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9621B1 - 평행하게 배열된 한 쌍의 회로 기판 접속 커넥터 - Google Patents

평행하게 배열된 한 쌍의 회로 기판 접속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9621B1
KR100539621B1 KR10-2003-0012242A KR20030012242A KR100539621B1 KR 100539621 B1 KR100539621 B1 KR 100539621B1 KR 20030012242 A KR20030012242 A KR 20030012242A KR 100539621 B1 KR100539621 B1 KR 100539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pace
shaped
insulator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2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1547A (ko
Inventor
오사무 하시구치
타케시 신도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71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1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9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96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35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opposite contact points, e.g. C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2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8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meander springs

Abstract

제 1 방향(A1)에서 서로 마주보는 제 1 표면(11a)과 제 2 표면(11b) 사이로 각각 연장하는 공간이 형성된 판형 절연체(11)와, 그리고 각각 일체로 형성되고 그리고 대응 공간에 설치되는 콘택(12)을 가지는 커넥터가 제시된다. 절연체는 제 2 방향(A2)에서 각각의 공간을 제 1 공간(14)과 제 2 공간(15)으로 나누는 벽부(13)를 가진다. 각각의 콘택은 벽부를 이용하여 제 1 공간에 홀딩되는 유지부(16)와, 유지부로부터 연장하여 제 1 표면측을 지나 벽부를 우회하여 제 2 공간으로 들어가는 스프링부(17)를 갖는다. 스프링부는 벽부와 가깝게 접근하여 마주보는 돌출부(27)와, 그리고 제 2 표면으로부터 절연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접촉부(28)를 갖는다.

Description

평행하게 배열된 한 쌍의 회로 기판 접속 커넥터{CONNECTOR SUITABLE FOR CONNECTING A PAIR OF CIRCUIT BOARDS ARRANGED IN PARALLEL}
본 출원은 일본 특허 출원 제 2002-51894호를 우선권으로 청구한다.
본 발명은 절연체와 절연체에 설치되는 전도성 콘택을 가지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예를 들면 평행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회로 기판을 상호 접속할 때 사용가능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타입의 커넥터에 있어서의 절연체로서는 제 1 방향에서 서로 마주보는 제 1 및 제 2 표면을 가지는 판형 부재의 형태이다. 제 1 및 제 2 표면은 보통 서로 평행하게 설계된다. 절연체는 제 1 및 제 2 표면 사이로 각각 연장하는 공간이 형성된다. 전도성 콘택은 각각 이러한 공간내에 장착된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콘택으로는, 탄력성을 지닌 전도성 판 부재에 절단 가공 및 절곡 가공 등을 실시하여 일체로 형성된 것이 사용된다. 절연체에 설치되는 상태에서, 각각의 콘택은 단자부로서 절연체의 제 1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일 단부와, 그리고 접촉부로서 절연체의 제 2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타 단부를 갖는다.
이 커넥터는 회로 기판의 형태인 실장측 기판에 제 1 표면을 대향시켜서 배치되고, 콘택의 단자부는, 예를 들면 납땜에 의해 실장측 기판에 접속된다. 또 다른 회로 기판의 형태인 접속대상기판을 커넥터의 제 2 표면에 대향하도록 배치하고, 그리고나서 접속대상기판을 제 2 표면을 향하여 누른다. 이러한 방식으로, 콘택의 접촉부를 접속대상기판에 접촉시킨다. 그 결과, 접속대상기판의 전기 회로는 콘택을 통해 실장측 기판의 전기 회로에 접속된다.
접속대상기판을 절연체의 제 2 표면을 향하여 누르면, 접촉부가 접속대상기판에 의해 눌려짐으로써 콘택에 힘이 가해진다. 이러한 경우 발생된 각각의 콘택의 복원력은, 접촉부 뿐만 아니라 단자부에도 전달되어, 콘택의 단자부와 실장측 기판 사이의, 납땜 등에 의한 접속 구조에 스트레스가 가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제 1 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접촉부가 눌려졌을 경우에는, 제 1 방향에 교차하는 제 2 방향에 있어서 콘택이 과대 변형되어, 경우에 따라서는 소성 변형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택의 접촉부에 인가되는 힘이 단자부에 전달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콘택의 접촉부에 인가되는 힘에 의한 콘택의 과대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으로서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방향에서 서로 마주보는 제 1 표면 및 제 2 표면을 가지며, 그리고 제 1 표면 및 제 2 표면 사이로 연장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에서 공간을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으로 나누는 벽부를 포함하는 판형 절연체와, 그리고 상기 공간에 배치되고 절연체에 의해 홀딩되는 전도성 콘택을 포함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콘택은 벽부를 이용하여 제 1 공간에 지지되는 유지부와, 그리고 유지부로부터 연장하고, 제 1 표면측을 지나 벽부를 우회하여 상기 제 2 공간으로 들어가는 스프링부를 포함한다. 스프링부는 벽부와 가깝게 접근하여 마주보는 스토퍼부와, 그리고 제 2 표면으로부터 절연체의 외부로 돌출하는 접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 1 방향에서 서로 마주하는 제 1 표면 및 제 2 표면을 가지며, 그리고 제 1 표면 및 제 2 표면 사이로 각각 연장하는 다수의 공간을 형성하는 판형 절연체로서,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에서 각각의 공간을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으로 나누는 다수의 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간이 제 1 및 제 2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제 3 방향에 배치되는 판형 절연체와, 각각 상기 공간에 배치되고 절연체에 의해 홀딩되는 다수의 전도성 콘택을 포함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각각의 콘택은 벽부를 이용하여 제 1 공간에 지지되는 유지부와, 그리고 유지부로부터 연장하고, 제 1 표면측을 지나 벽부를 우회하여 제 2 공간으로 들어가는 스프링부를 포함한다. 스프링부는 벽부와 가깝게 접근하여 마주보는 스토퍼부와, 그리고 제 2 표면으로부터 절연체의 외부로 돌출하는 접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콘택과 콘택을 단단히 지지하는 절연체를 포함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콘택은 제 1 U형부와, 제 2 U형부와, 그리고 제 3 U형부를 포함하며, 절연체는, 제 1 U형부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가지며, 제 1 U형부와 제 2 U형부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제공되어 거의 S형상으로 형성되고, 제 3 U형부는 제 2 U형부로부터 연장되어, 그 정점부 근처에 접속 대상물과 접속하기 위한 접촉부를 가지며, 제 1 U형부는 삽입부에 단단히 지지되는 일단측과, 그리고 삽입부의 벽부의 제 1 측부와 접촉하는 타단측을 가지며, 접속 대상물과 접속할 때, 제 1 U형부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제 2 U형부의 일단측은 제 1 측부에 대향하는 벽부의 제 2 측부와의 접촉을 방지하는 한편, 접속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접속 대상물과 접속할 때, 제 2 U형부의 일단측이 벽부의 제 2 측부와 접촉하여 콘택의 과대 변형을 방지하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시된 커넥터는 판형 절연체(11)와 절연체(11)에 설치되는 다수의 전도성 콘택(12)을 포함한다. 절연체(11)는 제 1 방향(A1)에서 서로 마주보는 평행한 제 1 표면(11a)과 제 2 표면(11b)을 갖는다. 절연체(11)는 콘택(12)에 대응하는 다수의 공간이 2열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공간의 각각은 절연체(11)에 일체로 형성된 벽부(13)에 의해, 제 1 방향(A1)과 직교하는 제 2 방향(A2)에 있어서 비교적 작은 제 1 공간(14)과 비교적 큰 제 2 공간(15)으로 나누어진다. 각 공간의 열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공간(14 및 15)이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 1 및 제 2 방향(A1, A2)과 직교하는 제 3 방향(A3)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공간(14, 15)은 교대로 배열된다.
각각의 콘택(12)은 탄력성을 지닌 전도성 판 부재에 절단 가공 및 절곡 가공 등을 실시하여 일체로 형성된 것이며, 벽부(13)를 이용하여 제 1 공간(14)에서 홀딩되는 유지부(16)와, 그리고 유지부(16)로부터 연장하는 스프링부(17)를 포함한다. 유지부(16)는, 삽입부가 되는 제 1 공간(14)에 배치되는 제 1 U형부(18)를 갖는다.
제 1 U형부(18)는 제 1 공간(14)에 압입되는 압입부(19)와, 압입부(19)로부터 연장하는 만곡부(21)와, 그리고 만곡부(21)로부터 연장하는 간섭부(22)를 갖는다. 압입부(19)는 제 1 표면(11a)의 측부로부터 제 1 공간(14)으로 압입된다. 벽부(13)의 제 1 공간(14)의 측에 볼록부 또는 리브(23)를 형성하며, 리브(23)에 간섭부(22)를 간섭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지부(16)를 절연체(11)에 단단히 홀딩한다. 콘택(12)의 압입시, 리브(23)가 손상되기 쉽기 때문에, 조립으로 인한 만곡부(21)의 수축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콘택(12)에는, 압입부(19)로부터 연장하여 제 1 표면(11a)으로부터 절연체(11)의 외부로 돌출되는 단자부(24)를 일체로 형성한다.
한편, 스프링부(17)는 제 1 U형부(18)와 협동하여 거의 S 형상을 이루도록 제 1 U형부(18)로부터 연장하는 제 2 U형부(25)를 갖는다. 제 2 U형부(25)는 절연체(11)의 제 1 표면(11a)측을 지나 벽부(13)를 우회하여, 제 2 공간(15)으로 파고 든다.
제 3 U형부(26)는 제 2 U형부(25)와 협동하여 전체적으로는 거의 S 형상을 이루도록 제 2 공간(15)에 있어서의 제 2 U형부(25)의 단부로부터 연장한다. 제 3 U형부(26)에는, 벽부(13)와 가깝게 접근하여 마주보는 스토퍼부(stopper portion)가 되는 돌출부(27)와, 제 2 표면(11b)으로부터 절연체(11)의 외부로 돌출하는 접촉부(28)와, 접촉부(28)로부터 연장하여 제 2 공간(15)으로 파고드는 광폭 선단(a width-increased or broadened tip; 29)을 가지고 있다. 절연체(11)에는 광폭 선단(29)의 회피를 허용하는 도피홈(31)이 형성되어 있다. 인접한 콘택(12) 중 하나의 접촉부(28)는 제 2 방향(A2)으로 인접한 콘택(12) 중 또 다른 접촉부(28)로부터 변위된다.
이 커넥터는 회로 기판의 형태인 실장측 기판(32)에 절연체(11)의 제 1 표면(11a)을 대향시켜 설치된다. 그리고, 콘택(12)의 단자부(24)는, 예를 들면 납땜에 의해 실장측 기판(32)의 회로 패턴(도시안됨)으로 접속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회로 기판의 형태인 접속대상기판(33)은, 절연체(11)의 제 2 표면(11b)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제 2 표면(11b)을 향하여 눌러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접속대상기판(33)의 회로 패턴(도시안됨)을 콘택(12)의 접촉부(28)에 접촉시킨다. 그 결과, 접속대상기판(33)의 전기 회로는 콘택(12)을 통해 실장측 기판(32)의 전기 회로에 접속된다.
접속대상기판(33)을 절연체(11)의 제 2 표면(11b)를 향하여 누르면, 접촉부(28)가 접속대상기판(33)에 의하여 눌려짐으로써, 콘택(12)에 힘이 가해진다. 이러한 경우 발생된 각각의 콘택(12)의 복원력은 접촉부(28)로는 전달되지만, 유지부(16)가 절연체(11)에 단단히 홀딩되어 있기 때문에 단자부(24)에는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콘택(12)의 단자부(24)와 실장측 기판(32) 사이의 납땜 등에 의한 접속 구조에 스트레스가 가해지는 것은 최대한 방지된다.
또한, 접속대상기판(33)을 접속했을 때에도, 콘택(12)의 선단(29)의 변위가 적기 때문에, 커넥터의 제 1 방향(A1)에 있어서의 크기를 작게 만들 수 있다. 즉, 커넥터의 높이를 쉽게 줄일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대상기판(33)이 제 1 방향(A1)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특별한 경우로서 가정된다. 이 경우에는, 콘택(12)의 접촉부(28)가 제 2 방향(A2)으로 큰 힘을 받지만, 콘택(12)의 돌출부(27)가 벽부(13)에 맞닿음으로써, 콘택(12), 특히 스프링부(17)의 과대 변형 및 이로 인한 소성 변형을 방지한다. 물론, 전술된 접속 구조에 스트레스가 가해지는 일도 없다.
한편, 상기에서는 특정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벽부(13)와 가까이 접근하여 마주보는 스토퍼부는 제 2 U형부(25)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콘택의 접촉부에 인가되는 힘이 단자부에 전해지거나, 콘택의 과대 변형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는 커넥터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다른 커넥터의 평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커넥터의 주요 부분만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커넥터를 실장측 기판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커넥터를 실장측 기판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V-V선에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접속대상기판을 접속한 상태가 도시되는 도 5와 유사한 단면도이며,
도 7은 접속대상기판을 특수한 자세로 접속하는 작업 도중에 있는 상태가 도시되는 도 5와 유사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절연체 11a : 제 1 표면
11b : 제 2 표면 12 : 콘택
13 : 벽부 14 : 제 1 공간
15 : 제 2 공간 16 : 유지부
17 : 스프링부 18 : 제 1 U형부
19 : 압입부 21 : 만곡부
22 : 간섭부 23 : 볼록부 또는 리브
24 : 단자부 25 : 제 2 U형부
26 : 제 3 U형부 27 : 돌출부
28 : 접촉부 29 : 광폭 선단
31 : 도피홈(escape groove) 32 : 실장측 기판
33 : 접속대상기판 A1 : 제 1 방향
A2 : 제 2 방향

Claims (12)

  1. 제 1 방향에서 서로 마주보는 제 1 표면 및 제 2 표면을 가지며, 그리고 상기 제 1 표면 및 상기 제 2 표면 사이로 연장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에서 상기 공간을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으로 나누는 벽부를 포함하는 판형 절연체와, 그리고
    상기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절연체에 의해 홀딩되는 전도성 콘택을 포함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콘택은, 상기 벽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공간에 유지되고 상기 제1 공간에 위치된 제1 U형부를 포함하는 유지부와,
    상기 유지부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제 1 표면측을 지나 상기 벽부를 우회하여 상기 제 2 공간으로 들어가는 스프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제 1 U형부와 협동하여 거의 S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제 1 U형부로부터 연장하는 제 2 U형부와,
    상기 제 2 U형부와 협동하여 거의 S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제 2 U형부로부터 연장하는 제 3 U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U형부는, 상기 벽부와 가깝게 접근하여 마주보는 돌출부와,
    상기 제 2 표면으로부터 상기 절연체의 외부로 돌출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접촉부가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가압되면 상기 벽부와 접촉하는 한편, 상기 접촉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 가압되면 상기 벽부와 접촉하지 않는 커넥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은 상기 제 1 U형부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제 1 표면으로부터 상기 절연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단자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U형부는,
    상기 제 1 공간으로 압입되는 압입부와,
    상기 압입부로부터 연장하는 만곡부와, 그리고
    상기 만곡부로부터 연장하는 간섭부를 포함하며,
    상기 벽부는 상기 간섭부와 간섭하도록 상기 제 1 공간을 향하여 돌출되는 볼록부를 형성하는 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은, 상기 접촉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 2 공간에 위치되는 광폭 선단을 포함하며, 상기 절연체는 상기 광폭 선단의 회피를 허용하는 도피홈을 갖는 커넥터.
  6. 제 1 방향에서 서로 마주하는 제 1 표면 및 제 2 표면을 가지며, 상기 제 1 표면 및 상기 제 2 표면 사이로 각각 연장하는 다수의 공간을 형성하는 판형 절연체로서,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에서 각각의 상기 공간을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으로 나누는 다수의 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간이 상기 제 1 및 제 2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제 3 방향에 배치되는 판형 절연체와,
    각각 상기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절연체에 의해 홀딩되는 다수의 전도성 콘택을 포함하는 커넥터로서,
    각각의 상기 콘택은, 상기 벽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공간에 유지되고 상기 제1 공간 내에 위치된 제1 U형부를 포함하는 유지부와,
    상기 유지부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제 1 표면측을 지나 상기 벽부를 우회하여 상기 제 2 공간으로 들어가는 스프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제 1 U형부와 협동하여 거의 S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제 1 U형부로부터 연장하는 제 2 U형부와,
    상기 제 2 U형부와 협동하여 거의 S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제 2 U형부로부터 연장하는 제 3 U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U형부는 상기 벽부와 가깝게 접근하여 마주보는 돌출부와,
    상기 제 2 표면으로부터 상기 절연체의 외부로 돌출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접촉부가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가압되면 상기 벽부와 접촉하는 한편, 상기 접촉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 가압되면 상기 벽부와 접촉하지 않는 커넥터.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콘택은, 상기 제 1 U형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 1 표면으로부터 상기 절연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단자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U형부는,
    상기 제 1 공간으로 압입되는 압입부와,
    상기 압입부로부터 연장하는 만곡부와, 그리고
    상기 만곡부로부터 연장하는 간섭부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벽부는 상기 간섭부와 간섭하도록 상기 제 1 공간을 향하여 돌출하는 볼록부가 형성되는 커넥터.
  10. 제 6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콘택은 상기 접촉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 2 공간에 위치한 광폭 선단을 포함하며, 상기 절연체는 상기 광폭 선단의 회피를 허용하는 도피홈을 가지는 커넥터.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하는 콘택들 중 하나의 접촉부는 상기 인접한 콘택의 또 다른 하나의 접촉부로부터 상기 제 2 방향으로 변위되는 커넥터.
  12. 콘택과 상기 콘택을 단단히 유지하는 절연체를 포함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콘택은,
    제 1 U형부와,
    제 2 U형부와, 그리고
    제 3 U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체는, 제1 및 제2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공간 사이에 벽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U형부는 접속방향으로 상기 제1 공간내에 삽입되며, 상기 제 1 U형부와 상기 제 2 U형부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제공되어 거의 S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3 U형부는 상기 제 2 U형부로부터 연장되어, 정점부 근처에 접속 대상물과 접속하기 위한 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제3 U형부는 상기 제2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접속방향으로 상기 절연체와 결합된 광폭 선단이 있는 확장단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U형부는 상기 제1 공간에 단단히 유지되는 일단측과, 상기 벽부의 제 1 측부와 접촉하는 타단측을 가지며, 상기 제2 U형부는 상기 제1 U형부의 타단측으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제3 U형부는 상기 벽부의 상기 제1 측부에 대향하는 상기 벽부의 제2 측부에 마주하도록 접근하는 돌출부를 더 가지고, 상기 접속방향으로 상기 접속 대상물과 접속할 때, 상기 돌출부는 상기 벽부의 상기 제 2 측부와의 접촉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접속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상기 접속 대상물과 접속할 때, 상기 돌출부가 상기 벽부의 제 2 측부와 접촉하여, 상기 콘택의 과대 변형을 방지하는 커넥터.
KR10-2003-0012242A 2002-02-27 2003-02-27 평행하게 배열된 한 쌍의 회로 기판 접속 커넥터 KR1005396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51894 2002-02-27
JP2002051894A JP3812937B2 (ja) 2002-02-27 2002-02-27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1547A KR20030071547A (ko) 2003-09-03
KR100539621B1 true KR100539621B1 (ko) 2005-12-29

Family

ID=27678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2242A KR100539621B1 (ko) 2002-02-27 2003-02-27 평행하게 배열된 한 쌍의 회로 기판 접속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638078B2 (ko)
JP (1) JP3812937B2 (ko)
KR (1) KR100539621B1 (ko)
CN (1) CN1208878C (ko)
DE (1) DE10308586B4 (ko)
TW (1) TW58976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29890B2 (en) * 2000-12-29 2004-05-04 Molex Incorporated Reduced-size board-to-board connector
JP3860561B2 (ja) * 2003-06-27 2006-12-20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Icソケット
CN100421310C (zh) * 2004-05-31 2008-09-24 日本航空电子工业株式会社 能够减小翘曲的连接器
JP4100694B2 (ja) * 2004-05-31 2008-06-1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6344458A (ja) * 2005-06-08 2006-12-21 Hirose Electric Co Ltd 表面実装型電気コネクタ
WO2007060709A1 (ja) * 2005-11-22 2007-05-31 Iriso Electronics Co., Ltd. コネクタ
DE102006020955B4 (de) * 2006-05-05 2010-12-02 Lumberg Connect Gmbh Andruckkontakt und Andruckverbinder
JP4973988B2 (ja) * 2006-06-12 2012-07-11 山一電機株式会社 コンタクト及びこれを用いたicソケット
CN202178419U (zh) * 2011-05-24 2012-03-28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板对板电连接器
KR102071300B1 (ko) * 2018-04-12 2020-01-30 주식회사 수콘 전자기기용 접속단자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98167A (en) * 1994-04-13 1996-03-12 Molex Incorporated Board to board electrical connectors
DE19611422C2 (de) * 1996-03-22 2001-06-07 Tyco Electronics Logistics Ag Verbinder für die elektrische Verbindung von zwei Leiterplatten miteinander
US5885092A (en) * 1996-06-21 1999-03-23 Molex Incorporated Electric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registration characteristics
JP3617220B2 (ja) * 1996-11-26 2005-02-02 松下電工株式会社 コネクタ
DE19709188C2 (de) * 1997-03-06 2001-10-31 Siemens Ag Tragbares elektronisches Gerät
JPH11297431A (ja) * 1998-04-08 1999-10-29 Amp Japan Ltd 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638078B2 (en) 2003-10-28
TW589766B (en) 2004-06-01
TW200304252A (en) 2003-09-16
JP2003257525A (ja) 2003-09-12
JP3812937B2 (ja) 2006-08-23
DE10308586B4 (de) 2009-04-23
CN1208878C (zh) 2005-06-29
KR20030071547A (ko) 2003-09-03
DE10308586A1 (de) 2003-09-04
CN1441514A (zh) 2003-09-10
US20030162417A1 (en) 2003-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6598B1 (ko) 전기커넥터및그제조방법
JP5938067B2 (ja) コネクタ
KR100754100B1 (ko) 플러그와 리셉터클 사이의 단락을 확실히 방지하기 위한로킹기구
JP6388472B2 (ja) コンタクト及びコネクタ
KR100433704B1 (ko) 접촉 신뢰성을 갖는 커넥터
KR100539621B1 (ko) 평행하게 배열된 한 쌍의 회로 기판 접속 커넥터
EP1349240B1 (en) Connector in which movement of contact portion of contact is guided by insulator
KR20020051838A (ko) 전기 커넥터
US6893269B2 (en) Connector efficiently forming a standoff region
KR100567587B1 (ko) 접지 연결용 홀드다운을 갖춘 전기 커넥터
KR100578673B1 (ko) 접촉력이 장기간 유지되는 커넥터
KR20030057432A (ko) 패널 연결용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사용한 패널의 연결방법
JP4021397B2 (ja) 接続端子及び該接続端子を用いる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2003045521A (ja) 電気接続用端子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コネクタ
JP2757130B2 (ja) 平行基板用コネクタ
US7544098B2 (en) Connector having a stopper mechanism defining a movable range of a housing receiving a connection object
JP2021114397A (ja) コネクタ
JP2001148271A (ja) プレスフィットコネクタ用コンタクトおよびプレスフィットコネクタ
JP2002050420A (ja) 基板用コネクタ
JPH1032031A (ja) コンタクト
JP3600981B2 (ja) コネクタ装置
JP2000182699A (ja) プレスフィットコネクタおよびプレスフィットコネクタ用コンタクト
KR200398884Y1 (ko) 연결 확인용 플랫 케이블 커넥터
JP3054800B2 (ja) コネクタ
JP2002359024A (ja) プリント配線板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