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7957A - 슬라이드조작 손잡이 및 시소조작 손잡이를 설치한경우이어도 조작감촉이 양호한 스위치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드조작 손잡이 및 시소조작 손잡이를 설치한경우이어도 조작감촉이 양호한 스위치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037957A KR20050037957A KR1020040083379A KR20040083379A KR20050037957A KR 20050037957 A KR20050037957 A KR 20050037957A KR 1020040083379 A KR1020040083379 A KR 1020040083379A KR 20040083379 A KR20040083379 A KR 20040083379A KR 20050037957 A KR20050037957 A KR 2005003795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e
- drive
- switch
- pressurized
- fixed contac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03—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with more than one electrically distinguishable condition in one or both posi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 H01H11/000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for converting electric switches
- H01H11/001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for converting electric switches for allowing different operating par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6—Driving mechanisms
- H01H23/168—Driving mechanisms using cam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24—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with two operating pos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umbler Switches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Slide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요동 조작되는 조작 손잡이와 조합시켜도 양호한 조작감촉을 얻을 수 있는 스위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스위치 유닛(11)은, 케이스(12)와, 케이스(12)의 바닥벽(12a)상에 설치된 고정 접점부재(13a∼13c)와, 바닥벽(12a)상에 요동 가능하게 배치된 도체판(15, 16)과, 승강동작이 허용된 회동 가능한 상태에서 도체판(15, 16)상에 배치된 구동체(17, 18)와, 구동체(17, 18)를 탄성 가세하는 판스프링부재(19)와, 케이스(12)의 상부 개구(12e)를 대략 덮개로 덮는 커버부재(20)를 구비하고 있고, 구동체(17, 18)에는 커버부재(20)의 위쪽으로 돌출하는 피가압부(17a, 18c)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 손잡이(32)의 요동조작에 의하여 피가압부(17c)(18c)가 옆쪽으로 가압 구동되면 구동체(17) (18)가 회전하고, 그것에 따라 도체판(15)(또는 16)이 바닥벽(12a)상에서 요동하여 온상태로 전환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차량 탑재용 파워 윈도우장치의 구동 스위치 등에 사용하기 적합하고, 조작 손잡이를 요동 조작하는 등하여 2세트의 스위치소자를 선택적으로 온시킬 수 있는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탑재용 파워 윈도우장치의 구동 스위치로서, 종래, 2세트의 슬라이드형 스위치소자를 병설하고 요동 조작되는 조작 손잡이의 조작봉에 의하여 각 스위치소자를 선택적으로 온시키도록 구성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도 11은 이와 같은 종래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상기 도면에 있어서, 스위치 유닛(1)은, 커버부재(2)에 의하여 상부 개구가 덮개로 덮힌 도시 생략한 케이스의 내부에 2세트의 슬라이드형 스위치소자를 설치하여 개략 구성되어 있고, 각 스위치소자의 구동축(3, 4)이 커버부재(2)의 긴 구멍(2a, 2b)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 내에 있어서, 2세트의 스위치소자 구동축(3, 4)의 슬라이드방향(도시 좌우방향)에 합치하는 일직선형상으로 나열하여 설치되어 있고, 그 케이스 내에 노출되는 복수의 고정 접점편의 단자부(5)가 상기 케이스의 아래쪽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 도시는 생략하나, 각 스위치소자에는 구동축(3)(또는 4)을 돌출 설치한 슬라이더와, 이 슬라이더에 고정 설치되어 조작시에 상기 고정 접점편과 접촉 이탈하는 가동 접촉편과, 슬라이더를 도 11에 나타내는 초기위치를 향하여 항시 가세하는 코일 스프링과, 슬라이더에 탄성 접촉하여 가동 접촉편을 고정 접점편을 향하여 항시 가세하는 판스프링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의 스위치 유닛(1)은 하우징(6)의 내부에 조립되고, 이 하우징(6)의 설치 오목부(6a)에 조작 손잡이(7)가 설치된다. 이 조작 손잡이(7)는 지지축(8)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여, 조작 손잡이(7)의 회동에 따라 조작봉(9)이 도 11의 화살표 A, B 방향을 따라 이동(경도;傾倒)한다. 그리고 조작봉(9)의 선단부가 2세트의 스위치소자의 구동축(3, 4)의 사이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자가 조작 손잡이(7)를 밀어 넣어 조작봉(9)을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이 조작봉(9)이 상기 코일 스프링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구동축(3)을 도시한 왼쪽방향으로 밀어 넣어 슬라이드시킨다. 그 결과, 구동축(3)과 일체적으로 슬라이드하는 상기 가동 접촉편이 대응하는 상기 고정 접점편과 접촉 이탈하여, 한쪽의 스위치소자가 오프로부터 온상태로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또 이와 같은 온상태에서 조작 손잡이(7)에 대한 밀어 넣음 조작력을 제거하면, 구동축(3)의 슬라이드에 따라 압축되어 있던 상기 코일 스프링이 상기 슬라이더를 가세하여 상기 구동축(3)을 역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기 때문에, 도 11의 상태로 자동 복귀하여 상기 스위치소자는 오프상태로 되돌아간다. 조작자가 조작 손잡이(7)를 끌어 올려 조작봉(9)을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시킨 경우의 동작도 기본적으로는 동일하고, 조작봉(9)이 구동축(4)을 도시한 오른쪽방향으로 밀어 넣어 슬라이드시키기 때문에 다른쪽의 스위치소자가 오프로부터 온상태로 전환되고, 조작 손잡이(7)에 대한 조작력을 제거하면 상기 스위치소자는 자동적으로 오프상태로 되돌아간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공평5-80770호 공보
상기한 종래예에 있어서, 각 스위치소자의 구동축(3, 4)은 직선형상으로 슬라이드하나, 이들 구동축(3, 4)을 밀어 넣는 조작봉(9)은 지지축(8)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부재이기 때문에, 구동축(3, 4)은 슬라이드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밀어 넣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조작시에 구동축(3, 4)이 긴 구멍(2a, 2b)의 둘레벽에 가압되거나,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케이스의 내벽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가압되는 등으로 하여 부분적으로 슬라이딩저항이 원하지 않게 증대할 가능성이 높고, 불균일 또는 덜거덕거림을 수반하게 되기 때문에, 양호한 조작감촉이 얻어지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조작봉(9)을 길게 하여 지지축(8)의 위치를 구동축(3, 4)으로부터 이간하여 설치하면, 구동축(3, 4)을 대략 슬라이드방향을 따라 밀어 넣는 것은 가능하게 되나, 그 경우, 조작 손잡이(7)가 하우징(6)의 설치 오목부(6a)로부터 위쪽으로 크게 돌출되어 버리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요동조작 또는 슬라이드조작되는 조작 손잡이와 조합시켜도 양호한 조작감촉을 얻을 수 있는 스위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에서는 바닥벽 및 상부 개구를 가지는 케이스와, 그 케이스에 조립된 2세트의 스위치소자와, 이들 2세트의 스위치소자에 복귀력을 부여하는 스프링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 개구를 덮는 커버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소자가, 상기 케이스의 내벽면상에 노출되는 고정 접점부재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 접점부재에 접촉 이탈 가능한 도체부재와, 이 도체부재를 구동하는 회동 가능한 구동체를 포함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체에 상기 커버부재의 위쪽으로 돌출하는 피가압부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2세트의 스위치소자의 상기 피가압부에 각각 역방향의 가압 조작력이 부여되도록 하여, 조작시에 상기 피가압부를 거쳐 상기 구동체가 회전 구동됨으로써 상기 고정 접점상을 상기 도체부재가 슬라이딩하도록 하고, 상기 2세트의 스위치소자 중 어느 하나가 1세트의 개폐조작을 선택적으로 행하도록 하여 가압 조작력의 해제에 따라 상기 구동체가 비조작 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위치장치는, 조작 손잡이의 요동조작 또는 슬라이드조작에 의하여 어느 한쪽의 스위치소자의 피가압부가 가압 구동되면, 상기 스위치소자는 구동체가 회전하여 도체부재를 고정접점에 접촉시키기 때문에, 스위치소자를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다른쪽 스위치소자의 경우는 피가압부에 부여되는 가압 조작력의 방향이 반대가 되나, 그 스위치동작은 기본적으로 상기 한쪽의 스위치소자와 동일하다.
또, 상기한 스위치장치에 있어서, 스위치소자의 상기 고정 접점부재를 상기 내벽면의 바닥면에 설치하고, 상기 도체부재를 상기 내벽면의 바닥면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함과 동시에, 경사면을 설치하고, 또 상기 스프링부재를 판스프링으로 형성하고, 상기 스프링부재를 상기 커버부재에 의해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에 설치하고, 또한 상기 구동체를 승강동작이 허용되어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판스프링부재의 가세력에 의하여 상기 도체부재에 탄성 접촉하는 슬라이딩작동부를 설치하여 상기 피가압부를 거쳐 상기 구동체가 회전 조작되면, 상기 슬라이딩작동부가 상기 도체부재의 경사면을 슬라이딩하여 상기 도체부재는 요동하여 상기 고정접점과 접촉 이탈하고, 또 동시에 상기 판스프링부재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구동체가 이동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위치장치는, 조작 손잡이의 요동조작 또는 슬라이드조작에 의하여 어느 한쪽의 스위치소자의 피가압부가 가압 구동되면, 상기 스위치소자는구동체가 회전하여 도체판의 경사면상을 슬라이딩하기 때문에, 상기 도체판을 케이스의 바닥벽상에서 요동시켜 고정 접점부재와 접촉 이탈시킬 수 있고, 그러므로 상기 스위치소자를 오프로부터 온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스위칭동작시에 구동체에 대한 도체판으로부터의 반력이 증감하면, 그것에 따른 구동체는 판스프링부재의 가세력을 받으면서 승강하기 때문에, 슬라이딩저항이 원하지 않게 증대할 염려는 없고, 항상 양호한 조작감촉을 기대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스위칭동작후에 조작 손잡이에 대한 조작력이 제거되면 상기 경사면상의 구동체는 판스프링부재의 가세력으로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도체판상의 초기위치까지 되돌아가기 때문에 상기 도체판은 상기 바닥벽상에서 역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오프상태로 자동 복귀한다. 또한 다른쪽 스위치소자의 경우는 피가압부에 부여되는 가압 조작력의 방향이 반대가 되나, 그 스위칭동작은 기본적으로 상기 한쪽의 스위치소자와 동일하다.
상기한 스위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체에 상기 케이스의 옆쪽으로 돌출하는 구동 아암부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고, 이 경우 예를 들면 케이스의 근방에 병설한 푸시스위치 위쪽에 구동 아암부를 설치하여 피가압부를 거쳐 구동체가 회전 구동되면 그 구동 아암부가 상기 푸시스위치를 가압 조작한다고 하는 구성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 손잡이의 수를 늘리거나 형상을 복잡화하지 않아도 스위치장치를 이용하여 다른 조작기능을 용이하게 부가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예에 관한 스위치 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상기 스위치 유닛의 사시도, 도 3은 상기 스위치 유닛을 요동형의 조작 손잡이와 조합시켜 이루어지는 구동 스위치를 나타내는 비조작시의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구동 스위치의 조작시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내는 스위치 유닛(11)은, 바닥벽(12a)상에 측벽(12b, 12c)이나 칸막이벽(12d)을 세워 설치하여 1쌍의 접점 수납공간(S1, S2)을 형성하고 있는 케이스(12)와, 인서트성형가공에 의하여 각 접점 수납공간(S1, S2) 내의 바닥벽(12a) 상에 각각 설치된 고정 접점부재(13a∼13c)와, 각 고정 접점부재(13a∼13c)로부터 연장 설치되어 케이스(2)의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단자(14)와, 각 접점 수납공간 (S1, S2) 내에서 바닥벽(12a)상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1쌍의 도체판(도체부재) (15, 16)과, 승강동작이 허용된 형상으로 각 도체판(15, 16)상에 설치되어 축부(17a, 18a)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1쌍의 구동체(17, 18)와, 각 구동체(17, 18)의 슬라이딩 작동부(17b, 18b)를 바닥벽(12a)을 향하여 탄성 가세하기 위한 1쌍의 가압편(19a, 19b)을 가지는 판스프링부재(스프링부재)(19)와, 케이스(12)에 설치 고정되어 그 상부 개부(12e)를 대략 덮개로 덮고 있는 금속판제의 커버부재(20)에 의하여 개략 구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스위치 유닛(11)은 회로기판(30)상에 설치되어 하우징(31)의 내부에 수납되고, 이것을 조작 손잡이(32)와 조합시킴으로써, 차량 탑재용 파워 윈도우장치의 구동 스위치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조작 손잡이(32)는 지지축(33)을 거쳐 하우징(31)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조작 손잡이(32)에는 조작봉(34)이 하향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고, 이 조작봉(4)의 치수는 구동체(17, 18)의 피가압부(17c, 18c) 사이의 간격과 대략 동일하게 설정되어,이 조작봉(34)이 구동체(17, 18)의 피가압부(17c, 18c) 사이에 끼워 넣어지도록 삽입되어 있다.
케이스(12)에는 서로 평행한 긴 변측의 2개의 측벽(12c) 및 4개의 칸막이벽(12d)과, 측벽(12c)에 대하여 직각인 짧은 변측의 2개의 측벽(12b)이, 각각 바닥벽(12a)으로부터 세워 설치되어 있다. 2개의 측벽(12c)과 2개의 칸막이벽(12d)의 각 상단부[상부 개구(12e)측의 끝부]에는 각 구동체(17, 18)의 축부(17a, 18a)가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노치형상의 오목부(12f, 12g)가 형성되어 있다. 또 짧은 변측의 2개의 측벽(12b)에는, 각각의 중앙부에 상단이 개방되어 있는 노치형상의 슬릿(12h)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슬릿(12h)에는 구동체(17, 18)의 아암부(17d, 18d)가 승강 가능하게 삽입된다. 또한 측벽(12c)과 칸막이벽(12d)의 대향면에는 각각 돌출부(12i)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돌출부(12i)의 상부 형상은, 조립시에 도체판(15, 16)을 원활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게 원호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고정 접점부재(13a∼13c)는 케이스(12)의 접점 수납공간(S1, S2)의 안 바닥부에 각각 일렬로 나열하여 설치되어 있고, 한쪽의 고정 접점부재군상에 도체판(15)이 설치되고, 다른쪽의 고정 접점부재군상에 도체판(16)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고정 접점부재(13a∼13)는, 요동 지지점으로서 도체판(15 또는 16)에 항시 접촉하는 제 1 고정 접점부재(13a)와 도체판(15 또는 16)에 접촉 이탈하는 제 2 및 제 3 고정 접점부재(13b, 13c)로 이루어지고, 각 고정 접점부재(13a∼13c)로부터 도출된 복수의 단자(14)는 외부 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도체판(15)은 조작 손잡이(32)를 설치하기 전의 상태에서 구동체(17)를 지탱하는 초기 받이부(5a)와, 이 초기 받이부(15a)의 한쪽에 경사면을 연속시키고 있는 측면으로 보아 역 V자형의 상승부(15b)와, 초기 받이부(15a)의 다른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평탄부(15c)와, 상승부(15b)로부터 반초기 받이부(15a)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가동 접점부(15d)를 가지는 금속판이며, 가동 접점부(15d)가 접점 수납공간(S1) 내의 고정 접점부재(13b)와 접촉 이탈 가능하고, 평탄부(15c)가 접점 수납공간(S1) 내의 고정 접점부재(13c)와 접촉 이탈 가능하다. 또한 도체판(15)의 양 측부에는 초기 받이부(15a)를 사이에 두고 4개의 돌기(15e)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돌기(15)를 케이스(12)의 돌출부(12i)에 걸어 맞추게 함으로써, 요동시에 도체판(15)이 길이방향으로 위치 어긋나지 않도록 규제하고 있다. 도체판(16)은 도체판(15)과 동일형상이고, 초기 받이부(16a)의 양측에 상승부(16b)와 평탄부(16c)를 가지고, 길이방향 한쪽 끝측으로 연장 설치된 가동 접점부(16d)가 접점 수납공간(S2) 내의 고정 접점부재(13b)와 접촉 이탈 가능하고, 길이방향 다른쪽 끝측의 평탄부(16c)가 접점 수납공간 (S2) 내의 고정 접점부재(13c)와 접촉 이탈 가능하다. 이 도체판(16)의 양 측부에도 초기 받이부(16a)를 사이에 두고 4개의 돌기(16e)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돌기(16e)를 케이스(12)의 돌출부(12i)에 걸어 맞추게 함으로써, 요동시에 도체판(16)이 길이방향으로 위치 어긋나지 않도록 규제하고 있다.
구동체(17)는 회동중심이 되는 축부(17a)와, 판스프링 부재(19)의 가압편(19a)의 가세력에 의하여 도체판(15)에 항시 탄성 접촉하는 슬라이딩작동부(17b)와, 상향으로 연장되어 커버부재(20)의 위쪽으로 돌출하는 피가압부(17c)와,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한쪽의 슬릿(12h) 내에 삽입되는 아암부(17d)를 가지고, 슬라이딩작동부(17b)상에는 소정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1쌍의 가이드벽(17e)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구동체(18)는 회동 중심이 되는 축부(18a)와, 판스프링부재(19)의 가압편(19b)의 가세력에 의하여 도체판(16)에 항시 탄성 접촉하는 슬라이딩작동부(18b)와, 상향으로 연장되어 커버부재(20)의 위쪽으로 돌출하는 피가압부(18c)와,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다른쪽의 슬릿(12h) 내에 삽입되는 아암부(18d)를 가지고, 슬라이딩작동부(18b)상에는 소정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1쌍의 가이드벽(18e)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구동체(17, 18)는 케이스(12) 내에 평면에서 보아 점대칭으로 조립되어 서로의 아암부(17d, 18d) 및 피가압부(17c, 18c)가 일직선형상으로 설치된다. 즉 구동체(17, 18)를 케이스(12)에 조립할 때에는 케이스(12) 내에서 접점 수납공간(S1, S2)의 사이에 있는 폭이 좁은 공간에 아암부(17d, 18d)를 설치시켜, 서로 대향하는 오목부(12f, 12f) 내에 구동체(17)의 축부(1a)를 삽입하여, 서로 대향하는 오목부(12g, 12g) 내에구동체(18)의 축부(18a)를 삽입한다.
판스프링부재(19)는, 1매의 탄성 금속판을 도 1에 나타내는 형상으로 프레스가공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서로 평행으로 연장되는 1쌍의 가압편(19a, 19b)이 측면으로 보아 대략 ハ자형의 압축부(19c)의 하단을 연결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압축부(19c)는 커버부재(20)에 의해 압축되어 각 가압편(19a, 19b)에 스프링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부위이며, 이 압축부(19c)는 각 가압편(19a, 19b)의 길이방향 한쪽 끝측으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을 예각으로 되돌려 상기 연장부분끼리를 브리징부(bridging)(19e)에서 브리징하여 이루어지는 약 H자형의 제 1 절곡편(19d)과, 각 가압편(19a, 19b)의 길이방향 다른쪽 끝측으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을 예각으로 되돌려 상기 연장부분 끼리를 브리징부(도시 생략)에서 브리징하여 이루어지는 대략 H자형의 제 2 절곡편(19f)으로 이루어진다. 이 판스프링부재(19)는 조립시에 케이스(12) 내의 최상부에 조립되어 한쪽의 가압편(19a)이 구동체(17)의 슬라이딩작동부(17b) 상에 설치되고, 다른쪽의 가압편(19b)이 구동체(18)의 슬라이딩작동부(18b) 상에 설치된다. 그때 각 가압편(19a, 19b)을 각각 가이드벽(17e, 17e) 사이와 가이드벽(18e, 18e) 사이에 삽입함으로써 폭방향의 위치결정을 행할 수 있고, 또 판스프링부재(19)의 길이치수를 케이스(12)의 서로 대향하는 측벽(12b, 12b)의 간격과 대략 동등하게 설정하여 둠으로써 이 가압편(19a, 19b)의 길이방향의 위치결정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커버부재(20)에는 하단부의 4 모서리부에 설치편(20a)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설치편(20a)을 구부려 케이스(12)의 4 모서리에 걸어 멈추게 함으로써, 커버부재(20)는 상부 개구(12e)를 대략 덮개로 덮은 상태로 케이스(12)에 설치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커버부재(20)를 케이스(12)에 설치하면, 미리 케이스(12) 내에 조립되어 있던 판스프링부재(19)의 절곡편(19d, 19f)이 눌려 휘어지기 때문에, 각 가압편(19a, 19b)에 스프링압이 생기게 된다. 이에 의하여 한쪽의 가압편(19a)이 구동체(17)의 슬라이딩작동부(17b)를 바닥벽(12a)을 향하여 탄성 가세하고, 그 가세력에 의하여 슬라이딩작동부(17d)가 도체판(15)에 탄성 접촉하기 때문에, 축부(17a)를 중심으로 구동체(17)를 회전시키면 슬라이딩작동부(17b)가 도체판(15)의 상승부(15b)(경사면)상을 슬라이딩하여 상기 도체판(15)을 회전 구동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다른쪽의 가압편(19b)이 구동체(18)의 슬라이딩작동부(18b)를 바닥벽(12a)을 향하여 탄성 가세하고, 그 가세력에 의하여 슬라이딩작동부(18b)가 도체판(16)에 탄성 접촉하기 때문에 축부(18a)를 중심으로 구동체(18)를 회전시키면 슬라이딩작동부(18b)가 도체판(16)의 상승부(16b)(경사면)상을 슬라이딩하여 상기 도체판(16)을 회전 구동시킬 수 있다. 또 커버부재(20)에는 구동체(17)의 피가압부(17c)를 삽입시키기 위한 창구멍(20b)과, 구동체(18)의 피가압부(18c)를 삽입시키기 위한 창구멍(20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스위치 유닛(11)은, 접점 수납공간(S1) 내에 고정 접점부재(13a∼13c)나 도체판(15), 구동체(17), 가압편(19a) 등을 설치시켜 이루어지는 제 1 스위치소자와, 접점 수납공간(S2) 내에 고정 접점부재(13a∼13c)나 도체판(16), 구동체(18), 가압편(19b) 등을 설치시켜 이루어지는 제 2 스위치소자가, 케이스(12) 내에 병설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단, 이들 제 1 및 제 2 스위치소자에 복귀력을 부여하는 스프링부재는 공통의 판스프링부재(19)이다.
또, 이 스위치 유닛(11)을 조작 손잡이(32)와 조합시킬 때에는 조작봉(34)의 선단부(하단부)를 구동체(17, 18)의 피가압부(17c, 18c) 사이에 삽입하나, 그때 조작봉(34)을 피가압부(17c, 18c)에 탄성 접촉시켜 프리텐션을 인가한 상태(여압상태)로 하여 둠으로써 조작 손잡이(32)와 구동체(17, 18) 사이의 덜거덕거림을 회피하고 있다. 즉, 이와 같은 여압(與壓)상태에 있어서, 구동체(17, 18)의 슬라이딩작동부(17b, 18b)는 각각 도체판(15, 16)의 상승부(15b, 16b)의 하단 근방의 경사면과 맞닿아 있으나, 조작 손잡이(32)를 떼어낸 상태에서는 슬라이딩작동부(17b, 18b)가 각각 도체판(15, 16)의 초기 받이부(15a, 16a)와 맞닿기 때문에, 피가압부(17c, 18c)는 도 3에 나타내는 위치보다도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약간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스위치 유닛(11)을 조작 손잡이(32)와 조합시켜 구성되는 구동 스위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조작력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대기상태(상기 여압상태)에서는 구동체(17)의 슬라이딩작동부(17b)가 도체판(15)의 상승부(15b)의 하단부에 탄성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접점 수납공간(S1) 내의 고정 접점부재(13a, 13c)가 도체판(15)을 거쳐 도통되고, 고정 접점부재(13a, 13b) 사이는 비도통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또 구동체(18)의 슬라이딩작동부(18b)는 도체판(16)의 상승부(16b)의 하단부에 탄성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접점 수납공간(S2) 내의 고정 접점부재(13a, 13c)가 도체판(16)을 거쳐 도통되고, 고정 접점부재(13a, 13b) 사이는 비도통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는 조작 손잡이(32)의 오른쪽 끝부를 밀어 넣는 조작력이 가해지면, 경도하는 조작봉(34)의 선단부가 소정의 평면 내를 회전이동하고, 이것에 의하여 피가압부(17c)가 상기 평면 내를 도시 왼쪽으로 가압 구동되기 때문에, 피가압부(17c)의 이동평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부(17a)를 중심으로 하여 구동체(17)가 도시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것에 따라 슬라이딩작동부(17b)가 도체판(15)의 상승부(15b)상을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슬라이딩하여 가고, 이 과정에서 구동체(17)는 가압편(19a)에 저항하여 약간 밀어 올려져 간다. 그리고 접점 수납공간(S1) 내에 있어서 슬라이딩작동부(17b)가 고정 접점부재(13a)상을 통과한 시점에서 도체판(15)이 도시한 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도 4의 상태가 된다. 그 결과, 평탄부(15c)가 고정 접점부재(13b)로부터 떨어져 가동 접점부(15d)가 고정 접점부재(13b)에 맞닿기 때문에, 도체판(15)을 거쳐 고정 접점부재(13a, 13b)가 도통됨에 의한 스위치 온의 전환신호(윈도우의 개방동작을 행하게 하는 구동신호)가 단자(14)로부터 출력된다.
또, 도 4의 상태에서 조작 손잡이(32)에 대한 조작력이 제거된 경우에는, 가압편(19a)의 복원력이 구동체(17)에 작용하여 슬라이딩작동부(17b)가 상승부(15b)의 경사면을 따라 비스듬하게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것에 따라 구동체(17)가 도시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슬라이딩작동부(17b)가 고정 접점부재(13a)상을 통과한 시점에서 도체판(15)이 도시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됨과 동시에, 경도되어 있던 조작봉(34)이 피가압부(17c)에 의해 밀어 되돌려져 간다. 그 결과, 도체판(15)의 가동 접점부(15d)가 고정 접점부재(13b)로부터 떨어져 평탄부(15c)가 고정 접점부재(13c)에 맞닿기 때문에, 고정 접점부재(13a, 13b)의 도통이 차단됨에 의한 스위치 오프의 전환신호가 단자(14)로부터 출력되어 조작 손잡이(32)는 도 3에 나타내는 대기상태(오프상태)로 복귀한다.
또한, 이와 같은 대기상태에서 도 3에 나타내는 조작 손잡이(32)의 왼쪽 끝부를 밀어 넣는 조작력이 가해진 경우의 동작도 기본적으로는 동등하다. 이 경우에는 경도하는 조작봉(34)의 선단부에 의해 피가압부(18c)가 도시한 오른쪽으로 가압 구동 되기 때문에 구동체(18)가 도시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슬라이딩작동부(18b)가 도체판(16)의 상승부(16b)상을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슬라이딩하여 간다. 이 과정에서 구동체(18)는 가압편(19b)에 저항하여 약간 밀어 올려져 가고, 접점 수납공간(S2) 내에 있어서 슬라이딩작동부(18b)가 고정 접점부재(13a)상을 통과한 시점에서 도체판(16)이 회전 구동되어 고정 접점부재(13a, 13b)가 도통됨에 의한 스위치 온의 전환신호(윈도우의 폐쇄동작을 행하게 하는 구동신호)가 단자(14)로부터 출력된다. 또 이후 조작 손잡이(32)에 대한 조작력이 제거되면 가압편(19b)의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딩작동부(18b)가 상승부(16b)의 경사면을 따라 비스듬하게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것에 따라 구동체(17)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도체판(16)이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됨과 동시에 조작봉(34)이 피가압부(18c)에 의해 밀어 되돌려져 가, 도 3에 나타내는 대기상태(오프상태)로 복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예에 관한 스위치 유닛(11)은, 조작 손잡이(32)의 요동조작에 의해 스위치소자의 피가압부(17c)(또는 18c)가 옆쪽으로 가압 구동되면 구동체(17)(또는 18)가 회전하고, 구동체(17)(또는 18)에는 축부(17a)(또는 18a) 주위의 회전 모멘트밖에 인가되지 않아 경사진 상태에서 맞닿는 등의 일이 없기 때문에 항상 양호한 조작감촉을 얻을 수 있다. 또 구동체(17)(또는 18)의 회전에 따라 도체판(15)(또는 16)이 바닥벽(12a)상에서 요동하여 상기 스위치소자가 오프로부터 온상태로 전환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쌍극·쌍투형의 구동 스위치에 적용하여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 스위치 유닛(11)의 스위칭동작시에는 구동체(17)(또는 18)에 대한 도체판(15)(또는 16)으로부터의 반력이 증감하나, 구동체(17) (또는 18)는 판스프링부재(19)의 가세력을 받으면서 승강 가능하고, 도체판(15)(또는 16)으로부터의 반력이 증대되면 가압편(19a)(또는 19b)을 눌러 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슬라이딩저항이 원하지 않게 증대할 걱정은 없으며, 항상 양호한 조작감촉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스위치 유닛(11)을 조립할 때에는 케이스(12)의 바닥벽(12a)상에 도체판(15, 16), 구동체(l7, 18), 판스프링부재(19), 커버부재(20)의 순으로 조립하여 갈 수 있기 때문에, 양호한 조립성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조립작업시에 도체판(15, 16)은 케이스(12)의 돌출부(12i)에 의하여 위치결정할 수 있고, 구동체(17, 18)는 케이스(12)의 오목부(12f, 12g)나 슬릿(12h)에 의하여 위치결정할 수 있으며, 판스프링부재(19)는 케이스(12)의 측벽(12b)이나 구동체(17, 18)의 가이드벽(17e, 18e)에 의해 위치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자동 조립을 행하여도 이들 각 부품에 위치 어긋남이나 탈락이 발생하기 어렵고, 따라서 조립비용의 대폭적인 저감이 가능하다.
다음에, 상기한 스위치 유닛(11)의 다른 적용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상기 스위치 유닛(11)을 슬라이드형의 조작 손잡이와 조합시켜 이루어지는 구동 스위치를 나타내는 비조작시의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구동 스위치의 조작시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조작 손잡이(35)는 도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상태에서 하우징(31)에 설치한 가이드홈(도시 생략)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조작 손잡이(35)의 바닥면측에는 구동돌기(36)가 돌출 설치되어 있고, 이 구동돌기(36)가 스위치 유닛(11)의 구동체(17, 18)의 피가압부(17c, 18c) 사이에 끼워 넣어지도록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도 5에 나타내는 대기상태(오프상태)에서 조작 손잡이(35)가 도시한 왼쪽방향으로 슬라이드조작되면, 구동돌기(36)가 피가압부(17c)를 동일방향으로 밀어 넣기 때문에 구동체(17)가 도시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그것에 따라 도체판(15)이 도시한 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도 6에 나타내는 온상태에 전환된다. 그리고 조작 손잡이(32)에 대한 조작력이 제거되면, 가압편(19a)의 복원력에 의해 구동체(17)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도체판(15)이 역방향으로 회전구동되어 도 5에 나타내는 대기상태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스위치 유닛(11)은, 요동형의 조작 손잡이(32)에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슬라이드형의 조작 손잡이(35)와 조합시켜도 원활하게 동작하여 양호한 조작감촉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들 일련의 동작은, 도 3 및 도 4를 사용하여 이미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 조작 손잡이(35)가 도시한 오른쪽방향으로 슬라이드조작되어 구동돌기(36)가 피가압부(18c)를 동일방향으로 밀어 넣은 경우의 동작설명에 대해서도, 지금까지의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추측할 수 있기 때문에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예에 관한 스위치 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8은 상기 스위치 유닛의 사시도, 도 9는 상기 스위치 유닛을 요동형의 조작 손잡이와 조합시켜 이루어지는 구동 스위치를 나타내는 비조작시의 단면도, 도 10은 도 9에 나타내는 구동 스위치의 조작시의 단면도로서, 도 1 내지 도 4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부호가 붙여져 있기 때문에 중복되는 설명은 적절하게 생략한다.
도 7 내지 도 10에 나타내는 스위치 유닛(21)은, 구동체(17, 18)에 각각 케이스(12)의 옆쪽으로 크게 돌출하는 구동 아암부(17f, 18f)를 설치한 점이 상기 스위치 유닛(11)과 달라 있고, 그것 이외의 구성은 동등하다. 또 본 실시형태예의 경우, 스위치 유닛(21)의 케이스(12)의 근방에 1쌍의 푸시스위치(37, 38)가 병설되어 있다. 이들 푸시스위치(37, 38)는 회로기판(30)상에 설치되어 있고, 그 조작부위(37a, 38a)는 각각 구동 아암부(17f, 18f)의 아래쪽에 설치시키고 있다. 그리고 구동체(17)의 회전에 따라 하강하는 구동 아암부(17f)가 조작부위(37a)를 밀어 넣음으로써 푸시스위치(37)를 오프로부터 온상태로 전환할 수 있음과 동시에, 구동체(18)의 회전에 따라 하강하는 구동 아암부(18f)가 조작부위(38a)를 밀어 넣음으로써 푸시스위치(38)를 오프로부터 온상태로 전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도 9에 나타내는 대기상태에서 예를 들면 조작 손잡이(32)의 오른쪽 끝부를 밀어 넣는 조작력이 가해지면, 상기한 바와 같이 피가압부(17c)가 조작봉(34)에 가압 구동되어 구동체(17)가 도시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슬라이딩작동부(17b)가 상승부(15b)상을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슬라이딩하여 가서, 도체판(15)이 도시한 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된 시점에서 접점 수납공간(S1)측의 스위치소자로부터 온신호(윈도우의 개방동작을 행하게 하는 구동신호)가 출력되나, 이 상태에서 조작 손잡이(32)의 오른쪽 끝부를 다시 1단 밀어 넣으면, 피가압부(17c)가 조작봉(34)에 다시 밀어 넣어지기 때문에, 구동체(17)는 도시한 반시계방향으로 더욱 회전하여,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아암부(17f)가 조작부위(37a)를 아래쪽으로 밀어 넣는다. 그 결과, 푸시스위치(37)로부터 온신호(윈도우를 완전 개방시키는 구동신호)가 출력된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 푸시스위치(37)를 작동시키는 과정에서, 슬라이딩작동부(17b)는 이미 도시한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을 완료시키고 있는 도체판(15)의 상승부(15b)상을 더욱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슬라이딩하여 가고, 그것에 따라 구동체(17)는 판스프링부재(19)의 가압편(19a)을 더욱 위쪽으로 밀어 휘어지게 하여 간다. 따라서 조작 손잡이(32)에 대한 조작력이 제거되면, 가압편(19a)의 복원력에 의해 구동체(17)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따라 푸시스위치(37) 및 도체판(15)이 각각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 도 9에 나타내는 대기상태로 복귀한다.
또, 도 9에 나타내는 대기상태에서 조작 손잡이(32)의 왼쪽 끝부를 밀어 넣는 조작력이 가해진 경우의 동작도 마찬가지이며, 피가압부(18c)가 조작봉(34)에 가압구동되어 구동체(18)가 도시한 시계방향으로 소정량 회전하면, 접점 수납공간(S2)측의 스위치소자로부터 온신호(윈도우의 폐쇄동작을 행하게 하는 구동신호)가 출력되고, 이 상태에서 조작 손잡이(32)을 또 1단 밀어 넣어 구동체(18)를 도시한 시계방향으로 더욱 회전시키면 구동 아암부(18f)가 조작부위(38a)를 아래쪽으로 밀어 넣기 때문에 푸시스위치(38)로부터 온신호(윈도우를 완전 폐쇄시키는 구동신호)가 출력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예에 있어서는, 조작 손잡이(32)을 얕게 밀어 넣으면 윈도우를 임의량만큼 개방하기도 하고 폐쇄하기도 하는 매뉴얼 개폐조작을 행할 수 있고, 또한 조작 손잡이(32)를 깊게 밀어 넣으면 윈도우를 완전 개방, 완전 폐쇄시키는 자동 개폐조작을 행할 수 있다는 다기능의 구동 스위치가, 특별히 구조를 복잡화하거나 대형화하는 일 없이 실현되어 있다.
또한 고정접점과 도체판 및 판스프링부재 등을 포함하는 스위치 유닛의 내부구조는, 상기 각 실시형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외에도 여러가지의 변형예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는, 조작시에 피가압부를 거쳐 구동체가 회전 구동됨으로써, 도체부재가 고정 접점부재와 접촉 이탈한다는 것으로, 조작 손잡이의 요동조작 또는 슬라이드조작을 행한 경우에, 구동체에는 스프링부재를 휘게 하는 회전 모멘트밖에 인가할 수 없어, 구동체를 원활하게 회전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항상 양호한 조작감촉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예에 관한 스위치 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상기 스위치 유닛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스위치 유닛을 요동형의 조작 손잡이와 조합시켜 이루어지는 구동 스위치의 비조작시의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구동 스위치의 조작시의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나타내는 스위치 유닛을 슬라이드형의 조작 손잡이와 조합시켜 이루어지는 구동 스위치의 비조작시의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구동 스위치의 조작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예에 관한 스위치 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8은 상기 스위치 유닛의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스위치 유닛을 요동형의 조작 손잡이와 조합시켜 이루어지는 구동 스위치의 비조작시의 단면도,
도 10은 도 9에 나타내는 구동 스위치의 조작시의 단면도,
도 11은 종래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21 : 스위치 유닛 12 : 케이스
12a : 바닥벽 12e : 상부 개구
13a ∼ 13c : 고정 접점부재 15, 16 : 도체판(도체부재)
15b, 16b : 상승부(경사면) 17, 18 : 구동체
17a, 18a : 축부 17b, 18b : 슬라이딩 작동부
17c, 18c : 피가압부 17f, 18f : 구동 아암부
19 : 판스프링부재 19a, 19b : 가압편
20 : 커버부재 32, 35 : 조작 손잡이
34 : 조작봉 36 : 구동돌기
37, 38 : 푸시스위치 S1, S2 : 접점 수납공간
Claims (6)
- 바닥벽 및 상부 개구를 가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조립된 2세트의 스위치소자와, 이들 2세트의 스위치소자에 복귀력을 부여하는 스프링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 개구를 덮는 커버부재를 구비하고,상기 스위치소자가, 상기 케이스의 내벽면상에 노출되는 고정 접점부재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 접점부재에 접촉 이탈 가능한 도체부재와, 상기 도체부재를 구동하는 회동 가능한 구동체를 포함함과 동시에,상기 구동체에 상기 커버부재의 위쪽으로 돌출하는 피가압부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2세트의 스위치소자의 상기 피가압부에 각각 역방향의 가압 조작력이 부여되도록 하고,조작시에 상기 피가압부를 거쳐 상기 구동체가 회전 구동됨으로써 상기 고정 접점을 상기 도체부재가 접촉 이탈하도록 하고, 상기 2세트의 스위치소자 중 어느 하나가 1세트의 개폐조작을 선택적으로 행하도록 하여, 가압 조작력의 해제에 따라 상기 구동체가 비조작 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스위치소자의 상기 고정 접점부재를 상기 내벽면의 바닥면에 설치하고, 상기 도체부재를 상기 내벽면의 바닥면에 요동 가능하게 배치함과 동시에 경사면을 설치하고,또, 상기 스프링부재를 판스프링으로 형성하고, 상기 스프링부재를 상기 커버부재에 의해 가압한 상태로 상기 케이스에 설치하며,또한, 상기 구동체를 승강동작이 허용되어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판스프링부재의 가세력에 의해 상기 도체부재에 탄성 접촉하는 슬라이딩작동부를 설치하고,상기 피가압부를 거쳐 상기 구동체가 회전 조작되면, 상기 슬라이딩작동부가 상기 도체부재의 경사면을 슬라이딩하여 상기 도체부재는 요동하여 상기 고정접점과 접촉 이탈하고, 또한 동시에 상기 판스프링부재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구동체가 이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구동체에 상기 케이스의 옆쪽으로 돌출하는 구동 아암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구동 아암부를 상기 케이스의 근방에 병설한 푸시스위치의 위쪽에 설치하고, 상기 피가압부를 거쳐 상기 구동체가 회전 구동됨에 따라, 상기 구동 아암부가 상기 푸시스위치를 가압조작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2세트의 스위치소자의 상기 피가압부의 사이에 삽입되는 조작봉을 가지는 요동동작 가능한 조작 손잡이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2세트의 스위치소자의 상기 피가압부의 사이에 삽입되는 구동돌기를 가지는 슬라이드동작 가능한 조작 손잡이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3-00359499 | 2003-10-20 | ||
JP2003359499A JP4279648B2 (ja) | 2003-10-20 | 2003-10-20 | スイッチ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37957A true KR20050037957A (ko) | 2005-04-25 |
KR100638385B1 KR100638385B1 (ko) | 2006-10-25 |
Family
ID=34509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83379A KR100638385B1 (ko) | 2003-10-20 | 2004-10-19 | 슬라이드조작 손잡이 및 시소조작 손잡이를 설치한경우이어도 조작감촉이 양호한 스위치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6903293B2 (ko) |
JP (1) | JP4279648B2 (ko) |
KR (1) | KR100638385B1 (ko) |
CN (1) | CN100351969C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07937A (ko) * | 2014-03-13 | 2015-09-24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게이트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KR20160003472U (ko) * | 2015-03-31 | 2016-10-10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누전차단기의 누전 트립코일 유닛에 구비되는 슬라이드 스위치용 캡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158492A (ja) * | 2003-11-26 | 2005-06-16 | Tokai Rika Co Ltd | パワーウインドスイッチ装置 |
JP2007173098A (ja) * | 2005-12-22 | 2007-07-05 | Alps Electric Co Ltd | 多方向スイッチ装置 |
CN101071690B (zh) * | 2006-05-12 | 2012-06-06 |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 电子装置 |
US7525054B2 (en) * | 2006-07-03 | 2009-04-28 | Swann Industries Pte Ltd. | Interlock door switch |
US7355138B2 (en) * | 2006-09-01 | 2008-04-08 | Zippy Technology Corp. | Simplified pushbutton switch |
KR100845257B1 (ko) * | 2006-12-29 | 2008-07-09 |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 시소 스위치 모듈 |
JP4909103B2 (ja) * | 2007-01-29 | 2012-04-04 | キヤノン株式会社 | 操作装置及び電子機器 |
KR100843823B1 (ko) | 2007-03-09 | 2008-07-03 | 주식회사 신창전기 | 차량의 고부하 스위치 |
EP2091067A1 (en) * | 2008-02-14 | 2009-08-19 | Applied Materials, Inc. | Apparatus for treating a substrate |
CN101996789B (zh) * | 2009-08-28 | 2013-10-23 | 西门子公司 | 弹簧操作装置及其安装方法与开关装置 |
KR101191422B1 (ko) | 2009-12-28 | 2012-10-16 |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 레버 좌우 누름장치 |
JP5727782B2 (ja) * | 2010-12-28 | 2015-06-03 | 矢崎総業株式会社 | シーソー式スイッチ |
US9105426B2 (en) * | 2013-03-08 | 2015-08-11 | Cooper Technologies Company | Wiring device with contact dampening |
JP6117614B2 (ja) * | 2013-05-24 | 2017-04-19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切換え装置 |
JP6128955B2 (ja) * | 2013-05-24 | 2017-05-17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切換え装置 |
JP5805139B2 (ja) | 2013-05-24 | 2015-11-04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切換え装置 |
JP6284148B2 (ja) * | 2014-03-11 | 2018-02-28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スイッチ装置 |
JP6249485B2 (ja) * | 2014-03-11 | 2017-12-20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スイッチ装置 |
JP6388341B2 (ja) * | 2015-02-13 | 2018-09-12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スイッチおよびスイッチユニット |
JP5913700B1 (ja) * | 2015-07-30 | 2016-04-27 | ミック電子工業株式会社 | ダブルシーソースイッチ |
CN108885955B (zh) | 2016-03-30 | 2020-03-27 | 上海延锋金桥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 用于控制台组件的机构 |
JP6641452B1 (ja) | 2018-11-29 | 2020-02-05 | ミヤマ電器株式会社 | 多機能スイッチ |
FR3139661B1 (fr) * | 2022-09-14 | 2024-09-13 | Legrand France | Commutateur électrique à touche de commande basculante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194443U (ko) * | 1987-06-01 | 1988-12-14 | ||
US4789766A (en) * | 1987-11-24 | 1988-12-06 | Tower Manufacturing Corporation | Water-resistant switch construction |
US5145059A (en) * | 1989-06-29 | 1992-09-08 | Prince Corporation | Switch |
US5265716A (en) * | 1991-05-10 | 1993-11-30 | Alps Electric Co., Ltd. | Switch with multiple levers and multiple switch assembly using same |
JP2707885B2 (ja) | 1991-09-24 | 1998-02-04 | ヤマハ株式会社 | ビット数変換装置 |
JPH09245552A (ja) | 1996-03-05 | 1997-09-19 | Alps Electric Co Ltd | スイッチ装置 |
JP3723627B2 (ja) * | 1996-04-04 | 2005-12-07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スイッチ装置の製造方法 |
JP3673339B2 (ja) * | 1996-09-30 | 2005-07-20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スイッチ装置 |
JP4129068B2 (ja) | 1997-07-28 | 2008-07-30 | 松下電工株式会社 | シーソースイッチ |
JP3765683B2 (ja) * | 1999-03-11 | 2006-04-12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照光式スイッチ装置 |
US6175090B1 (en) * | 1999-09-02 | 2001-01-16 | Trw Inc. | Rocker switch |
JP3802298B2 (ja) | 1999-11-18 | 2006-07-26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スイッチ装置 |
US6380500B1 (en) | 2000-05-22 | 2002-04-30 | Eaton Corporation | Rocker switch and seal arrangement |
JP4114327B2 (ja) | 2001-03-27 | 2008-07-09 | 松下電工株式会社 | 押釦スイッチ装置 |
JP4121754B2 (ja) * | 2002-02-28 | 2008-07-23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スイッチ装置 |
JP3964731B2 (ja) * | 2002-05-14 | 2007-08-22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スイッチ装置 |
JP3964754B2 (ja) * | 2002-07-30 | 2007-08-22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スイッチ装置 |
-
2003
- 2003-10-20 JP JP2003359499A patent/JP4279648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
- 2004-10-12 US US10/964,274 patent/US6903293B2/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4-10-19 KR KR1020040083379A patent/KR10063838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4-10-20 CN CNB2004100860945A patent/CN100351969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07937A (ko) * | 2014-03-13 | 2015-09-24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게이트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KR20160003472U (ko) * | 2015-03-31 | 2016-10-10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누전차단기의 누전 트립코일 유닛에 구비되는 슬라이드 스위치용 캡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05123135A (ja) | 2005-05-12 |
US6903293B2 (en) | 2005-06-07 |
JP4279648B2 (ja) | 2009-06-17 |
CN100351969C (zh) | 2007-11-28 |
KR100638385B1 (ko) | 2006-10-25 |
CN1610032A (zh) | 2005-04-27 |
US20050082155A1 (en) | 2005-04-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38385B1 (ko) | 슬라이드조작 손잡이 및 시소조작 손잡이를 설치한경우이어도 조작감촉이 양호한 스위치장치 | |
KR100514313B1 (ko) | 스위치장치 | |
JP2009199981A (ja) | 電動工具用スイッチ | |
JP4121754B2 (ja) | スイッチ装置 | |
JPH05217464A (ja) | プッシュ機構付きスライドスイッチ | |
JP3066258B2 (ja) | シーソスイッチ | |
JP3964731B2 (ja) | スイッチ装置 | |
JP3964742B2 (ja) | スイッチ装置 | |
JP3744643B2 (ja) | 多方向入力装置 | |
JPH0743901Y2 (ja) | スイッチ | |
JP4464882B2 (ja) | 電気装置の操作機構 | |
JP4553088B2 (ja) | スイッチ装置 | |
JP4030735B2 (ja) | スイッチ装置 | |
JP2010282882A (ja) | スイッチ装置 | |
JP3802298B2 (ja) | スイッチ装置 | |
JP2003331695A (ja) | スイッチ装置 | |
JP4528697B2 (ja) | スイッチ装置 | |
JP4553310B2 (ja) | スイッチ機構 | |
JP2004200002A (ja) | スイッチ装置 | |
KR100999675B1 (ko) | 다기능 스위치 | |
KR100583877B1 (ko) | 미러 스위치 장치 | |
JP2908837B2 (ja) | スイッチ装置 | |
JPH051872Y2 (ko) | ||
JPH11203981A (ja) | 中立復帰機能を有したスイッチ装置 | |
JP2006228549A (ja) | スイッチユニット及びスイッチ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