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4322A - 가스 부화 장치 - Google Patents

가스 부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4322A
KR20050094322A KR1020040065493A KR20040065493A KR20050094322A KR 20050094322 A KR20050094322 A KR 20050094322A KR 1020040065493 A KR1020040065493 A KR 1020040065493A KR 20040065493 A KR20040065493 A KR 20040065493A KR 20050094322 A KR20050094322 A KR 20050094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erential pressure
pressure generating
generating means
current value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5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토 야마무라
노리야 아사다
야수히로 나카무라
아츠시 타케우치
히로시 아라시마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94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4322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50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가스 부화 수단과, 이 가스 부화 수단의 전후에 차압을 발생시키는 차압 발생 수단을 갖는 가스 부화 장치에 있어서, 차압 발생 수단의 운전 부하(예를 들면 입력 전류)를 검출하고, 이 검출된 부하량에 따라 차압 발생 수단의 운전을 제어함으로써 차압 발생 수단에 대하여 과부하가 되지 않도록 하여, 차압 발생 수단의 장수명화를 도모하고, 고장 판단을 가능하게 한 가스 부화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스 부화 장치{GAS ENRICHMENT APPARATUS}
본 발명은 공기중의 소정 가스의 농도를 다른 가스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향상시키는 가스 부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가스 부화 수단을 이용하여 산소 부화나 질소 부화 등 특정 가스농도를 상대적으로 향상시키는 가스 부화 장치가 의료용 산소 부화 장치, 공기 조화 장치, 공기 청정기 등으로의 응용으로서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피공조 공간의 산소 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분리형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기에 산소 부화 장치를 설치하고, 산소 부화 장치에 의해 산소 부화된 공기를 송출 배관을 통하여 실내기로 보내, 실내측으로 방출하여 피공조 공간인 실내 환경의 산소 농도를 향상시키고, 거주자의 쾌적성을 위한 용도로 제공하는 예가 특개평 5-113227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예에서는, 가스 부화 장치에 공기를 유입시키는 펌프 등의 차압 발생 수단의 토출측의 유통로가 동결 또는 먼지 등의 막힘으로 의해 폐색된 경우에, 차압 발생 수단의 전류값이 상승하여 과부하 운전이 되기 때문에 장치로서의 신뢰성을 상실한다는 과제가 발생한다. 또한, 유통로가 폐색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중의 소정 가스의 농도를 다른 가스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향상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압 발생 수단의 부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값, 혹은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값에 의해 차압 발생 수단의 운전을 제어하고 또한 고장 내용을 제시하여, 수명이 길고 신뢰성이 높은 가스 부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스 부화 장치는, 가스 부화 수단과, 가스 부화 수단에 차압을 발생시키는 차압 발생 수단과, 차압 발생 수단의 운전 부하를 검출하는 부하 검출 수단을 가지며, 상기 부하 검출 수단으로 검출한 부하량에 따라 차압 발생 수단의 운전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가스 부화된 공기가 차압 발생 수단으로부터 토출되는 토출 주관이 먼지 막힘이나 꺾여짐, 혹은 동결 등에 의해 폐색된 경우에 부하 검출 수단에 의해 그 과부하 상태를 검출하여, 차압 발생 수단의 운전을 정지함으로써 고장 상태에서의 운전을 회피하고 차압 발생 수단의 파손 등을 회피하여, 수명이 길고 신뢰성이 높은 가스 부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스 부화 장치로는 공기중의 산소를 부화하는 산소 부화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 부화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에서, 가스 부화 장치(1)는, 산소 부화막 등의 가스 부화 수단(2)과, 감압 펌프 등의 차압 발생 수단(3)과, 가스 부화 수단(2)과 차압 발생 수단(3)을 통기 가능하게 연결하는 공급관(4)과, 가스 부화된 공기가 차압 발생 수단(3)으로부터 토출되는 토출 주관(5)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스 부화 수단(2)의 일차측, 즉 가스 부화 수단(2)으로의 유입측에는 유입하는 대기의 온도를 검출 또는 추정하는 온도 검출 수단(6)이 설치되어 있다. 차압 발생 수단(3)에는 차압 발생 수단(3)을 흐르는 전류값을 검출하는 기능을 갖는 부하 검출 수단(7)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가스 부화 장치(1)는 부하 검출 수단(7)으로부터의 전류값이나 온도 검출 수단(6)으로부터의 온도값을 받아들여, 이들의 값이 미리 설정하고 있는 조건에 부합하고 있는지를 판단하여 그 결과를 표시하고, 또한 그 결과에 기초하여 차압 발생 수단(3)의 운전을 제어하는 운전 제어 수단(8)을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차압 발생 수단(3)이 운전되면 가스 부화 수단(2)을 통과하여 가스 부화된 부화 가스가 공급관(4)을 통과하여 차압 발생 수단(3)에 흡입되고, 가스 부화 수단(2)에 의해 산소가 부화된 부화 가스가 토출 주관(5)을 통하여 송출된다.
또한, 차압 발생 수단(3)은 운전 부하에 따라 전류값이 변화한다. 이 전류값은 부하 검출 수단(7)에 의해 검출된다. 검출된 전류값은 운전 제어 수단(8)으로 보내지고, 운전 제어 수단(8)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운전 부하인 전류값과 비교하여 차압 발생 수단(3)의 운전이나 정지를 수행하여 운전을 제어한다.
다음으로 운전 제어 수단(8)의 운전 제어 방법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 부화 장치의 운전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2에서는, 차압 발생 수단(3)의 온/오프 운전의 상태를 하단에 나타내고, 상단에는 그 전류값을 나타낸다. 차압 발생 수단(7)의 운전 부하는 전류값으로 검출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부하 검출 수단(7)에 의해 검출된 전류값을 a로 하고, 미리 운전 제어 수단(8)에서 설정한 전류값을 A로 하고 있다. 또한, 차압 발생 수단(3)의 운전이 정지 상태에 있을 때를 B0로 하고, 차압 발생 수단(3)이 운전 상태에 있을 때를 B1으로 하고 있다.
부하 검출 수단(7)에 의해 검출되는 전류값 a의 값이 A 미만인 상태에서는 정상 운전(B1)을 수행하고, 전류값 a의 값이 A 이상인 상태에서는 과부하 상태이기 때문에 운전을 정지(B0)하는 운전 제어를 운전 제어 수단(8)에 의해 수행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X1점에서는 전류값 a이 A 미만에 있기 때문에 B1이 되어 있고, X2점에서는 전류값 a이 A 이상에 있기 때문에 B0가 된다. 또한, X3점에서는 전류값 a은 A 미만이지만, X2점에서 전류값 a이 A 이상이 되어, 일단 A 이상이 된 시점에서 차압 발생 수단(3)의 운전은 정지 상태가 되기 때문에 X3점에서는 B0라는 제어를 한다. 또한, B0, B1의 상태는 운전 제어 수단(8)에 기억하고 표시된다.
이러한 구성의 가스 부화 장치(1)에 있어서, 산소 부화된 공기가 차압 발생 수단(3)으로부터 토출될 때, 예를 들면 토출 주관(5)이 먼지 막힘, 꺾여짐, 동결 등에 의해 폐색되면, 차압 발생 수단(7)은 과부하 상태가 되어 그 전류값이 상승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부하 검출 수단(7)에 의해 과부하 상태인 것을 전류값으로 검출하여 차압 발생 수단(7)의 운전을 정지시켜, 고장 상태에서의 운전을 회피하고 또한 차압 발생 수단(7)의 파손 등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부하량으로서 차압 발생 수단(3)의 부하 검출 수단(7)에 의해 검출되는 전류값을 이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예를 들면 차압 발생 수단(7)의 회전수나 전압, 혹은 그 온도 등 전류값 이외에 차압 발생 수단(7)의 운전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라도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차압 발생 수단(7)의 운전의 제어는, 운전과 정지라는 제어뿐만이 아니라, 차압 발생 수단(7)과 가스 부화 수단(2) 사이의 유통로가 되는 공급관(4)에 개폐 제어 밸브를 삽입하여, 가스 부화 수단(2)을 통하지 않고 유통 저항이 작은 유로로부터 외기를 받아들이도록 하여 차압 발생 수단(3)의 부하를 낮추도록 하여도 좋고, 차압 발생 수단(3)의 흡입측과 토출측을 개폐 제어 밸브를 삽입하여 연통시키도록 하여 유로를 단락시킴으로써 운전을 제어하도록 하여도 좋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대하여 도 1,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스 부화 수단(2)으로의 유입측에 설치한 온도 검출 수단(6)에 의해 검출 혹은 추정된 온도값과, 부하 검출 수단(7)에 의해 검출된 전류값을 이용하여, 운전 제어 수단(8)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조건과 비교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차압 발생 수단(3)의 운전을 제어하고 또한 가스 부화 장치(1)의 고장 상황을 진단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가스 부화 장치의 운전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온도 검출 수단(6)에 의해 검출된 온도 d를 토출 주관(5)의 응축수가 동결하게 되는 경우의 가스 부화 수단(2)으로 유입하는 대기의 온도 D와 비교하고 있다. 또한, 부하 검출 수단(7)에 의해 검출된 전류값 a을, 토출 주관(5)이 동결 이외의 폐색으로 인해 과부하가 되는 경우의 전류값 E과, 동결에 의한 폐색으로 인해 과부하가 되는 경우의 전류값 F과 비교하고 있다.
도 4는, 온도 검출 수단(6)에 의해 검출된 온도 d가 미리 설정된 온도 D(동결 온도) 이상에 있는 경우의 운전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차압 발생 수단(3)의 부하 검출 수단(7)에 의해 검출된 전류값을 a라 하고, 미리 설정된 전류값(과부하 전류값)을 E라 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압 발생 수단(3)을 온으로 한 상태에서 전류값 a가 상승해가 설정 전류값 E을 초과하는 과부하의 경우에는, 온도 d가 동결 온도 D 이상이기 때문에, 토출 배관(5)이 먼지 막힘, 꺾임 등으로 인해 폐색되어 있는 것을 진단할 수 있다. 이 결과를 운전 제어 수단(8)에 의해 검출하여, 운전 제어 수단(8)에 설치한 램프 등의 통지 수단에 의해 통지하고 또한, 전류값 a이 설정 전류값 E을 넘은 시점에서 차압 발생 수단(3)의 운전을 오프로 하고 있다. 도 4에서는, 차압 발생 수단(3)의 토출측이 동결 이외에 막힌 상태를 C0로 하고, 차압 발생 수단(3)의 토출측의 막힘이 없는 상태를 C1(고장 없음)으로 판단하고 있다.
즉, 부하 검출 수단(7)의 전류값 a이 E 미만인 상태에서는 C1(고장 없음), E 이상인 상태에서는 C0(동결 이외에 막힌 상태)가 되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 제어가 수행된다. X1점에서는 전류값 a가 E 미만에 있기 때문에 C1로 되어 있으며, X2점에서는 전류값 a가 E 이상에 있기 때문에 C0으로 판단된다. 또한, X3점에서는 전류값 a이 E 미만에 있지만, X2점에서 전류값 a가 E 이상이 되어, 일단 E 이상이 되었기 때문에 X3점에서는 C0으로 판단된다.
한편, 도 5는 온도 검출 수단(6)에 의해 검출된 온도 d가, 미리 설정된 온도 D(동결 온도) 미만에 있는 경우의 운전 제어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차압 발생 수단(3)의 부하 검출 수단(7)에 의해 검출된 전류값을 a로 하고, 미리 설정된 전류값(과부하 전류값)을 F로 하고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압 발생 수단(3)을 온으로 한 상태에서 전류값 a이 상승해가 설정 전류값 F을 초과하는 과부하의 경우에는, 온도 d가 동결 온도 D 미만이기 때문에 토출 배관(5)이 동결에 의해 폐색되어 있는 것을 진단할 수 있다. 이 결과를 운전 제어 수단(8)에 의해 검출하여, 운전 제어 수단(8)에 설치한 램프 등의 통지 수단에 의해 통지하고 또한, 전류값 a이 설정 전류값 F을 넘은 시점에서 차압 발생 수단(3)의 운전을 오프로 하고 있다. 도 5에서는, 토출 배관(5)이 동결에 의해 폐색된 상태를 G0으로 하고, 폐색이 없는 상태를 G1(고장 없음)으로 판단하고 있다.
즉, 차압 발생 수단(3)의 전류값 a가 F 미만인 상태에서는 G1(고장 없음), F 이상인 상태에서는 G0(동결에 의해 막힌 상태)이 되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 제어가 수행된다. X1점에서는 전류값 a이 F 미만에 있기 때문에 G1으로 되어 있으며, X2점에서는 전류값 a가 F 이상에 있기 때문에 G0으로 판단된다. 또한, X3점에서는 전류값 a가 F 미만에 있지만, X2점에서 전류값 a가 F 이상이 되어, 일단 F 이상이 되었기 때문에 X3점에서는 G0으로 판단된다.
또한, C0, C1, G0, G1의 상태는 운전 제어 수단(8)에 기억하고 표시된다.
또한, 온도 검출 수단(6)을 가스 부화 수단(2)으로의 유입측인 1차측에 설치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가스 부화 수단(2)의 출구측인 2차측에 설치한 경우, 혹은 가스 부화 수단(2)의 주위에 설치하는 경우 등에 대하여 적용이 가능하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대하여 도 1, 도 6,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차압 발생 수단(3)의 운전 경과 시간값과, 부하 검출 수단(7)에 의해 검출된 전류값을 이용하여, 운전 제어 수단(8)에 미리 설정하고 있는 조건과 비교 판단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차압 발생 수단(3)의 운전을 제어하고 또한 가스 부화 장치(1)의 고장 상황을 진단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서의 운전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압 발생 수단(3)의 운전 경과 시간 t가 미리 설정한 운전 경과 시간 T1 보다도 큰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있다. 또한, 부하 검출 수단(7)에 의해 검출된 전류값 a를, 미리 설정한 차압 발생 수단의 설정 전류값 H과 비교하고 있다.
차압 발생 수단(3)의 운전 개시로부터 T1 시간을 경과했을 때에 차압 발생 수단(3)의 전류값 a의 검출을 수행하여, 전류값 a이 H 미만에 있을 때에는 고장 없음으로 판단하고, 전류값 a이 H 이상에 있을 때에는 차압 발생 수단(3)의 토출측의 막힘으로 판단한다. 즉, 토출 주관(5)이 예를 들면 동결 등으로 폐색되는 경우에는, 폐색 현상은 가스 부화 장치(1)가 어느 정도의 시간동안 운전 계속된 후에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 시간인 T1 시간 경과 후에, 전류값이 상승하는 경우에는 토출 주관(5)측의 막힘으로 판단하고, 차압 발생 수단(3)의 운전 개시로부터 T1시간 내에 전류값 a이 H 이상이 되는 경우에 대해서는 차압 발생 수단(3)의 잠김으로 판단한다. 차압 발생 수단(3)의 잠김으로는 기계의 잠김이나 모터의 잠김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이렇게, 부하 검출 수단(7)에 의해 검출된 전류값을,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참조함으로써, 전류값에 이상이 있었던 경우의 현상이, 토출 주관(5)의 막힘에 의한 것인지, 차압 발생 수단(3)의 잠김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가스 부화 장치의 고장 대응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들 상태는 운전 제어 수단(8)에 기억하고 표시하여 통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대하여, 도 1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있어서의 가스 부화 장치의 운전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압 발생 수단(3)의 부하 검출 수단(7)에 의해 검출된 전류값을 운전 제어 수단(8)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과소 부하시의 전류값과 비교 판단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차압 발생 수단(3)의 운전을 제어하고 또한 가스 부하 장치(1)의 고장 상황을 진단하는 것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하 검출 수단(7)에 의해 검출된 전류값을 a라 하고, 미리 설정된 과소 부하의 전류값을 J라 하고 있다. 차압 발생 수단(3)의 흡입측에 설치하고 있는 가스 부하 수단(2)이나 공급관(4)이 파손된 경우에는, 차압 발생 수단(3)의 부하가 가벼워져 전류값 a이 감소하게 된다. 전류값 a이 설정 전류값 J 이하가 된 경우에는 흡입측의 고장(K0)으로 판단하고, 또한 J를 넘는 경우에는 고장 없음(K1)으로 판단하여, 고장(K0)인 경우에는 차압 발생 수단(3)을 오프로 하는 운전 제어를 수행한다.
즉, 도 8에서, X1점에서는 전류값 a이 J 이상에 있기 때문에 고장 없음(K1)으로 판단되고, X2점에서는 전류값 a이 J 미만에 있기 때문에 흡입측의 고장(K0)으로 판단된다. 또한, X3점에서는 전류값 a은 J 미만에 있기 때문에 전류값 a에 의해 상황 판단을 수행할 수 없지만, 일단 J 미만이 된 시점에서 X3점에서는 고장(K0)으로 판단된다. 또한, 고장(K0), 고장 없음(K1)의 상태는 운전 제어 수단(8)에 기억하고 표시하여 통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차압 발생 수단(3)의 흡입측에서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차압 발생 수단(3)의 전류값이 소정값 이하일 때에는 흡입측의 고장으로 판단함으로써, 가스 부화 장치(1)의 고장 대응을 신속하게 수행하여 신뢰성의 향상을 실현시킬 수 있다.
(실시예 5)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대하여,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의 가스 부화 장치의 운전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압 발생 수단(3)의 부하 검출 수단(7)에 의해 검출된 전류값이, 운전 제어 수단(8)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전류값을 초과할 때, 차압 발생 수단(3)에 인가하는 전압을 증가시켜 그 후의 전류값을 다시 검출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차압 발생 수단(3)의 운전을 제어하고 또한 가스 부화 장치(1)의 고장 상황을 진단하는 것이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하 검출 수단(7)에 의해 검출된 전류값을 a라 하고, 미리 설정된 전류값을 L, N이라 한다. 또한 차압 발생 수단(3)의 전류값 a이 L 이상이 된 시점부터의 경과 시간 T을 설정한다. 운전 제어 수단(8)은, 전류값이 L 이상이 된 경우, 토출 주관(5)이 폐색물에 의해 막힌 것으로 판단하여, 유통로의 통기 유량을 높여 폐색물을 불어 날리기 위하여 차압 발생 수단(3)의 전압을 M1(과전압)까지 상승시킨다. 전류값이 L 미만인 경우에는 정상이라 판단하여 차압 발생 수단(3)의 전압을 M0(통상 전압)으로 운전한다. 또한 전류값이 N 이상이 된 경우에 대해서는, 차압 발생 수단(3)은 정지 상태 M2로 한다.
즉, 도 9에서, X1점에서는 전류값 a가 L 미만에 있기 때문에 M0(통상 전압)으로 운전하고, X2점에서는 전류값 a가 L 이상에 있기 때문에, 토출 주관(5)이 폐색물에 의해 막힌 것으로 판단하여 M1(과전압)로 운전한다. 또한, X3점에서는 전류값 a이 L 미만으로 저하하기 때문에, X2점에 있어서 차압 발생 수단(3)의 전압 상승에 의해 유통로의 통기 유량이 올라가 차압 발생 수단(3)의 토출측의 폐색물이 불려 날아간 것으로 판단하여, X3점에서는 통상의 전압값 M0으로 차압 발생 수단(3)을 운전한다.
또한, 도 10에서, X1점에서는 전류값 a가 L 미만에 있기 때문에 M0(통상 전압)으로 운전하고, X2점에서는 전류값 a가 L 이상에 있기 때문에 토출 주관(5)이 폐색물에 의해 막힌 것으로 판단하여, M1(과전압)으로 운전한다. 또한, X2점에서 차압 발생 수단(3)의 전압 상승에 의해 유통로의 통기 유량을 올렸지만, 토출 주관(5)의 폐색물이 날려가지 않은 경우에는, 전류값 a는 N 이상으로 더욱 상승한다. X3점에서 경과 시간 T 이상이 된 후의 전류값 a가 N 이상이면 차압 발생 수단(3)의 운전을 정지한다.
또한, M0, M1의 상태는 운전 제어 수단(8)에 기억하고 표시하여 통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차압 발생 수단(3)의 전압값을 상승시킴으로써 유통로의 통기 유량을 증가시켜 폐색물을 불어 날리도록 운전 제어를 수행하고 있지만, 이 이외에도 차압 발생 수단(3)의 회전수를 상승시키는 등의 방법으로 유통로의 통기 유량을 높임으로써도 상기와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렇게, 부하 검출 수단(7)에 의해 검출된 전류값에 의해, 토출 주관(5)의 폐색 상황을 검출할 수 있는데, 또한 유통로의 온도를 검출 또는 추정하는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한 온도값에 의해 그 폐색 상태가 동결에 의한 폐색인지, 동결 이외의 먼지 막힘이나 꺾임 등에 의한 폐색 등인지를 상황 판단한다. 동결 이외의 폐색인 경우에는 그 폐색물을 날려 버리는 운전 제어를 수행하고, 날려 버릴 수 없는 경우에는 운전을 정지함으로써, 고장 상태의 운전을 회피하여 가스 부화 장치의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6)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대하여,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가스 부화 장치의 운전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여기에서는 부하 검출 수단(7)에 의해 검출된 전류값을 a, 미리 설정된 전류값을 Q(과전류)라 하고, 차압 발생 수단(3)의 운전 개시부터의 경과 시간을 t라 한다. 또한, 운전 개시부터의 경과 시간 T1, 운전 정지부터의 경과 시간 T2을 설정한다. 차압 발생 수단(3)의 전류값 a이 Q 이상이 된 경우에 P0(고장)으로 판단하고, 전류값 a이 Q 미만으로 된 경우에 P1(고장 없음)으로 판단한다. 또한 고장 회수의 상한을 N회로 설정한다.
도 11에서, X1점에서는 차압 발생 수단(3)의 운전 개시부터 T1 시간 경과하여 전류값 a이 Q 이상에 있기 때문에, 운전 제어 수단(8)은 P0(고장)으로 판단하여 차압 발생 수단(3)의 운전을 정지한다. X2점에서는 차압 발생 수단(3)의 운전 정지부터 T2 시간 경과하고 있기 때문에, 차압 발생 수단(3)의 운전이 재개된다. X3점에서는 다시 운전 개시부터 T1 시간 경과하여 X1점과 동일한 동작을 보인다. X4점에 대해서도 운전 정지부터 T2 시간 경과하여 X2점과 동일한 동작을 보인다. 또한, 이들의 동작을 N회 반복한 X5점에서는, T1 시간 경과한 전류값 a가 Q 이상이 된다.
이 시점에서 고장 회수가 상한치 N회를 초과하고 있기 때문에, 운전 제어 수단(8)은 그 이후의 차압 발생 수단(3)의 운전을 정지한다. 그 후, 운전을 재개하기 위해서는 고장 회수를 리셋할 필요가 있다. 또한, T1 시간 이내에 전류값 a이 Q 이상이 될 때는, 도 7에 나타내는 실시예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도 12에서, X1점에서는 차압 발생 수단(3)의 운전 개시부터 T1 시간 경과하여 전류값 a이 Q 이상에 있기 때문에, 운전 제어 수단(8)은 P0(고장)으로 판단하여 차압 발생 수단(3)의 운전을 정지한다. X2점에서는 차압 발생 수단(3)의 운전 정지부터 T2 시간 경과하고 있기 때문에, 차압 발생 수단(3)의 운전이 재개된다. X3점에서는 운전 개시부터 T1 시간 경과하여 X1점과 같은 동작을 보인다. X4점에 대해서도 운전 정지부터 T2 시간 경과하여 X2점과 같은 동작을 보인다. 또한, X5점에서는 전류값 a가 Q 미만으로 안정하기 때문에, 운전 제어 수단(8)은 차압 발생 수단(3)의 운전을 계속한다.
또한, P0, P1의 상태나 회수는 운전 제어 수단(8)에 기억하고 표시되어, 유지에 이용된다.
또한, 상기 제어 동작예에서는 차압 발생 수단(3)의 전류값 a가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 고장 통지가 수행되는 동작으로 되어 있으나, 차압 발생 수단(3)의 전류값 a이 소정값 미만인 경우에 고장 통지가 수행되는 제어에 관해서도 마찬가지 효과를 나타낸다.
이렇게, 차압 발생 수단에 과부하가 생겨도, 그것이 미리 설정된 허용할 수 있는 범위이면 반복하여 운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실용상 운전 가능 시간을 연장할 수 있고 또한, 허용 외의 운전을 정지함으로써 장치의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압 발생 수단을 가지며 가스 부화 기능을 갖는 기기, 예를 들면 산소 부화 기능을 갖는 가정용 공기 조화기, 차량용 공기 조화기, 의료용 산소 부화 장치 등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 부화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가스 부화 장치의 운전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타이밍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가스 부화 장치의 운전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동 가스 부화 장치의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온도값이 미리 설정된 온도값 이상에 있는 경우의 운전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타이밍도.
도 5는 동 가스 부화 장치의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온도값이 미리 설정된 온도값 미만에 있는 경우의 운전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타이밍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가스 부화 장치의 운전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동 가스 부화 장치의 운전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타이밍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가스 부화 장치의 운전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타이밍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가스 부화 장치의 운전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타이밍도.
도 10은 동 가스 부화 장치의 다른 운전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타이밍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가스 부화 장치의 운전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타이밍도.
도 12는 동 가스 부화 장치의 다른 운전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타이밍도.

Claims (6)

  1. 가스 부화 수단;
    상기 가스 부화 수단에 차압을 발생시키는 차압 발생 수단; 및
    상기 차압 발생 수단의 운전 부하를 검출하는 부하 검출 수단을 가지며,
    상기 부하 검출 수단으로 검출한 부하량에 기초하여 상기 차압 발생 수단의 운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부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검출 수단은 상기 차압 발생 수단에 흐르는 전류값을 검출하는 기능을 가지며, 검출한 전류값에 기초하여 상기 차압 발생 수단의 운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부화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압 발생 수단의 운전 개시부터 소정 시간 후에, 상기 부하 검출 수단으로 검출한 상기 차압 발생 수단의 전류값에 기초하여, 그것이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 이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부화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검출 수단으로 검출한 상기 차압 발생 수단의 전류값이 소정값 미만일 때에 이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부화 장치.
  5. 가스 부화 수단;
    상기 가스 부화 수단에 차압을 발생시키는 차압 발생 수단;
    상기 차압 발생 수단의 운전 부하를 검출하는 부하 검출 수단; 및
    상기 가스 부화 수단의 유통로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 수단을 가지며,
    상기 부하 검출 수단으로 검출한 부하량과 상기 온도 검출 수단으로 검출한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차압 발생 수단의 운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부화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한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이고, 상기 부하 검출 수단에서 검출한 차압 발생 수단의 전류값이 소정값 이상 소정값 이하일 때, 상기 차압 발생 수단을 제어하여 유통로의 통기 유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부화 장치.
KR1020040065493A 2004-03-22 2004-08-19 가스 부화 장치 KR200500943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82266A JP2005262166A (ja) 2004-03-22 2004-03-22 ガス富化装置
JPJP-P-2004-00082266 2004-03-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4322A true KR20050094322A (ko) 2005-09-27

Family

ID=35046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5493A KR20050094322A (ko) 2004-03-22 2004-08-19 가스 부화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5262166A (ko)
KR (1) KR20050094322A (ko)
CN (1) CN100559085C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9457A (ja) * 1991-10-05 1993-04-20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ツト
JPH05223312A (ja) * 1991-12-18 1993-08-31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のフィルタの目詰まり検出装置
JPH06101864A (ja) * 1992-09-18 1994-04-12 Hitachi Ltd 空気清浄機
JPH074730A (ja) * 1992-12-22 1995-01-10 Fujitsu Syst Constr Kk 風量設定制御方式
JP2976794B2 (ja) * 1994-02-14 1999-11-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ファンモータ駆動装置
JPH08128695A (ja) * 1994-10-31 1996-05-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JP2751994B2 (ja) * 1996-01-16 1998-05-18 リンナイ株式会社 フィルタ目詰まり検知方法
JP3371239B2 (ja) * 1996-10-04 2003-01-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及び装置
JP2003269772A (ja) * 2002-03-13 2003-09-25 Sanyo Electric Co Ltd 冷凍装置、空気調和装置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59085C (zh) 2009-11-11
JP2005262166A (ja) 2005-09-29
CN1673632A (zh) 2005-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210686B (zh) 一种空调防冷风的控制方法及空调器
CN109612015B (zh) 用于空调的控制保护方法及空调
JP2010107058A (ja) 空気調和機
CN109612020B (zh) 一种空调器的控制方法及其空调器
CN109282424B (zh) 空调器控制方法、空调器控制装置
JPH08152207A (ja) 空気調和機
JP2012002438A (ja) 空気調和機
JP3935716B2 (ja) 空気調和装置
JP3590499B2 (ja) 空気調和機
KR20050094322A (ko) 가스 부화 장치
JP4436727B2 (ja) エンジン駆動式空気調和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7163061A (ja) 空気調和機
JP2006132796A (ja) 遠隔制御装置
JP2003254587A (ja) 空気調和機
JP2005114317A (ja) 陰陽圧切換式換気設備
KR100677282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JPH07234044A (ja) 空気調和機の圧縮機保護制御装置
JP3420652B2 (ja) 空気調和機
EP4253855A1 (en) Air conditioner
JPH07145986A (ja) 空気調和機のドレンポンプ制御装置
US20230392844A1 (en) Refrigeration system
KR101235455B1 (ko) 에어컨 실내기의 송풍량 이상 검출방법
KR100312522B1 (ko) 차량공조장치의콤프레셔제어장치
JP2009041831A (ja) 多室形空気調和機
KR100684111B1 (ko) 냉동장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