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7267B1 - 누화 억제가 가능한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누화 억제가 가능한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7267B1
KR100827267B1 KR1020060089723A KR20060089723A KR100827267B1 KR 100827267 B1 KR100827267 B1 KR 100827267B1 KR 1020060089723 A KR1020060089723 A KR 1020060089723A KR 20060089723 A KR20060089723 A KR 20060089723A KR 100827267 B1 KR100827267 B1 KR 100827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tacts
terminal
ground
r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9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2245A (ko
Inventor
유이치 사이토
마사히로 요시노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0089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7267B1/ko
Publication of KR20070032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2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7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7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7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special arrangement of ground and signal conductors, e.g. GSGS [Ground-Signal-Ground-Sig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containing contact members forming a right angl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기판에 장착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각 접점은 정합 커넥터(mating connector)에 연결되는 접점부 및 기판에 연결되는 단자부(terminal portion)를 구비한다. 접점은 한 쌍의 신호 접점 및 접지 접점의 접점 그룹을 포함한다. 쌍을 이룬 신호 접점의 접점부는 서로 유지되는 제 1 간격으로 제 1 열에 배열되어 있다. 접점 접점의 접점부는 제 1 간격과 마주보도록 제 1 열과 평행하게 제 2 열에 배열되어 있다. 쌍을 이룬 신호 접점의 단자부는 서로 인접하는 제 3 열에 배열되어 있다. 접점 접점의 단자부는 쌍을 이룬 신호 접점의 단자부 중 일방에 인접하는 제 3 열에 배열되어 있다.

Description

누화 억제가 가능한 전기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 CAPABLE OF SUPPRESSING CROSSTALK}
도 1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1b 는 도 1a 에 도시된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1c 는 도 1a 에 도시된 커넥터의 우측면도이다.
도 1d 는 도 1b 의 선 (Id-Id) 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 는 도 1a 내지 도 1d 에 도시된 커넥터에 사용되는 접점의 형태 및 배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은 도 1a 내지 도 1d 에 도시된 커넥터에 사용되는 접점의 기능 및 배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는 은 도 1a 내지 도 1d 에 도시된 커넥터의 일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커넥터 2 : 전도성 접점
3 : 하우징 4 : 쉘
5 : 주 절연재 6 : 보조 절연재
7 : 접점부 8 : 단자부
9 : 커넥팅부 11 : 커플링부
12, 13 : 레그부 14 : 스프링 부재
S : 신호 접점 G, G' : 접지 접점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예를 들어 고속 차동 전송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전기 커넥터의 형태가 일본 특허(JP-B) 제 3564555 호에 개시되어 있다. 전기 커넥터는, 한 쌍의 신호 접점과 접점 접점을 포함하며 기판에 표면 장착되어 있는 다수의 접점 그룹을 포함한다. 각 접점은 정합 커넥터와 접촉되는 접점부 및 기판에 연결되는 단자부를 구비한다.
일본 특허 (JP-B) 제 3564555 호에서, 접점부는 2 열로 배열되어 있다. 더욱이, 매 2 개의 인접한 접점 그룹의 신호 접점은 서로 다른 열에 배열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일방의 접점 그룹의 신호 접점은 일방의 열에 배열되어 있는 반면, 일방의 접점 그룹에 인접한 타방의 접점 그룹의 신호 접점은 타방의 열에 배열되어 있다. 그 결과, 매 2 개의 인접한 접점 그룹의 신호 접점은 비교적 서로 떨어져 있다. 따라서, 누화로 인한 전기 성능의 저하의 위험이 없다.
다른 한편, 단자부는 1 열로 배열되어 있다. 각 접점 그룹에서, 접지 접 점은 쌍을 이룬 신호 접점 사이에 배열되어 있다. 그 결과, 매 2 개의 인접한 접점 그룹의 신호 접점은 서로 인접하게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매 2 개의 인접한 접점 그룹 사이에서 누화로 인한 전기 성능의 저하의 위험이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성능이 개선되도록 인접하는 접점 그룹 사이에서 누화를 감소시킬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명백해진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라, 정합 커넥터에 연결되는 접점부 및 상기 기판에 연결되는 단자부를 구비한 다수의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접점은 한 쌍의 신호접점 및 접지 접점을 포함하는 제 1 접점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쌍을 이룬 신호 접점의 접점부가 서로 유지되는 제 1 간격으로 제 1 열에 배열되고, 상기 접지 접점의 접점부는 상기 제 1 간격과 마주보도록 제 1 열에 평행한 제 2 열에 배열되고, 상기 쌍을 이룬 신호 접점의 단자부는 서로 인접하는 제 3 열에 배열되고, 상기 접지 접점의 단자부는 상기 쌍을 이룬 신호 접점의 단자부의 일방에 인접하는 상기 제 3 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에 장착된 커넥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라, 기판에 장착된 커넥터가 제공된다. 커넥터는, 정합 커넥터에 연결되는 접점부 및 상기 기판에 연결되는 단자부를 각각 구비하는 다수의 접점,및 상기 정합 커넥터와 장착되는 커플링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점을 유지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접점은 다수의 신호 접점 쌍 및 다수의 접지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접지 접점 및 상기 쌍을 이룬 신호 접점이 번갈아 가며 배 열되고, 상기 접점은 상기 접점부에서 엇걸림 또는 지그재그 패턴의 2 열로 배열되고 상기 단자부에서 1 열로 배열되며, 상기 접점부는 각 신호 접점의 쌍 및 각 접지 접점이 상기 커플링부에서 삼각형의 3 개의 꼭지점에 위치되도록 배열되고, 상기 단자부는, 접점부가 상기 2 열중 일방에 배열되는 상기 쌍을 이룬 신호 접점, 접점부가 상기 타방의 열에 배열되는 상기 접지 접점, 접점부가 상기 타방의 열에 배열되는 상기 쌍을 이룬 신호 접점, 접점부가 상기 일방의 열에 배열되는 상기 접지 접점이, 번갈아가며 배열되도록 배열된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따라, 정합 커넥터에 연결되는 접점부 및 상기 기판에 연결되는 단자부를 구비하는 다수의 접점, 및 상기 접점을 유지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접점은 다수의 신호 접점 쌍 및 다수의 접지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접점부는 엇걸림 또는 지그재그 패턴의 2 열로 배열되고, 각 신호 접점의 쌍 및 각 접지 접점이 상기 커플링부에서 삼각형의 3 개의 꼭지점에 위치되도록 배열되며, 상기 단자부는 1 열로 배열되고, 상기 접지 접점부가 상기 쌍을 이룬 신호 접점의 일방의 면에서 상기 쌍을 이룬 신호 접점에 인접해서 위치되도록 배열되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따라, 기판에 장착된 커넥터가 제공된다. 커넥터는, 정합 커넥터에 연결되는 접점부 및 상기 기판에 연결되는 단자부를 구비하는 다수의 접점, 및 상기 접점을 고정하고 상기 정합 커넥터에 장착되는 커플링부를 구비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접점은 다수의 신호 접점 쌍 및 다수의 접지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접점은 상기 접점부에서 엇걸림 또는 지그재그 패턴의 2 열로 배열되고 상기 단자부에서 1 열로 배열되며, 상기 단자부는 대응하는 상기 쌍을 이룬 신호 접점 및 상기 접지 접점 이 삼각형의 3 개의 꼭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삼각형이 위치가 반대인 다음의 삼각형에 인접하여 배열되며, 상기 단자부는, 접점부가 상기 삼각형의 2 개의 꼭지점에서 상기 2 열 중의 일방에 배열되는 외부의 상기 쌍을 이룬 신호 접점, 접점부가 상기 삼각형의 1 개의 꼭지점에서 상기 타방의 열에 배열되는 상기 접지 접점이, 상기 쌍을 이룬 신호 접점에 인접해서 배열되도록 배열되며, 다음에 쌍을 이룬 신호 접점은, 접점부가 상기 다음의 삼각형의 2 개의 꼭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접지 접점에 인접해서 배열되고, 상기 신호 접점에 인접해서 배열되며, 다음의 접지 접점은, 접점부가 상기 다음의 삼각형의 1 개의 꼭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다음의 쌍을 이룬 신호 접점에 인접해서 배열된다.
도 1a 내지 도 1d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상세한 설명이 이루어진다.
도면에 도시된 커넥터 (1) 는 앵글형(angle type)이라고 불리는 리셉터클 커넥터이고, 고속 차동 전송에 사용하기에 적합하고, 기판(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장착된다. 커넥터 (1) 는 다수의 전도성 접점 (2) 및 접점 (2) 을 고정하는 하우징 (3) 을 포함한다. 하우징 (3) 은 원통형 전도성 쉘 (4), 쉘 (4) 에 고정된 블럭형 주 절연재 (5), 및 쉘 (4) 내에 배치되고 주 절연재 (5) 에 일체형으로 고정된 판상형 보조 절연재 (6) 를 포함한다. 보조 절연재 (6) 는 횡방향(A1 ; 제 1 방향)으로 신장되고, 접점 (2) 을 그 반대 표면에서 수직방향(A2 ; 제 2 방향)으로 고정한다. 주 절연재 (5) 및 보조 절연재 (6) 는 절연 부재에 의해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별개의 절연 부재에 의해 개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각 접점 (2) 은 전후방향(A3 ; 제 3 방향)으로 보조 절연재 (6) 를 따라 신장된다. 접점 (2) 은 정합 커넥터, 즉 커넥터 (1) 에 연결되도록 플러그 커넥터(도시되어 있지는 않음)의 정합 접점과 접촉되도록 전방 단부에 형성된 접점부 (7), 기판의 전기 회로에 남땜 등에 의해서 연결되도록 후방 단부에 형성된 단자부 (8), 접점부 (7) 와 단자부 (8) 사이에 형성된 커넥팅부 (9) 를 구비한다. 접점부 (7), 단자부 (8), 커넥팅부 (9) 는 일체로 형성된다. 단자부는 하우징 (3) 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접점 (2) 의 기능, 모양, 배열은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전도성 쉘 (4) 은 쉘에 존재하는 공간에서 접점 (2) 및 보조 절연재 (6) 를 둘러싼다. 쉘 (4) 은 정합 커넥터에 장착이 되도록 전방부에 형성된 커플링부 (11) 를 갖는다.
전도성 쉘 (4) 은, 횡방향 (A1) 으로 각각 양쪽 단부에 전방부와 후방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하방으로 신장되는 전방 레그부 (12) 및 후방 레그부 (13) 를 구비한다. 이러한 레그부 (12, 13) 는, 예를 들어 기판의 구멍을 통한 레그부 (12, 13) 의 남땜에 의해서, 전도성 쉘 (4) 과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거나 커넥터 (1) 를 위치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전도성 쉘 (4) 은 2 개의 스프링 부재 (14) 가 제공되는 상하면을 구비한다. 스프링 부재 (14) 는 커넥터 (1) 에 장착된 정합 커넥터를 탄성적으로 클램핑 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여, 접점 (2) 의 배열, 모양, 및 기능의 상세한 설명이 이루어진다.
접점 (2) 은 한 쌍의 신호 접점 (S) 및 접지 접점 (G) 을 각각 포함하는 다수의 접점 그룹으로 그룹화되어 있다. 이러한 접점 그룹은 횡방향 (A1) 으로 1 열로 배열되어 있다. 즉, 쌍을 이룬 신호 접점 (S) 및 접지 접점 (G) 이 번갈아 가며 배열되어 있다.
도 1b 및 도 3 의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 (2) 의 접점부 (7) 는 2 열로, 즉 상부 열과 하부 열이 엇걸림 또는 지그재그 패턴으로 배열되어 있다. 각 접점 그룹에서, 신호 접점 (S) 및 접지 접점 (G) 의 접점부 (7) 가 각각 삼각형의 3 개의 꼭지점에 배열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접점부 (7) 의 배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이 이루어진다. 도 3 의 우측단부에 위치한 접점 그룹에서, 신호 접점 (S) 의 접점부 (7) 는 상부 열에 배열되어 있고, 접지 접점 (G) 의 접점부 (7) 는 신호 접점 (S) 사이의 중간 위치에서 마주보도록 하부 열에 배열되어 있다. 다음에 인접해 있는 접점 그룹에서, 신호 접점 (S) 의 접점부 (7) 는 하부 열에 배열되어 있고, 접지 접점 (G) 의 접점부 (7) 는 신호 접점 (S) 사이의 중간 위치에 마주보도록 상부 열에 배열되어 있다.
단자부 (8) 의 배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이 이루어진다. 도 1a, 도 1d,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 (2) 의 단자부 (8) 는 횡방향 (A1) 의 1 열로 배 열되어 있다. 도 3 의 우측단부에 위치한 접점 그룹에서, 쌍을 이룬 신호 접점 (S) 의 단자부 (8) 는 서로 인접하며, 접지 접점 (G) 의 단자부 (8) 는 쌍을 이룬 신호 접점 (S) 의 한 면에 인접하며, 즉 쌍을 이룬 신호 접점 (S) 의 일방의 단자부 (8) 에 인접한다. 또한 다음에 인접한 접점 그룹에서, 쌍을 이룬 신호 접점 (S) 의 단자부 (8) 는 서로 인접하며, 접지 접점 (G) 의 단자부 (8) 는 쌍을 이룬 신호 접점 (S) 의 일방의 면에 인접한다. 다음에 인접한 접점 그룹의 쌍을 이룬 신호 접점 (S) 의 단자부 (8) 는, 도 3 의 우측단부에 위치한 접점 그룹의 접지 접점 (G) 의 단자부 (8) 에 인접한다.
접점 (2) 의 상기 언급된 배열이 다르게도 설명될 수 있다. 커플링부 (11), 즉 접점부 (7) 에서, 쌍을 이룬 신호 접점 (S) 및 접지 접점 (G) 은 각열 중 일방의 열과 타방의 열에서 각각 삼각형의 3 개의 꼭지점에 위치한다. 단자부 (8) 에서, 접점부 (7) 가 열 중 일방의 열에 배열되는 쌍을 이룬 신호 접점 (S), 접점부 (7) 가 타방의 열에 배열되는 접지 접점 (G), 접점부 (7) 가 타방의 열에 배열되는 쌍을 이룬 신호 접점 (S), 접점부 (7) 가 일방의 열에 배열되는 접지 접점 (G) 이 번갈아 가면서 배열되어 있다(도 3 참조). 따라서, 접점 (2) 은 커플링부 (11), 즉 접점부 (7) 에서 엇걸림 또는 지그재그 패턴의 2 열로 배열되어 있고, 단자부 (8) 에서 1 열로 배열되어 있다. 접점부 (7) 가 각 열에서 1 mm 의 피치로 배열되어 있다면, 1 열에 집합된 단자부 (8) 는 접점부 (7) 피치의 절반의 피치와 같도록 0.5 mm 의 피치로 배열된다.
접점부 (7) 가 하부 열에 배열되는 접점 (2) 은 절연재 (5, 6) 에 먼저 압입(press-fit)된다. 그 후, 접점부 (7) 가 상부 열에 배열되는 접점 (2) 은, 접점부 (7) 가 하부 열에 배열되는 접점 (2) 의 위에서 교차하는 위치에 압입된다. 그 후에 쉘 (4) 이 절연재 (5q) 에 장착된다.
커넥터 (1) 가 차동 신호 전송에 사용되는 경우에, 쌍을 이룬 신호 접점 (S) 은 쌍을 이룬 신호 라인에 연결되고, 접지 접점 (G) 이 접점 라인에 연결된다. 비평형(싱글단부) 차동 신호 전송에서, 디지털 신호의 "고", "저" 는 접점 라인과 신호 라인 사이의 전위차에 의해 구분된다. 평형 차동 신호 전송에서, 디지털 신호의 "고", "저" 는 쌍을 이룬 신호 라인들 사이의 전위차에 의해 구분된다. 후자의 경우에, 쌍을 이룬 신호 라인은 크기가 동일하고 서로 180°의 다른 위상차가 있는 신호전압을 가진다. TMDS(Transition Minimized Differential Signaling)에서, 데이터 전송은 쌍을 이룬 신호 라인과 단일 접점 라인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상기 언급된 커넥터 (1) 에서, 단자부 (8) 는 1 열로 배열되고, 접지 접점 (G) 이 쌍을 이룬 신호 접점 (S) 의 일방의 면에 인접해서 위치되도록 배열된다. 그 결과, 매 2 개의 인접한 접점 그룹에서 신호 접점 (S) 은 서로 인접하지 않고 접지 접점 (G) 이 신호 접점 사이에 끼워져 있다. 따라서, 매 2 개의 인접한 접점 그룹 사이의 누화를 억제할 수 있으며, 전기 성능이 개선된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각 접점 그룹의 접지 접점이, 단자부 (8) 의 각 접점 그룹의 쌍을 이룬 신호 접점의 일방의 면에 위치하더라도, 다른 접점 그룹의 접지 접점은 단자부 (8) 의 쌍을 이룬 신호 접점의 타방의 면에 배열된다. 따라서, 임피던스 성능이 저하되지 않는다.
특히 도 2 를 참조하여, 접점 (2) 의 배열과 모양이 더 설명된다. 도 2 의 좌측에, 접점부 (7) 가 도 1a 에서 수직방향 (A2) 의 하부 열에 위치하는 접점 (2) 의 배열과 모양이 도시되어 있다. 도 2 의 우측에, 접점부 (7) 가 상부 열에 위치하는 접점 (2) 의 배열과 모양이 도시되어 있다. 좌측과 우측의 위치관계는 서로 대응한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접지 접점 (G) 은, 단자부 (8) 가 접점부 (7) 에 대하여 횡방향 (A1) 의 위치로 실질적으로 방향을 바꾸도록 하는 모양을 갖는다. 쌍을 이룬 신호 접점 (S) 은 서로 모양이 대칭이다.
각 접점 (2) 에서, 단자부 (8) 는 커넥팅부 (9) 보다 더 좁은 폭을 가진다. 쌍을 이룬 신호 접점 (S) 의 단자부 (8) 는 서로 마주보는 한 면에 근접한 위치에서 커넥팅부 (9) 로부터 신장된다.
또한 도 4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접점 (2) 의 배열 방향에서 즉, 횡방향 (A1) 에서 단부에 배열된 쌍을 이룬 접점 (S) 의 일방의 면에서, 접점부가 없는 다른 접지 접점 (G') 이 더미 단자(dummy terminal)로서 배열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쌍을 이룬 신호 접점 사이에서 임피던스의 차이가 야기되지 않아, 단부에 배열된 쌍을 이룬 신호 접점은 타방의 쌍을 이룬 신호 접점의 임피던스 조건과 등가의 임피던스 조건을 가진다. 따라서, 더욱 우수한 전기적 특성이 기대된다.
앞에서, 앵글형의 리셉터클 커넥터가 설명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의 리셉터클 커넥터에서도 유사하게 이루어진다. 도 5 에서,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부분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지정된다.
본 발명이 수개의 실시형태에 관하여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을 다양한 다른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접점부 및 단자부를 가지는 추가적인 접지 접점이, 접점부가 없는 더미 단자를 사용하는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접점의 배열에서조차도, 접점의 3 가지 형태가 각 열에서 요구되고, 커넥터의 윤곽이나 외형 치수가 증가 될 필요가 없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르면, 고속의 차동 전송에서도 전기 커넥터의 누화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우수한 전기적 특성이 기대될 수 있다.

Claims (14)

  1. 기판에 장착되며, 정합 커넥터에 연결되는 접점부 및 상기 기판에 연결되는 단자부를 구비한 다수의 접점을 포함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접점은 한 쌍의 신호접점 및 접지 접점을 포함하는 제 1 접점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쌍을 이룬 신호 접점의 접점부가 서로 유지되는 제 1 간격으로 제 1 열에 배열되고,
    상기 접지 접점의 접점부는 상기 제 1 간격과 마주보도록 제 1 열에 평행한 제 2 열에 배열되고,
    상기 쌍을 이룬 신호 접점의 단자부는 서로 이웃하게 제 3 열에 배열되고,
    상기 접지 접점의 단자부는 상기 쌍을 이룬 신호 접점의 단자부의 일방에 이웃하게 상기 제 3 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열은 상기 제 1 열에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상기 쌍을 이룬 신호 접점의 상기 접점부의 피치의 절반과 같은 피치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을 유지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정합 커넥터에 장착되는 커플링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점부는 상기 커플링부에 배열되고, 상기 단자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 1 열과 상기 제 2 열 사이에 끼워진 절연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를 둘러싸는 전도성 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접점은, 상기 접점부와 상기 단자부를 연결하는 커넥팅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부는 상기 커넥팅부보다 더 좁은 폭을 가지고, 상기 쌍을 이룬 신호 접점의 단자부는 서로 마주보는 한 면에 근접한 위치에서 상기 커넥팅부로부터 신장하고, 상기 접지 접점의 단자부는 상기 쌍을 이룬 신호 접점의 단자부의 일방에 이웃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은 한 쌍의 신호 접점 및 접지 접점을 포함하는 제 2 접점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접점 그룹에서 상기 쌍을 이룬 신호 접점의 접점부는, 제 2 간격으로 서로 거리를 두고 있으며, 상기 제 1 접점 그룹에서 상기 접지 접점의 상기 접점부에 이웃해 있는 제 2 열에 배열되고,
    상기 제 2 접점 그룹에서 상기 접지 접점의 접점부가 상기 제 2 간격과 마주보도록 제 1 열에 배열되고,
    상기 제 2 접점 그룹에서 상기 쌍을 이룬 신호 접점의 단자부는, 서로 이웃하며, 상기 제 1 접점 그룹의 상기 접지 접점의 단자부에 이웃하게 제 3 열에 배열되고, 그리고
    상기 제 2 접점 그룹에서 상기 접지 접점의 단자부는 제 3 열에 배열되고, 상기 제 2 접점 그룹에서 상기 쌍을 이룬 신호 접점의 단자부의 일방에 이웃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는, 상기 제 1 열 및 제 2 열과 동일한 피치로 배열되고, 상기 단자부는 상기 접점부의 피치의 절반과 같은 피치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기판에 장착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정합 커넥터에 연결되는 접점부 및 상기 기판에 연결되는 단자부를 각각 구비하는 다수의 접점,및
    상기 정합 커넥터와 장착되는 커플링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점을 유지하는 하 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접점은 다수의 신호 접점 쌍 및 다수의 접지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접지 접점 및 상기 쌍을 이룬 신호 접점이 번갈아 가며 배열되고,
    상기 접점은 상기 접점부에서 엇걸림 또는 지그재그 패턴의 2 열로 배열되고 상기 단자부에서 1 열로 배열되며,
    상기 접점부는 각 신호 접점의 쌍 및 각 접지 접점이 상기 커플링부에서 삼각형의 3 개의 꼭지점에 위치되도록 배열되고,
    상기 단자부는, 접점부가 상기 2 열중 일방에 배열되는 상기 쌍을 이룬 신호 접점, 접점부가 상기 타방의 열에 배열되는 상기 접지 접점, 접점부가 상기 타방의 열에 배열되는 상기 쌍을 이룬 신호 접점, 접점부가 상기 일방의 열에 배열되는 상기 접지 접점이, 번갈아가며 배열되도록 배열되는 커넥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접점은, 상기 접점부와 상기 단자부를 연결하는 커넥팅부를 구비하며, 상기 각 접점의 단자부는 상기 커넥팅부보다 더 좁은 폭을 가지며, 상기 쌍을 이룬 신호 접점의 상기 터미널부는 서로 마주보는 일방의 면에 이웃한 위치에서 상기 커넥팅부로부터 신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접점부가 없고 상기 접점의 배열 방향의 단부에 배열된 상기 쌍을 이룬 신호 접점의 일방의 면에 배열된 접지 접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3. 기판에 장착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정합 커넥터에 연결되는 접점부 및 상기 기판에 연결되는 단자부를 구비하는 다수의 접점, 및
    상기 접점을 유지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접점은 다수의 신호 접점 쌍 및 다수의 접지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접점부는 엇걸림 또는 지그재그 패턴의 2 열로 배열되고, 각 신호 접점의 쌍 및 각 접지 접점이 상기 커플링부에서 삼각형의 3 개의 꼭지점에 위치되도록 배열되며,
    상기 단자부는 1 열로 배열되고, 상기 접지 접점이 상기 쌍을 이룬 신호 접점의 일방의 면에서 상기 쌍을 이룬 신호 접점에 이웃해서 위치되도록 배열되는 커넥터.
  14. 기판에 장착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정합 커넥터에 연결되는 접점부 및 상기 기판에 연결되는 단자부를 구비하는 다수의 접점, 및
    상기 접점을 고정하고 상기 정합 커넥터에 장착되는 커플링부를 구비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접점은 다수의 신호 접점 쌍 및 다수의 접지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접점은 상기 접점부에서 엇걸림 또는 지그재그 패턴의 2 열로 배열되고 상기 단자부에서 1 열로 배열되며,
    상기 단자부는 대응하는 상기 쌍을 이룬 신호 접점 및 상기 접지 접점 이 삼각형의 3 개의 꼭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삼각형이 위치가 반대인 다음의 삼각형에 인접하여 배열되며,
    상기 단자부는, 접점부가 상기 삼각형의 2 개의 꼭지점에서 상기 2 열 중의 일방에 배열되는 외부의 상기 쌍을 이룬 신호 접점, 접점부가 상기 삼각형의 1 개의 꼭지점에서 상기 타방의 열에 배열되는 상기 접지 접점이, 상기 쌍을 이룬 신호 접점에 이웃하여 배열되도록 배열되며,
    다음에 쌍을 이룬 신호 접점은, 접점부가 상기 다음의 삼각형의 2 개의 꼭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접지 접점에 이웃해서 배열되고, 상기 신호 접점에 이웃해서 배열되며,
    다음의 접지 접점은, 접점부가 상기 다음의 삼각형의 1 개의 꼭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다음의 쌍을 이룬 신호 접점에 이웃해서 배열되는 커넥터.
KR1020060089723A 2005-09-16 2006-09-15 누화 억제가 가능한 전기 커넥터 KR100827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723A KR100827267B1 (ko) 2005-09-16 2006-09-15 누화 억제가 가능한 전기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70336 2005-09-16
KR1020060089723A KR100827267B1 (ko) 2005-09-16 2006-09-15 누화 억제가 가능한 전기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2245A KR20070032245A (ko) 2007-03-21
KR100827267B1 true KR100827267B1 (ko) 2008-05-07

Family

ID=41641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9723A KR100827267B1 (ko) 2005-09-16 2006-09-15 누화 억제가 가능한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726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4030A (ja) * 1992-09-18 1994-04-15 Mitsubishi Electric Corp コネクタ
JPH09180800A (ja) * 1995-12-25 1997-07-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
JP2002334748A (ja) 2001-03-05 2002-11-22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KR100649820B1 (ko) 2003-11-11 2006-11-28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4030A (ja) * 1992-09-18 1994-04-15 Mitsubishi Electric Corp コネクタ
JPH09180800A (ja) * 1995-12-25 1997-07-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
JP2002334748A (ja) 2001-03-05 2002-11-22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KR100649820B1 (ko) 2003-11-11 2006-11-28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2245A (ko) 2007-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7704B2 (en) Electrical connector capable of suppressing crosstalk
KR101123524B1 (ko) 전기 커넥터
US8157573B2 (en) Connector
CN102292875B (zh) 阻抗受控的电连接器
US20190020152A1 (en) Electrical receptacle connector with grounding plates intersecting with contact wafer assembly
KR101571607B1 (ko)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신호 전송 방법
JP4439540B2 (ja) コネクタ
KR100461260B1 (ko) 특정 배열의 신호 콘택과 접지 콘택을 구비한 커넥터
US7824193B2 (en) Connector
KR100930846B1 (ko) 일반적 사다리꼴 형상으로 배열된 접점 단자부를 갖는전기적 구성요소
KR100754098B1 (ko) 접속대상물을 접속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
US20090011624A1 (en) Electric Connector
JP4216287B2 (ja) コネクタ
US6808419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enhanced electrical performance
JP3489054B2 (ja) コネクタ組付け体
US7604510B2 (en) High speed transmission connector
KR101944379B1 (ko) 차폐를 제공하는 플러그 커넥터
JP4813892B2 (ja) シールドされた多極のプリント基板差込コネクタ
US20060292921A1 (en) Printed board connector for differential signal transmission
JP2002198131A (ja) 高速伝送用コネクタ
US6910922B2 (en) Connector in which occurrence of crosstalk is suppressed by a ground contact
JP4522454B2 (ja) コネクタ
JP2021089816A5 (ko)
JP2012174597A (ja) 差動信号用コネクタ
KR100827267B1 (ko) 누화 억제가 가능한 전기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