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5867A - 탄성 복원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탄성 복원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5867A
KR20050035867A KR1020057001087A KR20057001087A KR20050035867A KR 20050035867 A KR20050035867 A KR 20050035867A KR 1020057001087 A KR1020057001087 A KR 1020057001087A KR 20057001087 A KR20057001087 A KR 20057001087A KR 20050035867 A KR20050035867 A KR 20050035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article
crimping
portions
elastic restoring
absor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1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3477B1 (ko
Inventor
다츠야 다무라
사토시 미즈타니
심페이 고마츠
마코토 스에카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35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5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3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34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13/47218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with a raised crotch region, e.g. hum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 A61F13/53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having discontinuous areas of compre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 A61F13/53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having discontinuous areas of compre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Abstract

피부측 표면에 위치하는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3)와, 의복측 표면에 위치하는 이면 시트(2)와, 그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층(4)을 갖는 흡수성 물품을 개시한다. 적어도 상기 표면 시트와 함께 상기 흡수층이 압축되어 있는 제1의 압착부(11) 및 제2의 압착부(12)가 흡수성 물품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있다. 제1의 압착부는 흡수성 물품의 세로 방향 중심선(Oy-Oy)에 관해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그 사이에 흡수층을 갖는 중앙 흡수부(5)를 규정한다. 제2의 압착부는 세로 방향 중심선에 관해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제1의 압착부로부터 외측으로 이격하고 있다. 상기 중앙 흡수부가 외력에 의해서 가로 방향으로 압축되었을 때에 각각 쌍을 이루는 인접하는 제1의 압착부와 제2의 압착부의 사이에 규정된 탄성 복원부(6)가 압축에 대한 복원력을 중앙 흡수부에 미칠 수 있다.

Description

탄성 복원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 및 그 제조 방법{ABSORBENT ARTICLE HAVING ELASTIC RECOVERY SECTIONS,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관련 출원의 표시
본 출원은 2002년 9월 9일 출원의 일본 특허 출원 제2002-263453호, 및 2002년 9월 20일 출원의 일본 특허 출원 제2002-276393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여 출원되어 있다. 상기 일본 특허 출원의 개시 내용은 본 명세서의 개시의 일부로서 원용한다.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여성 성기로부터 배설되는 경혈 등의 흡수에 알맞은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며, 특히, 착용시에 압축 변형되거나 비틀려도 물품을 원래의 상태로 복원하는 탄성 복원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성 성기로부터 배설되는 경혈을 흡수하는 흡수성 물품은 일반적으로, 흡수층과, 이 흡수층의 피부측 표면을 덮는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상기 흡수층의 의복측 표면을 덮는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를 갖는 것으로 하여 구성된다. 통상은 속옷의 크롯치천의 내면에 상기 이면 시트가 감압 접착층을 통해 접착된 상태로 착용된다.
상기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착용자의 배설부로부터의 배설액을 확실하게 포착하기 위해서는 상기 피부측 표면을 착용자의 배설부에 밀착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흡수성 물품을 고간부에 착용하고 있을 때에 흡수성 물품의 피부측 표면과 상기 배설부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면, 상기 표면 시트에 주어진 배설액이 표면 시트에 따라서 흘러, 흡수성 물품의 측방으로부터의 누출이나 착용자의 둔부 방향으로의 누출이 발생하기 쉬워져, 속옷이나 그 밖의 옷을 더럽힐 우려가 있다.
그래서, 이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에 기재한 바와 같이 피부측 표면에 형성된 오목홈으로 끼워진 부분이 착용자 배설부와의 밀착을 위해 융기한 흡수성 물품이 개발되어 왔다.
특허문헌 1은 중앙 부분에 흡수체의 두께를 크게 한 융기부가 설치되고, 이 융기부의 좌우 양측에 한 쌍의 만곡한 표면홈이 형성된 흡수성 물품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표면홈이 가요축이 되어 흡수체를 꺾이기 쉽게 함으로써 상기 융기부를 장착자측으로 볼록한 단면 아치 형상으로 변형시키고자 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피부 접촉면에 오목부로 둘러싸인 세로 방향으로 긴 돌출 설치부가 설치된 흡수성 물품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돌출 설치부를 융기시켜 착용자의 배설부에 밀착시키기 쉽게 하는 동시에, 상기 돌출 설치부를 둘러싸는 오목부에 의해 액을 차단하여 주위로의 확산을 방지하고자 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은 흡수체가 존재하고 있는 영역의 표면에 길이 방향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원호형의 절곡부가 설치되고, 이 절곡부로 둘러싸인 부분에 방누벽 형성 영역이 형성된 실질적으로 세로로 긴 흡수성 물품을 개시하고 있다. 착용시에 착용자의 고간부를 향해서 상승하는 상기 방누벽 형성 영역은 배설액이 가로로 새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고 있다.
[특허문헌 1]
특허 공개 평10-328232호 공보
[특허문헌 2]
특허 공개 평11-33054호 공보
[특허문헌 3]
특허 공개 평8-322875호 공보
도 15는 상기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 등에 기재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이 착용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에서는 착용자의 고간부와 대퇴부를 부호(50, 51)로, 상기 고간부(50)에 장착되는 속옷의 크롯치천을 부호(25)로, 또한 종래의 흡수성 물품을 부호(60)로 나타내고 있다. 이 흡수성 물품(60)은 크롯치천(25)의 내면에 접착하여 고정된다. 상기 각 특허문헌에서는 흡수성 물품(60)의 피부측 표면에 한 쌍의 오목홈(61, 61)이 형성되어, 이 오목홈(61, 61)으로 끼워진 중앙부(62)를 고간부(50)의 배설부에 밀착시키려고 하고 있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60)을 크롯치천(25)에 장착하여 착용하면, 보행시 등에 있어서 크롯치천(25)과 흡수성 물품(60)에 대하여 대퇴부(51, 51)로부터 가로 방향의 압축력(F)이 주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 압축력에 의해 좌우의 오목홈(61, 61)이 접근하려고 하고, 오목홈(61, 61)으로 끼워진 중앙부(62)에 좌우로부터의 압축력이 작용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흡수성 물품(60)에서는 상기 가로 방향의 압축력에 대한 탄성 회복력이 주로 중앙부(62)에 설치된 흡수층의 복원력에 의지하고 있다. 이 중앙부(62)에 설치되는 흡수층은 고간부(50)에 들어맞는 것이 부드럽고 게다가 액의 흡수 용량이 클 필요가 있기 때문에, 단위 중량이 크며 또한 저밀도의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축 변형했을 때에 그 가로 방향으로의 탄성 회복력이 약하고, 압축 변형한 상태로부터 폭치수가 용이하게는 회복할 수 없다. 또한, 흡수성 물품 전체가 고간부의 움직임에 따라서 비틀렸을 때에는 그 비틀린 상태로부터 용이하게는 회복할 수 없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이 단위 중량이 크고 저밀도의 흡수층은 경혈 등의 배설액을 흡수하면 탄성 복원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중앙부(62)가 고간부(50)로부터의 압력을 받아 찌부러졌을 때에 부피를 회복할 수 없고, 또한 압축력(F)에 의한 압축에 대한 가로 방향으로의 복원력이 매우 저하된다. 따라서 대퇴부(51, 51)의 간격을 넓혔을 때에도 흡수성 물품은 폭방향으로 수축한 상태가 되거나, 또는 비틀린 상태가 되어 흡수성 물품(60)의 피부측 표면의 면적이 감소하고, 나아가서는 물품과 고간부(50)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기 쉬워져, 가로로 새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 각 특허문헌에 기재한 종래예는 모두 오목홈(61)이 좌우에 일조씩만 설치된 구조이기 때문에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형하면, 오목홈(61)보다도 외측의 측단부(63, 63)와 중앙부(62)가 접촉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중앙부(62)에 주어진 배설액은 측단부(63, 63)로 이행하여, 배설액이 흡수성 물품(60)의 폭방향으로 확산하여 버린다. 즉 오목홈(61, 61)에 의해 배설액의 확산 효과를 달성할 수 없고, 배설액이 쉽게 가로로 새게 된다.
상기 흡수성 물품에 주어진 배설액이 가로 방향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흡수성 물품의 피부측 표면에서 가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누벽을 설치한 것이 있다. 이 방누벽은 불투액성의 시트에 세로 방향으로 탄성 수축력을 발휘하는 탄성 부재가 설치된 것으로, 상기 탄성 수축력에 의해 시트가 피부측 표면에서 상승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흡수성 물품이 상기 압축력(F)에 노출되거나 배설액을 흡수한 상태로 되면, 그 형상 유지 능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종래의 흡수성 물품은 착용중에 변형이나 비틀림이 생기기 쉽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방누벽의 전방과 후방에서의 상승 기점이 제품의 변형에 따라 세로 방향 중심선을 향하여 이동하거나, 혹은 흡수성 물품의 비틀림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방누벽의 상승 상태가 불안정해져 방누벽이 흔들리거나, 혹은 방누벽이 세로 방향 중심선을 향해서 쓰러져, 피부측 표면의 액의 흡수 면적을 감소시킬 가능성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에 개시되었던 것과 같은 세로로 긴 흡수성 물품에 상기 방누벽을 설치한 경우, 방누벽의 세로 방향의 치수가 길어지기 때문에 방누벽이 더욱 불안정해진다. 이 종류의 세로로 긴 흡수성 물품이 착용된 경우, 착용자의 신체의 움직임에 대하여 방누벽이 예상외로 움직이게 되고, 그 결과, 방누벽의 비틀림이나 쓰러짐이 더욱 생기기 쉬워진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가로 방향의 압축에 대한 탄성 회복력을 높여, 배설액의 누출을 방지하기 쉬운 흡수성 물품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 피부측 표면에 설치된 방누벽을 상승 자세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의 도면으로부터 보다 자세히 이해되는 것이지만,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단순히 설명 및 이해를 위한 것이다.
도면에 있어서,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1의 실시형태의 생리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a는 도 1에 나타내는 생리대를 IIa-IIa선으로 절단한 반단면도, 도 2b는 도 1에 나타내는 생리대를 IIb-IIb선으로 절단한 반단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생리대가 속옷의 크롯치천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크롯치천과 생리대가 가로 방향으로부터의 압축력으로 변형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크롯치천과 생리대가 가로 방향으로부터의 압축력으로 변형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의 생리대를 나타내는 반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의 실시형태의 생리대를 나타내는 반단면도,
도 8a는 본 발명의 제4의 실시형태의 생리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b, 도 8c는 압착 도트의 형상을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5의 실시형태의 생리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의 실시형태의 생리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7의 실시형태의 생리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8의 실시형태의 생리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9의 실시형태의 생리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4a, 도 14b는 압착부를 형성하기 위한 가압 부재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4a는 부분 평면도, 도 14b는 B-B선의 단면도, 및
도 15는 종래의 생리대가 착용자의 고간부에 장착되었을 때의 문제점을 나타내는 단면도.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제1의 면에서는 피부측 표면에 위치하는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 의복측 표면에 위치하는 이면 시트 및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의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층을 갖는 흡수성 물품이 제공되고, 여기서
적어도 상기 표면 시트와 함께 상기 흡수층이 압축되어 있는 제1의 압착부 및 제2의 압착부가 흡수성 물품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의 압착부는 흡수성 물품의 세로 방향 중심선에 관해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그 사이에 흡수층을 갖는 중앙 흡수부를 규정하고, 제2의 압착부는 세로 방향 중심선에 관해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제1의 압착부로부터 외측으로 이격하고 있으며, 여기서
상기 중앙 흡수부가 외력에 의해서 가로 방향으로 압축되었을 때에 각각 쌍을 이루는 인접하는 제1의 압착부와 제2의 압착부의 사이에 규정된 탄성 복원부가 압축에 대한 복원력을 중앙 흡수부에 미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 흡수성 물품에서는 제1의 압착부와 제2의 압착부의 사이에 탄성 복원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탄성 복원부의 복원력에 의해 흡수성 물품이 가로 방향으로 압축된 상태 또는 비틀린 상태로부터 원래의 상태로 용이하게 회복할 수 있다. 특히, 제1의 압착부사이의 중앙 흡수부가 배설액을 흡수했을 때에 상기 제1의 압착부에 의해 이 배설액이 차단되어 탄성 복원부가 젖지 않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중앙 흡수부가 배설액을 흡수하여 그 탄성 복원력이 저하하더라도 양측의 탄성 복원부가 항상 충분한 탄성 회복력을 발휘할 수 있고, 가로 방향으로 압축된 상태 또는 비틀린 상태로부터 흡수성 물품을 회복할 수 있다.
상기 각 탄성 복원부에서는 상기 흡수층을 압축하여 중앙 흡수부에서보다도 고밀도로 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복원부는 상기 중앙 흡수부의 폭치수의 바람직하게는 반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이하의 폭치수를 갖는다.
탄성 복원부의 폭치수를 작게 하면, 이 제1의 압착부와 제2의 압착부로 끼워진 탄성 복원부에 가는 길이로 고밀도의 층을 형성할 수 있고, 큰 탄성 복원력을 발휘하기 쉬워진다. 또한 탄성 복원력을 가늘게 함으로써 탄성 복원력이 착용자의 피부에 위화감을 부여하지 않게 된다.
상기 각 탄성 복원부에서는 제1의 압착부와 제2의 압착부의 형성에 의해 상기 흡수층을 압축할 수 있다.
혹은, 상기 각 탄성 복원부에서 제1의 압착부와 제2의 압착부의 형성에 의해 친수성 섬유로 형성된 상기 흡수층을 합성 섬유로 형성된 부직포와 함께 압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후자의 경우, 상기 각 제1의 압착부에서도 또, 상기 흡수층이 상기 부직포와 함께 압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직포는 예컨대 에어스루 부직포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탄성 복원부에 펄프 등의 친수성 섬유를 주체로 하는 흡수층뿐만 아니라 합성 섬유로 형성된 부직포도 배치되면 탄성 복원력을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특히 탄성 복원부가 합성 섬유를 포함함으로써 탄성 복원부에 배설액이 주어졌을 때도 탄성 복원력이 저하되지 않게 된다. 또한 제1의 압착부가 합성 섬유를 포함하고 있으면 상기 합성 섬유를 그곳에서 용융·고화할 수 있기 때문에 배설액으로 축축해졌을 때에도 제1의 압착부의 압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각 탄성 복원부에는 탄성력을 발휘하는 보강 부재가 단독으로, 혹은 제1의 압착부와 제2의 압착부의 형성에 의해 압축된 흡수층과 함께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보강 부재는 발포우레탄 수지나 친수 처리된 발포우레탄 수지, 또는 합성 고무 등이다.
상기 탄성 복원부는 흡수성 물품의 가로 방향 기준선의 위치에서 그 대향 간격이 가장 좁게 되어 있고, 상기 가로 방향 기준선으로부터 흡수성 물품의 세로 방향 대향 단부를 향하여 연장됨에 따라서 상기 중심선으로부터 서서히 멀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각 탄성 복원부는 상기 중심선에 볼록측이 향하게 되는 만곡선 형상이다.
상기 각 탄성 복원부는 일정폭의 부분을 가지고, 여기서는 상기 제1의 압착부와 제2의 압착부가 등거리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착용자의 대퇴부로부터의 힘이 탄성 복원부의 각부에 거의 균등하게 작용하게 된다. 또한, 탄성 복원부가 대퇴부에 위화감을 주는 일도 없어진다.
본 발명은 측단부가 각각 제2의 압착부와 흡수성 물품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응하는 측 가장자리의 사이에 규정되어, 이 측단부에 세로 방향으로의 탄성 수축력이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착용자의 고간부에 착용했을 때에 상기 탄성 수축력에 의해 측단부가 착용자의 피부를 향해서 상승하게 되어, 이에 따라 가로로 새는 것을 방지하는 방누벽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 때, 중앙 흡수부와 상기 측단부와의 사이에는 제1의 압착부와 제2의 압착부 및 탄성 복원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중앙 흡수부와 상기 측단부가 접촉하지 않게 되어, 중앙 흡수부에서 측단부에 배설액이 이행하지 않게 되어, 측단부의 방누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흡수성 물품의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피부측 표면에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시트가 설치되어 그 사이에 중앙 흡수부가 외부로 노출하고 있어, 이 시트는 각각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에서 피부측 표면에 고정되고, 중간 부분에서 피부측 표면으로부터 상승하여 방누벽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방누벽의 전방 및 후방 상승 기점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제2의 압착부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상승 기점은 제2의 압착부의 단부의 근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누벽의 상승 기점을 제2의 압착부의 근방 혹은 제2의 압착부의 단부의 근방, 즉 탄성 복원부의 근방에 설치하는 것에 의해 방누벽의 상승 기점의 불규칙한 이동을 억제할 수 있고, 배설액을 흡수한 습윤 상태로 대퇴부로부터 압력을 받은 경우라도 방누벽의 비틀림이나 쓰러짐을 억제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의 별도의 실시예에서는 제1의 후방 압착부가 흡수성 물품의 뒤 가장자리를 향해서 제1의 압착부에서 연속하여 연장됨에 따라서 대향 간격이 서서히 좁아지도록 설치되고, 제2의 후방 압착부가 각각 제1의 후방 압착부와 측 가장자리가 대응하는 것과의 사이에 설치되고, 또한 제1의 후방 압착부에서 이격하고 있고,
피부측 표면에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시트가 설치되고 그 사이에 중앙 흡수부가 외부로 노출하고 있고, 이 시트는 각각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에서 피부측 표면에 고정되고, 중간 부분에서 피부측 표면으로부터 상승하여 방누벽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방누벽의 전방에서의 상승 기점이 상기 제1의 압착부의 근방에 위치하고, 상기 방누벽의 후방에서의 상승 기점이 상기 제2의 후방 압착부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방누벽의 후방에서의 상승 기점은 상기 제2의 후방 압착부의 전단의 근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도, 방누벽의 후방에서의 상승 기점이 제1의 후방 압착부와 제2의 후방 압착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후방 탄성 복원부에 의한 탄성 복원 작용을 받게 되어, 불규칙한 이동을 억제하여, 방누벽의 비틀림이나 쓰러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근방이란, 바람직하게 45 mm 이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mm 이내의 거리인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생리대로서의 사용에 적합하다.
생리대는 낮의 활동 시간이라도 고간부에 착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착용자의 대퇴부로부터의 압축력에 의해 수축이나 비틀림이 생기기 쉽다. 그러나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상기 탄성 복원부를 갖기 때문에 상기 수축 상태나 비틀린 상태로부터 회복하기 쉬운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2의 면에서는 피부측 표면에 위치하는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의복측 표면에 위치하는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의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층을 갖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이 제공되고, 적어도 상기 표면 시트와 함께 상기 흡수층이 압축되어 있는 제1의 압착부 및 제2의 압착부가 흡수성 물품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의 압착부는 흡수성 물품의 세로 방향 중심선에 관해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고, 제2의 압착부는 세로 방향 중심선에 관해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제1의 압착부로부터 외측으로 이격하고 있으며, 여기서 해당 방법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1의 압착부를 형성하기 위한 제1의 볼록부와, 각각의 상기 제1의 볼록부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는 제2의 압착부를 형성하기 위한 제2의 볼록부를 갖는 가압 부재를 이용하여 피부측 표면으로부터 적어도 흡수층을 가압하는 공정을 가지고, 여기서
상기 가압 부재는 제1의 볼록부의 정점에서 제1의 깊이를 갖도록 각각 쌍을 이루는 인접하는 제1 및 제2의 볼록부의 사이에 형성된 오목부, 제2의 깊이를 갖도록 제1의 볼록부사이에 형성된 제1의 하부, 및 제3의 깊이를 갖도록 제1의 볼록부보다도 외측에 형성된 제2의 하부를 가지고, 제1의 깊이는 제2의 깊이보다도 작고, 또한 제3의 깊이보다도 작고, 따라서 흡수층은 상기 오목부에 의해서 상기 제1 및 제2의 하부가 대면한 개소에서보다도 상기 제1 및 제2의 압착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개소에서 보다 고밀도로 압축되어 있는 것이다.
이 방법에서는 상기 제1의 하부와 상기 제2의 하부에서 흡수성 물품이 실질적으로 가압되어 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제1의 하부와 제2의 하부가 대면한 개소에서의 쪽이 상기 오목부로 가압된 개소에서보다도 흡수층이 저밀도인 한에 있어서는 상기 제1의 하부와 제2의 하부로 흡수층을 약간 가압하더라도 좋다.
본 발명은 이하에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상술된다. 이하의 기재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위해 많은 특유한 세부 내용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들 특유한 세부 내용이 없어도 본 발명을 이룰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는 자명한 일일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불필요하게 불명료한 것이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공지인 구조에 관해서는 상세히 나타내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착용자의 신체로부터 배설되는 경혈, 소변, 질분비물 등의 여러 가지 배오나오는 액을 흡수하는 것을 목적으로서 착용자의 고간부에 착용되는 것이지만, 이하의 실시형태에서는 여성의 질구로부터 배설되는 경혈을 흡수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생리대를 예로서 설명한다. 또한 흡수성 물품의 2개의 표면중 착용자의 고간부를 향하게 되는 표면을 「피부측 표면」이라고 하고, 반대측의 표면은 그 외측에 옷이 착용되는지 여부에 불구하고 「의복측 표면」이라고 표현한다.
여기서 이용되는 「압착부」라는 용어는 적어도 표면 시트와 함께 흡수층이 고밀도로 압축되고, 또한 이 고밀도로 압축된 상태 그대로 되어 있는 부분을 의미한다.
여기서 이용되는 「탄성 복원부」라는 용어는 흡수성 물품이 가로 방향으로 압축되었을 때에 이들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 흡수부보다도 큰 탄성 복원력(반발력)을 발휘할 수 있는 부분을 의미한다.
여기서 이용되는 「세로 방향 중심선」이라는 용어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흡수성 물품을 가로 방향으로 이분하는 선을 의미한다. 한편, 「가로 방향 기준선」이라는 용어는 반드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흡수성 물품을 세로 방향으로 이분하는 선을 의미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형태와 같이 우측의 제1의 압착부와, 좌측의 제1의 압착이 평행이 아닌 경우, 좌우에 위치하는 제1의 압착부끼리 가장 접근하고 있는 위치에 있어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을 가로 방향 기준선이라 정의한다. 또한, 좌우의 제1의 압착부가 서로 평행한 경우와 같이, 그 가장 접근하는 위치를 특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착용중에 질구에 맞닿을 예정의 부분의 세로 방향의 중심을 지나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을 가로 방향 기준선이라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1의 실시형태로서 생리대(1)를 피부측 표면을 위로 향하게 하여 나타낸 평면도, 도 2a는 도 1의 생리대를 IIa-IIa선으로 절단한 반단면도, 도 2b는 도 1의 생리대를 IIb-IIb선으로 절단한 반단면도, 도 3은 상기 생리대를 속옷의 크롯치천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상기 크롯치천 및 생리대가 가로 방향으로부터의 압축력에 의해 변형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상기 변형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의 평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생리대(1)는 세로로 길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우측 가장자리(1a)와 좌측 가장자리(1b)는 세로 방향 중심선(Oy-Oy)에서 가로 방향으로 등거리를 두고, 외측을 향한 만곡선 형상의 앞 가장자리(1c) 및 뒤 가장자리(1d)는 가로 방향 기준선(Ox-Ox)에서 전후로 간격을 두고 있다. 또, 예컨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생리대에 날개부(18, 18)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우측 가장자리(1a)와 좌측 가장자리(1b)는 날개부(18, 18)의 기초부에 따라서 연장되는 가상 절단선(A, A)을 포함한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2와 도 3의 각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생리대(1)는 의복측 표면에 나타나는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2)와, 피부측 표면에 나타나는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3)를 갖고 있다. 상기 이면 시트(2)와 상기 표면 시트(3)의 사이에는 흡수층(4)이 개재하고 있다. 이 흡수층(4)은 도 1에 그 외주가 점선으로 표시된 제1의 흡수층(4a)과, 도 1에 그 외주가 마찬가지로 점선으로 표시된 제1의 흡수층(4a)보다도 면적이 작고 또한 제1의 흡수층(4a)의 위에 중첩된 제2의 흡수층(4b)과, 제2의 흡수층(4b)보다도 면적이 작고 또한 모래시계 형상의 중앙 흡수부(5)내에서 제2의 흡수층(4b)의 위에 중첩된 제3의 흡수층(4c)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적어도 표면 시트(3)와 상기 흡수층(4)이 압착되어 압착부(1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압착부(10)는 후에 설명하는 가압 부재를 이용한 엠보스 가공에 의해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제1의 흡수층(4a), 제2의 흡수층(4b), 제3의 흡수층(4c) 및 표면 시트(3)가 중첩된 상태로, 표면 시트(3)의 측에서 가압되고 또한 가열된다. 그 결과, 상기 압착부(10)는 상기 흡수층 및 표면 시트(3)가 거의 필름형이 될 때까지 가압된 고밀도 압착부(10a)와, 인접하는 고밀도 압착부(10a)사이의 필름형으로는 되어 있지 않지만 압착부(10) 이외의 영역보다도 흡수층이 고밀도로 된 중밀도 압착부(10b)를 갖는다. 각 압착부(10)는 이 고밀도 압착부(10a)와 중밀도 압착부(10b)가 교대로 형성되어, 생리대(1)의 피부측 표면이 이면 시트(2)측으로 우묵하게 들어간 압착홈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압착부(10)는 세로 방향 중심선(Oy-Oy)에 관해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된 제1의 압착부(11, 11)와, 세로 방향 중심선(Oy-Oy)에 관해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1의 압착부(11, 11)보다도 외측에 소정 간격을 두고 제2의 압착부(12, 12)를 갖고 있다. 제1의 압착부(11, 11) 및 제2의 압착부(12, 12)는 모두 세로 방향 중심선(Oy-Oy)에 볼록측이 향하게 되는 원호형의 만곡선에 따르는 압착홈이며, 제1의 압착부(11, 11)와 제2의 압착부(12, 12)는 제2의 압착부(12, 12)의 전체 길이에 있어서 서로 등거리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압착부(10)는 또, 제1의 압착부(11, 11)의 전단 및 후단부 사이를 잇는 가로 방향 압착부(13, 13)를 갖고 있다. 이 가로 방향 압착부(13, 13)는 가로 방향 기준선(Ox-Ox)에 오목측이 향하게 된 원호형의 만곡선에 따르는 압착홈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1의 압착부(11, 11) 및 가로 방향 압착부(13, 13)로 둘러싸인 영역이 상기 중앙 흡수부(5)이며, 상기 제2의 압착부(12, 12)는 이 중앙 흡수부의 밖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압착부(10)는 또한, 제1의 압착부(11, 11)에 연속하여 상기 가로 방향 압착부(13)보다도 전방으로 연장되는 전방 연장 압착부(14, 14)와, 동일하게 상기 제1의 압착부(11, 11)와 연속하여 가로 방향 압착부보다도 후방으로 연장되는 후방 연장 압착부(15, 15)를 갖고 있다.
상기 제1의 압착부(11, 11)와 제2의 압착부(12, 12)로 끼워진 영역이 탄성 복원부(6, 6)이다. 이 탄성 복원부(6, 6)는 상기 제2의 압착부(12, 12)의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폭의 원호형 영역이다. 또한, 우측의 제2의 압착부(12)와 우측 가장자리(1a)로 끼워진 영역, 및 좌측의 제2의 압착부(12)와 좌측 가장자리(1b)로 끼워진 영역이 각각 측단부(7, 7)이다.
상기 흡수층(4)은 중앙 흡수부(5)와 각 탄성 복원부(6, 6)의 전역, 및 제2의 압착부(12, 12)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각 측단부(7, 7)의 도중까지의 범위에 설치되어 있다.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 흡수부(5)에서는 제1의 흡수층(4a), 제2의 흡수층(4b) 및 제3의 흡수층(4c)이 중첩되어 단위 중량이 크고 부피가 큰 중앙부 흡수층(4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탄성 복원부(6)에 설치된 탄성 복원층(4B)은 상기 제1의 흡수층(4a)과 제2의 흡수층(4b)이 적층된 비교적 단위 중량이 큰 흡수층이다. 또한 탄성 복원층(4B)에서는 상기 흡수층이 압축되어 밀도가 높게 되어 있다. 그리고, 각 측단부(7)에는 상기 제1의 흡수층(4a)으로 이루어지는 측단부 흡수층(4C)이 설치되어 있다.
탄성 복원층(4B)의 단위 중량은 중앙부 흡수층(4A)의 단위 중량과 동일하더라도 좋고, 혹은 약간 작더라도 좋다. 다만, 상기 탄성 복원부(6, 6)에 있어서 충분한 탄성 복원력을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탄성 복원층(4B)의 단위 중량은 측단부 흡수층(4C)의 단위 중량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상기 탄성 복원부(6)를 형성할 때는 엠보스 볼록부에서 표면 시트(3)와 흡수층을 가압한다. 이 때, 표면 시트(3)와 흡수층을 가압·가열하여 압착홈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볼록부의 압박력을 받은 표면 시트(3)는 가로 방향으로 약간 떨어진 제1의 압착부(11)와 제2의 압착부(12)의 사이에서 가로 방향으로 늘려진다. 따라서, 제1의 압착부(11)와 제2의 압착부의 사이의 흡수층은 늘려진 상기 표면 시트(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눌린다. 이와 같이 압착부(11, 12)를 형성함으로써 탄성 복원부(6)내의 탄성 복원층(4B)을 중앙부 흡수층(4A)이나 측단부 흡수층(4C)보다도 밀도가 높은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의 압착부(11)와 제2의 압착부(12)를 형성하기 전에, 탄성 복원부(6)에 대응하는 개소로 미리 압축시켜 밀도를 높게 한 흡수층을 공급하여, 이 흡수층을 압착부(11, 12)를 형성함으로써 더욱 압축하여, 밀도가 높은 탄성 복원층(4B)을 형성하더라도 좋다.
도 2a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의 압착부(11, 11)와 제2의 압착부(12, 12)는 이면 시트(2)를 향해서 오목형이 되는 압착홈이기 때문에 중앙 흡수부(5), 탄성 복원부(6, 6)는 착용자의 피부를 향하여 융기하고 있다. 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탄성 복원부(6, 6)가 착용자의 피부를 향하여 융기하고 있으면 도 4에 나타내는 변형 상태일 때에 중앙 흡수부(5)와 측단부(7, 7)를 서로 이격하기 쉬워진다.
상기 압착부(10)에서는 적어도 제1의 압착부(11)와 제2의 압착부(12)가 (고밀도 압착부(10a) 및 중밀도 압착부(10b)의 쌍방에 있어서) 중앙부 흡수층(4A), 측단부 흡수층(4C), 및 탄성 복원층(4B)보다도 고밀도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의 압착부(11) 및 제2의 압착부(12)가 그 부분에서 생리대를 접기 쉽게 하는 가요축으로서 기능한다. 가로 방향 압착부(13, 13), 전방 연장 압착부(14, 14), 및 후방 연장 압착부(15, 15)도 가요축으로서 기능한다.
도 1 및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부측 표면의 양측부에는 불투액성 시트(20, 20)가 설치되고, 좌우의 불투액성 시트(20, 20)에 의해 각각 좌우의 방누벽(21, 2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좌우의 불투액성 시트(20, 20)의 형상 및 방누벽(21, 21)의 구조는 세로 방향 중심선(Oy-Oy)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이기 때문에, 이하에 있어서는 우측에 위치하는 불투액성 시트(20) 및 방누벽(21)에 관해서만 설명하고, 좌측은 그 설명을 생략하는 동시에, 각 도면에 있어서도 좌측의 방누벽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부호를 생략한다.
도 2a,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불투액성 시트(20)는 둘로 접혀 그 사이에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무 등의 탄성 부재(22)를 신장시킨 상태로 끼워, 상기 탄성 부재(22)와 함께 절첩된 시트의 대향면이 서로 접착되어 있다. 접혀 2장 중첩된 불투액성 시트(20)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꺾은선(21b)에서 더욱 접음으로써 생긴 제1의 면(21a)과 제2의 면(21c)을 갖고 있다.
상기 제1의 면(21a)은 도 1에 있어서 파선의 해칭으로 나타내는 영역에서 생리대(1)의 피부측 표면에 접착되어 있다. 도 1에서는 제1의 면(21a)의 접착 부분과 비접착 부분과의 경계선이 중간 경계선(22a), 전방 경계선(22b) 및 후방 경계선(22c)을 갖는다. 이들 경계선(22a, 22b, 22c)으로 둘러싸인 범위(파선의 해칭이 실시되어 있지 않은 범위)에서 제1의 면(21a)과 피부측 표면이 접착되어 있지 않다.
또한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 경계선(22b)의 전단(24a)과 앞 가장자리(1c)의 사이의 영역에서는 제2의 면(21c)이 제1의 면(21a)의 위에 중첩되어 접착되어 있다. 후방 경계선(22c)의 후단(24b)과 뒤 가장자리(1d)와의 사이의 영역에서도 상기 제2의 면(21c)이 제1의 면(21a)에 중첩되어 접착되어 있다. 또, 상기 전단(24a)과 후단(24b)과의 사이의 나머지의 영역에서는 제2의 면(21c)은 제1의 면(21a)에 접착되어 있지 않다.
상기 탄성 부재(22)는 적어도 전단(24a)과 후단(24b)의 범위에 걸쳐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생리대(1)에 외력이 주어지고 있지 않은 자유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불투액성 시트(20)의 제2의 면(21c)에 탄성 수축력이 작용하여, 전단(24a)과 후단(24b)을 서로 접근시키려고 한다. 따라서 상기 전단(24a)과 후단(24b)과의 사이에서는 상기 제1의 면(21a) 및 제2의 면(21c)이 상기 중간 경계선(22a)에서 상승하여 길이가 L1인 방누벽(2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방 경계선(22b)의 전단(24a)을 방누벽(21)의 전방에서의 상승 기점으로 하고, 후방 경계선(22c)의 후단(24b)을 방누벽(21)의 후방에서의 상승 기점으로 한다.
이 생리대(1)에서는 방누벽(21)의 전방의 상승 기점(24a)이 제2의 압착부(12)의 전단(12a)의 근방, 즉 탄성 복원부(6)의 전단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전방의 상승 기점(24a)과 상기 제2의 압착부(12)의 전단(12a)과의 최단의 직선 거리는 45 mm 이하, 바람직하게는 40 mm 이하이다.
마찬가지로, 방누벽(21)의 후방의 상승 기점(24b)은 제2의 압착부(12)의 후단(12b)의 근방, 즉 탄성 복원부(6)의 후단부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후방의 상승 기점(24b)과 제2의 압착부(12)의 후단(12b)과의 최단의 직선 거리는 45 mm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mm 이하이다.
또한, 후방의 상승 기점(24b)과 후단(12b)과의 직선 거리는 전방의 상승 기점(24a)과 전단(12a)과의 직선 거리보다도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생리대(1)를 장착한 경우, 착용자의 신부에 가까운 후방의 상승 기점(24b)쪽이 보다 자유롭게 움직이기 쉽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후방의 상승 기점(24b)을 탄성 복원부(6)에 접근시켜 두는 것에 의해 상기 상승 기점(24b)의 이동을 억제하기 쉬워진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생리대(1)에는 상기 우측 가장자리(1a) 및 좌측 가장자리(1b)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날개부(18, 18)가 형성되어 있다. 이 날개부(18, 18)는 이면 시트(2)와 상기 불투액성 시트(20)가 접착되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면 시트(2)의 외면에는 생리대(1)의 중앙 부분을 속옷의 크롯치천에 접착하기 위한 감압 접착제층(도시하지 않음)과, 날개부(18, 18)를 속옷의 크롯치천의 외면에 접착하기 위한 감압 접착제층(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도 3은 상기 생리대(1)가 속옷의 크롯치천(25)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생리대(1)는 중앙 부분이 이면 시트(2)의 외면에 설치된 감압 접착제를 통해 크롯치천(25)의 내면에 접착된다. 또한 날개부(18, 18)는 크롯치천(25)의 양측 가장자리를 감도록 하여 크롯치천(25)의 외면을 향해서 구부려지고, 날개부(18, 18)는 감압 접착제에 의해 크롯치천(25)의 외면에 접착된다.
이 속옷을 착용하여 생리대(1)를 착용자의 고간부에 대면, 생리대(1)는 착용자의 고간부의 표면을 따르도록 변형하고자 한다. 이 때 제1의 압착부(11, 11)와 제2의 압착부(12, 12)가 가요축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도 4의 단면에서 봤을 때에 생리대(1)는 피부측 표면이 우묵하게 들어가도록 변형하기 쉬워진다. 또한 세로 방향에서도 앞 가장자리(1c)와 뒤 가장자리(1d)가 접근하도록 생리대가 오목하게 변형하기 때문에 탄성 부재(22)에 의해 세로 방향으로의 수축력이 부여되어 있는 방누벽(21, 21)은 피부측 표면에서 상승하여,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착용자의 고간부에 맞닿게 된다.
또한, 측단부(7, 7)에도 상기 탄성 부재(22)로부터 세로 방향으로의 수축력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측단부(7, 7)는 제2의 압착부(12, 12)를 가요축으로서 도 3에 있어서 내측 위로 향하도록 구부러지려고 한다. 따라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단부(7, 7)는 우측 가장자리(1a)와 좌측 가장자리(1b)가 착용자의 신체를 향하도록 약간 비스듬히 상승하고, 이 비스듬한 측단부(7, 7)와, 이 측 가장자리(7, 7)로부터 상승하는 상기 방누벽(21, 21)에서 경혈이 가로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쉬워진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단부(7, 7)가 제2의 압착부(12, 12)를 기점으로서 착용자의 고간부(50)를 향해서 상승하기 때문에 측단부 흡수층(4C, 4C)을 갖는 상기 측단부(7, 7)에 의해 방누벽(21, 21)이 아래로부터 지지되게 되어, 방누벽(21, 21)이 착용자의 고간부에 확실하게 밀착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측단부(7, 7)가 방누벽(21, 21)의 하측으로 또한 변형한 생리대(1)의 두께 방향의 중간에 위치하고, 측단부(7, 7)의 내측에 볼록형의 탄성 복원부(6, 6)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방누벽(21, 21)은 측단부(7, 7)에 접하는 일이 있더라도 탄성 복원부(6, 6)에는 접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착용자의 고간부를 따라 방누벽(21, 21)에 경혈이 부착하는 일이 있더라도 이 경혈이 탄성 복원부(6, 6)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탄성 복원부(6, 6)가 습윤 상태가 되지 않고, 탄성 기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생리대(1)의 전후에서는 가로 방향 압착부(13, 13)의 부분이 가요축 이 되어 접히고, 가로 방향 압착부(13)보다도 전방의 전단부가 치구에 맞닿고, 가로 방향 압착부(13)보다도 후방의 후단부가 신부에 맞닿게 된다. 또한 전단부는 전방 연장 압착부(14, 14)를 가요축으로서 치구에 맞도록 변형하고, 후단부는 후방 연장 압착부(15, 15)를 가요축으로서 신부에 맞도록 변형한다. 또한, 가로 방향 압착부(13)보다도 전방의 전단부 및 가로 방향 압착부(13)보다도 방향의 후단부에서는 각각이 전후 방향으로 쌍을 이뤄 연장되는 상기 전방 연장 압착부(14, 14)와 후방 연장 압착부(15, 15)가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전단부 및 후단부에서의 비틀림에 대한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상기 전단부 및 후단부에서 생리대(1)의 평탄 상태를 유지하기 쉬워진다.
생리대(1)를 착용한 상태로 대퇴부(51, 51)의 간격이 좁아지면 대퇴부(51, 51)로부터 상기 크롯치천(25) 및 생리대(1)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부터의 압축력(F)이 작용한다. 이 압축력(F)은 생리대(1)의 폭치수를 단축하도록 작용하고, 또한 탄성 복원부(6, 6)에 대하여 세로 방향 중심선(Oy-Oy)을 향하는 힘으로서 작용한다.
여기서, 생리대(1)는 폭치수가 균일하기 때문에 상기 압축부(F)는 특히 가로 방향 기준선(Ox-Ox)의 위치에서 폭치수가 단축하는 힘으로서 강하게 작용한다. 다만, 상기 제1의 압착부(11)와 제2의 압착부(12)로 끼워진 탄성 복원부(6, 6)는 만곡선 형상이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탄성 복원부(6, 6)는 대퇴부(51, 51)의 내측의 곡면에 따르도록 하여 위치하고, 탄성 복원부(6, 6)의 전체 길이에 걸쳐 대퇴부(51, 51)의 내면으로부터의 거리가 거의 균일하다. 그 때문에, 상기 압축력(F)은 상기 탄성 복원부(6, 6)의 전체 길이에 걸쳐 큰 힘의 차를 생기는 일없이 균일하게 작용한다.
이와 같이, 압축력(F)이 강성을 갖는 탄성 복원부(6, 6)의 각 부분에서 균일하게 주어지기 때문에 가로 방향 기준선(Ox-Ox)의 부분에만 압축력이 집중하는 일은 없고, 길이 방향을 향해서 분산하여 탄성 복원부(6, 6)사이의 중앙 흡수부(5)에 작용한다. 그 때문에, 중앙 흡수부(5)는 그 폭방향이 균일하게 좁혀지고, 일부만이 극단으로 줄어드는 일이 없다.
또한, 밀도가 높고 강성이 높은 탄성 복원부(6, 6)가 서로 접근함으로써 그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 흡수부(5)가 착용자의 신체를 향해서 밀어 올려져 고간부(50)에 압박된다. 이와 같이 하여 중앙 흡수부(5)가 질구에 밀착하게 된다. 이 상태로 탄성 복원부(6, 6)가 중앙 흡수부(5)를 아래로부터 지지하도록 기능하여, 중앙 흡수부(5)와 질구와의 밀착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탄성 복원부(6, 6)의 탄성 복원층(4B, 4B)은 흡수층이 압축되어 밀도가 높게 된 것으로, 가로 방향에의 탄성 복원성이 높다. 그 때문에, 대퇴부(51, 51)의 간격이 넓어졌을 때에는 상기 탄성 복원부(6, 6)의 탄성 복원 작용에 의해 중앙 흡수부(5)가 폭방향으로 용이하게 복원한다. 또한, 착용 상태에서 생리대(1)에 비틀림이 생긴 경우에도 탄성 복원부(6, 6)의 탄성 복원 작용에 의해 비틀린 생리대가 용이하게 복원한다. 특히 탄성 복원부(6, 6)는 균일한 폭치수를 가지고 대퇴부(51, 51)에 따르도록 만곡하고 있기 때문에 대퇴부(51, 51)가 넓어졌을 때에 탄성 복원부(6, 6)에 작용하고 있었던 압축력(F)이 탄성 복원부(6, 6)의 각 위치에 있어서 거의 동시에 또한 동등하게 완화되게 되고, 중앙 흡수부(5)의 각 부분에 있어서 폭치수를 균일하게 회복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각 탄성 복원부(6, 6)의 각 부분과 대퇴부(51, 51)와의 거리의 차를 작게 하여, 탄성 복원부(6, 6)에 압축력(F)이 되도록이면 동등하게 주어지고, 또한 압축력(F)을 해제했을 때에 압축이 되도록이면 균등하게 완화되기 위해서는 도면의 실시형태와 같이 제1의 압착부(11)와 제2의 압착부(12) 및 탄성 복원부(6)가 도시한 바와 같이 커브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동등한 효과는, 제1의 압착부(11)와 제2의 압착부(12) 및 탄성 복원부(6)가 가로 방향 중심선(Ox-Ox)의 위치로 가장 접근하여, 이 가로 방향 중심선(Ox-Ox)에서 전후로 멀어짐에 따라서 세로 방향 중심선(Oy-Oy)에서 멀어지는 것이면 발휘할 수 있다. 예컨대 양압착부(11, 12)와 탄성 복원부(6, 6)가 원 또는 타원의 호, 사다리꼴, 혹은 V자의 형상으로 연장되는 것이라도 좋다. 가로 방향 중심선(Ox-Ox)의 위치에서 가장 접근하고, 이 가로 방향 중심선(Ox-Ox)에서 전후로 멀어짐에 따라서 세로 방향 중심선(Oy-Oy)에서 멀어지는 것이면 제1의 압착부(11)와 제2의 압착부(12)가 지그재그선이나 파선의 형상으로 연장되는 것이라도 좋다.
질구로부터 배설된 경혈은 주로 질구에 밀착하고 있는 중앙 흡수부(5)에 주어져, 표면 시트(3)를 투과하여 중앙부 흡수층(4A)에 흡수된다. 중앙 흡수부(5)는 제1의 압착부(11, 11) 및 가로 방향 압착부(13, 13)로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상기 압착부에서 경혈이 외측으로 확산하는 것을 방지하기 쉬워져, 경혈은 중앙 흡수부(5)내에서 확산하여 흡수되어, 중앙부 흡수층(4A)의 액흡수 용량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다.
단위 중량이 크고 또 밀도가 낮은 상기 중앙부 흡수층(4A)이 경혈을 흡수하면 압축에 대한 탄성 복원력이 저하한다. 한편, 탄성 복원부(6, 6)내의 탄성 복원층(4B, 4B)은 고밀도로 압축된 것이기 때문에 내부에 경혈이 들어가더라도 탄성 회복력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경혈이 주어진 습윤 상태에 있어서도 대퇴부(51, 51)가 넓어질 때마다 중앙 흡수부(5)의 폭치수를 회복시킬 수 있다. 또한 탄성 복원부(6, 6)에 의해 중앙 흡수부(5)가 질구에 압박되어 있기 때문에 중앙부 흡수층(4A)에 경혈이 주어져 압축 회복성이 저하하더라도, 질구와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게 된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생리대(1)가 가로 방향으로 압축된 상태로, 중앙 흡수부(5)의 양측에 볼록 형상의 탄성 복원부(6, 6)가 존재하고, 그 외측에 측단부(7, 7)가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중앙 흡수부(5)의 표면과 측단부(7, 7)의 표면이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중앙 흡수부(5)에 흡수된 경혈이 측단부(7, 7)에 전이하지 않게 되어, 경혈의 부주의한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경혈이 중앙 흡수부(5)의 표면에 따라서 가로 방향으로 흐른 경우라도 탄성 복원부(6, 6)에서 이것을 받아내고 또한 차단할 수 있어 측단부(7, 7) 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쉽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좌우 양측에 탄성 복원부(6, 6)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특히 탄성 복원부(6, 6)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근방에서는 변형한 생리대(1)를 원래의 상태로 즉시 회복할 수 있다. 경혈의 흡수후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변형한 생리대(1)는 원래의 상태로 회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방누벽(21)의 전방의 상승 기점(24a)과 후방의 상승 기점(24b)은 탄성 복원부(6)의 근방에 위치하고, 그 직선 거리는 45 mm 이하이다. 그 때문에 생리대(1)가 착용중에 변형하여 상기 상승 기점(24a, 24b)이 세로 방향 중심선(Oy-Oy)에 근접했다고 해도 외력이 없어지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방누벽(21)이 부주의하게 비틀리는 일없이, 또한 상승 기점(24a, 24b)의 위치를 안정시키고 있는 것에 의해 방누벽(21, 21)이 중앙 흡수부(5)의 표면을 덮도록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방누벽(21, 21)에 의한 경혈의 가로 누설의 방지 효과를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의 압착부(11)와 제2의 압착부(12) 및 탄성 복원부(6)가 세로 방향 중심선(Oy-Oy)을 향해서 볼록 만곡 형상이기 때문에 제2의 압착부(12)의 전단(12a)과 후단(12b)은 상기 상승 기점(24a, 24b)에 접근하기 쉽게 되어 있고, 따라서, 탄성 복원부(6)에 의해서 상승 기점(24a, 24b)의 위치를 안정시키기 쉽게 되어 있다.
또, 도 1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전방의 상승 기점(24a)이 제2의 압착부(12)의 전단(12a)보다도 전방에 위치하고 있지만, 상기 상승 기점(24a)이 제2의 압착부(12)와 우측 가장자리(1a) 사이에 위치하고 있더라도 좋고, 후방 상승 기점(24b)이 제2의 압착부(12)와 우측 가장자리(1a)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더라도 좋다. 다만, 상승 기점(24a 또는 24b)과 상기 제2의 압착부(12)와의 최단의 직선 거리가 45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25 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 각 구성 요소의 바람직한 수치를 설명한다. 이 이후에 설명하는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제1의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을 갖는 부분은 같은 수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흡수층은 펄프 등의 섬유를 친수지 등으로 싸 구성하고 있지만, 이하의 흡수층의 밀도 및 단위 중량은 친수지 등을 제외한 것이다.
중앙부 흡수층(4A)은 중앙 흡수부(5)에 있어서 경혈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큰 액흡수 용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닿는 곳이 부드럽고, 더구나 착용자의 신체로부터 걸려 있었던 압력이 제거되었을 때에 두께를 회복할 수 있는 탄성 복원력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부 흡수층(4A)은 밀도가 0.05∼0.15 g/cm3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중앙부 흡수층(4A)의 단위 중량은 500∼1200 g/m2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O∼1000 g/m2이다. 이 범위이면 충분한 액흡수 용량과, 상하 방향의 압박에 대한 탄성 복원력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중앙 흡수부(5)의 가로 방향 기준선(Ox-Ox)상에서의 폭치수(W1)는 15∼50 mm의 범위가 바람직하며, 또한 20∼40 mm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그 제1의 이유는 일반 여성의 고간부의 폭이 약 30 mm이기 때문이다. 제2의 이유는 폭치수(W1)가 상기 범위이면 예컨대 측단부(7, 7) 및 방누벽(21, 21)이 세로 방향 중심선(Oy-Oy)을 향해서 쓰러졌다고 해도 경혈을 받아내기 위해서 중앙 흡수부(5)의 표면을 어느 정도의 면적을 계속 노출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탄성 복원부(6)에 설치되는 탄성 복원층(4B)은 중앙부 흡수층(4A) 및 측단부 흡수층(4C)보다도 밀도가 높지만, 탄성 복원부(6)의 두께는 그 정도로 작지는 않다. 즉, 탄성 복원부(6)는 각각 폭치수(W4)가 1.5∼3.5 mm의 제1의 압착부(11)와 제2의 압착부(12)와의 사이의 위치에, 단위 중량이 300∼800 g/m2이고, 바람직하게는 350∼600 g/m2인 흡수층이 압축되어 채워짐으로써, 그 흡수층의 밀도가 0.1∼0.25 g/cm3으로 높여져 형성된다. 그리고, 탄성 복원부(6)는 폭치수(W2)가 3∼10 mm이고 이면 시트(2)의 외면에서 표면 시트(3)의 외면까지의 두께가 2∼6 mm가 되도록 볼록형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중앙 흡수부(5)와 측단부(7, 7)와의 사이에 설치된 탄성 복원부(6, 6)는 탄성이 강해서 탄성 복원력이 풍부한 것이 된다. 또한, 그 부피와 탄성 복원력은 습윤시에서도 감소하지 않는 것으로 할 수 있다.
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중앙 흡수부(5) 및 탄성 복원부(6, 6)에 있어서 표면 시트(3)와 이면 시트(2)와의 사이에 친수성 섬유의 흡수층과 함께 합성 섬유로 형성된 부직포 등의 보조층을 개재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밀도의 바람직한 범위는 상기 부직포를 제외한 흡수층의 밀도이며, 또한 상기 바람직한 단위 중량은 상기 흡수층과 부직포를 포함한 것을 의미한다.
탄성 복원부(6, 6)의 길이(세로 방향 중심선(Oy-Oy)과 평행하게 측정한 치수)는 제2 압착부(12, 12)의 길이에 의해서 결정된다. 상기 탄성 복원부(6, 6)의 길이가 지나치게 짧으면 중앙 흡수부(5)의 폭치수를 충분히 회복시킬 수 없고, 너무 길면 생리대 전체의 강성이 너무 높아져 착용자의 고간부에 위화감을 부여한다. 탄성 복원부(6, 6)의 길이는 40 mm 이상이고 100 mm 이하가 바람직하다. 다만, 나이트용이나 경혈이 많은 날에 사용되는 예컨대 도 10 등에 표시되는 롱 타입의 생리대의 경우, 탄성 복원부(6, 6)의 길이가 100 mm을 넘어도 좋다. 예컨대 생리대가 길이 380 mm 정도의 상기 롱 타입인 경우, 탄성 복원부(6, 6)의 길이의 상한은 120 mm 정도이다. 길이가 100 mm을 넘으면(롱 타입의 경우에 120 mm을 넘으면), 생리대(1)가 착용자의 신체에 강직감을 부여할 가능성이 있다.
측단부 흡수층(4C)의 밀도는 상기 탄성 복원층(4B)보다도 낮게, 중앙부 흡수층(4A)과 같은 정도가 바람직하며, 그 범위는 0.05∼0.15 g/cm3이다. 또한 측단부 흡수층(4C)의 단위 중량은 상기 탄성 복원층(4B)보다도 작고, 예컨대 300∼450 g/m2정도가 바람직하다. 측단부 흡수층(4C)의 폭치수(W3)는 10∼35 mm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0 mm 이다. 단위 중량의 상한은 상기 범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생리대의 경우 600 g/m2라도 좋다.
상기 압착부(10)중 제1의 압착부(11)와 제2의 압착부(12)에서는 가장 밀도가 높은 부분, 즉 고밀도 압착부(10a)에서의 밀도가 중앙부 흡수층(4A), 탄성 복원층(4B) 및 측단부 흡수층(4C)의 각각의 밀도보다도 충분히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 복원부(6, 6)가 독립적으로 충분한 탄성 복원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고밀도 압착부(10a)의 밀도는 O.3 g/cm3 이상 필요하고, O.5∼1.5 g/cm3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압착부(10)에서의 중밀도 압착부(10b)의 밀도는 반드시 상기 범위내가 아니더라도, 충분한 탄성 복원 기능을 갖는 탄성 복원부(6, 6)를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탄성 복원부(6, 6)를 고밀도로 유지하고, 또한 제1의 압착부(11, 11)와 제2의 압착부(12, 12)에서 절곡되기 쉽게 하기 위해서는 중밀도 압착부(10b)의 밀도도 상기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각 구성 소재의 바람직한 예를 설명한다.
표면 시트(3)에는 다수의 액투과 구멍이 형성된 합성 수지 필름, 또는 네트형으로 형성된 합성 수지 시트, 화학 섬유로 형성된 에어스루 부직포가 사용된다. 혹은 피부측 표면에 액투과 구멍을 갖는 상기 합성 수지 필름이 나타나고, 그 아래에 에어스루 부직포가 적층된 복합 재료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합성 수지 필름이 백색화제인 산화티탄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수지로 형성되고, 에어스루 부직포는 코어부가 산화티탄을 포함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이고, 시스부가 폴리에틸렌(PE)의 코어시스형 복합 합성 섬유가 사용되어, 열풍에 의해서 상기 코어시스형 복합 합성 섬유끼리를 열융착에 의해 접착시킨 것이다.
또한, 상기 표면 시트(3)는 스펀레이스 부직포, 스펀본드 부직포 등의 다른 부직포라도 좋다.
상기 이면 시트(2)는 액불투과성이고 또한 통기성의 시트이며, 미세한 통기 구멍이 형성된 폴리에틸렌(PE) 필름, 혹은 폴리프로필렌(PP) 필름 등이다. 예컨대, 상기한 플라스틱 필름에 CaCO3, BaSO4 등의 무기 필러를 혼합시켜 연신 처리함으로써 필름에 미세한 통기 구멍이 적절히 분산되어 형성되어, 통기성을 향상시킨다. 필름은 두께가 15∼50 im 정도의 것이다. 혹은, 부직포에 열가소성 수지를 라미네이션한 재료라도 좋다.
상기 제1의 흡수층(4a), 제2의 흡수층(4b), 제3의 흡수층(4c)은 분쇄 펄프, 마셀화 펄프, 크로스링크 펄프 등의 플러프 펄프를 퇴적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각 흡수층(4a, 4b, 4c)이 중첩된 상태로, 그 전체가 친수지로 둘러싸인다. 상기 펄프에는 폴리아크릴산염, 폴리아크릴아미드, 무수말레산 등의 합성 흡수 폴리머나, 전분, 셀룰로오스 등의 천연계의 흡수 폴리머가 혼합되어 있더라도 좋다. 혹은 시트형의 흡수 폴리머가 포함되어 있더라도 좋다.
특히, 상기 탄성 복원부(6, 6)내에 상기 흡수 폴리머 또는 그 시트가 포함되어 있으면 경혈을 흡수한 습윤 상태에 있어서 펄프사이의 접합력이 높아지고, 상기 탄성 복원부(6, 6)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방누벽(21)을 형성하는 액불투과성 시트(20)에는 스펀본드 부직포, 멜트블론 부직포, 혹은 이들의 적층체가 이용된다. 시트(20)는 발수 처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면 시트(2), 표면 시트(3), 흡수층(4) 및 액불투과성 시트(20)는 상기 압착부(10)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 적절하게 접착제를 통해 서로 접착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이하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의 생리대(1A)를 나타내는 반단면도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중앙 흡수부(5)로부터 제1의 압착부(11, 11)를 넘어 탄성 복원부의 내부에 걸쳐 흡수층(4A, 4B)의 위에 합성 섬유로 형성된 부직포(8)가 중첩되고 있다. 이 부직포는, 예컨대 에어스루 부직포이다.
상기 에어스루 부직포는 코어부가 폴리프로필렌(PP)이고 시스부가 폴리에틸렌(PE)의 편심 타입의 코어시스형 복합 합성 섬유(예컨대 섬도가 4.4 dtex, 섬유 길이가 50 mm)를 135℃의 열풍으로 1분간 열처리함으로써 형성된 것으로, 상기 섬유에는 친수성 유제가 도포된 것이 사용된다. 상기 에어스루 부직포의 밀도는 상기 중앙부 흡수층(4A) 및 표면 시트(3)보다도 낮고, 0.005 g/cm3 이상이고 O.3 g/cm3의 범위이다. 상기 에어스루 부직포의 두께는 O.5 mm∼2 mm이며, 이것을 2장 또는 3장 중첩하여 절첩하여 사용된다.
중앙 흡수부(5)에 있어서는 상기 펄프 등의 친수성 섬유 또는 친수성 섬유와 흡수 폴리머와의 혼합체로 형성되고 또한 친수지로 둘러싸인 중앙부 흡수층(4A)과, 표면 시트(3)와의 사이에 상기 에어스루 부직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중앙 흡수부(5)에 있어서 표면 시트(3)에 주어진 경혈이 표면 시트(3)를 투과하고, 또한 자신의 중량으로 에어스루 부직포의 섬유사이의 공극내를 통과하여, 중앙부 흡수층(4A)에 흡수되게 된다. 따라서 반복 주어지는 경혈의 흡수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고, 또한 표면 시트(3)를 드라이 상태로 유지하기 쉬워진다. 또한 에어스루 부직포는 탄성 복원성이 높기 때문에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 흡수부(5)가 가로 방향으로 압축되어 폭치수가 단축되었을 때에 중앙 흡수부(5) 자신이 가로 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탄성 복원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탄성 복원부(6, 6)에 있어서는 펄프층, 또는 펄프와 흡수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층이 친수지로 둘러싸인 탄성 복원층(4B)과 함께 상기 에어스루 부직포가 압축된 상태로, 이면 시트(2)와 표면 시트(3)와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따라서, 탄성 복원부(6, 6)의 탄성 복원 기능을 더욱 높게 할 수 있다.
제1의 압착부(11)에 있어서는 에어스루 부직포가 흡수층과 함께 가열되고 가압되어, 에어스루 부직포를 구성하는 합성 섬유가 열용융하고 있다. 따라서 제1의 압착부(11)를 압축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경혈이 닿았을 때라도 제1의 압착부(11)가 압착 상태로부터 회복하는 등의 문제가 생기지 않게 된다. 따라서, 탄성 복원부(6)의 내부를 항상 고밀도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에어스루 부직포는 제2의 압착부(12)에도 존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합성 섬유로 형성된 부직포는 에어스루 부직포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탄성 복원부(6) 및 제1의 압착부(11)와 제2의 압착부(12)에 스펀본드 부직포, 멜트블론 부직포 등의 다른 부직포가 설치되어 있더라도 좋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의 실시형태의 생리대(1B)를 나타내는 반단면도이다.
이 생리대(1B)의 구조는 도 1에 나타내는 것과 동일하지만, 탄성 복원부(6, 6)내에 상기 탄성 복원층(4B, 4B)과 함께 보강 부재(23)가 설치되어 있다. 이 보강 부재(23)는 중앙부 흡수층(4A) 및 측단부 흡수층(4C)보다도 밀도가 높고 또한 강성이 높은 것으로, 예컨대 발포 우레탄 수지 등의 발포 수지 재료, 펄프와 합성 섬유를 열융착시키거나 또는 바인더로 고착시킨 에어레이드 부직포, 나아가서는 막대 형상 또는 평판형의 천연 고무나 합성 고무 등이다. 이 보강 부재(23)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탄성 복원부(6)의 탄성 복원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 상기 보강 부재(23)용의 발포 우레탄 수지를 친수 처리하여, 중앙 흡수부(5), 제1의 압착부(11), 제2의 압착부(12), 및 탄성 복원부(6, 6)의 내부를 연속적으로 연장되도록 배치하더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탄성 복원부(6, 6)에 펄프 등의 흡수층을 설치하지 않고서 상기 보강 부재(23)만을 이면 시트(2)와 표면 시트(3)와의 사이에 남기는 것이라도 좋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4의 실시형태의 생리대(1C)의 평면도이다.
이 생리대(1C)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압착부(10)와 같은 패턴으로 압착부(10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압착부(10B)는 제1의 압착부(11B, 11B), 제2의 압착부(12B, 12B), 가로 방향 압착부(13B, 13B), 전방 연장 압착부(14B, 14B) 및 후방 연장 압착부(15B, 15B)를 갖고 있다. 그러나 이 압착부(10B)는 연속하는 압착홈으로서가 아니라, 상기 패턴에 따라서 간격을 두고 늘어서는 압착 도트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압착부(10B)는 도트의 부분만으로 표면 시트(3)와 흡수층(4)이 가압되고 가열되어 고밀도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압착 도트가 도트 패턴의 엠보스 볼록부를 이용하여 형성될 때, 인접 압착 도트사이에서는 가열도 가압도 행해지고 있지 않다.
이 생리대(1C)에서는 압착 도트의 열로서 형성된 제1의 압착부(11B, 11B)와, 제2의 압착부(12B, 12B)와의 사이에 고밀도의 탄성 복원부(6B, 6B)가 형성되어 있다. 이 탄성 복원부(6B, 6B)는 압착 도트로 형성된 상기 압착부(11B와 12B)에 의하는 구속력이 약하고, 압착부의 형성 공정만으로 펄프 등의 흡수층을 고밀도로 압축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서는 탄성 복원부(6B, 6B)내에 포함되는 탄성 복원층(4B)으로서 펄프 등을 미리 압축 성형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보강 부재(23)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a,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압착 도트는 원형이라도 좋고, 도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착 도트가 세로 방향으로 가는 길이의 단선 형상이라도 좋다. 도 8b, 8c에 기재한 바와 같이 제1의 압착부(11B)에서의 인접 압착 도트사이의 가압·가열되어 있지 않은 중간부와, 제2의 압착부(12B)에서의 인접 압착 도트사이의 가압·가열되어 있지 않은 중간부가 가로 방향(X 방향)으로 중복하지 않도록 제1의 압착부(11B, 11B)의 압착 도트와, 제2의 중간부(12B, 12B)의 압착 도트가 번갈아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착 도트를 번갈아서 배치함으로써 중앙 흡수부(5)에 주어진 경혈이 표면 시트(3)나 흡수층에 따라서 가로 방향으로 확산했을 때에 압착 도트가 가로 방향에의 경혈의 이행에 대하여 미로와 같이 기능하여, 경혈이 측단부(7, 7)로 이행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의 압착부와, 제2의 압착부의 한쪽을 도 1의 압착부(10)와 같은 압착홈으로 하고, 다른쪽을 도 8a, 8b, 8c에 나타낸 바와 같은 압착 도트의 열로서 형성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제1의 압착부, 가로 방향 압착부, 전방 연장 압착부 및 후방 연장 압착부의 모두를 압착홈으로 하고, 제2의 압착부만을 상기 압착 도트의 열로서 형성하더라도 좋다. 제2의 압착부를 압착홈으로 하고, 제1의 압착부의 전체 혹은, 제1의 압착부중의 상기 제2의 압착부에 대향하는 영역만을 상기 압착 도트의 열로서 형성하더라도 좋다. 이들의 경우, 가로 방향 압착부와 전방 연장 압착부 및 후방 연장 압착부는 압착홈으로서 형성하더라도 좋고, 압착 도트의 열로서 형성하더라도 좋다.
다만, 세로 방향 중심선(Oy-Oy)에 가까운 제1의 압착부를 압착홈으로 하고, 제2의 압착부를 압착 도트의 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중앙 흡수부(5)에 주어진 경혈이 탄성 복원부(6, 6)로 이행하는 것을 억제하기 쉽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압착부를 압착 도트의 열로서 형성한 경우, 인접 압착 도트사이의 비압착부가 세로 방향을 향해서 만곡하기 쉬워져, 생리대의 전단부가 하복부측에, 후단부가 신부측에 맞도록 만곡 변형하기 쉬워진다. 또한, 도 8b,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압착 도트를 번갈아서 형성하면, 압착부가 굽힘 강성을 높이는 일이 없고 상기 만곡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선 형상의 압착 도트를 형성하는 경우, 단선 형상의 압착 도트의 길이는 10∼20 mm 정도가 바람직하며, 세로 방향으로 인접하는 단선 형상의 압착 도트사이에 있는 중간 부분(비압착 부분)의 길이는 5∼10 mm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선 형상의 압착 도트를 각자 상기 고밀도 압착부(10a)와 중밀도 압착부(10b)가 교대로 반복하는 것으로 하여 형성하더라도 좋다. 도 1에 나타내는 압착부 중 어느 하나의 부분이 도중에 끊겨 있는 것이라도 좋다.
다음에, 도 9 내지 도 13은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의 실시형태의 압착부는 동일 혹은 유사한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도 9 내지 도 13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압착부는 상기 제1 내지 제4의 실시형태와는 다른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압착부의 패턴 이외의 구조에 관해서 도 9 내지 도 13에 나타내는 실시형태는 상기 제1 내지 제4의 실시형태로 나타낸 각 구조를 선택하여 채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이하에 있어서는 압착부의 패턴의 차이만을 설명하고, 다른 부분은 상기 각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생리대(1E)의 평면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생리대(1E)의 압착부(10E)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가로 방향 압착부(13, 13)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원호 곡선형의 제1의 압착부(11E, 11E)의 전후로 전방 연장 압착부(14E, 14E)와 후방 연장 압착부(15E, 15E)가 연속하고 있다. 상기 제1의 압착부(11E, 11E)로 둘러싸인 부분이 중앙 흡수부(5)이다. 상기 제2의 압착부(12E, 12E)는 상기 중앙 흡수부(5)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제2의 압착부(12E, 12E)도 원호 곡선형으로 형성되어, 제1의 압착부(11E, 11E)와 등거리를 유지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도 도 4 또는 도 5에 나타내는 변형 상태에 있어서, 탄성 복원부(6, 6)가 충분한 탄성 복원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흡수층에 주어진 경혈이 제1의 압착부(11E, 11E)에서 끼워진 중앙 흡수부(5)로부터, 더욱 전방 연장 압착부(14E, 14E)에서 끼워진 부분 및 후방 연장 압착부(15E, 15E)에서 끼워진 부분으로 확산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경혈이 주어졌을 때에 생리대(1E)의 세로 방향의 치수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의 실시형태의 생리대(1F)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 생리대(1F)는 세로로 길며 후방 부분에 있어서 우측 가장자리(1a)와 좌측 가장자리(1b)와의 사이의 폭치수가 크게 넓어져, 소위 힙 가드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1의 압착부(11F, 11F)에서 후방으로 연장하는 제1의 후방 압착부(15F, 15F)가 뒤 가장자리(1d)를 향함에 따라서 그 대향 간격이 서서히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뒤 가장자리(1d)의 내측에서 곡선 형상의 연결 압착부(17F)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1의 후방 압착부(15F, 15F)의 외측에는 제2의 후방 압착부(18F, 18F)가 설치되어 있고, 뒤 가장자리(1d)의 내측에서 곡선 형상의 연결 압착부(19F)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 제2의 광보 압착부(18F, 18F)도 대향 간격이 뒤 가장자리(1d)를 향해서 서서히 좁아지는 부분을 갖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1의 압착부(11F)와 제1의 압착부(11F) 및 가로 방향 압착부(13F)로 둘러싸인 영역이 중앙 흡수부(5F)이며, 제1의 후방 압착부(15F)와 제1의 중앙 후방 압착부(15F) 및 연결 압착부(17F)로 둘러싸인 영역이 후방 중앙 흡수부(5G)이다. 중앙 흡수부(5F)와 후방 중앙 흡수부(5G)에서는 표면 시트(3)와 이면 시트(2)와의 사이에 부피가 큰 중앙부 흡수층(4A)이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기 중앙 흡수부(5F)와 후방 중앙 흡수부(5G)에서 중앙부 흡수층(4A)의 밀도 및 단위 중량은 거의 균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1의 후방 압착부(15F, 15F)와 제2의 후방 압착부(18F, 18F)와의 사이는 후방 탄성 복원부(6F, 6F)로 되어 있고, 여기서 표면 시트(3)와 이면 시트(2)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흡수층(탄성 복원층)은 상기 후방 중앙 흡수부(5G) 내의 중앙부 흡수층(4A)의 밀도보다도 높게 되어 있다. 후방 탄성 복원부(6F, 6F) 내의 흡수층의 밀도는 상기 탄성 복원부(6, 6)와 동일하게, 혹은 탄성 복원부(6, 6)보다도 약간 작게, 그리고 중앙부 흡수층(4A)보다도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의 후방 압착부(15F, 15F)와 제1의 압착부(11F, 11F)와의 경계부는 세로 방향 중심선(Oy-Oy)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서 볼록 형상이며, 중앙부 흡수층(4A)은 상기 경계부에서 광폭부로 되어 있다. 제1의 후방 압착부(15F, 15F)는 상기 경계부에서 뒤 가장자리(1d)를 향함에 따라서 대향 간격이 서서히 좁아지고, 제1의 압착부(11F, 11F)도 상기 경계부에서 가로 방향 기준선(Ox-Ox)을 향함에 따라서 대향 간격이 서서히 좁아진다.
또한, 생리대(1F)의 피부측 표면의 좌우 양측에는 불투액성 시트(20, 20) 및, 이 불투액성 시트(20)로 형성된 방누벽(21, 21)이 설치되어 있다. 이 방누벽(21, 21)의 구조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고, 그 치수만 다르다. 제1의 면(21a)의 접착 부분과 비접착 부분과의 경계선은 중간 경계선(22a), 전방 경계선(22b) 및 후방 경계선(22c)을 가지고, 여기서 부호(24a)가 방누벽(21)의 전방의 상승 기점을 나타내고, 부호(24b)가 방누벽(21)의 후방의 상승 기점을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전방의 상승 기점(24a)은 탄성 복원부(6)의 전단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어, 제2의 압착부(12F)의 전단(12a)과 상승 기점(24a)과의 최단의 직선 거리가 45 mm 이하로 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40 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mm 이하로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후방의 상승 기점(24b)은 후방 탄성 복원부(6F)의 전단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상승 기점(24b)과 제2의 후방 압착부(18F)의 전단(18G)과의 거리는 45 mm 이하로 되어 있다. 다만,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의 후방 압착부(15F) 및 제2의 후방 압착부(18F)를 가지고, 또한 힙 가드부를 갖는 세로로 길고 취침시에 사용하는 데 알맞은 생리대(1F)의 경우, 신부 부근에 맞닿은 힙 가드부에 비틀림이 생기기 쉽다. 따라서 방누벽(21)의 후방의 상승 기점(24b)과, 제2의 후방 압착부(18F)의 전단(18G)과의 최단의 직선 거리는 20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세로로 긴 생리대(1F)를 속옷의 크롯치천(25)의 내측에 장착하여 착용하면 가로 방향 기준선(Ox-Ox)의 부분이 질구의 전후 방향의 거의 중심에 일치한다. 그리고 가로 방향 기준선(Ox-Ox)의 부근에 대퇴부로부터 압축력(F)이 주어지면 그 부분에서는 생리대(1F)가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형하고, 압축력(F)이 완화되면 탄성 복원부(6, 6)의 탄성 회복력에 의해 생리대(1F)가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변형 상태로부터 원래의 상태로 회복한다.
또한, 생리대(1F)의 후방 부분은 신부에 닿고, 후방 중앙 흡수부(5G)는 신부의 홈에 맞는다. 이 후방 중앙 흡수부(5G)의 양측에도 후방 탄성 복원부(6F, 6F)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착용자의 자세(몸의 자세)의 변화에 의해서 생기는 착용자의 신체나 속옷으로부터의 지나친 압력이 생리대(1F)에 가해졌다고 해도 후방부가 변형하지 않고, 또한 변형했다고 해도 회복하기 쉽기 때문에 후방 중앙 흡수부(5G)를 착용자의 신체에 밀착한 상태로 유지하기 쉽다.
또한, 방누벽(21)의 전방의 상승 기점(24a)이 탄성 복원부(6)의 근방에 위치하고, 후방의 상승 기점(24b)이 후방 탄성 복원부(6F)의 근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착용중에 상승 기점(24a, 24b)의 위치가 안정되고, 방누벽(21)이 비틀리거나, 중앙 흡수부(5F) 및 후방 중앙 흡수부(5G)를 향해서 쓰러지는 일이 일어나지 않는다.
생리대(1F)를 크롯치천으로부터 뒷길을 향해서 착용자의 신부의 홈에 따르는 탄성 부재가 설치된 생리용 쇼츠와 함께 착용한 경우, 후방 중앙 흡수부(5G)는 상기 탄성 부재의 힘으로 신부의 홈내를 향해서 눌린다. 이 때, 후방 중앙 흡수부(5G)의 양측에는 제1의 후방 압착부(15F, 15F) 및 제2의 후방 압착부(18F, 18F)가 위치하고, 각각 가요축으로 기능하기 때문에 속옷으로부터 받는 압박력에 의해 상기 후방 중앙 흡수부(5G)가 신부에 밀착되기 쉬워진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7의 실시형태의 생리대(1G)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생리대(1G)는 후방에 힙 가드부를 갖고 있지만, 도 10에 나타내는 생리대(1F)보다도 세로 방향의 치수가 약간 짧다.
생리대(1G)의 압착부(10G)는 제2의 압착부(12F, 12F)와 제2의 후방 압착부(18F, 18F)가 연속하고 있는 점을 제외하고, 도 10의 압착부(10F)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생리대(1G)도 중앙 흡수부(5F)의 양측에 탄성 복원부(6, 6)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변형력에 대하여 충분한 복원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방누벽(21)의 전방의 상승 기점(24a)과 제2의 압착부(12F)의 전단(12a)과의 직선 거리가 45 mm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40 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mm 이하로 되어 있다. 또한 후방의 상승 기점(24b)과 제2의 후방 압착부(18F)와의 최단의 직선 거리도 45 mm 이하, 바람직하게는 25 mm 이하로 되어 있다. 다만,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승 기점(24b)이 제2의 후방 압착부(18F)와 우측 가장자리(1a)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직선 거리를 상당히 짧게 할 수 있어, 15 mm 이하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각 상승 기점(24a, 24b), 특히 후방의 상승 기점(24b)이 후방 탄성 복원부(6F)에 의해서 확실히 보강되게 되어, 방누벽(21)의 비틀림이나 쓰러짐이 생기지 않게 되어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8의 실시형태의 생리대(1H)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 생리대(1H)의 구조는 도 1에 나타낸 생리대(1)의 날개부(18)를 제외한 것과 동일하다.
도 12의 생리대(1H)의 압착부(10H)는 원호 곡선형의 제1의 압착부(11H, 11H)와, 그 외측에 위치하는 마찬가지로 원호 곡선형의 제2의 압착부(12H, 12H)를 갖고 있고, 제1의 압착부(11H, 11H)와 제2의 압착부(12H, 12H)가 등거리를 유지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1의 압착부(11H)와 제1의 압착부(11H)로 끼워진 부분이 중앙 흡수부(5H)이며, 제1의 압착부(11H, 11H)와 제2의 압착부(12H, 12H)로 끼워진 부분이 탄성 복원부(6H, 6H)이다.
전방과 후방에 위치하는 가로 방향 압착부(13H, 13H)는 제2의 압착부(12H)와 제2의 압착부(12H)를 잇고 있다. 따라서, 제1의 압착부(11H, 11H) 및 탄성 복원부(6H, 6H)가 제2의 압착부(12H, 12H)와, 가로 방향 압착부(13H, 13H)로 둘러싸인 영역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전방 연장 압착부(14H, 14H)와 후방 연장 압착부(15H, 15H)는 제2의 압착부(12H, 12H)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생리대(1H)에서도 상기 탄성 복원부(6H, 6H)가 충분한 가로 방향에의 탄성 복원력을 발휘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2의 압착부(12H, 12H)와 가로 방향 압착부(13H, 13H)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영역의 면적이 중앙 흡수부(5H)보다도 넓기 때문에 상기 둘러싸인 영역에서의 액흡수 용량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의 압착부(11H, 11H)와 제2의 압착부(12H, 12H)와의 사이의 탄성 복원부(6H, 6H)에 주어진 경혈의 확산을 상기의 둘러싸인 영역내에 한정할 수 있고, 생리대(1H)로부터의 경혈의 누출을 방지하기 쉬워진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9의 실시형태의 생리대(1J)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 생리대(1J)는 도 9에 나타낸 생리대(1E)의 것과는 다소 다른 패턴의 압착부(10J)를 갖는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2의 압착부(12J, 12J)의 전후로 전방 연장 압착부(14J, 14J)와 후방 연장 압착부(15J, 15J)가 연속하고 있다. 한편, 제1의 압착부(11J)와 제1의 압착부(11J)는 제2의 압착부(12J, 12J)의 사이의 영역내에 위치하고 있다. 제1의 압착부(11J)와 제1의 압착부(11J)로 끼워진 부분이 중앙 흡수부(5J)로 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도 탄성 복원부(6J, 6J)의 작용에 의해 충분한 가로 방향에의 압축 회복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중앙 흡수부(5J)의 외측의 영역이 세로 방향의 긴 범위에서 제2의 압착부(12J, 12J), 전방 연장 압착부(14J, 14J) 및 후방 연장 압착부(15J, 15J)로 끼워져 있기 때문에 탄성 복원부(6J, 6J)에 부착된 경혈을 생리대(1J)의 세로 방향으로 확산시킬 수 있어, 가로로 새는 것의 방지 효과를 높게 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생리대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a, 2b에 나타내는 생리대(1)의 제조 방법으로서 설명하지만, 상기 각각의 실시형태의 생리대도 압착부의 패턴을 변경하거나, 혹은 제1의 압착부(11)와 제2의 압착부(12)와의 사이에 개재시키는 소재를 변경함으로써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생리대(1)의 제조 방법은, 우선 흡수층(4)과 표면 시트(3)를 중첩하여, 필요에 따라서 양쪽 부분재를 접착한다. 다음에, 엠보스 패턴을 갖는 가압 부재를 이용하여 표면 시트(3)측에서 적층체를 가압하여, 상기 압착부(10)를 형성한다. 그 후에, 이면 시트(2)를 적층체에 거듭 접합한다. 다만, 흡수층(4)만을 엠보스 처리하여, 이것을 이면 시트(2)와 표면 시트(3)와의 사이에 끼우더라도 좋다. 상기 엠보스 처리는 흡수층(4)의 외면측에서(의복측 표면에서) 행하더라도 좋고, 양측에서 행하더라도 좋다. 다만, 이하에서는 흡수층(4)과 표면 시트(3)를 중첩한 것을 표면 시트(3)의 측에서 엠보스 처리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4a는 가압 부재(100)의 일부를 가압면측에서 나타내는 평면도, 도 14b는 도 14a의 B-B선에서의 단면도이다.
이 가압 부재(100)에는 그 패턴이 도 1에 나타내는 압착부(10)로서 적층체에 전사되는 엠보스 볼록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도 14에서는 도 1의 가로 방향 기준선(Ox-Ox) 부근에서의 제1의 압착부(11)와 제2의 압착부(12)를 형성하는 엠보스 볼록부(110)의 일부만을 나타내고 있다.
도 14a, 14b에서는 엠보스 볼록부(110)의 좌측에 생리대(1)의 중앙 흡수부(5)에 대향하는 제1의 하부(115)가 형성되고, 우측에 측단부(7)에 대향하는 제2의 하부(117)가 형성되어 있다. 엠보스 볼록부(110)의 정점으로부터의 상기 제1의 하부(115)까지의 깊이를 D2로 나타내고, 상기 정점에서 제2의 하부(117)까지의 깊이를 D3으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 깊이 D2와 D3은 동일하더라도 좋고, 비교적 두께가 있는 중앙부 흡수부(5)에 대향하는 것이기 때문에 제1의 하부(115)쪽이 깊더라도 좋다.
도 14a, 14b에서는 제1의 압착부(11)를 형성하기 위한 제1의 볼록부(111)와, 제2의 압착부(12)를 형성하기 위한 제2의 볼록부(112)가 표시되어 있다.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의 볼록부(111)와 제2의 볼록부(112)와의 사이에는 제1의 압착부(11)와 제2의 압착부(12)와의 사이의 흡수층을 압축하기 위한 오목부(11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이 오목부(116)에 의해 탄성 복원부(6)가 형성된다. 상기 정점에서 오목부(116)의 하부까지의 깊이 D1은 상기 깊이 D2 및 D3보다도 충분히 얕게 되어 있다.
상기 제1의 볼록부(111)의 선부에는 가압부(111a)가 설치되고, 그 양측에는 상기 정점으로부터 서서히 멀어지는 경사면(111b, 111b)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의 볼록부(112)의 선부에도 가압부(112a)가 설치되고, 마찬가지로 하여 경사면(112b, 112b)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경사면(111b, 112b)은 오목부(116)의 저면까지 계속되는 급사면이라도 좋다.
상기 가압부(111a)와 가압부(111b)를 따라서 상기 고밀도 압착부(10a)를 형성하기 위한 가압 표면(110a)과, 중밀도 압착부(10b)를 형성하기 위한 얕은 홈(110b)이 교대한다. 상기 가압 표면(110a) 및 얕은 홈(110b)은 고밀도 압착부(10a) 및 중밀도 압착부(10b)와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제2의 압착부(12)가 대향하지 않는 제1의 압착부(11)의 부분, 가로 방향 압착부(13, 13), 전방 연장 압착부(14, 14) 및 후방 연장 압착부(15, 15)를 형성하기 위한 볼록부는 도 14a,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의 볼록부(111)와 제2의 볼록부(112)가 늘어서 있는 것은 아니고, 제1의 볼록부(111)만이 제1의 하부(115) 및 제2의 하부(117)로부터 상승하여 형성되어 있다.
흡수층(4)과 표면 시트(3)를 적층하고, 필요에 따라서 양부재를 접착한 후에, 흡수층(4)의 외면에 평활한 표면을 갖는 다른 가압 부재를 대고, 표면 시트(3)의 표면에 도 14a, 14b에 나타내는 가압 부재(100)를 대어, 양가압 부재로 흡수층(4)과 표면 시트(3)를 가압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상기 가압 부재를 가열하여 가압한다. 그 결과, 상기 적층체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압착부(10)가 형성된다.
이 때 깊이 D1의 오목부(116)에 의해 흡수층(4)이 가압되기 때문에 제1의 압착부(11)와 제2의 압착부(12)의 사이의 위치에서 흡수층이 고밀도로 압축된다. 여기서 고밀도로 압축된 흡수층은 제1의 압착부(11)와 제2의 압착부(12)의 사이에서 표면 시트(3)에 의해서 구속되어 있다.
한편, 중앙 흡수부(5)는 제1의 하부(115)에 의해서 실질적으로, 혹은 거의 가압되어 있지 않다. 마찬가지로, 측단부(7)도 제2의 하부(117)에 의해서 실질적으로, 혹은 거의 가압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이 하여, 제1의 압착부(11)와 제2의 압착부(12)와의 사이에서는 흡수층을 고밀도로 압축하여, 그 밀도를 중앙부 흡수부(5) 및 측단부(7)에서보다도 충분히 높은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이 고밀도로 압축된 흡수층이 탄성 복원층(4B)이 된다. 압착부(11)와 압착부(12)와의 사이에 형성된 고밀도로 압축된 흡수층은 상기 탄성 복원층(4B)으로서만이 아니라, 도 4에 나타내는 생리대(1)의 변형 상태에 있어서 중앙 흡수부(5)를 아래로부터 지지하도록 하여 질구에 밀착시키는 지지부로서도 기능시킬 수 있다.
또, 상기 가압 부재(100) 및 평활한 표면을 갖는 가압 부재는 서로 대향하는 롤의 표면 구조로서 구성할 수 있고, 혹은 평탄한 가압 부재로서도 구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오목부(116)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압착부 도트의 제1의 압착부(11B)와 제2의 압착부(12B)의 사이에 끼워진 흡수층을 고밀도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을 그 실시예에 관해서 도시 및 설명을 했지만, 전술한 그리고 그 밖의 여러 가지 변경, 생략, 추가를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에서 일탈하지 않고 이룰 수 있는 것은 당업자라면 당연히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진술한 특정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고, 첨부의 클레임에서의 특징에 관해서 포함되는 균등한 범위내에서 구체화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실시형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가로 방향으로부터의 압축력이 완화되었을 때에 중앙 흡수부를 가로 방향으로 복원시키는 능력이 높아진다. 또한 비틀림 등의 변형 상태로부터도 흡수성 물품이 회복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항상 착용자의 신체의 배설부에 밀착하기 쉬워져, 배설액이 가로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쉬워진다.

Claims (19)

  1. 피부측 표면에 위치하는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3), 의복측 표면에 위치하는 이면 시트(2) 및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의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층(4)을 갖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표면 시트와 함께 상기 흡수층이 압축되어 있는 제1의 압착부(11) 및 제2의 압착부(12)가 흡수성 물품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의 압착부는 흡수성 물품의 세로 방향 중심선(Oy-Oy)에 관해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그 사이에 흡수층을 갖는 중앙 흡수부(5)를 규정하고, 제2의 압착부는 세로 방향 중심선에 관해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제1의 압착부로부터 외측으로 이격하고 있으며, 여기서
    상기 중앙 흡수부가 외력에 의해서 가로 방향으로 압축되었을 때에, 각각 쌍을 이루는 인접하는 제1의 압착부와 제2의 압착부의 사이에 규정된 탄성 복원부(6)가 압축에 대한 복원력을 중앙 흡수부에 미치게 할 수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탄성 복원부에서는 상기 흡수층이 압축되어 중앙 흡수부에서보다도 고밀도로 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탄성 복원부에서는 제1의 압착부와 제2의 압착부의 형성에 의해 상기 흡수층이 압축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탄성 복원부에서는 제1의 압착부와 제2의 압착부의 형성에 의해 친수성 섬유로 형성된 상기 흡수층이 합성 섬유로 형성된 부직포(8)와 함께 압축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1의 압착부에서도 또한, 상기 흡수층이 상기 부직포와 함께 압축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에어스루 부직포인 흡수성 물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탄성 복원부에는 탄성력을 발휘하는 보강 부재(23)가 단독으로, 혹은 제1의 압착부와 제2의 압착부의 형성에 의해 압축된 흡수층과 함께,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복원부는 흡수성 물품의 가로 방향 기준선(Ox-Ox)의 위치에서 그 대향 간격이 가장 좁게 되어 있고, 상기 가로 방향 기준선으로부터 흡수성 물품의 세로 방향 대향 단부를 향하여 연장됨에 따라서 상기 중심선으로부터 서서히 멀어지는 것인 흡수성 물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탄성 복원부는 상기 중심선에 볼록측이 향하게 되는 만곡선 형상인 흡수성 물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탄성 복원부는 일정폭(W2)의 부분을 가지고, 여기서는 상기 제1의 압착부와 제2의 압착부가 등거리를 유지하고 있는 흡수성 물품.
  11.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측단부(7)가 각각의 제2의 압착부와 흡수성 물품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응하는 측 가장자리의 사이에 규정되고, 이 측단부에는 세로 방향에의 탄성 수축력이 작용하고 있는 흡수성 물품.
  12. 제11항에 있어서, 피부측 표면에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시트(20)가 설치되어 그 사이에 중앙 흡수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이 시트는 각각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에서 피부측 표면에 고정되고, 중간 부분에서 피부측 표면으로부터 상승하여 방누벽(21)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방누벽의 전방 및 후방 상승 기점(24a, 24b)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제2의 압착부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는 흡수성 물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 기점은 제2의 압착부의 단부(12a, 12b)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는 흡수성 물품.
  14. 제11항에 있어서, 제1의 후방 압착부(15F)가 흡수성 물품의 뒤 가장자리를 향해서 제1의 압착부(11F)로부터 연속하여 연장됨에 따라서 대향 간격이 서서히 좁아지도록 설치되고, 각각의 제2의 후방 압착부(18F)가 각각의 제1의 후방 압착부와 측 가장자리가 대응하는 것과의 사이에 설치되고, 또한 제1의 후방 압착부로부터 이격하고 있으며,
    피부측 표면에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시트(20)가 설치되고 그 사이에 중앙 흡수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이 시트는 각각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에서 피부측 표면에 고정되고, 중간 부분에서 피부측 표면으로부터 상승하여 방누벽(21)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방누벽의 전방에서의 상승 기점(24a)이 상기 제1의 압착부의 근방에 위치하고, 상기 방누벽의 후방에서의 상승 기점(24b)이 상기 제2의 후방 압착부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는 흡수성 물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방누벽의 후방에서의 상승 기점이 상기 제2의 후방 압착부의 전단(18G)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는 흡수성 물품.
  16.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근방이란 45 mm 이내의 거리인 것을 의미하는 흡수성 물품.
  17. 제1항에 있어서, 생리대인 흡수성 물품.
  18. 피부측 표면에 위치하는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3), 의복측 표면에 위치하는 이면 시트(2) 및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의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층(4)을 갖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적어도 상기 표면 시트와 함께 상기 흡수층이 압축되어 있는 제1의 압착부(11) 및 제2의 압착부(12)가 흡수성 물품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의 압착부는 흡수성 물품의 세로 방향 중심선(Oy-Oy)에 관해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고, 제2의 압착부는 세로 방향 중심선에 관해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제1의 압착부로부터 외측으로 이격하고 있으며, 여기서 해당 방법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1의 압착부를 형성하기 위한 제1의 볼록부(111)와, 각각의 상기 제1의 볼록부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는 제2의 압착부를 형성하기 위한 제2의 볼록부(112)를 갖는 가압 부재(100)를 이용하여 피부측 표면으로부터 적어도 흡수층을 가압하는 공정을 가지고,
    여기서 상기 가압 부재는 제1의 볼록부의 정점으로부터 제1의 깊이(D1)를 갖도록 각각 쌍을 이루는 인접하는 제1 및 제2의 볼록부의 사이에 형성된 오목부(116), 제2의 깊이(D2)를 갖도록 제1의 볼록부 사이에 형성된 제1의 하부(115), 및 제3의 깊이(D3)를 갖도록 제1의 볼록부보다도 외측에 형성된 제2의 하부(117)를 가지고, 제1의 깊이는 제2의 깊이보다도 작고, 또한 제3의 깊이보다도 작으며, 따라서 흡수층은 상기 오목부에 의해서 상기 제1 및 제2의 하부가 대면한 개소에서보다도 상기 제1 및 제2의 압착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개소에서 보다 고밀도로 압축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하부와 상기 제2의 하부에서는 흡수성 물품을 실질적으로 가압하지 않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KR1020057001087A 2002-09-09 2003-09-08 탄성 복원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10134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63453 2002-09-09
JPJP-P-2002-00263453 2002-09-09
JPJP-P-2002-00276393 2002-09-20
JP2002276393A JP4180866B2 (ja) 2002-09-09 2002-09-20 弾性復元部を有する吸収性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5867A true KR20050035867A (ko) 2005-04-19
KR101013477B1 KR101013477B1 (ko) 2011-02-14

Family

ID=31980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1087A KR101013477B1 (ko) 2002-09-09 2003-09-08 탄성 복원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4180866B2 (ko)
KR (1) KR101013477B1 (ko)
CN (2) CN1961851B (ko)
AU (1) AU2003261984A1 (ko)
MY (1) MY156055A (ko)
TW (1) TWI230056B (ko)
WO (1) WO20040219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85315A1 (en) * 2005-06-02 2008-02-13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traverse reinforcing element
JP4771756B2 (ja) 2005-06-17 2011-09-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913381B2 (ja) 2005-09-26 2012-04-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8764718B2 (en) * 2005-12-15 2014-07-01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JP4974524B2 (ja) * 2005-12-27 2012-07-11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8173858B2 (en) * 2006-11-22 2012-05-08 Uni-Charm Corporation Absorptive articl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20090084923A (ko) 2006-12-13 2009-08-05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흡수성 물품
CN101474112B (zh) * 2008-01-02 2013-09-18 金佰利(中国)有限公司 具有沟道的吸湿性物品
JP5305812B2 (ja) * 2008-09-30 2013-10-02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749907B2 (ja) * 2010-08-31 2015-07-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及び生理用ナプキン
JP5631124B2 (ja) * 2010-08-31 2014-11-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失禁用ライナー
JP5766253B2 (ja) * 2013-11-14 2015-08-1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766254B2 (ja) * 2013-11-14 2015-08-1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15072502A1 (ja) * 2013-11-14 2015-05-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458102B1 (ja) * 2017-08-30 2019-01-23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922566B2 (ja) * 2017-09-06 2021-08-18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7039274B2 (ja) * 2017-12-14 2022-03-22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7263189B2 (ja) 2019-09-19 2023-04-24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23105801A1 (ja) * 2021-12-10 2023-06-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9114A (en) * 1976-05-12 1977-11-2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Garment shield
JP3141990B2 (ja) * 1997-03-31 2001-03-07 株式会社クレシア 使い捨て用体液吸収体
JP3719819B2 (ja) * 1997-06-13 2005-11-24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用吸収体の製造方法及び吸収性物品
JP3926042B2 (ja) * 1998-08-06 2007-06-06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AU752867B2 (en) * 1998-11-30 2002-10-03 Procter & Gamble Company, The Absorbent article having channel
BR9900001A (pt) * 1999-01-04 2000-08-29 Johnson & Johnson Ind Com Artigo absorvente descartável
JP3986210B2 (ja) * 1999-06-30 2007-10-03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3850207B2 (ja) * 2000-09-22 2006-11-29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167389B2 (ja) * 2000-10-16 2008-10-15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およびその製造装置
JP3676219B2 (ja) * 2000-10-19 2005-07-27 株式会社瑞光 着用物品およびその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3261984A1 (en) 2004-03-29
JP2004154154A (ja) 2004-06-03
JP4180866B2 (ja) 2008-11-12
CN1961851A (zh) 2007-05-16
TW200414893A (en) 2004-08-16
KR101013477B1 (ko) 2011-02-14
CN1662201A (zh) 2005-08-31
CN100409829C (zh) 2008-08-13
MY156055A (en) 2015-12-31
TWI230056B (en) 2005-04-01
AU2003261984A8 (en) 2004-03-29
WO2004021947A1 (ja) 2004-03-18
CN1961851B (zh) 201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8257B1 (ko) 가요축을 구비한 흡수성 물품
KR101013477B1 (ko) 탄성 복원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US7550646B2 (en) Absorbent article with resilient por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078109B1 (ko) 세로로 긴 흡수성 물품
KR100904473B1 (ko) 세장형의 흡수성 물품
JP4323786B2 (ja) 縦長の圧縮溝を備えた吸収性物品
US7067711B2 (en) Elongated absorbent article
KR101013481B1 (ko) 흡수성 물품
US8173858B2 (en) Absorptive articl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100804562B1 (ko) 생리대
WO2015033995A1 (ja) 吸収性物品
WO2007061035A1 (ja) 吸収性物品
JP2004141619A (ja) 吸収性物品
KR20060047550A (ko) 흡수성 물품
JP2015047432A5 (ko)
KR101078105B1 (ko) 액 획득층을 갖는 흡수성 물품
JP5634631B1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