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9738A - 전기 광학 장치, 그 구동 회로와 구동 방법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전기 광학 장치, 그 구동 회로와 구동 방법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9738A
KR20050089738A KR1020040105295A KR20040105295A KR20050089738A KR 20050089738 A KR20050089738 A KR 20050089738A KR 1020040105295 A KR1020040105295 A KR 1020040105295A KR 20040105295 A KR20040105295 A KR 20040105295A KR 20050089738 A KR20050089738 A KR 20050089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rrection data
electro
pixe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5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1694B1 (ko
Inventor
조히로아키
가사이도시유키
호리우치히로시
노자와다케시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89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9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1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16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09G2300/0861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with additional control of the display period without amending the charge stored in a pixel memory, e.g. by means of additional select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43Details of the generation of driving signals
    • G09G2310/0251Precharge or discharge of pixel before applying new pixel volt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85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using tables for spatial correction of display dat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9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by monitoring one or more pixels in the display panel, e.g. by monitoring a fixed reference pixel
    • G09G2320/0295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by monitoring one or more pixels in the display panel, e.g. by monitoring a fixed reference pixel by monitoring each display pixel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화소마다의 휘도 편차를 양호한 정밀도에 의해 고속으로 측정하여, 휘도를 보정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제 1 보정 데이터 메모리(323)에는 행(行)방향의 제 1 보정 데이터(Dhy)가 기억되고, 제 2 보정 데이터 메모리(324)는 열(列)방향의 제 2 보정 데이터(Dhx)가 기억되어 있다. 제 1 연산 회로(325)는 제 1 보정 데이터(Dhy)와 제 2 보정 데이터(Dhx)에 의거하여 화소 보정 데이터(DH)를 생성한다. 화소 보정 데이터(DH)는 화소 보정 데이터 메모리(326)에 기억된다. 입력 계조 데이터(Din)는 화소 보정 데이터(DH)에 의해서 보정되고, 출력 계조 데이터(Dout)로서 출력됨으로서 상기 과제를 해결한다.

Description

전기 광학 장치, 그 구동 회로와 구동 방법 및 전자 기기{ELECTRO-OPTICAL DEVICE, DRIVING CIRCUIT AND DRIV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등의 전기 광학 소자를 사용한 전기 광학 장치와 그 구동 회로 및 구동 방법 및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를 대체하는 전기 광학 장치로서, 유기 발광 다이오드 소자(이하, OLED 소자로 칭함)를 구비한 장치가 주목되고 있다.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소자는 전기적으로는 다이오드와 같이 동작하고, 광학적으로는 순바이어스 시에 발광하여 순바이어스 전류의 증가에 따라 발광 휘도가 증가한다.
OLED 소자를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한 전기 광학 장치는 액티브형과 패시브형으로 대별된다. 양쪽 모두 여러 요인에 의해 OLED 소자에 흐르는 전류가 불균일하게 분포된다. 액티브형 전기 광학 장치는 복수의 주사선과 복수의 데이터선을 구비하고, 주사선과 데이터선의 교차에 대응하여 화소 회로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각 화소 회로는 각 OLED 소자에 전류를 공급하는 TFT(Thin Film Transistor:박막 트랜지스터)를 가진다. 액티브형 전기 광학 장치는 TFT의 특성이나 아날로그 데이터의 기입 정밀도 등에 기인하여 OLED 소자에 흐르는 전류가 불균일하게 분포된다. 한편, 패시브형 전기 광학 장치에서는 전류 경로의 저항 성분이나 용량 성분의 영향으로, 일정시간 내에 OLED 소자에 공급하는 전류가 불균일하게 분포된다.
OLED 소자에 흐르는 전류의 편차를 개선하는 기술로서, 각 OLED 소자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에 의거하여 보정값을 생성하여, 화상 데이터를 보정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일본국 특개평 2003-202836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기술과 같이 화소마다 전류를 측정하는 것은 모든 화소에 대해서 전류를 측정하는데 시간이 걸린다. 특히, 대화면 전기 광학 장치에서는 화소수가 많기 때문에 큰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간이 계측으로 보정을 실행할 수 있는 전기 광학 장치와 그 구동 회로 및 구동 방법 및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 과제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회로는 복수의 전기 광학 소자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화소 영역을 구비한 전기 광학 장치를 구동하는 것으로서, 상기 전기 광학 소자의 발광 휘도를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보정하기 위하여 이용되고, 상기 화소 영역을 분할한 복수의 블록에 각각 대응하는 블록 보정 데이터를 기억하는 보정 데이터 기억 수단과, 상기 블록 보정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 데이터를 보정하는 보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블록 단위로 블록 보정 데이터를 기억하므로, 보정 데이터 기억 수단의 기억 용량을 삭감할 수 있다. 여기서, 블록 보정 데이터에 의거한다는 것은 블록 보정 데이터를 직접 사용하는 경우와 그 후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정하는 경우의 양자가 포함된다. 보정 데이터 기억 수단은 불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기 광학 소자는 전기 에너지에 의해서 광학 특성이 변화하는 소자를 의미하고, 유기 발광 다이오드나 무기 발광 다이오드등의 자발광 소자가 포함된다. 또한, 블록의 분할 방법으로서는 랜덤으로 휘도의 편차를 측정한 경우와 비교하여, 블록마다 휘도 편차가 커지도록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차의 요인으로서는 1개의 드라이버 내에서의 출력 편차, 복수개의 드라이버를 사용하는 경우에서 드라이버 사이의 출력의 편차, 전기 광학 소자를 포함하는 화소 회로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과정에서의 편차, 전기 광학 소자를 형성하는 과정에서의 편차가 포함된다. 따라서,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과정에서의 편차가 반영되도록 블록을 분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동 회로에서, 상기 복수의 블록은 서로 다른 구분 방법에 의해서 분할된 복수의 블록 그룹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전기 광학 소자 각각이 2 이상의 상기 블록 그룹에 속하고, 상기 블록 보정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블록 그룹에 속하는 복수 계통의 데이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정 수단은 복수 계통의 상기 블록 보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데이터를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전기 광학 소자가 복수의 블록 그룹에 포함되므로, 복수 계통의 블록 보정 데이터로부터 정확하게 제어 데이터를 보정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예를 들면, 전기 광학 소자가 m행 n열에 배열되어 있는 경우, 제 1 블록 그룹으로서 행방향에 m개의 블록으로 분할하는 한편, 제 2 블록 그룹으로서 열방향에 n개의 블록으로 분할할 수도 있다.
상술한 구동 회로에서, 상기 보정 수단은 상기 블록 보정 데이터에 연산을 실시하여, 화소마다의 화소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연산 수단과, 상기 화소 보정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한 상기 화소 보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데이터를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는 화소 보정 데이터를 기억 수단에 보존하므로, 항상 연산 처리를 실행하여 화소 보정 데이터를 생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연산 수단은 실시간으로 화소 보정 데이터를 생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구성을 간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기 광학 장치에 전원이 투입된 직후의 초기화 기간에 연산 수단을 이용하여 화소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여 기억 수단에 보존하면 된다. 또한, 기억 수단은 SRAM이나 D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로 할 수도 있다.
상술한 구동 회로에서, 상기 보정 수단은 상기 제어 데이터의 제어 대상이 되는 화소를 특정하는 특정 수단과, 상기 블록 보정 데이터에 연산을 실시하여, 상기 특정 수단에 의해서 특정된 화소에 대해서 화소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연산 수단을 구비하고, 생성된 상기 화소 보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데이터를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는 실시간으로 화소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므로, 이것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마련할 필요가 없어진다.
상술한 구동 회로에서, 상기 제어 데이터는 상기 전기 광학 소자의 발광 휘도를 제어 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블록 그룹의 각각에 대응한 개별 제어 데이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정 수단은 상기 개별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블록 그룹의 상기 블록 보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개별 제어 데이터를 보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블록 그룹이 행방향으로 분할된 제 1 블록 그룹과 열방향으로 분할된 제 2 블록 그룹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열방향으로 배치되는 각 데이터선에 구동 전류 또는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데이터선 구동 회로에서, 제 1 블록 그룹에 대응하는 보정을 실행하고, 각 행에 배치되는 전기 광학 소자의 발광 기간을 주사선 구동 회로로 제어하고 제 2 블록 그룹에 대응하는 보정을 실행할 수도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는 상술한 구동 회로와, 전류에 의해서 구동되는 복수의 전기 광학 소자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화소 영역과, 상기 화소 영역을 분할한 복수의 블록에 각각 대응하는 화상 패턴을 차례로 표시시키는 화상 제어 수단과, 상기 전기 광학 소자에 공급되는 전류를 상기 블록마다 계측하여 블록 전류로서 출력하는 전류 계측 수단과, 소정의 기준 전류값에 대한 상기 블록 전류의 차분에 의거하여 상기 블록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보정 데이터 생성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 광학 장치 자신이 전류 계측 수단을 구비하므로, 경시 변화에 의해서 전기 광학 장치의 구성 요소의 전기적 특성이 변화하여도, 이를 고려하여 제어 데이터를 보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상기 전기 광학 소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는 상기 전기 광학 장치를 표시 수단으로써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 퍼스널 컴퓨터, 디지털 카메라, PDA, 계산기 등이 그에 해당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은 복수의 전기 광학 소자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화소 영역과, 상기 전기 광학 소자의 발광 휘도를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단과, 상기 화소 영역을 서로 다른 구분 방법에 의해 분할한 복수의 블록 그룹의 각각에 대해서 상기 블록마다 상기 제어 데이터를 보정하기 위한 블록 보정 데이터를 기억하는 수단을 구비한 전기 광학 장치를 구동하는 것으로서, 복수 계통의 상기 블록 보정 데이터에 연산을 실시하여 화소마다의 화소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화소 보정 데이터를 기억하고, 기억한 상기 화소 보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데이터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소 보정 데이터를 기억하므로, 항상 연산 처리를 실행하여 화소 보정 데이터를 생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연산 처리의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은 복수의 전기 광학 소자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화소 영역과, 상기 전기 광학 소자의 발광 휘도를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단과, 상기 화소 영역을 서로 다른 구분 방법에 의해 분할한 복수의 블록 그룹의 각각에 대해서 상기 블록마다 상기 제어 데이터를 보정하기 위한 블록 보정 데이터를 기억하는 수단을 구비한 전기 광학 장치를 구동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어 데이터의 제어 대상이 되는 화소를 특정하고, 상기 블록 보정 데이터에 연산을 실시하여, 특정된 화소에 대해서 화소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화소 보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데이터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시간으로 화소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므로, 화소 보정 데이터의 기억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은 복수의 전기 광학 소자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화소 영역과, 상기 화소 영역을 서로 다른 구분 방법에 의해 분할한 복수의 블록 그룹의 각각에 대해서 상기 블록마다 블록 보정 데이터를 기억한 수단을 구비한 전기 광학 장치를 구동하는 것으로서, 상기 전기 광학 소자의 발광 휘도를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블록 그룹의 각각에 대응한 개별 제어 데이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별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블록 그룹의 상기 블록 보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개별 제어 데이터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블록 단위로 보정을 실행함으로써, 보정 처리를 간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에서, 상기 전기 광학 소자는 전류에 의해서 구동되고, 상기 화소 영역을 분할한 복수의 블록에 각각 대응하는 화상 패턴을 차례로 표시시키고, 상기 블록마다 상기 전기 광학 소자에 공급되는 전류를 블록 전류로서 계측하고, 소정의 기준 전류값에 대한 상기 블록 전류의 차분에 의거하여 상기 블록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류 계측을 실행하므로, 경시 변화에 의한 전기 광학 장치의 구성 요소의 전기적 특성이 변화하여도, 이를 고려하여 제어 데이터를 보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전기 광학 장치(1)는 화소 영역(A), 주사선 구동 회로(100), 데이터선 구동 회로(200), 제어 회로(300) 및 전원 회로(550)를 구비한다. 그 중, 화소 영역(A)에는 X 방향과 평행한 m개의 주사선(101) 및 m개의 발광 제어선(102)이 형성된다. 또한, X 방향과 직교하는 Y 방향과 평행한 n개의 데이터선(103)이 형성된다. 또한, 주사선(101)과 데이터선(103)의 각 교차에 대응하여 화소 회로(40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화소 회로(400)는 OLED 소자를 포함한다. 또한, 각 화소 회로(400)에는 전원 전압(Vdd)이 전원선(L)을 통해 공급된다.
주사선 구동 회로(100)는 복수의 주사선(101)을 차례로 선택하기 위한 주사 신호(Y1, Y2, Y3, …, Ym)를 생성하는 동시에 발광 제어 신호(Vg1, Vg2, Vg3, …, Vgm)를 생성한다. 주사 신호(Y1)는 Y 전송 개시 펄스(DY)를 Y 클록 신호(YCLK)에 동기(同期)하여 차례로 전송함으로써 생성된다. 발광 제어 신호(Vg1, Vg2, Vg3, …, Vgm)는 각 발광 제어선(102)을 통해 각 화소 회로(400)에 각각 공급된다. 도 2에 주사 신호(Y1 내지 Ym)와 발광 제어 신호(Vg1 내지 Vgm)의 타이밍 차트의 일례를 나타낸다.
주사 신호(Y1)는 1 수직 주사 기간(1F)의 최초 타이밍으로부터, 1 수평 주사 기간(1H)에 상당하는 폭의 펄스이며, 1행째의 주사선(101)으로 공급된다. 이후, 이 펄스를 차례로 시프트하여, 2, 3, …, m 행째의 주사선(101)의 각각에 주사 신호(Y2, Y3, …, Ym)로서 공급한다. 일반적으로 i(i는 1≤i≤m을 만족하는 정수)행째의 주사선(101)에 공급되는 주사 신호(Yi)가 H 레벨이 되면, 상기 주사선(101)이 선택된 것을 나타낸다. 또한, 발광 제어 신호(Vg1, Vg2, Vg3, …, Vgm)로서는 예를 들면, 주사 신호(Y1, Y2, Y3, …, Ym)의 논리 레벨을 반전한 신호를 사용한다.
데이터선 구동 회로(200)는 출력 계조 데이터(Dout)에 의거하여, 선택된 주사선(101)에 위치하는 화소 회로(400)의 각각에 대해 계조 신호(X1, X2, X3, …, Xn)를 공급한다. 이 예에서, 계조 신호(X1 내지 Xn)는 계조 휘도를 지시하는 전류 신호로서 주어진다. 데이터선 구동 회로(200)는 시프트 레지스터, 래치 회로, n개의 데이터선(103)에 각각 대응한 전류 출력 형태의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를 가지고 있다. 시프트 레지스터는 X 전송 개시 펄스(DX)를 X 클록 신호(XCLK)에 동기하여 차례로 전송하고, 점차 래치 신호를 생성한다. 래치 회로는 래치 신호를 이용하여 출력 계조 데이터(Dout)를 래치한다. 그 출력 신호가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로 DA 변환되고 계조 신호(X1 내지 Xn)가 생성된다.
제어 회로(300)는 타이밍 생성부(310)와 보정부(320)를 구비한다. 타이밍 생성부(310)는 Y 클록 신호(YCLK), X 클록 신호(XCLK), X 전송 개시 펄스(DX), Y 전송 개시 펄스(DY) 등의 각종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이들을 주사선 구동 회로(100) 및 데이터선 구동 회로(200)에 출력한다. 또한, 보정부(32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입력 계조 데이터(Din)에 보정 처리를 가하여 출력 계조 데이터(Dout)를 생성한다. 보정부(320)의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어서, 화소 회로(4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에, 화소 회로(400)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동 도면에 나타낸 화소 회로(400)는 i행째에 대응하는 것이며, 전원 전압(Vdd)이 공급된다. 화소 회로(400)는 4개의 TFT(401 내지 404)와 용량 소자(410) 및 OLED 소자(420)를 구비한다. TFT(401 내지 404)의 제조 과정에서는 레이저 어닐링 쇼트를 이용하여 유리 기판 위에 폴리실리콘층이 형성된다. 또한, OLED 소자(420)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 발광층이 삽입되어 있다. 또한, OLED 소자(420)는 순방향 전류에 대응한 휘도로 발광한다. 발광층에는 발광색에 따른 유기 EL(Electronic Luminescence) 재료가 이용된다. 발광층의 제조 과정에서는 잉크젯 방식의 헤드로부터 유기 EL 재료를 액체방울로서 토출하고, 이를 건조시킨다.
구동 트랜지스터인 TFT(401)는 p채널형, 스위칭 트렌지스터인 TFT(402 내지 404)는 n채널형이다. TFT(401)의 소스 전극은 전원선(L)에 접속되는 한편, 그 드레인 전극은 TFT(403)의 드레인 전극, TFT(404)의 드레인 전극 및 TFT(402)의 소스 전극에 각각 접속된다.
용량 소자(410)의 일단부는 TFT(401)의 소스 전극에 접속되는 한편, 기타 단부는 TFT(401)의 게이트 전극 및 TFT(402)의 드레인 전극에 각각 접속된다. TFT(403)의 게이트 전극은 주사선(101)에 접속되고, 그 소스 전극은 데이터선(103)에 접속된다. 또한, TFT(402)의 게이트 전극은 주사선(101)에 접속된다. 한편, TFT(404)의 게이트 전극은 발광 제어선(102)에 접속되고, 그 소스 전극은 OLED 소자(420)의 양극에 접속된다. TFT(404)의 게이트 전극에는 발광 제어선(102)을 통하여 발광 제어 신호(Vgi)가 공급된다. 또한, OLED 소자(420)의 음극은 화소 회로(400) 전체에 걸쳐 공통된 전극으로서, 전원에서의 저위(기준) 전위이다.
이러한 구성에서, 주사 신호(Yi)가 H 레벨이 되면, n채널형 TFT(402)가 온(on) 상태가 되므로, TFT(401)는 게이트 전극과 드레인 전극이 서로 접속된 다이오드로서 기능한다. 주사 신호(Yi)가 H 레벨이 되면, n채널형 TFT(403)도, TFT(402)와 마찬가지로 온 상태가 된다. 이 결과, 데이터선 구동 회로(200)의 전류(Idata)가, 전원선(L)→TFT(401)→TFT(403)→데이터선(103)의 경로로 흐르는 것과 동시에, 그 때에, TFT(401)의 게이트 전극의 전위에 따른 전하가 용량 소자(410)에 축적된다.
주사 신호(Yi)가 L 레벨이 되면, TFT(403, 402)는 함께 오프(off) 상태가 된다. 이 때, TFT(401)의 게이트 전극에서의 입력 임피던스는 매우 높기 때문에, 용량 소자(410)에서의 전하의 축적 상태는 변화하지 않는다. TFT(401)의 게이트·소스간 전압은 전류(Idata)가 흘렀을 때의 전압에 보관 유지된다. 또한, 주사 신호(Yi)가 L 레벨이 되면, 발광 제어 신호(Vgi)가 H 레벨이 된다. 이 때문에, TFT(404)가 온 되고, TFT(401)의 소스·드레인 사이에는 그 게이트 전압에 따른 주입 전류(Ioled)가 흐른다. 상세하게는 이 전류는 전원선(L)→TFT(401)→TFT(404)→OLED 소자(420)의 경로로 흐른다.
여기서, OLED 소자(420)에 흐르는 주입 전류(Ioled)는 TFT(401)의 게이트·소스간 전압으로 정해지지만, 그 전압은 H 레벨의 주사 신호(Yi)에 의해서 전류(Idata)가 데이터선(103)으로 흘렀을 때에, 용량 소자(410)에 의해서 보관 유지된 전압이다. 이 때문에, 발광 제어 신호(Vgi)가 H 레벨이 되었을 때에, OLED 소자(420)로 흐르는 주입 전류(Ioled)는 직전에 흐른 전류(Idata)에 대략 일치한다. 이와 같이 화소 회로(400)는 전류(Idata)에 의해서 발광 휘도를 규정하는 것에서, 전류 프로그램 방식의 회로이다.
OLED 소자(420)의 발광 휘도는 주입 전류(Ioled)에 대응한 것이 되지만, 실제의 전기 광학 장치(1)에서는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서 주입 전류(Ioled)가 불균일하게 분포된다. 이 때문에, 휘도 얼룩이 발생하여 전기 광학 장치(1)의 표시 품질이 열화되는 경우가 있다. 주입 전류(Ioled)의 편차에 주목하면, 화소 영역(A)은 도 4에 나타낸 블록(B)에 분할하여 생각할 수 있다. 도 4의 (a)는 화소 영역(A)을 행방향으로 분할한 것이고, 도 4의 (b)는 화소 영역(A)을 열방향으로 분할한 것이며, 도 4의 (c)는 화소 영역(A)을 종횡의 위치에 따라 분할한 것이고, 도 4의 (d)는 화소 영역(A)을 좌우로 2 분할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선 구동 회로(200)는 n개의 전류 출력 형태의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를 구비한다. 따라서,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의 특성이 불균일하게 분포되면, 도 4의 (b)에 나타낸 블록(B) 사이로 발광 휘도가 불균일하게 분포되게 된다.
또한, 화소 회로(400)의 TFT(401 내지 404)는 상술한 바와 같이 레이저 어닐링 쇼트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레이저 어닐링 공정에서는 복수의 레이저 광원을 소정 방향으로 주사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이 때문에, 레이저 광원 사이로 광량이 불균일하게 분포되는 경우가 있고, 또한, 주사가 진행되는 과정에서도 광량이 불균일하게 분포되는 경우가 있다. 광량의 편차는 폴리실리콘층의 전기적인 특성에 영향을 주게 되므로, TFT(401 내지 404)의 전기적 특성이 불균일하게 분포되게 된다. 예를 들면, 레이저 쇼트의 주사 방향이 열방향인 경우에는 레이저 광원의 광량의 상이에 기인하여 도 4의 (b)에 나타낸 블록(B) 사이로 발광 휘도가 불균일하게 분포되는 동시에, 주사 진행 과정에서의 광량의 상이에 기인하여 도 4의 (a)에 나타낸 블록(B) 사이로 발광 휘도가 불균일하게 분포된다.
또한, OLED 소자(420)의 발광층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잉크젯 방식으로 유기 EL 재료를 도포한 후, 건조하여 형성된다. 도포 공정에서는 복수의 헤드로부터 유기 EL 재료를 액체방울로서 토출하면서 소정 방향으로 주사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이 때문에, 헤드 사이에서 액체방울의 크기가 불균일하게 분포되는 경우가 있고, 또한, 주사가 진행되는 과정에서도 액체방울의 크기가 불균일하게 분포되는 경우가 있다. 액체방울 크기의 편차는 발광층의 전기적인 특성에 영향을 주므로, OLED 소자(420)의 발광 특성이 불균일하게 분포되게 된다. 예를 들면, 잉크젯의 주사 방향이 행방향인 경우에는 헤드 사이의 액체방울량의 상이에 기인하여 도 4의 (a)에 나타낸 블록(B)의 사이로 발광 휘도가 불균일하게 분포되는 동시에, 주사 진행 과정에서의 액체방울량의 상이에 기인하여 도 4의 (b)에 나타낸 블록(B) 사이로 발광 휘도가 불균일하게 분포된다. 또한, 건조 공정에서는 열의 구배에 기인하여 발광층의 전기적인 특성이 불균일하게 분포된다. 이 때문에, OLED 소자(420)의 화소 영역(A)에서의 위치에 의해서 발광 휘도가 불균일하게 분포되게 된다. 따라서, 도 4의 (c)로 나타낸 블록 사이로 발광 휘도가 불균일하게 분포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데이터선 구동 회로(200)를 복수의 IC 모듈로 구성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IC 모듈간의 전기적인 특성이 불균일하게 분포되면 발광 휘도가 불균일하게 분포된다. 예를 들어, 데이터선 구동 회로(200)를 2개의 IC 모듈로 구성하는 경우는 도 4의 (d)에 나타낸 블록 사이로 발광 휘도가 불균일하게 분포되게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4의 (a) 내지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소 영역(A)을 소정의 규칙에 따라 분할한 블록(B)의 집단을 블록 그룹(BG)으로 칭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발광 휘도는 OLED 소자(420)로의 주입 전류(Ioled)에 비례한다. 또한, 1 화소의 OLED 소자(420)만을 발광시켰을 때의 전원 전류는 상기 OLED 소자(420)의 주입 전류(Ioled)이다. 따라서, 각 화소의 휘도 편차는 주입 전류(Ioled)의 편차로부터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어느 블록(B)의 OLED 소자(420)만을 발광시켰을 때의 전원 전류를 블록 전류(Ib)로 했을 때, 화소마다의 주입 전류(Ioled)는 다른 블록 그룹(BG)에 속하는 복수의 블록 전류(Ib)로부터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의 (a)에 나타낸 행방향으로 분할한 블록(B)의 집단을 제 1 블록 그룹(BG1), 도 4의 (b)에 나타낸 열방향으로 분할한 블록(B)의 집단을 제 2 블록 그룹(BG2)이라 하였을 때, 제 1행 제 1열에 위치하는 화소의 주입 전류(Ioled)는 제 1 블록 그룹(BG1)에 속하는 제 1행째의 블록 전류(Ib)와 제 2 블록 그룹(BG2)에 속하는 제 1번째의 블록 전류(Ib)에 의거하여 특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블록 그룹(BG1)과 제 2 블록 그룹(BG2)에 대해서 블록 전류(Ib)를 계측하고, 계측한 블록 전류(Ib)에 의거하여, 휘도의 편차를 보정하는 보정 데이터(DH)를 미리 생성하고, 이것을 불휘발성 메모리에 기억해 둔다. 이 예의 보정 데이터(DH)는 행방향으로 분할된 m개의 블록(B)에 대응한 제 1 보정 데이터(Dhy)와, 열방향으로 분할된 n개의 블록(B)에 대응하고 제 2 보정 데이터(Dhx)로부터 구성된다. 보정부(320)는 제 1 보정 데이터(Dhy) 및 제 2 보정 데이터(Dhx)가 기억된 불휘발성 메모리를 구비한다. 또한, 불휘발성 메모리로의 데이터의 기입은 전기 광학 장치(1)의 검사 공정에서 블록 전류(Ib)를 계측하고, 계측 결과에 의거하여 기입하면 된다.
도 5에 보정부(320)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보정부(320)는 Y 클록 신호(YCLK)를 카운트하여 행 어드레스 신호(YADR)를 출력하는 행 어드레스 카운터(321)와 X 클록 신호(XCLK)를 카운트하여 열 어드레스 신호(XADR)를 출력하는 열 어드레스 카운터(322)를 구비한다. 제 1 보정 데이터 메모리(323) 및 제 2 보정 데이터 메모리(324)는 제 1 보정 데이터(Dhy) 및 제 2 보정 데이터(Dhx)를 미리 기억한 불휘발성 메모리이다. 제 1 보정 데이터(Dhy)는 m개의 데이터(Dhy1, Dhy2, … Dhym)로부터 구성되고, 제 2 보정 데이터(Dhx)는 n개의 데이터(Dhx1, Dhx2, … Dhxn)로부터 구성된다. 또한, i행째를 지시하는 행 어드레스 신호(YADR)가 제 1 보정 데이터 메모리(323)로 공급되면 제 1 보정 데이터(Dhyi)가 출력되고, j번째를 지시하는 열 어드레스 신호(XADR)가 제 2 보정 데이터 메모리(324)로 공급되면 제 2 보정 데이터(Dhxj)가 출력된다.
연산 회로(325)는 제 1 보정 데이터(Dhy)와 제 2 보정 데이터(Dhx)에 연산 처리를 실시해 화소 보정 데이터(DH)를 생성한다. 화소 보정 데이터(DH)는 화소마다 보정값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i행째의 제 1 보정 데이터(Dhyi)와 j번째의 제 2 보정 데이터(Dhxj)에 의거하여, i행 j열의 화소 보정 데이터(DHij)가 생성된다.
생성된 화소 보정 데이터(DH)는 화소 보정 데이터 메모리(326)에 기억된다. 화소 보정 데이터 메모리(326)는 예를 들면, SRAM이나 D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에 의해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 1 보정 데이터(Dhy)와 제 2 보정 데이터(Dhx)에 의거하여 화소 보정데이터(DH)를 생성하고, 이를 화소 보정 데이터 메모리(326)에 기억하는 일련의 처리는 전기 광학 장치(1)로 전원을 투입한 직후의 초기화 기간에 실행된다. 따라서, 초기화 기간에 계속되는 표시 기간에서는 화소 보정 데이터 메모리(326)로부터 화소 보정 데이터(DH)를 판독해 내는 것만으로 좋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화소 보정 데이터(DH)를 생성할 필요는 없다.
또한, 표시 기간에서는 행 어드레스 신호(YADR) 및 열 어드레스 신호(XADR)가 화소 보정 데이터 메모리(326)에 공급되고, 지정된 화소의 화소 보정 데이터(DH)가 판독된다. 제 2 연산 회로(327)는 화소 보정 데이터(DH)를 이용하여 입력 계조 데이터(Din)를 보정하여 출력 계조 데이터(Dout)를 생성한다.
제 1 연산 회로(325)의 연산 처리는 가산, 감산, 승산, 또는 제산 또는 이들의 조합을 취득한다. 제 2 연산 회로(327)의 연산 처리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 1 및 제 2 연산 회로(325, 327)가 적어도 한편을, 입력값과 출력값을 대응시켜 기억한 룩업테이블에 옮겨놓는 것도 가능하다. 룩업테이블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입력값과 출력값의 사이에 비선형 특성을 가지게 할 수 있다.
여기서, 각 화소를 소정의 휘도로 발광시키는 경우, 소정의 휘도에 대응하는 주입 전류(Ioled)의 값을 기준 전류값(Iref)으로 한다. 실제의 전기 광학 장치(1)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서, 주입 전류(Ioled)의 값이 기준 전류값(Iref)에 대해서 불균일하게 분포된다. 상술한 제 1 보정 데이터(Dhy)는 행방향의 편차를 블록(B)마다 보정하는 데이터이고, 제 2 보정 데이터(Dhx)는 열방향의 편차를 블록(B)마다 보정하는 데이터이다. 예를 들면, 화소의 편차가 행방향의 편차와 열방향의 편차의 가산으로 주어질 경우에는 i행 j열의 화소 보정 데이터(DHij)는 식(1)과 같다.
DHij=Dhyi+Dhxj … (1)
이 경우, 제 1 연산 회로(325)는 가산 회로에 의해서 구성된다.
예를 들면, 화소 영역(A)이 5행 5열의 블록(B)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블록 그룹(BG1)에 대응하는 제 1 보정 데이터(Dhy)가 Dhy1=0, Dhy2=1, Dhy3=2, Dhy4=-3, Dhy5=1이며, 제 2 블록 그룹(BG2)에 대응하는 제 2 보정 데이터(Dhx)가 Dhx1=0, Dhx2=1, Dhx3=-2, Dhx4=0, Dhx5=2인 것으로 한다. 이 경우, 화소 보정 데이터(DH)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다.
또한, 화소의 편차가 행방향의 편차와 열방향의 편차의 곱으로 주어지는 경우에는 i행 j열의 화소 보정 데이터(DHij)는 식(2)와 같다.
DHij=Dhyi×Dhxj … (2)
이 경우, 제 1 연산 회로(325)는 승산 회로에 의해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미리 화소 보정 데이터(HD)를 불휘발성 메모리에 기억해 두는 것이 아니라, 블록 그룹마다 제 1 보정 데이터(Dhy) 및 제 2 보정 데이터(Dhx)를 불휘발성 메모리하므로, 불휘발성 메모리의 기억 용량을 큰 폭으로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전기 광학 장치(1)의 전기적 특성에 따른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에서는 화소마다 주입 전류(Ioled)를 측정할 필요는 없고,블록(B)마다의 측정으로 충분하므로, 보정 데이터를 생성할 시간을 큰 폭으로 단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소 영역(A)이 m행 n열로 구성되는 경우, 화소마다의 편차를 직접 측정하기 위하여는 n·m회의 측정이 필요하지만, 블록 그룹(BG)마다 측정하는 본 실시예에서는 n+m회의 측정으로 계측을 완료하는 것이 가능하다.
<2. 제 2 실시예>
상술한 제 1 실시예에서는 제 1 보정 데이터(Dhy) 및 제 2 보정 데이터(Dhx)를 미리 기억한 불휘발성 메모리를 구비했지만,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2)는 전원 전류를 계측하여 제 1 보정 데이터(Dhy) 및 제 2 보정 데이터(Dhx)를 생성하는 점에서 제 1 실시예와 상이하다.
도 8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2)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전류계(500)는 전원선(L)을 흐르는 전원 전류의 계측 결과를 블록 전류 기억부(600)로 출력한다. 블록 전류 기억부(600)는 전원 전류값을 블록 전류(Ib)값으로서 기억한다. 보정 데이터 생성 회로(700)는 블록 전류 기억부(600)에 기억한 블록 전류(Ib)의 값에 의거하여, 제 1 보정 데이터(Dhy) 및 제 2 보정 데이터(Dhx)를 생성한다. 또한, 보정 데이터 생성 회로(700)는 화상 패턴 작성 회로(800)에 대해서 화상 패턴을 지시하는 지시 신호를 출력한다. 화상 패턴 작성 회로(800)는 제 1 블록 그룹(BG1) 및 제 2 블록 그룹(BG2)의 각 블록(B)을 소정의 휘도로 발광시키는 화상 패턴 신호(GS)를 생성하고, 이를 제어 회로(300)에 차례로 출력한다.
이상의 구성에서, 모든 블록(B)에 대하여 블록 전류(Ib)를 계측하고, 이어서, 보정 데이터(Dh)를 생성한다. 도 9에 블록 전류(Ib)를 계측하는 처리의 플로우 차트를 나타낸다. 우선, 전기 광학 장치(2)의 전원이 투입된다(스텝 S1). 그 후, 전기 광학 장치(2)에서 화상 표시의 제어/구동이 개시된다(스텝 S2). 이어서, 보정 데이터 생성 회로(700)는 제 1 블록 그룹(BG1), 제 2 블록 그룹(BG2)의 순서로 화상 패턴을 생성하도록 지시 신호를 생성하고, 이에 따라 화상 패턴 작성 회로(800)가 화상 패턴 신호(GS)를 생성한다(스텝 S3). 구체적으로는 제 1 블록 그룹(BG1)의 각 블록(B)에 대해서 제 1행 →제 2행 →…→제 m행의 순서로 발광시키는 화상 패턴을 작성시킨다. 이어서, 제 2 블록 그룹(BG2)의 각 블록(B)에 대해서 제 1열→제 2열→…→제 n열의 순서로 발광시키는 화상 패턴을 작성시킨다. 여기서, 화상 패턴은 대상이 되는 블록(B)이 균일한 소정 휘도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고, 또한, 블록간의 휘도도 같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어서, 어느 블록(B)이 발광하면 전류계(500)를 이용하여 전원 전류가 계측된다(스텝 S4). 이 전원 전류가 블록 전류(Ib)가 된다. 이어서, 계측된 블록 전류(Ib)가 블록 전류 기억부(600)로 기억된다(스텝 S5). 그 후, 보정 데이터 생성 회로(700)는 모든 블록(B)에 대해서 측정이 종료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 S6). 스텝 S6의 판정 조건이 부정되면, 보정 데이터 생성 회로(700)는 다음 화상패턴을 지시하는 지시 신호를 출력하고, 이를 받아 화상 패턴 작성 회로(800)가 변경한 화상 패턴 신호(GS)를 전기 광학 장치(2)에 공급한다. 또한, 모든 블록(B)에 대해서 측정이 종료되면 블록 전류(Ib)의 계측 처리가 종료된다.
이어서, 보정 데이터 생성 회로(700)는 블록 전류(Ib)에 의거하여 제 1 보정 데이터(Dhy) 및 제 2 보정 데이터(Dhx)를 생성한다. 제 1 보정 데이터(Dhy) 및 제 2 보정 데이터(Dhx)는 예를 들면, 이하에 나타낸 식 (3) 및 (4)에 따라 산출한다.
Dhy=-(행마다의 전류/1 행의 화소수-(Iref)) … (3)
Dhx=-(열마다의 전류/1 열의 화소수-(Iref)) … (4)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생성된 제 1 보정 데이터(Dhy) 및 제 2 보정 데이터(Dhx)는 보정부(320)의 제 1 보정 데이터 메모리(323) 및 제 2 보정 데이터 메모리(324)에 보존된다. 또한, 제 1 실시예에서 제 1 보정 데이터 메모리(323) 및 제 2 보정 데이터 메모리(324)는 불휘발성 메모리로 구성했지만, 제 2 실시예에서는 기입을 용이하게 하는 관점에서, 휘발성 메모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화소마다의 주입 전류(Ioled)를 계측하는 것이 아니라, 블록(B)마다의 주입 전류(Ioled)를 계측하여 제 1 보정 데이터(Dhy) 및 제 2 보정 데이터(Dhx)를 생성하므로, 단시간에 계측을 종료할 수 있다. 또한, 전기 광학 장치(2)에 계측 기능을 내장함으로써, 온도 특성이나 외광 등의 주위 환경 및 경시 변화에 따른 보정 처리가 가능해진다.
<3. 응용예>
(1) 상술한 제 1 및 제 2 실시예에서는 보정부(320)에서, 화소 보정 데이터 메모리(326)를 설치했지만,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소 보정 데이터 메모리(326)를 생략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제 1 연산 회로(325)에서 화소 보정 데이터(DH)를 실시간으로 생성할 필요가 있지만, 메모리 용량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2) 상술한 제 1 및 제 2 실시예에서는 단일색의 전기 광학 장치(1 또는 2)를 일례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컬러 표시의 전기 광학 장치(1 또는 2)를 대상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복수 종류의 발광색을 가지는 OLED 소자(420)를 사용하거나, 또는 단색의 OLED 소자와 컬러 필터 등의 색변환층을 조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낸 전기 광학 장치(2)를 구성하면 된다. 도 11에서 나타낸 「R」,「G」 및 「B」의 부호는 각각 「빨강」,「초록」 및 「파랑」을 의미하고, OLED 소자(420)의 발광색을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서는 데이터선(103)을 따라 각 색의 화소 회로(400)가 배열되어 있다. 또한, 각 화소 회로(400) 중, R색에 대응하는 화소 회로(400)는 전원선(LR)과 접속되어 있고, G색에 대응하는 화소회로(400)는 전원선(LG)와 접속되어 있고, B색에 대응하는 화소 회로(400)은 전원선(LB)에 접속되어 있다. 전원 전압(Vddr, Vddg, Vddb)이 전원선(LR, LG, LB)을 통해서 RGB 각 색에 대응하는 화소 회로(400)에 공급된다.
또한, 전류계(500)는 각 전원선(LR, LG, LB)에 흐르는 전류를 각각 검출한다. 도 12를 참조하여, 행방향의 제 1 블록 그룹(BG1)의 블록(B)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행방향의 블록(B)에는 RGB색의 화소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발광색이 상이한 OLED 소자(420)에서는 발광 효율이 다르므로 기준 전류값(Iref)이 상이하다. 이 때문에, 보정 데이터(DH)의 발광색에 대응하여 생성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록(B)을 발광색마다의 서브 블록(Br, Bg, Bb)의 집단으로 잡고, 서브 블록(Br, Bg, Bb)마다 블록 전류(Ib)를 계측하여, 제 1 보정 데이터(Dhy) 및 제 2 보정 데이터(Dhx)를 생성하면 된다.
또한, 이 예에서는 전류계(500)를 각 전원선(LR, LG, LB)에 설치하므로, RGB 각 색에 대응하는 블록 전류(Ib)를 동시에 계측할 수 있지만, 전류계(500)를 1개로서 각 색에 대응하는 화상 패턴을 차례로 표시시킬 수도 있다.
(3) 상술한 제 2 실시예 및 응용예에서, 전류계(500)는 전원 전류가 정상 상태에서 일정값을 나타내는 타이밍으로 순간 전류를 측정할 수도 있고, 또는 어느 시간으로 평균화된 평균 전류를 측정해도 좋다. 예를 들면, 패시브형 전기 광학 장치(1)에서는 전원 전류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화하지만, 순간 전류는 I1이 되고, 평균 전류는 I2가 된다. 또한, 액티브형 전기 광학 장치의 경우, 전원 전류는 기입 전류(비발광)와 발광 전류로 분리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기입 기간, 발광 기간 및 공백(blank) 기간의 비율 및 기입 전류값으로부터 발광에 기여하는 전원 전류값을 산출해도 좋다.
(4) 상술한 제 1 실시예, 제 2 실시예 및 응용예에서, 기준 전류값(Iref)은 미리 정해진 값이지만, 전화면의 평균 휘도에 대응하여 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행방향과 열방향에 주목하여 블록 그룹(BS)을 선정했지만, 도 4의 (c)에 나타낸 블록(B)이나 도 4의 (d)에 나타낸 블록(B)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서는 블록(B)마다의 편차를 계측했지만, 이에 더하여 화소 영역(A) 전체의 편차를 계측 결과로서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전기 광학 패널 전체에서 대충 보정하여, 블록(B)마다 상세하게 보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5) 상술한 제 1 실시예, 제 2 실시예 및 응용예에서는 출력 계조 데이터(Dout)를 조정함으로써 주입 전류(Ioled)의 편차를 보정했지만, 화소 회로(400)에 공급하는 아날로그 전압이나 아날로그 전류, 또는 발광 시간 등을 조정하여 편차를 흡수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요컨대, 주입 전류(Ioled)를 제어 가능한 데이터라면, 어떤 것이라도 보정의 대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보정의 대상이 되는 데이터의 보정값을 기억하면 된다.
(6) 또한, 제 2 실시예의 기준 전류값(Iref)은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값으로 할 수도 있고, 화소 영역(A)의 전체의 평균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직전의 화상 패턴을 표시시켰을 때의 전류로 할 수도 있고, 최초의 화상 패턴을 표시시켰을 때의 전류로 할 수도 있다.
(7) 또한, 상술한 제 1 실시예, 제 2 실시예 및 응용예에서는 화소마다의 화소 보정 데이터(DH)를 이용하여 OLED 소자(420)의 발광 휘도가 균일해지도록 보정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블록 단위의 제 1 보정 데이터(Dhy) 및 제 2 보정 데이터(Dhx)를 이용하여 OLED 소자(420)의 발광 휘도가 균일해 지도록 보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행마다의 편차는 제 1 보정 데이터(Dhy)를 이용하여 발광 기간(도 2에 나타낸 기간(T))을 조정함으로써 보정하고, 열마다의 편차는 제 2 보정 데이터(Dhx)를 이용하여 데이터선 구동 회로(200)로 보정할 수도 있다.
(8) 또한, 상술한 제 2 실시예에서, 화소 회로(400)를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이 예에서는 OLED 소자(420)와 병렬로 TFT(405)가 설치되어 있고, 그 게이트에는 소등 제어 신호(SS)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소등 제어 신호(SS)는 전류계(500)에 의한 블록 전류(Ib)의 계측 기간에서 H 레벨이 되는 신호로서, 제어 회로(300)에서 생성된다. 이 경우, 블록 전류(Ib)의 계측 기간에는 TFT(405)가 온 상태가 되고, OLED 소자(420)가 단락되므로, OLED 소자(420)가 소등된다. 만일, 계측 기간에 OLED 소자(420)로 전류를 흘리면, OLED 소자(420)가 점등하지만, 이 응용예에서는 소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4. 전자 기기>
이어서, 상술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1 또는 2)를 적용한 전자 기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에, 전기 광학 장치(1 또는 2)를 적용한 모빌형 퍼스널 컴퓨터의 구성을 나타낸다. 퍼스널 컴퓨터(2000)는 표시 유닛으로서의 전기 광학 장치(1)와 본체부(2010)를 구비한다. 본체부(2010)에는 전원 스위치(2001) 및 키보드(200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전기 광학 장치(1)는 OLED 소자(420)를 사용하므로, 시야각이 넓고 보기 쉬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6에, 전기 광학 장치(1 또는 2)를 적용한 휴대 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낸다. 휴대 전화기(3000)는 복수의 조작 버튼(3001) 및 스크롤 버튼(3002) 및 표시 유닛으로서의 전기 광학 장치(1)를 구비한다. 스크롤 버튼(3002)를 조작함으로써, 전기 광학 장치(1)에 표시되는 화면이 스크롤된다.
도 17에, 전기 광학 장치(1 또는 2)를 적용한 정보 휴대 단말(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의 구성을 나타낸다. 정보 휴대 단말(4000)은 복수의 조작 버튼(4001) 및 전원 스위치(4002) 및 표시 유닛으로서의 전기 광학 장치(1)를 구비한다. 전원 스위치(4002)를 조작하면, 주소록이나 스케줄장과 같은 각종 정보가 전기 광학 장치(1)에 표시된다.
또한, 전기 광학 장치(1 또는 2)가 적용되는 전자 기기로서는 도 15 내지 도 17에 나타낸 것 이외에, 디지털 스틸 카메라, 액정 텔레비전, 뷰파인더형, 모니터 직시형 비디오 테이프 리코더, 카 네비게이션(car-navigation) 장치, 소형 무선 호출기, 전자 수첩, 계산기, 워드프로세서, 워크스테이션, 화상 전화, POS 단말, 터치 패널을 구비한 기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각종 전자 기기의 표시부로서, 상술한 전기 광학 장치(1)가 적용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화소마다의 휘도 편차를 양호한 정밀도에 의해 고속으로 측정할 수 있고, 간이 계측으로 데이터의 보정을 행할 수 있는 전기 광학 장치와 그 구동 회로 및 구동 방법 및 전자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1)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상기 장치에서의 주사선 구동 회로의 타이밍 차트.
도 3은 상기 장치에서의 화소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 4는 화소 영역(A)의 블록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5는 상기 장치에서의 보정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상기 장치에 이용되는 제 1 보정 데이터 및 제 2 보정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낸 설명도.
도 7은 상기 장치에 이용되는 화소 보정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낸 설명도.
도 8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2)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9는 상기 장치의 계측 처리 내용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10은 응용예에 따른 보정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11은 응용예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12는 컬러 표시의 전기 광학 장치에서의 블록을 구성하는 서브 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3은 응용예에 따른 전원 전류를 계측하기 위한 설명도.
도 14는 응용예에 따른 화소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 15는 상기 장치를 적용한 모바일형 퍼스널 컴퓨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상기 전기 광학 장치를 적용한 휴대 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상기 전기 광학 장치를 적용한 휴대 정보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전기 광학 장치
300 : 제어 회로
320 : 보정부
400 : 화소 회로
420 : 유기 발광 다이오드
500 : 전류계
600 : 블록 전류 기억부
700 : 보정 데이터 생성 회로
800 : 화상 패턴 작성 회로
DH : 화소 보정 데이터
Dhy : 제 1 보정 데이터
Dhx : 제 2 보정 데이터

Claims (12)

  1. 복수의 전기 광학 소자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화소 영역을 구비한 전기 광학 장치를 구동하는 구동 회로로서,
    상기 전기 광학 소자의 발광 휘도를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보정하기 위하여 이용되고, 상기 화소 영역을 분할한 복수의 블록에 각각 대응하는 블록 보정 데이터를 기억한 보정 데이터 기억 수단과,
    상기 블록 보정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 데이터를 보정하는 보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록은 서로 다른 구분 방법에 의해서 분할된 복수의 블록 그룹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전기 광학 소자의 각각이 2 이상의 상기 블록 그룹에 속하고, 상기 블록 보정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블록 그룹에 속하는 복수 계통의 데이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정 수단은 복수 계통의 상기 블록 보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데이터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회로.
  3. 제 1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수단은,
    상기 블록 보정 데이터에 연산을 실시하여 화소마다의 화소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연산 수단과,
    상기 화소 보정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한 상기 화소 보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데이터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회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수단은,
    상기 제어 데이터의 제어 대상이 되는 화소를 특정하는 특정 수단과,
    상기 블록 보정 데이터에 연산을 실시하여, 상기 특정 수단에 의해서 특정된 화소에 대해서 화소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연산 수단을 구비하고,
    생성된 상기 화소 보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데이터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회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데이터는 상기 전기 광학 소자의 발광 휘도를 제어 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블록 그룹의 각각에 대응한 개별 제어 데이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정 수단은 상기 개별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블록 그룹의 상기 블록 보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개별 제어 데이터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회로.
  6. 제 1 항에 기재된 구동 회로와,
    전류에 의해서 구동되는 복수의 전기 광학 소자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화소 영역과,
    상기 화소 영역을 분할한 복수의 블록에 각각 대응하는 화상 패턴을 차례로 표시시키는 화상 제어 수단과,
    상기 전기 광학 소자에 공급되는 전류를 상기 블록마다 계측하여 블록 전류로서 출력하는 전류 계측 수단과,
    소정의 기준 전류값에 대한 상기 블록 전류의 차분(差分)에 의거하여 상기 블록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보정 데이터 생성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광학 소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기재된 전기 광학 장치를 표시 수단으로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9. 복수의 전기 광학 소자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화소 영역과, 상기 전기 광학 소자의 발광 휘도를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단과, 상기 화소 영역을 서로 다른 구분 방법에 의해 분할한 복수의 블록 그룹의 각각에 대해서 상기 블록마다 상기 제어 데이터를 보정하기 위한 블록 보정 데이터를 기억하는 수단을 구비한 전기 광학 장치를 구동하는 구동 방법으로서,
    복수 계통의 상기 블록 보정 데이터에 연산을 실시하여 화소마다의 화소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화소 보정 데이터를 기억하고,
    기억한 상기 화소 보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데이터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
  10. 복수의 전기 광학 소자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화소 영역과, 상기 전기 광학 소자의 발광 휘도를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단과, 상기 화소 영역을 서로 다른 구분 방법에 의해 분할한 복수의 블록 그룹의 각각에 대해서 상기 블록마다 상기 제어 데이터를 보정하기 위한 블록 보정 데이터를 기억하는 수단을 구비한 전기 광학 장치를 구동하는 구동 방법으로서,
    상기 제어 데이터의 제어 대상이 되는 화소를 특정하고,
    상기 블록 보정 데이터에 연산을 실시하여, 특정된 화소에 대해서 화소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화소 보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데이터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
  11. 복수의 전기 광학 소자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화소 영역과, 상기 화소 영역을 서로 다른 구분 방법에 의해 분할한 복수의 블록 그룹의 각각에 대해서 상기 블록마다 블록 보정 데이터를 기억한 수단을 구비한 전기 광학 장치를 구동하는 구동 방법으로서,
    상기 전기 광학 소자의 발광 휘도를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블록 그룹의 각각에 대응한 개별 제어 데이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별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블록 그룹의 상기 블록 보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개별 제어 데이터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광학 소자는 전류에 의해서 구동되고,
    상기 화소 영역을 분할한 복수의 블록에 각각 대응하는 화상 패턴을 차례로 표시시키고,
    상기 블록마다 상기 전기 광학 소자에 공급되는 전류를 블록 전류로서 계측하고,
    소정의 기준 전류값에 대한 상기 블록 전류의 차분에 의거하여 상기 블록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040105295A 2004-03-04 2004-12-14 전기 광학 장치, 그 구동 회로와 구동 방법 및 전자 기기 KR1006916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60636A JP4033149B2 (ja) 2004-03-04 2004-03-04 電気光学装置、その駆動回路及び駆動方法、並びに電子機器
JPJP-P-2004-00060636 2004-03-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9738A true KR20050089738A (ko) 2005-09-08
KR100691694B1 KR100691694B1 (ko) 2007-03-09

Family

ID=34909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5295A KR100691694B1 (ko) 2004-03-04 2004-12-14 전기 광학 장치, 그 구동 회로와 구동 방법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23108B2 (ko)
JP (1) JP4033149B2 (ko)
KR (1) KR100691694B1 (ko)
CN (2) CN101325031B (ko)
TW (1) TWI257603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456B1 (ko) * 2010-03-25 2013-06-19 파나소닉 주식회사 유기 el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86877A (ko) * 2012-01-26 2013-08-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20140093011A (ko) * 2013-01-17 2014-07-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표시 방법, 이를 수행하는 표시 장치, 이에 적용되는 보정값 산출 방법 및 장치
KR101487546B1 (ko) * 2007-05-11 2015-01-29 소니 주식회사 유기 el 패널의 발광 얼룩의 보정 방법 및 유기 el패널의 표시 보정 회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60374B2 (en) * 2004-05-21 2014-06-2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a light emitting element
US6989636B2 (en) * 2004-06-16 2006-01-24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uniformity and brightness correction in an OLED display
KR101209055B1 (ko) * 2005-09-30 2012-1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0762693B1 (ko) * 2005-11-09 2007-10-0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1160838B1 (ko) * 2005-11-14 2012-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US9041851B2 (en) * 2005-11-15 2015-05-26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Organic electronic detectors and methods of fabrication
JP4702061B2 (ja) * 2006-01-06 2011-06-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
JP2007187706A (ja) * 2006-01-11 2007-07-26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その駆動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4360375B2 (ja) * 2006-03-20 2009-11-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及び駆動方法
KR20080010796A (ko) * 2006-07-28 2008-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0858614B1 (ko) * 2007-03-08 2008-09-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JP5357399B2 (ja) * 2007-03-09 2013-12-0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BRPI0813521A2 (pt) * 2007-07-11 2014-12-23 Sony Corp Dispositivo de exibição, método para corrigir emissão de luz irregular de um dispositivo de exibição, e, programa de computador
JP2009276671A (ja) * 2008-05-16 2009-11-26 Canon Inc 発光装置
CN101765874B (zh) 2008-05-28 2014-09-1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显示装置、显示装置的制造方法及控制方法
JP2010039046A (ja) * 2008-08-01 2010-0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映像信号処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装置
JP5402237B2 (ja) * 2009-05-22 2014-01-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補正装置および検出装置
JP2011033877A (ja) 2009-08-03 2011-02-17 Canon Inc 補正値の決定方法
JP5531496B2 (ja) * 2009-08-18 2014-06-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表示システム、電子機器及び画像処理方法
JP5471165B2 (ja) * 2009-08-26 2014-04-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表示システム、電子機器及び画像処理方法
JP5560077B2 (ja) * 2010-03-25 2014-07-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5577812B2 (ja) * 2010-04-15 2014-08-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表示システム、電子機器及び画像処理方法
JP5338784B2 (ja) * 2010-09-30 2013-11-1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発光装置及びその駆動制御方法並びに電子機器
JPWO2013129611A1 (ja) * 2012-02-29 2015-07-30 昭和電工株式会社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の製造方法
US8946994B2 (en) * 2012-09-25 2015-02-03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103854596A (zh) * 2012-11-29 2014-06-11 利亚德光电股份有限公司 Led显示器
US9454935B2 (en) * 2013-11-21 2016-09-27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WO2015122365A1 (ja) * 2014-02-17 2015-08-20 凸版印刷株式会社 薄膜トランジスタアレイ装置、el装置、センサ装置、薄膜トランジスタアレイ装置の駆動方法、el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センサ装置の駆動方法
WO2016117176A1 (ja) * 2015-01-19 2016-07-28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KR102372041B1 (ko) * 2015-09-08 2022-03-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US10706779B2 (en) 2017-02-23 2020-07-07 Synaptics Incorporated Device and method for image data processing
EP3855419B1 (en) * 2018-09-18 2023-10-1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Display driving device and display driving method
JP7200617B2 (ja) * 2018-11-21 2023-01-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ドライバー、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及び移動体
KR20210086075A (ko) * 2019-12-31 2021-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67877B2 (ja) * 1997-09-29 2006-04-19 三菱化学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ックス発光ダイオード画素構造およびその方法
JPH11202827A (ja) 1998-01-14 1999-07-30 Sanyo Electric Co Ltd 映像表示装置
JP2000122598A (ja) 1998-10-20 2000-04-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示装置
JP2000298450A (ja) 1999-04-14 2000-10-24 Hitachi Ltd ガンマ補正回路
JP2000305532A (ja) 1999-04-23 2000-11-02 Hitachi Ltd 画像処理装置
SG107573A1 (en) * 2001-01-29 2004-12-29 Semiconductor Energy Lab Light emitting device
US6943761B2 (en) * 2001-05-09 2005-09-13 Clare Micronix Integrated Systems, Inc. System for providing pulse amplitude modulation for OLED display drivers
KR20030008692A (ko) * 2001-07-19 2003-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평면 전계방출 표시소자의 구동장치 및 방법
SG120889A1 (en) * 2001-09-28 2006-04-26 Semiconductor Energy Lab A light 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3157040A (ja) 2001-11-19 2003-05-30 Canon Inc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JP2003202836A (ja) 2001-12-28 2003-07-18 Pioneer Electronic Corp 表示パネルの駆動装置及び駆動方法
US7274363B2 (en) * 2001-12-28 2007-09-25 Pioneer Corporation Panel display driv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KR100450761B1 (ko) * 2002-09-14 2004-10-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능동 구동형 유기 이엘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패널 회로
JP3877694B2 (ja) * 2003-03-28 2007-02-07 三洋電機株式会社 表示処理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546B1 (ko) * 2007-05-11 2015-01-29 소니 주식회사 유기 el 패널의 발광 얼룩의 보정 방법 및 유기 el패널의 표시 보정 회로
US9142159B2 (en) 2007-05-11 2015-09-22 Joled Inc. Method for uneven light emission correction of organic EL panel and display correction circuit of organic EL panel
KR101276456B1 (ko) * 2010-03-25 2013-06-19 파나소닉 주식회사 유기 el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86877A (ko) * 2012-01-26 2013-08-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20140093011A (ko) * 2013-01-17 2014-07-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표시 방법, 이를 수행하는 표시 장치, 이에 적용되는 보정값 산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64899A (zh) 2005-09-07
US20050195178A1 (en) 2005-09-08
CN101325031A (zh) 2008-12-17
TWI257603B (en) 2006-07-01
JP4033149B2 (ja) 2008-01-16
KR100691694B1 (ko) 2007-03-09
TW200531003A (en) 2005-09-16
US7623108B2 (en) 2009-11-24
CN100416640C (zh) 2008-09-03
JP2005250121A (ja) 2005-09-15
CN101325031B (zh) 2011-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1694B1 (ko) 전기 광학 장치, 그 구동 회로와 구동 방법 및 전자 기기
KR100653846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구동 회로 및 구동 방법
US9135887B2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KR100931469B1 (ko) 화소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US9406260B2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2004170815A (ja) El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2005157217A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駆動方法
US7259593B2 (en) Unit circuit, method of controlling unit circuit,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4036210B2 (ja) 電流供給回路、電流供給装置、電圧供給回路、電圧供給装置、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US20120120046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JP4016968B2 (ja) Da変換器、データ線駆動回路、電気光学装置、その駆動方法及び電子機器
JP2007256733A (ja) 電気光学装置、その駆動方法、及び電子機器
JP4608910B2 (ja) 補正データ生成装置、及び情報記録媒体、並びに補正データ生成方法
WO2013084702A1 (ja) 表示装置、表示パネル、およびその駆動方法、ならびに電子機器
JP2022105277A (ja) 表示装置及び補償方法
KR20090123495A (ko) 발광 표시장치
US7675018B2 (en) Circuit and method for driv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KR20210085347A (ko) 표시 장치 및 보상 방법
JP4784050B2 (ja) 電子回路、その制御方法、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4774726B2 (ja) 電気光学装置、その駆動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2006058803A (ja) 電気光学装置、その駆動方法及び電子機器
JP2005250122A (ja) 電気光学装置、その駆動回路及び駆動方法、補正データ生成方法、並びに電子機器
JP2007267391A (ja) Da変換器、データ線駆動回路、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4609448B2 (ja) データ線駆動回路、電気光学装置、その駆動方法及び電子機器
JP2013057701A (ja) 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および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