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8540A - 케이블 커넥터 - Google Patents

케이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8540A
KR20160128540A KR1020150059934A KR20150059934A KR20160128540A KR 20160128540 A KR20160128540 A KR 20160128540A KR 1020150059934 A KR1020150059934 A KR 1020150059934A KR 20150059934 A KR20150059934 A KR 20150059934A KR 20160128540 A KR20160128540 A KR 20160128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onnecting member
groove
main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9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5663B1 (ko
Inventor
곽주연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9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5663B1/ko
Publication of KR20160128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8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5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5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5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cables except for 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2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being plates having a single slot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200)에 실장되기 위한 실장부(2), 상기 실장부(2)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주접속부(3), 상기 주접속부(3)로부터 상기 제1축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제2축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실장부(2)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벤딩부(5), 및 상기 벤딩부(5)에 연결되게 형성된 보조접속부(4)를 포함하되, 상기 보조접속부(4)가 주접속홈(31)에 삽입된 케이블(100)로부터 이격된 제1위치(P1)에서 상기 벤딩부(5)가 굽어짐에 따라 제2위치(P2)로 이동하여 상기 주접속홈(31)에 삽입된 케이블(100)에 접속되는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케이블 커넥터{Cable Connector}
본 발명은 케이블을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제품들이 소형화, 고성능화 되어가면서 기판(200, Substrate) 상에 많은 수의 전자 소자들이 배치된다. 이러한 전자 소자들은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외부기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 기판에 케이블이 연결된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케이블을 기판에 직접 납땜하는 방식으로 케이블을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였다. 도 1은 이어폰의 볼륨 조절 모듈에서 커버를 분해하여 촬영한 것으로, 도 1에 표시된 원의 내측 부분이 케이블이 납땜에 의해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부분이다.
이와 같이 케이블을 기판에 직접 납땜하는 방식으로 케이블을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함에 따라, 종래에는 납땜 과정에서 발생하는 산화막으로 인해 케이블 및 기판 간의 접속력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접속 불량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전자 제품들이 점차적으로 소형화되면서 케이블 및 기판 또한 점차적으로 소형화됨에 따라, 종래와 같이 케이블을 기판에 직접 납땜하는 작업을 수행하기에 어려움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케이블 및 기판 간에 접속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케이블 및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작업에 대한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는 기판(200)에 실장되기 위한 실장부(2); 케이블(100)이 삽입되기 위한 주접속홈(31), 및 상기 주접속홈(31)에 삽입된 케이블(100)에 접속되도록 상기 주접속홈(31)을 기준으로 제1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주접속부재(32)와 제2주접속부재(33)를 포함하고, 상기 실장부(2)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주접속부(3); 상기 주접속부(3)로부터 상기 제1축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제2축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실장부(2)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벤딩부(5); 및 상기 벤딩부(5)에 연결되게 형성된 보조접속부(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접속부(4)는 상기 주접속홈(31)에 삽입된 케이블(100)로부터 이격된 제1위치(P1)에서 상기 벤딩부(5)가 굽어짐에 따라 제2위치(P2)로 이동하여 상기 주접속홈(31)에 삽입된 케이블(100)에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납땜 없이도 케이블을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케이블 및 기판 간의 접속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블 및 기판 간에 접속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주접속부 및 보조접속부를 통해 이중으로 케이블에 접속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진등이나 흔들림 등에 대한 내력을 강화시켜서 케이블 및 기판 간에 접속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블에 접속되는 접속면적을 늘려서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 기판에 케이블이 연결된 모습을 촬영한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벤딩부가 굽어지기 이전의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벤딩부가 굽어진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도 2의 I-I 선을 기준으로 주접속부에 케이블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제1서브접속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주접속부의 일부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제1서브접속부재 및 제2서브접속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도 2의 I-I 선을 기준으로 하는 주접속부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제2서브접속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주접속부의 일부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도 4의 Ⅱ-Ⅱ 선을 기준으로 보조접속부에 케이블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도 11의 Ⅲ-Ⅲ 선을 기준으로 실장부, 보조접속부, 벤딩부 및 벤딩홈을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벤딩홈의 변형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일부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벤딩부가 굽어지기 이전의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벤딩부가 굽어진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제1보조접속부재 및 제2보조접속부재가 굽어진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케이블(Cable, 100)을 기판(Substrate, 20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이어폰의 볼륨조절모듈, 핸드폰 등 다양한 전자 제품들에서 상기 케이블(100)을 상기 기판(20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기판(200)은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기판(200)에 실장되기 위한 실장부(2), 상기 실장부(2)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주접속부(3), 상기 케이블(100)에 접속되기 위한 보조접속부(4), 및 상기 주접속부(3)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실장부(2)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벤딩부(5)를 포함한다. 상기 주접속부(3)에는 상기 케이블(100)이 삽입되기 위한 주접속홈(31)이 형성된다. 상기 주접속부(3)는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주접속홈(31)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케이블(100)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케이블(100)을 상기 실장부(2)가 실장된 기판(200)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또한, 상기 보조접속부(4)는 상기 벤딩부(5)가 굽어짐에 따라 상기 주접속홈(31)에 삽입된 케이블(100)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케이블(100)을 상기 실장부(2)가 실장된 기판(200)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주접속홈(31)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주접속부(3) 및 상기 실장부(2)를 통해 상기 기판(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현되므로, 종래 기술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요구되었던 납땜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남땜 과정에서 발생하는 산화막으로 인해 상기 케이블(100) 및 상기 기판(200) 간에 접속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주접속홈(31)에 삽입되어서 상기 주접속부(3)에 삽입된 상태로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케이블(100) 및 상기 주접속부(3) 간에 접속력을 강화시킴으로써, 상기 케이블(100) 및 상기 기판(200) 간에 접속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주접속부(3) 및 상기 보조접속부(4)를 통해 이중으로 상기 케이블(100)에 접속되도록 구현되므로, 진동이나 흔들림 등으로 인해 상기 케이블(100)에 대한 접속이 해제되어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진등이나 흔들림 등에 대한 내력을 강화시킴으로써, 상기 케이블(100) 및 상기 기판(200) 간에 접속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주접속부(3) 및 상기 보조접속부(4)를 통해 상기 케이블(100)에 접속되는 접속면적을 늘림으로써,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실장부(2), 상기 주접속부(3), 상기 보조접속부(4), 및 상기 벤딩부(5)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실장부(2)는 상기 기판(200)에 실장된다. 상기 실장부(2)는 상기 기판(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기판(200)에 실장된다. 상기 실장부(2)는 표면실장기술(Surface Mounting Technology, SMT)을 이용하여 상기 기판(200)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실장부(2)는 상기 주접속부(3)에 연결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주접속부(3)가 상기 케이블(100)에 접속되면, 상기 실장부(2)는 상기 주접속부(3)에 접속된 케이블(100)을 상기 기판(200)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실장부(2) 및 상기 주접속부(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장부(2)는 상기 벤딩부(5)를 통해 상기 보조접속부(4)에 연결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보조접속부(4)가 상기 케이블(100)에 접속되면, 상기 실장부(2)는 상기 보조접속부(4)에 접속된 케이블(100)을 상기 기판(200)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실장부(2), 상기 보조접속부(4), 및 상기 벤딩부(5)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장부(2)는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기판(200)에 실장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실장부(2)는 받침부재(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21)는 상기 주접속부(3) 및 상기 보조접속부(4)에 접속되는 케이블(100)을 지지한다. 상기 받침부재(21)는 상기 주접속부(3)가 상기 케이블(100)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방향에 대해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21)는 상기 주접속부(3)를 기준으로 상기 벤딩부(5)의 반대편에 위치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주접속부(3)는 상기 받침부재(21)와 상기 벤딩부(5)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받침부재(21)는 상기 실장부(2)를 구성하는 판재를 굽힘(Bending) 가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주접속부(3)는 상기 실장부(2)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주접속부(3)는 도 3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실장부(2)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접속부(3)는 상기 실장부(2)를 통해 상기 기판(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주접속부(3)에는 상기 케이블(100)이 삽입된다. 상기 케이블(100)은 상기 주접속부(3)에 삽입되어서 상기 실장부(2)를 통해 상기 기판(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주접속부(3)에는 상기 주접속홈(31, 도 2에 도시됨)이 형성된다. 상기 주접속홈(31)은 상기 주접속부(3)가 상기 실장부(2)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주접속부(3)에서 일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접속홈(31)에 의해, 상기 주접속부(3)는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주접속부재(32) 및 제2주접속부재(33)를 포함한다. 즉, 상기 주접속홈(31)은 상기 제1주접속부재(32) 및 상기 제2주접속부재(33)의 사이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주접속부재(32) 및 상기 제2주접속부재(33)는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주접속홈(31)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케이블(100)에 접속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요구되었던 납땜 없이도 상기 케이블(100)을 상기 기판(200)에 연결시킬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산화막으로 인한 접속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케이블(100)을 상기 기판(20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케이블(100)에서 상기 주접속홈(31)에 삽입되는 부분은 절연피복이 벗겨진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케이블(100)은 별도의 장비 또는 공구 등에 의해 상기 주접속홈(31)에 삽입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주접속부(3)는 탄성홈(34, 도 5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홈(34)은 상기 주접속부(3)에 형성된다. 상기 탄성홈(34)은 상기 제1주접속부재(32) 및 상기 제2주접속부재(33)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주접속부(3)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주접속부재(32) 및 상기 제2주접속부재(33)는 상기 주접속홈(31)에 삽입되는 케이블(100)에 의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제1주접속부재(32) 및 상기 제2주접속부재(33)가 상기 탄성홈(34)에 의해 탄성적으로 벌어져서 상기 주접속홈(31)에 삽입된 케이블(100)을 복원력으로 압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블(100)은 상기 제1주접속부재(32) 및 상기 제2주접속부재(33)의 사이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상기 주접속부(3)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주접속부(3) 및 상기 케이블(100) 간에 접속력을 강화시킬 수 있고, 진동이나 흔들림 등으로 인해 상기 주접속부(3) 및 상기 케이블(100) 간에 접속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홈(34)은 상기 주접속홈(31)에 연결되도록 상기 주접속부(3)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홈(34)은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주접속부재(32) 및 상기 제2주접속부재(33)가 탄성적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으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주접속부(3)는 이격홈(35, 도 6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격홈(35)은 상기 주접속부(3)에 형성된다. 상기 이격홈(35)은 상기 주접속부(3)에 상기 주접속홈(31)이 형성된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이격홈(35)은 상기 주접속부(3)가 상기 실장부(2)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에 대해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주접속부(3)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격홈(35) 및 상기 주접속부(3)는 상기 주접속홈(31)이 관통되어 형성된 판재를 굽힘 가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격홈(35)에 의해, 상기 제1주접속부재(32)는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제1서브접속부재(321, 도 7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과 상이한 방향이다. 예컨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1주접속부재(32)가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321)들을 포함하도록 구현됨에 따라, 상기 주접속부(3)는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321)들을 통해 상기 주접속홈(31)에 삽입된 케이블(100)에 다면(多面) 접속되어 상기 케이블(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321)들을 통해 진동이나 흔들림 등으로 인해 상기 케이블(100) 및 상기 주접속부(3) 간에 접속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진동이나 흔들림 등에 대한 내력을 더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321)들을 통해 상기 주접속부(3)가 상기 케이블(100)에 접속되는 접속면적을 늘림으로써,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321)들은 각각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주접속홈(31)에 삽입되는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게 형성된 제1입구면(3211), 제1연결면(3212), 및 제1삽입면(32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321)들 각각이 상기 케이블(100)에 다면 접속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진동이나 흔들림 등에 대한 내력 향상 및 접촉 신뢰성 향상 효과를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입구면(3211)은 상기 주접속홈(31)에서 상기 케이블(100)이 삽입되는 입구 쪽에 위치한다. 상기 제1연결면(3212)은 상기 제1입구면(3211) 및 상기 제1삽입면(3213)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1삽입면(3213)은 상기 제1연결면(3212) 및 상기 탄성홈(34)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케이블(100)은 상기 주접속홈(31)을 통해 삽입되어서 상기 제1입구면(3211), 상기 제1연결면(3212), 및 상기 제1삽입면(3213)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321)들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면(3212)은 곡면(曲面)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연결면(3212)은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케이블(100)의 삽입을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주접속홈(31)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면(3212)은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케이블(100)의 삽입을 유도하기 위해 적어도 두 개의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연결면(3212)은 제1함몰곡면(3212a, 도 8에 도시됨) 및 제1돌출곡면(3212b, 도 8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함몰곡면(3212a)은 상기 주접속홈(31) 쪽에 곡률중심(OP1, 도 8에 도시됨)이 위치하도록 곡면을 이루며 형성된다. 상기 제1돌출곡면(3212b)은 상기 제1주접속부재(32) 쪽에 곡률중심(OP2, 도 8에 도시됨)이 위치하도록 곡면을 이루며 형성된다. 상기 제1돌출곡면(3212b) 및 상기 제1함몰곡면(3212a)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제1함몰곡면(3212a) 및 상기 제1돌출곡면(3212b)을 따라 상기 주접속홈(31)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케이블(100)을 상기 기판(S)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8에는 상기 제1연결면(3212)이 두 개의 곡면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연결면(3212)은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케이블(100)의 삽입을 유도할 수 있으면 세 개 이상의 곡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삽입면(3213)은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입구면(3211)에 비해 더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주접속부재(32)는 상기 제1입구면(3211)이 형성된 부분에 비해 상기 제1삽입면(3213)이 형성된 부분이 더 큰 탄성력 및 복원력을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케이블(100)에서 상기 주접속홈(31)에 더 깊이 삽입된 부분이 상기 제1삽입면(3213)에 의해 더 큰 복원력으로 고정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케이블(100)에 대한 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삽입면(3213)은 평면(平面)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입구면(3211)은 상기 제1삽입면(3213)에 대해 평행한 방향을 향하는 평면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제2주접속부재(33)는 상기 이격홈(35, 도 6에 도시됨)에 의해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제2서브접속부재(331, 도 9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주접속부재(33)가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331)들을 포함하도록 구현됨에 따라, 상기 주접속부(3)는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331)들을 통해 상기 주접속홈(31)에 삽입된 케이블(100)에 다면 접속되어 상기 케이블(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331)들을 통해 진동이나 흔들림 등으로 인해 상기 케이블(100) 및 상기 주접속부(3) 간에 접속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진동이나 흔들림 등에 대한 내력을 더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331)들을 통해 상기 주접속부(3)가 상기 케이블(100)에 접속되는 접속면적을 늘림으로써,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331)들은 각각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게 형성된 제2입구면(3311), 제2연결면(3312), 및 제2삽입면(33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331)들 각각이 상기 케이블(100)에 다면 접속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진동이나 흔들림 등에 대한 내력 향상 및 접촉 신뢰성 향상 효과를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입구면(3311)은 상기 주접속홈(31)에서 상기 케이블(100)이 삽입되는 입구 쪽에 위치한다. 상기 제2연결면(3312)은 상기 제2입구면(3311) 및 상기 제2연결면(3312)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2삽입면(3313)은 상기 제2연결면(3312) 및 상기 탄성홈(34)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케이블(100)은 상기 주접속홈(31)을 통해 삽입되어서 상기 제2입구면(3311), 상기 제2연결면(3312), 및 상기 제2연결면(3312)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331)들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2입구면(3311), 상기 제2연결면(3312), 및 상기 제2삽입면(3313)은, 각각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입구면(3211), 상기 제1연결면(3212), 및 상기 제1삽입면(3213)에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면(3312)은 곡면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연결면(3312)은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케이블(100)의 삽입을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주접속홈(31)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면(3312)은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케이블(100)의 삽입을 유도하기 위해 적어도 두 개의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연결면(3312)은 제2함몰곡면(3312a, 도 8에 도시됨) 및 제2돌출곡면(3312b, 도 8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함몰곡면(3312a)은 상기 주접속홈(31) 쪽에 곡률중심(OP3, 도 8에 도시됨)이 위치하도록 곡면을 이루며 형성된다. 상기 제2돌출곡면(3312b)은 상기 제2주접속부재(33) 쪽에 곡률중심(OP4, 도 8에 도시됨)이 위치하도록 곡면을 이루며 형성된다. 상기 제2돌출곡면(3312b) 및 상기 제2함몰곡면(3312a)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제2함몰곡면(3312a) 및 상기 제2돌출곡면(3312b)을 따라 상기 주접속홈(31)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케이블(100)을 상기 기판(S)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8에는 상기 제2연결면(3312)이 두 개의 곡면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2연결면(3312)은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케이블(100)의 삽입을 유도할 수 있으면 세 개 이상의 곡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2삽입면(3313)은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입구면(3311)에 비해 더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주접속부재(33)는 상기 제2입구면(3311)이 형성된 부분에 비해 상기 제2삽입면(3313)이 형성된 부분이 더 큰 탄성력 및 복원력을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케이블(100)에서 상기 주접속홈(31)에 더 깊이 삽입된 부분이 상기 제2삽입면(3313)에 의해 더 큰 복원력으로 고정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케이블(100)에 대한 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삽입면(3313)은 평면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입구면(3311)은 상기 제2삽입면(3313)에 대해 평행한 방향을 향하는 평면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제2삽입면(3313) 및 상기 제1삽입면(3213)과의 이격 거리(D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케이블(100)의 길이(100D)에 비해 더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케이블(100)이 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경우, 상기 제2삽입면(3313) 및 상기 제1삽입면(3213)과의 이격 거리(D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케이블(100)의 직경(100D)에 비해 더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제2삽입면(3313) 및 상기 제1삽입면(3213) 사이에 삽입되면서 압축되므로, 상기 주접속부(3)가 상기 주접속홈(31)에 삽입된 케이블(100)을 더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케이블(100)에서 상기 제2연결면(3312) 및 상기 제1삽입면(3213)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되어서 상기 주접속부(3)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주접속부재(33) 및 상기 제1주접속부재(3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삽입면(3313) 및 상기 제1삽입면(3213)과의 이격 거리(D1)가 상기 케이블(100)의 길이(100D)에 비해 더 짧은 길이로 구현되도록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제2입구면(3311) 및 상기 제1입구면(3211)과의 이격 거리(D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삽입면(3313) 및 상기 제1삽입면(3213)과의 이격 거리(D1)에 비해 더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주접속홈(31)에 삽입되기 위한 입구 면적을 늘림으로써,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주접속홈(31)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주접속부재(33) 및 상기 제1주접속부재(3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입구면(3311) 및 상기 제1입구면(3211)과의 이격 거리(D2)가 상기 제2삽입면(3313) 및 상기 제1삽입면(3213)과의 이격 거리(D1)에 비해 더 긴 길이로 구현되도록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입구면(3311) 및 상기 제1입구면(3211)과의 이격 거리(D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케이블(100)의 길이(100D)와 대략 일치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321)들이 갖는 제1입구면(3211)들, 제1연결면(3212)들, 제1삽입면(3213)들, 및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331)들이 갖는 제2입구면(3311)들, 제2연결면(3312)들, 제2연결면(3312)들을 통해 상기 케이블(100)에 다면 접속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진동이나 흔들림 등으로 인해 접속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진동이나 흔들림 등에 대한 내력을 강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케이블(100)에 대한 접속면적을 늘려서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321)들이 갖는 제1연결면(3212)들, 제1삽입면(3213)들, 및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331)들이 갖는 제2연결면(3312)들, 제2삽입면(3313)들을 통해 상기 케이블(100)에 다면 접속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입구면(3211)들 및 상기 제2입구면(3311)들 각각의 이격 거리(D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케이블(100)의 길이(100D)에 비해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보조접속부(4)는 상기 벤딩부(5)에 연결되게 형성된다. 상기 보조접속부(4)는 상기 주접속홈(31)에 삽입된 케이블(100)로부터 이격된 제1위치(P1, 도 3에 도시됨)에서 상기 벤딩부(5)가 굽어짐에 따라 제2위치(P2, 도 4에 도시됨)로 이동하여 상기 주접속홈(31)에 삽입된 케이블(100)에 접속된다. 이 경우, 상기 케이블(100)은 상기 주접속홈(31)에 삽입되어 상기 제1주접속부재(32) 및 상기 제2주접속부재(33)에 접속된 상태이다.
예컨대, 상기 보조접속부(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벤딩부(5)가 굽어지기 이전에는 상기 주접속홈(31)에 삽입된 케이블(100)로부터 이격된 제1위치(P1)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위치(P1)에 위치한 보조접속부(4)는 상기 벤딩부(5)에서 상기 주접속부(3)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벤딩부(5)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보조접속부(4)가 상기 제1위치(P1)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벤딩부(5)가 굽어지면, 상기 보조접속부(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접속부(3)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위치(P2)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주접속홈(31)에 삽입된 케이블(100)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2위치(P2)에 위치한 보조접속부(4)는 상기 벤딩부(5)에서 상기 실장부(2)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벤딩부(5)로부터 돌출된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블(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접속홈(31)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1주접속부재(32) 및 상기 제2주접속부재(33)에 접속될 뿐만 아니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접속부(4)에 접속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주접속부(3) 및 상기 보조접속부(4)를 통해 이중으로 상기 케이블(100)에 접속되도록 구현되므로, 진동이나 흔들림 등에 대한 내력 향상, 상기 케이블(100) 및 상기 기판(200) 간에 접속에 대한 안정성 향상, 및 접촉 신뢰성 향상 효과를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보조접속부(4)는 별도의 장비 또는 공구 등에 의해 굽어질 수 있다. 상기 보조접속부(4)는 도 3을 기준으로 할 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굽어짐으로써 상기 케이블(100)에 접속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보조접속부(4)에는 상기 케이블(100)이 삽입되기 위한 보조접속홈(41, 도 2에 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접속홈(41)에 의해, 상기 보조접속부(4)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보조접속부재(42) 및 제2보조접속부재(4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보조접속홈(41)은 상기 제1보조접속부재(42) 및 상기 제2보조접속부재(43)의 사이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보조접속부재(42) 및 상기 제2보조접속부재(43)는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보조접속홈(41)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케이블(100)에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요구되었던 납땜 없이도 상기 케이블(100)을 상기 기판(200)에 연결시킬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산화막으로 인한 접속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케이블(100)을 상기 기판(20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주접속홈(31) 및 상기 보조접속홈(41) 각각에 끼움 결합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므로, 상기 케이블(100)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도 상기 케이블(100)을 상기 주접속부(3) 및 상기 보조접속부(4)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고정수단에 대한 재료비를 줄일 수 있으므로,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제1보조접속부재(42) 및 상기 제2보조접속부재(43)와의 이격 거리(D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케이블(100)의 길이(100D, 도 8에 도시됨)에 비해 더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케이블(100)이 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경우, 상기 제1보조접속부재(42) 및 상기 제2보조접속부재(43)와의 이격 거리(D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케이블(100)의 직경(100D, 도 8에 도시됨)에 비해 더 짧은 길이(D3)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제1보조접속부재(42) 및 상기 제2보조접속부재(43) 사이에 삽입되면서 압축되므로, 상기 보조접속부(4)가 상기 보조접속홈(41)에 삽입된 케이블(100)을 더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케이블(100)에서 상기 제1보조접속부재(42) 및 상기 제2보조접속부재(43)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은 압축되어서 상기 보조접속부(4)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제1보조접속부재(42)는 상기 보조접속홈(41)에 삽입되는 케이블(100)에 접속되는 제1보조접속면(421), 및 상기 제1보조접속면(421)에 연결되게 형성된 제1통로면(422, 도 11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보조접속면(421)은 상기 보조접속홈(41)에 삽입된 케이블(100)에 접속된다. 상기 제1보조접속면(421)은 상기 제1보조접속부재(42)가 갖는 면들 중에서 상기 제2보조접속부재(431) 쪽을 향하는 면이다. 상기 제1보조접속면(421)은 평면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통로면(422)은 상기 제1보조접속면(421)에 연결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통로면(422)은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보조접속홈(41)에 삽입되는 입구 쪽에 위치한다.
상기 제2보조접속부재(43)는 상기 보조접속홈(41)에 삽입되는 케이블(100)에 접속되는 제2보조접속면(431), 및 상기 제2보조접속면(431, 도 11에 도시됨)에 연결되게 형성된 제2통로면(4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보조접속면(431)은 상기 보조접속홈(41)에 삽입된 케이블(100)에 접속된다. 상기 제2보조접속면(431)은 상기 제2보조접속부재(43)가 갖는 면들 중에서 상기 제1보조접속부재(42) 쪽을 향하는 면이다. 상기 제2보조접속면(431)은 평면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보조접속면(431) 및 상기 제1보조접속면(421)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접속홈(41)은 상기 제2보조접속면(431) 및 상기 제1보조접속면(421)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2통로면(432)은 상기 제2보조접속면(431)에 연결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통로면(432)은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보조접속홈(41)에 삽입되는 입구 쪽에 위치한다. 상기 제2통로면(432) 및 상기 제1통로면(422)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접속홈(41)은 상기 제2통로면(432) 및 상기 제1통로면(422)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2통로면(432) 및 상기 제1통로면(422)과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보조접속면(431) 및 상기 제1보조접속면(421)과의 이격 거리(D3)에 비해 더 긴 길이를 갖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보조접속홈(41)에 삽입되기 위한 입구 면적을 늘림으로써,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보조접속홈(41)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통로면(432) 및 상기 제1통로면(422)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블(100)은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보조접속홈(41)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통로면(432) 및 상기 제1통로면(422)에 의해 점차적으로 압축되어서 상기 제2보조접속면(431) 및 상기 제1보조접속면(42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제1보조접속면(421) 및 상기 제2보조접속면(431)에 접속되도록 상기 케이블(100)을 상기 보조접속홈(41)에 삽입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에는 상기 제2통로면(432) 및 상기 제1통로면(422)이 각각 경사진 평면을 이루며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2통로면(432) 및 상기 제1통로면(422)은 각각 곡면을 이루며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벤딩부(5)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상기 주접속부(3)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실장부(2)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벤딩부(5)는 상기 보조접속부(4)가 상기 제1위치(P1, 도 3에 도시됨)에서 상기 제2위치(P2, 도 4에 도시됨)로 이동하도록 굽어질 수 있다. 상기 벤딩부(5)가 굽어짐에 따라, 상기 보조접속부(4)는 상기 주접속홈(31)에 삽입된 케이블(100)에 접속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벤딩부(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접속부(4)가 상기 제1위치(P1)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주접속부(3) 쪽으로 굽어짐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접속부(4)를 상기 제2위치(P2)로 이동시켜서 상기 보조접속부(4)를 상기 케이블(100)에 접속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블(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접속홈(31)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1주접속부재(32) 및 상기 제2주접속부재(33)에 접속될 뿐만 아니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접속부(4)에 접속되게 된다. 상기 벤딩부(5)는 별도의 장비 또는 공구 등에 의해 굽어질 수 있다. 상기 벤딩부(5)는 도 3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보조접속부(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위치(P1)에서 상기 제2위치(P2)로 이동하도록 굽어질 수 있다.
상기 벤딩부(5)에는 상기 제1보조접속부재(42) 및 상기 제2보조접속부재(43)가 연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보조접속부재(42) 및 상기 제2보조접속부재(43)는 상기 벤딩부(5)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벤딩부(5)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벤딩부(5)가 굽어지기 이전 상태에서, 상기 제1보조접속부재(42) 및 상기 제2보조접속부재(43)는 상기 실장부(2)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보조접속부(4)가 상기 제1위치(P1)에 위치할 때, 상기 제1보조접속부재(42) 및 상기 제2보조접속부재(43)는 상기 실장부(2)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벤딩부(5)가 굽어진 후에, 상기 제1보조접속부재(42) 및 상기 제2보조접속부재(43)는 상기 실장부(2)에 대해 직교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보조접속부(4)가 상기 제2위치(P2)에 위치할 때, 상기 제1보조접속부재(42) 및 상기 제2보조접속부재(43)는 상기 실장부(2)에 대해 직교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벤딩부(5)가 굽어지면, 상기 제1보조접속부재(42) 및 상기 제2보조접속부재(43)는 상기 주접속부(3) 및 상기 벤딩부(5)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케이블(100)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벤딩부(5), 상기 실장부(2), 상기 제1보조접속부재(42), 및 상기 제2보조접속부재(43)는 상기 보조접속홈(41)이 관통되어 형성된 판재를 굽힘 가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벤딩부(5)에는 상기 보조접속홈(41)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조접속홈(41)은 상기 제1보조접속부재(42) 및 상기 제2보조접속부재(43)의 사이에서부터 상기 벤딩부(5)의 일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보조접속부재(42) 및 상기 제2보조접속부재(43)는 상기 보조접속홈(41)에 삽입되는 케이블(100)에 의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더 탄성적으로 벌어져서 상기 보조접속홈(41)에 삽입된 케이블(100)을 더 큰 복원력으로 압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보조접속부(4) 및 상기 케이블(100) 간에 접속력을 강화시킬 수 있고, 진동이나 흔들림 등으로 인해 상기 보조접속부(4) 및 상기 케이블(100) 간에 접속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100)은 상기 주접속부(3)로부터 상기 벤딩부(5)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주접속홈(31)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벤딩부(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주접속부(3)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제한되도록 상기 케이블(100)을 지지하는 제한면(5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제한면(51)에 지지되면, 상기 케이블(100)은 상기 주접속부(3)에서 상기 벤딩부(5)를 향하는 방향으로 더 이상 이동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제한면(51)에 지지될 때까지 상기 케이블(100)을 상기 주접속부(3)에서 상기 벤딩부(5)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케이블(100)을 상기 주접속부(3) 및 상기 보조접속부(4) 모두에 접속될 수 있는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케이블(100)을 상기 주접속부(3) 및 상기 보조접속부(4)를 통해 상기 기판(20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 도 12 및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벤딩부(5)에는 벤딩홈(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벤딩홈(6)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및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벤딩부(5)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벤딩부(5)가 상기 벤딩홈(6)을 통해 용이하게 굽어지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보조접속부(4)를 상기 케이블(100)에 접속시키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벤딩부(5)는 상기 벤딩홈(6)이 형성된 부분이 굽어짐으로써, 상기 보조접속부(4)를 상기 케이블(100)에 접속시킬 수 있다.
상기 벤딩홈(6)은 제1벤딩홈(61, 도 12에 도시됨), 및 제2벤딩홈(62, 도 12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벤딩홈(61)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벤딩부(5)의 일면에 형성된다. 도 12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제1벤딩홈(61)은 상기 벤딩부(5)의 좌측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벤딩홈(61)은 상기 실장부(2) 및 상기 제1보조접속부재(4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벤딩홈(62)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벤딩부(5)의 타면에 형성된다. 상기 보조접속부(4)의 타면은, 상기 보조접속부(4)의 일면에 대해 반대쪽에 위치한 면이다. 도 12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제2벤딩홈(62)은 상기 보조접속부(4)의 우측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벤딩홈(62)은 상기 실장부(2) 및 상기 제2보조접속부재(43)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벤딩홈(62) 및 상기 제1벤딩홈(61)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벤딩부(5)가 더 용이하게 굽어져서 상기 보조접속부(4)가 상기 케이블(100)에 접속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보조접속부(4)를 상기 케이블(100)에 접속시키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제2벤딩홈(62) 및 상기 제1벤딩홈(61)이 상기 벤딩부(5)의 양측에 형성되므로, 상기 벤딩부(5)가 굽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보조접속부(4)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보조접속부(4)를 상기 케이블(100)에 접속시키는 작업에 대한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벤딩홈(62) 및 상기 제1벤딩홈(61)은 서로 일치하는 크기 및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벤딩홈(6)은 제3벤딩홈(63, 도 13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벤딩홈(63)은 일측이 상기 제1벤딩홈(61)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벤딩홈(62)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3벤딩홈(63)은 상기 제1벤딩홈(61) 및 상기 제2벤딩홈(62) 각각에 연결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3벤딩홈(63)은 도 13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제2축 방향(Y축 방향)으로 상기 벤딩부(5)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보조접속부(4)가 상기 케이블(100)에 접속되도록 상기 벤딩부(5)를 굽히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제3벤딩홈(63)을 통해 상기 벤딩부(5)에서 굽어짐이 발생하는 부분의 위치 편차를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보조접속부(4)를 상기 케이블(100)에 접속시키는 작업에 대한 정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3벤딩홈(63)은 상기 벤딩부(5)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벤딩홈(63)은 상기 벤딩부(5)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벤딩부(5)의 내측면은, 상기 벤딩부(5)가 굽어지는 방향 쪽에 위치한 면이다. 상기 제3벤딩홈(63)은 상기 벤딩부(5)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벤딩부(5)의 외측면은, 상기 벤딩부(5)의 내측면에 대해 반대쪽에 위치한 면이다.
상기 벤딩홈(6)은 상기 제3벤딩홈(63)을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벤딩홈(63)들은 상기 벤딩부(5)가 상기 실장부(2)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3에는 상기 벤딩부(5)에 2개의 제3벤딩홈(63)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벤딩부(5)에는 3개 이상의 제3벤딩홈(63)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에 있어서, 상기 보조접속부(4)는 연결부재(44) 및 압박부재(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44)는 상기 벤딩부(5)에 연결되게 형성된다. 상기 보조접속부(4)가 상기 제1위치(P1, 도 15에 도시됨)에 위치할 때, 상기 연결부재(44)는 상기 벤딩부(5)가 상기 실장부(2)로부터 돌출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벤딩부(5)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44) 및 상기 벤딩부(5)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벤딩부(5)가 굽어짐에 따라 상기 보조접속부(4)가 상기 제2위치(P2, 도 16에 도시됨)에 위치하면, 상기 연결부재(44)는 상기 실장부(2)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압박부재(45)는 상기 연결부재(44)에 연결되게 형성된다. 상기 압박부재(45)는 상기 벤딩부(5)가 굽어짐에 따라 상기 케이블(100)을 압박함으로써, 상기 케이블(100)을 상기 주접속홈(31)에 삽입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벤딩부(5)를 굽히는 힘을 이용하여 상기 압박부재(45)가 상기 케이블(100)을 압박하여 상기 케이블(100)을 상기 주접속홈(31)에 삽입시키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케이블(100)을 상기 주접속부(3)에 접속시키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압박부재(45)는 상기 연결부재(44)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박부재(45)는 상기 연결부재(44)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재(44)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벤딩부(5)가 굽어지기 이전 상태에서, 상기 압박부재(45)는 상기 실장부(2)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압박부재(45)는 상기 보조접속부(4)를 구성하는 판재를 굽힘 가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박부재(45)는 상기 케이블(100)을 압박하면서 상기 케이블(100)에 접속되는 압박면(451, 도 14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박면(451)은 상기 벤딩부(5)가 굽어짐에 따라 상기 케이블(100)을 압박하여 상기 주접속홈(31)에 삽입시킴과 동시에 상기 케이블(100)에 접속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박부재(45)가 상기 연결부재(44)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벤딩부(5)가 굽어지면, 상기 압박면(451)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100)을 압박함과 동시에 상기 케이블(100)에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블(100)은 상기 주접속홈(31)에 삽입되어서 상기 주접속부(3)에 접속될 뿐만 아니라, 상기 보조접속부(4)에 접속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주접속부(3) 및 상기 보조접속부(4)를 통해 이중으로 상기 케이블(100)에 접속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케이블(100) 및 상기 기판(200) 간에 접속에 대한 안정성 향상, 및 접촉 신뢰성 향상 효과를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압박부재(45)에 압박되어서 상기 주접속홈(31)에 삽입된 상태로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진동이나 흔들림 등으로 인해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주접속홈(3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진동이나 흔들림 등에 대한 내력을 더 강화시킬 수 있다.
상기 압박면(451)은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압박부재(45)는 상기 케이블(100)을 압박하는 과정에서 상기 케이블(100)을 손상 내지 파손시키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압박면(451)은 상기 벤딩부(5)가 굽어지면, 상기 주접속부(3) 및 상기 받침부재(21)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케이블(100)을 압박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압박면(451)은 상기 벤딩부(5)가 굽어지면, 상기 주접속홈(31)에 삽입되어서 상기 케이블(100)을 압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접속부(4)는 상기 보조접속홈(41, 도 13에 도시됨), 상기 제1보조접속부재(42, 도 13에 도시됨), 및 상기 제2보조접속부재(43, 도 13에 도시됨)를 대신하여 상기 연결부재(44) 및 상기 압박부재(4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접속부(4)는 상기 보조접속홈(41), 상기 제1보조접속부재(42), 상기 제2보조접속부재(43), 상기 연결부재(44), 및 상기 압박부재(45)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부재(44)는 상기 제1보조접속부재(42) 및 상기 제2보조접속부재(43)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벤딩부(5)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압박부재(45)는 상기 제1보조접속부재(42) 및 상기 제2보조접속부재(43)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연결부재(44)는 상기 제1보조접속부재(42) 및 상기 제2보조접속부재(43)에 비해 상기 벤딩부(5)로부터 짧은 길이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제1보조접속부재(42) 및 상기 제2보조접속부재(43)가 상기 연결부재(44)로부터 굽어져서 상기 케이블(100)에 접속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보조접속부재(4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부재(44)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도 17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제1보조접속부재(42)는 상기 연결부재(44)로부터 좌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보조접속부재(4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부재(44)로부터 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재(44)의 타측은, 상기 연결부재(44)의 일측에 대해 반대쪽을 의미한다. 도 17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제2보조접속부재(43)는 상기 연결부재(44)로부터 우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44)는 상기 제1보조접속부재(42) 및 상기 제2보조접속부재(44)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벤딩부(5)가 상기 주접속부(3) 쪽으로 굽어진 후에, 상기 제1보조접속부재(42)는 상기 연결부재(44)로부터 굽어져서 상기 주접속홈(31)에 삽입된 케이블(100)의 일측에 접속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보조접속부재(43)는 상기 연결부재(44)로부터 굽어져서 상기 주접속홈(31)에 삽입된 케이블(100)의 타측에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제1보조접속면(421, 도 13에 도시됨) 및 상기 제2보조접속면(431, 도 13에 도시됨)을 통해 상기 케이블(100)에 접속되는 실시예와 비교할 때, 상기 제1보조접속부재(42) 및 상기 제2보조접속부재(43)가 상기 케이블(100)에 접속되는 접속면적을 더 늘림으로써 접촉신뢰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접속부(4)는 상기 제1보조접속부재(42), 상기 제2보조접속부재(43), 상기 연결부재(44), 및 상기 압박부재(45)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압박부재(45)는 상기 제1보조접속부재(42) 및 상기 제2보조접속부재(43)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연결부재(44)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압박부재(45)를 통해 상기 케이블(100)을 상기 주접속홈(31)에 삽입시키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주접속부(3), 상기 압박부재(45), 상기 제1보조접속부재(42) 및 상기 제2보조접속부재(43)를 통해 상기 케이블(100)에 다면 접속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진동이나 흔들림 등에 대한 내력 향상 및 접촉 신뢰성 향상 효과를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케이블 커넥터 2 : 실장부
3 : 주접속부 4 : 보조접속부
5 : 벤딩부 21 : 받침부재
31 : 주접속홈 32 : 제1주접속부재
33 : 제2주접속부재 34 : 탄성홈
35 : 이격홈 41 : 보조접속홈
42 : 제1보조접속부재 43 : 제2보조접속부재
44 : 연결부재 45 : 압박부재
6 : 벤딩홈 100 : 케이블

Claims (15)

  1. 기판(200)에 실장되기 위한 실장부(2);
    케이블(100)이 삽입되기 위한 주접속홈(31), 및 상기 주접속홈(31)에 삽입된 케이블(100)에 접속되도록 상기 주접속홈(31)을 기준으로 제1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주접속부재(32)와 제2주접속부재(33)를 포함하고, 상기 실장부(2)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주접속부(3);
    상기 주접속부(3)로부터 상기 제1축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제2축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실장부(2)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벤딩부(5); 및
    상기 벤딩부(5)에 연결되게 형성된 보조접속부(4)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접속부(4)는 상기 주접속홈(31)에 삽입된 케이블(100)로부터 이격된 제1위치(P1)에서 상기 벤딩부(5)가 굽어짐에 따라 제2위치(P2)로 이동하여 상기 주접속홈(31)에 삽입된 케이블(100)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접속홈(31)에 삽입되는 케이블(100)에 의해 상기 제1주접속부재(32) 및 상기 제2주접속부재(33)가 상기 제1축방향으로 벌어지도록 상기 주접속부(3)에 형성된 탄성홈(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접속부(3)에 형성된 이격홈(35)을 포함하고;
    상기 제1주접속부재(32)는 상기 이격홈(35)에 의해 상기 제2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제1서브접속부재(321)를 포함하며;
    상기 제2주접속부재(33)는 상기 이격홈(35)에 의해 상기 제2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제2서브접속부재(331)를 포함하고;
    상기 주접속부(3)는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321)들 및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331)들을 통해 상기 케이블(100)에 다면(多面) 접속되어 상기 케이블(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접속부(3)에 형성된 이격홈(35)을 포함하고;
    상기 제1주접속부재(32)는 상기 이격홈(35)에 의해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제1서브접속부재(321)를 포함하며;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321)들은 각각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주접속홈(31)에 삽입되는 삽입방향으로 서로 연결되게 형성된 제1입구면(3211), 제1연결면(3212), 및 제1삽입면(3213)을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면(3212)은 상기 삽입방향으로 케이블(100)의 삽입을 유도하기 위해 적어도 두 개의 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면(3212)은
    상기 주접속홈(31) 쪽에 곡률중심(OP1)이 위치하도록 곡면을 이루며 형성된 제1함몰곡면(3212a), 및
    상기 제1주접속부재(32) 쪽에 곡률중심(OP2)이 위치하도록 곡면을 이루며 상기 제1함몰곡면(3212a)에 연결되어 형성된 제1돌출곡면(3212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321)들은 각각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주접속홈(31)에 삽입되는 삽입방향으로 서로 연결되게 형성된 제1입구면(3211), 제1연결면(3212), 및 제1삽입면(3213)을 포함하고;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331)들은 각각 상기 삽입방향으로 서로 연결되게 형성된 제2입구면(3311), 제2연결면(3312), 및 제2삽입면(3313)을 포함하며;
    상기 제1삽입면(3213) 및 상기 제2삽입면(3313)과의 이격 거리(D1)는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케이블(100)의 길이(100D)에 비해 더 짧은 길이를 가지고;
    상기 제1입구면(3211) 및 상기 제2입구면(3311)과의 이격 거리(D2)는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삽입면(3213) 및 상기 제2삽입면(3313)이 서로 이격된 길이에 비해 더 긴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면(3213)은 상기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입구면(3211)에 비해 더 긴 길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접속부(4)는 케이블(100)이 삽입되기 위한 보조접속홈(41), 상기 보조접속홈(41)을 기준으로 상기 제1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보조접속부재(42) 및 제2보조접속부재(43)를 포함하고;
    상기 벤딩부(5)는 상기 보조접속홈(41)에 상기 케이블(100)이 삽입되도록 굽어지며;
    상기 제1보조접속부재(42) 및 상기 제2보조접속부재(43)는 상기 보조접속홈(41)에 삽입된 케이블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접속부재(42) 및 상기 제2보조접속부재(43)와의 이격 거리(D3)는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케이블(100)의 길이(100D)에 비해 더 짧은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접속부재(42)는 상기 보조접속홈(41)에 삽입되는 케이블(100)에 접속되는 제1보조접속면(421), 및 상기 제1보조접속면(421)에 연결되게 형성된 제1통로면(422)을 포함하고;
    상기 제2보조접속부재(43)는 상기 보조접속홈(41)에 삽입되는 케이블(100)에 접속되는 제2보조접속면(431), 및 상기 제2보조접속면(431)에 연결되게 형성된 제2통로면(432)을 포함하고;
    상기 제1통로면(422) 및 상기 제2통로면(432)과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보조접속면(421) 및 상기 제2보조접속면(432)과의 이격 거리(D3)에 비해 더 긴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접속부(4)는 상기 벤딩부(5)에 연결되게 형성된 연결부재(44), 및 상기 연결부재(44)에 연결되게 형성된 압박부재(45)를 포함하고;
    상기 벤딩부(5)는 상기 압박부재(45)가 상기 케이블(100)을 압박하여 상기 주접속홈(31)에 삽입시키도록 굽어지며;
    상기 압박부재(45)는 상기 케이블(100)을 압박하면서 상기 케이블(100)에 접속되는 압박면(45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접속부(4)는 상기 벤딩부(5)에 연결되게 형성된 연결부재(44),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부재(44)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1보조접속부재(42), 및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부재(44)로부터 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2보조접속부재(43)를 포함하고;
    상기 제1보조접속부재(42)는 상기 연결부재(44)로부터 굽어져서 상기 주접속홈(31)에 삽입된 케이블(100)의 일측에 접속되고;
    상기 제2보조접속부재(43)는 상기 연결부재(44)로부터 굽어져서 상기 주접속홈(31)에 삽입된 케이블(100)의 타측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부(5)에 형성된 벤딩홈(6)을 포함하고;
    상기 벤딩홈(6)은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벤딩부(5)의 일면에 형성된 제1벤딩홈(61), 및 상기 제1축방향으로 기준으로 상기 벤딩부(5)의 일면에 대해 반대쪽에 위치한 타면에 형성된 제2벤딩홈(6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홈(6)은 일측이 상기 제1벤딩홈(61)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벤딩홈(62)에 연결되도록 상기 벤딩부(5)에 형성된 제3벤딩홈(6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접속홈(31)에는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주접속부(3)로부터 상기 벤딩부(5)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삽입되고;
    상기 벤딩부(5)는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주접속부(3)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제한되도록 상기 케이블(100)을 지지하기 위한 제한면(5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KR1020150059934A 2015-04-28 2015-04-28 케이블 커넥터 KR102185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934A KR102185663B1 (ko) 2015-04-28 2015-04-28 케이블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934A KR102185663B1 (ko) 2015-04-28 2015-04-28 케이블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540A true KR20160128540A (ko) 2016-11-08
KR102185663B1 KR102185663B1 (ko) 2020-12-03

Family

ID=57527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9934A KR102185663B1 (ko) 2015-04-28 2015-04-28 케이블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566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7040A (ja) * 1994-07-22 1996-02-06 Yazaki Corp 電線保持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圧接コネクタ並びに圧接端子
JPH1079266A (ja) * 1996-09-03 1998-03-24 Yazaki Corp 圧接端子
JPH11260433A (ja) * 1998-03-09 1999-09-24 Misawa Homes Co Ltd 接続端子
JP2000058149A (ja) * 1998-08-10 2000-02-25 Yazaki Corp 圧接端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7040A (ja) * 1994-07-22 1996-02-06 Yazaki Corp 電線保持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圧接コネクタ並びに圧接端子
JPH1079266A (ja) * 1996-09-03 1998-03-24 Yazaki Corp 圧接端子
JPH11260433A (ja) * 1998-03-09 1999-09-24 Misawa Homes Co Ltd 接続端子
JP2000058149A (ja) * 1998-08-10 2000-02-25 Yazaki Corp 圧接端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5663B1 (ko) 2020-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1350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8842441B2 (en)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system, and circuit board interconnection architecture of the same
CN108604746B (zh) 基板连接器
KR20140105382A (ko) 커넥터
EP2945470B1 (en) Circuit board interconnection architecture
US9112311B2 (en) Connector
KR20230035021A (ko) 커넥터
KR101326395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장치
JP4756716B2 (ja) コネクタ及び電子装置
KR102121912B1 (ko) 케이블 커넥터
JP2020068093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KR102395645B1 (ko) 기판 커넥터용 컨택트 및 기판 커넥터
US6406305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mpression terminal module therein
KR20160071607A (ko) 무접촉단자형 fpc 커넥터
US11876331B2 (en) Wire-clamping connector
KR20160128540A (ko) 케이블 커넥터
KR20040076806A (ko) 접지 연결용 홀드다운을 갖춘 전기 커넥터
KR102535074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시스템
KR20160101322A (ko) 무접촉단자형 fpcb 커넥터
JP4837631B2 (ja) 電気接続部品
KR20170069126A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KR102188058B1 (ko) 케이블 커넥터
CN220710667U (zh) 电连接器
KR101827086B1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KR20170127305A (ko) 기판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