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6645B1 - 자동차용 에어컨의 배관에 있어서 관이음 형성구조 및 관이음 파이프 가공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에어컨의 배관에 있어서 관이음 형성구조 및 관이음 파이프 가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6645B1
KR100226645B1 KR1019960071512A KR19960071512A KR100226645B1 KR 100226645 B1 KR100226645 B1 KR 100226645B1 KR 1019960071512 A KR1019960071512 A KR 1019960071512A KR 19960071512 A KR19960071512 A KR 19960071512A KR 100226645 B1 KR100226645 B1 KR 100226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lange
air conditioner
expanded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1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2506A (ko
Inventor
김태영
Original Assignee
하중웅
대웅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중웅, 대웅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하중웅
Priority to KR1019960071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6645B1/ko
Publication of KR19980052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2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6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66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4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using additional rigid rings, sealing directly on at least one pipe end, which is flared either before or during the making of the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7/00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1D17/04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by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1/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alter the diameter of tube ends
    • B21D41/02Enlarg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16L23/028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the flanges being held against a shoulder
    • F16L23/0283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the flanges being held against a shoulder the collar being integral with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를 포함한 차량에 설치되는 에어콘(air conditioner)에 있어서 액상체 또는 기상체를 압송하는 관(管, pipe)을 연결하는 관이음(pipe joint) 형성구조 및 관이음 파이프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용 에어컨 배관을 형성하는 관이음공법을 특유 플레어공법에 의하여 관이음 형성구조를 갖도록 하므로서 종래의 은납땜 공법에 따른 제반의 문제점이 전혀 발생되지 않게 하고 특히 자동차에 내장되는 에어컨의 배관에 관이음 방법을 조립식으로 개선 하므로서, 자동차의 진동응력이 관이음 부분에 미치더라도 관이음부분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여 배관에 손상이 있는 경우 관의 교체(수선)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고, 에어컨의 배관작업을 신속 용이하게 하는데 그 특징이 있는 것인데,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에어컨 배관에 있어 관이음 형성구조 및 파이프 가공방법은 파이프를 커팅, 디버링 및 코오킹 기계에 의한 확관 그리고 롤러버니싱 투울에 의하여 다듬질가공, 트리밍과 벤딩을 행한 후 린싱 작업을 통하여 파이프의 단부를 확관하여 오링이 끼워지는 홈 등을 형성하여 조립과 분해가 가능한 스위벨너트 이음구조 또는 플랜지 이음구조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가공법에 의하여 관이음 형성구조를 자동차 에어컨 배관에 적용하게 되면 배관작업이 신속 용이하고 관이음 부분이 취약하지 않으므로 진동이 심한 자동차에 적합하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자동차용 에어컨의 배관에 있어서 관이음 형성구조 및 관이음 파이프 가공방법
[발명의 상세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관이음 형성구조에 의한 스위벨너트형관 이음방식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관이음 형성구조에 의한 스위벨너트형과 이음방식의 조립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관이음 형성구조에 의한 플랜지형 관이음방식의 분해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관이음 형성구조에 의한 플랜지형 관이음방식의 조립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1,P2,P3,P4 : 각 파이프 N : 스위벨너트
N1 : 걸림턱 B : 파이프형볼트
B1 : 볼트나사 B3 : 볼트머리
C : 클램핑턱 O : 오링
h : 오링끼움홈 F1, F2 : 플랜지
ph1, ph2 : 파이프삽입구 BH1, BH2 : 볼트삽입구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자동차를 포함한 차량에 설치되는 에어콘(air conditioner)에 있어서 액상체 또는 기상체를 압송하는 관(管, pipe)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관이음(pipe joint) 형성구조 및 관이음 파이프 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에어콘의 작동원리는 냉매를 압축기에 의해 송액관을 통하여 압송하여 압력 감소 밸브를 거쳐 증발기로 들어가는데 이때 냉매의 압력이 급격히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 액상체의 냉매가 기화(氣化, evaporation)하여 기상체가 되는데, 이와 같이 냉매가 액상에서 기상으로 상변태가 일어나면 냉매는 주위로부터 열(heat)을 흡수하게 되므로 증발기 주위의 온도가 낮아지게 되는 것이고, 기상의 냉매가 증발기를 거쳐 나오면 다시 압축기로 이송되어 응축기로 보내어지는데, 이때 기상의 냉매는 액상체로 상변태가 일어나고, 이때는 증발기에서와 달리 열을 방출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증발기에서의 흡열효과(吸熱效果)를 이용하여 하절기의 실내온도를 낮추는 것이 에어콘인 것이다.
따라서, 에어콘은 상기한 바와 같이 액상 또는 기상의 냉매를 관체에 의하여 압축기에서 증발기로, 증발기에서 응축기로 압송(壓送)하기 때문에 배관(配管)에 있어 그 기밀성이 유지되도록 상당한 주의를 요한다.
그러므로 에어콘의 배관에 있어 관이음(pipe joint)이 매우 중요한데 일반적으로 에어컨의 관연결 수단은 플레어연결법 및 납땜(Brazing)연결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었다.
플레어연결법은 연결하고자 하는 두 개의 관과 관을 맞춤쇠를 끼워 연통시키고 관을 맞춤쇠에 연결할 때 관의 끝단부를 넓혀서 맞춤쇠를 밀착시키고 여기에 기밀성 부여를 위한 플레어를 조이도록 하는 공법이고, 납땜 연결법에는 연납땜법과 은납땜법이 있는데, 연납땜 연결법은 관과 관을 커플링 또는 연결쇠로 연결하고, 이음부분을 연납으로 된 용제를 용융시킨 연납을 부어 굳힘으로서 관을 연결하면서 배관을 밀봉하게 되는 것이고, 은납땜 연결법은 배관 시 관이음을 은합금을 용제로 사용하여 납땜하는 공법이다.
그런데, 종래의 자동차용 에어컨의 배관에 사용되는 관이음 수단은 상기 공법중 납땜법(Brazing)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 납땜 연결법은 땜할 부분의 표면을 매우 깨끗이 해야하고 용재(연납 또는 은합금 재질)가 깨끗해야 하며, 배관 시 열을 낼수 있는 시설(예를 들어 아세틸렌용접용 토오치) 등이 바로 옆에 있어야 하고, 납땜 작업은 일반적으로 수작업을 통해야 했기 에 작업의 균일성 보장이 어려웠을 뿐만 아니라, 많은 작업자가 필요하였고, 작업시간 또한 상당하였다.
특히, 은납땜의 경우 새지 않게 관을 연결하면서 최고의 강도를 유지하는 장점을 갖고 있기에 자동차용 에어콘에 주로 많이 사용되는 방법인데 이방법은 용제에 일정량의 카드뮴(cadmium)이 섞여 있기 때문에 납땜 작업시 연기를 마시거나 눈이나 피부에 닿지 않도록 주의를 요하고, 완전히 은납땜을 한 연결부의 바깥쪽을 약품으로 깨끗이 씻어내는 작업(Rinsing)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 이유는, 용제가 관체에 남아 있게 되면 관체 금속을 부식시키기 때문에 린싱 작업이 꼭 필요한 것이다.
또한 은납땜은 용제의 가격이 상당하고, 납땜 과정에서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은합금이 부탁되지 않는 부위가 종종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었고, 납땜공법은 작업시 용제가 시설속으로 들어가면 제거가 어려우므로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를 요하고 있으며, 납땜 공법은 배관을 하게 되면 배관의 일부가 파손이 있거나 또는 시설에 고장이 발생된 경우 즉, 에어콘의 수선작업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납땜 공법에 의하여 자동차용 에어컨을 형성하게 되면, 자동차 운행시 발생되는 진동 등이 배관에 미치게 되어 납땜한 부위기 일반적으로 다른 부분보다 취약(Brittleness)하기 때문에 배관이 손상 받기 쉬운 결정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동차용 에어컨의 배관에 있어서 관이음(pipe joint)을 납땜 공법에 의할 경우, 수많은 문제점이 발생되기에 본 발명이 창안되었는데, 본 발명의 목적은 장동차용 에어콘 배관을 형성하는 관이음공법을 특유 플레어공법에 의하여 관이음 형성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서 종래의 은납땜 공법에 따른 제반의 문제점이 전혀 발생되지 않게 하고 특히 자동차에 내장되는 에어컨의 배관에 관이음 방법을 조립식으로 개선함으로서, 자동차의 진동응력이 관이음 부분에 미치더라도 관이음부분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여 배관에 손상이 있는 경우 관의 교체(수선)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고, 에어컨의 배관작업을 신속 용이하게 하는 자동차용 에어컨의 배관에 있어서 관이음 형성구조 및 관이음 파이프 가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자동차용 에어컨 배관에 있어서 관이음 파이프 가공방법은 소정의 길이로 잘라낸 1번파이프와 2번파이프에서 각 파이프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함과 더불어 각 파이프 끝단부의 표면을 매끄럽게 다듬는 디버링공정과 ; 상기 1번파이프의 끝단부에는 파이프형볼트를 삽입하고 코오킹 기계로서 파이프형볼트가 삽입된 부분을 확관하여 1번파이프 끝단부에 파이프형 볼트를 밀착 고정하고, 상기 2번파이프의 끝단부에는 상기 1번파이프의 확관된 부위가 삽입될 수 있도록 코오킹 기계로서 확관하는 코오킹공정과; 상기 파이프형 볼트가 1번파이프의 끝단부에 확실하게 밀착 고정되도록 롤러버니싱 투울에 의하여 파이프형볼트가 결합되어 있는 1번파이프의 일측 단부 내경면(內徑面)을 외경 쪽으로 누르면서 다듬질 가공하는 롤러버니싱공정과; 상기 확관된 2번파이프 뒷쪽에 삽입되는 스위벨너트가 체결을 위해 앞쪽으로 이동할 때 걸리도록 하는 클램핑턱과 2번파이프를 1번파이프에 삽입할 때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실링하는 오링을 끼울 수 있는 오링끼움홈을 2번파이프의 끝단부에 가공하는 롤링공정과; 상기 각 공정에 의해 가공된 1번파이프와 2번파이프의 표면에 묻어 있느 이물질이나 금속분말 등을 제거하는 디버링 또는 트리밍공정과; 상기 공정 후에 각 파이프를 원하는 형태로 굴곡 시킨 후 세척수로 세척하여 마무리 하는 린싱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이루어진 두 개의 파이프를 이용한 자동차용 에어컨 배관에 있어서 관이음 형성구조는, 상기 1번파이프의 끝단부가 확관되어 이 확관된 1번파이프의 끝단부의 외주면에 내부가 관통된 파이프형볼트가 끼움 조립됨과 동시에 1번파이프의 선단을 방사상으로 벌려 파이프형볼트가 고정되고, 상기 2번파이프의 끝단부가 상기 1번파이프의 확관된 끝단부에 삽입되어 밀착됨과 더불어 체결되어 연통될 수 있도록 2번파이프의 외주면에 볼록하게 융기된 링형상의 크램핑턱이 형성됨과 더불어 클램핑턱 앞부분에 요홈 형상을 갖는 오링끼움홈이 형성되어 이 오링끼움홈에 오링이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2번파이프의 클램핑턱 뒤쪽 외주면에 이동 가능하게 스위벨너트가 구비되어, 상기 스위벨너트가 상기 1번파이프에 조립된 파이프형볼트와 체결 결합됨에 따라 상기 1번파이프와 2번파이프가 연통되게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에어컨 배관에 있어서, 관이음 형성구조 및 파이프 가공방법에 관하여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에어컨 배관에 있어 관이음 형성구조를 갖는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제2도는 이에 따른 조립단면도인데, 제1도 및 제 2 도에 도시된 관이음형성구조의 관이음을 스위벨너트(swivel nut) 이음방식을 취한 것이다.
상기 스위벨너트형 관이음은 파이프형볼트(B)가 일측단부 외주면에 조립 고착된 1번파이프(P1)와, 여기에 조립되어 이어지는 2번파이프(2P)와, 그리고 두 1번, 2번파이프(P1,P2)를 조립 연결시키는 스위벨너트(N)로 구성되는데, 이 스위벨너트형 관이음은 차량용 에어컨 배관에 사용되는 것이기에 중량(重量)이 문제가 되므로, 상기 파이프(P1,P2)그리고 파이프형볼트(B), 스위벨너트(N)는 알루미늄(Aluminium)과 같은 경량이어야 하며, 본 발명에 따른 관이음 방식은 조립형으로 형성 되므로 소성가공이 용이한 재질을 선택한다.
상기 1번파이프(P1)의 제작공정을 살펴보면, 먼저 파이프를 원하는 길이만큼 잘라낸 다음(Cutting공정) 파이프형볼트(B)를 조립하고자 하는 파이프의 일측단부에 잔류하는 이물질 및 커팅공정에서 거칠어진 파이프 단부의 표면을 매끄럽게 하고(Deburring공정), 이와 같이 커팅과 디버링공정이 끝난 파이프에 별도의 성형공정으로 주조된 파이프형볼트(B)를 끼원 넣게 되는데, 이 파이프형볼트(B)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을 관통하는 원통형 구멍이 형성되어 여기에 1번파이프(P1)가 끼워지는 것이다.
파이프형볼트(B)가 1번파이프(P1)의 일측단부에 끼워질 때 볼트나사(B1)는 파이프 자유단부 쪽으로 하고 볼트머리(B3)가 그 반대 방향으로 하여 끼워 넣는다.
이처럼, 상기 1번 파이프(P1)에 파이프형볼트(B)가 끼워지면 코어킹 기계(caulking machine)로 파이프형 볼트(B)가 끼워진 1번 파이프(P1)의 단부를 확관(擴管) 즉, 1번 파이프(P1)의 내경을 팽창시키면서 파이프의 끝단부를 방사상으로 상향시켜 걸림턱을 형성시키면,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형 볼트(B)가 1번파이프(P1)의 단부와 밀착 고정된다.
이와 같이 확관 공정에 의해 파이프형볼트(B)를 1번파이프(P1)의 일단부에 조립 고정한 후 다시 한번 파이프형볼트(B)가 1번파이프(P1)의 끝단부에 밀착 고정된 상태를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롤러버니싱 투울(Roller Burnishing tool)에 의하여 파이프형볼트(B)가 결합되어 있는 1번파이프(P1)의 일측단부 내경면(內徑面)을 외경 쪽으로 누르는 다듬질 가공(Roller Burnishing 공정)을 한다.
이와 같은 롤러버니싱 공정이 끝나면, 파이프의 표면 등에 묻어 있는 이물질이나 금속분말 등을 제거하는 디버링(deburring) 또는 트리밍(trimming) 공정을 거친 후 1번파이프(P1)을 원하는 형태로 굴곡시키는 벤딩을 행하고(Bending공정) 세척수로서 깨끗하게 씻어낸다.(Rinsing공정).
다음으로 2번파이프(P2)의 제작공정을 살펴보면, 2번파이프(P2)의 제작공정도 1번파이프(P1)의 제작공정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바, 1번파이프(P1)를 제작할 때와 마찬가지로 1번파이프(P1) 제작공정과 동일한 공정인 컷팅(cutting) 및 디버링(Deburring) 겅정한 다음 관이음을 형성하는 파이프의 일측 단부를 확관(擴管)하는 작업을 행하는데, 이 확관의 정도는 1번파이프(P1)에 꼭 맞추어 삽입될 수 있을 만큼 확관을 한다.
다음으로 확관된 2번파이프(P2)의 일측 단부 부분을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형태로 롤링작업을 통하여 형성시키는데, 확관된 부분과 확관되지 않는 경계부분은 파이프의 외경 밖으로 돌출하여 철(凸)링을 형성하고 2번파이프(P2)의 끝단부 쪽으로는 내경 쪽으로 움푹 들어간 요(凹)링을 형성한다.
상기 철(凸)링은 후술하는 스위벨너트(swivel nut ; N)의 걸림턱(N1)이 걸리는클램핑턱(C)이고, 상기 요(凹)홈링은 오링(O-Ring ; O)이 끼워지는 오링끼움홈(h)이다.
이와 같이 클램핑턱(C)과 오링끼움홈(h)를 형성하는 롤링공정이 끝나면 트리밍공정을 거친 후 세척수로 세척하는 세척공정(Rinsing)을 마지막으로 2번관이 제작이 완료된다.
상기 스위벨너트(N)는 주조를 통해 성형 제작하는데, 제2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2번파이프(P2)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한쪽 내경은 최소직경을 갖고, 이 최소직경은 상기 2번 파이프(P2)의 클램핑턱(C)에 걸릴 수 있도록 성형됨으로써 스위벨너트(N)에 걸림턱(N1)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위벨너트(N)의 타단부 쪽 즉, 클램핑턱(C)를 형성하는 이외의 부분에서의 내주면은 상기 1번파이프(P1)에 형성된 파이프형볼트(B)의 외경 주면에 형성된 나사와 치합될 수 있는 나사산이 가공되며, 이에 따른 내경을 갖는다.
이와 같은 공정으로 만들어진 1번파이프(P1), 2번파이프(P2) 및 스위벨너트(N)에 의하여 관과 관을 잇는 관이음 형성구조를 살펴보면,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1번파이프(P1)의 파이프형볼트(B)가 형성된 쪽에 오링(O)과 스위벨너트(N)가 끼워진 2번파이프(P2)의 롤링가공된 단부측을 삽입하고 스위벨너트(N)를 파이프형 볼트(B)에 치합시켜 조이면, 스위벨너트(N)가 2번파이프(P2)를 잡아당기면서 1번파이프(P1)에 일측단부와 내경이 일치되도록 하면서 밀착시키고, 파이프형볼트(B)에 의해 1번파이프(P1)가 잡아 당겨 지면서 2번 파이프(P2)와 밀착시킴 동시에 오링(0)이 1번파이프(P1)과 2번파이프(P2) 이음새 부분을 밀봉하게 된다.
제3도 및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관이음 형성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플랜지형 관이음방식(flange weldless type pipe joint)의 일실시예를 구현한 분해사시도 및 관이음구조의 단면도이다.
플랜지형 관이음은 하나의 관(P3, 이하 3번파이프라 함)과 또 다른 관(P4, 이하 4번파이프라 함)을 연결하는 것으로, 각 관에 조립 고착되어 형성된 플랜지(F1)와 플랜지(F2)에 의해 연결 형성된다.
이때 상기 3번파이프(P3)의 제작은 알루미늄파이프를 필요한 길이만큼 잘라 내어(cutting공정) 파이프의 단부쪽에 묻어 잔류하는 이물질이나 금속분을 제거하거나 커팅공정에서 거칠어진 표면을 매끄럽게 하는 디버링(Deburing)공정을 행한 후 별도로 주조되어 성형되어 파이프삽입구(ph1)와 볼트삽입구(bh1)가 형성되고 2개의 원통이 연결되어진 1번플랜지(F1)에 3번파이프(P3)의 단부를 끼워 넣어 파이프 단부가 약간 돌출되도록 삽입한 후 코오킹 기계(Caulking machine)를 사용하여 3번파이프(P3) 단부의 플랜지(F1)가 삽입된 부분을 확관(擴管), 즉 내경을 증대시킨다. 그리고, 3번파이프(P3)의 단부측 확관된 부분은 1번 플랜지(F1)의 파이프삽입구(ph1) 내경에 밀착됨으로서 1번플랜지(F1)와 3번파이프(P3)가 조립 상호 고정된다.
동시에 1번플랜지(F1) 밖으로 돌출된 3번파이프(P3)의 단부 측에 오링끼움홈(h)을 형성(Rolling공정)한 후 롤로버니싱 투울 (roller Burnishing tool)에 의하여 상기와 같이 가공한 부분의 파이프 내경을 다듬질가공을 행하여 정확한 치수조정 및 플랜지와 파이프의 결합상태로 더욱 확고하게 한다.
다음으로 4번파이프(P4)와 2번프랜지(F2) 가공공정을 살펴보면, 3번파이프(P3)의 가공공정과 마찬가지로 소요되는 길이로 절단(cutting)하고, 디버링(Deburring)을 행한 후 1번플랜지(F1)와 같이 파이프삽입구(ph2)와 볼트삽입구(bh2)를 형성하고, 2개의 원통이 측면으로 이어진 형태로 2번플랜지(F2)를 알미늄재로 주조 성형하여 2번플랜지(F2)의 파이프삽입구(ph2)에 4번파이프(P4)를 삽입한다.
이렇게 2번플랜지(F2)의 파이프삽입구(ph2)에 삽입된 4번파이프(P4)의 삽입된 부분을 코오킹기계를 사용하여 확관하여 4번파이프(P4)의 단부가 2번플랜지(F2)의 파이프 삽입구(ph2) 내경에 밀착되도록 하고, 롤러버니싱 투울에 의하여 그 부분을 다듬질 가공을 행하면, 각 플랜지(F1,F2)와 각 파이프(P3,P4)가 완전 밀착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2번플랜지(F2)에 형성된 파이프삽입구(ph2)의 내경은 1번플랜지(F1)의 파이프삽입구(ph1)의 내경보다 약간 더 짧게 형성되도록 하여 플랜지가 형성된 상태에서 3번파이프(P3)가 4번파이프(P4)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각 파이프(P3, P4)에 플랜지(F1, F2)를 각각 형성시킨 후 이들(P3, P4)에게 트리밍을 행한 후 원하는 형태로 파이프를 각각 벤딩(Bending)시키고 세척수로 세척하여(Rinsing) 마무리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공정으로 제작된 플랜지가 부착된 3번파이프(P1) 와 4번 파이프(P4)에 의하여 관과 관을 잇는 관이음 형성구조를 사펴보면, 제4도에 도시된 바처럼 3번파이프(P3)의 1번플랜지(F1)를 관통하여 돌출된 단부쪽에 오링(O-Ring; O)을 끼우고, 이 부분을 4번파이프(P4)의 2번플랜지(F2)가 조립된 부분 즉, 2번플랜지(F2)의 파이프삽입구(ph2)에 삽입하면, 3번파이프(P3)와 4번파이프(P4)내경에 밀착되면서 끼워저 3번 파이프(P3)와 4번파이프(P4)가 연통되어 이어지는데, 이때 오링(O)는 3번파이프(P3)와 4번파이프(P4)의 이음 부분을 밀봉(seal)하고, 1번플랜지(F1)와 2번플랜지(F2)는 서로 접하여 각 플랜지(F1,F2)에 형성된 볼트 삽입구(bh1,bh2)가 서로 연통되게 된다.
그리고, 제4도에 도시된 바처럼 이 볼트삽입구(bh1,bh2)에 볼트와 너트를 체결하여 조이면서 3번파이프(P3)와 4번파이프(P4)를 연결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관이음 형성구조 및 파이프 가공방법에 의하여 자동차용 에어컨을 제조하게 되면, 종래의 납땜(Brazing) 연결법이나 용접(welding) 연결법과 다른 조립 방법으로 조립하면서 관이음 부분에서 액상체나 기체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파이프의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오링(O-Rring)과 볼트 및 너트를 사용하고 있기에, 납땜이나 용접 시 발생될 수 있는 납땜이나 용접이 되지 않는 부분의 발생 염려가 없고, 납땜이나 용접 시 필요한 제반설비가 필요없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이음은 조립식이므로 작업이 신속할 뿐만 아니라 용이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향상되고 제품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에어컨 사용 도중 일부 파이프에 손상(부식 등)이 있어 이를 수선하고자 하거나 기타 에어컨 수리 중에 파이프의 교체가 필요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관이음구조를 갖는 파이프의 배관 조립식이므로 파이프배관의 부분 교체 작업을 매우 용이하고 신속하게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관이음구조는 차량용 에어컨 배관에 사용됨으로서 상승적 효과를 획득할 수 있는바, 자동차 등 차량은 진동이 매우 심하므로 종래와 같이 배관을 용접으로 하게 되면 취약한(Brittle) 용접 부위가 쉽게 손상을 받게 되므로 가스나 액상체가 누설될 염려가 매우 많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관이음 구조로서 에어컨의 배관을 형성하면 관이음 부분에서 특별히 취약한 부분이 없으므로 그만큼 에어컨 배관 수명이 오래간다할 것이다.

Claims (4)

  1. 자동차용 에어컨을 배관하기 위한 두개의 파이프 즉, 1번파이프(P1)와 2번파이프(P2)를 연결하는 관이음 형성구조에 있어서, 상기 1번파이프(P1)의 끝단부가 확관되어 이 확관된 1번파이프(P1)의 끝단부의 외주면에 내부가 관통된 파이프형볼트(B)가 끼움 조립됨과 동시에 1번파이프(P1)의 상단을 방사상으로 벌려 파이프형볼트(B)가 고정되고, 상기 2번파이프(P2)의 끝단부가 상기 1번파이프(P1)의 확관된 끝단부에 삽입되어 밀착됨과 더불어 체결되어 연통될 수 있도록 2번파이프(P2)의 외주면에 볼록하게 융기된 링형상의 클램핑턱(C)이 형성됨과 더불어 클램핑턱(C) 앞부분에 요(凹)홈 형상을 갖는 오링끼움홈(h)이 형성되어 이 오링끼움홈(h)에 오링(O)이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2번파이프(P2)의 클램핑턱(C) 뒤쪽 외주면에 이동 가능하게 스위벨너트(N)가 구비되어, 상기 스위벨너트(N)가 상기 1번파이프(P1)에 조립된 파이프형볼트(B)와 체결 결합됨에 따라 상기 1번파이프(P1)와 2번파이프(P2)가 연통되게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에어컨 배관에 있어서 관이음 형성구조.
  2. 소정의 길이로 잘라낸 1번파이프(P1) 와 2번파이프(P2)에서 각 파이프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함과 더불어 각 파이프 끝단부의 표면을 매끄럽게 다듬는 디버링공정과; 상기 1번파이프(P1)의 끝단부에는 파이프형볼트(B)를 삽입하고 코오킹 기계로서 파이프형볼트(B)가 삽입된 부분을 확관하여 1번파이프(P1) 끝단부에 파이프형 볼트(B)를 밀착 고정하고, 상기 2번파이프(P2)의 끝단부에는 상기 1번파이프(P1)의 확관된 부위가 삽입될 수 있도록 코오킹 기계로서 확관하는 코오킹공정과; 상기 파이프형볼트(B)가 1번파이프(P1)의 끝단부에 확실하게 밀착 고정되도록 롤러버니싱 투울에 의하여 파이프형볼트(B)가 결합되어 있는 1번파이프(P1)의 일측 단부 내경면(內徑面)을 외경 쪽으로 누르면서 다듬질 가공하는 롤러버니싱공정과; 상기 확관된 2번파이프(P2) 뒷쪽에 삽입되는 스위벨너트(N)가 체결을 위해 앞쪽으로 이동할 때 걸리도록 하는 클램핑턱(C)과 2번파이프(P2)를 1번파이프(P1)에 삽입할 때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실링하는 오링(O)을 끼울 수 있는 오링끼움홈(h)을 2번파이프(P2)의 끝단부에 가공하는 롤링공정과; 상기 각 공정에 의해 가공된 1번파이프(P1)와 2번파이프(P2)의 표면에 묻어있는 이물질이나 금속분말 등을 제거하는 디버링 또는 트리밍공정과; 상기 공정 후에 각 파이프를 원하는 형태로 굴곡 시킨 후 세척수로 세척하여 마무리하는 린싱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에어컨 배관에 있어서 관이음 파이프 가공방법.
  3. 자동차용 에어컨을 배관하기 위한 두 개의 파이프 즉, 3번파이프(P3)와 4번파이프(P4)를 연결하는 관이음 형성구조에 있어서, 상기 3번파이프(P3)에는 선단에서 일정거리 떨어진 부위에 파이프삽입구(ph1)와 볼트삽입구(bh1)가 형성된 1번플랜지(F1)가 파이프삽입구(ph1)를 통해 끼워져 3번파이프(P3)의 끝단부가 1번플랜지(F1)의 선단면에서 소정길이로 돌출 조립됨과 더불어 1번플랜지(F1)의 조립부위가 확관되고, 상기 확관되지 않은 3번파이프(P3)의 끝단부에 요홈인 오링끼움홈(h)이 형성되어 이 오링끼움홈에 오링(O)이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4번파이프(P2)의 끝단부에는 파이프삽입구(ph2)와 볼트삽입구(ph2)가 형성된 2번플랜지(F2)가 파이프삽입구(ph2)를 통해 끼워져 조립됨과 동시에 상기 오링끼움홈(h)이 형성된 3번파이프(P3)의 끝단부를 끼울 만큼의 크기로 확관되어, 상기 3번파이프(P1)가 4번파이프(P4)에 삽입되어 상기 1번플랜지(F1)와 2번플랜지(F2)의 두 볼트삽입구(ph1, ph2)가 일치되면, 여기에 볼트를 삽입하여 너트를 체결함에 따라 3번파이프(P3)와 4번파이프(P4)가 연통되게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에어컨의 배관에 있어서 관이음 형성구조.
  4. 소정의 길이로 잘라낸 3번파이프(P3)와 4번파이프(P4)에서 각 파이프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함과 더불어 각 파이프 끝단부의 표면을 매끄럽게 다듬는 디버링공정과; 상기 3번파이프(P3)의 끝단부에는 파이프삽입구(ph1)와 볼트삽입구(ph1)가 형성된 1번플랜지(F1)가 파이프삽입구(ph1)를 통해 끼워져 3번 파이프(P3)의 끝단부가 소정길이 만큼 돌출되게 삽입된 후 코오킹 기계에 의해 3번파이프(P3) 끝단부 일부가 확관되어 1번플랜지(F1)와 3번파이프(P3)가 밀착 고정되고, 상기 4번파이프(P4)의 끝단부에는 파이프삽이구(ph2)와 볼트삽입구(ph2)가 형성된 2번플랜지(F2)가 파이프삽입구(ph2)를 통해 끼워져 조립됨과 동시에 3번파이프(P3)의 확관되지 않은 끝단부위가 삽입될 수 있도록 코오킹 기계로서 확관되는 코오킹공정과; 상기 1번플랜지(F1 )와 2번플랜지(F2)가 각각 3번파이프(P3)와 4번파이프(P4)의 끝부에 확실하게 밀착 고정되도록 롤러버니싱 투울에 의하여 각각의 플랜지가 결합되어 있는 각 파이프 내경면(內徑面)에서 외경 쪽으로 누르면서 다듬질 가공하는 롤러버니싱공정과; 상기 3번파이프(P3)를 4번파이프(P4)에 삽입할 때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1번플랜지(F1)의 선단면에서 소정길이로 돌출되어 확관되지 않은 3번파이프(P3)의 끝단부에 오링(O)을 끼울 수 있는 오링끼움홈(h)을 가공하는 롤링공정과; 상기 각 공정에 의해 가공된 3번파이프(P3)와 4번파이프(P4)의 표면에 묻어있는 이물질이나 금속분말 등을 제거하는 디버링 또는 트리밍공정과; 상기 공정 후에 각 파이프를 원하는 형태로 굴곡 시킨후 세척수로 세척하여 마무리하는 린싱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에어컨 배관에 있어서 관이음 파이프 가공방법.
KR1019960071512A 1996-12-24 1996-12-24 자동차용 에어컨의 배관에 있어서 관이음 형성구조 및 관이음 파이프 가공방법 KR100226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1512A KR100226645B1 (ko) 1996-12-24 1996-12-24 자동차용 에어컨의 배관에 있어서 관이음 형성구조 및 관이음 파이프 가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1512A KR100226645B1 (ko) 1996-12-24 1996-12-24 자동차용 에어컨의 배관에 있어서 관이음 형성구조 및 관이음 파이프 가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2506A KR19980052506A (ko) 1998-09-25
KR100226645B1 true KR100226645B1 (ko) 1999-10-15

Family

ID=19490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1512A KR100226645B1 (ko) 1996-12-24 1996-12-24 자동차용 에어컨의 배관에 있어서 관이음 형성구조 및 관이음 파이프 가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66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5211A (ko) * 2000-11-04 2002-05-11 류 진 수 호스 연결용 금구의 니플 가공방법 및 그 구조
KR100411343B1 (ko) * 2001-06-29 2003-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관 연결 장치
KR20030016734A (ko) * 2001-08-21 2003-03-03 주식회사 원천산업 압축기용 케이스의 제조방법
JP4642465B2 (ja) 2002-08-19 2011-03-02 株式会社ダイヤメット 回転伝達組立体および回転伝達組立体を組立てる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1485U (ko) * 1991-06-04 1993-01-21 삼성전기 주식회사 편향요크의 누설자계 방지용 코일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1485U (ko) * 1991-06-04 1993-01-21 삼성전기 주식회사 편향요크의 누설자계 방지용 코일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2506A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7924B2 (en) Fitt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fitting
US6328351B1 (en) Pipe joint with enlarged metal pip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4442586A (en) Tube-to-tube joint method
CA1105960A (en) Tube-to-tube joint and method
US3986736A (en) Pipe joint
US6446857B1 (en) Method for brazing fittings to pipes
US5415443A (en) Pipe with flange for pipe fitting, pipe flange used therewith and method of joining said pipe with flange with pipe
US6533328B2 (en) Joint for duplex pipes
JP6031032B2 (ja) ウエルドレスアルミニウム製hvacシステム
US6185821B1 (en) Practical forged flange-type ball valve fabrication method
KR100226645B1 (ko) 자동차용 에어컨의 배관에 있어서 관이음 형성구조 및 관이음 파이프 가공방법
JPH11500514A (ja) 液体配管接続装置
US5277457A (en) Pipe joint
JP4257039B2 (ja) 二重管用継手、二重管用継手と二重管とのろう付け方法
US4628704A (en) Surge tank for air-conditioning compressor
US4761873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hose stem for hydraulically loaded friction fittings or threaded fittings
JP2001235081A (ja) 二重管用継手
US3648509A (en) Formed gas meter conduit
JP2009168127A (ja) 二重管継手構造
EP0039599B1 (en) Integral end closure and hub for a ball valve body
US5513794A (en) Method for fixing stopper ring to pipe spigot
KR100274507B1 (ko) 금속파이프를 이용한 볼 밸브의 제조방법
AU688415B2 (en) Coupling member
JP7421908B2 (ja) フレア継手構造及びフレア管の製造方法
CN207796314U (zh) 一种非等厚液压成形柔性复合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