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4744A - 상용 차량의 연료캡 개폐 구조 - Google Patents

상용 차량의 연료캡 개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4744A
KR20050104744A KR1020040030138A KR20040030138A KR20050104744A KR 20050104744 A KR20050104744 A KR 20050104744A KR 1020040030138 A KR1020040030138 A KR 1020040030138A KR 20040030138 A KR20040030138 A KR 20040030138A KR 20050104744 A KR20050104744 A KR 20050104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opening
locking
fuel cap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0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8597B1 (ko
Inventor
윤상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0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8597B1/ko
Publication of KR20050104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4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8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85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406Filler caps for fuel tanks
    • B60K15/0409Provided with a l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2015/0458Details of the tank inlet
    • B60K2015/0461Details of the tank inlet comprising a filler pipe shutter, e.g. trap, door or flap for fuel in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용차량(예; 포터, 리베로, 대형 트럭 등)의 연료캡 개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 같은 본 발명은, 개폐스위치를 누른 상태에서 연료캡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열림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연료주입구의 내측부위로서 연료탱크와 넥 연결부위에는 연료 주입건에 의해 열림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주유가 종료시에는 자동 닫힘이 이루어지는 판막을 형성함으로써, 연료주입건과의 간섭 방지를 통해 연료의 주입이 보다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연료 주입시 연료캡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더불어 차량의 전복사고나 추돌사고로부터 연료캡이 강제적으로 열리더라도 판막의 자동 닫힘으로부터 연료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상용차량의 연료캡 개폐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상용 차량의 연료캡 개폐 구조{FUEL TANK CAP OPEN AND CLOSE STRUCTURE OF VEHICLE}
본 발명은 상용차량(예; 포터, 리베로, 대형 트럭 등)의 연료캡 개폐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개폐스위치를 누른 상태에서 연료캡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열림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연료캡의 분실을 방지함은 물론, 연료주입구의 내측부위로서 연료탱크와 넥 연결부위에는 연료 주입건에 의해 열림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주유가 종료시에는 자동 닫힘이 이루어지는 판막을 형성하여 차량의 전복사고나 추돌사고로부터 연료캡이 강제적으로 열리더라도 연료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상용차량의 연료캡 개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상용차량에 적용되는 연료캡은 그 개폐가 도시하지 않았지만 대부분이 나사선을 이용하여 회전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에따라, 종래에는 연료캡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해 연료캡을 브라켓에 리벳팅하여 고정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고정방식은 연료주입구로 연료주입건이 삽입될 때 브라켓에 리벳팅된 연료캡에 의해 간섭을 받으면서 연료의 주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불편함이 따랐다.
아울러, 종래에는 차량의 전복사고나 추돌사고로부터 연료캡의 열림이 강제적으로 이루어질 때 연료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부가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폐스위치를 누른 상태에서 연료캡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열림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연료주입구의 내측부위로서 연료탱크와 넥 연결부위에는 연료 주입건에 의해 열림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주유가 종료시에는 자동 닫힘이 이루어지는 판막을 형성함으로써, 연료주입건과의 간섭 방지를 통해 연료의 주입이 보다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연료 주입시 연료캡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전복사고나 추돌사고로부터 연료캡이 강제적으로 열리더라도 판막의 자동 닫힘으로부터 연료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상용차량의 연료캡 개폐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상용차량에 적용된 연료캡의 닫힘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상용차량에 적용된 연료캡의 록킹 해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상용차량에 적용된 연료캡의 열림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연료주입구(1)에는 힌지축(10)을 중심으로 개폐 회전이 이루어지는 연료캡(2)을 결합하되,
상기 연료주입구(1)의 상단부위 내측부위에는 록킹홈(1a)을 형성하고, 상기 연료캡(2)에는 T자형의 제 1 슬라이드홈(11)을 형성하며, 상기 제 1 슬라이드홈(11)에는 연료캡(2)의 열림회전을 위해 외부로부터 누름동작이 이루어지는 개폐스위치(12)를 형성하고, 상기 연료캡(2)의 하면에는 개폐스위치(2)의 누름동작시 연료캡(2)의 록킹을 해제하여 그 열림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개폐스위치(12)의 누름 해제시에는 연료캡(2)의 열림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록킹홈(1a)으로 록킹동작이 이루어지는 록킹부재를 형성하며, 상기 연료주입구(1)의 내측부위로서 연료탱크와 넥 연결부위에는 연료주입시에는 연료주입건(100)에 의해 열림회전하고 연료주입 종료시에는 자동으로 닫힘동작하여 연료의 외부 누출을 방지시키도록 힌지축(1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판막(20)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개폐스위치(12)는, 연료캡(2)의 외부면으로 노출되는 누름부(12a)와, 제 1 슬라이드홈(11)에 안착되면서 누름부(12a)에 의해 상하 유동하여 록킹부재의 록킹상태를 해제시키는 유동부(12b) 및, 상기 유동부(12b)의 유동범위를 제한하는 걸림부(12c)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록킹부재는, 제 2 슬라이드홈(31a)이 형성된 록킹지지프레임(31)과, 상기 록킹지지프레임(31)의 중심부위에 형성되어 개폐스위치(12)의 누름동작시 하방향으로 유동하는 누름쇠(32)와, 개폐스위치(12)의 누름동작 해제시에는 누름쇠(32)에 의해 록킹홈(1a)으로 록킹되어 연료캡(2)의 열림회전을 방지하고 누름쇠(32)가 하방향으로 유동시에는 록킹홈(1a)으로부터 록킹이 해제되어 연료캡(2)의 열림회전이 가능하도록 제 2 슬라이드홈(31a)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유동하는 걸림쇠(33)와, 개폐스위치(12)의 누름동작 해제시 걸림쇠(33)의 록킹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누름쇠(32)를 상방향으로 들어 올리는 제 1 스프링(34) 및, 개폐스위치(12)의 누름동작시 걸림쇠(33)의 록킹의 해제되도록 상기 걸림쇠(33)를 슬라이드 유동시키는 제 2 스프링(35)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누름쇠(32)는, 상단부위의 폭은 좁고 하단부위의 폭은 넓게 구성되도록 그 둘레면을 곡선처리된 경사면(32a)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판막(20)에는, 연료주입 종료시 자동 닫힘동작이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코일스프링(21)과, 상기 코일스프링(21)에 의한 자동 닫힘동작시 연료주입구(1)와의 밀폐성을 견고하게 유지시키는 걸림돌기(22)를 결합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연료캡(2)의 하단부위에는, 연료주입구(1)와의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고무패킹(40)을 결합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서와 같이 연료주입구(1)에 연료캡(2)이 닫힌 상태에서 연료주입을 위해, 상기 연료캡(2)에 결합된 개폐스위치(12)의 누름부(12a)를 누른다.
그러면, 상기 개폐스위치(12)의 걸림부(12c)는 연료캡(2)내의 제 1 슬라이드홈(11)으로부터 하방향 유동을 하게 되고, 상기 걸림부(12c)로부터 연장된 유동부(12b)는 록킹부재에 포함된 록킹지지프레임(31)내의 누름쇠(32)를 도 2에서와 같이 하방향으로 유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누름쇠(32)의 둘레면이 곡선처리되어 있으므로, 상기 누름쇠(32)의 하단 둘레면에 접촉되어 있던 걸림쇠(33)는 제 2 스프링(35)의 탄성력에 의해 제 2 슬라이드홈(31a)을 따라 유동하여 연료주입구(1)의 상단부위에 형성된 록킹홈(1a)으로부터 이탈된다.
따라서, 상기 록킹홈(1a)으로부터 걸림쇠(33)의 이탈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연료캡(2)은 힌지축(10)을 중심으로 그 열림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연료주입구(1)로 연료주입건(100)을 삽입하면, 상기 연료주입구(1)의 내측부위에 형성된 판막(20)은 도 3에서와 같이 힌지축(10)을 중심으로 열림회전이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연료주입건(100)을 통한 연료주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연료의 주입이 종료되어 연료주입건(100)을 연료주입구(1)로부터 이탈시키는 경우, 상기 판막(20)은 힌지축(10)에 체결된 코일스프링(21)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리턴되는 닫힘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판막(20)의 일단에 형성된 걸림돌기(22)가 연료주입구(1)의 끝단면과 밀착됨으로써, 차량의 전복사고나 추돌사고로부터 연료캡(2)의 강제 열림이 이루어지더라도 연료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였다.
이후, 상기 연료캡(2)을 힌지축(10)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닫힘동작시킨 후 개폐스위치(12)의 누름동작을 해제시키면, 상기 록킹지지프레임(31)의 중심부위에 형성된 누름쇠(32)는 제 1 스프링(34)의 탄성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유동하면서 개폐스위치(12)의 유동부(12b)를 밀어, 상기 개폐스위치(12)를 원래의 위치로 리턴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누름쇠(32)는 상단부위의 폭이 좁고 하단부위의 폭이 넓게 이루어지도록 그 둘레면에 곡선처리된 경사면(32a)을 형성하고 있는 바,
상기 누름쇠(32)의 상방향 유동으로부터 누름쇠(32)의 상단부위 둘레면에 접촉되고 있던 걸림쇠(33)는 누름쇠(32)의 경사면(32a)을 따라 폭이 넓은 누름쇠(32)의 하단부위와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접촉으로부터 상기 누름쇠(32)는 제 2 슬라이드홈(31a)을 따라 외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이루어지는 바, 상기 걸림쇠(32)의 일단은 연료주입구(1)의 상단부위에 형성된 록킹홈(1a)으로 삽입되어 록킹됨으로써, 상기 연료캡(2)은 도 1에서와 같은 닫힘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개폐스위치를 누른 상태에서 연료캡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열림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연료주입구의 내측부위로서 연료탱크와 넥 연결부위에는 연료 주입건에 의해 열림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주유가 종료시에는 자동 닫힘이 이루어지는 판막을 형성함으로써, 연료주입건과의 간섭 방지를 통해 연료의 주입이 보다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연료 주입시 연료캡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더불어 차량의 전복사고나 추돌사고로부터 연료캡이 강제적으로 열리더라도 판막의 자동 닫힘으로부터 연료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상용차량에 적용된 연료캡의 닫힘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상용차량에 적용된 연료캡의 록킹 해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상용차량에 적용된 연료캡의 열림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료주입구 1a; 록킹홈
2 ; 연료캡 10; 힌지축
11; 제 1 슬라이드홈 12; 개폐스위치
12a; 누름부 12b; 유동부
12c; 걸림부 20; 판막
21; 코일스프링 22; 걸림돌기
31; 록킹지지프레임 31a; 제 2 슬라이드홈
32; 누름쇠 32a; 경사면
33; 걸림쇠 34,35; 제 1,2 스프링
40; 고무패킹 100; 연료주입건

Claims (6)

  1. 연료주입구에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개폐 회전하는 연료캡을 결합하되,
    상기 연료주입구의 상단부 내측에는 록킹홈을 형성하고,
    상기 연료캡에는 T자형의 제 1 슬라이드홈을 형성하며,
    상기 제 1 슬라이드홈에는 연료캡의 열림회전을 위해 외부로부터 누름동작이 이루어지는 개폐스위치를 형성하고,
    상기 연료캡의 하면에는 개폐스위치의 누름동작시 연료캡의 록킹을 해제하여 그 열림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개폐스위치의 누름 해제시에는 연료캡의 열림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록킹홈으로 록킹동작이 이루어지는 록킹부재를 형성하며,
    상기 연료주입구의 내측부로서 연료탱크와 넥 연결부에는 연료주입시에는 연료주입건에 의해 열림회전하고 연료주입 종료시에는 자동으로 닫힘동작하여 연료의 외부 누출을 방지시키도록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판막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량의 연료캡 개폐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스위치는,
    연료캡의 외부면으로 노출되는 누름부와, 제 1 슬라이드홈에 안착되면서 누름부에 의해 상하 유동하여 록킹부재의 록킹상태를 해제시키는 유동부 및, 상기 유동부의 유동범위를 제한하는 걸림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량의 연료캡 개폐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는,
    제 2 슬라이드홈이 형성된 록킹지지프레임과,
    상기 록킹지지프레임의 중심부위에 형성되어 개폐스위치의 누름동작시 하방향으로 유동하는 누름쇠와,
    개폐스위치의 누름동작 해제시에는 누름쇠에 의해 록킹홈으로 록킹되어 연료캡의 열림회전을 방지하고 누름쇠가 하방향으로 유동시에는 록킹홈으로부터 록킹이 해제되어 연료캡의 열림회전이 가능하도록 제 2 슬라이드홈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유동하는 걸림쇠와,
    개폐스위치의 누름동작 해제시 걸림쇠의 록킹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누름쇠를 상방향으로 들어 올리는 제 1 스프링 및,
    개폐스위치의 누름동작시 걸림쇠의 록킹의 해제되도록 상기 걸림쇠를 슬라이드 유동시키는 제 2 스프링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량의 연료캡 개폐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쇠는,
    상단부위의 폭은 좁고 하단부위의 폭은 넓게 구성되도록 그 둘레면을 곡선처리된 경사면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량의 연료캡 개폐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막에는,
    연료주입 종료시 자동 닫힘동작이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코일스프링에 의한 자동 닫힘동작시 연료주입구와의 밀폐성을 견고하게 유지시키는 걸림돌기를 결합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량의 연료캡 개폐 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캡의 하단부위에는,
    연료주입구와의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고무패킹을 결합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량의 연료캡 개폐 구조.
KR10-2004-0030138A 2004-04-29 2004-04-29 상용 차량의 연료캡 개폐 구조 KR100528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0138A KR100528597B1 (ko) 2004-04-29 2004-04-29 상용 차량의 연료캡 개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0138A KR100528597B1 (ko) 2004-04-29 2004-04-29 상용 차량의 연료캡 개폐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4744A true KR20050104744A (ko) 2005-11-03
KR100528597B1 KR100528597B1 (ko) 2005-11-15

Family

ID=37282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0138A KR100528597B1 (ko) 2004-04-29 2004-04-29 상용 차량의 연료캡 개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85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6122A (ko) * 2016-11-18 2018-05-28 (주)Sy이노베이션 푸쉬버튼형 로킹장치
US10639987B2 (en) 2017-05-18 2020-05-05 Hyundai Motor Company Fuel cap opening/closing structure of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4767B1 (ko) * 2016-05-09 2022-05-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시동중 주유 방지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6122A (ko) * 2016-11-18 2018-05-28 (주)Sy이노베이션 푸쉬버튼형 로킹장치
US10639987B2 (en) 2017-05-18 2020-05-05 Hyundai Motor Company Fuel cap opening/closing structure of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8597B1 (ko) 2005-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1471B1 (ko)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JP2004535329A (ja) 燃料タンク補給管用クロージャシステム及び補給管の開放方法
JP5406158B2 (ja) 燃料タンクの開閉装置
JP2007153049A (ja) タンク用開閉装置
JP4858558B2 (ja) 燃料タンクの開閉装置
US20180363335A1 (en) Door locking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door from opening during side collision
JP4449725B2 (ja) 片開きボトル
JP2006507120A5 (ko)
JP2017007742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KR100528597B1 (ko) 상용 차량의 연료캡 개폐 구조
JP3143600B2 (ja) 車両の車内鍵忘れ防止装置
KR20100095624A (ko) 로킹 기구를 갖는 무캡형 급유 시스템 커버
TWI686333B (zh) 蓋體及附蓋容器
JP4692360B2 (ja) タンク用開閉装置
JP5741237B2 (ja) 燃料タンクの給油部構造
KR100513874B1 (ko) 자동차용 연료주입구의 개폐장치
WO2012049749A1 (ja) 燃料タンクの給油部構造
KR101593933B1 (ko) 자동차용 연료 주유구 덮개
KR100462803B1 (ko) 자동차용 연료 주유구 캡
JPH11141212A (ja) 車両スライド扉と給油蓋
KR200184765Y1 (ko) 자동차의 일체형 연료필러캡
JP7161339B2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JP2003146093A (ja) フィラーキャップ構造
KR100475823B1 (ko) 연료 도어 시스템
GB2459276A (en) Oil cap assembly for an oil ta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