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3961A - 용이 개봉성 포장체 및 용이 개봉성 포장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용이 개봉성 포장체 및 용이 개봉성 포장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3961A
KR20050103961A KR1020057015840A KR20057015840A KR20050103961A KR 20050103961 A KR20050103961 A KR 20050103961A KR 1020057015840 A KR1020057015840 A KR 1020057015840A KR 20057015840 A KR20057015840 A KR 20057015840A KR 20050103961 A KR20050103961 A KR 20050103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sealing
circumferential side
hea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5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4777B1 (ko
Inventor
도루 유쿠모토
히로유키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103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3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4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47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65D77/2028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 B65D77/2032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6Thin-walled containers, e.g. formed by deep-drawing operations
    • B65D1/28Thin-walled containers, e.g. formed by deep-drawing operations formed of laminated material

Abstract

용이 개봉성 포장체(1)는 개구부(13) 가장자리에 플랜지부(14)가 형성된 용기 본체(10)와, 플랜지부(14)에 열 밀봉되어서 개구부(13)를 폐쇄하는 커버재(20)를 구비하고, 플랜지부(14)에는 내주측 및 외주측 각각 개구부(13)를 둘러싸는 내주측 노치(15A) 및 외주측 노치(15B)가 형성되고, 플랜지부(14) 및 커버재(20)는 개구부(13)를 둘러싸며, 내주측 노치(15A) 및 외주측 노치(15B)의 사이에 형성된 소정폭의 제 1 밀봉부(16A)와, 이 제 1 밀봉부(16A)의 영역 내부에 상기 제 1 밀봉부(16A)를 따라 개구부(13)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제 1 밀봉부(16A)보다도 폭이 좁은 제 2 밀봉부(16B)에 의해 열 밀봉되고, 제 2 밀봉부(16B)는 탭(21)에 따른 위치에서 다른 부분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으로서의 돌출 밀봉부(17)를 갖고 있다.

Description

용이 개봉성 포장체 및 용이 개봉성 포장체의 제조 방법{EASILY UNSEALABLE PACKAGING BOD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용이 개봉성 포장체 및 용이 개봉성 포장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용기에 식품 등의 내용물을 충전하고, 이 용기에 커버재를 열 밀봉하여 구성되는 포장체는, 내용물의 보존성의 관점에서 밀봉성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고, 높은 열 밀봉 강도로 밀봉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내용물의 이용시의 관점에서는, 약한 힘으로 개봉할 수 있는 것, 즉 용이 개봉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밀봉성 및 용이 개봉성이라는 서로 상반하는 특성을 만족하기 위해서 각종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용기의 개구부의 외주 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부와 커버재를 열 밀봉하여 용기를 밀봉할 때에는, 이 열 밀봉의 계면의 접착 강도를 열 밀봉 조건의 제어에 의해 조정하는 방법이나, 커버재의 개봉시에 적어도 커버재와 함께 용기의 최내층이 박리되도록 용기를 구성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한편, 용기의 사이즈의 확대나, 용기의 형상의 변화, 또한 자원 절약의 관점에서의 용기의 박형화 등을 위해서, 용기의 강성 확보의 관점에서, 용기의 플랜지부의 폭의 확대, 플랜지부의 외주단 가장자리로부터 절곡되어 있는 절곡부를 갖는 스커트 부착 플랜지부의 형성 또는 플랜지부의 외주단 가장자리가 단면 U자형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컬 부착 플랜지부의 형성 등이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스커트 부착 플랜지부나 컬 부착 플랜지부 등의 특수한 형상을 한 플랜지부를 갖는 용기에서는, 용기의 플랜지부와 커버재를 열 밀봉했을 때에, 플랜지부의 열 밀봉한 부분 이외의 부분을 남긴 채, 용기의 최내층을 커버재와 함께 박리할 필요가 있고, 밀봉성을 갖으면서, 용이 개봉성을 실현하는 것은 보다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이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새로운 용이 개봉성 용기가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 제 2724355호 공보, 제 3 페이지 좌측란, 도 1 등 참조).
이 기술에서는, 용기의 개구부를 둘러싸도록 하여, 플랜지부의 내주측 및 외주측에 각각 고리 형상의 내주측 노치, 외주측 노치를 설치하고, 이러한 내주측 노치 및 외주측 노치의 사이에 용융 밀봉부를 형성하여 플랜지부와 커버재를 접착하고 있다. 또한, 커버재 각 코너부에 위치하는 용융 밀봉부에는, 외주측 노치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 밀봉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돌출 밀봉부의 외측 가장자리부의 용기의 내층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용이 개봉성 용기에는 커버재를 용기로부터 박리할 때에는, 돌출 밀봉부 외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오목부가 박리의 개시점으로 되고, 계속해서 외주측 노치를 따라 커버재의 개봉이 진행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기술에서는, 용기의 내용물이 식품인 경우에는, 용기 성형, 노치 형성 후에 내용물이 충전되고, 살균 등의 목적으로 내용물의 끓임·가열 처리가 실행되기 때문에, 이 가열 처리에 의해, 상기 노치의 위치가 조금 어긋나고, 열 밀봉의 위치가 상기 2개의 노치 사이의 범위에 수납되지 않고, 노치의 범위를 넘어 열 밀봉함으로써 용기의 밀봉성에 문제가 생긴다. 이 밀봉성을 해결하기 위해서, 예컨대 커버재와 용기의 접착 강도를 크게 하면, 작은 힘으로의 박리가 어려워지며 용이 개봉성을 실현할 수 없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밀봉성 및 용이 개봉성을 양립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돌출 밀봉부 외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오목부의 형성시에, 이 소정의 위치 이외에도 오목부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 때문에, 외주측 노치로부터가 아니라, 열 밀봉한 부분의 외주단으로부터 박리되기 때문에, 품질이 안정한 용기를 제조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밀봉성 및 용이 개봉성을 양립하면서, 품질이 안정된 용이 개봉성 포장체 및 용이 개봉성 포장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용이 개봉성 포장체는 다층 시트를 성형하여 이루어지고, 개구부 가장자리에 플랜지부가 형성된 용기 본체와, 상기 플랜지부에 열 밀봉되어서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커버재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재 외주에 개봉 개시부가 형성되며, 이 개봉 개시부로부터 커버재를 박리하면, 상기 플랜지부의 열 밀봉 부분인 상기 용기 본체 중 적어도 최내층이 개봉시 상기 커버재와 함께 박리되는 용이 개봉성 포장체이며, 상기 플랜지부에는 상기 플랜지부의 내주측 및 외주측 각각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는 내주측 노치 및 외주측 노치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 및 커버재는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며, 상기 내주측 노치 및 외주측 노치의 사이에 형성된 소정폭의 제 1 밀봉부와, 이 제 1 밀봉부의 영역 내부에 상기 제 1 밀봉부를 따라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밀봉부보다도 폭이 좁은 제 2 밀봉부에 의해 열 밀봉되며, 상기 제 2 밀봉부는 상기 개봉 개시부에 따른 위치에서 다른 부분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용기 플랜지부 중 적어도 최내층의 커버재와 함께 박리하는 경우의 박리 강도는 4∼15N/15㎜, 바람직하게는 8∼12N/15㎜이다. 또한, 용기 플랜지부와 커버재의 밀봉 강도는 23N/15㎜ 이상이다.
또한, 돌출된 부분의 형상으로는, 특히 제한은 없지만, 삼각형, 사다리꼴, 사각형, 반원 형상 등을 들 수 있다.
이 돌출된 부분의 선단부 및 기초부의 형상, 크기도 특히 제한은 없지만, 기초부는 외주 방향을 향해서 R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된 부분의 수도 특히 제한은 없고, 1개 이상 있으면 무방하다. 또한, 이 돌출 밀봉부가 복수개 있는 경우에는,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이 박리시에 응력의 균형이 좋고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밀봉부가 포장체의 밀봉성을 유지하고, 돌출된 부분을 갖는 제 2 밀봉부의 돌출부가 커버재를 박리할 때의 박리의 개시점으로 되는 동시에 박리를 원활하게 한다. 또한, 열 밀봉이 강력하게 됨으로써, 밀봉성이 향상된다. 즉, 커버재를 용기 본체로부터 박리할 때에, 플랜지부 중 적어도 최내층을 들어 올리고, 열 밀봉한 부분의 최내층의 전체 주위를 박리하게 된다. 따라서, 용기 본체 형성후, 노치 형성 후에, 내용물의 살균 등을 위해, 가열 처리가 실행되고, 노치의 범위를 넘어서 열 밀봉함으로써, 밀봉성에 문제가 생기며, 이 문제를 제 1 밀봉부의 접착 강도를 과대하게 함으로써 해결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용이 개봉성을 저해하지 않고, 밀봉성 및 용이 개봉성을 양립할 수 있다.
또한, 제 2 밀봉부를 구비함으로써, 이 제 2 밀봉부가 커버재를 박리할 때의 박리의 개시점으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박리를 위한 오목부의 형성시에, 이 소정의 위치 이외에도 오목부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 때문에, 외주측 노치로부터가 아니라 열 밀봉한 부분의 외주단으로부터 박리되지 않기 때문에, 품질이 안정된 용이 개봉성 포장체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이 개봉성 포장체에서는, 상기 돌출된 부분의 선단부는 상기 외주 노치보다 내측에서도 이격이 0.5㎜ 이내이면 무방하다.
이에 의하면, 돌출된 부분의 선단부는 외주 노치보다 내측임으로써, 외주 노치 부분으로 돌출 밀봉부 형성시의 수지가 흐르지 않고, 커버재의 박리를 저해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용이 개봉성 포장체에서는, 상기 제 1 밀봉부의 내주측과 상기 내주측 노치가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격으로는 0.2∼5㎜ 정도이다.
이에 의하면, 제 1 밀봉부의 내주측과 내주측 노치가 이격하고 있음으로써, 포장체 내부의 압력이 상승해도, 제 1 밀봉부의 내주측에 응력이 집중되게 되므로, 용기 플랜지부 중 적어도 최내층이 노치로부터 용이하게 박리되는 구조이면서, 내측으로부터의 박리는 일어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용이 개봉성 포장체에서는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외주단을 절곡하여 이루어지는 절곡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절곡부로는, 상기 외주단을 단순히 절곡하기만 한 스커트형이라 불리는 것이나, 상기 외주단 가장자리가 수직 하강하며, 또한 단면 U자형 형상, 혹은 반원 형상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컬형이라 불리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플랜지부는, 상기 외주단을 절곡하여 이루어지는 절곡부를 갖음으로써, 용기의 강성이 향상되므로, 용기의 사이즈의 확대나 형상의 변화, 또한 박형화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이 개봉성 포장체에서는 상기 최내층은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두께는 40∼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가 40㎛ 미만이면, 내압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두께가 100㎛을 넘으면, 돌출 밀봉부의 형성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용이 개봉성 포장체에서는, 상기 용기 본체 중 적어도 최내층이 개봉시 상기 커버재와 함께 박리할 때, 상기 최내층이 상기 최내층과 인접하는 차층과의 층간 박리를 하거나, 또는 상기 차층이 상기 차층내에 있어서 응집 박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최내층이 상기 최내층과 인접하는 차층과의 층간 박리를 하거나 또는 차층이 상기 차층내에 있어서 응집 박리를 함에 따라서, 커버재와 최내층의 사이에서 커버재를 박리하지 않고, 커버재와 최내층과의 밀봉 강도를 크게 해도 문제없기 때문에, 포장체의 밀봉성에 영향을 주지 않고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이 개봉성 포장체의 제조 방법은, 다층 시트를 성형하여 이루어지고, 개구부 주연에 플랜지부가 형성된 용기 본체와, 상기 플랜지부에 열 밀봉되어서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커버재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재 외주에 개봉 개시부가 형성되고, 이 개봉 개시부로부터 커버재를 박리하면, 상기 플랜지부의 열 밀봉 부분인 상기 용기 본체의 적어도 최내층이 개봉시 상기 커버재와 함께 박리되는 용이 개봉성 포장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플랜지부의 내주측 및 외주측 각각에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는 내주측 노치 및 외주측 노치를 형성하는 노치 형성 공정과, 상기 용기 본체에 내용물을 충전하는 내용물 충전 공정과,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고, 상기 내주측 노치 및 외주측 노치의 사이에 형성되는 소정폭의 제 1 밀봉부를 형성하는 제 1 열 밀봉 공정과, 이 제 1 밀봉부의 영역 내부에 상기 제 1 밀봉부를 따라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고, 또한 상기 제 1 밀봉부보다도 폭이 좋고, 상기 개봉 개시부에 따른 위치에 다른 부분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고 있는 제 2 밀봉부를 형성하는 제 2 열 밀봉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밀봉부가 포장체의 밀봉성을 유지하고, 돌출된 부분을 갖는 제 2 밀봉부의 돌출부가 커버재를 박리할 때의 박리의 개시점으로 되는 동시에, 박리를 원활하게 한다. 또한, 열 밀봉이 강력하게 됨으로써 밀봉성이 향상된다. 즉, 커버재를 용기 본체로부터 박리할 때에, 플랜지부 중 적어도 최내층을 들어 올리고, 열 밀봉한 부분의 최내층의 전체 주위를 박리하게 된다.
따라서, 용기 본체 형성후, 노치 형성 후에, 내용물의 살균 등을 위해서, 가열 처리가 실행되고, 노치의 범위를 넘어서 열 밀봉함으로써, 밀봉성에 문제가 생기며, 이 문제를 제 1 밀봉부의 접착 강도를 과대하게 함으로써 해결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용이 개봉성을 저해하지 않고, 밀봉성 및 용이 개봉성을 양립할 수 있다.
또한, 제 2 밀봉부를 구비함으로써, 이 제 2 밀봉부가 커버재를 박리할 때의 박리의 개시점으로서 작용하고, 종래와 같이, 박리를 위한 오목부의 형성시에, 이 소정의 위치 이외에도 오목부가 형성되며, 이 오목부 때문에, 외주측 노치로부터가 아니라, 열 밀봉한 부분의 외주단으로부터 박리되게 되므로, 품질이 안정된 용이 개봉성 포장체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이 개봉성 포장체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제 2 열 밀봉 공정은 상기 제 1 열 밀봉 공정보다도 높은 온도, 압력의 조건에서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제 2 열 밀봉 공정은, 제 1 열 밀봉 공정보다도 높은 온도, 압력의 조건에서 실행함으로써, 열 밀봉시에 소정의 위치 이외에 발생하는 오목부가 형성되지 않고, 열 밀봉한 부분의 외주단으로부터 박리되지 않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은 포장체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이 개봉성 포장체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제 2 열 밀봉 공정에 있어서의 열 밀봉 온도가, 상기 제 1 열 밀봉 공정에 있어서의 열 밀봉 온도보다 5도 이상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열 밀봉 공정에 있어서의 열 밀봉 온도가, 제 1 열 밀봉 공정에 있어서의 열 밀봉 온도보다 5도 이상 높지 않으면, 박리 개시를 할 수 없고, 또한 박리의 원활성도 열화된다. 또한, 열 밀봉 강도가 낮아지고, 밀봉성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용이 개봉성 포장체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상기 도 1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용이 개봉성 포장체의 평면도,
도 3은 상기 도 1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플랜지부를 확대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일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측면도), 도 2(평면도) 및 도 3(도 1의 일부분의 단면도)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용이 개봉성 포장체(1)가 표시되어 있다.
용이 개봉성 포장체(1)는 다층 시트를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수지제의 용기 본체(10)와, 개봉 탭이 부착된 원형 형상의 커버재(20)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커버재(20)는 도시는 생략하지만, 용기 본체(10)측으로부터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에틸렌비닐알콜 수지 및 나일론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3층 구성의 것이고, 개봉 개시부로서의 반원 형상의 탭(21)을 구비하고 있다. 커버재(20)의 외직경은 플랜지부(14)의 외경보다도 크다. 탭(21)은 개봉시에 파지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이다.
한편, 용기 본체(10)는 원형 형상의 저면(11)과, 이 저면(11)으로부터 일으켜서 일체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측면(12)과, 상부에는 원형 형상의 개구부(13)와, 개구부(13)의 주연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링형상의 플랜지부(14)가 일체 형성되어 구성되어 있다.
용기 본체(10)의 층구성은, 상세하게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면측으로부터 최내층인 제 1층(10A), 제 2층(10B), 제 3층(10C), 제 4층(10D), 제 5층(10E), 제 6층(10F) 및 제 7층(10G)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각 층에는 폴리 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에틸렌비닐알콜 수지, 접착용 수지 등, 여러 가지 수지를 채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층(10A)은 폴리에틸렌계 수지 또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두께는 40∼100㎛이다. 두께가 40㎛ 미만이면, 내압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두께가 100㎛를 초과하면, 후술하는 돌출 밀봉부(17)의 형성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플랜지부(14)는 상기 외주단을 절곡하여 이루어지는 절곡부(14A)를 갖는다. 이 절곡부(14A)는 상기 외주단을 단순히 하방 45도로 절곡하기만한 스커트형이라 불리는 형상이다.
플랜지부(14)의 상면에는, 상기 플랜지부(14)의 내주측 및 외주측 각각 상기 개구부(13)를 둘러싸는 내주측 노치(15A) 및 외주측 노치(15B)와, 이러한 내주측 노치(15A) 및 외주측 노치(15B) 사이의 영역에, 열 밀봉부(16)가 동심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내주측 노치(15A) 및 외주측 노치(15B)는 깊이 방향을 향함에 따라서 점차 좁은 폭으로 되는 단면 V자 형상이고, 그 깊이는 용기 본체(10)의 제 1층(10A)의 두께와 대략 동일하다.
또한, 내주측 노치(15A) 및 외주측 노치(15B)의 단면 형상은 U자형, 선형, 반원 호형 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내주측 노치(15A) 및 외주측 노치(15B)의 깊이는, 커버재(20)를 벗길 때에 용기 본체(10)의 제 1층(10A)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는 것이면 좋고, 제 1층(10A)의 두께보다도 큰 깊이가 바람직하다.
열 밀봉부(16)는 커버재(20)의 이면과 용착하고 있고, 개구부(13)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소정폭의 원형 고리 형상의 제 1 밀봉부(16A)와, 이 제 1 밀봉부(16A)의 영역 내부에 제 1 밀봉부(16A)를 따라 개구부(13)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제 1 밀봉부(16A)보다도 폭이 좁은 원형 고리 형상의 제 2 밀봉부(16B)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밀봉부(16A)의 내주측과 내주측 노치(15A)는 이격하고 있다(도 3 중 t).
제 2 밀봉부(16B)는 제 1 밀봉부(16A)의 폭 방향의 중심 부분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폭은 제 1 밀봉부(16A)의 폭보다도 좁다.
또한, 제 2 밀봉부(16B)는 상기 개봉 개시부로서의 탭(21)에 따른 위치에서 다른 부분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으로서의 돌출 밀봉부(17)를 갖고 있다.
돌출 밀봉부(17)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평면 대략 삼각 형상이고, 돌출 밀봉부(17)의 수지는 제 2 밀봉부(16B)의 수지와 연속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용이 개봉성 포장체(1)는 이하와 같이 하여 제조된다.
우선, 먼저 T 다이 압출, 라미네이트 가공 등에 의해 성형한 다층(본 실시 형태의 경우 7층)으로 이루어지는 수지제의 다층 시트를, 용기 외측 형상으로 형성된 캐비티내에 플러그로 예비 신장하고, 그 후 압공 혹은 진공 성형에 의해 용기로 하는 플러그 어시스트 성형에 의해, 용기 본체(10)를 제조한다(용기 성형 공정).
그 후, 고리 형상 날을 갖는 압형을 플랜지부(14) 상면에 가압함으로써, 플랜지부(14)의 내주측 및 외주측 각각 개구부(13)를 둘러싸는 내주측 노치(15A) 및 외주측 노치(15B)를 형성한다(노치 형성 공정).
상기 노치 형성 공정 후, 용기 본체(10)에 내용물을 충전하고(내용물 충전 공정), 열 밀봉 장치를 이용하여 필름 형상의 커버재(20)를 플랜지부(14)에 용착한다. 이 때 용착하는 부분이 열 밀봉부(16)로 된다.
또한, 사용하는 열 밀봉 장치는 범용되는 장치이고, 용기 본체(10)를 수용하는 밀봉 버킷과, 필름 형상의 커버재(20)를 이송하는 커버재 이송 장치와, 상하로 이동하고, 커버재(20)와 용기 본체(10)의 플랜지부(14)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링을 구비한 것이다(도시 생략).
우선, 제 1 밀봉부(16A)의 형상에 대응하는 밀봉링을 커버재(20)를 거쳐 플랜지부(14)의 상면에 가압한다.
제 1 밀봉부(16A)의 내주측과 내주측 노치(15A)는 이격하고, 제 1 밀봉부(16A)의 내주측과 내주측 노치(15A) 사이의 간격(도 3 중 t)이, 0.2∼5.0㎜로 되도록 제 1 밀봉부(16A)를 형성한다(제 1 열 밀봉 공정). 여기서, 고리 형상 밀봉부의 내부에 응력이 집중되기 때문에, 상기 간격이 필요하다.
다음에, 외주측으로 돌출된 돌출 밀봉부(17)를 갖는 제 2 밀봉부(16B)의 형상에 대응하는 밀봉링을 커버재(20)를 거쳐 플랜지부(14)의 상면에 가압하여, 이 제 1 밀봉부(16A)의 영역 내부에 상기 제 1 밀봉부(16A)를 따라 상기 개구부(13)를 둘러싸고, 또한 상기 제 1 밀봉부(16A)보다도 폭이 좁은 제 2 밀봉부(16B) 및 돌출 밀봉부(17)를 형성한다(제 2 열 밀봉 공정).
제 2 열 밀봉 공정은 상기 제 1 열 밀봉 공정보다도 높은 온도, 압력의 조건에서 실행한다. 여기서, 제 2 열 밀봉 공정에 있어서의 열 밀봉 온도가 상기 제 1 열 밀봉 공정에 있어서의 열 밀봉 온도보다 5℃ 이상 높다.
제 2 열 밀봉 공정에 있어서의 열 밀봉 온도가, 제 1 열 밀봉 공정에 있어서의 열 밀봉 온도보다 5℃ 이상 높지 않으면, 박리 개시를 할 수 없고, 또한 박리의 원활성도 열화한다. 또한, 열 밀봉 강도가 낮아지고, 밀봉성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용이 개봉성 포장체(1)의 개봉에 있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우선 탭(21)을 파지하여 커버재(20)를 벗긴다.
돌출 밀봉부(17)를 갖는 제 2 밀봉부(16B)가 커버재(20)를 박리할 때의 박리의 개시점으로 된다. 즉, 커버재(20)를 용기 본체(10)로부터 박리할 때에, 플랜지부(14)의 제1층(10A)을 들어올리고, 열 밀봉한 부분의 제 1층(10A)의 전체 주위를 박리하게 된다. 박리가 개시된 후, 외주측 노치(15B)로 제 1층(10A)이 절단되고, 제 1층(10A)이 제 2층(10B)과의 층간 박리를 한다.
그리고, 내주측 노치(15A)까지 제 1층(10A)이 제 2층(10B)과의 층간 박리를 한 후, 외주측 노치(15B)로 제 1층(10A)이 절단된다. 이 때, 커버재(20)측에 내주측 노치(15A) 및 외주측 노치(15B) 사이 부분의 제 1층(10A)이 접착된 상태로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제 1 밀봉부(16A)가 용이 개봉성 포장체(1)의 밀봉성을 유지하고, 돌출된 부분으로서의 돌출 밀봉부(17)를 갖는 제 2 밀봉부(16B)가 커버재(20)를 박리할 때의 박리의 개시 점으로 되는 동시에, 박리를 원활하게 한다. 또한, 열 밀봉이 강력하게 됨으로써, 밀봉성이 향상된다. 즉, 커버재(20)를 용기 본체(10)로부터 박리할 때에, 플랜지부(14) 중 적어도 제 1층(10A)을 들어 올리고, 열 밀봉부(16)의 제 1층(10A)의 전체 주위를 박리하게 된다. 따라서, 용기 본체(10) 형성 후, 내주측 노치(15A) 및 외주측 노치(15B) 형성 후에, 내용물의 살균 등을 위해서, 가열 처리가 실행되고, 내주측 노치(15A) 및 외주측 노치(15B)의 범위를 넘어서 열 밀봉함으로써, 밀봉성에 문제가 생기고, 이 문제를 제 1 밀봉부(16A)의 접착 강도를 과대하게 함으로써 해결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용이 개봉성을 저해하지 않고, 밀봉성 및 용이 개봉성을 양립할 수 있다.
또한, 제 2 밀봉부(16B)를 구비함으로써, 이 제 2 밀봉부(16B)가 커버재(20)를 박리할 때의 박리의 개시점으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박리를 위한 오목부의 형성시에, 이 소정의 위치 이외에도 오목부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 때문에, 외주측 노치로부터가 아니라, 열 밀봉한 부분의 외주단으로부터 박리되지 않기 때문에, 품질이 안정된 용이 개봉성 포장체(1)로 할 수 있다.
(2) 돌출 밀봉부(17)의 선단부는 외주 노치(15B)보다 내측인 경우, 외주 노치(15B)의 부분으로 돌출 밀봉부(17) 형성시의 수지가 흐르지 않고, 커버재(20)의 박리를 저해하지 않는다.
(3) 제 1 밀봉부(16A)의 내주측과 내주측 노치(15A)가 간격(t)만 이격하고 있음으로써, 포장체 내부의 압력이 상승해도, 제 1 밀봉부(16A)의 내주측에 응력이 집중되게 되므로, 용기 플랜지부(14) 중 적어도 최내층이 노치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하는 구조이면서, 내측으로부터의 박리는 일어나지 않는다.
(4) 플랜지부(14)는 상기 외주단을 절곡하여 이루어지는 절곡부(14A)를 갖음으로써, 용기 본체(10)의 강성이 향상되므로, 용기의 사이즈의 확대나 형상의 변화, 또한 박형화에 대응할 수 있다.
(5) 제 1층(10A)이 상기 제 1층(10A)과 인접하는 제 2층(10B)과의 층간 박리를 함으로써, 커버재(20)와 제 1층(10A)의 사이에서 커버재(20)를 박리하지 않고, 커버재(20)와 제 1층(10A)의 밀봉 강도를 크게 해도 문제 없기 때문에, 용이 개봉성 포장체(1)의 밀봉성에 영향을 주지 않고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다.
(6) 제 2 열 밀봉 공정은 제 1 열 밀봉 공정보다도 높은 온도, 압력의 조건에서 실행함으로써, 열 밀봉시에 소정의 위치 이외에 발생하는 오목부가 형성되지 않고, 열 밀봉부(16)의 외주단으로부터 박리되지 않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은 포장체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 개량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예컨대, 돌출 밀봉부(17)의 형상으로는,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삼각형상이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다리꼴, 사각형, 반원 형상 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돌출 밀봉부(17)의 선단부 및 기초부의 형상, 크기도 특히 제한은 없지만, 기초부는 외주 방향을 향해서 R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돌출 밀봉부(17)는 1개소에 형성되어 있었지만, 특히 제한은 없고, 1개 이상이면 무방하다. 또한, 이 돌출 밀봉부가 복수개 있는 경우에는,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이 박리시에 응력의 균형이 좋고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절곡부(14A)로는 상기 외주단을 단순히 절곡하기만 하는 스커트형이라 불리는 것이 있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외주단 가장자리가 수직 하강하고, 또한 단면 U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컬형이라 불리는 것 등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용기 본체(10)의 최내층으로서의 제 1층(10A)이 개봉시 커버재(20)와 함께 박리할 때에, 제 1층(10A)이 상기 제 1층(10A)과 인접하는 차층으로서의 제 2층(10B)의 층간 박리를 하는 것이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2층(10B)이 상기 제 2층(10B)내에 있어서 응집 박리를 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용기 본체(10)는 7층 구조의 다층 시트를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이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2층 이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면 좋고, 3∼6층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8층 이상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커버재(20)는 3층 구성의 것이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층이어도 좋고, 2층이어도 좋고, 4층 이상의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커버재(20)는 플랫 형상으로 했지만, 벗기는 뚜껑 형식의 커버재이어도 무방하다. 그 밖에, 본 발명을 실시할 때의 구체적인 구조 및 형상 등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내에서 다른 구조 등으로 할 수도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다층 시트)
용기 본체(10)의 성형에 사용하는 다층 시트의 원료 수지로서, 이하의 수지를 사용하고, 공압출 성형에 의해 7층의 다층 시트를 성형했다.
[1]제 1층(10A)(최내층)
[1-1]원료 수지 : 폴리프로필렌(F734 이데미쓰 석유화학(주)제)
[1-2]층의 두께 : 70㎛
[2]제 2층(10B)(차층)
[2-1]원료 수지 : 폴리프로필렌(E-105GM 이데미쓰석유화학(주)제) 60중량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fz-038 미쓰비시 상사 (주)제) 40중량부
[2-2]층의 두께 : 200㎛
[3]제 3층(10C)(기재층)
[3-1]원료 수지 : 폴리프로필렌(E-170GM 이데미쓰 석유화학(주)제)
[3-2]층의 두께 : 300㎛
[4]제 4층(10D)
[4-1]원료 수지 : 변성 폴리 올레핀 접착성 수지(애드머 QB-550, 미쓰이 화학(주)제)
[4-2]층의 두께 : 10㎛
[5]제 5층(10E)(배리어층)
[5-1]원료 수지 : 에틸렌비틸알콜 수지(에발, 쿠라레(주)제)
[5-2]층의 두께 : 40㎛
[6]제 6층(10F)
[6-1]원료 수지 : 변성 폴리 올레핀 접착성 수지(애드머 QB-550, 미쓰이 화학(주)제)
[6-2]층의 두께 : 10㎛
[7]제 7층(10G)(용기 외층)
[7-1]원료 수지 : 폴리프로필렌(E-170GM 이데미쓰 석유 화학(주)제)
[7-2]층의 두께 : 300㎛
(용기 본체)상기 7층의 다층 시트를 플러그 어시스트 압공 성형법에 의해, 용기 본체를 이하와 같은 치수로 성형했다.
개구부의 내직경 : 140㎜
바닥부의 직경 : 80㎜
높이 : 40㎜
플랜지의 폭 : 9㎜
절곡부의 길이 : 3㎜
(플랜지부)
플랜지부에 내주측 노치 및 외주측 노치의 간격을 5㎜로 한 상태에서 고리 형상 가열 날에 의해, 내주측 노치 및 외주측 노치를 형성했다. 이러한 내주측 노치 및 외주측 노치의 깊이는 대략 제 1층의 두께와 동일하게 했다.
커버재는 용기 본체측으로부터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에틸렌비닐알콜 수지 및 나일론을 적층한 3층의 것이다. 커버재의 두께는 90㎛이었다.
(제 1 밀봉부)
제 1 밀봉부는 2.5㎜의 밀봉링에 의해, 내주측 노치로부터 1.75㎜ 이격하여 형성되어 있다. 밀봉시의 조건은 온도 180도, 압력 15㎫/용기, 시간 1.2초였다.
(제 2 밀봉부 및 돌출 밀봉부)
제 2 밀봉부는 제 1 밀봉부의 폭 방향에 대하여 중앙으로 밀봉 폭 1.5㎜로 갔다. 제 2 밀봉부 형성시, 돌출 밀봉부를 일체적으로 형성했다. 이 돌출 밀봉부는 제 2 밀봉부의 2개소에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는 6㎜이고, 상기 높이는 1㎜이며, 바닥부에 R을 갖는 대략 삼각형상의 것이었다.
즉, 제 2 밀봉부 및 돌출 밀봉부에 대응하는 밀봉링에 의해 일체적으로 밀봉을 실행했다. 이 밀봉시의 조건은 온도 190도, 압력 15㎫/용기, 시간 1.2초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는 제 1층(10A)(최내층)의 층의 두께가 70㎛가 아니라, 100㎛으로 한 점이 상이하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는 제 1층(10A)(최내층)의 층의 두께가 70㎛가 아니라, 40㎛로 한 점이 상이하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는 제 2 밀봉부 및 돌출 밀봉부를 형성하지 않고, 제 1 밀봉부만으로 용기의 열 밀봉을 실행한 점이 상이하다. 즉, 제 1층(10A)(최내층)의 층의 두께는 70㎛이다.
[비교예 2]
실시예 2와는 제 2 밀봉부 및 돌출 밀봉부를 형성하지 않고, 제 1 밀봉부만으로 용기의 열 밀봉을 실행한 점이 상이하다. 즉, 제 1층(10A)(최내층)의 층의 두께는 100㎛이다.
[비교예 3]
실시예 3과는 제 2 밀봉부 및 돌출 밀봉부를 형성하지 않고, 제 1 밀봉부만으로 용기의 열 밀봉을 실행한 점이 상이하다. 즉, 제 1층(10A)(최내층)의 층의 두께는 40㎛이다.
[비교예 4]
실시예 1과는 제 2 밀봉부를 형성하지 않고, 제 1 밀봉부 및 제 1 밀봉부로부터 외주측으로 돌출된 삼각형상의 돌출 형상부에 용기의 열 밀봉을 실행한 점이 상이하다. 즉, 제 1층(10A)(최내층)의 층의 두께는 70㎛이다.
[비교예 5]
실시예 2과는 제 2 밀봉부를 형성하지 않고, 제 1 밀봉부 및 제 1 밀봉부로부터 외주측으로 돌출된 삼각형상의 돌출 형상부에 용기의 열 밀봉을 실행한 점이 상이하다. 즉, 제 1층(10A)(최내층)의 층의 두께는 100㎛이다.
[비교예 6]
실시예 3과는 제 2 밀봉부를 형성하지 않고, 제 1 밀봉부 및 제 1 밀봉부로부터 외주측으로 돌출된 삼각형상의 돌출형부에 용기의 열 밀봉을 실행한 점이 상이하다. 즉, 제 1층(10A)(최내층)의 층의 두께는 40㎛이다.
[평가 방법 및 평가 결과]
(개봉 상태의 관찰 및 결과)
실시예 1∼3 및 비교예 1∼6에 의해 얻어진 포장체의 커버재로부터 개봉했을 때의 개봉 상태를 관찰했다.
실시예 1에서는 커버재 및 플랜지부의 열 밀봉 부분의 100%를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었다.
실시예 2에서는 커버재 및 플랜지부의 열 밀봉 부분의 70%를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었다.
실시예 3에서는 커버재 및 플랜지부의 열 밀봉 부분의 100%를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었다. 또한, 이 실시예 3의 커버재의 박리시에 제 1층(최내층)이 일부 파단되어 있었다.
비교예 1∼3에서는 내주측 노치 및 외주측 노치 중 어느 것에, 제 1 밀봉부가 0.1㎜라도 어긋나면, 커버재가 개봉되지 않게 되었다.
비교예 4∼6에서는 커버재 및 플랜지부의 열 밀봉 부분의 50%밖에 안정되게 개봉할 수 없었다.
(밀봉성의 정량적 평가 및 평가 결과)
실시예 1의 포장체의 돌출 밀봉부의 근방을 15㎜폭으로 잘라내어, 샘플을 얻어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고, 인장 속도 50㎜/min로 샘플(15㎜ 폭)을 박리 각도 180도로 박리했을 때의 인장 강도를 측정하고, 그것은 8N/15㎜ 폭이었다.
또한, 커버재와 용기 본체의 내측에 상당하는 부분으로부터의 박리를 동일하게 하여 측정하고, 그것은 30N/15㎜ 폭이었다.
또한, 실시예 1의 포장체의 내부에 가압 공기를 주입하고, 펑크했을 때의 압력을 측정하고, 그것은 0.05㎫이었다.
본 발명은 커버재를 박리함으로써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는 용이 개봉성 포장체로서 이용할 수 있고, 식품 등의 내용물을 충전하는 용기 혹은 포장체로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9)

  1. 다층 시트를 성형하여 이루어지고, 개구부 주변에 플랜지부가 형성된 용기 본체와, 상기 플랜지부에 열 밀봉되어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커버재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재 외주에 개봉 개시부가 형성되며, 이 개봉 개시부로부터 커버재를 박리하면, 상기 플랜지부의 열 밀봉 부분인 상기 용기 본체의 적어도 최내층이 개봉시 상기 커버재와 함께 박리되는 용이 개봉성 포장체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에는 상기 플랜지부의 내주측 및 외주측 각각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는 내주측 노치 및 외주측 노치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 및 커버재는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고, 상기 내주측 노치 및 외주측 노치의 사이에 형성된 소정 폭의 제 1 밀봉부와, 이 제 1 밀봉부의 영역 내부에 상기 제 1 밀봉부를 따라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밀봉부보다도 폭이 좁은 제 2 밀봉부에 의해 열 밀봉되며,
    상기 제 2 밀봉부는 상기 개봉 개시부에 따른 위치에서 다른 부분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이 개봉성 포장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된 부분의 선단부는 상기 외주 노치보다 내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이 개봉성 포장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밀봉부의 내주측과 상기 내주측 노치가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이 개봉성 포장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외주단을 절곡하여 이루어지는 절곡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이 개봉성 포장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최내층은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두께는 40∼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이 개봉성 포장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최내층이 개봉시 상기 커버재와 함께 박리할 때에, 상기 최내층이 상기 최내층과 인접하는 다음 층과의 층간 박리를 하거나, 또는 상기 다음 층이 상기 다음 층내에 있어서 응집 박리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이 개봉성 포장체.
  7. 다층 시트를 성형하여 이루어지고, 개구부 가장자리에 플랜지부가 형성된 용기 본체와, 상기 플랜지부에 열 밀봉되어서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커버재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재 외주에 개봉 개시부가 형성되어, 이 개봉 개시부로부터 커버재를 박리하면, 상기 플랜지부의 열 밀봉 부분인 상기 용기 본체의 적어도 최내층이 개봉시 상기 커버재와 함께 박리하는 용이 개봉성 포장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의 내주측 및 외주측 각각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는 내주측 노치 및 외주측 노치를 형성하는 노치 형성 공정과,
    상기 용기 본체에 내용물을 충전하는 내용물 충전 공정과,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고, 상기 내주측 노치 및 외주측 노치의 사이에 형성되는 소정 폭의 제 1 밀봉부를 형성하는 제 1 열 밀봉 공정과,
    이 제 1 밀봉부의 영역 내부에 상기 제 1 밀봉부를 따라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고, 또한 상기 제 1 밀봉부보다도 폭이 좁으며, 상기 개봉 개시부에 따른 위치에 다른 부분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고 있는 제 2 밀봉부를 형성하는 제 2 열 밀봉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이 개봉성 포장체의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열 밀봉 공정은 상기 제 1 열 밀봉 공정보다도 높은 온도, 압력의 조건에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이 개봉성 포장체의 제조 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열 밀봉 공정에 있어서의 열 밀봉 온도가, 상기 제 1 열 밀봉 공정에 있어서의 열 밀봉 온도보다 5℃ 이상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이 개봉성 포장체의 제조 방법.
KR1020057015840A 2003-02-26 2004-02-24 용이 개봉성 포장체 및 용이 개봉성 포장체의 제조 방법 KR1010647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49682 2003-02-26
JP2003049682A JP4133436B2 (ja) 2003-02-26 2003-02-26 易開封性包装体および易開封性包装体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3961A true KR20050103961A (ko) 2005-11-01
KR101064777B1 KR101064777B1 (ko) 2011-09-14

Family

ID=32923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5840A KR101064777B1 (ko) 2003-02-26 2004-02-24 용이 개봉성 포장체 및 용이 개봉성 포장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967187B2 (ko)
EP (1) EP1607345B1 (ko)
JP (1) JP4133436B2 (ko)
KR (1) KR101064777B1 (ko)
CN (2) CN101279663B (ko)
WO (1) WO200407631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7117A (ko) * 2017-05-19 2018-11-28 씨제이제일제당 (주) 이중 실링부를 갖는 즉석식품 포장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33436B2 (ja) * 2003-02-26 2008-08-13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易開封性包装体および易開封性包装体の製造方法
JP4146267B2 (ja) 2003-04-08 2008-09-10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容器、包装体及び容器の製造方法
US7582340B2 (en) * 2006-04-06 2009-09-01 Packs Co., Ltd Container for retort pouch food
US8522978B2 (en) 2006-12-01 2013-09-03 Cryovac, Inc. Stress concentrator for opening a flexible container
DE102008038902A1 (de) * 2008-08-13 2010-02-18 Fritz Hark Orchideen Gmbh & Co. Kg Behälter
JP5931340B2 (ja) * 2009-01-06 2016-06-08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包装容器、包装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US20150079240A1 (en) 2010-11-09 2015-03-19 Gian Matteo Lo Foro Capsule based system for preparing and dispensing a beverage
US20140151396A1 (en) * 2011-07-18 2014-06-05 Charles Stehli, JR. Lidding, Pull-tab and Self-opening System
US10034570B2 (en) 2011-11-09 2018-07-31 LaVit Technology LLC Capsule based system for preparing and dispensing a beverage
US10080459B2 (en) 2011-11-09 2018-09-25 La Vit Technology Llc Capsule-based system for preparing and dispensing a beverage
JP2014198576A (ja) * 2013-03-29 2014-10-23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ル盤、シール方法、および容器
JP6188378B2 (ja) * 2013-03-29 2017-08-30 Eaファーマ株式会社 充填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573737B (zh) * 2013-09-05 2017-03-11 林紫綺 安全性杯體結構及其製造方法
KR102336221B1 (ko) * 2015-01-28 2021-12-07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개봉 용이성 패키지
JP2017071437A (ja) * 2015-10-09 2017-04-13 スリーエスプラス株式会社 食品包装容器の蓋
EP3728067B1 (en) * 2017-12-22 2021-12-01 Cryovac, LLC Package, apparatus and process of manufacturing said package
JP6882350B2 (ja) * 2019-01-23 2021-06-02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内容物入り容器の製造装置、製造方法および容器
JP2020125134A (ja) * 2019-02-04 2020-08-20 株式会社明治 容器、フィルム蓋付容器及びフィルム蓋付容器入り飲食品
GB2617848A (en) * 2022-04-21 2023-10-25 Innavisions Ltd A containe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01870A (en) * 1960-10-12 1963-08-27 Plastomatic Corp Film sealed container with pouring spout
US4215797A (en) * 1978-11-08 1980-08-05 Consumers Glass Company Limited Plastic containers and lids therefor
JP2505733B2 (ja) * 1985-04-12 1996-06-12 東洋アルミニウム 株式会社 密封包装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910009911B1 (ko) * 1986-04-08 1991-12-05 이데미쓰세끼유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개봉이 용이한 포장용기
CA1303522C (en) * 1986-04-08 1992-06-16 Takanori Suzuki Easily-openable packaging container
US5178293A (en) * 1986-04-08 1993-01-12 Idemitsu Petrochemical Co., Ltd. Easily-openable packaging container
EP0315693B1 (en) * 1987-05-20 1992-07-29 Toyo Seikan Kaisha Limited Easily openable sealed container
US4865217A (en) * 1987-08-31 1989-09-12 Sumitomo Bakelite Company, Limited Easily openable sealed container
GB8729725D0 (en) * 1987-12-21 1988-02-03 Metal Box Plc Container with peelable seal & method & apparatus for making same
CA1334524C (en) 1988-07-01 1995-02-21 Yukio Takata Container an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notching the same
JP2672856B2 (ja) * 1989-04-06 1997-11-05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易開封性密封容器
FR2648433B1 (fr) 1989-06-16 1991-10-31 Mecaplastic Procede d'emballage d'un produit quelconque, par exemple un produit alimentaire et emballage ainsi realise
CA2007748C (en) * 1989-08-31 1996-01-02 Eiji Tamura Food packaging container
KR910014283A (ko) * 1990-01-29 1991-08-31 오노 알버어스 용기에 뚜껑을 결합하는 방법 및 그 제품
JP2724355B2 (ja) * 1990-06-15 1998-03-09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易開封性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US5752614A (en) * 1996-11-19 1998-05-19 Sonoco Products Company Easy-opening closure for hermetic sealing a retortable container
JP3365748B2 (ja) * 1999-06-30 2003-01-14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密封容器の製造方法
JP2003054634A (ja) * 2001-08-13 2003-02-26 Kotobuki Kasei Kogyo Kk 易開封容器
JP3965304B2 (ja) 2002-02-01 2007-08-29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易開封性包装体および易開封性包装体の製造方法
JP2003312732A (ja) 2002-04-23 2003-11-06 Shikoku Kakoki Co Ltd 密封容器
JP4133436B2 (ja) * 2003-02-26 2008-08-13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易開封性包装体および易開封性包装体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7117A (ko) * 2017-05-19 2018-11-28 씨제이제일제당 (주) 이중 실링부를 갖는 즉석식품 포장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4777B1 (ko) 2011-09-14
CN101279663B (zh) 2013-01-02
JP2004262472A (ja) 2004-09-24
CN100448756C (zh) 2009-01-07
CN101279663A (zh) 2008-10-08
CN1753818A (zh) 2006-03-29
EP1607345B1 (en) 2013-06-05
JP4133436B2 (ja) 2008-08-13
WO2004076311A1 (ja) 2004-09-10
EP1607345A1 (en) 2005-12-21
US20060175387A1 (en) 2006-08-10
EP1607345A4 (en) 2010-08-11
US7967187B2 (en) 2011-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4777B1 (ko) 용이 개봉성 포장체 및 용이 개봉성 포장체의 제조 방법
JP4146267B2 (ja) 容器、包装体及び容器の製造方法
US5131556A (en) Easy-open lid
EP2493774B1 (en) Container assembly having a heat-sealed metal end, a metal end therefor, and a method for making same
JP5931340B2 (ja) 包装容器、包装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2012116516A (ja) 積層剥離容器
US7364779B2 (en) Easy-opening high barrier plastic closure and method therefor
KR20130006618A (ko) 개봉 용이성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WO2017212951A1 (ja) 樹脂製密閉容器
KR101032194B1 (ko) 다층 시이트, 용기, 용이개봉성 포장체
JPH11171249A (ja) 易開封性密封容器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容器本体の製造方法
US20050029267A1 (en) Container having a cut panel lid with a pull feature
JP3965304B2 (ja) 易開封性包装体および易開封性包装体の製造方法
JP5954953B2 (ja) 密封容器
JP2994864B2 (ja) 易開封性密封容器
JPH11171247A (ja) 易開封性密封容器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容器本体の製造方法
JPH08164973A (ja) ピーラブルシール容器
TW202304782A (zh) 用於成形容器的積層體、成形容器及包裝體
JPH03212377A (ja) 易開封性密封容器
JP2023136300A (ja) 圧力吸収構造を有する蓋体
JP2020097423A (ja) チューブ容器
JPH07309368A (ja) 密封容器とその製造方法
JPH11171248A (ja) 易開封性密封容器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容器本体の製造方法
JP2002225943A (ja) 易開封性密封容器、該容器用容器本体並びに容器本体の製造方法
JPH11130126A (ja) 易開封性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