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4416A - 수정펜용 리필, 및 리필 유닛 - Google Patents

수정펜용 리필, 및 리필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4416A
KR20050104416A KR1020057016405A KR20057016405A KR20050104416A KR 20050104416 A KR20050104416 A KR 20050104416A KR 1020057016405 A KR1020057016405 A KR 1020057016405A KR 20057016405 A KR20057016405 A KR 20057016405A KR 20050104416 A KR20050104416 A KR 20050104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ill
pen
correction
tip
polyamid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6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교코 고바야시
마코토 오노
아키라 후카이
다카오 고야마
히토시 나카무라
게이 오모토
다다시 고리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엔피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5729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26219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57288A external-priority patent/JP444279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107568A external-priority patent/JP3933600B2/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엔피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엔피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104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441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1/00Nibs; Writing-points
    • B43K1/08Nibs; Writing-points with ball points; Balls or ball beds
    • B43K1/086Nibs; Writing-points with ball points; Balls or ball beds with resilient supporting means for the ball, e.g. springs
    • B43K1/088Nibs; Writing-points with ball points; Balls or ball beds with resilient supporting means for the ball, e.g. springs with an intermediate element between the resilient supporting means and the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9/00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02Ink reservoirs; Ink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02Ink reservoirs; Ink cartridges
    • B43K7/03Ink reservoirs; Ink cartridges pressurised, e.g. by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02Ink reservoirs; Ink cartridges
    • B43K7/08Preventing lea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10Arrangements for feeding ink to the ball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12Ball-point pens with retractable ball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9/00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 B43L19/0018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with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9/00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 B43L19/0056Holders for erasers
    • B43L19/0068Hand-held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MBUREAU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3M11/00Hand or desk devices of the office or personal type for applying liquid, other than ink, by contact to surfaces, e.g. for applying adhesive
    • B43M11/06Hand-held devices
    • B43M11/08Hand-held devices of the fountain-pen type
    • B43M11/085Hand-held devices of the fountain-pen type with ball po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0Correcting fluids, e.g. fluid media for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by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16Writing inks
    • C09D11/18Writing inks specially adapted for ball-point writing instru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내용매성 및 성형성이 우수하고, 또한 사용시 및 경시적으로 내용물인 메틸사이클로헥세인을 주용매로 하는 수정액과 그 잔량이 용이하게 시인가능하게 되는 수정펜용 리필로서, 방향족환 또는 나프텐환을 갖는 단량체로부터 수득되는 폴리아마이드 수지의 성형체, 2종 이상의 폴리아마이드 수지를 블렌딩한 성형체, 또는 2층 이상의 다층 구조로 하고, 수정액과 접하는 최내층의 재질이 폴리아마이드 수지로 이루어지는 성형체로 구성한다. 또한, 노킹 작동에 연동한 가압 기구를 갖는 볼펜 타입의 도포구에 탑재되는 리필 유닛의 도포부를, 볼을 회전자재로 설치한 볼펜 팁의 선단부를 잉크 수용관의 선단 부착부에 압입 장착하고, 팁을 압입한 잉크수용관의 선단 부착부의 외주부에 금속관를 압입 피복, 고정한다.

Description

수정펜용 리필, 및 리필 유닛{REFILL FOR CORRECTION PEN AND REFILL UNIT}
본 발명은 투명성 및 시인성(클리어 드레인성)이 우수한 수정펜용 리필, 및 노킹(knocking) 기구에 의해 축통 선단부로부터 출몰가능하고, 또한 노킹 작동에 연동한 가압 기구를 갖는 볼펜 타입의 수정펜 등의 도포구에 탑재되는 합성 수지제 리필 유닛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 문제로부터, 수정액을 수용하는 수정액 수용 부재는 소위 리필러블(refillable)화가 요구되고 있다. 수정액 수용 부재를 리필러블화하는 경우, 수정액의 주용매인 메틸사이클로헥세인은 휘발성이 높기 때문에 내용매성을 갖는 재질을 선택해야 하고, 또한 수정액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는 투명성을 갖는 재질을 선택해야 한다.
종래에 수정펜용의 수정액 수용 부재로서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에 대하여 내용매성을 강하게 하고, 사용하는 용매에 의한 팽윤이나 용매의 투과 감량을 억제하기 위해, 나일론 수지를 압출 성형, 취입 성형,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한 것(예컨대, 일본 특허공개 2002-65351호 공보 참조) 또는 나일론 12로부터 형성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공개 2002-67585호 공보 참조).
그러나, 이들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나일론 12 등의 지방족계 단량체로 이루어진 폴리아마이드 수지의 성형체에서는, 내용매성을 갖지만 그 투명성은 아직 충분하지 않고, 또한 도포에 의해 수정액이 소비되더라도 수정액이 수용 부재의 내벽면에 부착하여 아래쪽으로 가지 않아서 잔량의 확인을 정확히 시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갖는 동시에, 충전한 수정액을 전부 사용하는 것은 곤란하다는 문제점을 아직 갖고 있다.
한편, 종래의 볼펜 타입의 필기 도구 및 수정펜 등의 도포구는 축통내에 잉크 또는 수정액을 직접 수납한 무액체 타입이거나 축통내에 수납하는 리필 유닛의 잉크 수용관(리필)에 잉크 또는 수정액을 채운 것이지만, 모두 축통 내지 잉크 수용관의 선단부에 직접 볼펜 팁을 압입하여 장착하거나, 팁 홀더의 선단부에 볼펜 팁을 장착하여 그 팁 홀더의 후단부를 잉크를 채운 축통 내지 잉크 수용관의 선단부에 압입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이 팁 홀더를 압입한 합성 수지제의 축통 또는 팁을 직접 압입한 합성 수지제의 잉크 수용관의 선단 부분은 항상 내부 응력이 발생한 상태가 되고, 필기시 또는 도포시의 볼펜 팁에 가해지는 응력과 더불어, 시간 경과에 따라 팁의 압입력이 저하되어 버려 팁 홀더 또는 팁이 용이하게 누락되어 버리거나 압입부에서 잉크 누출이 발생하기 쉬운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그래서, 합성 수지제의 축통내에 잉크를 직접 수납한 무액체 타입 볼펜의 팁 홀더의 누락 및 잉크 누출을 막기 위해, 팁 홀더의 후단부를 압입한 축통의 선단 부분의 외주면을 금속관으로 피복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공개 2002-113985호 공보 참조).
그러나, 상기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팁 홀더의 후단부를 압입한 축통의 선단 부분의 외주면을 금속관으로 피복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한 효과는 기대할 수 없고, 상기 공보에서는 팁 홀더의 플랜지부와 축통 선단부에서 피복한 금속관을 부지(扶持)함으로써 효과를 얻도록 하고 있다.
또한, 팁 홀더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부품점수가 증가하거나 가공 정밀도 및 조립 정밀도의 면에서도 문제점이 있다.
또한, 노킹 기구에 의해 축통 선단부로부터 출몰가능하고, 또한 노킹 작동에 연동한 가압 기구를 갖는 볼펜 타입의 도포구에 탑재되고, 합성 수지제의 잉크 수용관에 직접 팁을 압입한 리필 유닛에 있어서는, 팁을 압입한 잉크 수용관 선단 부분의 내부 응력 및 도포시의 볼펜 팁에 가해지는 응력에 잉크 수용관 후방부에서의 가압력도 가해져, 통상의 경우보다도 팁의 누락 및 수정액 등의 누출이 발생하기 쉬운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 등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하는 것으로, 제 1 목적은 휘발성이 높은 메틸사이클로헥세인을 주용매로 하는 수정액을 수용하여 이루어진 수정펜용 리필에 있어서, 내용매성이 우수한 동시에, 사용시 및 경시적으로 내용물인 수정액과 그 잔량이 용이하게 시인가능하게 되는 투명성 및 시인성이 우수한 수정펜용 리필을 제공하는 것이고, 제 2 목적은 노킹 기구에 의해 축통 선단부로부터 출몰가능하고, 또한 노킹 작동에 연동한 가압 기구를 갖는 볼펜 타입의 수정펜 등의 도포구에 탑재되고, 합성 수지제의 잉크 수용관(리필)에 직접 팁을 압입한 리필 유닛에 있어서, 구조가 간단하고, 더구나 부품점수도 적으며, 잉크 수용관으로부터의 팁의 누락 및 잉크나 수정액 등의 누출을 해소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의 수정펜용 리필, 및 리필 유닛의 문제점 등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하는 것으로, 적어도 메틸사이클로헥세인을 주용매로 하는 수정액을 수용하여 이루어진 수정펜용 리필을 특정 물성의 수지 성형체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 1 목적의 수정펜용 리필이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이 되는 수정펜용 리필을 완성하기에 이른 동시에, 본 발명자들은 노킹 기구에 의해 축통 선단부로부터 출몰가능하고, 또한 노킹 작동에 연동한 가압 기구를 갖는 볼펜 타입의 수정펜 등의 도포구에 탑재되고, 합성 수지제의 잉크 수용관(리필)에 직접 팁을 압입한 리필 유닛에 있어서, 팁을, 잉크 수용관의 선단 부착부의 단면을 피복하도록 하여 압입 피복, 고정함으로써 본 발명이 되는 리필 유닛을 완성하기에 이른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하기 (1) 내지 (18)에 따른다.
(1) 적어도 메틸사이클로헥세인을 주용매로 하는 수정액을 수용하여 이루어진 수정펜용 리필로서, 상기 수정펜용 리필이 방향족환 또는 나프텐환을 갖는 단량체로부터 얻어지는 폴리아마이드 수지의 성형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펜용 리필.
(2) 적어도 메틸사이클로헥세인을 주용매로 하는 수정액을 수용하여 이루어진 수정펜용 리필로서, 상기 수정펜용 리필이 2종 이상의 폴리아마이드 수지를 블렌딩한 성형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펜용 리필.
(3) 폴리아마이드 수지의 1종이 주쇄중에 방향족환 및/또는 나프텐환을 갖는 폴리아마이드 수지인 상기 (2)에 기재된 수정펜용 리필.
(4) 지방족계 폴리아마이드 수지와, 주쇄중에 방향족환 및/또는 나프텐환을 갖는 폴리아마이드 수지를 블렌딩한 것인 상기 (2)또는 (3)에 기재된 수정펜용 리필.
(5) 주쇄중에 방향족환 및/또는 나프텐환을 갖는 폴리아마이드 수지가 5 내지 100중량% 블렌딩되어 있는 상기(2) 내지(4)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정펜용 리필.
(6) 적어도 메틸사이클로헥세인을 주용매로 하는 수정액을 수용하여 이루어진 수정펜용 리필로서, 상기 수정펜용 리필이 2층 이상의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고, 수정액과 접하는 최내층의 재질이 폴리아마이드 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펜용 리필.
(7) 최내층의 폴리아마이드 수지층이 주쇄중에 방향족환 및/또는 나프텐환을 갖는 지방족 폴리아마이드 수지층인 상기 (6)에 기재된 수정펜용 리필.
(8) 에틸렌·바이닐 알콜 공중합체의 층을 적어도 1층 이상 포함하고 있는 구조인 상기 (7) 또는 (8)에 기재된 수정펜용 리필.
(9) 에틸렌·바이닐 알콜 공중합체의 에틸렌 몰비율이 10 내지 60몰%인 상기 (8)에 기재된 수정펜용 리필.
(10) 최외층이 수증기 투과도 5g/㎡·day/25㎛(40℃, 90% RH) 이하의 고분자층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6) 내지 (9)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정펜용 리필.
(11) 최외층이 폴리프로필렌 또는 환상 폴리올레핀인 상기 (10)에 기재된 수정펜용 리필.
(12) 최내층의 폴리아마이드 수지층의 두께가 0.01 내지 2mm인 상기 (6) 내지 (11)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정펜용 리필.
(13) 상기 (6) 내지 (12)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수정펜용 리필이 공압출법, 사출 성형법 또는 취입 성형법에 의해 제조되는 수정펜용 리필.
(14) 선단에 도포부 및 후방에 잉크 수용관을 갖춘 리필 유닛이, 제 1 스프링으로 후방을 향해 탄발된 상태로 축 본체에 장전되는 동시에, 상기 리필 유닛의 도포부를 축 본체의 후단측에 설치한 노킹 기구의 압출 조작 및 압출 해제 조작에 연동시켜 출몰가능하게 하고,
상기 리필 유닛의 잉크 수용관내 후부가 개방되고, 축 본체에는 상기 잉크 수용관 후부와 노킹 기구 사이에 잉크 수용관내 압력을 증가시키는 가압 기구가 설치되고,
가압 기구는 밀봉부, 전단 개방의 통부, 및 밀봉부와 통부를 격리시키는 방향으로 탄발시키는 제 2 스프링을 갖는 것으로, 상기 노킹 기구의 압출 조작 종료후, 축 본체로부터 돌출한 도포부 선단을 가압하여 리필 유닛을 후퇴시킨 경우에, 가압 기구에서는 상기 밀봉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통부가 전진하여 잉크 수용관내를 가압하도록 한 도포구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가, 볼을 회전자재로 설치한 볼펜 팁의 후단부를 잉크 수용관의 선단 부착부에 압입 장착하고, 팁을 압입한 잉크 수용관의 선단 부착부의 외주부에 금속관을 압입 피복,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 유닛.
(15) 상기 리필 유닛의 잉크 수용관이 청구의 범위 제 1 항 내지 제 13 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정펜용 리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 유닛.
(16) 볼펜 팁은 선단에 금속제 볼 및 금속제 홀더를 갖고, 볼이 팁 선단의 볼 유지부의 내측 가장자리에 밀접하도록 볼의 배면에 스프링 부재로 이루어진 가압 수단에 의해 가압이 부여되어 이루어지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의 범위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기재된 리필 유닛.
(17) 팁을 압입한 잉크 수용관의 선단 부착부의 외주부에 한쪽 단면을 좁힌 금속관으로 잉크 수용관의 선단 부착부의 단면을 피복하도록 하여 압입 피복, 고정한 청구의 범위 제 14 항 내지 제 16 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리필 유닛.
(18) 팁을 압입한 잉크 수용관의 선단 부착부의 외주부에 돌기 또는 언더컷에 대하여 금속관을 압입, 고정한 청구의 범위 제 14 항 내지 제 17 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리필 유닛.
도 1은 본 발명(제 1 발명 또는 제 2 발명)의 수정펜용 리필의 실시태양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수정펜용 리필에 볼펜 팁을 부착한 상태(리필 유닛)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제 1 발명 또는 제 2 발명)에서의 수정펜용 리필의 실시태양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그 부분 종단면도, (b)는 A-A선 단면도, (c)는 B부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제 3 발명)의 수정펜용 리필의 실시태양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다층 구조의 수정펜용 리필에 볼펜 팁을 부착한 상태(리필 유닛)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제 3 발명)에서의 다층 구조의 수정펜용 리필의 실시태양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그 부분 종단면도, (b)는 A-A선 단면도, (c)는 B부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리필 유닛을 축통내에 수납한 도포구의 각 절반 종단면도로, 도 5는 작동시(필기시)의 설명도이며, 도 6은 도 5의 비작동시(비필기시)의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리필 유닛의 일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8은 C-C선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태양에 따른 리필 유닛의 요부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태양에 따른 리필 유닛의 요부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태양에 따른 리필 유닛의 요부 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태양에 따른 리필 유닛의 요부 단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수정펜용 리필, 및 리필 유닛의 실시태양을 도면에 따라 순차적으로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수정펜용 리필은 하기 (1) 내지 (3)중 어느 하나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다.
(1) 적어도 메틸사이클로헥세인을 주용매로 하는 수정액을 수용하여 이루어진 수정펜용 리필로서, 상기 수정펜용 리필이 방향족환 또는 나프텐환을 갖는 단량체로부터 수득되는 폴리아마이드 수지의 성형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이하, "제 1 발명의 수정펜용 리필"이라고 한다).
(2) 적어도 메틸사이클로헥세인을 주용매로 하는 수정액을 수용하여 이루어진 수정펜용 리필로서, 상기 수정펜용 리필이 2종 이상의 폴리아마이드 수지를 블렌드한 성형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이하, "제 2 발명의 수정펜용 리필"이라고 한다).
(3) 적어도 메틸사이클로헥세인을 주용매로 하는 수정액을 수용하여 이루어진 수정펜용 리필로서, 상기 수정펜용 리필이 2층 이상의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고, 수정액과 접하는 최내층의 재질이 폴리아마이드 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이하, "제 3 발명의 수정펜용 리필"이라고 한다).
도 1은 본 제 1 발명 또는 제 2 발명에서의 수정펜용 리필의 실시태양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수정펜용 리필(10)내에는 적어도 메틸사이클로헥세인을 주용매로 하는 수정액(30)이 수용되는 동시에, 상기 수정액(30)의 후단부에 수정액 추종체(팔로우어; 32)가 접촉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수정펜용 리필(10)의 선단부에는 이음새(부재; 11)를 통해 도포(필기)부가 되는 볼펜 팁(12)이 장착되어 리필 유닛이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서의 수정펜용 리필의 실시태양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그 부분 종단면도, (b)는 A-A선 단면도, (c)는 B부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이 수정펜용 리필(15)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음새(부재)까지 일체로 성형한 것이다. 이 수정펜용 리필(15)내에도,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메틸사이클로헥세인을 주용매로 하는 수정액이 수용되는 동시에, 상기 수정액의 후단부에 수정액 추종체(팔로우어)가 접촉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 수정펜용 리필(10 또는 15)은 방향족환 또는 나프텐환을 갖는 단량체로부터 수득되는 폴리아마이드 수지의 성형체, 또는 2종 이상의 폴리아마이드 수지를 블렌딩한 성형체로 구성되는 것이다.
원료가 되는 방향족환을 갖는 단량체로부터 수득되는 폴리아마이드 수지는 주쇄중에 방향족환을 갖는 것으로, 예컨대 폴리메타자일릴렌아디프아마이드 수지, 테레프탈산 또는 아이소프탈산과 헥사메틸렌 다이아민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시판의 노바미드(NOVAMID) X21(미쓰비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사 제품), 나일론 MXD6(미쓰비시 가스 화학사 제품), SELAR PA(듀퐁사 제품), 트로가미드(TROGAMID) T5000(다이셀 휼스사 제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료가 되는 나프텐환을 갖는 단량체로부터 수득되는 폴리아마이드 수지는 주쇄중에 나프텐환을 갖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투명성이 높은 나프텐환을 갖는 것으로서, 시판의 트로가미드 CX-7323(다이셀 휼스사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제 2 발명에 있어서, 2종 이상의 폴리아마이드 수지를 블렌딩한 것으로서는, 물성이 다른 2종 이상의 폴리아마이드 수지를 블렌딩한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발명의 폴리아마이드 수지 단독보다도 더욱 우수한 성형성 및 시인성을 갖는 점에서, 폴리아마이드 수지의 1종이 주쇄중에 방향족환 및/또는 나프텐환을 갖는 폴리아마이드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지방족계 폴리아마이드 수지와, 주쇄중에 방향족환 및/또는 나프텐환을 갖는 폴리아마이드 수지를 블렌딩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제 2 발명에서의 주쇄중에 방향족환을 갖는 폴리아마이드 수지는 적어도 메틸사이클로헥세인을 주용매로 하는 수정액에 대하여 상기 제 1 발명의 방향족환 또는 나프텐환을 갖는 단량체로부터 수득되는 폴리아마이드 수지 단독보다도 더욱 우수한 경시적인 클리어 드레인성을 갖는 것이지만, 성형성 및 저온하에서의 기계 강도의 점에서 약간 뒤떨어지는 것이다. 한편, 지방족계 폴리아마이드 수지는 비교적 저렴하고 성형성도 우수하지만, 클리어 드레인성과 자신의 결정화 때문에 약간 유백색이어서 시인성이 약간 뒤떨어지는 것이다.
그래서, 본 제 2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2종 이상의 폴리아마이드 수지를 블렌딩한 것에 있어서, 주쇄중에 방향족환 및/또는 나프텐환을 갖는 폴리아마이드 수지와 지방족계 폴리아마이드 수지를 블렌딩한 것이 바람직하고, 이 블렌드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주쇄중에 방향족환 및/또는 나프텐환을 갖는 폴리아마이드 수지를 블렌드 수지 전량에 대하여 5 내지 10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00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주쇄중에 방향족환 및/또는 나프텐환을 갖는 폴리아마이드 수지가 5중량% 미만이면, 더 이상의 경시적인 클리어 드레인성의 향상을 발휘할 수 없게 된다. 한편, 100중량%의 경우에는, 주쇄중에 방향족환을 갖는 폴리아마이드 수지와 주쇄중에 나프텐환을 갖는 폴리아마이드 수지의 블렌드 수지를 의미한다.
사용할 수 있는 주쇄중에 방향족환 및/또는 나프텐환을 갖는 폴리아마이드 수지로서는, 상술한 제 1 발명에서 언급한 각 폴리아마이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지방족계 폴리아마이드 수지로서는, 저렴한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11,나일론 12 등의 지방족계 폴리아마이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제 1 또는 제 2 발명이 되는 수정펜용 리필(10 또는 15)은 상술한 방향족환 또는 나프텐환을 갖는 단량체로부터 수득되는 폴리아마이드 수지, 또는 2종 이상의 폴리아마이드 수지를 블렌딩한 것, 바람직하게는 주쇄중에 방향족환 및/또는 나프텐환을 갖는 폴리아마이드 수지를 블렌딩한 것, 더욱 바람직하게는 주쇄중에 방향족환 및/또는 나프텐환을 갖는 폴리아마이드 수지와 지방족계 폴리아마이드 수지를 블렌딩한 것을 압출 성형, 사출 성형, 취입 성형 등에 의해 용이하게 수득되는 것이다.
본 발명이 되는 수정펜용 리필(10 또는 15)의 벽두께(두께)는 수정펜의 구조, 수정액의 종 등에 따라 변동하는 것이지만,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5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벽두께가 0.1mm 미만이면 기계적 강도의 점에서 뒤떨어지게 되고, 또한 3mm를 초과하면 두께가 두꺼워져 펜 본체가 굵어져 버리고, 더구나 비용이 증가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도 3은 본 제 3 발명에서의 수정펜용 리필의 실시태양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수정펜용 리필(10)내에는 적어도 메틸사이클로헥세인을 주용매로 하는 수정액(30)이 수용되는 동시에, 상기 수정액(30)의 후단부에 수정액 추종체(팔로우어; 32)가 접촉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수정펜용 리필(10)의 선단부에는 이음새(부재; 11)를 통해 도포(필기)부가 되는 볼펜 팁(12)이 장착되어 리필 유닛이 된다.
도 4는 본 제 3 발명에서의 수정펜용 리필의 실시태양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그 부분 종단면도, (b)는 A-A선 단면도, (c)는 B부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이 수정펜용 리필(15)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음새(부재)까지 일체로 성형한 것이다. 이 수정펜용 리필(15)내에도,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메틸사이클로헥세인을 주용매로 하는 수정액이 수용되는 동시에, 상기 수정액의 후단부에 수정액 추종체(팔로우러)가 접촉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 수정펜용 리필(10 또는 15)은 2층 이상의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고, 수정액(20)과 접하는 최내층(10a 또는 15a)의 재질이 폴리아마이드 수지로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도 3 및 도 4의 수정펜용 리필(10 또는 15)의 예시는 2층(접착층을 포함하지 않음)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최내층(10a 또는 15a)의 재질이 폴리아마이드 수지로 구성되는 것이면 그 외층(10b 또는 15b)은 몇층 구조이더라도 좋다.
이 최내층(10a 또는 15a)을 구성하는 재질의 폴리아마이드 수지로서는, 폴리아마이드계 수지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나일론 12 등의 지방족계 폴리아마이드 수지보다도 내용매성 및 시인성이 더 우수한 점에서, 주쇄중에 방향족환 및/또는 나프텐환을 갖는 폴리아마이드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성형성의 점에서, 이들 수지와 상기 지방족계 폴리아마이드 수지를 포함하는 블렌드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제 3 발명에 있어서, 사용할 수 있는 지방족계 폴리아마이드 수지로서는 저렴한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11, 나일론 12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사용할 수 있는 상기 주쇄중에 방향족환 및/또는 나프텐환을 갖는 폴리아마이드 수지는 나일론 12 등보다도 더 우수한 내용매성 및 시인성을 갖는 점에서 수정펜용 리필용으로서는 특히 바람직한 것이지만, 성형성 및 저온하에서의 기계 강도의 점에서 약간 뒤떨어져 단독으로의 사용에는 사용상의 문제가 약간 있다. 그래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우수한 특성을 갖는 주쇄중에 방향족환 및/또는 나프텐환을 갖는 폴리아마이드 수지층을 최내층으로 하는 동시에, 박층으로 하여 상기사용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그 외층에 다른 고분자층을 형성한 다층 구조로 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발휘시킬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주쇄중에 방향족환을 갖는 폴리아마이드 수지로서는, 주쇄중에 방향족환을 갖는 것으로, 예컨대 폴리메타자일릴렌아디프아마이드 수지, 테레프탈산 또는 아이소프탈산과 헥사메틸리덴다이아민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시판의 노바미드 X21(미쓰비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사 제품), 나일론 MXD6(미쓰비시 가스 화학사 제품), SELARPA(듀퐁사 제품), 트로가미드 T5000(다이셀 휼스사 제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나프텐환을 갖는 단량체로부터 수득되는 폴리아마이드 수지는 주쇄중에 나프텐환을 갖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투명성이 높은 나프텐환을 갖는 것으로서, 시판의 트로가미드 CX7323(다이셀 휼스사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제 3 발명에 있어서, 2종 이상의 폴리아마이드 수지를 블렌딩한 것으로서는, 물성이 다른 2종 이상의 폴리아마이드 수지를 블렌딩한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경시적인 클리어 드레인성의 향상 및 성형성의 점에서 주쇄중에 방향족환 및나프텐환을 갖는 폴리아마이드 수지와의 블렌드, 또는 이들 주쇄중에 방향족환 및/또는 나프텐환을 갖는 폴리아마이드 수지와 지방족계 폴리아마이드 수지를 블렌딩한 것이 바람직하고, 이 블렌드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주쇄중에 방향족환 및/또는 나프텐환을 갖는 폴리아마이드 수지를 블렌드 수지 전량에 대하여 5 내지 10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00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최내층이 되는 폴리아마이드 수지층(10a)의 벽두께(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mm, 특히 0.1 내지 0.8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벽두께가 0.01mm 미만이면 내용매성의 점에서 뒤떨어지게 되고, 또한 2mm를 초과하면 두께가 두꺼워져 펜체가 굵어져 버리고 비용이 높아져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제 3 발명에 있어서, 상기 최내층(10a 또는 15a)의 폴리아마이드 수지층의 외측의 층(10b 또는 15b)으로서는, 예컨대 내층 폴리아마이드와의 접착성을 고려하면, 최내층(10a)에 주쇄중에 방향족환 및/또는 나프텐환을 갖는 폴리아마이드 수지,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폴리아마이드의 블렌드 수지를 사용한 경우에는 동일한 폴리아마이드계에서 저렴한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11, 나일론 12 등의 지방족 폴리아마이드 수지층을 들 수 있고, 또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등의 폴리에스터계 고분자나,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환상 폴리올레핀 등의 폴리올레핀계 고분자를 접착층이 되는 접착성 폴리올레핀 등을 통해 다층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제 3 발명에서는, 메틸 사이클로헥세인 등의 용매에 대한 내용매성이 더욱 우수한 동시에, 산소 및 질소에 대한 가스 차단성이 우수한 수지인 에틸렌·바이닐 알콜 공중합체(EVOH)의 층을 적어도 1층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내층과 최외층의 사이가 되는 중간층으로서 적어도 1층(층 전체로서 3층 이상의 구조)으로 하여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사용하는 에틸렌·바이닐 알콜 공중합체로서는, 한층 더한 내용매성 및 가스 차단성의 점에서 에틸렌·바이닐 알콜 공중합체의 에틸렌 공중합 비율이 10 내지 60몰%의 범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EVOH의 에틸렌 공중합 비율이 20 내지 60몰%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서는, 예컨대 EP-F101(에틸렌 공중합 비율 32몰%, 규라레사 제품), EP-H101(에틸렌 공중합 비율 38몰%, 규라레사 제품), EP-E105(에틸렌 공중합 비율 44몰%, 규라레사 제품), EP-G156(에틸렌 공중합 비율 47몰%, 규라레사 제품), EP-G110(에틸렌 공중합 비율 47몰%, 규라레사 제품), 소아놀(SOANOL) D2908(에틸렌 공중합 비율 29몰%, 닛폰합성화학사 제품), 소아놀 D3203(에틸렌 공중합 비율 32몰%, 닛폰합성화학사 제품), 소아놀 D2903(에틸렌 공중합 비율 29몰%, 닛폰합성화학사 제품), 소아놀 D3808(에틸렌 공중합 비율 38몰%, 닛폰합성화학사 제품), 소아놀 ET3803(에틸렌 공중합 비율 38몰%, 닛폰합성화학사 제품), 소아놀 A4412(에틸렌 공중합 비율 44몰%, 닛폰합성화학사 제품), 소아놀 AT4403(에틸렌 공중합 비율 44몰%, 닛폰합성화학사 제품) 등을 들 수 있다.
이 EVOH층을 사용하는 경우, 그 벽두께(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0.5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흡습성이 우수한 수정펜용 리필로 하는 점에서, 최외층은 수증기 투과도 5g/㎡·day/25㎛(40℃, 90% RH)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증기 투과도 3g/㎡·day/25㎛(40℃, 90% RH) 이하의 고분자층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특성을 갖는 최외층의 재질로서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환상 폴리올레핀,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블렌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환상 폴리올레핀으로서는, 예컨대 폴리올레핀 수지와 비결정성 수지의 성능을 융합한 환상 올레핀 공중합체, 구체적으로는 APL(아펠(APEL))시리즈(APL6509T, APL6013T, APL6011T, APL6015T, APL8008F, APL8009T, APL5014DP, 이상, 미쓰이화학사 제품), 또는 ZEONOR1020R(도셀로사 제품), 및 C5 유분중의 다이사이클로펜타다이엔을 주원료로 하는 비정질 폴리올레핀의 1종인 환상 올레핀 수지, 구체적으로는 제오넥스(ZEONEX) 및 제오노어(ZEONOR)(니혼제온사 제품)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EVOH층을 설치한 경우에는, 상기 EVOH층은 다른 고분자보다도 내흡습성의 점에서 약간 뒤떨어지게 되기 때문에, EVOH의 외층에는 상기 수증기 투과도 이하의 고분자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EVOH층 또는 상기 수증기 투과도 5g/㎡·day/25㎛(40℃, 90% RH) 이하의 고분자층은 각기 각각의 바람직한 접착층을 통해 다층화하여 보다 우수한 효과를 발휘시키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본 제 3 발명이 되는 수정펜용 리필의 제조는, 상술한 바와 같이, 2층 이상의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고, 수정액과 접하는 최내층의 재질로서 폴리아마이드 수지, 바람직하게는 주쇄중에 방향족환 및/또는 나프텐환을 갖는 폴리아마이드 수지, 또는 이들 수지와 지방족계 폴리아마이드 수지의 블렌드 수지를 사용하고, 또한 최외층(중간층을 포함함)의 재질로서 나일론 12 등의 지방족 폴리아마이드 수지, 폴리에스터계 고분자, 폴리올레핀계 고분자, EVOH, 수증기 투과도가 상기 특성치 이하인 고분자 및 필요에 따라 접착층을 구성하는 접착 수지를 사용하고, 이들 최내층 및 최외층의 수지를 적절히 조합하여 공압출 성형법, 공취입 성형법, 공사출 성형법 등으로 용이하게 수득되는 것이다. 특히, 공압출 성형법은 성형과 동시에 다층화를 도모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한 제법이다.
본 제 3 발명이 되는 수정펜용 리필(10 또는 15)의 벽두께(두께)는 수정펜의 구조, 수정액의 종, 상기 최내층이 되는 폴리아마이드 수지의 두께 등에 따라 변동하는 것이지만, 전체로 그 벽두께(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mm,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제 1 발명 내지 제 3 발명에 있어서, 수정펜용 리필(10 또는 15)내에 수용하는 수정액(30)으로서는,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수정액의 조성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예컨대 이산화타이타늄 등의 은폐제와, 적어도 메틸사이클로헥세인을 주용매(용매중에 50중량% 이상)로 하는 유기 용매, 상기 유기 용매에 가용성인 증점제, 바인더로서의 수지류, 계면활성제류, 그 밖의 임의 성분을 적절히 용해 또는 분산시킨 수정액이 사용된다.
상기 메틸사이클로헥세인 이외에 사용할 수 있는 용매로서는, n-헥세인, n-헵테인, n-옥테인, 아이소옥테인, 사이클로헥세인, 에틸사이클로헥세인, 톨루엔, 자일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정액의 각 성분의 함유량으로서는, 예컨대 수정액 전량(100중량%)에 대하여 유기 용매 20 내지 85중량%, 은폐제 10 내지 60중량%, 수지류 및 그 밖의 성분 5 내지 30중량% 정도의 조성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정액을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상기 수정액에 미분말 실리카, 알루미나, 다이벤질 소르비톨, 유기 처리 벤토나이트, 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및 그 유도체, 경화 피마자유 및 그 유도체, N-로로일-L-글루탐산-α,γ-다이-n-뷰틸아마이드, 파라핀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등의 점성부여제를 수정액 전량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 정도 함유시켜 겔상 수정액(점성체)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겔상 수정액 잉크로 함으로서, 추가로 교반이 불필요하게 되어 산화타이타늄의 침강을 억제하기 쉽고, 또한 종이 등의 피도포체에 수정액을 도포한 경우, 구조 점성을 가짐으로써 피도포체상에서의 "번짐"을 또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본 제 1 발명 내지 제 3 발명의 수정펜용 리필에 있어서, 수정액(30)의 후단부에 접촉 상태로 배치하는 수정액 추종체(팔로우어; 32)로서는, 수정액(30)과 상용하지 않는 난휘발성의 액상물로, 상술한 수정액의 후단부에 접촉 상태로 수용 배치되는 것이고, 수정액의 소비에 따라서 수정액에 추종하여 이동하여 가동 마개로서의 작용을 하는 것이다.
이 수정액 추종체(32)를 형성하는 난휘발성의 액상물로서는, 수정액과 상용하지 않고 수정액의 휘발을 방지하는 것 및 자기 휘발하기 어려운 것 2가지의 기본 성능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글라이세린, 다이글라이세린, 폴리글라이세린,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폴리프로필렌 글라이콜, 알킬렌 글라이콜 알킬 에터, 폴리글라이세린 지방산 에스터, 글라이세린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 다이글라이세린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 및 폴리글라이세린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각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수정액 추종체(32)로서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미분말의 실리카, 알루미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나 다이벤질리덴 솔비톨과 같은 구조 점성부여재를 상기 액상물에 첨가하여 겔화시킨 상태로 할 수도 있다.
도포(필기)부로서는, 수정액의 바람직한 양을 토출할 수 있는 구조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도 1 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에 금속(스테인레스 또는 세라믹)제의 볼 및 금속(스테인레스 또는 세라믹)제의 홀더를 갖는 볼펜 팁(12)으로 이루어지고, 볼이 팁 선단의 볼 유지부의 내측 가장자리에 밀접하도록 볼의 배면에 스프링 부재로 이루어진 가압 수단에 의해 가압이 부여되어 이루어지는 구조의 것을 들 수 있다. 이 가압 수단을 내장한 것에서는, 도포시 등에는 볼이 가라앉아 볼과 볼 유지부 사이에 클리어런스(clearance)부를 형성할 수 있고, 이 때에 리필(10 또는 15)내의 수정액이 클리어런스부를 지나서 적정한 유출량으로 외부로 유출되어 도포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도포 작업이 끝나면 (통상의 상태에서는), 가압 수단에 의해 볼이 팁 선단의 볼 유지부의 내측 가장자리에 밀접하여 수정액은 유출되지 않는 구조가 되는 것이다.
본 제 1 발명 내지 제 3 발명의 수정펜용 리필은, 예컨대 종래의 볼펜 형식과 마찬가지로 본체부(축체)에 이음새(선축) 부재를 나사 맞춤 등에 의해 착탈자재로 한 수정펜, 또는 본원 출원인에 의한 일본 특허공개 2000-335173호에 기재된 가압 펌핑 기구를 갖춘 노킹식의 볼펜형 수정펜, 또한 후술하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도포구에 수납하여 사용에 제공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동시에, 사용에 제공되는 본 제 1 발명의 수정펜용 리필에서는, 적어도 메틸사이클로헥세인을 주용매로 하는 수정액을 수용하여 이루어진 수정펜용 리필을 방향족환 또는 나프텐환을 갖는 단량체로부터 수득되는 폴리아마이드 수지의 성형체로 구성함으로써, 내용매성이 우수하고, 또한 사용시 및 경시적으로 내용물인 수정액과 그 잔량이 용이하게 시인가능해진다.
또한, 본 제 2 발명의 수정펜용 리필에서는, 적어도 메틸사이클로헥세인을 주용매로 하는 수정액을 수용하여 이루어진 수정펜용 리필을, 2종 이상의 폴리아마이드 수지를 블렌딩한 것, 바람직하게는 그 1종에 주쇄중에 방향족환 및/또는 나프텐환을 갖는 폴리아마이드 수지를 블렌딩한 것, 더욱 바람직하게는 주쇄중에 방향족환 및/또는 나프텐환을 갖는 폴리아마이드 수지와 지방족계 폴리아마이드 수지를 블렌딩한 성형체로 구성함으로써, 내용매성이 우수한 동시에, 더욱 우수한 시인성(사용시 및 경시적으로 내용물인 수정액과 그 잔량이 용이하게 시인가능) 및 성형성을 갖는 것이 된다.
또한, 본 제 3 발명의 수정펜용 리필에서는, 적어도 메틸사이클로헥세인을 주용매로 하는 수정액을 수용하여 이루어진 수정펜용 리필이 2층 이상의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고, 수정액과 접하는 최내층의 재질이 폴리아마이드 수지로 구성됨으로써, 내용매성이 우수하고, 또한 사용시 및 경시적으로 내용물인 수정액과 그 잔량이 용이하게 시인가능해진다.
본 발명(제 1 발명 내지 제 3 발명)의 수정펜용 리필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으로, 리필의 구성에 특징을 갖는 것이기 때문에, 리필 이외의 구조가 되는 수정액, 수정액 추종체, 수정펜의 구조 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수정펜용 리필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변경을 가하여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 1 발명 내지 제 3 발명의 수정펜용 리필을 이용한 리필 유닛으로서는, 후술하는 리필 유닛이 바람직한 형태이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리필 유닛의 실시태양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태양에 따른 리필 유닛을 축통내에 수납한 도포구의 노킹후와 사용전의 각 절반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리필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리필 유닛의 여러 가지 실시태양을 설명하는 요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리필 유닛은 노킹 기구에 의해 축통 선단부로부터 출몰가능하고, 또한 노킹 작동에 연동한 가압 기구를 갖는 볼펜 타입의 수정펜 등의 도포구에 탑재되는 합성 수지제 리필 유닛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리필 유닛을 수납하는 도포구로서는, 예컨대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에 도포부가 되는 볼펜 팁(12)과 후방에 잉크 수용관(10)를 갖춘 리필 유닛(14)이 제 1 스프링(16)으로 후방을 향해 탄발된 상태로 축 본체(18)내에 장전되는 동시에, 상기 리필 유닛(14)의 도포부가 되는 볼펜 팁(12)을 축 본체(18)의 후단측에 설치한 노킹 기구(20)의 압출 조작 및 압출 해제 조작에 연동시켜 선단 개구(18a)에서 출몰가능하게 하고, 상기 리필 유닛(14)의 잉크 수용관(10)내 후부가 개방되고, 축 본체(18)내에는 상기 잉크 수용관 후부(10r)와 노킹 기구(20) 사이에 잉크 수용관(10)내 압력을 증가시키는 가압 기구(22)가 설치되고, 가압 기구(22)는 밀봉부(24), 전단 개방의 통부(26), 및 밀봉부(24)와 통부(26)를 격리시키는 방향으로 탄발시키는 제 2 스프링(28)을 갖는 것이고, 상기 노킹 기구(20)의 압출 조작 종료 후, 축 본체(18)로부터 돌출한 도포부가 되는 볼펜 팁(12) 선단을 가압하여 리필 유닛(14)을 후퇴시킨 경우에, 가압 기구(22)에서는 상기 밀봉부(24)가 후퇴하고 상대적으로 통부(26)가 전진하여 내부 가압실(40)의 내부 공기를 압축하고, 그 압축된 내부 공기에 의해 체크 밸브(29)를 열어 밀봉부(24)를 통해 잉크 수용관(10)내를 가압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노킹 기구(20)의 압출 조작에 연동하여 축 본체(18)내에 있는 가압 기구(22)의 밀봉부(24)가 리필 유닛(14)의 잉크 수용관 후부(10r)에 밀착후 추가로 통부(26)가 전진하여 가압실(40)의 내부 공기를 압축하고, 상기와 같이 그 압축된 내부 공기에 의해 밀봉부(24)를 통해 잉크 수용관(10)내를 가압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한편, 도시 부호 30은 수정액(또는 잉크, 도포액)이고, 32는 수정액 등을 추종하는 팔로우어이다. 또한, 가압 기구(22)는 노킹 기구(20)의 압출 해제시의 상기 리필 유닛(14)의 볼펜 팁(12)의 펜 끝의 축 본체(18)내로의 몰입 상태에서 리필(10)내의 가압 상태를 해제하는 것이다.
이 리필 유닛(14)의 잉크 수용관(10)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마이드 등의 일반적인 수지의 성형체, 또한 도포구가 수정펜용이면 상기 제 1 발명 내지 제 3 발명의 수정펜용 리필로 구성되는 동시에,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팁(51)이 잉크 수용관(10)의 후부보다도 가는 직경의 통체(52)가 되도록 좁혀 성형하고 있어, 상기 통체(52)의 내부 중간 정도에는 압입하는 팁(10)을 받는 수용 자리(53)가 되는 리브(54)를 복수개 설치해 놓는다. 또한, 상기 통체(52)의 외부 적소에는 통체(52) 선단부로부터 압입 피복, 고정되는 금속관(55)을 수용 고정하는 리브(56)를 복수개 형성해 놓는다.
팁(12)의 선단부의 볼(57)은 가압 막대(58)를 통해 스프링(59)에 의해 탄발되어, 선단 볼(57)은 선단 코킹된 내면(66)과 밀착하여 기밀 상태가 된다. 스프링(59)의 한쪽 단면(60)은 잉크 수용관(10)의 통체(52) 내부의 리브(54)를 도중까지 깊이 베어 설치한 수용부(61)로 직접 수용하고 있다.
통체(52)의 외주부(62)에 압입 피복, 고정하는 금속관(55)은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등 일반적인 금속을 사용하고, 단순한 링 형상일 수도 있고,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 단면(67)을 좁혀 잉크 수용관(10)의 통체(52)의 선단 팁 부착부(63)의 단면(64)을 덮는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잉크 수용관(10)의 통체(52)의 외주부(62)의 금속관(55)을 압입 피복하는 부분에 상대하는 부분에 환상의 돌기 또는 언더컷(65)을 설치하여, 주로 돌기 또는 언더컷(65)에 대하여 압입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 또는 언더컷(65)을 갖는 것에 대하여,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의 단면(67)을 좁혀 잉크 수용관(10)의 통체(52)의 선단 팁 부착부(63)의 단면(64)을 덮는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리필 유닛은 팁을 직접 압입한 잉크 수용관 선단 부분의 내부 응력이나 도포시의 볼펜 팁에 가해지는 응력, 또한 잉크 수용관 후부로부터의 가압력 등의, 팁을 잉크 수용관으로부터 빼서 떨어뜨리는 힘에 대해서도, 또한 시간 경과에 따른 팁의 압입력의 저하에 대해서도 팁의 누락 및 잉크나 수정액, 도포액 등의 누출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리필 유닛은 팁 홀더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잉크 수용관에 팁을 압입하는 구조로 하였기 때문에, 부품점수가 줄고 가공 정밀도 및 조립 정밀도의 면에서도 효과가 있다.
또한, 팁을 잉크 수용관에 직접 압입한 구조 때문에, 시인성을 갖는 잉크 수용관에 수용한 잉크나 수정액 등을 팁 부착 부분까지 시인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금속관을 잉크 수용관의 팁 부착부의 외주면에 압입 피복, 고정하였기 때문에, 잉크 수용관의 팁 압입면의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어 잉크나 수정액의 안정화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잉크 수용관을 상기 제 1 발명 내지 제 3 발명의 수정펜용 리필중 어느 하나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효과와 함께, 내용매성이 우수한 동시에, 더욱 우수한 시인성(사용시 및 경시적으로 내용물인 수정액과 그 잔량이 용이하게 시인가능) 및 성형성을 갖는 수정펜용의 리필 유닛이 제공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에 기초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17, 및 비교예 1 및 2]
하기에 기재된 수지를 사용하여 각 방법에 의해 각 수정펜용 리필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1)
나일론 MXD6(미쓰비시 가스 화학사 제품, 이하 동일)을 튜브 형상으로 외경 8mm, 내경 6mm, 벽두께(두께) 1mm가 되도록 압출 성형하여 길이 70mm의 수정펜용 리필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트로가미드 T5000(다이셀 휼스사 제품)을 튜브 형상으로 외경 8mm, 내경 6mm, 벽두께(두께) 1mm가 되도록 압출 성형하여 길이 70mm의 수정펜용 리필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트로가미드 CX-7323(다이셀 휼스사 제품)을 튜브 형상으로 외경 8mm, 내경 6mm, 벽두께(두께) 1mm가 되도록 압출 성형하여 길이 70mm의 수정펜용 리필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
노바미드 X21(미쓰비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사 제품, 이하 동일)을 튜브 형상으로 외경 8mm, 내경 6mm, 벽두께(두께) 1mm가 되도록 사출 성형하여 길이 70mm의 수정펜용 리필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5)
나일론 6:노바미드 X21=30중량%:70중량%의 비율로 블렌딩한 것을 튜브 형상으로 외경 8mm, 내경 6mm, 두께(두께) 1mm가 되도록 사출 성형하여 길이 70mm의 수정펜용 리필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6)
나일론 12:나일론 MXD6=30중량%:70중량%의 비율로 블렌딩한 것을 튜브 형상으로 외경 8mm, 내경 6mm, 벽두께(두께) 1mm가 되도록 압출 성형하여 길이 70mm의 수정펜용 리필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7)
나일론 6:노바미드 X21:나일론 MXD6=20중량%:40중량%:40중량%의 비율로 블렌딩한 것을 튜브 형상으로 외경 8mm, 내경 6mm, 벽두께(두께) 1mm가 되도록 사출 성형하여 길이 70mm의 수정펜용 리필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8)
나일론 6:노바미드 X21=20중량%:80중량%의 비율로 블렌딩한 것을 튜브 형상으로 외경 8mm, 내경 6mm, 벽두께(두께) 1mm가 되도록 사출 성형하여 길이 70mm의 수정펜용 리필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9)
나일론 12:노바미드 X21:나일론 MXD6=10중량%:40중량%:50중량%의 비율로 블렌드한 것을 튜브 형상으로 외경 8mm, 내경 6mm, 벽두께(두께) 1mm가 되도록 사출 성형하여 길이 70mm의 수정펜용 리필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0)
2종 2층[외층: 나일론 6/내층: 노바미드 X21=0.9mm/0.1mm] 튜브를 외경 8mm, 내경 6mm, 벽두께(두께) 1mm가 되도록 공사출 성형하여 길이 70mm의 수정펜용 리필을 수득하였다. 한편, 나일론 6의 수증기 투과도는 47g/㎡·day/25㎛(40℃, 90% RH)이었다(실시예 2 및 3도 동일).
(실시예 11)
2종 2층[외층: 나일론 6/내층: 나일론 MXD6=0.9mm/0.1mm] 튜브를 외경 8mm, 내경 6mm, 벽두께(두께) 1mm가 되도록 공압출 성형하여 길이 70mm의 수정펜용 리필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2)
2종 2층[외층: 나일론 6/내층: 트로가미드 T5000=0.9mm/0.1mm] 튜브를 외경 8mm, 내경 6mm, 벽두께(두께) 1mm가 되도록 공압출 성형하여 길이 70mm의 수정펜용 리필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3)
4종 4층[최외층: 폴리프로필렌/접착층: 변성 PP 수지/나일론 6/최내층: 노바미드 X21=0.2mm/0.01mm/0.69mm/0.1mm] 튜브를 외경 8mm, 내경 6mm, 벽두께(두께) 1mm가 되도록 공사출 성형하여 길이 70mm의 수정펜용 리필을 수득하였다.
한편, 상기 접착층(변성 PP 수지)은 미쓰비시화학사 제품의 모딕(MODIC) 502(이하, 동일)를 사용하였다. 또한, 폴리프로필렌의 수증기 투과도는 1.6g/㎡·day/25㎛(40℃, 90% RH)이었다(실시예 5 및 7도 동일).
(실시예 14)
4종 4층[최외층: 폴리프로필렌/접착층: 변성 PP 수지/중간층: EVOH:EP-H101(규라레사 제품, 에틸렌 몰비율 38몰%)/최내층: 노바미드 X21=0.2mm/0.01mm/0.699mm/0.1mm] 튜브를 외경 8mm, 내경 6mm, 벽두께(두께) 1mm가 되도록 공압출 성형하여 길이 70mm의 수정펜용 리필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5)
3종 3층[최외층: EVOH; EP-E105(규라레사 제품, 에틸렌 몰비율 44몰%)/접착층: 변성 PP 수지/최내층: 노바미드 X21=0.89mm/0.01mm/0.1mm] 튜브를 외경 8mm, 내경 6mm, 벽두께(두께) 1mm가 되도록 공사출 성형하여 길이 70mm의 수정펜용 리필을 수득하였다. 한편, EVOH의 수증기 투과도는 38g/㎡·day/25㎛(40℃, 90% RH)이었다.
(실시예 16)
4종 5층[최외층: 폴리프로필렌/접착층: 변성 PP 수지/EVOH; EP-E105(규라레사 제품, 에틸렌 몰비율 44몰%)/접착층: 변성 PP 수지/최내층: 트로가미드 T1500=0.68mm/0.01mm/0.2mm/0.01mm/0.1mm] 튜브를 외경 8mm, 내경 6mm, 벽두께(두께) 1mm가 되도록 공압출 성형하여 길이 70mm의 수정펜용 리필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7)
4종 5층[최외층: 환상 폴리올레핀; ZEONOR1020R(도셀로사 제품)/접착층: 변성 PP 수지/EVOH; EP-E105(규라레사 제품, 에틸렌 몰비율 44몰%)/접착층: 변성 PP 수지/최내층: 노바미드 X21=0.68mm/0.01mm/0.2mm/0.01mm/0.1mm] 튜브를 외경 8mm, 내경 6mm, 벽두께(두께) 1mm가 되도록 공사출 성형하여 길이 70mm의 수정펜용 리필을 수득하였다.
한편, 환상 폴리올레핀의 수증기 투과도는 0.5g/㎡·day/25㎛(40℃, 90% RH)이었다.
(비교예 1)
나일론 12를 튜브 형상으로 외경 8mm, 내경 6mm, 벽두께(두께) 1mm가 되도록 압출 성형하여 길이 70mm의 수정펜용 리필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2)
나일론 66을 튜브 형상으로 외경 8mm, 내경 6mm, 벽두께(두께) 1mm가 되도록 압출 성형하여 길이 70mm의 수정펜용 리필을 수득하였다.
상기에서 수득된 각 수정펜용 리필에, 하기에 나타내는 배합 조성 및 점도의 수정액을 약 1.5g 주입하였다. 이어서, 이 수정액의 말단부에 접촉 상태로 배치되 도록 하기 배합 조성 및 점도의 추종체 0.4g을 수용하여 도 1에 준거하는 각 수정펜을 수득하였다.
(수정액의 배합 조성)
·메틸사이클로헥세인 40부
·아크릴 수지 10부
·이산화타이타늄 49부
·분말 실리카 1부
(수정액 추종체의 배합 조성)
·다이글라이세린의 에틸렌 옥사이드 13몰 부가물 95부
·미분말 실리카 5부
이 수정액의 점도(25℃C)를 점도계(도키 산교사 제품)에 의해 측정한 바, 1rpm에서 5000mP·s이며, 수정액 추종체의 점도(25℃)는 1rpm에서 10,000mP·s이었다.
수득된 각 수정펜에 대하여, 하기 평가 방법에 의해 내용매성 및 클리어 드레인성을 평가하였다.
이들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내용매성의 평가 방법)
상기에서 수득한 수정펜을 25℃, 65% RH의 환경 시험실에서 1개월간 방치한 후의 내용매성을 육안에 의해 하기 평가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 리필은 전혀 변화 없음
△: 리필에 약간 변화 있음
×: 리필에 변화 있음
(클리어 드레인의 평가 방법)
상기에서 수득한 수정펜을 50℃, 65% RH의 환경 시험실에서 1개월간 방치한 후의 클리어 드레인성을 육안에 의해 하기 평가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 리필은 전혀 변화가 없고 명료하여 용이하게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 리필에 약간 변화가 있고 또한 약간 불명료하여 잔량을 겨우 확인할 수 있는 상태이다.
×: 리필에 변화가 있고 또한 불명료하여 잔량을 확인할 수 없는 상태이다.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가 되는 실시예 1 내지 17은 본 발명의 범위 밖이 되는 비교예 1 내지 2에 비해 내용매성 및 클리어 드레인성이 우수함이 밝혀졌다.
본 발명의 수정펜용 리필에 따르면, 내용매성이 우수한 동시에, 우수한 시인성(사용시 및 경시적으로 내용물인 수정액과 그 잔량이 용이하게 시인가능) 및 성형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리필 유닛에 따르면, 팁을 직접 압입한 잉크 수용관 선단 부분의 내부 응력이나 도포시의 볼펜 팁에 가해지는 응력, 또한 잉크 수용관 후부로부터의 가압력 등의, 팁을 잉크 수용관으로부터 빼서 떨어뜨리는 힘에 대해서도, 또한 시간 경과에 따른 팁의 압입력의 저하에 대해서도 팁의 누락 및 수정액이나 잉크 등의 누출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8)

  1. 적어도 메틸사이클로헥세인을 주용매로 하는 수정액을 수용하여 이루어진 수정펜용 리필로서, 상기 수정펜용 리필이 방향족환 또는 나프텐환을 갖는 단량체로부터 수득되는 폴리아마이드 수지의 성형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펜용 리필.
  2. 적어도 메틸사이클로헥세인을 주용매로 하는 수정액을 수용하여 이루어진 수정펜용 리필로서, 상기 수정펜용 리필이 2종 이상의 폴리아마이드 수지를 블렌딩한 성형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펜용 리필.
  3. 제 2 항에 있어서,
    폴리아마이드 수지의 1종이 주쇄중에 방향족환 및/또는 나프텐환을 갖는 폴리아마이드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펜용 리필.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지방족계 폴리아마이드 수지와, 주쇄중에 방향족환 및/또는 나프텐환을 갖는 폴리아마이드 수지를 블렌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펜용 리필.
  5. 제 2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쇄중에 방향족환 및/또는 나프텐환을 갖는 폴리아마이드 수지가 5 내지 100중량% 블렌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펜용 리필.
  6. 적어도 메틸사이클로헥세인을 주용매로 하는 수정액을 수용하여 이루어진 수정펜용 리필로서, 상기 수정펜용 리필이 2층 이상의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고, 수정액과 접하는 최내층의 재질이 폴리아마이드 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펜용 리필.
  7. 제 6 항에 있어서,
    최내층의 폴리아마이드 수지층이 주쇄중에 방향족환 및/또는 나프텐환을 갖는 지방족 폴리아마이드 수지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펜용 리필.
  8.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에틸렌·바이닐 알콜 공중합체의 층을 적어도 1층 이상 포함하고 있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펜용 리필.
  9. 제 8 항에 있어서,
    에틸렌·바이닐 알콜 공중합체의 에틸렌 몰비율이 10 내지 60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펜용 리필.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최외층이 수증기 투과도 5g/㎡·day/25㎛(40℃, 90% RH) 이하의 고분자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펜용 리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최외층이 폴리프로필렌 또는 환상 폴리올레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펜용 리필.
  12. 제 6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최내층의 폴리아마이드 수지층의 두께가 0.01 내지 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펜용 리필.
  13.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따른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수정펜용 리필이 공압출법, 사출 성형법 또는 취입 성형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펜용 리필.
  14. 선단에 도포부 및 후방에 잉크 수용관을 갖춘 리필 유닛이, 제 1 스프링으로 후방을 향해 탄발된 상태로 축 본체에 장전되는 동시에, 상기 리필 유닛의 도포부를 축 본체의 후단측에 설치한 노킹 기구의 압출 조작 및 압출 해제 조작에 연동시켜 출몰가능하게 하고,
    상기 리필 유닛의 잉크 수용관내 후부가 개방되고, 축 본체에는 상기 잉크 수용관 후부와 노킹 기구 사이에 잉크 수용관내 압력을 증가시키는 가압 기구가 설치되고,
    가압 기구는 밀봉부, 전단 개방의 통부, 및 밀봉부와 통부를 격리시키는 방향으로 탄발시키는 제 2 스프링을 갖는 것으로, 상기 노킹 기구의 압출 조작 종료후, 축 본체로부터 돌출한 도포부 선단을 가압하여 리필 유닛을 후퇴시킨 경우에, 가압 기구에서는 상기 밀봉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통부가 전진하여 잉크 수용관내를 가압하도록 한 도포구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가, 볼을 회전자재로 설치한 볼펜 팁의 후단부를 잉크 수용관의 선단 부착부에 압입 장착하고, 팁을 압입한 잉크 수용관의 선단 부착부의 외주부에 금속관을 압입 피복,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 유닛.
  15. 상기 리필 유닛의 잉크 수용관이 제 1 항 내지 제 13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정펜용 리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 유닛.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볼펜 팁은 선단에 금속제 볼 및 금속제 홀더를 갖고, 볼이 팁 선단의 볼 유지부의 내측 가장자리에 밀접하도록 볼의 배면에 스프링 부재로 이루어진 가압 수단에 의해 가압이 부여되어 이루어지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 유닛.
  17. 제 14 항 내지 제 1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팁을 압입한 잉크 수용관의 선단 부착부의 외주부에 한쪽 단면을 좁힌 금속관으로 잉크 수용관의 선단 부착부의 단면을 피복하도록 하여 압입 피복,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 유닛.
  18. 제 14 항 내지 제 1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팁을 압입한 잉크 수용관의 선단 부착부의 외주부에 돌기 또는 언더컷에 대하여 금속관을 압입,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 유닛.
KR1020057016405A 2003-03-04 2004-03-03 수정펜용 리필, 및 리필 유닛 KR200501044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57290A JP2004262197A (ja) 2003-03-04 2003-03-04 修正ペン用リフィール
JP2003057288A JP4442798B2 (ja) 2003-03-04 2003-03-04 修正ペン用リフィール
JPJP-P-2003-00057288 2003-03-04
JPJP-P-2003-00057290 2003-03-04
JPJP-P-2003-00107568 2003-04-11
JP2003107568A JP3933600B2 (ja) 2003-04-11 2003-04-11 リフィールユニッ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4416A true KR20050104416A (ko) 2005-11-02

Family

ID=32966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6405A KR20050104416A (ko) 2003-03-04 2004-03-03 수정펜용 리필, 및 리필 유닛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00938B2 (ko)
EP (2) EP1607238B1 (ko)
KR (1) KR20050104416A (ko)
DE (1) DE602004027016D1 (ko)
WO (1) WO20040784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8903A (ko) 2007-06-11 2008-12-16 미크로 가부시키가이샤 직액식 필기구
US20110129289A1 (en) * 2008-04-02 2011-06-02 Lalit Agrawal Refill Adaptor
CN102971157B (zh) * 2010-03-31 2015-11-25 汇美环球有限公司 再加注系统和方法
CN102259714B (zh) 2011-07-26 2012-08-22 东莞怡信磁碟有限公司 一种便携式乳膏充液瓶
CN102850842A (zh) * 2012-09-11 2013-01-02 江苏正泰医药化工有限公司 一种涂改液
US9731543B2 (en) * 2013-07-02 2017-08-15 Davro Products, Inc. Decorative insert
US9522563B1 (en) * 2015-09-04 2016-12-20 Samuel Montgomery, III Combined umbrella and pen system
KR102513008B1 (ko) * 2017-03-31 2023-03-23 미쓰비시 엔피쯔 가부시키가이샤 필기구용 리필 및 이것을 이용한 필기구
KR20210046041A (ko) * 2018-08-29 2021-04-27 미쓰비시 엔피쯔 가부시키가이샤 리필을 구비한 필기구
JP7294857B2 (ja) * 2019-04-09 2023-06-20 三菱鉛筆株式会社 筆記具用インク収容部材および筆記具
US20220371356A1 (en) * 2021-05-19 2022-11-24 Sanford L.P. Writing instrument
US11845104B1 (en) * 2023-02-04 2023-12-19 Eli Altaras Liquid solution twist pen method and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113035T3 (es) * 1993-11-30 1998-04-16 Pelikan Ag Instrumento para escribir, en especial una estilografica.
DE4409756A1 (de) * 1994-03-22 1995-09-28 Merz & Krell Umweltfreundliches Füllhalter-Füllsystem
JP3617559B2 (ja) * 1995-11-21 2005-02-09 三菱鉛筆株式会社 塗布具
JPH09192582A (ja) * 1996-01-19 1997-07-29 Mitsubishi Pencil Co Ltd 塗布具
JP3835870B2 (ja) * 1996-12-27 2006-10-18 三菱鉛筆株式会社 修正液の塗布具
US6027272A (en) * 1998-06-19 2000-02-22 The Gillette Company Fluid delivery system
JP2000263986A (ja) * 1999-03-18 2000-09-26 Mitsubishi Pencil Co Ltd ボールペン
JP2000335173A (ja) 1999-06-01 2000-12-05 Mitsubishi Pencil Co Ltd ボールペン
JP4442778B2 (ja) * 1999-06-03 2010-03-31 三菱鉛筆株式会社 流動体塗布具
JP2002067585A (ja) 2000-08-31 2002-03-08 Pentel Corp 修正具
JP2002065351A (ja) 2000-08-31 2002-03-05 Pentel Corp 塗布具
JP4549510B2 (ja) 2000-10-12 2010-09-22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ボールペン
JP3788609B2 (ja) * 2001-08-29 2006-06-21 三菱鉛筆株式会社 筆記具用インキ貯蔵体
US6742952B1 (en) * 2003-02-28 2004-06-01 Bic Corporation Transparent or translucent tubular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78489A1 (ja) 2004-09-16
EP2123473A1 (en) 2009-11-25
EP1607238A4 (en) 2007-02-07
EP1607238A1 (en) 2005-12-21
DE602004027016D1 (de) 2010-06-17
US20060075924A1 (en) 2006-04-13
US7600938B2 (en) 2009-10-13
EP1607238B1 (en) 2010-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104416A (ko) 수정펜용 리필, 및 리필 유닛
US9636940B2 (en) Writing instrument
CN1086173A (zh) 书写工具
CA2173524A1 (en) Fluid dispensing nib and delivery system
CN110494297B (zh) 书写工具用笔芯和使用了该书写工具用笔芯的书写工具
JP3788612B2 (ja) 筆記具用インキ収容部材
EP1500523B1 (en) Writing ink accommodating tube
JP4442798B2 (ja) 修正ペン用リフィール
JP2004262198A (ja) 修正ペン用リフィール
JP2004262199A (ja) 修正ペン用リフィール
JP2004262197A (ja) 修正ペン用リフィール
JP4919756B2 (ja) 筆記具
JP5022171B2 (ja) 筆記具用インキ収容管
JP2003320783A (ja) 筆記具用インキ収容管
JP2004262196A (ja) 修正ペン用リフィール
JP2001314803A (ja) 塗布具
JP2004025446A (ja) 筆記具用インキ収容部材
JP2008213188A (ja) 両頭式筆記具
JP4562857B2 (ja) 塗布具
JP2595419Y2 (ja) マーキングペン用インキ補充容器
JP2008137205A (ja) リフィル
JP2005288863A (ja) 液収容部材
JP2013014023A (ja) 塗布具
JP2005205919A (ja) 加圧ボールペン用インキ収容部材又は筆記具用水性インキ収容部材
JP2006168081A (ja) 加圧式の筆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