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1895A - 용기포장 차계 음료 - Google Patents

용기포장 차계 음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1895A
KR20050041895A KR1020040085269A KR20040085269A KR20050041895A KR 20050041895 A KR20050041895 A KR 20050041895A KR 1020040085269 A KR1020040085269 A KR 1020040085269A KR 20040085269 A KR20040085269 A KR 20040085269A KR 20050041895 A KR20050041895 A KR 20050041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echins
tea
container
packed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5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4658B1 (ko
Inventor
오구라요시카즈
오츠카카즈히로
오오이시스스무
야스마스타케시
야마다야스시
Original Assignee
가오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오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오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41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1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4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46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63Liquid or semi-liquid tea extract preparations, e.g. gels, liquid extracts in solid capsu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중합체 카테킨류를 고농도로 함유하며, 또한 쓴맛이나 아린맛 등이 저하하고, 풍미가 개선된 용기포장 차계 음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음의 성분 (A) 및 (B):
(A)비중합체 카테킨류 320mg/500mL∼1300mg/500mL,
(B)카페인
을 함유하고,
(C)비중합체 카테킨류중의 비(非)에피체 카테킨류 함유율이 40∼80중량%이며,
(D)비중합체 카테킨류와 카페인의 중량비가 5∼8이고,
(E)비중합체 카테킨류와 총 폴리페놀의 중량비가 0.88∼1.0이며,
(F)탁도(濁度)가 0.7이하이고, 또한
(G)pH가 5∼7인 용기포장 차계 음료.

Description

용기포장 차계 음료{Packaged, tea-based beverages}
본 발명은 용기포장 차계 음료에 관한 것이다.
카테킨류의 효과로서는, 콜레스테롤 상승 억제작용이나 α아밀라아제(α-amylase) 활성 저해작용 등이 보고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참조). 이와 같은 생리 효과를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성인 하루당 4∼5잔의 차를 마시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보다 간편하게 대량의 카테킨류를 섭취하기 위해서, 음료에 카테킨류를 고농도 배합하는 기술이 요망되고 있었다. 이 방법의 하나로서, 녹차 농축물(예를 들면, 특허문헌 3∼5참조) 등을 이용해서, 카테킨류를 음료에 용해 상태로 첨가하는 방법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소60-156614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 평3-133928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특허공개 소59-219384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국 특허공개 평4-20589호 공보
[특허문헌 5] 일본국 특허공개 소61-130285호 공보
비중합체 카테킨류를 고농도로 음료에 배합하기 위해서, 차잎에서 비중합체 카테킨류를 고농도로 추출하고자 하면, 일반적인 저농도 비중합체 카테킨류 함유 음료의 경우에 비하여 비중합체 카테킨류 유래의 쓰고 떫은 맛뿐만 아니라, 카페인의 쓴맛 및 원인 불명 성분에 의한 아린맛 등이 상승적(相乘的)으로 증가하여, 풍미가 차 본래의 것과는 상당히 다른 음료가 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비중합체 카테킨류 농도를 고농도로 유지하면서, 풍미의 개선을 도모하기 위하여 검토한 바, 비중합체 카테킨류중의 비에피체 카테킨류(non-epicatechins) 농도, 비중합체 카테킨류와 카페인 및 총 폴리페놀의 함유비, 또한 탁도(濁度) 및 pH를 일정한 범위로 조정함으로써, 쓴맛 및 아린맛이 저감되어, 차 본래의 풍미를 갖는 용기포장 차계 음료가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다음의 성분 (A) 및 (B):
(A)비중합체 카테킨류 320mg/500mL∼1300mg/500mL,
(B)카페인
을 함유하고,
(C)비중합체 카테킨류중의 비에피체 카테킨류 함유율이 40∼80중량%이며,
(D)비중합체 카테킨류와 카페인의 중량비가 5∼8이고,
(E)비중합체 카테킨류와 총 폴리페놀의 중량비가 0.88∼1.0이며,
(F)탁도가 0.7이하이고, 또한
(G)pH가 5∼7인 용기포장 차계 음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용기포장 차계 음료는 고농도의 비중합체 카테킨류를 함유하며, 또한 쓴맛 및 아린맛이 저감되어 있고, 차 본래의 풍미가 개선된 것이다. 또한, 탁도가 낮아, 투명 용기에 충전하더라도 유통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발명의 실시형태>
본 발명에서 비중합체 카테킨류란, 카테킨, 갈로카테킨(gallocatechin), 카테킨갈레이트(catechingallate), 갈로카테킨갈레이트(gallocatechingallate) 등의 비에피체 카테킨류 및 에피카테킨(epicatechin),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 에피카테킨갈레이트(epicatechingallate),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epigallocatechingallate) 등의 에피체 카테킨류를 모두 합친 총칭이다.
본 발명의 용기포장 차계 음료중에는, 비중합체로서 물에 용해 상태에 있는 (A)비중합체 카테킨류를, 320mg/500mL∼1300mg/500mL 함유하지만, 바람직하게는 320mg/500mL∼1000mg/500mL, 보다 바람직하게는 320mg/500mL∼499mg/500mL, 더욱 바람직하게는 360mg/500mL∼480mg/500mL, 더욱 바람직하게는 380mg/500mL∼480mg/500mL, 더욱 바람직하게는 400mg/500mL∼480mg/500mL 함유한다. 비중합체 카테킨류 함량이 이 범위에 있으면, 다량의 비중합 카테킨류를 용이하게 얻기 쉽고, 쓴맛 및 아린맛의 저감 효과가 충분히 얻어진다.
여기에서 말하는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농도는, 카테킨, 갈로카테킨, 카테킨갈레이트, 갈로카테킨갈레이트 등의 비에피체 비중합 카테킨류의 합계량을, 카테킨, 갈로카테킨, 카테킨갈레이트, 갈로카테킨갈레이트, 에피카테킨, 에피갈로카테킨, 에피카테킨갈레이트 및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의 합계 8종의 비중합 카테킨류의 합계량에 기초하여 정의된다.
본 발명의 용기포장 차계 음료에 있어서는, 비중합체 카테킨류중의 비에피체 카테킨류 함유율은, 용기포장 차계 음료의 장기 보존 안정성 및 풍미의 개선 효과의 점에서 40∼80중량%일 것이 필요하며, 46∼80중량%, 더욱이는 50∼80중량%, 더욱이는 54∼80중량%가 바람직하다. 당해 비에피체 함유율은 카테킨과 갈로카테킨과 카테킨갈레이트와 갈로카테킨갈레이트의 농도의 합계치를 비중합 카테킨류의 농도의 합계량으로 나눈 중량 백분율로 정의된다.
본 발명의 용기포장 차계 음료에 있어서의 비중합체 카테킨류와 카페인의 중량비는, 쓴맛 및 아린맛의 저감 효과의 점에서, 5∼8, 바람직하게는 6∼8이고, 더욱이는 7∼8이 바람직하다. 이 비가 5미만에서는, 카페인 함량이 많기 때문에 쓴맛이 강해지고, 8을 넘으면 떫은 맛 등이 강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포장 차계 음료에 있어서의 비중합체의 카테킨류와 총 폴리페놀의 중량비는, 차 본래의 풍미를 얻는 점에서 0.88∼1.0, 바람직하게는 0.9∼1.0, 보다 바람직하게는 0.92∼1.0, 더욱 바람직하게는 0.94∼1.0, 더욱 바람직하게는 0.96∼1.0이다. 이 비가 0.88미만이면, 아린맛 등이 출현하는 경향에 있다.
여기에서 총 폴리페놀류란, 주석산철법(ferrous tartrate method)에 의해, 표준액으로서 몰식자산에틸(ethyl gallate)을 사용하고, 총량을 몰식자산의 환산량으로서 구하는 방법에 의해 정량(定量)되는 성분을 말한다(참고문헌:"녹차 폴리페놀" 음식료품용 기능성 소재 유효 이용 기술 시리즈 NO.10). 일반적으로, 비중합체 카테킨류나 이것의 중합물 등이 본 측정방법에 의해 검출된다.
또한, 비중합체 카테킨류중의 40∼100중량%, 바람직하게는, 45∼100중량%, 더욱이는 50∼100중량%, 더욱이는 60∼95중량%가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 갈로카테킨갈레이트, 에피카테킨갈레이트, 카테킨갈레이트에서 선택된 것(갈레이트체)이면, 갈레이트체와 카페인에서 오는 풍미 밸런스가 더욱 우수하고, 차 본래의 풍미가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생리 효과상도 갈레이트체가 많은 편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 용기포장 차계 음료의 탁도는, 풍미 및 외관의 점에서 0.7이하인 것이 필요하지만, 더욱이는 0.5이하, 0.1이하, 더욱이는 또한 0.05이하, 더욱이는 0.025이하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탁도가 낮은 본 발명 차계 음료는 투명용기, 특히 투명 PET용기포장 음료로서 유통할 수 있다.
본 발명 용기포장 차계 음료의 pH는 25℃에서 5∼7로 하는 것이 맛 및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화학적 안정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 용기포장 차계 음료는, 쓴맛이나 아린맛을 개선할 목적으로 식물섬유(食物纖維) 함량을 0.5∼10중량%, 더욱이는 1∼7중량%, 더욱이는 3∼7중량%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식물섬유란, 예를 들면 아라비아 고무(gum arabic), 알긴산, 카라기난(carageenan), 한천(寒天), 잔탄검(xanthan gum), 구아검(guar gum), 사이리움시드 검(psylium seed husk gum), 젤란검(gellan gum), 젤라틴, 타마린드종자 다당류(tamarind seed polysaccharides), 타라검(tara gum), 파셀레란(pharcellulan), 펙틴, 로커스트빈검(locust bean gum), 폴리덱스트로스(polydextrose),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이 예시된다. 여기에서 말하는 식물섬유는 식품 첨가물 중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비중합체 카테킨류는, Camellia속(屬), 예를 들면 C. sinensis 및 C. assaimica, 야부키타(Yabukita)종 또는 그들의 잡종에서 얻어지는 차잎으로부터 차를 만든, 전차(煎茶; middle-grade green tea), 옥로(玉露; shaded green tea), 텐차(powdered tea) 등의 녹차류나, 총칭해서 우롱차라고 불리는 철관음(鐵觀音), 색종(色種), 황금계(黃金桂), 무이암차(武夷岩茶) 등의 반발효차, 홍차라고 불리는 다즐링(Darjeeling), 아삼(Assam), 스리랑카 등의 발효차의 차잎으로부터 물이나 열수(熱水)에 의해 추출하여 얻어진다.
차를 추출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교반추출 등 종래의 방법에 의해 행한다. 또한, 추출시의 물에 미리 아스코르빈산나트륨 등의 유기산 또는 유기산염류를 첨가해도 좋다. 또한, 자비탈기(煮沸脫氣;끓이거나 삶으면서 기체를 제거하는 것)나 질소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를 통기(通氣)해서 용존산소를 제거하면서 이른바 비산화적 분위기하에서 추출하는 방법도 병용해도 좋다.
본 발명의 용기포장 차계 음료의 비중합체 카테킨류와 총 폴리페놀의 중량비를 조정하는 방법으로서는, 차 추출물의 농축물을 물에 용해해서 사용하거나, 일반적으로 마셔지는 차음료와 차 추출물의 농축물을 병용하는 방법이 있다. 차 추출물의 농축물을 용해하는 매체는, 물, 탄산수, 시판되고 있는 레벨의 비중합체 카테킨류를 함유하는 차류의 추출액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차 추출물의 농축물이란, 차잎에서 열수 혹은 수용성 유기용매에 의해 추출된 추출물을 농축한 것으로, 형태적으로는, 고체, 수용액, 슬러리형상 등 다양한 것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차 추출물로서는, 일본국 특허공개 소59-219384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평4-20589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평5-260907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평5-306279호 공보 등에 상세하게 예시되어 있는 방법으로 조제한 것이나 시판의 미츠이 노린(주)(Mitsui Norin Co., Ltd.) "폴리페논(POLYPHENON)", 이토엔(주)(ITO EN, LTD.) "테아프란(TEAFURAN)", 타이요 카가쿠(주)(Taiyo Kagaku Co., Ltd.) "산페논(SUNPHENON)", 산토리(주)(Suntory Limited) "산우롱(SUN OOLONG)"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에, 카테킨은 다른 원료 기원의 것, 칼럼 정제품 및 화학 합성품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차 추출물 또는 차 추출물의 농축물로서는, 맛의 관점에서, 고형분(固形分) 중의 비중합체 카테킨류 농도가 40중량%이상, 40∼90중량%, 더욱이는 50∼90중량%, 특히 50∼85중량%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에피체 카테킨류는 녹차류, 반발효차류 또는 발효차류로부터의 추출물이나 차 추출물의 농축물을 수용액으로 하고, 예를 들면 40∼140℃, 0.1분∼120시간 가열 처리해서 얻을 수 있다. 비에피체 카테킨류의 생성의 용이함에서, 용액의 pH는 5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에피체 카테킨류 함유량이 높은 차 추출물의 농축물을 사용해도 좋다. 그들은 단독 또는 병용해도 좋다. 이러한 처리에 의해 비에피체 함량을 조정할 수 있다.
비중합체 카테킨류와 카페인의 중량비를 5∼8로 조정하기 위해서는, 차 추출액, 차 추출물의 농축물, 또는 그들의 혼합물을, 카페인 흡착제와 접촉시키는 방법(일본국 특허공개 소53-18772호 공보)이나, 활성 백토(白土) 또는 산성 백토와 접촉시키는 방법(일본국 특허공개 평6-142405호 공보) 등을 응용한 방법 등이 사용되지만, 특히, 녹차 추출물의 농축물을 에탄올과 물의 중량비로 9/1∼1/9의 혼합 용액에 용해시키고, 활성탄 및 산성 백토 또는 활성 백토와 접촉시키는 방법이,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조성 비율을 변화시키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탁도의 조정은 규조토 여과(diatomaceous earth filtration), 원심분리, 정밀여과, 한외여과, 크림다운(creaming down)법 등의 방법을 단독 또는 병용 등에 의해 행해진다.
본 발명 용기포장 차계 음료에는, 녹차 음료, 반발효차 음료 및 발효차 음료가 포함되지만, 녹차계 음료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용기포장 차계 음료에는, 기호성 조정을 위하여, 차 유래의 성분에, 산화 방지제, 향료, 각종 에스테르류, 유기산류, 유기산염류, 무기산류, 무기산염류, 무기염류, 색소류, 유화제, 보존료, 조미료, 감미료, 산미료, 과즙 엑기스류, 야채 엑기스류, 꽃꿀 엑기스류, pH 조정제, 품질 안정제 등의 첨가제를 단독, 혹은 병용해서 배합해도 좋다.
예를 들면, 감미료로서는 설탕, 포도당, 과당, 이성화액당, 글리시리진(glycyrrhizin), 스테비아(stevia), 아스파르템(aspartame), 프락토올리고당( fructooligosaccharide), 갈락토올리고당(galactooligosaccharide), 그 밖의 올리고당으로서 시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s)을 들 수 있다. 시클로덱스트린으로서는, α-, β-, γ- 시클로덱스트린 및, 분기(分岐) α-, β-, γ- 시클로덱스트린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인공 감미제도 사용할 수 있다.
산미료로서는, 천연성분으로부터 추출한 과즙류 외에, 구연산(citric acid), 주석산(tartaric acid), 사과산(malic acid), 젖산(lactic acid), 푸마르산(fumaric acid), 인산(phosphoric acid)을 들 수 있다.
무기산류, 무기산염류로서는 인산, 인산이나트륨(disodium phosphate), 메타인산나트륨, 폴리인산나트륨 등이, 유기산류, 유기산염류로서는 구연산, 호박산, 이타콘산(itaconic acid), 사과산, 구연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용기포장 차계 음료에 사용되는 용기는, 일반적인 음료와 마찬가지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성형용기(소위 PET병), 금속캔, 금속박이나 플라스틱 필름과 복합된 종이 용기, 병 등의 통상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이 중 투명 PET용기포장 음료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포장 차계 음료는, 예를 들면, 금속캔과 같이 용기에 충전한 후, 가열 살균할 수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 식품 위생법에 정해진 살균 조건에 의해 제조된다. PET병, 종이 용기와 같이 레토르트(retort) 살균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미리 상기와 동등한 살균 조건, 예를 들면 플레이트식 열교환기 등에서 고온 단시간 살균 후, 일정한 온도까지 냉각해서 용기에 충전하는 등의 방법이 채용된다. 또한 무균하에서, 충전된 용기에 별도의 성분을 배합하여 충전해도 좋다. 또한, 산성하에서 가열 살균 후, 무균하에서 pH를 중성으로 되돌리는 것이나, 중성하에서 가열 살균 후, 무균하에서 pH를 산성으로 되돌리는 등의 조작도 가능하다.
<실시예>
비중합체 카테킨류의 측정
필터(0.8㎛)로 여과한 음료를, 시마즈제작소제,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프(형식 SCL-10AVP)를 사용하여, 옥타데실기 도입 액체크로마토그래프용 팩드칼럼 L-칼럼 TM ODS(4.6mmφ×250mm: 재단법인 화학물질 평가 연구기구제)를 장착하고, 칼럼온도 35℃에서 그래디언트(gradient)법에 의해 행하였다. 이동상(移動相) A액은 초산을 0.1mol/L 함유하는 증류수용액, B액은 초산을 0.1mol/L 함유하는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 용액으로 하고, 시료 주입량은 20μL, UV 검출기 파장은 280nm의 조건에서 행하였다.
탁도의 측정
HITACHI의 분광 광도계(형식 U-2010)를 사용해서, 유리셀(glass cell)에 용기포장 음료를 넣고 25℃에서 측정하였다. 분석시의 분광 광도계의 측정파장은 660nm로 설정하였다.
총 폴리페놀량의 측정
총 폴리페놀류의 측정은 주석산철법(ferrous tartrate method)에 의해, 표준액으로서 몰식자산에틸을 사용하여, 몰식자산의 환산량으로서 구한다. (참고문헌:"녹차 폴리페놀" 음식료품용 기능성 소재 유효 이용 기술 시리즈 NO.10). 구체적으로는 시료 5mL를 주석산철 표준용액 5mL에 의해 발색(發色)시키고, 인산 완충액으로 25mL로 정용(定溶)하며,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몰식자산에틸에 의한 검량선으로부터 총 폴리페놀량을 구한다.
주석산철 표준액의 조제 : 황산제일철ㆍ7수화물(ferrous sulfate heptahydrate) 100mg, 주석산나트륨ㆍ칼륨(potassium sodium tartrate)(로셸염(rochelle salt)) 500mg을 증류수로 100mL로 한다.
인산 완충액의 조제 : 1/15M 인산수소이나트륨 용액과 1/15M 인산이수소나트륨 용액을 혼합하여 pH7.5로 조정한다.
카페인량의 측정
(분석기기)
HPLC(히타치 제작소사제) 장치를 사용.
플로터(plotter) : D-2500, 디텍터(detector) : L-4200
펌프 : L-7100, 오토샘플러(Autosampler) : L-7200
칼럼 : Inertsil ODS-2, 내부직경 2.1mm×길이 250mm
(분석조건)
샘플 주입량 : 10μL, 유량 : 0.3mL/min
자외선 흡광 광도계 검출파장 : 280nm
용리액 A : 0.1M 초산수용액, 용리액 B : 0.1M 초산아세토니트릴 용액
농도구배 조건(체적%)
시간 용리액 A 용리액 B
0분 97% 3%
5분 97% 3%
37분 80% 20%
43분 80% 20%
43.5분 0% 100%
48.5분 0% 100%
49분 97% 3%
62분 97% 3%
(카페인의 보유 시간(retention time))
카페인 : 27.2분
여기에서 구한 에리어%로부터 표준물질에 의해 중량%를 구하였다.
1)녹차 추출물의 정제액의 제조
녹차 추출물의 농축물(폴리페논 HG, 도쿄 푸드테크노사(Tokyo Food Techno Co., Ltd.)제)은 비중합체 카테킨류 함유량 33.70중량%, 카페인 함유량 5.5중량%, 비중합체 카테킨류/카페인=6.1, 갈레이트체 비율(gallates content) 50.7중량%이며, 그 물 희석액(water-diluted solution)(브릭스(Brix) 20)의 pH는 4.7이다. 폴리페논 HG(도쿄 푸드테크노사제) 100g을, 상온, 250rpm 교반조건하의 95% 에탄올 수용액 490.9g중에 현탁시키고, 활성탄 쿠라레콜(KURARAY COAL) GLC(쿠라레 케미칼사(Kuraray Chemical K.K.)제) 10g과 산성 백토 미즈카 에이스(MIZKA ACE) #600(미즈사와 카가쿠사(Mizusawa Chemical Industries, Ltd.)제) 20g을 투입한 후, 약 10분간 교반을 계속하였다. 그리고, 40% 에탄올 수용액 409.1g을 10분간에 걸쳐 적하(滴下)한 후, 실온 상태에서 약 30분간의 교반처리를 계속하였다. 그 후, 2호 여과지(2 filter paper)로 활성탄 및 침전물을 여과한 후에 0.2㎛ 멤브레인 필터(membrane filter)에 의해 재여과를 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온 교환수 200g을 여과액에 첨가하고, 40℃, 3.33kPa하에서 에탄올을 증류 제거하며, 이온 교환수에 의해 브릭스를 24.1로 조정하여 정제액을 얻었다.
얻어진 정제액의 조성은 비중합체 카테킨류 농도 10%, 카페인 0.9%, 총 폴리페놀 11.9%, 갈레이트체 비율(gallates content)은 54%였다.
2)녹차 추출액의 제조
녹차잎인 나라(奈良;Nara)에서 수확한 4번차를 욕비(浴比; bath ratio) 30, 65℃, 5분간 추출하고, 20메시(mesh)로 여과 후, 80메시로 여과하고, 마지막으로 제타막(zeta membrane)으로 여과하였다. 얻어진 녹차 추출액의 조성은 비중합체 카테킨류 농도 0.2%, 카페인 0.056%, 총 폴리페놀 0.208%, 갈레이트체 비율은 48%였다.
실시예 1∼2 및 비교예 1∼5
표 1의 처방에 따라 각 성분을 배합하고, pH6으로 조정 후, 137℃에서 30초 살균하며, 500mL용의 PET용기에 충전하여, 투명 PET 용기들이 녹차음료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음료를, 40℃에서 1주간 보존후 전문 패널리스트 10명에 의해, 하기의 평가 기준으로, 풍미를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3 : 좋은 맛과 쓴맛, 떫은 맛의 밸런스가 좋다.
2 : 어느 쪽이라고도 말할 수 없다.
1 : 좋은 맛과 쓴맛, 떫은 맛의 밸런스가 나쁘다.
표 1로부터 명백하듯이, 비중합체 카테킨류/카페인비가 작은 비교예 1 및 비중합체 카테킨류/총 폴리페놀비가 작은 비교예 2는 아린맛, 잡맛 등이 있어, 차 본래의 풍미가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비중합체 카테킨류/총 폴리페놀비가 작은 비교예 4, 비교예 5에서는 잡맛이 있었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의 요건을 충족하는 실시예 1 및 2에서는, 고농도의 비중합체 카테킨류를 함유함에도 불구하고, 장기간 보존 후라도 풍미가 양호하였다. 또한, 외관의 변화도 없었다. 비교예 3은 비중합체 카테킨류 농도가 낮으며, 충분한 생리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 음료이다.
본 발명의 용기포장 차계 음료는 고농도의 비중합체 카테킨류를 함유하며, 또한 쓴맛 및 아린맛이 저감되어 있고, 차 본래의 풍미가 개선된 것이다. 또한, 탁도가 낮아, 투명 용기에 충전하더라도 유통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4)

  1. 다음의 성분 (A) 및 (B):
    (A)비중합체 카테킨류 320mg/500mL∼1300mg/500mL,
    (B)카페인
    을 함유하고,
    (C)비중합체 카테킨류중의 비(非)에피체 카테킨류 함유율이 40∼80중량%이며,
    (D)비중합체 카테킨류와 카페인의 중량비가 5∼8이고,
    (E)비중합체 카테킨류와 총 폴리페놀의 중량비가 0.88∼1.0이며,
    (F)탁도(濁度)가 0.7이하이고, 또한
    (G)pH가 5∼7인 용기포장 차계 음료.
  2. 제1항에 있어서, 용기가 투명용기인 용기포장 차계 음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용기포장 녹차계 음료인 용기포장 차계 음료.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형분(固形分) 중의 비중합체 카테킨류 농도가 40∼90중량%인 차 추출물 또는 차 추출물의 농축물을 배합하여 얻어지는 것인 용기포장 차계 음료.
KR1020040085269A 2003-10-31 2004-10-25 용기포장 차계 음료 KR1011146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73222A JP3597856B2 (ja) 2003-10-31 2003-10-31 容器詰茶飲料
JPJP-P-2003-00373222 2003-10-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1895A true KR20050041895A (ko) 2005-05-04
KR101114658B1 KR101114658B1 (ko) 2012-03-05

Family

ID=32290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5269A KR101114658B1 (ko) 2003-10-31 2004-10-25 용기포장 차계 음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056547B2 (ko)
EP (1) EP1527693B1 (ko)
JP (1) JP3597856B2 (ko)
KR (1) KR101114658B1 (ko)
CN (1) CN1611125B (ko)
DE (1) DE602004008007T2 (ko)
TW (1) TWI3610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236331T3 (es) * 2000-11-17 2005-07-16 Kao Corporation Bebidas envasadas.
EP2382877B8 (en) * 2002-10-28 2013-10-30 Kao Corporation Green tea extract
JP3590051B1 (ja) * 2003-07-30 2004-11-17 花王株式会社 容器詰飲料
KR101202565B1 (ko) 2003-12-02 2012-11-19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용기포장음료
CN100553467C (zh) * 2003-12-18 2009-10-28 花王株式会社 容器装饮料
US7666452B2 (en) 2006-01-25 2010-02-23 Ito En, Ltd. Beverage comprising cathechins and caffeine
US7829132B2 (en) * 2004-11-03 2010-11-09 Unilever Bestfoods, North America Division Of Conopco, Inc. Consumable tea composition with antioxidants
JP4354902B2 (ja) * 2004-12-24 2009-10-28 花王株式会社 緑茶抽出物の精製物及びそれを配合した高濃度カテキン含有容器詰飲料
JP2007001893A (ja) * 2005-06-22 2007-01-11 Ito En Ltd カテキン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70009641A1 (en) * 2005-07-08 2007-01-11 Erickson Ken R Stable tea concentrates
JP4644058B2 (ja) * 2005-07-08 2011-03-02 花王株式会社 容器詰緑茶飲料
TWI365719B (en) * 2005-07-29 2012-06-11 Kao Corp Packaged milk-coffee beverages
JP5464774B2 (ja) * 2005-08-05 2014-04-09 太陽化学株式会社 金属防錆剤及び防錆剤で処理された金属
JP4694920B2 (ja) * 2005-09-07 2011-06-08 花王株式会社 容器詰紅茶飲料
JP4694921B2 (ja) * 2005-09-07 2011-06-08 花王株式会社 容器詰烏龍茶飲料
JP2007070301A (ja) * 2005-09-08 2007-03-22 Kao Corp 食事誘発性体熱産生上昇剤
JP4745784B2 (ja) * 2005-10-13 2011-08-10 花王株式会社 精製緑茶抽出物
JP4827522B2 (ja) * 2005-12-22 2011-11-30 小川香料株式会社 茶飲料用添加剤
JP4884003B2 (ja) 2005-12-27 2012-02-22 花王株式会社 容器詰烏龍茶飲料
EP1810575B1 (en) 2006-01-23 2010-08-25 Ito En, Ltd. Beverage
JP4562682B2 (ja) * 2006-04-17 2010-10-13 花王株式会社 精製緑茶抽出物の製造法
JP4569965B2 (ja) * 2006-04-17 2010-10-27 花王株式会社 精製緑茶抽出物の製造法
CN101437405B (zh) * 2006-05-09 2012-07-04 花王株式会社 容器装茶饮料
JP4977523B2 (ja) * 2006-05-09 2012-07-18 花王株式会社 容器詰茶飲料
EP2098121B1 (en) * 2006-12-22 2013-09-18 Kao Corporation Green tea drink packed in container
CN101541185B (zh) * 2006-12-28 2013-06-12 花王株式会社 茶提取物
WO2008139725A1 (ja) * 2007-05-08 2008-11-20 Kao Corporation 還元飲料用濃縮組成物
JP5517412B2 (ja) * 2007-05-24 2014-06-11 花王株式会社 精製緑茶抽出物
JP4999084B2 (ja) * 2007-06-14 2012-08-15 三井農林株式会社 インスタント粉末茶
EP2177108B1 (en) * 2007-08-08 2014-01-22 Kao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tion of tea extract
JP4819005B2 (ja) * 2007-08-10 2011-11-16 花王株式会社 容器詰茶飲料の製造法
CN101790317B (zh) * 2007-08-30 2012-11-07 花王株式会社 速溶粉末饮料
US20090246344A1 (en) * 2008-03-31 2009-10-01 Sasaki Tea Manufacturing Co., Ltd. Antioxidant Agent and Beverage Using Same
EA020639B1 (ru) * 2008-10-02 2014-12-30 Унилевер Н.В.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чайных продуктов
JP5760429B2 (ja) * 2009-12-22 2015-08-12 大正製薬株式会社 液剤組成物
JP5820604B2 (ja) * 2010-04-12 2015-11-24 花王株式会社 カテキン含有飲料の製造方法
US20140127382A1 (en) * 2011-06-17 2014-05-08 Uha Mikakuto Co., Ltd. Gallate-type catechin-containing drink
WO2013092153A1 (en) * 2011-12-20 2013-06-27 Unilever N.V. A process for producing a tea product
WO2015022123A1 (en) * 2013-08-15 2015-02-19 Unilever N.V. A process for producing a liquid concentrate tea product
JP5681262B1 (ja) * 2013-10-31 2015-03-04 キリンビバレッジ株式会社 茶飲料
US11464240B2 (en) 2016-11-29 2022-10-11 Kao Corporation Beverage composition
JP6496373B2 (ja) * 2017-09-07 2019-04-03 花王株式会社 飲料組成物
JP7226886B2 (ja) * 2017-12-25 2023-02-21 キリ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濃厚茶飲料
JP7208070B2 (ja) * 2019-03-13 2023-01-18 花王株式会社 容器詰茶飲料
KR102400684B1 (ko) 2019-03-13 2022-05-20 카오카부시키가이샤 용기에 담긴 차 음료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6701A (en) 1989-08-04 1990-08-07 Procter & Gamble Beverages
US5427806A (en) 1994-08-08 1995-06-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for making a stable green tea extract and product
US6063428A (en) 1996-02-26 2000-05-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Green tea extract subjected to cation exchange treatment and nanofiltration to improve clarity and color
US6723369B2 (en) 1999-05-27 2004-04-20 James M. Burgess Carbonated beverage for strengthening acid resistancy of teeth
JP3342698B2 (ja) 2001-02-22 2002-11-11 花王株式会社 容器詰飲料
JP3360073B2 (ja) 2001-02-22 2002-12-24 花王株式会社 飲 料
JP3592681B2 (ja) * 2001-05-16 2004-11-24 花王株式会社 容器詰飲料
JP3378577B1 (ja) * 2001-09-28 2003-02-17 花王株式会社 飲 料
CN1627902A (zh) * 2002-02-05 2005-06-15 花王株式会社 绿茶多酚的制造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11125A (zh) 2005-05-04
US20050095342A1 (en) 2005-05-05
US7056547B2 (en) 2006-06-06
DE602004008007D1 (de) 2007-09-20
EP1527693B1 (en) 2007-08-08
EP1527693A1 (en) 2005-05-04
TW200526129A (en) 2005-08-16
DE602004008007T2 (de) 2008-05-08
TWI361047B (en) 2012-04-01
JP2004129669A (ja) 2004-04-30
CN1611125B (zh) 2010-09-29
JP3597856B2 (ja) 2004-12-08
KR101114658B1 (ko) 2012-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4658B1 (ko) 용기포장 차계 음료
KR101114593B1 (ko) 용기포장 차계 음료
JP3360073B2 (ja) 飲 料
US7981449B2 (en) Production process of purified green tea extract
JP3403400B1 (ja) 容器詰飲料
EP2382877B1 (en) Green tea extract
US8337930B2 (en) Packaged Oolong-tea beverage
US8697171B2 (en) Preparation process of purified green-tea extract
TWI439231B (zh) 綠茶萃取物之純化物之製造方法
JP2007104967A (ja) 精製緑茶抽出物
JP3329799B2 (ja) 容器詰飲料
JP3338705B2 (ja) 容器詰飲料の製造方法
JP4383337B2 (ja) 高濃度カテキン含有容器詰烏龍茶飲料
EP1576887B1 (en) Packaged tea drink
JP4102748B2 (ja) 容器詰紅茶飲料
JP3597834B2 (ja) 容器詰飲料
JP4119829B2 (ja) 緑茶容器詰飲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