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2893A - 주행풍유입장치 - Google Patents

주행풍유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2893A
KR20120102893A KR1020110020777A KR20110020777A KR20120102893A KR 20120102893 A KR20120102893 A KR 20120102893A KR 1020110020777 A KR1020110020777 A KR 1020110020777A KR 20110020777 A KR20110020777 A KR 20110020777A KR 20120102893 A KR20120102893 A KR 20120102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air
engine room
intake
running wi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0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식
남종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0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2893A/ko
Publication of KR20120102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28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B60K1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radiators, radiator shutters, or radiator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6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ai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inta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62D25/084Radiator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9/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for charging or scaveng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B25/00, F02B27/00 or F02B33/00 - F02B39/00; Details thereof
    • F02B29/04Cooling of air intake supply
    • F02B29/0406Layout of the intake air cooling or coolant circuit
    • F02B29/0425Air cooled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1/00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31/20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for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700/00Supplying, feeding or preparing air, fuel, fuel air mixtures or auxiliary fluids for a combustion engine; Use of exhaust gas; Compressors for piston engines
    • F02M2700/43Arrangements for supplying air, fuel or auxiliary fluids to a combustion space of mixture compressing engines working with liquid fuel
    • F02M2700/4302Arrangements for supplying air, fuel or auxiliary fluids to a combustion space of mixture compressing engines working with liquid fuel whereby air and fuel are sucked into the mixture conduit
    • F02M2700/434Heating or cooling devices
    • F02M2700/4359Cool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주행풍유입장치(1)는 엔진룸의 전면부에 설치된 프론트엔드모듈(50)의 개구공간을 상하의 2부분으로 구획해 주행풍을 유입하는 상단에어덕트(20)와 하단에어덕트(10)로 구성되고, 더불어 프론트엔드모듈(50)의 상부쪽 개구공간에 설치된 상단에어덕트(20)에 직접연결되어 흡기덕트(40)쪽으로 흡기를 공급하는 연결에어덕트(30)로 구성됨으로써, 개선된 주행풍 유동효율로 쿨링모듈에 대한 냉각성능 향상과 엔진룸내 열유동도 최적화는 물론 주행풍의 직접적인 흡기흐름으로 주행시 흡압저감에 따른 흡기유량 증대와 아이들(IDLE)시 흡기 역류 방지로 흡기온도를 개선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주행풍유입장치{Wind Flux Intake Guiding Device}
본 발명은 주행풍유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엔진룸으로부터 역류되는 고온 공기를 흡기덕트로 유입되지 않도록 해 흡기온 상승을 차단하면서도 엔진룸으로 유입되는 공기 유량을 감소시키지 않는 주행풍유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룸에 설치된 엔진주위로는 에어필터를 거친 외기를 흡입하는 에어 인테이크와 연소실로 이어진 흡기 매니폴드로 구성된 인테이크 시스템(Intake System)과 냉방장치를 구성하는 콘덴서(Condenser) 및 엔진 냉각계를 구성하는 라디에이터(Radiator)가 설치되어진다.
통상, 인테이크 시스템은 인터쿨러의 냉각효율 상승시 엔진의 출력과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콘덴서는 냉각효율 상승시 차량 실내 냉방성능을 향상할 수 있으며, 라디에이터는 냉각효율 상승시 보다 원활하게 엔진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엔진룸의 전면부에는 주행중 주행풍을 엔진룸쪽으로 유입하기 위한 구조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는데, 이는 통상 엔진룸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개구공간을 갖는 프론트엔드모듈(Front End Module)과 라디에이터 그릴을 이용한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도 3은 엔진룸의 전면부를 이용한 주행풍 유입 구조의 한 예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룸의 전면부에는 프론트엔드모듈(100,Front End Module)이 조립되고, 상기 프론트엔드모듈(100)의 뒤쪽으로 쿨링팬을 갖춘 라디에이터(200)가 설치되어 프론트엔드모듈(100)의 개구공간을 통과한 주행풍을 엔진룸으로 배출시키며, 상기 프론트엔드모듈(100)의 앞쪽 상부부위로 그릴구조를 갖는 라디에이터그릴(300)이 설치되어 라디에이터그릴(300)을 통과한 주행풍을 흡기덕트쪽으로 보내주게 된다.
상기 라디에이터그릴(300)의 위쪽부위로는 프론트엔드모듈(100)을 이용해 흡기덕트(400)가 설치되어진다.
상기 흡기덕트(400)는 주행풍을 라디에이터그릴(300)의 위쪽에서 모아 에어 인테이크(Air Intake)쪽으로 보내주도록 덕트와 같은 공기통로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기덕트(400)의 아래쪽으로는 라디에이터그릴(300)의 좌우 양쪽측면을 가리도록 수직하게 에어가이드(500)가 설치됨으로써 주행풍의 좌우 분산을 막아주게 된다.
통상, 상기 흡기덕트(400)는 라디에이터그릴(300)의 위쪽에서 주행풍을 유입하므로 라디에이터그릴(300)과 서로 분리된 상태로 설치되고, 라디에이터그릴(300)에는 통과하는 주행풍의 일부가 흡기덕트(400)쪽으로 빠져나가도록 개구공간이 형성되어진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흡기덕트(400)가 라디에이터그릴(300)과 분리되고 이격된 위치에서 주행풍을 흡입하게 되면, 상기 흡기덕트(400)로는 엔진룸내 고온공기가 흡기덕트(400)의 앞쪽부위로 빠져나와 다시 흡기덕트(400)쪽으로 유입되는 역류현상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없는 구조적 취약함이 있게 된다.
즉, 도 3의 화살표와 같이 엔진룸내 고온공기는 프론트엔드모듈(100)의 좌우 양쪽 측면부위로 빠져나와 라디에이터그릴(300)과 흡기덕트(400)쪽으로 다시 빨려 들어감으로써, 엔진으로 공급되는 흡기의 온도가 상승되어 흡기유량감소를 가져오고 결과적으로 엔진동력 성능을 악화시킬 수 있게 된다.
통상, 상기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흡기덕트(400)와 엔진룸을 덮는 후드 사이로 형성되는 틈새(Gab)를 후드 실(Seal)로 막아주지만, 흡기덕트(400)의 유입구부위에 대한 밀폐기능이 없어 흡기온도의 상승현상을 차단하기엔 미흡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본 발명은 엔진룸에서 역류되는 고온공기의 흡기덕트쪽 유입 차단으로 엔진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상승을 방지함으로써 흡기온 상승에 따른 엔진동력성능 악화를 방지하고, 엔진룸의 전면부를 통과한 주행풍도 엔진룸쪽으로 집중유입시킬 수 있는 흡기유입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행풍유입장치는 엔진룸의 전면부를 이루는 프론트엔드모듈에 형성된 개구공간의 하단부위에서 유입된 주행풍이 엔진룸으로 배출되는 주행풍 냉각흐름을 형성하는 하단에어덕트와;
상기 개구공간의 상단부위에서 유입된 주행풍이 엔진룸으로 배출되는 또 다른 주행풍 냉각흐름을 형성하고, 유입된 상기 주행풍이 엔진룸으로 배출되기 전 상기 주행풍중 일부를 바이패스시켜 엔진으로 공급되는 흡기흐름을 형성하는 상단에어덕트;
를 포함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단에어덕트와 상기 상단에어덕트사이에는 백빔이 가로 질러 상기 프론트엔드모듈의 좌우양쪽에 결합되되, 상기 백빔은 상기 상단에어덕트부위로 위치되어진다.
상기 하단에어덕트와 상기 상단에어덕트는 덕트바디의 아래쪽을 이루는 서브덕트와 위쪽을 이루는 메인덕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서브덕트와 상기 메인덕트는 주행풍을 빨아들이도록 상기 덕트바디의 한쪽면에서 돌출되어진다.
상기 하단에어덕트의 서브덕트는 관구조인 반면, 상기 상단에어덕트의 서브덕트는 아래쪽부위를 튼 열린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단에어덕트와 상기 상단에어덕트의 각 메인덕트는 좌우양쪽측면 부위로 돌출된 가이드커버가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커버는 상기 프론트엔드모듈의 개구공간을 벗어난 위치에서 개구공간의 둘레주위를 감싸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하단에어덕트의 메인덕트는 위쪽부위를 튼 열린구조인 반면, 상기 상단에어덕트의 메인덕트는 관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단에어덕트에서 바이패스되는 일부 주행풍은 한쪽부위가 상기 상단에어덕트에 연결되고 반대쪽부위가 엔진으로 흡기를 공급하는 흡기덕트에 연결되어진 연결에어덕트로 유입되어진다.
상기 연결에어덕트는 상기 흡기덕트에 연결된 덕트바디의 반대쪽에서 돌출되어 상기 상단에어덕트에 연결된 한쌍의 좌ㅇ우분기덕트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은 엔진룸으로부터 엔진룸의 전면부로 역류되는 고온공기의 흡기덕트 유입을 차단하므로 흡기온 상승에 따른 제반 문제를 모두 해소할 수 있으며, 또한 주행풍 유입구조를 이용해 흡기덕트를 감싸므로 후드 실과 같은 별도의 기밀부재의 적용도 요구되지 않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흡기덕트를 감싸고 주행풍을 모아 엔진룸으로 보내주는 주행풍 유입구조를 이용하므로 엔진룸의 전면부 에 대한 디자인 개구면적을 최소화함은 물론, 보다 많은 주행풍 유량도입으로 엔진룸내 냉각효율을 높여 냉각 저항 감소로 인한 공력 성능을 크게 향상할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흡기덕트와 결합된 주행풍 유입구조를 분리결합되는 모듈구조로 만들어줌으로써 차종에 따른 공용화 정도도 크게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된다.
도 1(가),(나)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룸의 전면부에 설치된 주행풍유입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가),(나)는 본 발명에 따른 주행풍유입장치가 형성하는 주행풍 및 역류공기 흐름형성도이며, 도 3은 종래에 따른 엔진룸의 전면부를 이용한 주행풍 유입 구조와 엔진룸내 고온 공기의 역류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가)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엔진룸의 전면부에 설치된 주행풍유입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행풍유입장치(1)는 엔진룸의 전면부를 이루는 프론트엔드모듈(Front End Module)을 크게 2개의 부분으로 구획하여 주행풍을 유입시켜주는 한쌍의 하단에어덕트(10)와 상단에어덕트(20)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론트엔드모듈에 장착되어 엔진룸으로 흡기를 공급하는 흡기덕트(40)와 연결되는 연결에어덕트(30)가 상기 상단에어덕트(20)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진다.
상기 하단에어덕트(10)와 상기 상단에어덕트(20)는 차종에 따른 프론트엔드모듈의 형상에 맞추어 그 형상을 달리할 수 있다.
상기 연결에어덕트(30)는 상기 상단에어덕트(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 별도로 제조되어 상단에어덕트(20)에 형성된 구멍을 이용해 끼워져 조립되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상기 하단에어덕트(10)는 덕트바디(11)의 하단부위를 이루어 주행풍을 유입시키는 공기통로를 형성하는 서브덕트(12)와, 덕트바디(11)의 상단부위를 이루어 주행풍을 유입시키는 공기통로를 형성하는 메인덕트(13)로 이루어진다.
상기 서브덕트(12)와 메인덕트(13)는 덕트바디(11)에 대해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서브덕트(12)는 개구된 입구를 갖는 관구조인데 반해 상기 메인덕트(13)는 위쪽부위를 튼 열린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서브덕트(12)와 메인덕트(13)는 덕트바디(11)에 비해 좌우양쪽측면을 더 연장시킨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서브덕트(12)의 좌우양쪽측면길이는 상기 메인덕트(13)의 좌우양쪽측면길이에 비해 더 길게 형성되어진다.
상기 메인덕트(13)의 좌우양쪽측면 부위는 주행풍을 안쪽 공간으로 모아주도록 가이드커버(13a)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커버(13a)는 프론트엔드모듈의 개구공간을 벗어난 위치에서 개구공간을 감싸는 크기로 형성되어진다.
상기 상단에어덕트(20)는 덕트바디(21)의 하단부위를 이루어 주행풍을 유입시키는 공기통로를 형성하는 서브덕트(22)와, 덕트바디(21)의 상단부위를 이루어 주행풍을 유입시키는 공기통로를 형성하는 메인덕트(23)로 이루어진다.
상기 서브덕트(22)는 덕트바디(21)에 대해 돌출되어 아래쪽부위를 튼 열린구조로 이루어진 반면, 상기 메인덕트(23)는 덕트바디(21)에 대해 돌출되어 개구된 입구를 갖는 관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덕트(23)는 덕트바디(21)에 비해 좌우양쪽측면을 더 연장시킨 가이드커버(23a)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커버(23a)는 주행풍을 메인덕트(23)의 안쪽 공간으로 모아줌과 더불어 엔진룸에서 역류되는 고온공기가 메인덕트(23)의 안쪽 공간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차단시켜주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커버(23a)는 프론트엔드모듈의 개구공간을 벗어난 위치에서 개구공간을 감싸는 크기로 형성되어진다.
상기 연결에어덕트(30)는 유입된 주행풍을 배출하는 공기통로를 형성한 관구조의 덕트바디(31)와, 상기 덕트바디(31)의 좌우양쪽측면에서 돌출되어 주행풍을 유입하는 공기통로를 형성한 관구조의 좌ㅇ우분기덕트(32,33)로 이루어진다.
상기 덕트바디(31)는 엔진으로 흡기를 보내주는 흡기덕트(40)와 밀폐되어 연결되어진다.
상기 좌ㅇ우분기덕트(32,33)는 상단에어덕트(20)에 대한 결합을 용이하게 하도록 공기통로의 입구부위를 다소 절곡시킨 형상을 이루고, 그 중앙부위를 빈 공간으로 형성하여준다.
상기와 같이 좌ㅇ우분기덕트(32,33)가 끼워지는 상단에어덕트(20)의 메인덕트(23)에는 좌ㅇ우분기덕트(32,33)의 직경크기에 적합한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좌ㅇ우분기덕트(32,33)와 상단에어덕트(20)의 메인덕트(23)의 결합부위는 기밀처리되어진다.
도 1(나)는 주행풍유입장치를 설치한 엔진룸의 전면부 단면 구조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룸의 전면부를 이루는 프론트엔드모듈(50)에 주행풍유입장치(10)가 설치되면, 하단에어덕트(10)는 프론트엔드모듈(50)의 하단부위에서 프론트엔드모듈(50)의 개구공간 부위로 위치되어 주행풍을 통과시키고, 상단에어덕트(20)는 프론트엔드모듈(50)의 상단부위에서 프론트엔드모듈(50)의 개구공간 부위로 위치되어 주행풍을 통과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주행풍유입장치(10)가 조립되면, 하단에어덕트(10)의 메인덕트(13)가 프론트엔드모듈(50)의 개구공간에 위치됨으로써 메인덕트(13)로 들어온 주행풍과 서브덕트(12)로 유입된 주행풍이 프론트엔드모듈(50)의 개구공간을 통해 엔진룸쪽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러한 조립상태에서 상기 하단에어덕트(10)의 뒤쪽으로 인터쿨러(70)가 위치되면, 인터쿨러(70)는 하단에어덕트(10)를 빠져나오는 주행풍을 직접받아 집중적으로 냉각됨으로써 고성능 및 고출력 엔진에서 요구되는 고효율로 운용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인터쿨러(70)의 고효율구현은 보다 많은 주행풍을 유입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요구되었던 차량 외관 디자인 설계 자유도를 저하시키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주행풍유입장치(10)가 조립되면, 상단에어덕트(20)의 메인덕트(23)와 서브덕트(22)가 프론트엔드모듈(50)의 개구공간에 위치됨으로써 메인덕트(23)로 들어온 주행풍과 서브덕트(22)로 유입된 주행풍이 프론트엔드모듈(50)의 개구공간을 통해 엔진룸쪽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때, 상기 상단에어덕트(20)의 메인덕트(23)와 서브덕트(22)사이에는 백빔(60)이 가로질러 프론트엔드모듈(50)과 결합되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단에어덕트(20)는 백빔(60)이 먼저 조립된 후에도 백빔(60)과 프론트엔드모듈(50)사이의 틈새를 이용해 조립해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주행풍유입장치(10)가 조립되면, 연결에어덕트(30)가 상단에어덕트(20)의 메인덕트(23)로 빨려들어온 주행풍중 일부 주행풍을 빨아들이는 흡기흐름을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연결에어덕트(30)가 한쌍의 좌ㅇ우분기덕트(32,33)를 이용해 상단에어덕트(20)의 메인덕트(23)에 연결됨으로써, 메인덕트(23)로 빨려들어와 엔진룸으로 배출되는 주행풍 흐름에서 엔진룸으로 배출되기전에 일부 주행풍을 빨아들여 흡기덕트(40)쪽으로 직접 보내는 흡기흐름을 형성해 주게 된다.
도 2(가)는 본 실시예에 따른 주행풍유입장치를 설치한 엔진룸의 전면부의 주행풍 흐름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풍유입장치(10)는 엔진룸의 전면부를 이루는 프론트엔드모듈(50)에 형성된 개구공간을 통해 도입된 주행풍을 엔진룸으로 보내 쿨링모듈을 냉각시키는 주행풍 냉각흐름을 형성하고, 동시에 흡기덕트(40)로 외기를 공급하는 주행풍 흡기흐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주행풍 냉각흐름은 도2(가)에서 실선 화살표로 표시되며, 이는 프론트엔드모듈(50)의 하단부위쪽에 위치된 하단에어덕트(10)의 서브덕트(12)와 메인덕트(13)로 빨려들어오고 동시에 상단부위쪽에 설치된 상단에어덕트(20)의 서브덕트(22)와 메인덕트(23)로 빨려들어오는 주행풍도입흐름과, 상기 하단에어덕트(10)와 상기 상단에어덕트(20)를 빠져나와 프론트엔드모듈(50)의 개구공간을 거쳐 엔진룸쪽으로 들어가는 주행풍배출흐름으로 형성되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단에어덕트(10)는 메인덕트(13)의 좌우측면을 이루는 가이드커버(13a)로 프론트엔드모듈(50)의 개구공간을 감쌈으로서 주행풍을 메인덕트(13)의 안쪽 공간으로 모아 보다 안정적인 유동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상단에어덕트(20)는 메인덕트(23)의 좌우측면을 이루는 가이드커버(23a)로 프론트엔드모듈(50)의 개구공간을 감쌈으로서 주행풍을 메인덕트(23)의 안쪽 공간으로 모아 보다 안정적인 유동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단에어덕트(10)와 상단에어덕트(20)가 보다 안정적인 유동흐름과 함께 많은 주행풍 유량을 엔진룸쪽으로 보내줌으로써, 주행풍 흐름시 주행풍 유동효율이 개선되어 쿨링모듈에 대한 냉각성능도 크게 향상됨과 더불어 엔진룸내 열유동도 최적화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주행풍 흡기흐름은 도2(가)에서 굵은 실선 화살표로 표시되며, 이는 상단에어덕트(20)에 연결되어 흡기덕트(40)로 이어지는 연결에어덕트(30)가 상단에어덕트(20)의 메인덕트(23)를 통과하는 주행풍의 일부를 빨아들이는 흐름으로 형성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흡기덕트(40)가 연결에어덕트(30)를 통해 안정적으로 다량의 흡기유량을 공급받게 되면, 인테이크시스템에서는 주행시 흡압을 저감하여 흡기유량을 증대시킬 수 있고 아이들(IDLE)시 흡기 역류를 방지하여 흡기온도를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도 2(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주행풍유입장치가 엔진룸에서 역류된 고온공기를 차단시키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에어덕트(30)는 엔진룸에서 역류된 고온공기의 유입이 거의 없이 주행풍 만 빨아들이게 되는데, 이는 연결에어덕트(30)와 상단에어덕트(20)의 연결구조와 함께 상단에어덕트(20)의 형상에 기인되어진다.
즉, 엔진룸에서 고온공기가 파선화살표와 같이 연결에어덕트(30)와 상단에어덕트(20)쪽으로 역류되면, 상기 연결에어덕트(30)가 상단에어덕트(20)에 밀폐된 채로 연결되어 있어 연결에어덕트(30)를 통해 역류된 고온공기의 유입이 근본적으로 차단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동시에 상단에어덕트(20)쪽으로는 메인덕트(23)의 좌우측면을 이루는 가이드커버(23a)가 프론트엔드모듈(50)의 개구공간을 감쌈으로서, 역류된 고온공기가 메인덕트(23)의 안쪽 공간에 직접적으로 유입되는 현상도 차단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엔진룸에서 역류된 고온공기가 연결에어덕트(30)로 거의 유입되지 않게 되고, 이러한 효과로 인해 흡기덕트(400)와 엔진룸을 덮는 후드 사이로 형성되어진 틈새(Gab)를 후드 실(Seal)로 막지 않아도 되고, 또한 연결에어덕트(30)에 이어진 흡기덕트(40)쪽으로 흘러가는 공기의 온도상승이 방지됨으로써 흡기온 상승에 따른 엔진동력성능 악화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 : 주행풍유입장치 10 : 하단에어덕트
11,21,31 : 덕트바디 12,22 : 서브덕트
13,23 : 메인덕트 20 : 상단에어덕트
30 : 연결에어덕트 32,33 : 좌ㅇ우분기덕트
40 : 흡기덕트 50 : 프론트엔드모듈(Front End Module)
60 : 백빔 70 : 인터쿨러

Claims (9)

  1. 엔진룸의 전면부를 이루는 프론트엔드모듈에 형성된 개구공간의 하단부위에서 유입된 주행풍이 엔진룸으로 배출되는 주행풍 냉각흐름을 형성하는 하단에어덕트와;
    상기 개구공간의 상단부위에서 유입된 주행풍이 엔진룸으로 배출되는 또 다른 주행풍 냉각흐름을 형성하고, 유입된 상기 주행풍이 엔진룸으로 배출되기 전 상기 주행풍중 일부를 바이패스시켜 엔진으로 공급되는 흡기흐름을 형성하는 상단에어덕트;
    를 포함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풍유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단에어덕트와 상기 상단에어덕트사이에는 백빔이 가로 질러 상기 프론트엔드모듈의 좌우양쪽에 결합되되, 상기 백빔은 상기 상단에어덕트부위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풍유입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단에어덕트와 상기 상단에어덕트는 덕트바디의 아래쪽을 이루는 서브덕트와 위쪽을 이루는 메인덕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서브덕트와 상기 메인덕트는 주행풍을 빨아들이도록 상기 덕트바디의 한쪽면에서 돌출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풍유입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단에어덕트의 서브덕트는 관구조인 반면, 상기 상단에어덕트의 서브덕트는 아래쪽부위를 튼 열린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풍유입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단에어덕트와 상기 상단에어덕트의 각 메인덕트는 좌우양쪽측면 부위로 돌출된 가이드커버가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커버는 상기 프론트엔드모듈의 개구공간을 벗어난 위치에서 개구공간의 둘레주위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풍유입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단에어덕트의 메인덕트는 위쪽부위를 튼 열린구조인 반면, 상기 상단에어덕트의 메인덕트는 관구조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풍유입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단에어덕트에서 바이패스되는 일부 주행풍은 한쪽부위가 상기 상단에어덕트에 연결되고 반대쪽부위가 엔진으로 흡기를 공급하는 흡기덕트에 연결되어진 연결에어덕트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풍유입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연결에어덕트는 상기 흡기덕트에 연결된 덕트바디의 반대쪽에서 돌출되어 상기 상단에어덕트에 연결된 한쌍의 좌ㅇ우분기덕트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풍유입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좌ㅇ우분기덕트는 상기 덕트바디의 좌우양쪽측면에서 돌출되고 끝부위를 절곡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풍유입장치.
KR1020110020777A 2011-03-09 2011-03-09 주행풍유입장치 KR201201028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777A KR20120102893A (ko) 2011-03-09 2011-03-09 주행풍유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777A KR20120102893A (ko) 2011-03-09 2011-03-09 주행풍유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2893A true KR20120102893A (ko) 2012-09-19

Family

ID=47111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0777A KR20120102893A (ko) 2011-03-09 2011-03-09 주행풍유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289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63729A1 (ko) * 2015-04-09 2016-10-1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액티브 에어 플랩
CN107719474A (zh) * 2016-08-10 2018-02-23 福特全球技术公司 具有作为前端区域中的车身的部件的框架状装配支架的机动车辆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63729A1 (ko) * 2015-04-09 2016-10-1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액티브 에어 플랩
CN107719474A (zh) * 2016-08-10 2018-02-23 福特全球技术公司 具有作为前端区域中的车身的部件的框架状装配支架的机动车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1539B1 (ko) 주행풍유도덕트 및 이를 적용한 엔진룸구조
CN208349374U (zh) 抽油烟机
JP2016145572A (ja) 後部に配置された過給内燃機関を有する自動車両
JP4578511B2 (ja) 内燃機関のエアクリーナ装置
CN108716442A (zh) 具有并联污染物管理特征的被动管理机罩和充压室进给的进气系统
JP6500646B2 (ja) エンジンの吸気装置
US9528427B2 (en) Intake system for engine
CN105804897B (zh) 发动机的进气装置
KR20120102893A (ko) 주행풍유입장치
JP2006347385A (ja) 車体の前部構造
JP6089790B2 (ja) 車両用エンジンの吸気装置
CN106065807B (zh) 用于改善碰撞性能的双管型的中冷器空气引导件
JP2018094948A (ja) 車両用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2007092696A (ja) 車両吸気ダクトの吸気取入構造
JP2015145220A (ja) 自動車の前部構造
JP2014141908A (ja) 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2013174128A (ja) インタークーラ
CN208669476U (zh) 一种车辆
CN208982191U (zh) 一种摩托车空滤器
JP2017056838A (ja) 車両
CN101144412A (zh) 一种静音发电机组的通风结构
CN201103446Y (zh) 一种静音发电机组的通风结构
JP7327152B2 (ja) 内燃機関の吸気ダクト
JP2007090962A (ja) ラジエータ周辺部品の配置構造
CN108869124A (zh) 一种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