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8903A - 직액식 필기구 - Google Patents

직액식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8903A
KR20080108903A KR1020080052130A KR20080052130A KR20080108903A KR 20080108903 A KR20080108903 A KR 20080108903A KR 1020080052130 A KR1020080052130 A KR 1020080052130A KR 20080052130 A KR20080052130 A KR 20080052130A KR 20080108903 A KR20080108903 A KR 20080108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mass
ink
resin composition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2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케히코 시마
마사히코 이타쿠라
히로모토 사사키
Original Assignee
미크로 가부시키가이샤
다이셀 폴리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크로 가부시키가이샤, 다이셀 폴리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크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08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89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18Arrangements for feeding the ink to the nibs
    • B43K5/1809Feed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02Ink reservoirs; Ink cartridges
    • B43K7/08Preventing lea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10Arrangements for feeding ink to the ball points
    • B43K7/105Feed ba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romatic monomer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and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ns And Brushes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yrrole Compounds (AREA)
  • Polye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기간 사용하여도 펜 끝으로부터의 잉크 누설이 없는 직액식 필기구를 제공한다. 상세하게는, 주름관형의 잉크 체류 부품을 갖는 직액식 필기구로서, 적어도 상기 주름관형의 잉크 체류 부품이, (A) 폴리아미드계 수지 20∼95질량%와, (B) 스티렌계 수지, 올레핀계 수지,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 80∼5질량%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인 직액식 필기구이다.
Figure P1020080052130
필기구, 잉크, 주름관, 직액식, 폴리아미드, 스티렌, 올레핀, 폴리페닐렌에테르.

Description

직액식 필기구{WRITING TOOLS OF DIRECT LIQUID TYPE}
본 발명은 볼펜, 만년필 등의 직액식 필기구에 사용하는 수지 조성물과, 그것을 이용한 직액식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수성 잉크를 사용하는 볼펜, 만년필 등의 직액식 필기구는, 구성 부품으로서 ABS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주름관형의 잉크 체류 부품을 가지고 있다. 이 잉크 체류 부품에는, 잉크의 젖음성이 양호할 것이 요구되고 있으며, 젖음성이 나쁘면 사용중에 펜 끝으로부터의 잉크 누설이 발생하여 사용자의 손을 더럽히거나 종이를 더럽히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일본 특허 공개 평 8-156481호 공보에는 잉크 저장 부재(2)의 표면에 계면 활성제나 친수성 물질의 얇은 피막을 형성하는 방법, 잉크 저장 부재(2)의 표면에 식각 처리나 석출물 등으로 요철면을 형성하는 방법 등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 9-315079호 공보에는 직액식 필기구의 수지 부품(잉크 체류부(14b)를 포함하는 펜심(14))의 젖음성 향상을 위한 식각 처리로서, 황산을 주제로 하여 무수 크롬산 및 인산으로 이루어지는 식각액을 사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는데, 동 문헌(일본 특허 공개 평 9-315079호 공보)에도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식각액은 독성이 강하다는 문제가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 11-268470호 공보에는 직액성 필기구의 수지 부품〔복수의 날개형 홈으로 필기구 내부의 내압을 조정하기 위한 조절체인 컬렉터(잉크 저장체)(2b) 등〕의 젖음성 개질 방법으로서 염산, 질산, 크롬산 혼합액 등의 산이나 알칼리로 화학적 처리하는 방법 등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05-88289호 공보에는 잉크 저장 부재가 영구 대전 방지성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직액식 필기구가 기재되어 있는데, 잉크 누설 등의 문제의 해결에는 충분하지 않다.
본 발명은 유해한 크롬산에 의한 식각 처리, 기타 개질 처리를 하지 않고도 장기간 사용하여도 펜 끝으로부터의 잉크 누설이 없는 직액식 필기구를 제조할 수 있는, 직액식 필기구의 수성 잉크와 접촉하는 부품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해한 크롬산에 의한 식각 처리, 기타 개질 처리를 하지 않고도 장기간 사용하여도 펜 끝으로부터의 잉크 누설이 없는 직액식 필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A) 폴리아미드계 수지 20∼95질량%와, (B) 스티렌계 수지, 올레핀계 수지,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 80∼5질량%를 포함한, 직액식 필기구의 수성 잉크와 접촉하는 부품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수성 잉크를 사용하는 직액식 필기구로서, 상기 직액식 필기구의 수성 잉크와 접촉하는 부품이, (A) 폴리아미드계 수지 20∼95질량%와, (B) 스티렌계 수지, 올레핀계 수지,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 80∼5질량%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인 직액식 필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 체류 부품 및 펜 끝을 포함하며, 잉크 체류 부품은 적어도 수성 잉크와 접촉하는 부분이, (A) 폴리아미드계 수지 20∼95질량%와, (B) 스티렌계 수지, 올레핀계 수지,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 80∼5질량%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직액식 필기구이다.
수성 잉크를 잉크 체류 부품에 수용하고 있는 직액식 필기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수지 조성물의 직액식 필기구의 수성 잉크와 접촉하는 부품에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직액식 필기구는 잉크 체류 부품으로부터 펜 끝을 지나 종이 등의 기록 재료에 직접 잉크가 흐르도록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그로부터 얻어지는 성형체의 젖음성이 양호하다. 따라서, 상기 수지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수성 잉크와 접촉하는 부품(바람직하게는 주름관형의 잉크 체류 부품)은 종래 기술과 같은 식각 처리 등의 젖음성의 개선 처리를 하지 않고도 젖음성이 향상되었다. 따라서, 상기 부품을 갖는 직액식 필기구는 제조 공정에서 식각 처리 등의 젖음성의 개선 처리를 할 필요가 없고, 장기간 사용한 경우라 하더라도 펜 끝으로부터의 잉크 누설이 발생하는 것이 현저하게 억제된다.
<직액식 필기구의 수성 잉크와 접촉하는 부품용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직액식 필기구의 수성 잉크와 접촉하는 부품용이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적어도 주름관형의 잉크 체류 부품용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로 제조되는 "주름관형의 잉크 체류 부품"은 수성 잉크를 이용한 직액식 필기구에서의 주지의 부품으로서, 도 1에 도시한 잉크 체류 부 품(1)과 같은 것이며, 일본 특허 공개 평 8-156481호 공보의 "잉크 저장 부재(2)", 일본 특허 공개 평 9-315079호의 "잉크 체류부(14b)", 일본 특허 공개 평 11-268470호 공보의 "컬렉터(잉크 저장체)(2b)"와 동일한 것이다.
〔(A) 성분〕
(A) 성분의 폴리아미드계 수지로는 나일론 66, 폴리헥사메틸렌세바카미드(나일론 6·10), 폴리헥사메틸렌도데칸아미드(나일론 6·12), 폴리도데카메틸렌도데칸아미드(나일론 1212), 폴리메타크실릴렌아디파미드(나일론 MXD6), 폴리테트라메틸렌아디파미드(나일론 46) 및 이들의 혼합물이나 공중합체; 나일론 6/66, 6T 성분이 50몰% 이하인 나일론 66/6T(6T: 폴리헥사메틸렌테레프탈아미드), 6I 성분이 50몰% 이하인 나일론 66/6I(6I: 폴리헥사메틸렌이소프탈아미드), 나일론 6T/6I/66, 나일론 6T/6I/610 등의 공중합체; 폴리헥사메틸렌테레프탈아미드(나일론 6T), 폴리헥사메틸렌이소프탈아미드(나일론 6I), 폴리(2-메틸펜타메틸렌)테레프탈아미드(나일론 M5T), 폴리(2-메틸펜타메틸렌)이소프탈아미드(나일론 M5I), 나일론 6T/6I, 나일론 6T/M5T 등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고, 기타 비정질 나일론과 같은 공중합 나일론일 수도 있으며, 비정질 나일론으로는 테레프탈산과 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의 중축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환형 락탐의 개환 중합물, 아미노카르복실산의 중축합물 및 이들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 구체적으로는, 나일론 6, 폴리-ω-운데칸아미드(나일론 11), 폴리-ω-도데칸아미드(나일론 12) 등의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 및 이들의 공중합체, 디아민, 디카르복실산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아미드와의 공중합체, 구체적으 로는 나일론 6T/6, 나일론 6T/11, 나일론 6T/12, 나일론 6T/6I/12, 나일론 6T/6I/610/12 등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폴리아미드계 수지로는 상기한 것 중에서도 PA(나일론) 6, PA(나일론) 66, PA(나일론) 6/66이 바람직하다.
〔(B) 성분〕
(B) 성분은 스티렌계 수지, 올레핀계 수지,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이다.
스티렌계 수지는 스티렌 및 α치환, 핵 치환 스티렌 등의 스티렌 유도체의 중합체를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단량체를 주로 하고, 이들과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과 같은 비닐 화합물 및/또는 부타디엔, 이소프렌과 같은 공액 디엔 화합물의 단량체로 구성되는 공중합체도 포함된다. 예컨대 폴리스티렌, 내충격성 폴리스티렌(HIPS)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AS 수지), 스티렌-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MS 수지),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SBS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스티렌계 수지로서 폴리아미드계 수지와의 상용성이나 반응성을 높이기 위한 카르복실기 함유 불포화 화합물이 공중합되어 있는 스티렌계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카르복실기 함유 불포화 화합물이 공중합되어 있는 스티렌계 공중합체는 고무질 중합체의 존재 하에 카르복실기 함유 불포화 화합물 및 필요에 따라 이들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를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공중합체이다.
성분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1)카르복실기 함유 불포화 화합물을 공중합한 고무질 중합체의 존재 하에 방향족 비닐 모노머를 필수 성분으로 하는 단량체 또는 방향족 비닐과 카르복실기 함유 불포화 화합물을 필수 성분으로 하는 단량체를 중합하여 얻어진 그래프트 중합체,
2)고무질 중합체의 존재 하에 방향족 비닐과 카르복실기 함유 불포화 화합물을 필수 성분으로 하는 단량체를 공중합하여 얻어진 그래프트 공중합체,
3)카르복실기 함유 불포화 화합물이 공중합되어 있지 않은 고무 강화 스티렌계 수지와 카르복실기 함유 불포화 화합물과 방향족 비닐을 필수 성분으로 하는 단량체의 공중합체와의 혼합물,
4)상기 1), 2)와 카르복실기 함유 불포화 화합물과 방향족 비닐을 필수로 하는 공중합체와의 혼합물,
5)상기 1)∼4)와 방향족 비닐을 필수 성분으로 하는 공중합체와의 혼합물이 있다.
상기 1)∼5)에 있어서, 방향족 비닐로는 스티렌이 바람직하고, 또한 방향족 비닐과 공중합하는 단량체로는 아크릴로니트릴이 바람직하다.
카르복실기 함유 불포화 화합물은 스티렌계 수지 중 바람직하게는 10∼50질량%이다.
올레핀계 수지는 탄소수 2∼8의 모노올레핀을 주요한 단량체 성분으로 하는 중합체이며,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폴 리메틸펜텐, 폴리부텐-1, 이들의 변성물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들 수 있다.
〔(C) 성분〕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상기 (A) 및 (B) 성분에 더하여 이들 수지의 상용화제로서 작용하는 성분으로서, (C) 성분의 말레이미드계 모노머 단위를 갖는 중합체를 함유할 수 있다. (C) 성분의 말레이미드계 모노머 단위를 갖는 중합체는 말레이미드계 모노머 단위의 중합체일 수도 있고, 말레이미드계 모노머 단위와 다른 모노머 단위와의 공중합체일 수도 있다.
말레이미드계 모노머 단위가 되는 말레이미드계 모노머는 말레이미드, N-메틸말레이미드, N-에틸말레이미드, N-프로필말레이미드, N-이소프로필말레이미드,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N-페닐말레이미드, N-톨루일말레이미드, N-크실릴말레이미드, N-나프틸말레이미드, N-t-부틸말레이미드, N-오르토클로르페닐말레이미드, N-오르토메톡시페닐말레이미드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모노머 단위가 되는 모노머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케톤, t-부틸스티렌 등의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 무수 말레산, 무수 메틸말레산, 무수 1,2- 디메틸말레산, 무수 에틸말레산, 무수 페닐말레인 등의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등을 들 수 있다.
말레이미드계 모노머 단위를 갖는 중합체는 말레이미드계 모노머, 방향족 비닐 모노머,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가 바람직하 다. 이 3종의 모노머를 조합하는 경우에는 하기의 비율인 것이 바람직하다.
말레이미드계 모노머 단위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10∼8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0∼6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40∼55질량%이고; 방향족 비닐계 모노머 단위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10∼8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0∼6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40∼55질량%이며;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모노머 단위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0.1∼1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5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3질량%이다.
(C) 성분은 (B) 성분으로서 폴리아미드계 수지와의 상용성이나 반응성을 높이기 위한 카르복실기 함유 불포화 화합물이 공중합되어 있는 스티렌계 공중합체를 사용할 때에는 상기 스티렌계 공중합체와 병용할 수도 있고, 상기 스티렌계 공중합체 대신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중,
(A) 성분의 함유 비율은 20∼95질량%이고, 바람직하게는 40∼9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45∼8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0∼75질량%이며;
(B) 성분의 함유 비율은 80∼5질량%이고, 바람직하게는 60∼1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5∼2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0∼25질량%이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서 (C) 성분의 말레이미드계 모노머 단위를 갖는 중합체를 함유시킬 때에는, (A) 및 (B) 성분의 총 100질량부에 대하여 (C) 성분은 1∼50질량부가 바람직하고, 3∼30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며, 5∼15질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범위 내에 있어서, 상기 (A), (B), (C) 성분에 더하여 공지의 각종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공지의 첨가제로는 가소제, 열 또는 광 안정제, 가공 조제, 산화 방지제, 안료 등의 착색제, 섬유형 또는 분말형의 충전재 등을 들 수 있다.
<직액식 필기구>
본 발명의 직액식 필기구는 수성 잉크와 접촉하는 부품이 상기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부품이 적어도 상기한 주름관형의 잉크 체류 부품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직액식 필기구는 예컨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펜(10)으로 할 수 있다. 볼펜(10)은 본체(11) 내에 본 발명의 잉크 체류 부품(1)이 내장되어 있다. 12는 중면(中綿), 13은 조인트부, 14는 테이퍼부, 15는 팁이다. 수성 잉크는 잉크 체류 부품(1)과 접촉한 상태에서 수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직액식 필기구는 수성 잉크를 사용한다. 수성 잉크는 물 및 염료 또는 안료를 포함한다. 계면 활성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하는 잉크는 검정 또는 색이 있는 것일 수도 있다.
바람직한 수성 잉크의 표면 장력은 30 내지 50dyn/cm이다. 40dyn/cm 전후가 보다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표면 장력을 갖는 수성 잉크는 잉크 체류 부품에 젖기가 쉽고, 종이 등의 필기되는 부재에 번지지 않으며 건조한 잉크에 의해 선명한 기록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람직한 표면 장력을 갖는 수성 잉크는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어진 잉크 체류 부품에의 젖음성이 양호하다. 따라서, 종래 기술과 같은 식각 처리 등의 젖음성의 개선 처리를 하지 않고 젖음성이 향상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 수성 잉크는 소량의 유기 용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주로 표면 장력을 조정한다.
본 발명의 직액식 필기구에서 사용하는 수성 잉크는 공지의 것이며, 주용제인 물, 착색제, 필요에 따라 다른 성분을 함유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는 표면 장력이 40dyn/cm 전후인 것이다.
착색제로는 산성 염료, 직접 염료 염기성 염료 등의 염료, 아조계 안료, 니트로소계 안료, 니트로계 안료, 염기성 염료계 안료, 산성 염료계 안료, 건염(vat dyeing) 염료계 안료, 매염 염료계 안료 및 천연 염료계 안료 등의 유기계 안료, 황토, 바륨 옐로, 감청, 황산 바륨, 산화티타늄, 벵갈라, 철흑, 카본 블랙 등을 들 수 있다.
기타 성분으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크릴산,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유도체, 구아 검, 크산탄 검, 히알루론산 등의 다당류로 이루어지는 점도 조정제; 계면 활성제;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의 수용성 유기 용제; 방청제, 방미 및 방부제, 아스코르브산, 코지산(kojic acid), 하이드로퀴논, 레조르신, 카테콜, 피로갈롤, 탄닌산, 갈산 등의 폴리페놀류 등의 환원성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착색제로서 안료를 사용한 경우에는 안료를 안정적으로 분산시키기 위한 분산제로서 스티렌아크릴산염, 스티렌말레산염 등의 수용성 수지나 수가용성 수지, 음이온계 또는 비이온계의 계면 활성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직액식 필기구는 수성 잉크와 접촉하는 부품(바람직하게는 주름관형의 잉크 체류 부품)이 상기한 (A) 및 (B)성분, 필요에 따라 (C) 성분 등을 더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적당한 젖음성을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A) 성분 단독으로 이루어지는 것과 같이 젖음성이 너무 커져서 잉크의 출방이 악화되지 않고, 반대로 (B) 성분 단독인 것과 같이 젖음성이 너무 작아져서 잉크 누설이 발생하게 되지도 않는다.
수성 잉크와 접촉하는 부품은 바람직하게는 주름관의 형태로 제작한다. 즉, 벨로즈(bellows), 아코디언(accordion) 또는 빽빽하게 배치된 배플판 열이다. 이 부품은 펜 끝으로의 잉크 흐름을 제어, 정량하여 과도한 유량이나 과소한 유량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직액식 필기구는 현재 시판되고 있는 수성 잉크를 사용하는 볼펜, 만년필 등으로서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에 대하여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실시예 비교예
표 1에 나타낸 각 성분을 V형 텀블러로 혼합후, 2축 압출기(니혼 세이코 제 조, TEX 30, 실린더 온도 230℃)에서 용융 혼련하여 수지 조성물의 펠렛을 얻었다.
다음 사출 성형기(실린더 온도 240℃, 금형 온도 60℃)에 의해 도 1에서 도시한 주름관형의 잉크 체류 부품(1)을 사출 성형하였다. 얻어진 주름관형의 잉크 체류 부품(1)을 도 2에서 도시한 구조의 볼펜(10)에 부착하고, 하기의 조건으로 히트 사이클 시험하여 펜 끝으로부터의 잉크 누설의 유무를 평가하였다. 수성 잉크는 물 80질량%, 염료 19.9질량%, 비이온 계면 활성제 0.1질량%(25℃의 점도 2.1mPa·s, 표면 장력 40.2dyn/cm, pH 약 7)를 사용하였다.
(히트 사이클 시험 조건)
각 예마다 볼펜 200개를 준비하고, 그들에 대하여 20℃(5분)→온도 강하(30분)→ -10℃(5분)→온도 상승(90분)→60℃(5분)→온도 강하(10분)→20℃의 총 소요 시간 145분을 한 사이클로 하여 36사이클 반복하였을 때의 펜 끝으로부터의 잉크 누설된 볼펜의 개수를 카운트하였다. 잉크 누설의 수가 적을수록 주름관형의 잉크 체류 부품의 젖음성이 양호한 것을 보이고 있다.
Figure 112008039817145-PAT00001
히트 사이클 시험 종료후, 각 실시예의 볼펜으로부터 임의로 10개씩을 선택하여 필기해 보았더니 모두 글씨를 쓸 때 느껴지는 감촉은 양호하였다.
폴리아미드 6: 우베고산(주) 제조, UBE 나일론 6 1013B
ABS 수지: 스티렌 45질량%, 아크릴로니트릴 15질량%, 폴리부타디엔 40질량%
AS 수지 : 스티렌 75질량%, 아크릴로니트릴 25질량%
무수 말레산 변성 ABS 수지: 스티렌 42질량%, 아크릴로니트릴 16질량 %, 부타디엔계 고무 40질량%
말레이미드계 모노머 단위를 갖는 중합체: 스티렌-N 페닐말레이미드 무수 말레산 공중합체(스티렌 47질량%, N 페닐말레이미드 51질량%, 무수 말레산 2질량%, 중량 평균 분자량 14만 5천, 265℃ 10kg에서의 멜트 플로 인덱스: 2).
도 1은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주름관형의 잉크 체류 부품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직액식 필기구의 축방향의 부분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잉크 체류 부품,
10…수성 잉크를 사용하는 수성 볼펜(직액식 필기구)

Claims (9)

  1. (A) 폴리아미드계 수지 20∼95질량%와, (B) 스티렌계 수지, 올레핀계 수지,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 80∼5질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의 수성 잉크와 접촉하는 부품용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C) 말레이미드계 모노머 단위를 갖는 중합체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 잉크와 접촉하는 부품이 주름관형의 잉크 체류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성분의 함유 비율이 45∼80질량%, (B) 성분의 함유 비율이 55∼20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5. 수성 잉크를 사용하는 직액식 필기구로서,
    상기 직액식 필기구의 수성 잉크와 접촉하는 부품이, (A) 폴리아미드계 수지 20∼95질량%와, (B) 스티렌계 수지, 올레핀계 수지,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 80∼5질량%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 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이 (C) 말레이미드계 모노머 단위를 갖는 중합체를 더 함유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 잉크와 접촉하는 부품이 주름관형의 잉크 체류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이, (A) 성분의 함유 비율이 45∼80질량%, (B) 성분의 함유 비율이 55∼20질량%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직액식 필기구.
  9. 수성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 체류 부품 및 펜 끝을 포함하며, 잉크 체류 부품은 적어도 수성 잉크와 접촉하는 부분이, (A) 폴리아미드계 수지 20∼95질량%와, (B) 스티렌계 수지, 올레핀계 수지,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 80∼5질량%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직액식 필기구.
KR1020080052130A 2007-06-11 2008-06-03 직액식 필기구 KR200801089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153700 2007-06-11
JP2007153700 2007-06-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8903A true KR20080108903A (ko) 2008-12-16

Family

ID=40019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2130A KR20080108903A (ko) 2007-06-11 2008-06-03 직액식 필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113732B2 (ko)
EP (1) EP2014482B1 (ko)
JP (2) JP5295648B2 (ko)
KR (1) KR20080108903A (ko)
CN (1) CN101328312B (ko)
TW (1) TWI4815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08372A1 (fr) 2012-09-18 2014-03-19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Instrument d'écriture
WO2016018272A1 (en) 2014-07-30 2016-02-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ks with latex polymers having improved printing performance
US10422965B2 (en) 2018-01-26 2019-09-24 Steve Cheng Fiber optic connector
JP7152205B2 (ja) * 2018-06-29 2022-10-12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筆記具用水性インキ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筆記具
CN111109664B (zh) 2020-01-15 2023-12-26 深圳麦克韦尔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雾化装置及其雾化器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86381B2 (ja) 1992-02-27 1999-04-26 三菱鉛筆株式会社 筆記具用コレクター
JP3010957B2 (ja) * 1993-01-29 2000-02-21 ぺんてる株式会社 インキ誘導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3338179B2 (ja) * 1994-05-11 2002-10-28 株式会社トンボ鉛筆 液体式低粘性インキ筆記具のインキ流出制御筒
JP3684470B2 (ja) 1994-11-30 2005-08-17 パイロットインキ株式会社 直液式筆記具
JP3281205B2 (ja) * 1994-12-14 2002-05-13 三菱鉛筆株式会社 塗布具の本体
JP3387279B2 (ja) * 1995-06-30 2003-03-17 ぺんてる株式会社 筆記具の一時的インキ溜め部材
JPH09315079A (ja) 1996-05-24 1997-12-09 Kotobuki:Kk 直液式筆記具
JPH1112526A (ja) 1997-06-24 1999-01-19 Mitsubishi Pencil Co Ltd 直液式水性ボールペン用染料インキ組成物
JPH1128888A (ja) * 1997-07-09 1999-02-02 Auto Kk 筆記具におけるインキレギュレーター
JP3267920B2 (ja) * 1998-02-12 2002-03-25 三菱鉛筆株式会社 筆記具
JPH11268470A (ja) * 1998-03-24 1999-10-05 Mitsubishi Pencil Co Ltd 筆記具
JP3524832B2 (ja) * 1999-12-16 2004-05-10 三菱鉛筆株式会社 直液式筆記具
US6409408B2 (en) * 2000-02-04 2002-06-25 Mitsubishi Pencil Kabushiki Kaisha Writing instrument
JP2002192878A (ja) 2000-12-26 2002-07-10 Mitsubishi Pencil Co Ltd 直液式筆記具
JP4627601B2 (ja) * 2001-02-28 2011-02-09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筆記具用ペン芯およびそれを用いた筆記具
JP2003266986A (ja) * 2002-03-14 2003-09-25 Mitsubishi Pencil Co Ltd 筆記具用インキ収容部材
JP2004224011A (ja) * 2003-01-27 2004-08-12 Pilot Ink Co Ltd 筆記具
EP1607238B1 (en) * 2003-03-04 2010-05-05 Mitsubishi Pencil Co., Ltd. Refill for correction pen and refill unit
JP2005088289A (ja) * 2003-09-16 2005-04-07 Tombow Pencil Co Ltd 筆記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604565B2 (ja) 2014-10-08
US20090028628A1 (en) 2009-01-29
JP2009018575A (ja) 2009-01-29
US8113732B2 (en) 2012-02-14
CN101328312A (zh) 2008-12-24
CN101328312B (zh) 2015-04-01
JP2013189018A (ja) 2013-09-26
JP5295648B2 (ja) 2013-09-18
TWI481517B (zh) 2015-04-21
EP2014482A1 (en) 2009-01-14
EP2014482B1 (en) 2014-01-08
TW200904659A (en) 2009-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04565B2 (ja) 直液式筆記具
CN100396740C (zh) 溶剂体系和由该溶剂体系制备的墨汁
US20040240925A1 (en) Writing implement
WO2008108167A1 (ja) 共重合体およびその使用
CN1224739A (zh) 在颜料基喷墨油墨中具有改进色度的聚合物/染料络合物
EP1266770A1 (en) Writing implement
ATE258574T1 (de) Wässrige tintenzusammensetzung für tintenstrahldruck, tintenstrahldruckverfahren das diese tinte verwendet und bedrucktes produkt
EP1273637A4 (en) INK SET
US20050043439A1 (en) Aqueous ink composition for ball-point pen
JPH0657194A (ja) ペン体に直接供給する水性ボールペン用インク
JP2006225609A (ja) スタンプ台又は浸透印用油性インキ
US5767172A (en) Water base ink composition directly fed to a pen body of a ball-point pen
CN101674944B (zh) 连接部件和使用了该连接部件的圆珠笔
CN112375429A (zh) 一种数码印花颜料墨水及其制备方法
JP2019142064A (ja) ペン芯及びこのペン芯を用いた筆記具
JP2022012779A (ja) 筆記具
JP4322152B2 (ja) 直液式油性マーキングペン用インク組成物
JPS62215672A (ja) 水性インキの製造法
JP2003268285A (ja) 水性サインペン用消去性インキ組成物及びそれを内蔵した水性サインペン
JP2004142114A (ja) 水性ボールペンリフィール
EP1132440A3 (en) Waterfast pigment inks for ink jet printing
JPH08282177A (ja) 低粘度水性ボールペン
JP2004209936A (ja) ボールペン
JPS6048551B2 (ja) 水性インキ
JP2004137327A (ja) 加圧ボールペン用インキ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