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6122A - 푸쉬버튼형 로킹장치 - Google Patents

푸쉬버튼형 로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6122A
KR20180056122A KR1020160153962A KR20160153962A KR20180056122A KR 20180056122 A KR20180056122 A KR 20180056122A KR 1020160153962 A KR1020160153962 A KR 1020160153962A KR 20160153962 A KR20160153962 A KR 20160153962A KR 20180056122 A KR20180056122 A KR 20180056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lever
pin
push button
locking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3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0139B1 (ko
Inventor
조승열
Original Assignee
(주)Sy이노베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Sy이노베이션 filed Critical (주)Sy이노베이션
Priority to KR1020160153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0139B1/ko
Publication of KR20180056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6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0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0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6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 H01L21/6777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involving removal of lid, door, cover

Abstract

본 발명은 일방향으로의 푸쉬 동작에 의하여, 로킹 및 언로킹 상태로 전환되는 로킹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 로킹장치는, 제2구조물에 고정된 로킹핀(10)과; 푸쉬버튼(30)과 연결되고, 제1구조물에 지지되며, 제1구조물 및 제2구조물에 대하여 일 방향으로 일정 구간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스프링(Sa)에 의하여 상방으로 탄성지지되는 레버설치부(33); 그리고 상기 레버설치부에 지지핀(3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고, 상방 일측에 성형되는 개방부(23)을 가지는 로킹홈(22)이 타측의 연결부(29)와의 사이에 형성되며, 탄성부재에 의하여 지지핀을 중심으로 개방부(23)가 성형된 제1방향으로 탄성 지지되고, 하단부에서 상기 개방부를 향하는 방향의 경사면(24)이 성형되며, 상기 로킹홈의 하단부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경사지게 돌출 성형된 해제용 텅(26)을 구비하는 로킹레버(20)로 구성된다. 로킹을 위한 푸쉬버튼의 누름에 의하여, 로킹레버의 경사면(24)이 로킹핀(10)에 접촉하면서 로킹레버가 하강함에 따라 로킹레버는 제2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로킹핀이 개방부를 통하여 로킹홈에 체결된다. 그리고 언로킹을 위한 푸쉬버튼의 누름에 의하여, 로킹핀(10)과 로킹레버(20)는 해제된다.

Description

푸쉬버튼형 로킹장치{Locking device of push button type}
본 발명은 용기에 대하여 덮개를 체결하거나 해제하는 로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방향의 푸쉬 동작에 의하여 체결되거나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로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로킹(Locking)장치라고 함은, 체결되어 고정된 상태인 로킹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러한 로킹상태에서 해제됨으로써 언로킹(unlocking) 상태로 상태 변환이 가능한 장치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로킹장치는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예를 들면 일측면(상면)이 개방된 특정 용기와, 이러한 용기에 대하여 개방된 상면을 개폐하는 덮개(커버)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용기와 덮개는 일반적인 산업 분야에서는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도록 로킹장치가 불필요한 경우도 많으나, 반도체 부품 등과 같이 까다로운 생산 환경을 가지는 기술 분야에서는 사용자(로봇 포함)의 필요에 따라서만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로킹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로킹상태(체결상태)에서는 덮개를 열 수 없도록 유지하고, 언로킹상태(해제상태)에서만 덮개를 열어서 내부에 있는 내용물(반도체 생산을 위한 부품 또는 소모품)을 꺼낼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반도체 제조 분야에 사용되는 캐리어를 포함하는 다양한 용기는 대부분 로킹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나, 이러한 로킹장치의 조작이 다소 불편한 단점이 지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를 로킹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양손을 사용하거나 아니면 적어도 몇개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로킹장치를 조작하지 않으면 안되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었다.
그러나 정확한 로킹상태 및 언로킹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면, 그 조작은 간단하면 간단할수록 용기 및 덮개의 사용성이 높아서 편리해짐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로킹상태 및 언로킹상태의 상태 변환 조작은 예를 들면 한번의 푸쉬 동작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으면 가장 바람직한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로킹 및 언로킹 상태에 대하여, 일반인이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것이 볼 포인트 펜이다. 즉 볼 포인트 펜의 헤드부분을 한 번 누르게 되면 볼 포인트 펜의 펜부분이 케이싱에서 하방으로 돌출한 상태로 유지되고, 다시 한번 볼 포인트 펜이 헤드부분을 누르게 되면 펜부분이 다시 케이싱의 내부로 들어가게 되도록 구성되고 있음은 누구나 알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볼 포인트 펜의 동작은, 내부에 있는 축의 회전 운동을 기초로 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는 구성이 간단하다고 말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용기 및 덮개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푸쉬버튼을 누르는 동작에 의하여 로킹 및 언로킹 상태로 변환되는 로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가장 간단한 푸쉬 조작에 의하여 로킹상태 또는 언로킹상태로 전환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궁극적으로 조작이 간단하면서도 정확한 로킹/언로킹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며은 푸쉬버튼의 푸쉬 동작에 의하여, 제1구조물을 제2구조물에 로킹시키거나 언로킹시키는 로킹장치이고; 제2구조물에 고정된 로킹핀과; 상기 푸쉬버튼과 연결되고, 제1구조물에 지지되며, 제1구조물 및 제2구조물에 대하여 일 방향으로 일정 구간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스프링에 의하여 상방으로 탄성지지되는 레버설치부; 그리고 상기 레버설치부에 지지핀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고, 상방 일측에 성형되는 개방부을 가지는 로킹홈이 타측의 연결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며, 탄성부재에 의하여 지지핀을 중심으로 개방부가 성형된 제1방향으로 탄성 지지되고, 하단부에서 상기 개방부를 향하는 방향의 경사면이 성형되며, 상기 로킹홈의 하단부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경사지게 돌출 성형된 해제용 텅을 구비하는 로킹레버로 구성된다.
여기서 로킹을 위한 푸쉬버튼의 누름에 의하여, 로킹레버의 경사면이 로킹핀에 접촉하면서 로킹레버가 하강함에 따라 로킹레버는 제2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로킹핀이 개방부를 통하여 로킹홈에 체결된다. 그리고 언로킹을 위한 푸쉬버튼의 누름에 의하여, 로킹핀은 해제용 텅의 이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로킹레버를 탄성변형시키면서 상방으로 이동시켜 체결 상태를 해제한다.
그리고 로킹레버는, 탄성 지지되는 방향에서 돌출 성형된 레버설치부의 일측벽(34A)에 접촉한 상태로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레버설치부는, 제1구조물의 양측 가이드벽 및 제2구조물의 양측 가이드벽 사이에서 일정 구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로킹 및 언로킹이 일방향의 푸쉬동작에 의하여 수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일반 사용자의 조작이 간편함은 물론이고, 자동화 라인에서 로봇에 의한 로킹 및 언로킹 시에도 아주 쉬운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구조에 의하면, 로킹레버와 로킹핀 사이의 구조적 관계가 간단하면서도 동작의 신뢰성을 충분히 확보하고 있다. 따라서 일방향 푸쉬 동작에 의하여, 두 개의 구조물(예를 들면 용기와 덮개) 사이의 로킹 및 언로킹 동작이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는 장점도 기대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로킹장치의 로킹상태 예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로킹장치의 언로킹상태 예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로킹장치의 언로킹 동작의 일순간을 보인 예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로킹장치의 로킹 동작의 일순간을 보인 예시 사시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로킹(Locking)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로킹핀(10)이 로킹레버(20)의 로킹홈(22)에 걸린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덮개(4)는 용기(2)에서 분리될 수 없는 상태이다.
그리고 도 2는 언로킹(Unlocking)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로킹레버(20)와 로킹핀(10)이 서로 이격되어 어떠한 물리적 연결 관계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즉, 용기(2)의 상단부 일측에 고정된 로킹핀(10)이, 덮개(4)에 설치되는 푸쉬버튼(30)의 로킹레버(20)에서 해제되면 실질적으로 언로킹상태이기 때문에, 덮개(4)를 열어서 용기(2)를 오픈 상태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푸쉬버튼(30)이 눌러져서, 덮개(4)에 설치된 푸쉬레버(30)의 로킹레버(20)의 로킹홈(22)에 로킹핀(10)이 걸리게 되면, 덮개(4)를 열 수 없는 로킹상태로 된다.
이와 같은 로킹상태에서 언로킹상태로의 전환 또는 언로킹상태에서 로킹상태로의 전환은, 푸쉬버튼(30)을 누르는 한 번의 동작에 의하여 수행된다. 따라서 로킹 및 언로킹 상태로의 전환이 아주 쉽고 간단하게 수행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로킹장치는, 용기(2)와 덮개(4) 사이에서 다수 개소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의 로킹장치는 단순한 푸쉬 동작으로 상태 전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조작자의 조작이 편의성은 물론이고, 특히 자동화 라인에서 로봇에 의하여 용기를 개폐하는 경우에도 유용하게 적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은 로킹장치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의 푸쉬버튼(30)은 제1구조물(4)(예를 들면 덮개)에 지지됨과 동시에, 제1구조물(4)에서 일방향(예를 들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푸쉬버튼(30)의 하단부에는 푸쉬하우징(31)이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이러한 푸쉬하우징(3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구조물(2)의 상부 일부까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푸쉬버튼(30) 및 푸쉬하우징(31)의 레버설치부(33)는 제1구조물(4)에 의하여 지지되는데, 예를 들면 도 1 또는 도 2에서 별도의 커버를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제1구조물(4)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푸쉬버튼(30)과 일체로 성형되거나 연결되어 있는 푸쉬하우징(31)은, 로킹레버(20)가 설치되는 평면 형상의 레버설치부(33)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레버설치부(33)는 실질적으로 푸쉬버튼(30)의 하부 일측을 의미하고, 로킹레버(20)의 원활한 설치 및 동작을 위하여 평면 형상을 가지고 있다.
푸쉬버튼(30)의 하단부, 즉 푸쉬하우징(31)은 제1구조물(4) 및 제2구조물(예를 들면 용기)의 적어도 일부에서 일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야 한다. 이러한 푸쉬하우징(31)의 일방향 이동은, 상술한 레버설치부(33)의 양측면(또는 양측벽)(34A,34B)이, 제1구조물(4)의 양측 가이드벽(4A,4B) 및 제2구조물(2)의 양측 가이드벽(2A,2B)에 의하여 가이드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구조물(4)의 양측 가이드벽(4A,4B) 및 제2구조물(2)의 양측 가이드벽(2A,2B)은, 푸쉬하우징(31)의 상하 이동 범위 또는 푸쉬하우징(31)의 상하부분의 폭에 따라서 동일한 간격을 가지도록 성형될 수도 있고, 상이한 간격을 가지도록 성형될 수 도 있다.
상기 푸쉬버튼(30)은 조작자(로봇 포함)가 누를 수 있는 부분이고, 푸쉬버튼(30)과 일체로 성형되는 그 하부의 레버설치부(33)는 푸쉬버튼(30)의 누름 동작에 따라서 제1구조물(4) 및 제2구조물(2)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가이드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푸쉬버튼(30)은 항상 상방으로 탄성 지지되고 있는데, 예를 들면 스프링(Sa)에 의하여 항상 상방으로 탄성력을 제공받고 있다. 상기 스프링(Sa)은 푸쉬하우징(31)의 일측 연장부(31A)와 제1구조물(4)에 성형되는 지지부(4C) 사이에 개재되어 있어서, 고정된 제1구조물(4)에 대하여 푸쉬버튼(30) 또는 그와 일체로 된 푸쉬하우징(31)을 상방으로 밀고 있는 상태이다.
여기서 로킹레버(20)는, 푸쉬하우징(31)의 레버설치부(33)에 고정된 지지핀(32)에 의하여 상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이러한 로킹레버(20)는 도 1 및 도 2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구성되는데, 예를 들면 토션스프링(도시 생략)이 지지핀(32)을 중심으로 설치되어 로킹레버(20)를 시계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고 있다. 이 때 토션스프링은 로킹레버(20)의 일측에 성형된 스프링 지지부(28)에 그 일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로킹레버(20)는 일측의 상방이 개방된 상태의 로킹홈(22)을 구비하고 있는데, 여기서 상방 일측이 개방되어 있다고 함은 탄성력을 인가받는 시계방향에 대한 일측 상방을 의미하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에서는 로킹홈(22)의 우측 상방이 개방되어 있고, 로킹홈(22)의 좌측은 로킹레버(20)의 상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즉 로킹홈(22)의 좌측 상방은 개방부(23)로 성형되고, 우측은 연결부(29)에 의하여 막혀 있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로킹홈(22)의 개방된 상부의 근처에는 로킹레버(22)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연장 성형된 보조돌기(25)가 구비되어 있다. 로킹레버(20)의 하단부는, 경사면(24)으로 성형되는데, 이러한 경사면(24)은 로킹핀(10)과 접촉하여 로킹레버(20)를 탄성 방향과 반대측으로 회동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경사를 가지고 있다.
또한 로킹레버(20)에는, 로킹홈(22)의 저점에서 상방으로 돌출 성형된 해제용 텅(tongue)(26)이 성형되어 있다. 상기 해제용 텅(26)은,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방으로 갈수록 앞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경사를 가지고 있다. 즉, 상기 해제용 텅(26)은, 하단부는 로킹레버(20)와 동일한 면을 가지고 있으나, 상단부로 갈수록 전방으로 나오도록 경사지게 성형되어 있고, 전방으로 돌출한 정도는 고정된 로킹핀(10)의 전방 단부보다 근소하게 더 돌출되는 정도이다. 상기 보조돌기(25)와 해재용 텅(26) 사이에는 로킹핀(10)이 들어갈 수 있는 간격이 확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로킹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2에 도시한 상태는 언로킹 상태임은 상술한 바와 같고, 여기서 로킹레버(20)와 로킹핀(10)이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물리적으로 연결 관계가 없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구조물(4)은 제2구조물(2)에서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로킹레버(20)는 레버설치부(33)의 일측(탄성지지되는 방향)에서 돌출 성형된 일측벽(34A)에 접촉한 상태로 지지되고 있다.
또는 상기 일측벽(34A)가 없다면, 상기 로킹레버(20)는 그 좌측단부가 좌측 가이드벽(2A)에 접촉하고 있어서 더 이상 시계 방향을 회전할 수 없는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로킹레버(20)는 지지핀(32)을 중심으로 토션스프링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탄성력을 받고 있는 상태임도 상술한 바와 같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구조물에 고정되어 있는 로킹핀(10)은, 로킹레버(20)의 하단 경사면(24)에 대응하는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푸쉬버튼(30)이 눌러지면, 레버설치부(33)도 같이 하강하게 된다. 푸쉬하우징(31)의 레버설치부(33)의 하강에 따라 로킹레버(20)도 같이 하강하게 되어 경사면(24)이 로킹핀(10)에 접촉하게 된다. 경사면(24)이 로킹핀(10)에 접촉한 상태에서 더 이상 하강하게 되면, 고정된 로킹핀(10)에 대하여 로킹레버(20)는 지지핀(32)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푸쉬버튼(30)이 하사점에 이르게 되면, 로킹핀(10)은 로킹홈(22)의 개방된 상부를 형성하기 위한 로킹레버의 개방단부(21)를 타고 넘게 된다. 로킹핀(10)이 개방단부(21)를 완전히 넘으면, 로킹레버(20)는 지지핀(32)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푸쉬버튼(30)을 하방으로 누르고 있는 힘이 제거되기 때문에, 스프링(Sa)에 의하여 푸쉬버튼(30)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여기서 도 4에는 로킹핀(10)이 로킹레버(20)의 개방단부(21)를 타고 넘는 순간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로킹핀(10)이 개방단부(21)를 타고 넘는 순간 로킹레버(20)는 순간적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따라서 로킹핀(20)은 보조돌기(25)의 좌측면에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스프링(Sa)의 탄성력에 기초하여 로킹레버(20)의 상승에 의하여, 로킹핀(10)은 로킹홈(22)에 안착될 것다.
그리고 로킹핀(10)은 개방단부(21)에 의하여 형성되는 개방부(23)을 통하여 로킹홈(22) 내부로 들어가게 되고, 이러한 상태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로킹핀(10)은 로킹레버(20)에서 돌출한 상태이기 때문에, 로킹레버(20)와 로킹핀(10) 사이에서 로킹(Locking)이 성립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는 제1구조물(4)이 제2구조물(2)에 로킹된 상태이다. 그리고 푸쉬버튼(30)은 스프링(Sa)에 의하여 다시 상승하여 상사점에 있는 상태이고, 이러한 푸쉬버튼(30)의 상사점 위치는 제1구조물(4)과 푸쉬버튼(30) 또는 푸쉬하우징(31)과의 간섭에 의하여 정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로킹상태에서 언로킹 상태로의 변환은, 다시 한 번 푸쉬버튼(30)을 누르는 것에 의하여 수행된다. 즉 도 1에 도시한 상태에서 푸쉬버튼(30)이 눌러지면, 로킹레버(20)도 하강하기 시작함과 동시에 로킹레버(20)는 시계 방향으로 탄성지지되고 있다. 따라서 로킹레버(20)가 어느 정도 하강하면, 로킹핀(10)의 단부가 해제용 텅(26)의 이면으로 들어간다. 즉, 시계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는 로킹레버(20)의 전방 단부가, 전방으로 경사진 해제용 텅(26)이 하강함에 따라 해제용 텅(26)의 일정 위치에 이르면 로킹레버(20)가 약간 회전하여 로킹핀(10)이 해제용 텅(26)의 이면으로 들어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상태에서 로킹핀(10)은 로킹레버(20)의 우측에 있는 연결부(29)에 걸리기 때문에, 로킹레버(20)의 더 이상의 회전은 방지된다. 이와 같이 언로킹 상태로의 전환을 위하여 푸쉬버튼(30)이 눌러지는 경우, 상기 로킹레버(20)의 하사점은 상기 로킹핀(10)이 해제용 텅(26)의 상단부 이내의 범위에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이 로킹핀(10)의 전방 단부가 해제용 텅(26)의 이면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푸쉬버튼(30)을 하강시키는 힘이 제거되면, 스프링(Sa)에 의하여 푸쉬버튼(30) 및 로킹레버(20)는 상승하게 된다.
로킹레버(20)가 상승하게 되면, 이면에서 로킹핀(10)이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해제용 텅(26)이 형성하는 경사면을 따라서 로킹레버(20) 전체가 탄성변형을 일으키면서 로킹레버(20)가 상승하게 된다. 여기서 로킹레버(20)는 금속과 같이 일정한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승하면서 로킹핀(10)에 의하여 전방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그리고 푸쉬버튼(30)이 상사점에 이르게 되면, 로킹레버(20)의 하단부는 로킹핀(10) 보다 근소하게 상방에 위치하게 되어, 로킹레버(20)는 후방으로 탄성 변형하면서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로킹레버(20) 및 로킹핀(10)은 다시 도 2에 도시한 상태로 되고, 이러한 상태는 제1구조물(4)이 제2구조물(2)에 대하여 언로킹된 상태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서, 제1구조물(4)은 커버 또는 덮개이고, 제2구조물은 특정 내용물을 수납할 수 있는 용기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물(2,4)에 본 발명의 로킹장치가 적용되면, 하방으로 누르는 단순한 동작에 의하여 구조물들이 로킹 상태로 되거나 언로킹 상태로 변환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로킹장치의 상태변화는 지극히 간단한 동작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음을 알 수 있고, 이는 사용자의 직접적인 조작의 편의성은 물론이고, 자동화된 라인에서 로봇에 의하여 용기가 개폐되도록 구성하는데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은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적혀진 사항에 의하여 그 보호범위가 결정되어야 할 것임도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2 ..... 제2구조물(용기)
2A, 2B ..... 제2구조물의 양측 가이드벽
4 ..... 제1구조물(덮개)
4A, 4B ..... 제1구조물의 양측 가이드벽
10 .... 로킹핀
20 ..... 로킹레버
21 ..... 개방단부
22 ..... 로킹홈
23 ..... 개방부
24 ..... 경사면
25 ..... 보조돌기
26 ..... 해제용 텅
29 ..... 연결부
30 ..... 푸쉬버튼
31 ..... 푸쉬하우징
32 ..... 지지핀
33 ..... 레버설치부

Claims (3)

  1. 푸쉬버튼(30)의 푸쉬 동작에 의하여, 제1구조물을 제2구조물에 로킹시키거나 언로킹시키는 로킹장치이고;
    제2구조물에 고정된 로킹핀(10)과;
    상기 푸쉬버튼(30)과 연결되고, 제1구조물에 지지되며, 제1구조물 및 제2구조물에 대하여 일 방향으로 일정 구간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스프링(Sa)에 의하여 상방으로 탄성지지되는 레버설치부(33); 그리고
    상기 레버설치부에 지지핀(3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고, 상방 일측에 성형되는 개방부(23)을 가지는 로킹홈(22)이 타측의 연결부(29)와의 사이에 형성되며, 탄성부재에 의하여 지지핀을 중심으로 개방부(23)가 성형된 제1방향으로 탄성 지지되고, 하단부에서 상기 개방부를 향하는 방향의 경사면(24)이 성형되며, 상기 로킹홈의 하단부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경사지게 돌출 성형된 해제용 텅(26)을 구비하는 로킹레버(20)로 구성되고;
    로킹을 위한 푸쉬버튼의 누름에 의하여, 로킹레버의 경사면(24)이 로킹핀(10)에 접촉하면서 로킹레버가 하강함에 따라 로킹레버는 제2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로킹핀이 개방부를 통하여 로킹홈에 체결되고;
    언로킹을 위한 푸쉬버튼의 누름에 의하여, 로킹핀(10)은 해제용 텅(26)의 이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로킹레버를 탄성변형시키면서 상방으로 이동시켜 체결 상태를 해제하는 푸쉬버튼형 로킹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레버는, 탄성 지지되는 방향에서 돌출 성형된 레버설치부의 일측벽(34A)에 접촉한 상태로 지지되는 푸쉬버튼형 로킹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설치부는, 제1구조물의 양측 가이드벽(4A,4B) 및 제2구조물의 양측 가이드벽(2A,2B) 사이에서 일정 구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푸쉬버튼형 로킹장치.






KR1020160153962A 2016-11-18 2016-11-18 푸쉬버튼형 로킹장치 KR101960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962A KR101960139B1 (ko) 2016-11-18 2016-11-18 푸쉬버튼형 로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962A KR101960139B1 (ko) 2016-11-18 2016-11-18 푸쉬버튼형 로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122A true KR20180056122A (ko) 2018-05-28
KR101960139B1 KR101960139B1 (ko) 2019-03-19

Family

ID=62451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3962A KR101960139B1 (ko) 2016-11-18 2016-11-18 푸쉬버튼형 로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01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4436A (ko) * 2020-01-21 2021-07-29 (주)옵토레인 푸시타입 pcr용 카트리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4744A (ko) * 2004-04-29 2005-11-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상용 차량의 연료캡 개폐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4744A (ko) * 2004-04-29 2005-11-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상용 차량의 연료캡 개폐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4436A (ko) * 2020-01-21 2021-07-29 (주)옵토레인 푸시타입 pcr용 카트리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0139B1 (ko) 2019-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57657A (en) Electrical switch actuator mechanism
US6222144B1 (en) Pushbutton switch
US5345051A (en) Push-button switch
US4553009A (en) Keyboard switch with pivotal actuator lever
JP2017224581A (ja) キースイッチ
JPH05315035A (ja) 電気部品用ソケットにおける接触保持装置
KR101960139B1 (ko) 푸쉬버튼형 로킹장치
US6087604A (en) Thin keyboard
JP4169983B2 (ja) 多方向入力装置
KR100348940B1 (ko) 복수개의 수동 스위치를 구비하는 다방향 스위치
WO2017032219A1 (zh) 带x架结构的键盘开关
JP2012138273A (ja) スイッチ
WO2020042572A1 (zh) 一种微动开关的防尘结构
JP4023884B2 (ja) スイッチ装置の接点開閉機構
JP2571107Y2 (ja) スイッチ用スライダー
JP2858871B2 (ja) ピアノハンドル式スイッチ
KR200236456Y1 (ko) 누름버튼식 스위치의 제어장치
JP2567068Y2 (ja) 配線器具スイッチの取付枠への取付構造
JPS6342423Y2 (ko)
JP2005209565A (ja) 押釦スイッチ
JP3020254B2 (ja) 配線器具の取付枠への取付構造
JP2001093385A (ja) スライドスイッチ
JP3033905B2 (ja) ピアノハンドル式スイッチ装置
JPH0310581Y2 (ko)
JPH0688031U (ja) 複合操作形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