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3024A - 차량용 운반 박스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운반 박스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083024A KR20050083024A KR1020050004521A KR20050004521A KR20050083024A KR 20050083024 A KR20050083024 A KR 20050083024A KR 1020050004521 A KR1020050004521 A KR 1020050004521A KR 20050004521 A KR20050004521 A KR 20050004521A KR 20050083024 A KR20050083024 A KR 2005008302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transport box
- holding
- holding frame
- box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01K93/02—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with signall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06—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stowing or holding means for elongated articles, e.g. skis inside vehicl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hooks or l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키색, 냉각모듈, 패들 등과 같은 운반 박스(12)의 설치 프레임(13)이 삽입될 수 있는, 차량에 고정된 홀딩 프레임(11)을 포함하고, 상기 설치 프레임에는 피봇 베어링 지점(31)이 그리고 상기 홀딩 프레임에는 대응 피봇 베어링 지점(32)이 할당되고, 상기 설치 프레임(13)은 이렇게 형성된 선회축(33)을 중심으로 그의 설치 위치(도 10) 내로 선회될 수 있고, 상기 설치 프레임의 설치 상태에서 상기 선회축(33)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변위 가능한 상기 설치 프레임의 분리 가능한 고정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록킹 부재(28)가 상기 홀딩 프레임에 제공되는, 승용차 내 시트 등받이 또는 트렁크 벽측 설치를 위한 스루 시트 화물 고정 장치와 같은 차량용 운반 박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운반 박스 장치의 특징으로서, 상기 피봇 베어링 지점(31)은 상기 설치 프레임의 삽입 운동시 상기 설치 프레임(13)의 리드 에지(31)의 영역(43)에 배치되고, 상기 선회축(33)은 실질적으로 에지 영역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하며, 상기 피봇 베어링 지점(31)의 영역에 홀딩면(22e, 22f)이 배치되고, 상기 홀딩면은 홀딩 프레임(11)의 내부폭(b) 위로 선회축(33)의 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홀딩 프레임(11)에 상기 홀딩면(22e, 22f)용 안내면(24b, 24d)이 배치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예컨대 승용차 내의 시트 등받이 또는 트렁크 벽측 설치를 위한 스루 시트 화물 고정 장치와 같은 청구항 제 1항의 전제부에 따른 운반 박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대상인 출원인의 상기 형식의 운반 박스 장치는 DE 101 32 081 A1에 공지되어 있다. 거기서 서술된 운반 박스 장치는 다양한 사용에서 입증되었다. 공지된 운반 박스 장치가 설치 프레임을 둘러싸고, 삽입 단부 또는 리드 단부로서 나타낼 수 있는 상기 설치 프레임의 자유 단부는, 설치 프레임측 피봇 베어링 지점(S)이 홀딩 프레임측 대응 피봇 베어링 지점(SW)에 도달할 때까지 차량측 홀딩 프레임을 통해 삽입된다(DE 101 32 081 A1의 도 5 참조).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선회축은 하기에서 DE 101 32 081 A1의 도 8에 따라 설치 프레임이 상기 선회축을 중심으로 설치 위치로 선회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선행 기술로부터 발생하는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조작시 감소된 설치 깊이가 가능하도록 공지된 차량용 운반 박스 장치를 개선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 1항의 특징, 특히 특징부의 특징에 의해 달성되고, 이에 따라 피봇 베어링 지점은 설치 프레임의 삽입 이동시 리드하는 설치 프레임의 에지의 영역에 배치되고, 선회축은 실질적으로 에지 영역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하고, 피봇 베어링 지점의 영역에 홀딩면이 배치되고, 상기 홀딩면은 홀딩 프레임의 내부폭 위로 선회축의 방향으로 돌출하고, 홀딩 프레임에 홀딩면을 위한 안내면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원리는 DE 101 32 081 A1에 따라 설치 프레임의 양 횡방향 레그 사이에 배치된 선회축은 설치 프레임의 프레임 레그의 영역으로, 바람직하게는 하부 프레임 레그의 영역으로 변위된다는 것이다. 바람직한 방법으로 피봇 베어링 지점은 설치 프레임의 하부 에지 영역에 위치하고, 예컨대 설치 프레임으로부터 돌출한 플랜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설치 프레임의 삽입 단부, 즉 DE 101 32 081 A1의 도 5에 따른 하부 횡방향 레그가 홀딩 프레임을 통해 삽입되는 것은 방지되거나 또는 불필요하다. 이 경우 본 발명은 공지된 설치 프레임에서 그의 삽입 단부가 비교적 깊이 홀딩 프레임으로 삽입되고 또는 이를 관통해 삽입되어야 함으로써, 피봇 베어링 지점 및 대응 피봇 베어링 지점으로 피봇축이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DE 101 32 081 A1의 도 5를 표시한 것이다.
설치 프레임의 리드 단부 영역에 피봇 베어링 지점을 배치함으로써, 동시에 홀딩 프레임의 하부 에지 영역에도 대응 피봇 베어링 지점이 배치될 수 있다. 홀딩 프레임과 관련된 설치 프레임의 선회 운동은 변경된 구조로 인해, 설치 프레임의 삽입 단부 또는 하부 횡방향 레그가 설치 프레임의 선회 동안 실질적으로 홀딩 프레임의 포락선 내부에 유지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홀딩 프레임의 필요한 설치 깊이는 현저히 감소될 수 있고, 예컨대 승용차의 측벽 내로의 설치도 가능하게 한다.
운반 박스 장치가 시트 등받이측 또는 트렁크벽측에 제공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트렁크가 완전히 찰 경우에는 설치 프레임의 삽입도 가능하다. 설치 프레임의 삽입 운동이 실행될 수 있고, 이 때 설치 프레임의 중요한 영역 또는 부분은 삽입 운동동안 홀딩 프레임을 통해 그립되어 후면에서 홀딩 프레임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설치 프레임측 피봇 베어링 지점의 영역에 홀딩면이 배치된다. 상기 홀딩면은 홀딩 프레임의 내면 위로 선회축의 방향으로 돌출하고, 이러한 방법으로 피봇 베어링 지점이 홀딩 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과 설치 프레임의 리드 삽입 단부가 홀딩 프레임을 통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설치 프레임, 즉 고유의 프레임에 비해 측면으로 돌출하는, 즉 노출된 홀딩면은 홀딩 프레임의 안내면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홀딩 프레임에는 순환하는 계단형 쇼울더가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쇼울더는 바람직하게 홀딩 프레임의 종방향 레그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된다. 설치 프레임의 삽입 단부는 계단형 쇼울더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방법으로 안내면을 나타내는 쇼울더를 통해, 설치 프레임측 피봇 베어링 지점이 홀딩 프레임의 대응 피봇 베어링 지점의 하부 프레임 레그에 부딪칠 때까지 아래로 안내될 수 있다. 하기에서 설치 모듈을 홀딩 프레임측에 고정하기 위해 선회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조작이 편해지고 간단해진다. 목표 과정은 더 이상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완전히 순환하는 에지 플랜지를 설치 프레임에 설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미학적 관점에서 바람직한 광학적 종료를 가능하게 하고, 방해되는 갭 형성을 방지한다. 또한 칼라 형태의, 실질적으로 순환형 에지 플랜지가 홀딩 프레임의 재료 영역으로, 설치 프레임과 홀딩 프레임 사이 공간의 완전한 밀봉력, 특히 순간 밀봉력이 달성되는 커버에 제공될 수 있다.
홀딩 프레임에 대한 설치 프레임의 바람직한 배치가 요구되는 DE 101 32 081 A1에 따른 선행 기술의 운반 박스 장치와는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운반 박스 장치에서는 설치 프레임이 홀딩 프레임의 종방향 레그를 따라 홀딩 프레임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자동으로, 안내면에 의해 안내되는 홀딩 프레임에 관련된 선회-출발 위치가 달성되고, 상기 선회-출발 위치에서 선회축은 피봇 베어링 지점과대응 피봇 베어링 지점의 인접에 의해 형성되고, 설치 프레임이 그의 조립 위치로 선회하는 것이 가능하다.
DE 37 389 31 C2 에는 설치 프레임이 정지부를 형성하는 플랜지형 에지를 포함하는 스키 운송을 위한 장치가 공지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형 에지는 차체측 홀딩 프레임의 반대 정지부를 오버랩한다. DE 37 389 31 C2에 따른 홀딩 프레임은 고정된 차체부에 의해 형성되고, 도 4에 따라 실질적으로 전체 차량폭에 걸쳐 연장하는 개구를 제공한다. 설치 프레임의 상부 플랜지 및 하부 플랜지만이 홀딩 프레임에 고정된다. 홀딩 프레임의 내부폭 위로 선회축 방향으로 돌출하는 홀딩면은 상기 명세서에는 공지되지 않는다. 홀딩 프레임에 있는 홀딩면을 위한 안내면도 제공되지 않는다. 이러한 장치에서 홀딩 프레임에 대한 설치 프레임의 고정은 복잡하며 편리하지 않은데, 그 이유는 홀딩 프레임에 대한 매우 바람직한 설치 프레임의 삽입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상기 장치는 설치 프레임의 잦은 불편한 교환용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홀딩 프레임 및/또는 설치 프레임이 순환형으로 형성되고, 각각 2 개의 종방향 레그 및 2 개의 횡방향 레그를 포함한다. 이것은 운반 박스 장치의 기존의 구조 형태를 고려하며, 상기 기존의 구조 형태에서 설치 프레임과 홀딩 프레임은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형성되고 부분적으로 종래의 부품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운반 박스 장치가 예컨대 스루 시트 화물 고정 장치로서 형성되는 경우, 설치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되거나 또는 등받이의 경사에 매칭되는 양 종방향 레그들이 통상적으로 양 횡방향 레그들보다 길다. 운반 박스 장치가 다른 기능, 예컨대 패들의 수용 및 운송을 위해 사용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 동일하게 적용되며, 다른 프레임 형태, 예컨대 정방형 프레임 형태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설치시 존재하는 설치 프레임에서 선회축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되거나 또는 다른 경사를 가지는 것을 불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바람직하게 선회축은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배치되는데, 그 이유는 이것이 매우 편한 조작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또한 바람직하게 선회축은 설치 프레임의 하부 프레임 레그의 영역에 배치됨으로써, 사용자는 설치 프레임이 홀딩 프레임 내로 삽입될 경우 중력을 이용할 수 있고, 더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설치 프레임은 칼라형 에지 플래지를 포함한다. 이것은 매우 간단한 구조를 가능하게 하는데, 그 이유는 설치 프레임측 피봇 베어링 지점이 에지 플랜지에 배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동시에 에지 플랜지는 홀딩 프레임을 재료 영역으로 커버하는데 사용됨으로써, 밀봉력 특히 순간 밀봉력 또는 인장 밀봉력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에지 플랜지는 적어도 설치 프레임의 2 개의 종방향 레그 및 하나의 횡방향 레그를 따라 연장되고, 순간 밀봉력의 달성을 위해 상기 형식의, 실질적으로 U-형 에지 플랜지가 이론적으로 만족스럽다. 그러나 매우 정확한 갭 형성 및 우수한 미학적 전체 모양을 달성하기 위해 에지 플랜지는 바람직하게 완전히 순환형으로 형성된다.
이미 언급된 에지 플랜지는 설치 프레임의 전체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거나 또는, 에지 플랜지가 설치 프레임의 2 개의 종방향 레그 및 하나의 횡방향 레그를 따라서만 연장될 경우에는 상기 레그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홀딩 프레임의 재료 영역으로 에지 플랜지의 방사 방향의 커버가 달성됨으로써 소정의 밀봉력이 달성된다. 특히 커버에 있는 에지 플랜지를 홀딩 프레임측 안내면에 배치할 수 있다. 안내면은 이러한 방식으로 에지 플랜지용 접촉면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홀딩면이 에지 플랜지에 배치된다.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운반 박스 장치의 매우 간단한 구조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홀딩 프레임은 계단형 쇼울더를 포함한다. 계단형 쇼울더는 바람직한 방법으로 에지 플랜지의 콘택팅을 위해 사용됨으로써, 운반 박스 장치는 홀딩 프레임과 설치 위치에 제공된 설치 프레임 사이의 동일 평면의 종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동시에 쇼울더는 안내면을 포함할 수 있음으로써, 매우 간단한 구조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추가 장점은 인용되지 않은 종속항 및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하기의 설명부를 참조로 하여 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운반 박스 장치의 전체부는 도면에서 10으로 표시된다. 이제 운반 박스 장치의 설명부에서 동일한 또는 필적할 만한 부분 또는 부재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 부분적으로 소문자가 붙어서 제공된다.
실시예에 따라 운반 박스 장치(10)는 스루 시트 화물 고정 장치로서 형성되고 설치 프레임(13)을 구비한 운반 박스(12)를 포함한다. 운반 박스는 홀딩 프레임(11)내로 삽입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홀딩 프레임은 도 6에 따라 차량 뒷좌석 받침대(34)에 고정된다. 받침대(34) 및 필요한 경우 홀딩 프레임(11)도 개략적으로 도시된 헤드 지지부(35)에 연결될 수 있다. 동일하게 도 6에 도시된 아암 지지부(37)도 제공될 수 있고,상기 아암 지지부는 대략 영역(36)에 존재하는 선회축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 않은, 실질적으로 수직인 선회위치에서 운반 박스(12)를 승객실측에서 커버할 수 있다.
도 6에 따라 차량의 주행 방향을 x로 표시된다. 이에 따라 스루 시트 화물 고정 장치는 예컨대 스키와 같은 긴 대상을 트렁크(38)로부터 승객실(39) 안까지 통과시키는데 사용된다. 스키색 박스로서 형성된 운반 박스(12)는 이를 위해 그 내부(20)에 도시되지 않은 스키색을 포함하고, 이에 따라 그의 기본적인 구조 및 기능에 의해 DE 101 32 081 A1에 따른 운반 박스에 상응한다.
예컨대 도 1에 따라 운반 박스(12)는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형성되고, 실질적으로 직각형 설치 프레임(13)을 포함한다. 설치 프레임은 차량측, 특히 차량의 차체에 의해 나누어지는 홀딩 프레임의 삽입을 위해 사용되고, 상기 홀딩 프레임은 마찬가지로 실질적으로 직각형 횡단면을 포함하고, 4 개의 프레임 레그(14a,14b,14c,14d)를 포함한다. 상부 및 하부 프레임 레그(14c, 14a)가 횡방향 레그로서 그리고 측면 레그(14b,14d)가 종방향 레그로서 표시된다. 스루 시트 화물 고정 채널(16)은 홀딩 프레임(11)의 내면(15a, 15b, 15c, 15d)에 의해 제한된다.
실시예에 따른 운반 박스(12)는 도 1,2,4 및 6에 제시된 바와 같이, 축(m)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는 전면 커버(18), 도시되지 않은 평행하는 축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는 후면 커버(19) 및 4 개의 레그(17a,17b,17c,17d)를 포함하는 설치 프레임(13)으로 이루어진다. 4 개의 레그(17a,17b,17c,17d)는 2 개의 커버(18,19)와 함께 운반 박스(12)의 내부 공간(20)을 제한하고, 상기 내부 공간에는 도시되지 않은 스키색이 통상적으로 접혀서 보관된다. 도 1 및 3에 도시된 버튼 방식의 작동 부재(21)는 사용자에게 커버(18 및 19)의 개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스키색이 빼내져서 펼쳐지고 그리고 예컨대 긴 화물이 트렁크(38)로부터 승객실(39)로 관통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스키색 모듈로서 형성된 운반 박스 대신에 본 발명에 따라 냉각 모듈, 플레이-콘솔-모듈, DVD-플레이어와 같은 오락 장치용 모듈 등도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운반 박스 장치로부터 공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반 박스 장치에서도 설치 프레임이 임의의 박스 모듈 등의 부분 또는 구상 부품일 수 있다.
설치 프레임(13)에 실시예에 따라 순환하는, 칼라형의 외부로 돌출하는 에지 플랜지(23)가 장착된다. 순환형 에지 플랜지는 설치 프레임(13)의 레그(17a,17b,17c,17d)에 대한 할당부에 상응하는 영역(23a,23b,23c 및 23d)을 포함한다. 에지 플랜지(23)는 홀딩 프레임측 쇼울더단(24)과 상호 작용한다. 이를 위해 주행 방향(x)으로 볼 때 앞에 있는 스루 시트 화물 고정 채널(16)의 개구 영역에 방사 방향 확대부가 제공된다. 쇼울더(24)는 순환형으로 형성되고 레그(14a,14b,14c,14d)에 대한 상응하는 할당부에서 4 개의 쇼울더면(24a,24b,24c,24d)을 포함한다.
계단형 쇼울더(24)는 에지 플랜지(23)의 크기에 매칭된다. 도 2에 따라 설치 프레임(13)은 폭(B)을 가지고, 상기 폭은 홀딩 프레임(11)의 내부폭(b)(도 5) 및 스루 시트 화물 고정구(16)의 폭을 초과한다. 계단형 쇼울더(24)의 폭은, 계단형 쇼울더(24)의 경계면(40b,40d) 사이의 거리가 실질적으로 설치 프레임(13)의 폭(B)에 상응하도록 선택된다. 에지 플랜지(23)는 이러한 방식으로 쇼울더단(24)에 삽입될 수 있다. 에지 플랜지(23)의 후면(22)(도 3)은 설치 상태에서 쇼울더(24)의 상응하는 면들(24a,24b,24c,24d)을 콘택시킨다. 이 경우 특히 도 2에 도시된 에지 플랜지 영역(23a)의 후면(22)의 하부 모서리 영역(22e 및 22f)이 홀딩면 또는 홀딩면 영역들을 나타내고, 이들은 너무 깊은 삽입 또는 홀딩 프레임(11)을 통한 설치 프레임(13)의 관통 삽입을 방지하는 것이 발생된다. 홀딩면(22e 및 22f)은, 설치 프레임측 피봇 베어링 지점(31)이 홀딩 프레임측 대응 피봇 베어링 지점(32)과 함께 선회축(33)을 형성할 때 까지, 하기에 기술될 삽입 운동의 범위에서 쇼울더면(24b, 24d)의 임의의 위치에 안내되어, 이 면을 따라 아래로 슬라이딩되도록 변위될 수 있다. 쇼울더(24)의 면(24b, 24d)은 이러한 방식으로 홀딩면(22e, 22f)을 위한 안내면을 제공한다.
완벽함을 위해, 에지 플랜지(23)의 후면(22)이 상응하는 에지 플랜지 영역(23a, 23b, 23c, 23d)에 대한 할당부에 있는 후면 영역(22a,22b,22c,22d)으로 분할된다.
설치 프레임(13)의 하부 횡방향 레그(17a)의 영역에, 도 1,2 및 3으로부터 제시되는 바와 같이, 2 개의 고정된 록킹핀(25a 및 25b)이 배치된다. 이것은 2 개의 대응하는, 도 3에만 도시된 수용부(26)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설치 프레임(13)(도 3)의 외주면(26a 및 27c) 및 동일한 홀딩 프레임(11)의 내주면(15a 및 15c)이 차량의 주행 방향(x)과 관련하여 약간 경사진다. 이러한 경사는 실질적으로 이미 DE 101 32 081 A1에 공지된 경사에 상응하고, 표면들(15a,15 ; 27a, 27c)이 서로 큰면적으로 충분한 접촉할 수 있게 한다.
설치 프레임(13)의 외주면(27a)으로부터 돌출한 록킹핀(25a 및 25b)이 바람직하긴 하지만, 필요한 것은 아니다. 상기 록킹핀들은 실질적으로 충돌 안전성을 상승시키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라 실시예에서 설치 프레임의 상부 횡방향 레그(17c)의 영역에 배치된, 개략적으로만 도시된 록킹 부재(28)(도 3)가 요구된다. 이것은 이중 화살표(Y)의 방향을 따라 다시 개략적으로만 도시된 작동 부재(29)에 의해 변위될 수 있고, 상기 작동 부재는 마찬가지로 DE 101 32 081 A1 에 기술되어 있다. 변위가능한 록킹 부재(28)에는 홀딩 프레임(11)의 내주면(15c)내 리세스(30)가 할당된다.
도 3에서 분명히 알 수 있는, 에지 플랜지(23) 또는 설치 공간(13)의 하부 레그(17a)에 할당되어 있는 영역(23a)의 자유 에지(31)는 본 발명에 따라 피봇 베어링 지점을 형성한다. 이것은 홀딩 프레임측에서, 하부 쇼울더면(24a)의 영역에 배치된 대응 피봇 베어링 지점(32)과 함께 상호 작용하며 이러한 방식으로 선회축(33)을 형성한다.
도 6 내지 10을 참고하여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운반 박스 장치(10)의 삽입 과정이 상세하게 설명되어야 한다.
도 6은 사용자의 손(41)을 도시하고, 상기 손에 의해 운반 박스(12) 또는 설치 프레임(13)의 그립 단부(42)가 그립된다. 그립 단부(42)는 운반 박스(12)의 삽입 단부(43), 즉 리드 단부 또는 리드 에지 영역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설치 프레임(13)의 삽입 단부(43)는, 플랜지 에지(23) 또는 피봇 베어링 지점로서 형성된 에지(31)가 한편으로는 홀딩면(22e,22f)에 다른 한편으로는 계단형 쇼울더의 표면(24b 또는 24b)에 콘택할 때 까지, 도 6에 따른 위치로부터 출발하여 홀딩 프레임(11)의 내로 삽입하기 위해 우선 계속해서 홀딩 프레임(11)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피봇 베어링 지점(31)에는 홀딩면(22e, 22f)이 할당되고, 상기 홀딩면들은 쇼울더면(24b, 24d)과의 콘택팅으로 인해 설치 프레임(13)이 스루 시트 화물 고정구(16)를 통해 관통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쇼울더면(24b,24d)은 홀딩면(22e,22f)을 위한 안내면으로서 형성되고, 설치 프레임(13)이 도 7에 따른 위치로부터 도 8에 따른 위치로 아래로 슬라이딩되도록 안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쇼울더면 내에서 설치 프레임(13)의 에지(31)는 홀딩 프레임(11)의 상응하는 대응 피봇 베어링 지점(32)(도 7)에 도달하고, 이러한 방식으로 선회축(33)을 형성한다. 상세히 연구할 경우, 에지 플랜지(23)의 영역(23a)의 제 2 자유 에지(50)가 쇼울더(24)의 바닥벽(40a)(도 5)에 부딪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8에 따른 정지 위치에 도 8에 따른, 설치 프레임(13)의 하부 좌측 모서리(44)가 여전히 홀딩 프레임(11)의 포락선 내에 위치하며, 특히 홀딩 프레임(11)으로부터 트렁크(38) 안으로 돌출한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포락선으로서, 예컨대 도 8에 따른 홀딩 프레임의 측면에서 볼 때 최외부 아웃 라인을 형성하는 윤곽이 표시된다.
하기의 선회 운동동안 사용자는 설치 프레임(13)을 시계 반대 방향으로 선회축(33)을 중심으로 선회시킬 수 있다. 도 9는 중간 위치를 도시하고, 도 10은 설치 프레임(13)의 그립 단부(42)가 상부 홀딩 프레임 레그(14c)에 접촉해 있는 설치 상태를 도시한다.
변위가능한 록킹부(28)는 스냅 후크로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록킹부는 상응하는 반대면(예컨대 45)의 콘택시 자동으로 삽입되어 도 10에 따른 설치 상태에 도달할 경우 다시 스냅핑된다. 대안적으로, 사용자가 도 9에는 도시되지 않은 작동 버튼(29) 또는 필적할 만한 록킹(28)의 삽입을 위한 작동 부재를 작동시켜야 함으로써, 도 9에 따른 위치로부터 도 10에 따른 위치에 도달하는 것이 제시될 수 있다.
변위가능한 록킹 부재(28)는 물론 상부 홀딩 프레임 레그(14c)와 다른 영역에서도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동일하게 다수의 변위 가능한 록킹 부재(28)가 제공될 수 있다.
물론 사용자에게 있어, 설치 프레임을 직접 바람직하게 홀딩 프레임(11)에 배치함으로써, 안내면(24b,24d)을 따라 홀딩면(22e,22f) 또는 피봇 베어링 지점(31)의 슬라이딩 운동이 실행되지 않고도 피봇 베어링 지점(31)과 대응 피봇 베어링 지점(32)의 콘택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안내면(24b, 24d)의 배치는 설치 프레임(13)의 리드 에지(31)이 배치면(24b, 24d) 중 임의의 하나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과, 피봇 베어링 지점(31)이 대응 피봇 베어링 지점(32)에 매우 안전하고 간단하게 안내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선행 기술에 비해 조작 편리성이 상승된다.
특히 도 6으로부터, 에지 플랜지(23)의 하부 영역(23a)의 피봇 베어링 지점(31) 또는 에지(31)가 반드시 홀딩 프레임(11)의 포락선과 일차로 접촉하는 설치 프레임(13)의 재료 영역일 필요는 없다. 즉 이것은 홀딩 프레임(11)과 관련된 설치 프레임(13)의 각 위치에도 의존한다. 그러나 공식 및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해, 설치 프레임(13)의 리드 에지로서 본 발명의 의미에서 그립 단부(42)로부터 이격된 설치 프레임(13)의 에지 영역(43)이 다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면에 제시된 바와 같이, 선회축(33)은 실질적으로 설치 프레임의 하부 프레임 레그(17a) 또는 홀딩 프레임의 하부 프레임 레그(14a)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다. 선회축(31)은 이 경우 바람직하게 프레임 레그(17a)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고, 이로 인해 매우 안정적이고 안전한 피봇 베어링이 제공된다.
또한 도 8 내지 10의 협력으로부터 쇼울더 방식으로만 제공된, 설치 프레임측 피봇 베어링 지점(31) 및 홀딩 프레임측 대응 피봇 베어링 지점(32)이 선회 운동동안 약간 변위될 수 있음으로써,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 선회 운동동안 상이한 홀딩 프레임(11)과 설치 프레임(13)의 표면 쌍이 서로 콘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컨대 도 8에 따른 상태로부터 홀딩 프레임측 대응 피봇 베어링 지점(32)과 동일하게 선회축(33)도 설치 프레임(13)이 도 9에 따른 위치로 선회하는 동안 약간 아래로 이동한다.
도면에 도시된 차량 뒷좌석 등받이(34)의 설치 프레임(13)의 설치 상태 외에 동일하게 차량 측벽에 설치된 홀딩 프레임도 가능하다. 운반 박스(12)는 이러한 경우 예컨대 저장 전문 모듈 등으로서 형성될 수 있고, 다른 모듈로 교체하기 위해 분리될 수 있도록 차량측 홀딩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4에 의해, 에지 플랜지(23)의 배치로 인해 운동 갭(46)의 우수한 커버가 이루어지는 것이 설명되어야 한다. 즉 도 4에 따라 에지 플랜지(23)가 선회축(33)의 방향으로 대략 폭(s)만큼 돌출 되어 폭(t)의 쇼울더단 표면(24)을 대략 폭(s-t)만큼 커버하는 것이 명확해진다. 따라서 운동갭(46)은 완전히 밀봉되어 폐쇄된다.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개선된 조작시 설치 깊이가 감소될 수 있도록 공지된 차량용 운반 박스 장치가 개선된다.
도 1은 설치 프레임을 구비한, 차량측 고정위치 및 이로부터 분리되는, 스키색 모듈로서 형성된 운반 박스가 없는, 차량측 고정된 홀딩 프레임을 가진 스루 시트 화물 고정 장치(Through-seat freight holder)로서 형성된 운반 박스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운반 박스의 정면도이고,
도 3은 홀딩 프레임 및 그 안에 삽입된, 대략 도 1의 절단선 III-III을 따라 자른 설치 프레임을 구비한 운반 박스를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설치시 존재하는 설치 프레임을 구비한 운반 박스 및 도 1의 절단선 IV-IV을 따라 자른 홀딩 프레임의 횡단면도이고.
도 5는 차량측 홀딩 프레임의 개략적인 사시 경사-정면도이고.
도 6은 차량 뒷좌석 등받이에 고정된 스루 시트 화물 고정 장치로서 형성된 운반 박스 장치 및 삽입되기 전에 사용자에 의해 그립되는 설치 프레임을 구비한 운반 박스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고.
도 7-10은 도 6에 따른 삽입 과정의 상이한 단계의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 설명*
10 : 운반박스 장치 11 : 홀딩 프레임
12 : 운반 박스 13 : 설치 프레임
16 : 스루 시트 화물 고정 채널
18,19 : 커버 22 : 후면
23 : 에지 플랜지 24 : 쇼울더
31 : 피봇 베어링 지점 32 : 대응 피봇 베어링 지점
33 : 선회축 34 : 등받이
35 : 헤드 지지부 37 : 아암 지지부
Claims (19)
- 스키색, 냉각모듈, 패들 등과 같은 운반 박스(12)의 설치 프레임(13)이 삽입될 수 있는, 차량에 고정된 홀딩 프레임(11)을 포함하고, 상기 설치 프레임에는 피봇 베어링 지점(31)이 그리고 상기 홀딩 프레임에는 대응 피봇 베어링 지점(32)이 할당되고, 상기 설치 프레임(13)은 이렇게 형성된 선회축(33)을 중심으로 그의 설치 위치(도 10) 내로 선회될 수 있고, 상기 설치 프레임의 설치 상태에서 상기 선회축(33)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변위 가능한 상기 설치 프레임의 분리 가능한 고정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록킹 부재(28)가 상기 홀딩 프레임에 제공되는,승용차 내 시트 등받이 또는 트렁크 벽측 설치를 위한 스루 시트 화물 고정 장치와 같은 차량용 운반 박스 장치에 있어서,상기 피봇 베어링 지점(31)은 상기 설치 프레임의 삽입 운동시 상기 설치 프레임(13)의 리드 에지(31)의 영역(43)에 배치되고, 상기 선회축(33)은 실질적으로 에지 영역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하며, 상기 피봇 베어링 지점(31)의 영역에 홀딩면(22e, 22f)이 배치되고, 상기 홀딩면은 홀딩 프레임(11)의 내부폭(b) 위로 선회축(33)의 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홀딩 프레임(11)에 상기 홀딩면(22e, 22f)용 안내면(24b, 24d)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박스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홀딩 프레임(11)이 순환형으로 형성되고, 2 개의 종방향 레그(14b, 14d) 및 횡방향 레그(14a, 14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박스 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설치 프레임(13)이 순환형으로 형성되고, 2 개의 종방향 레그(17b, 17d) 및 2 개의 횡방향 레그(17a, 17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박스 장치.
-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선회축(33)이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박스 장치.
-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선회축(33)이 상기 설치 프레임(13)의 하부 프레임 레그(17a)의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박스 장치.
-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설치 프레임(13)이 칼라형 에지 플랜지(2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박스 장치.
- 제 6항에 있어서,상기 에지 플랜지(23)가 적어도 상기 설치 프레임(13)의 2 개의 종방향 레그(17b, 17d) 및 하나의 횡방향 레그(17c)를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박스 장치.
-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상기 에지 플랜지(23)는 실질적으로 완전히 순환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박스 장치.
- 제 6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피봇 베어링 지점(31)이 상기 에지 플랜지(23)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박스 장치,
- 제 9항에 있어서,상기 피봇 베어링 지점(31)이 상기 에지 플랜지(23)의 자유 에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박스 장치.
- 제 6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홀딩면(22a, 22f)이 상기 에지 플랜지(23)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박스 장치.
-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홀딩면(22e, 22f)은, 상기 설치 프레임, 특히 설치 프레임(13)의 삽입 단부(43)가 상기 홀딩 프레임(11)을 통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박스 장치.
-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홀딩면(22e, 22f)은, 상기 설치 프레임(13)이 상기 홀딩 프레임(11) 내로 삽입 운동시 상기 설치 프레임(13)의 삽입 단부(43)가 실질적으로 홀딩 프레임(11)의 포락선 내부의 영역으로 선회 운동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박스 장치.
-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홀딩 프레임이 계단형 쇼울더(24,24a,24b,24c,24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박스 장치.
- 제 14항에 있어서,상기 쇼울더(24,24a,24b,24c,24d)가 적어도 상기 홀딩 프레임(11)의 2 개의 종방향 레그 및 하나의 횡방향 레그를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박스 장치.
- 제 14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상기 쇼울더(24,24a,24b,24c,24d)가 실질적으로 완전히 순환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박스 장치.
- 제 14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안내면(24b, 24d)이 상기 쇼울더(24)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박스 장치.
- 제 1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안내면(24b, 24d)이 실질적으로 상기 홀딩 프레임(11)의 종방향 레그(14b, 14d)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박스 장치.
- 제 1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안내면(24b, 24d)이 상기 피봇 베어링 지점(31)이 상기 대응 피봇 베어링 지점(32)까지 안내 이동되기 위한 슬라이딩 베어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박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02004008828A DE102004008828B3 (de) | 2004-02-20 | 2004-02-20 | Transportbehälter-Einrichtung für Fahrzeuge, wie z.B. Durchlade-Einrichtung, insbesondere für den sitzlehnen- oder kofferraumwandseitigen Einbau in Personenkraftwagen |
DE102004008828.4 | 2004-02-20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83024A true KR20050083024A (ko) | 2005-08-24 |
Family
ID=34706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04521A KR20050083024A (ko) | 2004-02-20 | 2005-01-18 | 차량용 운반 박스 장치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7080866B2 (ko) |
EP (1) | EP1566309B1 (ko) |
JP (1) | JP2005247304A (ko) |
KR (1) | KR20050083024A (ko) |
CN (1) | CN100478219C (ko) |
AT (1) | ATE331646T1 (ko) |
DE (2) | DE102004008828B3 (ko) |
ES (1) | ES2268570T3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347476B2 (en) * | 2005-03-31 | 2008-03-25 | The Eastern Company | Ramp door and frame assembly |
DE102006029311B3 (de) * | 2006-06-23 | 2008-03-13 | Bos Gmbh & Co. Kg | Manuell absperrbare Modulbox |
DE102008009396B4 (de) | 2008-02-15 | 2011-04-21 | Dr. Haubitz Gmbh & Co. Kg | Vorrichtung zum Befestigen eines Transportbehälters |
US9145075B2 (en) | 2010-09-28 | 2015-09-29 | Lear Corporation | Vehicle modular armrest |
DE102010052456A1 (de) * | 2010-11-24 | 2012-05-24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Ablagebox für den Heckraum eines Kraftfahrzeuges sowie Verfahren zu deren Einbau |
DE102012210754A1 (de) * | 2012-06-25 | 2014-01-02 | Lufthansa Systems Ag | Sitz für ein Fahrzeug sowie Fahrzeug |
DE102014207269B4 (de) | 2014-04-15 | 2024-03-07 |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 Ablage mit Klapp-Schiebe-Mechanismus |
Family Cites Families (2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01800B2 (ja) * | 1994-12-12 | 2000-01-24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車両の開閉体 |
JPS6136455U (ja) * | 1984-08-07 | 1986-03-06 | マツダ株式会社 | 自動車のリヤシ−トバツクロツク装置 |
JPS61193949A (ja) * | 1985-02-21 | 1986-08-28 | Honda Motor Co Ltd | 自動車用リヤ−シ−ト |
DE3625666C2 (de) * | 1986-07-29 | 1995-01-05 | Bayerische Motoren Werke Ag |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e Abdeckplatte einer Durchladeöffnung in einem Kraftfahrzeuginnenraum |
JPH0431147Y2 (ko) * | 1987-01-23 | 1992-07-27 | ||
JPH0451067Y2 (ko) * | 1987-04-03 | 1992-12-02 | ||
DE3738931A1 (de) * | 1987-11-17 | 1989-06-01 | Opel Adam Ag | Vorrichtung zum transport von laenglichen gegenstaenden, insbesondere skiern, in einem personenkraftwagen |
US5039155A (en) * | 1990-08-15 | 1991-08-13 | Prince Corporation | Vehicle seating system |
DE4438910C1 (de) * | 1994-11-03 | 1996-03-21 | Butz Peter Verwaltung | Rückhaltevorrichtung für den Laderaum von Kraftfahrzeugen, wie z. B. für Kombinationskraftwagen oder Großraum-Personenkraftwagen |
DE4438909C1 (de) * | 1994-11-03 | 1996-03-21 | Butz Fahrzeugteile Gmbh | Transportvorrichtung für Kraftfahrzeuge, wie z. B. für Kombinationskraftwagen oder Großraum-Personenkraftwagen |
US5628543A (en) * | 1995-09-27 | 1997-05-13 | Hoover Universal, Inc. | Vehicle seat back having ski tote bag and trunk pass through |
US5603550A (en) * | 1995-10-18 | 1997-02-18 | Douglas & Lomason Company | Vehicle seat interlock system |
DE29711197U1 (de) * | 1997-06-27 | 1998-08-20 | Peter Butz Gmbh & Co Verwaltungs-Kg, 40764 Langenfeld | Transportbehälter-Einrichtung für den Einbau in Kraftfahrzeuge, insbesondere für den sitzlehnenseitigen Einbau in Personenkraftwagen |
DE19727499C1 (de) * | 1997-06-27 | 1998-07-09 | Peter Butz Gmbh Verwaltungs Kg | Transportbehälter-Einrichtung für den Einbau in Kraftfahrzeuge, insbesondere für den sitzlehnenseitigen Einbau in Personenkraftwagen |
WO1999003703A1 (en) * | 1997-07-16 | 1999-01-28 |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 Stowable seat cushion |
DE29803305U1 (de) * | 1998-03-02 | 1998-08-20 | Peter Butz Gmbh & Co Verwaltungs-Kg, 40764 Langenfeld | Sitzanordnung für Fahrzeuge mit einem eine Halterungsaussparung, wie eine Durchladeaussparung einer Durchladeeinrichtung o.dgl. bildenden modulartigen Einbauteil |
DE29912877U1 (de) * | 1999-07-23 | 2000-11-30 | Johnson Controls GmbH, 51399 Burscheid | Klappbares Sitzteil und Sitzmodul |
ES2258999T3 (es) * | 2000-08-30 | 2006-09-16 | BOS GMBH & CO. KG | Dispositivo de recipiente de transporte para vehiculo como, por ejemplo, dispositivo para cargas pasantes. |
DE10132081B9 (de) * | 2000-08-30 | 2006-05-11 | Bos Gmbh & Co. Kg | Transportbehälter-Einrichtung für Fahrzeuge, wie z.B. Durchladeeinrichtung |
US6508508B1 (en) * | 2001-02-02 | 2003-01-21 | Daimlerchrysler Corporation | Armrest storage |
CN2476454Y (zh) * | 2001-05-17 | 2002-02-13 | 石学明 | 汽车专用物品箱 |
FR2829980B1 (fr) * | 2001-09-26 | 2004-01-30 | Security Vision Concept | Procede de montage d'un boitier sur un coussin muni d'une housse d'habillage, housse d'habillage equipee d'un boitier et le coussin revetu de cette housse |
JP2003191870A (ja) * | 2001-12-27 | 2003-07-09 | Fuji Heavy Ind Ltd | 車両の隔壁ゲート構造 |
DE10354160B4 (de) * | 2003-11-19 | 2005-08-25 | Bos Gmbh & Co. Kg | Transportbehälter-Einrichtung für Fahrzeuge |
DE10354162A1 (de) * | 2003-11-19 | 2005-06-30 | Bos Gmbh & Co. Kg | Transportbehälter-Einrichtung für Fahrzeuge |
-
2004
- 2004-02-20 DE DE102004008828A patent/DE102004008828B3/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12-29 ES ES04030950T patent/ES2268570T3/es active Active
- 2004-12-29 AT AT04030950T patent/ATE331646T1/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4-12-29 DE DE502004000879T patent/DE502004000879D1/de active Active
- 2004-12-29 EP EP04030950A patent/EP1566309B1/de not_active Not-in-force
-
2005
- 2005-01-18 KR KR1020050004521A patent/KR2005008302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5-02-10 JP JP2005066246A patent/JP2005247304A/ja active Pending
- 2005-02-17 CN CNB2005100083471A patent/CN100478219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02-17 US US11/062,106 patent/US7080866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ATE331646T1 (de) | 2006-07-15 |
CN100478219C (zh) | 2009-04-15 |
US7080866B2 (en) | 2006-07-25 |
JP2005247304A (ja) | 2005-09-15 |
US20050184545A1 (en) | 2005-08-25 |
CN1672981A (zh) | 2005-09-28 |
EP1566309B1 (de) | 2006-06-28 |
DE102004008828B3 (de) | 2005-08-04 |
DE502004000879D1 (de) | 2006-08-10 |
EP1566309A1 (de) | 2005-08-24 |
ES2268570T3 (es) | 2007-03-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50083024A (ko) | 차량용 운반 박스 장치 | |
US9114839B2 (en) | Vehicle trim component having beverage retainer and method | |
US9771011B2 (en) | Vehicle trim panel having beverage retainer | |
US7461883B2 (en) | Golf car glove box | |
JP3272291B2 (ja) | カップホルダ | |
JP2953483B2 (ja) | 乗物用カップホルダ装置 | |
JP3672839B2 (ja) | 自動車のグローブボックス | |
KR19990031908U (ko) | 자동차용 컵 홀더 | |
JPH0657749U (ja) | 開口部を有するルーフモール用カバー | |
KR200144494Y1 (ko) | 자동차용 컵 홀더 | |
JPH11170918A (ja) | 車両用収納装置 | |
KR0131035Y1 (ko) | 자동차의 컵홀더 | |
JP2558661Y2 (ja) | グローブボックストレイの取付構造 | |
JP3622831B2 (ja) | 車両用カップホルダ | |
CN206579523U (zh) | 用于车辆的杯架组件及车辆 | |
KR0118848Y1 (ko) | 자동차의 다용도 콘솔 박스 | |
KR200157646Y1 (ko) | 콘솔 뚜껑을 이용한 보조선반 | |
KR0135661Y1 (ko) | 차량의 전후방향 이동이 가능한 컵 홀더 | |
KR100298697B1 (ko) | 자동차의 컵 홀더 | |
US20200122617A1 (en) | Armrest for vehicle | |
KR200154823Y1 (ko) | 자동차의 글러브박스 잠금장치 고정구조 | |
KR100358393B1 (ko) | 자동차용 콘솔박스 | |
JPH11348669A (ja) | 自動車の内装品 | |
KR970037127A (ko) | 차량용 콘솔박스 | |
JP2021146815A (ja) | 車両の収納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