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2992A - 식품세절기 - Google Patents

식품세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2992A
KR20050032992A KR1020040047115A KR20040047115A KR20050032992A KR 20050032992 A KR20050032992 A KR 20050032992A KR 1020040047115 A KR1020040047115 A KR 1020040047115A KR 20040047115 A KR20040047115 A KR 20040047115A KR 20050032992 A KR20050032992 A KR 20050032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support
cutters
food support
c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7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4006B1 (ko
Inventor
이재경
Original Assignee
애니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니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애니텍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50032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2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4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40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18Cutting fish into por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20Shredding; Cutting into cubes; Fl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육 등의 식품을 능률적으로 균일하게 세절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식품세절기의 소형화 및 세절 작업성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식품세절기는 복수의 평커터(22)를 평행으로 배치한 커터유니트(14)를 왕복이동가능하게 구비함과 동시에, 이들 복수의 평커터(22)가 통과 가능한 복수의 슬릿을 형성한 식품받침대(15)를 왕복이동가능하게 구비한다. 식품(13)을 세절 할 경우에는 커터유니트(14)를 식품받침대(15)의 슬릿(29)의 입구측에서 출구측으로 이동시키면서, 그 역방향으로 상기 식품받침대(15)를 이동시킴으로써 식품받침대(15)에 놓은 식품을 상기 복수의 평커터(22)로 복수의 조각으로 세절한다. 그리고 식품받침대(15)로부터 세절된 식품(13)을 꺼낸 후 커터유니트(14)와 식품받침대(15)를 각각 원래의 위치로 되돌린다.

Description

식품세절기{ Slicer for food}
본 발명은 어육 등의 식품을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복수개의 조각으로 한꺼번에 세절하는 식품세절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선을 생선회로 할 경우에는 조리사가 도마에 놓은 어육을 손으로 누르면서 식칼로 1장씩 적당한 두께로 세절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어육 등의 식품을 식칼로 1매씩 세절하는 작업은 대단히 수고스럽다. 게다가 어느 정도 숙련된 조리사가 아니면 어육 등의 식품을 능률적으로 균일한 두께로 세절할 수 없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기계적으로 식품을 세절하는 식품세절기가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식품세절기는 복수의 커터를 소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치함과 동시에, 어육 등의 식품을 얹어두는 식품받침대에 그들 복수의 커터가 통과 가능한 복수의 슬릿을 세절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하고, 식품을 높은 식품받침대를 복수의 커터의 전단측으로부터 후단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식품받침대에 놓은 식품을 자동적으로 복수의 커터로 동시에 복수개의 조각으로 세절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구성의 식품 세절기에서는 식품받침대를 복수의 커터의 전단측으로부터 후단측까지 슬라이드 이동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식품받침대의 이동거리(스트로크)가 길어져 식품 세절기가 대형화된다는 결점이 있다. 게다가 세절 전의 식품을 놓은 때의 식품받침대의 위치와, 세절한 식품을 꺼낼 때의 식품받침대의 위치가 식품받침대의 이동거리(스트로크) 만큼 떨어지므로 식품 받침대의 이동거리가 길면 작업성이 나쁘다는 결점도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식품세절기가 가진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식품을 능률적으로 균일하게 세절할 수 있음과 동시에, 소형화 및 작업성 향상의 요구를 만족할 수 있는 식품 세절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식품세절기는, 소정의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커터와, 이들 복수의 커터가 통과 가능한 복수의 슬릿이 세절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식품받침대와, 복수의 커터와 식품받침대를 서로 역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왕복이동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왕복이동기구에 의해 상기 복수의 커터를 상기 식품받침대의 상기 슬릿의 입구측으로부터 출구측으로 이동시키면서, 그 역방향으로 상기 식품받침대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식품받침대에 놓은 식품을 상기 복수의 커터로 동시에 복수의 조각으로 세절하고, 상기 복수의 커터를 상기 식품받침대의 상기 슬릿의 출구측으로부터 입구측으로 이동시키면서, 그 역방향으로 상기 식품받침대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복수의 커터와 상기 식품받침대를 초기위치로 되돌리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식품받침대에 놓은 어육 등의 식품을 복수의 커터로 동시에 복수의 조각으로 세절 할 수 있으므로,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식품을 능률적으로 균일하게 세절할 수 있다. 게다가 사람이 손으로 식품을 세절할 필요가 없으므로 안전면이나 위생면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커터와 식품받침대를 서로 역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했으므로 식품받침대만(또는 커터만)을 왕복이동시키는 구성에 비해 식품받침대의 이동거리(스트로크)를 1/2정도로까지 단축할 수 있고, 그 만큼 식품세절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게다가 식품받침대의 이동거리(스트로크)가 짧아지게 됨으로써 세절 이전의 식품을 놓을 때의 식품받침대의 위치와, 세절한 식품을 꺼낼 때의 식품받침대의 위치가 가까워져 작업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청구항 2와 같이 왕복이동기구는 하나의 모터로 상기 복수의 커터와 식품받침대 모두를 구동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커터와 식품받침대의 공통의 구동원으로서 하나의 모터를 구비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며, 커터와 식품받침대의 각각에 전용의 구동원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더욱 소형화, 원가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커터의 왕복동작과 식품받침대의 왕복 동작을 복잡한 제어를 이용하지 않고 기계적으로 연동시켜 간단하게 동기시킬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의 식품세절기에서는 평행으로 배치된 복수의 커터의 경사각도나 간격(피치)를 변경함으로써 식품의 세절각도나 세절 간격을 변경할 수 있는데, 커터의 경사각도나 간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그에 맞춰 슬릿의 경사각도나 간격을 바꿀 필요가 있으므로, 슬릿이 형성된 식품받침대를 교환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식품받침대를 왕복이동기구에 대해서 탈착하는 작업은 수고스럽기 때문에 슬릿의 경사각도나 간력을 변경하는데 필요한 작업시간이 길어져 버린다.
그래서 청구항 3과 같이 슬릿이 형성된 식품받침대를 왕복이동기구에 의해 왕복이동하는 받침대 지지부로 교환 가능하게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받침대 지지부에 부착된 식품받침대를 교환하는 것만의 간단한 작업으로 슬릿의 경사각도나 간격을 변경할 수 있으며, 세절조건(세절각도나 세절간격)의 변경이 용이해짐과 동시에, 슬릿의 경사각도나 간격마다 받침대 지지부를 준비할 필요가 없어져, 저가격화의 요구도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슬릿이 형성된 식품받침대를 간단하게 분리하여 청소할 수 있으므로, 잘린 부스러기 등이 부착되기 쉬운 슬릿이나 그 주변부의 청소 작업이 용이해진다는 이점도 있다.
그리고 청구항 4와 같이 복수의 커터를 유니트화하여 왕복이동기구에 의해 왕복이동하는 커터 지지부에 일체적으로 교환 가능하게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복수의 커터를 유니트화한 커터유니트를 별도의 커터유니트로 교환하기만 하는 간단한 작업으로 복수의 칼의 경사각도나 간격을 일괄하여 변경할 수 있으며, 세절 조건의 변경작업을 더욱 간단화할 수 있다. 또한 커터유니트를 간단하게 분리하여 청소할 수 있으므로 잘린 부스러기 등이 부착되기 쉬운 칼날이나 그 주변부의 청소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청구항 5와 같이 복수의 커터를 식품받침대에 놓은 식품을 왕복 양방향에서 세절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복수의 커터가 왕복운동할 때의 가는 길과 오는 길 양쪽에서 식품을 세절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세절 작업능률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식품세절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품세절기(11)의 본체프레임(12)의 상부에는 어육, 햄, 돼지고기 구운 요리 등의 식품(13, 도 8참조)를 세절하기 위한 커터유니트(14)가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이 커터유니트(14)의 측방에 식품(13)을 놓는 식품받침대(15)가 수평방향(커터유니트14의 이동방향과 평행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터유니트(14)와 식품받침대(15)의 하방에는 커터유니트(14)의 왕복이동에 이용하는 복수개(예를들어 3게)의 슬라이드축(16)과, 식품받침대(15)의 왕복이동에 이용하는 복수개(예를들어 2개)의 슬라이드축(17)이 수평방향(커터유니트14 및 식품받침대15의 왕복이동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커터유니트(14)용의 슬라이드축(16)에는 슬라이드베어링(18)을 통해 커터 지지프레임(19, 커터 지지부)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며, 이 커터 지지프레임(19)의 상부에 커터유니트(14)가 교환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한편 식품받침대(15)용의 슬라이드축(17)에는 슬라이드베어링(20)을 통해 받침대 지지테이블(21, 받침대 지지부)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며, 이 받침대 지지테이블(21)의 상부에 식품지지대(15)가 교환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터유니트(14)는 복수의 평커터(22)를 커터 지지판(23)에 고정하여 유니트화한 것으로, 각 평커터(22)는 대략 삼각형상(도 6 참조)으로 형성되며, 날끝이 하향이 되도록 부착되어 있다. 커터유니트(14)는 각 평커터(22)가 식품받침대(15)의 상면(수평면)에 대해서 소정의 경사각도(예를들어 30°,45°,60°, 90° 등)만큼 경사진 상태로 각 평커터(22)가 소정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커터유니트(14, 커터 지지판(23))의 양단부와 커터 지지프레임(19)의 측면상단부를 잘라버릴 수 있는 연결구(24)로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커터유니트(14)가 커터 지지프레임(19)에 교환 가능하게 고정되어, 커터유니트(14)가 커터 지지프레임(19)과 일체적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커터 지지판(23)의 상면 양측부에는 커터유니트(14)를 휴대하기 위한 손잡이(25)가 부착되며, 커터유니트(14)를 별도의 커터유니트로 교환함으로써 평커터(22)의 경사각도나 간격을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평커터(22)의 상부 전단과 상부 후단에는 각각 부착홈(26, 도 6참조)이 구비되며, 각 평커터(22)의 전단의 부착홈(26)에 1매의 고정판(27)을 삽통함과 동시에 각 평커터(22)의 후단의 부착홈(26)에 1매의 고정판(27)을 삽통하고, 양 고정판(27)을 커터 지지판(23)에 나사 등으로 고정함으로써 복수의 평커터(22)가 일괄하여 커터 지지판(23)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품받침대(15)의 상면에는 복수의 식품받침플레이트(28)가 소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이들 각 식품받침플레이트(28)간에 커터유니트(14)의 복수의 평커터(22)가 통과 가능한 복수의 슬릿(29)이 세절방향(커터유니트14 및 식품받침대15의 왕복이동방향)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들 슬릿(29)은 평커터(22)와 동일한 경사각도와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식품받침플레이트(28)는 거의 L자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슬릿(29)의 출구측에 식품(13)의 어긋남을 방지하는 식품스토퍼(30, 도 3 참조)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식품받침대(15)의 하면에는 복수의 고정구멍(31)이 구비되어 있음과 동시에,받침대 지지테이블(21)의 상면에는 복수의 고정핀(32)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며, 식품받침대(15)의 각 고정구멍(31)에 받침대 지지테이블(21)의 각 고정핀(32)이 끼워져 있다. 이로써 식품받침대(15)가 수평방향으로 위치결정 고정된 상태로 받침대 지지테이블(21)로 교환가능하게 지지되어, 식품받침대(15)가 받침대 지지테이블(21)과 일체적으로 왕복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식품받침대(15)의 양측면에는 식품받침대(15)를 휴대하기 위한 손잡이공(33)이 구비되며, 식품받침대(15)를 별도의 식품받침대로 교환함으로써 슬릿(29)의 경사각도나 간격을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커터유니트(14)와 식품받침대(15)의 왕복이동기구(34)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터유니트(14)와 식품받침대(15)의 공통의 구동원인 모터(35)의 회전축에는 감속기구 등(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구동축(36)이 연결되어 있다. 이 구동축(36)에는 구동기어(37)가 일체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이 구동기어(37)에 제1의 피니언기어(38)와 제2의 피니언기어(39)가 맞물려 있다.
그리고 제1의 피니언기어(38)에 맞물린 제1의 랙기어(40)가 커터 지지프레임(19)에 고정되어 있다. 이로써 모터(35)로 구동되는 구동기어(37)의 회전운동이 제1의 피니언기어(38)와 제1의 랙기어(40)에 의해 제1의 랙기어(40)의 직선운동으로 변환되고, 이 제1의 랙기어(40)와 일체적으로 커터 지지프레임(19) 및 커터유니트(14)가 슬라이드 이동한다.
한편 제2의 피니언기어(39)에 맞물린 제2의 랙기어(41)가 받침대 지지테이블(21)에 고정되어 있다. 이로써 모터(35)로 구동되는 구동기어(37)의 회전운동이 제2의 피니언기어(39)와 제2의 랙기어(41)에 의해 제1의 랙기어(41)의 직선운동으로 변환되고, 이 제2의 랙기어(41)와 일체적으로 받침대 지지테이블(21) 및 식품받침대(15)가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 경우 공통의 구동기어(37)에 맞물린 제1의 피니언기어(38)와 제2의 피니언기어(39)는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제1의 피니언기어(38)의 하부측에서 맞물린 제1의 랙기어(40)와, 제2의 피니언기어(39)의 상부측에서 맞물린 제2의 랙기어(41)은 서로 역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커터유니트(14)와 식품받침대(15)는 서로 역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왕복이동기구(34)는 커터유니트(14)와 식품받침대(15)가 각각 도 8의 (a)에 나타낸 초기 위치(커터유니트(14)가 식품받침대(15)의 슬릿(29)의 입구측이 되는 위치)가 되어 있을 때, 본체프레임(12)에 구비된 핸드스위치(42)(또는 본체프레임(12)의 하방으로 구비된 풋스위치)를 온으로 하면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터(35)가 정회전하여 커터유니트(14)가 식품받침대(15)의 슬릿(29)의 입구측으로부터 출구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식품받침대(15)가 그 역방향으로 이동하여 커터유니트(14)와 식품받침대(15)가 각각 도 8의 (a)에 도시한 초기 위치로부터 도 8의 (b)에 나타낸 세절 종료위치(커터유니트(14)가 식품받침대(15)의 슬릿(29)의 출구측이 되는 위치)로 이동한다.
그 후 커터유니트(14)와 식품받침대(15)가 각각 도 8의 (b) 에 도시한 세절 종료위치가 되어 있을 때 핸드스위치(42)(또는 풋스위치)를 온으로 하면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35)가 역회전하여 커터유니트(14)가 식품받침대(15)의 슬릿(29)의 출구측으로부터 입구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식품받침대(15)가 그 역방향으로 이동하여 커터유니트(14)와 식품받침대(15)가 각각 도 8의 (b)에 도시된 세절 종료위치로부터 도 8의 (a)에 도시된 초기위치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핸드스위치(42)(또는 풋스위치)를 온으로 할때마다 커터유니트(14)와 식품받침대(15)가 서로 역방향으로 이동하여 커터유니트(14)가 식품받침대(15)의 슬릿(29)의 입구측으로부터 출구측까지의 사이를 상대적으로 왕복 이동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식품세절기(11)에서는 어육 등의 식품(13)을 세절하는 경우, 우선 커터유니트(14)와 식품받침대(15)를 각각 도 8의 (a)에 나타낸 초기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식품(13)을 식품받침대(15)에 세트한다.
그 후 핸드스위치(42)(또는 풋스위치)을 온으로 하여 커터유니트(14)와 식품받침대(15)를 각각 도 8의 (a)에 도시한 초기위치로부터 도 8의 (b)에 나타낸 세절 종료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커터유니트(14)를 식품받침대(15)의 슬릿(29)의 입구측으로부터 출구측으로 이동시키면서 그 역방향으로 식품받침대(15)를 이동시켜 식품받침대(15)에 놓은 식품(13)을 복수의 평커터(22)로 동시에 복수의 조각으로 세절한다.
그후 식품받침대(15)로부터 세절된 식품(13)을 꺼낸 후 재차 핸드스위치(42)(또는 풋스위치)를 온으로 하여 커터유니트(14)와 식품받침대(15)를 각각 도 8의 (b)에 나타낸 세절 종료위치로부터 도 8의 (a)에 나타낸 초기위치로 이동시킨다.
그에 따라 커터유니트(14)를 식품받침대(15)의 슬릿(29)의 출구측으로부터 입구측으로 이동시키면서 그 역방향으로 식품받침대(15)를 이동시켜 커터유니트(14)와 식품받침대(15)를 초기위치로 되돌린다.
또한 세절조건, 예컨대 식품 13의 세절각도나 세절간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커터유니트(14)를 별도의 커터유니트로 교환하여 평커터(22)의 경사각도나 간격을 변경하고, 그에 따라 식품받침대(15)를 별도의 식품받침대로 교환하여 슬릿(29)의 경사각도나 간격도 변경한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예에서는 식품받침대(15)에 놓은 어육 등의 식품(13)을 복수의 평커터(22)로 동시에 복수의 조각으로 세절할 수 있으므로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식품(13)을 능률적으로 균일하게 세절할 수 있다. 게다가 사람이 손으로 식품(13)을 세절할 필요가 없으므로 안전면이나 위생면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커터유니트(14)(복수의 평커터 22)와 식품받침대(15)를 서로 역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도록 구성했으므로, 식품받침대(15)만(또한 커터유니트 14만)을 왕복이동시키는 구성에 비해 식품받침대(15)의 이동거리(스트로크)를 1/2정도로까지 단축할 있으며, 그만큼 식품슬러이서(11)를 소형화할 수 있다. 게다가 세절 전의 식품(13)을 놓을 때의 식품받침대(15)의 위치(초기위치)와 세절된 식품(13)을 꺼낼 때의 식품받침대(15)의 위치(세절 종료위치)가 가까워지므로, 식품(13)을 세절할 때의 작업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모터(35)로 커터유니트(14)와 식품받침대(15)의 양쪽을 구동하도록 했으므로 커터유니트(14)와 식품받침대(15)의 공통의 구동원으로서 하나의 모터(35)를 구비하는 것 만으로 충분하며, 커터유니트(14)와 식품받침대(15)의 각각에 전용의 구동원을 구비할 필요가 없고, 또한 소형화, 저가격화가 가능하다. 또한 커터유니트(14)의 왕복 동작과 식품받침대(15)의 왕복 동작을 복잡한 제어를 이용하지 않고 기계적으로 연동시켜 간단하게 동기시킬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슬릿(29)이 형성된 식품받침대(15)를 받침대 지지테이블(21)로 교환가능하도록 했으므로, 세절조건(식품 13의 세절각도나 세절간격)을 변경할 때 받침대 지지테이블(21)에 부착된 식품받침대(15)를 교환하는 것만의 간단한 작업으로 슬릿(29)의 경사각도나 간격을 변경할 수 있음과 동시에, 슬릿(29)의 경사각도나 간격마다 받침대 지지테이블(21)을 준비할 필요가 없어지며, 간단하면서도 저가격으로 세절조건의 변경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슬릿(29)가 형성된 식품받침대(15)를 간단하게 분리하여 청소할 수 있으므로 잘라낸 부스러기 등이 부착되기 쉬운 슬릿(29)나 그 주변부의 청소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평커터(22)를 유니트화한 커터유니트(14)를 커터 지지프레임(19)으로 교환가능하게 구비하도록 했으므로, 세절조건을 변경할 때 커터유니트(14)를 별도의 커터유니트로 교환하는 것만의 간단한 작업으로 복수의 평커터(22)의 경사각도나 간격을 일괄하여 변경할 수 있으며, 세절조건의 변경 작업을 더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커터유니트(14)를 간단하게 분리하여 청소할 수 있으므로 잘린 부스러기 등이 부착되기 쉬운 평커터(22)나 그 주변부의 청소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식품받침대(15)와 커터유니트(14)를 세절 종료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되돌리는 동작에서는 식품(13)을 세절할 수 없지만,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커터(43)를 식품받침대(15)에 놓은 식품(13)을 왕복 양방향에서 세절 가능한 예를들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평커터(43)를 부착한 커터유니트(14)를 식품받침대(15)의 슬릿(29)의 입구측으로부터 출구측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동작과, 슬릿(29)의 출구측으로부터 입구측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에 대해서 각각 식품받침대(15)상의 식품(13)을 복수의 평커터(43)로 동시에 복수의 조각으로 세절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식품받침대(15)의 슬릿(29)의 입구측과 출구측의 양쪽에 식품(13)의 어긋남을 방지하는 식품스토퍼(30)을 구비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커터유니트(14)(복수의 평커터43)가 왕복이동할 때의 오는 길과 가는 길의 양쪽에서 식품(13)을 세절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세절 작업능률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왕복이동기구(34)를 피니언기어(38,39)와 랙기어(40,41)를 이용하여 커터유니트(14)나 식품받침대(15)를 왕복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왕복이동기구(34)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왕복이동기구(34)를 예를들어 크랭크기구를 이용하여 커터유니트(14)나 식품받침대(15)를 왕복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좋은 등, 왕복이동기구(34)의 구성을 적절히 변경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모터(35)로 커터유니트(14)와 식품받침대(15)의 양쪽을 구동하도록 하였으나, 커터유니트(14)와 식품받침대(15)를 각각 별도의 모터로 구동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세절조건을 변경할 때 커터유니트(14)를 교환하도록 하였으나, 커터 지지판(23)만을 별도의 커터 지지판으로 교환하여 이 별도의 커터 지지판에 평커터(22)(또는 43)를 바꿔 부착함으로써 평커터(22)(또는 43)의 경사각도나 간격을 변경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다른 세절조건에 대해 평커터(22)(또는 43)를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날끝이 직선상으로 형성된 평커터(22, 또는 43)를 이용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들어 날끝이 파형상이나 원호상의 평커터를 이용해도 좋은 등, 커터의 형상을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식품받침대에 놓은 어육 등의 식품을 복수의 커터로 동시에 복수의 조각으로 세절 할 수 있으므로,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식품을 능률적으로 균일하게 세절할 수 있다. 게다가 사람이 손으로 식품을 세절할 필요가 없으므로 안전면이나 위생면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커터와 식품받침대를 서로 역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했으므로 식품받침대만(또는 커터만)을 왕복이동시키는 구성에 비해 식품받침대의 이동거리(스트로크)를 1/2정도로까지 단축할 수 있고, 그 만큼 식품세절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게다가 식품받침대의 이동거리(스트로크)가 짧아지게 됨으로써 세절 이전의 식품을 놓을 때의 식품받침대의 위치와, 세절한 식품을 꺼낼 때의 식품받침대의 위치가 가까워져 작업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왕복이동기구는 하나의 모터로 상기 복수의 커터와 식품받침대 모두를 구동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커터와 식품받침대의 공통의 구동원으로서 하나의 모터를 구비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며, 커터와 식품받침대의 각각에 전용의 구동원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더욱 소형화, 원가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커터의 왕복동작과 식품받침대의 왕복 동작을 복잡한 제어를 이용하지 않고 기계적으로 연동시켜 간단하게 동기시킬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왕복이동기구는 하나의 모터로 상기 복수의 커터와 식품받침대 모두를 구동하도록 구성하여 커터와 식품받침대의 각각에 전용의 구동원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더욱 소형화, 원가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커터의 왕복동작과 식품받침대의 왕복 동작을 복잡한 제어를 이용하지 않고 기계적으로 연동시켜 간단하게 동기시킬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식품받침대를 왕복이동기구에 의해 왕복이동하는 받침대 지지부로 교환 가능하게 하면 받침대 지지부에 부착된 식품받침대를 교환하는 것만의 간단한 작업으로 슬릿의 경사각도나 간격을 변경할 수 있으며, 세절조건(세절각도나 세절간격)의 변경이 용이해짐과 동시에, 슬릿의 경사각도나 간격마다 받침대 지지부를 준비할 필요가 없어져, 저가격화의 요구도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슬릿이 형성된 식품받침대를 간단하게 분리하여 청소할 수 있으므로, 잘린 부스러기 등이 부착되기 쉬운 슬릿이나 그 주변부의 청소 작업이 용이해진다는 이점도 있다.
그리고 복수의 커터를 유니트화하여 왕복이동기구에 의해 왕복이동하는 커터 지지부에 일체적으로 교환 가능하게 구성하면, 복수의 커터를 유니트화한 커터유니트를 별도의 커터유니트로 교환하기만 하는 간단한 작업으로 복수의 칼의 경사각도나 간격을 일괄하여 변경할 수 있으며, 세절 조건의 변경작업을 더욱 간단화할 수 있다. 또한 커터유니트를 간단하게 분리하여 청소할 수 있으므로 잘린 부스러기 등이 부착되기 쉬운 칼날이나 그 주변부의 청소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복수의 커터를 식품받침대에 놓은 식품을 왕복 양방향에서 세절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하면 복수의 커터가 왕복운동할 때의 가는 길과 오는 길 양쪽에서 식품을 세절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세절 작업능률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식품세절기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식품세절기의 일부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식품세절기의 일부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커터유니트 및 커터 지지프레임의 종단 정면도,
도 5는 커터유니트의 종단 측면도,
도 6은 평커터의 측면도,
도 7은 식품받침대 및 받침대 지지테이블의 종단 정면도,
도 8은 왕복이동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구성도,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커터유니트의 종단 도시한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식품세절기 13: 식품
14: 커트유니트 15: 식품받침대
19: 커트 지지프레임(커터지지부) 21: 받침대 지지테이블(받침대 지지부)
22: 평커터 23: 커터지지판
24: 연결구 28: 식품받침플레이트
29: 슬릿 31: 고정구멍
32: 고정핀 34: 왕복이동기구
35: 모터 36: 구동축
37: 구동기어 38: 제1피니언기어
39: 제2피니언기어 40: 제1랙기어
41: 제2랙기어 43: 평커터

Claims (5)

  1. 소정의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커터(22,43)와,
    상기 복수의 커터(22,43)가 통과가능한 복수의 슬릿(29)이 세절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어육(魚肉) 등의 식품(13)을 얹어 지지하는 식품받침대(15)와,
    상기 복수의 커터(22,43)와 상기 식품받침대(15)를 서로 역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왕복이동기구(34)를 구비하며,
    상기 왕복이동기구(34)에 의해 상기 복수의 커터(22,43)를 상기 식품받침대(15)의 상기 슬릿(29)의 입구측에서 출구측으로 이동시키면서, 그 역방향으로 상기 식품받침대(15)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식품받침대(15)에 놓은 식품(13)을 상기 복수의 커터(22,43)로 동시에 복수의 조각으로 세절하고, 상기 복수의 커터(22,43)를 상기 식품받침대(15)의 상기 슬릿(29)의 출구측으로부터 입구측으로 이동시키면서, 그 역방향으로 상기 식품받침대(15)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복수의 커터(22,43)와 상기 식품받침대(15)를 초기위치로 되돌리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세절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이동기구(34)는 하나의 모터로 상기 복수의 커터(22,43)와 상기 식품받침대(15) 모두를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세절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받침대(15)는 상기 왕복이동기구(34)에 의해 왕복 이동하는 받침대 지지부(21)로 교환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세절기.
  4.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커터(22,43)는 유니트로 되어 상기 왕복이동기구(34)에 의해 왕복이동하는 커터지지부(19)에 일체적으로 교환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세절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커터(22,43)는 상기 식품받침대(15)에 놓인 식품(13)을 왕복 양방향에서 세절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커터(22,43)를 상기 식품받침대(15)와 상기 슬릿(29)의 입구측으로부터 출구측으로 이동시키는 동작과 상기 복수의 커터(22,43)를 상기 식품받침대(15)의 상기 슬릿(29)의 출구측으로부터 입구측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에 의해, 각각 식품(13)을 상기 복수의 커터(22,43)로 세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세절기.
KR1020040047115A 2003-10-02 2004-06-23 식품세절기 KR1006040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43939 2003-10-02
JP2003343939A JP2005103736A (ja) 2003-10-02 2003-10-02 食品スライ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2992A true KR20050032992A (ko) 2005-04-08
KR100604006B1 KR100604006B1 (ko) 2006-07-25

Family

ID=34537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7115A KR100604006B1 (ko) 2003-10-02 2004-06-23 식품세절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5103736A (ko)
KR (1) KR1006040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849B1 (ko) * 2004-10-01 2006-09-19 애니텍 주식회사 육 고기와 어류의 자동 분리 세절 장치
KR101243979B1 (ko) * 2010-06-25 2013-04-18 강건희 칼날의 경사각과 간격을 이용한 생육, 생선, 홍어의 세절 방법
CN112895570A (zh) * 2021-01-20 2021-06-04 宜春惠众生物能源有限公司 一种机制炭用热压塑化成型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64276B2 (ja) * 2012-01-11 2016-02-17 和椿科技股▲フン▼有限公司 ナノ微細構造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3093U (ja) * 1993-01-08 1994-07-19 興研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切り粉の付着を少なくした冷凍魚肉用多列丸ノコ切断機
JP2760763B2 (ja) * 1995-07-31 1998-06-04 株式会社アスカ イカの紐状切断方法及びその切断装置
JP2000157155A (ja) 1998-11-30 2000-06-13 Ishinomaki Suisan Tekko:Kk 魚の切り身製造機
KR200172787Y1 (ko) 1999-06-29 2000-03-15 하나테크주식회사 채낚기 어업용 미끼세절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849B1 (ko) * 2004-10-01 2006-09-19 애니텍 주식회사 육 고기와 어류의 자동 분리 세절 장치
KR101243979B1 (ko) * 2010-06-25 2013-04-18 강건희 칼날의 경사각과 간격을 이용한 생육, 생선, 홍어의 세절 방법
CN112895570A (zh) * 2021-01-20 2021-06-04 宜春惠众生物能源有限公司 一种机制炭用热压塑化成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4006B1 (ko) 2006-07-25
JP2005103736A (ja) 2005-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114748U (zh) 用于肉、菜、瓜果切割片薄及锯骨的一体机
KR102024843B1 (ko) 고기 꼬치 제조장치
CN105619473A (zh) 食物切割器
ATE116185T1 (de) Aufschnittschneidemaschine.
KR101076438B1 (ko) 근채류 절단기
US20070252024A1 (en) Reciprocating blade and circumferentially driven blade food preparation device
KR100604006B1 (ko) 식품세절기
US20070022860A1 (en) Apparatus for slicing vegetable or fruit
CN209095670U (zh) 一种切片机
CN112428371A (zh) 一种竹制品加工用竹片分割设备
CN209533469U (zh) 多功能切菜切肉机
US3614970A (en) Meat cubing machine
CN212218625U (zh) 食物自动切片装置及智能烹饪机
CN213005629U (zh) 一种可变角度式切片机
JP5099928B2 (ja) 根菜類の千切り装置
KR101149575B1 (ko) 주방용 식품 절단기
JP2004358632A (ja) 食品スライサ
CN217852584U (zh) 料理机
CN217256476U (zh) 一种中药材切片装置
CN217852583U (zh) 料理机
CN216913972U (zh) 等距切菜机
CN115590053B (zh) 一种食品加工用冻肉切片机
CN219152963U (zh) 一种肉夹馍切口装置
JP3075372B2 (ja) 調理器
CN2251333Y (zh) 食品蔬菜加工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