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8583A -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8583A
KR20050068583A KR1020030100171A KR20030100171A KR20050068583A KR 20050068583 A KR20050068583 A KR 20050068583A KR 1020030100171 A KR1020030100171 A KR 1020030100171A KR 20030100171 A KR20030100171 A KR 20030100171A KR 20050068583 A KR20050068583 A KR 20050068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film
spacer
etching process
film spacer
semiconducto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100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7529B1 (ko
Inventor
송필근
박상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30100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7529B1/ko
Priority to JP2004182198A priority patent/JP4642388B2/ja
Priority to US10/872,883 priority patent/US6967151B2/en
Priority to TW093119309A priority patent/TWI257143B/zh
Publication of KR20050068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8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7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75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silicon technology
    • H01L21/8232Field-effect technology
    • H01L21/8234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 H01L21/823468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with a particula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gate sidewall spacers, e.g. double spacers, particular spacer material or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 게이트 라인의 측벽에 절연막 스페이서를 목표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한 후, 습식 식각 공정으로 절연막 스페이서의 두께를 조절하여 게이트 라인 사이 공간의 종횡비를 낮추면서 접합 영역의 노출 폭을 조절함으로써, 게이트 라인 사이의 공간에서 절연막의 매립 특성을 향상시키고 접합 영역 개방 폭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공정의 신뢰성 및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절연막의 매립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소자의 집적도를 높이기 위하여 디자인 룰이 감소됨에 따라, 게이트 채널 길이(Gate channel length)가 감소하고 게이트 간격(Gate Pitch)도 감소한다. 게이트 간격이 좁아지면 게이트 사이 공간의 종횡비(Aspect ratio)가 증가하게 된다.
이렇게, 게이트 사이 공간의 종횡비가 높아지면,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기 위한 절연막 증착 시 게이트 사이로의 매립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이 제시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은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 게이트 라인의 측벽에 절연막 스페이서를 목표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한 후, 습식 식각 공정으로 절연막 스페이서의 두께를 조절하여 게이트 라인 사이 공간의 종횡비를 낮추면서 접합 영역의 노출 폭을 조절함으로써, 게이트 라인 사이의 공간에서 절연막의 매립 특성을 향상시키고 접합 영역 개방 폭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공정의 신뢰성 및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은 소정의 패턴 측벽에 절연막 스페이서를 목표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하는 단계, 및 식각 공정으로 절연막 스페이서를 식각하여 패턴 간격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은 게이트 라인과 게이트 라인 주변에 접합 영역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이 제공되는 단계와, 게이트 라인 측벽에 목표 두께보다 두껍게 절연막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와, 절연막 스페이서를 식각하여 접합 영역이 노출되는 폭을 증가시키는 단계, 및 게이트 라인을 포함한 전체 구조 상에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절연막 스페이서는 실리콘 산화막으로 형성된다.
식각 공정은 습식 식각 공정으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습식 시각 공정 시 희석된 불산 용액이나 BOE가 사용될 수 있다.
식각 공정의 진행 시간은 절연막 스페이서의 식각률을 고려하여 절연막 스페이서의 두께가 목표 두께가 되도록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식각 공정은 절연막 스페이서가 제 기능을 발휘하면서 접합 영역의 노출되는 폭이 최대가 될 수 있도록 절연막 스페이서를 식각한다. 이때, 식각 공정은 접합 영역의 노출되는 폭이 10nm 내지 1000nm 정도 증가하도록 절연막 스페이서를 식각할 수 있다.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기 전에, 게이트 라인을 포함한 전체 구조 상에 볼더리스 콘택을 형성하기 위한 질화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층간 절연막은 BPSG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BPSG에 포함된 보론과 인의 비율(wt%)을 4.5wt%와 4.0wt% 이하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층간 절연막을 형성한 후에, 층간 절연막의 유동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급속 열처리를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원의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어떤 막이 다른 막 또는 반도체 기판의 '상'에 있다라고 기재되는 경우에 상기 어떤 막은 상기 다른 막 또는 반도체 기판에 직접 접촉하여 존재할 수 있고, 또는 그 사이에 제3의 막이 개재되어질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었다.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소자의 단면도들이다. 도 2는 절연막 스페이서를 식각하지 않은 상태의 단면 셈사진이다. 도 3은 절연막 스페이서를 소정의 두께만큼 식각한 상태의 단면 셈사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절연막 스페이서의 식각 여부에 따른 층간 절연막의 매립 특성을 비교하기 위한 단면 셈 사진들이다.
도 1a 및 도 2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1) 상에 소정의 패턴으로 게이트 라인(102)을 형성한다. 게이트 라인(102)은 게이트 산화막(102a), 폴리실리콘층(102b), 실리사이드층(102c) 및 하드 마스크(102d)가 적층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반도체 기판(101)의 소정 영역에 접합 영역(103)을 형성한다. 접합 영역(103)은 이온주입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트랜지스터나 메모리 셀의 소오스/드레인 역할을 한다.
이후, 게이트 라인(102)의 측벽에 절연막 스페이서(104)를 형성한다. 이때, 절연막 스페이서(104)는 실리콘 산화막으로 형성하며, 후속 공정에서 식각될 것을 고려하여 목표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한다.
이렇게, 게이트 라인(102)의 폭(GW)은 일정하지만 절연막 스페이서(104)의 두께(SW)가 두껍기 때문에 접합 영역(103)이 노출되는 폭(JW)은 상대적으로 좁아진다.
도 1b 및 도 3을 참조하면, 식각 공정으로 절연막 스페이서(104)의 두께(SW)가 목표 두께가 되도록 식각 공정으로 절연막 스페이서(104)를 소정 두께만큼 식각한다.
식각 공정은 습식 식각 공정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식각 용액으로 희석된 불산(Diluted HF) 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희석된 불산 용액은 불산 용액과 DI 워터를 혼합하여 10배 내지 100배 정도 묽게 희석된 용액을 사용한다. 한편, 식각 용액으로 BOE(Buffered Oxide Etchant)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절연막 스페이서(104)의 식각률을 고려하여 절연막 스페이서(104)의 두께(SW)가 목표 두께가 되도록 식각 공정 시간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게이트 라인(102)의 폭(GW)은 일정하기 때문에 절연막 스페이서(104)의 두께(SW)가 감소하면 접합 영역(103)의 노출되는 폭(JW)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절연막 스페이서(104)가 제 기능을 발휘하면서 접합 영역(103)의 노출되는 폭(JW)이 최대가 될 수 있도록 절연막 스페이서(104)의 목표 두께를 설정하고, 이에 따라 절연막 스페이서(104)의 두께(SW)가 목표 두께가 되도록 식각 공정 시간을 조절한다. 이때, 접합 영역(103)의 노출되는 폭(JW)이 10nm 내지 1000nm 정도 증가하도록 절연막 스페이서(104)의 식각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로써, 게이트 라인(102) 사이 공간의 종횡비가 감소하게 된다.
도 1c를 참조하면, 볼더리스 콘택(Borderless contact)을 형성하기 위하여 게이트 라인(102)을 포함한 전체 구조 상에 질화막(105)을 형성한다.
도 1d를 참조하면, 전체 구조 상에 층간 절연막(106)을 형성한다. 층간 절연막(106)은 게이트 라인(102) 사이 공간의 종횡비가 감소된 상태에서 형성되기 때문에, 게이트 라인(102)의 사이에서 보이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층간 절연막(106)은 고밀도 플라즈마 산화물(High Density Plasma Oxide)이나 BPSG로 형성할 수 있으며, 유동성이 좋은 BPSG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BPSG는 보론(B)과 인(P)의 비율(wt%)을 4.5wt%와 4.0wt% 이하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보론의 비율이 너무 증가하면 증착 시 파티클(Paticle)이나 결함(Defect) 증가를 유발하며, 인의 비율이 증가하면 콘택 형성 후 전도물질 매립 시 침식(Corrosion)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층간 절연막(106)을 형성한 후에는, 유동성을 증가시키고 매립특성을 보다 더 향상시키기 위하여 급속 열처리 공정을 실시할 수 있다.
이로써, 게이트 라인(102)의 사이에 보이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층간 절연막(106)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절연막 스페이서의 식각 여부에 따른 층간 절연막의 매립 특성을 비교하기 위한 단면 셈 사진들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절연막 스페이서(104)를 식각하지 않아 게이트 라인(102) 사이의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한 상태에서 층간 절연막(106)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게이트 라인(102) 사이의 공간에 보이드(106a)가 발생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절연막 스페이서(104)를 소정의 두께만큼 식각하여 게이트 라인(102) 사이의 공간을 넓힌 상태에서 층간 절연막(106)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게이트 라인(102) 사이의 공간에 절연 물질이 양호하게 매립되어 보이드가 발생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 게이트 라인의 측벽에 절연막 스페이서를 목표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한 후, 습식 식각 공정으로 절연막 스페이서의 두께를 조절하여 게이트 라인 사이 공간의 종횡비를 낮추면서 접합 영역의 노출 폭을 조절함으로써, 게이트 라인 사이의 공간에서 절연막의 매립 특성을 향상시키고 접합 영역 개방 폭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공정의 신뢰성 및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소자의 단면도들이다.
도 2는 절연막 스페이서를 식각하지 않은 상태의 단면 셈사진이다.
도 3은 절연막 스페이서를 소정의 두께만큼 식각한 상태의 단면 셈사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절연막 스페이서의 식각 여부에 따른 층간 절연막의 매립 특성을 비교하기 위한 단면 셈 사진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반도체 기판 102 : 게이트 라인
102a : 게이트 산화막 102b : 폴리실리콘층
102c : 실리사이드층 102d : 하드 마스크
103 : 접합 영역 104 : 절연막 스페이서
105 : 질화막 106 : 층간 절연막
106a : 보이드

Claims (12)

  1. 소정의 패턴 측벽에 절연막 스페이서를 목표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하는 단계;
    식각 공정으로 상기 절연막 스페이서를 식각하여 상기 패턴 간격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2. 게이트 라인과 상기 게이트 라인 주변에 접합 영역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이 제공되는 단계;
    상기 게이트 라인 측벽에 목표 두께보다 두껍게 절연막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연막 스페이서를 식각하여 상기 접합 영역이 노출되는 폭을 증가시키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 라인을 포함한 전체 구조 상에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 스페이서가 실리콘 산화막으로 형성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식각 공정이 습식 식각 공정으로 진행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 식각 공정 시 희석된 불산 용액이나 BOE가 사용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식각 공정의 진행 시간은 상기 절연막 스페이서의 식각률을 고려하여 상기 절연막 스페이서의 두께가 목표 두께가 되도록 조절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식각 공정은 상기 절연막 스페이서가 제 기능을 발휘하면서 상기 접합 영역의 노출되는 폭이 최대가 될 수 있도록 상기 절연막 스페이서를 식각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식각 공정은 상기 접합 영역의 노출되는 폭이 10nm 내지 1000nm 정도 증가하도록 상기 절연막 스페이서를 식각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게이트 라인을 포함한 전체 구조 상에 볼더리스 콘택을 형성하기 위한 질화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 절연막이 BPSG로 형성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BPSG에 포함된 보론과 인의 비율이 4.5wt%와 4.0wt% 이하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 절연막을 형성한 후에,
    상기 층간 절연막의 유동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급속 열처리를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20030100171A 2003-12-30 2003-12-30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567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0171A KR100567529B1 (ko) 2003-12-30 2003-12-30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JP2004182198A JP4642388B2 (ja) 2003-12-30 2004-06-21 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US10/872,883 US6967151B2 (en) 2003-12-30 2004-06-21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TW093119309A TWI257143B (en) 2003-12-30 2004-06-30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0171A KR100567529B1 (ko) 2003-12-30 2003-12-30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8583A true KR20050068583A (ko) 2005-07-05
KR100567529B1 KR100567529B1 (ko) 2006-04-03

Family

ID=34698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100171A KR100567529B1 (ko) 2003-12-30 2003-12-30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967151B2 (ko)
JP (1) JP4642388B2 (ko)
KR (1) KR100567529B1 (ko)
TW (1) TWI25714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0448B1 (ko) * 2003-02-06 2005-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선택적 디스포저블 스페이서 기술을 사용하는 반도체집적회로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반도체 집적회로
KR100695487B1 (ko) * 2006-03-20 2007-03-1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JP5746881B2 (ja) * 2011-02-22 2015-07-08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FI126449B (fi) 2014-06-11 2016-12-15 Janesko Oy Menetelmä ja sovitelma prosessinesteestä otetun erillisnäytteen mittauksen yhteydessä
CN108091562B (zh) * 2017-12-21 2020-06-16 上海华力微电子有限公司 Sonos存储器的ono刻蚀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56318B1 (en) * 1990-05-11 2001-08-2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MOS process utilizing disposable silicon nitride spacers for making lightly doped drain transistors
US5238872A (en) * 1990-12-11 1993-08-24 Samsung Semiconductor, Inc. Barrier metal contact architecture
TW227628B (ko) * 1992-12-10 1994-08-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JP2663900B2 (ja) * 1995-02-28 1997-10-15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850833B2 (ja) * 1996-02-23 1999-01-27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10214795A (ja) * 1997-01-28 1998-08-11 Fujitsu Ltd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188378A (ja) * 1998-12-21 2000-07-04 Toshiba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6350665B1 (en) * 2000-04-28 2002-02-26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Semiconductor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contacts and source and/or drain junctions in a semiconductor device
KR100382727B1 (ko) * 2000-12-07 2003-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셀프 얼라인 콘택 식각 공정을 채용할 경우 보이드 없이패드를 형성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JP3722772B2 (ja) * 2002-03-27 2005-11-30 三星電子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7529B1 (ko) 2006-04-03
TW200522254A (en) 2005-07-01
JP4642388B2 (ja) 2011-03-02
US20050142711A1 (en) 2005-06-30
TWI257143B (en) 2006-06-21
JP2005197632A (ja) 2005-07-21
US6967151B2 (en) 2005-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8508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457038B1 (ko) 반도체 장치에서 셀프 얼라인 콘택 형성 방법 및 이를이용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20020033881A (ko) 접촉창을 갖는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04006869A (ja) 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KR100414735B1 (ko) 반도체소자 및 그 형성 방법
KR100618698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0004009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567529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US6673715B2 (en) Methods of forming conductive contacts
US7960268B2 (en) Method for forming gate having metal layer in semiconductor device
US6632717B2 (en) Transistor of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788362B1 (ko) 모스펫 소자 및 그 형성 방법
KR101032115B1 (ko) 반도체 소자의 플러그 형성방법
JP2006114893A (ja) 半導体装置のシリサイド膜の形成方法
US6809038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KR100598172B1 (ko) 리세스 게이트를 갖는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KR20060000482A (ko)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형성방법
US7700451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transistor
US6521517B1 (en) Method of fabricating a gate electrode using a second conductive layer as a mask in the formation of an insulating layer by oxidation of a first conductive layer
KR100680966B1 (ko)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형성방법
KR100551942B1 (ko) Soi 기판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20090124085A1 (en) Method for forming a semiconductor device has a lengthened channel length
KR20020096393A (ko) 모스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JPH06244415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280808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