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6480A - 세로로 긴 압축홈을 구비한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세로로 긴 압축홈을 구비한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6480A
KR20050086480A KR1020057008297A KR20057008297A KR20050086480A KR 20050086480 A KR20050086480 A KR 20050086480A KR 1020057008297 A KR1020057008297 A KR 1020057008297A KR 20057008297 A KR20057008297 A KR 20057008297A KR 20050086480 A KR20050086480 A KR 20050086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center
central region
absorbent article
compress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8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0348B1 (ko
Inventor
다쿠야 미야마
마사타카 기노시타
준 구도
겐이치로 구로다
다츠야 다무라
심페이 고마츠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86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6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0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03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13/47218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with a raised crotch region, e.g. hum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04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having preferential bending zones, e.g. fold lines or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13/47218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with a raised crotch region, e.g. hump
    • A61F13/4722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with a raised crotch region, e.g. hump for interlabial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13/47263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with activating means, e.g. elastic, heat or chemical activatabl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13/472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with a longitudinal raised end, e.g. cup-shaped gluteal groo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 A61F13/475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consisting of grooves, e.g. channels, depressions or embossments, resulting in a heterogeneous surface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8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bstract

액체 흡수층(4)을 구비한 세로로 긴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액체 흡수층(4)이 마련되어 있는 영역 내에는 압축홈(l1)이 세로 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연장되어 배치되고, 그 사이에 중앙 영역(20)이, 또한 그 좌우 양측에 측방 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중앙 영역(20)은 전방 중앙 영역, 중간 중앙 영역 및 후방 중앙 영역(20A, 20B, 20D)을 갖고 있고, 상기 중간 중앙 영역(20B)에는 상기 압축홈(11)의 대향 간격이 전후의 영역에 비하여 넓은 광폭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방 영역의 강성은 상기 전방 중앙 영역 및 후방 중앙 영역(20A, 20D)의 좌우 양측에서보다 상기 중간 중앙 영역(20B)의 좌우 양측에서 낮다.

Description

세로로 긴 압축홈을 구비한 흡수성 물품{ELONGATED ABSORBENT ARTICLE HAVING COMPRESSION GROOVES}
본 발명은 여성 성기로부터 배설되는 월경혈 등의 흡수에 적합한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질구로부터 둔부까지 착용자의 신체를 덮는 세로로 긴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여성 성기로부터 배설되는 월경혈을 흡수하는 흡수성 물품의 일반적인 구조는 액체 흡수층과, 이 액체 흡수층의 피부측 표면을 덮는 액체 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상기 액체 흡수층의 착의측 표면을 덮는 액체 불투과성의 이면 시트를 갖는 것으로, 통상은 속옷의 가랑이 이음새 부분 천의 내면에 상기 이면 시트가 감압 접착층을 통해 접착된 상태로 착용된다.
상기 흡수성 물품에서는, 피부측 표면에 부여되는 월경혈을 확실하게 포착하여 흡수성 물품으로부터 액이 옆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이 요구된다.
특히, 생리중의 여성이 취침시에 착용하는 흡수성 물품에서는, 흡수성 물품의 가로 방향으로부터 월경혈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착용자의 신체를 따라 항문으로부터 둔부 홈 쪽으로 흘러나오려고 하는 월경혈, 또는 흡수성 물품의 피부측 표면을 따라 후방으로 흐르려고 하는 월경혈을 밖으로 새지 않게 확실하게 흡수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 때문에, 취침시에 사용되는 흡수성 물품은 낮에 사용하는 것보다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그 피부측 표면에서 질구 전방의 치구(恥丘)로부터 항문보다 후방인 둔부까지의 넓은 범위를 덮도록 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1-95842호 공보(특허문헌 1)에는 취침시의 착용을 상정한 세로로 긴 생리대가 기재되어 있다. 이 생리대는 피부측 표면에 주회(周回) 엠보스가 형성되어 이 주회 엠보스로 둘러싸인 영역이 가운데가 높은 부분으로 되어 있고, 이 가운데가 높은 부분이 생리대의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전방 영역과 후방 영역의 중간에 상기 주위 엠보스의 대향 부분의 간격이 폭 방향으로 넓혀진 팽출 엠보스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피부측 표면의 좌우 양측에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더 커프스가 마련되고, 이 개더 커프스를 기립시키기 위한 탄성 신축 부재가 마련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발명은 생리대에 작용하는 상기 탄성 신축 부재의 세로 방향으로의 수축력을 이용하여 상기 팽출 엠보스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착용자의 신체측으로 부풀게 하여 이 팽출 엠보스를 갖는 부분을 착용자의 신체에 피트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에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29018호 공보(특허문헌 2)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은 피부측 표면에 세로로 긴 액체 수용 영역을 둘러싸는 연결 샘 방지 홈이 형성되고, 후방 부분에서는 상기 연결 샘 방지 홈이 2겹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2겹의 연결 샘 방지 홈을 마련함으로써, 흡수성 물품의 후방으로 월경혈이 새는 것을 방지하자고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팽출 엠보스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과, 그것보다 전후의 부분에서 생리대의 강성에 큰 차이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상기 탄성 신축 부재에 의한 수축력이 세로 방향으로 작용하면, 상기 팽출 엠보스를 갖는 부분이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선(折線)을 통해 구부러지려고 하기 때문에, 상기 팽출 엠보스를 갖는 부분이 둔부의 홈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팽창되면서 착용자의 신체 쪽으로 구부러지기 쉽다. 즉, 상기 팽출 엠보스를 갖는 부분은 회음부의 전후 오목부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넓어지면서 꺾이게 되고, 생리대의 피부측 표면과 상기 회음부 및 그 전후 부분을 확실하게 밀착시키기 어렵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생리대는 상기 탄성 신축 부재의 세로 방향의 탄성 수축력에 의해 피부측 표면이 착용자의 신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쪽으로 만곡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변형을 일으키면, 상기 팽출 엠보스를 갖는 부분이 착용자의 신체로부터 멀어져 피부측 표면과 회음부 및 그 전후 부분 사이에 간극이 생기기 쉬워진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생리대는 팽출 엠보스를 갖는 중간 부분으로부터 후방 부분에 걸쳐 거의 균등한 강성을 발휘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중간 부분으로부터 후방 부분에 걸쳐 전체가 자유롭게 변형되기 쉽다. 그 때문에, 둔부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중간 부분으로부터 후방 부분에 대하여 외력이 주어지면, 생리대에 뒤틀림이나 주름이 발생하고, 착용자의 신체와 피부측 표면 사이에 간극이 생길 가능성이 높아진다.
다음에, 상기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것은 후방에 있어서 연결 샘 방지 홈이 이중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2겹의 연결 샘 방지 홈을 갖는 후방 부분만의 강성이 높아지게 된다. 그 때문에, 연결 샘 방지 홈이 1겹인 부분과 2겹 부분의 경계에서, 흡수성 물품에 꺾어진 부분이 발생하기 쉽고, 이 부분, 즉 여성의 회음부에 대향하는 부분이 착용자의 신체로부터 멀어지기 쉽다. 그 때문에, 월경혈이 착용자의 신체를 따라 후방으로 흐르기 쉬워지고, 후방으로 액이 새는 원인을 기본적으로 제거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측 표면이 착용자의 신체의 굴곡, 예컨대 여성의 회음부 및 그 전후 부분에 맞을 수 있고, 월경혈이 후방으로 새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착용자의 신체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이 독립적으로 움직이기 쉬워져 전방 부분이 고간부에 후방 부분이 둔부에 밀착한 상태를 유지하기 쉬운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의 도면으로부터 보다 상세히 이해되는 것이지만,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설명 및 이해를 위한 것이다.
도면에 있어서,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1 실시 형태의 생리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생리대가 속옷의 가랑이부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II-II선(가로 방향 기준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3은 착용시에 도 1의 생리대가 변형된 상태를 도시한 II-II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생리대를 IV-IV선으로 절단한 반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생리대를 V-V선(세로 방향 중심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6은 각 부분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상기 생리대의 평면도이고,
도 7은 상기 생리대를 속옷에 부착한 상태를 속옷의 내측에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생리대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생리대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생리대가 착용자의 신체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서는, 액체 흡수층을 구비하고 피부측 표면과 착의측 표면을 갖는 세로로 긴 흡수성 물품이 제공되고,
상기 액체 흡수층이 마련되어 있는 영역 내에는 피부측 표면이 착의측 표면 쪽으로 우묵하게 들어간 압축홈이 흡수성 물품의 세로 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압축홈에 끼워진 중앙 영역과, 상기 중앙 영역의 좌우 양측에서 상기 압축홈에 인접하는 측방 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중앙 영역은 흡수성 물품의 세로 방향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 중앙 영역 및 세로 방향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 중앙 영역과, 상기 전방 중앙 영역과 상기 후방 중앙 영역의 중간에 위치하는 중간 중앙 영역을 갖고 있고,
상기 압축홈의 대향 간격은 상기 전방 중앙 영역에서 상기 중간 중앙 영역에 걸쳐 서서히 넓어지고, 또한 상기 후방 중앙 영역에서 상기 중간 중앙 영역에 걸쳐 서서히 넓어져 상기 중간 중앙 영역에 상기 대향 간격이 그것보다 전후의 영역에 비하여 넓은 광폭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방 영역의 강성이 상기 전방 중앙 영역 및 상기 후방 중앙 영역의 좌우 양측에서보다 상기 중간 중앙 영역의 좌우 양측에서 낮은 것이다.
이 흡수성 물품은 전방 중앙 영역의 양측과 후방 중앙 영역의 양측에서 강성이 높고, 광폭부를 갖는 중간 중앙 영역의 양측에서 강성이 낮게 되어 있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의 착용시에는 대퇴부로부터의 압력이 전방 중앙 영역 및 후방 중앙 영역에 대하여 좌우 양측에서 작용하는 동시에, 강성이 높은 전방의 측방 영역과 후방의 측방 영역이 중간 중앙 영역의 광폭부를 전후에서 누르기 때문에, 중간 중앙 영역은 4방향에서 눌리고 또한 4방향에서 지지되도록 하여 착용자의 신체 쪽으로 팽창되도록 변형된다. 그 결과, 상기 중간 중앙 영역은 극단적으로 구부러지지 않고 전체가 팽창을 가지며 착용자의 신체 쪽으로 들어 올려지게 되고, 중간 중앙 영역이 여성의 회음부 및 그 전후의 오목부 내에 밀착하기 쉬워져서 질구로부터 배출되는 월경혈이 상기 중간 중앙 영역에서 포착되기 쉽고 후방으로 액이 새는 것을 방지하기 쉬워진다.
또한, 전방 중앙 영역이 마련된 전방 부분과 후방 중앙 영역이 마련된 후방 부분이 어느 정도의 강성을 유지하고, 그 중간 부분에서 강성이 낮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이 상기 중간 부분을 경계로 하여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이 모두 뒤틀림이나 주름을 발생하지 않고, 착용자의 신체를 따를 수 있게 되고, 흡수성 물품의 전체에 있어서, 피부측 표면과 착용자의 신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기 어렵게 되어 월경혈의 샘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서는, 예컨대, 상기 전방 중앙 영역, 상기 후방 중앙 영역, 상기 중간 중앙 영역이 각각 착용자의 질구, 항문, 회음부에 대향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중간 중앙 영역은 가로 방향으로 볼록하게 변형될 뿐만 아니라 세로 방향으로도 볼록 형상이 되어 착용자의 신체 쪽으로 변형되기 때문에, 이 중간 중앙 영역이 대음순 사이의 깊은 오목부의 내부에서 회음부에 걸쳐 밀착하기 쉬워지고, 나아가서는 회음부의 후방의 항문 부근의 오목부 내에도 밀착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질구로부터 배설되어 항문 방향으로 이행하려고 하는 월경혈이 상기 중간 중앙 영역에 있어서 액체 흡수층에 의해 효과적으로 흡수되고, 월경혈이 흡수성 물품의 후방에서 외부로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서는, 상기 전방 중앙 영역, 상기 중간 중앙 영역 및 상기 후방 중앙 영역 중 어느 하나 및 그것에 인접하는 한쪽 측방 영역과 중첩되도록 한쪽 압축홈에 의해 횡단되어 있는 영역에 대해서 측정했을 때, 세로 방향으로의 굽힘 강성이 상기 전방 중앙 영역과 중첩되는 영역 및 상기 후방 중앙 영역과 중첩되는 영역에서보다 상기 중간 중앙 영역과 중첩되는 영역에서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성차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측방 영역에서의 상기 액체 흡수층의 밀도를 상기 전방 중앙 영역 및 상기 후방 중앙 영역의 좌우 양측에서보다 상기 중간 중앙 영역의 좌우 양측에서 낮은 것으로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서는, 액체 흡수층을 구비하고 피부측 표면과 착의측 표면을 갖는 세로로 긴 흡수성 물품이 제공되고,
상기 액체 흡수층이 마련되어 있는 영역 내에는 피부측 표면이 착의측 표면 쪽으로 우묵하게 들어간 내측 압축홈이 흡수성 물품의 세로 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내측 압축홈에 끼워진 중앙 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중앙 영역은 흡수성 물품의 세로 방향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 중앙 영역 및 세로 방향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 중앙 영역과, 상기 전방 중앙 영역과 상기 후방 중앙 영역의 중간에 위치하는 중간 중앙 영역을 갖고 있으며,
상기 내측 압축홈의 대향 간격은 상기 전방 중앙 영역에서 상기 중간 중앙 영역에 걸쳐 서서히 넓어지고, 또한 상기 후방 중앙 영역에서 상기 중간 중앙 영역에 걸쳐 서서히 넓어져, 상기 중간 중앙 영역에 상기 대향 간격이 그것보다 전후의 영역에 비하여 넓은 광폭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방 중앙 영역 및 상기 후방 중앙 영역의 좌우 양 측방에 각각 상기 내측 압축홈과는 별개의 전방 외측 압축홈 및 후방 외측 압축홈이 세로 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중간 중앙 영역의 좌우 양측에서는, 상기 전방 외측 압축홈의 후단과, 상기 후방 외측 압축홈의 전단이 세로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것이다.
이 흡수성 물품에서는, 전방 외측 압축홈과 후방 외측 압축홈 그 자체가 광폭부를 갖는 중간 중앙 영역의 전후에서의 고강성부로서 기능하고, 중간 중앙 영역에 대하여 착용자의 신체를 향하는 힘을 작용시키도록 기능한다. 또, 중간 중앙 영역의 좌우 양측에는 전방 외측 압축홈의 후단을 후방 외측 압축홈의 전단으로 연속적으로 잇기 위한 외측 압축홈은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것이다. 그러나, 전방 외측 압축홈의 후단을 후방 외측 압축홈의 전단으로 잇도록 작은 도트형의 압축부를 배열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서는, 상기 후방 외측 압축홈의 전단을 기점으로 하여 상기 세로 방향 중심선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가상선이 상기 중간 중앙 영역을 형성하는 상기 내측 압축홈 부분과 교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상선이 내측 압축홈의 그 부분과 교차하고 있으면, 흡수성 물품에 세로 방향으로 수축력이 작용했을 때에, 상기 후방 외측 압축홈이 상기 중간 중앙 영역의 광폭부에 대하여 전방으로의 압압력을 부여하고, 또한 전방 외측 압축홈이 중간 중앙 영역의 전방에서 상기 압압력을 받게 되기 때문에, 상기 중간 중앙 영역은 전후로 위치하는 4개의 외측 압축홈에 의해 4방향에서 눌리고 또한 4방향에서 지지되어 전체가 팽창 형상이 되면서 착용자의 신체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변형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서도, 상기 전방 중앙 영역, 상기 후방 중앙 영역, 상기 중간 중앙 영역을 착용자의 질구, 항문, 회음부에 대향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서는, 상기 액체 흡수층의 밀도를, 상기 중간 중앙 영역을 형성하는 상기 내측 압축홈 부분의 좌우 양측에서보다 상기 내측 압축홈과 상기 전방 외측 압축홈 사이 및 상기 내측 압축홈과 상기 후방 외측 압축홈 사이에서 높은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구조에서는, 전방 외측 압축홈뿐만 아니라 내측 압축홈과 전방 외측 압축홈에 의해 끼워진 영역도 고강성을 발휘하고, 마찬가지로 후방 외측 압축홈뿐만 아니라 내측 압축홈과 후방 외측 압축홈에 의해 끼워진 영역도 고강성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중간 중앙 영역은 상기 외측 압축홈 및 상기 고강성 부분의 양쪽에 의해 4방향에서 눌리고 4방향에서 지지되도록 하여 착용자의 신체 쪽으로 변형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양태의 양방에서, 세로 방향 쪽으로 탄성 수축력을 작용시키는 탄성부재가 세로 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마련되어 상기 중간 중앙 영역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작용단과 상기 중간 중앙 영역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작용단이 서로 세로 방향으로 끌어당겨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세로 방향으로의 탄성 수축력이 흡수성 물품에 작용하고 있으면, 이 중간 중앙 영역 전방의 고강성 부분과 후방의 고강성 부분이 상기 중간 중앙 영역에 대하여 전후에서 힘을 부여하게 되어, 그 결과 중간 중앙 영역이 착용자의 신체 쪽으로 팽창되도록 변형되기 쉬워진다.
이하,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기재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완전히 이해할 수 있도록 수많은 구체적 세부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체적 세부 없이도 본 발명을 이룰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일이다. 또한, 본 발명이 무의미하게 불명료한 것으로 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공지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도시하는 것은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착용자의 신체로부터 배설되는 월경혈, 뇨, 분비물 등 여러 가지 삼출액(渗出液)을 흡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착용자의 고간부에 착용되는 것이지만,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는, 여성의 질구로부터 배설되는 월경혈을 흡수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생리대를 예로서 설명한다. 또한, 흡수성 물품의 2개의 표면 중 착용자의 고간부로 향해지는 표면을 피부측 표면으로 하고, 반대측 표면은 그 외측에 착의가 착용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착의측 표면이라 표현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압축홈이라는 용어는 적어도 액체 흡수층을 고밀도로 압축한 홈을 의미한다. 연속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각 압축홈에서는, 액체 흡수층의 밀도가 그 홈 바닥부에 있어서 균일하여도 좋거나 혹은 상기 홈 바닥부에 있어서 밀도가 다른 부분이 교대로 존재하고 있어도 좋다. 어떻든, 상기 압축홈의 바닥부에서는, 상기 압축홈 이외의 영역에서보다 액체 흡수층의 밀도가 높게 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세로 방향 중심선이라는 용어는 흡수성 물품을 가로 방향으로 이분하여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을 의미한다. 한편, 가로 방향 기준선이라는 용어는 반드시 흡수성 물품을 세로 방향으로 이분하여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을 의미하지 않고, 착용 중에 질구에 맞닿게 되어 있는 부분으로 그 세로 방향의 중심을 횡단하여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을 뜻하고 있다.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는, 전방 외측 압축홈의 후단과, 후방 외측 압축홈의 전단 사이가 중간 중앙 영역이다. 혹은, 내측 압축홈의 간격이 넓어지는 광폭부를 포함하여 흡수성 물품의 세로 방향의 길이가 20∼60 ㎜의 범위가 상기 중간 중앙 영역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1 실시 형태로서 생리대(1)를 피부측 표면을 상향으로 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생리대가 속옷의 가랑이 이음새 부분 천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II-II선(가로 방향 기준선)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3은 가랑이 이음새 부분 천에 장착한 상기 생리대가 착용 중에 변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생리대를 IV-IV선으로 절단한 반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생리대를 V-V선(세로 방향 중심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생리대(1)는 생리중인 여성이 취침시 등에 착용하는 데 적합한 세로로 긴 것으로, 세로 방향의 전체 길이 치수는 거의 200∼380 ㎜이다.
생리대(1)는 세로 방향 중심선(Oy-Oy)에서 가로 방향으로 등거리를 두고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우측 가장자리(1a)와 좌측 가장자리(1b)를 가지며, 가로 방향 기준선(Ox-Ox)에서 전후로 간격을 둔 돌출 곡선 형상의 앞 가장자리(1c) 및 뒤 가장자리(1d)를 갖고 있다. 가로 방향 기준선(Ox-Ox)에서 앞 가장자리(1c)까지의 거리보다 가로 방향 기준선(Ox-Ox)에서 뒤 가장자리(1d)까지의 거리 쪽이 길게 되어 있다.
상기 우측 가장자리(1a)와 좌측 가장자리(1b)는 가로 방향 기준선(Ox-Ox)을 포함하는 세로 방향의 소정 길이 범위에 있어서 좌우 양측으로 돌출하여, 이 돌출 부분에서 날개부(1A, 1A)가 형성되어 있다. 추가로 날개부(1A, 1A)보다 후방에서는, 상기 우측 가장자리(1a)와 좌측 가장자리(1b)는 가로 방향의 대향 간격이 후방 쪽으로 서서히 넓어지도록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확장 부분에서 후방 플랩(1B, 1B)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와 도 4 및 도 5의 각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생리대(1)는 착의측 표면에 드러나는 액체 불투과성 이면 시트(2)와, 피부측 표면에 드러나는 액체 투과성의 표면 시트(3)를 갖고 있다. 상기 이면 시트(2)와 상기 표면 시트(3) 사이에는 액체 흡수층(4)이 개재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액체 흡수층(4)은 앞 가장자리(1c)의 내측에서 뒤 가장자리(1d)의 내측에 걸쳐 또한 상기 날개부(1A, 1A)와 후방 플랩(1B, 1B)을 제외한 넓은 범위에 마련되어 있다. 뒤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 액체 흡수층(4)은 장소에 따라 단위 중량 및 밀도가 서로 다르다.
생리대(1)는 적어도 표면 시트(3)와 상기 액체 흡수층(4)이 국부적으로 가압되고 또한 가열되어, 피부측 표면에 드러나는 압축홈(10)이 형성되어 있다. 즉, 이 압축홈(10)은 가열 롤러를 이용한 엠보스 가공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상기 액체 흡수층(4)과 표면 시트(3)가 중첩된 상태에서 액체 흡수층(4)의 표면에 표면이 평평한 롤이 대어지고, 표면 시트(3)의 표면에 엠보스 패턴의 볼록부를 갖는 가열 롤이 대어져 가압되고 또한 가열되어 형성된다.
상기 압축홈(10)에서는, 상기 액체 흡수층(4) 및 표면 시트(3)가 거의 필름형으로 압착된 고밀도 압축부(10a)와, 인접하는 고밀도 압축부(10a) 사이에 위치하여 필름형으로 되어 있지 않지만 압축홈(10) 이외의 영역보다 상기 액체 흡수층(4)이 고밀도가 된 중밀도 압축부(10b)가 형성되어 있다. 도 1의 모양의 압축홈(10)의 모든 지점에 있어서, 이 고밀도 압축부(10a)와 중밀도 압축부(10b)가 교대로 형성되어 생리대(1)의 피부측 표면이 이면 시트(2)측으로 우묵하게 들어간 복수의 홈을 만들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압축홈(10)은 부호 11 내지 17로 나타내는 각 압축홈으로 구분된다.
세로 방향 중심선(Oy-Oy)에 대하여 대칭으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 압축홈(11, 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측 압축홈(11, 11)에는 전방 곡선부(11A, 11A), 변곡부(11B, 11B) 및 후방 경사부(11D, 11D)가 포함된다. 이 전방 곡선부(11A, 11A)는 가로 방향 기준선(Ox-Ox)의 부분으로서 그 대향 간격이 좁아지도록, 세로 방향 중심선(Oy-Oy)에 볼록측이 향해지는 원호 곡선이다. 상기 전방 곡선부(11A, 11A)가 가로 방향 기준선(Ox-Ox)에서 후방{뒤 가장자리(1d)의 방향} 쪽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기 내측 압축홈(11, 11)의 대향 간격이 서서히 넓어진다. 그리고, 변곡부(11B, 11B)로부터 상기 대향 간격이 가장 넓어지고, 변곡부(11B, 11B)에서 후방으로 향함에 따라 그 대향 간격이 서서히 좁아지는 후방 경사부(11D, 11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방 곡선부(11A, 11A)의 전단에 있어서, 좌우의 내측 압축홈(11)과 내측 압축홈(11)이 전방 연결 압축홈(1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 전방 연결 압축홈(12)은 앞 가장자리(1c)에 볼록측이 향해지는 곡선 형상이다.
상기 전방 곡선부(11A, 11A)와 상기 전방 연결 압축홈(12)의 경계로부터, 앞 가장자리(1c)를 향해 연장 압축홈(13, 13)이 더 연장되어 있다. 이 연장 압축홈(13, 13)은 세로 방향 중심선(Oy-Oy)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연장 압축홈(13, 13)은 상기 세로 방향 중심선(Oy-Oy)과 평행하거나 또는 앞 가장자리(1c)를 향함에 따라 그 대향 간격이 서서히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방 경사부(11D, 11D)의 후단에 있어서, 내측 압축홈(11)과 내측 압축홈(11)이 후방 연결 압축홈(1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후방 연결 압축홈(14)은 뒤 가장자리(1d)에 볼록측이 향해지는 곡선 형상이다.
이와 같이, 상기 내측 압축홈(11, 11), 전방 연결 압축홈(12), 연장 압축홈(13, 13) 및 후방 연결 압축홈(14)은 전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측 압축홈(11, 11), 전방 연결 압축홈(12) 및 후방 연결 압축홈(14)에 의해 생리대(1)의 피부측 표면의 소정 범위가 둘러싸이고, 이 둘러싸인 범위가 중앙 영역(20)이 되고 있다. 이 중앙 영역(20)은 세로 방향 중심선(Oy-Oy)에 대하여 좌우 대칭이고, 가로 방향 기준선(Ox-Ox)보다 전방의 부분이 가로 방향 기준선(Ox-Ox)보다 후방의 부분보다 짧은 세로로 긴 형상이다.
중앙 영역(20)의 좌우 양 측방에는 상기 액체 흡수층(4)이 존재하는 측방 영역이 마련되어 있다. 또, 상기 내측 압축홈(11, 11)은 측방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다.
상기 측방 영역에서는, 내측 압축홈(11, 11)의 전방 곡선부(11A, 11A)로부터 좌우로 이격된 위치에 전방 외측 압축홈(15, 15)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전방 외측 압축홈(15, 15)은 상기 가로 방향 기준선(Ox-Ox)을 중심으로 하여 세로 방향의 전후 소정 길이의 범위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방 외측 압축홈(15, 15)은 상기 전방 곡선부(11A, 11A)와 서로 닮은 곡선 형상이다. 따라서, 상기 전방 곡선부(11A)와 전방 외측 압축홈(15)과의 간격은 전방 외측 압축홈(15)의 전 길이에 있어서 균일하다.
한편, 상기 내측 압축홈(11, 11)의 후방 경사부(11D, 11D)로부터 좌우로 이격된 위치에는 후방 외측 압축홈(16, 16)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후방 외측 압축홈(16, 16)은 상기 세로 방향 중심선(Oy-Oy)과 거의 평행한 대향부(16A, 16A), 상기 대향부(16A, 16A)에서 후방으로 연속하고, 그 대향 간격이 뒤 가장자리(1d)를 향함에 따라 서서히 짧아지는 경사부(16B, 16B)를 갖고 있다. 또한, 후방 외측 압축홈(16, 16)의 후방은 후방 연결 압축홈(17)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연속한 상기 후방 외측 압축홈(16, 16)과 상기 후방 연결 압축홈(17)은 세로 방향 중심선(Oy-Oy)에 대하여 좌우 대칭이다. 또한, 상기 후방 연결 압축홈(17)은 뒤 가장자리(1d)에 볼록측이 향해진 곡선 형상이다.
상기 전방 외측 압축홈(15, 15)의 후단(15A, 15A)은 내측 압축홈(11, 11)의 변곡부(11B, 11B)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후방 외측 압축홈(16, 16)의 전단(16D, 16D)은 상기 변곡부(11B, 11B)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후단(15A, 15A)과 전단(16D, 16D) 사이에서 전방 외측 압축홈(15, 15)과 후방 외측 압축홈(16, 16)이 불연속으로 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후단(15A, 15A)과 전단(16D, 16D) 사이에 있어서, 내측 압축홈(11, 11)의 측방 영역에 외측 압축홈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상기 후단(15A, 15A)은 세로 방향으로 간격(L1)만큼 전단(16D, 16D)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이 간격(L1)은 전술한 바와 같이 20∼60 ㎜ 정도이다.
또한, 상기 후방 외측 압축홈(16, 16)의 전단(16D, 16D), 상세하게는 상기 전단(16D, 16D)에서의 후방 외측 압축홈(16, 16)의 폭의 중심점을 기점으로 하여 세로 방향 중심선(Oy-Oy)과 평행한 가상 직선(Lh, Lh)은 내측 압축홈(11, 11)과 교차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가상 직선(Lh, Lh)이 내측 압축홈(11, 11)의 변곡부(11B, 11B)와 교차하고 있다. 혹은 상기 가상 직선(Lh, Lh)이 내측 압축홈(11, 11)의 상기 후방 경사부(11D, 11D)와 교차하여도 좋다.
상기 중앙 영역(20)은 전방 중앙 영역(20A), 중간 중앙 영역(20B) 및 후방 중앙 영역(20D)으로 이루어진다. 전방 외측 압축홈(15, 15)의 후단(15A, 15A)과, 후방 외측 압축홈(16, 16)의 전단(16D, 16D) 사이의 상기 간격(L1)의 범위를 중간 중앙 영역(20B)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단(15A)과 후단(15A)을 연결하는 선에서 전방 연결 압축홈(12)까지의 범위를 전방 중앙 영역(20A)으로 하고, 상기 전단(16D)과 전단(16D)을 연결하는 선에서 후방 연결 압축홈(14)까지의 범위를 후방 중앙 영역(20D)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간 중앙 영역(20B) 중의 상기 변곡부(11B)와 변곡부(11B)를 연결하는 위치, 즉 내측 압축홈(11)과 내측 압축홈(11)의 대향 간격이 가장 넓은 부분을 광폭부라고 부른다.
내측 압축홈(11, 11)의 전방 곡선부(11A, 11A)와 전방 외측 압축홈(15, 15)에 의해 끼워진 소정 폭의 영역은 제1 전방 측방 영역(21, 21)이고, 전방 외측 압축홈(15, 15)보다 좌우 외측이며 또한 상기 액체 흡수층(4)이 마련되어 있는 영역이 제2 전방 측방 영역(22, 22)이다. 상기 중간 중앙 영역(20B)에 있어서의 내측 압축홈(11, 11)보다 외측의 영역이 중간 측방 영역(23, 23)이다. 중간 측방 영역(23, 23)은 상기 간격(L1)의 범위에 있다.
상기 내측 압축홈(11, 11)의 후방 경사부(11D, 11D)와, 후방 외측 압축홈(16, 16)에 의해 끼워져 있는 영역이 제1 후방 측방 영역(24, 24)이고, 후방 외측 압축홈(16, 16)의 좌우 양 외측이며 또한 액체 흡수층(4)이 마련되어 있는 영역이 제2 후방 측방 영역(25, 25)이다. 또한, 후방 연결 압축홈(14)의 후단부를 기점으로 하여 그것보다 후방이며 또한 상기 후방 외측 압축홈(16, 16)과 후방 연결 압축홈(17)으로 둘러싸인 영역이 제1 후방 영역(26)이다. 또한, 후방 연결 압축홈(14)의 후단부보다 후방이고, 또한 후방 외측 압축홈(16, 16)과 후방 연결 압축홈(17)보다 외측의 영역이며, 또한 액체 흡수층(4)이 마련되어 있는 범위가 제2 후방 영역(27)이다.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앙 영역(20)에서는, 상기 표면 시트(3)와 액체 흡수층(4) 사이에 액체 안내층(5)이 마련되어 있다. 이 액체 안내층(5)은 상기 중앙 영역(20) 내에만 마련되어 내측 압축홈(11, 11)에 걸리지 않는다.
상기 액체 흡수층(4)과, 액체 안내층(5) 및 상기 표면 시트(3)가 중첩되어 가열 롤에 의해 압축홈(10) 즉 부호 11 내지 17로 나타내는 각 압축홈이 엠보스 형성된 후에, 액체 흡수층(4)의 밑에 이면 시트(2)가 중첩되어 핫 멜트 접착제 등으로 접착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 가장자리(1c)와 뒤 가장자리(1d)에 인접하고 또한 액체 흡수층(4)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서는, 이면 시트(2)와 표면 시트(3)가 핫 멜트 접착제로 접착되거나 혹은 열 엠보스 가공으로 접합되어 있다. 또한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가장자리(1a)와 우측 가장자리(1b)에 인접하여 동일하게 상기 액체 흡수층(4)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서는, 이면 시트(2)와 표면 시트(3)가 마찬가지로 접착되어 있고, 표면 시트(3) 및 이면 시트(2)에 액체 불투과성 시트(30, 30)가 더 중첩되어 핫 멜트 접착제로 접착되어 있다. 상기 날개부(1A, 1A) 및 후방 플랩(1B, 1B)은 주로 상기 이면 시트(2)와 액체 불투과성 시트(30)로 구성되어 있다.
도 2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액체 불투과성 시트(30)는 내측에 복수의 탄성 신축 부재(32)를 끼운 상태에서 2겹으로 접어 포개져 상기 탄성 신축 부재(32)가 탈락하지 않도록 액체 불투과성 시트(30)의 접어 포갠 대향면끼리 접착되어 있다. 추가로 전방 고정 영역(33, 33)에 있어서 2겹의 액체 불투과성 시트(30)가 접어 포개지고, 접어 포개진 상태로 피부측 표면에 접착 고정되어 있다. 또한 후방 고정 영역(34, 34)에 있어서도, 상기 액체 불투과성 시트(30)가 접어 포개진 상태로 피부측 표면에 접착되어 고정되어 있다. 도 1에서는 상기 전방 고정 영역(33, 33)과 후방 고정 영역(34, 34)의 범위를 도면상에서 명확히 하기 위해서 편의상 해칭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에는 후방 고정 영역(34)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전방 고정 영역(33)과 후방 고정 영역(34) 사이에서는, 상기 액체 불투과성 시트(30, 30)가 소정 폭으로써 자유 상태이며, 샘 방지벽(31, 3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샘 방지벽(31, 31)에는 탄성 신축 부재(32)의 세로 방향의 탄성 수축력이 작용하고 있다. 이 탄성 수축력의 전방의 작용단(35)은 상기 전방 고정 영역(33)의 후단이고, 탄성 수축력의 후방의 작용단(36)은 후방 고정 영역(34)의 전단이다. 상기 탄성 수축력에 의해 상기 작용단(35)과 작용단(36)이 서로 접근하려고 하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리대(1)는 상기 작용단(35)과 작용단(35) 사이의 거리(L2)의 범위에서 피부측 표면이 오목측이 되도록 변형된다. 그 결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작용단(35)과 작용단(36) 사이에서, 상기 샘 방지벽(31, 31)이 피부측 표면으로부터 일어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의 상기 작용단(35)은 상기 내측 압축홈(11)과 전방 연결 압축홈(12)과의 경계부와 세로 방향으로 일치하는 위치 또는 그 근방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후방의 상기 작용단(36)은 내측 압축홈(11)의 변곡부(11B)보다 후방이고 또한 후방 외측 압축홈(16)의 전단(16D)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탄성 신축 부재(32)의 탄성 수축력은 주로 중간 중앙 영역(20B)과 전방 중앙 영역(20A)이 위치하고 있는 영역에 작용한다.
또한, 연장 압축홈(13, 13)이 마련되어 있는 전방 부분에는 상기 탄성 수축력이 작용하지 않고, 상기 전방 부분은 평탄한 상태를 유지하기 쉽다. 마찬가지로, 후방 외측 압축홈(16, 16) 및 후방 연결 압축홈(17)이 마련되어 있는 후방 부분에도 상기 탄성 수축력이 작용하지 않고, 상기 후방 부분도 평탄한 상태를 유지하기 쉽게 되어 있다.
다음에, 각 구성 소재의 바람직한 예를 설명한다.
표면 시트(3)는 코어부가 산화티탄을 함유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이고, 시스부가 폴리에틸렌(PE)인 코어-시스형 복합 합성섬유를 이용하여, 이 섬유를 열풍에 의해 접합한 단위 중량이 25 g/㎡ 정도의 에어 스루 부직포로 형성된다. 표면 시트(3)의 단위 중량은 15∼60 g/㎡이다. 상기 하한 미만이면 표면 강도를 충분히 얻을 수 없어 사용 중에 표면 시트(3)가 찢어질 우려가 있다. 반대로 상기 상한을 넘으면, 표면 시트(3)가 착용자의 신체에 뻣뻣한 감촉을 부여하여 착용자가 고간부에 위화감을 일으키게 된다. 또한, 표면 시트(3)가 우수한 액체 투과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 그 밀도는 0.12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면 시트(3)가 스펀 본드 부직포나 스펀 레이스 부직포, 혹은 다수의 액체 투과 구멍이 형성된 합성수지 필름, 또는 네트형으로 형성된 합성수지 시트 등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상기 이면 시트(2)는 액체 불투과성이고 또한 통기성 시트이며, 미세한 통기공이 형성된 폴리에틸렌(PE) 필름, 혹은 폴리프로필렌(PP) 필름 등이다. 예컨대, 상기 플라스틱 시트에 CaCO3, BaSO4 등의 무기 필러를 혼합시켜 연신 처리함으로써, 필름에 미세한 통기공이 적절히 분산되어 형성되고, 통기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필름은 두께 15∼50 ㎛ 정도의 것이다.
상기 액체 흡수층(4)은 분쇄 펄프, 머서화 펄프, 크로스 링크 펄프 등의 펄프 집합체에 폴리아크릴산염, 폴리아크릴아미드, 무수 말레산 등의 합성 흡수 폴리머나 전분, 셀룰로오스 등의 천연계 흡수 폴리머가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서, 펄프 및 상기 합성 흡수 폴리머 등의 친수성 티슈페이퍼로 싸여진 것이 사용된다.
액체 안내층(5)은 코어부가 폴리프로필렌(PP)이고 시스부가 폴리에틸렌(PE)의 단면이 편심 형상이 되는 코어-시스형 복합 합성섬유로 형성된 에어 스루 부직포로서, 밀도가 0.005∼0.025 g/㎤인 것이 사용된다. 예컨대 단위 중량이 20 g/㎡인 상기 에어 스루 부직포가 3겹인 상태로 상기 액체 안내층(5)으로서 사용된다.
또한, 상기 액체 안내층(5)으로서, 펄프나 레이온 등의 친수성 섬유를 공기중에서 적층하여 바인더로 접합하여 열 롤로 가압한 에어 레이드 부직포, 또는 상기 친수성 섬유에 합성섬유를 혼합한 에어 레이드 부직포를 이용하여도 좋다. 또는, 액체 흡수층(4) 위에 에어 레이드 부직포와 에어 스루 부직포의 양쪽을 중첩하여, 이들을 표면 시트(3)로 덮어도 좋다.
상기 샘 방지벽(31)을 형성하는 액체 불투과성 시트(30)는 스펀 본드 부직포, 멜트 블론 부직포, 혹은 이들 적층체로서, 바람직하게는 발수 처리된 것이 사용된다.
또, 상기 각 부재는 필요에 따라 핫 멜트 접착제에 의해 접착된다. 또한, 이면 시트(2)의 외면(착의측 표면)에는 감압 접착제층(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된다. 감압 접착제층은 주로 생리대(1)의 중앙 부분 및 날개부(1A, 1A)와 후방 플랩(1B, 1B)에 마련된다.
도 6은 생리대(1)의 각 부분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과 동일한 도면을 이용하여 특성에 관한 설명에 필요한 부분을 제외하고 부호를 생략하고 있다.
(1) 액체 흡수층(4)의 단위 중량
액체 흡수층(4)의 단위 중량은 중앙 영역(20)에 있어서 가장 크고, 제1 전방 측방 영역(21, 21), 제1 후방 측방 영역(24, 24) 및 제1 후방 영역(26)에서는, 액체 흡수층(4)의 단위 중량이 상기 중앙 영역(20)보다 작다. 또한 나머지 영역, 즉 전방 연결 압축홈(12)보다 전방 영역, 제2 전방 측방 영역(22, 22), 중간 측방 영역(23, 23), 제2 후방 측방 영역(25, 25) 및 제2 후방 영역(27)에서의 액체 흡수층(4)의 단위 중량은 상기 제1 전방 측방 영역(21, 21) 등과 같아도 좋고, 그것보다 약간 크거나 또는 작아도 좋다.
중앙 영역(20)에서의 액체 흡수층(4)의 바람직한 단위 중량은 400∼1200 g/㎡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1000 g/㎡이다. 상기 제1 전방 측방 영역(21, 21)과, 제1 후방 측방 영역(24, 24) 및 제1 후방 영역(26)의 액체 흡수층(4)의 바람직한 단위 중량은 300∼900 g/㎡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50∼600 g/㎡이다. 전방 연결 압축홈(12)보다 전방 영역과, 제2 전방 측방 영역(22, 22)과, 중간 측방 영역(23, 23)과, 제2 후방 측방 영역(25, 25) 및 제2 후방 영역(27)에서의 액체 흡수층(4)의 바람직한 단위 중량은 300∼500 g/㎡이지만, 이 단위 중량의 상한이 700 g/㎡가 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2) 액체 흡수층(4)의 밀도
도 6에 도시된 각 압축홈(11) 내지 홈축홈(17)은 상기 가열 롤을 이용한 열 엠보스 가공에 의해 함께 형성된다. 전방 곡선부(11A, 11A)와 전방 외측 압축홈(15, 15)에 있어서, 표면 시트(3)와 액체 흡수층(4)이 함께 가압될 때에, 제1 전방 측방 영역(21, 21)을 덮는 표면 시트(3)의 부분에 장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제1 전방 측방 영역(21, 21)에서는, 액체 흡수층(4)의 밀도가 높아진다.
추가로, 가열 롤 표면의 엠보스 패턴의 볼록부를 고안하여 전방 곡선부(11A, 11A)를 형성하는 볼록부와 전방 외측 압축홈(15, 15)을 형성하는 볼록부와의 중간에 위치하는 홈의 깊이를 얕게 해 둠으로써, 전방 곡선부(11A, 11A)와 전방 외측 압축홈(15, 15)을 가압 형성할 때에, 제1 전방 측방 영역(21, 21)에 위치하는 액체 흡수층(4)이 상기 얕은 홈으로 가압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 상기 제1 전방 측방 영역(21, 21)에 있어서 액체 흡수층(4)의 밀도를 더 높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여 후방 경사부(11D, 11D)와 후방 외측 압축홈(16, 16)에 의해 끼워져 있는 제1 후방 측방 영역(24, 24)에 있어서도 액체 흡수층(4)의 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중앙 영역(20)에 있어서도, 주위를 둘러싸는 홈, 즉 내측 압축홈(11, 11), 전방 연결 압축홈(12) 및 후방 연결 압축홈(14)을 형성할 때에, 표면 시트(3)에 장력이 조금 작용하기 때문에, 중앙 영역(20)에서 액체 흡수층(4)의 밀도가 조금 높아진다.
즉, 도 6에 도시된 각부에 있어서, 액체 흡수층(4)의 밀도가 가장 높은 것이 제1 전방 측방 영역(21, 21)이다. 제1 후방 측방 영역(24, 24)의 밀도는 상기 제1 전방 측방 영역(21, 21)과 동등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제1 전방 측방 영역(21, 21)보다 약간 낮아지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제1 후방 영역(26)에서의 액체 흡수층(4)의 밀도는 상기 제1 전방 측방 영역(21, 21)과 제1 후방 측방 영역(24, 24)보다 약간 낮게 되어 있다. 또한 중앙 영역(20)에서의 상기 밀도는 상기 제1 후방 영역(26)보다 약간 낮지만, 제1 후방 영역(26)과 동일하여도 좋다.
그리고, 전방 연결 압축홈(12)보다 전방의 영역과, 제2 전방 측방 영역(22, 22)과, 중간 측방 영역(23, 23)과, 제2 후방 측방 영역(25, 25) 및 제2 후방 영역(27)은 액체 흡수층(4)의 밀도가 상기 어느 쪽 영역보다 낮다.
상기 제1 전방 측방 영역(21, 21) 및 제1 후방 측방 영역(24, 24)에서의 액체 흡수층(4)의 밀도의 바람직한 범위는 0.08∼0.2 g/㎤이다. 또한, 중앙 영역(20)에서 액체 흡수층(4)의 밀도의 바람직한 범위는 0.05∼0.18 g/㎤이다. 제2 전방 측방 영역(22, 22)과, 중간 측방 영역(23, 23) 및 제2 후방 측방 영역(25, 25)에서의 액체 흡수층(4)의 바람직한 범위는 0.05∼0.13 g/㎤이다.
또, 제1 전방 측방 영역(21, 21)에서의 액체 흡수층(4)의 밀도는 중앙 영역(20), 제2 전방 측방 영역(22, 22) 및 중간 측방 영역(23, 23)에 대하여, 0.01 g/㎤ 이상 큰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0.02 g/㎤ 이상 큰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제1 후방 측방 영역(24, 24)에서의 액체 흡수층(4)의 밀도는 중앙 영역(20), 제2 후방 측방 영역(25, 25) 및 중간 측방 영역(23, 23)에 대하여, 동일하게 0.01 g/㎤ 이상 큰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0.02 g/㎤ 이상 큰 것이 바람직하다.
(3) 압축홈(10)의 밀도
고밀도 압축부(10a) 및 중밀도 압축부(10b)의 밀도는 모두 0.5∼1.5 g/㎤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4) 각부의 강성
도 6에는 생리대(1)의 굽힘 강성이 서로 다른 부분을 구획하여 나타내고 있다.
내측 압축홈(11)의 전방 곡선부(11A)와 제1 전방 측방 영역(21) 및 전방 외측 압축홈(15)이 횡단하고, 또한 중앙 영역(20)의 일부와 제2 전방 측방 영역(22)의 일부를 포함하는 범위를 제1 구획 (i)로 한다. 내측 압축홈(11)의 후방 경사부(11D)와 제1 후방 측방 영역(24) 및 후방 외측 압축홈(16)이 횡단하고, 또한 중앙 영역(20)의 일부와 제2 후방 측방 영역(25)의 일부를 포함하는 범위를 제2 구획 (ii)로 한다. 내측 압축홈(11)의 변곡부(11B)를 포함하고, 또한 중앙 영역(20)의 일부와 중간 측방 영역(23)의 일부를 포함하는 범위{단, 전방 외측 압축홈(15)과 후방 외측 압축홈(16)을 포함하지 않음}를 제3 구획 (iii)으로 한다. 중간 중앙 영역(20B)에 있어서 전혀 압축홈을 포함하지 않는 범위를 제4 구획 (iv)로 한다.
이하, 상기 각 구획 (i) 내지 (iv)의 관계를 세로 방향으로의 굽힘 강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 상기 세로 방향으로의 굽힘 강성이란, 생리대(1)의 세로 방향으로 각 구획을 굴곡시켜 측정한 강성으로서, 이 때 생리대(1)를 구성하는 부재는 하나도 상기 구획으로부터 제거되지 않는 것이다.
상기 굽힘 강성은 제1 구획 (i)에 있어서 가장 높고, 제2 구획 (ii)는 굽힘 강성에 관하여 제1 구획 (i)과 동등하다. 제3 구획 (iii)에서는, 굽힘 강성이 제1 구획 (i) 및 제2 구획 (ii)보다 충분히 낮다. 추가로, 제4 구획 (iv)가 굽힘 강성은 제3 구획 (iii)보다 더 낮다.
상기 굽힘 강성은 거얼리 강연도 측정기로 측정 가능하고, 거얼리 강성치는 제1 구획 (i) 및 제2 구획 (ii)에 있어서, 20∼35 mN인 것이 바람직하며, 제3 구획 (iii)에서는 8∼18 mN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4 구획 (iv)에서의 바람직한 강성치는 3∼8 mN이다.
생리대의 각 부분의 거얼리 강성치는 3 mN 이상이고 38 m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3 mN 이상이면, 생리대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고, 상기 38 mN 이하이면, 너무 딱딱해지는 일이 없어 착용자의 신체에 위화감을 주는 일이 없다.
상기 거얼리 강성치의 측정은 가부시키가이샤 야스다세이키세이사쿠쇼에서 제조한 거얼리 유연도 측정기를 이용하여 가로 방향(가로 방향 기준선(Ox-Ox)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폭이 25 ㎜이고 세로 방향으로의 길이가 38 ㎜인 상기 각 구획에 대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이 거얼리 강성치의 측정은 생리대(1)로부터 상기 구획 (i) 내지 (iv)를 가로 방향으로의 폭이 25 ㎜, 세로 방향으로의 길이가 38 ㎜가 되도록 잘라내어, 앞 가장자리(1c)측을 향하는 단 가장자리로부터 세로 방향으로 6.3 ㎜의 범위를 척으로 유지하고, 뒤 가장자리(1d)측을 향하는 단 가장자리로부터 세로 방향으로 6.3 ㎜의 범위를 거얼리 유연도 측정기의 진자에 대어 각 시험편에 대해서 굽힘 측정을 행하며, 피부측 표면이 볼록해지는 굴곡 방향에서의 측정치와 착의측 표면이 볼록해지는 굴곡 방향에서의 측정치의 평균치를 거얼리 강성치로 하는 것이다.
(5) 각부의 치수
중앙 영역(20)의 세로 방향의 치수, 즉 전방 연결 압축홈(12)과 후방 연결 압축홈(14)의 세로 방향의 간격은 120∼300 ㎜ 정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가로 방향 기준선(Ox-Ox)상에서의 중앙 영역(20)의 폭 치수, 즉 전방 중앙 영역(20A)에 있어서 가장 좁은 부분의 폭 치수(W1)는 여성의 성기의 폭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여성의 고간부의 폭의 평균은 30 ㎜ 정도이기 때문에, 상기 폭 치수(W1)는 15∼50 ㎜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20∼40 ㎜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내측 압축홈(11, 11)의 변곡부(11B, 11B) 사이의 거리, 즉 중간 중앙 영역(20B)의 광폭부의 치수는 상기 폭 치수(W1)보다 10∼40 ㎜ 정도 넓은 치수이다.
세로 방향 중심선(Oy-Oy)에 평행하게 측정했을 때, 상기 전방 외측 압축홈(15, 15)의 길이 치수 및 상기 제1 전방 측방 영역(21)의 길이 치수 모두 30∼120 ㎜이다. 가로 방향 기준선(Ox-Ox)에 평행하게 측정했을 때, 제1 전방 측방 영역(21, 21)의 폭 치수는 5∼15 ㎜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10 ㎜의 범위이다. 또한, 내측 압축홈(11, 11)의 후방 경사부(11D, 11D)와, 후방 외측 압축홈(16, 16)과의 최단 간격도 5∼15 ㎜의 범위이다.
또한, 각 압축홈(11) 내지 압축홈(17)의 폭 치수는 0.5∼3 ㎜ 정도이다. 도 2는 생리대(1)가 속옷의 가랑이 이음새 부분 천(41)의 내면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상기 가랑이 이음새 부분 천(41)에 부착된 생리대(1)를 속옷의 내측에서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 생리대(1)를 착용자의 신체에 장착할 때에는 이면 시트(2)의 외면에 마련된 감압 접착제층을 가랑이 이음새 부분 천(41)의 내면에 접착하고, 이 때 후방 플랩(1B, 1B)도 가랑이 이음새 부분 천(41)의 내면에 접착한다. 또한 날개부(1A, 1A)를 가랑이 이음새 부분 천(41)의 양측 가장자리를 감도록 하여 속옷의 외면을 향해 구부리고, 날개부(1A, 1A)의 착의측 표면에 마련된 감압 접착제층을 통해 가랑이 이음새 부분 천(41)의 외면에 접착한다.
가랑이 이음새 부분 천(41)에 생리대(1)를 장착한 상태로 이 속옷을 착용하고, 취침시나 일상 활동 중에서 대퇴부의 간격을 좁히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퇴부로부터 전방 외측 압축홈(15, 15)에 대하여 세로 방향 중심선(Oy-Oy)을 향하는 압축력(F1, F1)이 작용한다. 이 압축력(F1, F1)은 전방 외측 압축홈(15, 15)을 통해 밀도가 높고 강성이 높은 제1 전방 측방 영역(21, 21)으로 전해지며, 내측 압축홈(11, 11)의 전방 곡선부(11A, 11A)로 더 전해진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외측 압축홈(15, 15) 및 상기 전방 곡선부(11A, 11A)는 전방 중앙 영역(20A)의 두께 치수의 중점보다 충분히 아래쪽에 위치하고, 제1 전방 측방 영역(21, 21)도 상기 중점보다 충분히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압축력(F1, F1)이 작용하면, 전방 외측 압축홈(15, 15)과 제1 전방 측방 영역(21, 21) 및 상기 전방 곡선부(11A, 11A)가 전방 중앙 영역(20A)의 밑으로 들어가려고 하고, 강성이 높은 제1 전방 측방 영역(21, 21)에 의해 아래쪽으로부터 지지되도록 하여, 전방 중앙 영역(20A)이 착용자의 신체 쪽으로 들어 올려진다. 이러한 변형에 의해 전방 중앙 영역(20A)이 질구에 밀착한다.
마찬가지로, 후방 외측 압축홈(16, 16)의 대향부(16A, 16A)에 대해서도 세로 방향 중심선(Oy-Oy)을 향하는 압축력(F2, F2)이 작용한다. 이 압축력(F2, F2)도 주로 대퇴부가 서로 접근함으로써 작용한다.
상기 대향부(16A, 16A)에 상기 압축력(F2, F2)이 작용하면, 도 3에 도시한 전방 부분의 변형과 마찬가지로, 상기 대향부(16A, 16A)와 밀도가 높은 제1 후방 측방 영역(24, 24)과, 상기 후방 경사부(11D, 11D)가 후방 중앙 영역(20D)의 아래쪽으로 들어가려고 하고, 강성이 높은 제1 후방 측방 영역(24, 24)에 의해 후방 중앙 영역(20D)이 착용자의 신체 쪽으로 들어 올려진다. 따라서, 후방 중앙 영역(20D)이 항문 부근 및 둔부의 홈 안으로 들어가려고 한다.
다음에, 중간 중앙 영역(20B) 대해서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6에 도시된 제3 구획 (iii)에서는, 그 전후에 비하여 강성이 낮게 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강성이 낮은 제3 구획 (iii)의 전방에서는, 상기 압축력(F1, F1)을 받아 전방 외측 압축홈(15, 15)의 후단{15A, 15A; 강성이 높은 제1 구획 (i)의 후단}으로부터, 세로 방향 중심선(Oy-Oy)을 향해 압축력(F3, F3)이 작용한다. 전방 외측 압축홈(15, 15)의 후단(15A, 15A)이 대향하는 내측 압축홈(11, 11) 부분은 후방 쪽으로 세로 방향 중심선(Oy-Oy)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져 있기 때문에, 상기 압축력(F3, F3)은 상기 내측 압축홈(11, 11)의 상기 부분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는 힘성분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상기 압축력(F2, F2)을 받아 후방 외측 압축홈(16, 16)의 전단{16D, 16D; 강성이 높은 제2 구획 (ii)의 전단}으로부터, 세로 방향 중심선(Oy-Oy) 쪽으로 압축력(F4, F4)이 작용하지만, 이 압축력(F4, F4)도 상기 내측 압축홈(11, 11)의 후방 경사부(11D, 11D)에 직교하는 방향의 힘성분을 갖고 있다.
상기 중간 중앙 영역(20B)은 변곡부(11B, 11B)에서 광폭부가 되고 있고, 상기 압축력(F3, F3) 및 압축력(F4, F4)은 상기 광폭부의 전방 및 후방의 4방향에서 작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압축력(F3, F3) 및 압축력(F4, F4)은 중간 중앙 영역(20B)의 중심 부근 쪽으로 집중하는 힘성분을 갖고 있고, 또한 각각의 압축력의 작용점은 중간 중앙 영역(20B)의 두께의 중심보다 충분히 아래쪽{이면 시트(2)측}에 위치한다. 중간 중앙 영역(20B) 내의 제4 구획 (iv) 및 그 양측방의 제3 구획 (iii)은 강성이 비교적 낮기 때문에, 상기 압축력이 4방향에서 또한 아래쪽에 있어서 집중하도록 작용하면, 내측 압축홈(11, 11)이 가요축으로서 기능하고, 중간 중앙 영역(20B)은 변곡부(11B, 11B)를 사이에 끼워 4방향에서 마치 집어 올려지도록 하여 착용자의 신체 쪽으로 솟아오르도록 변형한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속옷의 내부에 있어서 생리대(1)는 착용자의 신체의 형상을 따라 착의측 표면이 볼록측이 되도록 세로 방향 쪽으로 만곡한다. 이 때 생리대(1)의 피부측 표면이 압축측이 되기 때문에, 후방 외측 압축홈(16, 16)의 전단(16D, 16D)이 전방 외측 압축축(15, 15)의 후단(15A, 15A)을 향해 접근하려고 한다. 즉, 중간 중앙 영역(20B)의 후방에 위치하는 강성이 높은 제2 구획 (ii)가 전방에 위치하는 동일하게 강성이 높은 제1 구획 (i)에 접근하려고 한다.
이 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중앙 영역(20B)에 대하여 후방에서 압축력(F5, F5)이 작용하고, 이 압축력(F5, F5)이 제1 구획 (i)로 지지된다. 중간 중앙 영역(20B)의 양측부에 대하여 상기 압축력(F5, F5)이 작용함으로써, 중간 중앙 영역(20B)은 그 정상부가 세로 방향 중심선(Oy-Oy)을 따르는 형상이 되도록 착용자의 신체 쪽으로 볼록형으로 구부러지면서, 또한 상기 정상부가 착용자의 신체에 눌려지도록 변형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샘 방지벽(31, 31)에 탄성 수축력을 작용시키고 있는 탄성 신축 부재(32)의 작용단(35, 36)은 중간 중앙 영역(20B)을 끼워 세로 방향의 전후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 신축 부재(32)의 탄성 수축력도 상기 압축력(F5, F5)을 증대시키도록 기능한다.
여기서, 중앙 영역(20)의 내부는 거의 균등한 단위 중량으로서, 중간 중앙 영역(20B)은 그 전후에 비하여 폭이 넓기 때문에, 중간 중앙 영역(20B)의 내부의 체적은 그 전후의 중앙 영역(20)보다 커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압축력(F3, F4, F5)을 받아 변형된 상태에서의 중간 중앙 영역(20B)의 착용자의 신체 방향으로의 팽출량이 커져 중간 중앙 영역(20B)의 표면이 전방 중앙 영역(20A)의 표면보다 더 착용자의 신체측으로 돌출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상기 생리대(1)가 장착된 여성의 고간부의 개요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여성의 고간부에서는 치구(M)의 후방에 질구(N)가 마련되고, 이 질구(N)는 대음순을 사이에 두고 깊게 우묵하게 들어가 있다. 고간부는 질구(N)에서 회음부(0)에 걸쳐 외측 쪽으로 팽창되고, 그 후방의 항문(P) 부근에서 더 얕은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 후방에 둔부의 홈(Q)이 연속하고 있다.
상기 생리대(1)를 착용하면, 도 3의 상태로 변형한 전방 중앙 영역(20A)이 대음순 사이의 오목부 내부에 들어가 질구(N)에 밀착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중간 중앙 영역(20B)이 4방향에서 집중하는 힘을 받아 착용자의 신체 쪽으로 크게 팽창되기 때문에, 이 중간 중앙 영역(20B)이 회음부(O) 및 그 전방의 대음순 사이의 홈의 내부로 들어가도록 밀착시킬 수 있고, 또한 회음부(0)의 후방에서의 항문 부근의 오목부에 대해서도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후방 중앙 영역(20D)이 항문(P) 및 그 후방의 홈(Q) 안으로 들어가지만, 후방 중앙 영역(20D)은 뒤 가장자리(1d)를 향함에 따라 그 폭 치수가 서서히 좁아지는 형상이기 때문에, 후방 중앙 영역(20D)은 둔부의 홈(Q) 안으로 들어가기 쉽고, 또한 들어간 상태로 착용자의 신체에 위화감을 주기 어렵다.
질구(N)로부터 배설된 월경혈은 전방 중앙 영역(20A)에 부여되어 흡수된다. 취침시 등의 자세에 있어서 고간부를 따라 후방으로 전해지려고 하는 월경혈, 혹은 생리대(1)의 표면 시트(3)를 따라 후방으로 흐르려고 하는 월경혈은 중간 중앙 영역(20B)과 회음부(O)와의 밀착부에 의해 저지되고, 이와 같이 하여 저지된 월경혈은 주로 중간 중앙 영역(20B)에 있어서 액체 흡수층(4)으로 흡수된다. 따라서, 항문(P)으로부터 홈(Q) 쪽으로의 월경혈의 이행을 저지할 수 있고, 후방으로 월경혈이 새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샘 방지벽(31)에 마련된 탄성 신축 부재(32)의 탄성 수축력은 작용단(35)과 작용단(36) 사이에 작용하고 있고, 작용단(35)보다 전방 및 작용단(36)보다 후방에는 상기 탄성 수축력이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전방 연결 압축홈(12)보다 전방 부분은 평탄한 상태를 유지하고, 또한 연장 압축홈(13, 13) 부분에서 구부릴 수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은 치구(M)에 피트하기 쉽다. 마찬가지로, 작용단(36)보다 후방 부분도 평탄한 상태를 유지하여, 후방 부분으로 둔부의 넓은 범위를 덮을 수 있다.
추가로, 중간 중앙 영역(20B)과 중간 측방 영역(23, 23)에서는 강성이 낮고, 그것보다 전방의 착용자의 고간부에 끼워지는 부분은 제1 구획 (i)을 가지며 강성이 높고, 중간 측방 영역(23, 23)보다 후방의 착용자의 둔부를 덮는 부분은 제2 구획 (ii)를 가지며 강성이 높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생리대(1)는 중간 중앙 영역(20B)과 중간 측방 영역(23, 23)이 변형 가능한 경계로서 기능하여, 착용자의 고간부에서 끼워져 있는 전방 부분과 착용자의 둔부를 덮고 있는 후방 부분이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취침시의 자세 변화 등으로 착용자의 고간부에 대는 전방 부분과 착용자의 둔부를 덮는 후방 부분과의 위치 관계가 어긋났다고 해도, 그 위치 어긋남을 중간 중앙 영역(20B)과 중간 측방 영역(23, 23)의 변형으로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생리대(1)의 전체에 꼬임이나 변형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쉽게 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생리대(100)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후방 외측 압축홈(16)의 형상이 도 1에 도시한 것과 다르지만, 그 밖의 구조 및 형상은 도 1에 도시한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도 8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는, 후방 외측 압축홈(16, 16)의 전단에 상기 내측 압축홈(11, 11)의 후방 경사부(11D, 11D)와 거의 평행하게 대향하는 짧은 전단 대향부(16E, 16E)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도 7에 도시된 압축력(F4, F4) 및 압축력(F5, F5)이 작용했을 때에, 상기 전단 대향부(16E, 16E)가 내측 압축홈(11, 11)의 후방 경사부(11D, 11D)의 아래쪽으로 들어가게 되어 중간 중앙 영역(20B)의 후방 부분이 착용자의 신체 쪽으로 크게 들어 올려지고, 또한 들어 올려진 중간 중앙 영역(20B)이 상기 단부면 대향부(16E, 16E)에 의해 이면 시트(2)측에서 지지되게 된다.
따라서, 중간 중앙 영역(20B)과 회음부 부근의 밀착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생리대(200)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 생리대(200)에서는, 변곡부(11B, 11B)의 내측, 즉 중간 중앙 영역(20B)의 후방 부분에 짧은 압축홈(19, 19)이 마련되어 있다. 짧은 압축홈(19, 19) 이외에 이 실시 형태의 기본적인 형상 및 구조는 도 1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따라서, 도 1의 실시 형태와 동일한 형상으로 동일한 구조 부분에 동일한 부호를 붙여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생리대(200)의 짧은 압축홈(19, 19)은 다른 압축홈(11) 내지 압축홈(17)과 마찬가지로 고밀도 압축부(10A)와 중밀도 압축부(10b)가 교대로 형성되어 표면 시트(3)와 액체 흡수층(4)이 함께 압축된 것이다.
짧은 압축홈(19, 19)은 세로 방향 중심선(Oy-Oy)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고, 각 짧은 압축홈(19, 19)은 후방 경사부(11D, 11D)와 마찬가지로 후방을 향함에 따라 그 대향 간격을 좁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짧은 압축홈(19, 19)은 전방 외측 압축홈(15)의 후단(15A)과, 후방 외측 압축홈(16)의 전단(16D) 사이의 L1의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 중앙 영역(20B)에서는, 변곡부(11B, 11B)의 전후로써 4방향에서 압축력(F3, F3) 및 압축력(F4, F4)을 받고, 후방 외측 압축홈(16, 16)으로부터 세로 방향으로의 압축력(F5, F5)을 더 받는다. 이 때, 상기 중간 중앙 영역(20B)의 내부에 상기 짧은 압축홈(19, 19)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압축력을 각 방향에서 받았을 때에, 중간 중앙 영역(20B)이 가로 방향으로 넓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짧은 압축홈(19, 19)이 세로 방향의 가요축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중간 중앙 영역(20B)은 그 정상부가 세로 방향 쪽으로 볼록 형상으로 변형되기 쉬워진다. 이에 따라, 중간 중앙 영역(20B)이 회음부 및 그 전후 부분에 확실하게 밀착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컨대, 전방 연결 압축홈(12), 후방 연결 압축홈(14) 및 후방 연결 압축홈(17)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좌우의 내측 압축홈(11)과 암축홈(11)이 서로 독립하며, 후방 외측 압축홈(16)과 압축홈(16)이 서로 독립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전방 외측 압축홈(15, 15)의 후단(15A, 15A)과, 후방 외측 압축홈(16, 16)의 전단(16D, 16D) 사이의 중간 측방 영역(23, 23)에 강성을 너무 높게 하지 않을 정도로 작은 엠보스부가 가압 성형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중앙 영역(20)에서는, 표면 시트(3)에 다수의 액체 투과 구멍을 개구시키거나, 이랑부와 홈부가 교대로 연속하도록 주름 처리하거나 하여도 좋다. 또한 중간 중앙 영역(20B)과, 추가로 후방 중앙 영역(20D)에 있어서, 표면 시트(3)와 액체 흡수층(4) 사이에 상기 액체 안내층(5)에 덧붙여 추가로 에어 스루 부직포 등의 부피가 큰 쿠션층을 배치하여도 좋다. 이에 따라, 중간 중앙 영역(20B)을 추가로 회음부에 확실하게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추가로, 중간 중앙 영역(20B), 전방 중앙 영역(20A), 후방 중앙 영역(20D)의 적어도 어느 한 부분에 있어서, 표면 시트(3)를 주름 처리하여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랑부와 홈부를 부형(賦形)해 두면, 어느 한 부분이 착용자의 신체 쪽으로 볼록형으로 변형되었을 때에, 표면 시트(3)가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이 변형에 대하여 저항을 부여하는 일이 없게 되고, 그 결과, 착용자의 신체 쪽으로의 변형을 크게 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은 내측 압축홈(11, 11)을 구비하고 또한 강성이 제1 구획 (i)과 제2 구획 (ii)에서보다 제3 구획 (iii)에서 낮은 것이면, 착용시에 중간 중앙 영역(20B)을 착용자의 신체 쪽으로 들어 올릴 수 있다. 상기 조건을 만족하면, 전방 외측 압축홈(11, 11)과 후방 외측 압축홈(16, 16)을 마련하지 않아도 좋다. 예컨대 이 경우, 상기 양 구획 (i) (ii)에 있어서 내측 압축홈(11, 11)의 외측에서의 액체 흡수층(4)의 밀도를 높게 하여 강성을 높이거나 혹은 내측 압축홈(11, 11)의 외측에서 발포재나 종이재 등의 강성을 보강하는 부재를 설치한 것이라도 좋다.
본 발명을 그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전술한 그리고 기타 다양한 변경, 생략, 추가를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게 이룰 수 있는 것은 당업자는 당연히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설명한 특정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고,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한 특징에 관해, 그것이 둘러싸는 범위 내 및 균등한 범위 내에서 구체화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실시 형태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중간 중앙 영역을 착용자의 신체 쪽으로 확실하게 들어 올려 회음부 등에 밀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전방 중앙 영역에서 후방으로의 월경혈의 이행을 저지할 수 있게 되어, 후방으로 액이 새는 것을 방지하기 쉬워진다. 또한, 취침시에 흡수성 물품이 착용자의 신체의 움직임에 따르기 쉽고, 꼬임이나 주름이 쉽게 생기지 않게 된다.
관련 출원의 표시
본 출원은 2002년 12월 5일 출원의 일본 특허 출원 제2002-354174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하여 출원되고 있다. 상기 일본 특허 출원의 개시 내용은 본 명세서의 개시의 일부로서 원용한다.

Claims (9)

  1. 액체 흡수층(4)을 구비하고 피부측 표면과 착의측 표면을 갖는 세로로 긴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액체 흡수층(4)이 마련되어 있는 영역 내에는 피부측 표면이 착의측 표면 쪽으로 우묵하게 들어간 압축홈(11)이 흡수성 물품의 세로 방향 중심선(Oy-Oy)에 대하여 대칭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압축홈(11)에 끼워진 중앙 영역(20)과, 상기 중앙 영역(20)의 좌우 양측에서 상기 압축홈(11)에 인접하는 측방 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중앙 영역(20)은 흡수성 물품의 세로 방향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 중앙 영역(20A) 및 세로 방향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 중앙 영역(20D)과, 상기 전방 중앙 영역(20A)과 상기 후방 중앙 영역(20D)의 중간에 위치하는 중간 중앙 영역(20B)을 갖고 있고,
    상기 압축홈(11)의 대향 간격은 상기 전방 중앙 영역(20A)으로부터 상기 중간 중앙 영역(20B)에 걸쳐 서서히 넓어지고, 또한 상기 후방 중앙 영역(20D)으로부터 상기 중간 중앙 영역(20B)에 걸쳐 서서히 넓어져, 상기 중간 중앙 영역(20B)에 상기 대향 간격이 그것보다 전후의 영역에 비하여 넓은 광폭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방 영역의 강성이 상기 전방 중앙 영역(20A) 및 상기 후방 중앙 영역(20D)의 좌우 양측에서보다 상기 중간 중앙 영역(20B)의 좌우 양측에서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중앙 영역(20A), 상기 후방 중앙 영역(20D), 상기 중간 중앙 영역(20B)은 각각 착용자의 질구, 항문, 회음부에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로로 긴 흡수성 물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중앙 영역(20A), 상기 중간 중앙 영역(20B) 및 상기 후방 중앙 영역(20D) 중 어느 하나 및 그것에 인접하는 한쪽 측방 영역과 중첩되도록 각각 한쪽 압축홈(11)에 의해 횡단되어 있는 영역(i, ii, iii)에 대해서 측정했을 때, 세로 방향으로의 굽힘 강성이 상기 전방 중앙 영역(20A)과 중첩되는 영역(i) 및 상기 후방 중앙 영역(20D)과 중첩되는 영역(ii)에서보다 상기 중간 중앙 영역(20B)과 중첩되는 영역(iii)에서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로로 긴 흡수성 물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영역에서의 상기 액체 흡수층(4)의 밀도가 상기 전방 중앙 영역(20A) 및 상기 후방 중앙 영역(20D)의 좌우 양측에서보다 상기 중간 중앙 영역(20B)의 좌우 양측에서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로로 긴 흡수성 물품.
  5. 액체 흡수층(4)을 구비하고 피부측 표면과 착의측 표면을 갖는 세로로 긴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액체 흡수층(4)이 마련되어 있는 영역 내에는 피부측 표면이 착의측 표면 쪽으로 우묵하게 들어간 내측 압축홈(11)이 흡수성 물품의 세로 방향 중심선(Oy-Oy)에 대하여 대칭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내측 압축홈(11)에 끼워진 중앙 영역(20)이 형성되며, 상기 중앙 영역(20)은 흡수성 물품의 세로 방향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 중앙 영역(20A) 및 세로 방향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 중앙 영역(20D)과, 상기 전방 중앙 영역(20A)과 상기 후방 중앙 영역(20D)의 중간에 위치하는 중간 중앙 영역(20B)을 갖고 있고,
    상기 내측 압축홈(11)의 대향 간격은 상기 전방 중앙 영역(20A)으로부터 상기 중간 중앙 영역(20B)에 걸쳐 서서히 넓어지고, 또한 상기 후방 중앙 영역(20D)으로부터 상기 중간 중앙 영역(20B)에 걸쳐 서서히 넓어져, 상기 중간 중앙 영역(20B)에 상기 대향 간격이 그것보다 전후의 영역에 비하여 넓은 광폭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방 중앙 영역(20A) 및 상기 후방 중앙 영역(20D)의 좌우 양 측방에 각각 상기 내측 압축홈(11)과는 별개의 전방 외측 압축홈(15) 및 후방 외측 압축홈(16)이 세로 방향 중심선(Oy-Oy)에 대하여 대칭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중간 중앙 영역(20B)의 좌우 양측에서는 상기 전방 외측 압축홈(15)의 후단(15A)과, 상기 후방 외측 압축홈(16)의 전단(16D)이 세로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외측 압축홈(16)의 전단(16D)을 기점으로 하여 상기 세로 방향 중심선(Oy-Oy)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가상선(Lh)이 상기 중간 중앙 영역(20B)을 형성하는 상기 내측 압축홈(11) 부분과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로로 긴 흡수성 물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중앙 영역(20A), 상기 후방 중앙 영역(20D), 상기 중간 중앙 영역(20B)은 각각 착용자의 질구, 항문, 회음부에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로로 긴 흡수성 물품.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흡수층(4)의 밀도가 상기 중간 중앙 영역(20B)을 형성하는 상기 내측 압축홈(11) 부분의 좌우 양측(23)에서보다 상기 내측 압축홈(11)과 상기 전방 외측 압축홈(15)의 사이(21) 및 상기 내측 압축홈(11)과 상기 후방 외측 압축홈(16)의 사이(24)에서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로로 긴 흡수성 물품.
  9.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세로 방향 쪽으로 탄성 수축력을 작용시키는 탄성부재(32)가 세로 방향 중심선(Oy-Oy)에 대하여 대칭으로 마련되어 상기 중간 중앙 영역(20B)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작용단(35)과 상기 중간 중앙 영역(20B)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작용단(36)이 서로 세로 방향으로 끌어당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로로 긴 흡수성 물품.
KR1020057008297A 2002-12-05 2003-12-02 세로로 긴 압축홈을 구비한 흡수성 물품 KR1010703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54174A JP4323786B2 (ja) 2002-12-05 2002-12-05 縦長の圧縮溝を備えた吸収性物品
JPJP-P-2002-00354174 2002-12-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6480A true KR20050086480A (ko) 2005-08-30
KR101070348B1 KR101070348B1 (ko) 2011-10-05

Family

ID=32463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8297A KR101070348B1 (ko) 2002-12-05 2003-12-02 세로로 긴 압축홈을 구비한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312372B2 (ko)
EP (1) EP1568340A4 (ko)
JP (1) JP4323786B2 (ko)
KR (1) KR101070348B1 (ko)
CN (1) CN100360101C (ko)
AU (1) AU2003284531A1 (ko)
MY (1) MY142262A (ko)
TW (1) TWI235054B (ko)
WO (1) WO200404999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068B1 (ko) * 2009-01-26 2015-05-20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및 흡수성 물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50646B2 (en) * 2002-09-09 2009-06-23 Uni-Charm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with resilient por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4180865B2 (ja) * 2002-09-09 2008-11-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可撓軸を備えた吸収性物品
ES2428693T3 (es) 2003-02-12 2013-11-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úcleo absorbente para un artículo absorbente
DE60331115D1 (de) 2003-02-12 2010-03-11 Procter & Gamble Saugfähiger Kern für einen saugfähigen Artikel
JP4476563B2 (ja) * 2003-05-29 2010-06-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US8920398B2 (en) * 2004-11-30 2014-12-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a pair of rear side flaps
US8715258B2 (en) * 2004-11-30 2014-05-0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outwardly convex longitudinal central channels for improved protection
JP4540104B2 (ja) * 2004-11-30 2010-09-08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9925094B2 (en) 2004-11-30 2018-03-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outwardly convex longitudinal central channels for improved protection
JP5046488B2 (ja) * 2005-02-24 2012-10-10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EP1885315A1 (en) * 2005-06-02 2008-02-13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traverse reinforcing element
JP4771756B2 (ja) 2005-06-17 2011-09-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MX2007015833A (es) * 2005-07-13 2008-04-09 Sca Hygiene Prod Ab Articulo absorbente que tiene ajuste mejorado.
JP4913381B2 (ja) 2005-09-26 2012-04-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619253B2 (ja) * 2005-09-29 2011-01-26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808009B2 (ja) * 2005-11-18 2011-11-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EP2087866A4 (en) * 2006-11-22 2011-12-28 Uni Charm Corp ABSORBENT ARTICL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US20080281287A1 (en) * 2007-05-08 2008-11-13 Marcelo Ana Maria Elena R Sanitary napkin including body-facing protrusions for preventing side leakage and obliquely arranged embossed channels
GB2454301B (en) 2007-06-18 2012-03-28 Procter & Gamble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sealed absorbent core with substantially continuously distributed absorbent particulate polymer material
EP2157950B1 (en) 2007-06-18 2013-11-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substantially continuously distributed absorbent particulate polymer material and method
WO2009107791A1 (ja) 2008-02-29 2009-09-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BRPI0910858A2 (pt) 2008-04-29 2018-03-27 Procter & Gamble processo para produção de um núcleo absorvente com uma cobertura de núcleo resistente à estiramento
JP5258380B2 (ja) * 2008-05-15 2013-08-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A2733472C (en) 2009-09-29 2017-10-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products having improved packaging efficiency
EP2329803B1 (en) 2009-12-02 2019-06-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erring particulate material
JP5543847B2 (ja) * 2010-05-31 2014-07-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TW201244682A (en) * 2011-05-12 2012-11-16 Ya-Jing Yang Mop fabric structure capable of stably releasing water
US9468566B2 (en) 2011-06-10 2016-10-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structure for absorbent articles
CA3042501C (en) 2011-06-10 2020-06-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n absorbent core for disposable diapers comprising longitudinal channels
DE202012013608U1 (de) 2011-06-10 2018-04-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ptionsstruktur für Absorptionsartikel
EP2532329B1 (en) 2011-06-10 2018-09-19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bsorbent structures with absorbent material
CN103596535B (zh) 2011-06-10 2015-11-25 宝洁公司 用于一次性吸收制品的吸收芯
ES2484695T5 (es) 2011-06-10 2018-02-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ñal desechable que tiene una unión reducida entre el núcleo absorbente y la lámina de respaldo
EP2532328B1 (en) 2011-06-10 2014-02-2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bsorbent structures with absorbent material
JP6030876B2 (ja) * 2012-07-19 2016-11-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184721B2 (ja) 2012-09-28 2017-08-2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IN2015DN03110A (ko) 2012-11-13 2015-10-02 Procter & Gamble
US10639215B2 (en) 2012-12-10 2020-05-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or pockets
EP2740450A1 (en) 2012-12-10 2014-06-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high superabsorbent material content
US9216118B2 (en) 2012-12-10 2015-12-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or pockets
PL2740449T3 (pl) 2012-12-10 2019-07-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tykuł chłonny o wysokiej zawartości materiału chłonnego
PL2740452T3 (pl) 2012-12-10 2022-01-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yrób chłonny o wysokiej zawartości materiału chłonnego
US8979815B2 (en) 2012-12-10 2015-03-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US9216116B2 (en) 2012-12-10 2015-12-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WO2014105987A1 (en) * 2012-12-28 2014-07-03 Defrancesco Stephen Contoured absorbent pad
US9675498B2 (en) 2013-05-31 2017-06-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non-uniform dimensioned side barriers
PL2813201T3 (pl) 2013-06-14 2018-04-30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Wyrób chłonny i wkład chłonny tworzący kanały w stanie mokrym
US9987176B2 (en) 2013-08-27 2018-06-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RU2649546C2 (ru) 2013-08-27 2018-04-03 Дзе Проктер Энд Гэмбл Компани Абсорбирующие изделия, содержащие каналы
US11207220B2 (en) 2013-09-16 2021-12-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 signals
MX2016003391A (es) 2013-09-16 2016-06-24 Procter & Gamble Articulos absorbentes con canales y señales.
EP3351225B1 (en) 2013-09-19 2021-12-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s having material free areas
JP2015065980A (ja) * 2013-09-26 2015-04-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9789009B2 (en) 2013-12-19 2017-10-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channel-forming areas and wetness indicator
EP2886092B1 (en) 2013-12-19 2016-09-1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s having channel-forming areas and c-wrap seals
EP2905001B1 (en) 2014-02-11 2017-01-0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n absorbent structure comprising channels
US10864120B2 (en) 2014-02-21 2020-12-15 Attends Healthcare Products, Inc. Absorbent article with fluid control features
EP2949301B1 (en) 2014-05-27 2018-04-18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curved and straight absorbent material areas
EP2949300B1 (en) 2014-05-27 2017-08-0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absorbent material pattern
EP2949302B1 (en) 2014-05-27 2018-04-18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curved channel-forming areas
EP2949299B1 (en) 2014-05-27 2017-08-0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absorbent material pattern
US10507144B2 (en) 2015-03-16 2019-12-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improved strength
US10322040B2 (en) 2015-03-16 2019-06-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improved cores
MX2017014428A (es) 2015-05-12 2018-04-10 Procter & Gamble Articulo absorbente con adhesivo mejorado del nucleo al lienzo inferior.
EP3302387B1 (en) 2015-05-29 2020-11-18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channels and wetness indicator
EP3167859B1 (en) 2015-11-16 2020-05-0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s having material free areas
US10376424B2 (en) 2016-02-29 2019-08-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flat-back protection feature
US10512566B2 (en) 2016-02-29 2019-12-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flat-back protection feature
US11135097B2 (en) 2016-03-31 2021-10-05 Kimberly-Clark Wordwide, Inc. Absorbent cores and methods for forming absorbent cores
AU2016401205B2 (en) 2016-03-31 2022-05-1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cores and methods for forming absorbent cores
US10918529B2 (en) 2016-03-31 2021-02-1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cores and methods for forming absorbent cores
AU2016401213B2 (en) * 2016-03-31 2021-09-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cores and methods for forming absorbent cores
EP3238676B1 (en) 2016-04-29 2019-01-0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profiled distribution of absorbent material
CN105708622A (zh) * 2016-04-29 2016-06-29 欧阳年沣 一种设有活动条的卫生巾
EP3238678B1 (en) 2016-04-29 2019-02-27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transversal folding lines
JP6232473B1 (ja) * 2016-06-14 2017-11-15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RU2753292C2 (ru) * 2017-06-19 2021-08-12 Дайо Пейпер Корпорейшн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JP6933508B2 (ja) * 2017-06-19 2021-09-08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及び個装吸収性物品
RU2768774C2 (ru) * 2017-08-22 2022-03-24 Эссити Хайджин Энд Хелт Актиеболаг Одноразовое гигиеническое изделие
JP7086730B2 (ja) * 2018-06-04 2022-06-20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20117107A1 (en) * 2018-12-05 2020-06-11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Disposable hygiene article with improved fit
EP3968924A1 (en) * 2019-05-15 2022-03-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JP7362443B2 (ja) * 2019-11-20 2023-10-17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75174A (en) * 1969-07-11 1971-04-20 Personal Products Co Sanitary napkin
US4059114A (en) * 1976-05-12 1977-11-2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Garment shield
US4397644A (en) * 1982-02-04 1983-08-09 Kimberly-Clark Corporation Sanitary napkin with improved comfort
US4758240A (en) * 1985-08-05 1988-07-19 Glassman Jacob A Anantomical sanitary and incontinent pads
US4655759A (en) * 1985-09-19 1987-04-07 Kimberly-Clark Corporation Reduced leakage menstrual pad with built-in fold lines
US4936839A (en) * 1987-08-27 1990-06-26 Mcneil-Ppc, Inc. Winged napkin having cross-channeling
US5312386A (en) * 1989-02-15 1994-05-17 Johnson & Johnson Disposable sanitary pad
SE463746B (sv) * 1989-05-31 1991-01-21 Moelnlycke Ab Absorberande alster av engaangstyp
DE69429271T2 (de) * 1993-09-16 2002-07-25 Procter & Gamble Monatsbinde mit einem kern vorbereitet für eine nach oben konvexe gestalt
CA2134268C (en) * 1994-06-13 2005-10-04 Frederich Oma Lassen Absorbent article having a body-accommodating absorbent core
GB2296445B (en) * 1994-12-27 1998-12-30 Kao Corp Sanitary napkin
AU701286B2 (en) * 1995-04-03 1999-01-21 Mcneil-Ppc, Inc. Multiple folded side barriers for improved leakage protection
SE508206C2 (sv) * 1995-09-06 1998-09-14 Moelnlycke Ab Absorberande alster för upptagande av kroppsvätskor
SG71837A1 (en) * 1997-09-29 2000-04-18 Uni Charm Corp Absorbent article
AU753383B2 (en) * 1998-05-08 2002-10-17 Procter & Gamble Company, The Absorbent article having improved integrity and acquisition
JPH11342154A (ja) * 1998-06-03 1999-12-14 Uni Charm Corp 体液吸収性物品
JP3616728B2 (ja) * 1999-01-19 2005-02-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体液吸収性物品
JP3771400B2 (ja) 1999-09-30 2006-04-26 大王製紙株式会社 エンボスを有する生理用ナプキン
JP3986222B2 (ja) 1999-11-04 2007-10-03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3865565B2 (ja) * 2000-04-18 2007-01-10 大王製紙株式会社 前漏れ防止効果の高い吸収性物品
US20030093054A1 (en) * 2000-07-05 2003-05-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improved side features for improved comfort
US6605752B2 (en) * 2000-10-30 2003-08-12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product with improved instantaneous liquid adsorption, and improved fit
JP3922895B2 (ja) * 2001-06-29 2007-05-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JP3971136B2 (ja) * 2001-07-12 2007-09-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3926587B2 (ja) * 2001-07-12 2007-06-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901037B2 (ja) * 2001-09-17 2012-03-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180865B2 (ja) * 2002-09-09 2008-11-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可撓軸を備えた吸収性物品
US7550646B2 (en) * 2002-09-09 2009-06-23 Uni-Charm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with resilient por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7067711B2 (en) * 2002-12-05 2006-06-27 Uni-Charm Corporation Elongated absorbent article
JP4390445B2 (ja) * 2002-12-05 2009-12-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縦長の吸収性物品
JP4476563B2 (ja) * 2003-05-29 2010-06-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JP4421222B2 (ja) * 2003-06-09 2010-02-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421224B2 (ja) * 2003-06-20 2010-02-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068B1 (ko) * 2009-01-26 2015-05-20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및 흡수성 물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3284531A1 (en) 2004-06-23
TWI235054B (en) 2005-07-01
JP4323786B2 (ja) 2009-09-02
US7312372B2 (en) 2007-12-25
MY142262A (en) 2010-11-15
TW200503662A (en) 2005-02-01
US20050148972A1 (en) 2005-07-07
WO2004049996A1 (ja) 2004-06-17
EP1568340A1 (en) 2005-08-31
JP2004181084A (ja) 2004-07-02
KR101070348B1 (ko) 2011-10-05
CN1708275A (zh) 2005-12-14
EP1568340A4 (en) 2009-05-20
CN100360101C (zh) 2008-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0348B1 (ko) 세로로 긴 압축홈을 구비한 흡수성 물품
KR101078109B1 (ko) 세로로 긴 흡수성 물품
KR101088257B1 (ko) 가요축을 구비한 흡수성 물품
KR101163246B1 (ko) 생리대
JP5305812B2 (ja) 吸収性物品
JP4313097B2 (ja) 吸収性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121873B1 (ko) 생리대
JP5014604B2 (ja) 生理用ナプキン
KR101034829B1 (ko) 흡수성 물품
JP5924898B2 (ja) 吸収性物品
KR19990083328A (ko) 흡수성물품
JP2004350908A (ja) 生理用ナプキン
KR20050035867A (ko) 탄성 복원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JP4252439B2 (ja) 生理用ナプキン
EP1133963A2 (en) Absorbent article
TW201944974A (zh) 吸收性物品
JP3238580U (ja) 吸収性物品
JP5648144B1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