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9265A - 접속력이 오래 유지되는 커넥터 - Google Patents

접속력이 오래 유지되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9265A
KR20040029265A KR1020030067780A KR20030067780A KR20040029265A KR 20040029265 A KR20040029265 A KR 20040029265A KR 1020030067780 A KR1020030067780 A KR 1020030067780A KR 20030067780 A KR20030067780 A KR 20030067780A KR 20040029265 A KR20040029265 A KR 20040029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ntact point
insulator
contact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7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8673B1 (ko
Inventor
유코 모토지마
히로시 아키모토
카쯔히토 히사마츠
마사아키 타카쿠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9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9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8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86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28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 H01R24/30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with additional earth or shiel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01R13/6583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with separate conductive resilient members between mating shield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6Pin or blade contacts for sliding co-operation on one side only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접속 대상물(30)에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10)에 있어서, 도전성 접촉부(11)가 절연체(12)에 의해 홀딩되고 접속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게다가, 도전성 플레이트(14)는 절연체에 의해 홀딩된다. 도전성 플레이트는 도전성 접촉부에 면하는 스프링 피스(16)를 갖는다. 스프링 피스는 다수의 핑거 피스를 가지며 접속 대상물과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핑거 피스는 핑거 피스들중 인접하는 피스들 사이에 위치한 슬릿을 갖도록 배치된다. 절연체는 슬릿내에 배치된 빔 부분(19)을 갖는다.

Description

접속력이 오래 유지되는 커넥터{CONNECTOR IN WHICH CONTACT FORCE CAN BE MAINTAINED DURING A LONG PERIOD}
본 발명은 신호 접촉부외에 종래에 공지된 방식으로 전기적인 접지를 위한 접지 플레이트를 갖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이러한 커넥터는 종래에 공지된 액정 디스플레이(LCD) 모니터에 사용될 수 있다. LCD 모니터에는 커넥터가 장착되는 회로판이 제공된다. 이러한 형태의 커넥터는 예컨대 JP-A2001-203047 에서 소켓형 커넥터로서 개시되어 있다.
소켓형 커넥터는 얇은 절연체, 절연체와 정렬되고 절연체에 의해 홀딩되는다수의 도전성 신호 접촉부, 및 신호 접촉부에 면하도록 절연체에 의해 홀딩된 도전성 접지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접지 플레이트는 절연체 내에 형성된 홀딩 홀로 압입되어-끼워지는(press-fit) 부분을 갖는다. 소켓형 커넥터에서, 각 신호 접촉부와 접지 플레이트는 공지된 접속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프링 부재로서 사용된다.
소켓형 커넥터가 접속 대상물, 즉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될 때, 접지 플레이트는 접지 플레이트를 위한 지주로서 사용되는 홀딩 홀의 에지부로 인해 절연체의 두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구부러진다. 이 경우, 접지 플레이트는 홀딩 홀이 방사형 방향으로 확대되도록 것이 가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미리 설정된 값에 비해 접속력이 감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미리 설정된 접속력이 비교적 오랜 기간 동안 유지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하 설명에서 명확하게 나타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로서 소켓형 커넥터의 등각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의 주요부를 확대한 등각단면도이다.
도 3은 플러그 커넥터와 함께 도 2의 선 Ⅲ-Ⅲ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절연체와 도 1의 커넥터에 포함된 접지 플레이트 사이의 관계를 확대한 등각도이다.
도 5는 도 4의 선 Ⅴ-Ⅴ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라서, 접속 대상물에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가 제공된다. 커넥터는 절연체, 접속 대상물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절연체에 의해 홀딩된 도전성 접촉부, 및 절연체에 의해 홀딩된 도전성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도전성 플레이트는 도전성 접촉부에 면하는 스프링 피스를 갖는다. 스프링 피스는 접속 대상물과 탄성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다수의 핑거 피스를 갖는다. 핑거 피스는핑거 피스들중 인접한 피스들 사이에 슬릿이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절연체는 슬릿 내에 배치된 빔 부분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라서, 접속 대상물에 접속될 커넥터가 제공된다. 커넥터는 절연체, 제 1 접촉점, 및 제 1 접촉점에 마주하여 위치한 제 2 접촉점을 포함한다. 제 1 접촉점은 제 2 접촉점 방향으로 접속력을 발생시킨다. 제 2 접촉점은 제 1 접촉점 방향으로 접속력을 발생시킨다. 제 2 접촉점은 브랜치 부분을 갖는다. 절연체는 브랜치 부분들 사이에 위치한 빔 부분을 갖는다.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대한 설명이 개시된다.
도시된 커넥터는 공지된 LCD 모니터에 제공되는 회로판에 장착될 소켓형 커넥터(10)이다. 소켓형 커넥터(10)는 접속 대상물로서 도전성 플러그 커넥터(30)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플러그 커넥터(30)는 다수의 도전성 신호 접촉부(31), 신호 접촉부(31)를 홀딩하는 절연체(32), 절연체(32)를 덮는 금속 쉘(33), 및 금속 쉘(33)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도전성 접지 접촉부(34)를 포함한다. 플러그 커넥터(30)는 공지된 가요성 인쇄 카드(FPC) 또는 정밀 라인 케이블에 접속된 릴레이(relay) 커넥터일 수 있다.
소켓형 커넥터(10)는 플러그 커넥터(30)의 신호 접촉부(31)와 각각 접속하기 위한 다수의 도전성 신호 접촉부(11), 및 얇은 형상을 가지며 신호 접촉부(11)를 고정하여 홀딩하는 절연체(12)를 포함한다. 신호 접촉부(11)는 각각이 절연체(12)의 하부에 형성된 다수의 홀딩 홀(12a) 내에 압입되어-끼워진다. 신호 접촉부(11)는 제 1 또는 수평 길이 방향(A1)으로 배치되고 각각을 제 1 접촉점으로 부른다. 각각의 신호 접촉부(11)는 실질적으로 제 1 방향(A1)에 수평하고 수직인 제 2 방향(A2)으로 연장하는 스프링 피스(11a)를 갖는다. 스프링 피스(11a)는 플러그 커넥터(30)의 각각의 신호 접촉부(31)와 압입되어 접촉하기 위한 것이다.
추가로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소켓형 커넥터(10)는 절연체(12)에 의해 홀딩된 도전성 접지 플레이트(14) 및 외부측으로부터 절연체(12)를 덮는 금속 쉘(15)을 포함한다. 접지 플레이트(14)는 금속 쉘(15)과 접촉하고 전기적으로 접지된다. 접지 플레이트(14)는 절연체(12)를 따라 제 1 방향(A1)으로 연장하는 베이스부(14a), 제 1 방향(A1)으로 배치되도록 베이스부(14a)로부터 제 2 방향(A2)으로 돌출된 압입-끼워맞춤부(14b), 및 각각이 압입-끼워맞춤부(14b)로부터 제 2 방향(A2)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스프링 피스(16)를 포함한다. 각각의 스프링 피스(16)는 서로 평행하고 사이에 슬릿(17)이 위치하는 한 쌍의 핑거 피스(18)를 갖도록 브랜치 형상을 갖는다. 다시 말하면, 각각의 스프링 피스(16)는 슬릿(17)에 의해 다수의 브랜치 부분, 즉 두 개의 핑거 피스(18)로 분할된다. 각각의 핑거 피스(18)는 탄성력 또는 스프링 특성을 갖는다. 이와 관련하여, 각각의 핑거 피스(18)는 실질적으로 제 2 방향(A2)으로 연장하고 제 2 접촉점으로 부른다.
압입-끼워맞춤부(14b)는 넓은 폭을 갖는 부분으로서 형성되고 각각이 절연체(12)의 상부에 형성된 다수의 홀딩 홀(12b)에 압입되어 끼워맞춰진다. 슬릿(17)은 베이스부(14a)로 향하는 각각의 압입-끼워맞춤부(14b)로 연장하기 때문에, 압입-끼워맞춤부(14b)와 다수의 홀딩 홀(12b) 사이에서의 압입-끼워맞춤이 바람직하고 탄성적으로 수행된다.
한편, 절연체(12)는 각각이 스프링 피스(16)에 대응하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다수의 빔 부분(19)을 포함한다. 특히, 각각의 빔 부분(19)은 절연체(12)에 접속된 상단부 및 하단부를 갖도록 각각의 홀딩 홀(12b) 내에 수직으로 연장한다. 각각의 빔 부분(19)은 압입-끼워맞춤부(14b)에 인접한 슬릿(17) 내로 삽입된다. 즉, 각각의 빔 부분(19)은 한 쌍의 핑거 피스(18) 사이에 위치한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소켓형 커넥터(10)가 플러그 커넥터(30)에 끼워질 때, 신호 접촉부(11)의 스프링부(11a)는 각각 신호 접촉부(31)와 탄성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소켓형 커넥터(10)와 플러그 커넥터(30)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피스(16)가 접지 접촉부(34)와 탄성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30)의 금속 쉘(33)은 소켓형 커넥터(10)의 금속 쉘(15)에 추가하여 접지 접촉부(34)와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소켓형 커넥터(10)가 플러그 커넥터(30)와 끼워질 때마다, 각각의 핑거 피스(18)는 지주로서 홀딩 홀(12b)의 에지부를 사용하여 이동한다. 특히, 소켓형 커넥터(10)가 플러그 커넥터(30)에 접속될 때, 핑거 피스(18)는 도 3에서 상향 화살표(A3)에 의해 도시된 것처럼 접지 접촉부(34)에 의해 상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스프링 피스(11a)는 도 3에서 하향 화살표(A4)에 의해 도시된 것처럼 하향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절연체(12)가 접지 플레이트(14) 위의 일부분(12c)에서 얇지만 절연체(12)의 홀딩 홀(12a)이 핑거 피스(18)의 이동에 의해 넓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있다. 이것은 절연체(12)와 일체형인 빔 부분(19)이 핑거 피스(18)들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접속력 감소가 방지된다.
본 발명은 하나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여러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예컨대, 접속기가 다수의 스프링 피스를 갖지만, 하나의 스프링 피스가 제공될 수도 있다. 슬릿의 수는 두 개 이상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핑거 피스의 수는 세 개 이상이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은 LCD 모니터에 제공되는 소켓형 접속기에 대해 설명되었지만 다른 타입의 여러 접속기에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제공되는 접속기는 오래 사용하더라도 홀딩 홀이 방사형 방향으로 확대되지 않아 접속력이 감소되지 않는다.

Claims (10)

  1. 접속 대상물을 접속하는 접속기로서,
    절연체;
    상기 접속 대상물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상기 절연체에 의해 홀딩된 도전성 접촉부;
    상기 절연체에 의해 홀딩되는 도전성 플레이트를 포함하는데,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는 상기 도전성 접촉부에 면하는 스프링 피스를 가지며, 상기 스프링 피스는 상기 접속 대상물과 탄성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다수의 핑거 피스를 가지며, 상기 핑거 피스는 상기 핑거 피스들중 인접한 핑거 피스들 사이에 슬릿을 갖도록 배치되며, 상기 절연체는 상기 슬릿 내에 위치한 빔 부분을 갖는 접속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접촉부 신호 접촉부로서 사용되고,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는 접지 플레이트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를 덮으며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금속 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는 홀딩 홀을 가지며,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는 상기 홀딩 홀에 압입되어 끼워지는 압입-끼워맞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 피스는 상기 압입-끼워맞춤부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슬릿은 상기 압입-끼워맞춤부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빔 부분은 상기 압입-끼워맞춤부에 위치한 상기 슬릿을 통과하여 연장하도록 상기 홀딩 홀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빔 부분은 상기 절연체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피스는 상기 핑거 피스를 형성하기 위한 브랜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기.
  9. 접속 대상물에 접속되는 접속기로서,
    절연체;
    제 1 접촉점; 및
    상기 제 1 접촉점에 마주하여 위치한 제 2 접촉점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접촉점은 상기 제 2 접촉점쪽으로 접속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 2 접촉점은 상기 제 1 접촉점쪽으로 접속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제 2 접촉점은 브랜치 부분을 가지며,상기 절연체는 상기 브랜치 부분들 사이에 위치한 빔 부분을 갖는 접속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촉점은 신호 접촉부로서 사용되며, 상기 제 2 접촉점은 접지 플레이트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기.
KR1020030067780A 2002-09-30 2003-09-30 접촉력이 장기간 유지되는 커넥터 KR1005786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86663 2002-09-30
JP2002286663A JP3689849B2 (ja) 2002-09-30 2002-09-30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9265A true KR20040029265A (ko) 2004-04-06
KR100578673B1 KR100578673B1 (ko) 2006-05-12

Family

ID=31973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7780A KR100578673B1 (ko) 2002-09-30 2003-09-30 접촉력이 장기간 유지되는 커넥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843665B2 (ko)
EP (1) EP1403981B9 (ko)
JP (1) JP3689849B2 (ko)
KR (1) KR100578673B1 (ko)
CN (1) CN1299400C (ko)
AT (1) ATE311680T1 (ko)
DE (1) DE60302521T2 (ko)
DK (1) DK1403981T3 (ko)
ES (1) ES2249670T3 (ko)
TW (1) TWI22348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098B1 (ko) * 2004-10-19 2007-08-31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접속대상물을 접속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30954B2 (ja) * 2003-11-28 2008-01-0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レセプタクル電気コネクタ
JP4522144B2 (ja) * 2004-05-21 2010-08-1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100521375C (zh) * 2004-12-20 2009-07-2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4482041B2 (ja) * 2008-01-16 2010-06-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対
CN101867104A (zh) * 2009-09-29 2010-10-20 华塑科技(香港)有限公司 USB连接器及PCMCIA和Express扩展卡
CN110364375A (zh) * 2018-04-09 2019-10-22 科誉德电气(苏州)有限公司 抱箍触指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9677A (en) * 1984-08-17 1989-09-26 Teradyne, Inc. Backplane connector
US4738637A (en) * 1985-10-11 1988-04-19 Amp Incorporated Receptacle assembly with ground plane spring
US4836791A (en) * 1987-11-16 1989-06-06 Amp Incorporated High density coax connector
JP2570939Y2 (ja) * 1992-03-26 1998-05-13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シールド型電気コネクタ及びそれに使用する固定金具
NL9300971A (nl) * 1993-06-04 1995-01-02 Framatome Connectors Belgium Connectorsamenstel voor printkaarten.
JP3685210B2 (ja) * 1994-11-11 2005-08-17 ケル株式会社 コネクタ
JP3278050B2 (ja) * 1997-06-16 2002-04-30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シールド型コネクタ
US5961355A (en) * 1997-12-17 1999-10-05 Berg Technology, Inc. High density interstitial connector system
JP2000223217A (ja) * 1999-01-27 2000-08-11 Mitsumi Electric Co Ltd 小型コネクタ
JP3425696B2 (ja) 1999-11-12 2003-07-1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薄型コネクタ
JP2012003047A (ja) * 2010-06-17 2012-01-05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098B1 (ko) * 2004-10-19 2007-08-31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접속대상물을 접속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249670T3 (es) 2006-04-01
EP1403981B1 (en) 2005-11-30
JP3689849B2 (ja) 2005-08-31
CN1299400C (zh) 2007-02-07
DE60302521D1 (de) 2006-01-05
TWI223480B (en) 2004-11-01
CN1494183A (zh) 2004-05-05
DK1403981T3 (da) 2006-03-06
KR100578673B1 (ko) 2006-05-12
EP1403981A1 (en) 2004-03-31
JP2004127573A (ja) 2004-04-22
US6843665B2 (en) 2005-01-18
ATE311680T1 (de) 2005-12-15
TW200405628A (en) 2004-04-01
EP1403981B9 (en) 2006-06-28
DE60302521T2 (de) 2006-06-14
US20040102067A1 (en) 200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71607B1 (en) Electrical connector improving both functions of magnetic shielding and ground connection
US7458829B2 (en) Electric connector having an excellent grounding function
US6971916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use in transmitting a signal
KR200237076Y1 (ko) 인쇄 회로 기판용 에지 카드 커넥터
CN101584086B (zh) 具有预载荷盖的边缘连接器
US7722387B2 (en) Board connector, mating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6817898B2 (en) Electrical connector
US5035632A (en) Card connector with interceptor plate
US5911597A (en) Connector for flexible conductive line components
US7306494B2 (en) Connector
US20070015377A1 (en) Electrical connector
KR950034926A (ko) 표면실장형 전기 커넥터
KR20080103537A (ko) 커넥터
KR970054942A (ko) 표면 장착식 저 프로파일 전기 커넥터 조립체
US6910922B2 (en) Connector in which occurrence of crosstalk is suppressed by a ground contact
KR960706701A (ko) 고밀도 전기 조립체용 커넥터(connector for high density electronic assemblies)
JP2011146210A (ja) 電気コネクタ
KR20050065388A (ko)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20180111144A (ko) 기판 대 기판 커넥터
KR100578673B1 (ko) 접촉력이 장기간 유지되는 커넥터
US20090149072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s retaining mechanism
KR100539621B1 (ko) 평행하게 배열된 한 쌍의 회로 기판 접속 커넥터
US20070054531A1 (en) Land grid array electrical connector
KR100567587B1 (ko) 접지 연결용 홀드다운을 갖춘 전기 커넥터
KR20170099058A (ko) Emc 스프링을 포함하는 usb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