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1912B1 - 케이블 커넥터 - Google Patents

케이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1912B1
KR102121912B1 KR1020160046324A KR20160046324A KR102121912B1 KR 102121912 B1 KR102121912 B1 KR 102121912B1 KR 1020160046324 A KR1020160046324 A KR 1020160046324A KR 20160046324 A KR20160046324 A KR 20160046324A KR 102121912 B1 KR102121912 B1 KR 102121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onnection
pressing
groove
cabl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6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6875A (ko
Inventor
곽주연
최경해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126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6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2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being plates having a single slo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5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cables except for 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200)에 실장되기 위한 접속부(2), 및 상기 접속부(2)에 케이블(1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케이블(100)을 압박하기 위한 압박부(3)를 포함하되, 상기 접속부(2)가 상기 기판(200)에 실장되기 위한 실장기구(21), 상기 실장기구(21)에서 상기 압박부(3)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실장기구(21)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접속기구(22), 상기 접속기구(22)가 제1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접속부재(221) 및 제2접속부재(222)로 분리되도록 상기 접속기구(22)에 형성되는 접속홈(23), 및 상기 압박부(3)에 압박되어 상기 접속홈(23)에 삽입되는 케이블(100)에 의해 상기 제1접속부재(221) 및 상기 제2접속부재(222)가 상기 제1축방향으로 벌어지도록 상기 접속기구(22)에 형성되는 탄성홈(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케이블 커넥터{Cable Connector}
본 발명은 케이블을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제품들이 소형화, 고성능화 되어가면서 기판(Substrate) 상에 많은 수의 전자 소자들이 배치된다. 이러한 전자 소자들은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외부기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 기판에 케이블이 연결된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케이블을 기판에 직접 납땜하는 방식으로 케이블을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였다. 도 1은 이어폰의 볼륨 조절 모듈에서 커버를 분해하여 촬영한 것으로, 도 1에 표시된 원의 내측 부분이 케이블이 납땜에 의해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부분이다.
이와 같이 케이블을 기판에 직접 납땜하는 방식으로 케이블을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함에 따라, 종래에는 납땜 과정에서 발생하는 산화막으로 인해 케이블 및 기판 간의 접속력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접속 불량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전자 제품들이 점차적으로 소형화되면서 케이블 및 기판 또한 점차적으로 소형화됨에 따라, 종래와 같이 케이블을 기판에 직접 납땜하는 작업을 수행하기에 어려움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케이블 및 기판 간에 접속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케이블 및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작업에 대한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는 기판(200)에 실장되기 위한 접속부(2); 및 상기 접속부(2)가 결합되고, 상기 접속부(2)에 케이블(1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케이블(100)을 압박하기 위한 압박부(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부(2)는 상기 기판(200)에 실장되기 위한 실장기구(21), 상기 실장기구(21)에서 상기 압박부(3)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실장기구(21)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접속기구(22), 상기 접속기구(22)가 제1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접속부재(221) 및 제2접속부재(222)로 분리되도록 상기 접속기구(22)에 형성되는 접속홈(23), 및 상기 압박부(3)에 압박되어 상기 접속홈(23)에 삽입되는 케이블(100)에 의해 상기 제1접속부재(221) 및 상기 제2접속부재(222)가 상기 제1축방향으로 벌어지도록 상기 접속기구(22)에 형성되는 탄성홈(2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납땜 없이도 케이블을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케이블 및 기판 간의 접속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블 및 기판 간에 접속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압박을 이용하여 케이블 및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케이블을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형화된 전자 제품에도 적용 가능한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 기판에 케이블이 연결된 모습을 촬영한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접속부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도 4의 I-I 선을 기준으로 접속부에 케이블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접속부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제1서브접속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접속부의 일부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제1서브접속부재 및 제2서브접속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도 4의 I-I 선을 기준으로 하는 접속부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제2서브접속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접속부의 일부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압박부가 케이블을 압박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케이블이 접속부에 삽입되기 이전의 상태를 도 10의 Ⅱ-Ⅱ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케이블이 접속부에 삽입된 상태를 도 10의 Ⅱ-Ⅱ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압박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압박부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압박부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압박부가 압박공을 포함하는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압박부가 압박공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 10의 Ⅱ-Ⅱ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가이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 10의 Ⅱ-Ⅱ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가이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접속부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신호케이블 및 접지케이블을 기판에 연결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10의 Ⅱ-Ⅱ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복수개의 신호케이블을 기판에 연결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10의 Ⅱ-Ⅱ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25 및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접속부에 있어서 제1쐐기기구를 설명하기 위해 도 4의 I-I 선을 기준으로 하는 접속부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접속부에 있어서 도 25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28 및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접속부에 있어서 제2쐐기기구를 설명하기 위해 도 4의 I-I 선을 기준으로 하는 접속부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접속부에 있어서 도 28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31 및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접속부에 있어서 받침면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케이블(Cable, 100)을 기판(Substrate, 20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이어폰의 볼륨조절모듈, 핸드폰 등 다양한 전자 제품들에서 상기 케이블(100)을 상기 기판(20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기판(200)은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기판(200)에 실장되기 위한 접속부(2), 및 상기 접속부(2)가 결합되는 압박부(3)를 포함한다. 상기 압박부(3)는 상기 케이블(100)을 압박함으로써, 상기 케이블(100)을 상기 접속부(2)에 삽입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블(100)은 상기 압박부(3)에 압박되어서 상기 접속부(2)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접속부(2)가 실장된 기판(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케이블(100)을 상기 기판(20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종래 기술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요구되었던 납땜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납땜 과정에서 발생하는 산화막으로 인해 상기 케이블(100) 및 상기 기판(200) 간의 접속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압박부(3)에 의해 압박되어서 상기 접속부(2)에 접속된 상태로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케이블(100) 및 상기 접속부(2) 간에 접속력을 강화시킴으로써, 상기 케이블(100) 및 상기 기판(200) 간에 접속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요구되었던 납땜을 필요로 하지 않고, 상기 압박부(3)가 상기 케이블(100)을 압박하도록 하여 상기 케이블(100)을 상기 접속부(2)를 통해 상기 기판(200)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케이블(100)을 상기 기판(20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 제품들이 소형화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소형화되는 케이블(100) 및 기판(200)에 대한 대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접속부(2) 및 상기 압박부(3)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접속부(2)는 상기 기판(200)에 실장된다. 상기 접속부(2)는 상기 기판(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기판(200)에 실장된다. 상기 접속부(2)는 표면실장기술(Surface Mounting Technology, SMT)을 이용하여 상기 기판(200)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접속부(2)에는 상기 케이블(100)이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블(100)은 상기 접속부(2)를 통해 상기 기판(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케이블(100)은 상기 압박부(3)에 압박되어서 상기 접속부(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접속부(2)는 실장기구(21), 접속기구(22), 및 접속홈(23)을 포함한다.
상기 실장기구(21)는 상기 기판(200)에 실장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실장기구(21)는 상기 기판(200)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기판(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실장기구(21)는 상기 접속기구(22)에 연결되게 형성된다. 상기 실장기구(21) 및 상기 접속기구(2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장기구(21)는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기판(200)에 실장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접속기구(22)는 상기 실장기구(21)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접속기구(22)는 상기 실장기구(21)에서 상기 압박부(3)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실장기구(21)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접속기구(22)는 상기 실장기구(21)를 통해 상기 기판(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접속기구(22)에는 상기 케이블(100)이 삽입된다. 상기 케이블(100)은 상기 접속기구(22)에 삽입되어서 상기 실장기구(21)를 통해 상기 기판(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접속홈(23)은 상기 접속기구(22)에 형성된다. 상기 접속홈(23)은 상기 접속기구(22)가 상기 실장기구(21)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접속기구(22)에서 일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속홈(23)에 의해, 상기 접속기구(22)는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접속부재(221) 및 제2접속부재(222)로 분리된다. 즉, 상기 접속홈(23)은 상기 제1접속부재(221) 및 상기 제2접속부재(222)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압박부(3)는 상기 접속홈(23) 상에 위치한 케이블(100)을 압박함으로써, 상기 케이블(100)을 상기 접속홈(23)에 삽입시켜서 상기 제1접속부재(221) 및 상기 제2접속부재(222)에 접속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요구되었던 납땜 없이도 상기 케이블(100)을 상기 기판(200)에 연결시킬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산화막으로 인한 접속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케이블(100)을 상기 기판(20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케이블(100)에서 상기 접속홈(23)에 삽입되는 부분은 절연피복이 벗겨진 상태일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접속부(2)는 탄성홈(24, 도 5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홈(24)은 상기 접속기구(22)에 형성된다. 상기 탄성홈(24)은 상기 제1접속부재(221) 및 상기 제2접속부재(22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접속기구(22)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압박부(3)가 상기 접속홈(23) 상에 위치한 케이블(100)을 압박하면, 상기 제1접속부재(221) 및 상기 제2접속부재(222)는 상기 압박부(3)에 압박되어 상기 접속홈(23)에 삽입되는 케이블(100)에 의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제1접속부재(221) 및 상기 제2접속부재(222)가 상기 탄성홈(24)에 의해 탄성적으로 벌어져서 상기 접속홈(23)에 삽입된 케이블(100)을 복원력으로 압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접속부(2) 및 상기 케이블(100) 간에 접속력을 강화시킬 수 있고, 진동이나 흔들림 등으로 인해 상기 접속부(2) 및 상기 케이블(100) 간에 접속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홈(24)은 상기 접속홈(23)에 연결되도록 상기 접속기구(22)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홈(24)은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접속부재(221) 및 상기 제2접속부재(222)가 탄성적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으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접속부(2)는 연결홈(25, 도 4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홈(25)은 상기 실장기구(21)에 형성된다. 상기 연결홈(25)은 상기 탄성홈(24)에 연결되도록 상기 실장기구(21)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홈(25)은 상기 제1접속부재(221) 및 상기 제2접속부재(222)가 상기 압박부(3)에 압박되어 상기 접속홈(23)에 삽입되는 케이블(100)에 의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는 길이를 늘릴 수 있다. 즉, 상기 연결홈(25)은 상기 제1접속부재(221) 및 상기 제2접속부재(222)에 부여되는 탄성력 및 복원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접속부(2) 및 상기 케이블(100) 간에 접속력을 더 강화시킬 수 있고, 진동이나 흔들림 등에 대한 내력(耐力)을 더 강화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홈(25)은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접속부재(221) 및 상기 제2접속부재(222)가 탄성적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으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접속부(2)는 이격홈(26, 도 6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격홈(26)은 상기 접속기구(22)에 형성된다. 상기 이격홈(26)은 상기 접속기구(22)에 상기 접속홈(23)이 형성되는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이격홈(26)은 상기 접속기구(22)가 상기 실장기구(21)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에 대해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접속기구(22)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격홈(26) 및 상기 접속기구(22)는 상기 접속홈(23)이 관통되어 형성된 판재를 굽힘(Bending) 가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격홈(26)에 의해, 상기 제1접속부재(221)는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제1서브접속부재(2211, 도 7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과 상이한 방향이다. 예컨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재(221)가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2211)들을 포함하도록 구현됨에 따라, 상기 접속기구(22)는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2211)들을 통해 상기 접속홈(23)에 삽입된 케이블(100)에 다면(多面) 접속되어 상기 케이블(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2211)들을 통해 진동이나 흔들림 등으로 인해 상기 케이블(100) 및 상기 접속기구(22) 간에 접속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진동이나 흔들림 등에 대한 내력을 더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2211)들을 통해 상기 접속기구(22)가 상기 케이블(100)에 접속되는 접속면적을 늘림으로써,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2211)들은 각각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압박부(3)에 압박되어 상기 접속홈(23)에 삽입되는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게 형성되는 제1입구면(2212), 제1연결면(2213), 및 제1삽입면(2214)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2211)들 각각이 상기 케이블(100)에 다면 접속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진동이나 흔들림 등에 대한 내력 향상 및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입구면(2212)은 상기 접속홈(23)에서 상기 케이블(100)이 삽입되는 입구 쪽에 위치한다. 상기 제1연결면(2213)은 상기 제1입구면(2212) 및 상기 제1삽입면(2214)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1삽입면(2214)은 상기 제1연결면(2213) 및 상기 탄성홈(24)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케이블(100)은 상기 접속홈(23)을 통해 삽입되어서 상기 제1입구면(2212), 상기 제1연결면(2213), 및 상기 제1삽입면(2214)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2211)들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면(2213)은 곡면(曲面)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연결면(2213)은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케이블(100)의 삽입을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압박부(3)에 압박됨에 따라 상기 접속홈(23)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면(2213)은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케이블(100)의 삽입을 유도하기 위해 적어도 두 개의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연결면(2213)은 제1함몰곡면(2213a, 도 8에 도시됨) 및 제1돌출곡면(2213b, 도 8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함몰곡면(2213a)은 상기 접속홈(23) 쪽에 곡률중심(OP1, 도 8에 도시됨)이 위치하도록 곡면을 이루며 형성된다. 상기 제1돌출곡면(2213b)은 상기 제1접속부재(221) 쪽에 곡률중심(OP2, 도 8에 도시됨)이 위치하도록 곡면을 이루며 형성된다. 상기 제1돌출곡면(2213b) 및 상기 제1함몰곡면(2213a)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제1함몰곡면(2213a) 및 상기 제1돌출곡면(2213b)을 따라 상기 접속홈(23)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케이블(100)을 상기 기판(S)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8에는 상기 제1연결면(2213)이 두 개의 곡면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연결면(2213)은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케이블(100)의 삽입을 유도할 수 있으면 세 개 이상의 곡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삽입면(2214)은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입구면(2212)에 비해 더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접속부재(221)는 상기 제1입구면(2212)이 형성된 부분에 비해 상기 제1삽입면(2214)이 형성된 부분이 더 큰 탄성력 및 복원력을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케이블(100)에서 상기 접속홈(23)에 더 깊이 삽입된 부분이 상기 제1삽입면(2214)에 의해 더 큰 복원력으로 고정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케이블(100)에 대한 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삽입면(2214)은 평면(平面)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입구면(2212)은 상기 제1삽입면(2214)에 대해 평행한 방향을 향하는 평면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제2접속부재(222)는 상기 이격홈(26, 도 6에 도시됨)에 의해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제2서브접속부재(2221, 도 9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부재(222)가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2221)들을 포함하도록 구현됨에 따라, 상기 접속기구(22)는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2221)들을 통해 상기 접속홈(23)에 삽입된 케이블(100)에 다면 접속되어 상기 케이블(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2221)들을 통해 진동이나 흔들림 등으로 인해 상기 케이블(100) 및 상기 접속기구(22) 간에 접속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진동이나 흔들림 등에 대한 내력을 더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2221)들을 통해 상기 접속기구(22)가 상기 케이블(100)에 접속되는 접속면적을 늘림으로써,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2221)들은 각각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게 형성되는 제2입구면(2222), 제2연결면(2223), 및 제2삽입면(2224)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2221)들 각각이 상기 케이블(100)에 다면 접속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진동이나 흔들림 등에 대한 내력 향상 및 접촉 신뢰성 향상 효과를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입구면(2222)은 상기 접속홈(23)에서 상기 케이블(100)이 삽입되는 입구 쪽에 위치한다. 상기 제2연결면(2223)은 상기 제2입구면(2222) 및 상기 제2삽입면(2224)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2삽입면(2224)은 상기 제2연결면(2223) 및 상기 탄성홈(24)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케이블(100)은 상기 접속홈(23)을 통해 삽입되어서 상기 제2입구면(2222), 상기 제2연결면(2223), 및 상기 제2삽입면(2224)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2221)들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2입구면(2222), 상기 제2연결면(2223), 및 상기 제2삽입면(2224)은, 각각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입구면(2212), 상기 제1연결면(2213), 및 상기 제1삽입면(2214)에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면(2223)은 곡면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연결면(2223)은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케이블(100)의 삽입을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압박부(3)에 압박됨에 따라 상기 접속홈(23)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면(2223)은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케이블(100)의 삽입을 유도하기 위해 적어도 두 개의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연결면(2223)은 제2함몰곡면(2223a, 도 8에 도시됨) 및 제2돌출곡면(2223b, 도 8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함몰곡면(2223a)은 상기 접속홈(23) 쪽에 곡률중심(OP3, 도 8에 도시됨)이 위치하도록 곡면을 이루며 형성된다. 상기 제2돌출곡면(2223b)은 상기 제2접속부재(222) 쪽에 곡률중심(OP4, 도 8에 도시됨)이 위치하도록 곡면을 이루며 형성된다. 상기 제2돌출곡면(2223b) 및 상기 제2함몰곡면(2223a)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제2함몰곡면(2223a) 및 상기 제2돌출곡면(2223b)을 따라 상기 접속홈(23)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케이블(100)을 상기 기판(S)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8에는 상기 제2연결면(2223)이 두 개의 곡면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2연결면(2223)은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케이블(100)의 삽입을 유도할 수 있으면 세 개 이상의 곡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2삽입면(2224)은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입구면(2222)에 비해 더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접속부재(222)는 상기 제2입구면(2222)이 형성된 부분에 비해 상기 제2삽입면(2224)이 형성된 부분이 더 큰 탄성력 및 복원력을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케이블(100)에서 상기 접속홈(23)에 더 깊이 삽입된 부분이 상기 제2삽입면(2224)에 의해 더 큰 복원력으로 고정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케이블(100)에 대한 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삽입면(2224)은 평면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입구면(2222)은 상기 제2삽입면(2224)에 대해 평행한 방향을 향하는 평면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제2삽입면(2224) 및 상기 제1삽입면(2214)과의 이격 거리(D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케이블(100)의 길이(100D)에 비해 더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케이블(100)이 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경우, 상기 제2삽입면(2224) 및 상기 제1삽입면(2214)과의 이격 거리(D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케이블(100)의 직경(100D)에 비해 더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00)는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제2삽입면(2224) 및 상기 제1삽입면(2214) 사이에 삽입되면서 압축되므로, 상기 접속기구(22)가 상기 접속홈(23)에 삽입된 케이블(100)을 더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케이블(100)에서 상기 제2삽입면(2224) 및 상기 제1삽입면(2214)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되어서 상기 접속기구(22)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부재(222) 및 상기 제1접속부재(22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삽입면(2224) 및 상기 제1삽입면(2214)과의 이격 거리(D1)가 상기 케이블(100)의 길이(100D)에 비해 더 짧은 길이로 구현되도록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제2입구면(2222) 및 상기 제1입구면(2212)과의 이격 거리(D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삽입면(2224) 및 상기 제1삽입면(2214)과의 이격 거리(D1)에 비해 더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00)는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접속홈(23)에 삽입되기 위한 입구 면적을 늘림으로써,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압박부(3)에 압박되어 상기 접속홈(23)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부재(222) 및 상기 제1접속부재(22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입구면(2222) 및 상기 제1입구면(2212)과의 이격 거리(D2)가 상기 제2삽입면(2224) 및 상기 제1삽입면(2214)과의 이격 거리(D1)에 비해 더 긴 길이로 구현되도록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입구면(2222) 및 상기 제1입구면(2212)과의 이격 거리(D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케이블(100)의 길이(100D)와 대략 일치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2211)들이 갖는 제1입구면(2212)들, 제1연결면(2213)들, 제1삽입면(2214)들, 및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2221)들이 갖는 제2입구면(2222)들, 제2연결면(2223)들, 제2삽입면(2224)들을 통해 상기 케이블(100)에 다면 접속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진동이나 흔들림 등으로 인해 접속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진동이나 흔들림 등에 대한 내력을 강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케이블(100)에 대한 접속면적을 늘려서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2211)들이 갖는 제1연결면(2213)들, 제1삽입면(2214)들, 및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2221)들이 갖는 제2연결면(2223)들, 제2삽입면(2224)들을 통해 상기 케이블(100)에 다면 접속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입구면(2212)들 및 상기 제2입구면(2222)들 각각의 이격 거리(D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케이블(100)의 길이(100D)에 비해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접속기구(22)는 지지부재(223, 도 8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23)는 상기 이격홈(26, 도 6에 도시됨)의 일측에 위치한 제1서브접속부재(2211) 및 제2서브접속부재(2221)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탄성홈(24, 도 8에 도시됨)은 상기 이격홈(26)의 타측에 위치한 제1서브접속부재(2211) 및 제2서브접속부재(2221)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탄성홈(24)을 통해 상기 제1접속부재(221) 및 상기 제2접속부재(222)가 탄성적으로 벌어지도록 구현됨과 동시에 상기 지지부재(223)를 통해 상기 접속기구(22)에 대한 강도를 강화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23)는 상기 접속홈(23)에 삽입된 케이블(100)을 지지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재(223)는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탄성홈(24)에 삽입되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압박부(3)는 상기 케이블(100)을 압박하여 상기 케이블(100)을 상기 접속홈(23, 도 12에 도시됨)에 삽입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압박부(3)는 상기 케이블(100)을 상기 접속부(2)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압박부(3)는 절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박부(3)는 압박본체(31) 및 수용홈(32, 도 12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박본체(31)는 상기 압박부(3)의 전체적인 외관을 이룬다. 상기 압박본체(31)에는 상기 접속부(2)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속부(2)는 상기 압박본체(31)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압박본체(31)에 결합된다. 상기 압박본체(31)는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내부에 상기 접속부(2) 및 상기 케이블(100)을 수용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32)은 상기 접속부(2)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압박본체(31)에 형성된다. 상기 접속부(2) 및 상기 케이블(100)은 상기 수용홈(32)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압박본체(3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수용홈(32)은 상기 접속부(2)를 향하는 압박본체(31)의 밑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압박부(3)는 다음과 같은 공정을 거쳐 상기 케이블(100)을 상기 접속부(2)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우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부(2)의 일부가 상기 수용홈(32, 도 12에 도시됨)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압박본체(31)에는 상기 접속부(2)가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실장기구(21)가 상기 기판(200)에 실장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기판(200)에 실장된다. 이 경우, 상기 실장기구(21)가 상기 기판(200)에 실장된 후에, 상기 압박본체(31)가 상기 접속부(2)에 결합될 수도 있다.
다음, 상기 수용홈(32, 도 12에 도시됨)에 상기 케이블(100)이 삽입된 후에,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박본체(31)가 상기 기판(200) 쪽으로 이동한다. 도 11을 기준으로 상기 압박본체(31)는 하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압박본체(31)는 상기 수용홈(32, 도 12에 도시됨)에 위치한 케이블(100)을 압박하여 상기 접속홈(23, 도 12에 도시됨)에 삽입시킨다. 상기 케이블(100)은 상기 접속홈(23, 도 12에 도시됨)에 삽입되어 상기 접속부(2)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접속부(2)를 통해 상기 기판(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요구되었던 납땜 없이도 상기 케이블(100)을 상기 기판(200)에 연결시킬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산화막으로 인한 접속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케이블(100)을 상기 기판(20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압박부(3)는 상기 케이블(100)을 압박하기 위한 압박부재(33, 도 14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박부재(33)는 상기 접속부(2)와 상기 압박본체(31) 간의 결합을 통해 상기 케이블(100)을 압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블(100)은 상기 접속홈(23)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압박부재(33)를 이용하여 상기 케이블(100)을 더 강하게 압박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케이블(100)을 상기 접속부(2)에 안정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압박부재(33)는 상기 수용홈(32) 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압박본체(3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박부재(33)는 상기 수용홈(32)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압박본체(31)가 상기 기판(200) 쪽으로 이동하면, 상기 압박부재(33)는 상기 수용홈(32)에 위치한 케이블(100)을 압박하여 상기 접속홈(23)에 삽입시킬 수 있다.
상기 압박부재(33)는 압박돌기(331, 도 14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박돌기(331)는 상기 케이블(100)을 압박하여 상기 접속홈(23)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압박부재(33)는 상기 케이블(100)을 상기 접속홈(23)에 삽입시킨 후에도, 상기 접속홈(23)에 삽입된 상태로 계속하여 상기 케이블(100)을 압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압박돌기(331)를 이용하여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접속홈(23)에 삽입되어서 상기 접속부(2)에 접속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진동이나 흔들림 등에 대한 내력을 더 강화시킬 수 있다.
상기 압박돌기(331)는 상기 수용홈(32) 쪽으로 돌출되게 상기 압박본체(31)에 형성된다. 상기 접속부(2)는 상기 접속홈(32) 상에 상기 압박돌기(331)가 위치하도록 상기 압박본체(3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압박돌기(331)는 상기 케이블(100)을 압박하는 면(面)이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압박돌기(331)는 상기 케이블(100)을 압박하는 과정에서 상기 케이블(100)을 손상 내지 파손시키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압박부재(33)는 압박가이드(332, 도 14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박가이드(332)는 상기 수용홈(32) 쪽으로 돌출되게 상기 압박본체(31)에 형성된다. 상기 압박가이드(332)는 상기 압박돌기(33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압박가이드(332)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상기 압박돌기(33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박가이드(332)는 상기 케이블(100)을 압박하는 압박기능 및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압박돌기(331)에 의해 압박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기능을 구현한다. 이를 위해, 상기 압박가이드(332)는 압박홈(3321) 및 압박면(3322)을 포함한다.
상기 압박홈(3321)에는 상기 케이블(100)이 삽입된다. 상기 압박홈(3321)은 상기 압박가이드(332)에서 상기 케이블(100)에 접촉되는 일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박면(3322)은 상기 압박가이드(332)에서 상기 케이블(100)에 접촉되는 일면을 이룬다. 상기 압박면(3322)은 상기 압박홈(3321)에 삽입된 케이블(100)에 접촉된다. 상기 압박면(3322)은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압박면(3322)은 상기 케이블(100)을 압박함과 동시에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압박가이드(332)는 상기 케이블(100)을 압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압박면(3322)은 상기 압박홈(3321)이 반원의 원반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곡면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박부재(33)는 상기 압박가이드(332)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압박가이드(332)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상기 압박돌기(33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박돌기(331)는 상기 압박가이드(33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압박가이드(332)들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상기 압박돌기(331)의 양측에서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압박을 통해 상기 케이블(100)을 상기 접속홈(23)에 안정적으로 삽입시켜서 상기 접속부(2)에 연결시킬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7을 참고하면, 상기 압박부(3)는 통과공(34, 도 15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과공(34)은 상기 압박본체(31)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통과공(34)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압박본체(31)의 일측(31a, 도 16에 도시됨)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과공(34)은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수용홈(32)에 삽입되도록 상기 케이블(100)을 통과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블(100)에서 상기 접속부(2)에 접속될 부분은 상기 통과공(34)을 통과하여 상기 접속홈(23)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압박본체(31)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5에는 상기 통과공(34)이 사각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통과공(34)은 원형태 등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압박부(3)에는 상기 통과공(34)이 형성된 부분에 삽입가이드(341, 도 15에 도시됨)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가이드(341)는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통과공(34)을 통해 상기 압박본체(31)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안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속부(2)는 상기 실장기구(21, 도 10에 도시됨)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한기구(27, 도 17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한기구(27)는 상기 실장기구(21)에서 상기 압박부(3)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실장기구(21)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한기구(27)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상기 접속기구(22)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실장기구(21)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접속부(2)는 상기 제한기구(27)가 상기 압박본체(31)의 타측(31b, 도 16에 도시됨)에 위치하도록 상기 압박부(3)에 결합된다. 상기 압박본체(31)의 타측(31b)은, 상기 통과공(34)이 형성된 압박본체(31)의 일측(31a)에 대해 반대되는 쪽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한기구(27)는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통과공(34)을 통해 상기 수용홈(32)에 삽입되는 길이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통과공(34)을 통해 상기 수용홈(32)에 삽입된 후에 상기 제한기구(27)에 지지되면, 상기 제한기구(27)에 의해 더 이상 삽입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작업자는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제한기구(27)에 지지될 때까지 상기 케이블(100)을 상기 압박본체(31)의 내부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접속홈(23)에 삽입될 수 있는 충분한 길이로 상기 압박본체(31)의 내부에 삽입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제한기구(27)를 이용하여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접속홈(23)에 삽입될 수 있는 적절한 길이로 상기 압박본체(31)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유도할 수 있으므로, 상기 케이블(100)을 상기 접속부(2)를 통해 상기 기판(20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한기구(27)는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케이블(100)의 삽입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케이블(100)을 지지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한기구(27)는 상기 실장기구(21)로부터 상기 접속기구(22)와 대략 일치하는 길이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한기구(27), 상기 접속기구(22), 및 상기 실장기구(2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0 내지 도 17을 참고하면, 상기 압박부(3)는 식별공(35, 도 16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별공(35)은 상기 수용홈(32)에 삽입된 케이블(100) 및 상기 제한기구(27)가 상기 압박본체(31)의 외부에서 식별되도록 상기 압박본체(31)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접속홈(23)에 삽입될 수 있는 적절한 길이로 상기 압박본체(31)의 내부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상기 식별공(35)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케이블(100)을 상기 접속부(2)를 통해 상기 기판(20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식별공(35)은 상기 압박본체(31)의 상면(31c, 도 15에 도시됨)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박본체(31)의 상면(31c)은 상기 압박부재(33)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면이다. 상기 접속부(2)는 상기 제한부재(27)가 상기 식별공(35)에 삽입되도록 상기 압박본체(3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식별공(35)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식별공(35)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및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교차하는 십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식별공(35)은 십자 형태 외에 상기 압박본체(31)의 외부에서 상기 수용홈(32)에 삽입된 케이블(100) 및 상기 제한기구(27)가 식별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식별공(35)은 상기 압박본체(31)의 상면(31c) 및 상기 압박본체(31)의 타측(31b)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0 내지 도 17을 참고하면, 상기 압박부(3)는 가이드공(36, 도 16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공(36)은 상기 수용홈(32)에 연결되도록 상기 압박본체(3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공(36)은 상기 압박본체(31)의 상면(31c)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속부(2)는 상기 접속기구(22)와 상기 압박본체(31)와의 결합에 의해 상기 가이드공(36)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가이드공(36)을 이용하여 상기 접속부(2) 및 상기 압박부(3) 간의 결합위치를 안내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접속부(2) 및 상기 압박부(3)를 결합시키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접속기구(22)가 상기 가이드공(36)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압박본체(31)가 상기 접속기구(22)를 따라 상기 기판(200) 쪽으로 이동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압박부재(33)가 상기 케이블(100)을 정확하게 압박하여 상기 접속홈(23)에 삽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압박본체(31)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으므로, 상기 케이블(100)을 상기 접속부(2)를 통해 상기 기판(20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작업에 대한 정확성 및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압박부(3)는 상기 가이드공(36)을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접속부재(221) 및 상기 제2접속부재(222)는 각각 서로 다른 가이드공(36)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공(36)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9를 참고하면, 상기 압박부(3)는 압박공(37, 도 18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박공(37)은 상기 수용홈(32)에 연결되도록 상기 압박본체(31)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압박공(37)은 상기 압박본체(31)의 상면(31c)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박본체(31)에는 상기 압박공(37)이 상기 접속부(2)와의 결합을 통해 상기 접속홈(23) 상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상기 압박본체(31) 및 상기 접속부(2)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접속홈(23)은 상기 압박공(37)을 통해 상기 압박본체(31)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속홈(23) 상에 상기 케이블(100)이 위치한 경우, 상기 케이블(100)은 상기 압박본체(31) 및 상기 접속부(2)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압박공(37)을 통해 상기 압박본체(31)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공구 등을 이용하여 상기 압박공(37)을 통해 상기 케이블(100)을 압박하여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접속홈(23)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압박공(37)이 상기 압박부재(33)를 대신하여 상기 케이블(100)을 상기 접속홈(23)에 삽입시키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압박공(37)은 상기 압박부재(33)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박공(37)은 상기 압박돌기(33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압박부재(33)를 이용하여 상기 케이블(100)을 압박한 후에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접속홈(23)에 충분하게 삽입되지 못한 경우, 공구 등을 이용하여 상기 압박공(37)을 통해 추가로 상기 케이블(100)을 압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케이블(100)을 상기 접속부(2)를 통해 상기 기판(20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작업에 대한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압박공(37)은 사용 과정에서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접속홈(23)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이탈된 경우, 해당 케이블(100)을 다시 상기 접속홈(23)에 삽입시키기 위한 용도로 이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압박부(3) 및 상기 접속부(2)를 서로 분리시키지 않고도 상기 케이블(100)을 상기 접속홈(23)에 삽입시킬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유지 보수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 도 11, 및 도 20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가이드부(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4)는 상기 케이블(100)을 압박하기 위한 압박부(3)의 이동을 안내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박부(3)가 상기 기판(20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압박부(3) 및 상기 접속부(2)가 결합된 상태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박부(3)가 상기 기판(200) 쪽으로 이동할 때, 상기 가이드부(4, 도 20에 도시됨)는 상기 압박부(3)가 상기 케이블(100)을 압박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압박부(3)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도 20을 참고하면, 상기 가이드부(4)는 상기 접속부(2)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가이드돌기(41), 및 상기 압박부(3)에 형성되는 가이드면(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박부(3)는 상기 접속부(2)의 삽입에 의해 상기 가이드돌기(41)가 상기 가이드면(42)에 대응되어 이동함으로써 상기 케이블(100)을 압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블(100)은 상기 접속홈(23)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케이블(100)을 압박하여 상기 접속홈(23)에 삽입시키는 작업에 대한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41)는 상기 접속기구(22)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돌기(4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상기 접속기구(22)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41) 및 상기 접속기구(2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면(42)은 상기 압박본체(31)에서 상기 수용홈(32)이 형성된 부분에 위치한다. 상기 접속부(2)의 삽입에 의해 상기 가이드돌기(41)가 상기 가이드면(42)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압박부(3)는 상기 케이블(100)을 압박하여 상기 접속홈(23)에 삽입시킬 수 있다. 상기 압박본체(31)에 상기 수용홈(32)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수용홈(32)에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2개의 가이드면(42)이 위치할 수 있다.
도 21을 참고하면, 상기 가이드부(4)는 상기 가이드돌기(41)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부(4)는 상기 접속기구(22)로부터 돌출되는 가이드돌기(41), 및 상기 실장기구(21)로부터 돌출되는 가이드돌기(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케이블(100)을 압박하여 상기 접속홈(23)에 삽입시키는 작업에 대한 정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41)들은 각각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장기구(21)로부터 돌출되는 가이드돌기(4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상기 실장기구(21)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41) 및 상기 실장기구(2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0 및 도 21을 참고하면, 상기 가이드부(4)는 고정돌기(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4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상기 접속기구(22)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접속기구(22)에는 상기 고정돌기(43) 및 상기 가이드돌기(41)가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4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돌기(41)에 비해 더 긴 길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돌기(43)는 상기 수용홈(32)에 삽입되면서 상기 압박본체(31)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접속부(2) 및 상기 압박부(3) 간에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돌기(43)는 쐐기와 같이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진동이나 흔들림 등에 대한 내력을 더 강화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4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상기 접속기구(22)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43) 및 상기 접속기구(2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부(4)는 상기 고정돌기(43)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부(4)는 상기 접속기구(22)로부터 돌출되는 고정돌기(43), 및 상기 제한기구(27)로부터 돌출되는 고정돌기(4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접속부(2) 및 상기 압박부(3) 간에 결합력을 더 강화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43)들은 각각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한기구(27)로부터 돌출되는 고정돌기(4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상기 제한기구(27)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41) 및 상기 제한기구(27)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2 및 도 2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복수개의 케이블(100)을 상기 기판(200)에 연결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압박부(3)에는 복수개의 접속부(2)가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압박본체(31)는 상기 수용홈(32)을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홈(32)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접속부(2)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압박부(3)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가 신호케이블(110), 및 접지케이블(120)을 상기 기판(200)에 연결하도록 구현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신호케이블(110)이 접속되는 제1접속부(2a), 및 상기 접지케이블(120)이 접속되는 제2접속부(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2a)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접속부(2b)에 비해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접지케이블(120)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신호케이블(100), 및 상기 접지케이블(120)을 하나의 압박부(3)로 압박하여 상기 기판(200)에 연결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 경우, 상기 제2접속부(2b)는 상기 제1접속부(2a)에 비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큰 크기를 갖는 접속홈(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부(2b) 및 상기 제1접속부(2a)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박부(3)는 상기 제1접속부(2a)가 수용되는 제1수용홈(32a), 및 상기 제2접속부(2b)가 수용되는 제2수용홈(32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수용홈(32a)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수용홈(32bb)에 비해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박부(3)는 상기 압박부재(33)가 상기 제1수용홈(32a) 쪽으로 돌출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압박부재(33)는 상기 신호케이블(110)이 상기 제1접속부(2a)에 삽입되도록 상기 신호케이블(110)을 압박할 수 있다. 상기 압박부(3)는 상기 제2수용홈(32b)에 상기 압박부재(33)가 구비되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압박본체(31)는 상기 접지케이블(120)이 상기 제2접속부(2b)에 삽입되도록 상기 접지케이블(120)을 압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압박부재(33)가 상기 제1수용홈(32a) 쪽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수용홈(32b) 쪽으로 돌출되는 압박부재(33)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접지케이블(120)에 비해 더 작은 직경을 갖는 신호케이블(110)을 압ㅂ가하기 위해 상기 제1수용홈(32a) 쪽으로 돌출되는 압박부재(33)가 더 긴 길이로 돌출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소형화 구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복수개의 신호케이블(110), 및 하나의 접지케이블(120)을 상기 기판(200)에 연결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2개의 신호케이블(110) 및 하나의 접지케이블(120)을 상기 기판(200)에 연결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압박부(3)는 2개의 제1수용홈(32a), 및 상기 제1수용홈(32a)들 사이에 위치한 제2수용홈(32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수용홈(32b)들에는 각각 상기 제1접속부(2a)가 삽입되고, 상기 제2접속부(2b)는 상기 제1접속부(2a)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수용홈(32b)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가 신호케이블(110) 및 접지케이블(120)을 상기 기판(200)에 연결하는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케이블(100)들을 상기 기판(200)에 연결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복수개의 신호케이블(110)을 상기 기판(200)에 연결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압박부(3)에는 복수개의 제1접속부(2a)가 결합된다. 상기 압박본체(31)는 상기 제1수용홈(32a)을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수용홈(32a)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접속부(2a)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압박부(3)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4에는 상기 압박부(3)에 2개의 제1접속부(2a)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압박부(3)에 3개 이상의 제1접속부(2a)가 결합될 수도 있다.
도 25 내지 도 2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접속부(2)는 제1역쐐기기구(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역쐐기기구(28)는 상기 접속홈(23)에 삽입된 케이블(100)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접속부(2)는 상기 제1역쐐기기구(28)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역쐐기기구(28)는 상기 제1접속부재(221) 및 상기 제2접속부재(222)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접속홈(23) 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역쐐기기구(28)는 상기 접속홈(23)에 삽입된 케이블(100)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접속부(2) 및 상기 케이블(100) 간에 결합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1역쐐기기구(28)는 쐐기와 같이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진동이나 흔들림 등에 대한 내력을 더 강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역쐐기기구(28)는 상기 접속홈(23)에 삽입된 케이블(100)의 내부에 박힘으로써, 상기 접속홈(23)에 삽입된 케이블(100)을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역쐐기기구(28)가 상기 제1접속부재(221)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역쐐기기구(28)는 상기 제1연결면(2213) 및 상기 제1삽입면(2214)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역쐐기기구(28)는 상기 이격홈(26, 도 6에 도시됨)의 일측에 위치한 제1서브접속부재(2211)가 갖는 상기 제1연결면(2213) 및 상기 제1삽입면(2214)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역쐐기기구(28)는 상기 이격홈(26, 도 6에 도시됨)의 타측에 위치한 제1서브접속부재(2211)가 갖는 상기 제1연결면(2213) 및 상기 제1삽입면(2214)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역쐐기기구(28)가 상기 제2접속부재(222)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역쐐기기구(28)는 상기 제2연결면(2223) 및 상기 제2삽입면(2224)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역쐐기기구(28)는 상기 이격홈(26, 도 6에 도시됨)의 일측에 위치한 제2서브접속부재(2221)가 갖는 상기 제2연결면(2223) 및 상기 제2삽입면(2224)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역쐐기기구(28)는 상기 이격홈(26, 도 6에 도시됨)의 타측에 위치한 제2서브접속부재(2221)가 갖는 상기 제2연결면(2223) 및 상기 제2삽입면(2224)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역쐐기기구(28)는 상기 접속홈(23) 쪽으로 돌출될수록 크기가 감소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역쐐기기구(28)는 상기 접속홈(23) 쪽으로 돌출될수록 크기가 감소되는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역쐐기기구(28)는 상기 접속홈(23) 쪽으로 돌출될수록 크기가 감소되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역쐐기기구(28)는 제1경사면(281, 도 27에 도시됨) 및 제1지지면(282, 도 27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면(281)은 상기 제1역쐐기기구(28)에서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 쪽을 향하는 면이다. 상기 제1경사면(281)은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역쐐기기구(28)가 상기 제1삽입면(2214)으로부터 상기 접속홈(23) 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경우, 상기 제1경사면(281) 및 상기 제1삽입면(2214) 사이의 끼인각(Included Angle)(28a, 도 27에 도시됨)은 둔각(鈍角)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역쐐기기구(28)는 상기 접속홈(23)에 삽입된 케이블(100)을 고정할 수 있으면서도, 상기 제1경사면(281)을 이용하여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접속홈(23)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면(282)은 상기 제1역쐐기기구(28)에서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 쪽을 향하는 면이다. 상기 제1지지면(282)은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에 대해 수직하거나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역쐐기기구(28)가 상기 제1삽입면(2214)으로부터 상기 접속홈(23) 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경우, 상기 제1지지면(282) 및 상기 제1삽입면(2214) 사이의 끼인각(28b, 도 27에 도시됨)은 직각(直角) 또는 예각(銳角)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역쐐기기구(28)는 상기 제1지지면(282)을 이용하여 상기 접속홈(23)에 삽입된 케이블(100)에 대한 고정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역쐐기기구(28)는 제1이음면(283, 도 27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이음면(283)은 상기 제1경사면(281) 및 상기 제1지지면(282)을 연결한다. 상기 제1이음면(283)은 상기 제1역쐐기기구(28)에서 상기 접속홈(23) 쪽으로 돌출된 방향을 향하는 면이다. 상기 제1이음면(283)은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역쐐기기구(28)가 상기 제1삽입면(2214)으로부터 상기 접속홈(23) 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경우, 상기 제1이음면(283)은 상기 제1삽입면(2214)에 대해 평행한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역쐐기기구(28)는 상기 제1경사면(281) 및 상기 제1이음면(283)을 이용하여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접속홈(23)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면서도, 상기 제1이음면(283)을 이용하여 상기 접속홈(23)에 삽입된 케이블(100)을 가압하는 가압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접속홈(23)에 삽입된 케이블(100)에 대한 고정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도 28 내지 도 3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접속부(2)는 제2역쐐기기구(2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역쐐기기구(29)는 상기 접속홈(23)에 삽입된 케이블(100)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접속부(2)는 상기 제2역쐐기기구(29)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2역쐐기기구(29)는 상기 제1접속부재(221) 및 상기 제2접속부재(222)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접속홈(23) 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역쐐기기구(29)는 상기 접속홈(23)에 삽입된 케이블(100)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접속부(2) 및 상기 케이블(100) 간에 결합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진동이나 흔들림 등에 대한 내력을 더 강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역쐐기기구(29)는 상기 접속홈(23)에 삽입된 케이블(100)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접속홈(23)에 삽입된 케이블(100)을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 제2역쐐기기구(29)는 상기 접속홈(23)에 삽입된 케이블(100)의 내부에 박힘으로써, 상기 접속홈(23)에 삽입된 케이블(100)을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 제2역쐐기기구(29)가 상기 제1접속부재(221)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2역쐐기기구(29)는 상기 제1입구면(2211)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역쐐기기구(29)는 상기 이격홈(26, 도 6에 도시됨)의 일측에 위치한 제1서브접속부재(2211)가 갖는 제1입구면(2211)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역쐐기기구(29)는 상기 이격홈(26, 도 6에 도시됨)의 타측에 위치한 제1서브접속부재(2211)가 갖는 제1입구면(2211)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역쐐기기구(29)가 상기 제2접속부재(222)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2역쐐기기구(29)는 상기 제2입구면(2221)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역쐐기기구(29)는 상기 이격홈(26, 도 6에 도시됨)의 일측에 위치한 제2서브접속부재(2221)가 갖는 제2입구면(2221)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역쐐기기구(29)는 상기 이격홈(26, 도 6에 도시됨)의 타측에 위치한 제2서브접속부재(2221)가 갖는 제2입구면(2221)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역쐐기기구(29)는 상기 접속홈(23) 쪽으로 돌출될수록 크기가 감소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역쐐기기구(29)는 상기 접속홈(23) 쪽으로 돌출될수록 크기가 감소되는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역쐐기기구(29)는 상기 접속홈(23) 쪽으로 돌출될수록 크기가 감소되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역쐐기기구(29)는 제2경사면(291, 도 30에 도시됨) 및 제2지지면(292, 도 30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경사면(291)은 상기 제2역쐐기기구(29)에서 상기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 쪽을 향하는 면이다. 상기 제2경사면(291)은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역쐐기기구(29)가 상기 제1입구면(2212)으로부터 상기 접속홈(23) 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경우, 상기 제2경사면(291) 및 상기 제1입구면(2212) 사이의 끼인각(29a, 도 30에 도시됨)은 둔각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역쐐기기구(29)는 상기 접속홈(23)에 삽입된 케이블(100)을 지지할 수 있으면서도, 상기 제2경사면(291)을 이용하여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접속홈(23)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면(292)은 상기 제2역쐐기기구(29)에서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 쪽을 향하는 면이다. 상기 제2지지면(292)은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에 대해 수직하거나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역쐐기기구(29)가 상기 제1입구면(2212)으로부터 상기 접속홈(23) 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경우, 상기 제2지지면(292) 및 상기 제1입구면(2212) 사이의 끼인각(29b, 도 30에 도시됨)은 직각 또는 예각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역쐐기기구(29)는 상기 제2지지면(292)을 이용하여 상기 접속홈(23)에 삽입된 케이블(100)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접속홈(23)에 삽입된 케이블(100)에 대한 고정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역쐐기기구(29)는 제2이음면(29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이음면(293)은 상기 제2경사면(291) 및 상기 제2지지면(292)을 연결한다. 상기 제2이음면(293)은 상기 제2역쐐기기구(29)에서 상기 접속홈(23) 쪽으로 돌출된 방향을 향하는 면이다. 상기 제2이음면(293)은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역쐐기기구(29)가 상기 제1입구면(2212)으로부터 상기 접속홈(23) 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경우, 상기 제2이음면(293)은 상기 제1입구면(2212)에 대해 평행한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역쐐기기구(29)는 상기 제2경사면(291) 및 상기 제2이음면(293)을 이용하여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접속홈(23)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역쐐기기구(29)가 상기 접속홈(23)에 삽입된 케이블(100)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경우, 상기 제2이음면(293)은 상기 접속홈(23)에 삽입된 케이블(100)을 가압하는 가압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접속홈(23)에 삽입된 케이블(100)에 대한 고정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도 31 및 도 3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접속부(3)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23)는 받침면(22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면(2231)은 상기 접속홈(23)에 삽입된 케이블(100)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받침면(2231)은 상기 지지부재(223)에서 상기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 쪽을 향하는 면이다. 상기 지지부재(223)는 상기 접속홈(23)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받침면(2231)에 접촉된 케이블(100)을 지지할 수 있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면(2231)은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면(2231)은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받침면(2231)은 상기 접속홈(23)에 삽입된 케이블(100)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곡면으로 형성된 받침면(2231)을 이용하여 상기 접속홈(23)에 삽입된 케이블(100)에 대한 고정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받침면(2231)은 상기 접속홈(23) 쪽에 곡률중심이 위치하도록 곡면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면(2231)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케이블(100)의 길이(100D)에 비해 더 짧은 직경을 갖는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받침면(2231)은 상기 접속홈(23)에 삽입된 케이블(100)의 외면을 가압하면서 감싸도록 구현되므로, 상기 접속홈(23)에 삽입된 케이블(100)에 대한 고정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케이블 커넥터 2 : 접속부
3 : 압박부 4 : 가이드부
21 : 실장기구 22 : 접속기구
23 : 접속홈 24 : 탄성홈
25 : 연결홈 26 : 이격홈
27 : 제한기구 31 : 압박본체
32 : 수용홈 33 : 압박부재
34 : 통과공 35 : 식별공
36 : 가이드공 37 : 압박공
100 : 케이블 200 : 기판

Claims (23)

  1. 기판(200)에 실장되기 위한 접속부(2); 및
    상기 접속부(2)가 결합되고, 상기 접속부(2)에 케이블(1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케이블(100)을 압박하기 위한 압박부(3)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2)는,
    상기 기판(200)에 실장되기 위한 실장기구(21),
    상기 실장기구(21)에서 상기 압박부(3)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실장기구(21)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접속기구(22),
    상기 접속기구(22)가 제1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접속부재(221) 및 제2접속부재(222)로 분리되도록 상기 접속기구(22)에 형성되는 접속홈(23),
    상기 압박부(3)에 압박되어 상기 접속홈(23)에 삽입되는 케이블(100)에 의해 상기 제1접속부재(221) 및 상기 제2접속부재(222)가 상기 제1축방향으로 벌어지도록 상기 접속기구(22)에 형성되는 탄성홈(24), 및
    상기 접속기구(22)에 형성되는 이격홈(26)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접속부재(221)는 상기 이격홈(26)에 의해 상기 제1축방향과 상이한 제2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기 케이블(100)에 다면(多面) 접속됨으로써 상기 케이블(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1서브접속부재(2211)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접속부재(222)는 상기 이격홈(26)에 의해 상기 제2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기 케이블(100)에 다면(多面) 접속됨으로써 상기 케이블(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2서브접속부재(2221)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기구(22)는 상기 이격홈(26)의 일측에 위치한 제1서브접속부재(2211) 및 제2서브접속부재(2221)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재(223)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홈(24)은 상기 이격홈(26)의 타측에 위치한 제1서브접속부재(2211) 및 상기 제2접속부재(222)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2)는 상기 탄성홈(24)에 연결되도록 상기 실장기구(21)에 형성되는 연결홈(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브접속부재(2211)들은 각각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압박부(3)에 압박되어 상기 접속홈(23)에 삽입되는 삽입방향으로 서로 연결되게 형성되는 제1입구면(2212), 제1연결면(2213), 및 제1삽입면(22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서브접속부재(2221)들은 각각 상기 삽입방향으로 서로 연결되게 형성되는 제2입구면(2222), 제2연결면(2223), 및 제2삽입면(2224)을 포함하며;
    상기 제1삽입면(2214) 및 상기 제2삽입면(2224)과의 이격 거리(D1)는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케이블(100)의 길이(100D)에 비해 더 짧은 길이를 가지고;
    상기 제1입구면(2212) 및 상기 제2입구면(2222)과의 이격 거리(D2)는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삽입면(2214) 및 상기 제2삽입면(2224)과의 이격 거리(D1)에 비해 더 긴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면(2213)은 상기 삽입방향으로 케이블(100)의 삽입을 유도하기 위해 적어도 두 개의 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면(2213)은 상기 접속홈(23) 쪽에 곡률중심이 위치하도록 곡면을 이루며 형성되는 제1함몰곡면(2213a), 및 상기 제1접속부재(221) 쪽에 곡률중심이 위치하도록 곡면을 이루며 상기 제1함몰곡면(2213a)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제1돌출곡면(2213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면(2214)은 상기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입구면(2212)에 비해 더 긴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부(3)는 상기 접속부(2)가 결합되기 위한 압박본체(31), 상기 접속부(2)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압박본체(31)에 형성되는 수용홈(32), 및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수용홈(32)에 삽입되도록 상기 케이블(100)을 통과시키기 위해 상기 압박본체(31)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통과공(34)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2)는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통과공(34)을 통해 상기 수용홈(32)에 삽입되는 길이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실장기구(21)에서 상기 압박부(3)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실장기구(21)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한기구(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부(3)는 상기 수용홈(32)에 삽입된 케이블(100) 및 상기 제한기구(27)가 상기 압박본체(31)의 외부에서 식별되도록 상기 압박본체(31)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식별공(3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부(3)는 상기 접속부(2)가 결합되기 위한 압박본체(31), 상기 접속부(2)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압박본체(31)에 형성되는 수용홈(32), 및 상기 수용홈(32)에 연결되도록 상기 압박본체(31)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가이드공(36)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2)는 상기 접속기구(22)와 상기 압착본체(31)와의 결합에 의해 상기 가이드공(36)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부(3)는 상기 접속부(2)가 결합되기 위한 압박본체(31), 상기 접속부(2)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압박본체(31)에 형성되는 수용홈(32), 및 상기 수용홈(32)에 연결되도록 상기 압박본체(31)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압박공(37)을 포함하고;
    상기 압박본체(31)에는 상기 압박공(37)이 상기 접속부(2)와의 결합을 통해 상기 접속홈(23)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부(3)는 상기 접속부(2)가 결합되기 위한 압박본체(31), 상기 접속부(2)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압박본체(31)에 형성되는 수용홈(32), 및 상기 수용홈(32) 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압박본체(31)에 형성되는 압박부재(33)를 포함하고;
    상기 압박부재(33)는 상기 접속부(2)와 상기 압박본체(31) 간의 결합을 통해 상기 케이블(100)을 압박하여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접속홈(23)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부재(33)는 상기 케이블(100)을 압박하여 상기 접속홈(23)에 삽입되는 압박돌기(331), 및 상기 압박돌기(33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압박가이드(332)를 포함하고;
    상기 압박가이드(332)는 상기 케이블(100)이 삽입되는 압박홈(3321), 및 상기 압박홈(3321)에 삽입된 케이블(100)에 접촉되는 압박면(3322)을 포함하며;
    상기 압박면(3322)은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100)을 압박하기 위한 압박부(3)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4)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4)는 상기 접속부(2)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가이드돌기(41), 및 상기 압박부(3)에 형성되는 가이드면(42)을 포함하며;
    상기 압박부(3)는 상기 접속부(2)의 삽입에 의해 상기 가이드돌기(41)가 상기 가이드면(42)에 대응되어 이동함으로써 상기 케이블(100)을 압박하여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접속홈(23)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방향으로 상기 접속기구(22)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가이드돌기(41), 및 상기 가이드돌기(4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축방향으로 상기 접속기구(22)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고정돌기(43)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돌기(43)는 상기 제1축방향으로 상기 가이드돌기(41)에 비해 더 긴 길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부(3)는 상기 접속부(2)가 복수개 결합되기 위한 압박본체(31), 및 상기 접속부(2)들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압박본체(31)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수용홈(32)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2)들 중에서 신호케이블(110)이 접속되는 제1접속부(2a)는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접지케이블(120)이 접속되는 제2접속부(2b)에 비해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32)들 중에서 상기 제1접속부(2a)가 수용되는 제1수용홈(32a)은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접속부(2b)가 수용되는 제2수용홈(32b)에 비해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부(3)는 상기 제1수용홈(32a) 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압박본체(31)에 형성되는 압박부재(33)를 포함하고;
    상기 압박부재(33)는 상기 신호케이블(110)이 상기 제1접속부(2a)에 삽입되도록 상기 신호케이블(110)을 압박하며;
    상기 압박본체(31)는 상기 접지케이블(120)이 상기 제2접속부(2b)에 삽입되도록 상기 접지케이블(120)을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2)는 상기 접속홈(23)에 삽입된 케이블(100)을 고정하기 위한 제1역쐐기기구(28)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역쐐기기구(28)는 상기 제1접속부재(221) 및 상기 제2접속부재(222)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접속홈(23) 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부재(221)는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압박부(3)에 압박되어 상기 접속홈(23)에 삽입되는 삽입방향으로 서로 연결되게 형성되는 제1입구면(2212), 제1연결면(2213), 및 제1삽입면(2214)을 포함하고,
    상기 제1삽입면(2214)에는 상기 제1역쐐기기구(28)가 상기 접속홈(23) 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역쐐기기구(28)는 상기 삽입방향 쪽을 향하는 제1지지면(282), 및 상기 삽입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분리방향 쪽을 향하는 제1경사면(281)을 포함하고,
    상기 제1경사면(281) 및 상기 제1삽입면(2214) 사이의 끼인각(Included Angle)(28a)은 둔각(鈍角)을 이루며,
    상기 제1지지면(282) 및 상기 제1삽입면(2214) 사이의 끼인각(28b)은 직각(直角) 또는 예각(銳角)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부재(221)는 상기 케이블(100)이 상기 압박부(3)에 압박되어 상기 접속홈(23)에 삽입되는 삽입방향으로 서로 연결되게 형성되는 제1입구면(2212), 제1연결면(2213), 및 제1삽입면(2214)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2)는 상기 접속홈(23)에 삽입된 케이블(100)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1입구면(2212)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제2역쐐기기구(29)를 포함하며,
    상기 제2역쐐기기구(29)는 상기 삽입방향 쪽을 향하는 제2지지면(292), 및 상기 삽입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분리방향 쪽을 향하는 제2경사면(291)을 포함하고,
    상기 제2경사면(291) 및 상기 제1입구면(2212) 사이의 끼인각(29a)은 둔각을 이루며,
    상기 제2지지면(292) 및 상기 제1입구면(2212) 사이의 끼인각(29b)은 직각(直角) 또는 예각(銳角)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23)는 상기 접속홈(23)에 삽입된 케이블(100)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면(2231)을 포함하며,
    상기 받침면(2231)은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KR1020160046324A 2015-04-24 2016-04-15 케이블 커넥터 KR1021219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8046 2015-04-24
KR20150058046 2015-04-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6875A KR20160126875A (ko) 2016-11-02
KR102121912B1 true KR102121912B1 (ko) 2020-06-11

Family

ID=57518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324A KR102121912B1 (ko) 2015-04-24 2016-04-15 케이블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19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6110B1 (ko) * 2017-11-23 2023-02-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통신 커넥터
CN108591238A (zh) * 2018-06-28 2018-09-28 柳道万和(苏州)热流道系统有限公司 软轴固定结构及具有其的驱动装置
DE102021203309A1 (de) * 2021-03-31 2022-10-06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Scheid-Klemm-Element, Stator elektrisch Maschin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tator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7285A (ja) * 2001-12-28 2003-07-11 Yazaki Corp 圧接端子
JP4324822B2 (ja) * 1999-05-21 2009-09-02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ケーブル用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4813A (en) * 1983-03-17 1985-01-22 Carrier Corporation Electric connector assembly
JPH08329995A (ja) * 1995-05-31 1996-12-13 Sumitomo Wiring Syst Ltd 圧接端子
JPH1079266A (ja) * 1996-09-03 1998-03-24 Yazaki Corp 圧接端子
US8109783B2 (en) * 2010-06-30 2012-02-07 Avx Corporatio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IDC)
US8968022B2 (en) * 2013-02-25 2015-03-0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poke-in wire contac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24822B2 (ja) * 1999-05-21 2009-09-02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03197285A (ja) * 2001-12-28 2003-07-11 Yazaki Corp 圧接端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6875A (ko) 201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1071B1 (ko)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및 회로 기판과 가요성 기판 사이의접속 구조
US7513697B2 (en) Photoelectric transforming connector for optical fibers
US7381082B2 (en) Connector assembly with the cable positioned inside
WO2010045338A1 (en) Board-to-board connector
KR102121912B1 (ko) 케이블 커넥터
US9160101B2 (en) Electric connector
US20170070014A1 (en) Connector
JP6784580B2 (ja) 抜け防止構造を備えたコネクタ装置
JP4262732B2 (ja) コネクタ
US20110065292A1 (en) Connector and assembly having same
EP3809530A1 (en) Electrical connector
KR102395645B1 (ko) 기판 커넥터용 컨택트 및 기판 커넥터
US6406305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mpression terminal module therein
US10396491B2 (en) Alignment structures for chip modules
EP3429031A1 (en) Poke-in connector
KR102420029B1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KR102185663B1 (ko) 케이블 커넥터
JP6803734B2 (ja) 電子部品及び撮像装置
KR102174098B1 (ko) 케이블 커넥터
KR102188058B1 (ko) 케이블 커넥터
JP4563250B2 (ja) コネクタ、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並びに、携帯型無線端末又は小型電子機器
EP1681744A1 (en) Connector
JP3443864B2 (ja) スタッキングコネクタ
KR20220002512U (ko) 압박 부품 및 그 커넥터
JP2022077866A (ja) 光トランシー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