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9003A - 광 저장 시스템에서의 래디얼로부터 포커스로의 누화 소거 - Google Patents

광 저장 시스템에서의 래디얼로부터 포커스로의 누화 소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9003A
KR20070019003A KR1020067027351A KR20067027351A KR20070019003A KR 20070019003 A KR20070019003 A KR 20070019003A KR 1020067027351 A KR1020067027351 A KR 1020067027351A KR 20067027351 A KR20067027351 A KR 20067027351A KR 20070019003 A KR20070019003 A KR 20070019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rror signal
signal
focus error
rvo
if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7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빈 인
쇼에르트 스탈링아
이주일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to KR1020067027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19003A/ko
Publication of KR20070019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90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01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track following onl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focusing onl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43Methods and circuits for performing mathematical operations on individual detector segment outpu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초점 에러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비점수차 렌즈(25)와 4개의 사분면 광 검출기(26)를 구비한 광 저장 시스템에서 래디얼로부터 포커스로의 누화를 보상하는 신호처리 기술이 개시된다. 신호처리장치가 초점 에러신호(FESRVO), 트랙킹 에러신호(TES) 및 중앙 개구신호(CA)를 발생하고, 제안된 래디얼로부터 포커스로의 누화 노상방식이 다음 식 (I)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IFESRVO는 개량된 초점 에러신호를 표시하고, γ1 j 및 γ2 j는 가중치 적용을 위한 벡터 성분이다. 이와 달리, 초점 에러신호에 잔류하는 래디얼로부터 포커스로의 누화 성분들을 내포할 수 있는 비용 함수 J(γ1, γ2)를 최소화함으로써 갱신될 수 있는 스칼라 적응형 가중 인자들 γ1 및 γ2가 채용될 수도 있다.
광 저장 시스템, 누화 소거, 적응화, 초점 에러신호, 트랙킹 에러신호, 중앙 개구신호, 가중 인자

Description

광 저장 시스템에서의 래디얼로부터 포커스로의 누화 소거{RADIAL TO FOCUS CROSS TALK CANCELLATION IN OPTICAL STORAGE SYSTEMS}
본 발명은, 광 저장 시스템에서의 래디얼로부터 포커스로의(radial to focus) 누화 소거를 위한 방법 및 장치와, 이와 같은 방법 및 장치가 사용되는 광 저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래디얼로부터 포커스로의 누화는 비점수차 렌즈를 사용하여 4개의 사분면(four-quadrant) 광 검출기를 통해 초점 에러 신호(FES)를 발생하는 광 저장 시스템의 형태에서 지속적인 문제이다. 전방 경로(forward path) 45°비점수차와 접선방향의 빔 착륙(beamlanding) 등과 같이 빛의 결함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트랙킹 신호가 포커싱 채널로 누출되어, 래디얼로부터 포커스로의 누화를 일으키게 된다. 어떤 경우에는, 예를 들어, 점프가 일어날 때, 레이저 스폿이 단시간에 다수의 트랙을 횡단하여, 고주파 트랙킹 에러신호(TES)를 발생할 수 있다. 이 고주파 신호는 포커싱 제어 루프에 공급되어, 포커싱 에러 오프셋을 일으킨다. 이와 같은 오프셋에 응답하여, 액추에이터는 광 정보매체를 향해 및/또는 광 정보매체에서 멀어지게 대물렌즈를 이동시켜, 포커스 서보 시스템 내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발진을 일으킨다.
비스듬한 빔 착륙, 즉 반경방향 및 접선방향 모두에서 검출기에 대한 스폿의 변위의 영향을 상쇄하기 위해 다양한 정규화 방법들이 제안되었다. 이들 방법들은 래디얼로부터 포커스로의 누화를 억제하는 효과도 갖는다. 이들 다양한 정규화의 요지는, 원래의 초점 에러신호(FES)에서 교정신호를 감산한다는 것이다. 일례로서, US 특허 4,661,944에 기재된 방법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6096779154-PCT00001
이때, TPP=Q1+Q4-Q2-Q3는 소위 접선방향의 푸시풀 신호이고, FES=Q1+A3-Q2-A4는 비정규화된 초점 에러신호이며, CA=Q1+A2+Q3+Q4는 총 또는 중앙 개구신호이고, TES=Q1+Q2-Q3-Q4는 소위 (비정규화된) 트랙킹 에러신호, 즉 래디얼 푸시풀 신호이며, 이때 Q1 내지 Q4는 광 검출기의 4개의 사분면들에서 유도된 신호들이다. 여기에서 교정신호는 TPP 및 TES의 곱에 비례한다. US 특허 5,850,081에는, 사전에 결정된 상수 k로 곱해진 TPP 및 TES의 곱을 FES에서 감산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전산방향의 빔 착륙에 기인한 래디얼로부터 포커스로의 누화를 줄이는 것이 의도된다. 누화는 광학적으로도 억제할 수 있다. 비점수차 서보 렌즈를 광축 주위로 회전시키는 것과 광 검출기의 축방향의 변위가 2가지 가능한 방법이다. 이들 방법은 45도의 전방 광 경로 비점수차로 인한 래디얼로부터의 포커스로의 누화를 해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것들의 문제점으로는 교정의 곤란과 다른 신호들에 대한 영향을 들 수 있다.
이들 방법의 공통된 단점은, 이들 방법이 대부분 한가지 종류의 결함에 대처하도록 설계되고 드라이브 제조중에 고정되어, 변동하는 작동 상태에 대해 강건 성(robustness)의 부족을 드러내기 쉽다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목적은, 광 저장 시스템에서 래디얼로부터 포커스로의 누화를 적응적으로 보상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과 아울러, 이와 같은 방법 및 장치를 채용하는 광 저장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 정보매체를 주사하기 위한 광 주사 스폿과, 상기 광 정보매체에서 반사된 방사빔을 수광하는 광학계와, 상기 반사된 방사빔에서 중앙 개구신호, 초점 에러신호와 트랙킹 에러신호를 유도하는 수단을 구비한 광 저장 시스템에서의 래디얼로부터 포커스로의 누화를 보상하는 장치로서, 상기 트랙킹 에러신호 또는 상기 중앙 개구신호와 가중 인자(scaling factor)의 곱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한 개의 신호를 상기 초점 에러신호에서 감산함으로써 개량된 초점 에러신호를 발생하는 신호처리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가중 인자는 상기 개량된 초점 에러신호에 기초하여 적응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상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광 정보매체를 주사하기 위한 광 주사 스폿과, 상기 광 정보매체에서 반사된 방사빔을 수광하는 광학계와, 상기 반사된 방사빔에서 중앙 개구신호, 초점 에러신호와 트랙킹 에러신호를 유도하는 수단을 구비한 광 저장 시스템에서의 래디얼로부터 포커스로의 누화를 보상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트랙킹 에러신호 또는 상기 중앙 개구신호와 가중 인자의 곱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한 개의 신호를 상기 초점 에러신호에서 감산함으로써 개량된 초점 에러신호를 발생하는 신호처리수단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개량된 초점 에러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가중 인자를 적응적으로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상방법이 제공된다.
더구나, 본 발명에 따르면, 광 정보매체를 주사하기 위한 광 주사 스폿과, 상기 광 정보매체에서 반사된 방사빔을 수광하는 광학계와, 상기 반사된 방사빔에서 중앙 개구신호, 초점 에러신호와 트랙킹 에러신호를 유도하고, 상기 트랙킹 에러신호 또는 상기 중앙 개구신호와 가중 인자의 곱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한 개의 신호를 상기 초점 에러신호에서 감산함으로써 개량된 초점 에러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개량된 초점 에러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가중 인자를 적응적으로 갱신하는 신호처리수단을 구비한 광 저장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초점 에러신호에서 제 1 및 제 2 신호들을 감산하여 상기 개량된 초점 에러신호가 발생되고, 상기 제 1 신호는 상기 트랙킹 에러신호와 제 1 적응형 가중 인자의 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신호는 상기 중앙 개수신호와 제 2 가중 인자의 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제 1 및 제 2 가중 인자들은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가중 인자는 상기 개량된 에러신호에 잔류하는 래디얼로부터 포커스로의 누화를 내포할 수 있는 비용 함수(cost function)를 최소화함으로써 유도 및 갱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비용함수는, 전처리된 개량된 초점 에러신호와 트랙킹 에러신호 사이의 상호상관값(cross-correlation)과, 전처리된 개량된 초점 에러신호와 중앙 개수신호 사이의 상호상관값의 합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제 1 가중 인자는 상기 전처리된 개량된 초점 에러신호와 트랙킹 에러신호의 곱의 적분값에 정비례할 수 있으며, 제 2 가중 인자는 상기 개량된 초점 에러신호와 상기 중앙 개구신호의 곱의 적분값에 정비례할 수 있다. 이들 적분값들은 상기 가중 인자들의 적응화의 안정성 및 속도를 조절하는 상수에 의해 승산될 수도 있다. 이때, "전처리"가 초점 서보 루프의 피드백 메카니즘에 기인한 래디얼로부터 포커스로의 누화에 대한 초점 에러신호의 의존성을 없애는데 사용된다는 의미에서, 위에서 정의된 비용 함수는 "전처리된" 개량된 초점 에러신호를 칭한다는 것이 자명하다.
본 발명의 상기한 발명내용과 또 다른 발명내용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다음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저장 시스템을 예시한 개략적인 간략화된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시스템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것이며,
도 3은 도 2의 개소 III의 상세도이고,
도 4는 주사 스폿이 반경방향으로 트랙들을 가로지를 때 광 저장 시스템의 트랙킹 에러신호를 예시한 것이다.
도 1은 광 정보매체(1)에서/광 정보매체(1)에 정보를 판독 및/또는 기록하는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정보매체는 디스크 형태를 갖고 축(12)과 거의 일치하는 중심 주위로 서로 동심을 이루는 트랙들을 갖는다. 하나로 합쳐져서, 이들 트랙이 나선을 이룰 수도 있지만, 이와 달리 이들 트랙이 서로 분리되어 그 자신들 내부에 폐쇄될 수도 있다. 도 1의 장치는 판독장치(2)를 구비하며, 이 판독장치는 첨부도면의 도 2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판독장치는 주사 스폿(11)으로 방사빔(24)의 초점을 맞추는 촬상수단, 즉 렌즈(21), 빔 스플리터(22) 및 초점맞춤부재(23)를 구비하며, 이 주사 스폿을 사용하여 정보매체(1)가 주사된다. 방사빔은 반도체 레이저 등의 방사원(20)에 의해 방출된다.
판독장치는 주사 스폿(11)의 위치에서 정보매체(1)에서 반사된 방사빔의 강도를 표시하는 판도신호 SLS를 발생하는 검출수단(25, 26)을 더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검출수단이 비점수차부재(25)와 4개의 사분면 검출기(26)에 의해 제공되며, 4개의 사분면 검출기는 도 3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첨부도면의 도 3을 참조하면, 검출기(26)는 검출기(26)의 4개의 사분면(26.1, 26.2, 26.3, 26.4) 각각에 입사된 방사빔의 강도의 측정값에 해당하는 신호들 Q1, Q2, Q3, Q4로 구성된 판독신호 SLS를 출력한다.
도시된 장치는 전보 전송 모드를 갖는데, 이 모드에서는 주사 스폿(11)이 트랙들을 따라 움직인다. 이때 주사 스폿(11)의 이동은 정보매체(1)의 축(12)에 대해 제 1의 접선 방향을 갖는다. 이를 위해, 정보매체(1)는 모터(50)를 사용하여 축(12) 주위로 회전한다.
또한, 이 장치는 주사 스폿(11)이 상기한 제 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 2의 반경방향으로 이동하는 변위 모드를 갖는다. 이를 위해, 이 장치는 판독장치를 운반하는 슬라이드(61)를 이동시키는 활주 모터의 형태를 갖는 대략적인 위치지정수 단(60)을 갖는다.
이 장치는 측정신호 FES(Focus Error Signal)에 응답하여 촬상수단(23)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더 갖는다. 측정신호 FES는 주사 스폿(11)의 위치에서의 방사빔(24)의 초점맞춤의 정도를 표시한다. 초점 에러신호(또는 이 신호에서 유도된 신호)는, 액추에이터(27A, 27B)를 제어하여 방사빔(24)의 초점을 맞추는 PID 제어기(41)에 대한 입력신호로서의 역할을 한다.
측정신호 FES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신호처리장치(43)를 사용하여 4개의 신호 Q1∼Q4에서 유도된다:
FES = Q1+Q3-Q2-Q4
더구나, 신호처리장치(43)는 신호들 Q1∼Q4에 응답하여, 다음 식에 따라 유도된 래디얼 푸시풀 신호 TES(tracking Error Signal)를 발생한다:
TES = Q1+Q2-Q3-Q4
트랙킹 에러신호 TES는 정보 전송 모드에서 트랙킹하는 제 1 래디얼 서보 시스템(44)에 대한 입력신호로서의 역할을 한다. 이 모드에서는, 스위치(47)가 닫히고, 이 결과 제 1 래디얼 서보 시스템(44)이 래디얼 제어신호를 래디얼 액추에이터들(28A, 28B)에 공급한다. 래디얼 제어신호는 활주 모터(60)에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제 2 래디얼 서보 시스템(46)에 대한 입력신호로서의 역할도 수행한다. 스위치(47)와 제 2 래디얼 서보 시스템(46)은 마이크로프로세서(45)에 의해 제어된다.
신호처리장치는 정보매체 상에 기록된 정보 패턴들을 표시하는 정보신호 CA(Central Aperture)를 더 발생한다. 이 정보신호 CA는 다음 식을 따른다:
CA = Q1+Q2+Q3+Q4
따라서, 요약하면, 전술한 것과 같은 광 저장 시스템은 비점수차 렌즈를 사용하여 4개의 사분면 검출기(26)를 통해 초점 에러신호(FES)를 발생한다. 동일한 검출기를 이용하여, 트랙킹용의 래디얼 푸시풀 신호(TES)와 판독용의 중앙 개구신호(CA)도 검출된다. 이들 신호의 취득은 도 3에 요약설명되고 예시되어 있는데, 이때 Qi는 사분면 i 전체에 걸친 광 강도의 적분값을 표시한다.
비점수차 렌즈를 사용하여 4개의 사분면 광 검출기를 통해 초점 에러신호를 발생하는 전술한 광 저장 시스템 형태에서는 래디얼로부터 포커스로의 누화가 지속적인 문제이다. 전방 경로 45°비점수차와 접선방향의 빔 착륙 등과 같이 빛의 결함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트랙킹 신호가 포커싱 채널로 누출되어, 래디얼로부터 포커스로의 누화를 일으키게 된다. 어떤 경우에는, 예를 들어, 점프가 일어날 때, 레이저 스폿이 단시간에 다수의 트랙을 횡단하여, 첨부도면의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고주파 트랙킹 에러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이 고주파 신호는 포커싱 제어 루프에 공급되어, 포커싱 에러 오프셋을 일으킨다. 이와 같은 오프셋에 응답하여, 액추에이터는 광 정보매체를 향해 및/또는 광 정보매체에서 멀어지게 대물렌즈를 이동시켜, 포커스 서보 시스템 내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발진을 일으킨다.
본 발명은, 경제적이고 적응적이며 강건하고, 접선방향의 빔 착륙과 45°의 전방 경로 비점수차를 취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술한 것과 같은 래디얼로부터 포커스로의 누화 문제를 해소하는 신호처리방법을 제공한다.
다음과 같은 작동 원리를 생각해보자:
제 1 차수까지는, 래디얼 푸시풀 신호가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갖는다:
Figure 112006096779154-PCT00002
이때, Ko(q)는 q=λ/(NAp)에 의해 결정되는 상수 인자이며, 이 식에서 λ는 레이저의 파장, NA는 개구율, p는 반경방향으로의 격자의 피치이다. 격자의 복소 회절 진폭은 ηexp(iΨ)이고, 주사 스폿의 반경방향의 위치 x에 기인한 추가적인 위상은 ψ=2πx/p로 주어진다. 이에 따라, 중앙 개수신호의 CA는 다음과 같이 변한다:
Figure 112006096779154-PCT00003
이때, Kl(q)는 q에 의해 결정된 상수이다. 개방된 포커싱 서보 루프를 사용하면, 초점 에러신호가 다음과 같이 수식화될 수 있다:
Figure 112006096779154-PCT00004
이때, FESRVO 및 FES는 각각 누화를 갖는 초점 에러신호와 누화를 갖지 않는 초점 에러신호를 표시한다. 등식의 우측에서, 두 번째 항은 (광 검출기에 위치한 스폿 반경에 대한) 접선방향의 빔 착륙 ε1의 양에 의해 도입된 래디얼로부터 포커스로부터 누화를 표시하는 한편, 세 번째 항은 45°전방 경로 비점수차에 의해 도 입된 래디얼로부터 포커스로의 누화를 표시하고, 이때 A2-2 f는 그것의 세기를 표시하고, K2 및 K3는 마찬가지로 q에 의해 결정된 상수들이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따라 제안된 래디얼로부터 포커스로의 누화 소거 방식은 다음과 같은 수식으로 기술될 수 있다:
Figure 112006096779154-PCT00005
이때, IFESRVO는 개량된 초점 에러신호를 표시한다. 전술한 수식에서, TES 및 CA에 대한 가중 인자들은 스칼라 또는 벡터일 수 있다. 가중 인자가 벡터인 경우에는, j=0 내지 (NI-1)까지 j에 걸쳐 합산하는 전술한 식이 적용되고, γ1 j 및 γ2 j는 벡터 성분이며, j, K 및 NI는 정수이다. 가중 인자들이 스칼라인 경우에는, 전술한 수식에서 γ1 j 및 γ2 j에 대해 정의된 합이 스칼라 가중 인자들 γ1 및 γ2로 교체되어야 하고, IFESRVO(k), FESRVO(k), TES(k-j) 및 CA(k-j)가 각각 IFESRVO, FESRVO, TES 및 CA로 교체되어야 한다. 전술한 더 보편적인 수식에서,
Figure 112006096779154-PCT00006
는 CA의 고역 필터링된 신호로서, 적응화 및 소거 모두를 위해 그것의 DC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이와 같은 고역 필터링을 적용한다. 적응형 가중 인자들 γ1 및 γ2는 초점 에러신호에 잔류하는 래디얼로부터 포커스로의 누화를 내포할 수 있는 비용 함수 J(γ1, γ2)를 최소화함으로써 갱신된다. 일례로서, 이것은 다음 식과 같은
Figure 112006096779154-PCT00007
와 TES 사이의 상호상관값과
Figure 112006096779154-PCT00008
와 CA 사이의 상호상관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06096779154-PCT00009
이때,
Figure 112006096779154-PCT00010
는 포커싱 서보 루프 동력학에 의해 결정되고 루프가 폐쇄될 때 누화 성분들에 대한 FES의 의존성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필터에 의해 전처리된 IFESRVO에서 얻어진다.
아날로그 도메인에서 소거가 행해지면, 인자들 γ1 및 γ2는 다음 식에 따라 변형된다:
Figure 112006096779154-PCT00011
이때, 산술 예측값 E{}가 적분값으로 교체된다. μ1 및 μ2는 적응화의 안정성과 속도를 조절하는 상수들이다. 디지털 도메인에서는, γ1 및 γ2가 LMS의 의미로 다음과 같이 갱신될 수 있다:
Figure 112006096779154-PCT00012
이때, μ3 및 μ4는 갱신의 단차 크기(stepsize)를 조절하는 2개의 상수이다. (2)∼(3)에서, 이상적으로는 γ1 및 γ2가 다음과 같은 최적값으로 수렴하게 된다는 것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Figure 112006096779154-PCT00013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비용 함수가 IFESRVO
Figure 112006096779154-PCT00014
사이의 상호상관값과 IFESRVO
Figure 112006096779154-PCT00015
사이의 상호상관값으로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Figure 112006096779154-PCT00016
상기 식에서,
Figure 112006096779154-PCT00017
Figure 112006096779154-PCT00018
는 상기한 래디얼로부터 포커스로의 누화에 미치는 포커싱 서보 루프의 영향을 충분히 고려하는 필터링을 통한 TES 및
Figure 112006096779154-PCT00019
의 전처리된 신호들에 각각 해당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전처리는 소위 감도 함수(sensitivity function)와 동등한 포커싱 서보 루프 동력학의 역이 되도록 결정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디지털 도메인에서의 갱신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6096779154-PCT00020
이들 수치에서는, 래디얼로부터 포커스로의 누화가 포커스 서보 루프에서 제거된다. 실제로, 드라이브의 작동 상태는 보통 시간에 따라 변동하여, 예를 들어, 다양한 빔 착륙 크기를 발생한다. 제시된 방법은 이 결과 생기는 래디얼로부터 포커스로의 누화를 적응적으로 보상하므로, 시스템을 더 강건성이 크게 만든다.
본 발명은, 블루레이 디스크(BD), 포터블 블루(PB) 시스템, DVD+RW/R, DVD-ROM 및 CD+R/RW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광 저장 시스템에 매우 적합하다.
이때,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제한하기보다는 예시하기 위한 것이고,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있어서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이 설계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기 바란다. 청구범위에서, 괄호 안에 놓인 참조번호가 청구항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용어 "구비한다", "포함한다" 등이 전체적으로 청구범위 또는 상세한 설명에 나열된 것 이외의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구성요소의 단수의 언급이 이들 구성요소의 복수의 언급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역도 성립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개별 소자를 포함하는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그리고 적절히 프로그래밍된 컴퓨터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다수의 수단을 열거하는 장치 청구항에서, 다수의 이들 수단이 한 개의 동일한 항목의 하 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다. 특정한 구성이 사로 다른 종속항들에서 반복 설명된다는 단순한 사실이 이들 구성요소들의 조합이 유리하게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도 아니다.

Claims (12)

  1. 광 정보매체(1)를 주사하기 위한 광 주사 스폿(11)과, 상기 광 정보매체(1)에서 반사된 방사빔을 수광하는 광학계(25, 26)와, 상기 반사된 방사빔에서 중앙 개구신호(CA), 초점 에러신호(FESRVO)와 트랙킹 에러신호(TES)를 유도하는 수단(43)을 구비한 광 저장 시스템에서의 래디얼로부터 포커스로의 누화를 보상하는 장치로서, 상기 트랙킹 에러신호(TES) 또는 상기 중앙 개구신호(CA)와 가중 인자(γ)의 곱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한 개의 신호를 상기 초점 에러신호(FESRVO)에서 감산함으로써 개량된 초점 에러신호(IFESRVO)를 발생하는 신호처리수단(43)을 구비하고, 상기 가중 인자(γ)는 상기 개량된 초점 에러신호(IFESRVO)에 기초하여 적응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화 보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량된 초점 에러신호(IFESRVO)는 상기 초점 에러신호(FESRVO)에서 제 1 및 제 2 신호를 감산하여 발생되고, 상기 제 1 신호(γ1TES)는 상기 트랙킹 에러신호(TES)와 제 1 적응형 가중 인자(γ1)의 곱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2 신호(γ2CA)는 상기 중앙 개구신호(CA)와 제 2 가중 인자(γ2)의 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화 보상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가중 인자들(γ1, γ2)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화 보상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 인자들(γ1, γ2)은, 상기 개량된 초점 에러신호(IFESRVO)에 잔류하는 래디얼로부터 포커스로의 누화 성분들을 내포할 수 있는 비용 함수(J(γ12))를 최소화함으로써 유도 및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화 보상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비용 함수는 전처리된 상기 개량된 초점 에러신호(
    Figure 112006096779154-PCT00021
    )와 트랙킹 에러신호(TES) 사이의 상호상관값과 전처리된 상기 개량된 초점 에러신호(
    Figure 112006096779154-PCT00022
    )와 중앙 개구신호(CA) 사이의 상호상관값의 합으로 정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화 보상장 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중 인자(γ1)는 상기 전처리되고 개량된 초점 에러신호(
    Figure 112006096779154-PCT00023
    )와 트랙킹 에러신호(TES)의 곱의 적분값에 정비례하고, 상기 제 2 가중 인자(γ2)는 상기 전처리되고 개량된 초점 에러신호(IFESRVO)와 상기 중앙 개구신호(CA)의 곱의 적분값에 정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화 보상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적분값들을 상기 가중 인자들(γ1, γ2)의 적응화의 안정성 및 속도를 조절하는 상수로 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화 보상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비용 함수는, 상기 개량된 초점 에러신호(IFESRVO)와 전처리된 상기 트랙킹 에러신호(
    Figure 112006096779154-PCT00024
    ) 사이의 상호상관값과 상기 개량된 초점 에러신호(IFESRVO)와 전처리된 상기 중앙 개구신호(
    Figure 112006096779154-PCT00025
    )의 2배 사이의 상호상관값의 합으로 정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화 보상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중 인자(γ1)는 상기 개량된 초점 에러신호(IFESRVO)와 상기 전처리된 상기 트랙킹 에러신호(
    Figure 112006096779154-PCT00026
    )의 곱의 적분값에 정비례하고, 상기 제 2 가중 인자(γ2)는 상기 개량된 초점 에러신호(IFESRVO)와 상기 전처리된 상기 중앙 개구신호(
    Figure 112006096779154-PCT00027
    )의 2배의 곱의 적분값에 정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화 보상장치.
  10. 광 정보매체(1)를 주사하기 위한 광 주사 스폿(11)과, 상기 광 정보매체(1)에서 반사된 방사빔을 수광하는 광학계(25, 26)와, 상기 반사된 방사빔에서 중앙 개구신호(CA), 초점 에러신호(FESRVO)와 트랙킹 에러신호(TES)를 유도하고, 상기 트랙킹 에러신호(TES) 또는 상기 중앙 개구신호(CA)와 가중 인자(γ1, γ2)의 곱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한 개의 신호를 상기 초점 에러신호(FESRVO)에서 감산함으로써 개량된 초점 에러신호(IFESRVO)를 발생하며, 상기 개량된 초점 에러신호(IFESRVO)에 기초하여 상기 가중 인자(γ1, γ2)를 적응적으로 갱신하는 신호처리수단(43)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저장 시스템.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계는 비점수차 렌즈(25)와 4개의 사분면 광 검출기(26)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저장 시스템.
  12. 광 정보매체(1)를 사하기 위한 광 주사 스폿(11)과, 상기 광 정보매체(1)에서 반사된 방사빔을 수광하는 광학계(25, 26)와, 상기 반사된 방사빔에서 중앙 개구신호(CA), 초점 에러신호(FESRVO)와 트랙킹 에러신호(TES)를 유도하는 수단(43)을 구비한 광 저장 시스템에서의 래디얼로부터 포커스로의 누화를 보상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트랙킹 에러신호(TES) 또는 상기 중앙 개구신호(CA)와 가중 인자(γ1, γ2)의 곱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한 개의 신호를 상기 초점 에러신호(FESRVO)에서 감산함으로써 개량된 초점 에러신호(IFESRVO)를 발생하는 신호처리수단(43)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개량된 초점 에러신호(IFESRVO)에 기초하여 상기 가중 인자(γ1, γ2)를 적응적으로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화 보상방법.
KR1020067027351A 2004-06-01 2005-05-20 광 저장 시스템에서의 래디얼로부터 포커스로의 누화 소거 KR200700190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27351A KR20070019003A (ko) 2004-06-01 2005-05-20 광 저장 시스템에서의 래디얼로부터 포커스로의 누화 소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4102440.7 2004-06-01
KR1020067027351A KR20070019003A (ko) 2004-06-01 2005-05-20 광 저장 시스템에서의 래디얼로부터 포커스로의 누화 소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9003A true KR20070019003A (ko) 2007-02-14

Family

ID=43652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7351A KR20070019003A (ko) 2004-06-01 2005-05-20 광 저장 시스템에서의 래디얼로부터 포커스로의 누화 소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1900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0448B2 (en) Optical pick-up head, optical information apparatus, and optical information reproducing method
US6275463B1 (en) Optical head
US20090028021A1 (en) Radial To Focus Cross Talk Cancellation In Optical Storage Systems
KR100210543B1 (ko) 트랙킹 에라 신호 발생기
JPH06282849A (ja) 光記録媒体、光記録媒体の記録再生装置及び再生装置
KR100806214B1 (ko) 보정된 에러 신호 생성 방법 및 장치
JP5124148B2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ディスク装置
KR20070072919A (ko) 광학 기록장치의 이득 보상
JPH0652563A (ja) 光ディスク装置の制御方式
JP2009158007A (ja) 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光記録再生装置及びギャップ制御方法
US20050094509A1 (en) Optical head an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ing same
KR20070019003A (ko) 광 저장 시스템에서의 래디얼로부터 포커스로의 누화 소거
US7580332B2 (en) Optical pickup, optical disk drive, light detecting apparatus, and signal generating method for optical pickup
KR19990054472A (ko) 외란 예측기를 갖는 광 픽업 유니트의 서보 시스템
JPH0721588A (ja) 光記録媒体及び光記録媒体の再生装置
US7499382B2 (en) Method for gain adjustment for production of a lens position signal, and a corresponding appliance for reading from and/or writing to an optical recording medium
JPH11250475A (ja) 光ディスク装置
JP4145875B2 (ja) ウォブル信号処理方法
JP2006521646A (ja) 光ディスクのチルトを測定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20090032090A (ko) 광 디스크 장치, 트랙킹 에러 신호 생성 회로, 트랙킹 에러신호의 보정 방법, 프로그램
JP4240041B2 (ja) トラッキング制御装置およびトラッキング制御方法
JP4551883B2 (ja) フォーカス制御調整方法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KR20070106730A (ko) 비선형 관측기를 갖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JPH0935283A (ja) 制御装置
JPH1166579A (ja) トラッキング制御装置およびトラッキング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