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3874B1 - 자동차용 연료주입구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연료주입구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3874B1
KR100513874B1 KR10-2003-0027161A KR20030027161A KR100513874B1 KR 100513874 B1 KR100513874 B1 KR 100513874B1 KR 20030027161 A KR20030027161 A KR 20030027161A KR 100513874 B1 KR100513874 B1 KR 100513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uel
pipe
pillar
inne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7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3289A (ko
Inventor
김성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7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3874B1/ko
Publication of KR20040093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3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3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38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406Filler caps for fuel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406Filler caps for fuel tanks
    • B60K2015/0419Self-sealing closure caps, e.g. that don't have to be removed manually
    • B60K2015/0422Self-sealing closure caps, e.g. that don't have to be removed manually actuated by the inlet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2015/0458Details of the tank inlet
    • B60K2015/0461Details of the tank inlet comprising a filler pipe shutter, e.g. trap, door or flap for fuel in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15Arrangements for closing or opening of inlet co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연료주입구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료를 주입하고자 필라도어를 열면 연료주입구 안에 있던 연료파이프가 소정길이만큼 외부로 인출되어 연료주입을 편리하게 하는 한편, 필라도어가 강제로 열렸을 때는 파이프 내부에 설치된 록킹수단에 의해 연료의 도난이 방지되도록 한 자동차용 연료주입구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연료주입구의 개폐장치{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of automobile fuel filler}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연료주입구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료를 주입하고자 필라도어를 열면 연료주입구 안에 있던 연료파이프가 소정길이만큼 외부로 인출되어 연료주입을 편리하게 하는 한편, 필라도어가 강제로 열렸을 때는 파이프 내부에 설치된 내부도어가 잠기도록 함으로써 연료의 도난이 방지되도록 한 자동차용 연료주입구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연료를 주입하기 위해 홈의 형태로 이루어진 연료주입구가 마련되어 있는 바, 연료주입구는 차체의 좌측이나 우측 중 어느 한쪽에 위치되고 연료탱크와 연결된 연료파이프의 입구를 연료캡으로써 밀폐시키고 있으며 그 연료캡이 수용되도록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연료캡이 마련된 연료주입구를 커버하기 위하여 연료주입구에는 록킹장치가 제공되는 필라도어가 힌지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1은 일반적인 차량의 연료주입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2는 종래 연료주입구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2에서 보면, 자동차 바디에는 홈의 형태로 이루어진 소정의 연료주입구(10)가 마련되고 연료주입구(10)의 내측에는 연료탱크(미도시)와 연결되어 실질적으로 연료가 주입되는 연료파이프(1)가 마련되며, 상기 연료파이프(1)의 끝단에는 연료캡(2)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연료캡(2) 및 연료파이프(1)가 마련된 연료주입구(10)를 커버하기 위하여 상기 연료주입구(10)의 최외측에는 필라도어(20)가 마련된다. 상기 필라도어(20)는 그 일측 끝단(20a)이 연료주입구(10)의 내벽에 설치된 힌지브래킷(11)에 힌지(21)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힌지(21)는 구즈넥(goose neck) 타입으로서 구즈넥 타입의 힌지는 차체(10a)의 굴곡이 심하여 힌지 회전축(21a)을 필라도어(20) 상에 위치시킬 수 없거나 필라도어(20)의 형상이 원형일 때 주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힌지(21)와 접촉되는 힌지브래킷(11)의 일측에는 팝업스프링(12)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팝업스프링(12)은 상기 필라도어(20)가 닫힐 때 팝업스프링(12) 쪽으로 접근하는 힌지(21)에 의해 변형되어 탄성반발력이 저장된다. 즉, 상기 필라도어(20)에 가해지던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팝업스프링(12)의 탄성반발력이 힌지(21)에 전달되어 상기 필라도어(20)가 개방된다.
한편, 상기 힌지(21)가 연결된 상기 필라도어(20) 일측의 반대쪽인 필라도어 타측(20b)에는 연료주입구의 걸림수단(13)에 걸리는 걸림부(2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필라도어의 타측(20b)에 형성된 걸림부(22)가 상기 연료주입구 걸림수단(13)에 걸리는 걸림력은 상기 팝업스프링(12)이 필라도어의 힌지(21)에 가해지는 힘과 평형을 이룬다.
또한, 상기 필라도어(20)의 타측 끝단에는 필라도어(20)가 닫힐 때 차체(10a)와 충돌됨으로써 받게 되는 충격을 줄이기 위해 고무재질의 충격흡수부재(23)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필라도어(20)는 그 타측 끝단이 차체(10a)와의 사이에서 일정한 갭(g)을 유지하여야만 필라도어(20)가 차체(10a)에 걸리지 않고 자유롭게 회동될 수 있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종래의 연료주입구 개폐장치에서는 연료파이프가 연료주입구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주유기를 사용하여 연료파이프에 주유를 하고자 할 때, 주위와 간섭되어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주유기에서 흘러나온 연료가 주위를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종래의 연료주입구 개폐장치는 주유할 때 필라도어를 개방시킨 후, 연료캡을 다시 열어야 하므로 매우 불편한 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연료주입구 개폐장치에서는 연료를 침탈하고자 하는 자가 필라도어를 강제로 개방하게 되면 그 후에는 별다른 어려움없이 연료를 침탈할 수 있어서 연료의 도난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필라도어를 열면 연료파이프가 소정길이만큼 외부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주유를 편리하게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이프 내에 별도의 내부도어를 설치함으로써 종래 캡을 열고 닫아야 했던 불편함에서 벗어날 수 있고, 무엇보다도 정상적인 경로로 필라도어가 개방되지 않으면 내부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하여 연료의 도난을 방지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체 일측에 홈의 형태로 이루어진 연료주입구를 커버하도록 힌지 회동되는 필라도어와, 상기 연료주입구 안에 설치되어 필라도어에 의해 커버되는 연료파이프와, 상기 연료주입구가 개폐 가능하도록 연료주입구 일측에서 필라도어를 록킹하는 록킹수단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연료주입구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라도어와 일체로 형성되어 스프링에 의해 필라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받으며, 필라도어가 닫힐 때는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을 이기고 상기 록킹수단에 걸리도록 된 필라도어 걸림부; 상기 연료파이프 상에서 슬라이딩되어 연료주입구 외부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된 보조파이프; 상기 보조파이프가 연료주입구 외부로 돌출 가능하도록 보조파이프에 탄성 외력을 제공하는 파이프인출수단; 상기 필라도어가 개방되면 그 필라도어에 연동하여 파이프인출수단이 보조파이프를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필라도어 걸림부 일측과 상기 파이프인출수단 일측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연료주입구의 개폐장치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작동 전 상태의 개략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작동 후 상태의 개략도이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장치를 설명하면, 차체 일측에는 홈의 형태로 이루어진 연료주입구(100)가 마련되고, 그 연료주입구(100)를 커버하기 위해 연료주입구(100) 주위의 차체 일측에는 필라도어(110)가 힌지(h)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필라도어(110)의 일측에는 차체 내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필라도어 걸림부(111)가 필라도어(110)와 일체로 형성되는데, 상기 필라도어 걸림부(111)는 필라도어(110)의 회전 중심축이 되는 힌지(h)를 중심으로 필라도어(110)와 일체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필라도어 걸림부(111)와 차체(101) 사이에는 상기 필라도어(11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필라도어스프링(112)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필라도어 걸림부(111)가 상기 필라도어스프링(112)의 복원력을 이기고 상기 필라도어(110)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 상기 필라도어 걸림부(111)에 록킹수단(120)의 걸림쇠(121)가 걸려 상기 필라도어(110)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록킹수단(120)은 상기 필라도어 걸림부(111)에 걸리도록 된 걸림쇠(121)와, 상기 걸림쇠(121)가 필라도어 걸림부(111)를 향해 돌출되도록 하는 스프링(122) 및 상기 필라도어 걸림부(111)로부터 걸림쇠(121)가 해제되도록 당기는 와이어(123)로 구성되는데, 이때의 록킹수단(120)은 공지의 것이다.
한편, 상기 연료주입구(100) 안에는 연료탱크(미도시)와 연결된 연료파이프(130)가 고정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연료파이프(130)에는 연료주입구(100) 외부로 돌출 가능하게 연장되는 보조파이프(14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보조파이프(140)는 연료파이프(130)로부터 인출되어 연료주입구(100) 외부로 돌출되기도 하며, 연료파이프(130) 상에서 슬라이딩되어 연료주입구(100) 안으로 삽입되기도 한다.
또한, 상기 보조파이프(140)의 일측에는 상기 보조파이프를 연료주입구(100) 외부로 돌출시키기 위한 파이프인출수단(150)이 설치되는데, 상기 파이프인출수단(150)은 상기 보조파이프(140)가 연료주입구(100) 외부로 돌출되도록 그 보조파이프(140)에 외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51)과, 상기 스프링(151)의 외력이 보조파이프(140)에 전달되도록 그 보조파이프(140)와 연결된 로드(152)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파이프인출수단(150)이 상기 필라도어(110)의 회동과 연동되어 작동될 수 있도록 상기 필라도어 걸림부(111)의 일측과 상기 파이프인출수단(150)의 일측 사이에는 연결부재(160)가 연결된다.
즉, 상기 필라도어(110)가 열리는 쪽으로 회동되면, 상기 보조파이프(140)는 파이프인출수단(150)의 스프링(151) 힘에 의하여 연료주입구(100)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필라도어(110)가 닫히는 쪽으로 회동되면, 상기 보조파이프(140)는 파이프인출수단(150)에 연결된 연결부재(160)에 의하여 당겨져 연료주입구(100) 내부로 삽입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파이프인출수단(150)의 스프링(151)은 상기 연결부재(160)에 의하여 억지로 인장되어 그 스프링(151)에는 상기 보조파이프(140)를 돌출시키려는 복원력이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160)는 통상의 로드나 와이어이면 족한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경로가 꺽이는 곳에는 와이어를 회전롤러(161)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필라도어(110)를 열고 닫을 때, 상기 연결부재(160)와 연결된 파이프인출수단(150)에 의하여 상기 보조파이프(140)가 연료주입구(100) 상에서 돌출되거나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이상과 같은 기본 구성에 다음과 같은 구성이 더 포함되도록 하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파이프(140) 내부에 파이프의 직경과 맞먹는 내부도어(141)가 힌지(h)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그 내부도어(141)에는 내부도어(141)를 외측으로 당기는 스프링(142)이 설치되도록 하여 보조파이프(140)의 내부로 삽입되는 주유기(미도시)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내부도어(141)가 회동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내부도어(141)의 외부 일측에는 상기 내부도어(141)가 바깥을 향하여 제한된 범위 외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퍼(143)가 설치되는데, 상기 스톱퍼(143)와 상기 내부도어(141)가 서로 밀착되어 연료파이프(130)를 통하여 내부의 연료증발가스가 대기중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상기 내부도어(141)는 자석에 붙는 자성체로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스톱퍼(143)는 자성체인 내부도어(141)가 붙도록 자석으로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부도어(141)와 보조파이프(140)의 틈새를 통해 연료증발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내부도어(141)의 테두리에는 시일러(144)가 설치되면 더욱 좋다.
한편, 상기 내부도어(141)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내부도어(141)가 안쪽으로 열리는 것을 제한하는 내부도어록킹수단(170)이 설치되는데, 상기 내부도어록킹수단(170)은 내부도어(141)에 직접 걸려서 내부도어(141)의 개방을 제한하는 걸림턱(171)과, 상기 걸림턱(170)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차체(101)에 고정되며 중간이 꺽임 가능하도록 된 링크부(172)와, 상기 보조파이프(140)가 인출될 때 상기 걸림턱(170)이 보조파이프(140)로부터 해제되도록 상기 링크부(172)와 파이프인출수단(150) 사이에 설치된 로드부(173)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보조파이프(140)가 인출되지 못하도록 파이프인출수단(150)을 잡아당기고 있던 연결부재(와이어)(160)가 느슨해지면, 상기 보조파이프(140)는 파이프인출수단(150)에 의하여 연료주입구(100)에서 돌출되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이와 연동하여 파이프인출수단(150)과 연결되어 있던 로드부(173)에 의하여 상기 링크부(172)가 꺽여지면서 상기 걸림턱(171)은 보조파이프(140)로부터 빠져 나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파이프(140)에 삽입 가능하게 구성된 걸림턱(171)의 주된 기능은 상기 내부도어(141)가 안쪽으로 열리지 못하도록 하는 것인데, 이 기능은 필러도어(110)가 뜻하지 않은 외력에 의하여 강제로 개방되었을 때, 상기 보조파이프(140)를 폐쇄하도록 함으로써 연료가 도난당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만약, 연료를 침탈하고자 하는 자가 지렛대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필라도어(110)를 강제로 열게 되면, 필라도어(110)는 힌지(h) 부근이 상대적으로 약하여 파단되면서 연료주입구(100)가 개방된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에서는 상기 보조파이프(140)가 파이프인출수단(150)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지 않았기 때문에 보조파이프(140) 내부에 마련된 내부도어(141)는 내부도어록킹수단(170)의 걸림턱(171)에 걸려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파이프(140)에 연료 침탈을 위한 호스를 넣고자 하여도 내부도어(141)에 의해 걸려 연료의 침탈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정상적인 경로로 상기 필라도어(110)를 개방하게 되면, 즉, 상기 필라도어 걸림부(111)에 걸려 있는 록킹수단(120)을 록킹해제하게 되면, 필라도어 걸림부(111)가 필라도어스프링(112)의 복원력에 의하여 회동되면서 그와 연결되어 당기고 있던 연결부재(와이어)(160)를 느슨하게 하여 상기 파이프인출수단(150)이 원래 위치로 복원된다.
상기 파이프인출수단(150)이 원래 위치로 복원됨과 동시에 상기 보조파이프(140)는 연료주입구(100) 밖으로 돌출되기 위해 움직이고, 상기 파이프인출수단(150)의 이동과 연동하여 상기 내부도어록킹수단(170) 또한 록킹 해제되어, 상기 보조파이프(140)는 연료주입구(100) 외부로 소정길이만큼 돌출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주유기를 보조파이프(140)를 통해 밀어 넣으면 주유기의 선단이 상기 내부도어(141)를 안쪽으로 회동시켜 연료의 주유가 가능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연료주입구의 개폐장치에 의하면, 연료를 주입하고자 할 때 보조파이프가 필라도어와 연동하여 자동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외부로 돌출되기 때문에 주유가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필라도어가 파괴되어 연료주입구가 개방되더라도 보조파이프 내부에 있는 내부도어가 록킹되어 있으므로 연료침탈자에 의하여 연료를 도난당하는 일이 예방되는 부수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위와 같은 내부도어에 의하여 종래의 캡이 필요없으므로 주유를 하고자 할때 종래와 같이 손으로 캡을 돌려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는 장점이 있다.
도1은 일반적인 차량의 연료주입구를 나타낸 도면,
도2는 종래 연료주입구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작동 전 상태의 개략도,
도4는 본 발명의 작동 후 상태의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연료주입구 110 : 필라도어
111 : 필라도어 걸림부 120 : 록킹수단
130 : 연료파이프 140 : 보조파이프
141 : 내부도어 150 : 파이프인출수단
160 : 연결부재(와이어) 170 : 내부도어록킹수단
171 : 걸림턱 172 : 링크부
173 : 로드부

Claims (5)

  1. 차체 일측에 홈의 형태로 이루어진 연료주입구(100)를 커버하도록 힌지 회동되는 필라도어(110)와, 상기 연료주입구(100) 안에 설치되어 필라도어(110)에 의해 커버되는 연료파이프(130)와, 상기 연료주입구(100)가 개폐 가능하도록 연료주입구(100) 일측에서 필라도어(110)를 록킹하는 록킹수단(120)과, 상기 필라도어(110)와 일체로 형성되어 필라도어스프링(112)에 의해 필라도어(11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받으며, 필라도어(110)가 닫힐 때는 상기 필라도어스프링(112)의 복원력을 이기고 상기 록킹수단(120)에 걸리도록 된 필라도어 걸림부(111)와, 상기 연료파이프(130) 상에서 슬라이딩되어 연료주입구(100) 외부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된 보조파이프(140)와, 상기 보조파이프(140)가 연료주입구(100) 외부로 돌출 가능하도록 보조파이프(140)에 탄성 외력을 제공하는 파이프인출수단(150)과, 상기 필라도어(110)가 개방되면 그 필라도어(110)에 연동하여 파이프인출수단(150)이 보조파이프(140)를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필라도어 걸림부(111) 일측과 상기 파이프인출수단(150) 일측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160)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연료주입구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조파이프(140)의 내부에는 삽입되는 주유기에 의해 탄력적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내부도어(141)가 마련되고, 상기 내부도어(141)의 외부 일측에는 상기 내부도어(141)가 바깥으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143)가 설치되며, 상기 내부도어(141)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파이프인출수단(150)과 연동되어 내부도어(141)가 안으로 회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내부도어록킹수단(17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연료주입구(100)의 개폐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도어록킹수단(170)은 상기 내부도어(141)의 개방을 제한하는 걸림턱(171)과, 상기 걸림턱(171)과 연결되며 중간이 꺽임 가능하도록 된 링크부(172)와, 상기 링크부(172)의 중간과 상기 파이프인출수단(150) 사이에 연결되는 로드부(17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연료주입구의 개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도어(141)의 테두리에는 연료증발가스가 내부도어(141)와 보조파이프(140)의 틈새를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시일러(14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연료주입구의 개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도어(141)는 자석에 붙는 자성체이고, 상기 스톱퍼(143)는 자석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연료주입구의 개폐장치.
KR10-2003-0027161A 2003-04-29 2003-04-29 자동차용 연료주입구의 개폐장치 KR100513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7161A KR100513874B1 (ko) 2003-04-29 2003-04-29 자동차용 연료주입구의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7161A KR100513874B1 (ko) 2003-04-29 2003-04-29 자동차용 연료주입구의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3289A KR20040093289A (ko) 2004-11-05
KR100513874B1 true KR100513874B1 (ko) 2005-09-09

Family

ID=37373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7161A KR100513874B1 (ko) 2003-04-29 2003-04-29 자동차용 연료주입구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38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745Y1 (ko) * 2011-05-24 2013-07-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파이프 개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913B1 (ko) * 2013-08-26 2015-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연료주유구 장치
GB2553380A (en) * 2016-09-01 2018-03-07 Tata Motors European Technical Ct Plc Vehicle refuelling point assembly
KR102579355B1 (ko) * 2018-09-11 2023-09-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필러도어의 개폐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31423A (en) * 1980-03-17 1981-10-15 Yamaha Motor Co Ltd Structure of intake port of fuel tank for vehicle
JPH04108035A (ja) * 1990-08-24 1992-04-09 Toyoda Gosei Co Ltd 燃料注入口
JPH07329585A (ja) * 1994-06-13 1995-12-19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の燃料給油口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31423A (en) * 1980-03-17 1981-10-15 Yamaha Motor Co Ltd Structure of intake port of fuel tank for vehicle
JPH04108035A (ja) * 1990-08-24 1992-04-09 Toyoda Gosei Co Ltd 燃料注入口
JPH07329585A (ja) * 1994-06-13 1995-12-19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の燃料給油口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745Y1 (ko) * 2011-05-24 2013-07-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파이프 개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3289A (ko) 2004-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3874B1 (ko) 자동차용 연료주입구의 개폐장치
KR100489123B1 (ko) 필러 캡이 일체로 형성된 필러 도어
KR19990003290U (ko) 플랩 밸브가 내장된 차량의 연료 주입구
KR100716351B1 (ko) 차량의 연료캡구조
KR100428213B1 (ko) 필러도어의 잠금장치
KR20070055146A (ko) 자동차의 연료캡 분실방지구조
KR200242541Y1 (ko) 자동차용 연료 필러 도어 개폐 장치
KR100527144B1 (ko) 자동차의 연료주입장치
KR100851717B1 (ko) 퓨얼필러캡장치
KR100580361B1 (ko) 캡 분실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연료캡 구조
KR20030097215A (ko) 연료주입구의 캡 분실방지장치
KR100957089B1 (ko) 자동차의 연료캡 분실방지구조
KR20040055252A (ko) 캡 분실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연료주입구 구조
KR100528597B1 (ko) 상용 차량의 연료캡 개폐 구조
KR20050047830A (ko) 자동차용 연료주입구의 수동개폐구조
KR0124272Y1 (ko) 자동차의 연료 주입구 도어 개폐장치
KR20070032590A (ko) 차량용 연료캡 분실방지장치
KR20180126698A (ko) 차량의 연료캡 개폐 구조
KR100557326B1 (ko) 차량용 연료 주유구 어셈블리
KR100570042B1 (ko) 자동차의 연료필러도어 개폐구조
KR100448062B1 (ko) 소형왜건 차량의 연료주입구 구조
KR20090062519A (ko) 자동차용 연료 도어
KR100957088B1 (ko) 차량의 연료주입구 개폐구조
KR200197203Y1 (ko) 연료필러 캡 조립체
KR19980024394U (ko) 연료 공급용 도어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