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9631A - 광전송매체의 접속방법, 광학접속구조 및 광전송매체접속부품 - Google Patents

광전송매체의 접속방법, 광학접속구조 및 광전송매체접속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9631A
KR20050099631A KR1020057015407A KR20057015407A KR20050099631A KR 20050099631 A KR20050099631 A KR 20050099631A KR 1020057015407 A KR1020057015407 A KR 1020057015407A KR 20057015407 A KR20057015407 A KR 20057015407A KR 20050099631 A KR20050099631 A KR 20050099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medium
optical transmission
optical
alignmen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5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9891B1 (ko
Inventor
교이치 사사키
마사요시 스즈키
다츠시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모에가와 세이시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모에가와 세이시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모에가와 세이시쇼
Publication of KR20050099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9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9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98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28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 G02B6/3632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36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mechanical coupling means the mechanical coupling means being groov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45Removing protective coverings of light guides before coupl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28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 G02B6/3648Supporting carriers of a microbench type, i.e. with micromachined additional mechanical structures
    • G02B6/3652Supporting carriers of a microbench type, i.e. with micromachined additional mechanical structures the additional structures being prepositioning mounting areas, allowing only movement in one dimension, e.g. grooves, trenches or vias in the microbench surface, i.e. self aligning supporting carri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1Permanent connections, i.e. wherein fibres are kept aligned by mechanical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30Optical coupling means for use between fibre and thin-film devi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19Mechanical fixtures for holding or positioning the elements relative to each other in the couplings; Alignment methods for the elements, e.g. measuring or observing methods especially used therefor
    • G02B6/4228Passive alignment, i.e. without a detection of the degree of coupling or the position of the elements
    • G02B6/423Passive alignment, i.e. without a detection of the degree of coupling or the position of the elements using guiding surfaces for the align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자가 접속 작업을 부담없이 실시하여, 광전송매체가 손상되지 않고 공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광전송매체의 접속방법, 및 그것에 의해 형성되는 광학접속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광전송매체의 접속방법은, 광전송매체를 접속부재 (2) 의 수납홈 (3) 에 탑재하는 공정, 광전송매체 (1a) 를 탑재한 접속부재와 정렬홈 (5) 을 갖는 정렬부재 (4) 를 그 접속부재의 수납홈 (3) 의 개구부와 정렬부재의 정렬홈 (5) 의 개구부가 마주 보도록 배치하는 공정, 그 광전송매체의 적어도 광학접속해야 할 단부를 수납홈 (3) 으로부터 정렬홈 (5) 으로 이동시키는 공정, 이동시킨 광전송매체 (1a) 의 단부를 다른 광전송매체 (1b) 의 단부와 맞대는 공정을 구비한다.

Description

광전송매체의 접속방법, 광학접속구조 및 광전송매체 접속부품{OPTICAL TRANSMISSION MEDIUM CONNECTING METHOD, OPTICAL CONNECTING STRUCTURE, AND OPTICAL TRANSMISSION MEDIUM CONNECTING PART}
본 발명은 광전송매체의 접속방법, 광학접속구조, 광전송매체 접속부품 및 광회로부품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전송매체를 상방향으로부터 설치하여 용이하게 광전송매체간의 위치맞춤이 가능한 광전송매체의 접속방법, 그렇게 하여 형성되는 광전송매체의 광학접속구조, 및 그를 위해 사용하는 광전송매체 접속부품에 관한 것이다.
광전송매체의 접속부품에 대해서는, 단심 접속용에서는 FC, SC, MU, LC 등, 그리고 다심 접속용으로는 MPO, MPX, MTP 타입 등의 접속부품이 제공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들 커넥터는 광섬유의 축방향에서 맞댐으로써 광섬유의 접속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5869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240746호). 예를 들어, MPO형 광커넥터에서는 광커넥터 어댑터에 대향하는 양측에서 광커넥터 플러그를 삽입함으로써 광커넥터 어댑터에 내장된 내부 하우징 내에서 광커넥터 플러그간의 위치가 결정되고, 광커넥터 플러그의 선단에 유지된 MT 커넥터 페룰 간이 맞대어져 접속된다. 이와 같이 광섬유를 축방향으로 쉽게 넣고 뺄 수 있게 한 푸시·풀 방식이 제안되어 있으나, 이들 푸시·풀 방식 커넥터는 접속되는 광섬유의 축방향으로 넣고 빼기 때문에 백플레인 등의 장치 벽면에 부착된 어댑터와 접속할 때에는 간편하게 광섬유를 접속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프린트 기판 (예를 들어, 마더보드 등) 위나 장치 내에서의 광섬유 접속에 사용할 때에는 넣고 빼는 방향으로 작업자의 시야가 나빠져 작업시간이 길어지거나, 넣을 때 페룰 단부가 깨져 슬리브나 가이드용 샤프트에 접촉하여 파손 또는 손상될 우려가 있었다. 또 커넥터를 넣고 빼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다른 디바이스의 배치를 고려하거나, 또한 극단적인 경우에는 설치할 수 없게 되는 등,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없었다. 그리고 마더보드 위나 장치 내부의 광모듈간을 접속할 때에는 커넥터의 삽입 이동량 및 작업성 때문에 광섬유에 여분의 길이를 마련해야 하는데, 이 광섬유의 여분의 길이에 의해 마더보드 상이나 장치 내에서 광섬유의 부피가 늘어나 과대한 공간이 필요해진다. 그리고 멀티모드 광섬유를 사용할 때에는 광섬유에 여분의 이완 등이 생기고 모덜 노이즈가 과다하게 발생하여, 장치의 광학특성에 막대한 영향을 끼칠 우려가 있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커넥터는, 정밀성형된 페룰 또는 플러그에 광섬유를 고정하고, 정밀성형된 슬리브 또는 가이드핀에 의해 광섬유의 위치가 맞춰져 있으나, 이 경우 설계 및 제작 지그 비용이 높아졌다. 그 때문에 광섬유를 V 홈이나 관통구멍 내에서 맞대어 접속시키는 방법이 수많이 제안되었지만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39642호), 플러그에서 광섬유가 노출되고 있어, 광섬유를 V 홈이나 관통구멍에 설치하는 경우에 광섬유가 파손될 가능성이 컸다. 또 보호부재나 위치맞춤 부재를 형성한 경우, 부품 구성이 복잡해져 단순히 광섬유의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V 홈의 이점이 사라졌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에서의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광소자, 광회로 패키지, 광회로 장치 등의 단부에서 인출된 광전송매체, 특히 광섬유를 접속함에 있어서, 특히 프린트 기판 (예를 들어 마더보드 등) 위나 장치 내에서의 광섬유를 접속함에 있어서, 광섬유, 특히 피복을 제거한 광섬유 소선간을 위치맞춤하여 접속하도록 접속부재 (플러그) 를 정렬부재 (어댑터) 에 고정하는 경우에, 작업자가 접속작업을 부담없이 실시하여, 광전송매체가 손상되지 않고 기판 상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광전송매체의 접속방법 및 형성되는 광학접속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광전송매체의 접속방법의 일례를 설명하는 일부 파쇄 측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광전송매체의 접속방법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는 일부 파쇄 측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접속방법에 사용되는 접속부재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2 의 접속방법에 사용되는 접속부재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는 도 1 및 도 2 의 접속방법에 사용되는 정렬부재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접속방법에 사용되는 접속부재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은 도 6 의 접속부재를 사용되는 경우의 접속방법을 설명하는 공정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접속방법에 사용되는 접속부재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는 정렬홈의 폭과 수납홈의 폭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접속방법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는 공정도이다.
도 11 은 접속부재와 정렬부재가 걸어맞춰진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광전송매체의 접속방법의 일례를 설명하는 일부 파쇄 측면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광전송매체의 접속방법의 일례를 설명하는 일부 파쇄 측면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광전송매체의 접속방법의 일례를 설명하는 일부 파쇄 측면도이다.
도 15 는 본 발명의 광학접속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 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광도파로 및 이를 사용한 광학접속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 은 본 발명의 광전송매체의 접속방법의 일례를 설명하는 일부 파쇄 측면도이다.
도 18 는 본 발명의 광학접속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일부 파쇄 측면도이다.
도 19 는 위치맞춤 부재를 사용한 정렬부재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 은 도 19 의 정렬부재를 사용하여 광학접속구조를 형성하는 경우를 설명하는 일부 파쇄 측면도이다.
도 21 은 위치맞춤 부재를 사용한 접속부재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 는 도 21 의 접속부재를 사용하여 광학접속구조를 형성하는 경우를 설명하는 일부 파쇄 측면도이다.
도 23 은 위치맞춤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a) 는 정렬부재의 사시도, (b) 는 그 정렬부재를 사용한 위치맞춤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4 는 본 발명의 광학접속구조를 사용한 광회로부품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5 는 실시예 1 에 사용되는 접합부재 및 정렬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6 은 실시예 1 의 광전송접속부품의 단면도 및 광학접합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27 은 실시예 1 의 광학접속구조 및 접속방법을 설명하는 일부 파쇄 측면도에 의한 공정도이다.
도 28 은 실시예 2 에 사용하는 접합부재 및 정렬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9 는 실시예 2 의 광학접속구조 및 접속방법을 설명하는 일부 파쇄 측면도에 의한 공정도이다.
도 30 은 실시예 3 에 사용되는 접합부재의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 및 조립 정면도이다.
도 31 은 실시예 4∼6 의 정렬부재에 사용되는 4심 플라스틱 V 홈 기판의 사시도이다.
도 32 는 실시예 4∼6 의 정렬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3 은 실시예 4 의 광학접속구조 및 접속방법을 설명하는 일부 파쇄 측면도에 의한 공정도이다.
도 34 는 실시예 5 에 사용되는 접속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5 는 실시예 6 에 사용하는 가압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6 은 실시예 6 의 광학접속구조 및 접속방법을 설명하는 일부 파쇄 측면도에 의한 공정도이다.
도 37 은 실시예 7 의 광학접속구조 및 접속방법을 설명하는 일부 파쇄 측면도에 의한 공정도이다.
도 38 은 실시예 8 에 사용되는 접속부재 및 정렬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9 는 실시예 8 의 광전송접속부품의 단면도 및 광학접합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40 은 실시예 9 의 광학접속구조 및 접속방법을 설명하는 일부 파쇄 측면도에 의한 공정도이다.
도 41 은 실시예 9 에 사용되는 접속부재 및 정렬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2 는 실시예 9 의 광학접속구조 및 접속방법을 설명하는 일부 파쇄 측면도에 의한 공정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전송매체 2 : 접속부재
3 : 수납홈 4 : 정렬부재
5 : 정렬홈 6 : 관통구멍
7 : 가압부재 8 : 고정부위
9 : 노치부 10 : 광학접속구조
11 : 광섬유 12 : 자성체 피막
13 : 자력 14 : 래치
15 : 래치 걸어맞춤부 16 : 관통구멍부재
17 : 광도파로 기판 18 : 광도파로
19 : 로드렌즈 20 : 광 모듈
21 : 프린트 기판 22, 23 : 위치맞춤 부재
24 : 위치맞춤 구멍 25 : 기판
28 : 광부품 30 : 관통구멍
31 : 접속부재 32 : 수납홈
33 : 정렬부재 34 : 정렬홈
35 : 가압 지그 35a : 볼록형 단부
36 : 발포 우레탄 수지 37 : 광섬유 심선
38 : 광섬유 소선 (素線) 39 : 래치
40 : 고정부재 41 : 접속부재기판
42 : 관통구멍 43 : 래치
44 : 광섬유 수납판 45 : V 자형 홈
46 : 개구부 50 : 정렬부재
51 : 아크릴수지제 기판 52 : 래치 걸어맞춤부
53 : 4심 플라스틱 V 홈 기판 54 : 정렬홈
60 : 접속부재 61 : 수납홈
62 : 관통구멍 63 : 래치
64 : 4심 광섬유 테이프 심선 65 : 4심 플라스틱 V 홈 기판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 는 본 발명 광전송매체의 접속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1 은 광전송매체 전체를 수납홈으로부터 정렬홈으로 이동시키는 경우를 나타내고, 도 2 는 광전송매체의 단부 부분을 수납홈으로부터 정렬홈으로 이동시키는 경우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3 은 도 1 의 접속방법에 사용하는 접속부재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 는 도 2 의 접속방법에 사용하는 접속부재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5 는 도 1 및 도 2 의 접속방법에 사용하는 정렬부재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 의 접속부재 (2) 는 광전송부재를 탑재하기 위한 수납홈 (3) 및 그 수납홈에 개구되는 관통구멍 (6) 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구멍에는 수납홈에 탑재된 광전송매체를 누르기 위한 가압부재가 삽입되게 되어 있다. 한편 도 5 의 정렬부재 (4) 에는, 그 일면에 광전송매체를 탑재하기 위한 정렬홈 (5 ; 도면에서는 단면 V 자형) 이 형성되어 있다.
도 1 에서는, 먼저 접속부재 (2) 의 수납홈 (3) 에 광전송매체 (1a ; 예를 들어 광섬유) 를 탑재한다. 이 경우, 수납홈 (3) 에 탑재된 광전송매체는 접속조작하는 동안 수납홈에서 이탈되지 않을 정도로 고정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수납홈과의 접촉마찰에 의한 고정, 임시 접착에 의한 고정 등 적절한 방법으로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정렬부재 (4) 의 정렬홈 (5) 에는 접속되어야 할 광전송매체 (1b) 를 적절한 방법으로 탑재한다 (도 1 (a)).
다음으로, 이들 정렬부재 (4) 와 접속부재 (2) 를, 접속부재의 수납홈 (3) 의 개구부와 정렬부재의 정렬홈 (5) 의 개구부가 마주 보도록 배치한다 (도 1 (b)). 이어서 접속부재의 관통구멍에 삽입된 가압부재 (7) 에 의해 광전송매체 (1a) 를 눌러 수납홈으로부터 정렬홈으로 이동시킨다 (도 1 (c)). 그 후, 정렬부재의 정렬홈에 탑재된 광전송매체 (1b) 를 도시하는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그 단부를 정렬홈으로 이동시킨 광전송매체 (1a) 의 단부에 맞대어 접속을 완료한다. 마지막으로, 도시하지 않은 적절한 수단, 예를 들어 접착제에 의해, 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접속부재에 형성한 래치와 정렬부재에 형성한 래치 걸어맞춤부에 의해 접속부재와 정렬부재를 고정한다. 이로써 본 발명의 광학접속구조가 형성된다 (도 1 (d)).
또 도 2 에서는, 먼저 도 4 에 나타내는 접속부재 (2) 의 수납홈 (3) 에 광전송매체 (1a) 를 탑재하고, 그 고정부위 (8) 에서 접속부재 (2) 에 고정한다 (도 2(a)). 고정방법은 제한이 없고, 예를 들어 접착제로 고정해도 된다. 이어서, 도 1 에 기재된 경우와 같이, 정렬홈 (5) 에 광전송매체 (1b) 가 탑재된 정렬부재와 상기 접속부재를, 접속부재의 수납홈 (3) 의 개구부와 정렬부재의 정렬홈 (5) 의 개구부가 마주 보도록 배치한다 (도 2 (b)). 그 후, 광전송매체 (1a) 를 가압부재 (7) 에 의해 눌러 수납홈으로부터 정렬홈으로 이동시킨다. 도 2 에 나타내는 경우, 광전송매체의 고정부위 (8) 가 접속부재에 고정되고, 또 광전송매체 (1a) 의 단부 부분만이 가압부재에 의해 눌리기 때문에, 광전송매체의 단부부분이 정렬홈으로 이동한다 (도 2 (c)). 이어서, 정렬부재의 정렬홈에 탑재된 광전송매체 (1b) 를 도시하는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그 단부를 정렬홈으로 이동시킨 광전송매체 (1a) 의 단부에 맞대어 접속을 완료한다. 마지막으로 도시하지 않은 적절한 수단에 의해 접속부재와 정렬부재를 고정한다. 이로써 본 발명의 광학접속구조가 형성된다 (도 2 (d)).
상기 도 2 에 나타내는 접속방법의 경우, 형성되는 본 발명의 광전송매체의 접속구조는, 광전송매체의 일부가 접속부재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접속부재에서 광전송매체가 탈락되는 일이 없고, 또한 광전송매체의 탄성을 이용하여 광전송매체를 돌출, 수납시킬 수 있기 때문에 구성부품이 적어져 낮은 비용으로 접속부품을 구성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도 2 에 나타내는 접속방법의 경우에 사용하는 관통구멍을 갖는 접속부재 대신에,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단부에 노치부 (9) 를 갖는 접속부재 (2) 를 사용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치부 (9) 에 가압부재 (7) 를 삽입하고, 광전송매체 (1a) 의 단부 부분을 누르고, 접속부재 (2) 의 수납홈 (3) 으로부터 정렬부재 (4) 의 정렬홈 (5) 으로 광전송매체의 단부를 이동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접속부재의 재료 및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재료로는 플라스틱, 세라믹, 금속 등으로 제작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 수납홈의 단면형상은 광섬유 등의 광전송매체를 안정적으로 수납할 수 있으면 되고, 단면이 사각, 반원, V 자형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수납홈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하나이어도 되고 복수 개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그리고 접속부재는, 가압부재를 삽입하는 관통구멍 또는 절결을 갖는 기판과, 광전송매체를 탑재하는 수납홈을 갖는 수납판으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그 수납홈에는 가압부재에 의해 눌려 광전송매체가 이동할 수 있게 수납홈의 일단에 달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도 8 는 그러한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8 (a) 는 접속부재 기판, (b) 는 수납판, (c) 는 수납판에 광섬유를 수납하여 기판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다. 접속부재 기판 (2a) 에는 가압부재를 삽입하는 관통구멍 (6) 이 형성되어 있다. 수납판 (2b) 에는 광섬유를 수납하는 예를 들어 단면 V 자형의 수납홈 (3a) 이 형성되어 있고, 이 수납홈에는 눌려 광섬유가 이동할 수 있게 수납홈의 일단에 달하는 개구부 (6b)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압부재의 경우, 수납홈에 광섬유 (11) 를 수납하고, 수납판 (2b) 을 접속부재 기판 (2a) 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하여 사용하면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정렬부재의 재료 및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재료로는 플라스틱, 세라믹, 금속 등으로 제작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그리고 정렬홈의 단면형상은 광전송매체의 위치맞춤이 가능하면 되고, 단면이 사각, 반원, V 자형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 정렬홈의 수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기 때문에, 하나이어도 되고 복수 개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서 수납홈과 정렬홈의 개수와 정렬홈의 수는 일치시킬 필요는 없고, 또한 광전송매체의 개수와 일치시킬 필요도 없지만, 정렬홈의 수는 수납홈, 광전송매체의 수 이상이면 된다.
그리고 정렬부재는, 기판 위에 정렬홈을 갖는 플라스틱판을 부착한 복합구조인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접속방법이 적용되는 광전송매체는, 광이 갇혀 전송되는 매체라면 어떠한 것이든 상관없고, 재료는 석영, 소다유리, 플라스틱 등 광을 전송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은 없다. 또 형상은 광섬유, 로드렌즈 등 원통형인 것, 또 평면 광도파로 등의 판형인 것이어도 상관없다. 그러나 접속부재의 수납홈에 탑재하는 광전송매체는 수납홈에 탑재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하기 때문에, 따라서 접속부재의 수납홈에 탑재하는 광전송매체로는 광섬유, 로드렌즈, 광도파로 등을 들 수 있고, 광섬유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접속되는 광전송매체는 동종인 것에 한정되지 않고 이종의 광전송매체를 접속시켜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접속부재의 수납홈에 탑재하는 광전송매체로서 광섬유를 사용하고, 그것을 다른 광섬유, 로드렌즈 또는 광도파로와 접속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또한 수납홈과 정렬홈은 광전송매체를 이동시킬 수 있을 정도의 정밀도로 위치맞춤되어 있으면 되지만, 그 때 도 9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렬홈의 개구부폭 (W2) 는 광전송매체의 폭 (W1) 보다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도 9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렬홈의 개구부폭 (W2) 가 수납홈의 개구부폭 (W3) 보다도 큰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로써 광전송매체가 정렬홈 개구부에 접촉하여 파손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각 부품에 고도의 가공 정밀도 및 위치결정 정밀도가 없어도 간단한 접속공정으로 광전송매체를 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접속부재의 관통구멍 또는 노치부에 삽입하여 본 발명의 광전송접속부재를 구성하는 상기 가압부재는, 그 재료, 형상 등 광전송매체를 파손시키지 않는 것인 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플라스틱, 금속, 고무계의 재료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 광전송매체와의 접촉부품에만 고무계 재료를 사용하고 다른 부분은 플라스틱으로 구성한 것 등, 복합구조를 갖는 것이어도 상관없다. 또 접속부재의 관통구멍 또는 노치부에 삽입되는 가압부재의 선단부를 접착제를 사용해서 광전송매체와 접착한 상태로 해도 된다. 그리고 접속부재의 관통구멍 또는 노치부에 삽입되는 가압부재의 선단부 (가압면) 에는 수납홈을 갖는 수납판을 접착제 등으로 고정한 것이어도 된다. 이들 가압부재를 사용함으로써 기계적으로 간단하게 광전송부품을 정렬홈에 위치맞춤·고정할 수 있게 되어, 광전송매체의 접속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도 1 및 도 2 에 있어서는, 광전송매체를 접속부재의 수납홈으로부터 정렬부재의 정렬홈으로 이동시키는 수단으로서 가압부재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광전송매체를 접속부재의 수납홈으로부터 정렬부재의 정렬홈으로 이동시키는 수단으로는 다른 수단을 사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하기에 서술하는 자력을 이용하는 방법이어도 되고, 광전송매체를 물리적으로 누르거나 끌어당기거나 함으로써 이동시키는 방법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도 10 은 자력을 이용하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다. 즉, 광전송매체 (1) 의 단부 근방을 금속 그 밖의 자성체 피막 (12) 으로 덮고 상기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부재 (2) 의 수납홈 (3) 에 탑재하여, 수납홈의 개구부가 정렬부재 (4) 의 정렬홈 (5) 의 개구부와 마주 보도록 배치한 후, 자계를 가함으로써 자력 (13) 에 의해 광전송매체의 단부를 정렬부재의 정렬홈으로 끌어당겨 광전송매체를 정렬홈으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에서 접속부재와 정렬부재는 최종적으로 서로 고정되지만, 고정하는 시기 및 고정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영구접속인 경우에는 접속부재와 정렬부재를 접착제 등으로 접착하여 고정해도 된다. 그 때, 고정용 접착제로는 어떠한 것이든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우레탄계, 아크릴계, 에폭시계, 나일론계, 페놀계, 폴리이미드계, 비닐계, 실리콘계, 고무계, 불소화에폭시계, 불소화아크릴계, 불소화폴리이미드계 등 각종 감압 접착제 (점착제), 열가소성 접착제, 열경화성 접착제, 자외선 (UV) 경화성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작업 용이성면에서는 UV 경화성 접착제 및 열가소성 접착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경우, 기계적인 고정방법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11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부재 (2) 에 래치 (14), 정렬부재 (4) 에 래치 걸어맞춤부 (15) 를 형성하거나 또는 도 11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부재 (2) 에 래치 걸어맞춤부 (15), 정렬부재 (4) 에 래치 (14) 를 형성하고 그것을 걸어맞춰 고정해도 된다. 래치 및 래치 걸어맞춤부의 형상 및 걸어맞춤 방법은 공지된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래치를 접속부재 또는 정렬부재와 일체로 성형해도 되고, 또는 래치만 다른 재료로 제작하여 접속부재 또는 정렬부재에 장착하는 형태로 해도 된다.
또, 상기 경우에 대해서는 상부방향으로부터 접속부재를 정렬부재에 장착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반대로 하부방향 또는 가로방향으로부터 장착해도 별다른 문제는 없다.
광전송매체를 맞댈 때에는, 광전송매체 단면에 가압력이 가해지도록 하면 되지만, 가압력은 기존의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든 상관없다. 예를 들어, 광전송매체가 이동하도록 그 중심축 방향으로 직접 가압력을 가해도 되고, 또 광전송매체를 고정한 접속부재에 가압력을 가하여 접속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광전송매체의 중심축 방향으로 간접적으로 가압력을 가해도 된다. 또한 가압력은 접속부재 또는 정렬부재에 설치한 판스프링이나 수지 등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접속되는 광전송매체 사이에 굴절률 정합제를 형성하여 광전송매체의 단면들을 맞대는 것도 가능하다. 굴절률 정합제에 관해 그 재료, 형태, 설치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재료로는 광섬유의 굴절률, 재질에 따라 적절히 재료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실리콘 오일, 실리콘 그리스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 굴절률 정합제의 형태는 액상이어도 되고 고체이어도 되며, 오일상, 그리스상, 젤상, 필름상이어도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광전송매체의 접속방법의 다른 변형 구체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 및 도 13 은 본 발명 광전송매체의 접속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2개의 접속부재에 탑재된 광전송매체간을 접속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 12 에서는 2개의 접속부재 (2a, 2b) 의 각 수납홈 (3a, 3b) 에 각각 광전송매체 (1a, 1b) 를 탑재하여, 도 2 에서와 마찬가지로 고정부위 (8a, 8b) 에서 접속부재 (2) 에 고정한다. 이어서, 광전송매체가 탑재된 각 접속부재 (2a, 2b) 와 정렬부재 (4) 를 접속부재의 수납홈 (3a, 3b) 의 개구부와 정렬부재의 정렬홈 (5) 의 개구부가 서로 마주 보도록 배치한다 (도 12 (a)). 그 후, 각 광전송매체 (1a, 1b) 를 가압부재 (7a, 7b) 로 눌러 수납홈으로부터 각 광전송매체의 단부를 정렬홈으로 이동시킨다 (도 12 (b)). 이어서, 한 쪽의 접속부재 (도면에서는 2b) 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정렬부재의 정렬홈에 탑재된 광전송매체 (도면에서는 1(b)) 의 단부를 광전송매체 (1a) 의 단부에 맞대어 접속을 완료한다. 마지막으로, 도시하지 않은 적절한 수단에 의해 접속부재와 정렬부재를 고정한다. 이로써 본 발명의 광학접속구조가 형성된다 (도 12 (c)).
도 13 에서는,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접속부재에 탑재된 광전송매체간을 접속하는데, 정렬부재의 정렬홈의 일부에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그 관통구멍에서 광전송매체가 맞대어져 광학 접속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즉, 정렬부재 (4) 의 정렬홈 (5) 의 중앙부에는 관통구멍을 갖는 관통구멍부재 (16) 가 형성되어 있다. 먼저 2개의 접속부재 (2a, 2b) 의 각 수납홈 (3a, 3b) 에 각각 광전송매체 (1a, 1b) 를 탑재하고 고정부위 (8a, 8b) 에서 접속부재 (2a, 2b) 에 고정한다. 이어서, 광전송매체가 탑재된 각 접속부재 (2a, 2b) 와 정렬부재 (4) 를 접속부재의 수납홈 (3a, 3b) 의 개구부와 정렬부재의 정렬홈 (5) 의 개구부가 서로 마주 보도록 배치한다 (도 13 (a)). 그 후, 각 광전송매체 (3a, 3b) 의 단부 부분을 가압부재 (7a, 7b) 로 눌러 각 광전송매체의 단부를 수납홈으로부터 정렬홈으로 이동시킨다 (도 13 (b)). 이어서, 각 접속부재 (2a, 2b) 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켜 정렬부재의 정렬홈에 탑재된 각 광전송매체의 단부를 관통구멍부재 (16) 의 관통구멍 내부에서 맞대어 접속을 완료한다. 마지막으로, 도시하지 않은 적절한 수단에 의해 접속부재와 정렬부재를 고정한다. 이로써 본 발명의 광학접속구조가 형성된다 (도 13 (c)).
도 14 내지 도 17 은 본 발명의 광전송매체의 접속방법의 또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다른 광전송매체를 접속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14 는 광섬유와 광도파로를 접속하는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5 는 도 14 에 나타내는 접속방법으로 형성된 광학접속구조 (도 14 (d)) 의 사시도이다. 먼저 접속부재 (2) 의 수납홈 (3) 에 광섬유 (11) 를 탑재하고, 예를 들어 접착제를 사용하여 광섬유의 고정부위 (8) 를 수납홈에 고정한다. 한편 광도파로 기판 (17) 에 형성한 광도파로 (18) 를 정렬부재 (4) 의 정렬홈 (5) 과 위치맞춤된 상태로 한다 (도 14 (a)). 이들 접속부재 (2) 와 정렬부재 (4) 를 수납홈 개구부와 정렬홈 개구부가 마주보도록 배치하고 (도 14 (b)), 가압부재 (7) 에 의해 광섬유의 단부를 수납홈 (3) 로부터 정렬홈 (5) 으로 이동시킨다 (도 14 (c)). 이어서, 접속부재를 이동시켜 광섬유의 단부를 정렬홈 (5) 에 위치맞춤되어 있는 광도파로 (18) 와 맞대어 접속시키고 (도 14 (d)), 최종적으로 적절한 수단에 의해 그것들을 고정하여 광섬유와 광도파로의 광학접속구조가 형성된다 (도 15).
또 도 16 에서는, 정렬홈 (5) 을 갖는 정렬부재 (4) 가 광도파로 기판 (17) 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16 (a)). 이 도면의 경우, 정렬홈 (5) 을 형성한 정렬부재 (4) 위에 접속부재 (2) 를 탑재하고, 예를 들어 접착제를 사용해 광섬유의 고정부위를 수납홈에 고정한다. 이어서, 가압부재 (7) 에 의해 광섬유 (11) 의 선단부분을 정렬홈 (5) 으로 이동시켜 적절한 수단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광섬유 (11) 와 광도파로 (18) 의 광학접속구조가 형성된다 (도 16 (b)).
도 17 은 광섬유와 로드렌즈를 접속하는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접속부재 (2) 의 수납홈 (3) 에 광섬유 (11) 를 탑재하고, 예를 들어 접착제를 사용하여 광섬유의 고정부위 (8) 를 수납홈에 고정한다. 한편, 로드렌즈 (19) 를 정렬부재 (4) 위에 고정하여, 로드렌즈가 정렬부재의 정렬홈 (5) 과 위치맞춤된 상태로 한다 (도 17 (a)). 상기 접속부재 (2) 와 정렬부재 (4) 를 수납홈 개구부와 정렬홈 개구부가 마주 보도록 배치하여 (도 17 (b)), 가압부재 (7) 에 의해 광섬유의 단부를 수납홈 (3) 으로부터 정렬홈 (5) 으로 이동시킨다 (도 17 (c)). 이어서, 접속부재를 이동시켜 광섬유 (11) 의 단부를 정렬홈 (5) 에 위치맞춤된 로드렌즈 (19) 와 맞대어 접속시키고 (도 17 (d)), 최종적으로 적절한 수단에 의해 그들을 고정하여 광섬유와 로드렌즈의 광전송접속구조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광학접속방법은 또한, 광모듈에 설치되는 광전송매체와 다른 광모듈이나, 프린트 기판에 설치되어 있는 광전송매체와 접속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도 18 (a) 는 광모듈에서 인출된 광섬유와 프린트 기판 상에 설치된 광도파로의 접속에 본 발명의 광학접속방법이 적용된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8 (b) 는 그 일부 파쇄 측면도이다. 도면에서 광모듈 (20) 에서 인출된 복수 (도면에서는 4개) 의 광섬유 (11) 를 접속부재 (2) 의 수납홈에 탑재하고, 그 접속부재 (2) 를 프린트 기판 (21) 상에 형성한 정렬부재 (4) 위에 수납홈의 개구부가 정렬부재의 정렬홈 (5) 의 개구부와 마주 향하도록 장착한다. 이어서 가압부재 (7) 에 의해 광섬유 (11) 의 단부를 접속부재 (2) 의 수납홈으로부터 정렬부재 (4) 의 정렬홈 (5) 으로 이동시키고, 그리고 광섬유를 프린트 기판 (21) 위에 탑재된 광도파로 기판 (17) 에 형성한 광도파로 (18) 와 맞대어 광전송접속구조를 형성한다. 이로써, 정렬부재 (4) 상에서 광모듈 (20) 측의 광섬유 (11) 와 프린트 기판 (21) 측의 광도파로 (18a) 가 접속된다. 이 경우, 접속부재는 광모듈 등의 다른 부품과 일체로 되어 있어도 상관없으며, 또 도 18 에서의 광섬유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부분을 모두 접속부재로 덮어 보호한 구조로 해도 상관없다.
또 본 발명의 광학접속방법에 사용하는 접속부재의 수납홈과 정렬부재의 정렬홈의 위치맞춤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직접적으로 홈들의 위치를 맞추는 방법이나 접속부재와 정렬부재의 외형의 위치를 맞추어 간접적으로 홈들의 위치를 맞추는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9∼도 22 는 위치맞춤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정렬부재 (4) 의 정렬홈 (5) 에 위치맞춤 부재 (22) 를 장착하고 (도 19), 광전송매체 (1) 를 탑재한 접속부재 (2) 를 정렬부재 (4) 상에 장착할 때, 수납홈 (3) 에 위치맞춤 부재 (22) 를 끼워 넣음으로써 수납홈 (3) 의 개구부와 정렬홈 (5) 의 개구부의 위치를 맞출 수 있다 (도 20 (a), (b)). 반대로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전송매체 (1) 를 탑재한 접속부재 (2) 의 수납홈 (3) 에 위치맞춤 부재 (22) 를 장착하고 (도 21) 접속부재 (2) 를 정렬부재 (4) 상에 장착할 때, 정렬홈 (5) 에 위치맞춤 부재 (22) 를 끼워 넣음으로써 수납홈 (3) 의 개구부와 정렬홈 (5) 의 개구부의 위치를 맞출 수 있다 (도 22 (a), (b)). 그리고, 예를 들어 도 23 (a) 및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부재 (2) 에 위치맞춤 부재 (23) 를 형성하고, 정렬부재 (4) 에 위치맞춤 구멍 (24) 을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접속부재를 정렬부재 상에 탑재할 때 위치맞춤 부재 (23) 를 위치맞춤 구멍 (24) 에 삽입함으로써 수납홈 (3) 의 개구부와 정렬홈 (5) 의 개구부의 위치를 맞출 수 있다. 또 도 23 에 나타내는 경우에는 정렬부재 (4) 상에 광도파로 기판 (17) 이 탑재되고, 광도파로 (18) 가 정렬홈 (5) 에 위치맞춤되어 있다.
도 24 는 본 발명의 광학접속구조를 사용한 광회로부품의 개략 구성도이다. 기판 (25) 상에 3개의 광부품 (28) 이 광전송매체 (1) 에 의해 본 발명의 광학접속구조 (10) 를 통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다. 이들 광학접속구조 (10) 를 병렬로 복수 배치함으로써 컴팩트한 회로 설계가 가능해진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광전송매체의 접속방법은, 광전송매체를 접속부재에 탑재하는 공정, 광전송매체를 탑재한 접속부재와 정렬홈을 갖는 정렬부재를 그 접속부재에 탑재된 광전송매체와 정렬부재의 정렬홈의 개구부가 마주 보도록 배치하는 공정, 그 광전송매체의 적어도 광학접속해야 할 단부를 정렬홈으로 이동시키는 공정, 이동시킨 광전송매체의 단부를 다른 광전송매체의 단부와 맞대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경우, 광전송매체를 탑재한 접속부재는 수납홈을 갖고, 그 수납홈에 광전송매체가 탑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접속방법에 있어서, 광전송매체 접속부품으로서, 광전송매체가 탑재되는 부분에 개구된 관통구멍을 갖는 접속부재와, 그 관통구멍에 삽입된 광전송매체를 누르기 위한 가압부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그리고 광전송매체가 탑재되었을 때, 광전송매체의 적어도 단부가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된 가압부재를 누름으로써 밀려나온다. 이 경우, 접속부재에는 광전송매체를 탑재하는 수납홈을 갖고, 관통구멍이 수납홈에 개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속부재는 가압부재를 삽입하는 관통구멍 또는 절결을 갖는 기판과, 광전송매체를 탑재하는 수납홈을 갖는 수납판으로 이루어지고, 그 수납홈에는 가압부재에 의해 눌려 광전송매체가 이동할 수 있게 수납홈의 일단에 달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또 가압부재에는 그 가압면에 광전송 매체가 수납되는 홈을 갖는 수납판이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광전송매체의 광학접속구조는 상기 접속방법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서, 정렬홈을 갖는 정렬부재와, 그 정렬홈의 개구를 마주 보도록 광전송매체를 탑재한 접속부재와, 적어도 광학접속해야 할 단부가 정렬부재의 그 정렬홈에 수용된 그 광전송매체와, 상기 광전송매체와 광학접속된 다른 광전송매체로 이루어지고, 정렬홈으로 이동된 광전송매체의 단부가 정렬홈 내 또는 정렬홈 단부에서 다른 광전송매체의 단부와 맞대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속부재는 광전송매체가 탑재되는 수납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서 정렬홈 및 수납홈은 각각 복수 존재하고 있어도 되고, 그로 인해 복수의 광전송매체를 서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접속구조에 있어서, 수납홈을 갖는 접속부재로서, 수납홈에 개구된 관통구멍을 갖고, 그 관통구멍에 가압부재가 삽입되어 있으며, 가압부재에 의해 광전송매체의 적어도 광학접속해야 할 단부가 정렬홈으로 이동된 것인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정렬홈의 개구부 폭은 수납홈의 개구부 폭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접속방법을 이용하여 얻어지는 광섬유 등의 광접속구조나 광커넥터 등의 제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광학접속에 사용되는 V 자 홈 등의 정렬홈을 갖는 정렬부재와, 그 상방에 광섬유 등을 탑재하는 접속부재를 사용하며, 특히 광섬유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홈을 구비한 것, 또는 탑재된 광섬유 등을 정렬홈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단, 특히 광섬유 등을 밀어내기 위한 가압수단을 구비한 것을 사용함으로써 광섬유 등을 접속하기 때문에, 접속된 2개의 광섬유 등에는 접속부에서 상하의 단차가 발생한다는 특징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이 특징을 구비하고 있는 한, 본 발명을 실시하여 얻어지는 제품이라 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광전송매체의 광학접속방법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상방으로부터 접속부재를 정렬부재에 설치하여 광전송매체를 광학접속할 수 있고, 따라서 프린트배선 기판 상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접속작업도 상방향으로부터 부담없이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효율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따라서 제품수율이 향상된다. 그리고 위치맞춤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특별한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아 부품점수를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낮은 비용으로 광학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접속부재가 수납홈을 갖는 경우, 광소자, 광회로 패키지, 광회로 장치 등의 단부에서 인출된 광섬유를 갖는 구조체를 프린트 기판 (예를 들어, 마더보드 등) 위나 장치 내에서 광섬유를 접속할 때 광전송매체가 수납홈으로 보호되고 있기 때문에 광전송매체가 다른 부재에 접촉하여 파손 또는 손상되는 일이 없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광전송매체가 광섬유, 특히 피복을 제거한 광섬유 소선간을 광학접속하는 경우, 축맞춤하여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재 (플러그) 의 정렬부재에 대한 고정에 있어서, 광섬유를 V 홈이나 관통구멍에 설치할 때 광섬유를 파손 또는 손상시킬 우려가 없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광학접속방법은 상방으로부터 접속부재를 정렬부재에 설치하여 광전송매체를 광학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프린트배선 기판 상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접속할 때 광전송매체가 수납홈으로 보호되기 때문에 광전송매체가 다른 부재에 접촉하여 파손 또는 손상될 우려가 없어진다. 또한 광전송매체가 광섬유, 특히 피복을 제거한 광섬유 소선간을 광학접속하는 경우, 축맞춤하여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재 (플러그) 의 정렬부재에 고정할 때, 광섬유를 V 홈이나 관통구멍에 설치할 때 광섬유를 파손 또는 손상시킬 우려가 없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인 실시예를 이용해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25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면이 0.26㎜×0.26㎜ 인 수납홈 (32) 및 그 홈을 관통하는 1㎜×8㎜ 의 직사각형 관통구멍 (30) 을 갖는 아크릴계 수지로 제작한 래치 (39) 를 갖는 접속부재 (31) (사이즈: 5㎜×12㎜×3㎜) 2세트, 및 볼록형 단부 (35a) 에 두께 1㎜ 의 실리콘 고무를 갖는 가압 지그 (35) 2세트와, 도 25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면이 한 변 0.3㎜ 인 정삼각형의 V 자형 정렬홈 (34) 을 갖는 정렬부재 (33) (사이즈 5㎜×28㎜×3㎜) 하나를 준비하였다.
그리고, 도 26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 지그 (35) 를 접속부재 (31) 의 직사각형 관통구멍에 삽입하고 발포 우레탄 수지 (36) 에 의해 접속부재 (31) 에 고정하여 광전송접속부재를 형성하였다. 그 후, 광섬유 심선 (37) (후루카와덴코사 제조, 250㎛ 직경) 의 피복을 단부에서부터 15㎜ 제거하고, 피복 단부에서 10㎜ 인 곳에서 광섬유 소선 (38 ; 125㎛ 직경) 을 커트하고, 그리고 접속부재 (31) 의 수납홈 (32) 내에 이들 광섬유 심선 (37) 을 탑재하여 실리콘 점착제에 의해 가압 지그 (35) 의 볼록형 단부 (35a) 에 고정하였다 (도 26 (a)).
접속작업은 다음과 같이 하여 실시하였다. 도 2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렬부재 (33) 상의 정렬홈 (34) 과 상기 접속부재 (31) 의 수납홈 (32) 의 위치를 맞추어 정렬부재 (33) 에 장착하였다 (도 27 (a)). 다음으로, 가압 지그 (35) 에 의해 아래쪽으로 하중을 가하였다. 이로써 발포 우레탄 수지 (36) 가 변형되어, 광섬유 심선 (37a, 37b) 및 광섬유 소선 (38a, 38b) 이 함께 정렬홈 (34) 에 밀려들어가 2개의 접속부재 (31) 에 장착된 광섬유 소선 단면이 위치맞춤되었다 (도 27 (b)). 다음으로 2개의 접속부재 (31) 끼리를 맞댐으로써 광섬유 소선 (38a, 38b) 도 동시에 맞댈 수 있어, 본 발명의 광학접속구조가 형성되었다 (도 27 (c), 도 26 (b)).
얻어진 광학접속구조는 상방으로부터 접속부재를 장착함으로써 형성되기 때문에 기판 상에서의 작업 공간을 절약할 수 있었다. 또한, 광섬유가 수납홈에 격납되어 있는 점에서, 접속부재를 정렬부재에 접착할 때 광섬유가 파손되지 않고 용이하게 광섬유끼리를 접속할 수 있었다. 그리고 아크릴계 수지 등의 열수축 변형이 큰 수지에서도 충분히 가공·위치맞춤이 가능해졌다.
그 후, 접속점에서 접속손실을 측정하였더니 0.2dB 이하로, 광학접속구조로서 충분히 사용 가능한 것이었다.
실시예 2
도 28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면이 0.26㎜×0.26㎜ 인 수납홈 (32) 및 그 홈을 관통하는 1㎜×3㎜ 의 직사각형 관통구멍 (30) 을 갖는 아크릴계 수지로 제작한 래치 (39) 를 갖는 접속부재 (31) (사이즈: 5㎜×12㎜×3㎜) 및 볼록형 단부 (35a) 에 두께 0.5㎜ 의 실리콘 고무 돌기물을 갖는 가압 지그 (35) 와, 도 28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단면이 한 변 0.4㎜ 인 정삼각형의 V 자형 정렬홈 (34) 을 갖는 래치 걸어맞춤부를 형성한 정렬부재 (33) (사이즈 5㎜×28㎜×3㎜) 를 각각 1세트 준비하였다. 그리고 접속부재 (31) 와 가압 지그 (35) 를 발포 우레탄 수지 (36) 로 고정하였다. 그 후, 광섬유 심선 (37a) (후루카와덴코사 제조, 250㎛ 직경) 의 피복을 단부에서부터 15㎜ 제거하고, 피복 단부에서 10㎜ 인 곳에서 광섬유 소선 (38a ; 125㎛ 직경) 을 커트하고, 접속부재 (31) 의 수납홈 (32) 내에 광섬유 심선 (37a) 을 설치하여, 아크릴계 접착제에 의해 광섬유 심선의 피복부 (37a) 를 접속부재에 고정하였다.
접속작업은 다음과 같이 하여 실시하였다. 도 2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피복 제거, 커트한 광섬유 심선 (37b) 을 정렬부재 (33) 의 정렬홈 (34) 내에 탑재하고, 상기 접속부재와 동일한 구조의 래치를 형성한 고정부재 (40) 로 고정하였다 (도 29 (a)). 고정은 접착제에 의해 광섬유 심선의 일부 (40a) 를 고정부재에 접착하여 실행하였다. 이어서, 정렬부재 (33) 상의 정렬홈 (34) 과 접착부재 (31) 의 수납홈 (32) 의 위치를 맞추어 접속부재 (31) 를 정렬부재 (33) 에 장착하였다 (도 29 (b)). 그 후, 가압 지그 (35) 에 의해 아래쪽으로 하중을 가하였다. 이로써 발포 우레탄 수지 (36) 가 변형되어, 광섬유 소선 (38a) 이 정렬홈에 밀려들어가 정렬홈에서 접속부재 (31) 에 장착된 광섬유 소선 (38a) 의 단면과 정렬부재의 정렬홈에 탑재된 광섬유 소선 (38b) 이 위치맞춤되었다. 다음으로 고정부재 (40) 를 이동시킴으로써 광섬유 소선 (38a, 38b) 을 맞대어 본 발명의 광학접속구조가 형성되었다 (도 29 (c)).
얻어진 광학접속구조는 상방으로부터 접속부재를 장착함으로써 형성되기 때문에, 기판 상에서의 작업공간을 절약할 수 있었다. 또한 광섬유가 수납홈에 격납되어 있는 점에서, 접속부재를 정렬부재에 접착할 때 광섬유가 파손되지 않고, 용이하게 광섬유를 접속할 수 있었다. 또한 아크릴계 수지 등의 열수축 변형이 큰 수지에서도 충분히 가공, 위치맞춤이 가능해졌다.
그 후 접속점에서 접속손실을 측정하였더니 0.2dB 이하로, 광학접속구조로서 충분히 사용 가능하였다.
실시예 3
도 30 (a) 에 나타내는 구조의 1㎜×3㎜ 의 직사각형 관통구멍 (42) 을 갖는 아크릴계 수지로 제작한 래치 (43) 를 갖는 접속부재 기판 (41) (사이즈: 5㎜×12㎜×2.5㎜) 및 도 30 (b) 에 나타내는 구조의 V 자형 홈 (45) 을 갖고, 단부에서부터 길이 7㎜, 폭 0.2㎜ 로 관통되고 있는 개구부 (46) 를 갖는 광섬유 수납판 (44) 을 준비하였다. 이어서, 광섬유 수납판 (44) 의 V 자형 홈 (45) 에 실시예 2 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 피복 제거, 커트한 광섬유 심선의 광섬유 소선 (38a) 을 장착하고, 그 후 접속부재 기판 (41) 에 광섬유 수납판 (44) 을 접착제로 고정함으로써 도 30 (c) 에 나타내는 구조의 접속부재를 제작하였다. 한편, 정렬부재로서 단면이 한 변 0.26㎜ 인 정삼각형의 V 자형 정렬홈을 갖는 래치 걸어맞춤부를 형성한 것 (사이즈: 5㎜×28㎜×3㎜) 을 준비하고, 이 정렬부재에 피복 제거, 커트한 광섬유 심선을 탑재하였다. 그 후, 실시예 2 와 동일한 가압부재를 사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접속작업하여 본 발명의 광학접속구조를 형성하였다.
얻어진 광학접속구조는 상방으로부터 접속부재를 장착함으로써 형성되기 때문에, 기판 상에서의 작업 공간을 절약할 수 있었다. 또한 광섬유가 수납홈에 격납되는 점에서, 접속부재를 정렬부재에 장착할 때 광섬유가 파손되는 일은 없었다. 또 V 자형 홈을 갖는 광섬유 수납판을 사용함으로써 실시예 1 과 동일한 개구폭의 정렬홈에도 용이하게 광섬유를 탑재시켜 광섬유를 접속할 수 있었다. 또한 아크릴계 수지 등 열수축 변형이 큰 수지에서도 충분히 가공, 위치맞춤이 가능해졌다.
그 후, 접속점에서 접속손실을 측정하였더니 0.3dB 이하로, 광학접속구조로서 충분히 사용 가능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접속부재, 가압부재를 제작하였다. 한편 도 3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렬부재 (50) 로는, 래치 걸어맞춤부 (52) 를 형성한 아크릴수지제 기판 (51) 에 도 3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사이즈 5㎜×10㎜ 로 가공한 단면 V 자형의 정렬홈 (54) 을 갖는 4심 플라스틱 V 홈 기판 (53) (250㎛φ 싱글모드용; 닛신가세이사 제조) 를 고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도 32). 광섬유의 접속에는 4개의 정렬홈 중 하나만 사용하였다.
접속작업은 상기 접속부재, 가압부재 및 정렬부재에 의해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실시하였다. 즉, 실시예 2 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피복 제거, 커트한 광섬유 심선 (37b) 을 정렬부재 (50) 의 정렬홈 (54) 내에 탑재하여, 상기 접속부재와 동일한 구조의 래치를 형성한 고정부재 (40) 에 의해 고정하였다 (도 33 (a)). 이어서, 광섬유 심선 (37a) 을 수납홈에 탑재한 접속부재 (31) 를 정렬부재 (50) 에 탑재하였다 (도 33 (b)). 그 후, 가압 지그 (35) 에 의해 아래쪽으로 하중을 가하였다. 이로써 발포 우레탄 수지 (36) 가 변형하여, 광섬유 소선 (38a) 이 정렬홈 (54) 에 밀려들어가고, 정렬홈에서 접속부재 (31) 에 장착된 광섬유 소선 (38a) 의 단면과 정렬부재의 정렬홈에 탑재된 광섬유 소선 (38b) 이 위치맞춤된다. 다음으로 고정부재 (40) 를 이동시킴으로써 광섬유 소선 (38a, 38b) 을 맞대어 본 발명의 광학접속구조가 형성되었다 (도 33 (c)).
얻어진 광학접속구조는 상방으로부터 접속부재를 장착함으로써 형성되기 때문에, 기판 상에서의 작업 공간을 절약할 수 있었다. 또한, 광섬유가 수납홈에 격납되는 점에서, 접속부재를 정렬부재에 장착할 때 광섬유가 파손되는 일은 없었다. 또 아크릴계 수지 등의 열수축 변형이 큰 수지에서도 충분히 가공, 위치맞춤이 가능해졌다.
그 후, 접속점에서 접속손실을 측정하였더니 0.2dB 이하로, 광학접속구조로서 충분히 사용 가능하였다.
실시예 5
도 3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면이 1.1mm×0.27㎜ 인 직사각형 수납홈 (61) 및 그 홈을 관통하는 1㎜×3㎜ 의 직사각형 관통구멍 (62) 을 갖는 아크릴계 수지로 제작한 래치 (63) 를 갖는 접속부재 (60) (사이즈: 5㎜×12㎜×2.5㎜)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 와 동일하게 제작한 가압부재 및 정렬부재를 사용하였다. 그 후, 4심 광섬유 테이프 심선 (후루카와덴코사 제조, 250㎛ 직경) 의 피복을 단부에서부터 15㎜ 제거하고, 피복 단부에서 10㎜ 인 곳에서 광섬유 소선을 커트하고, 접속부재의 수납홈 내에 4심 광섬유 테이프 심선 (64a) 을 설치하여 아크릴계 접착제에 의해 광섬유 테이프 심선의 피복부를 접속부재에 고정하였다.
접속작업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피복제거, 커트한 4심 광섬유 테이프 심선을 고정부재에 의해 정렬부재에 장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본 발명의 광학접속구조가 형성되었다.
얻어진 광학접속구조는 상방으로부터 접속부재를 장착함으로써 형성되기 때문에, 기판 상에서의 작업 공간을 절약할 수 있었다. 또한, 광섬유가 수납홈에 격납되는 점에서, 접속부재를 정렬부재에 장착할 때 광섬유가 파손되는 일은 없었다. 또한 아크릴계 수지 등 열수축 변형이 큰 수지에서도 충분히 가공, 위치맞춤이 가능해졌다.
그 후, 접속점에서 접속손실을 측정하였더니 4심의 평균이 0.2dB 이하로, 다심 광섬유에서의 광학접속구조로서 충분히 사용 가능하였다.
실시예 6
도 3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부재 (35) 의 하단 가압부에, 도 31 에 나타내는 것과 동일한 구조의 단면 V 자형의 V 홈을 갖는 4심 플라스틱 V 홈 기판 (65) 을 접착제로 고정하였다. 또 실시예 5 와 동일한 정렬부재 상에 광섬유를 장착한 것을 준비하였다. 접속작업은, 접속시에 가압부재의 하단에 형성한 플라스틱 V 홈 기판에 의해 정렬부재 상의 정렬홈 (54) 에 광섬유 소선을 밀어넣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도 36 은 그 공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먼저, 접속부재 (31) 의 관통구멍에 삽입한 상기 가압 지그 (35) 의 하단에 고정한 4심 플라스틱 V 홈 기판 (65) 의 V 홈에 미리 4심 광섬유 테이프 심선 (64a) 의 광섬유 소선 (38a) 을 장착하였다 (도 36 (a)). 이어서, 접속부재를 상방으로부터 정렬부재 위에 탑재하였다 (도 36 (b)). 그 후, 가압 지그 (35) 에 의해 아래쪽으로 하중을 가하였다. 이로써 발포 우레탄 수지 (36) 가 변형되어, 광섬유 심선 (38a) 이 정렬부재의 4심 플라스틱 V 홈 기판 (53) 에 형성된 정렬홈 (54) 에 밀려들어가 정렬홈에서 접속부재 (31) 에 장착된 광섬유 소선 (38a) 의 단면과 정렬부재의 정렬홈에 탑재된 4심 광섬유 테이프 심선 (64b) 의 광섬유 소선 (38b) 이 위치맞춤되었다. 다음으로 고정부재 (40) 를 이동시킴으로써 광섬유 소선 (38a, 38b) 을 맞대어 본 발명의 광학접속구조가 형성되었다 (도 36 (c)).
얻어진 광학접속구조는 상방으로부터 접속부재를 장착함으로써 형성되기 때문에, 기판상에서의 작업 공간을 절약할 수 있었다. 또 광섬유가 수납홈에 격납되고 다시 수납홈에 광섬유 소선이 장착되어 있는 점에서, 접속부재를 정렬부재에 장착할 때 광섬유가 파손되는 일은 없었다. 또한 가압부재의 하단에 형성한 플라스틱 V 홈 기판에 광섬유 소선이 장착되어 있는 점에서, 광섬유 소선 피치가 정렬홈 피치와 일치하여 다심의 광섬유를 안전하게 정렬홈으로 밀어넣을 수 있었다. 또한 아크릴계 수지 등의 열수축 변형이 큰 수지에서도 충분히 가공, 위치맞춤이 가능해졌다.
그 후, 접속점에서 접속손실을 측정하였더니 4심의 평균이 0.2dB 이하로, 다심 광섬유에서의 광학접속구조로서 충분히 사용 가능하였다.
실시예 7
도 3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부재 (35) 로서, 접속시키는 광섬유 심선의 양자를 함께 정렬홈에 고정할 수 있는 사이즈의 가압부를 하단에 갖는 것을 사용하여, 접속부재에 장착되어 있는 광섬유를 정렬부재의 정렬홈으로 밀어 넣음과 함께 타방의 광섬유를 정렬홈 속에 고정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조작하였다. 도 37 은 그 공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즉, 접속부재 (31) 의 수납홈 내에 피복제거, 커트한 광섬유 심선 (37a) 을 고정하였다. 한편, 피복제거, 커트한 광섬유 심선 (37b) 을 정렬부재 (33) 의 정렬홈 (34) 내에 탑재하고 고정부재 (40) 에 의해 고정하였다 (도 37 (a)). 이어서, 정렬부재 (33) 상의 정렬홈 (34) 에 탑재된 광섬유 심선 (37b) 의 광섬유 소선 (38b) 과 접속부재 (31) 의 수납홈에 수납된 광섬유 심선 (37a) 의 광섬유 소선 (38a) 이 접합하도록 위치맞춤하여 접속부재 (31) 를 정렬부재 (33) 에 탑재하였다 (도 37 (b)). 그 후, 가압 지그 (35) 에 의해 아래쪽으로 하중을 가함과 함께 정렬부재의 정렬홈에 탑재된 광섬유 소선 (38b) 을 맞대었다. 이로써 발포 우레탄 수지 (36) 가 변형하여 광섬유 소선 (38a) 이 정렬홈으로 밀려들어가고, 정렬홈에서 광섬유 소선 (38a) 과 광섬유 소선 (38b) 이 맞대어져 본 발명의 광학접속구조가 형성되었다 (도 37 (c)).
얻어진 광학접속구조는 상방으로부터 접속부재를 장착함으로써 형성되기 때문에, 기판 상에서의 작업 공간을 절약할 수 있었다. 또, 광섬유가 수납홈에 격납되는 점에서, 접속부재를 정렬부재에 장착할 때 광섬유가 파손되는 일은 없었다. 또한 아크릴계 수지 등 열수축 변형이 큰 수지에서도 충분히 가공, 위치맞춤이 가능해졌다.
그 후, 접속점에서 접속손실을 측정하였더니 0.2dB 이하로, 다심 광섬유에서의 광학접속구조로서 충분히 사용 가능하였다.
실시예 8
도 38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1㎜×8㎜ 의 직사각형 관통구멍 (30) 을 갖는 ABS 수지로 제작한 래치 (39) 를 갖는 접속부재 (31) (사이즈: 5㎜×12㎜×3㎜) 2개 및 볼록형 단부 (35a) 에 두께 1㎜ 의 실리콘 고무를 갖는 가압 지그 (35) 2개와, 도 38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면이 한 변 0.3㎜ 인 정삼각형의 V 자형 정렬홈 (34) 을 갖는 정렬부재 (33) (사이즈 5㎜×28㎜×3㎜) 하나를 준비하였다.
그리고, 도 39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 지그 (35) 를 접속부재 (31) 의 직사각형 관통구멍에 삽입하고 발포 우레탄 수지 (36) 에 의해 접속부재 (31) 에 고정하여 광전송접속부재를 형성하였다. 그 후, 광섬유 심선 (37) (후루카와덴코사 제조, 250㎛ 직경) 의 피복을 단부에서부터 15㎜ 제거하고, 피복 단부에서 10㎜ 인 곳에서 광섬유 소선 (38) (125㎛ 직경) 을 커트하고, 그리고 접속부재 (31) 에 이들 광섬유 심선 (37) 을 탑재하고, 실리콘 점착제에 의해 가압 지그 (35) 의 볼록형 단부 (35a) 에 고정하였다.
접속작업은 다음과 같이 하여 실시하였다. 도 4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렬부재 (33) 상의 정렬홈 (34) 과 상기 접속부재 (31) 에 탑재되며, 가압 지그에 고정되어 있는 광섬유 심선 (37a, 37b) 을 위치맞춤하여 정렬부재 (33) 에 장착하였다 (도 40 (a)). 다음으로, 가압 지그 (35) 에 의해 아래쪽으로 하중을 가하였다. 이로써 발포 우레탄 수지 (36) 가 변형되어, 광섬유 심선 (37a, 37b) 및 광섬유 소선 (38a, 38b) 부분이 함께 정렬홈 (34) 으로 밀려들어가 (도 39 (b)), 2개의 접속부재 (31) 에 장착된 광섬유 소선 단면이 위치맞춤되었다 (도 40 (b)). 다음으로 2개의 접속부재끼리를 맞댐으로써 광섬유 소선 (38a, 38b) 도 동시에 맞댈 수 있어, 본 발명의 광학접속구조가 형성되었다 (도 40 (c)).
얻어진 광학접속구조는 상방으로부터 접속부재를 장착함으로써 형성되기 때문에, 기판 상에서의 작업 공간을 절약할 수 있었다. 또한, ABS 수지 등 열수축 변형이 큰 수지에서도 충분히 가공·위치맞춤이 가능해졌다.
그 후, 접속점에서 접속손실을 측정하였더니 0.2dB 이하로, 광학접속구조로서 충분히 사용 가능한 것이었다.
실시예 9
도 41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면이 0.26㎜×0.26㎜ 인 광전송매체 수납홈 (도시생략) 및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1㎜×3㎜ 의 직사각형 관통구멍 (30) 을 갖는 ABS 수지로 제작한 래치 (39) 를 갖는 접속부재 (31) (사이즈: 5㎜×12㎜×3㎜) 및 볼록형 단부 (35a) 에 두께 1㎜ 의 실리콘 고무를 갖는 가압 지그 (35) 와, 도 41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단면이 한 변 0.3㎜ 의 정삼각형의 V 자형 정렬홈 (34) 를 갖는 정렬부재 (33) (사이즈 5㎜×28㎜×3㎜) 1세트 준비하였다. 그리고, 접속부재 (31) 와 가압 지그 (35) 를 발포 우레탄 수지 (36) 로 고정하였다. 그 후, 광섬유 심선 (후루카와덴코사 제조, 250㎛ 직경) 의 피복을 단부에서부터 15㎜ 제거하고, 피복 단부에서 10㎜ 인 곳에서 광섬유 소선 (125㎛ 직경) 을 커트하고, 그리고 접속부재의 광전송매체 수납홈에 이들 광섬유 심선을 탑재하여, 아크릴계 접착제에 의해 광섬유 심선의 피복부를 접속부재 수납홈에 고정하였다.
접속작업은 다음과 같이 하여 실시하였다. 도 4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하여 피복제거, 커트한 광섬유 심선 (37b) 를 정렬부재 (33)의 정렬홈 (34) 에 탑재하고, 상기 접속부재와 동일한 구조의 래치를 형성한 고정부재 (40) 에 의해 고정하였다 (도 42 (a)). 고정은 접착제에 의해 광섬유 심선의 일부를 고정부재에 접착하여 실시하였다. 이어서, 정렬부재 (33) 상의 정렬홈 (34) 과 상기 접착부재 (31) 의 수납홈 (32) 에 고정되어 탑재되어 있는 광섬유 (37a) 를 위치맞춤하여 정렬부재 (33) 에 장착하였다 (도 42 (b)). 다음으로, 광섬유 소선 (38a) 에 가압 지그 (35) 에 의해 아래쪽으로 하중을 가하였다. 이로써 발포 우레탄 수지 (36) 가 변형되어, 광섬유 소선 (38a) 이 정렬홈에 밀려들어가 정렬홈에서 접속부재 (31) 에 장착된 광섬유 소선 (38a) 단면과 정렬부재의 정렬홈에 탑재된 광섬유 소선 (38b) 이 위치맞춤되었다. 다음으로 고정부재 (40) 를 이동시킴으로써 광섬유 소선 (38a, 38b) 도 동시에 맞댈 수 있어, 본 발명의 광학접속구조가 형성되었다 (도 42 (c)).
얻어진 광학접속구조는 상방으로부터 접속부재를 장착함으로써 형성되기 때문에, 기판 상에서의 작업 공간을 절약할 수 있었다. 또한, ABS 수지 등 열수축 변형이 큰 수지에서도 충분히 가공, 위치맞춤이 가능해졌다.
그 후, 접속점에서 접속손실을 측정하였더니 0.2dB 이하로, 광학접속구조로서 충분히 사용 가능한 것이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광학접속방법은, 광커넥터로서 예를 들어 광소자, 광회로 패키지, 광회로 장치 등의 단부에서 인출된 광섬유를 갖는 구조체를 프린트 기판 상이나 장치 내에서의 광섬유 접속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Claims (20)

  1. 광전송매체를 접속부재에 탑재하는 공정, 광전송매체를 탑재한 접속부재와 정렬홈을 갖는 정렬부재를 그 접속부재에 탑재된 광전송매체와 정렬부재의 정렬홈의 개구부가 마주 보도록 배치하는 공정, 그 광전송매체의 적어도 광학접속해야 할 단부를 정렬홈으로 이동시키는 공정, 이동시킨 광전송매체의 단부를 다른 광전송매체의 단부와 맞대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송매체의 접속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송매체를 접속부재에 탑재하는 공정은, 수납홈을 갖는 접속부재의 그 수납홈에 광전송매체를 수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광전송매체의 적어도 광학접속해야 할 단부를 정렬홈으로 이동시키는 공정은, 광전송매체의 적어도 광학접속해야 할 단부를 그 수납홈으로부터 정렬홈으로 이동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송매체의 접속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광전송매체의 적어도 광학접속해야 할 단부를 수납홈으로부터 정렬홈으로 이동시키는 공정에서, 광전송매체를 가압부재를 사용하여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송매체의 접속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접속부재에 탑재하는 광전송매체가 광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송매체의 접속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맞대어지는 다른 광전송매체가 광섬유, 로드렌즈 또는 광도파로인 광전송매체의 접속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광전송매체가 탑재되는 부분에 개구된 관통구멍 또는 노치부를 갖는 접속부재와, 그 관통구멍 또는 노치부에 삽입된 광전송매체를 누르기 위한 가압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송매체의 접속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광전송매체 접속부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는, 광전송매체를 탑재하기 위한 수납홈을 갖고 있고, 관통구멍 또는 노치부가 그 수납홈에 개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송매체 접속부품.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에 탑재된 상기 광전송매체의 적어도 단부가, 관통구멍에 삽입된 가압부재에 의해 눌려 그 접속부재에서 밀려나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송매체 접속부품.
  9. 제 7 항에 있어서, 접속부재는, 가압부재를 삽입하는 관통구멍 또는 노치부를 갖는 기판과, 광전송매체를 탑재하는 수납홈을 갖는 수납판으로 이루어지고, 그 수납홈에는 가압부재에 의해 눌려 광전송매체가 이동할 수 있게 수납홈의 일단에 달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송매체 접속부품.
  10. 제 6 항에 있어서, 가압부재의 가압면에 광전송매체가 수납되는 홈을 갖는 수납판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송매체 접속부품.
  11. 정렬홈을 갖는 정렬부재와, 그 정렬홈의 개구를 마주 보도록 광전송매체를 탑재한 접속부재와, 적어도 광학접속해야 할 단부가 정렬부재의 그 정렬홈에 수용된 그 광전송매체와, 그 광전송매체와 광학접속된 다른 광전송매체로 이루어지고, 정렬홈으로 이동된 광전송매체의 단부가 정렬홈 내 또는 정렬홈 단부에서 다른 광전송매체의 단부와 맞대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접속구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정렬홈을 갖는 정렬부재와 접속부재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가 광전송매체를 탑재하기 위한 수납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접속구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홈에 수용된 상기 광전송매체가 상기 접속부재로부터 그 정렬홈으로 이동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접속구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가 가압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정렬홈에 수용된 광전송매체가 그 가압부재에 의해 눌려 접속부재로부터 그 정렬홈으로 이동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접속구조.
  15. 제 12 항에 있어서, 정렬홈 및 수납홈이 각각 복수 존재하는 광전송매체의 접속구조.
  16. 제 12 항에 있어서, 수납홈을 갖는 접속부재는, 수납홈에 개구된 관통구멍 또는 노치부를 갖고, 그 관통구멍 또는 노치부에 가압부재가 삽입되어 있으며, 그 가압부재에 의해 광전송매체의 적어도 광학접속해야 할 단부가 정렬홈으로 이동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접속구조.
  17. 제 12 항에 있어서, 정렬홈의 개구부 폭이 수납홈의 개구부 폭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접속구조.
  18. 제 11 항에 있어서, 정렬홈으로 이동된 광전송매체가 광섬유이고, 맞대어지는 다른 광전송매체가 광섬유, 로드렌즈 또는 광도파로인 광학접속구조.
  19. 제 11 항에 있어서, 정렬홈을 갖는 정렬부재가 프린트 기판 상에 설치 고정되어 있고, 그 정렬홈 내로 이동된 광전송매체의 단부와 맞대어지는 다른 광전송매체가, 그 프린트 기판 상에 설치 고정된 기판의 표면 또는 기판 내부에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접속구조.
  20. 복수의 광디바이스가 광전송매체에 의해 접속된 광회로부품에 있어서, 그 광디바이스와 그 광전송매체의 접속부분이 제 11 항에 기재된 광학접속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회로부품.
KR1020057015407A 2003-02-20 2004-02-19 광전송매체의 접속방법, 광학접속구조 및 광전송매체접속부품 KR1007798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42430 2003-02-20
JP2003042430 2003-02-20
JP2003194697 2003-07-10
JPJP-P-2003-00194697 2003-07-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9631A true KR20050099631A (ko) 2005-10-14
KR100779891B1 KR100779891B1 (ko) 2007-11-28

Family

ID=32911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5407A KR100779891B1 (ko) 2003-02-20 2004-02-19 광전송매체의 접속방법, 광학접속구조 및 광전송매체접속부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193565A1 (ko)
EP (1) EP1596231B1 (ko)
JP (1) JP4117004B2 (ko)
KR (1) KR100779891B1 (ko)
WO (1) WO200407489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462B1 (ko) * 2011-10-18 2013-01-29 가부시키가이샤 어드밴티스트 시험 장치, 시험 방법, 및 디바이스 인터페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732B1 (ko) * 2006-09-29 2008-04-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전배선 커넥터 모듈 및 그 모듈을 포함한 광전 통신 모듈
CN102043205B (zh) * 2009-10-22 2012-10-3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连接器
TWI454766B (zh) * 2009-12-31 2014-10-01 Hon Hai Prec Ind Co Ltd 光纖耦合連接器及光傳輸裝置
US7949211B1 (en) 2010-02-26 2011-05-24 Corning Incorporated Modular active board subassemblies and printed wiring boards comprising the same
JP2013041020A (ja) * 2011-08-12 2013-02-28 Hitachi Cable Ltd 光ファイバーの接続方法、及び、光ファイバーの接続装置
CN102385121A (zh) * 2011-11-04 2012-03-21 潮州三环(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高性能光纤快速成端组件
US20160274318A1 (en) 2012-03-05 2016-09-22 Nanoprecision Products, Inc. Optical bench subassembly having integrated photonic device
KR20140142749A (ko) 2012-04-11 2014-12-12 나노프리시젼 프로덕츠 인코포레이션 만곡된 외부 정렬 표면을 갖는 광 섬유 커넥터 페룰
RU2647212C1 (ru) 2012-04-11 2018-03-14 Нанопресижен Продактс, Инк. Герметичная сборка для выравнивания оптического волокна
JP2015094786A (ja) * 2013-11-08 2015-05-18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コネクターハウジング、光伝送路組立体および電子機器
JP6146580B2 (ja) * 2014-01-06 2017-06-14 APRESIA Systems株式会社 光ファイバコネクタ及び光通信モジュール
CN112987170A (zh) * 2016-10-29 2021-06-18 华为技术有限公司 光设备及其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5859A (en) * 1974-06-24 1975-05-27 Northern Electric Co Optical fibre connectors
DE3329293A1 (de) * 1983-08-12 1985-02-28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Einrichtung zum ausrichten eines lichtwellenleiters fuer spleisszwecke
JPH0493905A (ja) * 1990-08-07 1992-03-26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コネクタ
US5469522A (en) * 1993-12-02 1995-11-21 Litecom, Inc. Optical fiber splice interconnection and usage method
CN1133086C (zh) * 1993-12-20 2003-12-31 住友电气工业株式会社 光开关
US5717813A (en) * 1994-06-27 1998-02-10 Fiberlign A Division Of Preformed Line Products (Canada) Ltd. Fusion splice element for use in splicing optical fibers
JP3171023B2 (ja) * 1994-10-11 2001-05-28 日立電線株式会社 導波路型光モジュール
GB2312968B (en) * 1996-05-09 2000-09-13 Daewoo Telecom Ltd Splicer for light waveguides
JPH10268213A (ja) * 1997-03-26 1998-10-09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スイッチ
US6169827B1 (en) * 1999-09-03 2001-01-0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icro-optic switch with lithographically fabricated polymer alignment features for the positioning of switch components and optical fibers
JP2002122751A (ja) * 2000-08-08 2002-04-2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光モジュール,この光モジュールと光ファイバとの接続方法,これに用いる光プラグおよび接続アダプタ,ならびに光ファイバ配線板
TW461978B (en) * 2000-08-29 2001-11-01 Liu Jin Shin Pressing-positioning type fiber switching device and the switching method of the same
US20050201711A1 (en) * 2001-01-22 2005-09-15 Koh Philip J. Packaging and interconnect system for fiber and optoelectric components
JP3760376B2 (ja) * 2001-02-22 2006-03-2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光ファイバコネクタ
JP3824541B2 (ja) * 2001-02-27 2006-09-20 日本碍子株式会社 光部品表面実装用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組立品
JP4094407B2 (ja) * 2001-11-15 2008-06-04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光スイッ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462B1 (ko) * 2011-10-18 2013-01-29 가부시키가이샤 어드밴티스트 시험 장치, 시험 방법, 및 디바이스 인터페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93565A1 (en) 2006-08-31
JP4117004B2 (ja) 2008-07-09
EP1596231A1 (en) 2005-11-16
EP1596231B1 (en) 2012-04-04
WO2004074892A1 (ja) 2004-09-02
EP1596231A4 (en) 2006-12-20
KR100779891B1 (ko) 2007-11-28
JPWO2004074892A1 (ja) 200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74510B2 (en) Optical assembly with cable retainer
EP1584959B1 (en) Method for connecting optical fibres and optical components using fibre bends
JP5734709B2 (ja) 光コネクタ及び電子情報機器
EP1887395B1 (en) Optical connector
KR100779891B1 (ko) 광전송매체의 접속방법, 광학접속구조 및 광전송매체접속부품
JP4153418B2 (ja) 光学接続構造
US6676299B1 (en) Device having multiple optical fibers
EP1312955B1 (en) Process for coupling optical fibres
KR100671121B1 (ko) 광섬유 접속용 부품, 광섬유 접속 구조 및 광섬유 접속 방법
JP3989317B2 (ja) 光ファイバ接続方法
JP4374280B2 (ja) 光学接続構造及びその作製方法
JP3989316B2 (ja) 光ファイバの接続方法および光ファイバの接続構造
JP3950781B2 (ja) 光ファイバ接続方法及び接続構造
JP4155203B2 (ja) 光接続器、光モジュール、及び光モジュールユニット
KR100259267B1 (ko) 광화이버 접속자
JP4446782B2 (ja) 光学接続構造及びその作製方法
JP2005181737A (ja) 光学接続構造
JP3364638B2 (ja) 光コネクタ及び光コネクタと光ファイバの組立方法
JP2006030363A (ja) 光学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