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8216A -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및 회로 기판과 가요성 기판 사이의접속 구조 - Google Patents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및 회로 기판과 가요성 기판 사이의접속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8216A
KR20050078216A KR1020050007812A KR20050007812A KR20050078216A KR 20050078216 A KR20050078216 A KR 20050078216A KR 1020050007812 A KR1020050007812 A KR 1020050007812A KR 20050007812 A KR20050007812 A KR 20050007812A KR 20050078216 A KR20050078216 A KR 20050078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circuit board
flexible
connector
flexible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7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1071B1 (ko
Inventor
사또오구니히로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78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8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1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10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9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moving connector housing parts linearly, e.g. slid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5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am, wedge, cone or ball also combined with a screw
    • H01R4/5083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am, wedge, cone or ball also combined with a screw using a wedg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는 회로 기판의 관통 구멍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측면에 개구부를 갖는 케이싱을 포함한다. 회로 기판의 단자는 케이싱 측면의 상단부 근방으로부터 돌출하는 도전성 접점의 외부 접점부에 접속된다. 가요성 기판의 일부는 개구부로부터 삽입구내에 삽입되어, 가압 부재가 개구부쪽으로 활주된다. 이에 따라, 가요성 기판의 삽입된 부분과 접점의 내부 접점부는 케이싱 내에 위치하는 웨지형 푸쉬-업 블록과 가압 부재에 의해 고정되도록 끼워진다. 가압 부재는 가요성 기판의 삽입구의 외측 부분이 회로 기판의 상부 표면과 대체로 평행한 방향으로 굴곡되게 할 수 있는 커버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및 회로 기판과 가요성 기판 사이의 접속 구조{FLEXIBLE BOARD CONNECTOR AND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CIRCUIT BOARD AND FLEXIBLE BOARD}
본 발명은 가요성 기판과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및 회로 기판과 가요성 기판 사이의 접속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전화, 비디오 카메라 등의 전자 기기는 더욱 소형화되는 한편, 내부에 다수의 전자 부품이 합체되어 있다. 이들 전자 부품의 대부분은, 리드 또는 단자가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된 부품 탑재용 랜드에 땜납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소형화된 휴대 전화에서는, 복수개의 회로 기판이 통상 이용된다. 이들 회로 기판 위에는 액정 표시 모듈, 키패드 등의 비교적 큰 부품이 배치된다. 그 후, 회로 기판들 사이, 또는 회로 기판과 다른 부품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가요성 기판이 널리 사용된다.
종래, 이하와 같은 커넥터 등이 가요성 기판을 회로 기판에 접속하기 위해 이용된다.
(1)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요성 기판(56)의 단자부(57)가 화살표 D로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53) 내로 삽입된다. 커넥터(53)는 회로 기판(51) 상에 배치되고 화살표 C로 도시한 바와 같이 요동하는 요동부(52)를 갖는다. 단자부(57)는 요동부(52)에 의해 고정된다.
(2)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63)는 회로 기판(61) 상에 배치되고, 접점(62) 및 결합 클로(claw)를 갖는다. 가요성 기판(66)은 결합 클로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 구멍 및 신호 입출력 단자(65)를 갖는다. 가요성 기판(66)은 화살표 E로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63)와 결합되어서, 신호 입출력 단자(65)가 접점(62)과 접촉하게 되어 도통(conduction)을 얻는다(일본 특개평 9-22760호 공보 참조).
(3)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요성 기판(72)은 화살표 F로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 기판(71)의 표면에 배치된다. 그 후, 가요성 기판(72)은 회로 기판(71)에 끼워지도록 가요성 기판(72)의 일부를 덮는 보유 부재(74)에 의해 화살표 G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개재된다. 그 결과, 보유 부재(74) 내에 제공되고 판 스프링(75)에 연결된 돌기(76)는, 가요성 기판(72)의 이면에 제공된 신호 단자(78)를 회로 기판(71)의 상면에 제공된 신호 단자(79)에 대해 가압하여, 도통을 얻는다(일본 특개평9-69678호 공보 참조).
소형화된 전자 기기에 있어서, 특히 중요시되는 것이 두께의 감소이다. 전자 부품 등의 소형화 및 박형화가 진행하는 상황에서, 가요성 기판용의 커넥터도 소형화와 박형화가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1)과 (2)에서 전술된 바와 같이, 이러한 커넥터(53, 63)를 이용하는 경우, 커넥터(53, 63)는 회로 기판(51, 61) 상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이 커넥터(53, 63)는 회로 기판(51, 61)의 상면으로부터 전체가 돌출된다. 이는 서로 접속된 회로 기판(51, 61)과 가요성 기판(56,66)을 소형화하는 것을 어렵게 하는 문제가 있다. 커넥터(53, 63)의 두께를 감소시키기 위해, 절연체나 단자 등의 커넥터(53, 63) 내의 부품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구조 강도의 저하, 접속 불량 등을 초래한다는 문제가 있다.
(2)에서의 커넥터(63)에 있어서, 회로 기판(61)과 가요성 기판(66)은 결합 클로를 결합 구멍과 결합시킴으로써 서로 접속시키기 때문에, 접속 강도가 비교적 약하다.
한편, (3)의 경우와 같이 어느 커넥터도 이용하지 않으면서 회로 기판(71)과 가요성 기판(72)이 접속될 때, 보유 부재(74)는 범용성이 부족해진다. 이는 비용 증가를 초래한다. 또한, 보유 부재(74)는 신호 단자(78)가 형성된 부분의 면적보다 더 커게 가요성 기판(72)의 부분을 덮는다. 또한, 보유 부재(74)는 판 스프링(75) 및 돌기(76)를 내부에 포함한다. 또한, 보유 부재(74)는 회로 기판(71) 상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된다. 그 결과, 부품을 소형화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강도 또는 성능을 악화시키지 않으면서 소형화 및 박형화되는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케이싱과,
케이싱의 내측에 위치되는 내부 접점부 및 케이싱의 측면의 상단부 근방으로부터 돌출하는 외측 접점부를 갖는 접점과,
케이싱 내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고, 케이싱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접점의 내측 접점부와 함께 삽입구를 형성하는 클램프면을 갖고, 케이싱에 대해 이동하여 삽입구를 보다 좁게 하는 클램프 수단을 포함하는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접점의 외측 접점부는 케이싱의 측면의 상단부 근방으로부터 돌출된다. 한편, 접점의 내측 접점부는 클램프 수단의 클램프 표면과 함께 삽입구를 형성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회로 기판의 표면상에 형성된 단자 등에 외측 접점부를 연결하고 삽입구로 가요성 기판의 일부를 삽입하고 클램핑함으로써, 가요성 기판의 일부에 형성된 단자는 내측 접점부에 접속될 수 있다. 그 결과, 회로 기판 및 가요성 기판은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서로에 대해 신뢰성 있게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외측 접점부가 케이싱의 측면의 상단부 근방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단자와 외측 접점부는 표면에 단자 등이 형성된 회로 기판의 구멍 내로 케이싱을 위치시킴으로써 서로 접속될 수 있다. 그 결과, 회로 기판과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의 전체 두께가 크게 증가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가요성 기판 케넥터를 사용하는 전자 장비 등의 소형화가 효율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삽입구의 개구부는 케이싱의 내면의 상단부 근방에 위치 설정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삽입구의 개구부가 케이싱의 내면의 상단부 근방에 위치 설정되기 때문에, 가요성 기판의 부분은 케이싱이 예를 들어 회로 기판의 구멍 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삽입구로 쉽고 견고하게 삽입될 수 있다.
양호하게는, 삽입구의 개구부는 케이싱의 내면의 상단부 근방의 케이싱의 상부 표면에 형성된다. 이 경우, 가요성 기판의 부분은 전체 케이싱이 회로 기판의 구멍 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도 쉽고 견고하게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케이싱의 외주연면은 통상 컵 형상이며, 삽입구는 케이싱의 저면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배향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삽입구가 케이싱의 저면에 경사져 배향되기 때문에, 삽입구가 가요성 기판의 부분을 수용하기 위해 필요한 크기는 케이싱의 저면에 수평한 방향에서 효과적으로 감소된다. 그 결과,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는 효과적으로 소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클램프 수단은 특정 방향에 대해 클램핑된 가요성 기판의 비클램프부를 굴곡시키기 위한 유지부를 갖는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삽입구 내측에 배치된 가요성 기판의 부분은 클램프 수단에 의해 클램핑된다. 또한, 가요성 기판의 비클램프부는 클램프 수단의 유지부에 의해 특정 방향으로 굴곡된다. 예를 들어, 가요성 기판의 비클램프부는 케이싱의 표면으로부터 크게 돌출되지 않도록 이러한 방향으로 굴곡될 수 있다. 따라서,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에 의해 서로가 접속된 회로 기판 및 가요성 기판은 효과적으로 소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회로 기판과 가요성 기판 사이의 접속 구조는,
상술된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와,
회로와, 회로에 접속된 접속 단자와, 접속 단자에 근접하여 형성된 구멍을 갖는 회로 기판과,
배선 및 배선에 접속된 접속 단자를 갖는 가요성 기판을 포함하며,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의 케이싱 중 적어도 일부는 회로 기판의 구멍 내측에 배치되고,
회로 기판의 접속 단자는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의 접점의 외측 접점부에 접속되고,
가요성 기판의 일부는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의 삽입구내에 위치 설정되어 클램프 수단에 의해 클램핑되고, 가요성 기판의 접속 단자는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의 접점의 내측 접점부에 접속된다.
이러한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에서, 외측 접점부는 케이싱 내면의 상단부 부근에 위치 설정되고, 접속 단자는 회로 기판의 구멍 부근에 형성된다. 따라서, 케이싱의 적어도 일부가 구멍의 내측에 배치되는 상태하에서, 이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의 외측 접점부와 회로 기판의 접속 단자는 서로 쉽고 견고하게 접속된다. 그 결과, 회로 기판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의 부분이 소형화되고, 회로 기판과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전체의 두께가 크게 증가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비가 이러한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를 사용하여 제조되었을 때, 효과적으로 소형화될 수 있다.
또한, 가요성 기판의 일부는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의 삽입구 내에 위치 설정되어 클램프 수단에 의해 클램핑되기 때문에, 가요성 기판 및 회로 기판은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를 통해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서로에 대해 효과적으로 접속된다.
이러한 구조의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는 외측 접점부를 회로 기판의 접속 단자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하는 배치를 형성하고, 내측 접점부를 가요성 기판의 접속 단자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다른 가요성 기판 및 회로 기판에 적용 가능하다. 즉, 접점 형상의 변형만으로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는 다른 가요성 기판 및 회로 기판에 적용될 수 있어, 매우 범용적이며, 제조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케이싱은 단지 가요성 기판의 일부를 수용하는데 충분한 치수로 형성되기 때문에,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는 효과적으로 소형화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의 삽입구의 개구부는 케이싱의 측면 상단부 근방의 케이싱의 상부면에 위치되고,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의 케이싱 외주면은 일반적으로 컵 형상이고, 삽입구는 케이싱의 저면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배향되고,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의 클램프 수단은 유지부를 구비하며,
삽입구 외측에 위치된 가요성 기판의 일부는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의 클램프 수단의 유지부에 의해 굴곡되어, 회로 기판의 상부 표면과 대략 평행하게 배향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가요성 기판은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의 삽입구 내에 부분적으로 위치되는 한편, 삽입구 외측에 위치된 가요성 기판의 일부는 가요성 회로 커넥터의 클램프 수단의 유지부에 의해 굴곡된다. 가요성 기판의 굴곡부는 회로 기판의 상부면에 대략 평행하게 배향되고, 그에 따라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및 회로 기판의 표면에 근접된 위치에 위치된다. 즉,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외측의 가요성 기판의 일부는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또는 회로 기판으로부터 현저하게 돌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이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에 의해 서로 접속된 회로 기판과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가 효과적으로 소형화된다. 따라서, 회로 기판과 가요성 기판 사이의 이런 접속 구조를 사용해서 전자 장비 또는 유사한 장비들이 효과적으로 소형화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회로 기판의 구멍은 회로 기판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싱의 적어도 일부는 회로 기판의 관통 구멍 내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회로 기판의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로도, 케이싱이 예를 들면, 회로 기판의 표면으로부터 거의 돌출되지 않는 상태로 회로 기판에 위치될 수 있다. 그 결과, 회로 기판과 가요성 기판 사이의 전체 접속 구조는 효과적으로 얇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회로 기판의 구멍은 회로 기판의 두께보다 작은 깊이를 갖는 비관통 구멍이다. 예를 들면, 케이싱의 두께와 일반적으로 같은 비관통 구멍 깊이를 형성함에 의해, 케이싱은 회로 기판의 소정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회로 기판에 위치된다. 따라서,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및 회로 기판의 전체 두께는 효과적으로 얇아질 수 있다.
또한, 비관통 구멍 내에 위치된 케이싱의 저부는 회로 기판의 구멍이 비관통 구멍이므로 회로 기판의 후면에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케이싱이 회로 기판의 상면측을 향해 돌출되거나 또는 케이싱이 회로 기판의 후면측으로부터 유도되는 힘으로 인해 낙하될 걱정이 없다. 따라서, 회로 기판 및 가요성 기판은 서로 안정적으로 접속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는 케이싱, 케이싱의 측면의 상단에 인접부로부터 돌출된 외측 접점부를 갖는 접점 및 클램프 수단을 포함한다. 클램프 수단은 케이싱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고, 케이싱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또한, 클램프 수단은 접점의 내부 접점부와 함께 삽입구를 형성하는 클램프면을 갖는다. 또한, 클램프 수단은 케이싱에 대해 이동됨으로써 삽입구를 좁히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의 케이싱은 회로 기판의 구멍 내에 위치되고, 가요성 기판은 커넥터의 삽입구 내로 부분적으로 삽입됨에 의해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고정되고, 회로 기판, 커넥터 및 가요성 기판의 전체 두께가 종래 기술과 비교해서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충분히 이해될 것이고, 첨부된 도면은 단지 주어진 실례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첨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1)는 가요성 기판(30)을 회로 기판(40)에 고정시키고, 가요성 기판(30)의 배선을 회로 기판(40)의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1)는 일반적으로 직육면체 케이싱(2)을 가지며, 케이싱(2)은 회로 기판(40)에 형성된 일반적으로 장방형인 관통 구멍(41)에 위치된다. 케이싱(2)은 회로 기판(40)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상단부 부분을 갖는다.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1)는 가요성 기판(30)의 배선으로서의 상호 접속 패턴에 회로 기판(40)의 회로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복수의 도전성 제1 및 제2 접점(3, 4)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접점(3, 4)은 케이싱(2) 내부에 위치된 내부 접점부(3a, 4a)와, 케이싱(2)의 외부에 위치된 외부 접점부(3b, 4b)를 갖는다. 즉, 회로 기판(40)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케이싱(2)의 측표면부이면서 케이싱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측표면(23)으로부터 제1 접점(3)의 외부 접점부(3b)가 돌출한다. 또한, 제1 접점(3)이 돌출하는 측표면(23)에 대향하는 측표면(24)으로부터 제2 접점(4)의 외부 접점부(4b)가 돌출한다. 각각의 경우에, 복수의 제1 및 제2 접점(3, 4)은 케이싱(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제1 접점(3)의 외부 접점부(3b) 및 제2 접점(4)의 외부 접점부(4b)는 회로 기판(40)의 관통 구멍(41) 부근에 각각 형성된 접속 단자(43, 44)에 땜납으로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케이싱(2)은 상부 측표면에 개구(6)를 가지며, 개구(6)는 케이싱(2)의 측표면의 상단부 근처에 위치된다. 개구(6)는 제1 접점(3)의 외부 접점부(3b)가 돌출하는 측표면(23)에 인접하여 제공된다. 개구(6)는 케이싱(2) 내에 형성된 삽입구 내로 연장된다. 개구(6)는 가요성 기판(30)의 접속부(31)가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개구(6)는 케이싱(2)의 상부 측표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장방형 형상을 갖는다.
회로 기판의 상부 표면으로부터의 케이싱(2)의 돌출부는 클램핑 수단의 역할을 하는 가압 부재(8)의 상부로 대부분 덮여진다. 가압 부재(8)의 상부는 평면에서 장방형 형상을 갖는다. 가압 부재(8)의 긴 측면은 일반적으로 케이싱(2)의 종방향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가압 부재(8)의 상부 부분의 짧은 측면은 케이싱(2)의 바닥부를 향해 연장하는 지지부 내로 연장된다. 지지부의 내부 측표면 상에는 결합 클로가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 클로는 케이싱(2)의 측방향 측표면에 형성된 안내 홈(26)에 결합되어, 가압 부재(8)는 안내 홈(26)을 따라 화살표 A로 표시된 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커버부(8a)는 가압 부재(8)의 상부 부분의 긴 측면 모서리를 따라 형성된다. 커버부(8a)는 가압 부재(8)가 케이싱(2)의 측표면(23)을 향해 이동할 때 케이싱(2)의 상부 측표면의 개구(6) 위에 위치된다.
도2는 회로 기판(40) 상에 위치된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1)가 측방향으로 절단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접점(3, 4)의 내부 접점부(3a, 4a)는 각각 케이싱(2)에 위치된다. 제1 접점(3)의 내부 접점부(3a)는 케이싱(2)의 내부 표면에 형성된 경사진 표면을 따라 경사부 상에 위치된다. 제1 접점(3)의 내부 접점부(3a)와 외부 접점부(3b) 사이에 고정부(3c)가 접속된다. 고정부(3c)는 케이싱(2)의 바닥부를 향해 연장하고, 케이싱(2) 내에 형성된 고정 구멍에 끼워진다.
제2 접점(4)은 외부 접점부(4b)에 인접하는 수직부(4c)를 갖는다. 수직부(4c)는 그 바닥부를 향하는 케이싱(2)의 수직 연장 내표면을 따라 연장한다. 내부 접점부(4a)는 수직부(4c)로부터 케이싱(2)의 개구(6)를 따라 연장한다.
제1 접점(3)의 내부 접점부(3a)의 전방 단부에는 점진적으로 두께가 증가하는 접점 단자(3d)가 형성된다. 또한, 제2 접점(4)의 내부 접점부(4a)의 전방 단부에는 점진적으로 두께가 증가하는 접점 단자(4d)가 형성된다. 제1 및 제2 접점의 접점 단자(3d, 4d)는 서로 인접하게 위치된다.
케이싱(2)에서, 삽입구(9)는 가압 부재(8)의 하부 측표면인 클램프 표면(8b)과 제1 및 제2 접점(3, 4)의 내부 접점부(3a, 4a)에 의해 형성된다. 케이싱(2)의 상부 측표면의 개구(6)로 연장되는 삽입구(9)는 케이싱(2)의 저면에 대해 경사진다.
활주 부재(8c)는 삽입구(9) 아래에 위치된다. 활주 부재(8c)는 가압 부재(8)를 따라 이동하도록 가압 부재(8)와 일체로 형성된다. 커넥터의 측방향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주 부재(8c)의 상부 측표면에는 제1 접점(3)을 향하도록 하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된다. 웨지형 푸쉬-업(push-up) 블록(10)은 활주 부재(8c)와 삽입구(9) 사이에 위치된다. 활주 부재(8c)와 접촉하는 푸쉬-업 블록(10)의 표면은 제1 접점(3)을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이다. 한편, 삽입구(9)의 측면 상의 푸쉬-업 블록(10)의 다른 표면은 제1 접점(3)을 향하여 상향 경사진 경사면이다. 삽입구(9)의 측면 상의 푸쉬-업 블록(10)의 표면은 일반적으로 평행하고 제1 및 제2 접점(3, 4)의 내부 접점부(3a, 4a)의 하부면에 인접한다.
위에서 설명된 구조를 갖는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1)는 이하의 방식으로 가요성 기판(30)을 회로 기판(40)에 접속한다.
우선, 커버부(8a)가 케이싱(2)의 개구(6) 위에 위치된 경우에, 가압 부재(8)는 제2 접점(4)을 향해 이동하여 개구(6)가 노출된다. 가압 부재(8)가 제2 접점(4)을 향해 이동할 때, 활주 부재(8c)는 가압 부재(8)를 따라 제2 접점(4)을 향해 이동한다. 결국, 하부면 활주 부재(8c)의 경사진 상부 표면과 접촉하는 푸쉬-업 블록(10)은 케이싱(2)의 저면을 향해 이동한다.
가요성 기판의 접속부(31)는 노출 개구(6)를 통해 케이싱(2) 내로 삽입된다. 케이싱(2) 내에 삽입된 가요성 기판의 접속부(31)는 가압 부재(8)의 클램프면(8b)과 제1 및 제2 접점(3, 4)의 내측 접점부(3a, 4a) 사이에 형성된 삽입구(9)에 위치된다. 도3의 측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기판(30)의 접속부(31)는 커넥터(1) 외측의 가요성 기판(30)의 무게로 인해 클램프면(8b)과 접촉하게 되는 그 전방 단부를 가진다.
그 다음에, 가압 부재(8)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점(3)을 향해 이동한다. 그 결과, 가압 부재(8)의 클램프면(8b)은 가요성 기판(30)을 하방으로 가압한다. 또한, 푸쉬-업 블록(10)은 가압 부재(8)를 따라 제1 접점(3)을 향해 이동하는 활주 부재(8c)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푸쉬-업 블록(10)의 상측면은 제1 및 제2 접점(3, 4)의 내측 접점부(3a, 4a)를 상방으로 가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및 제2 접점(3, 4)의 내측 접점부(3a, 4a)와 가요성 기판(30)의 일부가 가압 부재(8)의 클램프면(8b)과 푸쉬-업 블록(10)의 상측면 사이에 개재되도록 삽입구(9)는 좁아진다. 그래서, 가요성 부재(30)의 접속부와 제1 및 제2 접점(3, 4)의 접촉 단자(3d, 4d)는 서로 견고히 접촉되어 서로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가압 부재(8)가 제1 접점(3)을 향하여 이동할 때, 가압 부재(8)의 커버부(8a)는 케이싱(2)의 개구(6) 위에 위치한다. 이렇게 될 때, 가압 부재(8)가 케이싱(2)의 홈에 끼워 맞춤된 상태에서 가압 부재(8)는 활주한다. 그에 따라, 가압 부재(8)의 커버부(8a)로 인해서 케이싱(2)의 삽입구(9) 외측에 위치한 가요성 기판(30) 부분은 케이싱(2)의 상측면을 향해 굴곡된다. 그 결과, 삽입구(90)의 외측에 위치한 가요성 기판(30)의 부분은 회로 기판(40)의 면에 보통 평행한 방향으로 지향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회로 기판과 가요성 기판 사이에 접속 구조가 얻어진다.
삽입구(9) 외측에 위치한 가요성 기판(30) 부분이 회로 기판(40)의 표면에 보통 평행한 방향으로 지향되는 방향으로 인해 하기 도시되는 단점들이 방지될 수 있다. 즉, 가요성 기판(30)이 커넥터(1) 내로 비스듬히 삽입될 경우, 삽입구(9)의 외측에 위치한 가요성 기판(30) 부분은 굴곡되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치형을 이루는데, 이는 가요성 기판(30)이 어느 정도의 강성 및 가요성을 갖기 때문이다. 가요성 기판(30)의 강성으로 인해서 가요성 기판(30)의 아치형 부분은 회로 기판(40)의 표면으로부터 넓은 범위까지 돌출될 수 있다. 가요성 기판(30)이 돌출된 상태로 유지될 때 가요성 기판(30)이 고정될 경우, 조립 작업자의 손이나 도구 등이 가요성 기판(30)의 돌출부에 의해 걸릴 수 있다. 이로 인해 커넥터로부터 가요성 기판(30)이 분리되거나 가요성 기판(30)이 손상을 입을 수 있는 단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삽입구(9)의 외측에 위치한 가요성 기판(30)의 부분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부재의 커버부(8a)에 의해 회로 기판(40)의 표면에 보통 평행한 방향으로 굴곡된다. 그러므로, 가요성 기판(30)은 회로 기판(4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가요성 기판(30)은 커넥터로부터 접속이 차단되거나 손상을 입는 단점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1)가 복수의 제1 및 제2 접점(3)을 포함하지만,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1)는 제1 접점(3) 또는 제2 접점(4) 중의 하나만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실시예의 외측 접점부가 다른 접점의 외측 접점부에 상응하는 위치인 케이싱(2)의 측면 상의 한 위치에 형성된다. 제1 및 제2 접점(3, 4)의 외측 접점부(3b, 4b) 중의 하나가 회로 기판(40)의 단자(43, 44)들 중 하나에 고정되고 실시예의 외측 접점부가 회로 기판(40)의 표면에 고정될 때, 케이싱(2)은 회로 기판(4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1)의 케이싱(2)이 회로 기판(40)의 관통 구멍(41)에 놓이지만, 케이싱(2)은 회로 기판에 제공되고 회로 기판의 두께보다 더 얕은 깊이를 갖는 비관통 구멍에 놓일 수 있다. 이 경우, 케이싱(2)의 하측면은 회로 기판의 후방 측면에 노출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회로 기판의 후방 측면으로부터 어느 정도의 힘이 가해지더라도 케이싱(2)의 분리 또는 돌출 등의 단점이 방지될 수 있다.
케이싱(2) 부분이 본 실시예의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1)의 관통 구멍(41) 내에 놓일지라도, 전체 케이싱은 관통 구멍 내에 놓일 수 있다. 그 결과,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는 거의 회로 기판(4)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및 제2 접점은 케이싱의 상부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후퇴될 수 있다.
더욱이, 케이싱(2)의 푸쉬-업 블록(10)은 생략될 수 있다. 즉, 삽입구(9)는 가압 부재(8)에 의해서만 좁아질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많은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 및 기술사상 내에 있으며, 당업자에게 자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강도 또는 성능을 악화시키지 않으면서 소형화 및 박형화되는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회로 기판 상의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가 측방향으로 절단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가요성 기판이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를 사용하여 회로 기판에 접속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가요성 기판이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를 사용하여 회로 기판에 접속된 다른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5는 종래 기술의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6은 다른 종래 기술의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7은 또 다른 종래 기술의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를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2 : 케이싱
3 : 제1 접점
4 : 제2 접점
6 : 개구
8 : 가압 부재
9 : 삽입구
10 : 푸쉬-업 블록
30 : 가요성 기판
40 : 회로 기판

Claims (8)

  1. 케이싱과,
    케이싱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부 접점부 및 케이싱의 측면의 상단부 근방으로부터 돌출하는 외부 접점부를 갖는 접점과,
    케이싱 내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고, 케이싱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고, 접점의 내부 접점부와 함께 삽입구를 형성하는 클램프면을 갖고, 케이싱에 대해 이동함으로써 삽입구를 좁히는 것이 가능한 클램프 수단을 포함하는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삽입구의 개구부는 케이싱의 측면의 상단부 근방에 위치하는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케이싱의 외주면은 대체로 컵 형상이고, 삽입구는 케이싱의 저면에 대하여 경사 방향으로 배향되는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클램프 수단은 클램핑된 가요성 기판의 비클램프부를 특정 방향으로 굴곡시키는 유지부를 갖는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5. 회로 기판과 가요성 기판 사이의 접속 구조이며,
    제1항에 기재된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와,
    회로와, 회로에 접속된 접속 단자와, 접속 단자에 근접하여 형성된 구멍을 갖는 회로 기판과,
    배선 및 배선에 접속된 접속 단자를 갖는 가요성 기판을 포함하고,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의 케이싱 중 적어도 일부는 회로 기판의 구멍의 내측에 배치되고,
    회로 기판의 접속 단자는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의 접점의 외부 접점부에 접속되고,
    가요성 기판의 일부는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의 삽입구내에 위치하고, 클램프 수단에 의해 클램핑되는 동시에, 가요성 기판의 접속 단자는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의 접점의 내부 접점부에 접속되는 회로 기판과 가요성 기판 사이의 접속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의 삽입구의 개구부는 케이싱의 측면의 상단부 근방의 케이싱의 상부면에 위치하고,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의 케이싱의 외주면은 대체로 컵 형상이고, 삽입구는 케이싱의 저면에 대하여 경사 방향으로 배향되고,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의 클램프 수단은 유지부를 갖고,
    삽입구의 외측에 위치하는 가요성 기판의 부분은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의 클램프 수단의 유지부에 의해 굴곡되어, 회로 기판의 상부 표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되는 회로 기판과 가요성 기판 사이의 접속 구조.
  7. 제5항에 있어서, 회로 기판의 구멍은 회로 기판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인 회로 기판과 가요성 기판 사이의 접속 구조.
  8. 제5항에 있어서, 회로 기판의 구멍은 회로 기판의 두께보다도 작은 깊이를 갖는 비관통 구멍인 회로 기판과 가요성 기판 사이의 접속 구조.
KR1020050007812A 2004-01-30 2005-01-28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및 회로 기판과 가요성 기판 사이의접속 구조 KR1007210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23133A JP4121465B2 (ja) 2004-01-30 2004-01-30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および回路基板とフレキシブル基板との接続構造
JPJP-P-2004-00023133 2004-0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8216A true KR20050078216A (ko) 2005-08-04
KR100721071B1 KR100721071B1 (ko) 2007-05-23

Family

ID=34650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7812A KR100721071B1 (ko) 2004-01-30 2005-01-28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및 회로 기판과 가요성 기판 사이의접속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025613B2 (ko)
EP (1) EP1560296A1 (ko)
JP (1) JP4121465B2 (ko)
KR (1) KR100721071B1 (ko)
CN (1) CN100373702C (ko)
TW (1) TWI25260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043B1 (ko) * 2012-01-27 2014-07-15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14575B2 (ja) * 2004-03-29 2007-11-28 シャープ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付き回路基板および回路基板とフレキシブル基板との接続構造
TWI351799B (en) * 2006-04-25 2011-11-01 Wago Verwaltungs Gmbh Elektr. verbinder
JP5073572B2 (ja) * 2008-04-25 2012-11-14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電気コネクタ
CN101645556B (zh) * 2008-08-06 2011-12-28 和硕联合科技股份有限公司 连接器结构
US7581975B1 (en) * 2008-12-08 2009-09-01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Flexible printed circuit connector
JP5600523B2 (ja) * 2010-08-27 2014-10-0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構造
CN101964399B (zh) * 2010-09-26 2013-04-17 东莞新能源科技有限公司 锂离子电池单体的极耳保护夹
EP2546932A3 (en) * 2011-07-15 2015-06-24 Hosiden Corporation Terminal box and terminal box fixing arrangement
US8430684B1 (en) * 2011-08-04 2013-04-30 George F. Glatts, III Ribbon cable connector
KR101920623B1 (ko) * 2012-01-30 2018-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케이블, 케이블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신호케이블 연결장치
JP6272660B2 (ja) * 2013-05-17 2018-01-31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コネクタ
CN106486793A (zh) * 2016-12-21 2017-03-08 丹阳特瑞莱电子有限公司 一种电缆组件的稳定连接装置
US10404008B2 (en) * 2017-10-06 2019-09-03 Te Connectivity Corporation Connector system with receptacle and plug connectors having complimentary angled connector platforms
DE102017219437A1 (de) * 2017-10-30 2019-05-02 Airbus Operations Gmbh Gehäuse zum Verbinden von auf einer Folie gedruckten elektrischen Leitungen mit einer Spannungsversorgung
CN109596141A (zh) * 2019-01-22 2019-04-09 广州极飞科技有限公司 传感器组件、惯性测量组件和移动设备
CN110930881B (zh) * 2019-11-28 2021-10-0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模组和柔性显示装置
CN113900012B (zh) * 2021-10-12 2024-05-07 深圳市精莞盈电子有限公司 一种柔性线路板烧录测试架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30384A1 (fr) * 1982-07-15 1984-01-20 Amp France Procede et connecteur electrique pour terminer un conducteur d'un cable flexible plat
US5240430A (en) * 1991-10-31 1993-08-31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for cable to circit board application
US5194017A (en) * 1992-02-24 1993-03-16 Amp Incorporated Connector for a flexible circuit
US5211577A (en) * 1992-10-06 1993-05-18 Hughes Aircraft Company Pressure-actuated gold dot connector
GB9507127D0 (en) * 1995-04-06 1995-05-31 Amp Hollan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JPH0922760A (ja) 1995-07-04 1997-01-21 Oki Electric Ind Co Ltd 携帯電話におけるfpcと基板の接続構造
JP2669412B2 (ja) 1995-08-31 1997-10-27 日本電気株式会社 Tab実装構造
JP3118688B2 (ja) * 1996-03-05 2000-12-1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ケーブル用ワンタッチコネクタ
US6447305B1 (en) * 1996-05-14 2002-09-10 Miraco, Inc. Circuit to printed circuit board stored energy connector
JPH10255926A (ja) 1997-03-07 1998-09-25 Sharp Corp コネクタ
JPH10308261A (ja) 1997-05-06 1998-11-17 Sumikou Tec Kk Fpc/ffc用コネクタ
JPH11185848A (ja) 1997-12-12 1999-07-09 Molex Inc 平型柔軟ケーブル用コネクタ
DE19750224B4 (de) * 1997-11-13 2005-10-06 Daimlerchrysler Ag Stecker zur Herstellung einer lösbaren elektrischen Verbindung zwischen einem Flachbandkabel und einer Leiterplatte
JP3075707B2 (ja) * 1997-12-24 2000-08-1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プリント配線板用コネクタ
US6089904A (en) * 1999-04-16 2000-07-18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FFC connector
US6159038A (en) * 1999-04-21 2000-12-12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ompression header connector having strain relief and mountable to frame of hard disk drive
BR9905307A (pt) * 1999-10-29 2001-06-12 Uni Charm Corp Absorvente higiênico
CN2519442Y (zh) * 2001-12-03 2002-10-3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043B1 (ko) * 2012-01-27 2014-07-15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1071B1 (ko) 2007-05-23
US7025613B2 (en) 2006-04-11
CN100373702C (zh) 2008-03-05
EP1560296A1 (en) 2005-08-03
JP2005216720A (ja) 2005-08-11
US20050170685A1 (en) 2005-08-04
JP4121465B2 (ja) 2008-07-23
TWI252609B (en) 2006-04-01
CN1649212A (zh) 2005-08-03
TW200531348A (en) 2005-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1071B1 (ko)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및 회로 기판과 가요성 기판 사이의접속 구조
KR100659193B1 (ko) 가요성 기판 커넥터 그리고 회로 기판으로의 가요성 기판의연결 구조체
KR100683029B1 (ko) 커넥터
US10985491B2 (en) Board connectors
US20120003859A1 (en) Connector set and jointer for use therein
KR100715015B1 (ko) 전자부품부착용 소켓
US7442082B2 (en) Shielded connector with folding arrangement ensuring perpendicularity between sidewall and bottom wall of the metal housing
JP4984823B2 (ja) シールド板およびシールド板が取り付けられる基板実装型コネクタ
JP4735285B2 (ja) コネクタ
EP1803195B1 (en) Socket for digital camera module
KR20170055008A (ko) 터미널, 터미널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 모듈
US7153144B2 (en) Module connector
KR100567587B1 (ko) 접지 연결용 홀드다운을 갖춘 전기 커넥터
EP3429031A1 (en) Poke-in connector
KR101942811B1 (ko) 보강부재를 갖는 소켓커넥터 및 플러그커넥터
JP4293826B2 (ja) コネクタ及び該コネクタに使用する取付部材の取付方法
KR20180106187A (ko)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JP3753615B2 (ja) 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lcd電気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KR101827086B1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JP3723498B2 (ja) 接続装置
JP2005011533A (ja) コネクタ
KR20160128540A (ko) 케이블 커넥터
KR20100047771A (ko) Ic칩의 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