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0450A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0450A
KR20050110450A KR1020040035468A KR20040035468A KR20050110450A KR 20050110450 A KR20050110450 A KR 20050110450A KR 1020040035468 A KR1020040035468 A KR 1020040035468A KR 20040035468 A KR20040035468 A KR 20040035468A KR 20050110450 A KR20050110450 A KR 20050110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electrodes
discharge
substrate
add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5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0054B1 (ko
Inventor
강경두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5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0054B1/ko
Priority to US11/131,689 priority patent/US7728522B2/en
Priority to AT05104249T priority patent/ATE373313T1/de
Priority to JP2005147080A priority patent/JP2005332826A/ja
Priority to EP05104249A priority patent/EP1601000B1/en
Priority to DE602005002398T priority patent/DE602005002398T2/de
Priority to CNB2005100709682A priority patent/CN100424809C/zh
Publication of KR20050110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0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0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00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22Electrodes, e.g. special shape, material or configuration
    • H01J11/24Sustain electrodes or scan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01J11/12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with main electrod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ischarge sp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22Electrodes, e.g. special shape, material or configuration
    • H01J11/28Auxiliary electrodes, e.g. priming electrodes or trigger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22Electrodes
    • H01J2211/24Sustain electrodes or scan electrodes
    • H01J2211/245Shape, e.g. cross section or patter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22Electrodes
    • H01J2211/28Auxiliary electrodes, e.g. priming electrodes or trigger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22Electrodes
    • H01J2211/32Disposition of the electrodes
    • H01J2211/323Mutual disposition of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전압으로 유지방전을 실현하여 소비전력을 저감시키고, 롱 갭을 형성하여 발광 효율을 향상시키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서로 대향 배치되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복수의 방전셀들을 구획하는 격벽들; 상기 각각의 방전셀 내에 형성되는 형광체층; 상기 제2 기판에 형성되는 어드레스전극들; 및 상기 제1 기판에 구비되는 방전유지전극들을 포함하며, 상기 방전유지전극들은, 상기 방전셀 내로 돌출되는 그 선단들의 대향 방향이 방전셀 내에서 어드레스전극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점화전극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LASMA DISPLAY PANEL}
본 발명은 화상을 표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 Display Panel : PDP, 이하 PDP라 한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DP는 기체방전을 통하여 얻어진 플라즈마로부터 방사되는 진공자외선(VUV: Vacuum Ultra-Violet)이 형광체를 여기시킴으로서 발생되는 적(R), 녹(G), 청(B)의 가시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소자이다. 이러한 PDP는 60인치 이상의 초대형 화면을 불과 10㎝ 이내의 두께로 구현할 수 있고, CRT와 같은 자발광 디스플레이 소자이므로 색재현력 및 시야각에 따른 왜곡현상이 없는 특성을 가지며, 또한 LCD 등에 비해 제조공법이 단순하여 생산성 및 원가 측면에서도 강점을 갖는 TV 및 산업용 평판 디스플레이로 각광 받고 있다.
일반적인 AC PDP에서, 배면 기판 상에 일방향을 따라 어드레스전극들이 형성되고 이 어드레스전극들을 덮으면서 배면 기판의 전면에 유전층이 형성된다. 이 유전층 위로 각 어드레스전극들 사이에 배치되도록 스트라이프(stripe) 형상의 격벽들이 형성되며 각각의 격벽들 사이에는 적(R), 녹(G), 청(B)색의 형광체층이 형성된다.
그리고, 배면 기판에 대향하는 전면 기판의 일면에는 어드레스전극들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한 쌍의 투명전극과 버스전극으로 구성되는 방전유지전극들이 형성되고, 이 방전유지전극들을 덮으면서 전면 기판 전체에 유전층과 MgO보호막이 차례로 형성된다.
상기 배면 기판 상의 어드레스전극들과 전면 기판 상의 한 쌍의 방전유지전극들이 교차하는 지점이 방전셀을 구성하는 부분이 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PDP의 내부에는 수백만 개 이상의 단위 방전셀들이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배열되어 있다.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AC PDP의 방전셀들을 동시 구동하기 위해서는 기억특성을 이용한 구동을 하게 된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한 쌍의 방전유지전극을 구성하는 X 전극과 Y 전극 사이에 방전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특정 전압 이상의 전위차가 필요하며, 이 경계가 되는 전압을 방전개시전압(Vf: Firing Voltage)이라고 한다. 이 때, 어드레스전압을 Y 전극과 어드레스전극 사이에 인가하면 방전이 개시되어 방전셀 내에 플라즈마가 형성되고, 이 플라즈마 안의 전자와 이온은 반대극성을 갖는 전극 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전류가 흐른다.
한편, AC PDP의 각 전극에는 유전층이 도포되어 있어 이동된 공간전하들의 대부분은 반대 극성을 가지는 유전층 위에 쌓이며, 결국 Y 전극과 어드레스전극 사이의 순(net) 공간전위는 원래 인가된 어드레스전압(Va)보다 작아져 방전은 약해지고 어드레스방전은 소멸된다. 이 때, X 전극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전자가 쌓이며, Y 전극에는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이온이 쌓이게 되는데, 이들 X 전극 및 Y 전극을 덮고 있는 유전층 위에 쌓인 전하들을 벽전하(Qw: Wall Charge)라 하고, 이들 벽전하에 의해 X-Y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전압을 벽전압(Vw: Wall Voltage)이라고 한다.
계속해서 X 전극과 Y 전극 사이에 일정한 전압(Vs: 방전유지전압)을 인가할 경우, 상기 방전유지전압(Vs)과 벽전압(Vw)의 크기를 합친 값(Vs+Vw)이 방전개시전압(Vf)보다 높게 되면 방전셀 내에서 방전이 일어나게 되며, 이 때 발생하는 진공 자외선(VUV)이 해당 형광체를 여기시켜 투명한 전면 기판을 통하여 가시광을 방출한다.
그러나, Y 전극과 어드레스전극 사이의 어드레스방전이 없을 경우(즉, 어드레스전압(Va)이 인가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X-Y 전극간에 쌓이는 벽전하는 없으며, 결과적으로 X-Y 전극 사이의 벽전압도 존재하지 않게 된다. 이 때에는 X-Y 전극 사이에 가해준 방전유지전압(Vs)만이 방전셀 내에 형성되며, 이는 방전개시전압(Vf)보다 낮기 때문에 X-Y 전극 사이의 기체공간은 방전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구동되는 PDP는 입력전력으로부터 최종 가시광을 얻기까지 여러 단계를 거치게 된다. 상기 X, Y 전극은 유지 방전의 시작을 위해 다소 근접하게 배치되거나 높은 유지방전전압이 인가되어야 하고, 또한 방전셀에 형성된 형광체의 전(全) 영역을 여기시켜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해 유지 방전이 일어나는 범위 내에서 롱 갭을 유지하여야 하는 상반된 조건의 충족을 요구받는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저전압으로 유지방전을 실현하여 소비전력을 저감시키고, 롱 갭을 형성하여 발광 효율을 향상시키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서로 대향 배치되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복수의 방전셀들을 구획하는 격벽들;
상기 각각의 방전셀 내에 형성되는 형광체층;
상기 제2 기판에 형성되는 어드레스전극들; 및
상기 제1 기판에 구비되는 방전유지전극들을 포함하며,
상기 방전유지전극들은,
상기 방전셀 내로 돌출되는 그 선단들의 대향 방향이 방전셀 내에서 어드레스전극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점화전극들을 포함한다.
상기 방전유지전극은 상기 제1 기판에 어드레스전극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각 방전셀에 한 쌍이 대응되게 형성되는 버스전극들;
상기 버스전극들로부터 각 방전셀 내부로 각각 돌출 형성되는 돌출전극들; 및
상기 버스전극으로부터 각 방전셀 내부의 돌출전극들 사이에 돌출 형성되는 점화전극들을 포함한다.
상기 방전유지전극은 상기 제1 기판에 어드레스전극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각 방전셀에 한 쌍이 대응되게 형성되는 X 전극과 Y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X 전극 및 Y 전극 각각은,
상기 제1 기판에 어드레스전극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각 방전셀에 한 쌍씩 대응되게 형성되는 버스전극;
상기 버스전극으로부터 각 방전셀 내부로 각각 돌출 형성되는 돌출전극; 및
상기 버스전극으로부터 각 방전셀 내부의 돌출전극들 사이에 돌출 형성되는 점화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점화전극은 상기 어드레스전극 길이 방향과 나란한 격벽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들;
상기 연장부들에서 방전셀의 내부를 향하여 각각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들; 및
상기 돌출부들의 선단에 대향 구조로 형성되는 대향부(對向部)를 포함한다.
상기 대향부는 상호 간격을 유지하면서 돌출전극들이 상호 롱 갭(long gap)을 형성하도록 상기 돌출부에서 어드레스전극 길이 방향의 폭이 돌출부의 폭 보다 넓게 형성된다.
상기 대향부는 어드레스전극 길이 방향의 양측 변이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거나 일측 변이 길고 다른 측 변이 짧은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대향부는 한 쌍에서 그 선단들의 대향 방향이 어드레스전극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교차하게 형성된다.
상기 대향부는 한 쌍에서 그 선단들의 대향 방향이 어드레스전극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 교차하게 형성된다.
상기 점화전극은 X 전극 측과 Y 전극 측이 버스전극의 길이 방향으로 이웃하는 각 격벽들에서 방전셀을 중심으로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점화전극은 X 전극 측과 Y 전극 측이 각 방전셀의 중심을 중점으로 하는 상호 점대칭 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점화전극 및 이의 돌출부 및 대향부는 투명전극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 분해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여 PDP를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PDP는 제1 기판(1)과 제2 기판(3)의 면 대향 봉착 구조로 형성된다. 이 제1, 제2 기판(1, 3)사이의 공간에는 다수의 격벽(5)들이 배치되어 플라즈마 방전을 일으킬 수 있도록 복수의 방전셀(7R, 7G, 7B)을 구획하여 형성한다. 이 방전셀(7R, 7G, 7B)에는 적(R), 녹(G), 청(B)색의 형광체가 인쇄되어 형광층(9R, 9G, 9B)을 형성한다.
상기 제2 기판(3) 상에는 도면의 y 축 방향을 따라 복수의 어드레스전극(11)들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기판(1) 상에는 이 어드레스전극(11)들과 교차하는 방향, 즉 도면의 x 축 방향을 따라 복수의 방전유지전극(13, 15)들이 연장 형성된다.
이 제1 기판(1)과 제2 기판(3)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는 상기 격벽(5)들은 서로 이웃하는 다른 격벽(5)들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이 격벽(5)들과 상호 교차하면서 이들 상호간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또 다른 격벽(5a)들에 의하여 플라즈마 방전에 필요한 방전셀(7R, 7G, 7B)들을 구획 형성한다.
본 실시예는 y 축과 x 축 방향으로 상호 교차하는 격벽(5, 5a)들에 의하여 방전셀(7R, 7G, 7B)을 형성하는 폐쇄형 격벽 구조를 예시하고 있으나, 상기 격벽 중 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격벽(5)들로 구성되는 스트라이프형 격벽 구조에도 본 발명은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B-B 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한편, 어드레스전극(11)들은 방전셀(7R, 7G, 7B)에서 벽전하를 형성하여 어드레스방전을 일으키도록 제1 유전층(17)으로 덮여있다. 이 제1 유전층(17)은 가시광의 반사율을 확보할 수 있도록 백색 유전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전유지전극(13, 15)은 이 어드레스전극(11)과 어드레스방전을 일으킨 후, 방전셀(7R, 7G, 7B)에서 유지방전을 일으키도록 방전셀(7R, 7G, 7B)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 상태로 배치되는 X 전극(13) 및 Y 전극(15)으로 이루어진다.
이 X 전극(13) 및 Y 전극(15) 각각은 방전셀(7R, 7G, 7B)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전극(13a, 15a)과, 이 돌출전극(13a, 15a)에 전류를 공급하는 버스전극(13b, 15b), 및 이 버스전극(13b, 15b)으로부터 방전셀(7R, 7G, 7B) 내부로 돌출되어 상기 돌출전극(13a, 15a)들 사이에 구비되는 점화전극(13c, 15c)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돌출전극(13a, 15a)은 방전셀(7R, 7G, 7B) 내부에서 플라즈마 방전을 일으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써 휘도 확보를 위하여 투명한 ITO(Indium Tin Oxide)로 이루어지는 투명전극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버스전극(13b, 15b)은 이러한 돌출전극(13a, 15a)의 높은 저항을 보상하여 통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써 Al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점화전극(13c, 15c)은 상기한 바와 같이 돌출전극(13a, 15a) 사이에 배치되며, 그 선단들이 방전셀(7R, 7G, 7B)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호 대향하고, 그 대향 방향(a)이 방전셀(7R, 7G, 7B) 내에서 어드레스전극(11)의 길이 방향(y 축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게 형성된다.
도 4는 도 1의 부분 평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여 점화전극(13a, 15a)을 설명하면, 이 점화전극(13c, 15c)은 X, Y 전극(13, 15)으로 이루어지는 방전유지전극(13, 15)에서, 돌출전극(13a, 15a) 간에 롱 갭(b, long gap)을 형성하면서, 이 돌출전극(13a, 15a)이 본격적인 유지방전을 일으키지 전(前)에 초기 유지방전을 원활히 일으키기 위한 것으로써, 초기 유지방전을 일으키기에 상호간에 적절한 숏 갭(a, short gap)을 유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돌출전극(13a, 15a)의 롱 갭(b)은 방전 효율을 향상시키게 되고, 이러한 롱 갭(b) 유지방전이 가능하도록 점화전극(13c, 15c) 간의 숏 갭(a)은 초기 유지방전을 저전압으로 구동케 하여 PDP의 구동 전력을 저감시킨다. 이 점화전극(13c, 15c)은 고전압을 요구하는 유지방전의 초기에는 숏 갭(a)으로 유지방전을 가능하게 하고, 이어서 롱 갭(b)을 형성하는 돌출전극(13a, 15a)이 본격적인 유지방전을 원활히 구현케 한다. 즉 초기 유지방전을 일으킨 점화전극(13c, 15c)은 돌출전극(13a, 15a)과의 근접된 간격(c)으로 인하여 초기 유지방전에 이어, 이 점화전극(13c, 15c)과 돌출전극(13a, 15a)과의 면방전을 일으켜, 최종적으로 돌출전극(13a, 15a)들이 롱 갭(b) 상태로 유지방전을 실현케 한다.
이러한 점화전극(13c, 15c)은 상기 어드레스전극(11)의 길이 방향(y 축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격벽(5)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131c), 이 연장부(131c, 151c)에서 방전셀(7R, 7G, 7B)의 내부를 향하여 각각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132c, 152c), 및 이 돌출부(132c, 152c)의 선단에 상호 대향 구조로 형성되는 대향부(133c, 153c)로 구성된다.
상기 연장부(131c, 1351c)는 격벽(5)을 따라 형성되므로 직선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132c, 152c))는 대향부(133c, 153c)를 방전셀(7R, 7G, 7B)의 내부에 위치시키는 것으로서 연장부(131c, 151c)에서 방전셀(7R, 7G, 7B)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직선으로 형성되거나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져도 좋다. 또한, 대향부(133c, 153c)는 저전압에 의한 초기 유지방전을 일으킬 수 있도록 방전셀(7R, 7G, 7B) 내에서 점화자(igniter)의 역할을 수행하는 바, 이에 상응하는 간격을 상호 유지하면서 돌출부(132c, 152c)의 선단에 구비되어 상기 돌출전극(13a, 15c)들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대향부(133c, 153c)는 어드레스전극(11)의 길이 방향(y 축 방향) 폭(w1)이 돌출부(132c, 152c)의 폭(w2) 보다 넓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폭(w1, w2) 관계는 대향부(133c, 153c) 상호 간의 숏 갭(a)을 유지하면서 대향부(133c, 153c)와 이에 대향하는 돌출전극(13a, 15a)과의 간격(c)을 좁게 형성하여 대향부(133c, 153c) 간의 초기 유지방전을 대향부(133c, 153c)와 돌출전극(13a, 15a) 간의 면방전으로 쉽게 이어질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대향부(133c, 153c)는 어드레스전극(11)의 길이 방향(b, y 축 방향)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면서 그 양측 변이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 참조). 이 경우, 한 쌍의 대향부(133c, 153c)는 그 선단들의 대향 방향(x 축 방향)이 어드레스전극(11)의 길이 방향(y 축 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교차하게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 평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대향부(133c, 153c)를 설명하면, 이 대향부(133c, 153c)는 어드레스전극(11) 길이 방향(y 축 방향)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면서 그 일측 변이 길고 다른 측 변이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도 5 참조). 이 경우 한 쌍의 대향부(133c, 153c)는 그 선단들의 대향 방향(d)이 어드레스전극(11) 길이 방향(y 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교차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연장부(131c, 151c), 돌출부(132c, 152c), 및 대향부(133c, 153c)로 형성되는 점화전극(13c, 15c)들은 버스전극(13b, 15b)의 길이 방향(x 축 방향)으로 이웃하는 각 격벽들(5)에서 방전셀(7R, 7G, 7B)을 중심으로 하여 대응되게 형성되며, 방전셀(7R, 7G, 7B)의 중심을 중점으로 하여 상호 점대칭 구조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점화전극(13c, 15c)은 방전셀(7R, 7G, 7B)의 발광 영역에 위치하므로 방전셀(7R, 7G, 7B)의 휘도를 저하시키지 않도록 투명전극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돌출부(132c, 152c)와 대향부(133c, 153c)는 더욱 투명전극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연장부(131c. 151c)는 비발광 영역인 격벽(5) 상에 배치되므로 불투명 전극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X, Y 전극(13, 15)에 점화전극(13c, 15c)을 더 구비하는 방전유지전극(13, 15)들은 제2 유전층(19)과 MgO 보호막(21)으로 덮여있다. 상기 제2 유전층(19)은 가시광의 투과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투명 유전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PDP에서, Y 전극(15)에 스캔전압을 인가하고 어드레스전극(11)에 어드레스전압을 인가하면 어드레스방전이 개시되어, 선택된 Y 전극(15)과 어드레스전극(11)이 교차하는 방전셀(7R, 7G, 7B)내에 플라즈마가 형성되고, 이 플라즈마 안의 전자와 이온은 반대극성을 갖는 전극 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전류가 흐른다.
이어서 Y 전극(15)과 어드레스전극(11) 사이의 순 공간전위는 원래 인가된 어드레스전압(Va)보다 작아져 어드레스 방전은 약해지고 어드레스방전은 소멸된다. 이 때, X 전극(13)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전자가 쌓이며, Y 전극(15)에는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이온이 쌓이게 되는데, 이들 X 전극(13) 및 Y 전극(15)을 덮고 있는 유전층(19) 위에 쌓인 벽전하는 X-Y 전극(13, 15) 사이의 공간전압인 벽전압을 형성한다.
이 X 전극(13)과 Y 전극(15) 사이에 방전유지전압을 인가하면, 점화전극(13c, 15c)에서 초기 유지방전이 일어나고, 이 초기 방전을 점화원으로 하여 이 점화전극(13c)과 돌출전극(15a) 사이 및 다른 점화전극(15c)과 다른 돌출전극(13a) 사이, 즉 한 방전셀(7R, 7G, 7B) 내의 2곳에서 면방전이 일어나며, 이 2곳의 면방전에 이어 상기 돌출전극(13a, 15a) 사이에 본격적인 유지방전이 일어난다. 이 본격적인 유지방전 때 발생하는 진공 자외선이 해당 방전셀(7R, 7G, 7B) 내의 형광체를 여기시켜 투명한 전면 기판을 통하여 가시광을 방출한다.
상기와 같이 초기 유지방전이 상호 숏 갭을 형성하는 점화전극(13c, 15c) 사이에서 일어나서 이 점화전극(13c, 15c)과 숏 갭을 형성하는 인접한 돌출전극(13a, 15a)으로 이어져 롱 갭을 형성하는 돌출전극(13a, 15a)간에 본격적인 유지방전을 일으키게 함으로써, 저전압으로 유지방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의하면, 방전유지전극의 돌출전극 간에 롱 갭을 형성하고, 이들 돌출전극 사이에 점화전극을 구비하여, 이 점화전극 간에 적절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점화전극과 돌출전극 간에 숏 갭을 형성함으로써, 저전압으로 유지방전을 실현하여 PDP의 소비전력을 저감시키고, 롱 갭에 따른 발광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 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 평면도이다.

Claims (13)

  1. 서로 대향 배치되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복수의 방전셀들을 구획하는 격벽들;
    상기 각각의 방전셀 내에 형성되는 형광체층;
    상기 제2 기판에 형성되는 어드레스전극들; 및
    상기 제1 기판에 구비되는 방전유지전극들을 포함하며,
    상기 방전유지전극들은,
    상기 방전셀 내로 돌출되는 그 선단들의 대향 방향이 방전셀 내에서 어드레스전극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점화전극들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유지전극은 상기 제1 기판에 어드레스전극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각 방전셀에 한 쌍이 대응되게 형성되는 버스전극들;
    상기 버스전극들로부터 각 방전셀 내부로 각각 돌출 형성되는 돌출전극들; 및
    상기 버스전극으로부터 각 방전셀 내부의 돌출전극들 사이에 돌출 형성되는 점화전극들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유지전극은 상기 제1 기판에 어드레스전극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각 방전셀에 한 쌍이 대응되게 형성되는 X 전극과 Y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X 전극 및 Y 전극 각각은,
    상기 제1 기판에 어드레스전극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각 방전셀에 한 쌍씩 대응되게 형성되는 버스전극;
    상기 버스전극으로부터 각 방전셀 내부로 각각 돌출 형성되는 돌출전극; 및
    상기 버스전극으로부터 각 방전셀 내부의 돌출전극들 사이에 돌출 형성되는 점화전극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전극은 상기 어드레스전극 길이 방향과 나란한 격벽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들;
    상기 연장부들에서 방전셀의 내부를 향하여 각각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들; 및
    상기 돌출부들의 선단에 대향 구조로 형성되는 대향부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부는 상호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돌출부에서 어드레스전극 길이 방향의 폭이 돌출부의 폭 보다 넓게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부는 어드레스전극 길이 방향의 양측 변이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부는 어드레스전극 길이 방향의 일측 변이 길고 다른 측 변이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부는 한 쌍에서 그 선단들의 대향 방향이 어드레스전극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교차하게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부는 한 쌍에서 그 선단들의 대향 방향이 어드레스전극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 교차하게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전극은 X 전극 측과 Y 전극 측이 버스전극의 길이 방향으로 이웃하는 각 격벽들에서 방전셀을 중심으로 대응되게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전극은 X 전극 측과 Y 전극 측이 각 방전셀의 중심을 중점으로 하는 상호 점대칭 구조를 형성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전극은 투명전극으로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및 대향부는 투명전극으로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040035468A 2004-05-19 2004-05-19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90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5468A KR100590054B1 (ko) 2004-05-19 2004-05-19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11/131,689 US7728522B2 (en) 2004-05-19 2005-05-17 Plasma display panel
AT05104249T ATE373313T1 (de) 2004-05-19 2005-05-19 Plasmaanzeigetafel
JP2005147080A JP2005332826A (ja) 2004-05-19 2005-05-19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EP05104249A EP1601000B1 (en) 2004-05-19 2005-05-19 Plasma display panel
DE602005002398T DE602005002398T2 (de) 2004-05-19 2005-05-19 Plasmaanzeigetafel
CNB2005100709682A CN100424809C (zh) 2004-05-19 2005-05-19 等离子体显示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5468A KR100590054B1 (ko) 2004-05-19 2004-05-19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0450A true KR20050110450A (ko) 2005-11-23
KR100590054B1 KR100590054B1 (ko) 2006-06-14

Family

ID=34939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5468A KR100590054B1 (ko) 2004-05-19 2004-05-19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728522B2 (ko)
EP (1) EP1601000B1 (ko)
JP (1) JP2005332826A (ko)
KR (1) KR100590054B1 (ko)
CN (1) CN100424809C (ko)
AT (1) ATE373313T1 (ko)
DE (1) DE60200500239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72204B2 (en) * 2003-08-07 2008-05-13 Samsung Sdi Co., Ltd. Plasma display panel having igniter electrodes
US8304973B2 (en) * 2010-08-23 2012-11-06 Hamamatsu Photonics K.K. Flash lamp
US10446585B2 (en) * 2014-03-17 2019-10-15 E Ink Corporation Multi-layer expanding electrode structures for backplane assemblie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71575B2 (ja) 1989-11-22 1997-10-29 日本電気株式会社 ガス放電表示素子の駆動方法
JPH11212515A (ja) * 1998-01-21 1999-08-06 Hitachi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3442295B2 (ja) 1998-09-29 2003-09-02 三菱電機株式会社 平面表示パネル
KR100300407B1 (ko) * 1998-10-14 2001-09-06 김순택 플라즈마표시장치
JP3470629B2 (ja) 1999-02-24 2003-11-25 富士通株式会社 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0285812A (ja) 1999-03-30 2000-10-13 Hitachi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システム
JP2001160361A (ja) * 1999-09-21 2001-06-12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基板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4243900B2 (ja) 1999-11-02 2009-03-25 株式会社日立プラズマパテントライセンシング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US6819307B2 (en) * 2000-02-03 2004-11-16 Lg Electronics Inc. Plasma display panel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2002075213A (ja) 2000-09-01 2002-03-15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td プラズマ表示装置
JP2002260536A (ja) 2000-12-28 2002-09-13 Ne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2367521A (ja) 2001-06-12 2002-12-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ガス放電パネル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2004039578A (ja) * 2002-07-08 2004-02-05 Pioneer Electron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3421669B2 (ja) 2002-07-16 2003-06-3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DE60323453D1 (de) * 2002-12-31 2008-10-23 Samsung Sdi Co Ltd Plasmaanzeigetafel mit Aufrechterhaltungselektroden mit Doppelspalt
US7372204B2 (en) * 2003-08-07 2008-05-13 Samsung Sdi Co., Ltd. Plasma display panel having igniter electrodes
KR100552012B1 (ko) * 2004-04-20 2006-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점화전극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373313T1 (de) 2007-09-15
KR100590054B1 (ko) 2006-06-14
EP1601000B1 (en) 2007-09-12
DE602005002398T2 (de) 2008-06-19
CN1700395A (zh) 2005-11-23
JP2005332826A (ja) 2005-12-02
DE602005002398D1 (de) 2007-10-25
CN100424809C (zh) 2008-10-08
EP1601000A1 (en) 2005-11-30
US20050258752A1 (en) 2005-11-24
US7728522B2 (en) 2010-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101774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JP2003203571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57887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9005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7888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9010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8939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4325807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552012B1 (ko) 점화전극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36213B1 (ko) 점화전극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6054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9005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50119775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구동회로장치
KR10065874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9007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6792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90055B1 (ko) 보조전극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9007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36214B1 (ko) 점화 전극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9968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9009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50117015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40082520A (ko) 오픈 불량 체크가 용이한 버스전극 구조를 갖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
KR20010084668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구조
KR20050118871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