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2472A - 회전전달부재, 회전전달조립체 및 기어기구 - Google Patents

회전전달부재, 회전전달조립체 및 기어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2472A
KR20050052472A KR1020057002642A KR20057002642A KR20050052472A KR 20050052472 A KR20050052472 A KR 20050052472A KR 1020057002642 A KR1020057002642 A KR 1020057002642A KR 20057002642 A KR20057002642 A KR 20057002642A KR 20050052472 A KR20050052472 A KR 20050052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al transmission
hole
circumferential surface
rotational
inn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2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6110B1 (ko
Inventor
츠네오 마루야마
유지 아오키
데루오 시미즈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52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2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6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61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00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 F16D1/06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00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 F16D1/06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 F16D1/064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non-disconnectable
    • F16D1/072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non-disconnectable involving plastic deform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00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 F16D1/06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 F16D1/08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with clamping hub; with hub and longitudinal key
    • F16D1/0852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with clamping hub; with hub and longitudinal key with radial clamping between the mating surfaces of the hub and shaft
    • F16D1/0858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with clamping hub; with hub and longitudinal key with radial clamping between the mating surfaces of the hub and shaft due to the elasticity of the hub (including shrink f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17Toothed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00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 F16D1/10Quick-acting couplings in which the parts are connected by simply bringing them together axially
    • F16D2001/103Quick-acting couplings in which the parts are connected by simply bringing them together axially the torque is transmitted via splined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17Toothed wheels
    • F16H2055/176Ring gears with inner tee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49Member deformed in situ
    • Y10T403/4949Deforming component is inserted s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49Member deformed in situ
    • Y10T403/4966Deformation occurs simultaneously with 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70Interfitted members
    • Y10T403/7026Longitudinally splined or fluted rod
    • Y10T403/7035Specific angle or shape of rib, key, groove, or should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87Rotary bo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Gears, Cams (AREA)
  • Retarders (AREA)

Abstract

저비용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회전 방지 및 빠짐 방지 기능을 갖는 회전전달조립체 (30) 이다. 이 회전전달조립체 (30) 는,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주면 (13) 에 의해 형성된 대략 원통 형상의 관통구멍 (11) 을 중앙에 가지며, 외주부에 회전전달부를 포함하는 회전전달부재 (10) 와 ; 상기 관통구멍 (11) 에 압입된 내측부재 (20) ; 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전달부재 (10) 의 상기 내주면 (13) 은, 이 내주면의 일단에 인접하여 배치된 매끄러운 고리 형상의 면 (13a) 과, 상기 고리 형상의 면 (13a) 을 기준으로 하여 직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관통구멍 (11) 의 축선방향 길이의 일부에 걸쳐 연재하는 복수의 돌기 형상부 (12a) 를 구비하며, 상기 내측부재 (20) 와 상기 회전전달부재 (10) 는, 상기 돌기 형상부 (12a) 의 연재범위에 있어서 서로 맞물려, 상기 고리 형상의 면 (13a) 의 연재범위에 있어서 서로 면접촉하고 있다.

Description

회전전달부재, 회전전달조립체 및 기어기구{ROTATION TRANSMISSION MEMBER, ROTATION TRANSMISSION ASSEMBLY, AND GEAR MECHANISM}
본 발명은, 외주부에 형성된 회전전달부에 의해 서로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기어 등의 회전전달부재, 회전전달조립체 및 기어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감속기에 사용되는 유성기어기구에 있어서의 유성 기어와 같이, 기어부재 등의 회전전달부재와 베어링 등의 원주 형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부품은, 양 부재가 회전력에 의해 서로 회전하지 않도록 키홈, 스플라인, 널링, 압입 등의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키홈이나 스플라인과 같은 형상은 양 부재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각각 형성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가 있다. 또, 키홈의 경우, 키 부재를 별도로 제조하여 3 개의 부재를 조립해야 하기 때문에, 조립비용도 더욱 증가한다는 문제도 있다.
또, 단순한 압입이나 키홈, 스플라인, 평목 널링에서는 빠짐 방지 기능이 얻어지지 않기 때문에, 스러스트 방향으로 힘을 받는 회전전달부재에는 사용할 수 없다. 또한, 빠짐 방지 기능을 갖는 능목 (綾目) 널링은 통상적인 분말의 프레스 성형으로 형성할 수 없는 형상으로서, 분말야금법을 채용할 수 없기 때문에, 저렴하게 대량생산할 것이 요구되는 베어링이나 기어에는 적합하지 않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회전전달부재와, 이 회전전달부재에 끼워맞춰지는 부재를 나타내는 반단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회전전달부재의 압입구멍에 내측부재를 압입시킨 베어링이 부착된 회전전달부재를 나타내는 반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에 나타내는 회전전달부재 및 내측부재로 이루어지는 베어링이 부착된 회전전달부재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도이다.
도 4 는 유성기어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회전전달부재와, 이 회전전달부재에 끼워맞춰지는 베어링부재를 나타내는 반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5 에 나타내는 회전전달부재의 압입구멍에 베어링부재를 압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반단면도이다.
도 7 은 회전전달부재에 베어링부재를 고정하는 소성변형 공정을 나타내는 반단면도이다.
도 8 은 회전전달부재에 고정된 베어링부재의 돌출부분 및 모따기 형상을 나타내는 요부 확대도이다.
도 9 는 도 6 에 나타내는 회전전달부재 및 베어링부재로 이루어지는 베어링이 부착된 회전전달부재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도이다.
도 10 은 유성기어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회전전달부재를 구성하는 회전부재 및 이 회전부재에 끼워맞춰지는 베어링부재를 나타내는 반단면도이다.
도 12 는 도 11 에 나타내는 회전부재의 압입구멍에 베어링부재를 압입하여 끼워맞춘 상태를 나타내는 반단면도이다.
도 13 은 도 12 에 나타내는 회전부재 및 베어링부재의 직경방향의 끼워맞춤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확경 공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5 는 확경 공정에 의해 변형되어 제 2 모따기부가 형성된 베어링부재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도이다.
도 16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회전전달부재를 구성하는 회전부재 및 이 회전부재에 끼워맞춰지는 베어링부재를 나타내는 반단면도이다.
도 17 은 압입하고 끼워맞춰져 고정된 상태의 회전부재 및 베어링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 은 유성기어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저비용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회전 방지 및 빠짐 방지 기능을 갖는 회전전달부재, 회전전달조립체 및 기어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대략 원환 형상의 회전전달부와, 상기 회전전달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내주면에 의해 형성된 대략 원통 형상의 관통구멍을 가지며, 상기 회전전달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한 회전전달부재를 제공한다. 이 회전전달부재에 있어서 상기 내주면은, 이 내주면의 일단에 인접하여 배치된 매끄러운 고리 형상의 면과, 상기 고리 형상의 면을 기준으로 하여 직경방향의 내측으로 돌출되면서, 또한 상기 관통구멍의 축선방향 길이의 일부에 걸쳐 연재하는 복수의 돌기 형상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회전전달부재는, 그 관통구멍에 베어링부재 등의 내측부재가 압입되어 사용된다. 이 경우, 내측부재가 회전전달부재의 관통구멍에 대해 압입됨으로써 고정되는 것에 더하여 추가로, 내측부재의 외주면에 돌기 형상부가 파고들어감으로써 회전전달부재에 대해 강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회전전달부재와 내측부재를 컴팩트하게 걸어맞춰 미끄러지지 않고 일체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내주면의 축방향의 일부분을 차지하여 형성된 돌기 형상부가 압입된 내측부재의 외주면에 파고들어감으로써, 돌기 형상부의 압입방향 전방 (前方) 의 단면이 내측부재에 대해 맞닿아 내측부재의 압입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여, 내측부재의 축방향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주면은, 이 내주면의 일단에 인접하여 배치된 매끄러운 고리 형상의 면과, 상기 고리 형상의 면을 기준으로 하여 직경방향의 내측으로 돌출되면서, 또한 상기 관통구멍의 축선방향 길이의 일부에 걸쳐 연재하는 복수의 돌기 형상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내측부재를 고리 형상의 면에 삽입함으로써 고리 형상의 면을 가이드로 하여 내측부재가 압입되기 때문에, 조립시의 축의 쓰러짐을 방지할 수 있어, 회전전달부재에 대한 내측부재의 축의 평행이 유지되기 쉬워진다.
또, 내측부재를 고리 형상의 면으로부터 돌기 형상부로 삽입함으로써, 전체 둘레에 걸쳐 압축된 상태의 내측부재의 외주면에 대해 돌기 형상부가 파고들어가도록 압입되기 때문에, 내측부재를 균일하게 압축시키고 압입하여 끼워맞출 수 있다.
또, 이 회전전달부재는 분말성형 및 소결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전전달부와 상기 지지부는 일체로 성형된다. 즉, 분말프레스 성형에 의해 제조하는 경우, 관통구멍의 내주면을 성형하는 코어로드의 외주면에는, 돌기 형상부를 형성하기 위한 홈 형상이 절삭 또는 연삭에 의해 용이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전달부재를 분말야금법에 의해 저렴하게 대량생산할 수 있는 데다가, 회전전달부재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의 제조비용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회전전달부재에 있어서, 상기 돌기 형상부는, 상기 고리 형상의 면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관통구멍의 단부까지 직선 형상으로 연재하는 복수의 돌출조이어도 된다. 또, 상기 복수의 돌출조는, 상기 내주면의 둘레방향으로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전달부재에 의하면, 복수의 돌출조에 의해 더욱 효과적으로 양 부재의 회전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의해 형성된 대략 원통 형상의 관통구멍을 중앙에 가지며, 외주부에 회전전달부를 포함하는 회전전달부재와 ; 상기 관통구멍에 압입된 내측부재 ; 를 구비한 회전전달조립체를 제공한다. 이 회전전달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회전전달부재의 상기 내주면은, 이 내주면의 일단에 인접하여 배치된 매끄러운 고리 형상의 면과, 상기 고리 형상의 면을 기준으로 하여 직경방향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관통구멍의 축선방향 길이의 일부에 걸쳐 연재하는 복수의 돌기 형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부재와 상기 회전전달부재는 상기 돌기 형상부의 연재범위에 있어서 서로 맞물려, 상기 고리 형상의 면의 연재범위에 있어서 서로 면접촉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전달조립체에 의하면, 회전전달부재와 내측부재가 압입과, 압입되어 고밀도화된 내측부재의 외주면에 대해 돌기 형상부가 파고들어감에 따라 강고하게 고정된다. 즉, 양 부재의 압입 끼워맞춤이 축방향의 전체 길이 및 전체 둘레에 걸쳐 있는 것과, 압입에 의해 고밀도화되어 있는 내측부재의 외주면에 대한 회전전달부재 내주면의 돌기 형상부에 의한 변형저항에 의해 어긋남 방지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회전력을 받는 회전전달부재와 내측부재가 컴팩트하게 걸어맞춰져, 축방향으로도 회전방향으로도 미끄러지 않고 일체로 회전할 수 있는 회전전달조립체를 실현시킬 수 있다.
또, 돌기 형상부가 축방향의 일부분을 차지하여 형성되어 있어, 양 부재는 돌기 형상부의 압입방향 전방의 단면에서 맞닿아 압입방향의 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축방향의 어긋남이 방지된다.
상기 돌기 형상부는, 상기 고리 형상의 면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관통구멍의 단부까지 직선 형상으로 연재하는 복수의 돌출조이어도 된다. 또, 상기 복수의 돌출조는 상기 내주면의 둘레방향으로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돌출조에 의해 효과적으로 양 부재의 회전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측부재가 돌출조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에서 형성되어 있는 측으로 향해 압입됨으로써, 요컨대, 내측부재가 고리 형상의 면으로부터 돌출조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으로 삽입됨으로써, 전체 둘레에 걸쳐 압축된 상태의 내측부재의 외주면에 대해 돌기 형상부가 파고들어가도록 압입되기 때문에, 내측부재를 균일하게 압축시키고 압입하여 끼워맞출 수 있다.
또, 이 회전전달조립체는, 회전전달부재 및 내측부재를 분말성형 및 소결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즉, 회전전달부재를 분말프레스 성형에 의해 제조하는 경우, 관통구멍의 내주면을 성형하는 코어로드의 외주면에는, 돌기 형상부를 형성하기 위한 홈 형상이 절삭 또는 연삭에 의해 용이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전달부재 및 내측부재를 분말야금법에 의해 저렴하게 대량생산할 수 있는 데다가, 회전전달부재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의 제조비용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회전전달부재를 상기 회전전달부에 복수의 이를 갖는 기어로서 형성하고, 상기 내측부재를 통 형상의 베어링부재로서 형성해도 된다. 또, 이러한 회전전달부재, 즉 기어를 사용하여 기어기구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어와 베어링부재가 압입과, 압입되어 고밀도화된 베어링부재의 외주면에 대해 돌기 형상부가 파고들어감에 따라 강고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서로 회전력을 받는 기어와 베어링부재를 미끄러지지 않고 일체로 회전시킬 수 있어, 기계효율이 양호한 기어기구를 실현시킬 수 있다.
특히, 컴팩트한 구성으로 양 부재가 걸어맞춰짐으로써 기어 및 베어링부재의 소형화가 가능해지기 때문에, 예를 들어 유성기어기구의 소형화를 실현하기 위한 유성 기어로서 바람직하다.
또한, 베어링부재의 외주면으로 파고들어간 돌기 형상부에 의해 돌기 형상부의 압입방향 전방의 단면에서 기어와 베어링부재가 맞닿아 양 부재의 압입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어 축방향의 어긋남이 방지되기 때문에, 축방향으로 힘을 받더라도 어긋남을 발생시키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며, 소음이나 이상 마모 등의 발생이 방지되어 안정적으로 구동하는 기어기구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기어기구에 있어서, 돌기 형상부가 직경방향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축방향의 일단으로부터 도중까지 연장되는 돌출조이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이 돌기 형상부에 의해 효과적으로 양 부재의 회전 어긋남이 방지되기 때문에, 기계효율이 더욱 양호하게 안정적으로 구동되는 기어기구를 얻을 수 있다.
또, 베어링부재가 돌출조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에서 형성되어 있는 측으로 향해 압입됨으로써, 전체 둘레에 걸쳐 압축된 상태의 베어링부재의 외주면에 대해 돌기 형상부가 파고들어가도록 압입되기 때문에, 베어링부재를 균일하게 압축시키고 압입하여 끼워맞출 수 있어, 기어의 베어링면을 고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다.
또, 이 기어기구는, 기어 및 베어링부재를 분말성형 및 소결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즉, 기어를 분말프레스 성형에 의해 제조하는 경우, 관통구멍의 내주면을 성형하는 코어로드의 외주면에는, 돌기 형상부를 형성하기 위한 홈 형상이 절삭 또는 연삭에 의해 용이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기어 및 베어링부재를 분말야금법에 의해 저렴하게 대량생산할 수 있는 데다가, 기어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어 장치의 제조비용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기어기구를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전달부재에 있어서, 축방향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돌출조는 회전전달부재의 단면으로부터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회전전달부재에 관통구멍의 모따기나 스폿 페이싱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그 모따기나 스폿 페이싱을 제거한 관통구멍의 일단으로부터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본 발명은 또한, 회전전달부재와 내측부재를 구비한 회전전달조립체를 조립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회전전달부재는,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의해 형성된 대략 원통 형상의 관통구멍을 중앙에 가지며, 외주부에 회전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전달부재의 상기 내주면은, 이 내주면의 일단에 인접하여 배치된 매끄러운 고리 형상의 면과, 상기 고리 형상의 면을 기준으로 하여 직경방향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관통구멍의 축선방향 길이의 일부에 걸쳐 연재하는 복수의 돌기 형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부재는, 상기 고리 형상의 면의 내경보다 직경이 크며, 또한 매끄러운 외주면을 갖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내측부재를 상기 회전전달부재의 상기 고리 형상의 면에 인접하여 배치하는 단계와 ; 상기 내측부재의 일단이 상기 돌기 형상부를 넘을 때까지, 상기 내측부재를 상기 회전전달부재의 상기 관통구멍에 압입하는 단계 ;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의해 형성된 대략 원통 형상의 관통구멍을 중앙에 가지며, 외주부에 회전전달부를 포함하는 회전전달부재와 ; 상기 관통구멍보다도 축방향의 길이가 크고, 대략 원형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멍에 압입된 내측부재 ; 를 구비한 회전전달조립체를 제공한다. 이 회전전달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재의 양 단부는, 돌출부분으로서 상기 회전전달부재의 상기 내주면의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소성변형에 의해 상기 내주면의 직경보다도 직경방향의 외측으로 나와 있으며, 또한 상기 내주면의 단부에 밀착되어 있다.
상기 회전전달조립체에 의하면, 내측부재의 양 단부는, 돌출부분으로서 회전전달부재의 내주면의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소성변형에 의해 상기 내주면의 직경보다도 직경방향의 외측으로 나와 있으며, 또한 상기 내주면의 단부에 밀착되어 있다. 즉, 내측부재의 양 돌출부분 사이에 회전전달부재가 끼어 있기 때문에, 양 부재의 축방향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회전전달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재의 각 단부의 내면에는 모따기 각도가 서로 다른 복수의 모따기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내측부재의 중심구멍에 복수단의 모따기가 실시되어 있기 때문에, 이 중심구멍에 삽입되는 샤프트가 내측부재의 예각인 각부 형상에 의해 깎이거나 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회전전달조립체에 의하면, 회전방향 및 축방향의 어긋남에 의한 구동 로스나 부품 손상이 발생되기 어려워 회전력을 확실히 전달할 수 있다. 또, 이러한 형상의 회전전달부재 및 내측부재는 각각 분말프레스에 의한 성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저비용으로 대량생산을 할 수 있는 소결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회전전달부재와 내측부재의 걸어맞춤 구조가 컴팩트하기 때문에, 회전전달조립체의 소형화를 실현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전달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회전전달부재의 상기 내주면은 상기 관통구멍의 길이에 걸쳐 연재하는 복수의 돌출조를 갖고, 상기 내측부재는 변형을 동반하여 상기 복수의 돌출조와 맞물려 있다.
상기 회전전달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회전전달부재를 상기 회전전달부에 복수의 이를 갖는 기어로서 형성하고, 상기 내측부재를 베어링부재로서 형성해도 된다. 또, 이러한 회전전달조립체를 사용하여 기어기구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기어기구에 의하면, 베어링부재의 양 단부는, 돌출부분으로서 기어의 내주면의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소성변형에 의해 상기 내주면의 직경보다도 직경방향의 외측으로 나와 있으며, 또한 상기 내주면의 단부에 밀착되어 있다. 즉, 베어링부재의 양 돌출부분 사이에 기어가 끼어 있기 때문에, 양 부재의 축방향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기어기구에 있어서, 중심구멍의 축방향의 양 단부에는 각각 모따기 각도가 서로 다른 복수단의 모따기 형상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베어링부재의 중심구멍에 복수단의 모따기가 실시되어 있기 때문에, 이 중심구멍에 삽입되는 샤프트가 베어링부재의 예각인 각부 형상에 의해 깎이거나 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기어기구에 의하면, 회전 방지 및 빠짐 방지 기능을 가지며, 회전력을 확실히 전달할 수 있는 기어에 의해 기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형상의 기어부재 및 베어링부재는, 각각 분말프레스에 의한 성형이 가능하며, 소결에 의해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기어기구를 저비용으로 대량생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컴팩트한 걸어맞춤 구조에 의해 베어링부재와 기어부재가 확실히 고정된 소형 기어의 실현에 의해, 유성기어기구의 소형 고성능화를 실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회전전달부재와 내측부재를 구비한 회전전달조립체를 조립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회전전달부재는,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의해 형성된 대략 원통 형상의 관통구멍을 중앙에 가지며, 외주부에 회전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부재는, 상기 관통구멍보다도 축방향의 길이가 크고, 상기 고리 형상의 면의 내경보다 외경이 크며, 대략 원통 형상의 관통된 중심구멍을 갖는 대략 원형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내측부재를 상기 회전전달부재의 상기 관통구멍에 압입하고, 상기 내측부재의 양단을 돌출부분으로서 상기 관통구멍으로부터 돌출시키는 단계와 ; 상기 양 돌출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내주면의 직경보다도 직경방향의 외측으로 나오게 하며, 또한 상기 내주면의 단부에 밀착되도록 소성변형시키는 단계 ; 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양 돌출부분을 소성변형시키는 상기 단계는, 최대 외경이 상기 내측부재의 상기 중심구멍의 직경보다 큰 원추면을 갖는 2 개의 공구를 상기 중심구멍에 밀어넣음으로써 실시해도 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재의 양 단부의 내주는 제 1 모따기부를 갖고, 상기 2 개의 공구의 각 원추면의 정상각은, 상기 제 1 모따기부를 규정하는 원추면의 정상각보다 작으며, 상기 양 돌출부분을 소성변형시키는 상기 단계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재의 양 단부의 내주에는 상기 제 1 모따기부와는 모따기 각도가 다른 제 2 모따기부가 형성되도록 해도 된다.
상기 방법에 의하면, 내측부재의 중심구멍에 2 단 모따기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샤프트의 삽입성이 양호해지고, 또한 샤프 에지가 없어지기 때문에, 여기에 삽입되는 샤프트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관통구멍으로부터 돌출된 내측부재의 돌출부분의 외경을 관통구멍의 내경보다도 크게 함으로써, 내측부재가 회전전달부재 (관통구멍) 에 대해 축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방법에 의하면, 2 단 모따기 형상의 형성과 내측부재의 돌출부분을 확경하는 소성변형 공정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고 신속하게 회전전달부재와 내측부재를 장착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하면, 제 1 모따기부보다도 예각인 원추면을 중심구멍에 밀어넣는 것만으로, 내측부재의 중심구멍 내주면의 2 단 모따기 형상의 형성과, 돌출부분의 확경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보다 양호하게 양 부재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또한,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 1 단부로부터 제 2 단부까지 연재하는 내주면에 의해 형성된 대략 원통 형상의 관통구멍을 중앙에 가지며, 외주부에 회전전달부를 포함하는 회전전달부재와 ; 상기 관통구멍에 압입된 내측부재 ; 를 구비한 회전전달조립체를 제공한다. 이 회전전달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회전전달부재의 상기 내주면은, 상기 제 1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매끄러운 고리 형상의 면과, 상기 고리 형상의 면을 기준으로 하여 직경방향의 내측으로 돌출되면서, 또한 상기 고리 형상의 면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 2 단부까지 직선 형상으로 연재하는 복수의 돌출조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부재와 상기 회전전달부재는, 상기 돌출조의 연재범위에 있어서 서로 맞물려, 상기 고리 형상의 면의 연재범위에 있어서 서로 면접촉하고, 상기 내측부재의 일단부는, 돌출부분으로서 상기 내주면의 상기 제 2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소성변형에 의해 상기 내주면의 직경보다도 직경방향의 외측으로 나와 있으며, 또한 상기 내주면의 상기 제 2 단부에 밀착되어 있다.
상기 회전전달조립체에 의하면, 압입에 의한 고정에 더하여 추가로, 압입된 내측부재의 외주면에 돌출조가 파고들어감으로써 회전전달부재와 내측부재가 강고하게 고정된다. 또, 압입방향의 전방측에서 내측부재의 돌출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소성변형에 의해 회전전달부재의 내주면의 직경보다도 직경방향의 외측으로 나와 있기 때문에, 내측부재가 회전전달부재에 대해 압입방향의 후방으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회전력을 받는 회전전달부재와 내측부재를 컴팩트하게 걸어맞춰 축방향으로도 미끄러지지 않고 일체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돌출조가 베어링부재의 회전부재에 대한 압입방향 후방측의 단면에서 베어링부재에 대해 맞닿아 베어링부재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때문에, 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소성변형과 함께, 압입방향의 전후방향에 대한 양 부재의 어긋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회전전달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재의 각 단부의 내면에는 모따기 각도가 서로 다른 복수의 모따기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복수단의 모따기가 실시되어 있어, 중심구멍으로 삽입되는 샤프트가 베어링부재의 예각인 각부 형상에 의해 깎이거나 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회전전달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회전전달부재를 상기 회전전달부에 복수의 이를 갖는 기어로서 형성하고, 상기 내측부재를 베어링부재로서 형성해도 된다. 또, 이러한 회전전달조립체를 사용하여 기어기구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압입에 의한 고정에 더하여 추가로, 압입된 베어링부재의 외주면에 돌출조가 파고들어감으로써 기어부재와 베어링부재가 강고하게 고정된다. 또, 압입방향의 전방측에서 베어링부재에 소성변형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베어링부재가 기어부재에 대해 압입방향의 후방으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컴팩트하게 걸어맞춰져 축방향으로도 미끄러지지 않고 일체로 회전가능한 기어부재와 베어링부재로 이루어지는 회전전달조립체를 실현함으로써, 기계효율이 우수하고, 소음이나 이상 마모 등의 발생이 적은 소형 고성능의 기어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 기어기구에 의하면, 돌출조가 베어링부재의 기어부재에 대한 압입방향 후방측의 단면에서 베어링부재에 대해 맞닿아 베어링부재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때문에, 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소성변형와 함께 압입방향의 전후방향에 대한 양 부재의 어긋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기어기구에 있어서 회전전달조립체를 구성하는 기어부재와 베어링부재가 압입방향의 전후방향 (축방향) 으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기계효율이 우수하고, 소음이나 이상 마모 등의 발생이 적은 소형 고성능의 기어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기어기구에 있어서, 베어링부재에 모따기 각도가 서로 다른 복수단의 모따기 형상을 갖는 중심구멍이 축방향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복수단의 모따기가 실시되어 있어, 중심구멍에 삽입되는 샤프트가 베어링부재의 예각인 각부 형상에 의해 깎이거나 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 손상을 억제하여 작업성이 양호하게 조립할 수 있는 기어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회전전달부재와 내측부재를 구비한 회전전달조립체를 조립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회전전달부재는,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의해 형성된 대략 원통 형상의 관통구멍을 중앙에 가지며, 외주부에 회전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전달부재의 상기 내주면은, 이 내주면의 제 1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매끄러운 고리 형상의 면과, 상기 고리 형상의 면을 기준으로 하여 직경방향의 내측으로 돌출되면서, 또한 상기 고리 형상의 면의 일단으로부터 이 내주면의 제 2 단부까지 직선 형상으로 연재하는 복수의 돌출조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부재는, 상기 고리 형상의 면의 내경보다 직경이 크면서, 또한 매끄러운 외주면을 갖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내측부재를 상기 회전전달부재의 상기 내주면의 상기 제 1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하는 단계와 ; 상기 내측부재를 상기 회전전달부재의 상기 관통구멍에 압입하여, 상기 내측부재의 일단을 돌출부분으로서 상기 내주면의 상기 제 2 단부로부터 돌출시키는 단계와 ; 상기 돌출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내주면의 직경보다도 직경방향의 외측으로 나오게 하며, 또한 상기 내주면의 단부에 밀착되도록 소성변형시키는 단계 ; 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재는, 대략 원통 형상의 관통된 중심구멍을 갖는 대략 원형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분을 소성변형시키는 상기 단계는, 최대 외경이 상기 내측부재의 상기 중심구멍의 직경보다 큰 원추면을 갖는 공구를 상기 중심구멍에 밀어넣는 확경 공정에 의해 실시되어도 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재의 상기 돌출부분은 내측에 제 1 모따기부를 갖고, 상기 공구의 상기 원추면의 정상각은 상기 제 1 모따기부를 규정하는 원추면의 정상각보다 작으며, 상기 확경 공정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재의 상기 돌출부분의 내측에는 상기 제 1 모따기부와는 모따기 각도가 다른 제 2 모따기부가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방법에 의하면, 관통구멍으로부터 돌출된 내측부재의 돌출부분의 외경을 관통구멍의 내경보다도 크게 함으로써, 내측부재가 회전부재 (관통구멍) 에 대해 축방향으로 어긋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또, 중심구멍에 2 단 모따기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내측부재 (관통구멍) 로의 샤프트의 삽입성이 양호해진다. 또, 중심구멍에 샤프 에지가 없어지기 때문에, 내측부재로 샤프트를 손상시키지 않고 삽입할 수 있다.
또, 상기 방법에 의하면, 2 단 모따기 형상의 형성과 내측부재의 돌출부분을 확경하는 가공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면서 또한 신속하게 회전전달부재와 내측부재를 장착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에 의하면, 제 1 모따기부보다도 예각인 원추면을 갖는 확경용 공구를 중심구멍에 밀어넣는 것만으로, 내측부재의 중심구멍의 내주면의 2 단 모따기 형상의 형성과 돌출부분의 확경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보다 양호하게 회전전달부재와 내측부재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 ∼ 도 5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회전전달부재인 기어부재 (10) 와, 이 기어부재 (10) 에 끼워맞춰지는 내측부재인 베어링부재 (20) 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베어링부재 (20) 를 기어부재 (10) 에 부착하여 구성되는 회전전달조립체인 베어링이 부착된 회전전달부재 (30 ; 도 2) 는 감속기 등에 사용되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유성기어기구 (40) 의 유성 기어로서, 베어링부재 (20) 의 내측에 회전 지축을 삽입하여 사용된다. 이 때문에, 기어부재 (10) 는 기어에 바람직한 고강도의 재질로 형성되고, 베어링부재 (20) 는 회전 지축에 대한 슬라이딩성이 양호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어부재 (10) 는, 외주면에 기어 형상을 갖고, 축선 (O)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멍으로서의 압입구멍 (11)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압입구멍 (11) 은 대략 원통 형상의 압입면 (13) 에 의해 형성되고, 압입면 (13) 은 매끄러운 고리 형상의 면 (13a) 과, 고리 형상의 면 (13a) 을 기준으로 하여 직경방향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둘레방향으로 잇달아 형성된 복수의 돌출조 (돌기 형상부 ; 12a) 를 구비하고 있다. 압입면 (13) 의 양단에는 스폿 페이싱부 (11A) 와 모따기부 (11B) 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돌출조 (12a) 는 둘레방향으로 균등하게 배치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10°마다 18 개), 압입구멍 (11) 의 스폿 페이싱부 (11A) 측의 일단에서 모따기부 (11B) 측의 타단으로 향해 압입면 (13) 도중까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기어부재 (10) 에서는, 고리 형상의 면 (13a) 의 내경, 즉 압입구멍 (11) 의 직경을 10 ㎜ 로 하고, 이 고리 형상의 면 (13a) 에 대한 각 돌출조 (12a) 의 높이가 0.5 ∼ 10 ㎛ 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각 돌출조 (12a) 사이의 압입면 (12b) 은, 고리 형상의 면 (13a) 과 동일한 직경으로 되어 있다.
베어링부재 (20) 는 이 압입면 (13, 12b) 에 대해 조금 큰 외주면 (20a) 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형성된 기어부재 (10) 및 베어링부재 (20) 의 장착과, 양 부재를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유성 기어 (30) 에 대해 설명한다.
베어링부재 (20)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조 (12a) 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모따기부 (11B) 측에서 돌출조 (12a) 가 형성되어 있는 측으로 (도 1 의 좌측에서 우측을) 향해 압입구멍 (11) 에 압입된다. 이 때, 베어링부재 (20) 의 외주면 (20a) 은 우선 모따기부 (11B) 로 안내되어 압입면 (13) 의 매끄러운 고리 형상의 면 (13a) 에 끼워져 기울어짐 없이 압입구멍 (11) 에 맞춰진다.
그리고, 베어링부재 (20) 가 더욱 압입구멍 (11) 으로 밀어넣어지면,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입면 (12b) 에 의해 죄어지는 동시에 각 돌출조 (12a) 가 파고들어간 외주면 (20a) 에 맞물림부 (20b) 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어부재 (10) 와 베어링부재 (20) 는 압입면 (13, 12b) 과 외주면 (20a) 의 조임 결합 및 각 돌출조 (12a) 와 맞물림부 (20b) 로 이루어지는 맞물림 형상으로 고정되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장착됨으로써, 회전방향 및 축방향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는 유성 기어 (30) 가 형성된다. 즉, 돌출조 (12a) 와 맞물림부 (20b) 의 맞물림에 의해 회전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도 2 에 나타내는 축방향의 우측으로의 힘이 베어링부재 (20) 에 대해 가해졌을 때에는, 돌출조 (12a) 의 단면 (12c) 이 맞물림부 (20b) 의 단면 (20c) 에 맞닿아 어긋남이 방지된다. 이 상태로부터 베어링부재 (20) 를 기어부재 (10) 에 대해 축방향의 우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돌출조 (12a) 의 단면 (12c) 이 베어링부재 (20) 의 외주면을 깎아내는데 필요한 힘을 이겨내는 큰 힘이 필요하다.
또, 도면에서는 돌출조 (12a) 와 맞물림부 (20b) 로 이루어지는 맞물림 형상을 설명하기 위해 과장하여 크게 도시하고 있지만, 맞물람 형상의 고저의 차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0.5 ∼ 10 ㎛ 정도라 하더라도 회전방향 및 축방향의 어긋남을 방지하는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6 ∼ 도 10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베어링이 부착된 회전전달부재 (130 ; 회전전달조립체, 유성 기어) 를 구성하는 기어부재 (회전전달부재 ; 110) 및 베어링부재 (120) 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베어링부재 (120) 를 기어부재 (110) 에 부착하여 구성되는 유성 기어 (130 ; 도 7) 는, 감속기 등에 사용되는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유성기어기구 (기어기구 ; 140) 에 있어서, 베어링부재 (120) 의 중심구멍 (121) 에 회전 지축을 삽입하여 사용된다. 이 때문에, 기어부재 (110) 는 기어에 바람직한 고강도의 재질로 형성되고, 베어링부재 (120) 는 회전 지축에 대한 슬라이딩성이 양호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들 기어부재 (110) 및 베어링부재 (120) 는 분말성형 및 소결에 의해 저렴하게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기어부재 (110) 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주면에 기어 형상을 갖고, 축선 (O)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멍으로서의 압입구멍 (111)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압입구멍 (111) 의 내주면에는, 압입구멍 (111) 의 직경방향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조 (112a) 가 둘레방향으로 복수개 잇달아 형성되어 있다. 압입구멍 (111) 의 양단에는 각각 스폿 페이싱 및 모따기 가공에 의한 릴리프부 (111a) 가 형성되어 있다.
압입구멍 (111) 의 직경방향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조 (112a) 는 둘레방향으로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10°마다 18 개). 또한, 본 실시형태의 기어부재 (110) 에서는, 돌출조 (112a) 부분의 내경을 압입구멍 (111) 의 직경과 동일하게 10 ㎜ 로 하고, 이 돌출조 (112a) 와 각 돌출조 (112a) 사이의 압입면 (112b) 의 고저의 차 (널링 높이) 가 0.5 ∼ 10 ㎛ 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부재 (120) 는, 압입면 (112b) 보다도 조금 크게 형성되어 압입구멍 (111) 에 압입되는 외주면 (120a) 과, 축선 (O) 방향으로 관통하는 중심구멍 (121) 을 가지고, 압입구멍 (111) 보다도 축방향 길이가 큰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베어링부재 (120) 는 압입구멍 (111) 에 압입되면, 압입에 의해 외주면 (120a) 이 압축되는 동시에, 또한 돌출조 (112a) 가 외주면 (120a) 으로 파고들어감으로써, 기어부재 (110) 에 대해 강고하게 고정된다. 베어링부재 (120) 의 중심구멍 (121) 의 축방향의 양 단부에는 각각 제 1 모따기부 (121a) 가 미리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형성된 기어부재 (110) 및 베어링부재 (120) 의 조립방법과, 양 부재를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유성 기어 (130) 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5 에 나타내는 기어부재 (110) 의 압입구멍 (111) 에 대해 베어링부재 (120) 를 압입하고,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어링부재 (120) 의 양단이 압입구멍 (111) 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양 부재를 장착한다. 이에 따라, 외주면 (120a) 에는 돌출조 (112a) 에 의해 맞물림부 (120b) 가 형성되기 때문에, 기어부재 (110) 와 베어링부재 (120) 는 도 6 및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돌출조 (112a) 와 맞물림부 (120b) 로 이루어지는 요철 형상으로 결합되어 회전방향의 어긋남이 방지되는 상태가 된다.
이 때, 베어링부재 (120) 는, 압입된 압입구멍 (111) 보다도 축방향의 길이가 크기 때문에, 그 양단이 압입구멍 (111) 으로부터 돌출되어 돌출부분 (122) 으로 되어 있다.
이어서, 공구 (150) 를 사용하여 도 7 에 나타내는 소성변형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양 부재의 축방향의 어긋남을 방지하도록 베어링부재 (120) 를 변형시킨다. 여기서, 소성변형 공정이란, 대상부재에 기계적 힘을 가하여 소성변형을 발생시키는 가공 공정을 의미한다.
공구 (150) 는, 베어링부재 (120) 의 중심구멍 (121) 에 실시된 제 1 모따기부 (121a) 가 축선 (O) 과 이루는 모따기 각도 (여기서는 45°) 보다도 축선 (O) 에 대해 예각을 이루는 원추면 (151) 을 갖고 있다.
소성변형 공정에서는, 이 공구 (150) 를 압입구멍 (111) 에 압입된 베어링부재 (120) 의 중심구멍 (121) 으로 양단으로부터 밀어넣는다. 이에 따라, 공구 (150) 의 원추면 (151) 에 의해 중심구멍 (121) 의 내주면은 제 1 모따기부 (121a) 의 내측에서 축방향의 중심측으로 향해 서서히 확경되고, 베어링부재 (120) 에는, 축선 (O) 에 대해 제 1 모따기부 (121a) 와는 모따기 각도가 다른 제 2 모따기부 (121b) 가 형성된다 (도 8).
제 2 모따기부 (121b) 가 형성되는 것과 동시에, 공구 (150) 에 의해 내경측으로부터 확장된 베어링부재 (120) 의 돌출부분 (122) 은, 압입구멍 (111) 에 의한 외주면의 규제가 없기 때문에,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경방향의 외측으로 확장되어, 그 외경이 압입구멍 (111) 의 내경보다도 커진다.
베어링부재 (120) 는, 압입구멍 (111) 의 내경보다도 크게 확경된 돌출부분 (122) 이 압입구멍 (111) 의 양단에서 기어부재 (110) 를 축방향으로 집음으로써, 압입구멍 (111 ; 기어부재 (110)) 에 대한 축방향의 이동이 억제된다.
이와 같이 장착된 유성 기어 (130) 는, 기어부재 (110) 와 베어링부재 (120) 가 돌출조 (112a) 및 맞물림부 (120b) 에 의해 회전방향의 어긋남이 방지되는 동시에, 돌출부분 (122) 에 의해 축방향의 어긋남이 방지된다.
또한, 도면에서는 돌출조 (112a) 와 맞물림부 (120b) 로 이루어지는 요철 형상을 설명하기 위해 과장하여 크게 도시하고 있지만, 요철 형상의 고저의 차는,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0.5 ∼ 10 ㎛ 정도라 하더라도 회전방향 및 축방향의 어긋남을 방지하는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1 ∼ 도 15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 은, 본 실시형태의 회전전달조립체를 구성하는 회전전달부재로서의 기어부재 (210) 와, 이 기어부재 (210) 에 고정되는 내측부재로서의 베어링부재 (220) 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회전전달조립체 (230) 는, 감속기 등에 사용되는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유성기어기구 (기어기구 ; 240) 의 유성 기어로서, 베어링부재 (220) 의 내측으로 샤프트를 삽입하여 사용된다. 이 때문에, 기어부재 (210) 는 기어에 바람직한 고강도의 재질로 형성되고, 베어링부재 (220) 는 샤프트에 대한 슬라이딩성이 양호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들 기어부재 (210) 및 베어링부재 (220) 는 분말성형 및 소결에 의해 저렴하게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기어부재 (210) 는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주면에 기어 형상을 갖고, 축선 (O)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멍으로서의 압입구멍 (211)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압입구멍 (211) 은 대략 원통 형상의 압입면 (213) 에 의해 형성되고, 압입면 (213) 은 매끄러운 고리 형상의 면 (213a) 과, 고리 형상의 면 (213a) 를 기준으로 하여 직경방향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둘레방향으로 잇달아 형성된 복수의 돌출조 (212a) 를 구비하고 있다. 압입구멍 (211) 의 양단에는 스폿 페이싱부 (211A) 와 모따기부 (211B) 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돌출조 (212a) 는 둘레방향으로 균등하게 배치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10°마다 18 개), 베어링부재 (220) 의 기어부재 (210) 에 대한 압입방향의 전방측 (도면의 우측) 에서 후방측 (도면의 좌측) 으로 향해 압입구멍 (211) 도중까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기어부재 (210) 에서는, 고리 형상의 면 (213a) 의 내경, 즉 압입구멍 (211) 의 직경을 10 ㎜ 로 하고, 이 고리 형상의 면 (213a) 에 대한 각 돌출조 (212a) 의 높이가 0.5 ∼ 10 ㎛ 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각 돌출조 (212a) 사이의 압입면 (212b) 은 고리 형상의 면 (213a) 과 동일한 직경으로 되어 있다.
기어부재 (210) 의 압입구멍 (211) 에 압입되는 베어링부재 (220) 는,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입구멍 (211) 의 압입면 (213, 212b) 에 대해 조금 큰 외주면 (220a) 과, 제 1 모따기부 (221a) 가 형성된 중심구멍 (221) 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형성된 기어부재 (210) 및 베어링부재 (220) 의 조립방법과, 양 부재를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유성 기어 (회전전달조립체 ; 230) 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기어부재 (210) 의 압입구멍 (211) 에 대해, 도 11 에 나타내는 압입방향으로 베어링부재 (220) 를 압입하고,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어부재 (210) 에 대한 압입방향의 전방측 (도면의 우측) 에서 압입구멍 (211) 으로부터 베어링부재 (220) 를 돌출시켜 돌출부분 (222) 을 형성해 둔다.
베어링부재 (220) 를 압입구멍 (211) 에 압입함으로써, 베어링부재 (220) 의 외주면 (220a) 에는 돌출조 (212a) 에 의해 맞물림부 (220b) 가 형성된다. 기어부재 (210) 와 베어링부재 (220) 는, 도 12 및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돌출조 (212a) 와 맞물림부 (220b) 로 이루어지는 요철 형상으로 결합되어, 돌출조 (212a) 의 압입 후방측의 단면 (212c) 이 베어링부재 (220) 의 맞물림부 (220b) 의 압입 후방측의 단면 (220c) 에 맞닿는 상태가 된다. 또한, 이 맞물림부 (220b) 를 형성하는 베어링부재 (220) 의 변형은 소성변형 또는 탄성변형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이어서, 확경용 공구 (250) 를 사용하여 도 14 에 나타내는 확경 공정을 실시하여 기어부재 (210) 와 베어링부재 (220) 를 서로 고정한다.
확경용 공구 (250) 는, 베어링부재 (220) 의 중심구멍 (221) 에 실시된 제 1 모따기부 (221a) 가 축선 (O) 과 이루는 모따기 각도 (여기서는 45°) 보다도 축선 (O) 에 대해 예각을 이루는 원추면 (251) 을 갖고 있다.
확경 공정에서는,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확경용 공구 (250) 를 압입구멍 (211) 에 압입된 베어링부재 (220) 의 중심구멍 (221) 으로, 압입방향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도면의 우측에서 좌방을) 향해 밀어넣음으로써, 확경용 공구 (250) 의 원추면 (251) 에 의해 중심구멍 (221) 의 내주면 (221c) 을 제 1 모따기부 (221a) 의 내측에서 축방향의 중심측으로 향해 서서히 확경하여 소성변형시킨다.
이 확경 공정에 의해, 베어링부재 (220) 에는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선 (O) 에 대해 제 1 모따기부 (221a) 와는 모따기 각도가 다른 제 2 모따기부 (221b) 가 형성된다. 동시에, 압입구멍 (211) 에 의한 외주면의 규제가 없는 돌출부분 (222) 은, 외경이 압입구멍 (211) 의 내경보다도 커지도록 소성변형된다.
이상과 같이 기어부재 (210) 와 베어링부재 (220) 를 장착하여 확경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돌출조 (212a) 및 맞물림부 (220b) 에 의해 회전이 규제될 뿐만 아니라, 돌출조 (212a) 및 단면 (212c) 에 의해 베어링부재 (220) 의 압입방향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 상태로부터 베어링부재 (220) 를 기어부재 (210) 에 대해 축방향의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돌출조 (212a) 의 단면 (212c) 이 베어링부재 (220) 의 외주면을 깎아내는데 필요한 힘을 이겨내는 힘이 필요하다.
또한, 확경된 돌출부분 (222) 에 의한 베어링부재 (220) 의 압입방향의 후방으로의 이동 규제가 이루어져, 회전방향 및 축방향으로 어긋남을 발생시키지 않는 유성 기어 (230) 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돌출조 (212a) 와 맞물림부 (220b) 로 이루어지는 요철 형상을 설명하기 위해 과장하여 크게 도시하고 있지만, 요철 형상의 고저의 차는,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0.5 ∼ 10 ㎛ 정도라 하더라도 회전방향 및 축방향의 어긋남을 방지하는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6, 도 17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 은 본 실시형태의 회전전달조립체 (260) 를 구성하는 기어부재 (회전부재 ; 210) 와, 이 기어부재 (210) 에 고정되는 베어링부재 (280) 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기어부재 (210) 는,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어부재 (210) 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의 회전전달조립체 (260) 도, 제 3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감속기 등에 사용되는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유성기어기구 (기어기구 ; 240) 의 유성 기어로서, 베어링부재 (280) 의 내측에 샤프트를 삽입하여 사용되기 때문에, 기어부재 (210) 는 기어에 바람직한 고강도의 재질로 형성되고, 베어링부재 (280) 는 샤프트에 대한 슬라이딩성이 양호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들 기어부재 (210) 및 베어링부재 (280) 는 제 3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분말성형 및 소결에 의해 저렴하게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기어부재 (210) 는,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어부재 (210) 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기어부재 (210) 의 압입구멍 (211) 에 압입되는 베어링부재 (280) 는,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입구멍 (211) 의 압입면 (213, 212b) 에 대해 조금 큰 외주면 (280a) 과, 축선 (O) 방향으로 형성된 중심구멍 (281) 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베어링부재 (280) 의 단면 (282) 에는 단면 삼각 형상의 홈부 (282a)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베어링부재 (280) 를 도 16 에 나타내는 방향에서 기어부재 (210) 의 압입구멍 (211) 에 압입하여 기어부재 (210) 에 대한 압입방향의 전방측 (도면의 우측) 에서 돌출부분 (283) 이 형성되도록 압입구멍 (211) 으로부터 베어링부재 (280) 를 돌출시킨다.
이렇게 하여, 베어링부재 (280) 를 압입구멍 (211) 에 압입한 상태는, 도 12, 도 13 에 나타내는 제 3 실시형태의 경우와 동일하고, 이 상태로부터 베어링부재 (280) 를 기어부재 (210) 에 대해 축방향의 우측 (압입방향) 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압입력을 이겨내는 큰 힘이 필요하다.
이어서, 확경 공정을 실시하여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어링부재 (280) 를 기어부재 (210) 의 압입구멍 (211) 의 단부에 밀착시켜 양 부재를 축방향으로 고정한다. 즉, 기어부재 (210) 와 베어링부재 (280) 가 서로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 유지한 상태에서, 돌출부분 (283) 측의 홈부 (282a) 에 대해, 예를 들어 쐐기 형상의 공구를 압입방향의 후방 (도면의 좌방) 을 향해 박아넣음으로써, 홈부 (282a) 의 외주측을 직경방향 외측으로 변형시킨다. 이에 따라, 돌출부분 (283) 의 외경이 압입구멍 (211) 의 내경보다도 커지기 때문에, 베어링부재 (280) 의 기어부재 (210) 에 대한 압입방향의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부재에 소성변형을 부가하여 부재기리 밀착시키는 이러한 공정은 코킹 공정이라고도 일컬어진다.
이상과 같이 기어부재 (210) 와 베어링부재 (280) 를 장착하여 확경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돌출조 (212a) 및 맞물림부에 의한 회전 규제, 돌출조 (212a) 의 단면 및 단부에 의한 베어링부재 (280) 의 압입방향의 전방으로의 이동 규제, 확경된 돌출부분 (283) 에 의한 베어링부재 (280) 의 압입방향의 후방으로의 이동 규제가 이루어져, 회전방향 및 축방향으로 어긋남을 발생시키지 않는 유성 기어 (260) 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나타낸 각 구성부재, 그 여러가지 형상이나 조합 등은 일례로서, 본 발명의 취지로부터 일탈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설계 요구에 기초하여 여러가지로 변경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돌출조 (212a) 는 압입구멍 (211) 의 축방향 도중까지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을 축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베어링부재를 압입방향의 후방으로 돌출시켜 둠으로써, 돌출조의 압입방향 후방의 단면과 베어링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맞물림부의 후방의 단면이 맞닿기 때문에, 베어링부재가 회전부재에 대해 전방으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의 홈부 (282a) 의 외주측만을 직경방향의 외측으로 변형시키고 있지만, 베어링부재 (280) 의 좌측에 형성된 V 자 형상의 홈부 (282a) 의 외주측도 직경방향의 외측으로 변형시켜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압입방향 전방으로의 빠짐 방지 기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의 홈부 (282a) 의 외주측만을 직경방향의 외측으로 변형시키는 경우에는, 좌측의 홈부 (282a) 는 생략해도 된다.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 회전전달부재는, 동일한 회전전달부재와 직접 접촉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벨트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하는 홈이 형성된 풀리, 체인을 통해 회전력을 전달하는 스프로킷 등이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축의 쓰러짐 없이 회전 어긋남 및 축방향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는 회전전달조립체 (유성 기어 등) 를 회전전달부재 (기어 등) 의 관통구멍 (압입구멍) 에 내측부재 (베어링부재 등) 을 압입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어 기계효율이 양호하고, 소음이나 이상 마모가 작은 기어기구를 저비용으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본 발명은, 내측부재 (베어링부재 등) 및 회전전달부재 (기어 등) 의 컴팩트한 걸어맞춤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특히 유성기어에 채용됨으로써 유성기어기구의 소형화에 크게 기여하는 것이다.

Claims (27)

  1. 대략 원환 형상의 회전전달부와,
    상기 회전전달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내주면에 의해 형성된 대략 원통 형상의 관통구멍을 가지며, 상기 회전전달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한 회전전달부재로서,
    상기 내주면은, 이 내주면의 일단에 인접하여 배치된 매끄러운 고리 형상의 면과, 상기 고리 형상의 면을 기준으로 하여 직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고 또한 상기 관통구멍의 축선방향 길이의 일부에 걸쳐 연재하는 복수의 돌기 형상부를 구비하고 있는 회전전달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형상부는, 상기 고리 형상의 면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관통구멍의 단부까지 직선 형상으로 연재하는 복수의 돌출조인 회전전달부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조는, 상기 내주면의 둘레방향으로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는 회전전달부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전달부와 상기 지지부는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회전전달부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전달부재는 분말성형 및 소결에 의해 제조된 소결 부품인 회전전달부재.
  6.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의해 형성된 대략 원통 형상의 관통구멍을 중앙에 가지며, 외주부에 회전전달부를 포함하는 회전전달부재와 ;
    상기 관통구멍에 압입된 내측부재 ; 를 구비한 회전전달조립체로서,
    상기 회전전달부재의 상기 내주면은, 이 내주면의 일단에 인접하여 배치된 매끄러운 고리 형상의 면과, 상기 고리 형상의 면을 기준으로 하여 직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관통구멍의 축선방향 길이의 일부에 걸쳐 연재하는 복수의 돌기 형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부재와 상기 회전전달부재는, 상기 돌기 형상부의 연재범위에 있어서 서로 맞물려, 상기 고리 형상의 면의 연재범위에 있어서 서로 면접촉하고 있는 회전전달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형상부는, 상기 고리 형상의 면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관통구멍의 단부까지 직선 형상으로 연재하는 복수의 돌출조인 회전전달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조는, 상기 내주면의 둘레방향으로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는 회전전달조립체.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전달부재 및 상기 내측부재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분말성형 및 소결에 의해 제조된 소결 부품인 회전전달조립체.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전달부재는 상기 회전전달부에 복수의 이를 갖는 기어로서 형성되고, 상기 내측부재는 통 형상의 베어링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는 회전전달조립체.
  11. 제 10 항에 기재된 회전전달조립체를 구비한 기어기구.
  12. 회전전달부재와 내측부재를 구비한 회전전달조립체를 조립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회전전달부재는,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의해 형성된 대략 원통 형상의 관통구멍을 중앙에 가지며, 외주부에 회전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전달부재의 상기 내주면은, 이 내주면의 일단에 인접하여 배치된 매끄러운 고리 형상의 면과, 상기 고리 형상의 면을 기준으로 하여 직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관통구멍의 축선방향 길이의 일부에 걸쳐 연재하는 복수의 돌기 형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부재는, 상기 고리 형상의 면의 내경보다 직경이 크며, 또한 매끄러운 외주면을 갖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방법은,
    상기 내측부재를 상기 회전전달부재의 상기 고리 형상의 면에 인접하여 배치하는 단계와 ;
    상기 내측부재의 일단이 상기 돌기 형상부를 넘을 때까지, 상기 내측부재를 상기 회전전달부재의 상기 관통구멍에 압입하는 단계 ; 를 포함하는 회전전달조립체의 조립방법.
  13.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의해 형성된 대략 원통 형상의 관통구멍을 중앙에 가지며, 외주부에 회전전달부를 포함하는 회전전달부재와 ;
    상기 관통구멍보다도 축방향의 길이가 크고, 대략 원형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멍에 압입된 내측부재 ; 를 구비한 회전전달조립체로서,
    상기 내측부재의 양 단부는, 돌출부분으로서, 상기 회전전달부재의 상기 내주면의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소성변형에 의해, 상기 내주면의 직경보다도 직경방향 외측으로 나와 있으며 또한 상기 내주면의 단부에 밀착되어 있는 회전전달조립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재의 각 단부의 내면에는, 모따기 각도가 서로 다른 복수의 모따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회전전달조립체.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전달부재의 상기 내주면은 상기 관통구멍의 길이에 걸쳐 연재하는 복수의 돌출조를 갖고, 상기 내측부재는 변형을 동반하여 상기 복수의 돌출조와 맞물려 있는 회전전달조립체.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전달부재는 상기 회전전달부에 복수의 이를 갖는 기어로서 형성되고, 상기 내측부재는 베어링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는 회전전달조립체.
  17. 제 16 항에 기재된 회전전달조립체를 구비한 기어기구.
  18.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회전전달부재와 내측부재를 구비한 회전전달조립체를 조립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회전전달부재는, 내주면에 의해 형성된 대략 원통 형상의 관통구멍을 중앙에 가지며, 외주부에 회전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부재는, 상기 관통구멍보다도 축방향의 길이가 크고, 상기 고리 형상의 면의 내경보다 외경이 크며, 대략 원통 형상의 관통된 중심구멍을 갖는 대략 원형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방법은,
    상기 내측부재를 상기 회전전달부재의 상기 관통구멍에 압입하고, 상기 내측부재의 양단을 돌출부분으로서 상기 관통구멍으로부터 돌출시키는 단계와 ;
    상기 양 돌출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내주면의 직경보다도 직경방향 외측으로 나오게 하며 또한 상기 내주면의 단부에 밀착하도록 소성변형시키는 단계 ; 를 포함하는 회전전달조립체의 조립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양 돌출부분을 소성변형시키는 상기 단계는, 최대 외경이 상기 내측부재의 상기 중심구멍의 직경보다 큰 원추면을 갖는 2 개의 공구를, 상기 중심구멍에 밀어넣음으로써 실시되는 회전전달조립체의 조립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재의 양 단부의 내주는 제 1 모따기부를 갖고, 상기 2 개의 공구의 각 원추면의 정상각은, 상기 제 1 모따기부를 규정하는 원추면의 정상각보다 작으며, 상기 양 돌출부분을 소성변형시키는 상기 단계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재의 양 단부의 내주에는 상기 제 1 모따기부와는 모따기 각도가 다른 제 2 모따기부가 형성되는 회전전달조립체의 조립방법.
  21.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 1 단부로부터 제 2 단부까지 연재하는 내주면에 의해 형성된 대략 원통 형상의 관통구멍을 중앙에 가지며, 외주부에 회전전달부를 포함하는 회전전달부재와 ;
    상기 관통구멍에 압입된 내측부재 ; 를 구비한 회전전달조립체로서,
    상기 회전전달부재의 상기 내주면은, 상기 제 1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매끄러운 고리 형상의 면과, 상기 고리 형상의 면을 기준으로 하여 직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고 또한 상기 고리 형상의 면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 2 단부까지 직선 형상으로 연재하는 복수의 돌출조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부재와 상기 회전전달부재는, 상기 돌출조의 연재범위에 있어서 서로 맞물려, 상기 고리 형상의 면의 연재범위에 있어서 서로 면접촉하고, 상기 내측부재의 일단부는, 돌출부분으로서, 상기 내주면의 상기 제 2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소성변형에 의해, 상기 내주면의 직경보다도 직경방향 외측으로 나와 있으며 또한 상기 내주면의 상기 제 2 단부에 밀착되어 있는 회전전달조립체.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재의 각 단부의 내면에는, 모따기 각도가 서로 다른 복수의 모따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회전전달조립체.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전달부재는 상기 회전전달부에 복수의 이를 갖는 기어로서 형성되고, 상기 내측부재는 베어링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는 회전전달조립체.
  24. 제 23 항에 기재된 회전전달조립체를 구비한 기어기구.
  25. 회전전달부재와 내측부재를 구비한 회전전달조립체를 조립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회전전달부재는,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의해 형성된 대략 원통 형상의 관통구멍을 중앙에 가지며, 외주부에 회전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전달부재의 상기 내주면은, 이 내주면의 제 1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매끄러운 고리 형상의 면과, 상기 고리 형상의 면을 기준으로 하여 직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고 또한 상기 고리 형상의 면의 일단으로부터 이 내주면의 제 2 단부까지 직선 형상으로 연재하는 복수의 돌출조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부재는, 상기 고리 형상의 면의 내경보다 직경이 크고 또한 매끄러운 외주면을 갖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방법은,
    상기 내측부재를 상기 회전전달부재의 상기 내주면의 상기 제 1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하는 단계와 ;
    상기 내측부재를 상기 회전전달부재의 상기 관통구멍에 압입하여, 상기 내측부재의 일단을 돌출부분으로서 상기 내주면의 상기 제 2 단부로부터 돌출시키는 단계와 ;
    상기 돌출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내주면의 직경보다도 직경방향 외측으로 나오게 하며 또한 상기 내주면의 단부에 밀착하도록 소성변형시키는 단계 ; 를 포함하는 회전전달조립체의 조립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재는, 대략 원통 형상의 관통된 중심구멍을 갖는 대략 원형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분을 소성변형시키는 상기 단계는, 최대 외경이 상기 내측부재의 상기 중심구멍의 직경보다 큰 원추면을 갖는 공구를, 상기 중심구멍에 밀어넣는 확경 공정에 의해 실시되는 회전전달조립체의 조립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재의 상기 돌출부분은 내측에 제 1 모따기부를 갖고, 상기 공구의 상기 원추면의 정상각은 상기 제 1 모따기부를 규정하는 원추면의 정상각보다 작으며, 상기 확경 공정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재의 상기 돌출부분의 내측에는 상기 제 1 모따기부와는 모따기 각도가 다른 제 2 모따기부가 형성되는 회전전달조립체의 조립방법.
KR1020057002642A 2002-08-19 2003-08-19 회전전달부재, 회전전달조립체 및 기어기구 KR1009761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38119 2002-08-19
JP2002238120 2002-08-19
JP2002238121 2002-08-19
JPJP-P-2002-00238120 2002-08-19
JPJP-P-2002-00238119 2002-08-19
JPJP-P-2002-00238121 2002-08-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2472A true KR20050052472A (ko) 2005-06-02
KR100976110B1 KR100976110B1 (ko) 2010-08-16

Family

ID=31891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2642A KR100976110B1 (ko) 2002-08-19 2003-08-19 회전전달부재, 회전전달조립체 및 기어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677127B2 (ko)
EP (1) EP1544487B1 (ko)
JP (1) JP4642465B2 (ko)
KR (1) KR100976110B1 (ko)
CN (1) CN100366936C (ko)
AU (1) AU2003262248A1 (ko)
WO (1) WO20040169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88007A1 (ja) * 2007-01-17 2008-07-24 Ntn Corporation 等速自在継手
US8186059B2 (en) * 2008-09-09 2012-05-2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ternal gear and cap assembly
JP5167075B2 (ja) * 2008-11-07 2013-03-21 株式会社山田製作所 軸と軸孔の圧入構造
DE102009029296A1 (de) * 2009-09-09 2011-03-10 Robert Bosch Gmbh Pressverbund einer Welle mit einem darauf gepressten Antriebselement oder Abtriebselement
US9068640B2 (en) 2010-06-04 2015-06-30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Fastening structure for ring-gear and differential case, and differential device using same
WO2011160241A1 (de) * 2010-06-22 2011-12-29 Jansen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innenrändelung in einer aufnahmebohrung eines nabenkörpers
EP2592304B1 (en) * 2010-07-07 2016-02-10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Method for swaging ring gear, swaging tool used for method for swaging ring gear, and ring gear
NL2008769C2 (en) * 2012-05-08 2013-11-11 Vcst Ind Products Bvba An idler gear assembly, as well as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mprising the idler gear assembly, and a method for fixing a bushing in a through bore of a gear of the idler gear assembly.
CN104179890A (zh) * 2014-09-01 2014-12-03 山推工程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行星机构及其连接方法
CN107791242A (zh) * 2017-11-23 2018-03-13 深圳市优必选科技有限公司 舵机及机器人
DE102018129339A1 (de) * 2018-11-21 2020-05-28 Wittenstein Se Einrichtung zur drehfesten Verbindung eines Verzahnungsteils mit einer Welle, Verfahren Herstellen einer solchen Einrichtung und Winkelgetriebe
CN117489757B (zh) * 2024-01-03 2024-03-22 常州市曼多林精密机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行星减速机的防松脱结构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00333A (en) * 1959-04-22 1963-08-13 Bendix Corp Method of making compound gear
US3290918A (en) * 1963-12-06 1966-12-13 Anthony V Weasler Method of manufacturing a shaft coupling
DE3242274C1 (de) * 1982-11-15 1984-05-30 Danfoss A/S, Nordborg Zahnkupplung zwischen Ritzel und Gelenkwelle einer innenachsigen Rotationskolbenmaschine
JPS59140911A (ja) * 1983-01-31 1984-08-13 東京部品工業株式会社 回転体と軸の締結方法
FR2580349B1 (fr) * 1985-04-16 1989-11-10 Renault Piece mecanique a deux elements integres
FR2580341B1 (fr) * 1985-04-16 1988-03-11 Paris & Du Rhone Procede de realisation d'une liaison rigide entre deux pieces mecaniques coaxiales, et ensemble de deux pieces liees par ce procede
DE3717534A1 (de) * 1987-05-25 1988-12-15 Emitec Emissionstechnologie Hohlwelle mit durch aufweiten derselben darauf befestigten antriebselementen mit axial unterschiedlichen werkstoffeigenschaften
DE3717516A1 (de) * 1987-05-25 1988-12-15 Emitec Emissionstechnologie Hohlwelle aus einem werkstoff mit geringem elastizitaetsmodul mit durch aufweiten derselben darauf befestigten antriebselementen
US4827600A (en) * 1988-04-12 1989-05-09 Miyano Machinery Usa Inc. Automatic tool changing mechanism for a machine tool
JP3163505B2 (ja) * 1991-06-07 2001-05-08 日本ピストンリング株式会社 シャフトを嵌合部材に圧入してなる機械要素及びその製造方法
SE501320C2 (sv) * 1993-06-01 1995-01-16 Volvo Ab Anordning för centrering av en rotationsenhet
FR2711199B1 (fr) * 1993-10-12 1995-12-08 Renault Pièce mécanique de transmission et procédé de fabrication de celle-ci.
JPH07167152A (ja) * 1993-12-14 1995-07-04 Mitsubishi Materials Corp 組立中空可動軸
JPH084717A (ja) 1994-06-14 1996-01-09 Aisin Ee I Kk 圧入工作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74870A (ja) * 1994-08-31 1996-03-19 Nippon Piston Ring Co Ltd シャフトを嵌合部材に圧入してなる機械要素
JPH08178020A (ja) 1994-12-27 1996-07-12 Nippon Piston Ring Co Ltd カムにシャフトを圧入嵌合してなる組立カムシャフト
DE19517258A1 (de) * 1995-05-11 1996-11-14 Alpha Getriebebau Gmbh Wellen-Befestigung
JP3402036B2 (ja) * 1995-12-11 2003-04-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軸部材の結合構造
KR100226645B1 (ko) 1996-12-24 1999-10-15 하중웅 자동차용 에어컨의 배관에 있어서 관이음 형성구조 및 관이음 파이프 가공방법
JP2000283264A (ja) * 1999-01-28 2000-10-13 Seiko Epson Corp 歯車および歯車装置
JP3569463B2 (ja) * 1999-06-16 2004-09-22 三菱電機株式会社 モータ
JP3880786B2 (ja) 2000-04-12 2007-02-14 Ntn株式会社 駆動車輪用軸受装置
US6692157B2 (en) 2000-08-10 2004-02-17 Ntn Corporation Bearing device for drive wheel
JP4427700B2 (ja) * 2000-09-13 2010-03-10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6110B1 (ko) 2010-08-16
EP1544487B1 (en) 2012-04-18
EP1544487A1 (en) 2005-06-22
AU2003262248A1 (en) 2004-03-03
CN1675478A (zh) 2005-09-28
JP4642465B2 (ja) 2011-03-02
JPWO2004016961A1 (ja) 2005-12-02
US20050255960A1 (en) 2005-11-17
EP1544487A4 (en) 2010-05-12
US7677127B2 (en) 2010-03-16
WO2004016961A1 (ja) 2004-02-26
CN100366936C (zh) 2008-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6110B1 (ko) 회전전달부재, 회전전달조립체 및 기어기구
US5267920A (en) Friction roller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8495924B2 (en) Electric actuator
KR100872321B1 (ko) 단순유성기어장치의 제조방법 및 단순유성기어장치의 시리즈
KR101204625B1 (ko) 회전 부재의 고정 구조
US10670130B2 (en) Harmonic drive apparatus
CN209839097U (zh) 人字形齿轮
JP3100197U (ja) 取付装置
CN110469651B (zh) 波动齿轮装置
WO2008015854A1 (fr) Procédé de fabrication de mécanisme pour convertir un mouvement rotatif en mouvement linéaire
JP2008278656A (ja) ハイポイドギヤモ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50116395A (ko) 소결함유베어링 및 그 제조방법
US6348022B1 (en) Planetary gear transmission apparatus
WO2017169060A1 (ja) 波動歯車装置用のフレクスプラインとそれを用いた波動歯車装置
EP2530349A1 (en) Centrifugal clutch device
JP2009103287A (ja) ベルト式無段変速機のシャフト、無段変速機用固定側シーブ、その製造方法及び無段変速機
KR20200133718A (ko) 에볼로이드 치형을 갖는 유성 기어 세트
JP7473091B2 (ja) ボールねじ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399062B2 (ja)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の製造方法
JP3134637B2 (ja) 無段変速機の油圧室構造
JPH0814348A (ja) 無段変速機のプーリ連結構造
GB2193662A (en) Rotor for electromagnetic clutch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CN114791017A (zh) 轴承单元和用于装配轴承单元的方法
JPH11247883A (ja) クラッチリフターカムプレート
CN117795227A (zh) 滚珠丝杠装置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