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3933B1 - 자동차용 연료 주유구 덮개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연료 주유구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3933B1
KR101593933B1 KR1020140169677A KR20140169677A KR101593933B1 KR 101593933 B1 KR101593933 B1 KR 101593933B1 KR 1020140169677 A KR1020140169677 A KR 1020140169677A KR 20140169677 A KR20140169677 A KR 20140169677A KR 101593933 B1 KR101593933 B1 KR 101593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cover
fuel
sealing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9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한
Original Assignee
이규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한 filed Critical 이규한
Priority to KR1020140169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39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3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3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406Filler caps for fuel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연료 주유구 덮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한 주유구커버의 개폐동작으로 주유구 덮개가 동시에 개폐되므로 주유구 덮개를 열기 위한 별도의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고, 주유구커버와 몸체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주유구 덮개의 개폐구조가 단순하며, 밀폐 홀더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선 형태의 걸림홈에 밀폐 실리콘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가 외부에서 미는 힘에 의해 이동되어 밀폐 홀더의 걸림홈에 밀착되어 주유구 덮개가 닫히고, 홀더 스프링과 락 풀림 스프링의 동시 동작에 의해 걸림돌기가 밀폐 홀더의 걸림홈에서 빠져서 주유구 덮개가 열리므로 주유구 덮개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연료가스의 배출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밀폐 홀더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과 주유구케이스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 밀폐 실리콘의 내부와 외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가 외부에서 미는 힘에 의해 이동되어 밀폐 홀더의 걸림홈과 주유구케이스의 홈에 밀착되어 주유구 덮개가 닫히고, 홀더 스프링과 락 풀림 스프링의 동시 동작에 의해 걸림돌기가 밀폐 홀더의 걸림홈과 주유구케이스의 홈에서 빠져서 주유구 덮개가 열리므로 주유구 덮개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료가스의 배출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연료공급 마개 스프링에 의해 주유구 덮개 내부에 잔존하는 가스를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연료 주유구 덮개{Fuel filler cap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한 주유구커버의 개폐동작으로 주유구 덮개가 동시에 개폐되므로 주유구 덮개를 열기 위한 별도의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고, 주유구커버와 몸체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주유구 덮개의 개폐구조가 단순하며, 밀폐 홀더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선 형태의 걸림홈에 밀폐 실리콘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가 외부에서 미는 힘에 의해 이동되어 밀폐 홀더의 걸림홈에 밀착되어 주유구 덮개가 닫히고, 홀더 스프링과 락 풀림 스프링의 동시 동작에 의해 걸림돌기가 밀폐 홀더의 걸림홈에서 빠져서 주유구 덮개가 열리므로 주유구 덮개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연료가스의 배출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밀폐 홀더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과 주유구케이스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 밀폐 실리콘의 내부와 외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가 외부에서 미는 힘에 의해 이동되어 밀폐 홀더의 걸림홈과 주유구케이스의 홈에 밀착되어 주유구 덮개가 닫히고, 홀더 스프링과 락 풀림 스프링의 동시 동작에 의해 걸림돌기가 밀폐 홀더의 걸림홈과 주유구케이스의 홈에서 빠져서 주유구 덮개가 열리므로 주유구 덮개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료가스의 배출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연료공급 마개 스프링에 의해 주유구 덮개 내부에 잔존하는 가스를 배출할 수 있는 자동차용 연료 주유구 덮개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체(1)의 아웃터 패널(2) 일측면에 연료 주유구를 개폐시키는 커버(5)가 설치되어 있고, 그 커버(5)의 내측에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료 주유구(3)를 밀폐시키는 주유구 캡(4)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커버(5)의 일측은 아웃터 패널(1)에 결합된 베이스 플레이트(7)의 내부에 힌지(7a)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의 내부에는 커버(5)가 원활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스프링(8)이 탄력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와 결합된 커버(5)의 타측에는 걸림돌기(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아웃터 패널(2)에는 커버(5)가 열려지지 않도록 걸림돌기(6)와 결합되는 스토퍼(9)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스토퍼(9)는 운전석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운전석의 일측에 설치된 레버(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연료탱크에 연료를 주유할 때는 운전석에 설치된 레버를 작동시키면 스토퍼(9)가 아웃터 패널(2)의 내부로 이동되면서 커버(5)에 형성된 걸림돌기(6)와 결합력이 해제되므로 상기 커버(5)는 베이스 플레이트(7)의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8)의 복원력에 힌지(7a)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연료 주유구(3)를 밀폐시키고 있는 주유구 캡(4)이 노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노출된 주유구 캡(4)을 열면 연료 주유구(3)가 개방되므로 연료의 주유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과정을 통하여 연료의 주유가 완료되면 연료 주유구(3)가 닫혀지도록 주유구 캡(4)을 결합한 후 커버(5)를 닫은 상태에서 주행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주유구 캡(4)은 커버(5)와 별도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주유원의 부주의로 주유구 캡(4)을 결합하지 않을 경우에는 주유구 캡(4)을 분실하게 되었으며, 주유구 캡(4)을 완전히 결합하지 않거나 주유구 캡(4)을 분실한 상태에서 주행을 할 경우에는 연료탱크에 주유된 연료가스의 배출을 방지할 수 없게 되어 대기를 오염시키게 될 뿐 아니라 자동차의 진동이나 충격시에 연료가 유실되어 화재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한 주유구커버의 개폐동작으로 주유구 덮개가 동시에 개폐되므로 주유구 덮개를 열기 위한 별도의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고, 주유구커버와 몸체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주유구 덮개의 개폐구조가 단순하며, 밀폐 홀더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선 형태의 걸림홈에 밀폐 실리콘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가 외부에서 미는 힘에 의해 이동되어 밀폐 홀더의 걸림홈에 밀착되어 주유구 덮개가 닫히고, 홀더 스프링과 락 풀림 스프링의 동시 동작에 의해 걸림돌기가 밀폐 홀더의 걸림홈에서 빠져서 주유구 덮개가 열리므로 주유구 덮개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연료가스의 배출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연료 주유구 덮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KR 10-2001-0035526(2001. 6. 2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착상된 것으로서,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한 주유구커버의 개폐동작으로 주유구 덮개가 동시에 개폐되므로 주유구 덮개를 열기 위한 별도의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는 자동차용 연료 주유구 덮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유구커버와 몸체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주유구 덮개의 개폐구조가 단순한 자동차용 연료 주유구 덮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밀폐 홀더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선 형태의 걸림홈에 밀폐 실리콘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가 외부에서 미는 힘에 의해 이동되어 밀폐 홀더의 걸림홈에 밀착되어 주유구 덮개가 닫히고, 홀더 스프링과 락 풀림 스프링의 동시 동작에 의해 걸림돌기가 밀폐 홀더의 걸림홈에서 빠져서 주유구 덮개가 열리므로 주유구 덮개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연료가스의 배출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연료 주유구 덮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밀폐 홀더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과 주유구케이스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 밀폐 실리콘의 내부와 외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가 외부에서 미는 힘에 의해 이동되어 밀폐 홀더의 걸림홈과 주유구케이스의 홈에 밀착되어 주유구 덮개가 닫히고, 홀더 스프링과 락 풀림 스프링의 동시 동작에 의해 걸림돌기가 밀폐 홀더의 걸림홈과 주유구케이스의 홈에서 빠져서 주유구 덮개가 열리므로 주유구 덮개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료가스의 배출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연료 주유구 덮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료공급 마개 스프링에 의해 주유구 덮개 내부에 잔존하는 가스를 배출할 수 있는 자동차용 연료 주유구 덮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연료 주유구 덮개는 주유구 케이스와; 상기 주유구 케이스 내부의 일측면과 주유구커버 홀더가 결합되고, 주유구커버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힌지가 주유구커버 홀더와 홀더 스프링 및 홀더 핀에 의해서 결합되며, 홀더 스프링이 주유구커버 홀더의 뒷부분에 결합되고, 홀더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힌지의 중심으로 회전되게 하며, 주유구커버의 타측면에 위치하는 주유구커버 락 홀더에 스토퍼가 삽입되거나 빠지게 되면 주유구커버가 닫히거나 열리게 되는 것을 포함하는 주유구커버부와; 상기 주유구커버부의 가이드 스프링과 가이드 핀에 의해 주유구 마개 가이드 홀더와 주유구 마개 가이드홀더 커버가 결합되고, 밀폐 실리콘의 내부로 삽입되는 밀폐홀더에 연료 공급 마개 스프링과 연료 공급 마개와 락 풀림 스프링이 순차적으로 삽입된 다음 밀폐 가이드가 밀폐 실리콘에 끼워지며, 상기 밀폐 가이드와 주유구 마개 가이드 홀더가 결합되는 것을 포함하는 몸체부;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주유구 덮개는 주유구커버부와 몸체부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고, 상기 주유구 덮개는 주유구 케이스와 결합되어 사용되며,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한 주유구커버의 개폐동작으로 주유구 덮개가 동시에 개폐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내부에 장착되는 연료공급 마개 스프링에 의해 주유구 덮개 내부에 잔존하는 가스를 배출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내부에 장착되는 밀폐 홀더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선 형태의 걸림홈에 밀폐 실리콘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가 외부에서 미는 힘에 의해 이동되어 밀폐 홀더의 걸림홈에 밀착되어 주유구 덮개가 닫히고, 홀더 스프링과 락 풀림 스프링의 동시 동작에 의해 걸림돌기가 밀폐 홀더의 걸림홈에서 빠져서 주유구 덮개가 열리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내부에 장착되는 밀폐 홀더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과 주유구케이스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 밀폐 실리콘의 내부와 외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가 외부에서 미는 힘에 의해 이동되어 밀폐 홀더의 걸림홈과 주유구케이스의 홈에 밀착되어 주유구 덮개가 닫히고, 홀더 스프링과 락 풀림 스프링의 동시 동작에 의해 걸림돌기가 밀폐 홀더의 걸림홈과 주유구케이스의 홈에서 빠져서 주유구 덮개가 열리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내부에 장착되는 밀폐 실리콘에는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가 있거나 또는 내부와 외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가 있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자동차용 연료 주유구 덮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은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한 주유구커버의 개폐동작으로 주유구 덮개가 동시에 개폐되므로 주유구 덮개를 열기 위한 별도의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
둘째, 본 발명은 주유구커버와 몸체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주유구 덮개의 개폐구조가 단순하다.
셋째, 본 발명은 밀폐 홀더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선 형태의 걸림홈에 밀폐 실리콘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가 외부에서 미는 힘에 의해 이동되어 밀폐 홀더의 걸림홈에 밀착되어 주유구 덮개가 닫히고, 홀더 스프링과 락 풀림 스프링의 동시 동작에 의해 걸림돌기가 밀폐 홀더의 걸림홈에서 빠져서 주유구 덮개가 열리므로 주유구 덮개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연료가스의 배출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은 밀폐 홀더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과 주유구케이스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 밀폐 실리콘의 내부와 외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가 외부에서 미는 힘에 의해 이동되어 밀폐 홀더의 걸림홈과 주유구케이스의 홈에 밀착되어 주유구 덮개가 닫히고, 홀더 스프링과 락 풀림 스프링의 동시 동작에 의해 걸림돌기가 밀폐 홀더의 걸림홈과 주유구케이스의 홈에서 빠져서 주유구 덮개가 열리므로 주유구 덮개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료가스의 배출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연료공급 마개 스프링에 의해 주유구 덮개 내부에 잔존하는 가스를 배출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연료 주유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연료 주유구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연료 주유구 덮개가 닫힌 형상과, 주유구 덮개의 수평단면(A-A)과 수직단면(B-B)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연료 주유구 덮개가 열린 형상과, 주유구 덮개의 수평단면(A-A)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연료 주유구 덮개의 구성부품을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
도 7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연료 주유구 덮개의 동작용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연료 주유구 덮개의 구성부품 중에서 밀폐 실리콘의 형태(a 내지 f)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인 자동차용 연료 주유구 덮개를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연료 주유구 덮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연료 주유구 덮개가 닫힌 형상과, 주유구 덮개의 수평단면(A-A)과 수직단면(B-B)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연료 주유구 덮개가 열린 형상과, 주유구 덮개의 수평단면(A-A)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연료 주유구 덮개의 구성부품을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7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연료 주유구 덮개의 동작용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연료 주유구 덮개의 구성부품 중에서 밀폐 실리콘의 형태(a 내지 f)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인 자동차용 연료 주유구 덮개(40)는 주유구케이스(10), 주유구 홈(11), 주유구커버부(20), 주유구커버(21), 힌지(22), 스토퍼(23), 주유구커버 홀더(24), 홀더 핀(25), 홀더 스프링(26), 가이드 스프링(27), 가이드 핀(28), 주유구커버 락 홀더(29), 몸체부(30), 주유구 마개 가이드홀더(31), 주유구 마개 가이드홀더 커버(31-1), 밀폐가이드(32), 락 풀림 스프링(33), 연료공급마개(34), 연료공급마개스프링(35), 밀폐 실리콘(36), 걸림돌기(36-1, 36-2), 밀폐홀더(37), 걸림홈(37-1) 등으로 구성된다.
도 4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자동차용 연료 주유구 덮개(40)는 주유구 케이스(10)와; 상기 주유구 케이스(10) 내부의 일측면과 주유구커버 홀더(24)가 결합되고, 주유구커버(21)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힌지(22)가 주유구커버 홀더(24)와 홀더 스프링(26) 및 홀더 핀(25)에 의해서 결합되며, 홀더 스프링(26)이 주유구커버 홀더(24)의 뒷부분에 결합되고, 홀더 스프링(26)의 복원력에 의해 힌지(22)의 중심으로 회전되게 하며, 주유구커버(21)의 타측면에 위치하는 주유구커버 락 홀더(29)에 스토퍼(23)가 삽입되거나 빠지게 되면 주유구커버(21)가 닫히거나 열리게 되는 것을 포함하는 주유구커버부(20)와; 상기 주유구커버부(20)의 가이드 스프링(27)과 가이드 핀(28)에 의해 주유구 마개 가이드 홀더(31)와 주유구 마개 가이드홀더 커버(31-1)가 결합되고, 밀폐 실리콘(36)의 내부로 삽입되는 밀폐홀더(37)에 연료 공급 마개 스프링(35)과 연료 공급 마개(34)와 락 풀림 스프링(33)이 순차적으로 삽입된 다음 밀폐 가이드(32)가 밀폐 실리콘(36)에 끼워지며, 상기 밀폐 가이드(32)와 주유구 마개 가이드 홀더(31)가 결합되는 것을 포함하는 몸체부(30); 을 구비한다.
상기 본 발명인 자동차용 연료 주유구 덮개를 구성하는 각 기술적 수단들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주유구 케이스(10)는 주유구 케이스(10) 내부의 일측면과 주유구커버 홀더(24)가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주유구커버부(20)는 상기 주유구 케이스(10) 내부의 일측면과 주유구커버 홀더(24)가 결합되고, 주유구커버(21)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힌지(22)가 주유구커버 홀더(24)와 홀더 스프링(26) 및 홀더 핀(25)에 의해서 결합되며, 홀더 스프링(26)이 주유구커버 홀더(24)의 뒷부분에 결합되고, 홀더 스프링(26)의 복원력에 의해 힌지(22)의 중심으로 회전되게 하며, 주유구커버(21)의 타측면에 위치하는 주유구커버 락 홀더(29)에 스토퍼(23)가 삽입되거나 빠지게 되면 주유구커버(21)가 닫히거나 열리게 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23)는 운전석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운전석의 일측에 설치된 레버(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몸체부(30)는 상기 주유구커버부(20)의 가이드 스프링(27)과 가이드 핀(28)에 의해 주유구 마개 가이드 홀더(31)와 주유구 마개 가이드홀더 커버(31-1)가 결합되고, 밀폐 실리콘(36)의 내부로 삽입되는 밀폐홀더(37)에 연료 공급 마개 스프링(35)과 연료 공급 마개(34)와 락 풀림 스프링(33)이 순차적으로 삽입된 다음 밀폐 가이드(32)가 밀폐 실리콘(36)에 끼워지며, 상기 밀폐 가이드(32)와 주유구 마개 가이드 홀더(31)가 결합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30) 내부에 장착되는 연료공급 마개 스프링(35)에 의해 주유구 덮개(40) 내부에 잔존하는 가스를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부(30) 내부에 장착되는 밀폐홀더(37)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선 형태의 걸림홈(37-1)에 밀폐 실리콘(36)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36-1)가 외부에서 미는 힘에 의해 이동되어 밀폐홀더(37)의 걸림홈(37-1)에 밀착되어 주유구 덮개(40)가 닫히고, 홀더 스프링(26)과 락 풀림 스프링(33)의 동시 동작에 의해 걸림돌기(36-1)가 밀폐홀더(37)의 걸림홈(37-1)에서 빠져서 주유구 덮개(40)가 열리는 것이다.
또한, 다른 형태의 밀폐 실리콘(36)을 갖는 경우로서, 상기 몸체부(30) 내부에 장착되는 밀폐홀더(37)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37-1)과 주유구케이스(10)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홈(11)에 밀폐 실리콘(36)의 내부와 외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36-1, 36-2)가 외부에서 미는 힘에 의해 이동되어 밀폐홀더(37)의 걸림홈(37-1)과 주유구케이스(10)의 홈(11)에 밀착되어 주유구 덮개(40)가 닫히고, 홀더 스프링(26)과 락 풀림 스프링(33)의 동시 동작에 의해 걸림돌기(36-1, 36-2)가 밀폐홀더(37)의 걸림홈(37-1)과 주유구케이스(10)의 홈(11)에서 빠져서 주유구 덮개(40)가 열리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부(30) 내부에 장착되는 밀폐 실리콘(37)에는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36-1)가 있거나 또는 내부와 외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36-2)가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료 주유구 덮개(40)는 주유구커버부(20)와 몸체부(30)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고, 상기 연료 주유구 덮개(40)는 주유구 케이스(10)와 결합되어 사용되며, 힌지(22)에 의해 회동 가능한 주유구커버(21)의 개폐동작으로 주유구 덮개(40)가 동시에 개폐되는 것이다. 즉, 락(lock) 해제시 운전석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운전석의 일측에 설치된 레버(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되어 있는 스토퍼(23)가 주유커버 락 홀더(29)에서 빠지게 되면, 홀더 스프링(26)과 락 풀림 스프링(33)의 동시 동작에 의해 걸림돌기(36-1)가 밀폐홀더(37)의 걸림홈(37-1)에서 빠져서 패킹(packing)이 해제되어 주유구 덮개를 열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자동차용 연료 주유구 덮개는 각종 차량은 물론 트랙터 등에도 적용할 수 있으므로 그 사용 및 적용대상이 광범위하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으며,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며,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주유구케이스 11 : 주유구 홈
20 : 주유구커버부 21 : 주유구커버
22 : 힌지 23 : 스토퍼
24 : 주유구커버 홀더 25 : 홀더 핀
26 : 홀더 스프링 27 : 가이드 스프링
28 : 가이드 핀 29 : 주유구커버 락 홀더
30 : 몸체부 31 : 주유구 마개 가이드홀더
31-1 : 주유구 마개 가이드홀더 커버
32 : 밀폐가이드 33 : 락 풀림 스프링
34 : 연료공급마개 35 : 연료공급마개스프링
36 : 밀폐 실리콘 36-1, 36-2 : 걸림돌기
37 : 밀폐홀더 37-1 : 걸림홈
40 : 주유구 덮개

Claims (6)

  1. 자동차용 연료 주유구 덮개에 있어서,
    주유구 케이스와;
    상기 주유구 케이스 내부의 일측면과 주유구커버 홀더가 결합되고, 주유구커버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힌지가 주유구커버 홀더와 홀더 스프링 및 홀더 핀에 의해서 결합되며, 홀더 스프링이 주유구커버 홀더의 뒷부분에 결합되고, 홀더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힌지의 중심으로 회전되게 하며, 주유구커버의 타측면에 위치하는 주유구커버 락 홀더에 스토퍼가 삽입되거나 빠지게 되면 주유구커버가 닫히거나 열리게 되는 것을 포함하는 주유구커버부와;
    상기 주유구커버부의 가이드 스프링과 가이드 핀에 의해 주유구 마개 가이드 홀더와 주유구 마개 가이드홀더 커버가 결합되고, 밀폐 실리콘의 내부로 삽입되는 밀폐홀더에 연료 공급 마개 스프링과 연료 공급 마개와 락 풀림 스프링이 순차적으로 삽입된 다음 밀폐 가이드가 밀폐 실리콘에 끼워지며, 상기 밀폐 가이드와 주유구 마개 가이드 홀더가 결합되는 것을 포함하는 몸체부;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연료 주유구 덮개.
  2. 제 1항에 있어서,
    주유구 덮개는 주유구커버부와 몸체부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고, 상기 주유구 덮개는 주유구 케이스와 결합되어 사용되며,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한 주유구커버의 개폐동작으로 주유구 덮개가 동시에 개폐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연료 주유구 덮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내부에 장착되는 연료공급 마개 스프링에 의해 주유구 덮개 내부에 잔존하는 가스를 배출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연료 주유구 덮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내부에 장착되는 밀폐 홀더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선 형태의 걸림홈에 밀폐 실리콘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가 외부에서 미는 힘에 의해 이동되어 밀폐 홀더의 걸림홈에 밀착되어 주유구 덮개가 닫히고, 홀더 스프링과 락 풀림 스프링의 동시 동작에 의해 걸림돌기가 밀폐 홀더의 걸림홈에서 빠져서 주유구 덮개가 열리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연료 주유구 덮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내부에 장착되는 밀폐 홀더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과 주유구케이스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 밀폐 실리콘의 내부와 외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가 외부에서 미는 힘에 의해 이동되어 밀폐 홀더의 걸림홈과 주유구케이스의 홈에 밀착되어 주유구 덮개가 닫히고, 홀더 스프링과 락 풀림 스프링의 동시 동작에 의해 걸림돌기가 밀폐 홀더의 걸림홈과 주유구케이스의 홈에서 빠져서 주유구 덮개가 열리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연료 주유구 덮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내부에 장착되는 밀폐 실리콘에는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가 있거나 또는 내부와 외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가 있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연료 주유구 덮개.
KR1020140169677A 2014-12-01 2014-12-01 자동차용 연료 주유구 덮개 KR101593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677A KR101593933B1 (ko) 2014-12-01 2014-12-01 자동차용 연료 주유구 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677A KR101593933B1 (ko) 2014-12-01 2014-12-01 자동차용 연료 주유구 덮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3933B1 true KR101593933B1 (ko) 2016-02-15

Family

ID=55357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9677A KR101593933B1 (ko) 2014-12-01 2014-12-01 자동차용 연료 주유구 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39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44051A (zh) * 2019-03-29 2021-10-22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鞍乘型车辆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7958A (ja) 2001-04-10 2002-10-23 Keeper Co Ltd ブリーザーシール
KR100475823B1 (ko) 2002-12-17 2005-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 도어 시스템
KR100494613B1 (ko) 2002-09-30 2005-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캡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연료도어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7958A (ja) 2001-04-10 2002-10-23 Keeper Co Ltd ブリーザーシール
KR100494613B1 (ko) 2002-09-30 2005-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캡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연료도어 개폐장치
KR100475823B1 (ko) 2002-12-17 2005-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 도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44051A (zh) * 2019-03-29 2021-10-22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鞍乘型车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7019B2 (en) Filler neck cover
US9102230B2 (en) Fuel tank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6279626B1 (en) Closure cap for a tank
CN109398926B (zh) 盖单元以及饮料用容器
US20090189410A1 (en) Hinge mounted fuel housing seal
US9981548B2 (en) Filler neck housing or charging housing
JP2008536744A (ja) 燃料タンクのフィラー用のキャップレスの閉鎖アセンブリと方法
US10533352B2 (en) Push to release fuel door operator assembly
US20150108131A1 (en) Fuel cap
JPH07187215A (ja) 自動車の燃料タンク・キャップ組立体
KR101593933B1 (ko) 자동차용 연료 주유구 덮개
US20120255525A1 (en) Evaporated fuel handling apparatus
US20190001813A1 (en) Closure System for a Pressurized Container System for a Motor Vehicle
EP3594040B1 (en) A seal structuring with wing for urea and fuel tank lids
TWI686333B (zh) 蓋體及附蓋容器
JP2019167019A (ja) 車両用給油部構造
KR200481688Y1 (ko) 경유 차량용 주유 캡
JP2020111238A (ja) 充填口キャップ装着忘れ防止構造
KR100528597B1 (ko) 상용 차량의 연료캡 개폐 구조
EP2431209A1 (en) Protective device for the fuel tank of vehicles
KR101622129B1 (ko) 충진밸브 어셈블리
KR101498490B1 (ko) 자동차 연료시스템의 필러 넥 장치
CN211469347U (zh) 盖子及容器
JP4483125B2 (ja) 燃料タンク用キャップ
JP6726514B2 (ja) キャップ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