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5388A -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5388A
KR20050065388A KR1020040111149A KR20040111149A KR20050065388A KR 20050065388 A KR20050065388 A KR 20050065388A KR 1020040111149 A KR1020040111149 A KR 1020040111149A KR 20040111149 A KR20040111149 A KR 20040111149A KR 20050065388 A KR20050065388 A KR 20050065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connector
signal contact
electrical connecto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1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야 아카사카
이주미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Publication of KR20050065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538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5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Abstract

본 발명은 두 열로 배열된 신호 콘택트와, 신호 콘택트 열 사이에 배치되는 접지부재와, 상기 신호 콘택트 및 상기 접지부재를 유지하고 서로 결합되는 하우징을 각각 포함하는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로 구성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및 상기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한다. 상기 전기 커넥터 및 상기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접지 경로의 신뢰성을 증가시키고, 소수의 구성부품만을 요구하며 고속 신호 전송에 적합하다. 상기 접지부재를 구성하는 제1접지 플레이트 및 제2접지 플레이트는 두 열로 배열된 신호 콘택트 열에 근접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은 관통개구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접지부재를 구성하는 연결부는 시각적으로 확인되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두 열로 배열된 신호 콘택트와, 신호 콘택트 열 사이에 배치되는 접지부재와, 상기 신호 콘택트 및 상기 접지부재를 유지하고 서로 결합되는 하우징을 각각 포함하는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로 구성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및 상기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신호의 속도는 더욱더 빨라지고 전기 커넥터 또한 고속 신호 전송에 적합한 구조를 제공하도록 요구되어진다.
고속 신호 전송에 있어서, 접지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어떠한 접지 부분이 어느 적소에 배치되어야 하느냐가 중요하다. 접속의 신뢰성도 예를들면, 접지부재가 기판에 접속되는때 또한 중요하다.
도 8은 일본국특허 공개번호 제5-135826호에 개시된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 조립체(80)는 서로 결합되는 제1전기 커넥터(81) 및 제2전기 커넥터(82)로 구성되어 있다. 제1전기 커넥터(81)는 두 열로 배열된 신호 콘택트(811), 신호 콘택트(811) 열 사이에 배치된 접지부재(812) 및 신호 콘택트(811)와 접지부재(812)를 유지하는 하우징(813)을 포함한다. 신호 콘택트(811) 및 접지부재(812)는 기판(미도시)을 관통하는 소위 침지형 다리부(811a, 812a)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제2전기 커넥터(82)도 또한 두 열로 배열된 신호 콘택트(821), 신호 콘택트(821) 열 사이에 배치된 접지부재(822) 및 신호 콘택트(821)와 접지부재(822)를 유지하는 하우징(823)을 포함한다. 신호 콘택트(821) 및 접지부재(822)는 기판(미도시)을 관통하는 소위 침지형 다리부(821a, 822a)를 포함한다.
도 9는 국제특허출원번호 제2000-516028호의 국제공보에 개시된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10은 외관이 도 9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를 구성하는 콘택트의 배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기 커넥터(90)는 네 열의 콘택트(91, 92) 및 네 열의 콘택트(91, 92)를 유지하는 하우징(93)을 포함한다. 하우징(93)에 있어서, 네 열의 콘택트(91) 중 내부 두 열의 콘택트(92) 사이에 내부 두 열의 콘택트(92)의 다리부(92a)가 노출되도록 개구(931)가 형성되어 있다.
일본국특허 공개번호 제5-135826호에 개시된 도 8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80)의 경우에 있어서, 접지부재(812, 822)는 전기 커넥터(81, 82)의 신호 콘택트(811, 821) 열 사이에 배치되고, 이러한 관점에서 신호 콘택트(811, 821)의 누화가 감소되어, 고속 신호 전송에 적합한 구조를 제공한다. 그러나, 도 8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 조립체(80)의 경우에 있어서, 신호 콘택트(821) 및 접지부재(822) 쌍방은 상기 기판을 관통하는 침지형 다리부(821a, 822a)를 포함하여, 이로 인하여 (1) 납땜 연결부는 상기 기판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시각적으로 확인되어질 수 없으며, (2) 접지부재(822)의 다리부(822a)가 상호 이격되어 있으므로, 접지 경로의 길이를 최소화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제기된다.
다른 한편으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국제특허출원번호 제2000-516028호의 국제공보에 개시된 전기 커넥터의 경우에 있어서, 내부 두 열의 콘택트(92)는 접지 콘택트가 아니므로 고속 신호 전송에 부적합하다. 더우기, 각 콘택트(92)는 독립적이므로, 구성부품의 수가 매우 커지게 되는 문제점을 제기한다.
상술된 관점에서, 본 발명은 소수의 구성부품과 접지 경로의 증가된 신뢰성을 갖고 고속 신호 전송에 적합한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는 두 열로 배열된 신호 콘택트; 상기 신호 콘택트 열 사이에 배치된 접지부재; 및 상기 신호 콘택트 및 상기 접지부재를 유지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접지부재는 하나의 신호 콘택트 열에 근접 배치된 제1접지 플레이트, 다른 신호 콘택트 열에 근접 배치된 제2접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및 제2접지 플레이트를 상호 연결하고 전기 커넥터가 실장되는 기판 상에 표면실장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접지부재는 측면에서 관찰하였을 때 Π자의 형태를 이루도록 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연결부가 시각적으로 확인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접지 플레이트 사이에 관통개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두 열로 배열된 신호 콘택트와, 신호 콘택트 열 사이에 배치되는 접지부재와, 상기 신호 콘택트 및 상기 접지부재를 유지하고 서로 결합되도록 하는 하우징을 각각 갖는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각 접지부재는 하나의 신호 콘택트 열에 근접 배치된 제1접지 플레이트, 다른 신호 콘택트 열에 근접 배치된 제2접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및 제2접지 플레이트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전기 커넥터가 실장되는 기판 상에 표면실장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접지부재는 측면에서 관찰하였을 때 Π자의 형태를 이루도록 하고,
상기 각 하우징은 상기 연결부가 시각적으로 확인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접지 플레이트 사이에 관통개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서 상기 제1커넥터의 상기 접지 플레이트는 상기 제2커넥터의 상기 접지 플레이트보다 내측으로 위치되고 상대적으로 더 큰 강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 각각의 사시도이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실시예이다.
도 1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10)는 2열로 배열된 신호 콘택트(11)와, 측면에서 관찰하였을 때 Π자의 형태를 이루는 접지부재(12)와, 신호 콘택트(11) 및 접지부재(12)를 유지하는 하우징(13)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13)은 하우징의 외주를 둘러싼 외벽(131)과, 상기 외벽을 따라서 상기 외벽의 내측에 입설하여 제공된 내벽(132)을 구비하고, 내벽(132)의 내측에는 커다란 관통개구(133)가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신호 콘택트(11)는 도 1에 나타난 부분으로서 하우징(13)의 내벽(131)의 외측을 따라 융기하여 상대커넥터의 콘택트에 접촉하는 접촉부(111)와, 하우징(13)의 저부에서 측방으로 연장하고 하우징(13)으로부터 돌출하여 기판(미도시)에 접속되는 단자부(114)를 갖는다. 신호 콘택트(11)의 상세구조에 대해서는 후술될 것이다.
접지부재(12)는 2열로 배열된 신호 콘택트(11) 중, 하나의 신호 콘택트열(11a)에 근접배치되는 제1접지 플레이트(121)와, 다른 신호 콘택트열(11b)에 근접배치되는 제2접지 플레이트(122)와, 제1접지 플레이트(121)와 제2접지 플레이트(122)를 서로 연결하고 플러그 커넥터(10)가 실장되는 기판(여기에는 미도시, 도 3 참조)에 표면실장되는 연결부(123)로 이루어진다. 타발 및 절곡가공에 의해 형성된 접지콘택트(124)는 접지부재(12)의 제1접지 플레이트(121) 및 제2접지 플레이트(122)에 배열되어 있다. 접지부재(12)의 연결부(123)에는 플러그 커넥터(10)의 배면을 관통하는 슬릿모양의 개구(125)가 다수 설치되어 있다. 접지부재(12)에는 그 연결부(123)가 하우징(13)의 관통개구(133)에 제공된다. 상기 접지부재의 연결부(133)는 하우징(13)의 관통개구(133)에 배치되고 제1접지 플레이트(121)와 제2접지 플레이트(122)가 하우징(13)의 내벽(132)의 내측면에 유지되는 방식으로 접지부재(12)는 하우징(13)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리셉터클 커넥터(20)는 2열로 배열된 신호 콘택트(21)와, 측면에서 관찰될 때 Π자의 형태를 이루는 접지부재(22)와, 신호 콘택트(21) 및 접지부재(22)를 유지하는 하우징(23)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23)에 있어서, 하우징의 외주를 둘러싼 외벽(231)이 형성되어 있고, 외벽(231)으로 둘러싸인 영역의 중앙부에는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관통개구(232)가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20)의 신호 콘택트(21) 각각에는 도 2에 나타난 부분으로서 하우징(23)의 외벽(231)의 내측면을 따라 융기하고 상대커넥터의 콘택트에 접촉하는 접촉부(211)와, 하우징(23)의 저부에서 측방으로 연장하고 하우징(23)에서 돌출하여 기판(미도시)에 접속되는 단자부(214)를 갖는다. 신호 콘택트(21)의 접촉부(211)는 도 1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10)의 신호 콘택트(11)의 접촉부(111)와 동일 형상을 이루고 있다. 신호 콘택트(21)의 상세구조에 대해서는 도 1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10)의 신호 콘택트(11)의 상세구조의 설명과 함께 후술한다.
접지부재(22)는 2열로 배열된 신호 콘택트(21) 중 하나의 신호 콘택트열(21a)에 근접배치된 제1접지 플레이트(221)와, 다른 신호 콘택트열(21b)에 근접배치된 제2접지 플레이트(222)와, 제1접지 플레이트(221) 및 제2접지 플레이트(222)를 서로 연결하고 리셉터클 커넥터(20)가 실장되는 기판(여기에는 미도시, 도 3 참조)에 표면실장되는 연결부(223)로 이루어진다.
도 1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10)의 접지부재(12)를 구성하는 제1접지 플레이트(121) 및 제2접지 플레이트(122)는 하우징(13)의 내벽(132)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10)의 접지부재(12)는 박판재료로 구성되었으나, 도 2에 나타내는 리셉터클 커넥터(20)의 접지부재(22)를 구성하는 제1접지 플레이트(221) 및 제2접지 플레이트(222)는 접지 플레이트 자체의 강성으로 입설되어 있다. 그러므로, 리셉터클 커넥터(20)의 접지부재(22)는 도 1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10)의 접지부재(12)에 비해 후판재료로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큰 강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리셉터클 커넥터(20)의 접지부재(22)는 그 자체로 직립가능할 만큼의 큰 강성을 갖기 때문에, 리셉터클 커넥터(20)의 하우징(23)에는 접지부재(22)를 구성하는 제1접지 플레이트(221) 및 제2접지 플레이트(222)를 지지하기 위한 벽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그 결과로서, 리셉터클 커넥터(20)와 플러그 커넥터(10)로 구성된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폭방향 치수를 작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나아가 연결부(123, 223)의 시야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리셉터클 커넥터(20)를 구성하는 접지부재(22)의 연결부(223)에는 리셉터클 커넥터(20)의 배면에 관통하는 슬릿모양의 다수의 개구(224)가 형성되어 있다. 접지부재(22)는 접지부재의 연결부(223)가 하우징(23)의 관통개구(232)에 배치된 상태로 그 하우징(23)에 유지되어 있다.
도 3은 기판에 납땜부착된 접지부재의 연결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의 커넥터(10, 20)는 접지부재(12, 22)를 갖고, 배면을 관통하는 슬릿모양의 개구(125, 224)는 이들 접지부재(12, 22)의 연결부(123, 223)에 형성된다.
견본으로서 도 1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10)의 접지부재(12)를 사용함으로써, 도 3은 접지부재(12)의 연결부(123)에 다수 형성된 개구(125)의 하나와 접지부재(12)의 연결부(123)에 형성된 하나의 개구(125)의 양측 부분을 나타낸다.
접지부재(12)의 연결부(123)는 기판(30)에 납땜(31)으로 납땜부착됨으로써 표면실장된다. 이때,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125)의 주연부분이 회로기판(30)과 납땜(31)으로 납땜부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많은 개구(125, 224)가 접지부재(12)에 제공[도 2에 나타내는 리셉터클 커넥터(20)의 접지부재(22)도 동일]하였기 때문에, 다수의 개구(125, 224)의 에지들은 납땜부착되고, 납땜은 전체로서 견고하고 확실하게 수행된다. 또한, 개구(125, 224)는 관통하고 나아가 하우징(13, 23)에 설치된 관통개구(133, 232)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접지부재(12, 22)의 연결부(123, 223)의 납땜부착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가능하고 따라서 납땜부착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10)와 도 2에 나타내는 리셉터클 커넥터(20)의 끼움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리셉터클 커넥터(20)를 화살표X-X를 따라 취하여 나타내고 도 1의 플러그 커넥터(10)도 그에 대응하는 부분을 나타내며, 도 5는 도 2에 나타내는 리셉터클 커넥터(20)를 화살표Y-Y를 따라 취하여 나타내고 도 1의 플러그 커넥터(10)도 그에 대응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그리고, 도 4에서는 플러그 커넥터(10)의 신호 콘택트(11)의 접촉부(111) 및 리셉터클 커넥터(20)의 신호 콘택트(21)의 접촉부(211)가 각각 상대콘택트에 파고드는 것처럼 그려져 있다. 그러나, 이것은 결합하기 전의 플러그 커넥터(10) 및 리셉터클 커넥터(20)의 신호 콘택트(11, 21)의 접촉부(111, 211)의 위치를 나타낸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이들 접촉부는 결합시에 상대콘택트와 간섭하여 휜 상태로 되고, 결과적으로 접촉부는 상대콘택트에 소정의 접촉압력으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도 4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10)의 접지부재(12)의 접지콘택트(124)는 접지콘택트(124)의 일부가 리셉터클 커넥터(20)의 접지부재(22)의 제1접지 플레이트(221) 및 제2접지 플레이트(222)의 뒤에 숨겨져 있는 방식으로 도시되고, 도 5에 있어서 접지콘택트(124)는 제1접지 플레이트(221) 및 제2접지 플레이트(222)에 파고드는 것처럼 그려져 있다. 그러나, 이것도 상기 신호 콘택트(11, 21)의 접촉부(111, 211)가 상태콘택트에 파고들어 그려져 있는 것과 동일한 이유에 기인한 것이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결합시에 접지콘택트(124)는 제1접지 플레이트(221) 및 제2접지 플레이트(222)에 간섭하여 탄성적으로 변형하고, 그 결과로서 접지콘택트(124)는 제1접지 플레이트(221) 및 제2접지 플레이트(222)에 접촉하여 소정의 접촉압력을 유지하고, 플러그 커넥터(10)와 리셉터클 커넥터(20)의 글랜드(Gland)들은 서로 연결된다.
도 4와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제1접지 플레이트(121, 221)로 구성된 글랜드벽(gland wall)은 하나의 신호 콘택트열(11a, 21a)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고 제2접지 플레이트(122, 222)로 구성된 글랜드의 벽은 다른 하나의 신호 콘택트열(11b, 21b)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된다. 그 결과로서, 크로스토크(crosstalk)가 억제되어 고속전송에 적합한 구조를 제공한다.
도 4, 도 5에 관한 설명을 일단 중지하고 신호 콘택트(11, 21)자체의 구조가 설명될 것이다.
도 6은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의 신호 콘택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신호 콘택트(11, 21)에는 접촉부(111, 211)와, 요부(112, 212)와, 억지끼움부(113, 213)와, 단자부(114, 214)가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10; 도 1, 도 4 및 도 5 참조)와 리셉터클 커넥터(20; 도 2, 도 4 및 도5 참조)가 서로 결합되는 때에, 접촉부(111, 211)는 상대커넥터와 간섭하고, 탄성적으로 변형하고, 상대콘택트에 대해 소정의 접촉압력을 가지고 접촉하여, 상대콘택트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대콘택트와 접촉하는 접촉부(111, 211)의 표면은 금속평판의 표면[소위, 롤면(roll surface)]으로 제작된다. 상기 표면은 평활면이며 삽발력의 저하 및 높은 신뢰성에 기여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112, 212)는 플러그 커넥터(10)의 하우징(13)의 내벽(132)의 외측면과 리셉터클 커넥터(20)의 하우징(23)의 외벽(231)의 내측면에 당접하고 이에 의해서 접촉부(111, 211)는 내벽(132) 및 외벽(231)에서 이간한 상태로 유지된다.
접촉부(111, 211)는 상대콘택트의 돌출부(212, 112)의 근방에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돌출부(212, 112)가 형성된 부분에 있기 때문에, 돌출부(212, 112)는 하우징에 당접하여 제위치에 고정되고 접촉부(111, 211)인 탄성부와 돌출부(212, 112) 근방의 비탄성부가 소정의 접촉압력으로 서로 접촉하며, 그 결과로서 두개 콘택트 사이의 접촉은 안정되어 긍저인 전기적 도통상태가 달성된다.
도 7은 신호 콘택트의 돌출부를 형성하는 방법의 설명도이다. 대표적으로, 리셉터클 커넥터(20)의 콘택트(21)가 여기에서 설명될 것이다.
우선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방향으로 돌출한 돌출편(2121, 2122)은 판금의 타발가공에 의해 형성한다. 그 후, 폭방향으로 돌출하는 이들 돌출편(2121, 2122)은 도 7(B)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으로 절곡되어 내향력(inward force)가 인가되며, 이에 의해서 돌출부(212)가 형성된다. 플러그 커넥터(10)의 콘택트(11)의 돌출부(112)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도 6에 나타내는 신호 콘택트(11, 21)의 억지끼움부(113, 213)는 하우징(13, 23)에 억지끼움되는 부분이다. 억지끼움부(113, 213)는 원래 금속판의 폭방향 즉, 도 4와 도 5의 도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전개되고 하우징(13, 23)의 도 4와 도 5의 도면에 수직인 방향을 향한 벽에 파고들어 고정된다.
도 6에 나타내는 신호 콘택트(11, 21)의 단자부(114, 214)는 기판에 실장된다. 여기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단자부(114, 214)는 기판에 표면실장되기에 적합한 형상을 갖고 있다.
다시 도 4와 도 5, 특히 도 4를 참조하여 설명을 계속한다.
플러그 커넥터(10)의 하우징(13)의 내벽(132)의 선행단부, 즉 플러그 커넥터(10)의 신호 콘택트(11)의 접촉부(111)의 선행단부 근방에서, 접촉부(111)의 선행단부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성 펜트하우스형 구역(134)이 형성된다. 플러그 커넥터(10)의 하우징(13)의 구조의 경우에 있어서, 내벽(132)의 외측면에는 보호성 펜트하우스형 구역(134) 이외의 돌출한 부분이 존재하지 않고, 도 4의 상하로 분할 가능한 분할금형의 사용에 의해서 하우징(13)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플러그 커넥터(10)의 신호 콘택트(11)에는 상술한 돌출부(112)가 제공되기 때문에, 신호 콘택트(11)의 접촉부(111)를 하우징(13)의 벽에서 이간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게다가 신호 콘택트(11)의 돌출부(112)가 형성된 부분에 의해서 상대콘택트의 접촉부로부터의 접촉이 안정적인 방식으로 수용될 수 있는 것이 확보된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2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즉, 리셉터클 커넥터(20)의 하우징(23)의 외벽(231)의 선행단부, 즉 리셉터클 커넥터(20)의 신호 콘택트(21)의 접촉부(211)의 선행단부 근방에서, 접촉부(211)의 선행단부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성 펜트하우스형 구역(233)이 형성된다. 리셉터클 커넥터(20)의 하우징(23)의 구조의 경우에 있어서, 외벽(231)의 내측면에는 보호성 펜트하우스형 구역(233) 이외의 돌출한 부분은 존재하지 않고, 도 4의 상하로 분할 가능한 분할금형에 의해서 하우징(23)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리셉터클 커넥터(20)의 신호 콘택트(21)에는 상술한 돌출부(212)가 제공되기 때문에, 신호 콘택트(21)의 접촉부(211)를 하우징(23)의 벽에서 이간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게다가 그 신호 콘택트(21)의 돌출부(212)가 형성된 부분에서 상대콘택트의 접촉부의 접촉을 안정적으로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전기 커넥터 또는 상기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의하여, 상기 접지부재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접지 플레이트는 두 열로 배열된 신호 콘택트의 각 열에 각각 근접 배치되므로, 상기 전기 커넥터 또는 상기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고속 신호 전송에 적합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이 관통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부재를 구성하는 상기 연결부가 시각적으로 확인되어 질 수 있으므로, 상기 연결부의 납땜 부착 조건이 시각적으로 확인되어질 수 있고 접지 경로의 신뢰성이 개선된다. 더우기, 상기 접지부재는 측면에서 관찰하였을 때 Π자의 형태를 이루는 단품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어, 구성부품의 수를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넥터의 상기 접지 플레이트는 상기 제2커넥터의 상기 접지 플레이트보다 내측으로 위치되고 상대적으로 더 큰 강성을 갖는 경우에, 상기 제1커넥터의 상기 접지 플레이트의 내측에서 하우징 벽이 불필요하게 되어, 상기 연결부의 시각적 확인 용이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폭방향으로의 상기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크기 유지가 가능한 결과가 생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는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사시도;
도 3은 기판에 납땜부착되는 접지부재의 연결부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와 도 2에 나타내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끼움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와 도 2에 나타내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끼움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의 신호 콘택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신호 콘택트의 돌출부를 형성하는 방법의 설명도;
도 8은 일본국특허 공개번호 제5-135826호에 개시된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단면도;
도 9는 국제특허출원번호 제2000-516028호의 국제공보에 개시된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외관 사시도,
도 10은 외관이 도 9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를 구성하는 콘택트의 배열을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플러그 커넥터
11 : 신호콘택트
12 : 접지부재
13 : 하우징
20 : 리셉터클 커넥터
21 : 신호콘택트
22 : 접지부재
23 : 하우징
111 : 접촉부
112 : 돌출부
113 : 억지끼움부
114 : 단자부
121 : 제1접지 플레이트
122 : 제2접지 플레이트
123 : 연결부

Claims (3)

  1. 두 열로 배열된 신호 콘택트; 상기 신호 콘택트 열 사이에 배치된 접지부재; 및 상기 신호 콘택트 및 상기 접지부재를 유지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접지부재는 하나의 신호 콘택트 열에 근접 배치된 제1접지 플레이트, 다른 신호 콘택트 열에 근접 배치된 제2접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및 제2접지 플레이트를 상호 연결하고 전기 커넥터가 실장되는 기판 상에 표면실장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접지부재는 측면에서 관찰하였을 때 Π자의 형태를 이루도록 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연결부가 시각적으로 확인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접지 플레이트 사이에 관통개구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2. 두 열로 배열된 신호 콘택트와, 신호 콘택트 열 사이에 배치되는 접지부재와, 상기 신호 콘택트 및 상기 접지부재를 유지하고 서로 결합되도록 하는 하우징을 각각 갖는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각 접지부재는 하나의 신호 콘택트 열에 근접 배치된 제1접지 플레이트, 다른 신호 콘택트 열에 근접 배치된 제2접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및 제2접지 플레이트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전기 커넥터가 실장되는 기판 상에 표면실장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접지부재는 측면에서 관찰하였을 때 Π자의 형태를 이루도록 하고,
    상기 각 하우징은 상기 연결부가 시각적으로 확인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접지 플레이트 사이에 관통개구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의 상기 접지 플레이트는 상기 제2커넥터의 상기 접지 플레이트보다 내측으로 위치되고 상대적으로 더 큰 강성을 가지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1020040111149A 2003-12-25 2004-12-23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200500653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430610 2003-12-25
JP2003430610A JP2005190818A (ja) 2003-12-25 2003-12-25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5388A true KR20050065388A (ko) 2005-06-29

Family

ID=34545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1149A KR20050065388A (ko) 2003-12-25 2004-12-23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84137B2 (ko)
EP (1) EP1548900A1 (ko)
JP (1) JP2005190818A (ko)
KR (1) KR20050065388A (ko)
CN (1) CN1638207A (ko)
TW (1) TW20053301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4950A (ko) * 2005-07-28 2007-02-01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및 휴대단말
JP4726019B2 (ja) * 2008-09-16 2011-07-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US20100173507A1 (en) * 2009-01-07 2010-07-08 Samtec, Inc. Electrical connector having multiple ground planes
JP5232202B2 (ja) * 2010-08-03 2013-07-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US9007783B2 (en) * 2011-05-31 2015-04-14 Sony Corporation Memory device and receptacle for electronic devices
JP5971845B2 (ja) 2012-06-04 2016-08-1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249643B2 (ja) * 2013-06-14 2017-12-20 宏致電子股▲ふん▼有限公司Aces Electronics Co.,Ltd. 電気コネクタ
JP6429263B2 (ja) * 2013-06-19 2018-11-28 宏致電子股▲ふん▼有限公司Aces Electronics Co.,Ltd. コネクタ、コネクタの製造方法及びコネクタ付フラットケーブル
JP5747950B2 (ja) 2013-06-20 2015-07-15 Smk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6152083A (ja) * 2015-02-16 2016-08-22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コネクタ
US10396479B2 (en) * 2017-01-19 2019-08-27 Murata Manufacturing Co., Ltd. Multipolar connector set
TWI674712B (zh) * 2018-07-06 2019-10-11 唐虞企業股份有限公司 插座連接器及電連接器總成
CN111009760B (zh) * 2018-11-21 2021-09-17 富鼎精密工业(郑州)有限公司 电连接器
CN110098505B (zh) * 2018-11-28 2020-10-30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与连接器组件
JP1719682S (ja) * 2021-09-30 2022-07-13 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8234B2 (ja) 1991-05-13 1996-08-28 富士通株式会社 インピ―ダンス整合型電気コネクタ
JPH0584045U (ja) * 1992-04-18 1993-11-12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薄型表面実装用電気コネクタ
JPH0794248A (ja) * 1993-09-24 1995-04-07 Kel Corp 電気コネクタ
US5413491A (en) * 1993-10-13 1995-05-09 Burndy Corporation Small form factor connectors with center ground plate
US5411404A (en) * 1993-10-29 1995-05-02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bus bars providing circuit board retention
US5536179A (en) * 1994-07-25 1996-07-16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ground bus insert
JP3685210B2 (ja) * 1994-11-11 2005-08-17 ケル株式会社 コネクタ
JP3631312B2 (ja) * 1995-12-22 2005-03-23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高速信号用コネクタ
US6015304A (en) * 1995-12-29 2000-01-18 Molex Incorporated Ground-enhanced electrical connector
JP3148855B2 (ja) * 1996-03-01 2001-03-26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気コネクタ
US6019616A (en) * 1996-03-01 2000-02-01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enhanced grounding characteristics
US5921787A (en) * 1996-07-17 1999-07-1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Board-to-board interconnection
US5813871A (en) * 1996-07-31 1998-09-29 The Whitaker Corporation High frequency electrical connector
US5697799A (en) 1996-07-31 1997-12-16 The Whitaker Corporation Board-mountable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CN2313311Y (zh) * 1996-12-30 1999-04-07 鸿海精密工业股份有限公司 电连接器
US5915976A (en) * 1997-02-06 1999-06-29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High speed connector
TW330737U (en) * 1997-06-05 1998-04-21 Hon Hai Prec Ind Co Ltd Connector for high density plugs
TW368212U (en) * 1997-08-16 1999-08-21 Hon Hai Prec Ind Co Ltd Plate-to-plate electric connector
JP3277154B2 (ja) * 1998-05-06 2002-04-22 ケル株式会社 コネクタ
US6338635B1 (en) * 2000-08-01 2002-01-15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grounding bus
US6290515B1 (en) * 2000-09-05 2001-09-18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grounding buses
US20020115318A1 (en) * 2001-01-02 2002-08-22 Apicelli Samuel W. Electrical connector and circuit with center ground plane
TW475786U (en) * 2001-02-27 2002-02-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6503101B1 (en) * 2001-12-04 2003-01-07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grounding path
US6572410B1 (en) * 2002-02-20 2003-06-03 Fci Americas Technology, Inc. Connection header and shield
US6688897B2 (en) * 2002-03-07 2004-02-10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US6685485B2 (en) * 2002-03-07 2004-02-03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TW532587U (en) * 2002-03-13 2003-05-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couple
US6648657B1 (en) * 2002-06-10 2003-11-18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ground buses
TW553540U (en) * 2002-12-13 2003-09-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6663402B1 (en) * 2003-01-08 2003-12-16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grounding bridge
US6726492B1 (en) * 2003-05-30 2004-04-27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Grounded electrical connector
TWM250431U (en) * 2003-08-08 2004-11-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US6884094B1 (en) * 2003-11-10 2005-04-2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with hermaphroditic center ground plane
JP2005190815A (ja) * 2003-12-25 2005-07-14 Tyco Electronics Amp Kk 電気コネクタ組立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533019A (en) 2005-10-01
US20050142909A1 (en) 2005-06-30
US6984137B2 (en) 2006-01-10
EP1548900A1 (en) 2005-06-29
CN1638207A (zh) 2005-07-13
JP2005190818A (ja) 2005-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6902B1 (en) Connector with improved shielding member
US7128607B2 (en) Socket connector with reliable shielding member
US7329154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erminals arranged with narrow pitch
EP2922150B1 (en) Connector
JP5006610B2 (ja) コネクタ
US6960103B2 (en) Connector to be mounted to a board and ground structure of the connector
US7108554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hielding member
US7168985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an improved inner shield
KR100815708B1 (ko) Emi특성이 용이하게 개선된 작은 사이즈의 전기 커넥터
KR950034923A (ko) 낮은 형상의 기판연결용 컨넥터
JP2007115575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KR20050065388A (ko)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19990083382A (ko) 삽입단자를갖는전기커넥터
US7950965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passageways protected from contamination
US9425558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outer shielding covered by a cover with a resilient plate extending upward and rearward
JP2008108559A (ja) コネクタ
US11271349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top positioned on metallic shell
JP2010267503A (ja) コネクタ
US5352125A (en) Anti-wicking electrical connector
US6910922B2 (en) Connector in which occurrence of crosstalk is suppressed by a ground contact
JP2008108560A (ja) コネクタ
KR20050065332A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101307483B1 (ko) 커넥터
KR20230025747A (ko) 커넥터
KR20040029265A (ko) 접속력이 오래 유지되는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