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9507A - 분사 조절기 - Google Patents

분사 조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9507A
KR20050049507A KR1020057005452A KR20057005452A KR20050049507A KR 20050049507 A KR20050049507 A KR 20050049507A KR 1020057005452 A KR1020057005452 A KR 1020057005452A KR 20057005452 A KR20057005452 A KR 20057005452A KR 20050049507 A KR20050049507 A KR 20050049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housing
water
regulator
water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5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2477B1 (ko
Inventor
그레터 헤르만
Original Assignee
네오펄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203825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50049507(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네오펄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네오펄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50049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9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4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8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g. anti-splash devices
    • E03C1/084Jet regulators with aera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8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g. anti-splash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Nozzle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운팅 하우징(a mounting housing)(6)의 내부에 분사분류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분사조절기(1)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사조절기(1)는 마운팅 하우징(6)이 적어도 2개의 하우징 부분(7,8)으로 나뉘어지고 하우징 부분(7,8)은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수류유입면의 하우징 부분(7)은 분리되지 않도록 확고하게 분사분류장치(2)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사조절기(1)는 형태 안정성이 뛰어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은 하우징 직경(도 1 참조)으로 제작되는 경우에도 제작비용이 저렴하다.

Description

분사 조절기{JET REGULATOR}
본 발명은 마운팅 하우징(a mounting housing)의 내부에 분사분류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분사조절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언급된 타입의 분사조절기는 예를들어 DE 30 00 799 A1 으로부터 알려져 있다. 상기 분사조절기는, 예를들어 위생 배출 설비의 배출구 속으로 조립될 수 있는데, 분사조절기의 마운팅 하우징의 내부에 분사분류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분사분류장치는 천공판으로서 형성되며 유입되는 물분사(water jet)를 다수개의 개별 분사로 나눈다. 분사분류장치에서는 이들 개별 분사들이 (필요하다면 공기와 혼합된 후에) 분무형태로는 되지 않으면서 균일하고 부드러운 거품으로 형성된다.
종래 분사조절기에서는, 분사분류장치로서 기능하는 천공판은 유입구쪽으로부터 분사조절기의 마운팅 하우징 속으로 위치될 수 있는 분리플라스틱부로 구성된다. 유입되는 물분사를 천공판에서 개별 분사로 효과적으로 분류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천공판에서 흐름공의 종축방향 확장은 상대적으로 짧고 결과적으로 그에 대응하여 천공판의 두께가 얇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천공판은, 그 면이 흐름방향을 가로질러 위치하는데, 높은 수압에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그리고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천공판은, 판 두께가 너무 얇으면 특히 높은 수온에서, 그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바람직하지 않은 변형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그럼에도 불구하고 천공판의 일정한 최소 두께가 요구된다.
천공판은 마운팅하우징에서 대응하는 원형테두리에 탑재될 것이기 때문에, 공지의 분사조절기는 부가적으로 비교적 큰 하우징(housing) 직경을 갖고 있고, 그에 대응하는 큰 최소직경 위생설비 유출구를 필요로 한다. 부분적으로 반대되는 이들 요구사항의 균형을 맞추는 비용은, 서로 다른 수류유형을 위해 이 다중 부분 분사조절기의 서로 다른 몸체를 구비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는 사실로 인해, 더욱 증가된다.
따라서 하우징 직경이 작아도 형태에 있어서 높은 안정성이 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조비용은 비싸지 않아서 차별화되는 상기 언급된 타입의 분사조절기를 창출할 필요가 발생한다.
상기 언급된 타입의 분사조절기에서 이 문제에 대한 본원발명에 따른 해결책은 마운팅 하우징이 적어도 두 부분으로 나뉘어지고, 이 부분들이 서로 연결되며, 유입구측에서 하우징의 일부분이 고정적으로 그리고 분리되지 않고서 분사분류장치에 연결되는 것이다.
도 1은 분사조절기로서 제작된 위생설비의 종단면도이며, 수류유입면의 분사분류장치를 포함하는데, 상기 분사분류장치에는 서로 일정거리만큼 떨어져 있는 다수개의 삽입부분을 구비한 분사조절장치가 수류흐름방향에 순행하는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수류균형장치(a flow equalizer)는 수류배출면에서 상기 분사조절기의 단부를 형성한다.
도 2는 분사조절장치의 삽입부분을 도시하고 있는데, 도 2a는 그 평면도이고, 도 2b는 그 종단면도이며, 상기 삽입부분은 교차점에서 격자방식으로 교차하는 웹(web, 얇은 판)을 구비하고 있다.
도 3은 도 2에서 도시된 삽입부분과 비교되는 삽입부분을 도시하고 있는데, 도 3a는 그 평면도이고, 도 3b는 그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의 삽입부분이 서로 결합되어 분사조절장치를 형성하고 있는 삽입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삽입부분을 도시하고 있는데, 도 5a는 그 평면도이고, 도 5b는 그 종단면도이며, 교차점에서 교차하는 2개의 웹 그룹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 중 하나의 그룹은 동심형으로 위치한 노드(node)를 갖고 있으며, 다른 하나의 그룹은 방사형 웹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6은 삽입부분을 도시하고 있는데, 도 5a는 그 평면도이고, 도 5b는 그 종단면도이며, 그물형식으로 교차점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는 웹을 구비하고 있다.
도 7은 도 5에서 도시된 삽입부분과 비교되는 삽입부분을 도시하고 있는데, 도 7a는 그 평면도이고, 도 7b는 그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 및 도 7의 삽입부분이 서로 결합되어 분사조절장치를 형성하고 있는 삽입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9는 하우징 설비 속으로 설치될 수 있는, 벌집모양 수류개구부를 구비한, 수류균형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9a는 그 평면도이고, 도 9b는 그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수류균형장치와 기능상 비교되는 수류균형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0a는 그 평면도이고, 도 10b는 그 종단면도이며, 상기 수류균형장치는 부채꼴 형상의 수류개구부를 구비하고 있다.
도 11은 체(sieve) 형태의 삽입부분으로서 도 11a는 그 평면도이고, 도 11b는 그 종단면도이며, 상기 체(sieve) 형태의 삽입부분의 웹(web)은 금속체로 구성되며, 상기 체(sieve) 형태의 삽입부분은 도 2,3,5,6 및 7에 도시된 삽입부에 부가하여 또는 대신하여 그리고/또는 도 9,10에 도시된 수류균형장치에 부가하여 또는 대신하여 마운팅 하우징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삽입부분과 기능상 비교되는 삽입부분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12a는 그 평면도이고, 도 12b는 그 종단면도이며; 여기서 도 11에 유사하게, 상기 삽입부분은 또한 수류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향하고 있는 금속 체를 구비하고 있다.
도 13은 분사조절장치의, 동일한 구조를 구비한 2개의 삽입부분의 평면도이며; 이들 이웃한 삽입부분의 웹과 교차점은 서로 정렬되어 있다.
도 14는 하우징 내부에서 분사분류장치없이 작동하는 분사조절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15는 수류배출구에 위치한 분사조절기의 일부 종단면도로서, 그 하부의 슬리브(sleeve) 형태의 하우징 부분은 신축성있는 물질로 만들어지며,
도 16은 도 1에 도시된 분사조절기와 유사한 분사조절기로서, 여기서 분사조절기의 분사분류장치는 수류방지판(a baffle plate)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면의 주요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
1 ; 분사조절기(jet regulator)
2 ; 분사분류장치(jet fractionating device), 천공판(perforated plate)
3 ; 수류공(flow hole)
4 ; 분사조절장치(jet regulation device)
5a,5b,5c,5d,5e ; 삽입부분(insert part)
6 ; 마운팅 하우징(mounting housing) 또는 케이스 하우징(case housing)
7, 8 ; 하우징 부분(housing part)
10 ; 교차점(intersect node)
11 ; 웹(web)(11)
11' ; 방사형 웹(radial web)
11'' ; 동심고리형 웹(concentric annular web)
14 ; 수류균형장치(flow equalizer) 또는 수류정류기(flow rectifier)
15 ; 관통개구부(through-opening)
17 ; 부착 체(a sieve attachment)
18 ; 중앙수류흐름방지판(central baffle plate)
19 ; 수류흐름개구부(flow openings)
20 ; 외연벽(peripheral wall)
22 ; 방사형 종축방향 웹(radial longitudinal web)
23 ; 협착부(constriction)
26 ; 판 표면(plate surface)
27 ; 수류개구부(flow opening)
28 ; 방사형 원주 모서리(radial peripheral edge)
29 ; 중앙공간구성요소(central spacing element)
본 발명에 따른 분사조절기는 적어도 두개의 하우징부분으로 나뉘어지며, 그리하여 적어도 유입구측에 하나의 하우징부분과 출구측에 하나의 하우징부분으로 나뉘어진다. 이 하우징부분들 중에서, 유입구측의 하우징부분은 고정적으로 그리고 분리되지 않고서 분사분류장치에 연결된다. 예를들어 얇은 천공판과 같은 민감한 분사분류장치도 또한 숨겨지고 고정되고 보호되는 방식으로 하우징부분과 연결되기 때문에, 분사분류장치의 기능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심각한 변형은 심지어 높은 수온 및 높은 수압에서도 예상되지 않는다. 분사분류장치는 내부하우징 벽에 고정적으로 그리고 분리되지 않고서 고착되기 때문에, 그리고 원형테두리는 더 이상 내부하우징 벽에서 분사분류조절기를 위한 지지대로서 필요로 되지 않기 때문에, 분사조절기는 심지어 높은 유속(flow rate)에 대해서도 비교적 작은 하우징 직경으로 제작될 수 있다. 종래 공지기술에서는, 이것은 낮은 유속일 때에만 분사조절기에서 가능했다. 마운팅 하우징과 고정적으로 연결된 분사분류장치로 인해, 마운팅 하우징은 방사형의 급경사를 경험하는데, 방사형의 급경사는 또한 파열에 전반적으로 더 안정되고 저항력있는 슬리브 형상(sleeve-shaped)의 마운팅 하우징을 만든다. 공지의 분사조절기는, 그 내부에 분리천공판이 분사분류장치로서 외부 하우징 내에 탑재되는데, 천공판과 슬리브 형상의 외부 하우징 사이에 밀봉문제가 계속해서 발생하는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분사조절기는, 유입구측에서 분사분류기 및 하우징부분이 하나의 몸체(one-piece)로 제작된다는 사실로 인해, 이러한 밀봉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본질적인 이점을 제공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운팅 하우징은 서로 연결되는 적어도 두개의 하우징부분으로 만들어 지기 때문에, 천공판으로부터 유체흐름에 순행하는 방향으로 연결되어 그리고 요구되는 기능 유닛이 부가되어 필요한 때 분사조절장치를 마운팅 하우징 속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분사조절기는 낮은 제조비용을 가짐과 동시에 높은 정도의 형상 안정성을 가짐으로 인해 차별화된다.
필요하다면 모듈 형태로 본 발명에 따른 분사조절기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리고 필요한 때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부분에 위치한 기능유닛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적어도 두개의 하우징부분들이 자유로운 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면 유리할 것이다.
분사분류장치로서, 분사조절기로 흘러들어 오는 물분사를 다수개의 개별 분사로 나눈다면 어떠한 적절한 디자인이라도 사용되어 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분사분류장치는 또한 예를들어 수류방지판(a baffle plate)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체적 실시예에서는 분사분류장치는 천공판으로서 형성되는 것으로 규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사조절기는 필요하다면 오직 하나의 분사분류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사조절기의 이 분사분류장치로부터 역행 및/또는 순행하는 방향으로 부가적인 기능유닛을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서는 분사조절기가 분사분류장치의 유출구측에 순행하는 방향으로 연결된다; 이 분사조절장치는 분사분류장치에 의해 형성된 개별분사를 결합하여 전반적으로 균일하고 부드러운 거품 수류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사조절기에서 수류에 대한 강한 혹은 덜 강한 제동이 요구되는 한에 있어서는, 분사조절장치에 순행하는 방향으로 연결된 기능유닛 뿐만 아니라 분사조절장치를 교환함으로써 분사조절기를 최적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체적 실시예에서는, 선별적으로 마운팅하우징 속으로 설치될 수 있는 적어도 두개의 분사조절장치가 마운팅 하우징에 배치되는데, 상기 마운팅 하우징은 서로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두개의 하우징부분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사조절기의 수류유입측에 있는 하우징부분은, 분사분류장치가 하나의 몸체(one-piece) 안에서 분사분류장치에 배치된 하우징부분에 연결된다면, 하나의 몸체(one-piece) 프라스틱 주입성형부분으로서 낮은 비용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사조절기를 제작하는 것과 연관된 비용은, 만일 마운팅 하우징이 유입수류 방향을 가로지르는 것으로 인해 분리되는 평면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는 두개의 이웃한 하우징부분을 갖는다면, 더욱 절감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사조절기의 적어도 두개의 하우징부분은 예를들어 접착 혹은 용접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마운팅하우징의 하우징부분이 풀림이 가능한 방식으로 서로 잠겨질 수 있다면 본 발명에 따른 분사조절기의 하우징부분은 특별히 단순하고 편리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유출구측에서 하우징부분이 슬리브 형태로 제작되며, 분사조절장치 또는 이런 종류의 기능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분이 이러한 하우징부분 속으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분이 하우징부분 속으로 설치될 수 있다면, 그래서 상기 하우징부분의 유입구측부터 기능유닛까지 하우징부분이 배치되어 삽입 멈춤 또는 지지대로 되도록 한다면 유리하다.
광범위한 요구사항에 대해 본 발명에 따라 분사조절기를 쉽게 최적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동일한 마운팅 하우징을 사용하는 한편, 마운팅 하우징 속으로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복수개의 분사조절장치가 상기 마운팅 하우징에 배치될 수 있다. 더하여, 또는 그 대신에, 분사조절기의 분사분류장치는 모듈식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서로 선별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복수개의 삽입부분이 상기 분사조절장치에 배치될 수 있다.
분리보호를 보증하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사조절기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분사조절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분을 포함하는데, 상기 삽입부분은 마운팅 하우징 속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수류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향하는 웹(web, 얇은 판)을 갖고 있으며, 그것들 사이에서 관통 개구부 경계를 정하며, 교차점에서 교차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삽입 부분의 웹이 격자 혹은 그물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마운팅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분사조절기는 마운팅 하우징 속으로 배치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분을 구비하는 분사조절장치를 갖는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분은 수류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향하고 있는 평면에 위치하고 있는 웹을 갖는데, 상기 웹은 격자 혹은 그물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교차점에서 교차한다. 상기 격자 혹은 그물 타입의 구조로 인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분은 상대적으로 대단히 작은 단면적에서도 많은 갯수의 웹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유입분사 수류가 다수개의 개별분사로 분리된다. 그리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단면적에서의 높은 유속 하에서도 효과적인 혼합 및 분사조절이 얻어질 수 있다. 대단히 많은 갯수의 웹이 주어지는데, 상기 웹들은 격자 혹은 그물형식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통개구부는 수류를 따라 운반되는 오물부스러기를 통과시킬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크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분사조절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주입부분이, 분사분류장치에서 발생된 각각의 분사들이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분의 교차점에 부딪치는 방식으로, 분사분류장치에 대해 상대적으로 위치한다,
각각의 분사에 대한 분할 효율을 더욱 증가시키기 위해, 그리고 가장 작은 단면적에 대해서도 분사조절특성을 더욱 개선시키기 위해. 적어도 두개의 이웃한 삽입부분이 격자 혹은 그물형식으로 배치되어 있는 웹을 가지는 것으로 구성된다면 유리하다. 이러한 상기 실시예에서 분사조절장치는 예를들어 격자형식으로 교차점에서 교차하는 웹을 갖는 적어도 두개의 삽입부분을 포함한다. 이들 교차점들에서 각각의 개별 물분사는 다시 효과적으로 다수개의 개별적인 분사로 분할되어 높은 유속 및 상대적으로 작은 단면적을 갖는 본 발명의 분사조절기에서 효율적인 혼합과 분사조절이 달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2개의 이웃한 삽입부분의 웹과 교차점들이 서로 정렬한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특별히 유리한 점은 적어도 2개의 삽입부분이 동일하게 제작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가장 작은 공간에서 물분사가 특히 효율적으로 분할됨으로써 본 발명보다 더 발전된 모습을 나타내는데, 이웃한 삽입부분의 교차점들이 서로 이웃하는 삽입부분의 관통개구부로부터 수류흐름방향에 순행하는 방향으로 연결된다.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간단한 실시예에서는, 수류유입 및/또는 배출 측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분은 격자방식으로 제작되며, 평행 격자 웹의 2개의 교차 세트를 포함한다. 그에 더하여, 또는 그 대신에, 수류유입 및/또는 수류유출면에서의 삽입부분은 동심형태 혹은 고리형태로 배열되는 한 벌의 웹을 가지면서 격자점에서 교차하는 한 벌의 방사형 웹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수류유입 및/또는 수류유출면에서의 삽입부분은 방사형 형태 또는 그물형태으로 교차하는 웹을 구비한다. 그러나, 또한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분의 웹은 벌집형태의 격자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축방향으로 공간을 절약하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사조절기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분의 웹이 수류흐름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향해 있는 평면에 위치하도록 하여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반적으로 분무형태가 아닌 균일한 분사를 형성하도록 하기 위해 분사조절장치에서 생성된 각각의 분사를 유출구측에서 결합하기 위하여, 수류 균형장치는 유출구측에서 분사조절장치의 흐름에 순행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이 유리한데, 상기 수류 균형장치는 수류흐름방향에 있어서 그 폭이 그 길이보다 더 작은 관통개구부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수류 균형장치는 마운팅 하우징의 출구쪽에 위치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상기 수류 균형장치는 마운팅 하우징과 하나의 몸체로 연결될 수 있으며 또는 분리삽입부분으로서 마운팅 하우징 속으로 배치될 수 있다. 분리삽입부분으로서 마운팅 하우징 속으로 배치될 수 있는 분사조절기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사조절기의 모듈식 형상을 더욱 떠받치는 동안에, 마운팅 하우징과 하나의 몸체로 연결된 수류 균형장치는 또한 수류유출구측에서 분사조절기의 파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사조절기의 수류균형장치는 또한 특별한 응용 하우징 및 그 사용목적에 따라 개조되어 제작될 수 있다. 그리하여 예를들어 수류균형장치는 사각형, 원호형태, 또는 벌집형태의 관통개구부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수류균형장치 및/또는 분사조절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체(sieve)를 포함할 수 있다.
천공판에 바로 접하여 있는 분사조절장치의 삽입부의 교차점이 천공판의 관통공으로부터 수류에 순행하는 방향으로 연결된다면 사용되는 분사조절장치의 효율성은 휠씬 증가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수류배출면의 하우징부분이 적어도 수류배출개구부 영역에서 부드러운 및/또는 방수되는 표면을 구비한다. 상기 실시예의 유리한 점은 수류배출개구부 영역에서 석회침착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또한 부드러운 표면은 득히 쌓여있을 수 있는 침전물을 손으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청소하기 쉽다.
동일한 이유로, 상기 설명한 사항에 더하여 또는 대신하여, 수류배출면의 하우징부분, 적어도 수류배출개구부는 신축성있는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면 유리하다. 여기서 고무, 실리콘, 열가소성 고무, 또는 다른 고무같은 물질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류배출면의 하우징부분영역에서 조차도 본 발명에 따른 분사조절기의 제작을 더욱 간단히 하기 위해서, 수류배출면의 하우징부분이 본질적으로 신축성있는 물질 및/또는 부드러운 또는 방수가 되는 표면을 갖는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유리하다.
고무같은 재질로 만들어진 하우징부분이 본질적으로 충분히 안정되며 또한 예를들어 잠김연결에 의해 이웃한 하우징부분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수류배출면의 하우징부분이 종축방향 웹에 의해 보강되는 것이 유리한데, 상기 웹은 원주방향으로 균일하게 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종축방향 웹이 적어도 수류배출 개구부 영역에 구비된다.
분리보호를 보증하면서, 본 발명에 따라 특히 유익하게 발전된 것은 수류배출면의 하우징부분이, 수류배출개구부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한 즉 수류단면의 유사한 좁아짐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이 제한 즉 수류단면의 유사한 좁아짐은 수류분사배출 및 수류패턴에 대해 교정효과(a calibrating effect)를 갖는다. 수류단면의 좁아짐은 수류배출개구부 영역에서, 그리하여 수류등고선을 가능한 교란시키지 못하도록 수류흐름방향에 순행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영역에서 발생한다. 물분사에 대한 교정효과는 균일한, 분무화 되지 않는, 소음이 낮은 수류패턴을 현저하게 촉진시킨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이 본 발명의 실시본 발명에 따른 분사조절기 l 제작을 더욱 단순화시키기 위해, 수류배출면의 하우징부분이 수류유입면에 이웃한 하우징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면 유리하며, 잠김연결을 매개로 하여 특히 주위의 하우징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대한 그밖의 특성들이 청구항 및 도면과 연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도출된다. 개별적인 특성들은 본 발명에 대한 구체예에서 개별적으로 또는 결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위생수류 배출설비의 수류배출구 속으로 위치할 수 있는 위생설비를 도시한다. 여기서 삽입부분은 분사조절기(1)로서 구성되는데, 분무형태로는 되지 않으면서 균일하고 부드러운 거품의 물분사를 생성하는데 이용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분사조절기(1)는 천공판으로서 만들어지는 분사분류장치(2)를 구비하며, 유입되는 물분사를 다수개의 개별 분사로 분할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천공판(2)은 적어도 수류유입면의 절단공에 상응하는 갯수의 수류공(3)을 구비하는데, 상기 수류공은 수류흐름방향에 순행하는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원뿔모양으로, 점점 가늘어진다. 그리하여 오물부스러기는 설비(1)속으로 관통할 수 없으며 거기서 기능적인 혼란을 야기하며, 부착체(a sieve attachment)(17)가 수류유입면에 제공된다.
분사조절장치(4)는, 천공판(2)에 의해 구성되는 분사분류장치로부터, 수류흐름에 순행하는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분사조절장치(4)는 분사분류장치(2)로부터 오는 개개의 분사를 강하게 멈추게 하여, 개개의 분사를 더욱 개개의 분사로 분할시키고, 필요하다면 공기와의 혼합을 증진시켜 최종적으로는 부드러운 물거품분사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분사조절장치(4)는 두개의 삽입부분 5a, 5b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분은 서로 일정거리 떨어져서 케이스 하우징(6) 속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서, 케이스 하우징(6)이 2부로 된 구조(a two-part construction)를 구비하고, 분리가능형태로 서로 잠겨질 수 있는 두개의 하우징 부분(7,8)을 구비 하고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수류유입면의 하우징 부분(7)은 한쪽부분이 천공판(2)에 연결되어 있고 따라서 고정되고 분리가능하지 않은 형태로 되어 있다. 이들 하우징 부분(7,8)은 수류유입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향해있는 분리평면 내에서 분리가능한 형태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대적으로 얇은 천공판(2)이 또한 그 주위 에지(edge)에서 안전하고 확고하게 하우징 부분(7)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기능면에서 반작용을 초래하는 천공판(2)의 심각한 변형은 높은 수온, 높은 수압에서 조차도 예상되지 않는다. 천공판(2)은 확고하고 분리할 수 없게 하우징 내부벽에 고착되어 있기 때문에, 그리고 고리모양 플랜지(flange)는 거기서 천공판 지지대로서는 필요로 되지 않기 때문에, 분사조절기(1)는 높은 유속에 대해서도 상대적으로 작은 하우징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종래 기술분야에서는 낮은 유속에 대해서만 분사조절기의 하우징 직경이 작을 수 있었다. 마운팅 하우징(6)에 확고하게 연결되어 있는 천공판(2)으로 인해, 마운팅 하우징(6)은 방사상으로 급경사지게 되는데, 이로 인해 슬리브(sleeve)형의 마운팅 하우징(6)은 전반적으로 파열에 대해서 더욱 저항적으로 형태에 있어서 더욱 안정적으로 된다. 마운팅 하우징은 분리가능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두개의 하우징 부분(7,8)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분사조절장치(4)는, 천공판(2)로부터 수류흐름방향에 순행하는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필요하다면 기능유닛을 부가하여, 하우징(6)속으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분사조절기(1)는 제조비용이 낮으면서도 동시에 형태상의 높은 안정성으로 인해 차별화된다. 또한 분사조절기(1)는 유속(flow rates)이 높아도 비교적 작은 하우징 직경으로 제조될 수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수류 유형에 대해서 동일한 마운팅 하우징(6)을 사용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유속에 상응하는 정도까지 분사조절기(1)의 적응이 요구되는데, 이 적응은 유사한 기능유닛(functional units) 및 천공판(2)으로부터 순행하는 방향으로 연결된 분사분류장치를 교환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에서, 수류 배출면의 하우징 부분(8)이 슬리브(sleeve)방식으로 제작되고, 분사조절장치(4)의 삽입부분(5a, 5b)은 이 하우징부분(8) 속에 삽입멈춤부(9)까지 설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8까지 비교해보면, 특히 도 4 및 7로부터, 삽입부분(5a, 5b) 각각은 교차점(10)에서 교차하는 웹(11)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웃한 삽입부분(5b)의 교차점(10)이 이들 삽입부분 중 하나의 관통개구부(12)로부터의 수류흐름방향에 순행하는 방향으로 위치하고 있으며, 동시에 수류유입면에서 이웃한 삽입부분(5a)의 교차점(10)이 수류배출면에서 삽입부분(5b)의 관통개구부(12)로부터의 수류흐름방향에 역행하는 방향으로 위치하고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분사조절기로서 제작된 삽입부분(1)에 역행하여 흐르는 물분사는 수류유입면에서 삽입부분(5a)의 각각의 교차점(10)에서 다수개의 개별적인 분사로 나뉘어진다. (수류흐름방향에) 순행하는 방향의 삽입부분(5b)의 교차점(10)에서, 이들 개별분사들은 더욱 많은 다수개의 개별분사로 다시 나뉘어진다. 분사조절기(1)의 분사조절장치(4)는, 그 삽입부분(5a,5b)의 교차점(10)이 계단폭포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는데, 가장 작은 단면적을 가지면서도 유입되는 물분사를 대단히 효과적으로 부수는 것에 뛰어나다.
(여기에 도시된) 분사조절기(1)의 분사조절장치(4)는 모듈식으로 제작된다. 선별적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는 다수개의 삽입부분(5)은 분사조절장치(4)에 배치된다. 그리하여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삽입부분(5a,5b)은 격자형태의 웹(11)을 포함한다. 이들 삽입부분(5a,5b)의 격자구조는 대략 45°각도를 이루며 서로 갈라져있고, 도 3에 도시된 삽입부분(5b)은 도 2의 삽입부분(5a)에 비하여 더 작은 격자간격을 갖는다. 마운팅 하우징(6)에서 삽입부분들(5) 서로 간의 관계에 있어서 삽입부분들(5)의 올바른 위치는 언제나 돌출되거나 오목진 위치기준점(13)에 의해 보증되는데, 상기 위치기준점은 삽입부분(5a,5b)의 바깥쪽 외연(periphery) 모서리 표면에 있으며, 하우징 부분(8)의 하우징 안쪽 외연(periphery) 표면에 있는 돌출되거나 오목진 위치기준점과 함께 기능한다.
도 5에 도시된 수류 유입면의 삽입부분(5c)은 교차점에서 일련의 동심고리형(concentric annular) 웹(11'')과 교차하는 일련의 방사형(radial) 웹(11')을 포함하는 반면에, 도 6에 도시된 수류 배출면의 삽입부분(5d)은 별모양 또는 그물모양교차웹(11)을 갖는다. 각각 평판모양 삽입부분(5)인 상기 웹(11)은 수류흐름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향하는 평면에 위치한다.
도 1에서, 수류균형장치(flow equalizer)(14)가 마운팅 하우징(6)의 배출구에서 분사조절장치(4)로부터 순행하는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9 및 10으로부터, 상기 수류균형장치(14)는, 수류균형장치(14)에서 관통개구부(through-opening)(15)의 폭은 수류흐름방향으로의 관통개구부 길이보다 더 작은데, 예를들어 벌집모양(도 9) 또는 부채꼴모양(도 10)의 관통개구부(15)를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격자모양 금속 체를 포함하여, 삽입부분이 여기서 수류균형장치로서 기능하는 것을 보여준다.
도 13은 분사조절장치(4)는 또한 2개의 이웃한 삽입부분(5a,5b)을 구비할 수 있으며, 삽입부분의 웹(11)과 교차점(10)이 서로 정렬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다. 여기서, 도 13으로부터, 제작비용은 더 감소되면서, 분사조절장치(4)의 삽입부분(5a,5b)은 동일하게 제작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도 4, 도 8 및 도 13에 도시된 대로, 굵게 인쇄된 원들은 천공판(2)의 수류개구부가 수류흐름방향에 순행하는 방향으로 연결된 최소 1개의 삽입부분의 교차점(10)과 나란히 정렬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 13에서 굵게 인쇄된 원들은 분사분류장치(2)로부터 나오는 개별 분사들이 삽입부분(5a)의 교차점(10)과 충돌하는 지점을 나타낸다.
도 14로부터, 필요하다면, 분사조절기(1)는 분사분류장치(2)로부터 순행하는 방향으로 위치해있는 분사조절장치없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여기서, 도 14에 도시된 분사조절기(1)의 분사분류장치(2)는 천공판으로서구현되지 않으며, 오히려 그 모서리에 방사형으로 방향이 정해진 수류흐름개구부(19)를 갖고 있는 중앙수류흐름방지판(18)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방사형으로 방향이 정해진 수류흐름개구부(19)는 수류배출면을 향하여 열려있도록 제작된, 그리고 일정거리에서 수류방지판(18)을 둘러싸고 있는 외연벽(20)을 향하고 있다. 첫번째 하우징 부분(7)은 분사분류장치(2)에 연결되어 있는 반면, 두번째 하우징 부분(8)에서, 그 수류배출구에서, 단 하나의 벌집모양 수류균형장치(14)가 설치되는데, 수류유입면으로부터 모서리에 위치한 지지대까지 하우징부분(8)속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5는 분사조절기(1)가 수류배출구(21) 안에 위치하고 있음을 도시하고 있는데, 분사조절기의 슬리브 형식의 외부하우징은 분리가능한 방식으로 서로 잠겨질 수 있는 2개의 하우징 부분(7,8)으로 만들어진다. 여기서, 수류 유입면의 하우징 부분(7) 한쪽이 천공판(2)에 연결되어 둘 다 확고하고 풀리지 않게 되어있다. 수류 유입면 하우징 부분(7)은 비교적 단단한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지는 반면에, 수류배출면 하우징 부분(8)은 신축성있는 재질로 만들어지고 부드러운 방수성 표면을 갖는다. 그리하여 하우징부분(8)은 또한 그것의 수류배출개구부 영역에서 그리고 거기 설치된 수류균형장치(14)영역에서 방수성 표면을 갖기 때문에, 도 15에 도시된 분사조절기는 수류배출면 수류균형장치(14)의 석회침착(calcification)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수류배출면 하우징부분(8)은 고무(rubber),실리콘,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로 만들어지고, 그에따라 신축성있고 부드러운 표면을 갖기 때문에, 수류균형장치(14)에 퇴적되는 석회침착 또는 오물부스러기는 손으로 쉽게 제거될 수 있다. 분사조절기(1)를 더욱 쉽게 손으로 청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수류배출면의 분사조절기(1)의 일부분이 확장되어 조금이라도 수류배출구(21)를 지나간다면 유리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류유입면의 하우징부분(7)과 수류배출면 하우징부분(8)은 자물쇠연결에 의해 풀릴 수 있는 방식으로 서로 고정되어 있다, 수류배출면 하우징부분(8)이 수류유입면 하우징부분(7)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 부분(7,8) 둘 모두가 얹혀지는 지지대 어깨가 형성되어 충분히 큰 힘도 견뎌낼 수 있다. 그에 더하여, 수류배출면 하우징부분(8)은 수류균형장치(14) 영역에서 그에따라 수류배출구 영역에서 둘레방향으로 균일하게 배치되어 있는 방사형 종축방향 웹(radial longitudinal web)(22)에 의해서 강화된다. 고무같은 하우징 부분(8)에 마련되는 종축방향 웹(22)은, 수류배출구(21)의 내부 외곽에 거스르는 방향으로 매우 가깝게 위치해 있는데, 고무같은 하우징 부분(8)이 팽창하여 하우징 부분(7)으로부터 수축되지 않도록 한다. 어느 하우징에서도, 수압 하우징 부분(7)에서 분사분류장치(2)로서 작용하는 천공판에 가해지는 수압은 이미 거의 완전히 해체되기 때문에, 신축성있는 하우징 부분(8)에 수압으로 인해 발생하는 축방향 힘은 비교적 낮다.
도 15에서, 수류배출면 하우징 부분(8)은 수류배출개구부 영역에서 협착부(23)를 갖고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수류흐름단면이 줄어들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수류흐름단면의 축소는 배출되는 물분사를 표준화(calibration)시키고 분사패턴을 균일하게 한다. 협착부(23)는 수류배출개구부 영역에, 그에따라 수류흐름방향에서 가능한 교란 윤곽선(contour)으로부터 순행하는 방향으로 위치하는 영역에, 마련된다. 물분사의 교정은 균일하면서도 분무분사는 아닌 형태를 현저하게 증진시킨다.
도 16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비교하여 분사조절기(1)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분사조절기가 분사분류장치(2)로서 천공판을 구비하고 있는 반면에, 도 16에 도시된 분사조절기의 분사분류장치(2)는 수류방지판(a baffle plate)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수류방지판(a baffle plate)으로서 구성되어 있는 분사분류장치를 사용하여 그것과 연결되어 있는 소음이 무시될 수 있다면 유입되는 액체분사를 특히 효과적으로 부순다는 관점에서 유익하다. 도 16에서 종축방향 부분 단면도로부터, 유입되는 액체분사는 유입되는 방향 즉 분사조절기의 종축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에 위치한 판표면(26)에 충돌한다. 액체분사는 방사상의 방향으로 이 판표면(26)으로부터 판표면(26)을 둘러싸고 있는 외연 벽에 마련되어 있는 수류개구부(flow opening)(27)까지 흐른다. 액체분사는, 수류개구부(27)에서 개개의 분사로 나뉘어지는데, 곧 이어서 분사조절장치(4) 및/또는 수류균형장치(14)까지 흐를 수 있으며, 상기 분사조절장치(4) 및 수류균형장치(14)는 수류흐름방향에 있어서 분사분류장치(2)로부터 순행하는 방향으로 위치하고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분사조절기는 분리가능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는 2개의 하우징 부분(7,8)으로 나뉘어지는 마운팅 하우징(6)을 포함한다. 수류유입면에서 하우징 부분(7)이 수류방지판으로서 구성되는 분사분류장치(2)와 확고하게 그리고 분리되지 않게 연결되는 반면에, 둘 다 벌집모양 수류개구부를 갖고 있는 2개의 삽입부분은 슬리브 형태의 수류배출면 하우징 부분(8) 속에 배치된다. 작은 수류개구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대적으로 얇은 수류유입면 삽입부(5)가 분사조절장치로서 기능하는 반면에, 큰 수류개구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대적으로 두꺼운 수류배출면 삽입부분은 개별분사를 결합시켜 전체적으로 균일한 분사를 형성시키는 수류균형장치를 구성한다. 수류유입면 삽입부분(5)이 중앙공간구성요소(central spacing element)(29)를 이용하여 수류배출면 삽입부분에 지지되는 반면에, 수류균형장치를 구성하는 수류배출면 삽입부분은 하우징 부분(8)의 방사형 원주 모서리(radial peripheral edge)(28)에 이웃하여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사조절기(1)는 마운팅 하우징(6)이 적어도 2개의 하우징 부분(7,8)으로 나뉘어지고 하우징 부분(7,8)은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수류유입면의 하우징 부분(7)은 분리되지 않도록 확고하게 분사분류장치(2)와 연결되므로, 형태 안정성이 뛰어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은 하우징 직경으로 제작되는 경우에도 제작비용이 저렴하다.

Claims (34)

  1. 서로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하우징 부분(7,8)으로 나뉘어지는 마운팅 하우징(6),
    상기 마운팅 하우징(6) 내부에 위치하며, 수류유입면에서 하우징 부분(7)과 분리되지 않도록 확고하게 연결되는 분사분류장치(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조절기(1).
  2.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개의 하우징 부분이 분리가능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조절기(1).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분류장치는 천공판(2)으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조절기(1).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조절장치(4)는 수류배출면에서 상기 분사분류장치로부터 순행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조절기(1).
  5.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선별적으로 마운팅하우징(6) 속으로 설치될 수 있는 적어도 두개의 분사조절장치(4)가 마운팅 하우징(6)에 배치되며, 상기 마운팅 하우징은 분리가능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두개의 하우징 부분(7,8)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조절기(1).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분류장치(2)는 배치된 하우징 부분(7)과 하나의 몸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조절기(1).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하우징(6)은 수류유입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향하고 있는 분리평면 내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는 2개의 이웃한 하우징 부분(7,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조절기(1).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하우징(6)의 하우징 부분(7,8)은 풀림 가능한 방식으로 서로 잠겨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조절기(1).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수류배출면에서 상기 하우징 부분(8)은 슬리브(sleeve)형태로 구성되며, 분사조절장치(4)의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분(5)이 하우징 부분(8) 속으로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조절기(1).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분(5)이 수류유입면으로부터 삽입멈춤부(9) 즉 지지대까지 분사조절장치(4)에 배치된 하우징 부분(7) 속으로 위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조절기(1).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분사조절기(1)의 분사조절장치(4)는 모듈식으로 제작되고, 선별적으로 서로 겹합될 수 있는 다수개의 삽입부분(5a,5b,5c,5d,5e)이 분사조절장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조절기(1).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분사조절기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분(5)을 구비하며, 상기 삽입부분(5)은 마운팅 하우징(6) 속으로 배치될 수 있고 수류흐름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향하는 웹(11)들을 구비하며, 상기 웹들은 그들 사이에서 관통개구부(12)의 한계를 정하며,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분(5)의 웹들은 교차점(10)에서 교차하면서 격자 혹은 그물방식으로 배치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분사조절기(1).
  13.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분사조절장치(4)의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분(5)은, 분사분류장치에서 생성된 개별분사가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분(5)의 교차점(10)에 충돌하는 방식으로, 분사분류장치에 대해 상대적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조절기(1).
  14.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이웃한 삽입부분들(5)이 격자 또는 그물형태로 배치되는 웹(11)과 함께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조절기(1).
  15.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이웃한 삽입부분들(5a,5b)의 웹(11) 및 교차점(10)이 서로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조절기(1).
  16. 제 1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삽입부분들(5a,5b)은 동일하게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조절기(1).
  17. 제 1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이웃한 삽입부분(5b,5e)의 교차점(10)은, 삽입부분(5a,5c) 중 하나의 관통개구부(12)로부터 수류흐름방향에 순행하는 방향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조절기(1).
  18. 제 1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수류유입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분(5) 및/또는 수류배출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분(5)이 바람직하게는 수류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향하고 있는 평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조절기(1).
  19. 제 1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수류유입면 및/또는 수류배출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분(5a,5b)이 격자방식으로 형성되고 2개의 교차하는 평행격자웹 집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조절기(1).
  20. 제 1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수류유입면에서 하나의 삽입부분(5c) 및/또는 수류배출면에서 하나의 삽입부분(5c)이 일단의 동심고리형 웹(concentric annular web)(11'')과 교차점에서 교차하는 일단의 방사형 웹(radial web)(1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조절기(1).
  21.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수류유입면에서 삽입부분(5d) 및/또는 수류배출면에서 삽입부분(5d)이 별형태 또는 그물형태로 교차하는 웹(1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조절기(1).
  22.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삽입부분(5)은 판 형태(plate-shap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조절기(1).
  23. 제 1항 내지 제 2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수류균형장치(14)는 수류배출면에서 분사조절장치(4)로부터 순행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며, 그 폭이 수류흐름방향으로의 그 길이보다 더 작은 관통개구부(through-opening)(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조절기(1).
  24. 제 1항 내지 제 2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수류균형장치(14)는 마운팅 하우징(6)의 출구 끝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조절기(1).
  25. 제 1항 내지 제 2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수류균형장치(14)는 마운팅 하우징(6)과는 일체를 이루어 연결되거나, 또는 분리삽입부분으로서 마운팅 하우징(6)속으로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조절기(1).
  26. 제 1항 내지 제 2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수류균형장치(14)는 직사각형 또는 부채꼴(도 10) 또는 벌집모양(도 9)인 관통개구부(1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조절기(1).
  27. 제 1항 내지 제 2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조절장치 및/또는 수류균형장치(14)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체(metal siev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조절기(1).
  28. 제 1항 내지 제 2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수류배출면의 하우징 부분(8)은, 적어도 수류배출개구부 영역에서는, 부드러운 및/또는 방수성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조절기(1).
  29. 제 1항 내지 제 2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하우징 부분(8)은, 적어도 수류배출개구부 영역에서는, 신축성있는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조절기(1).
  30. 제 1항 내지 제 2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수류배출면에서의 하우징 부분(8)은 본질적으로 신축성있는 재질 및/또는 부드럽거나 방수성 표면을 갖는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조절기(1).
  31. 제 1항 내지 제 2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수류배출면에서의 하우징 부분(8)은 주위방향으로 분포되어 있는, 바람직하게는 동일간격을 두고, 종축방향 웹(22)에 의해 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조절기(1).
  32. 제 1항 내지 제 3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종축방향 웹(22)은 적어도 수류배출개구부 영역에서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조절기(1).
  33. 제 1항 내지 제 3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수류배출면에서의 하우징 부분(8)은, 수류배출개구부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협착부(23) 또는 유사한 수류단면부의 좁아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조절기(1).
  34. 제 1항 내지 제 3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수류배출면 하우징 부분(8)은, 수류유입면에서, 바람직하게는 잠김연결을 매개로 하여, 이웃한 하우징 부분(7)에, 특히 주위의(peripheral) 하우징부분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조절기(1).
KR1020057005452A 2002-10-04 2003-09-26 분사 조절기 KR1011324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46333.6 2002-10-04
DE10246333A DE10246333B4 (de) 2002-10-04 2002-10-04 Strahlregler
PCT/EP2003/010726 WO2004033807A1 (de) 2002-10-04 2003-09-26 Strahlreg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9507A true KR20050049507A (ko) 2005-05-25
KR101132477B1 KR101132477B1 (ko) 2012-03-30

Family

ID=32038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5452A KR101132477B1 (ko) 2002-10-04 2003-09-26 분사 조절기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7661608B2 (ko)
EP (1) EP1470298B1 (ko)
JP (1) JP2006502327A (ko)
KR (1) KR101132477B1 (ko)
CN (1) CN100400756C (ko)
AT (1) ATE547572T1 (ko)
AU (1) AU2003270278A1 (ko)
BR (2) BRPI0313481B1 (ko)
DE (1) DE10246333B4 (ko)
DK (1) DK1470298T3 (ko)
ES (1) ES2383357T3 (ko)
PT (1) PT1470298E (ko)
SI (1) SI1470298T1 (ko)
WO (1) WO20040338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19680B2 (en) 2002-10-22 2014-12-30 Neoperl Gmbh Functional plumbing unit
DE102004018749B4 (de) * 2004-04-17 2006-04-27 Neoperl Gmbh Auslaufelement für eine Sanitärarmatur
JP2006030528A (ja) 2004-07-15 2006-02-02 Oki Data Corp 無端状ベルト搬送体および画像形成装置
DE102004040082A1 (de) 2004-08-19 2006-02-23 Hansa Metallwerke Ag Wasserauslaufmundstück für den Wasserauslauf eines Wasserhahns
DE102004056074A1 (de) * 2004-11-15 2006-05-18 Hansgrohe Ag Strahlaustrittselement für Sanitärarmaturen
DE102005001419B3 (de) 2005-01-12 2006-05-24 Neoperl Gmbh Strahlregler
USD529588S1 (en) * 2005-03-21 2006-10-03 Neoperl Gmbh Flow regulator
CN101175888A (zh) * 2005-05-18 2008-05-07 纽珀有限公司 卫生配件,即用于流动的流体介质的射流调节器或射流形成器,用于制造这种卫生配件的方法以及这种卫生配件的应用
DE102006009828B3 (de) * 2006-03-01 2007-06-21 Neoperl Gmbh Strahlregler
CN101548053B (zh) * 2006-12-06 2013-01-16 纽珀有限公司 卫生用嵌入式元件
DE102007047112B4 (de) * 2007-10-01 2014-12-31 Neoperl Gmbh Strahlregler
US8104650B2 (en) * 2008-06-06 2012-01-31 Pibed Ltd. Anti drip device for liquid dispensers
US7806348B2 (en) * 2008-06-25 2010-10-05 Bradley Fixtures Corporation Showerhead for emergency fixture
US8490895B2 (en) 2008-06-25 2013-07-23 Bradley Fixtures Corporation Showerhead for emergency fixture
DE102009010630B4 (de) * 2009-02-26 2014-08-07 Neoperl Gmbh Strahlregler
CA2777241C (en) * 2009-10-15 2016-08-23 Niagara Conservation Corp. Aeration device
DE102010007871B4 (de) * 2010-02-13 2015-02-05 Neoperl Gmbh Strahlregler
US9534361B2 (en) 2010-03-23 2017-01-03 Neoperl Gmbh Jet regulator
DE102010012326B4 (de) * 2010-03-23 2015-10-01 Neoperl Gmbh Strahlregler
DE102010055459A1 (de) * 2010-05-27 2011-12-01 Neoperl Gmbh Sanitärer Auslaufeinsatz
DE102011107858A1 (de) * 2011-07-01 2013-01-03 Khs Gmbh Gassperre sowie Füllelement mit wenigstens einer Gassperre
CN102359154B (zh) * 2011-08-04 2013-03-27 厦门松霖科技有限公司 气水混合起泡器
USD669555S1 (en) 2011-12-02 2012-10-23 Bradley Fixtures Corporation Flow control device
CN104838979B (zh) * 2015-05-30 2017-10-17 潍坊友容实业有限公司 园林灌溉装置
DE202015006618U1 (de) * 2015-09-18 2016-12-21 Neoperl Gmbh Strahlregler
DE102016218917B3 (de) * 2016-09-29 2018-01-11 Hansgrohe Se Strömungsdrossel und Sanitärbrause
CN107393849B (zh) * 2017-08-14 2023-07-04 通威太阳能(安徽)有限公司 一种喷涂式刻蚀槽用限喷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29916A (en) * 1961-05-09 1966-01-18 Elie P Aghnides Aerators having enlarged stream outlets
US3105641A (en) * 1961-09-29 1963-10-01 Curcio Michael Anti-splash gasoline pump nozzle adapter
FR1387318A (fr) * 1963-12-20 1965-01-29 Brise-jet
US3334818A (en) 1965-09-22 1967-08-08 Alfred M Moen Swivel spray aerators
IT953065B (it) 1970-07-20 1973-08-10 Knapp Alfons Dispositivo perfezionato per aerea re un getto d acqua
US3730440A (en) 1971-09-20 1973-05-01 American Standard Inc Laminar-flow spout-end devices
DE3000799A1 (de) * 1980-01-11 1981-07-16 Dieter Wildfang KG, 7840 Müllheim Strahlregler zum anschluss an sanitaer-armaturen o.dgl.
JPS6014835Y2 (ja) * 1980-04-26 1985-05-11 オムニ プロダクツ インコ−ポレイテド 水道蛇口用整流器
WO1983001266A1 (en) * 1981-10-02 1983-04-14 Aghnides, Elie, P. Concealed, liquid flow aerator
DE3404662A1 (de) * 1984-02-10 1985-08-14 Hans Grohe Gmbh & Co Kg, 7622 Schiltach Wasserstrahlbeluefter fuer sanitaer-armaturen und dergleichen
US4730786A (en) * 1984-08-15 1988-03-15 Nelson Walter R Low noise, flow limiting, laminar stream spout
JPH038940A (ja) * 1989-06-06 1991-01-16 Toto Ltd 泡沫吐水口
JPH0313633A (ja) * 1989-06-08 1991-01-22 Toto Ltd 定流量泡沫吐水口
DE4029183A1 (de) * 1990-09-14 1992-03-19 Dieter Kuhn Durchflussregler
WO1995006787A1 (de) * 1993-09-02 1995-03-09 Ruther-Entwicklungsbüro Siebanordnung zur erzeugung eines perlenden wasserstrahles
EP0721031A1 (en) * 1994-12-29 1996-07-10 Agroteam Consultants Ltd. Aerator for water taps
DE19510734C2 (de) * 1995-03-24 2003-01-23 Wildfang Dieter Gmbh Einbauteile-Garnitur zum Einbau in ein Auslauf-Mundstück
JP3469353B2 (ja) * 1995-05-15 2003-11-25 株式会社ニフコ 泡沫栓及び泡沫栓の製造方法
JPH1025779A (ja) * 1996-07-10 1998-01-27 Inax Corp 自動水栓
DE29704286U1 (de) 1996-10-11 1997-04-30 Wildfang Dieter Gmbh Sanitäre Auslaufvorrichtung
DE19642055C2 (de) * 1996-10-11 1998-09-10 Wildfang Dieter Gmbh Strahlregler
WO1998016695A1 (de) * 1996-10-11 1998-04-23 Dieter Wildfang Gmbh Strahlregler
DE19647798C2 (de) * 1996-11-19 1999-04-08 Wildfang Dieter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s Strahlreglers sowie Strahlregler
DE19852411A1 (de) * 1998-11-13 2000-05-18 Grohe Kg Hans Wasserstrahlbelüfter
DE19937402A1 (de) * 1999-08-07 2001-02-15 Wildfang Dieter Gmbh Sanitäres Einbauteil
DE20006163U1 (de) * 2000-04-04 2000-07-06 Wildfang Dieter Gmbh Strahlregler
DE10027986B4 (de) 2000-06-06 2007-02-22 Neoperl Gmbh Sanitäres Einbauteil
DE10027987B4 (de) 2000-06-06 2005-12-22 Neoperl Gmbh Strahlregler
DE20010101U1 (de) * 2000-06-06 2000-08-31 Wildfang Dieter Gmbh Sanitäres Einbauteil
JP2002106008A (ja) * 2000-10-03 2002-04-10 Satsuki Kk 整流板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I1470298T1 (sl) 2012-07-31
ATE547572T1 (de) 2012-03-15
JP2006502327A (ja) 2006-01-19
WO2004033807A1 (de) 2004-04-22
CN100400756C (zh) 2008-07-09
DE10246333A1 (de) 2004-04-22
KR101132477B1 (ko) 2012-03-30
EP1470298B1 (de) 2012-02-29
PT1470298E (pt) 2012-06-01
US7661608B2 (en) 2010-02-16
CN1678798A (zh) 2005-10-05
AU2003270278A1 (en) 2004-05-04
DE10246333B4 (de) 2008-06-19
BR0313481A (pt) 2005-06-21
BRPI0313481B1 (pt) 2020-11-24
DK1470298T3 (da) 2012-06-18
ES2383357T3 (es) 2012-06-20
US20060102750A1 (en) 2006-05-18
EP1470298A1 (de) 2004-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2477B1 (ko) 분사 조절기
JP4324555B2 (ja) 衛生設備用の組み込み部品
AU713927B2 (en) Jet adjuster
EP0631020B2 (en) Aerator for liquids
US7357337B2 (en) Flow regulator
AU712806B2 (en) Jet adjuster
US5803368A (en) Aerator for water taps
CA2073472C (en) Spray nozzle fluid distribution system
US10017924B2 (en) Sanitary installation element
RU96119785A (ru) Диск с отверстиями,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клапанных форсунок
US9249564B2 (en) Sanitary installation element
US7708207B2 (en) Wash liquid spray nozzles for pulp mat and method to assemble nozzle
WO2008146055A1 (en) Emitter with potential of self-cleaning
US7387468B2 (en) Orifice shield for drainage pipe
US4597530A (en) Fluid diffuser
KR100523066B1 (ko) 분사조절기
CA1057647A (en) Flow control aerator
US4294289A (en) Flow control device
US20180126395A1 (en) Fluid Distributor Body and Sanitary Shower Device
CN112739442B (zh) 液体过滤系统
CN116056796A (zh) 整流部件及具备该整流部件的喷嘴
EP0180039A1 (en) Fluid diffuser
RU2207193C1 (ru) Водоразбрызг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JPH07155648A (ja) 浄水器
WO1998033577A1 (en) Open contact rea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