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0846B1 - 일반적 사다리꼴 형상으로 배열된 접점 단자부를 갖는전기적 구성요소 - Google Patents

일반적 사다리꼴 형상으로 배열된 접점 단자부를 갖는전기적 구성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0846B1
KR100930846B1 KR1020070070455A KR20070070455A KR100930846B1 KR 100930846 B1 KR100930846 B1 KR 100930846B1 KR 1020070070455 A KR1020070070455 A KR 1020070070455A KR 20070070455 A KR20070070455 A KR 20070070455A KR 100930846 B1 KR100930846 B1 KR 100930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terminal
signal
contact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0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7144A (ko
Inventor
노부카즈 가토
도모히코 다마다
히데노부 다카하시
가즈시 가마타
도루 노미야마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07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7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0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0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containing contact members forming a right ang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5Via connections; Lands around holes or via connections
    • H05K1/116Lands, clearance holes or other lay-out details concerning the surrounding of a via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47Lead-in-hole component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메이팅 커넥터로의 접속을 위해 접속 오브젝트상에 탑재되도록 구성된 커넥터에서, 이 커넥터는 메이팅 커넥터로의 접속을 위해 커넥터의 접점부측상에 위치된 접점부 및 접속 오브젝트로의 접속을 위해 단자부측상에 위치된 단자부 (14a, 15a) 를 각각 가지는 접점 (14, 15) 을 포함한다. 커넥터는 복수의 신호 접점 부재 (14) 및 복수의 접지 접점 부재 (15) 를 갖는다. 신호 접점 부재는 복수의 쌍을 형성한다. 접지 접점 부재는 그 사이에 남겨진 공간을 가지고 배열된다. 접점부측상에서, 신호 접점 부재의 쌍은 공간에 각각 배치된다. 단자부측상에서, 신호 접점 부재 및 접지 접점 부재는 평행 로우에 개별적으로 배열되고 신호 접점 부재의 쌍은 공간에 각각 대면한다.
커넥터, 신호 접점 부재, 접지 접점 부재

Description

일반적 사다리꼴 형상으로 배열된 접점 단자부를 갖는 전기적 구성요소{ELECTRICAL COMPONENT WITH CONTACT TERMINAL PORTIONS ARRANGED IN GENERALLY TRAPEZOIDAL SHAPE}
본 출원은, 그 개시물이 참조로서 본 명세서에 전체적으로 포함된, 2006년 7월 14일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 2006-194843 호로부터 우선권의 이점에 기초하고 그것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접속 오브젝트상에 탑재될 커넥터와 같은 전기적 구성요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보드 등으로의 접속을 위한 단자측 및 메이팅 커넥터 (mating connector) 로의 접속을 위한 피팅측 (fitting side) 을 갖는다. 이 커넥터는 단자측과 피팅측 사이에서 각각 연장하는 복수의 도전성 접점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이 접점은 단자측 및 피팅측상에서 동일한 피치를 갖도록 배열된다.
그러나, 접점의 피치가 단자측 및 피팅측상에서 동일하면, 불충분한 공간으로 인해 커넥터의 탑재가 어려운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대안으로 서, 접점이 엇갈림 (staggered) 패턴을 갖도록 단자측상에서 지그재그로 규칙적으로 배열된 경우가 존재한다.
커넥터가 차동 신호의 송신을 위해 이용되는 경우가 존재한다. 이러한 경우에, 접점은 포지티브 신호용 포지티브 신호 단자와 네거티브 신호용 네거티브 신호 단자로 분할됨으로써, 차동쌍을 형성한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발명자들에 의한 연구중에 얻어진 어떤 단자 배열의 설명이 제공될 것이다. 이 도면들에서, 51은 커넥터의 피팅측을 나타내고, 52는 커넥터의 단자측을 나타내고, S+는 포지티브 신호 단자를 나타내고, S-는 네거티브 신호 단자를 나타내며, G는 접지 단자를 나타낸다.
타원형의 점선으로 둘러싸인 신호 단자 (S+ 및 S-) 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단자측 (52) 상에서 차동쌍을 각각 형성한다고 고려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송신 선은 단면에서 다르고, 이것은 송신 성능에 관한 이상 (ideal) 과는 거리가 멀다. 따라서, 임피던스 매칭이 어렵고, 크로스토크가 크다는 등의 송신 품질에 관한 결점이 존재한다.
또한, 타원형의 점선으로 둘러싸인 신호 단자 (S+ 및 S-) 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단자측 (52) 상에서 차동쌍을 각각 형성한다고 고려된다. 이러한 경우에, 단면은 차동쌍에서 동일하다. 그러나, 신호 단자 (S+ 및 S-) 및 접지 단자 (G) 가 피팅측 (51) 상에서 하나의 로우 (row) 로 배열되기 때문에, 신호 단자가 인접 쌍의 신호 단자에 접근하게 되어, 크로스토크가 커진다. 또한, 상이한 단면을 갖는 쌍이 발생하고, 따라서, 송신 특성에서 차이가 발생한다. 따라서, 임피던스 매칭이 어렵고, 크로스토크가 크다는 등의 송신 품질에 관한 결점이 존재한다.
또한, 타원형의 점선으로 둘러싸인 신호 단자 (S+ 및 S-) 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단자측 (52) 상에서 차동쌍을 각각 형성한다고 고려된다. 이러한 경우에, 모든 차동쌍은 단면에서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접지 단자의 수가 증가하고, 따라서, 피치 방향에서 추가의 공간을 요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형적인 목적은 차동 송신에서 송신 품질을 개선시킬 수 있는 전기적 커넥터 및 전기적 구성요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전형적인 목적은 접점의 수를 감소시켜서 공간을 절약하기 위해 불필요한 접점 또는 접점들을 제거할 수 있는 전기적 커넥터 및 전기적 구성요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세한 설명을 진행할수록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에 따르면, 메이팅 커넥터로의 접속을 위해 접속 오브젝트상에 탑재되도록 구성된 커넥터가 제공되며, 이 커넥터는 메이팅 커넥터로의 접속을 위해 커넥터의 접점부측상에 위치된 접점부 및 접속 오브젝트로의 접속을 위해 단자부측상에 위치된 단자부를 각각 가지는 접점을 포함하고, 이 접점은 복수의 쌍을 형성하는 복수의 신호 접점 부재 및 그 사이에 남겨진 공간을 가지고 배열된 복수의 접지 접점 부재를 포함하고, 접점부측상에서, 신호 접점 부재의 쌍이 공간에 각각 위치되며, 단자부측상에서, 신호 접점 부재 및 접지 접점 부재가 평행 로우상에 개별적으로 배열되고 신호 접점 부재의 쌍은 공간에 각각 대면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인 양태에 따르면, 복수의 접지 단자, 복수의 신호 단자, 및 접지 및 신호 단자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전기적 구성요소가 제공되고, 접지 단자 및 상기 신호 단자는 고정 부재에 고정되고, 전기적 구성요소의 전체 영역 또는 그 일부에 대해, 제 1 방향에 관하여, 접지 단자, 신호 단자, 신호 단자, 및 접지 단자는 지명된 순서로 배열되어 2개의 접지 단자 사이의 중앙선과 차동쌍을 형성하는 신호 단자 사이의 중앙선이 서로 정렬되며, 제 1 방향에 수직인 제 2 방향에 관하여, 접지 단자 및 신호 단자의 배열은 복수의 로우로 분할되어, 접지 단자가 상기 접지 단자의 인접한 단자 사이에 남겨진 공간을 갖도록 로우중 하나에 배열되고 차동쌍을 형성하는 신호 단자가 공간에 대면하도록 배열됨으로써, 접지 단자중 인접한 단자와 차동쌍을 형성하는 신호 단자에 의해 사다리꼴 어레이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동 송신에서 송신 품질을 개선시킬 수 있는 전기적 커넥터 및 전기적 구성요소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 내지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적 구성요소로서 전기적 커넥터의 설명이 제공될 것이다.
도 4 및 5에 도시된 커넥터는 인쇄 회로 기판과 같은 접속 오브젝트상에 탑재됨으로써 이용되고 메이팅 커넥터로의 접속을 위해 구성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이 다. 이 커넥터는 상부 도전 단자 (11) 및 하부 도전 단자 (12) 를 포함하는 다수의 접점, 이 접점을 홀딩하는 절연 고정 부재로서 하우징 (2), 및 하우징 (2) 의 외부에 배치된 도전 쉘 또는 외부 부재 (3) 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주요부 (V) 의 분해 상태를 도시하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이 계속될 것이다.
도전 접지판 (13) 이 상부 단자 (11) 와 하부 단자 (12) 사이에 배치된다. 물론, 이 접지판 (13) 은 하우징 (2) 에 고정된다. 상부 단자 (11) 는 제 1 방향 (A1) 에서의 하나의 로우에서 배열되며 형상이 동일하다.
도 7을 참조하면, 하부 단자 (12) 는 2 종류의 형상을 갖는다. 즉, 하부 단자 (12) 는 복수의 신호 접점 부재 (14) 및 복수의 접지 접점 부재 (15) 를 포함한다. 각 신호 접점 부재 (14) 는 신호 접점부 (14a) 및 신호 단자 (14b) 를 갖는다. 각 접지 접점 부재 (15) 는 접지 접점부 (15a) 및 접지 단자 (15b) 를 갖는다. 신호 접점부 (14a) 및 접지 접점부 (15a) 는 제 1 방향 (A1) 에서 하나의 로우에 배열된다. 신호 단자 (14b) 및 접지 단자 (15b) 는 제 1 방향 (A1) 에 수직인 제 2 방향 (A2) 에서 서로로부터 이격된 2개의 로우에 개별적으로 배열된다.
또한, 신호 접점 부재 (14) 는 쌍을 각각 형성한다. 각 쌍의 신호 접점 부재 (14) 의 신호 접점부 (14a) 는 제 1 방향 (A1) 에서 2개의 접지 접점 부재 (15) 의 접지 접점부 (15a) 사이에 배치된다. 즉, 접점부측상에서, 신호 접점 부재 (14) 및 접지 접점 부재 (15) 는 인접 접지 접점 부재 (15) 사이에서 신호 접 점 부재 (14) 의 각 쌍을 샌드위치하도록 동일한 로우에 배열된다.
한편, 각 쌍의 신호 접점 부재 (14) 의 신호 단자 (14b) 는 2개의 접지 접점 부재 (15) 의 접지 단자 (15b) 사이에 대응하게 배치된다. 즉, 단자측상에서, 신호 접점 부재 (14) 의 각 쌍은 제 2 방향 (A2) 에서 인접 접지 접점 부재 (15) 사이의 간격에 대향함으로써, 상세히 후술되는 실질적 사다리꼴 어레이, 즉, 사다리꼴 또는 대략 사다리꼴 어레이를 형성한다. 복수의 실질적 사다리꼴 어레이는 제 1 방향 (A1) 에서 반복적으로 형성되며, 접지 단자 (15b) 는 인접한 실질적 사다리꼴 어레이 사이에 각각 공유된다.
접지판 (13) 은 이러한 판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접지 접점 부재 (15) 와 신호 접점 부재 (14) 가 하우징 (2) 에 배열되는 평면에 평행하게 연장한다. 접지판 (13) 은 접속 오브젝트로의 접속을 위한 접지 단자부 (13a) 를 갖는다. 접지 단자 (15b) 및 신호 단자 (14b) 가 실질적 사다리꼴 어레이를 형성하는 영역에서, 접지 단자부 (13a) 는, 접지 단자 (15b) 와 접지 단자부 (13a) 가 동일한 피치로 동일 선상에 배열되도록 인접한 접지 단자 (15b)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이것은 탑재 면적을 증가시키지 않고 접지판 (13) 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도 8은 접속 오브젝트에 관하여, 상부 단자 (11), 신호 접점 부재 (14), 및 접지 접점 부재 (15) 의 접속 위치 관계를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 S+ 및 S-는 쌍 신호 접점 부재 (14) 의 신호 단자 (14b) 의 위치를 표시하고, G는 접지 단자 (15b) 의 위치를 표시한다.
도 8로부터, 접속 오브젝트와의 접속부에서, 즉, 단자측상에서, 신호 접점 부재 (14) 및 접지 접점 부재 (15) 는 2개의 로우에 개별적으로 배열되고, 신호 접점 부재 (14) 의 각 쌍은 인접한 접지 접점 부재 (15) 사이에 대응하게 배치됨으로써, 실질적 사다리꼴 어레이를 형성한다. 커넥터의 피팅부에서, 즉, 접점부측상에서, 신호 접점 부재 (14) 및 접지 접점 부재 (15) 는 제 1 방향 (A1) 에서 하나의 로우에 배열된다.
다시 말해, 전술한 커넥터는, 제 1 방향 (A1) 에 관하여, 접지 단자 (15b), 신호 단자 (14b), 신호 단자 (14b), 및 접지 단자 (15b) 가 지명된 순서로 배열되어서 차동 쌍을 형성하는 신호 단자 (14b) 사이의 중앙선 및 2개의 접지 단자 (15b) 사이의 중앙선이 서로 정렬되고, 제 2 방향 (A2) 에 관하여, 접지 단자 (15b) 및 신호 단자 (14b) 의 배열이 2개의 로우로 분할되어서 2개의 접지 단자 (15b) 가 로우 중 하나에 배열되고 차동 쌍을 형성하는 신호 단자 (14b) 가 다른 로우에 배열되도록 구성된다.
도 9 내지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적 구성요소로서 전기적 커넥터의 설명이 제공될 것이다. 동일한 참조 부호가 도 4 내지 8을 참조하여 설명된 전기적 커넥터와 동일한 부분에 할당됨으로써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전기적 커넥터에서는, 도 4 내지 8의 전기적 커넥터에 제공된 접지판 (13) 이 생략된다. 이러한 경우에서도, 각 쌍의 신호 접점 부재 (14) 의 신호 단자 (14b) 는 2개의 접지 접점 부재 (15) 의 접지 단자 (15b) 사이에 대응하게 배 치된다. 즉, 단자측상에서, 신호 접점 부재 (14) 의 각 쌍은 제 2 방향 (A2) 에서 인접한 접지 접점 부재 (15) 사이의 간격에 대향함으로써, 실질적 사다리꼴 어레이를 형성한다. 복수의 실질적 사다리꼴 어레이가 제 1 방향 (A1) 에서 반복적으로 형성되고 접지 단자 (15b) 는 인접한 실질적 사다리꼴 어레이 사이에서 각각 공유된다.
이러한 전기적 커넥터에 따르면, 인접한 실질적 사다리꼴 어레이 사이에서 각각의 접지 단자 (15b) 를 공유함으로써, 불필요한 접점 또는 공간을 증가시키지 않고 전체 영역에 대한 하부 측상의 차동쌍에 및 그 사이에서 동일한 단면을 제공할 수 있어서, 차동 송신의 송신 품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 13 내지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적 구성요소로서 전기적 커넥터의 설명이 제공될 것이다. 동일한 참조 부호가 도 4 내지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전기적 커넥터와 동일한 부분에 할당됨으로써,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전기적 커넥터에서, 도 9 내지 12의 전기적 커넥터에 제공된 외부 부재 (3) 및 상부 단자 (11) 는 생략된다. 이러한 경우에서도, 각 쌍의 신호 접점 부재 (14) 의 신호 단자 (14b) 는 2개의 접지 접점 부재 (15) 의 접지 단자 (15b) 사이에 대응하게 배치된다. 즉, 단자측상에서, 신호 접점 부재 (14) 의 각 쌍은 제 2 방향 (A2) 에서 인접한 접지 접점 부재 (15) 사이의 간격에 대향함으로써, 실질적 사다리꼴 어레이를 형성한다. 복수의 실질적 사다리꼴 어레이가 제 1 방향 (A1) 에서 반복적으로 형성되고 접지 단자 (15b) 가 인접한 실질적 사다 리꼴 어레이 사이에서 각각 공유된다.
이러한 전기적 커넥터에 따르면, 인접한 실질적 사다리꼴 어레이 사이에서 각각의 접지 단자 (15b) 를 공유함으로써, 불필요한 접점 또는 공간을 증가시키지 않고 전체 영역에 대한 신호 접점 부재 (14) 의 차동쌍에 및 그 사이에서 동일한 단면을 제공할 수 있어서, 차동 송신에서 송신 품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 18 내지 2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적 구성요소로서 전기적 커넥터의 설명이 제공될 것이다. 동일한 참조 부호가 도 13 내지 17을 참조하여 설명한 전기적 커넥터와 동일한 부분에 할당됨으로써,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전기적 커넥터에서, 신호 접점 부재 (14) 의 수 및 접지 접점 부재 (15) 의 수는 도 13 내지 17의 전기적 커넥터와 비교하여 감소된다. 즉, 2개의 신호 접점 부재 (14) 및 2개의 접지 접점 부재 (15) 가 이용된다. 이러한 경우에서도, 신호 접점 부재 (14) 의 쌍의 신호 단자 (14b) 는 2개의 접지 접점 부재 (15) 의 접지 단자 (15b) 사이에 대응하게 배치된다. 즉, 단자측상에서, 신호 접점 부재 (14) 의 쌍은 제 2 방향 (A2) 에서 접지 접점 부재 (15) 사이의 간격에 대향함으로써, 실질적 사다리꼴 어레이를 형성한다.
이러한 전기적 커넥터에 따르면, 전체 영역에 대한 신호 접점 부재 (14) 의 차동쌍에 동일한 단면을 제공할 수 있어서, 차동 송신에서 송신 품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 5 및 10과 함께 도 2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5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적 구성요소로서 전기적 커넥터의 설명이 제공될 것이다. 유사한 부품 또는 부분을 유사한 참조 번호로 나타냄으로써,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 및 10에 예시된 전기적 커넥터와 유사하게, 신호 접점 부재 (14) 는 S+ 및 S-로 표시된 복수의 쌍을 형성한다. 접지 접점 부재 (15) 는 그 사이에 남겨진 공간을 가지고 배열된다. 접점부측 (도시 생략) 상에서, 신호 접점 부재 (14) 의 쌍은 접지 접점 부재 (15) 사이에 있는 공간에 각각 위치된다.
도 23에 도시된 단자부측상에서, 신호 접점 부재 (14) 의 신호 단자 (14b) 및 접지 접점 부재 (15) 의 접지 단자 (15b) 는 평행 로우에 개별적으로 배열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접지 단자 (15b) 가 제 1 방향 (A1) 에서 제 1 로우상에 배열되면서, 신호 단자 (14b) 는 제 2 방향 (A2) 에서 제 1 로우의 양 측상에서 분리되고 제 1 로우에 평행인 제 2 및 제 3 로우상에 배열된다.
신호 단자 (14b) 가 제 1 및 제 2 그룹으로 분할된다는 것을 여기에서 노트한다. 제 1 그룹의 신호 단자 (14b) 는 제 2 로우상에 배열된다. 제 2 그룹의 신호 단자 (14b) 는 제 3 로우상에 배열된다. 이것은 제 2 그룹의 신호 단자 (14b) 를 갖는 신호 접점 부재 (14) 가 제 1 그룹의 신호 단자 (14b) 를 갖는 신호 접점 부재 (14) 에 대하여 제 2 방향 (A2) 으로 연장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5 및 10에 예시된 전기적 커넥터와 유사하게, 신호 접점 부재 (14) 의 쌍의 신호 단자 (14b) 는 접지 단자 (15b) 사이에 있는 공간에 각각 대면한다. 신호 단자 (14b) 및 접지 단자 (15b) 는 2개 이상의 실질적인 사다리꼴 어레이를 형성하도록 연결된다.
도 23에 도시된 방식으로, 2개 이상의 실질적인 사다리꼴 어레이가 접지 단자 (15b) 가 배열되는 제 1 로우를 따라 교대로 배열되거나 엇갈려 배치된다. 이러한 점에서, 도 23의 전기적 커넥터는 실질적인 사다리꼴 어레이가 접지 단자 (15b) 의 로우의 일 측상에만 배열된다는 점에서 상술한 전기적 커넥터와는 명백하게 다르다.
임의의 전술한 전기적 커넥터에서, 접지 단자 및 신호 단자가 상이한 로우에 배열되고 실질적 사다리꼴 어레이 또는 어레이들을 형성하도록 또한 구성되기 때문에, 상이한 쌍에 및 그 사이에 동일한 단면을 제공할 수 있어서, 차동 신호의 송신 품질을 개선시키고 또한 불필요한 접점을 제거하여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차동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전기적 구성요소의 전체 영역 또는 그 일부에 실질적 사다리꼴 어레이 또는 어레이들을 형성함으로써, 접지 단자와 신호 단자 사이의 거리는 임피던스 매칭에 적합한 일정한 거리로 유지될 수 있다.
각각의 전기적 커넥터의 전술한 설명에서, "전체 영역"은 접점의 배열 방향 (A1) 에서 하나의 단부로부터 다른 단부까지의 영역을 나타낸다. 또한, "동일한 단면"은 단면이 도 5에서 좌우 방향인 접점의 축 방향에 수직인, 즉, 메이팅 커넥터로/로부터의 피팅/제거의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서 취해지고, 쌍에서의 2개의 신호 접점이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거나 쌍에 대응하는 2개의 접지 접점이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을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자가 본 발명을 다양한 다른 방식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은 용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연구중에 얻어진 단자 배열의 하나의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연구중에 얻어진 단자 배열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연구중에 얻어진 단자 배열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4은 본 발명의 제 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적 커넥터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전기적 커넥터의 주요부 (V) 의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주요부 (V) 의 분해조립 사시도.
도 7은 도 5로부터 추출된 부분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도 4 내지 7에 도시된 전기적 커넥터의 단자 배열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적 커넥터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전기적 커넥터의 주요부 (X) 의 단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주요부 (X) 의 분해조립 사시도.
도 12는 도 9 내지 11에 도시된 전기적 커넥터의 단자 배열들 도시하는 설명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적 커넥터의 사시도.
도 14a 및 14b는 도 13에 도시된 전기적 커넥터의 하우징의 각각의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부터 볼 때의 사시도.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전기적 커넥터의 신호 접점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6은 도 13에 도시된 전기적 커넥터의 접지 접점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7은 도 12에 도시된 전기적 커넥터의 단자 배열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4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적 커넥터의 사시도.
도 19a 및 19b는 도 18에 도시된 전기적 커넥터의 하우징의 각각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부터 볼 때의 사시도.
도 20은 도 18에 도시된 전기적 커넥터의 신호 접점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1은 도 18에 도시된 전기적 커넥터의 접지 접점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2는 도 18에 도시된 전기적 커넥터의 단자 배열들 도시하는 설명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 5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적 커넥터를 설명하는 부분도를 단자 배열과 함께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하우징 3 : 외부 부재
11 : 상부 도전 단자 12 : 하부 도전 단자
13 : 도전 접지판 14 : 신호 접점 부재
14a : 신호 접점부 14b : 신호 단자
15 : 접지 접점 부재 15a : 접지 접점 부재
15b : 접지 단자

Claims (12)

  1. 삭제
  2. 메이팅 커넥터로의 접속을 위해 접속 오브젝트상에 탑재되도록 구성된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메이팅 커넥터로의 접속을 위해 상기 커넥터의 접점부측상에 위치된 접점부 및 상기 접속 오브젝트로의 접속을 위해 단자부측상에 위치된 단자부를 각각 갖는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접점은 복수의 쌍을 형성하는 복수의 신호 접점 부재 및 그 사이에 남겨진 공간을 가지고 배열된 복수의 접지 접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점부측상에서, 상기 신호 접점 부재의 쌍은 상기 공간에 각각 위치되며,
    상기 단자부측상에서, 상기 신호 접점 부재 및 상기 접지 접점 부재는 평행 로우상에 개별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신호 접점 부재의 쌍은 상기 공간에 각각 대면하고,
    상기 단자부측상에서, 상기 접지 접점 부재는 제 1 로우상에 배열되고, 상기 신호 접점 부재는 상기 제 1 로우와 평행인 제 2 로우상에 배열됨으로써, 상기 신호 접점 부재 및 상기 접지 접점 부재는 상기 제 1 로우의 일 측상에 하나 이상의 사다리꼴 어레이를 형성하는, 커넥터.
  3. 메이팅 커넥터로의 접속을 위해 접속 오브젝트상에 탑재되도록 구성된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메이팅 커넥터로의 접속을 위해 상기 커넥터의 접점부측상에 위치된 접점부 및 상기 접속 오브젝트로의 접속을 위해 단자부측상에 위치된 단자부를 각각 갖는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접점은 복수의 쌍을 형성하는 복수의 신호 접점 부재 및 그 사이에 남겨진 공간을 가지고 배열된 복수의 접지 접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점부측상에서, 상기 신호 접점 부재의 쌍은 상기 공간에 각각 위치되며,
    상기 단자부측상에서, 상기 신호 접점 부재 및 상기 접지 접점 부재는 평행 로우상에 개별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신호 접점 부재의 쌍은 상기 공간에 각각 대면하고,
    상기 단자부측상에서, 상기 접지 접점 부재는 제 1 로우상에 배열되고, 상기 신호 접점 부재의 쌍은, 상기 제 1 로우에 평행이고 상기 제 1 로우의 양 측상에 각각 위치되는 제 2 및 제 3 로우상에 배열됨으로써, 상기 신호 접점 부재 및 상기 접지 접점 부재는 상기 제 1 로우의 양 측상에 2개 이상의 사다리꼴 어레이를 형성하는,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사다리꼴 어레이는 상기 제 1 로우를 따라 엇갈려 배치되는, 커넥터.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을 홀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의해 홀딩되고 상기 접속 오브젝트로의 접속을 위한 접지 단자부를 가지는 접지판을 더 포함하는,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단자부는 상기 접지 접점 부재의 단자부 사이에 배치되는, 커넥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은 상기 접지판의 일 측상에 배치된 하부 도전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은 상부 도전 단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지판은 상기 상부 도전 단자와 상기 하부 도전 단자 사이에 배치되는, 커넥터.
  9. 복수의 접지 단자, 복수의 신호 단자, 및 상기 접지 단자 및 신호 단자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전기적 구성요소로서,
    상기 접지 단자 및 상기 신호 단자는 상기 고정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전기적 구성요소의 전체 영역 또는 그 일부에 대해, 제 1 방향에 관하여, 상기 접지 단자, 상기 신호 단자, 상기 신호 단자, 및 상기 접지 단자는 지명된 순서로 배열되어 2개의 접지 단자 사이의 중앙선과 차동쌍을 형성하는 상기 신호 단자 사이의 중앙선이 서로 정렬되며,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인 제 2 방향에 관하여, 상기 접지 단자 및 상기 신호 단자의 배열은 복수의 로우로 분할되어, 상기 접지 단자가 상기 접지 단자의 인접한 단자 사이에 남겨진 공간을 갖도록 상기 로우중 하나에 배열되고 상기 차동쌍을 형성하는 상기 신호 단자가 상기 공간에 대면하도록 배열됨으로써, 상기 접지 단자중 인접한 단자와 상기 차동쌍을 형성하는 상기 신호 단자에 의해 사다리꼴 어레이를 형성하는, 전기적 구성요소.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구성요소의 전체 영역 또는 그 일부에 대하여, 복수의 실질적 사다리꼴 어레이가 상기 제 1 방향에서 반복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접지 단자는 인접한 실질적 사다리꼴 어레이 사이에서 공유되는, 전기적 구성요소.
  11. 제 9 항에 기재된 전기적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전기적 커넥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커넥터의 전체 영역 또는 그 일부에 대하여, 복수의 실질적 사다리꼴 어레이가 제 1 방향에서 반복적으로 형성되며, 접지 단자가 인접한 실질적 사다리꼴 어레이 사이에서 공유되는, 전기적 커넥터.
KR1020070070455A 2006-07-14 2007-07-13 일반적 사다리꼴 형상으로 배열된 접점 단자부를 갖는전기적 구성요소 KR1009308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94843 2006-07-14
JPJP-P-2006-00194843 2006-07-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7144A KR20080007144A (ko) 2008-01-17
KR100930846B1 true KR100930846B1 (ko) 2009-12-10

Family

ID=38830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0455A KR100930846B1 (ko) 2006-07-14 2007-07-13 일반적 사다리꼴 형상으로 배열된 접점 단자부를 갖는전기적 구성요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48884B2 (ko)
KR (1) KR100930846B1 (ko)
CN (1) CN101106229B (ko)
DE (1) DE102007032787B8 (ko)
TW (1) TWI32395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64501B2 (en) * 2007-08-23 2014-10-21 Molex Incorporated Board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JP2009193786A (ja) * 2008-02-13 2009-08-27 Yamaichi Electronics Co Ltd Hdmi規格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5508680B2 (ja) * 2008-02-15 2014-06-0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JP4459273B2 (ja) * 2008-02-20 2010-04-2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1519463A (ja) * 2008-02-26 2011-07-07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インピーダンス制御電気コネクタ
US7651373B2 (en) * 2008-03-26 2010-01-2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Board-to-board electrical connector
EP2293393B1 (en) * 2008-06-04 2020-01-15 Hosiden Corporation Electric connector
JP4567079B2 (ja) * 2008-08-22 2010-10-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7699663B1 (en) * 2009-07-29 2010-04-20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grounding contact
CN102656755B (zh) * 2009-12-28 2015-05-06 泰科电子日本合同会社 基板安装连接器
US20120089425A1 (en) * 2010-10-06 2012-04-12 Ncr Corporation Trip monitoring and inferential location based services
US8951050B2 (en) 2011-02-23 2015-02-10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Differential signal connector capable of reducing skew between a differential signal pair
JP4976568B1 (ja) * 2011-04-18 2012-07-1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2227025A (ja) * 2011-04-20 2012-11-15 Hosiden Corp コネクタ
JP5871552B2 (ja) 2011-10-11 2016-03-0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リードフレーム、コンタクト群の製造方法、及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5813488B2 (ja) 2011-12-09 2015-11-1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製造方法
US9252542B2 (en) 2012-05-24 2016-02-02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shielding plate thereof
US8684769B2 (en) * 2012-05-24 2014-04-01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erminal portions in specific arrangement and a grounding plate for excellent high-frequency characteristics
CN202772376U (zh) * 2012-08-29 2013-03-06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器
JP2014060043A (ja) * 2012-09-18 2014-04-03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JP5986012B2 (ja) * 2013-02-18 2016-09-0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これを用いた信号伝送方法
CN104037550B (zh) * 2013-03-06 2018-07-0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203288811U (zh) * 2013-04-24 2013-11-1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104466541B (zh) * 2013-09-24 2017-05-0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6166154B2 (ja) 2013-11-08 2017-07-1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これを用いた信号伝送方法
WO2015081064A1 (en) 2013-11-27 2015-06-04 Fci Asia Pte. Ltd Electrical power connector
JP5806343B2 (ja) 2014-01-16 2015-11-10 ソニー・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光電複合モジュール、カメラヘッド、及び内視鏡装置
JP2015181096A (ja) * 2014-03-04 2015-10-15 ソニー・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配線接続装置、カメラヘッド、及び内視鏡装置
TWI581517B (zh) * 2014-07-14 2017-05-01 連展科技股份有限公司 Socket electrical connector
US9281590B1 (en) * 2014-11-26 2016-03-08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resonance
US9496651B2 (en) * 2015-03-03 2016-11-15 Lattice Semiconductor Corporation HDMI connector
JP6583961B2 (ja) 2015-12-18 2019-10-0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6980158A (zh) * 2016-01-19 2017-07-25 青岛海信宽带多媒体技术有限公司 一种光模块
CN106898893A (zh) * 2017-01-17 2017-06-27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差分特性阻抗的高速差分连接器
CN109586067B (zh) * 2018-10-23 2020-06-09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JP7432990B2 (ja) * 2018-11-13 2024-02-19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電気機器
CN109994852B (zh) * 2019-03-26 2024-05-1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CN113904144B (zh) * 2021-09-22 2024-04-05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适配器及印制板连接器组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9456A (en) * 1902-02-19 1902-05-06 Chemical And Electrical Ore Reducing Company Art of treating ore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46098C2 (de) * 1994-12-22 1998-11-26 Siemens Ag Elektrischer Verbinder mit Abschirmung
US6280209B1 (en) * 1999-07-16 2001-08-28 Molex Incorporated Connector with improved performance characteristics
US6354875B1 (en) * 2000-10-10 2002-03-12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a rear shield
JP3564555B2 (ja) * 2001-03-05 2004-09-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高速ディファレンシャル信号伝送用コネクタ
US6692272B2 (en) * 2001-11-14 2004-02-17 Fci Americas Technology, Inc. High speed electrical connector
US6994569B2 (en) * 2001-11-14 2006-02-07 Fci America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s having contacts that may be selectively designated as either signal or ground contacts
US7039417B2 (en) * 2003-09-25 2006-05-02 Lenovo Pte Ltd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itigating access point data rate degradation
US20060092077A1 (en) * 2004-11-03 2006-05-04 Joymax Electronics Co. , Ltd. Antenna having inclined conductive branch
JP4551868B2 (ja) * 2005-12-28 2010-09-2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DE102006008015B3 (de) * 2006-02-21 2007-04-12 Harting Electronics Gmbh & Co. Kg Leiterplatten-Steckfortsatz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9456A (en) * 1902-02-19 1902-05-06 Chemical And Electrical Ore Reducing Company Art of treating o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818621A (en) 2008-04-16
TWI323958B (en) 2010-04-21
DE102007032787B4 (de) 2010-06-02
DE102007032787A1 (de) 2008-01-24
KR20080007144A (ko) 2008-01-17
US20080014803A1 (en) 2008-01-17
CN101106229A (zh) 2008-01-16
DE102007032787B8 (de) 2010-11-25
US7448884B2 (en) 2008-11-11
CN101106229B (zh) 2010-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0846B1 (ko) 일반적 사다리꼴 형상으로 배열된 접점 단자부를 갖는전기적 구성요소
JP4439540B2 (ja) コネクタ
JP4859920B2 (ja) 電気コネクタ
US7497704B2 (en) Electrical connector capable of suppressing crosstalk
US6129555A (en) Jack connector, plug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8951050B2 (en) Differential signal connector capable of reducing skew between a differential signal pair
US7344412B2 (en) Connector in which a mutual distance between contacts is adjusted at terminal portions thereof
US8157573B2 (en) Connector
JP4613043B2 (ja) コネクタ
US7604510B2 (en) High speed transmission connector
US7824193B2 (en) Connector
US10553966B1 (en) Wire arrangement with ground staples on printed circuit board
US10368433B2 (en) Multi-layer circuit member with reference planes and ground layer surrounding and separating conductive signal pads
US6910922B2 (en) Connector in which occurrence of crosstalk is suppressed by a ground contact
US7798854B2 (en) Connector
US8202117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reduced number of shields
US6783400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contacts configured for high-speed signal transmission
US20140080362A1 (en) Connector
US6974336B2 (en) Connector adapted to be used for transmission of a balanced signal and substrate for mounting the connector
KR100827267B1 (ko) 누화 억제가 가능한 전기 커넥터
JP2537641Y2 (ja) 基板間接続用コネクタ
JPH0794244A (ja) 多芯コネクタプラグ及び多芯コネクタレセプタクル
JP2006114407A (ja) コネクタ装置
JP2004134312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