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688Y1 - 경유 차량용 주유 캡 - Google Patents

경유 차량용 주유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688Y1
KR200481688Y1 KR2020150003056U KR20150003056U KR200481688Y1 KR 200481688 Y1 KR200481688 Y1 KR 200481688Y1 KR 2020150003056 U KR2020150003056 U KR 2020150003056U KR 20150003056 U KR20150003056 U KR 20150003056U KR 200481688 Y1 KR200481688 Y1 KR 2004816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frame
elastic
opening
blocking plate
inser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30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범준
Original Assignee
조범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범준 filed Critical 조범준
Priority to KR20201500030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6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6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68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403Anti-sipho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406Filler caps for fuel tanks
    • B60K2015/0406
    • B60K2350/102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경유 차량용 주유 캡은 원통형 프레임, 탄성 돌출부, 탄성부, 차단판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원통형 프레임은 길이 방향을 따라 경유 주유 건을 삽입하는 중공을 가지며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에 내측면 방향으로 일부 개방하는 삽입 공간을 갖는다. 탄성 돌출부는 일측이 원통형 프레임의 삽입 공간에 내장되고, 타측이 원통형 프레임의 중심 방향으로 탄성 돌출한다. 탄성부는 원통형 프레임의 삽입 공간에서, 일측이 원통형 프레임에 결합하고 타측이 탄성 돌출부에 결합하여 탄성 돌출부를 탄성 가압한다. 차단판은 원통형 프레임 또는 탄성 돌출부에 탄성 결합하고, 주유 탱크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하면서 원통형 프레임의 중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Description

경유 차량용 주유 캡{Fuel Cap for Diesel Vehicle}
본 고안은 주유 캡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경유 차량을 위한 주유 캡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휘발유, 경유, 가스 등의 사용 연료에 따라 엔진 등의 장치가 구별되어 장착되므로, 적합한 연료를 주입하여야 한다. 다른 종류의 연료가 주유되면 차량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주유 건(gun)의 크기는 주유하는 연료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경유 주유 건은 보통 2.5cm 정도, 휘발유 주유 건은 보통 1.9cm 정도의 직경을 갖는데, 주유 사고의 대부분은 경유 차량에 휘발유를 주입하는 경우이다.
주유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들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간단하게는 연료별로 색상을 정하고, 연료 주입 도어가 열렸을 때 특정 색상이 보이도록 하여 주입 연료의 종류를 알리는 방법이 있다. 연료 주입 도어 또는 주유 캡에 연료 종류를 문자로 표시하기도 한다. 그 밖에, 연료 주입 도어가 열림을 인식하는 센서를 부착하고, 연료 주입 도어가 열릴 때 연료 종류를 음성으로 알리는 음성출력장치도 있다.
그러나, 다른 연료의 주입은 대부분 주유자의 부주의에 따른 것이므로, 종래의 사고 방지 방법이나 구성으로는 주유자의 부주의를 차단하는데 한계가 있다. 특히, 음성출력장치는 청각 장애자에게는 아무 소용이 없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경유 차량에 휘발유 주유 건을 삽입할 수 없게 하여 경유 차량에 휘발유를 주입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경유 차량용 주유 캡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경유 차량용 주유 캡은 원통형 프레임, 탄성 돌출부, 탄성부, 차단판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원통형 프레임은 경유 차량의 주유구에 결합할 수 있다. 원통형 프레임은 길이 방향을 따라 경유 주유 건을 삽입할 수 있는 중공을 갖는다. 원통형 프레임은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에 내측면 방향으로 일부 개방되는 삽입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탄성 돌출부는 일측이 원통형 프레임의 삽입 공간에 내장 결합하고 타측이 원통형 프레임의 내측 개방 부분을 통해 중심 방향으로 탄성 돌출할 수 있다.
탄성부는 원통형 프레임의 삽입 공간에 내장될 수 있다. 탄성부는 일측이 원통형 프레임에 결합하고 타측이 탄성 돌출부에 결합하여, 탄성 돌출부를 원통형 프레임의 중심 방향으로 탄성 가압할 수 있다.
차단판은 원통형 프레임 또는 탄성 돌출부에 탄성 결합할 수 있다. 차단판은 주유 탱크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하면서 원통형 프레임의 중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경유 차량용 주유 캡에서, 원통형 프레임은 외면에 주유구에 나사 결합하는 나사 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경유 차량용 주유 캡은 원통형 프레임의 하부에 나사 결합부를 결합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경유 차량용 주유 캡에서, 탄성 돌출부는 경사부와 탄턱부를 구비할 수 있다. 경사부는 주유 탱크 방향과 주유구 출구 방향의 단부면와 내측면에 연하여 원통형 프레임의 중심 방향으로 가면서 각각 주유구 출구 방향과 주유 탱크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다. 단턱부는 주유 탱크 방향의 내측면에 형성하며, 차단판이 주유 탱크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저지한다.
본 고안에 따른 경유 차량용 주유 캡에서, 원통형 프레임과 차단판, 또는 탄성 돌출부와 차단판은 판 스프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경유 차량용 주유 캡은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부는 판 스프링을 매개로, 원통형 프레임의 주유구 출구 방향에 결합하여 탄성 개폐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경유 차량용 주유 캡에서, 원통형 프레임 또는 개폐부는 개폐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경유 차량용 주유 캡에 따르면, 경유 주유 건을 삽입하면 탄성 돌출부가 원통형 프레임 내로 삽입되면서 차단판을 자유롭게 하며, 그 결과 경유 주유 건은 주유구 내로 삽입할 수 있다.
그러나, 휘발유 주유 건을 삽입하면, 직경이 작아 탄성 돌출부를 원통형 프레임 내로 삽입할 수 없다. 그 결과, 탄성 돌출부의 단턱부에 걸려 있는 차단판으로 인해, 휘발유 주유 건은 주유구 내로 삽입할 수 없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경유 차량용 주유 캡을 사용하면, 경유 차량에 휘발유를 주입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1a,1b는 본 고안에 따른 경유 차량용 주유 캡의 개폐 상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경유 차량용 주유 캡의 단힌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a,3b는 본 고안에 따른 경유 차량용 주유 캡에 경유 주유 건을 삽입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경유 차량용 주유 캡에 휘발유 주유 건을 삽입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1b는 본 고안에 따른 경유 차량용 주유 캡의 개폐 상태 사시도이다.
도 1a,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경유 차량용 주유 캡은 원통형 프레임(100), 개폐부(200), 나사 결합부(300)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원통형 프레임(100)은 경유 차량의 주유구에 결합할 수 있다.
원통형 프레임(100)은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중공을 갖는다.
원통형 프레임(100)은 개폐부(200)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걸림홈(121)을 구비할 수 있다.
원통형 프레임(100)은 개폐부(200)를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해제하는 개폐 버튼(123)을 구비할 수 있다.
원통형 프레임(100)의 내부에는 탄성 돌출부(110), 탄성부, 차단판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들 구성은 추후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개폐부(200)는 원통형 프레임(100)의 외측 개방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개폐부(200)는 몸체(210), 밀폐부(220), 판 스프링(230), 걸림부(240), 손잡이(250)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몸체(210)는 개폐부(200)의 지지체로서, 다른 구성들을 지지한다.
밀폐부(220)는 원통형 프레임(100)의 외측 개방구, 즉 출구와 선택적으로 밀착하면서 원통형 프레임(100)의 외측 개방구를 개폐할 수 있다. 밀폐부(220)는 원통형 프레임(100)의 외측 개방구의 직경보다 크게 구성할 수 있다. 밀폐부(220)는 고무, 실리콘 등의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판 스프링(230)은 일측이 몸체(210)나 손잡이(250)에 결합할 수 있고 타측은 원통형 프레임(100)에 결합할 수 있다. 판 스프링(230)은 개폐부(200)를 외측 방향으로 탄성 가압할 수 있으며, 그 결과 걸림부(240)가 걸림홈(121)에서 해제되면 개폐부(200)를 원통형 프레임(100)의 외측 개방구에서 탄성 이탈시킬 수 있다.
걸림부(240)는 원통형 프레임(100)의 걸림홈(121)에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걸림부(240)는 몸체(210)나 손잡이(250)의 측부에 구비할 수 있다. 걸림부(240)는 몸체(210) 또는 손잡이(250)의 중심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는 탄성체로 구성할 수 있다. 걸림부(240)는 개폐 버튼(123)에 의해 탄성 가압되어 걸림홈(121)에서 이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개폐부(200)가 자유롭게 되며, 판 스프링(230)에 의해 원통형 프레임(100)에서 외측으로 탄성 이격될 수 있다.
손잡이(250)는 몸체(210)의 상부에 결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개폐부(200)를 개폐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도 1a,1b는 개폐 버튼(123)을 원통형 프레임(100)에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개폐 버튼(123)을 개폐부(200)의 일측, 예를들어 손잡이(250)의 상부 또는 측부에 구비할 수도 있다.
나사 결합부(300)는 원통형 프레임(100)의 하부에 결합할 수 있다. 나사 결합부(300)는 외면에 나사산을 형성하며, 주유구 내의 암사나와 나사 결합할 수 있다.
도 1a,1b는 나사 결합부(300)를 원통형 프레임(100)의 하부에 추가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원통형 프레임(100)의 외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원통형 프레임(100)을 주유구의 암사나에 나사 결합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경유 차량용 주유 캡의 닫힌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경유 차량용 주유 캡은 원통형 프레임(100), 탄성 돌출부(110), 탄성부(130), 차단판(140), 나사 결합부(300), 개폐부(200)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원통형 프레임(100)은 경유 차량의 주유구에 결합할 수 있는 형상, 예를들어 원통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원통형 프레임(100)은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에 내측면 방향으로 일부 개방되고 외측면 방향으로 폐쇄되는 삽입 공간(R)을 구비할 수 있다. 삽입 공간(R)에는 탄성부(130)를 내장할 수 있고, 탄성 돌출부(110)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내장할 수 있다.
탄성 돌출부(110)는 삽입 공간(R)에 일부 내장되는데, 일측은 원통형 프레임(100)의 삽입 공간에 내장 결합하고, 타측은 원통형 프레임(100)의 내측면 개방부를 통하여 중심 방향으로 돌출할 수 있다.
탄성 돌출부(110)는 경사부(S1,S2)와 탄턱부(T)를 구비할 수 있다.
상측 경사부(S1)는 주유구 출구 방향의 단부면과 내측면이 연하는 부분에 형성할 수 있다. 상측 경사부(S1)는 원통형 프레임(100)의 중심 방향으로 가면서 주유 탱크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다. 상측 경사부(S1)는 주유 건이 걸리지 않고 탄성 돌출부(110)를 원통형 프레임(100) 쪽으로 탄성 가압하여 이동시키면서 삽입되게 할 수 있다.
하측 경사부(S2)는 주유 탱크 방향의 단부면과 내측면이 연하는 부분에 형성할 수 있다. 하측 경사부(S2)는 원통형 프레임(100)의 중심 방향으로 가면서 주유구 출구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다. 하측 경사부(S2)는 차단판(140)이 탄성적으로 주유구 출구 방향으로 회전할 때 차단판(140)이 탄성 돌출부(110)의 하단에 걸리지 않게 할 수 있다.
단턱부(T)는 탄성 돌출부(110)의 내측면 하부에 형성할 수 있다. 단턱부(T)는 주유구 출구 방향으로 평면부를 갖는 함몰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데, 차단판(140)이 주유 탱크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탄성 돌출부(110)는 원통형 프레임(100)의 내측면에서 중심 방향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는데, 마주보는 탄성 돌출부(110) 사이의 간격은 휘발유 주유 건의 직경인 1.9cm보다 크고 경유 주유 건의 직경인 2.5cm보다 작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탄성 돌출부(110)의 단턱부(T)가 차단판(140)을 해제할 정도로 탄성 돌출부(110)를 원통형 프레임(100)의 측방으로 탄성 가압할 필요가 있으므로, 마주보는 탄성 돌출부(110) 사이의 간격은 2.0~2.1cm 정도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탄성부(130)는 원통형 프레임(100)의 삽입 공간(R)에 내장될 수 있다. 탄성부(130)는 일측이 원통형 프레임(100)에 결합하고, 타측이 탄성 돌출부(110)에 결합하고 수 있다. 탄성부(130)는 스프링 등의 탄성 재질로 구성할 수 있으며, 탄성 돌출부(110)를 원통형 프레임(100)의 중심 방향으로 탄성 가압할 수 있다. 탄성부(130)는 다수를 구비할 수 있다.
차단판(140)은, 주유 건이 삽입될 때, 주유 건에 밀려 주유 탱크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단판(140)은 원통형 프레임(100)의 중공을 길이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된다.
차단판(140)은 일측이 원통형 프레임(100) 또는 탄성 돌출부(110)에 결합할 수 있다. 차단판(140)은 판 스프링(150)을 매개로 결합할 수 있다. 차단판(140)은 철판, 플라스틱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원통형 프레임(100)의 중공 형상에 대응하는 원형 판재로 구성할 수 있다.
차단판(140)은, 주유 건이 이탈할 때, 자체의 탄성 또는 판 스프링(150)의 탄성에 의해 원위치, 즉 수평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복귀할 때, 탄성 돌출부(110)의 하측 경사부(S2)의 표면을 따라, 즉 접촉하면서 회전할 수 있다. 복귀 후에는, 탄성 돌출부(110)의 단턱부(T)에 걸리게 되고, 그 결과 주유 탱크 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도 3a,3b는 본 고안에 따른 경유 차량용 주유 캡에 경유 주유 건을 삽입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3a,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주유 캡에 경유 주유 건(400)을 삽입하면, 경유 주유 건(400)의 단부가 탄성 돌출부(110)의 상측 경사부(S1)에 먼저 접촉한다. 이후, 경유 주유 건(400)이 더 삽입되면, 경유 주유 건(400)은 상측 경사부(S1)에 밀착하여 미끄러지면서 하방으로 내려오게 되고, 이때 탄성 돌출부(110)가 탄성 가압되면서 원통형 프레임(100)의 삽입 공간(R)으로 밀려 들어간다.
경유 주유 건(400)이 탄성 돌출부(110)의 내측면과 접촉할 정도로 삽입되면, 탄성부(130)는 최대로 압축되고, 탄성 돌출부(110)의 단턱부(T)에 걸려있는 차단판(140)이 해제되어 하방으로 회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경유 주유 건(400)이 더 내려와서 차단판(140)의 상면을 가압하면, 차단판(140)은 원통형 프레임(100) 또는 탄성 돌출부(110)의 결합 지점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전한다. 이로써, 경유 주유 건(400)은 주유 탱크 내부와 연통하는 상태가 된다.
반대로, 주유가 끝난 후, 경유 주유 건(400)을 빼내면, 차단판(140)이 탄성 복귀하면서 서서히 수평으로 자리 잡는다. 이때, 차단판(140)은 탄성 돌출부(110)의 하측 경사부(S2)에 접촉하면서 회전할 수 있다.
경유 주유 건(400)이 탄성 돌출부(110)의 상단에서 이탈하면, 탄성 돌출부(110)는 탄성부(130)에 의해 탄성 가압되어 원통형 프레임(100)의 중심 방향으로 최대 돌출한다. 이때, 회전된 차단판(140)은 탄성 돌출부(110)의 단턱부(T)에 안착되고, 그 결과 하방으로 회전하는 것이 저지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경유 차량용 주유 캡에 휘발유 주유 건을 삽입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주유 캡에 휘발유 주유 건(500)을 삽입하면, 휘발유 주유 건(500)의 직경이 작아, 그 단부가 탄성 돌출부(110)의 상측 경사부(S1)에 접촉하지 않는다. 그 결과, 휘발유 주유 건(500)은 탄성 돌출부(110)를 가압할 수 없고, 따라서 탄성 돌출부(110)의 단턱부(T)에 걸려있는 차단판(140)을 해제할 수 없다.
이런 상태에서, 휘발유 주유 건(500)을 더 삽입하여 차단판(140)을 하방으로 밀더라도 차단판(140)은 단턱부(T)에 걸려 하방으로 회전할 수 없으므로 휘발유 주유 건(500)은 주유 탱크와 연통할 수 없다. 따라서, 휘발유 주유 건(500)으로는 경유 차량에 주유할 수 없다.
이상 실시예로서 본 고안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예증하기 위한 것이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위 실시예에 기초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수정을 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므로, 그러한 변형이나 수정이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100:원통형 프레임 110: 탄성 돌출부
121: 걸림홈 123: 개폐 버튼
130: 탄성부 140: 차단판
150: 제1 판 스프링 200: 개폐부
210: 몸체 220: 밀폐부
230: 제2 판 스프링 240: 걸림부
250: 손잡이 300: 나사 결합부
400: 경유 주유 건 500: 휘발유 주유 건
R: 삽입 공간 S1: 상측 경사부
S2: 하측 경사부 T: 단턱부

Claims (7)

  1. 주유 캡에 있어서,
    길이 방향을 따라 경유 주유 건을 삽입하는 중공을 가지고,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에 내측면 방향으로 일부 개방하는 삽입 공간을 가지며, 주유구에 나사 결합하는 나사 결합부를 외면에 구비하는 원통형 프레임;
    일측은 상기 원통형 프레임의 삽입 공간에 내장되고, 타측은 상기 원통형 프레임의 중심 방향으로 탄성 돌출하는 탄성 돌출부;
    상기 원통형 프레임의 삽입 공간에서, 일측은 상기 원통형 프레임에 결합하고 타측은 탄성 돌출부에 결합하여 상기 탄성 돌출부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
    상기 원통형 프레임 또는 상기 탄성 돌출부에 탄성 결합하고, 주유 탱크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원통형 프레임의 중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차단판;
    판 스프링을 매개로 하여, 상기 원통형 프레임의 주유구 출구 방향에 결합하는 개폐부; 및
    상기 원통형 프레임 또는 상기 개폐부에 구비되고, 상기 개폐부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개폐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돌출부는
    주유 탱크 방향과 주유구 출구 방향의 단부와 내측면에 연하여 상기 원통형 프레임의 중심 방향으로 가면서 각각 주유구 출구 방향과 주유 탱크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부; 및
    주유 탱크 방향의 내측면에 상기 차단판이 주유 탱크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는 단턱부를 구비하는, 경유 차량용 주유 캡.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2020150003056U 2015-05-13 2015-05-13 경유 차량용 주유 캡 KR2004816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056U KR200481688Y1 (ko) 2015-05-13 2015-05-13 경유 차량용 주유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056U KR200481688Y1 (ko) 2015-05-13 2015-05-13 경유 차량용 주유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688Y1 true KR200481688Y1 (ko) 2016-11-03

Family

ID=57485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3056U KR200481688Y1 (ko) 2015-05-13 2015-05-13 경유 차량용 주유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68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80782A (zh) * 2019-05-22 2020-11-24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尿素水入口的打开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545B1 (ko) * 2004-03-30 2004-11-20 (주)동명엔터프라이즈 유류저장탱크의 탐침자용 원터치 캡
KR100535510B1 (ko) * 2004-06-22 2005-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젤 연료 주입건을 위한 연료 주입구 장치
KR20110123773A (ko) * 2009-02-23 2011-11-15 케이티 프로젝텐트윅렁스-게엠베하 잘못된 연료의 주입을 막기 위한 디젤 연료 컨테이너용 안전 소자
KR101417637B1 (ko) * 2013-05-08 2014-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혼유 방지 필러넥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545B1 (ko) * 2004-03-30 2004-11-20 (주)동명엔터프라이즈 유류저장탱크의 탐침자용 원터치 캡
KR100535510B1 (ko) * 2004-06-22 2005-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젤 연료 주입건을 위한 연료 주입구 장치
KR20110123773A (ko) * 2009-02-23 2011-11-15 케이티 프로젝텐트윅렁스-게엠베하 잘못된 연료의 주입을 막기 위한 디젤 연료 컨테이너용 안전 소자
KR101417637B1 (ko) * 2013-05-08 2014-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혼유 방지 필러넥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80782A (zh) * 2019-05-22 2020-11-24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尿素水入口的打开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39993B2 (en) Fuel tank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10226996B2 (en) Filler neck closure assembly
US10723223B2 (en) Fuel cap
KR102496695B1 (ko) 연료도어 팝업장치
JP5494291B2 (ja) 燃料タンクの開閉装置
KR200481688Y1 (ko) 경유 차량용 주유 캡
JP2011213128A (ja) 燃料タンクの開閉装置
JP2011213126A (ja) 燃料タンクの開閉装置
KR100902735B1 (ko) 디젤차량의 혼유방지용 필러
CN110290962B (zh) 加油管用套筒体以及供油部构成装置
KR101616292B1 (ko) 뚜껑의 잠금 개폐 기능을 갖는 보관용기
CA2875885C (en) Apparatus for securing access to a cap of a tank
KR19990003290U (ko) 플랩 밸브가 내장된 차량의 연료 주입구
EP3704673B1 (de) Elektronisches handgerät, insbesondere funkschlüssel, mit einer dichthaube
KR101593933B1 (ko) 자동차용 연료 주유구 덮개
EP2431209B1 (en) Protective device for the fuel tank of vehicles
DE10336776A1 (de) Einfüllstutzen für den Kraftstoffbehälter eines Kraftfahrzeuges mit einem automatischen Tankverschluss
KR100457545B1 (ko) 유류저장탱크의 탐침자용 원터치 캡
US2527005A (en) Self-closing filling device for liquid fuel containers
KR100489123B1 (ko) 필러 캡이 일체로 형성된 필러 도어
KR101498490B1 (ko) 자동차 연료시스템의 필러 넥 장치
US2083668A (en) Lockable cap for vehicle fuel tanks
KR101498491B1 (ko) 자동차 연료시스템의 필러 넥 장치
US11760193B2 (en) Reservoir tank cap closure indicators
KR200184765Y1 (ko) 자동차의 일체형 연료필러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