 4a의 배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DFE를 결정하는데 사용된 신호의 특징과 함께 빔 간격(Δn=3p/4)을 갖는 배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DFE를 결정하는데 사용된 신호의 특징과 함께 빔 간격(Δn=p/2)을 갖는 배열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제 1 조정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시간 신호 특징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제 1 조정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배열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조정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추가적인 배열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조정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추가적인 배열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신호(CFE, OFE)로부터 신호(DFE, DFO)를 얻기 위한 배열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신호(CFE, OFE)로부터 신호(DFE, DFO)를 얻기 위한 추가적인 배열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서로 다르게 적용된 가중의 경우 연속하는 개별 트랙 점프에 대한 시간 신호 특징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도 15의 시간 특징에 속해 있는 배열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다수의 개별 트랙 점프를 포함하는 조정 동작에 대한 신호 특징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서로 다른 수의 트랙 위를 횡단하는 다수의 트랙 점프에 대한 신호 특징을 도시한 도면.
이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2차 빔의 트랙 위치는, 광 격자의 적절한 조정각이 주어진다면, 메인 스캐닝 빔의 트랙 위치와 보통 상보적이다. 이것은 도 5에 도시되었다. 만약 대물 렌즈가 특정한 순간에 광 저장 매체의 트랙에 대해 수평 방향(x)으로 이동한다면, 예컨대, 메인 스캐닝 빔은 유형(L)의 2차 트랙의 중간부분을 정확히 스캐닝하고 있도록 위치한다. 이 경우, 2차 스캐닝 빔 각각은 유형(G)의 트랙의 중간부분에 정확히 위치한다. 이 순간에, 포커스 오프셋에 의존하고 2차 트랙(L)에 대해서 발생하는 성분(CFO)은 메인 스캐닝 빔에 작용하는 반면, 포커스 오프셋에 의존하고 스캐닝 트랙(G)에 작용하는 성분(OFO1, OFO2)은 2차 스캐닝 빔에 작용한다. 유사하게, 게다가 세 개의 스캐닝 빔 모두에 작용하는 것은 포커스 에러에 의존하는 한 성분, 즉 수직 거리 에러에 의존하는 성분이다. 이것은 도 5의 a 내지 c에 예시되어 있지 않으며, 이는 도 5의 a 내지 c가 포커스 오프셋에 의해 의존하고 이 도면에서 볼 수 있는 스캐닝 빔의 수평 이동에 의해 초래된 성분만 이기 때문이다. 세 빔의 수평 트랙 위치는 단지 연합해서 변경될 수 있으므로, 포커스 오프셋 성분은 순시 트랙 위치의 함수로서 동시에 변화한다.
스캐닝 빔이 수평 방향에서 이동하는 동안 생성된 포커스 오프셋 성분을 얻기 위해, 개별적인 2차 빔 에러 신호(OFE1, OFE2)가 먼저 더해지고, 포커스 오프셋에 의존하는 2차 스캐닝 빔의 성분(OFO)을 포함하는 2차 빔 에러 신호(OFE)를 생성한다. 2차 빔 에러 신호(OFE)는 미리 결정될 수 있는 가중치(K)를 적용함으로써 메인 빔 에러 신호(CFE)로부터 후속해서 감산되고, 그 결과, 차동 포커스 오프셋 신호(DFO)가 생성된다.
앞서 언급한 포커스 오프셋 성분은 트랙 유형에 따라 서로 다른 부호를 가지는 반면, 포커스 에러 성분은 서로 동위상이므로, 정확히 조정된 가중치(F)가 주어진다면, 정보 층으로부터 대물 렌즈의 수직 거리에 의존하는 생성된 신호(DFE)에서의 포커스 에러 성분은 함께 더해지는 반면, 트랙의 수평 위치에 의존하는 포커스 오프셋 성분은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하면 정확하게 서로 상쇄한다. 정확한 가중치가 주어진다면, 신호(DFO)는 따라서 포커스 오프셋 성분만을 여전히 포함하는 반면, 정확한 가중치가 주어진다면, 신호(DFE)에는 임의의 포커스 오프셋 성분이 더 이상 포함되어 있지 않다. 그 결과, 신호(DFO)는 트랙(G, L)에 대한 빔의 방사상 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빔과 2차 빔 사이의 빔 간격(Δn)은 보통 Δ n=p로 조정된다. 여기서, p는 트랙(G)의 중간부분과 2차 트랙(L)의 중간부분 사이의 거리로서 한정된다. 메인 빔과 2차 빔 사이의 보통 빔 간격(Δn=p)에서 시작해서, 도 5의 a 내지 c에서처럼, 감지할 만한 제한치 내에서 간격(Δn)을 변경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도 6의 a 내지 c, 도 7의 a 내지 c, 및 도 8의 a 내지 c는 서로 다른 빔 간격(Δn)에 대해서 각 도면의 a 및 b에서는 포커스 오프셋에 의존하는 결과 성분(DFO)을 도시하고, 각 도면의 c에서는 트래킹 에러 신호(DFE)의 형태를 도시한다. Δn의 값에 대한 이론적인 제한치는 0<Δn<2p의 범위 내에 있고, 실제로 사용될 수 있는 제한치는 p/2<Δn<3p/2의 범위 내에 있으며, 이는 2차 빔 성분(OFO1 및 OFO2)의 위상이, 성분(OFO)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고(도 8의 c) 그리하여 포커스 오프셋에 의존하는 DFE 내의 성분을 보상하는 것이 더 이상 가능하지 않게 되도록, Δn=p/2 및 Δn=3p/2인 경우에 서로에 대해 이동하기 때문이다. 성분(OFO)은 실제로 사용될 수 있는 이러한 제한치 밖에서는 반전된다.
도 6의 c 및 도 7의 c는 잘못 조정된 가중 인자(F)가 어떻게 DFE 신호의 생성 동안에 트랙 위치의 함수로서 작용하는지를 도시한다. 이를 위해, 개별 신호의 신호 특징이 트랙 위치(x)의 함수로서 도시되어 있다. 전형적으로, 포커스 오프셋에 의존하는, 각 스캐닝 빔에 대한 성분은 트랙(L 또는 G)의 각 중간부분 상에서의 최대 진폭을 보이는 반면, 이들은 G와 L 사이의 경계에서 0점 교차한다. 신호(DFO)는 그루브의 중간부분에서 최대 양의 진폭에 도달하고, 랜드의 중간부분에서 최대 음의 진폭에 도달한다.
만약 메인 빔 성분이 2차 빔 성분과 비교하여 너무 크게 가중된다면, 결과 신호(DFE)는 포커스 오프셋에 의존하고 신호(DFO)와 동위상인 성분을 포함한다. 만약 이와 대조적으로 2차빔 성분이 메인 빔 성분을 참조할 때 과도하게 가중된다면, 포커스 오프셋에 의존하는 성분은 신호(DFE)에서 생성되고 DFO에 반대 위상이다. 포커스 오프셋에 의존하는 성분이 더 이상 DFE 신호에 포함되지 않음을 보장하기 위해, 메인 빔 신호와 2차 빔 신호 사이의 가중 인자는 정확하게 조정되어야 한다.
제 1 조정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여러 트랙 위치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나도록 스캐닝 빔이 트랙에 대해 이동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은 판독 또는 재생 디바이스의 포커스 제어 루프를 활성화함으로써 이뤄질 수 있고, 포커싱 대물 렌즈는 트랙에 대해 스캐닝 빔이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이동된다. 광 저장 매체에서 보통 발생하는 편심률 때문에, 심지어 드라이브 전압으로 인한 대물렌즈 이동없이도 스캐닝 빔은 트랙에 대해 이동된다. 제 1 조정 방법은 제 1 측정 신호로서 신호(DFE)를 예컨대 그루브의 중간부분에서 최대 양의 진폭을 가지며 랜드의 중간부분에서 최대 음의 진폭을 갖는 적절한 제 2 측정 신호와 곱하는 것이며, 이에 대해서 도 10을 참조하기 바란다. 이러한 적절한 신호의 반전된 거동을 적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그에 따라, 예컨대, 미러 신호나 방사상 콘트래스트 신호(RC)의 AC 성분은 이러한 적절한 거동을 한다. 방사상 콘트래스트 신호(RC)는 2차 빔에 의해 조명된 검출기(E1 내지 E4, F1 내지 F4)의 신호의 가중된 합에서 메인 빔에 의해 조명된 검출기(A, B, C, D)의 신호의 가중된 합을 감산함으로써 형성된다. 이미 기술된 바와 같이, 이 경우, 2차 빔은 메인 빔에 상보적이게 각각 트랙을 조명한다. 그루브 와 랜드 사이에 콘트래스트 차이가 있다면, 그 AC 성분이 적절한 속성을 보이는 방사상 콘트래스트 신호(RC)가 생성된다. 곱셈(M) 이전에, 그러므로, RC 신호는 AC 결합(HP2)을 지나야 한다. 그러나, 만약 특히 재생되지 않았던 매체의 경우일 수 있는 바와 같이 그루브와 랜드 사이에 어떠한 콘트래스트 차이도 없다면, DFE 신호에 의한 곱셈을 위해 적절하게 유용한 어떠한 신호도 생성되지 않는다. 포커스 에러 신호(DFE)와 적절한 트랙 에러 신호(RC)는 각 경우에 서보제어 유닛(SC)에 공급된다.
심지어 그루브와 랜드 사이에 콘트래스트 차이가 없이도 적절한 특징을 갖는 신호가 앞서 기술한 DFO 신호이다. 이러한 이유로, 유리하게도, DFO 신호는 제 2 측정 신호로서 신호(DFE)와 곱해지는데 적절하며, 이에 대해서 도 11을 참조하기 바란다. 유리하게도, 추가로, 두 측정 신호는 신호(DFE 및 DFO)의 가능한 DC 성분을 억압하기 위해 곱셈(M)에 의한 일반 평가 이전에 고역 필터링(HP1, HP2)을 거친다. 조정된 가중치(F)에 따라, 곱셈기(M)의 출력에서 나타나는 평가의 결과는 도 9에서와 같이 진동하는 DC 전압이며, 이러한 전압의 부호는 위상을 나타내고, 그 평균값(AV), 대안적으로는 그 피크 값은 포커스 오프셋에 의존하는 DFE 신호에서 이 성분의 절대값을 나타낸다. 이러한 진동하는 DC 전압의 값이 가능한 0이 되도록 가중치(F)를 조정하는 것이 목적이다.
정확히 도 10에서처럼, 이러한 목적은 예컨대 그 기준 전압(VT1 및 VT2)이 미리 결정될 수 있는 값으로 조정되는 윈도우 비교기(WC)에 의해 확립된다. 이 경우, 이들 기준 값(VT1, VT2)은 진동하는 DC 전압이 충분히 작게 되도록 작게 정확 하게 선택되어야 하며, 이러한 선택과 관련한 가중치(F)의 결과적인 조정은 최적 가중치 인근에서 규정된 제한치 내에 있다. 윈도우 비교기(WC)의 출력이 곱의 값이 윈도우 내부에 있음을 지시할 때{출력 신호(OK)를 참조바람), 이것은 가중치(F)의 정확한 조정이 이미 이루어졌음을 의미한다.
각각 출력 신호(LL 및 HH)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이 값이 윈도우 미만으로 또는 초과해서 위치할 때, 이것은 가중치(F)가 더 큰 메인 빔 성분이나 2차 빔 성분의 방향으로 조정되어야 함을 의미한다(도 9를 또한 참조바람). 신호(DFO)의 각각의 전체 진동 후, 제어 회로(IC)는 윈도우 비교기(WC)의 순시 출력 신호(HH, LL, OK)를 평가하고, 단계 생성기(SG)에 의해 그 다음 단계에서 가중치(F)의 조정을 제어한다.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조정은 가중치의 정확한 값으로 단계적인 근사 또는 반복되어 실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그 다음 가중치 조정은 그레디언트 계산을 기초로 계산될 수 있다. 제어 회로(IC)는, DFE 및 DFO의 곱의 평균값( 또는 피크 값)이 규정된 윈도우 내부에 있을 때까지 이들 조정 단계를 반복한다.
가중 인자의 조정에 관련된 추가적이고 특히 유리한 변형이 도 12를 사용하여 후술될 것이다. 이러한 변형을 사용할 때, 마찬가지로, 포커스 제어기가 이미 활성화되며, 광 저장 매체의 트랙에 대해 스캐닝 빔이 이동한다고 가정한다. 여기서, 또한, 제 1 측정 신호로서 유닛(HP1)에서 부가적으로 고역 필터링되는 DFE 신호를 마찬가지로 부가적으로 유닛(HP2)에서 고역 필터링되는 DFO 신호와 곱하기 위해 곱셈기(M)를 사용한다. 연합 평가 도중에, 곱셈기(M)의 출력 신호는 적분기 (INT)에 의해 적분된다. 적분기는 구동하는 동안에 적분 전압이 값 0에서 시작하게 하는 리셋 입력을 갖는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적분기의 출력 신호는 윈도우 비교기(WC)를 사용하여 평가된다.
규정된 시간 이후, 제어 회로(IC)는 윈도우 비교기(WC)의 각 출력 신호를 평가하고, 그에 따라 가중치(F)의 조정을 제어한다. 후속하여, 제어 회로(IC)는 새로운 시간-제어된 측정 주기가 시작하기 이전에 리셋 신호(RST)를 사용하여 적분기(INT)를 0으로 설정한다. 측정 주기 신호(RP)에 의해 규정된 각 측정 주기의 시간 내에서, 상대적으로 큰 수인 스캐닝 빔의 트랙 횡단이 DFE 및 DFO의 곱을 형성하기 위해 고려된다. 규정된 측정 시간 이후, 값, 0으로 시작하는 적분은 DFE 및 DFO의 곱의 평균값에 대응하고, 그에 따라 가중치의 에러에 대응하는 적분 값을 생성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중치는 정확한 값으로 단계적으로 근사 또는 반복하여 조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그 다음 가중 조정은 그레디언트 계산을 기초로 계산될 수 있다. 제어 회로(IC)는, DFE 및 DFO의 적분 값이 규정된 윈도우 내부에 있을 때까지 이들 조정 단계를 반복한다.
제 2 변형의 장점은, 더 큰 수의 스캐닝 빔의 트랙 횡단이 DFE 및 DFO의 곱을 형성하기 위해 RP에 의해 규정된 측정 시간 내에서 고려된다는 점이다. 잡음이나 간섭인 임의의 가능한 성분은 적분을 사용하여 평균화되어 제거된다(averaged out).
측정 주기의 순수 시간 제어에 대한 대안으로서, 측정 주기(RP)는 또한 광 저장 매체의 회전에 적응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측정 주기(RP)는 광 저장 매체의 회전수의 일부분 또는 그 이상 동안 지속될 수 있다.
도 13에서 도시된 제 3 변형에서, 제 1 측정 신호로서 HP1에서 부가적으로 고역 필터링되는 DFE 신호를 제 2 측정 신호로서 마찬가지로 HP2에서 부가적으로 고역 필터링되는 DFO 신호와 곱셈하기 위해 곱셈기(M)를 다시 한번 사용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안으로서, 부가적으로 고역 필터링되고, 전형적으로는 싸인파 특징을 갖는 DFO 신호를 곱셈하기 이전에 유닛(BIN)에서 이진화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진화기(BIN)의 출력은 +1 또는 -1이다. 그러면, 곱셈기(M)는 DFE 신호를 +1이나 -1로 곱하여, 다시 한번 그 부호가 DFE 신호의 포커스 오프셋에 의존하는 성분의 위상을 나타내고, 그 진폭이 이러한 성분의 절대값을 나타내는, 진동하는 DC 전압을 생성한다. 연합 평가의 추가적인 부분으로서, 곱셈기(M)의 출력 신호는 곱셈 값이 사라질 때가지 그 출력 전압을 변화시키는 적분기(INT)에 의해 적분된다. 이것은 바로 최적의 가중 인자에 도달하는 경우이다. 만약 적분기의 출력 전압이 그에 따라 매칭 회로에 의해 가중치 조정부에 연결된다면, 결국, 피드백 분기 내의 적분기(INT)로 인해, 적분기(INT)의 입력 신호가 사라지도록 자동으로 조정되는 제어 루프가 된다. 이것은 바로 정확한 가중치(F)가 조정되고, 곱셈기(M)의 출력 신호가 사라진 경우이다.
가중 인자(F)는 특히 기술된 제 1 조정 방법의 두 개의 마지막 변형을 사용하여 상대적으로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다. 모든 변형은 유리하게는 디지털 신호 처리나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스캐닝 빔의 이동이 광 저장 매체의 트랙에 대해 발생하고, 트랙 제어기가 전형적으로 활성화해제되는 것이 명시된 조정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선결조건이다. 이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모든 변형에서 임의의 다른 신호가 그루브의 중간부분에서 최대의 양의 진폭을 보이고, 랜드의 중간부분에서 최대의 음의 진폭을 보인다면, 이들 신호를 DFE에 의한 곱셈을 위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만약 G와 L 사이에 콘트래스트가 있다면, 제 2 측정 신호로서 AC-결합 미러 신호나 RC 신호를 사용하는 것이 또한 원칙적으로 가능하다.
앞서 기술한 조정 방법 중 하나에 따라, 가중 인자의 결정은 보통 광 저장 매체로부터 판독하거나 이러한 매체에 기록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스위칭 온한 이후 실행되는 다수의 조정 단계 시퀀스 내에서 하나의 구성요소이다. 이들 조정 단계는 예컨대 판독 또는 기록 동작을 시작하기 이전에 실행된다.
판독 또는 기록 모드 동안에 또한 동작하는 추가적인 조정 방법이 후술될 것이다. 이 조정 방법은 광 저장 매체로부터 판독하고 이러한 매체에 기록하기 위한 디바이스가 또한 광 스캐너를 위치지정하기 위해 판독 또는 기록 동작 동안에 다수의 트랙으로의 트랙 점프를 적어도 한번 실행한다는 속성을 사용한다. 판독 또는 기록 동작 동안에 정확한 가중치를 결정하면, 가열 또는 다른 영향의 결과로 디바이스, 특히 광 스캐너 및 포커스 제어 루프의 속성에 임의의 가능한 변화가 있게 되고, 또한 이러한 변화는 동작하는 동안에 보상된다.
도 15는, 단일 트랙 점프의 경우에, 광검출기 신호 및 결과적인 신호(DFE 및 DFO)를 계산함으로써 생성된 신호(CFE 및 OFE)의 메인 빔 및 2차 빔 포커스 오프셋 성분(CFO, OFO)이, 스캐닝 빔이 트랙(Gn)의 중간부분에서 트랙(Gn+1)으로 Δx만큼 이동할 때 DFE의 여러 조정된 가중치에 대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도시한다. 게다가, 트랙 점프를 위해 작동기를 이동시키도록 인가된 전압을 나타내는 신호(TACT) 및 트랙 에러 신호(TE)가 도시된다. 마찬가지로 신호(GATE) 및 신호(ATON)가 도시되며, 신호(GATE)는 DFE 신호의 평가치를 표시하는 반면, 신호(ATON)는 트랙 점프가 발생한 시간 간격을 표시한다. GATE에 의해 제한된 평가 주기는 보통 ATON에 의해 기술된 시간 간격이하이다. 정의되었기 때문에, 신호(ATON 및 GATE)는 또한 트랙(G, L)에 대한 빔의 방사상 위치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PINT)는 DFE 신호를 적분함으로써 평가 신호로서 형성되며, 적분기는 신호(PINT)를 형성하기 위해 마찬가지로 GATE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기술된 시퀀스에 대응하는 예시적인 배열이 도 16에 도시되어 있다. 포커스 제어기(FC)와 트랙 제어기(TC) 모두는 트랙 점프가 시작하기 이전에 활성상태이다. 트랙 점프의 시작 시에, 트랙 점프 제어 유닛(TJC)은, 작동기가 정확히 한 트랙만큼 트랙 점프를 실행하도록 트랙 제어기(TC)를 활성화해제하기 위해 신호(ATON)를 사용하고, 신호(TACT)를 생성한다. 평가 신호(PINT)는 적분(INT)에 의해 제 1 측정 신호로서 신호(DFE)로부터 얻어지며, 적분기 전압은 여기서 제 2 측정 신호로 기능하는 신호(GATE)에 의해 인에이블 된 이후 0에서 시작한다. 트랙 점프 이전에 신호(DFE)의 초기 값은 활성화된 포커스 제어기(FC)로 인해 보통 거의 0이다. 유리하게도, 신호(DFE)는 적분 이전에 유닛(HP)에서 추가로 AC-결합될 수 있다.
만약 메인 빔 성분이 2차 빔 성분과 비교해서 너무 높게 가중된다면, 결과적 인 신호(DFE)는 양의 극성인 신호 특징을 생성하는 포커스 오프셋에 의존하는 성분을 포함한다. 만약, 이와 대조적으로, 2차 빔 성분이 메인 빔 성분을 참조하여 과도하게 가중된다면, 그에 따라 포커스 오프셋에 의존하고 음의 극성인 신호 특징을 생성하는 성분이 신호(DFE)에서 생성된다. 만약 정확한 가중치(F)가 조정된다면, DFE 신호에 포함된 포커스 오프셋에 의존하는 성분은 사라진다. 포커스 오프셋에 의존하는 DFE 신호에 포함된 성분의 진폭과 극성에 따라, GATE에 의해 규정된 시간 간격의 끝에서 신호(PINT)는, 이러한 가중치가 잘못 조정된 경우에 양의 또는 음의 최종 값에 도달한다. 도 1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적분기의 출력 전압(PINT)은, 정확한 가중치가 조정될 때마다 사라진다.
적분기의 출력 전압(PINT)은 예컨대 윈도우 비교기(WC)에 의해 평가되고, 비교기(WC)의 기준 전압(VT1, VT2)은 미리 결정될 수 있는 값으로 조정된다. 이 경우, 이들 기준 전압은, 적분기의 값(PINT)이 충분히 작게 되도록 정확하게 낮게 되게 선택되며, 이와 관련한 가중치(F)의 결과적인 조정은 최적 조정의 인근에서 규정된 제한치 내에 있다. 윈도우 비교기(WC)의 출력은 가중치의 정확한 조정이 이미 이루어졌는지나, 메인 빔 성분이나 2차 빔 성분에 대해 가중치를 조정해야 하는지를 지시한다. 완벽하게 수행된 트랙 점프 이후, 제어 회로(IC)는 윈도우 비교기의 순시 출력 신호를 평가하고, 그에 맞게 가중치(F)의 조정을 제어한다. 이러한 조정은 가중치의 정확한 값으로 단계적으로 근사 또는 반복되어 실행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그레디언트 계산을 기초로 해서 그 다음 가중치 조정을 계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 회로(IC)는 연속하는 트랙 점프를 평가하고, 적분기의 출력 신호 (PINT)가 규정된 윈도우 내에 있을 때까지 가중치(F)의 단계적인 조정을 실행한다.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GATE)에 의해 제어된 DFE 신호의 적분에 대한 대안으로서, 먼저 제 1 측정 신호로서 DFE 신호를 제 2 측정 신호로서 DFO 신호와 곱하고, 평가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곱을 적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포커스 오프셋에 의존하는 DFE 신호 내의 성분이 DFO 신호의 신호 특징에 의해 좀더 높게 가중된다는 장점이 있다. 신호(PINT')는 전술된 바와 같이 또한 처리될 수 있다.
도 18에 예시된 도면은, 가중치의 조정을 결정하기 위해 다수의 트랙 점프가 단일 트랙 점프 대신에 사용될 수 있음을 도시한다. 그러나, 윈도우 비교기의 기준 전압은 횡단하는 트랙의 수에 따라 매칭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예시하기 위해, 계속해서 오조정된 것으로 추측된 가중한 가중치와 연계하여 두 개, 세 개 및 네 개의 트랙에 걸친 점프가 도 18에 도시되어 있다. 이 결과적인 적분기 전압(PINT)은 이 경우 횡단하는 트랙의 수에 의존한다. 여기서, 목적은 또한, 개별 트랙 점프에 대해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횡단한 트랙의 수와 상관없이, 포커스 오프셋에 의존하는 DFE 신호 내의 성분을 가능한 0으로 감소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장점은 심지어 동작하는 동안에도 가열이나 다른 영향의 결과로 디바이스, 특히 광 스캐너 및 포커스 제어 루프의 속성의 가능한 변화를 손쉽게 구현하고 보상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광 저장 매체로부터 판독하고 광 저장 매체에 기록하기 위한 디바이스에서, 특히 제어 과정 시의 이득이나 가중 인자를 설정하기 위해 포커스 에러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 방법 및 장치에 이용된다.

Claims (12)

  1. 차동 포커스 에러 방법에 따라 포커스 에러 신호(DFE)를 생성하는 광 레코딩 매체(7)로부터 판독하고 및/또는 상기 광 레코딩 매체(7)에 기록하기 위한 디바이스에서 가중 인자(weighting factor)를 조정하는 방법으로서,
    - 포커스 제어 루프를 스위칭 온하고, 차동 포커스 에러 신호(DFE)를 생성하는 단계와;
    - 트랙 횡단 동작을 개시하는 단계와;
    - 차동 포커스 에러 신호(DFE)와 측정 신호(CFE, DFE, DFO, OFE, RC)를 서로 관련되게 설정하는 단계와;
    - 상기 가중 인자를 관련되게 설정된 상기 차동 포커스 에러 신호의 함수로서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중 인자 조정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트랙(G, L)에 축적된 데이터를 갖는 광 레코딩 매체(7)에 대한 스캐닝 유닛에서, 상기 스캐닝 유닛은 상기 레코딩 매체(7)에 대해 여러 거리를 채택할 수 있는 대물 렌즈(6)와, 포커스 제어 루프와, 트래킹 제어 루프를 가지며; 광 메인 빔 및 적어도 하나의 2차 빔을 생성하고, 상기 메인 빔 및 2차 빔을 상기 레코딩 매체(7) 상에 집속하고, 상기 빔에 할당된 여러 광검출기 세그먼트(A, B, C, D, E1 내지 E4, F1 내지 F4)를 사용하여 상기 레코딩 매체(7)에 의해 반사된 광을 평가하고, 상기 메인 빔에 할당된 상기 광검출기 세그먼트(A, B, C, D)의 신호로부터 제 1 에러 신호(CFE)를 유도하고, 상기 2차 빔에 할당된 상기 광검출기 세그먼트(E1 내지 E4, F1 내지 F4)의 신호로부터 제 2 에러 신호(OFE)를 유도하며, 상기 방법에서, 상기 포커스 에러 신호(DFE)는 제 1 분기 가중치(1+T, 1+F)만큼 곱한 상기 제 1 에러 신호(CFE)와, 제 2 분기 가중치(T, F, 1-T, 1-F)만큼 곱한 상기 제 2 에러 신호(OFE)를 결합하여 형성되고;
    - 트랙 횡단 동작을 개시하는 단계와;
    - 서로 다르게 형성되고, 상기 레코딩 매체(7)로부터 상기 대물 렌즈(6)의 거리에 관련되고 상기 트랙(G, L)에 대한 상기 빔의 방사상 위치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두 측정 신호(CFE, DFE, DFO, OFE, RC, ATON, GATE)를 측정하는 단계와;
    - 상기 측정 신호를 평가하는 단계와;
    - 상기 분기 가중치(T, F)를 상기 평가의 결과에 의해 제어되는 방식으로 조정하는 단계에 의해 한정되는,
    가중 인자 조정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을 적용하기 시작할 때에, 상기 트래킹 제어 루프가 스위칭 온되고, 제어 펄스(ATON, GATE) 동안에, 적어도 하나의 트랙(G, L)에 걸친 점프가 실행되고, 상기 제 1 측정 신호가 상기 포커스 에러 신호(DFE)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제 2 측정 신호가 상기 제어 펄스(ATON, GATE)나, 차동 포커스 오프셋 신호(DFO)로부터 형성되며, 상기 측정 신호의 평가는 상기 평가 신호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두 측정 신호의 곱을 적분하는 단계와, 평가 신호를 비교 간격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평가 신호가 상기 비교 간격에 있지 않을 때, 상기 분기 가중치(T, F)는 상기 평가 신호가 상기 비교 간격쪽으로 변화하도록 적어도 한 조정 단계에서 변경되는, 가중 인자 조정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킹 제어 루프는 스위칭 오프되는, 가중 인자 조정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대물 렌즈(6)는 상기 트랙(G, L)을 가로질러 이동하는, 가중 인자 조정 방법.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정 신호가 상기 포커스 에러 신호(DFE)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제 2 측정 신호가 상기 트랙(G, L)의 중간부분에서 최대 양의 또는 음의 진폭을 갖는 신호로부터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측정 신호의 평가는 상기 두 측정 신호의 곱으로부터 평가 신호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평가 신호를 비교 간격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평가 신호가 상기 비교 간격에 있지 않을 때, 상기 분기 가중치(T, F)는, 상기 평가 신호가 상기 비교 간격 쪽으로 변화하도록 적어도 한 조정 단계에서 변경되는, 가중 인자 조정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측정 신호는 미러 신호, 방사상 콘트래스트 신호(RC) 또는 차동 포커스 오프셋 신호(DFO)로부터 형성되는, 가중 인자 조정 방법.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신호의 형성은 상기 측정 신호의 곱을 적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각 측정 이전에 상기 적분의 결과를 0으로 리셋하는 시퀀스 제어기가 존재하는, 가중 인자 조정 방법.
  9.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정 신호는 상기 포커스 에러 신호(DFE)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제 2 측정 신호는 이진화된 차동 포커스 오프셋 신호(DFO)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측정 신호의 평가는 상기 두 측정 신호의 곱의 적분으로부터 평가 신호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평가 신호를 비교 간격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평가 신호가 상기 비교 간격에 있지 않을 때, 상기 분기 가중치(T, F)는, 상기 평가 신호가 상기 비교 간격 쪽으로 변화하도록 적어도 한 조정 단계에서 변경되는, 가중 인자 조정 방법.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적분은 미리 결정된 시간에 걸쳐서, 또는 상기 스캐닝 속도에 비례하는 시간에 걸쳐서 실행되는, 가중 인자 조정 방법.
  11. 제 3항 또는 제 6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 가중치의 변화는 작은 단계로 단계적인 방식으로 실행되거나, 하나 이상의 보간 값으로부터 각각의 새로운 분기 가중치를 계산하여 실행되는, 가중 인자 조정 방법.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하는 디바이스.
KR1020057021805A 2003-05-16 2004-05-14 포커스 에러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조정하고 증폭하는 방법및 디바이스 KR200600140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22426.2 2003-05-16
DE10322426 2003-05-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4051A true KR20060014051A (ko) 2006-02-14

Family

ID=33440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1805A KR20060014051A (ko) 2003-05-16 2004-05-14 포커스 에러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조정하고 증폭하는 방법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70053256A1 (ko)
EP (1) EP1625576B1 (ko)
JP (1) JP4222417B2 (ko)
KR (1) KR20060014051A (ko)
CN (1) CN100380472C (ko)
AT (1) ATE395693T1 (ko)
DE (1) DE502004007145D1 (ko)
WO (1) WO20041025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51883B2 (ja) 2005-04-28 2010-09-2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フォーカス制御調整方法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KR100754967B1 (ko) * 2006-01-23 2007-09-04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신호간 간섭과 고주파 잡음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적응형결정 궤환 등화기 기능을 갖는 적분 수신기와 이를구비하는 시스템
TW200814025A (en) * 2006-06-01 2008-03-16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Optimizing focus crosstalk cancelling
JP2015022782A (ja) * 2013-07-22 2015-02-02 船井電機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及びフォーカスジャンプ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51887A (en) * 1989-04-20 1992-09-29 Olympus Optical Co., Ltd. Separation-type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producing offset-eliminated focus error signal
JP2826252B2 (ja) * 1993-04-23 1998-11-18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光ディスク・ドライブ及びその信号校正方法
JPH1097720A (ja) * 1996-09-20 1998-04-14 Nikon Corp 情報記録再生装置
JP3545181B2 (ja) * 1997-11-27 2004-07-21 シャープ株式会社 光情報記録再生装置
CN1154985C (zh) * 1998-07-03 2004-06-23 株式会社日立制作所 光检测器、信号处理电路、及其光信息再现设备
JP2000165167A (ja) * 1998-11-20 2000-06-16 Pioneer Electronic Corp 利得制御装置及び方法、情報再生装置及び方法並びに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
JP2000339727A (ja) * 1999-05-18 2000-12-08 Lg Electronics Inc 光記録媒体の記録再生方法
AT408809B (de) * 2000-08-23 2002-03-25 Cool Structures Production And Metallischer hohlkörper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AU2001279817A1 (en) * 2000-08-24 2002-03-04 Thomson Licensing S.A. Method for generating a corrected error signal, and corresponding apparatus
US7196979B2 (en) * 2001-01-25 2007-03-27 Dphi Acquisitions, Inc. Calibration storage methods for a digital focus and tracking servo system with calibration
JP2003016666A (ja) * 2001-04-24 2003-01-17 Sony Corp 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トラッキング制御方法
JP2003248942A (ja) * 2002-02-25 2003-09-05 Funai Electric Co Ltd 光ディス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102546A1 (de) 2004-11-25
US20070053256A1 (en) 2007-03-08
CN1791909A (zh) 2006-06-21
EP1625576B1 (de) 2008-05-14
EP1625576A1 (de) 2006-02-15
JP4222417B2 (ja) 2009-02-12
DE502004007145D1 (de) 2008-06-26
JP2007502500A (ja) 2007-02-08
ATE395693T1 (de) 2008-05-15
CN100380472C (zh) 2008-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7821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the loop gain of a servo loop in accordance with measurements during open-loop operation
US4785441A (en) Tracking error correction apparatus utilizing phase difference information derived from four photocells
KR100885025B1 (ko) 렌즈 위치 신호의 생성 방법 및 광 기록매체의 판독 및/또는 기록을 위한 대응 장치
EP0800166B1 (en) Track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6442112B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d compensating deviation in servo control systems
US6498772B1 (en) Optical disc apparatus
KR20060014051A (ko) 포커스 에러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조정하고 증폭하는 방법및 디바이스
KR100316135B1 (ko) 빔 포커스 제어 장치 및 방법
EP1417680B1 (en) Method for reducing the noise in a wobble signal
EP1625577B1 (en) Method for gain adjustment for production of a lens position signal, and a corresponding appliance for reading from and/or writing to an optical recording medium
CN100382164C (zh) 读/写光记录介质的装置
EP1184847A2 (en) Wobble detecting apparatus
JP3499815B2 (ja) 光ディスク装置
JPH0935283A (ja) 制御装置
JP2004348935A (ja) トラッキング誤差信号生成装置、光ディスク装置、トラッキング誤差信号生成方法およびトラッキング制御方法
JPH0748269B2 (ja) 光ディスク装置のフォーカス点位置決め方法
JP2002279658A (ja) 光ディスク装置
JPH0660385A (ja) コンパクトディスクプレーヤ装置
KR20070019003A (ko) 광 저장 시스템에서의 래디얼로부터 포커스로의 누화 소거
MXPA97004954A (en) Device for reading and / or writing in an opt recording med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