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5856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5856A
KR20050045856A KR1020040090861A KR20040090861A KR20050045856A KR 20050045856 A KR20050045856 A KR 20050045856A KR 1020040090861 A KR1020040090861 A KR 1020040090861A KR 20040090861 A KR20040090861 A KR 20040090861A KR 20050045856 A KR20050045856 A KR 20050045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nector
contacts
signal
p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0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9820B1 (ko
Inventor
히로아키 오비카네
코지 하야시
마모루 스즈키
노부카주 카토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45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5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9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98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 H01R24/7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with additional earth or shiel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7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special arrangement of ground and signal conductors, e.g. GSGS [Ground-Signal-Ground-Sig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73Impedance matching
    • H01R13/6474Impedance matching by variation of conductive properties, e.g. by dimension vari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41Crosstalk suppression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커넥터에 있어서, 콘택트군(contact group)은 신호 콘택트 및 접지 콘택트를 구비하며, 신호 콘택트는 접지 콘택트의 양측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각 신호 콘택트 및 접지 콘택트는 상대측 콘택트와 접속되는 접촉부를 구비하며, 또한 접속 대상물(connecting object)과 접속되는 단자부를 구비한다. 콘택트군의 각각의 콘택트의 단자부 간의 피치 간격은 동일하게 설정된다. 신호 콘택트의 접촉부는 접지 콘택트의 접촉부에 대해 근접해 있다. 그리하여, 인접하는 신호 콘택트의 접촉부 간의 피치 간격이 단자부 간의 피치 간격에 비해 넓게 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출원은 여기에 참조로서 통합된 일본 특허출원 제2003-381853호를 우선권 주장한다.
본 발명은 전기적 특성, 예컨대 LVDS, TMDS, PCI 익스프레스(express) 전송 등의 속도의 향상을 위해 임피던스 매칭을 필요로 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납땜 등에 의해 기판에 접합된 접합부와, 상대측 커넥터, FPC 또는 PCB와 접촉하는 삽입부(fitting portion)를 갖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기판을 서로 접속시키기 위한 커넥터로서, 일본 특허공개 공보(JP-A) 제2001-511300호(WO98/35408호에 대응)(이하, 참고문헌 1이라고 함)에 개시된 커넥터가 있다. 참고문헌 1에 나타낸 커넥터는 2매의 기판을 서로 직교하도록 접속시키기 위한 커넥터이며, 대형 구조를 구비한다.
기판을 서로 접속시키기 위해, 상호 기판의 각각에는 소켓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가 배치된다. 이들 커넥터를 서로 끼움으로써 기판이 접속된다.
그러나, 인쇄기판(printed board)을 서로 접속시키기 위한 커넥터는 전기신호가 고주파가 되는 분야에서 고주파 특성을 만족할 것이 요구된다. 또한, 고밀도 실장의 요구가 점점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콘택트(contact)의 피치의 축소도 요구되고 있다.
종래의 고속 신호 전송 커넥터에서, 차동전송(differential transmission)시의 임피던스 매칭 등의 전기적 특성을 위해, 한 쌍의 신호 콘택트간의 거리인 단자간의 피치는 어느 정도 증가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커넥터가 대형으로 되는 결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커넥터에 있어서, 한 쌍의 신호 콘택트 사이에 확실히 전류가 흐르지 않는 더미(dummy) 단자를 배치함으로써, 한 쌍의 신호 콘택트간의 거리를 증가시켜 임피던스를 매칭하는 예도 있다. 그러나, 쓸모없는 단자 또는 콘택트가 삽입됨으로써 커넥터가 고가로 되는 결점이 있다.
한편, 전기적 특성 중에서, 임피던스 특성으로서 피치의 감소에 상반되는 경우가 있다. 전기적 특성을 우선적으로 설정하면, 커넥터의 피치가 증가되고 커넥터 자체의 크기가 증대되는 결점이 있다.
또한, 역으로 피치를 우선적으로 감소시키면, 전기적 특성이 매칭되지 않는 결함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터를 대형으로 하지 않고도 임피던스를 매칭시킬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콘택트의 단자부인 땜납부(soldering portion)의 피치를 변화시키지 않고도 커넥터의 임피던스를 매칭시킬 수 있는 저가의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택트군(contact group) 및 상기 콘택트군을 유지시키기 위한 절연체를 포함하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콘택트군은 신호 콘택트 및 접지 콘택트를 구비하며, 신호 콘택트는 접지 콘택트의 양측 또는 일측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각 신호 콘택트 및 접지 콘택트는 상대측 콘택트와 접속되는 접촉부를 구비하며, 접속 대상물과 접속되는 단자부를 구비한다. 콘택트군의 각각의 콘택트의 단자부 간의 피치 간격은 동일하게 설정된다. 신호 콘택트의 접촉부는 접지 콘택트의 접촉부에 비해 근접해 있거나 또는 떨어져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있어서, 접속 대상물이란 기판, FPC, 실리콘(silicon) 등으로 이루어지며, 콘택트의 단자부란 이 대상물과 접촉하는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동일한 피치 간격이란 대상물로의 납땜 및 결선에 대해 동일한 조건에서 장착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다. 예컨대, 이러한 상태는 접지부의 높이방향이 동일하고 폭방향이 동일하거나 그에 상응하는 상태, 선단이 적절히 배치되어 있는 상태로 설정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신호 콘택트의 접촉부가 접지 콘택트의 접촉부에 근접해 있는 구조 대신에, 접지 콘택트측을 향해 신호 콘택트의 접촉부의 폭을 넓게 함으로써, 인접하는 신호 콘택트의 접촉부 간의 피치 간격이 단자부 간의 피치 간격에 대해 넓게 된 커넥터가 제공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있어서, 접속 대상물이 배선기판이고 단자부가 이 배선기판에 납땜된 땜납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택트군 및 상기 콘택트군을 유지시키기 위한 절연체를 포함하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콘택트군은 2개의 접지 콘택트 및 상기 2개의 접지 콘택트 사이에 배치된 한 쌍의 신호 콘택트를 구비한다. 각 콘택트는 상대측 콘택트와 접속되는 접촉부를 구비하며, 또한 접속 대상물과 접속되는 단자부를 구비한다. 콘택트군은 각각의 콘택트의 단자부 간의 피치 간격이 동일하게 설정되도록 배치된다. 한 쌍의 신호 콘택트의 각각의 접촉부는 상대측의 접촉부에 근접해 있어, 한 쌍의 신호 콘택트의 접촉부 간의 피치 간격이 단자부 간의 피치 간격 보다 좁게 설정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있어서, 접속 대상물이 배선기판이고 단자부가 이 배선기판에 납땜된 땜납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쌍의 신호 콘택트 각각의 접촉부가 근접해 있는 구조 대신에, 신호 콘택트측을 향해 각 신호 콘택트의 접촉부의 폭을 넓게 함으로써 상기 한 쌍의 신호 콘택트의 접촉부 간의 피치 간격이 단자부 간의 피치 간격보다 좁게 설정된 커넥터가 제공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있어서, 접속 대상물이 배선기판이고 단자부가 이 배선기판에 납땜된 땜납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택트군 및 상기 콘택트군을 유지시키기 위한 절연체를 포함하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콘택트군은 신호 콘택트 및 접지 콘택트를 구비한다. 각 콘택트는 상대측 콘택트와 접속되는 접촉부를 구비하며, 또한 접속 대상물과 접속되는 단자부를 구비한다. 각각의 콘택트의 단자부 간의 피치 간격과 접촉부 간의 피치 간격은 서로 동일하게 설정된다. 신호 콘택트의 접촉부는 접지 콘택트의 접촉부로부터 피치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배치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있어서, 접속 대상물이 배선기판이고 단자부가 이 배선기판에 납땜된 땜납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의 구성을 가진 커넥터가 제공된다. 즉,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이고, 콘택트군의 접촉부는 커넥터의 삽입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외측에 콘택트를 구비하도록 배치된다. 상대측 커넥터는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이고, 상대측 콘택트군의 접촉부는 커넥터의 삽입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내측에 콘택트를 구비한다. 접촉부는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접촉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의 구성을 가진 커넥터가 제공된다. 즉, 커넥터는 리셉터클 커넥터이고, 콘택트군의 접촉부는 커넥터의 삽입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내측에 콘택트를 구비하도록 배치된다. 상대측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이고, 상대측 콘택트군의 접촉부는 커넥터의 삽입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외측에 콘택트를 구비한다. 접촉부는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접촉된다.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플러그 커넥터(21)는 긴 박스 형태의 절연체(29), 플러그 콘택트(31) 및 플러그측의 2매의 차폐판(33)을 구비한다.
절연체(29)는 삽입방향인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태의 절연체(29)의 4면을 둘러싸는 벽부(23), 이 삽입방향의 일단측에 배치된 저판(25; bottom plate), 및 중심에서 제2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삽입구멍부(27)를 구비한다.
각 플러크 콘택트(31)는 벽부(23)의 내측의 제1 및 제2 방향과 수직인 제3 방향으로 대향하며 제2 방향으로 긴 대향면 상에 커넥터의 길이방향인 제2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플러그측의 2매의 차폐판(33)은 각각 긴 벽부(23)의 외측면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각 플러그 콘택트(31)는 길다란 형상을 가지며, 대향면 상에 배치된 플러그 콘택트(31)의 각 선단부는 상호 외측 방향인 제3 방향을 향하도록 굴곡된다. 플러그 콘택트(31)는 접촉부(37), 지지부(39) 및 단자부(41)를 구비한다. 접촉부(37)는 플러그 콘택트(31)의 선단부로부터 벽부의 내측면(35)을 따라 저판(25)까지 배치된다. 지지부(39)는 이 저판(25)에서 제3 방향으로 수직으로 굴곡되어 외측으로 연장된다. 단자부(41)는 절연체(29)의 저판(25)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하방으로 경사지게 굴곡되어 또한 상방으로 굴곡되며, 제2 방향인 저판면의 외부를 따라 대략 동일 면 상에 위치하도록 연장된다.
차폐판(33)은 돌출부(34)를 가지며, 후술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차폐판과 접촉된다. 도면부호 45는 몰드시의 풀링구멍(pulling hole)을 의미한다.
리셉터클 커넥터(51)는 삽입방향인 제1 방향(플러그 커넥터와 동일하게 제1 방향이라 함)과 수직인 제2 방향(플러그 커넥터와 동일하게 제2 방향이라 함)으로 긴 가로대(crossbar)가 있는 직사각형 형태를 가진 박스형태의 절연체(51)를 구비한다. 절연체(53)는 제2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외벽부(55), 중앙벽(57) 및 저판(59)을 구비한다. 중앙벽(57)은 T자형 단면을 가지며, 제1 및 제2 방향과 각각 수직인 제3 방향(플러그 커넥터와 동일하게 제2 방향이라함)의 중앙에서 제1 방향을 따라 기립한다. 저판(59)은 제1 방향의 일단측에 배치된다. 중앙벽(57)의 양측에 직사각형 삽입구멍부(61)가 배치된다. 절연체(53)의 중앙벽(57)의 양측에는 제2 방향과 평행하게 리셉터클 콘택트(63)가 각각 배치된다. 긴 절연체(53)의 내측면으로부터 상면을 경유하여 외측면에 걸쳐, 역 U자형 단면을 가진 리셉터클측의 차폐판(65)이 배치된다.
각 리셉터클 콘택트(63)는 길다란 형상을 가지며, 접촉부(67), 스프링부(69), 수직 지지부(71), 수평 지지부(73) 및 단자부(75)를 구비한다. 접촉부(67)는 팔꿈치 형상(elbowed shape)을 가지며, 중앙벽(57)의 양측으로 대향하고 있으며, 길이방향인 제2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 각 콘택트(31)의 선단부를 내측으로 구부림으로써 직교 형상을 가진다. 스프링부(69)는 이 접촉부(67)로부터 중앙벽(57)을 향해 S자형으로 형성된다. 수직 지지부(71)는 스프링부(69)의 베이스부로부터 중앙벽(57)을 따라 제1 방향으로 하강하여 연장된다. 수평 지지부(73)는 수직 지지부(71)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구부러져, 제3 방향을 따라 저판(59)에 배치된 홈으로 연장된다. 단자부(75)는 수평 지지부(73)로부터 저판(59)에 대해 구부러져 노출되어 있고, 수평방향인 제3 방향으로 연장된다.
차폐판(65)은 제3 방향으로 대향하는 외벽부(55)의 외측면 상에 배치된 외측부(77), 내측면에 배치된 내측부(79), 및 상면을 덮어 외측부(77)와 내측부(79)를 연결시키는 연결부(81)를 구비하여 U자형 단면을 가진다. 삽입할 때, 이 리셉터클 커넥터(51)의 차폐판(65)의 내측부(79)는 플러그 커넥터(21)의 차폐판(33)의 돌출부(43)와 접촉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1)와 리셉터클 커넥터(51)를 끼울 때, 각 플러그 콘택트(31)의 접촉부(37)와 리셉터클 커넥터(51)의 리셉터클 콘택트(63)의 접촉부(67)는 삽입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서로 접촉되어, 전기적 접속 상태가 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플러그 콘택트(31)는 폭방향으로 상호 대칭적으로 2열 배치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플러그 콘택트(31)에 있어서 순차적으로 도면부호 31a, 31b, …, 31h를 부여한다. 각 콘택트(31a, 31b, …31h)는 접촉부(37), 지지부(39) 및 땜납 단자부(41)를 구비한다. 서로 인접하는 신호 콘택트(31c, 31d)(S)에 있어서, 차동 전송이 대상(object)으로 설정되면, 하나의 신호가 S+로 되고, 다른 신호가 S-로 된다.
즉, 신호 콘택트(31c, 31d)의 접촉부는 피치 방향의 피치 치수를 변환함으로써, 접지 콘택트(31b, 31e)의 접촉부(37)에 대해 근접해 있거나 떨어져 있다. 이때, 신호 콘택트(31c, 31d)의 접촉부(37)는 피치 치수를 변경함으로써 접지 콘택트(31b, 31e)에 대해 근접해 있거나 떨어져 있다. 이 경우, 접지 콘택트 및 신호 콘택트의 단자부(41)는 동일한 배치를 가지며, 서로 인접하는 접지 콘택트(31b, 31e (31f, 31g))의 접촉부 간의 피치 간격이 단자부 사이의 거리에 비해 넓거나 좁게 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플러그 콘택트(31)에 있어서, 지지부(39)는 콘택트(31a, 31d, 31g)에 관하여 콘택트의 피치 방향과 수직 방향인 제3 방향에 대해 우측으로 경사지게 구부러져 있고, 콘택트(31c, 31f)에 관하여 제3 방향에 대해 좌측으로 경사지게 구부러져 있다. 그리하여, 각각의 콘택트(31)의 접촉부(37) 사이의 피치가 변화하며, 그 피치는 신호 콘택트(31a, 31c, 31d, 31g)의 접촉부(37)에 대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증가된다. 이에 반해, 신호 콘택트(31a, 31c, 31d, 31g)의 접촉부(37)에 관하여 접지 콘택트(31b, 31e, 31h)에 대해 피치를 좁게 하도록 형성된 피치 변환부(83)가 배치된다.
이로써, 임피던스를 매칭시킬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리셉터클 콘택트(63)는 폭방향으로 상호 대칭적으로 2열 배치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리셉터클 콘택트(63)에 있어서 순차적으로 도면부호 63a, 63b, …, 63h를 부여한다. 각 콘택트는 접촉부(67), 스프링부(69), 수직 지지부(71), 돌출부(74)를 가진 수평 지지부(73), 및 땜납 단자부(75)를 구비한다.
즉, 신호 콘택트(63c, 63d)의 접촉부는 피치 방향의 피치 치수를 변환함으로써, 접지 콘택트(63b, 63e)의 접촉부에 대해 근접해 있거나 떨어져 있다. 이때, 접촉부(67)는 피치 치수를 변경함으로써 접지 콘택트(63b, 63e)에 대해 근접해 있거나 떨어져 있다. 이 경우, 접지 콘택트 및 신호 콘택트의 단자부(75)는 동일한 배치를 가진다. 서로 인접하는 접지 콘택트의 접촉부(67) 사이의 피치 간격은 단자부(75) 사이의 거리에 비해 넓거나 좁게 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콘택트(63)에 있어서, 지지부(73)는 콘택트(63a, 63d, 63g)에 관하여 피치 방향과 수직 방향인 제3 방향에 대해 우측으로 경사지게 구부러져 있고, 콘택트(63c, 63f)에 관하여 제3 방향에 대해 좌측으로 경사지게 구부러져 있다. 그리하여, 각각의 콘택트(63)의 접촉부(67) 사이의 피치가 변화하며, 그 피치는 신호 콘택트(63a, 63c, 63d, 63g)의 접촉부(67)에 대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증가된다. 이에 반해, 접지 콘택트(63b, 63e, 63h)는 제3 방향으로 양방향으로(bidirectionally) 형성되기 때문에, 즉, 일직선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신호 콘택트(63a, 63c, 63d, 63g)의 접촉부(67)는 접지 콘택트(63b, 63e, 63h)에 대해 피치를 좁게 하도록 형성된 피치 변환부(83)를 구비한다. 이로써, 임피던스를 매칭시킬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해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에서의 플러그 콘택트 및 리셉터클 콘택트의 형상이 제1 실시형태에서의 그 형상과 상이한 점을 제외하고는, 제2 실시형태의 커넥터는 제1 실시형태의 커넥터와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각 콘택트에 대해서만 설명할 것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플러그 콘택트(87)는 커넥터의 삽입방향인 제1 방향과 수직인 커넥터의 길이방향인 제2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플러그 콘택트(87)에 있어서 순차적으로 도면부호 87b, 87c, 87d, 87e를 부여한다. 각 콘택트는 접촉부(37), 지지부(39) 및 땜납 단자부(41)를 구비한다.
즉, 신호 콘택트(87c, 87d)의 접촉부는 피치 방향의 피치 치수를 변환함으로써, 접지 콘택트(87b, 87e)의 접촉부(37)에 대해 근접해 있거나 떨어져 있다. 이때, 접촉부(37)는 피치 치수를 변경함으로써 접지 콘택트(87b, 87e)에 대해 근접해 있거나 떨어져 있다. 이 경우, 땜납부인 단자부(41)는 동일한 배치를 가진다. 서로 인접하는 접지 콘택트의 접촉부 사이의 피치 간격은 단자부(41) 사이의 거리에 비해 넓거나 좁게 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플러그 콘택트에 있어서, 지지부(39)는 콘택트(87c)에 관하여 제1 및 제2 방향과 수직인 콘택트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제3 방향에 대해 우측으로 경사지게 구부러져 있고, 콘택트(87d)에 관하여 제3 방향에 대해 좌측으로 경사지게 구부러져 있다. 그리하여, 각각의 콘택트(87)의 접촉부(37) 사이의 피치가 변화되며, 그 피치는 신호 콘택트(87c, 87d)의 접촉부(37)에 대해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감소된다. 이에 반해, 신호 콘택트(87c, 87d)의 접촉부(37)에 관하여 접지 콘택트(87b, 87e)에 대해 피치를 넓게 하도록 형성된 피치 변환부(89)가 배치된다. 이로써, 임피던스를 제어하여 매칭시킬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리셉터클 콘택트(91)는 커넥터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커넥터의 삽입방향인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리셉터클 콘택트(91)에 있어서 순차적으로 도면부호 91b, 91c, 91d, 91e를 부여한다. 각 콘택트는 접촉부(67), 스프링부(69), 수직 지지부(71), 수평 지지부(73) 및 땜납 단자부(75)를 구비한다.
리셉터클 콘택트(91)에 있어서, 신호 콘택트(91c, 91d)의 접촉부(67)는 피치 방향의 피치 치수를 변환함으로써, 접지 콘택트(91b, 91e)의 접촉부(67)에 대해 근접해 있거나 떨어져 있다. 이때, 접촉부(67)는 피치 치수를 변경함으로써 접지 콘택트(91b, 91e)에 대해 근접해 있거나 떨어져 있다. 이 경우, 단자부는 동일한 배치를 가진다. 서로 인접하는 접지 콘택트(91b, 91e)의 접촉부(67) 사이의 피치 간격은 땜납부인 단자부(75) 사이의 거리에 비해 넓거나 좁게 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콘택트(91)에 있어서, 지지부(73)는 콘택트(91d)에 관하여 커넥터의 연장방향과 거의 동일하고 제1 및 제2 방향과 수직인 제3 방향에 대해 우측으로 경사지게 구부러져 있고, 콘택트(91c)에 관하여 제3 방향에 대해 좌측으로 경사지게 구부러져, 피치 변환부(90)가 형성된다. 그리하여, 각각의 콘택트(91)의 접촉부(41) 사이의 피치가 변화하며, 그 피치는 신호 콘택트(91c, 91d)의 접촉부(37)에 대해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감소된다. 이에 반해, 접지 콘택트(91b, 91e)는 제3 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신호 콘택트(91c, 91d)의 접촉부(67)는 접지 콘택트(91b, 91e)에 대해 피치를 넓게 하도록 형성된다. 이로써, 임피던스를 제어하여 매칭시킬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해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3 실시형태의 커넥터는 제3 실시형태에서의 플러그 콘택트 및 리셉터클 콘택트의 형상이 각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서의 그 형상과 상이한 점을 제외하고는, 각 제1 및 제2 실시형태의 커넥터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제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각 콘택트에 대해서만 설명할 것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플러그 콘택트(93)는 커넥터의 길이방향과 동일하며 커넥터의 삽입방향인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플러그 콘택트(93)에 있어서 순차적으로 도면부호 93b, 93c, 93d, 93e를 부여한다. 각 콘택트는 접촉부(37), 지지부(39) 및 땜납 단자부(41)를 구비한다.
즉, 신호 콘택트(93c, 93d)의 접촉부(37)는 피치 방향의 콘택트 폭을 넓게 하거나 좁게 함으로써, 접지 콘택트(93b, 93e)의 접촉부(37)에 대해 떨어져 있거나 근접해 있다. 그리하여, 접촉부(37)는 신호 콘택트(93c, 93d) 또는 접지 콘택트(93b, 93e)의 폭을 넓게 하거나 좁게 함으로써 떨어져 있거나 근접해 있다. 서로 인접하는 접촉부 간의 피치는 단자부 간의 피치 간격에 비해 넓거나 좁게 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플러그 콘택트(93)에 있어서, 접촉부(37)는 콘택트(93c)의 접촉부(37b)에 대해 제1 및 제2 방향과 수직인 제3 방향으로 우측으로 넓어지도록 편심적으로(eccentrically) 형성되고, 콘택트(93d)의 접촉부(37c)에 대해 제3 방향으로 좌측으로 넓어지도록 편심적으로 형성된다. 그리하여, 각각의 콘택트(93)의 접촉부(37) 사이의 피치가 변화되며, 그 피치는 신호 콘택트(93c, 93d)의 접촉부(37c, 37d)에 대해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감소된다. 이에 반해, 신호 콘택트(93c, 93d)의 접촉부(37c, 37d)에 관하여 접지 콘택트(93b, 93e)의 접촉부(37a)에 대해 피치를 넓게 하도록 형성된 피치 변환부(16)가 배치된다. 이로써, 임피던스를 제어하여 매칭시킬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리셉터클 콘택트(97)는 삽입방향인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리셉터클 콘택트(97)에 있어서 순차적으로 도면부호 97b, 97c, 97d, 97e를 부여한다. 각 콘택트는 접촉부(67), 스프링부(69), 수직 지지부(71), 수평 지지부(73) 및 땜납 단자부(75)를 구비한다.
즉, 신호 콘택트(97c, 97d)의 접촉부(67b, 67c)는 피치 방향의 콘택트 폭을 넓게 하거나 좁게 함으로써, 접지 콘택트(97b, 97e)의 접촉부(67a, 67d)에 대해 떨어져 있거나 근접해 있다. 그리하여, 접촉부(67a, 67b, 67c, 67d)는 신호 콘택트(97c, 97d) 또는 접지 콘택트(97b, 97e)의 폭을 넓게 하거나 좁게 함으로써 떨어져 있거나 근접해 있다. 서로 인접하는 접촉부(67c, 67d) 사이의 피치 간격은 땜납부인 단자부(75) 사이의 피치 간격에 비해 넓거나 좁게 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콘택트(97)에 있어서, 접촉부(67)는 콘택트(97c)의 접촉부(67b)에 대해 제1 및 제2 방향과 수직인 제3 방향으로 우측 폭이 넓게 되어 있고, 콘택트(97d)의 접촉부(67c)에 대해 제3 방향으로 좌측 폭이 넓게 되어 있다. 그리하여, 각각의 콘택트(97)의 접촉부(67) 사이의 피치가 변화하며, 그 피치는 신호 콘택트(97c, 97d)의 접촉부(67c, 67d)에 대해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감소된다. 이에 반해, 접지 콘택트(97b, 97e)는 편심 없이 형성되기 때문에, 신호 콘택트(97c, 97d)의 접촉부(67)에는 접지 콘택트(97b, 97e)에 대해 피치를 넓게 하도록 피치 변환부(99)가 형성된다. 이로써, 임피던스를 제어하여 매칭시킬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해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4 실시형태의 커넥터는 제4 실시형태에서의 플러그 콘택트의 형상이 각 제1 내지 제3 실시형태에의 그 형상과 상이한 점을 제외하고는, 각 제1 내지 제3 실시형태의 커넥터와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제2 및 제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각 플러그 콘택트에 대해서만 설명할 것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플러그 콘택트(101)는 삽입방향인 제1 방향과 수직인 커넥터의 길이방향인 제2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플러그 콘택트(101)에 있어서, 접촉부(37)에만 도면부호 37d, 37e, 37f, 37d를 부여한다. 각 콘택트(101)는 접촉부(37), 지지부(39) 및 땜납 단자부(41)를 구비한다.
접촉부(37e, 37f 또는 37d)가 접촉부(37d, 37e 또는 37f)에 근접해 있어나 떨어져 있도록, 신호 콘택트(101)의 접촉부(37e, 37f 또는 37d)는 접지 콘택트(101)의 접촉부(37d, 37e 또는 37f)에 대해 피치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플러그 콘택트(101)에 있어서, 접촉부(37e, 37f)는 콘택트(101)의 접촉부(37d)에 대해 제1 및 제2 방향과 수직인 제3 방향으로 외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그리하여, 각각의 콘택트(101)의 접촉부(37d, 37e)와 접촉부(37d, 37f) 사이의 피치가 변화되도록 피치 변환부(103)가 형성되고, 그 피치는 신호 콘택트 또는 접지 콘택트의 접촉부에 대해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변화되지 않으며, 신호 콘택트 및 접지 콘택트의 접촉부(37d, 37e) 및 접촉부(37d, 37f)에 대해 넓게 되어 있다. 이로써, 임피던스를 제어하여 매칭시킬 수 있다.
변형예로서, 신호 콘택트의 접촉부에 있어서 접지 콘택트의 접촉부에 대해 피치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콘택트의 판 두께를 증가 및 감소시킬 수 있을 때,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콘택트와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인쇄배선기판에 장착된 콘택트에 땜납 단자부를 가진 커넥터의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그러나, 관통구멍에 콘택트를 고정시키는 구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장착된 인쇄배선기판 대신에 플렉시블 배선기판 또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lexible flat cable)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전자기기의 배선기판 등에서의 배치 구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한쪽 커넥터(콘택트가 스프링 접촉부에 의해 구성됨)의 접속 상대측에 커넥터 대신에 인쇄배선기판 또는 FPC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대측이 기판 또는 커넥터일 때, 직교하는 기판을 서로 접속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콘택트의 단자부는 기판에 단자부를 납땜한 형태이지만, 단자부를 가압 부착하거나 가압 접촉시킨 구조에 의해 케이블을 접속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가 인쇄배선기판에 있어서 전기신호를 고주파로 설정하는 부위에 사용될 경우, 단자부, 예컨대 땜납부의 피치를 변경시키지 않고 커넥터의 접촉부의 피치를 변환함으로써, 커넥터의 크기를 증대시키지 않고 임피던스를 매칭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플러그측 및 리셉터클측의) 각 커넥터내의 피치방향 및 반대방향으로의 커넥터의 삽입부(접촉부 및 스터브 부분(stub portion))의 거리를 넓게 하여, 고속 전송에 사용되는 하나의 신호 콘택트 또는 한 쌍의 신호 콘택트를 좁게 하는 변환을 수행함으로써, 커넥터 내의 임피던스를 제어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신호 콘택트 및 접지 콘택트와 동일한 피치에서 단자부, 예컨대 땜납부의 피치를 좁게 할 수 있고, 커넥터 자체가 소형이며, 전기가 흐르지 않는 단자를 배치하지 않아 저가로 제조되는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넥터는 기판간에 접속을 위해 배치되는 고주파를 전송하는 플러그 커넥터 및 소켓 커넥터 뿐만 아니라, 전자부품, 전기부품 등의 고주파 전송을 위한 접속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당업자에 의해 각종 변형이 가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플러그 커넥터에 삽입된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플러그 커넥터와 도 2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삽입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커넥터 삽입상태의 콘택트만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커넥터의 접촉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콘택트의 피치 변환부를 나타낸 부분 평면도;
도 7은 도 1의 커넥터의 접촉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5의 콘택트의 피치 변환부를 나타낸 부분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콘택트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플러그 콘택트의 부분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리셉터클 콘택트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리셉터클 콘택트의 부분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콘택트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플러그 콘택트의 부분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리셉터클 콘택트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리셉터클 콘택트의 부분 평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콘택트의 부분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플러그 콘택트의 부분 측면도이다.
- 도면의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21 : 플러그 커넥터 23 : 벽부
25, 59 : 저판(bottom plate) 27, 61 : 삽입구멍부
29, 53 : 절연체(insulator) 31, 87, 93, 101 : 플러그 콘택트
33, 65 : 차폐판 34 : 돌출부
35 : 내측면 37, 67 : 접촉부
39 : 지지부 41, 75 : 단자부
45 : 풀링구멍(pulling hole) 51 : 리셉터클 커넥터
55 : 외벽부 57 : 중앙벽
63, 91, 97 : 리셉터클 콘택트 69 : 스프링부
71 : 수직 지지부 73 : 수평 지지부
77 : 외측부 79 : 내측부
81 : 연결부 83, 89 : 피치 변환부

Claims (11)

  1. 콘택트군(contact group) 및 상기 콘택트군을 유지시키기 위한 절연체를 구비한 커넥터로서,
    상기 콘택트군은 적어도 하나의 신호 콘택트 및 적어도 하나의 접지 콘택트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 콘택트는 상기 접지 콘택트의 양측 또는 일측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각 신호 콘택트 및 접지 콘택트는 상대측 콘택트와 접속되는 접촉부 및 접속 대상물(connecting object)과 접속되는 단자부를 구비하며, 상기 콘택트군의 각각의 콘택트의 단자부 간의 피치 간격은 동일하게 설정되며, 상기 신호 콘택트의 접촉부는 상기 접지 콘택트의 접촉부에 대해 근접해 있거나 또는 떨어져 있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콘택트의 접촉부가 상기 접지 콘택트의 접촉부에 근접해 있는 구조 대신에, 상기 접지 콘택트측을 향해 상기 신호 콘택트의 접촉부의 폭을 넓게 함으로써, 인접하는 신호 콘택트의 접촉부 간의 피치 간격이 단자부 간의 피치 간격에 비해 넓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콘택트군 및 상기 콘택트군을 유지시키기 위한 절연체를 구비한 커넥터로서,
    상기 콘택트군은 2개의 접지 콘택트 및 상기 2개의 접지 콘택트 사이에 배치된 한 쌍의 신호 콘택트를 포함하며, 상기 각 콘택트는 상대측 콘택트와 접속되는 접촉부 및 접속 대상물과 접속되는 단자부를 구비하며, 상기 콘택트군은 각각의 콘택트의 단자부 간의 피치 간격이 동일하게 설정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신호 콘택트의 각각의 접촉부는 상대측의 접촉부에 근접해 있어, 상기 한 쌍의 신호 콘택트의 접촉부 간의 피치 간격이 단자부 간의 피치 간격 보다 좁게 설정된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신호 콘택트의 각각의 접촉부가 근접해 있는 구조 대신에, 상기 한 쌍의 신호 콘택트의 접촉부 간의 피치 간격이 신호 콘택트측을 향해 각 신호 콘택트의 접촉부의 폭을 넓게 함으로써 단자부 간의 피치 간격보다 좁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콘택트군 및 상기 콘택트군을 유지시키기 위한 절연체를 구비한 커넥터로서,
    상기 콘택트군은 신호 콘택트 및 접지 콘택트를 포함하며, 상기 각 콘택트는 상대측 콘택트와 접속되는 접촉부 및 접속 대상물과 접속되는 단자부를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콘택트의 단자부 간의 피치 간격과 접촉부 간의 피치 간격은 서로 동일하게 설정되며, 상기 신호 콘택트의 접촉부는 접지 콘택트의 접촉부로부터 피치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배치된 커넥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040090861A 2003-11-11 2004-11-09 커넥터 KR1006498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81853A JP2005149770A (ja) 2003-11-11 2003-11-11 コネクタ
JPJP-P-2003-00381853 2003-11-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5856A true KR20050045856A (ko) 2005-05-17
KR100649820B1 KR100649820B1 (ko) 2006-11-28

Family

ID=34431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0861A KR100649820B1 (ko) 2003-11-11 2004-11-09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070424B2 (ko)
EP (1) EP1531527B1 (ko)
JP (1) JP2005149770A (ko)
KR (1) KR100649820B1 (ko)
CN (1) CN100557901C (ko)
DE (1) DE602004007220T2 (ko)
TW (1) TWI2532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9589A (ja) * 2004-08-18 2006-03-02 Hirose Electric Co Ltd シールド付き電気コネクタ
US7144277B2 (en) * 2004-09-09 2006-12-05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guidance face
JP2006164594A (ja) * 2004-12-03 2006-06-22 Molex Inc 基板対基板コネクタ
TW200633315A (en) * 2005-03-01 2006-09-16 Top Yang Technology Entpr Co Electrical connector
TWM284091U (en) * 2005-04-21 2005-12-21 Molex Taiwan Ltd Electrical connector
KR100827267B1 (ko) 2005-09-16 2008-05-07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누화 억제가 가능한 전기 커넥터
JP4234714B2 (ja) * 2005-11-16 2009-03-0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CN101162806B (zh) * 2006-10-12 2011-01-1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US20080162187A1 (en) * 2007-01-02 2008-07-03 Starko Dan G Prescription fulfillment apparatus and method
US8029319B2 (en) * 2007-07-18 2011-10-04 Yazaki Corporation Shielded connector structure
JP5110271B2 (ja) * 2007-08-22 2012-12-26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CN201178146Y (zh) * 2008-03-05 2009-01-0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电连接器组件
JP5180705B2 (ja) * 2008-07-02 2013-04-10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5059712B2 (ja) * 2008-07-31 2012-10-31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4726019B2 (ja) * 2008-09-16 2011-07-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5039690B2 (ja) 2008-12-25 2012-10-03 ホシデン株式会社 多極コネクタ
JP4795444B2 (ja) * 2009-02-09 2011-10-19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5342943B2 (ja) 2009-06-29 2013-11-13 ホシデン株式会社 多極コネクタ
TWI396340B (zh) * 2009-07-31 2013-05-11 Hon Hai Prec Ind Co Ltd 電連接器
US9083130B2 (en) 2010-02-15 2015-07-14 Molex Incorporated Differentially coupled connector
JP5340202B2 (ja) 2010-02-23 2013-11-13 三菱電機株式会社 熱硬化性樹脂組成物、bステージ熱伝導性シート及びパワーモジュール
JP5634095B2 (ja) 2010-03-31 2014-12-03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用プリント基板フットパターン
JP5270703B2 (ja) * 2011-02-17 2013-08-2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2012227025A (ja) * 2011-04-20 2012-11-15 Hosiden Corp コネクタ
JP5871552B2 (ja) * 2011-10-11 2016-03-0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リードフレーム、コンタクト群の製造方法、及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US8469722B2 (en) * 2011-11-24 2013-06-25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Plug connector, receptacle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N102412491B (zh) * 2011-11-30 2013-03-20 东莞市锦润电子有限公司 Lvds连接器自动组装机
DE202012013323U1 (de) * 2012-06-15 2016-04-17 Yamaichi Electronics Deutschland Gmbh Verbinder und Kontaktsystem
CN103579886B (zh) * 2012-07-26 2016-01-20 宏致电子股份有限公司 连接器的制造方法
US8888506B2 (en) * 2013-01-29 2014-11-1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JP5986012B2 (ja) 2013-02-18 2016-09-0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これを用いた信号伝送方法
CN106848654B (zh) * 2013-02-27 2019-06-04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连接器、及在该连接器中使用的插头件和插口件
JP6325262B2 (ja) * 2014-01-29 2018-05-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9318858B2 (en) * 2014-02-03 2016-04-19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Receptacle connector, plug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JP6068405B2 (ja) * 2014-08-27 2017-01-2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6537890B2 (ja) * 2014-09-26 2019-07-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628685B2 (ja) * 2016-05-16 2020-01-1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プラグコネクタと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とを有するコネクタ組立体
JP6703900B2 (ja) * 2016-06-01 2020-06-0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システム
JP2019106355A (ja) * 2017-11-03 2019-06-27 アプティブ・テクノロジーズ・リミテッド シールドされたワイヤケーブル用の電気接続システム
EP3522306B1 (en) 2018-01-31 2020-09-02 ODU GmbH & Co. KG Connector module and connector for transmitting hf signals
JP6801824B2 (ja) * 2018-05-16 2020-12-1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ネクタ
JP7267698B2 (ja) * 2018-09-07 2023-05-0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7093273B2 (ja) * 2018-09-07 2022-06-2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10594074B1 (en) * 2018-10-30 2020-03-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hielded magnetic electronic connector
JP2020181778A (ja) * 2019-04-26 2020-11-05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高速伝送用コネクタ
US20220200206A1 (en) 2019-05-09 2022-06-23 Siemens Healthcare Gmbh Plug-type connector part with a handle element for steering the movement
JP7178956B2 (ja) * 2019-05-17 2022-11-2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接続方法、接続構造および接続端子組立体
CN113412559B (zh) * 2019-09-24 2023-12-26 株式会社村田制作所 电连接器和电连接器组
CN110994283B (zh) 2019-10-30 2021-04-23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CN110943318B (zh) 2019-11-25 2021-01-26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性模组
JP7487311B2 (ja) * 2020-02-14 2024-05-20 エル エス エムトロン リミテッド 基板コネクタ
JP2021163541A (ja) * 2020-03-30 2021-10-11 山一電機株式会社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CN111525347B (zh) 2020-04-20 2021-06-18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及连接器组合
JP7467234B2 (ja) * 2020-05-28 2024-04-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KR20220032133A (ko) * 2020-09-07 2022-03-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조인트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4867A (en) * 1990-10-08 1993-07-06 Daiichi Denshi Kogyo Kabushiki Kaisha Electrical connector for coaxial flat cable
JP3631312B2 (ja) * 1995-12-22 2005-03-23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高速信号用コネクタ
US5911602A (en) * 1996-07-23 1999-06-15 Superior Modular Products Incorporated Reduced cross talk electrical connector
US5980321A (en) 1997-02-07 1999-11-09 Teradyne, Inc. High speed,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CN100409503C (zh) 1999-07-16 2008-08-06 莫列斯公司 阻抗调谐的连接器
US6203353B1 (en) * 1999-11-12 2001-03-20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passive clip
WO2003026078A1 (en) 2001-08-01 2003-03-27 Molex Incorporated Impedance-tuned connector
US6540559B1 (en) * 2001-09-28 2003-04-0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with staggered contact pattern
CN1870853B (zh) * 2001-10-10 2012-01-18 莫莱克斯公司 高速差分信号边缘卡连接器电路板布局
US6464515B1 (en) * 2001-11-28 2002-10-15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High-speed board-to-board electrical connector
US6589074B1 (en) * 2002-07-31 2003-07-08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Two ports integral electrical connector
US6565383B1 (en) * 2002-09-11 2003-05-20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locking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17396A (zh) 2005-05-18
TWI253220B (en) 2006-04-11
EP1531527B1 (en) 2007-06-27
JP2005149770A (ja) 2005-06-09
TW200520331A (en) 2005-06-16
EP1531527A3 (en) 2006-01-25
CN100557901C (zh) 2009-11-04
DE602004007220T2 (de) 2008-02-28
DE602004007220D1 (de) 2007-08-09
EP1531527A2 (en) 2005-05-18
US7070424B2 (en) 2006-07-04
US20050101163A1 (en) 2005-05-12
KR100649820B1 (ko) 2006-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9820B1 (ko) 커넥터
US8047874B2 (en) High-density connector for high-speed transmission
US6817898B2 (en) Electrical connector
JP3016164B2 (ja) 可動型コネクタ
KR950007430B1 (ko) 저 프로파일 전기 접속기
US7980901B2 (en) Communications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s
US20070015377A1 (en) Electrical connector
TWI792233B (zh) 浮動連接器
JPH04229574A (ja) コネクタアセンブリ
CN112753137A (zh) 缆线连接器系统
US7300290B2 (en) Electrical connector
CN1125359A (zh) 表面安装型连接器及其电触头
JP5826500B2 (ja) コネクタ
US6106306A (en)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having projecting parts with reduced size fitting gap dimensions
JP2010003651A (ja) コネクタ
US6000950A (en)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ards
KR20180123372A (ko) Pcb 커넥터
KR20040029265A (ko) 접속력이 오래 유지되는 커넥터
JP2009231053A (ja) 電気コネクタ
TWI852184B (zh) 連接器、包括連接器之裝置、連接器之安裝方法、對象側連接器以及包括對象側連接器的對象側裝置
JPH0348635B2 (ko)
US20240047904A1 (en) Conductive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he same
US20040067695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H0211730Y2 (ko)
JP2586390Y2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