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7077A - 처리공정용 반송설비 - Google Patents

처리공정용 반송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7077A
KR20050067077A KR1020040112188A KR20040112188A KR20050067077A KR 20050067077 A KR20050067077 A KR 20050067077A KR 1020040112188 A KR1020040112188 A KR 1020040112188A KR 20040112188 A KR20040112188 A KR 20040112188A KR 20050067077 A KR20050067077 A KR 20050067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haft
support
shaft
crank arm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2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3115B1 (ko
Inventor
마츠바라이즈루
쿄타니히사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키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키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050067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7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3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31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2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veying workpieces through baths of liquid
    • B65G49/04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veying workpieces through baths of liquid the workpieces being immersed and withdrawn by movement in a vertical direction
    • B65G49/0409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veying workpieces through baths of liquid the workpieces being immersed and withdrawn by movement in a vertical direction specially adapted for workpieces of definite length
    • B65G49/043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veying workpieces through baths of liquid the workpieces being immersed and withdrawn by movement in a vertical direction specially adapted for workpieces of definite length arrangements for conveyance from bath to bath
    • B65G49/044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veying workpieces through baths of liquid the workpieces being immersed and withdrawn by movement in a vertical direction specially adapted for workpieces of definite length arrangements for conveyance from bath to bath along a continuous circuit
    • B65G49/04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veying workpieces through baths of liquid the workpieces being immersed and withdrawn by movement in a vertical direction specially adapted for workpieces of definite length arrangements for conveyance from bath to bath along a continuous circuit the circuit being fixed
    • B65G49/0454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veying workpieces through baths of liquid the workpieces being immersed and withdrawn by movement in a vertical direction specially adapted for workpieces of definite length arrangements for conveyance from bath to bath along a continuous circuit the circuit being fixed by means of containers -or workpieces- carriers
    • B65G49/0459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veying workpieces through baths of liquid the workpieces being immersed and withdrawn by movement in a vertical direction specially adapted for workpieces of definite length arrangements for conveyance from bath to bath along a continuous circuit the circuit being fixed by means of containers -or workpieces- carriers movement in a vertical direction is caused by self-contained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94Vehicle bo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반송대차(1)를 딥조(D)가 설치된 도장라인을 따라 주행(이동) 가능하게 배치하고, 반송대차(1)에, 차체(M)를 유지하는 매달기 지지장치(9)와, 매달기 지지장치(9)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6)와, 매달기 지지장치(9)를 작동해서 차체(M)의 자세를 조정하는 자세조정장치(51)를 설치하고, 승강장치(6)는, 주행방향의 전부(前部)에 설치된 제1지지축(22)과, 후부에 설치되어 제1지지축(22)에 대해서 접근이간 가능한 제2지지축(25)과, 제2지지축(25)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서 유단부에 유단지지축(27)을 개재해서 매달기 지지장치(9)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크랭크암(7)과, 제1지지축(22)에 고정되어 유단부가 크랭크암(7)의 중간위치에 연결축(26)을 개재해서 연결된 요동암(8)과, 요동암(8)을 개재해서 크랭크암(7)을 제2지지축(25)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암구동기구(28)를 구비했다.

Description

처리공정용 반송설비{CONVEYANCE FACILITY FOR PROCESSING PROCESS}
본 발명은, 제조공장의 도장라인이나 가공라인 등의 처리를 행하는 반송라인에 채용되는 처리공정용 반송설비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차체를 반송하면서 도장하는 종래의 도장설비가, 국제공개 WO 02/053482에 개시되어 있다. 이 도장설비는, 침지조의 상방을 주행할 수 있는 반송대차와, 상기 반송대차의 주행방향에 있어서의 전부와 후부에 2세트 설치된 한 쌍의 요동암과, 상기 한 쌍의 요동암의 유단부 사이에 부착되어 있는 지지바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전부의 지지바와 후부의 지지바상에 차체가 유지되고, 상기 전부와 후부의 요동암을 단독으로 또는 연동해서 하방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지지바상의 차체를 하강시켜 도료에 침지시킨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도장설비에서는, 차체를 원호방향의 하강궤적을 따라 승강이동시키게 되므로, 침지조의 입구나 출구를 반송대차의 주행방향으로 크게 형성해 둘 필요가 있다. 또한, 차체를 연직방향으로 승강시키는 경우에는, 반송대차를 주행방향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차체의 승강방향이 원호방향이기 때문에, 차체의 위치제어나 입액자세 및 출액자세의 자세제어가 복잡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피반송체를 보다 연직방향에 가까운 이동궤적으로 승강시킴으로써 피반송체의 위치제어가 용이하게 되고, 처리를 위한 승강동작을 보다 간단한 제어로 실시할 수 있는 처리공정용 반송설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처리공정용 반송설비는, 처리액조(딥조(D))가 설치된 처리라인(도장라인(R))을 따라 이동체(반송대차(1))를 주행가능하게 배치하고, 상기 이동체에 유지된 피반송체(차체(M))를 처리액에 침지시켜 처리하는 반송설비로서, 상기 이동체에, 상기 피반송체(M)를 자세조정 가능하게 유지하는 매달기 지지장치(9)와, 상기 처리액조(D)에 대응해서 상기 매달기 지지장치(9)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크랭크식 승강장치(6))와, 상기 매달기 지지장치(9)를 작동시켜 피반송체(M)의 자세를 조정하는 자세조정장치(51)를 설치하고, 상기 승강장치(6)는, 상기 이동체(1)의 주행방향의 전후 한쪽에 주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제1지지축(22)과, 상기 이동체(1)의 주행방향의 전후 다른 쪽에 상기 제1지지축(22)과 평행하게 설치되고, 제1지지축(22)에 대해서 접근이간 가능한 제2지지축(25)과, 상기 제2지지축(25)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유단부에 유단지지축(27)을 개재해서 상기 매달기 지지장치(9)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크랭크암(7)과, 상기 제1지지축(22)에 고정되고, 유단부가 상기 크랭크암(7)의 중간위치에 연결축(26)을 개재해서 연결된 요동암(8)과, 상기 크랭크암(7)을 제2지지축(25)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암구동장치(28,71)를 구비하고, 제2지지축(25)을 제1지지축(22)에 접근이간 가능하게 했으므로, 크랭크암(7)의 유단부의 궤적이 대략 연직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크랭크암(7)의 유단부에 유단회동축을 개재해서 지지된 매달기 지지장치(9)가 대략 연직방향을 따라 승강이동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체(물품)의 승강장치를 구비한 도장라인설비(처리공정용 반송설비)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실시예1]
이 도장라인설비는, 예를 들면 자동차공장에 있어서, 피반송체인 차체(M)의 탈지, 화학처리 등 전처리 및 전착도장 등의 프라이머도장을 행하는 것이다.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장라인(처리라인)(R)은, 평면에서 볼 때(또는 측면에서 볼 때) 장원 무단형상의 루프 또는 직선형상 등의 왕로 및 복로의 경로 사이를, 경로간 이동장치인 트래버서를 사용해서 접속한 직사각형상 주회경로로 구성되어 있다. 이 도장라인(R)의 소정위치에는, 탕세, 탈지, 수세, 피막화성, 수세용 등의 복수의 딥조(처리액조)(D)와 입/출하부(K)가 설치되고, 이들 딥조(D)에는 처리액(예를 들면 전착처리액이나 세정액) 등이 수용된다. 또 도장용의 딥조(D)안에는, 도장용 전극판이 저면 또는 좌우 측면에 선택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2,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딥조(D)의 한 쪽에 가이드설치 홈(E)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설치 홈(E)상에 반송대차(1)의 주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폭방향으로 한 쌍의 주행레일(G)이 도장라인(R)과 평행하게 부설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자주식 반송대차(1)가 주행레일(G)에 주행(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반송대차(1)는 이동체의 일례로서 기재되어 있지만, 이동체로서는, 천정부에 설치된 레일에 안내 지지되어서 주행(이동) 가능한 매달기식의 주행체 등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이들 반송대차(1)의 대차본체(5)에는, 주행레일(G)에 안내되는 차륜(2,3,4)이 설치됨과 아울러, 크랭크암(7)과 요동암(8)을 갖는 크랭크식의 승강장치(6)가 탑재되어 있다. 상기 승강장치(6)의 상기 크랭크암(7)의 유단부에는, 평행링크기구를 갖는 매달기 지지장치(9)가 캔틸레버상으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매달기 지지장치(9)에는 유지구(11)가 설치되며, 상기 유지구(11)에 피반송체인 차체(M)가 유지된다.
상기 대차본체(5)에는, 주행용 차륜(2), 진동방지용 차륜(3), 부상방지용 차륜(4), 집전장치(13), 주행구동장치(14) 등으로 구성되는 자주식 주행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주행용 차륜(2)은, 대차본체(5)의 대략 4코너위치에 배치되고, 주행레일(G)상을 주행한다.
상기 진동방지용 차륜(3)은, 주행레일(G)에 좌우 양측으로부터 접촉해서 대차본체(5)의 진동방지를 행한다.
상기 부상방지용 차륜(4)은, 주행레일(G)의 저면에 접촉해서 대차본체(5)의 부상을 방지한다.
상기 주행구동장치(14)는, 전동모터와 감속기로 구성되고, 전부측의 주행용 차륜(2)을 회전구동해서 반송대차(1)를 주행시킨다.
상기 집전장치(13)는, 한 쪽의 주행레일(G)을 따라 설치되며, 측면에 부착된 급전레일(12)로부터 구동전력을 집전한다. 또한, 이 집전장치(13)는 접촉식 집전장치를 채용하고 있지만, 무접촉식 집전장치를 채용해도 좋다.
대차본체(5)의 전부측에 폭방향으로 한 쌍의 고정 축받이부재(21)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 축받이부재(21)에 제1지지축(22)이 주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대차본체(5)의 후부측에 폭방향으로 한 쌍의 가이드 레일(23)이 주행방향을 따라 부설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23)에 각각 스러스트 베어링을 개재해서 폭방향으로 한 쌍의 가동 축받이부재(24)가 주행(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가동 축받이부재(24)에 제2지지축(25)이 주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제1지지축(22)과 제2지지축(25)은 동일 수평면상에 위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축(22)의 일단측(딥조(D)측)에는 요동암(8)의 기단부가 고정되어 있으며, 또 제2지지축(25)의 일단측(딥조(D)측)에는 크랭크암(7)의 기단부가 축받이(7a)를 개재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동암(8)의 유단부는 상기 크랭크암(7)의 중간부에 연결축(26)을 개재해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상기 매달기 지지장치(9)는 크랭크암(7)의 유단부에 유단지지축(27)을 개재해서 지지되어 있다. 여기에서 바람직하게는, 제2지지축(25)으로부터 연결축(26)까지의 크랭크암(7)의 길이를 L1, 연결축(26)으로부터 유단지지축(27)까지의 크랭크암(7)의 길이를 L2, 제1지지축(22)으로부터 연결축(26)까지의 요동암(8)의 길이를 L3으로 하면, L1:L2:L3=1:1:1이 최적인 설정으로 된다. 왜냐하면,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지지축(22)을 회전구동해서 요동암(8)을 최대각(θ°)(도2에서는 예를 들면 160°)의 범위로 회동시켜서 연결축(26)을 제1원호궤적(H)상의 A⇔B 사이에서 이동시키면, 제2지지축(25)이 가동 축받이부재(24)를 개재해서 전후방향의 직선궤적(I)상을 이동함과 아울러, 크랭크암(7)의 유단부의 유단지지축(27)이 연직궤적(J)상의 C⇔D 사이에서 이동한다. 또한, 여기에서 L1:L2:L3≒1:1:1이라도 대략 연직방향의 궤적을 형성할 수 있고, 소정의 허용범위내이면 좋다.
상기 크랭크식의 승강장치(6)를 구동하는 암구동장치로서, (1)제1지지축(22)을 회동하는 회전구동장치, (2)제2지지축(25)을 회동하는 회전구동장치, (3)가동 축받이부재(24)를 주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직선이동장치가 있다. 여기에서는 (1)의 제1지지축(22)을 회동하는 회전구동장치를 채용하고 있다.
상기 암구동장치(28)는, 제1지지축(22)으로부터 돌출된 승강용의 제1수동(受動)레버(29)와, 고정 축받이부재(21)에 설치되어 제1수동레버(29)를 회동시키는 나사식의 제1직선구동장치(직선구동장치)(31)와, 승강지원장치(38)를 구성하는 밸런스 웨이트(30)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제1수동레버(29)는 고정 축받이부재(21) 사이의 제1지지축(22)에 고착되어 있다.
제1직선구동장치(31)는, 제1요동브래킷(32), 승강구동장치(전동모터)(34), 제1볼나사축(35), 제1암나사부재(36)로 구성되고, 승강구동장치(34)에 회전구동되는 제1볼나사축(35)에 제1암나사부재(36)를 개재해서 제1수동레버(29)의 유단부가 연결된 것이다.
상기 제1요동브래킷(32)은, 제1지지플레이트(39)의 상단부에 폭방향의 제1지지핀(33)을 개재해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승강구동장치(34)는, 제1요동브래킷(32)설치되어, 회전구동된다.
상기 제1볼나사축(35)은 승강구동장치(34)에 감속기를 개재해서 회전구동된다.
상기 제1암나사부재(36)는, 제1수동레버(29)의 유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볼나사축(35)에 끼워맞춰진다.
또한, 제1지지축(22)의 타단측에 설치된 승강지원장치(38)는, 제1수동레버(29)와 상대방향으로 돌출된 웨이트용 레버(37)와, 이 웨이트용 레버(37)를 개재해서 부착되어 있는 밸런스 웨이트(30)로 구성되고, 승강구동장치(34)의 부하를 경감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승강구동장치(34)에 의해 제1볼나사축(35)이 회전구동되어서 제1암나사부재(36)를 소정량만큼 이동시키면, 제1수동레버(29)를 개재해서 제1지지축(22)이 θ°(도2에서는 160°)의 범위로 회전되고, 제1요동브래킷(32)이 제1지지핀(33)을 중심으로 요동된다. 이것에 의해, 요동암(8)이 θ°의 범위로 회동되어서 연결축(26)이 제1원호궤적(H)을 따라 이동되고, 가동 축받이부재(24) 및 제2지지축(25)이 크랭크암(7)을 개재해서 직선궤적(I)상을 이동함과 동시에, 크랭크암(7)이 제2지지축(25)을 중심으로 θ°의 범위로 회동되어서 유단지지축(27)이 연직궤적(J)을 따라 승강되고, 매달기 지지장치(9)가 승강이동된다.
측면에서 볼 때의 크랭크암(7)의 앙각이 최대가 되는 상한위치에서는, 도5,도6의 좌측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단지지축(27)이 최상위에 위치되어서 차체(M)는 반송대차(1)의 높이위치까지 들어올려지며, 차체(M)는 최대로 기울어지기 위한 입액자세나 출액자세로 된다. 또한, 상기 앙각이 0°로 되는 중간위치에서는, 도5, 도6의 중앙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체(M)는 통상의 반송자세(도1의 자세)보다 조금 하위에 위치된다. 또한, 크랭크암(7)의 복각이 최대가 되는 하한위치에서는, 도5, 도6의 우측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체(M)는 딥조(D)의 최대깊이까지 내려간 침지자세로 된다.
상기 매달기 지지장치(9)는, 매달기부재(41), 상부 빔(43), 매달기 프레임(45), 연결 빔(하부 빔)(46)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평행링크기구를 갖고 있다.
상기 매달기부재(41)는, 크랭크암(7)의 유단부에 제2지지축(25)에 평행한 유전지지축(27)을 개재해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상부 빔(43)은, 매달기부재(41)가 중앙부에 기립되어 있다.
상기 매달기 프레임(45,45)은, 상부 빔(43)의 양단부로부터 상기 유전지지축(27)에 평행한 매달기 핀(44,44)을 개재해서 회동가능하게 매달려져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매달기 프레임(45)은, 매달기 핀(44)에 의해 매달려 지지된 수직부(45a)와, 이 수직부(45a)의 하단으로부터 R부(45b)를 개재해서 절곡되어 일단측(딥조(D)측)으로 돌출된 수평지지부(45c)에 의해 앞면에서 볼 때 L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평지지부(45c,45c)에는, 연결 빔(46)의 양단부측에, 각각 차체(M)를 유지가능한 유지구(1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부 빔(43)의 중앙부에 매달기부재(41)를 배치했지만, 매달기 핀(44,44)의 사이이면, 차체형상에 맞춰서 전후로 위치어긋나게 매달기부재(41)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유단지지축(27)에 의해 직접 상부 빔(43)의 소정위치를 지지시켜도 좋다.
상기 연결 빔(46,46)은, 양단부가 상기 전후의 매달기 프레임(45,45)의 하부사이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상부 빔(43)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동 축받이부재(24)에 설치되어 있는 자세조정장치(51)는, 크랭크암(7)에 장착된 자세조정용의 전동장치(52)를 개재해서 매달기 지지장치(9)를 구동조작하고, 매달기 프레임(45)에 유지된 차체(M)를, 앞으로 기울어진 자세, 수평자세 및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뒤로 기울어진 자세로 조정할 수 있다.
즉, 자세조정장치(51)는, 제2지지축(25)으로부터 돌출된 제2수동레버(53)와, 가동 축받이부재(24)에 설치되어 제2수동레버(53)를 회동시키는 나사식의 제2직선구동장치(직선구동장치)(5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2수동레버(53)는 가동 축받이부재(24) 사이의 제2지지축(25)에 고정되어 있다.
제2직선구동장치(54)는, 제2요동브래킷(57), 자세조정 구동장치(전동모터)(58), 제2볼나사축(59), 제2암나사부재(60) 등으로 구성되고, 자세조정 구동장치(58)에 회전구동되는 제2볼나사축(59)에 제2암나사부재(60)를 개재해서 제2수동레버(53)의 유단부가 연결된 것이다.
상기 제2요동브래킷(57)은, 제2지지플레이트(55)의 상단부에, 폭방향의 제2지지핀(56)을 개재해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자세조정 구동장치(58)는, 제2요동브래킷(57)에 설치되어 회전구동된다.
상기 제2볼나사축(59)은, 자세조정 구동장치(58)에 감속기를 개재해서 회전구동된다.
상기 제2암나사부재(60)는, 제2수동레버(53)의 유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볼나사축(59)이 끼워맞춰져 있다.
또 자세조정용의 전동장치(52)는, 제2지지축(25)의 일단부에 고정된 구동 스프로킷(61)과, 상기 유단지지축(27)에 고정된 수동 스프로킷(62)과, 구동 스프로킷(61)과 수동 스프로킷(62) 사이에 감겨져서 연결연동되어 있는 전동체인(63)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는 스프로킷(61,62)이나 전동체인(63)은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그러나, 크랭크암(7)은 딥조(D)의 처리액에 침지되지 않는 것이며, 또한 이들 크랭크암(7), 스프로킷(61,62) 및 전동체인(63)에는, 실제로는 처리액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커버(도시생략) 등이 설치된다.
여기에서, 자세조정 구동장치(58)에 의해 제2볼나사축(59)이 회전구동되어서 제2암나사부재(60)를 소정량만큼 이동시키면, 제2수동레버(53)가 구동되어 제2지지축(25)이 회전되고, 제2요동브래킷(57)이 제2지지핀(56)을 중심으로 요동된다. 이것에 의해, 제2지지축(25)의 회전력이 구동 스프로킷(61)으로부터 전동체인(63)을 통해 수동 스프로킷(62)에 전달되고, 유단지지축(27)이 회전되어서 매달기 지지장치(9)가 유단지지축(27)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평행링크기구에 의해 전후의 유지구(11)에 유지된 차체(M)의 자세가 조정된다.
그런데,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매달기 지지장치(9)는 캔틸레버상으로 지지됨과 아울러, 앞면에서 볼 때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평행링크기구를 갖는 매달기 지지장치(9)는, 유지구(11)에 유지된 차체(M)의 상방에 장해물이 없고, 또한, 유단지지축(27)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차체(M)의 경사자세를 크게 취함과 아울러, 차체(M)의 전후방향의 이동도 적고, 또한 유전지지축(27)의 구동력(회전 모멘트)을 대폭 삭감할 수 있다.
즉, 도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행링크식의 매달기 지지장치(9)의 중심(대각선의 교점)과 매달기 지지장치(9) 및 차체의 중심(G)은 일치하고, 수평의 반송자세에서는, 유전지지축(27)의 수선(b)상에 중심(G)이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유전지지축(27)이 30°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빔(43)과 연결 빔(46)과 차체(M)는 30°후부상방으로 경사진다. 이 때, 매달기 프레임(45)의 수직부(45a)는 경사지지 않고 연직자세의 상태이며, 차체(M)의 전후방향의 변위량은 δ이다. 또 유전지지축(27)이 80°까지 더 회전되면,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빔(43)과 연결 빔(46)과 차체(M)는 80°후부상방으로 경사진다. 이 때, 매달기 프레임(45)의 수직부(45a)는 경사지지 않고 연직자세의 상태이며, 차체(M)의 전후방향의 변위량은 γ이다. 이것은 평행링크식이 아닌 매달기 지지장치(9')의 변위량(ε)의 반이하로 되어, 유전지지축(27)의 구동력도 매우 작게 할 수 있다.
도3에 있어서, P는 반송대차(1)측과 딥조(D)측을 구획하는 커버 플레이트이며, 제1지지축(22) 및 제2지지축(25)이 끼워맞춰져서 이동하는 관통공간(Pa)이 도장라인(R)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구성에 있어서의 도장라인설비의 동작을 도11 등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1)차체(M)가 매달기 지지장치(9)에 유지구(11)를 개재해서 수평의 반송자세로 유지된 상태에서, 주행구동장치(14)에 의해 차륜(2,3,4)이 회전구동됨으로써, 반송대차(1)는 각각 주행레일(G)에 안내되어서 도장라인(R)상을 주행 이동한다.
2)반송대차(1)가 딥조(D)의 입구에 도달하면, 암구동장치(28)의 승강구동장치(34)가 구동되어서 제1볼나사축(35)이 회전구동되고, 제1수동레버(29)를 개재해서 제1지지축(22)이 회전되어서 요동암(8)의 유단부가 상방으로 회동되고, 크랭크암(7)이 제2지지축(25)을 중심으로 회동되어서 연결축(26)을 개재해서 크랭크암(7)의 유단부가 상방으로 회동된다. 이것에 의해, 가동 축받이부재(24) 및 제2지지축(25)이 직선궤적(I)상을 이동함과 아울러, 유단지지축(27)이 연직궤적(J)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것과 동시에, 자세조정장치(51)의 자세조정 구동장치(58)가 기동되어서 제2볼나사축(59), 제2암나사부재(60) 및 제2수동레버(53)를 개재해서 제2지지축(25)이 회동되고, 또한 전동장치(52)에 의해 유단지지축(27)이 회전되어서, 도11에서 좌측으로부터 2번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매달기 지지장치(9)를 개재해서 차체(M)의 전부가 하방으로 경사지는 입액자세로 된다. 여기에서, 차체(M)의 최대 경사자세는, 차체형상에도 따르지만 도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80°이다.
3)암구동장치(28)의 승강구동장치(34)가 역전구동되면, 제1볼나사축(35), 제1암나사부재(36) 및 제1수동레버(29)를 통해서 제1지지축(22)은 역회전된다. 이것에 의해, 요동암(8)이 하방으로 회동되어서 유단지지축(27)이 연직궤적(J)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매달기 지지장치(9)를 개재해서 차체(M)가 딥조(D)의 처리액에 입액된다(도11에 나타내는 입액자세 1,2)
4)차체(M)가 하강한도에 접근하면, 자세조정장치(51)에 의해 매달기 지지장치(9)를 통해 차체(M)는 수평자세로 복귀된다(도11에 나타내는 침지자세)
5)충분한 침지시간이 경과하면, 자세조정장치(51)에 의해 매달기 지지장치(9)를 통해 차체(M)의 전부가 상방으로 경사지며, 차체(M)는 출액자세로 된다. 동시에 암구동장치(28)의 승강구동장치(34)에 의해 제1지지축(22)이 회전되어서 요동암(8)이 상방으로 회동됨과 아울러, 가동 축받이부재(24)가 이동되고, 크랭크암(7)의 유단지지축(27)이 연직궤적(J)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되고, 차체(M)가 딥조(D)의 처리액으로부터 꺼내어진다(도11에 나타내는 출액자세 1, 2)
6)크랭크암(7)이 상방의 회동한도에 접근해서 차체(M)가 딥조(D)의 처리액으로부터 완전히 빼내어지면, 자세조정장치(51)에 의해 매달기 지지장치(9)를 통해 차체(M)의 전부가 하방으로 경사지고, 차체(M)는 수평의 반송자세로 복귀된다.
상기 실시형태1에 따르면, 반송대차(1)는, 승강장치(6)에, 제2지지축(25)에 지지된 크랭크암(7)과, 제1지지축(22)에 지지됨과 아울러 크랭크암(7)의 중간위치에 연결된 요동암(8)을 설치하고, 가동 축받이부재(24)를 고정 축받이부재(21)에 접근이간 가능하게 한 크랭크 기구를 설치했으므로, 크랭크암(7)의 유단지지축(27)을 대략 연직방향의 연직궤적(J)을 따라 승강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크랭크기구에 의해, 크랭크암(7)에 유단지지축(27)을 개재해서 지지된 매달기 지지장치(9)가 대략 연직방향을 따라 승강이동되기 때문에, 차체(M)의 위치제어가 용이하게 되고, 도장처리를 위한 승강동작을 보다 간단한 제어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반송대차(1)의 암구동장치(28)는, 제1수동레버(29)를 밀고당기기 구동하는 제1직선구동장치(31)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요동암(8)을 개재해서 크랭크암(7)을 간단한 구조로 양호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또한, 유단지지축(27)을 중심으로 회동했을 때, 매달기 지지장치(9)는 평행링크기구에 의해 상부 빔(43)의 경동과 연결 빔(46)의 경동을 연동시키고 있기 때문에, 자세조정에 의한 차체(M)의 반송방향의 이동거리를 적게 할 수 있고, 또한 자세조정에 필요한 유단지지축(27)의 회전모멘트를 대폭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매달기 프레임(45)은, 차체(M)의 상방에 장해물이 없는 앞면에서 볼 때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차체(M)를 크게 경사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차체(M)의 자세제어의 허용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또한, 매달기 프레임(45)의 유지구(11)상으로 차체(M)의 반입 및 반출을 행할 때에도, 상하의 승강 스트로크를 충분히 취할 수 있으므로, 용이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대차본체(5)는 자주식 주행장치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각 반송대차(1)의 위치제어나 속도제어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실시형태2]
본 발명에 따른 도장라인설비의 실시형태2를 도14∼도20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2는, 실시형태1에 있어서의 크랭크식 승강장치(6)의 암구동장치(28)의 제1직선구동장치(31), 자세조정장치(51)의 제2직선구동장치(54), 암구동장치(28)의 승강지원장치(38), 주행장치가 변경되고, 대차본체(5)의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있으며, 실시형태1과 동일부재에는 동일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14∼도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차본체(5)상에는, 제1지지축(22)을 고정 축받이부재(21)를 개재해서 지지하는 고정가대(100)와, 가이드 레일(23,23A)을 개재해서 전후방향(주행방향)으로 주행(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가동가대(101)가 설치되어 있다. 제2지지축(25)은, 가동가대(101)의 지주부(101a)상에 가동 축받이부재(24)를 개재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제1지지축(22) 및 제2지지축(25)은, 대차본체(5)로부터 소정높이의 동일 수평면상에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1지지축(22)과 제2지지축(25)의 일단측에는, 커버 플레이트(P)의 관통공간(Pa)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원판형상의 구획 플레이트(102)가 부착되어 있다.
크랭크식의 승강장치(6)의 암구동장치(71)는, 도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가대(100)의 제1지지축(22)에 고정된 승강용의 제1수동레버(29)와, 상기 제1수동레버(29)를 회동시키는 나사식의 제1직선구동장치(72)와, 축압식의 승강지원장치(81)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제1직선구동장치(72)는, 제1볼나사축(73), 제1가동체(76), 제1중간링크바(78), 승강구동장치(79) 등으로 구성되고, 승강구동장치(79)에 회전구동되는 제1볼나사축(73)에 제1암나사부재(75)를 개재해서 제1수동레버(29)의 유단부가 연결된 것이다.
상기 제1볼나사축(73)은, 대차본체(5)의 타측부(딥조(D) 반대측)에서 주행방향의 전후위치에 부착된 축받이부재(74,74) 사이에 전후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가동체(76)는, 상기 대차본체(5)상의 가이드 레일(77)에 주행(이동) 가능하게 안내되고, 상기 제1볼나사축(73)에 나사결합된 암나사부재(75)를 갖는다.
상기 제1중간링크바(78)는, 상기 제1수동레버(29)의 유단부와 상기 제1가동체(76) 사이에 수평핀을 개재해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승강구동장치(79)는, 상기 제1볼나사축(73)의 후단부에 연결되어서 제1볼나사축(73)을 회전구동한다.
여기에서, 승강구동장치(79)에 의해 제1볼나사축(73)이 회전되면, 암나사부재(75)를 개재해서 제1가동체(76)가 전후방향으로 스트로크(S1)의 범위에서 왕복 이동되고, 이 제1가동체(76)와 연결된 제1중간링크바(78)를 개재해서 제1수동레버(29)가 실선과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범위(Q1)에서 왕복회동된다. 이것에 의해, 도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대차(1)는 제1지지축(22)을 개재해서 요동암(8)을 소정 범위에서 회동시켜서 크랭크암(7)을 회동시키고, 유단지지축(27)을 연직궤적(J)을 따라 상한위치와 하한위치 사이에서 이동시켜, 매달기 지지장치(9)를 승강시킬 수 있다.
승강지원장치(81)는, 상기 제1가동체(76)에 피스톤로드(82a)가 연결된 에어식의 가압용 실린더(82)와, 가압용 실린더(82)에 소정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축압탱크(축압기)(83)로 구성된다. 즉, 도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용 실린더(82)의 수축실(82c)은, 축압탱크(83)와 접속되어 있는 에어공급관(84)이 접속되고, 진전실(82b)은 소음기를 개재해서 대기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또 축압탱크(83)에는 포트(85a)로부터 역지밸브를 통해 에어를 공급하는 축압보충관(85)이 접속되어 있다. 또 축압보충관(85)에 접속된 배기관(86)에는, 축압탱크(83)의 공기압을 검출하는 압력계(87)와, 축압탱크(83)의 공기압을 소정값으로 유지하는 안전밸브(88)와, 소음기가 설치되어 있다. 축압탱크(83)의 공기압이 소정압 이하로 되면, 예를 들면 입출고위치(K)에서 에어공급유닛(도시생략)으로부터 포트(85a)를 통해 축압탱크(83)에 에어가 보충된다. 따라서, 축압탱크(83)의 공기압에 의해, 가압용 실린더(82), 제1가동체(76), 제1중간링크바(78)를 개재해서 제1수동레버(29)가 요동되어, 매달기 지지장치(9)가 상방으로 가압된다.
가동가대(101)에 배치된 자세조정장치(91)는, 도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지지축(25)으로부터 돌출된 제2수동레버(53)와, 제2수동레버(53)를 회동시키는 제2직선구동장치(92)와, 크랭크암(7)에 구비된 자세조정용의 전동장치(52)로 구성되어 있다. 이 자세조정장치(91)는, 매달기 지지장치(9)에 의해 매달기 프레임(45)에 유지된 차체(M)를 앞으로 기울어진 자세, 수평자세 및 뒤로 기울어진 자세로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2직선구동장치(92)는, 제2볼나사축(93), 제2가동체(96), 제2중간링크바(98), 자세조정 구동장치(99) 등으로 구성되고, 자세조정 구동장치(99)에 회전구동되는 제2볼나사축(93)에 제2암나사부재(95)를 개재해서 제2수동레버(53)의 유단부가 연결된 것이다.
상기 제2볼나사축(93)은, 대차본체(5)의 일측부(딥조(D)측)에 부착된 축받이부재(94,94) 사이에 제2지지축(25)의 주행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가동체(96)는, 상기 가동가대(101)상의 가이드 레일(97)에 주행(이동) 가능하게 안내되고, 상기 제2볼나사축(93)에 나사결합된 암나사부재(95)를 갖는다.
상기 제2중간링크바(98)는, 상기 제2수동레버(53)의 유단부와 상기 제2가동체(96) 사이에 수평핀을 개재해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자세조정 구동장치(99)는, 상기 제2볼나사축(93)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여기에서, 자세조정 구동장치(99)에 의해 제2볼나사축(93)이 회전되면, 암나사부재(95)를 개재해서 제2가동체(96)가 전후방향으로 실선과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S2의 범위를 이동하고, 제2가동체(96)와 연결된 제1중간링크바(98)를 개재해서 제2수동레버(53)가 Q2의 범위에서 요동되어 제2지지축(25)이 회동된다.
또한, 도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2에서는, 반송대차(1)의 주행 장치로서 타동식 주행장치가 채용되고 있다. 즉, 대차본체(5)의 하부에 주행방향을 따라 마찰판(마찰부)(111)이 수직설치되고, 주행레일(G)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유전식 가압롤러(112) 및 구동식 가압롤러(113)가 설치되고, 구동식 가압롤러(113)를 회전구동하는 전동식의 주행용 회전구동장치(롤러구동장치)(114)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각 반송대차(1)를 경량화, 간이화할 수 있어, 비용저감에 기여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의 도장라인의 동작은, 실시형태1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실시형태1과 비교해서, 크랭크식의 승강장치(6)와 자세조정장치(51)의 제1, 제2직선구동장치(72,92)의 볼나사축(73,93)이 각각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었기 때문에, 반송대차(1)의 전체높이를 낮게 형성할 수 있고, 도장라인설비의 건물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승강지원장치(81)는 축압탱크(83)로부터 공급되는 고압공기를 이용해서 가압용 실린더(82)에 의해 제1가동체(76)를 후방으로 가압하고, 일정한 구동력에 의해 크랭크암(7)을 상방으로 회동가압하도록 구성했으므로,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안전밸브(88)를 압력조정 가능한 조정밸브로 하고, 차체(M)의 중량에 대응해서 축압탱크(83)의 공기압을 변경함으로써, 더욱 원활하게 승강이 가능해진다.
[실시형태3]
앞의 실시형태1, 2에서는, 평행링크기구를 갖는 매달기 지지장치(9)를 구비하고 있었지만, 실시형태3에서는 역사다리꼴의 링크기구를 갖는 매달기 지지장치(121)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고, 도21∼도2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앞의 평행링크기구에서는, 상부 빔(43)과 연결 빔(하부 빔)(46)이 항상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자세조정장치(51)에 의해 경사지는 상부 빔(43)의 경사각도와 연결 빔(46)(차체(M))의 경사각도가 항상 동일했다. 여기에서, 후술하는 캠롤러(131) 및 캠레일(132)이나 실린더장치 등으로부터의 외력에 의해 평행링크를 변형시키고자 한 경우, 상부 빔(43)과 연결 빔(46)의 경사각도는 동일하기 때문에, 차체(M)의 자세를 조정할 수 없다.
그러나, 역사다리꼴의 링크기구를 갖는 매달기 지지장치(121)를 사용한 경우, 연결 빔(126)(차체(M))의 경사각도(θd)가 자세조정장치(51)에 의해 경사지는 상부 빔의 각도(θu)보다 커지고, 자세조정장치(51)에 의해 조정되는 상부 빔(126)의 경사각도를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외력을 가해서 매달기 지지장치(121)를 변형시킨 경우, 상부 빔(123)이 고정되어 있어도, 연결 빔(126)을 경사시켜서 차체(M)의 자세를 조정할 수 있다.
도2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매달기 지지장치(121)는, 상부 빔(123)과 매달기 프레임(125,l25)과 연결 빔(하부 빔)(126)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상부 빔(123)은, 중앙부에 크랭크암(7)의 유단부가 유전지지축(27)을 개재해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매달기 프레임(125,125)은, 상기 상부 빔(123)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매달기 핀(124,124)을 개재해서 회동가능하게 매달려져 있다. 또한, 매달기 프레임재(125)는 그 중간부에 내측으로 절곡된 단차부(125a)가 형성되고, 매달기핀(124,124) 사이의 상부 빔(123)의 길이(Lu)보다, 매달기 프레임재(125)의 연결부간의 연결 빔(126)의 길이(Ld)가 짧게 된 역사다리꼴의 링크기구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 빔(126)은, 양단부가 상기 전후의 매달기 프레임재(125)의 하부간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 연결 빔(126)에 유지구(11)를 설치한 점, 수직부와 수평지지부에 의해 앞면에서 볼 때 L형상으로 형성된 점은, 상기 실시형태1, 2와 같다.
따라서, 도21B, 도2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세조정장치(51)에 의해 유전지지축(27)을 개재해서 매달기부재(122)를 회동시키고, 상부 빔(123)을 경사각(θu)만큼 경사시키면, 역사다리꼴의 링크기구에 의해, 연결 빔(126)이 경사각(θu)보다 큰 경사각(θd)으로 경동되어, 차체(M)를 크게 경사시킬 수 있다.
또한, 도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매달기 지지장치(121)의 매달기 프레임(125,125)이나 연결 빔(126)에 캠롤러(131)를 설치함과 아울러, 딥조(D)의 가장자리 등의 외부측에 캠롤러(131)가 접촉하는 캠레일(132)을 설치해서, 매달기 지지장치(121)에 외력을 가한 경우, 역사다리꼴의 링크기구를 갖는 매달기 지지장치(121)는 변형되기 때문에, 차체(M)를 경사자세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반송대차(1)는, 자세조정장치(51)를 작동시키지 않고, 소정위치에서 차체(M)의 자세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직선구동장치(31,54,72,92)는 각각 나사축식을 채용하고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린더식이나 랙·피니언식 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실시형태4]
본 발명에 따른 도장라인설비의 실시형태4를 도23∼도28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4는, 앞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승강장치(6)의 암구동장치(28,71)와, 자세조정장치(51,91)가 변경된 것으로, 특히 소형, 경량의 차체(M)에 바람직하게 구성되고, 대차본체(5)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실시형태1∼3과 동일부재에는 동일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23∼도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차본체(5)의 주행방향의 전부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가대(100)에는 고정 축받이부재(21)를 개재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중공상의 제1지지축(201)이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대차본체(5)의 주행방향의 후부에는 가동가대(101)가 가이드 레일(23)을 통해 전후방향(주행방향)으로 주행(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이 가동가대(101)에는 가동 축받이부재(24)를 개재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중공상의 제2지지축(202)이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차체(M)를 승강시키기 위한 암구동장치(203)는, 회전구동장치(전동모터(204a)+감속기(204b))(204)의 출력축에 기계식 전동장치인 승강용 전동기어장치(205)를 개재해서 제1지지축(201)에 연결 연동되어 있다. 즉, 상기 제1지지축(201)의 일단측(딥조(D)측)에 요동암(8)이 고정되고, 제1지지축(201)의 중간부에 수동기어(205a)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1지지축(201)에 평행한 중간구동축(206)이 축받이부재(207)를 개재해서 고정가대(100)상에 설치되고, 고정가대(100)에 설치된 상기 회전구동장치(204)의 출력축에 중간구동축(206)이 연결 연동되어 있다. 그리고, 이 중간구동축(206)에 상기 수동기어(205a)에 나사결합되는 구동 피니언(205b)이 고정되고, 수동기어(205a)와 구동 피니언(205b)에 의해 승강용 전동기어장치(205)가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수동기어(205a)는, 소정범위(180°이하)에서 왕복회동되므로, 부채형상 기어가 채용되어 경량화가 꾀해지고 있다. 도25에 있어서, 208은 가동가대(101)측에 전원케이블이나 신호케이블을 수용한 케이블베어이다.
차체(M)의 자세를 변경하는 자세조정장치(211)의 가동가대(101)에는 자세조정 구동장치(전동모터(212a)+감속기(212b))(21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자세조정장치(211)는, 자세조정 구동장치(212)의 출력축에 연결된 중간구동축(214)에 기계식 전동장치인 자세조정용 전동기어장치(213)를 개재해서 제2지지축(202)이 연결 연동되어 있다. 상기 제2지지축(202)은, 일단측(딥조(D)측)에 크랭크암(7)이 고정되고, 타단부에 자세조정용의 전동기어장치(213)의 수동기어(213a)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동기어(213a)에 맞물려지는 구동 피니언((213b)이 상기 중간구동축(214)에 고정되어서 연결 연동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수동기어(213a)는, 소정범위에서 왕복 회동되기 때문에, 부채형상 기어가 채용되어서 경량화가 꾀해지고 있다.
그런데, 도장용의 딥조(D)내에는 도장용 전극판(도시생략)이 배치되고, 상기 도장용 전극판과 차체(M)의 전위차를 이용해서 균질하게 도장하는 전착도장이 행해지고 있다. 이 때문에, 매달기 지지장치(9)를 개재해서 차체(M)에 도통되는 도전장치(231)와, 크랭크암(7)과 매달기 지지장치(9)를 절연시키는 절연구조부(221)가 설치되어 있다.
도28A, 도28B를 참조해서 크랭크암(7)과 매달기 지지장치(9)의 절연구조부(221)를 설명한다. 상부 빔(43)은 그 중앙부에 매달기부재(220)가 부착되고, 이 매달기부재(220)에 유단지지축(27)을 개재해서 크랭크암(7)의 유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매달기부재(220)는 상부 빔(43)에 매달기지지핀(222)을 개재해서 연결된 역삼각형상이며 폭방향으로 한 쌍의 매달기 플레이트(223)와, 이들 매달기 플레이트(223) 사이에 배치되어서 주행방향에 있어서 전후에 한 쌍의 2조의 앵글형상의 연결 플레이트(224)로 이루어진다. 유단지지축(27)은 좌우의 매달기 플레이트(223)의 상부중앙에 체결볼트에 의해 연결 고정되어 있다. 또 좌우의 매달기 플레이트(223)에 의해 유단지지축(27)의 전후에는 각각 연결 볼트(228)가 연결 고정되고, 각 연결 플레이트(224)는 회전가능하게 외측에서 끼워진 각통체(225)에, 주행방향에 있어서 전후에 한 쌍의 연결 플레이트(224)의 상단부가 연결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절연 구조(221)는, 상부 빔(43)과 매달기지지핀(222) 사이에 끼워맞춰진 제1절연통(226)과, 연결볼트(228)와 각통체(225) 사이에 끼워맞춰진 제2절연통(227)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절연구조(221)에 의해, 매달기 지지장치(9)가 크랭크암(7)에 확실하게 지지되고, 크랭크암(7)과 매달기 지지장치(9)가 양호에 절연된다.
상기 도전장치(231)는, 주 도전케이블(232)과 부 도전케이블(233)을 구비한다. 도23, 도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대차(1)의 도통장치(도시생략)에 접속 된 주 도전케이블(232)은, 제1지지축(201)의 중공부를 통과해서 인출되고, 요동암(8)으로부터 크랭크암(7)을 통과해서 한쪽의 상기 연결 플레이트(224)에 연결된다. 이것에 의해, 매달기 지지장치(9)가 도통되어 예를 들면 마이너스의 전위가 유지된다. 부 도전케이블(233)은, 상부 빔(43)과 매달기 프레임(45)의 수직부(45a)의 회동부를 우회해서 연결되고, 도전성을 양호하게 확보하고 있다. 또한 매달기 지지장치(9)와 차체(M)가 유지구(11)를 개재해서 도통되어 있다.
상기 실시형태4에 따르면, 차체(M)를 승강시키기 위한 암구동장치(203)가 회전구동장치(204)의 출력축에 승강용 전동기어장치(205)를 개재해서 제1지지축(201)에 연결 연동되어 있다. 또한, 차체(M)의 자세를 변경하는 자세조정장치(211)가, 자세조정 구동장치(212)의 출력축에 자세조정용 전동기어장치(213)를 개재해서 제2지지축(202)에 연결 연동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4는 실시형태1∼3에서 나타낸 제1직선구동장치(31,72)를 갖는 암구동장치(28) 및 제2직선구동장치(54,92)를 갖는 자세조정 구동장치(58)와 비교해서 부품점수를 대폭 삭감할 수 있고, 대차본체(5)의 전후 좌우폭과 높이를 충분히 감소시킬 수 있어, 반송대차(1) 전체를 경량화 및 컴팩트화할 수 있다. 또 구조가 간이화되기 때문에, 제조비용 및 보수관리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크랭크암(7)과 매달기 지지장치(9)의 절연구조부(221)에 의해 매달기 지지장치(9)가 양호하게 절연되고, 또 도전장치(131)에 의해 매달기 지지장치(9)를 개재해서 차체(M)를 양호하게 도통해서 전위가 유지됨으로써, 전착도장을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실시형태4의 변형형태]
다음에 도29, 도30을 참조해서, 실시형태4에 있어서의 암구동장치(203) 및 자세조정장치(211)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상기 실시형태4에서는, 기계식 전동장치로서 기어를 이용한 승강용 전동기어장치(215) 및 자세조정용 전동기어장치(213)가 채용되고 있지만, 이 변형예에서는 체인을 이용해서 승강용 권취전동장치(241) 및 자세조정용 권취전동장치(251)로 한 것이다.
즉, 상기 승강용 권취전동장치(241) 및 자세조정용 권취전동장치(251)는, 수동 스프로킷(242,252)과 중간구동축(206,214)의 구동 스프로킷(243,253)과 구동체인(244,254)과 텐션용 스프로킷(245,255)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동 스프로킷(242,252)은, 부채꼴로 형성되고, 제1지지축(201), 제2지지축(202)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상기 구동 스프로킷(243,253)은, 회전구동장치(204), 자세조정 구동장치(212)의 출력축에 연결 연동되어 있다.
상기 구동체인(244,254)은, 양단이 수동 스프로킷(242,252)의 톱니부의 양단에 연결되어 수동 스프로킷(242,252)으로부터 구동 스프로킷(243,253)에 걸쳐 감겨져 있다.
상기 텐션용 스프로킷(245,255)은, 수동 스프로킷(242,252)과 구동 스프로킷(243,253) 사이에서 구동체인(244,254)을 각각 당기고 있다.
따라서, 회전구동장치(204), 자세조정 구동장치(212)의 회전력이 구동체인(244,254)을 통해 제1지지축(201), 제2지지축(202)에 각각 동력전달되므로, 차체(M)의 승강과 자세조정을 각각 행할 수 있다.
상기 변형예에 따르면, 실시형태4와 동일 작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 실시형태4와 동 변형형태에서는, 회전구동장치(204), 자세조정 구동장치(212)의 출력축과 제1, 제2지지축(201,202) 사이에 기계식 전동장치(205,213,241,251)를 개재시켰지만, 회전구동장치(204), 자세조정 구동장치(212)의 출력축과 제1, 제2지지축(201,202)을 직접 연결할 수도 있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암구동장치(28,71)는 제1지지축(22)을 회전시키도록 구성했지만, 제2지지축(25)을 암구동용과 자세조정용의 2중축으로 해서 회전구동할 수도 있다. 또 지지축(22,25)의 회전구동 대신에 직선구동장치에 의해 고정 축받이부재(21)와 가동 축받이부재(24) 중 적어도 한쪽을 다른 쪽에 대해서 접근이간 이동시키는 구조로 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피반송체를 보다 연직방향에 가까운 이동궤적으로 승강시킴으로써 피반송체의 위치제어가 용이하게 되고, 처리를 위한 승강동작을 보다 간단한 제어로 실시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장라인설비의 실시예1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동 반송대차의 도장작업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3은, 동 반송대차의 도장작업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4는, 동 반송대차를 구비한 도장라인설비의 전체 개략 평면도,
도5는, 동 반송대차의 승강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6은, 도5에 나타내는 반송대차의 평면도,
도7은, 동 반송대차의 매달기 지지장치의 수평반송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8은, 동 반송대차의 매달기 지지장치의 경사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9는, 동 반송대차의 매달기 지지장치의 최대 경사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10은, 동 반송대차에 의한 차체의 도장작업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11은, 동 차체의 도장작업의 연속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12는, 주행형식이 다른 반송대차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13은, 주행형식이 다른 반송대차의 도장작업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1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장라인설비의 실시예2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15는, 동 반송대차의 전체 평면도,
도16은, 도15에 나타내는 I-I 단면도,
도17은, 도15에 나타내는 II-II 단면도,
도18은, 동 반송대차의 정면도,
도19A는, 승강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19B는, 승강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19C는, 승강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20은, 동 반송대차의 승강지원장치의 구성도,
도21A는, 발명에 따른 도장라인설비(반송설비)의 실시예3을 나타내며, 매달기 지지장치의 자세조정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 21B는, 동 매달기 지지장치의 자세조정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21C는, 동 매달기 지지장치의 자세조정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22는, 동 매달기 지지장치의 다른 자세조정방법을 설명하는 개략 측면도,
도2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장라인설비의 실시예4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4는, 동 반송대차의 측면도,
도25는, 동 반송대차의 평면도,
도26은, 동 반송대차의 정면도,
도27은, 동 반송대차 암구동장치 및 자세조정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28A는, 동 크랭크암과 매달기 지지장치의 절연구조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28B는, 도28A에 나타내는 F-F 단면도,
도29는, 도장라인설비(반송설비)의 실시예4의 변형예를 나타내며, 암구동장치 및 자세조정장치의 측면도,
도30은, 동 암구동장치 및 자세조정장치의 평면도.

Claims (13)

  1. 이동체(반송대차(1))를 처리액조(딥조(D))가 설치된 처리라인(도장라인(R))을 따라 주행가능하게 배치하고, 상기 이동체에 유지된 피반송체(차체(M))를 처리액에 침지시켜 처리하는 처리공정용 반송설비로서,
    상기 이동체에,
    상기 피반송체(M)를 자세조정 가능하게 유지하는 매달기 지지장치(9);
    상기 처리액조(D)에 대응해서 상기 매달기 지지장치(9)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크랭크식 승강장치(6)); 및
    상기 매달기 지지장치(9)를 작동시켜 상기 피반송체(M)의 자세를 조정하는 자세조정장치(51,91)를 설치하고,
    상기 승강장치(6)는,
    상기 이동체(1)의 주행방향의 전후 한쪽에 주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제1지지축(22);
    상기 이동체(1)의 주행방향의 전후 다른 쪽에 상기 제1지지축(22)과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지지축(22)에 대해서 접근이간 가능한 제2지지축(25);
    상기 제2지지축(25)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서, 유단부에 유단지지축(27)을 개재해서 상기 매달기 지지장치(9)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크랭크암(7);
    상기 제1지지축(22)에 고정되고, 유단부가 상기 크랭크암(7)의 중간위치에 연결축(26)을 개재해서 연결된 요동암(8); 및
    상기 크랭크암(7)을 상기 제2지지축(25)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암구동장치(28,7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공정용 반송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축(25)으로부터 상기 연결축(26)까지의 상기 크랭크암(7)의 길이;
    상기 연결축(26)으로부터 상기 유단지지축(27)까지의 상기 크랭크암(7)의 길이; 및
    상기 제1지지축(22)으로부터 상기 연결축(26)까지의 상기 요동암(8)의 길이를 대략 동일 또는 동일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공정용 반송설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구동장치(28,71)는,
    상기 제1지지축(22)을 회전구동하고 상기 요동암(8)을 개재해서 상기 크랭크암(7)을 회동시키는 장치;
    또는 상기 제2지지축(25)을 회전구동해서 상기 크랭크암(7)을 회동시키는 장치;
    또는 상기 제2지지축(25)을 상기 제1지지축(22)에 대해서 접근이간 구동시켜 상기 요동암(8)을 개재해서 상기 크랭크암(7)을 회동시키는 장치 중으로부터 1개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공정용 반송설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구동장치(28,71)는,
    상기 제1지지축(22)에 고정된 제1수동레버(29); 및
    상기 제1수동레버(29)를 밀고당기기 구동하는 직선구동장치(제1직선구동장치(31,7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공정용 반송설비.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구동장치(28)는,
    상기 제1지지축(22)을 직접, 또는 기계식 전동장치를 개재해서 회전구동하는 회전구동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공정용 반송설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암구동장치(28)는, 상기 직선구동장치(31)의 부하를 경감시키는 승강지원장치(38)를 가지며,
    상기 승강지원장치(38)는 레버(제1수동레버(29))를 개재해서 상기 제1지지축(22)을 구동방향으로 회동가압하는 밸런스 웨이트(3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공정용 반송설비.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암구동장치(71)는, 상기 직선구동장치(72)의 부하를 경감시키는 승강지원장치(81)를 가지며,
    상기 승강지원장치(81)는 상기 레버(제1수동레버(29))를 개재해서 상기 제1지지축(22)을 구동방향으로 회동가압하는 에어식 가압용 실린더(82)와, 상기 가압용 실린더(82)에 소정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축압기(축압탱크(8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공정용 반송설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조정장치(51,91)는,
    상기 제2지지축(25)에 고정된 제2수동레버(53);
    상기 제2수동레버(53)를 밀고당기기 구동하는 직선구동장치(제2직선구동장치(54,92)); 및
    상기 제2지지축(25)과 상기 유단지지축(27)을 연결 연동하는 전동장치(5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공정용 반송설비.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달기 지지장치(9)는,
    서로 평행한 상부 빔(43) 및 하부 빔(연결 빔(46))과, 상기 상부 빔(43) 및 상기 하부 빔(46)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주행방향에 있어서 전후에 한 쌍의 매달기 프레임재(45)로 이루어지는 평행링크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크랭크암(7)의 유단부에 상기 유단지지축(27)을 개재해서 상기 상부 빔(43)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하부 빔(46)에 상기 피반송체(M)의 유지구(1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공정용 반송설비.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달기 지지장치(9)는,
    서로 평행한 상부 빔(123) 및 하부 빔(연결 빔(126))과, 상기 상부 빔(123) 및 상기 하부 빔(126)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주행방향에 있어서 전후에 한 쌍의 매달기 프레임재(125)를 갖고, 상기 매달기 프레임재(125)의 연결부간의 상기 상부 빔(123)의 길이보다, 상기 매달기 프레임재(125)의 연결부간의 상기 하부 빔(126)의 길이가 짧게 형성된 역사다리꼴의 링크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크랭크암(7)의 유단부에 상기 유단지지축(27)을 개재해서 상기 상부 빔(123)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하부 빔(126)에 상기 피반송체(M)의 유지구(1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공정용 반송설비.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1)가 상기 처리액조(D)의 일측부를 따라 주행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크랭크암(7)의 유단부에, 상기 유단지지축(27)을 개재해서 상기 매달기 지지장치(9)가 캔틸레버상으로 지지되고,
    상기 매달기 지지장치(9)의 상기 매달기 프레임재(45,125)가, 상기 상부 빔(43)으로부터 회동가능하게 수직설치된 수직부(45a)와, 상기 수직부(45a)의 하단측으로부터 상기 처리액조(D)측으로 돌출된 수평지지부(45c)에 의해 앞면에서 볼 때 L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공정용 반송설비.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1)를, 상기 처리라인(R)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는 주행레일(G)에 차륜(2,3,4)을 통해 주행가능한 반송대차(1)에 의해 구성하고,
    상기 반송대차(1)에, 상기 차륜(2,3,4) 중 1개이상을 회전시켜서 주행구동하는 주행구동장치(14)를 갖는 자주식 주행장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공정용 반송설비.
  13.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1)를, 상기 처리라인(R)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는 주행레일(G)에 차륜(2,3,4)을 통해 주행가능한 반송대차(1)에 의해 구성하고,
    상기 반송대차(1)를 주행구동하는 타동식 주행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타동식 주행장치는,
    상기 처리라인(R)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어 있는 가압롤러(112,113);
    상기 가압롤러(113)를 회전구동하는 롤러구동장치(주행용 회전구동장치(114)); 및
    상기 반송대차(1)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롤러가 접촉하는 마찰부(마찰판(11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공정용 반송설비.
KR1020040112188A 2003-12-26 2004-12-24 처리공정용 반송설비 KR1010131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431721 2003-12-26
JPJP-P-2003-00431721 2003-12-26
JPJP-P-2004-00130552 2004-04-27
JP2004130552 2004-04-27
JP2004325771A JP4557683B2 (ja) 2003-12-26 2004-11-10 搬送設備
JPJP-P-2004-00325771 2004-11-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7077A true KR20050067077A (ko) 2005-06-30
KR101013115B1 KR101013115B1 (ko) 2011-02-14

Family

ID=34557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2188A KR101013115B1 (ko) 2003-12-26 2004-12-24 처리공정용 반송설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7134541B2 (ko)
EP (1) EP1547947B1 (ko)
JP (1) JP4557683B2 (ko)
KR (1) KR101013115B1 (ko)
CN (1) CN1636844B (ko)
CA (1) CA2490099C (ko)
ES (1) ES2293154T3 (ko)
MX (1) MXPA0401263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57683B2 (ja) * 2003-12-26 2010-10-06 株式会社大気社 搬送設備
JP4065926B2 (ja) * 2004-10-21 2008-03-26 株式会社ダイフク 台車式搬送装置
JP4925615B2 (ja) * 2005-06-29 2012-05-09 株式会社大気社 搬送設備
DE102005034582B4 (de) * 2005-07-25 2007-11-08 Eisenmann Anlagenbau Gmbh & Co. Kg Fördersystem und Verfahren zum gleichzeitigen Transport von Werkstücken und Monteuren in einer Fertigungslinie
JP4714160B2 (ja) * 2006-02-17 2011-06-29 株式会社ダイフク 貫通部遮蔽構造
RU2412101C2 (ru) * 2007-01-30 2011-02-20 Дайфуку Ко., Лтд. Транспор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тележки
JP2008189963A (ja) * 2007-02-02 2008-08-21 Nippon Paint Co Ltd 電着塗装方法および水洗工程を短縮もしくは水洗水の使用量の削減方法
ITMI20070429A1 (it) * 2007-03-02 2008-09-03 Geico Spa Dispositivo di movimentazione atto a fare traslare immergere e ruotare le scocche di autoveicoli furgoni cabine per camions e contenitori di oggetti metallici vari in vasche di trattamento e successivamente ad estrarle
EP2231492B1 (de) * 2007-12-28 2017-09-06 Eisenmann SE Tauchbehandlungsanlage
ITMI20080037A1 (it) * 2008-01-10 2009-07-11 Geico Spa Dispositivo di movimentazione perfezionato atto a fare traslare, immergere e ruotare le scocche di autoveicoli, furgoni, cabine per autocarri e contenitori di oggetti metallici vari in vasche di trattamento e successivamente ad estrarle.
DE102008010401A1 (de) * 2008-02-21 2009-10-01 Eisenmann Anlagenbau Gmbh & Co. Kg Hängebahnsystem und Tauchbehandlungsanlage mit einem solchen
DE102008010400A1 (de) * 2008-02-21 2009-10-29 Eisenmann Anlagenbau Gmbh & Co. Kg Hängebahnsystem und Tauchbehandlungsanlage mit einem solchen
JP5283930B2 (ja) * 2008-03-05 2013-09-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搬送装置
DE102008036321A1 (de) * 2008-07-29 2010-02-04 Dürr Systems GmbH Lackieranlage zum Lackieren von zu lackierenden Gegenständen
DE102009051316B4 (de) * 2009-10-29 2015-11-05 Eisenmann Ag Anlage zum Behandeln, insbesondere zum kataphoretischen Tauchlackieren, von Gegenständen
WO2011123878A1 (de) * 2010-04-09 2011-10-13 Alex Fehberger Vorrichtung zum befördern eines zu behandelnden gegenstandes
CN101817448A (zh) * 2010-04-09 2010-09-01 无锡市顺达物流涂装设备有限公司 一种双轨悬挂式输送装置
DE202010012481U1 (de) * 2010-09-10 2010-12-16 Eisenmann Anlagenbau Gmbh & Co. Kg Tauchbehandlungsanlage
DE102010045010A1 (de) * 2010-09-10 2012-03-15 Eisenmann Ag Fördereinheit und Fördersystem zum Fördern von Fahrzeugkarosserien sowie Anlage zur Behandlung von Fahrzeugkarosserien
DE102011101278B4 (de) * 2011-05-12 2017-01-26 Eisenmann Se Anlage zum Behandeln, insbesondere zum kataphoretischen Tauchlackieren von Gegenständen, insbesondere von Fahrzeugkarosserien
CN102357610B (zh) * 2011-10-18 2015-05-20 江苏尚诚精密模具科技有限公司 洗衣机箱体冲压线移料装置
CN103084909B (zh) * 2011-10-31 2015-11-2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搬运装置
CN102616668A (zh) * 2012-01-18 2012-08-01 清华大学 一种缆绳牵引汽车涂装输送机
DE102012003271B4 (de) 2012-02-21 2017-06-01 Eisenmann Se Tauchbehandlungsanlage
US9016464B2 (en) 2012-04-04 2015-04-28 Sst Systems, Inc. Tilting multiplier
CN102658969B (zh) * 2012-05-12 2014-01-08 山西东杰智能物流装备股份有限公司 在线可控式转向装置
CN102826483A (zh) * 2012-08-01 2012-12-19 无锡市福曼科技有限公司 一种马达驱动升降导杆的装置
JP2014190114A (ja) * 2013-03-28 2014-10-06 Daifuku Co Ltd 搬送用走行体の走行経路構造
CN103738678B (zh) * 2013-12-05 2015-11-04 四川成焊宝玛焊接装备工程有限公司 输送小车换向装置
DE102014219764A1 (de) * 2014-09-30 2016-03-31 Dürr Systems GmbH Fördervorrichtung, Trocknungsanlage und Verfahren zum Fördern von Werkstücken
CN104692056B (zh) * 2015-01-22 2017-02-01 湖北华昌达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移行转接装置及旋转式车身涂装输送系统
CN104708240B (zh) * 2015-03-16 2016-05-25 上海鑫燕隆汽车装备制造有限公司 升降往复输送线用摆臂机构及装置
JP6190856B2 (ja) * 2015-09-10 2017-08-30 株式会社ダイフク 吊下げ搬送装置
CN105346622B (zh) * 2015-12-10 2017-08-25 湖南文理学院 一种用于废旧机动车拆解平台的车身固定架
JP6767132B2 (ja) * 2016-02-27 2020-10-14 株式会社ハイボット 吊下げ物体の姿勢安定化装置
CN106429344A (zh) * 2016-12-05 2017-02-22 龙曦 一种物料取放翻转装置
CN106868569B (zh) * 2016-12-26 2019-01-04 江苏长虹机械设计院有限公司 一种基于索并联构型的汽车涂装输送机
AT520118B1 (de) * 2017-06-30 2021-06-15 Alex Fehberger Transport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Tauchlackieren
CN108163452A (zh) * 2017-12-07 2018-06-15 中国汽车工业工程有限公司 一种设置有轨道补偿结构的升降机
IT201900001557A1 (it) * 2019-02-04 2020-08-04 Geico Spa Impianto per il trattamento di scocche
IT201900010710A1 (it) * 2019-07-02 2021-01-02 Jiangsu Changhong Intelligent Equip Co Ltd Apparato per il trattamento superficiale di veicoli o parti di veicoli
CN112626355A (zh) * 2020-12-07 2021-04-09 无锡华能电缆有限公司 铝液自动精炼除气装置
CN114834866B (zh) * 2022-05-23 2024-02-27 丰镇市海鹏食品股份有限公司 一种给月饼放气用下仟装置
CN117902231B (zh) * 2024-03-18 2024-05-14 山西皇城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具有纠偏装置的带式输送机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80271A (en) * 1957-02-11 1961-04-18 Yale & Towne Mfg Co Lifting mechanism for industrial truck
SE452753B (sv) * 1983-05-31 1987-12-14 Komatsu Mfg Co Ltd Anordning for lastning och/eller urlastning av arbetsstycken i och/eller fran en press eller liknande bearbetningsmaskin
US4564100A (en) * 1983-06-23 1986-01-14 Acco Babcock Inc. Carrier conveyor system
GB2182621B (en) * 1985-11-11 1989-10-04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suspendingly transporting bodies
US4749324A (en) * 1987-03-30 1988-06-07 Arthur Rulison Apparatus for lifting and positioning construction material
JP3099205B2 (ja) 1992-01-21 2000-10-16 中西金属工業株式会社 コンベヤにおけるハンガー
DE4410477C1 (de) * 1994-03-25 1995-09-14 Flaekt Ab Vorrichtung zur Oberflächenbehandlung von Fahrzeugkarosserien
TW458159U (en) * 1996-03-29 2001-10-0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ntinuous unloading machine
DE19641048C2 (de) * 1996-10-04 2000-07-20 Flaekt Ab Verfahren zum Ein- und Ausbringen von Werkstücken, insbesondere Fahrzeugkarosserien, Vorrichtung und Anlage zur Oberflächenbehandlung von Werkstücken im Durchlauf
CN1224475C (zh) * 1999-03-17 2005-10-26 穆勒魏恩加藤股份公司 传送装置
US6746720B2 (en) * 2000-01-14 2004-06-08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Conveyance apparatus and conveyance method
DE10100377B4 (de) * 2001-01-05 2006-03-02 Eisenmann Maschinenbau Gmbh & Co. Kg Anlage zum Behandeln, insbesondere zum Lackieren, von Gegenständen, insbesondere Fahrzeugkarosserien
DE10103837B4 (de) * 2001-01-29 2005-09-29 EISENMANN Fördertechnik GmbH & Co. KG Anlage zum Behandeln, insbesondere zum Lackieren von Gegenständen, insbesondere von Fahrzeugkarosserien
DE10211214C1 (de) * 2002-03-13 2003-03-06 Eisenmann Kg Maschbau Anlage zum Behandeln, insbesondere zum kataphoretischen Tauchlackieren, von Gegenständen, insbesondere von Fahrzeugkarosserien
JP4225066B2 (ja) * 2003-01-24 2009-02-18 株式会社ダイフク 搬送設備
JP4557683B2 (ja) * 2003-12-26 2010-10-06 株式会社大気社 搬送設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139158A1 (en) 2005-06-30
CA2490099C (en) 2010-10-19
CN1636844A (zh) 2005-07-13
JP2005335945A (ja) 2005-12-08
MXPA04012632A (es) 2005-08-16
US7293505B2 (en) 2007-11-13
EP1547947B1 (en) 2007-08-22
CN1636844B (zh) 2010-10-06
ES2293154T3 (es) 2008-03-16
CA2490099A1 (en) 2005-06-26
KR101013115B1 (ko) 2011-02-14
EP1547947A1 (en) 2005-06-29
JP4557683B2 (ja) 2010-10-06
US20060249351A1 (en) 2006-11-09
US7134541B2 (en) 2006-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3115B1 (ko) 처리공정용 반송설비
KR101173511B1 (ko) 반송설비
JP5013953B2 (ja) 電着塗装方法
RU2361800C2 (ru) Установка и способ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деталей вдоль участка обработки
KR100918353B1 (ko) 승강반송장치
CN1422189A (zh) 用于物体、特别是车体的处理尤其是涂漆的设备
JP2004516136A (ja) 対象物、特に車両ボディの処理、特に塗装のためのシステム
RU2278070C2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изделий,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автомобильных кузовов, прежде всего для нанесения лакокрасочного покрытия на изделия,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на автомобильные кузова
CN102712425B (zh) 用于运送物体的输送系统和具有这种输送系统的浸渍处理设备
US5417765A (en) Apparatus for cleaning a powder coating booth
US7323059B2 (en) Plant for the treatment, in particular the cataphoretic dip coating of objects, in particular of vehicle chassis
JP2008280589A (ja) 電着塗装方法
JP5053704B2 (ja) 電着塗装のための水洗方法
KR100666218B1 (ko) 타워식 컨테이너 적재시스템의 로더장치
JPH0739866Y2 (ja) 自走体使用の搬送装置
PL109177B3 (en) Trolley convey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