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0079B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0079B1
KR100590079B1 KR1020040034681A KR20040034681A KR100590079B1 KR 100590079 B1 KR100590079 B1 KR 100590079B1 KR 1020040034681 A KR1020040034681 A KR 1020040034681A KR 20040034681 A KR20040034681 A KR 20040034681A KR 100590079 B1 KR100590079 B1 KR 100590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electrode
discharge
electrode layer
bus
electr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4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9701A (ko
Inventor
권재익
강태경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4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0079B1/ko
Publication of KR20050109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9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0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0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4Containers for bait; Preparation of ba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69/00Work holders
    • Y10S269/907Work holder for fishing fl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1/00Tools
    • Y10S81/01Tool-support adjuncts

Abstract

본 발명은 PDP의 제작 공정을 단순하게 하면서 명실 콘트라스트 향상과 비방전 영역에서의 오방전 방지를 실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서로 대향 배치되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에 신장 형성되는 방전유지전극들; 상기 방전유지전극들과 교차하도록 제2 기판에 신장 형성되는 어드레스전극들;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복수의 방전셀들을 형성하면서 상기 어드레스전극 신장 방향으로 인접한 방전셀들 사이에 공간을 두어 비방전 영역을 형성하는 격벽들; 및 상기 각 방전셀 내에 형성되는 형광체층을 포함하며, 상기 방전유지전극들은 방전셀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는 투명전극과 이 투명전극들을 연결하는 버스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버스전극은 투명전극의 어드레스전극 신장 방향의 일측 선단에 어드레스전극 신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신장 형성되는 제1 버스전극층과, 이 제1 버스전극층 상에서 방전셀의 중심으로 치우쳐 형성되는 제2 버스전극층으로 구성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노출 영역, 비방전 영역, 버스전극, 오방전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LASMA DISPLAY PANE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선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 선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A-A 선에 따른 제3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종래기술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화상을 표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 Display Panel : PDP, 이하 PDP라 한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DP는 기체방전을 통하여 얻어진 플라즈마로부터 방사되는 진공자외선(VUV: Vacuum Ultra-Violet)이 형광체를 여기시킴으로서 발생되는 적(R), 녹(G), 청(B)의 가시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소자이다. 이러한 PDP는 60인치 이상의 초대형 화면을 불과 10㎝ 이내의 두께로 구현할 수 있고, CRT와 같은 자발광 디스플레이 소자이므로 색재현력 및 시야각에 따른 왜곡현상이 없는 특성을 가지며, 또한 LCD 등에 비해 제조공법이 단순하여 생산성 및 원가 측면에서도 강점을 갖는 TV 및 산업용 평판 디스플레이로 각광 받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AC PDP에서, 배면기판(101) 상에 일방향(Y축 방향)을 따라 어드레스전극(103)들이 형성되고 이 어드레스전극(103)들을 덮으면서 배면기판(101)의 전면에 유전층(105)이 형성된다. 이 유전층(105) 위로 각 어드레스전극(103)들 사이에 배치되도록 스트라이프(stripe) 형상의 격벽(107)들이 형성되며 각각의 격벽(107)들 사이에는 적(R), 녹(G), 청(B)색의 형광체층(109R, 109G, 109B)이 형성된다.
그리고, 배면기판(101)에 대향하는 전면기판(111)의 일면에는 어드레스전극(103)들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면방전을 일으키는 한 쌍의 투명전극(113a, 115a)과 이에 방전 전압을 인가하는 버스전극(113b, 115b)으로 각각 구성되는 X, Y 전극(113, 115)들, 즉 방전유지전극들이 형성되고, 이 X, Y 전극(113, 115)들을 덮으면서 전면기판(111) 전체에 유전층(117)과 MgO보호막(119)이 차례로 형성된다.
상기 배면기판(101) 상의 어드레스전극(103)들과 전면기판(111) 상의 한 쌍의 X, Y 전극(113, 115)들이 교차하는 지점이 방전셀(121R, 121G, 121B)을 구성하는 부분이 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PDP의 내부에는 수백만 개 이상의 단위 방전셀들이 매트릭 스(Matrix) 형태로 배열되어 있다.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AC PDP의 방전셀들을 동시 구동하기 위해서는 기억특성을 이용한 구동을 하게 된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한 쌍의 방전유지전극을 구성하는 X 전극(113, 표시전극)과 Y 전극(115, 주사전극) 사이에 방전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특정 전압 이상의 전위차가 필요하며, 이 경계가 되는 전압을 방전개시전압(Vf: Firing Voltage)이라고 한다. 이 때, 어드레스전압을 Y 전극(115)과 어드레스전극(103) 사이에 인가하면 방전이 개시되어 방전셀 내에 플라즈마가 형성되고, 이 플라즈마 안의 전자와 이온은 반대극성을 갖는 전극 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전류가 흐른다.
한편, AC PDP의 각 전극(103, 113, 115)에는 유전층(105, 117)이 각각 도포되어 있어 이동된 공간전하들의 대부분은 반대 극성을 가지는 유전층(105, 117) 위에 쌓이며, 결국 Y 전극(115)과 어드레스전극(103) 사이의 순(net) 공간전위는 원래 인가된 어드레스전압(Va)보다 작아져 방전은 약해지고 어드레스방전은 소멸된다. 이 때, X 전극(113) 측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전자가 쌓이며, Y 전극(115) 측에는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이온이 쌓이게 되는데, 이들 X 전극(113) 및 Y 전극(115)을 덮고 있는 유전층(117) 위에 쌓인 전하들을 벽전하(Qw: Wall Charge)라 하고, 이들 벽전하에 의해 X, Y 전극(113, 115)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전압을 벽전압(Vw: Wall Voltage)이라고 한다.
계속해서 X 전극(113)과 Y 전극(115) 사이에 일정한 전압(Vs: 방전유지전압)을 인가할 경우, 상기 방전유지전압(Vs)과 벽전압(Vw)의 크기를 합친 값(Vs+Vw)이 방전개시전압(Vf)보다 높게 되면 방전셀(121R, 121G, 121B) 내에서 방전이 일어나 게 되며, 이 때 발생하는 진공 자외선(VUV)이 해당 형광체층(109R, 109G, 109B)을 여기시켜 투명한 전면기판(111)을 통하여 가시광을 방출하므로 PDP는 화상을 구현하게 된다.
상기 PDP에서 버스전극(113b, 115b)은 이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이 버스전극(113b, 115b)은 명실 콘트라스트 향상을 위하여 도전성이 약한 흑색 재료로 얇게 형성되는 블랙층과, 실질적으로 방전유지전극, 즉 투명전극(113a, 115a)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하여 도전성이 높은 백색 재료, 즉 은(Ag) 등으로 두껍게 형성되는 화이트층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PDP는 비방전 영역에서 반사 휘도를 저감시켜 명실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비방전 영역에 서로 인접하는 방전셀(121R, 121G, 121B)의 다른 극성의 방전유지전극(113, 115)들 사이에 블랙 스트라이프(Black Stripe)를 구비한다.
이 블랙 스트라이프는 비도전성 흑색 재료를 사용하여 버스전극(113b, 115b) 형성 후, 별도의 공정에 의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이 블랙 스트라이프와 버스전극(113b, 115b)의 블랙층을 같은 재료에 의한 하나의 공정으로 형성하여 PDP의 제작 공정을 단순하게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요구에 의하여 창안된 것으로, PDP의 제작 공정을 단순하게 하면서 명실 콘트라스트 향상과 비방전 영역에서의 오방전 방지를 실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서로 대향 배치되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에 신장 형성되는 방전유지전극들;
상기 방전유지전극들과 교차하도록 제2 기판에 신장 형성되는 어드레스전극들;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복수의 방전셀들을 형성하면서 상기 어드레스전극 신장 방향으로 인접한 방전셀들 사이에 공간을 두어 셀 구조의 비방전 영역을 형성하는 격벽들; 및
상기 각 방전셀 내에 형성되는 형광체층;
을 포함하며,
상기 방전유지전극들은 방전셀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는 투명전극과 이 투명전극들을 연결하는 버스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버스전극은 투명전극의 어드레스전극 신장 방향의 일측 선단에 어드레스전극 신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신장 형성되는 제1 버스전극층과, 이 제1 버스전극층 상에서 방전셀의 중심으로 치우쳐 형성되는 제2 버스전극층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버스전극층의 폭은 제2 버스전극층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다.
상기 인접한 방전셀에서, 제1 버스전극층 간의 간격은 제2 버스전극층 간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된다.
상기 제1 버스전극층의 두께는 제2 버스전극층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다.
상기 제1 버스전극층의 전도성은 제2 버스전극층의 전도성보다 낮다.
상기 제1 버스전극층은 방전셀의 외곽 측 투명전극의 선단과 일치되는 구조로 투명전극 상(上)에 형성된다. 이때 제2 버스전극층은 제1 버스전극층의 방전셀 중심 측 선단과 일치되는 구조로 방전셀의 중심으로 치우쳐 제1 버스전극층 상(上)에 형성된다.
상기 제1 버스전극층은 방전셀의 외곽측 투명전극의 선단과 일치되는 구조로 투명전극 측(側)에 형성된다. 이때 제2 버스전극층은 제1 버스전극층의 방전셀 중심 측 선단과 일치되는 구조로 방전셀의 중심으로 치우쳐 제1 버스전극층 상(上)에 형성된다.
상기 제1 버스전극층은 방전셀의 외곽측 투명전극의 선단으로부터 인접한 다른 방전셀을 향(向)하여 일부 신장 형성되고 일부 투명전극 상(上)에 형성된다. 이때 제2 버스전극층은 제1 버스전극층의 방전셀 중심 측 선단과 일치되는 구조로 방전셀의 중심으로 치우쳐 제1 버스전극층 상(上)에 형성된다.
상기 제1 버스전극층은 흑색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버스전극층은 은(Ag)을 재료로 형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여 PDP를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PDP는 제1 기판(1, 이하 전면기판이라 한다)과 제2 기판(3, 이하 배면기판이라 한다)의 면 대향 봉착 구조로 형성된다. 이 전면기판(1)과 배면기판(3) 사이의 공간에는 다수의 격벽(5)들이 배치되어 플라즈마 방전을 일으킬 수 있도록 복수의 방전셀(7R, 7G, 7B)을 구획하여 형성한다. 이 방전셀(7R, 7G, 7B)의 내면에는 적(R), 녹(G), 청(B)색의 형광체층(9R, 9G, 9B)이 형성된다.
이 방전셀(7R, 7G, 7B)에 대응하도록 상기 전면기판(1) 상에는 도면의 x 축 방향을 따라 신장(伸長) 형성된 방전유지전극(11, 13)들이 y 축 방향을 따라 방전셀(7R, 7G, 7B)에 대응하는 간격을 유지하면서 나란하게 배치되고, 이 방전유지전극(11, 13)들과 교차하는 방향(도면의 y 축 방향)을 따라 신장 형성된 어드레스전극(15)들이 x 방향을 따라 방전셀(7R, 7G, 7B)에 대응하는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배면기판(3) 상에 나란하게 배치된다.
상기 방전유지전극(11, 13)들은 각 방전셀(7R, 7G, 7B)에 대응하도록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X 전극(11)과 Y 전극(13)으로 구성된다. 이 X 전극(11) 및 Y 전극(13)은 전면기판(1)에 구비되어, 유전층(17)과 MgO 보호막(19)에 의한 적층 구조를 형성한다.
이 X, Y 전극(11, 13)은 각각 투명전극(11a, 13a)과 버스전극(11b, 13b)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투명전극(11a, 13a)은 방전셀(7R, 7G, 7B) 내부에서 면방전을 일으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써 개구율을 확보하여 가시광의 투과율을 확보하기 위 하여 투명한 ITO 전극으로 형성되며, 버스전극(11b, 13b)은 이러한 투명전극(11a, 13a)의 높은 저항을 보상하여 통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Ag과 같은 금속전극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방전셀(7R, 7G, 7B)에 대응되는 한 쌍의 버스전극(11b, 13b)들은 x 축 방향을 따라 일자형으로 신장되어 y 축 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하면서 서로 나란하게 형성 배치된다. 투명전극(11a, 13a)은 이 버스전극(11b, 13b)과 같이 x 축 방향으로 따라 신장되는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버스전극(11b, 13b)으로부터 방전셀(7R, 7G, 7B)의 중심을 향해 돌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버스전극(11b, 13b)은 격벽(5)의 형상에 따라 미앤더(meander)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어드레스전극(15)들은 X, Y 전극(11, 13)에 교차하는 방향(y 축 방향으로 신장되어 x 축 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한다)으로 배면기판(3)에 구비되어 유전층(21)으로 덮여있다.
또한, 격벽(5)들은 상기와 같이 X, Y 전극(11, 13)을 구비한 전면기판(1)과 어드레스전극(15)을 구비한 배면기판(3)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어 플라즈마 방전에 필요한 방전셀(7R, 7G, 7B)을 각각 독립적으로 구획하여 형성하게 된다.
도 2는 도 1의 부분 평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여 격벽(5)을 설명하면, 이 격벽(5)들은 상기 어드레스전극(15)의 신장 방향(도면의 y 축 방향)으로 인접하는 방전셀(7R, 7G, 7B)들 사이에 공간을 두어 방전셀(7R, 7G, 7B)의 외부에 비방전 영역(A)을 형성하면서 그 내부로 방전영역인 방전셀(7R, 7G, 7B)을 형성하게 된다. 즉, 이 격벽(5) 들은 전면기판(1)과 배면기판(3) 사이의 좌표 x-y 평면상에 폐쇄 구조의 방전셀(7R, 7G, 7B)들을 형성하고, 이 방전셀(7R, 7G, 7B)들을 x 축 방향으로 상호 부착 연결하면서 y 축 방향으로 비방전 영역(A)을 개재하여 상호 격리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즉 이 비방전 영역(A)은 대체적으로 보아 어드레스전극(15)과 교차하는 방향, 즉 x 축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또한, 이 비방전 영역(A)은 인접한 방전셀(7R, 7G, 7B)들 사이에 공간을 두어 셀 구조로 형성된다. 즉 이 비방전 영역(A)은 인접한 어드레스전극(15) 사이의 중심과 인접한 방전유지전극(11, 13) 사이의 중심이 교차하는 부분에 독립적인 셀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방전셀(7R, 7G, 7B)은 그 내부에 방전 가스를 포함하고 있고 어드레스전압 또는 방전유지전압이 인가될 때 내부에서 가스방전을 일으키는 공간이며, 비방전 영역(A)은 그 내부에 별도의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방전 또는 발광이 예정되지 않은 영역 또는 공간이다.
이 방전셀(7R, 7G, 7B)과 비방전 영역(A)을 구획하는 격벽(5)들은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겠지만, 본 실시예는 제1, 제2, 제3 격벽부재(5a, 5b, 5c)들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먼저, 상기 제1 격벽부재(5a)들은 어드레스전극(15)의 신장 방향(y 축 방향)으로 신장 형성되어 x 축 방향으로 방전셀(7R, 7G, 7B)에 대응하는 간격을 유지하면서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며, y 축 방향으로 독립된 방전셀(7R, 7G, 7B)들을 형성하도록 각각 분리 형성된다. 제2 격벽부재(5b)들은 제1 격벽부재(5a)들의 신장 방향(y 축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x 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y 축 방향으로 방 전셀(7R, 7G, 7B)에 대응하는 간격을 유지하면서 서로 나란하게 형성된다. 이 제2 격벽부재(15b)들은 x 축 방향으로 인접하는 방전셀(7R, 7G, 7B)들이 대각선 방향의 모퉁이 부분에서 분리되도록 각각 분리 형성된다. 또한, 제3 격벽부재(5c)는 제1 격벽부재(5a)와 제2 격벽부재(5b)에 의하여 구획되는 방전셀(7R, 7G, 7B)의 대각선 방향 4곳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격벽부재(5a)와 제2 격벽부재(5b)를 상호 경사지게 연결한다. 따라서 방전셀(7R, 7G, 7B)의 모퉁이 4곳은 이 제3 격벽부재(5c)에 의하여 경사지게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제1, 제2 격벽부재(5a, 5b)를 2개씩 그리고 제3 격벽부재(5c)를 4개씩 구비하여 형성되는 격벽(5)들은 y 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x 축 방향으로 짧게 형성되는 8각형 구조의 방전셀(7R, 7G, 7B)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형성되는 방전셀(7R, 7G, 7B)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방전유지전극(11, 13)은 상기한 바와 같이 방전셀(7R, 7G, 7B)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투명전극(11a, 13a)과 이 투명전극(11a, 13a)에 전압을 인가하는 버스전극(11b, 13b)으로 구성된다.
도 3은 도 2의 A-A 선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여 버스전극(11b, 13b)을 설명하면, 이 버스전극(11b, 13b)은 높은 통전성으로 각 투명전극(11a, 13a)에 전압을 인가하면서 비방전 영역(A)에서 외광 반사를 최소화하여 명실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도록 제1 버스전극층(11ba, 13ba)과 제2 버스전극층(11bb, 13bb)으로 2층 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제1 버스전극층(11ba, 13ba)은 투명전극(11a, 13a)의 일측 선단, 즉 어 드레스전극(15)의 신장 방향(y 축 방향)에 대하여 일측 선단에 어드레스전극(15)의 신장 방향(y 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x 축 방향)으로 신장 형성된다. 즉, 제1 버스전극층(11ba, 13ba)은 x 축 방향으로 직선 상태로 신장 형성된다. 이 제1 버스전극층(11ba, 13ba)은 외광 반사를 최소화하여 명실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는 구조 및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제1 버스전극층(11ba, 13ba)은 방전셀(7R, 7G, 7B)을 최소한으로 차단하면서 비방전 영역(A)에 가능한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외광의 흡수 범위를 넓게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버스전극층(11bb, 13bb)은 제1 버스전극층(11ba, 13ba) 상에서 방전셀(7R, 7G, 7B)의 중심으로 치우쳐 형성된다. 즉 이 제2 버스전극층(11bb, 13bb)은 제1 버스전극층(11ba, 13ba)과 같은 방향으로 신장 형성된다. 이 제2 버스전극층(11bb, 13bb)은 실질적으로 버스전극(11b, 13b)에서 전압을 인가하는 부분으로써 인접한 다른 방전셀(7R, 7G, 7B)의 다른 방전유지전극(11, 13) 즉, 제2 버스전극층(11bb, 13bb)과의 오방전을 일으키지 않도록 형성되어 상호 안전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제2 버스전극층(11bb, 13bb)은 제1 버스전극층(11ba, 13ba) 상에서 가능한 좁은 폭으로 형성되어 이웃하는 다른 제2 버스전극층(11bb, 13bb)과 멀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1 버스전극층(11ba, 13ba)과 제2 버스전극층(11bb, 13bb)은 다양한 관계를 가질 수 있다.
먼저, 제1 버스전극층(11ba, 13ba)의 폭(W1)과 제2 버스전극층(11bb, 13bb)의 폭(W2) 관계를 보면, W1>W2이다. 즉, 제1 버스전극층(11ba, 13ba)과 제2 버스전 극층(11bb, 13bb)의 각 폭(W1, W2)은 어드레스전극(15) 신장 방향(y 축 방향)으로 형성되므로, 제1 버스전극층(11ba, 13ba)의 폭(W1)이 제2 버스전극층(1bb, 13bb)의 폭(W2)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언하면, 제1 버스전극층(11ba, 13ba)과 인접한 방전셀(7R, 7G, 7B)의 다른 제1 버스전극층(11ba, 13ba)과의 간격(C1), 제2 버스전극층(11bb, 13bb)과 인접한 방전셀(7R, 7G, 7B)의 다른 제2 버스전극층(11bb, 13bb)과의 간격(C2) 관계를 보면, C1<C2이다. 즉, 제1 버스전극층(11ba, 13ba) 간의 간격(C1)과 제2 버스전극층(11bb, 13bb) 간의 간격(C2)은 어드레스전극(15) 신장 방향(y 축 방향)으로 형성되므로, 이 제1 버스전극층(11ba, 13ba) 간의 간격(C1)이 제2 버스전극층(1bb, 13bb) 간의 간격(C2)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버스전극층(11ba, 13ba)은 단순히 외광 반사를 줄이는 작용을 하고, 제2 버스전극층(11bb, 13bb)은 실질적으로 전압을 인가하는 작용을 하므로 제1 버스전극층(11ba, 13ba)의 두께는 제2 버스전극층(11bb, 13bb)의 두께에 비하여 얇게 형성되어 재료를 절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버스전극층(11bb, 13bb)은 버스전극(11b, 13b)에 필요한 전압을 인가할 수 있도록 제2 버스전극층(11bb, 13bb)의 두께는 제1 버스전극층(11ba, 13ba)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계에 의하여, 제1 버스전극층(11ba, 13ba)의 전도성은 제2 버스전극층(11bb, 13bb)의 전도성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전도성의 차이는 제1 버스전극층(11ba, 13ba)과 인접한 방전셀(7R, 7G, 7B)의 다른 제1 버스전극층(11ba, 13ba)과의 간격(C1)을 좁게 하여 명실 콘트라스트 향상을 기할 수 있게 한다. 즉 이 제1 버스전극층(11bb, 13bb)의 폭을 넓게 하여 이들 사이의 간격(C1)이 좁게 형성되어 다른 제1 버스전극층(11bb, 13bb)과 접촉되어도, 이 제1 버스전극층(11bb, 13bb)은 낮은 전도성을 가지기 때문에 인접하는 비방전 영역(A)에서 오방전을 일으키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제1 버스전극층(11ba, 13ba)은 방전셀(7R, 7G, 7B)의 외곽 측 투명전극(11a, 13a)의 선단에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제1 버스전극층(11ba, 13ba)은 방전셀(7R, 7G, 7B)의 비방전 영역(A)에 가까운 외곽 측에 구비되어 방전셀(7R, 7G, 7B)에서 발광하는 가시광의 차단을 최소화한다.
즉, 제1 버스전극층(11ba, 13ba)은 방전셀(7R, 7G, 7B)의 외곽 측 투명전극(11a, 13a)의 선단과 일치되는 구조로 투명전극(11a, 13a) 상(上)에 형성되어 있다(도 3 참조). 즉 제1 버스전극층(11ba, 13ba)의 비방전 영역(A) 측은 투명전극(11a, 13a)의 비방전 영역(A) 측 선단과 z 축 방향에 대하여 일직선 상태로 형성된다. 또 제2 버스전극층(11bb, 13bb)의 방전셀(7R, 7G, 7B) 중심 측은 제1 버스전극층(11ba, 13ba)의 방전셀(7R, 7G, 7B) 중심 측과 일치되고, 이 제2 버스전극층(11bb, 13bb)의 폭은 제1 버스전극층(11ba, 13ba)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때에는 투명전극(11a, 13a)을 기존의 투명전극(11a, 13a)의 폭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하고, 이 투명전극(11a, 13a) 상에 제1 버스전극층(11ba, 13ba)을 기존의 제1 버스전극층의 폭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제1 버스전극층(11ba, 13ba)은 기존의 제1 버스전극층 폭에 블랙 스트라이프 폭의 일부를 더한 폭으로 형성되어 외광 반사를 최소화하여 명실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킨다. 제2 버스전극층(11bb, 13bb)은 방전셀(7R, 7G, 7B)의 중심으로 치우쳐 형성되므로 다른 제2 버스전극층(11bb, 13bb)과의 간격(C2)을 멀게 하여 이들 사이에서의 오방전을 방지한다.
이러한 X, Y 전극(11, 13)은 방전셀(7R, 7G, 7B)의 외곽 측에서 투명전극(11a, 13a), 제1 버스전극층(11ba, 13ba), 및 제2 버스전극층(11bb, 13bb)의 3층 구조로 형성된다.
도 4는 도 2의 A-A 선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 제2 실시예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 내지 유사하게 작용하므로 여기서는 이에 대한 설명를 생략하고 서로 구별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도면을 참조하여 제2 실시예의 버스전극(11b, 13b)을 설명하면, 이 제1 버스전극층(11ba, 13ba)은 방전셀(7R, 7G, 7B)의 외곽 측 투명전극(11a, 13a)의 선단과 일치되는 구조로 투명전극(11a, 13a) 측(側)에 형성된다. 또 제2 버스전극층(11bb, 13bb)의 방전셀(7R, 7G, 7B) 중심 측은 제1 버스전극층(11ba, 13ba)의 방전셀(7R, 7G, 7B) 중심 측과 일치되고, 이 제2 버스전극층(11bb, 13bb)의 폭은 제1 버스전극층(11ba, 13ba)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때에는 제1 버스전극층(11ba, 13ba)을 기존의 블랙 스트라이프 폭의 일부에 해당하는 폭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X, Y 전극(11, 13)은 방전셀(7R, 7G, 7B)의 중심 측에서 투명전극(11a, 13a)의 1층 구조로 형성되고, 방전셀(7R, 7G, 7B)의 외곽 측에서 이 투명전극(11a, 13a)의 측면에 연장하여 제1 버스전극층(11ba, 13ba)과 제2 버스전극층(11bb, 13bb)의 2층 버스전극(11, 13) 구조로 형성된다.
도 5는 도 2의 A-A 선에 따른 제3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 제3 실시예는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와 동일 내지 유사하게 작용하므로 여기서는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고 서로 구별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도면을 참조하여 제3 실시예의 버스전극(11b, 13b)을 설명하면, 이 제1 버스전극층(11ba, 13ba)은 방전셀(7R, 7G, 7B)의 외곽 측 투명전극(11a, 13a)의 선단으로부터, 인접한 다른 방전셀(7R, 7G, 7B)을 향(向)하여 일부 신장 형성되고, 일부 투명전극(11a, 13a) 상(上)에 형성된다. 또 제2 버스전극층(11bb, 13bb)의 방전셀(7R, 7G, 7B) 중심 측은 제1 버스전극층(11ba, 13ba)의 방전셀(7R, 7G, 7B) 중심 측과 일치되고, 이 제2 버스전극층(11bb, 13bb)의 폭은 제1 버스전극층(11ba, 13ba)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때에는 제1 버스전극층(11ba, 13ba)을 기존의 블랙 스트라이프 폭의 일부에 해당하는 폭으로 투명전극(11a, 13a) 측면에 신장 형성하고, 기존의 제1 버스전극층 폭에 해당하는 폭으로 투명전극(11a, 13a) 상에 신장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X, Y 전극(11, 13)은 방전셀(7R, 7G, 7B)의 중심 측에서는 투명전극(11a, 13a), 제1 버스전극층(11ba, 13ba), 및 제2 버스전극층(11bb, 13bb)의 3층 구조로 형성되고, 방전셀(7R, 7G, 7B)의 외곽 측에서는 제1 버스전극층(11ba, 13ba)의 1층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버스전극층(11ba, 13ba)은 외광 반사를 최소화하도록 흑색 재료로 형성되고, 제2 버스전극층(11bb, 13bb)은 통전성 향상을 위하여 Ag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명전극(11a, 13a)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버스전극층(11ba, 13ba) 및 제2 버스전극층(11bb, 13bb)은 투명전극(11a, 13a) 상에 형성되는 부분과 동일 재료로 형성되어 PDP의 제작 공정을 단순하게 한다.
즉, 본 발명은 PDP 제작시, 비방전 영역(A) 부분에도 버스전극(11, 13)과 동일 재료로 종래의 블랙 스트라이프에 해당되는 제1 버스전극층(11ba, 13ba)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이 블랙 스트라이프에 해당하는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을 거치게 않게 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의하면, 제1 버스전극층을 방전셀의 외곽측 투명전극 상(上)에 형성하거나, 이 투명전극의 측(側)에 형성하거나, 또는 투명전극의 상(上)과 측(側)에 걸쳐 형성하고, 이 제1 버스전극층의 방전셀 중심 측에 치우치게 제1 버스전극층의 폭보다 좁은 폭으로 제2 버스전극층을 설치하며, 또한 동일한 재료로 방전 영역과 비방전 영역에 같은 공정으로 버스전극을 형성함으로써,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제1 버스전극층으로 반 사 휘도를 개선하여 명실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고, 도전성이 높은 제2 버스전극층 간 거리를 멀게 하여 비방전 영역, 즉 인접한 방전셀의 버스전극 사이에서의 오방전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서로 대향 배치되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 상에 신장 형성되는 방전유지전극들;
    상기 방전유지전극들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2 기판 상에 신장 형성되는 어드레스전극들;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복수의 방전셀들을 형성하면서 상기 어드레스전극 신장 방향으로 인접한 방전셀들 사이에 공간을 두어 셀 구조의 비방전 영역을 형성하는 격벽들; 및
    상기 각 방전셀 내에 형성되는 형광체층;
    을 포함하며,
    상기 방전유지전극들은 어드레스전극 신장 방향과 교차하여 방전셀들에 형성되는 투명전극을 따라서 일측에 형성되는 버스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전극은 투명전극의 어드레스전극 신장 방향의 일측 선단에 어드레스전극 신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신장 형성되는 제1 버스전극층과, 이 제1 버스전극층 상에서 방전셀의 중심으로 치우쳐 형성되는 제2 버스전극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버스전극층 간의 간격은 상기 제2 버스전극층 간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버스전극층의 폭은 상기 제2 버스전극층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버스전극층의 전도성은 상기 제2 버스전극층의 전도성보다 낮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전극은 방전셀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고, 버스전극은 이 투 명전극들을 연결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스전극층의 두께는 제2 버스전극층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스전극층은 방전셀의 외곽 측 투명전극의 선단과 일치되는 구조 로 투명전극 상(上)에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스전극층은 방전셀의 외곽측 투명전극의 선단과 일치되는 구조로 투명전극 측(側)에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스전극층은 방전셀의 외곽측 투명전극의 선단으로부터 인접한 다른 방전셀을 향(向)하여 일부 신장 형성되고 일부 투명전극 상(上)에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0. 제 1 항 및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버스전극층은 제1 버스전극층의 방전셀 중심 측 선단과 일치되는 구조로 방전셀의 중심으로 치우쳐 제1 버스전극층 상(上)에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스전극층은 흑색 재료로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버스전극층은 은(Ag)을 재료로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유지전극은 방전셀의 외곽 측에서 투명전극, 제1 버스전극층, 및 제2 버스전극층의 3층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버스전극층의 방전셀 외곽 측 선단이 제1 버스전극층의 내측에 위치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유지전극은 방전셀의 중심 측에서 투명전극의 1층 구조로 형성되고, 방전셀의 외곽 측에서 이 투명전극의 측면에 연장하여 제1 버스전극층과 제2 버스전극층의 2층 버스전극 구조로 형성되며, 제2 버스전극층의 방전셀 외곽 측 선단이 제1 버스전극층의 내측에 위치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유지전극은 방전셀의 중심 측에서는 투명전극, 제1 버스전극층, 및 제2 버스전극층의 3층 구조로 형성되고, 방전셀의 외곽 측에서는 제1 버스전극층의 1층 구조로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040034681A 2004-05-17 2004-05-17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90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4681A KR100590079B1 (ko) 2004-05-17 2004-05-17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4681A KR100590079B1 (ko) 2004-05-17 2004-05-17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9701A KR20050109701A (ko) 2005-11-22
KR100590079B1 true KR100590079B1 (ko) 2006-06-14

Family

ID=37285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4681A KR100590079B1 (ko) 2004-05-17 2004-05-17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007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7487A (ko) * 2001-11-05 2003-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7487A (ko) * 2001-11-05 2003-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9701A (ko) 2005-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8043B2 (en) Plasma display panel enhancing a bright room contrast
KR20030060764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7887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6939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방법
US7372203B2 (en) Plasma display panel having enhanced luminous efficiency
US7728522B2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59007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7888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9010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6847166B2 (en) Plasma display panel with improved brightness and color purity
KR10056054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9003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9005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4335186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32208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9968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9007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9968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6792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8936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1235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4922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6932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50113828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20060273735A1 (en) Plasma display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