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1924A - 차량 도어 프레임 및 상기 차량 도어 프레임을 구비한차량 도어 - Google Patents

차량 도어 프레임 및 상기 차량 도어 프레임을 구비한차량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1924A
KR20050031924A KR1020040076438A KR20040076438A KR20050031924A KR 20050031924 A KR20050031924 A KR 20050031924A KR 1020040076438 A KR1020040076438 A KR 1020040076438A KR 20040076438 A KR20040076438 A KR 20040076438A KR 20050031924 A KR20050031924 A KR 20050031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vehicle door
door
cutout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6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무니에미셸
므루프랑수아폴
Original Assignee
아빈메리터 라이트 비이클 시스템즈 -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빈메리터 라이트 비이클 시스템즈 - 프랑스 filed Critical 아빈메리터 라이트 비이클 시스템즈 -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050031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192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01Upper door structure
    • B60J5/0406Upper door structure window frame formed separately as modu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7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01Upper door structure
    • B60J5/0402Upper door structure window frame details, including sash guides and glass ru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1Belt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도어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프레임(12)은 프레임의 상부와 측부들을 형성하는 외형부(14)를 포함한다. 프레임 측부(22)의 하단(22a)은,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프레임의 나머지 부분보다 더 두껍다. 일실시예에서, 접속부(16)가 외형부(14)에 고정되고, 프레임 측부 하단은 접속부와 외형부에 의해 형성된다. 이는 프레임 상부에서의 강도 조건에 맞는 적절한 단면을 구비한 외형부를 제작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보다 큰 굽힘 응력을 받도록 설계된 프레임 부분을 보강한다.

Description

차량 도어 프레임 및 상기 차량 도어 프레임을 구비한 차량 도어{VEHICLE DOOR FRAME AND VEHICLE DOOR EQUIPPED THEREWITH}
본 발명은 차량 도어(door)용의 프레임과 이러한 프레임을 가지는 도어에 관한 것이다.
차량 도어는 도어의 셸부분(shell section) 또는 박스부분에 끼워진 윈도우 글래스 프레임(window glass frame)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길이방향 축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의 굽힘강도는, 재료의 강도와 관련하여, 상기 셸에 끼워진 상기 프레임의 다리부분들에 주어진 관성모멘트(이하 간단히 "관성"이라 칭함)에 의해 정해진다. 상기 프레임의 관성은 프레임의 상부에서보다 프레임의 측부 하단에서 더 작아야 한다. 그리고, 도어 프레임은 일반적으로 압출성형에 의해 얻어지는 일정한 단면형상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프레임 단면의 크기는 프레임의 측부 하단에 주어지는 관성에 의해 결정된다. 그 결과, 프레임의 상부는 프레임의 측부들과 동일한 관성을 갖게 될 것이고, 이는 프레임의 상부의 크기가 지나치게 커지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는 프레임 상부에서의 과잉 재료로부터 초래되는 도어의 중량 및 비용 증가라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보다 가볍고 덜 비싼 도어 프레임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 도어용 프레임으로서, 상기 프레임의 상부 및 측부들을 형성하는 외형부(profiled section)를 포함하고, 프레임의 측부 하단에서의 두께가, 상기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프레임의 나머지 부분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프레임을 제공한다.
두께가 더 두꺼운 프레임의 측부 하단은 도어에 고정하기 위한 두 개의 고정부재들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재들 중 하나는 외형부로 할 수 있다.
외형부는 일정한 단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은 외형부에 고정되는 접속부(interface portion)를 더욱 가지고, 프레임의 측부 하단은 접속부와 외형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은 두께가 보다 두꺼운 하단 가까이의 프레임의 두꺼운 부분에 절결부(cut-out portion)를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접속부는 상기 절결부에서 외형부에 고정된다.
프레임은, 두께가 보다 두꺼운 프레임의 측부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슬릿(slit) 또는 개구(aperture)를 프레임의 평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가지고, 프레임의 상기 측부의 하단은 서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는 외형부의 두 절반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의 두 측부들의 하단에서의 두께는,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프레임의 나머지 부분의 두께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프레임은 각각 절결부 내에서 외형부에 고정된 두 개의 접속부를 포함하며, 프레임의 각 측부의 하단은 상기 외형부와 두 개의 접속부에 의해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프레임의 평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프레임은 두 측부들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슬릿 또는 개구를 가질 수 있고, 프레임의 두 측부들의 하단은 서로 떨어져 배치된 외형부의 두 절반부분들에 의해 형성된다.
절결부, 또는 슬릿이나 개구는 윈도우 글래스 시일(seal)에 의해 덮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 셸과 상기 프레임을 포함하고, 프레임이 도어 셸에 고정된 차량 도어가 또한 제공된다.
외형부가 일정한 단면적을 유지하는 프레임의 측부 하단은 도어 셸 내부로 관통하여 들어가는 곳에서 바깥쪽으로 벌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접속부는 윈도우 글래스 미끄럼대(slideway)일 수 있다.
접속부는 윈도우 글래스의 곡률에 따라 도어 셸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및 이점들은, 단지 예시로서만 주어지고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아래의 몇몇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분명히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프레임의 상부와 측부들을 형성하는 외형부를 포함하고, 프레임의 측부 하단에서의 프레임의 두께가,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프레임의 나머지 부분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차량 도어 프레임을 제공한다. 따라서, 프레임의 관성은 접속부를 형성하는 부분에 의해 측부 하단에서 보강된다. 이는, 프레임 상부의 강도 조건에 적합한 치수로 외형부를 제조하는 동시에, 프레임에서 최대 굽힘 하중을 받도록 설계된 부분의 관성을 보강할 수 있게 한다. 프레임 상부에 하중이 덜 가해지므로, 외형부의 단면적이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은 재료 및 비용 절감효과가 있다.
아래에서, 차량의 길이방향 또는 주행방향을 부호 X로, 주행방향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을 부호 Y로, 그리고 차량의 수직방향을 부호 Z로 구별하겠다.
도 1은 차량 도어(10)의 사시도이다. 도어는 도어 셸(shell)(13)에 끼워진 프레임(12)을 포함한다. 프레임은 올려진 윈도우 글래스의 위치를 유지하고 윈도우 글래스 가장자리 둘레의 실링(sealing)을 보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도면부호 14는 프레임(12)의 외형부(profiled section)를 나타낸다. 외형부(14)는 프레임(12)의 상부(20)와 측부들(22,24)을 형성한다. 상부(20)는 차량 지붕과 접촉하도록 설계된다. 측부들(22,24)의 하단들(22a,24a)은 도어 셸(13)에 끼워진다. 도면 부호 22b, 24b는 측부들(22,24)이 프레임의 상부(20)와 결합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측부들(22,24)과 상부(20)는 일체형 구조물의 하나의 연속적인 외형부(14)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부들(22,24)은 대략 수직으로 하거나 또는 차량에 대하여 경사지게 할 수 있다. 하단들(22a,24a)은 셸(13)과 프레임(12) 사이의 경계를 구획한다. 하지만, 프레임(12)은 셸(13) 내부로 연장될 수도 있다. 외형부(14)는 예를 들어, 압출성형(extrusion), 딥 드로잉(deep drawing) 또는 벤딩(bending)에 의해 만들어진다.
외형부의 단면적은 프레임의 상부에 최소의 관성을 주어 프레임 상부에 요구되는 강성 제한조건을 충족시키도록 선택된다. 예를 들어, 프레임 상부는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차량 지붕 시일(seal)을 압박할 만큼 충분히 단단하다. 또한 프레임 상부는 차량의 Y방향 외향 굴곡을 제한할 만큼 충분히 단단하기도 하다. 이것은,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중이고 도어 프레임이 차량의 외부를 향하여 흡출(吸出)될 때 특히 적용된다. 프레임의 단면적은 프레임의 상부(20)에 대하여 정해진 것과 일치하여 일정하도록 선택된다. 일정한 단면적을 갖는 프레임은 제작을 용이하게 한다. 게다가, 단면적이 프레임 상부에 대한 강도 조건의 함수로서 결정되므로, 프레임 상부는 더 이상 과도한 크기로 되지 않으며 따라서 재료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도 1의 A-A 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프레임의 외형부의 예시적인 실시예이다. 외형부는 프레임의 중량을 감소시키고 윈도우 글래스(30)용 시일(32)이 제 위치에 유지되도록 보장하는 결정된 형상을 가진다. 외형부(14)는 튜브형 단면, 예를 들어 정사각형 단면의 직립부(26)를 포함하여 중량을 감소시킨다. 연장부(28)는 직립부(26)로부터 연장된다. 연장부(28)는 윈도우 글래스(30)용 시일(32)이 제 위치에 유지되도록 보장한다. 프레임(12)에 의해 둘러싸인 윈도우 글래스(30)는 프레임(12)과 윈도우 글래스(30) 사이의 실링 접촉(sealing contact)이 보장되는 상태로 시일(32) 내의 슬롯(slot)에서 미끄러져 움직인다. 시일(32)은 연장부(28)가 삽입되는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시일은,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에 대하여 가로지르거나 평행한 움직임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윈도우 글래스와의 보다 우수한 접촉을 보장하는 립(lip)(3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차량의 전체적인 실링이 보다 우수하게 되도록 보장한다. 시일(32)은 상승위치의 윈도우 글래스 주변을 따라서 프레임의 측부들(22,24)과 상부(20)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는 도 1에서 가로지르는 Y방향으로 측정된다. 도 2에서는, 두께는 윈도우 글래스(30)의 평면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측정된다. 프레임의 두께는 연장부(28)의 자유단(free end)으로부터 시작하여 직립부(26)의 반대측까지로 하여 측정된다. 도 1에서는, 측부(22)의 하단(22a)의 두께가 프레임의 나머지 부분들의 두께보다 더 크다. 측부(22)의 하측부는 프레임의 나머지 부분들보다 더 두껍다. 따라서, 프레임의 측부(22)의 상측부의 두께, 또는 프레임의 상부(20)의 두께는 덜 두껍다. 프레임은 응력이 최대인 영역에서는 더 두껍고, 응력이 그보다 낮은 프레임의 나머지 부분에서는 덜 두껍다. 더 두꺼운 두께는 프레임 측부의 하단을 강화하기 위한 설계이며, 한편 프레임의 나머지 부분들은 보강 또는 강화되지 않는다. 프레임은 측부 하단에서 측부(22)의 길이의 절반 이하에 걸쳐서 더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하단에서의 더 두꺼운 두께는 프레임 상부 두께에 이르기 위해 프레임 상부를 향하여 움직임에 따라 감소한다. 더 두꺼운 두께는 예를 들어, 등축(isometric) 굽힘 응력 성능에 도달하고 성능과 비용 사이의 절충을 최적화하도록 선택된 프레임 길이에 걸쳐 연장된다.
도 1은 프레임(12)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프레임(12)은 외형부(14)에 고정된 접속부(interface portion)(16)를 포함한다. 프레임(12)의 측부(22)의 하단(22a)은 접촉면(16)과 외형부(14)로 구성된다. 이는, 측부(22)의 하단에서 프레임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게 한다. 프레임에 의해 형성된 평면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프레임의 두께가 사실상 증대됨으로써 Y방향으로의 굽힘 하중에 보다 잘 버틸 수 있게 한다. 프레임은 측부의 하단에서 보강부를 포함하는 반면, 프레임의 나머지 부분들은 보다 얇은 두께의 외형부(14)로 구성된다. 이것이 프레임을 강화하면서도 재료의 절감을 보장하는 간단한 방법이다.
프레임(12)은 프레임의 두꺼운 부위에 절결부(cut-out portion)(18)를 포함할 수 있다. 절결부(18)는 최대 두께를 갖는 측부의 하단(22a) 가까이에 있다. 접속부(16)가 절결부(18) 내의 외형부(14)에 고정된다. 도 1에서는, 절결부(18)는 프레임의 측부(22)의 두꺼운 부분에 형성되었다. 절결부(18)는 사용되는 기술에 관계없이 일종의 절단공구로 프레임의 일부를 떼어냄으로써 얻어진다. 절결부는 절삭가공, 달리 말하면 재료의 점진적 제거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절결부는 프레임에 형성된 오목부일 수도 있다. 프레임의 두꺼운 부위에 있는 절결부는 윈도우 글래스 평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Y방향으로 형성된다. 절결부(18)를 프레임의 측부들 사이에 X방향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면 절결부(18)는 X방향으로 프레임의 양 측부에서 모두 개방되지는 않을 것이다. 절결부(18)는 프레임의 측부(22)의 하단(22a)까지 연장될 수도, 아닐 수도 있다. 따라서 절결부(18)는 측부(22)를 따라서 두 개의 상부 비절결영역 및 하부 비절결영역에 의해 범위가 제한되거나, 또는 위쪽으로 절결되지 않은 영역을 가질 수도 있다.
절결부(18)는 접속부(16)가 외형부와 적어도 소정 길이에 걸쳐 완전히 결합될 수 있게 한다. 이는 프레임의 미관상 매력과 차량의 실링에 유리한 보다 연속적인 프레임을 제공한다. 절결부(18)는 프레임(12)의 측부의 하단에 가까이 있다. 절결부는 측부의 하단이 강화되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수용하도록 설계되므로, 절결부는 접속부(16)가 측부(22)의 하단까지 연장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절결부는 측부(22)의 길이의 절반 이하에 걸쳐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결부는 예를 들어, 등축 굽힘 응력 성능 프로파일을 제공하도록 또한 성능/비용 절충을 최적화하도록 선택되는 길이에 걸쳐서 연장된다.
접속부(16)는 측부(22)의 하단의 관성을 보강할 수 있게 한다. 프레임은 프레임의 상부(20)가 견뎌야 하는 힘에 상응하는 치수로 된 일정한 단면적을 가지는 한편, 프레임은 셸(13) 내에서 고정된 곳에서 보강된다. 윈도우 글래스(30)에 수직한 Y방향으로는, 외형부(14)에 의해 구성된 프레임(12)의 하측부 및 접속부(16)가 외형부(14)에 의해 구성된 프레임(12)의 상측부만의 경우보다 더 큰 관성모멘트를 가지며, 이로써 프레임(12)에 더 큰 굽힘 강성 및 비틀림 강성을 제공한다. 이는 프레임이 측부(22) 하단에서 받는 굽힘 응력 및 비틀림 응력을 견딜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응력을 덜 받는 프레임의 나머지 부분들에 대하여 재료를 절감할 수 있게 한다.
도 3은 B-B 선을 따라서 도시한 프레임(12)의 단면을 도시한다. 프레임(12)은 절결부(18)를 구비한 외형부(14)를, 접속부(16)와 함께 포함한다. 접속부(16)는 예를 들어 압출성형되거나 또는 딥 드로잉된 외형부이다. 접속부(16)는 외형부(14)의 연장부를 형성한다. 접속부(16)는 외형부(14)의 튜브형 단면을 마무리한다. 절결부(18)가 외형부에 U자형 단면을 부여하기 때문에, 접속부(16)는 이에 어울리는 U자형 단면을 가진다. 접속부(16)는 외형부(14)의 정사각형 단면을 완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속부(16) 또한 정사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도 1에서와 같이, 프레임은 휘어질 수 있다. 절결부(18)는 차량 내부를 향하는 볼록한 쪽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의 주변에 걸쳐 연속적인 경로의 실링이 있기 때문에, 절결부(18)는 차량 실링에 있어 덜 불리하다. 도 3에서, 접속부(16)는 연장부(28)를 지지하고 연장시킨다. 시일(32)이 접속부(16)를 따라서 연장되어 보다 우수한 실링을 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서, 프레임(12)은 차량 내부의 공간을 증대하기 위하여 휘어져 있다. 이를 위해서, 셸의 내벽은 거의 수직으로 하는 한편 프레임은 차량 지붕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연장될 수 있다. 외형부(14)는 도어 셸에 끼워진 곳에서는 거의 수직이며 그 후 지붕 방향으로 기울어진다. 접속부(16)는 외형부에서 지붕을 향하여 기울어진 부분에 걸쳐서 처음에는 외형부(14)와 일체이지만, 그 후 접속부(16)는 외형부(14)가 쭉 뻗어서 도어 셸로 들어갈 때 외형부(14)에 대하여 접선방향으로 연장된다. 접속부(16)는 윈도우 글래스 표면의 곡률에 따라 셸(13) 내부로 연장됨으로써 외형부(14)로부터 점차 멀어져 간다. 이와 같이 접속부(16)는 측부(22)의 하단에서 Y방향으로 프레임(12)의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게 한다. 프레임의 하단 또는 베이스에서, 프레임(12)의 두꺼운 부분은 외형부(14)의 두께와 함께 접속부(16)의 두께를 포함한다.
Y방향으로 프레임 두께를 증가시키면 도어 셸에서 Y방향의 굽힘 응력 또는 Z방향의 비틀림 응력에 대하여 프레임의 베이스를 강화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프레임의 외형부(14)는 프레임(12)의 상부(12)의 최소 관성의 함수로서 그 크기가 정해지고, 외형부(14)에 조립된 접속부(16)는 적어도 프레임과 도어 셸의 경계에서는 프레임 관성을 증가시킬 수 있게 한다. 프레임 두께는 증가되는 반면 프레임 상부의 치수를 과대하게 크게 할 필요는 방지된다. 이는 사용되는 재료의 양을 줄일 수 있게 한다.
접속부(16)는 용접에 의해 프레임(12)에 고정될 수 있다. 용접선(36)이 도 1 및 도 3에 도시된다. 프레임(12)의 미관상 매력과 음향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절결부(18)는 하나 이상의 트림(trim)(37)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절결부(18)는 예를 들어, 윈도우 글래스 시일(32)에 의해 덮일 수 있다. 그렇다고 한다면, 도 3에서, 시일(32)이 외형부(14)를 향하여 연장되어 용접선(36)을 감추고 트림(37)과 일체화된다. 이것의 장점은 동일한 부품이 동시에 실링과 마스킹(덮음)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절결부(18)가 시일(32)에 의해 덮이는 울퉁불퉁한 부분을 만들어낸다는 점은 실링의 관점에서는 아무런 영향이 없다. 게다가, 시일(32)은 또한 절결부(18)의 존재가 윈도우 글래스를 안내하는 데에도 아무런 영향이 없도록 보장한다. 도어는 보다 빠르게 조립될 수 있는데, 왜냐하면 마스킹이 부분적으로만, 즉 프레임(12)의 내측 또는 외측에 대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프레임(12)은 접속부들(16,16')을 각각 수용하도록 설계된 두 개의 절결부(18,18')를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측부들(22,24)의 각 하단(22a,24a)은 외형부(14)와 접속부들(16,16')에 의해 각각 형성된다. 프레임은 두 개의 접속부들(16,16')을 포함하고, 접속부들 각각은 외형부에 의해 절결부에 고정되며, 프레임의 측부의 하단은 외형부와 두 개의 접속부들로부터 형성된다. 따라서, 프레임은 양 측부들(22,24)의 하단에서 보강되는 반면, 프레임의 나머지 부분들은 단면적을 최소로 하여 사용되는 재료의 양을 줄인다.
도 1에서, 도어는 객실 내측을 향하는 내판와 객실 외측을 향하는 외판 사이에 구획된 도어 셸(13)을 포함한다. 도어 셸(13)은 거기에 끼워진 프레임(12)을 가지며, 또한 윈도우 레귤레이터, 증폭스피커 또는 도어 록 등 도시되지 않은 도어 장치들을 포함한다. 또한 도어 셸(13)은 윈도우 글래스(30)가 하강될 때 윈도우 글래스(30)를 수용할 수 있게 한다. 윈도우 글래스(30)는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의해 직선으로 움직이며 직선 운동시에 하나 이상의 미끄럼대(slideway)에 의해 안내된다. 미끄럼대는 도어 셸(13) 내부에서 뿐 아니라 외부에서도 윈도우 글래스를 안내한다. 접속부(16)가 미끄럼대인 것이 바람직하고, 양 접속부(16,16')가 모두 미끄럼대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접속부들(16,16')은 도어 셸(13) 내부에서 프레임(12)을 따라 연장된다. 접속부들(16,16')은 더 큰 굽힘 강도를 가지므로, 이는 굽힘 하중에 대하여 프레임의 베이스를 보강할 수 있게 한다. 더욱이, 미끄럼대에 대하여 하나 또는 둘의 접속부들을 사용함으로써 도어에 이미 존재하는 부품들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에서, 도어는 강화부재(40)를 포함한다. 강화부재(40)는, 특히 정면 충돌의 경우에, 도어(10)를 더욱 단단하게 만들며, 또한 프레임 강성에 도움이 된다. 강화부재(40)는 예를 들어 도어 셸(13)의 상부, 프레임(12) 아래에서 연장된다. 강화부재(40)는 예를 들어 직사각형 단면의 빔(beam)이다. 강화부재(40)는 프레임(12)의 하단들(22a,24a) 사이에서 X방향으로 연장된다. 접속부들(16,16')은 프레임 내부로부터 프레임(12)까지 연장되어 강화부재(40) 둘레로 뻗을 수 있다. 이는 접속부들이 윈도우 글래스 미끄럼대로서 작용할 때 유리하다. 접속부들(16,16')은 도어 셸(13)의 외판쪽에서 강화부재(40) 둘레로 뻗는다. 외형부(14) 또한 강화부재(40)를 우회하여 도어 셸 내판 측면을 따라서 도어 셸 내부를 향하여 연장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프레임(12)이 도어 셸 내부로 연장되어 강화부재(40)를 둘러쌈으로써 굽힘 강성을 증대시키게 한다. 다른 방법으로는, 보다 쉬운 합체를 위해, 외형부(14)는 강화부재(40)에서 멈추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1의 도어의 측면도이다. 외형부(14), 절결부(18), 절결부(18)에서 외형부(14)에 고정된 접속부(16), 및 강화부재(40)를 볼 수 있다. 접속부(16)는 도어 셸(13) 안으로 연장되고, 강화부재(40)를 우회한다. 외형부(14)는 그 하단에서 강화부재(40)에 용접된다. 접속부(16)는 강화부재(40)의 일측에 인접하게 놓여져 예를 들어 용접선(36)에 의해 강화부재(4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는 접속부(16)의 강성과 함께 프레임(12)의 그 하단(22a)에서의 강성을 증가시킨다.
도 5는 도 1의 측면도로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프레임의 평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프레임은 보다 큰 두께의 측부(22)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슬릿(slit) 또는 개구(50)를 가진다. 프레임 측부의 하단(22a)은 서로 떨어져 있는 두 개의 절반 외형부들(14a,14b)에 의해 형성된다. 도 1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절반 외형부(14a)는 외형부(14)와 동일한 장점을 가지고, 절반 외형부(14b)는 접속부(16)와 동일한 장점을 가진다. 특히, 절반 외형부(14b)는 윈도우 글래스 미끄럼대로서 작용할 수 있다.
도어 프레임(12)의 외형부를 내측 외형부(14a)와 윈도우 글래스 미끄럼대(14b)로 분리하는 것은 외형부를 윈도우 글래스 표면에 평행한 평면에서 분할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고, 두 개의 절반 외형부들은 서로로부터 떨어져 배치된다. 트림(37)으로 슬릿 또는 개구의 존재에 의해 형성되는 빈틈을 막을 수 있다.
도 1, 도 4 및 도 5는 고정부(42)를 도시한다. 고정부(42)는 외형부(14) 및, 필요하다면 접속부(16)를 강화부재(40)에 고정할 수 있게 한다. 고정부(42)는 예를 들어 도어 셸(13)의 가장자리 벽체의 일부분이다. 고정부(42)를 외형부(14), 접속부(16) 및 강화부재(40)에 고정하는 것은 나사결합, 용접결합 또는 기타 구조조립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 도 4 및 도 5에서, 프레임(12)은 도어 셸(13)에 끼워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프레임의 측부(22) 또는 측부들(22,24)의 하단은 상기 하단을 도어에 고정하기 위한 두 개의 부재들로 이루어진다. 고정부재들은 Y방향으로 배치된다. 도 1 및 도 4에서, 고정부재들은 외형부(14) 및 접속부(16)이다. 도 5에서는, 고정부재들은 두 개의 절반 외형부들(14a,14b)로 분리된 외형부(14)이다. 이는 프레임의 평면에 수직이고 Y방향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보다 나은 안정성을 보장한다. Y방향으로의 고정부재들은 프레임의 두께를 증가시킨다.
프레임(12)은 이와 같이 도어 셸에 끼워지는 것을 통해 그 하단(22a,24a) 중 하나에 고정되고, 타단, 즉 프레임의 상부(20)에서는 구속되어 있지 않다. 프레임(12)은 베이스가 도어 셸에 고정되어 있고, 도어 셸에 의해 외팔보 방식으로 고정유지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레임은 프레임(12)과 도어 셸(13) 사이의 경계 또는 접합점을 넘어 도어 셸(13) 안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절반 외형부(14b)의 접속부(들)(16,16')가 도어 셸(13) 안으로 연장될 수 있다. 프레임(12)은 예를 들어 도어 셸(13)의 상부 가장자리를 통해 도어 셸(13) 안으로 삽입된다.
도어 셸(13)이 Y방향으로 프레임보다 더 두꺼우므로, 이는 프레임(12)과 도어 셸(13) 사이의 경계에 불연속이 존재한다는 것을 뜻한다. 고정부재들(14,16,14a,14b)에 의해 구성되는 프레임(12)의 측부(22)의 하단(22a)은 프레임 측부 하단이 도어 셸(13) 안으로 관통해서 들어갈 때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방식으로 펴지도록 한다. 도 4의 외형부(14), 또는 도 5의 절반 외형부(14a)는 이와 같이 도어 셸(13)의 내판을 따라서 도어 셸(13) 안으로 관통해 들어갈 수 있다. 이는 도어의 내벽의 보다 우수한 연속성을 보장한다. 도 4의 접속부(16), 또는 도 5의 절반 외형부(14b)는 윈도우 글래스에 평행하게 비스듬하게 도어 셸 안으로 관통해 들어간다. 접속부(16) 또는 절반 외형부(14b)는 도어 셸(13)의 볼록한 형상 또는 부풀어 오른 형상을 보다 잘 추종하며, 도어의 외벽에서 도어 셸(13)과 프레임(12) 사이의 연속성을 보장한다. 이는 도어의 내벽과 외벽의 보다 우수한 연속성을 증진시킨다. 따라서, 프레임(12)이 도어 셸(13) 안으로 관통해 들어가는 영역들에서 도어에 대한 실링을 보장하는 것이 더욱 용이해진다.
본 발명은 예로서 설명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접속부(16)는 외형부(14)의 단면보다 더 큰 단면을 가질 수 있고, 다음으로 접속부(16)는 외형부(14)와 포개지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더욱이, 고정부(42)는 프레임 두께의 증가에 무관하게 특허가능한 특징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보다 가벼우면서 또한 비용이 덜 드는 차량용 도어 프레임 및 도어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도 1의 A-A 선 및 B-B 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4는 도 1의 도어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도어의 측면도로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Claims (15)

  1. 차량 도어용의 프레임(12)으로서, 상기 프레임의 상부와 측부들을 형성하는 외형부(14)를 포함하고, 프레임 측부(22)의 하단(22a)에서의 두께가, 상기 프레임(12)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의 나머지 부분들의 두께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두께가 더 두꺼운 프레임 측부 하단이 도어에 고정하기 위한 두 개의 고정부재들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프레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들 중 하나는 외형부(profiled section)(14)인 차량 도어용 프레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형부(14)가 일정한 단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프레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형부(14)에 고정된 접속부(16)를 더욱 포함하고, 프레임 측부의 상기 하단이 접속부와 외형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프레임.
  6. 제5항에 있어서, 두께가 더 두꺼운 측부 하단 가까이에서 프레임의 두꺼운 부분에 절결부(18)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16)가 상기 절결부(18) 내에서 상기 외형부(14)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프레임.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레임의 평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두께가 더 두꺼운 측부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슬릿 또는 개구를 가지고, 상기 측부 하단은 서로 떨어져 배치된 두 개의 절반 외형부들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프레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레임의 두 측부들(22,24)의 하단(22a,24a)에서의 두께가, 상기 프레임(12)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의 나머지 부분의 두께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프레임.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 절결부 내에서 상기 외형부(14)에 고정된 두 개의 접속부들(16,16')을 포함하고, 프레임의 각 측부의 하단은 상기 외형부와 두 개의 접속부들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프레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평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두 측부들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슬릿 또는 개구를 가지고, 두 측부들의 하단은 서로 떨어져 배치된 두 개의 절반 외형부들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프레임.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절결부(18) 또는 슬릿 또는 개구가 윈도우 글래스 시일(window glass seal)(32)에 의해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프레임.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도어 셸(13) 및 프레임(12)을 포함하고, 프레임이 도어 셸에 고정되는 차량 도어(10).
  13. 제12항에 있어서, 일정한 단면적의 외형부를 구비한 프레임(12) 측부 하단이, 도어 셸(13) 안으로 관통하여 들어가는 곳에서 바깥으로 벌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16)가 윈도우 글래스 미끄럼대(slidewa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16)가 윈도우 글래스의 곡률에 따라 도어 셸 안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KR1020040076438A 2003-09-30 2004-09-23 차량 도어 프레임 및 상기 차량 도어 프레임을 구비한차량 도어 KR200500319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311426A FR2860189A1 (fr) 2003-09-30 2003-09-30 Cadre de porte de vehicule, et porte avec un tel cadre
FR0311426 2003-09-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1924A true KR20050031924A (ko) 2005-04-06

Family

ID=34307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6438A KR20050031924A (ko) 2003-09-30 2004-09-23 차량 도어 프레임 및 상기 차량 도어 프레임을 구비한차량 도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50066584A1 (ko)
JP (1) JP2005104461A (ko)
KR (1) KR20050031924A (ko)
CN (1) CN1605707A (ko)
FR (1) FR28601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2375A (ja) * 2001-09-04 2003-03-12 Honda Motor Co Ltd 自動車用サッシュドア及びそれの製造方法
WO2004098934A1 (es) * 2003-05-07 2004-11-18 Grupo Antolin-Ingenieria, S.A. Modulo de puerta
US7210730B2 (en) * 2004-02-26 2007-05-01 Nishikawa Rubber Co., Ltd. Mounting structure of automobile door
JP5895520B2 (ja) * 2011-12-27 2016-03-3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フレーム
JP5776589B2 (ja) * 2012-02-28 2015-09-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ドア構造
JP2016084055A (ja) * 2014-10-28 2016-05-19 シロキ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フレーム
JP6245188B2 (ja) * 2015-02-06 2017-12-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フレーム構造
FR3046754A3 (fr) * 2016-01-18 2017-07-21 Renault Sas 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27153A1 (de) * 1982-07-21 1984-02-02 Ford-Werke AG, 5000 Köln Fahrzeugtuer, insbesondere fuer personenkraftwagen
IT1239848B (it) * 1990-01-05 1993-11-15 E.M.A.R.C. S.R.L. Telaio a cornice per porta di autoveicolo e porta che lo comprende.
US5095655A (en) * 1991-04-23 1992-03-17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side door assembly having four sided flush glass window
GB2258185B (en) * 1991-08-01 1994-11-09 Draftex Ind Ltd Frames for windows
GB2272469B (en) * 1992-11-13 1996-05-15 Draftex Ind Ltd Frames for windows
JPH07329572A (ja) * 1994-06-08 1995-12-19 Sankei Giken Kogyo Kk 自動車のサイドドア
JP3791035B2 (ja) * 1996-02-13 2006-06-2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ドアフレーム及び車両ドアフレームの製造方法
DE19854775B4 (de) * 1998-08-10 2004-07-29 Wagon Automotive Gmbh Kraftfahrzeugtür mit einem Tür-Rahmenmodul
DE19947209A1 (de) * 1999-10-01 2000-03-16 Audi Ag Fensterrahmen für eine Fahrzeugtür
EP1253035B1 (de) * 2001-04-24 2005-09-21 DURA Automotive Plettenberg Entwicklungs- und Vertriebs GmbH Einschweissrahmen für eine Kraftfahrzeugtür
EP1340640A1 (de) * 2002-02-13 2003-09-03 Wagon Automotive GmbH Türrohbau für eine Kraftfahrzeugtür, Profilrahmen für einen Türrohbau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rofilrahmens für einen Türrohbau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05707A (zh) 2005-04-13
US20050066584A1 (en) 2005-03-31
JP2005104461A (ja) 2005-04-21
FR2860189A1 (fr) 2005-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9384A (en) Door shell of a vehicle
EP1145889A2 (en) Sealing a moveable and an abutting fixed window pane of a motor vehicle
EP2610094A2 (en) Door frame for vehicle
US7300097B2 (en) Door for vehicle
EP1914100A1 (en) Window frame for a vehicle door
JP2005280693A (ja) 車体構造
JP6336740B2 (ja) サッシュ部材
US9394006B2 (en) Center pillar structure
EP3489056B1 (en) Vehicle door seal structure
JP6528526B2 (ja) ガラスランの固定構造
JP4612711B2 (ja) 車両のドアサッシュ部構造
EP2962880B1 (en) Door structure for vehicle
KR20050031924A (ko) 차량 도어 프레임 및 상기 차량 도어 프레임을 구비한차량 도어
CN104670334B (zh) 车身侧部构造
US20100045073A1 (en) Beam, and method for making such beam
JP6536154B2 (ja) ガラスランの固定構造
CN112208312B (zh) 后部车门构造
JP4250134B2 (ja) 車両のドア構造
JPH10138760A (ja) ドアフレーム
JP3437754B2 (ja) 自動車のフロントドア構造
JP2015193275A (ja) 車両用ドア構造
CN110576910B (zh) 车身后部构造
US20240116336A1 (en) Vehicle door structure
KR102562340B1 (ko) 자동차용 일체형 선루프 오프닝 브래킷
JPH06297955A (ja) 自動車用ド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