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6056A - 차량의 흡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흡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6056A
KR20050036056A KR1020030071515A KR20030071515A KR20050036056A KR 20050036056 A KR20050036056 A KR 20050036056A KR 1020030071515 A KR1020030071515 A KR 1020030071515A KR 20030071515 A KR20030071515 A KR 20030071515A KR 20050036056 A KR20050036056 A KR 20050036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ir
engine intake
intake port
ai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1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9144B1 (ko
Inventor
백남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1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9144B1/ko
Priority to US10/962,029 priority patent/US20050076871A1/en
Priority to JP2004299368A priority patent/JP2005121019A/ja
Publication of KR20050036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6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9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91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5/00Pumping cooling-air or liquid cool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01Housings; Casings; Frame constructions; Lids; Manufacturing or assembling thereof
    • F02M35/0202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terials for air cleaner housings
    • F02M35/0203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terials for air cleaner housings by using clamps, catches, locks or the like, e.g. for disposable plug-in filter cartri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4Air cleaners specially arranged with respect to engine, to intake system or specially adapted to vehicle; Mounting thereon ; 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4Air cleaners specially arranged with respect to engine, to intake system or specially adapted to vehicle; Mounting thereon ; 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 F02M35/06Air cleaners specially arranged with respect to engine, to intake system or specially adapted to vehicle; Mounting thereon ; 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engine's cooling blower or fan, or with fly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흡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엔진흡기구에 유입되는 공기의 방향을 정면으로부터 타방향으로 전환하는 에어 가이드를 설치함으로써, 차량의 주행방향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엔진흡기구로 직접 흡입되지 않고 우회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하면, 눈이나 물 등의 이물질이 엔진흡기구로 유입됨을 차단할 수 있는 바, 눈이나 물이 엔진흡기구로 유입되어 발생할 수 있는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흡기장치 {An air intake system in automobile}
본 발명은 차량의 흡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흡기구를 통해 눈과 물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차량의 흡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흡기장치는, 엔진흡기구와 흡기관을 갖춘 에어클리너와, 이 에어클리너와 흡기매니폴드의 서지탱크를 연결하는 에어덕트와, 상기 서지탱크에 장착되는 스로틀바디와, 흡입된 외기를 각 실린더로 분배할 수 있도록 구분된 배출포트를 갖춘 흡기매니폴드 등으로 이루어진다.
엔진흡기구와 흡기관을 통해 흡입된 공기는 에어클리너에서 정화되고, 에어덕트를 거쳐 엔진측으로 공급된 뒤, 스로틀바디를 통해 그 공급량이 조절되면서 서지탱크를 통해 흡기매니폴드를 통하여 엔진의 각 실린더로 공급된다.
대개, 차량 속도가 빨라질수록 엔진 회전수가 증가하면서 보다 많은 공기량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엔진흡기구(1)는, 공기의 유입을 원활하게 하고 차량의 주행속도에 맞추어 공기의 흡입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주행방향(D1)을 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참고적으로, 차체의 정면에는 엔진흡기구(1) 및 냉각계통의 래디에이터(3)를 보호하고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자 래디에이터 그릴(2)이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엔진흡기구가 차량의 주행방향을 향하고 있음에 따라, 폭설 시에 눈이 엔진흡기구를 막아 공기의 흡입을 어렵게하고, 또한 차가운 눈의 유입으로 스로틀바디에 결빙(Icing)이 발생함으로써, 시동이나 주행이 불가능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차량의 주행방향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엔진흡기구로 직접 흡입되지 않고 우회하도록 함으로써, 눈이나 물 등의 이물질이 엔진흡기구로 유입되지 않게 이를 차단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차량의 흡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흡기장치는, 엔진흡기구가 차량 주행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엔진흡기구에 유입되는 공기의 방향을 정면으로부터 타방향으로 전환하는 에어 가이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에어 가이드가, 차량의 주행방향에 대해 측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상기 엔진흡기구로 유도하는 내실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에어 가이드의 차량 주행방향을 향하는 표면에 상기 개구부의 방향에 대해 측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다수개의 리브가 더 구비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방향을 향하는 보조 개구부가 추가로 더 형성되고, 상기 내실에 상기 보조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방향을 절환하기 위한 격벽이 추가로 더 구비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엔진흡기구측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동도면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흡기장치는, 엔진흡기구(10)에 공기의 흡입 방향을 정면으로부터 타방향으로 전환하는 에어 가이드(air guide)(20)가 장착되어 있다.
이 에어 가이드(20)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우측방향으로 개구부(21)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부(21)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엔진흡기구(10)로 유도하는 내실(22)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에어 가이드(20)는, 차량의 주행방향(D1)을 향하는 표면 즉, 정면에, 다수의 리브(rib)(23)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에어 가이드(20)는, 그 하단을 엔진흡기구(10)보다 하방으로 더 길게 제작함으로써, 틈새공간(G)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하였고, 이 틈새공간(G)에 의해 에어 가이드(20)의 후방 하단에는 공기가 일부 유입될 수 있는 보조 개구부(24)가 형성된다.
이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차량의 주행방향(D1)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엔진흡기구(10)로 곧장 진행하지 못하고, 에어 가이드(20)에 의해 그 방향이 우측으로 전환되면서 우회하여 에어 가이드(20)의 개구부(21)를 통해 유입되고 내실(22)을 통해 가이드되어 엔진흡기구(10)로 흡입된다.
즉, 차량의 주행방향(D1)으로부터 눈이나 물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더라도 에어 가이드(20)에 가로막힘에 따라, 엔진흡기구(10)로는 흡입되지 않게 된다.
이때, 에어 가이드(20)의 표면에 눈이나 물 등이 흡착되었다가 공기의 흐름을 따라 일부가 에어 가이드(20)의 개구부(21)로 유입될 가능성도 있으나, 이는 에어 가이드(20)의 정면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리브(23)에 의해 차단된다.
또한, 차량의 주행방향(D1)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중 일부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가이드(20)의 후방 하단의 보조 개구부(24)를 통해 유입된 다음 내실(23)을 통해 가이드되어 엔진흡기구(10)로 흡입되는 바, 에어 가이드(20) 우측의 개구부(21)를 통해 우회하여 유입되는 공기량이 부족하지 않도록 이를 보조하게 된다.
이때, 보조 개구부(24)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에어 가이드(20)의 하단부를 통해 방향이 1차 절환된 다음 내실(22)로 유입되어 엔진흡기구(10)의 입구에 의해 진행방향이 다시 절환되는 바, 전체적으로 "S"자 형태의 곡선을 그리며 엔진흡기구(20)로 흡입됨으로써, 눈이나 물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는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변형, 수정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 또는 수정이 본 발명의 특징을 이용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엔진흡기구에 유입되는 공기의 방향을 정면으로부터 타방향으로 전환하는 에어 가이드를 설치함으로써, 차량의 주행방향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엔진흡기구로 직접 흡입되지 않고 우회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하면, 눈이나 물 등의 이물질이 엔진흡기구로 유입됨을 차단할 수 있는 바, 눈이나 물이 엔진흡기구로 유입되어 발생할 수 있는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엔진흡기구측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엔진흡기구측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에어 가이드의 정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에어 가이드의 좌측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에어 가이드의 우측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에어 가이드의 저면도,
도 7은 도 2의 "AA" 방향에 대한 단면도,
도 8은 도 2의 "BB" 방향에 대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엔진흡기구 20: 에어 가이드
21: 개구부 22; 내실
23: 리브 24: 보조 개구부

Claims (4)

  1. 엔진흡기구가 차량 주행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차량의 흡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엔진흡기구에는 유입되는 공기의 방향을 정면으로부터 타방향으로 전환하는 에어 가이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흡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가이드는, 차량의 주행방향에 대해 측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상기 엔진흡기구로 유도하는 내실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흡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가이드는, 차량의 주행방향을 향하는 표면에 상기 개구부의 방향에 대해 측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다수개의 리브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흡기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가이드는, 상기 엔진흡기구의 구경보다 하단을 더 길게 형성하여 이 하단과 엔진흡기구와의 틈새공간을 통해 공기가 일부 유입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흡기장치.
KR1020030071515A 2003-10-14 2003-10-14 차량의 흡기장치 KR100589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1515A KR100589144B1 (ko) 2003-10-14 2003-10-14 차량의 흡기장치
US10/962,029 US20050076871A1 (en) 2003-10-14 2004-10-08 Air intake system for automobiles
JP2004299368A JP2005121019A (ja) 2003-10-14 2004-10-13 車両の吸気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1515A KR100589144B1 (ko) 2003-10-14 2003-10-14 차량의 흡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6056A true KR20050036056A (ko) 2005-04-20
KR100589144B1 KR100589144B1 (ko) 2006-06-12

Family

ID=34420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1515A KR100589144B1 (ko) 2003-10-14 2003-10-14 차량의 흡기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50076871A1 (ko)
JP (1) JP2005121019A (ko)
KR (1) KR1005891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16390B2 (ja) * 2004-01-09 2009-08-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不整地走行用鞍乗り型四輪車
US7234555B2 (en) 2004-07-12 2007-06-26 Honda Motor Co., Ltd. Secondary path automobile air intake system
US8201651B2 (en) * 2004-07-12 2012-06-19 Honda Motor Co., Ltd. Automobile over-bulkhead air intake system
US7237635B2 (en) * 2004-07-12 2007-07-03 Honda Motor Co., Ltd. Automobile over-bulkhead air intake system
DE102007035303A1 (de) 2007-07-27 2009-01-29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Kanalanordnung zum Führen von Prozessluft zu einer Verbrennungskraftmaschine
DE102008061538A1 (de) 2008-12-03 2010-06-10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Kanalanordnung zum Führen von Prozessluft zu einer Verbrennungskraftmaschine
US8540043B2 (en) * 2010-08-30 2013-09-24 Honda Motor Co., Ltd. Over bulkhead air intake for reduced snow ingestion
US8439143B2 (en) 2011-02-21 2013-05-14 Honda Motor Co., Ltd. Over bulkhead air intake system
US20120270490A1 (en) * 2011-04-21 2012-10-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 and method of shutter control
JP6413782B2 (ja) * 2015-01-19 2018-10-31 スズキ株式会社 エンジンの吸気装置
US9777681B2 (en) 2015-04-14 2017-10-03 Fca Us Llc Cold air intake circulating air jacket
JP6981125B2 (ja) * 2017-09-15 2021-12-15 スズキ株式会社 車両用吸気装置の吸気構造
JP6949070B2 (ja) * 2019-03-15 2021-10-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におけるエアクリーナ構造
JP6933696B2 (ja) * 2019-09-24 2021-09-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吸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78759U (ko) * 1980-10-31 1982-05-15
JPS59192618A (ja) * 1983-04-15 1984-11-01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吸気装置
US5054567A (en) * 1989-06-30 1991-10-08 Navistar International Transportation Corp. Truck hood reinforcement system
US4971172A (en) * 1989-06-30 1990-11-20 Navistar International Transportation Corp. Truck hood engine air induction system
US4932490A (en) * 1989-09-29 1990-06-12 Navistar International Transportation Corp. Engine air induction system with air cleaner in hood
US5022479A (en) * 1990-02-16 1991-06-11 Navistar International Transportation Corp. Motor vehicle engine air intake system including moisture elimination apparatus
US5660243A (en) * 1995-02-13 1997-08-26 Chrysler Corporation Air flow, atmospheric particle, and environmental element diverter system
US5794733A (en) * 1996-08-16 1998-08-18 Volvo Gm Heavy Truck Corporation Vehicle air intake and method
US5860685A (en) * 1997-05-08 1999-01-19 Chrysler Corporation Fresh air duct system for a vehicle
JP2001277867A (ja) * 2000-04-03 2001-10-10 Denso Corp 車両のフロントエンド構造
US6892842B2 (en) * 2000-08-31 2005-05-17 Bombardier Recreational Products Inc. Air intake for a straddle-type all terrain vehicle
JP3456973B2 (ja) * 2001-01-19 2003-10-14 川崎重工業株式会社 騎乗型四輪不整地走行車
JP3912479B2 (ja) * 2001-01-22 2007-05-09 スズキ株式会社 フロントグリル構造
JP3577018B2 (ja) * 2001-08-31 2004-10-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フロントグリル周りの吸気構造
US6698539B2 (en) * 2002-04-09 2004-03-02 Almarv, Llc Intake apparatus for feeding air to engine compartment
JP4074122B2 (ja) * 2002-04-11 2008-04-09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DE10257299B4 (de) * 2002-12-07 2005-02-03 Dr.Ing.H.C. F. Porsche Ag Einrichtung zur Rohluftansaugung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JP2005248802A (ja) * 2004-03-03 2005-09-15 Toyoda Gosei Co Ltd 吸気ダクト
US6945576B1 (en) * 2004-04-23 2005-09-20 General Motors Corporation Multifunctional bumpe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121019A (ja) 2005-05-12
KR100589144B1 (ko) 2006-06-12
US20050076871A1 (en) 2005-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9144B1 (ko) 차량의 흡기장치
US7264072B2 (en) Air intake device for two-wheeled motor vehicle
US8137425B2 (en) Intake system for vehicle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3717564B2 (ja) エンジンのエアクリーナ
JP2004106601A (ja) 車両用エンジンの空気取入装置
JP6536654B2 (ja) 多気筒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WO2011092972A1 (ja) インテークマニホールド
JP2008068731A (ja) 車両用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3676566B2 (ja) 自動車におけるエンジンの吸気ダクト構造
CN101468707B (zh) 踏板型自动二轮车
JP6805775B2 (ja) 車両用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2014168974A (ja) 車両用エンジンの吸気装置
EP3896275B1 (en) Vehicle with engine intake passage structure
CN109578184A (zh) 一种摩托车空滤器
JP5252306B2 (ja) エンジンの吸気装置
KR100758103B1 (ko) 차량용 레조네이터
CA2741657A1 (en) Air intake plenum for air induction channel
JP2016148296A (ja) 車両用エンジンの吸気装置
KR960010517Y1 (ko) 대형트럭의 에어흡기관구조
JP2021102376A (ja) 内燃機関の吸気ダクト
KR20120102893A (ko) 주행풍유입장치
JP2000168373A (ja) 車両のエアーインテークダクト構造
KR100448494B1 (ko) 자동차의 인터쿨러 덕트
JPH0349113Y2 (ko)
US20090025671A1 (en) Air Intake System of a Multi-Cylinder Internal Combustion Eng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